KR102349180B1 - 사운드 재구성을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콘텐츠 관리 서버 - Google Patents
사운드 재구성을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콘텐츠 관리 서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49180B1 KR102349180B1 KR1020200001334A KR20200001334A KR102349180B1 KR 102349180 B1 KR102349180 B1 KR 102349180B1 KR 1020200001334 A KR1020200001334 A KR 1020200001334A KR 20200001334 A KR20200001334 A KR 20200001334A KR 102349180 B1 KR102349180 B1 KR 1023491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 voice
- sound information
- file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0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관리 서버에서 사운드의 재구성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비디오 및 사운드로 구성된 동영상 파일의 업로드가 요청되면, 상기 동영상 파일에서 제1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음성이 녹음된 음성 파일의 업로드가 요청되면, 상기 음성 파일에서 제2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운드 정보 및 상기 제2 사운드 정보 각각의 사운드 밸런스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운드 정보 및 상기 제2 사운드 정보를 결합한 제3 사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운드 정보 대신에 상기 제3 사운드 정보가 삽입된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운드 재구성을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생성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운드 재구성을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콘텐츠 관리 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업로드 요청된 동영상 파일에서 제1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고, 업로드 요청된 음성 파일에서 제2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고, 제1 사운드 정보 및 제2 사운드 정보 각각의 사운드 밸런스를 조정하고, 제1 사운드 정보와 제2 사운드 정보를 결합하여 제3 사운드 정보를 생성하고, 제1 사운드 정보 대신에 제3 사운드 정보를 삽입한 동영상 파일을 생성함으로써, 사운드 밸런스 조정을 통해 음성 구간에서 사용자 음성 소리가 부각되고, 호흡 구간에서 배경음이 부각되도록 사운드를 재구성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장치의 보급화와 통신망의 발달로 인해,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의 이용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유튜브 등의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동영상 시청이 증가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직접적인 참여로 동영상 제작도 점점 활성화되어 가고 있는 상태이다.
하지만, 동영상과 같은 콘텐츠를 제작하는데 있어, 콘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전용 툴이 필요하고, 전용 툴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교육이 필요하기 때문에, 초보자가 콘텐츠를 제작하여 공유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이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공유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소비자들이 쉽게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업로드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채로운 콘텐츠의 생산 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편리하게 생성할 수 있는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업로드 요청된 동영상 파일에서 제1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고, 업로드 요청된 음성 파일에서 제2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고, 제1 사운드 정보 및 제2 사운드 정보 각각의 사운드 밸런스를 조정하고, 제1 사운드 정보와 제2 사운드 정보를 결합하여 제3 사운드 정보를 생성하고, 제1 사운드 정보 대신에 제3 사운드 정보를 삽입한 동영상 파일을 생성함으로써, 사운드 밸런스 조정을 통해 음성 구간에서 사용자 음성 소리가 부각되고, 호흡 구간에서 배경음이 부각되도록 사운드를 재구성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관리 서버에서 사운드의 재구성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비디오 및 사운드로 구성된 동영상 파일의 업로드가 요청되면, 상기 동영상 파일에서 제1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음성이 녹음된 음성 파일의 업로드가 요청되면, 상기 음성 파일에서 제2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운드 정보 및 상기 제2 사운드 정보 각각의 사운드 밸런스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운드 정보 및 상기 제2 사운드 정보를 결합한 제3 사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운드 정보 대신에 상기 제3 사운드 정보가 삽입된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운드 재구성을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생성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사운드 밸런스의 조정 단계는, 상기 제2 사운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음성이 재생되는 음성 구간을 선별하여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구간에서 상기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기준치 이하로 감소시키고, 상기 음성 구간에서 상기 제2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기준치 이상으로 증폭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밸런스의 조정 단계는, 상기 제2 사운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음성이 재생되지 않는 호흡 구간을 