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414B1 - 무선호출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호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414B1
KR102348414B1 KR1020150153434A KR20150153434A KR102348414B1 KR 102348414 B1 KR102348414 B1 KR 102348414B1 KR 1020150153434 A KR1020150153434 A KR 1020150153434A KR 20150153434 A KR20150153434 A KR 20150153434A KR 102348414 B1 KR102348414 B1 KR 102348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charging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1076A (ko
Inventor
한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to KR1020150153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414B1/ko
Publication of KR20170051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B5/04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7/025
    • H04B5/008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무선호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무선호출 장치는 테이블에 설치되어 외부 호출 단말기로 고유식별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테이블에 고정설치되는 본체; 상기 버튼의 조작 시 저장된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외부 호출 단말기로 송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무선통신 유닛;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는 보조배터리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충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유닛은,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측으로 무선으로 송출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무선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무선전력 송신모듈과,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이 충전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측으로 유선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충전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상기 충전포트와 연결된 충전케이블을 통하여 외부 충전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유선방식으로 재충전된다.

Description

무선호출 장치{Wireless call device}
본 발명은 무선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는 자택 또는 사무실에서 충전이 이루어지나, 카페, 음식점 등 서비스 영업점에서도 전자기기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나, 서비스 영업점에서 전자기기의 충전을 위해서는 소지한 충전기기를 사용해야 하지만, 대부분의 충전기기는 콘센트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기기를 충전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인 서비스 영업점에서는 충전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전자기기를 충전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또한, 서비스 영업점에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고객의 자리에서 떨어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또는 영업점의 데스크에 전자기기의 충전을 맡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이, 전자기기를 고객의 자리 이외에 맡기는 경우 분실이나 개인정보 노출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5-0088358호(공개일 2015년 8월 3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서비스 영업점에서 테이블에 설치된 무선호출 장치의 배터리를 사용하여 고객이 고객의 자리에서 휴대용 전자기기를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는 무선호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테이블에 설치되어 외부 호출 단말기로 고유식별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테이블에 고정설치되는 본체; 상기 버튼의 조작 시 저장된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외부 호출 단말기로 송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무선통신 유닛;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는 보조배터리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충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유닛은,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측으로 무선으로 송출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무선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무선전력 송신모듈과,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이 충전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측으로 유선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충전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상기 충전포트와 연결된 충전케이블을 통하여 외부 충전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유선방식으로 재충전되는 무선호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무선호출 장치는, 외부 충전기기로부터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를 재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비스 영업점에서 테이블에 설치된 무선호출 장치에 내장되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이 구비되는 무선호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이 구비되는 무선호출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이 구비되는 무선호출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를 유선으로 충전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선호출 장치(100)는 다수개의 테이블 각각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무선호출 장치(100)는 서비스 영업점의 어느 한 위치에 설치된 외부 호출 단말기(미도시)와 무선 통신이 이루어진다.
또한, 다수개의 무선호출 장치(100)에는 각각의 고유 식별정보가 저장되고, 고객이 운영자 또는 종업원 호출 시 상기 고유 식별정보가 무선 주파수와 함께 외부 호출단말기로 송출되며, 외부 호출단말기는 수신된 고유 식별정보를 판독하여 운영자 또는 종업원이 호출한 테이블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이러한, 무선호출 장치(100)는 고객이 운영자 또는 종업원을 호출하기 위해서 사용되지만, 테이블에 착석한 고객이 소지하는 전자기기의 충전을 위한 보조배터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무선호출 장치(100)는 본체(110), 통신유닛(120), 배터리(130) 및 충전유닛을 포함한다(도 1 내지 도 4참조).
상기 본체(110)는 내부에 상기 통신유닛(120), 배터리(130) 및 충전유닛이 내장되어 각각의 테이블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본체(11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111) 및 알림부(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버튼(111)은 상기 통신유닛(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알림부(112)는 상기 본체(110)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호출 장치(100)가 보조배터리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무선호출 장치(100) 내에 구비되는 배터리(130)의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알림부(112)는 배터리(13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램프가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화면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통신유닛(120)은 고객이 운영자 또는 종업원을 호출하기 위하여 서비스 영업점의 어느 한 위치에 설치된 외부 호출 단말기(미도시)로 전달할 무선신호를 송출한다.
