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384B1 - Total heat exchanger with bypass function to reduce damage in case of fire - Google Patents

Total heat exchanger with bypass function to reduce damage in case of f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384B1
KR102348384B1 KR1020210079221A KR20210079221A KR102348384B1 KR 102348384 B1 KR102348384 B1 KR 102348384B1 KR 1020210079221 A KR1020210079221 A KR 1020210079221A KR 20210079221 A KR20210079221 A KR 20210079221A KR 102348384 B1 KR102348384 B1 KR 102348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xhaust
bypass
unit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2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민찬기
Original Assignee
민찬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찬기 filed Critical 민찬기
Priority to KR1020210079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38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3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tal heat exchang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total heat exchanger with a bypass function capable of reducing damage when a fire occurs, which supplies and discharges outside air and inside air, blocks the outside air to prevent the outside air from entering if a fire is detected when the fire occurs, quickly discharges the inside air to quickly remove toxic gas caused by the fire, and prevents the fire from spreading by the inflow of the outside air. To this e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tal heat exchanger with a bypass function capable of reducing damage when a fire occurs comprises: a casing installed on a ceiling or a wall to provide a space for circulating outside air and inside air; an air discharge unit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indoor side and the outdoor side of the casing to discharge indoor air; an air supply unit allowing outside air to flow into indoor space while forming a flow path to cross the air discharge unit; and a total heat exchange element provide at a point at which the air discharge unit and the air supply unit cross to heat-exchange circulated air. A bypass unit discharging inside air by guiding the inside air to directly discharge the inside ai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when a fire occurs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ing.

Description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Total heat exchanger with bypass function to reduce damage in case of fire}Total heat exchanger with bypass function to reduce damage in case of fire

본 발명은 전열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기와 내기를 급기 및 배기하면서 화재 발생 시 화재가 감지되면 외기는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내기를 빠른 속도로 배기하여 화재로 인한 유독가스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고, 외기 유입으로 인해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tal heat exchanger,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fire is detected while supplying and exhausting outside air and bet air, it blocks the outside air from flowing in and quickly exhausts the bet to quickly release toxic gas from the fire. It relates to a total heat exchanger equipped with a bypass function that can reduce damage in the event of a fire that can be removed and can prevent the fire from spreading due to inflow of outside air.

일반적으로 주거 공간이나 사무용 공간 등 실내에는 외기와 내기를 순환시켜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전열 교환기가 설치된다.In general, a total heat exchanger capable of maintaining a comfortable state by circulating outside air and bet air is installed indoors, such as in a residential space or an office space.

전열 교환기는, 팬의 회전에 의해 내기는 배출하고 외기를 유입시켜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으로, 전열 교환 소자가 구비되어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The total heat exchanger discharges the bet by the rotation of the fan and circulates the air by introducing the outside air, and a total heat exchange element is provided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incoming air.

이러한 전열 교환기는 팬의 구동에 의한 강제 배기 및 강제 흡기를 이용하여 외기와 내기를 순환시킨다.Such a total heat exchanger circulates outside air and inside air using forced exhaust and forced intake by driving a fan.

하지만 화재 발생 시 외기와 내기의 유입과 배출을 평시와 같이 유지하여, 외기의 유입으로 인해 화재가 확산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However, in the event of a fire, the inflow and discharge of outside air and air are maintained as usual, resulting in the spread of fire due to the inflow of outside air.

관련하여 선행문헌 1(등록특허 10-1313192 화재모드로 동작 가능한 전열교환장치)에서는 화재 발생 시 배출팬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면서 공급팬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In relation to this, in Prior Document 1 (Registration Patent No. 10-1313192 total heat exchanger capable of operating in fire mode), there is a configuration that can prevent the spread of fire by increas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exhaust fan and block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supply fan when a fire occurs. has been disclosed.

하지만 선행문헌 1은 공급팬의 중단을 통해 외기의 강제 유입을 중단할 뿐 내부공기공급구가 폐쇄되지 않아 화재로 인한 산소량 감소와 배출팬의 강제 배출에 의해 기압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자연 유입되어 화재의 감소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However, in Prior Document 1, the forced inflow of outside air is stopped by stopping the supply fan, but the internal air supply port is not closed,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amount of oxygen due to a fire and a pressure difference due to the forced discharge of the exhaust fan. As air naturally flows into the roo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re reduction efficiency is lowered.