선별하여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호흡 구간에서 상기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기준치 이상으로 증폭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밸런스의 조정 단계는, 상기 호흡 구간으로 전환되면, 상기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증폭시키고, 상기 음성 구간으로 전환되면, 상기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가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운드의 재구성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관리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비디오 및 사운드로 구성된 동영상 파일의 업로드가 요청되면, 업로드 요청된 상기 동영상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음성이 녹음된 음성 파일의 업로드가 요청되면, 업로드 요청된 상기 음성 파일을 획득하는 파일 수신부; 상기 동영상 파일에서 제1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음성 파일에서 제2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는 사운드 추출부; 상기 제1 사운드 정보 및 상기 제2 사운드 정보 각각의 사운드 밸런스를 조정하는 사운드 조정부; 상기 제1 사운드 정보 및 상기 제2 사운드 정보를 결합한 제3 사운드 정보를 생성하는 사운드 결합부; 및 상기 제1 사운드 정보 대신에 상기 제3 사운드 정보가 삽입된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파일 제공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사운드 조정부는, 상기 제2 사운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음성이 재생되는 음성 구간을 선별하여 구분하며, 상기 음성 구간에서 상기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기준치 이하로 감소시키고, 상기 음성 구간에서 상기 제2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기준치 이상으로 증폭시킬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조정부는, 상기 제2 사운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음성이 재생되지 않는 호흡 구간을 선별하여 구분하며, 상기 호흡 구간에서 상기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기준치 이상으로 증폭시킬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조정부는, 상기 호흡 구간으로 전환되면, 상기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증폭시키고, 상기 음성 구간으로 전환되면, 상기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가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영상 파일과 음성 파일만 업로드 하면, 사운드 재구성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새로 생성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들이 콘텐츠를 쉽게 생성할 수 있어 다양한 콘텐츠의 제작으로 콘텐츠 공유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운드 재구성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데 있어, 음성 구간에서는 사용자 음성이 재생되기 때문에 제2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증폭시켜 사용자 음성 소리가 부각될 수 있도록 사운드 밸런스를 조정하고, 호흡 구간에서는 사용자 음성이 재생되지 않기 때문에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증폭시켜 배경음이 부각될 수 있도록 사운드 밸런스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 음성과 배경음이 완벽하게 조화된 콘텐츠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의 재구성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음성이 재생되는 음성 구간을 선별하여 구분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의 재구성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음성이 재생되는 음성 구간을 선별하여 구분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콘텐츠 관리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이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G, 4G 등의 이동 통신망으로 구성되어, 서버와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각각은 통신 기능을 갖춘 연산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데스크톱 PC, 랩탑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각각에는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등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온라인 상에서 콘텐츠를 생산하고 업로드하여 공유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단말일 수 있으며, 제1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1 사용자 단말(110), 제2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2 사용자 단말(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사용자 단말(110)의 동작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제1 사용자 단말(110) 이외에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애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저 등을 통해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동영상 파일 업로드, 음성 파일 업로드, 동영상 파일 재생성 등 콘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이 수행되도록 요청하여 처리할 수 있다.
동영상 파일 업로드 시,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제1 사용자 요청으로 선택된 동영상 파일이 업로드 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제1 사용자 단말(110) 내에 포함된 메모리 또는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연결된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파일에 대해 업로드를 요청할 수 있고, 온라인 상에 게시된 동영상의 URL 주소를 통해 동영상 파일의 업로드를 요청할 수도 있다.