즉, 상기 통신유닛(120)은 인터페이스(121) 및 저장부(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121) 및 저장부(122)는 회로기판 상에 실장된다.
상기 인터페이스(121)는 외부 호출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통하여 저장부(122)에 저장된 고유 식별정보를 무선신호와 함께 송출한다.
상기 저장부(122)는 고유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버튼(111)이 눌리는 경우, 상기 저장부(122)에 저장된 고유 식별정보가 무선신호에 의해 외부 호출단말기로 송출한다.
아울러, 상기 회로기판 상에는 제어부(150)가 실장되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통신유닛(120)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배터리(130)가 보조배터리로서 사용될 때 상기 배터리(130) 및 휴대용 전자기기, 상기 배터리(130) 및 외부 충전기기가 서로 무선방식으로 연결되는지 유선방식으로 연결되는지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배터리(130)의 충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배터리 충전 상태를 출력하며, 상기 출력된 신호는 상기 알림부(112)로 전달되어 사용자가 상기 알림부(112)를 통하여 상기 배터리(130)의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30)는 상기 본체(110)에 내장되어 상기 통신유닛(120)이 상기 외부 호출 단말기와 통신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유닛(12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배터리(130)는 휴대용 전자기기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배터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130)에서 제공되는 전원은 상기 충전유닛을 통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측으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130)로부터 휴대용 전자기기 측으로 제공되는 전원은 무선 방식으로 공급될 수도 있고 유선 방식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배터리(130)로부터 휴대용 전자기기 측으로 제공되는 전원이 무선 방식으로 공급되는 경우, 상기 충전유닛은 무선전력 송신모듈(141)로 구현되어 상기 본체(110)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41)은 안테나유닛(141a) 및 차폐유닛(141b)을 포함하며, 충전하고자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무선전력 수신모듈과 대칭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테나유닛(141a)은 상기 차폐유닛(141b)의 일면에 접착층(미도시)을 매개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일정길이를 갖는 도전성부재가 동일 평면상에 복수 회 권선되어 형성되는 평판형 코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유닛(141a)은 상기 도전성부재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권선되어 원형, 타원형, 나선형, 또는 사각형상과 같은 다각형상의 코일이며, 단일 또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테나유닛(141a)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 개의 안테나유닛은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차폐유닛(141b)은 일정면적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일면에 상기 안테나유닛(141a)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차폐유닛(141b)은 상기 안테나유닛(141a)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폐하여 자기장의 집속도를 높여줌으로써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하는 상기 안테나유닛(141a)의 특성을 높여준다.
즉, 상기 차폐유닛(141b)은 100 내지 350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자기 유도 방식에 의한 무선 충전시, 또는 6.78kHz의 주파수에서 자기공진 방식에 의한 무선 충전시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하는 안테나유닛(141a)의 특성을 높여주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차폐유닛(141b)은 상기 안테나유닛(141a)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도록 자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41)은 무선 전력 신호를 휴대용 전자기기 측으로 송신하여 전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 방식 또는 자기 공진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무선 방식으로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송신한다.
일례로, 상기 무선호출 장치(100)의 본체(110) 에 휴대용 전자기기(10)를 올려 놓게 되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에 내장된 무선전력 수신모듈(미도시)은 상기 무선호출 장치(100)의 무선전력 송신모듈(141)로부터 전달되는 무선 신호를 통해 전력을 생산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배터리(130)의 전원을 무선 전력 신호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는 상기 배터리(130)의 전원을 유선 방식으로 공급받을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는 홈 형상의 충전포트(14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충전포트(142)는 상기 제어부(150)를 통해 상기 배터리(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충전포트(142)에는 상기 배터리(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자(1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전포트(142)는 통상의 충전케이블(160)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충전케이블(160)을 통하여 배터리(130)를 휴대용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보다 상세히 상기 배터리(130)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유선 충전 방법을 살펴보면, 충전케이블(160)의 양단부에는 연결포트가 각각 구비되며, 하나의 연결포트는 본체(110)에 구비되는 충전포트(142)에 결합하고, 다른 하나의 연결포트는 휴대용 전자기기(10)의 포트에 결합한다.