선행문헌 1(등록특허 10-1313192 화재모드로 동작 가능한 전열교환장치)Prior Document 1 (Registration Patent 10-1313192 Total heat exchanger capable of operating in fire mod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 발생 시 급기팬을 차단하고 배기팬의 출력을 높여줌에 따라 실내로부터 화재로 인해 발생된 유해가스를 빠르게 배출할 수 있고, 이와 함께 급기관을 댐퍼에 의해 차단하여 외기의 유입을 원천 차단함과 동시에, 바이패스부를 통해 실내로부터 내기의 배기효율을 극대화 하여 외기의 유입으로 인한 화재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a fire occurs, the supply air fan is blocked and the output of the exhaust fan is increased, so that harmful gases generated due to fire can be quickly discharged from the room, and together with the air supply pipe It blocks the inflow of outside air by blocking it with a damper, and at the same time, it maximizes the exhaust efficiency of the bet from the inside through the bypass unit,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due to the inflow of outside ai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tal heat exchanger equipped with a bypass function.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는, 천정이나 벽체에 설치되어 외기와 내기를 순환시키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싱(100), 상기 케이싱(100)의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연통되게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부(200), 상기 배기부(200)와 교차되게 유로를 형성하면서 외부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급기부(300) 및 상기 배기부(200)와 급기부(300)가 교차되는 지점에 구비되어 순환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전열 교환 소자(400)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0)의 일측에는 화재 발생 시 내기가 전열 교환 소자(400)를 통과하지 않고 바로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배출하는 바이패스부(1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tal heat exchanger having a bypass function that can reduce damage in case of f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installed on a ceiling or a wall to provide a space for circulating outside air and inside air. (100), an exhaust unit 200 that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indoor and outdoor sides of the casing 100 to exhaust indoor air, and forms a flow path to cross the exhaust unit 200 and introduces outside air into the room In including a total heat exchange element 400 for exchanging circulated air provided at a point where the air supply unit 300 and the exhaust unit 200 and the air supply unit 300 cross each other, the one side of the casing 100 In the case of a fire, the be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bypass unit 130 for inducing and discharging the bet so that it is discharged directly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400 .

여기서, 상기 배기부(200)는 케이싱(100) 내부에서 실내공기 배기 경로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팬 구동에 의해 강제 배기하는 배기팬(210)과 케이싱(100)의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배기팬(210)의 구동에 의해 실내 공기를 유입시켜 배출하는 배기관(220)을 포함하며, 상기 급기부(300)는 케이싱(100) 내부에서 외부공기 유입 경로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시켜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팬(310)과, 상기 배기관(220)과 교차되는 경로로 구비되어 외부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급기관(320) 및 화재 시 급기관(320)이 닫힘 상태로 전환되면 케이싱(100) 내부로 유입된 내기를 바이패스부(130)로 배출하는 바이패스홀(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exhaust unit 200 is installed in the indoor air exhaust path inside the casing 100 so that the exhaust fan 210 that forcibly exhausts the indoor air by driving the fan communicates with the indoor and outdoor sides of the casing 100 . and an exhaust pipe 220 for introducing and discharging indoor air by driving the exhaust fan 210 , and the air supply unit 300 is installed in the outside air inflow path inside the casing 100 to provide air from the outside. The air supply fan 310 for introducing into the room and supplying it to the room, the air supply pipe 320 provided in a path that intersects the exhaust pipe 220 to introduce outside air into the room, and the air supply pipe 320 in case of a fire are closed. When conver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bypass hole 330 for discharging the bet introduced into the casing 100 to the bypass unit 130 .