음성 파일 업로드 시,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제1 사용자 음성이 녹음된 음성 파일이 업로드 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제1 사용자 단말(110) 내에 포함된 메모리 또는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연결된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파일에 대해 업로드를 요청할 수 있고,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입력 장치(예를 들면, 마이크)에 입력되는 음성 정보를 녹음하여 음성 파일을 새로 생성한 후, 생성된 음성 파일의 업로드를 요청할 수도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10)은 동영상 파일 및 음성 파일이 업로드 되면, 사운드의 재구성을 통한 동영상 파일의 재생성을 요청할 수 있으며, 동영상 파일 및 음성 파일을 기초로, 사운드 재구성을 통한 동영상 파일이 새로 생성되면, 생성된 동영상 파일을 콘텐츠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아 재생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사운드 재구성을 통해 새로 생성된 동영상 파일이 공유되도록 요청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동영상 파일이 제1 사용자의 SNS 상에 업로드 되어 공유될 수 있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상에 업로드 되어 공유될 수 있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즉, 동영상 파일의 공유 요청 시, SNS 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 웹 페이지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동영상 파일이 업로드 되어 공유될 수 있도록 요청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텍스트 파일, 이미지 파일, 음성 파일, 동영상 파일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서비스 요청에 따라, 해당 서비스에 대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중 어느 하나인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동영상 파일에 대한 업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업로드 요청된 동영상 파일을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동영상 파일에서 제1 사운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중 어느 하나인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음성 파일에 대한 업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업로드 요청된 음성 파일을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음성 파일에서 제2 사운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제1 사운드 정보 및 제2 사운드 정보 각각의 사운드 밸런스를 조정하고, 제1 사운드 정보 및 제2 사운드 정보를 결합한 제3 사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1 사운드 정보 대신에 제3 사운드 정보가 삽입된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여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에서 업로드 요청한 동영상 파일 및 음성 파일을 기초로, 사운드의 재구성을 통해 동영상 파일을 재생성함으로써, 새로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서버(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파일 수신부(210), 사운드 추출부(220), 사운드 조정부(230), 사운드 결합부(240) 및 파일 제공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일 수신부(210), 사운드 추출부(220), 사운드 조정부(230), 사운드 결합부(240) 및 파일 제공부(250)는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는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콘텐츠 관리 서버(200) 또는 이와 통신 가능한 다른 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파일 수신부(21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업로드 요청된 동영상 파일 및 음성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일 수신부(21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중 어느 하나인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비디오 및 사운드로 구성된 동영상 파일의 업로드가 요청되면, 업로드 요청된 동영상 파일을 획득하고,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 음성이 녹음된 음성 파일의 업로드가 요청되면, 업로드 요청된 음성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동영상 파일 획득 시, 제1 사용자 단말(110) 내에 포함된 메모리 또는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연결된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파일에 대해 업로드가 요청되면, 파일 수신부(21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동영상 파일을 수신하여 업로드 요청된 동영상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상에 게시된 동영상의 URL 주소를 통해 동영상 파일의 업로드가 요청되면, 파일 수신부(210)는 동영상의 URL 주소에 상응하는 외부 서버로부터 동영상 파일을 수신하여 업로드 요청된 동영상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파일 획득 시, 제1 사용자 단말(110) 내에 포함된 메모리 또는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연결된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파일에 대해 업로드가 요청되면, 파일 수신부(21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음성 파일을 수신하여 업로드 요청된 음성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입력 장치를 통해 음성 정보가 녹음되면서 녹음되는 음성 파일에 대한 업로드가 요청되면, 파일 수신부(21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실시간으로 녹음되는 음성 파일을 수신하여 업로드 요청된 음성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운드 추출부(220)는 파일 수신부(210)에서 획득한 동영상 파일에서 제1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고, 파일 수신부(210)에서 획득한 음성 파일에서 제2 사운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 추출부(220)는 동영상 파일에서 비디오 정보를 제외한 사운드 정보를 제1 사운드 정보로 추출할 수 있으며, 음성 파일에서 사용자 음성이 포함된 구간의 사운드 정보를 제2 사운드 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사운드 조정부(230)는 사운드 추출부(220)에서 추출한 제1 사운드 정보 및 제2 사운드 정보 각각에 대해 사운드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사운드 밸런스 조정 시, 사운드 조정부(230)는 동영상 파일에서 추출된 제1 사운드 정보와 사용자 음성이 녹음된 제2 사운드 정보가 결합될 때, 제1 사운드가 배경음이 되고 제2 사운드가 돋보일 수 있도록, 제1 사운드 정보 및 제2 사운드 정보 각각에 대한 사운드 밸런스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사운드 조정부(230)는 사운드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해, 제2 사운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음성이 재생되는 음성 구간과 사용자 음성이 재생되지 않는 호흡 구간을 선별하여 구분할 수 있다.