그러면, 본체(110)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150)는 충전포트(142)를 통하여 휴대용 전자기기(10)가 결합됨을 확인하고, 상기 배터리(130)에 저장된 전원을 충전케이블(160)을 통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 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의 메인배터리가 충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 장치(100)는 버튼의 작동시 고유 식별정보를 무선 주파수와 함께 외부 호출단말기로 송출하는 본래의 기능에 더하여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작동하는 충전유닛이 구비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보조배터리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무선호출 장치(100)에 내장되어 상기 통신유닛(120)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배터리(130) 역시 외부 충전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충전기기로부터 배터리(130)측으로 제공되는 전원은 무선 방식으로 공급될 수도 있고 유선 방식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외부 충전기기로부터 배터리(130) 측으로 제공되는 전원이 무선 방식으로 공급되는 경우, 상기 본체(110) 내에는 무선전력 수신모듈(144)이 내장된다.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44)은 안테나유닛(144a) 및 차폐유닛(144b)을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유닛(144a)은 상기 차폐유닛(144b)의 일면에 접착층(미도시)을 매개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일정길이를 갖는 도전성부재가 동일 평면상에 복수 회 권선되어 형성되는 평판형 코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유닛(144a)은 상기 도전성부재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권선되어 원형, 타원형, 나선형, 또는 사각형상과 같은 다각형상의 코일이며, 단일 또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유닛(144b)은 일정면적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일면에 상기 안테나유닛(144a)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차폐유닛(144b)은 상기 안테나유닛(144a)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폐하여 자기장의 집속도를 높여줌으로써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하는 상기 안테나유닛(144a)의 특성을 높여준다.
즉, 상기 차폐유닛(144b)은 100 내지 350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자기 유도 방식에 의한 무선 충전시, 또는 6.78kHz의 주파수에서 자기공진 방식에 의한 무선 충전시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하는 안테나유닛(144a)의 특성을 높여주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차폐유닛(144b)은 상기 안테나유닛(144a)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도록 자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44)은 외부 충전기기에서 송신하는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여 전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 방식 또는 자기 공진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충전기기에서 송신하는 전력을 무선 방식으로 수신한다.
일례로, 외부 충전기기를 상기 무선호출 장치(100)에 올려 놓게 되면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44)은 외부 충전기기에 내장되는 무선전력 송신모듈(미도시)로부터 전달되는 무선 신호를 통해 전력을 생산함으로써 배터리(130)를 충전하게 된다.
이때, 외부 충전기기의 무선전력 송신모듈로부터 송출된 상기 무선 전력 신호는 상기 제어부(150)에 구비된 전력 변환부에서 수신 전원으로 변환되어 상기 배터리(130) 측으로 공급한다.
한편, 상기 배터리(130)는 외부 충전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충전케이블(160)을 통하여 유선 방식으로 공급받을 수도 있다.