이때, 상기 바이패스부(130)는 실내측 공기가 케이싱(100) 내부로 유입되는 위치와 유입된 공기가 바이패스부(130)를 통해 배기부(200) 측으로 이송되는 위치에 각각 바이패스 댐퍼(133)가 구비되고, 상기 급기관(320)에는 외부로부터 외기를 유입시킬 때는 개방되었다가 외기 유입 중단 시에는 닫힘 상태로 유지되는 급기관 댐퍼(321)가 구비됨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댐퍼(133)는 정상 동작 시에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급기관 댐퍼(321)는 개방 상태를 유지하다가 화재 발생 시 급기관 댐퍼(321)는 닫힘 상태로 전환되며, 바이패스 댐퍼(133)는 개방 상태로 전환되어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바이패스부(130)로 유입된 내기는 급기팬(310)에 의해 유입되어 상기 바이패스홀(330)을 통과함에 따라 바이패스부(130)로 이동하고, 바이패스부(130)를 통해 이송된 내기는 케이싱(100)에서 배기부(200) 측으로 다시 유입되어 배기팬(210)과 배기관(220)에 의해 실내 측에 구비되는 배기관(220)으로 유입되는 내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the bypass unit 130 is a bypass damper at a position where in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casing 100 and a position where the inflow air is transferred to the exhaust unit 200 through the bypass unit 130 , respectively. 133 is provided, and the air supply pipe 320 is provided with an air supply pipe damper 321 that is opened when introducing external air from the outside and is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when the inflow of external air is stopped, the bypass damper ( 133) maintains a closed state during normal operation, the air supply pipe damper 321 maintains an open state, and when a fire occurs, the air supply pipe damper 321 switches to a closed state, and the bypass damper 133 is opened The bet that is converted to the state and introduced into the bypass unit 130 while blocking the inflow of outside air into the room is introduced by the air supply fan 310 and passes through the bypass hole 330 to the bypass unit 130 . The bet moved and transferred through the bypass unit 130 is introduced from the casing 100 to the exhaust unit 200 side again, and to the exhaust pipe 220 provided on the indoor side by the exhaust fan 210 and the exhaust pipe 220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ogether with the incoming bet.

한편, 천정이나 벽체에 설치되어 외기와 내기를 순환시키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싱(500), 상기 케이싱(500)의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연통되게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부(600), 상기 배기부(600)와 교차되게 유로를 형성하면서 외부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급기부(700) 및 상기 배기부(600)와 급기부(700)가 교차되는 지점에 구비되어 순환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전열 교환 소자(800)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500)의 일측에는 화재 발생 시 내기가 전열 교환 소자(800)를 통과하지 않고 바로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배출하는 바이패스관(530)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500)에서 실내공기가 케이싱(500) 내부로 유입되는 배기관(6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실내 공기를 바이패스관(530) 측으로 유도하는 바이패스 유도관(54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asing 500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r wall to provide a space for circulating outside air and bet air, the exhaust unit 600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indoor side and the outdoor side of the casing 500 to exhaust indoor air; The air supply unit 700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room while forming a flow path to cross the exhaust unit 600 and the exhaust unit 600 and the air supply unit 700 are provid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circulating air to exchange heat. In the case of a fire, a bypass pipe 53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ing 500 for inducing and discharging the bet so that the bet is discharged directly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800 . In the casing 500, a bypass guide pipe 54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exhaust pipe 620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flows into the casing 500 to guide the indoor air to the bypass pipe 530 side. characterized by be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total heat exchanger having a bypass function capable of reducing damage in case of f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화재 발생 시 외기 유입을 차단하고 내기를 빠르게 배출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blocking the inflow of outside air in the event of a fire and quickly discharging the bet.

둘째, 화재 발생 시 급기관과 배기관을 모두 이용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효율적으로 빠르게 유독가스를 배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in the event of a fire, both the air supply and the exhaust pipe are used to exhaust the air inside, so that the toxic gas can be exhausted quickly and efficiently.