이후, 사운드 조정부(230)는 음성 구간에서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기준치 이하로 감소시키도록 사운드 밸런스를 조정하고, 음성 구간에서 제2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기준치 이상으로 증폭시키도록 사운드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사운드 조정부(230)는 음성이 나오는 음성 구간에서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최소화하고, 제2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상대적으로 증폭시킴으로써, 음성 구간에서는 사용자 음성이 부각될 수 있도록 사운드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운드 조정부(230)는 호흡 구간에서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기준치 이상으로 증폭시키도록 사운드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사운드 조정부(230)는 음성이 나오지 않는 호흡 구간에서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증폭시킴으로써, 호흡 구간에서는 사용자 음성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배경음이 부각될 수 있도록 사운드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운드 조정부(230)는 음성 구간에서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기준치 이하로 감소시킨 상태에서, 음성 구간이 호흡 구간으로 전환되면,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기준치 이상으로 증폭시켜야 하는데, 이때,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증폭시킬 수 있다.
반대로, 사운드 조정부(230)는 호흡 구간에서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기준치 이상으로 증폭시킨 상태에서, 호흡 구간이 음성 구간으로 전환되면,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기준치 이하로 감소시켜야 하는데, 이때,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가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감소시킬 수 있다.
사운드 결합부(240)는 사운드 조정부(230)에서 사운드 밸런스를 조정한 제1 사운드 정보 및 제2 사운드 정보를 기초로, 제1 사운드 정보 및 제2 사운드 정보를 결합하여 제3 사운드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배경음으로 사용되는 제1 사운드 정보와 사용자 음성이 녹음된 제2 사운드 정보를 하나의 사운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사운드 결합부(240)는 음성 구간에서 소리 세기가 감소된 제1 사운드 정보와 상대적으로 소리 세기가 증폭된 제2 사운드 정보를 결합하여, 음성 구간에서 사용자 음성이 부각된 제3 사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운드 결합부(240)는 호흡 구간에서 소리 세기가 증폭된 제1 사운드 정보와 음성이 나오지 않아 소리 세기를 조정하지 않은 제2 사운드 정보를 결합하여, 호흡 구간에서 배경음이 부각된 제3 사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파일 제공부(250)는 파일 수신부(210)에서 획득한 동영상 파일에서 제1 사운드 정보 대신에 제3 사운드 정보를 삽입하여, 사운드의 재구성을 통해 동영상 파일을 새로 생성할 수 있으며, 새로 생성된 동영상 파일을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최초 동영상 파일에 비디오 정보와 제1 사운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데, 파일 제공부(250)는 제1 사운드 정보 대신에 제3 사운드 정보를 삽입하여, 비디오 정보와 제3 사운드 정보를 결합함으로써, 새로운 사운드가 삽입된 동영상 콘텐츠를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의 재구성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동영상 파일 업로드 단계(S301)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중 어느 하나인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비디오 및 사운드로 구성된 동영상 파일이 업로드 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업로드 요청된 동영상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에 대해 직접 업로드를 요청할 수 있고,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업로드 요청된 동영상 파일을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하여 업로드 요청된 동영상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온라인 상에 게시된 동영상의 URL 주소를 통해 동영상 파일에 대한 업로드를 요청할 수 있고,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동영상의 URL 주소에 접속하여 업로드 요청된 동영상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움성 파일 업로드 단계(S302)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제1 사용자 음성이 녹음된 음성 파일이 업로드 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업로드 요청된 음성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저장된 음성 파일에 대해 직접 업로드를 요청할 수 있고,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업로드 요청된 음성 파일을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하여 업로드 요청된 음성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입력 장치에 입력되는 음성 정보를 실시간으로 녹음하여 음성 파일을 새로 생성한 후, 생성된 음성 파일이 업로드 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실시간으로 녹음된 음성 파일을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하여 업로드 요청된 음성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비디오 정보 추출 단계(S303)에서,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S301 단계에서 업로드 요청에 따라 획득된 동영상 파일에서 비디오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제1 사운드 정보 추출 단계(S304)에서,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S301 단계에서 업로드 요청에 따라 획득된 동영상 파일에서 제1 사운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업로드 요청에 따라 획득된 동영상 파일에서 비디오 정보와 사운드 정보를 구분하여 각각 추출할 수 있다.