즉, 상기 배터리(130)를 충전케이블을 통하여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된 충전포트(142)에 충전케이블의 단부를 연결하고 타단부를 외부 충전기기에 연결하여 상기 배터리(130) 및 외부 충전기기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배터리(130)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충전포트(142)는 하나의 포트가 상기 배터리(130)로부터 휴대용 전자기기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전통로역할과 외부 충전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상기 배터리(130) 측으로 공급하는 충전통로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고, 두 개의 포트로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130)로부터 휴대용 전자기기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전통로역할과 외부 충전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상기 배터리(130) 측으로 공급하는 충전통로역할을 각각 분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무선호출 장치 110 : 본체
120 : 통신유닛 130 : 배터리
150 :제어부 160 : 충전케이블

Claims (9)

  1. 테이블에 설치되어 외부 호출 단말기로 고유식별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무선호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테이블에 고정설치되는 본체;
    상기 버튼의 조작 시 저장된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외부 호출 단말기로 송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무선통신 유닛;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충전하는 보조배터리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충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유닛은,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측으로 무선으로 송출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배터리를 무선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무선전력 송신모듈과,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이 충전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측으로 유선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충전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상기 충전포트와 연결된 충전케이블을 통하여 외부 충전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유선방식으로 재충전되는 무선호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호출 장치는, 외부 충전기기로부터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를 재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무선호출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0153434A 2015-11-02 2015-11-02 무선호출 장치 KR102348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434A KR102348414B1 (ko) 2015-11-02 2015-11-02 무선호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434A KR102348414B1 (ko) 2015-11-02 2015-11-02 무선호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076A KR20170051076A (ko) 2017-05-11
KR102348414B1 true KR102348414B1 (ko) 2022-01-07

Family

ID=58741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434A KR102348414B1 (ko) 2015-11-02 2015-11-02 무선호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4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331B1 (ko) * 2005-07-16 2007-07-19 주식회사 가연아이앤씨 원거리 주문자 호출 장치
KR101314772B1 (ko) * 2013-03-27 2013-10-04 서강철 광고 기능이 구비된 무선 충전장치
KR101468947B1 (ko) * 2013-08-16 2014-12-09 소형완 전원공급부가 구비되는 무선 호출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9648A (ko) * 2013-12-15 2015-06-24 편준범 무선 호출 및 제어 시스템과 스마트폰 충전기가 구비된 조리기구 시스템
KR101634713B1 (ko) 2014-01-23 2016-06-30 주식회사 선단테크 착탈식 무선호출수신 모듈을 이용한 무선 호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331B1 (ko) * 2005-07-16 2007-07-19 주식회사 가연아이앤씨 원거리 주문자 호출 장치
KR101314772B1 (ko) * 2013-03-27 2013-10-04 서강철 광고 기능이 구비된 무선 충전장치
KR101468947B1 (ko) * 2013-08-16 2014-12-09 소형완 전원공급부가 구비되는 무선 호출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076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0937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JP6231912B2 (ja) 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それに用いられる無線充電機能を備えた家具及び無線電力送信装置
KR102204560B1 (ko) 무선 충전을 지원하는 마우스 패드
JP6140428B2 (ja) 電力送信コイル及び無線電力送信装置
KR101574322B1 (ko)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다중 안테나
US20180034327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adaptor
CN105431993B (zh) 多线圈无线功率装置
KR20170083099A (ko) 전자 디바이스들을 충전하기 위한 시스템
TR201900223T4 (tr) Kablosuz güç.
US9531213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20140091362A (ko) 무선충전용 수신코일과 엔에프씨 안테나가 배터리에 함께 설치된 무선충전 배터리 모듈
CN106849383B (zh) 垂直型电力传输方式的无线电力传输及充电装置
KR101504068B1 (ko) 맞춤형 무선충전 송신시스템
JP6288393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348414B1 (ko) 무선호출 장치
KR102216278B1 (ko) 유무선 전력 전송이 가능한 보조 배터리
KR101408149B1 (ko) 전자기 감응공명을 이용한 무선 충전용 핸드폰 케이스
KR200484841Y1 (ko) 휴대 단말기용 무선 충전 장치
JP5529697B2 (ja) 非接触充電装置および非接触充電システム
KR20160050445A (ko) 무선충전장치
KR20170142738A (ko) Usb 유무선 하이브리드 충전기
KR20130020341A (ko) 끈적이 접착 재질을 사용한 무접점 무선 충전기 내장 임의의 위치에서 세워 보는 장치
KR20150002758U (ko) 휴대용단말기의 무선 충전장치를 구비한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보조배터리
KR20190069686A (ko) 확장형 무선 전력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
WO2013102901A1 (en) Integrated inductive power receiver and near field commun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