셋째, 화재 감지 시 자동으로 동작되어 별도의 조작 없이 빠르게 작동하여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it is automatically operated upon detection of a fire and operates quickly without additional manipulation, thereby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에서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에서 평시에 외기와 내기의 순환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에서 화재 발생 시의 배기 상태를 나타낸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에서 배기부에 외기 유입 방지부재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에서 바이패스부에 와류 생성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의 전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에서 평시에 외기와 내기의 순환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에서 화재 발생 시의 배기 상태를 나타낸 동작상태도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total heat exchanger having a bypass function that can reduce damage in case of f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opened in the total heat exchanger having a bypass function that can reduce damage in the event of a f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total heat exchanger having a bypass function that can reduce damage in case of f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the circulation state of outside air and bet in normal time in the total heat exchanger equipped with a bypass function that can reduce damage in case of f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exhaust state when a fire occurs in a total heat exchanger having a bypass function that can reduce damage in case of a f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xternal air inflow prevention member is further provided in the exhaust unit in the total heat exchanger having a bypass function that can reduce damage in case of f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vortex generating unit is further provided in the bypass unit in the total heat exchanger having a bypass function that can reduce damage in case of f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total heat exchanger having a bypass function that can reduce damage in case of f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tal heat exchanger having a bypass function that can reduce damage in case of f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total heat exchanger having a bypass function that can reduce damage in case of f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the circulation state of outside air and bet in normal times in a total heat exchanger equipped with a bypass function that can reduce damage in case of f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exhaust state when a fire occurs in a total heat exchanger having a bypass function that can reduce damage in case of f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전열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 발생 시 외기의 유입을 자동으로 차단하면서 내기를 빠르게 배출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고 화재로 인해 발생된 유해 가스를 빠르게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tal heat exchanger, and in particula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and rapidly discharge harmful gases generated by the fire by rapidly discharging the bet while automatically blocking the inflow of outside air in the event of a fire.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total heat exchanger having a bypass function capable of reducing damage in the event of a f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에서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다.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total heat exchanger having a bypass function that can reduce damage in case of f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opened in a total heat exchanger having a bypass function, and FIG. 3 i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total heat exchanger having a bypass function that can reduce damage in case of a f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천정이나 벽체에 설치되어 외기와 내기를 순환시키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싱(100), 상기 케이싱(100)의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연통되게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부(200), 상기 배기부(200)와 교차되게 유로를 형성하면서 외부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급기부(300) 및 상기 배기부(200)와 급기부(300)가 교차되는 지점에 구비되어 순환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전열 교환 소자(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3,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sing 100 that is installed on a ceiling or wall to provide a space for circulating outside air and bet air, and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indoor side and the outdoor side of the casing 100. The exhaust part 200 for exhausting air, the air supply part 300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room while forming a flow path to cross the exhaust part 200, and the exhaust part 200 and the air supply part 300 cross It is provided at a point wher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otal heat exchange element 400 for exchanging the circulated air.

여기서, 상기 케이싱(100)의 하부에는 화재 발생 시 내기가 전열 교환 소자(400)를 통과하지 않고 케이싱(100) 외부에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여 바로 배출할 수 있는 바이패스부(130)가 구비된다. Here, the lower portion of the casing 100 is provided with a bypass unit 130 that can be discharged immediately by forming a separate space outside the casing 10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400 when a fire occurs. do.

상기 배기부(200)는 케이싱(100) 내부에서 실내공기 배기 경로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팬 구동에 의해 강제 배기하는 배기팬(210)과 케이싱(100)의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배기팬(210)의 구동에 의해 실내 공기를 케이싱(100) 내부로 유입시켜 전열 교환 소자(400)를 통과시키면서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관(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exhaust unit 200 is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door side and the outdoor side of the casing 100 and the exhaust fan 210, which is installed in the indoor air exhaust path inside the casing 100 and forcibly exhausts indoor air by fan driving, and an exhaust pipe 220 for introducing indoor air into the casing 100 by driving the exhaust fan 210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while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400 .

상기 급기부(300)는 케이싱(100) 내부에서 외부공기 유입 경로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시켜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팬(310)과, 상기 배기관(220)과 교차되는 경로로 형성되되, 서로 혼합되지 않게 형성되어 외부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급기관(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air supply unit 300 is installed in the external air inflow path inside the casing 100 and is formed in a path that intersects the supply fan 310 that introduces air from the outside and supplies it to the room, and the exhaust pipe 220, It is formed not to mix with each other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ir supply pipe 320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room.