제2 사운드 정보 추출 단계(S305)에서,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S302 단계에서 업로드 요청에 따라 획득된 음성 파일에서 제2 사운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제2 사운드 정보 추출 시,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음성 파일을 분석하여, 음성 파일에 사용자 음성과 배경음이 섞여 있는 경우, 사용자 음성 부분을 제2 사운드 정보로 추출할 수 있으며, 음성 파일에 사용자 음성만 있는 경우, 음성 파일 자체를 제2 사운드 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음성 및 호흡 구간 구분 단계(S306)에서,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S305 단계에서 추출된 제2 사운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음성이 재생되는 음성 구간과 사용자 음성이 재생되지 않는 호흡 구간을 선별하여 구분할 수 있다.
제1 사운드 정보 사운드 밸런스 조정 단계(S307)에서,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S304 단계에서 추출된 제1 사운드 정보에 대해 S306 단계에서 구분된 음성 및 호흡 구간에 따라 사운드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음성 구간에서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기준치 이하로 감소시키고, 호흡 구간에서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기준치 이상으로 증폭시켜, 호흡 구간에서만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가 부각될 수 있도록 사운드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제2 사운드 정보 사운드 밸런스 조정 단계(S308)에서,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S305 단계에서 추출된 제2 사운드 정보에 대해 306 단계에서 구분된 음성 및 호흡 구간에 따라 사운드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음성 구간에서 제2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기준치 이하로 증폭시켜, 음성 구간에서 제2 사운드 정보의 소리가 부각될 수 있도록 사운드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제3 사운드 정보 생성 단계(S309)에서,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S307 단계에서 사운드 밸런스가 조정된 제1 사운드 정보와 S308 단계에서 사운드 밸런스가 조정된 제2 사운드 정보를 결합하여, 제3 사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음성 구간에서 소리 세기가 감소된 제1 사운드 정보와 소리 세기가 증폭된 제2 사운드 정보를 결합하여, 음성 구간에서는 사용자 음성이 부각된 제3 사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호흡 구간에서 소리 세기가 증폭된 제1 사운드 정보와 음성이 나오지 않아 소리 세기를 조정하지 않은 제2 사운드 정보를 결합하여, 호흡 구간에서는 배경음이 부각된 제3 사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동영상 파일 생성 단계(S310)에서,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S303 단계에서 추출된 비디오 정보와 S309 단계에서 생성된 제3 사운드 정보를 결합하여, 사운드 재구성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인 동영상 파일을 새로 생성할 수 있다.
즉, S301 단계에서 업로드 요청에 따라 획득된 동영상 파일에 비디오 정보와 제1 사운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데,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비디오 정보는 그대로 두고 제1 사운드 정보 대신에 제3 사운드 정보를 삽입하여, 사운드 재구성을 통해 새로운 사운드가 삽입된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음성이 재생되는 음성 구간을 선별하여 구분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애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저 등을 통해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다양한 서비스 요청에 따라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페이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운드의 재구성을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해 동영상 파일 업로드, 음성 파일 업로드 등의 메뉴를 포함하는 페이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110)은 동영상 파일의 업로드를 위한 Video 메뉴 창과 음성 파일의 업로드를 위한 Voice 메뉴 창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Video 메뉴 창에는 동영상 URL 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동영상 파일의 저장 위치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Voice 메뉴 창에는 사용자 음성을 녹음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음성 파일의 저장 위치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Video 메뉴 창을 통해 동영상 파일을 업로드 하는 방법으로는 동영상 URL 주소 입력, 동영상 파일 직접 업로드 등의 방법이 있다.
동영상 URL 주소 입력을 통해 동영상 파일을 업로드 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해보면, Video 메뉴 창에서 동영상 URL 주소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동영상의 URL 주소가 입력되면,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동영상의 URL 주소를 통해 동영상 파일에 대한 업로드를 요청할 수 있고,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동영상의 URL 주소에 접속하여 업로드 요청된 동영상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동영상 파일을 직접 업로드 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해보면, Video 메뉴 창에서 동영상 파일의 저장 위치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동영상 파일의 저장 위치가 선택되면,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동영상 파일에 대해 직접 업로드를 요청할 수 있고,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업로드 요청된 동영상 파일을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하여 업로드 요청된 동영상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Voice 메뉴 창을 통해 음성 파일을 업로드 하는 방법으로는 음성 녹음을 통한 업로드, 음성 파일 직접 업로드 등의 방법이 있다.
음성 녹음을 통해 음성 파일을 업로드 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해보면, Voice 메뉴 창에서 사용자 음성을 녹음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음성 정보를 녹음하기 위한 녹음 시작 버튼, 녹음 정지 버튼, 다시 녹음 버튼, 확인 버튼 등이 제1 사용자 단말(11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녹음 시작 버튼이 선택된 후부터 녹음 정지 버튼이 선택될 때까지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입력 장치에 입력되는 음성 정보가 녹음되어 음성 파일이 생성될 수 있으며, 확인 버튼이 선택되면,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음성 녹음을 통해 생성된 음성 파일에 대한 업로드를 자동으로 요청할 수 있으며,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업로드 요청된 음성 파일을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하여 업로드 요청된 음성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파일을 직접 업로드 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해보면, Video 메뉴 창에서 음성 파일의 저장 위치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음성 파일의 저장 위치가 선택되면,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음성 파일에 대해 직접 업로드를 요청할 수 있고,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업로드 요청된 음성 파일을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하여 업로드 요청된 음성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동영상 파일의 업로드 요청을 통해 동영상 파일을 획득할 수 있고, 음성 파일의 업로드 요청을 통해 음성 파일을 획득할 수 있으며, 동영상 파일에서 제1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고, 음성 파일에서 제2 사운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제2 사운드 정보를 분석하여,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음성이 재생되는 구간의 데시벨을 선별하여 음성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음성이 재생되지 않는 구간의 데시벨을 선별하여 호흡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음성 구간과 호흡 구간 별로 제1 사운드 정보 및 제2 사운드 정보에 대해 사운드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음성 구간의 사운드 밸런스 조정 시,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음성 구간에서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기준치 이하로 감소시키고, 제2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기준치 이상으로 증폭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음성 구간에서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20 데시벨로 낮춰서 배경음이 부각되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제2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상대적으로 증폭시켜 사용자 음성 소리가 부각될 수 있도록 사운드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호흡 구간의 사운드 밸런스 조정 시,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호흡 구간에서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기준치 이상으로 증폭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음성 구간에서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낮춰서 배경음이 부각되지 않도록 처리하였으나, 호흡 구간에서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오히려 증폭시켜 배경음이 부각될 수 있도록 사운드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음성 구간에서는 사용자 음성이 재생되기 때문에 제2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증폭시켜 사용자 음성 소리가 부각될 수 있도록 사운드 밸런스를 조정하고, 호흡 구간에서는 사용자 음성이 재생되지 않기 때문에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증폭시켜 배경음이 부각될 수 있도록 사운드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사운드 밸런스가 조정된 제1 사운드 정보와 제2 사운드 정보를 결합하여 제3 사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1 사운드 정보 대신에 제3 사운드 정보를 삽입한 동영상 파일을 생성함으로써, 음성 구간에서 사용자 음성 소리가 부각되고, 호흡 구간에서 배경음이 부각되도록 사운드를 재구성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음성 파일에서 추출된 제2 사운드 정보를 통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어야만, 사운드 재구성을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생성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음성이 특성이 분석된 음성 특성 정보(예를 들어, 음성의 파동, 주파수 등)를 사용자 정보로 등록하여 관리하고 있을 수 있다.