이때, 배기관(220)과 급기관(320)에 의해 형성되는 급기와 배기 경로는 서로 혼합되지는 않으면서 간접 접촉되도록 전열 교환 소자(400)에 의해 형성되어 공기의 혼합은 방지하면서 상호 열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supply and exhaust paths formed by the exhaust pipe 220 and the air supply pipe 320 are formed by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400 so as to indirectly contact each other without mixing with each other, so that mixing of air is prevented and mutual heat exchange is possible. will do

상기 급기관(320)에는 정상 동작 시에는 급기관(320)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다가 화재 발생 시 급기관(320)을 차단하여 외기의 유입을 막는 급기관 댐퍼(321)가 구비된다.The air supply pipe 320 is provided with an air supply pipe damper 321 which maintains the air supply pipe 320 in an open state during normal operation and blocks the supply pipe 320 to prevent the inflow of outside air when a fire occurs.

상기 급기관 댐퍼(321)는 급기 제어 모터(321a)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외부 조작이나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개폐 동작된다.The air supply pipe damper 321 is controlled by the air supply control motor 321a, and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n external manipulation or a detection signal from a sensor.

여기서, 상기 급기팬(310)이 설치되어 외기를 급기하는 경로에는 화재 발생 시 급기관(320)이 차단됨에 따라 케이싱(100) 내부로 유입되는 내기를 바이패스부(130)로 배출하는 바이패스홀(330)이 형성된다.Here, the air supply fan 310 is installed in the path for supplying external air, when the air supply pipe 320 is blocked in case of a fire, the bypass unit for discharging the bet air flowing into the casing 100 to the bypass unit 130 . A hole 330 is formed.

상기 바이패스부(130)는 케이싱(100)의 외측에 박스 형태로 구비되어 케이싱과 대응되는 면적의 유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케이싱(100)이 설치되는 실내측에 구비되어 화재 발생 시 화재 현장인 실내의 공기를 케이싱(100) 내부로 유입시키는 내기 유입관(131)과, 상기 내기 유입관(131)으로 유입된 공기가 바이패스부(130)를 통과하여 배기팬(210)이 구비된 케이싱(100) 내측으로 이동되어 배출되는 바이패스 배출구(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ypass unit 13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ox on the outside of the casing 100 to form a flow path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casing. A casing provided with an exhaust fan 210 through an indoor air inlet pipe 131 for introducing indoor air into the casing 100 and air flowing into the indoor air inlet pipe 131 through the bypass unit 130 . (1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bypass outlet 132 that is discharged to the inside.

이때, 상기 내기 유입관(131)과 바이패스 배출구(132)에는 각각 정상 가동 시에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다가 화재 발생 시 내기 유입관(131)과 바이패스 배출구(132)를 개방하는 바이패스 댐퍼(133)가 설치된다. At this time, the bet inlet pipe 131 and the bypass outlet 132 each maintain a closed state during normal operation, and a bypass damper ( 133) is installed.

상기 바이패스 댐퍼(133)는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된 바이패스 제어 모터(133a)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화재 발생 시 화재 감지부(140)의 신호에 의해 동작된다. The bypass dampers 133 are controlled by bypass control motors 133a individually installed, respectively, and are operated by a signal from the fire detection unit 140 when a fire occurs.

이러한 바이패스부(130)는 케이싱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면 설치 조건에 따라 케이싱(100)의 측면이나 상부 등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If the bypass unit 130 is shown to be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casing, it may be selectively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or the upper part of the casing 100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conditions.

한편, 상기 케이싱(100)의 내측 중앙에는 전열 교환 소자(400)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열 교환 소자 설치부(110)가 구비되고 전열 교환 소자(400)의 세척이나 교체 및 케이싱(100) 내부의 유지보수를 위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installation part 110 in which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400 is detachably provided is provid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casing 100 , and cleaning or replacement of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400 and the inside of the casing 100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ver 120 that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for the maintenance of the.

한편, 케이싱(100)에서 실내의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관(220) 측에 화재 감지부(140)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e detection unit 14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exhaust pipe 220 from which the indoor air is exhausted from the casing 100 .