즉,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업로드 요청된 음성 파일을 획득하여, 획득된 음성 파일에서 제2 사운드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제2 사운드 정보를 기초로 제1 사용자에 대한 음성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의 음성 특정 정보와 미리 등록된 사용자 정보의 음성 특성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사운드 재구성을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생성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사용자 단말(110)에서 업로드 요청된 동영상 파일의 제작자와 음성 파일의 제작자가 상이한 경우, 사운드 재구성을 통해 새로 생성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수익은 일정 비율에 따라 자동으로 분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 동영상 파일을 생산한 제작자는 제2 사용자이고, 사용자 음성을 녹음하여 음성 파일을 생산한 제작자는 제1 사용자인 경우, 사운드 재구성을 통해 새로 생성된 동영상 파일에는 제2 사용자 제작한 비디오 정보와 제1 사용자의 음성이 녹음된 제3 사운드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으므로, 사운드 재구성을 통해 새로 생성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수익은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에게 일정 비율로 분배되어 지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비디오 정보는 유지하면서 사용자 음성이 녹음된 사운드 정보만 변경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비디오에 대해 다양한 버전의 사운드가 삽입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고 공유할 수 있어 사용자 흥미를 증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복수의 사용자 단말
110 : 제1 사용자 단말
120 : 제2 사용자 단말
200 : 콘텐츠 관리 서버
210 : 파일 수신부
220 : 사운드 추출부
230 : 사운드 조정부
240 : 사운드 결합부
250 : 파일 제공부
110 : 제1 사용자 단말
120 : 제2 사용자 단말
200 : 콘텐츠 관리 서버
210 : 파일 수신부
220 : 사운드 추출부
230 : 사운드 조정부
240 : 사운드 결합부
250 : 파일 제공부
Claims (8)
- 콘텐츠 관리 서버에서 사운드의 재구성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비디오 및 사운드로 구성된 동영상 파일의 업로드가 요청되면, 상기 동영상 파일에서 제1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음성이 녹음된 음성 파일의 업로드가 요청되면, 상기 음성 파일에서 제2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운드 정보 및 상기 제2 사운드 정보 각각의 사운드 밸런스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운드 정보 및 상기 제2 사운드 정보를 결합한 제3 사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운드 정보 대신에 상기 제3 사운드 정보가 삽입된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파일을 분석하여 상기 음성 파일에 사용자 음성과 배경음이 섞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음성을 상기 제2 사운드 정보로 추출하고,
상기 사운드 밸런스의 조정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음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 사운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음성이 재생되는 음성 구간과 상기 사용자 음성이 재생되지 않는 호흡 구간을 선별하여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운드 재구성을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생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밸런스의 조정 단계는,
상기 음성 구간에서 상기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기준치 이하로 감소시키고, 상기 음성 구간에서 상기 제2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기준치 이상으로 증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운드 재구성을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생성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밸런스의 조정 단계는,
상기 호흡 구간에서 상기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기준치 이상으로 증폭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운드 재구성을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생성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밸런스의 조정 단계는,
상기 호흡 구간으로 전환되면, 상기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증폭시키고, 상기 음성 구간으로 전환되면, 상기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가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운드 재구성을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생성 방법. - 사운드의 재구성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관리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비디오 및 사운드로 구성된 동영상 파일의 업로드가 요청되면, 업로드 요청된 상기 동영상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음성이 녹음된 음성 파일의 업로드가 요청되면, 업로드 요청된 상기 음성 파일을 획득하는 파일 수신부;
상기 동영상 파일에서 제1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음성 파일에서 제2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는 사운드 추출부;
상기 제1 사운드 정보 및 상기 제2 사운드 정보 각각의 사운드 밸런스를 조정하는 사운드 조정부;
상기 제1 사운드 정보 및 상기 제2 사운드 정보를 결합한 제3 사운드 정보를 생성하는 사운드 결합부; 및
상기 제1 사운드 정보 대신에 상기 제3 사운드 정보가 삽입된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파일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추출부는,
상기 음성 파일을 분석하여 상기 음성 파일에 사용자 음성과 배경음이 섞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음성을 상기 제2 사운드 정보로 추출하고,
상기 사운드 조정부는,
상기 사용자 음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 사운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음성이 재생되는 음성 구간과 상기 제2 사운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음성이 재생되지 않는 호흡 구간을 선별하여 구분하는, 콘텐츠 관리 서버.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조정부는,
상기 음성 구간에서 상기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기준치 이하로 감소시키고, 상기 음성 구간에서 상기 제2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기준치 이상으로 증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서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조정부는,
상기 호흡 구간에서 상기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를 기준치 이상으로 증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서버.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조정부는,
상기 호흡 구간으로 전환되면, 상기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증폭시키고, 상기 음성 구간으로 전환되면, 상기 제1 사운드 정보의 소리 세기가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서버.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1334A KR102349180B1 (ko) | 2020-01-06 | 2020-01-06 | 사운드 재구성을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콘텐츠 관리 서버 |
KR1020210018485A KR102402600B1 (ko) | 2020-01-06 | 2021-02-09 | 사운드 재구성을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콘텐츠 관리 서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1334A KR102349180B1 (ko) | 2020-01-06 | 2020-01-06 | 사운드 재구성을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콘텐츠 관리 서버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8485A Division KR102402600B1 (ko) | 2020-01-06 | 2021-02-09 | 사운드 재구성을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콘텐츠 관리 서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8163A KR20210088163A (ko) | 2021-07-14 |
KR102349180B1 true KR102349180B1 (ko) | 2022-01-07 |
Family
ID=768629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1334A KR102349180B1 (ko) | 2020-01-06 | 2020-01-06 | 사운드 재구성을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콘텐츠 관리 서버 |
KR1020210018485A KR102402600B1 (ko) | 2020-01-06 | 2021-02-09 | 사운드 재구성을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콘텐츠 관리 서버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8485A KR102402600B1 (ko) | 2020-01-06 | 2021-02-09 | 사운드 재구성을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콘텐츠 관리 서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349180B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488091B2 (ja) * | 2008-06-24 | 2010-06-23 | ソニー株式会社 | 電子機器、映像コンテンツ編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KR20110095113A (ko) * | 2010-02-16 | 2011-08-24 | 윤재민 | 음장인식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 및 그것의 운용 방법 |
KR20120050689A (ko) * | 2010-11-11 | 2012-05-21 | 주식회사 케이티 |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
KR102472801B1 (ko) * | 2016-10-12 | 2022-12-01 | 천종윤 | 분산형 멀티미디어 편집 시스템 및 편집방법 |
-
2020
- 2020-01-06 KR KR1020200001334A patent/KR10234918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2-09 KR KR1020210018485A patent/KR102402600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8455A (ko) | 2021-07-14 |
KR20210088163A (ko) | 2021-07-14 |
KR102402600B1 (ko) | 2022-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84835B2 (en) | 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ing interactive content | |
US9055193B2 (en) | System and method of a remote conference | |
US20120308196A1 (en) | System and method for uploading and downloading a video file and synchronizing videos with an audio file | |
US20190199763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eviewing content | |
JP2016536945A (ja) | 動画提供方法および動画提供システム | |
US9584761B2 (en) | Videoconference terminal, secondary-stream data accessing method, and computer storage medium | |
JP2014082582A (ja) | 視聴装置、コンテンツ提供装置、視聴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 | |
US11425142B2 (en) | Location based authentication | |
US11838570B2 (en) | Loudness normalization method and system | |
US20190261041A1 (en) | Media Processing and Collaboration Platform | |
KR20220095591A (ko) | 개인미디어 크리에이터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스튜디오 플랫폼 제공 시스템 | |
JP2018117328A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 |
CN102262344A (zh) | 可即时分享所播放投影片影像的投影机 | |
KR102349180B1 (ko) | 사운드 재구성을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콘텐츠 관리 서버 | |
EP4221194A1 (en) | Recording information creation system, method for creating recording information, and carrier means | |
US12010161B1 (en) | Browser-based video production | |
US8843961B2 (en) | Multiple resolution audio and video systems, methods of production, delivery and uses thereof | |
KR100991264B1 (ko) | 전자 단말기의 음원 재생 배포 방법 및 그 시스템 | |
KR101565139B1 (ko) | 스마트 러닝을 위한 멀티채널용 학습자원 제공 방법 | |
JP2004077966A (ja) | デジタル速記システム | |
CN102148823B (zh) | 再现装置及再现系统 | |
EP4231632A1 (en) | Display system, display method, and carrier medium | |
JP6898575B2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 |
US20220302892A1 (en) | Method and system for normalizing platform-adaptive audio | |
KR20110040046A (ko) | 트래픽이 절감된 화상통신 운영 시스템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