상기 화재 감지부(140)는 제어부(150)와 연동되어 화재가 감지되면 제어부(150)로 감지 신호를 전달함에 따라 제어부(150)는 바이패스 댐퍼(133)와 급기관 댐퍼(321)를 제어하여 급기관(320)을 차단하고, 바이패스부(130)가 개방하도록 제어한다.The fire detection unit 140 is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unit 150 and when a fire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bypass damper 133 and the air supply pipe damper 321 as a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50 . to block the air supply pipe 320, and control the bypass unit 130 to open.

동시에 배기팬(210)과 급기팬(310)의 출력을 높여줌에 따라 내기 유입관(131)과 배기관(220)으로 동시에 내기를 유입시켜 화재로 인한 유해가스등이 포함된 실내의 공기를 빠르게 배기하면서 외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At the same time, as the output of the exhaust fan 210 and the air supply fan 310 is increased, the bet is introduced into the bet inlet pipe 131 and the exhaust pipe 220 at the same time to rapidly exhaust the indoor air containing harmful gases caused by fire. It is possible to block the inflow of outside air.

상기 화재 감지부(140), 바이패스 댐퍼(133), 급기관 댐퍼(321)는 제어부(150)와 서로 연동되어 제어부(150)에 의한 일괄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The fire detection unit 140 , the bypass damper 133 , and the air supply pipe damper 321 are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unit 150 to enable collective control by the control unit 150 .

상호 연결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설치 상황에 따라 적용할 수 있으며 상세한 연결 상태의 도시는 생략한다.The interconnection can be applied wirelessly or wir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ituation, and detailed connection states are omitted.

이로 인해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화재가 발생된 실내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공기 밀도를 낮추어줌에 따라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실내의 화재로 인해 발생된 유독가스를 빠르게 배출하여 유독가스로 인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in the event of a fi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by lowering the air density by blocking the inflow of outside air into the room where the fire has occurred quickly,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quickly discharge the toxic gas generated by the fire in the room.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 to human life caused by the toxic gas.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에서 평시에 외기와 내기의 순환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이다.4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the circulation state of the outside air and the inside air in normal time in the total heat exchanger equipped with a bypass function that can reduce damage in case of f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평시에는 배기관(220)과 급기관(320)이 모두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배기팬(210)과 급기팬(310)의 구동에 의해 내기를 배기하면서 외기를 유입시켜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게 된다.4, in normal times, both the exhaust pipe 220 and the air supply pipe 320 are maintained in an open state, and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while exhausting the bet by driving the exhaust fan 210 and the air supply fan 310. It is possible to circulate the air in the room.

이때, 내기와 외기는 전열 교환 소자(400)를 서로 다른 경로로 통과함에 따라 서로 혼합되지 않으면서 내기와 전열 교환 소자(400)에 의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as the bet and the outside air pass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400 in different paths, heat exchange is made between the bet and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400 without being mixed with each other.

전열 교환 소자(400)는 종래의 실시 구성으로 서로 간접 접촉되도록 배기 또는 급기의 통로가 교차 배치되는 구조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400 has a structure in which exhaust or supply air passages are cross-arranged so as to indirectly contact each other in a conventional configura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에서 화재 발생 시의 배기 상태를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5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exhaust state when a fire occurs in a total heat exchanger having a bypass function that can reduce damage in the event of a f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화재의 발생이 감지되면, 화재 감지부(140)는 화재 감지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하여 제어부(150)는 급기관 댐퍼(321)를 닫힘 상태로 전환하고, 바이패스 댐퍼(133)를 열림 상태로 전환한다.Referring to FIG. 5 , when the occurrence of a fire is detected, the fire detection unit 140 transmits a fir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50 so that the control unit 150 switches the air supply pipe damper 321 to a closed state, and the The pass damper 133 is switched to the open state.

이에 따라 급기관(320)이 차단되고 바이패스부(130)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Accordingly, the air supply pipe 320 is blocked and the bypass unit 130 is controlled to be opened.

동시에 배기팬(210)과 급기팬(310)의 출력을 최고치로 높여주어 실내의 공기를 배기관(220)과 바이패스부(130)를 동시에 통과하면서 빠르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output of the exhaust fan 210 and the air supply fan 310 is increased to the highest value, so that the air in the room can be discharged quickly while passing through the exhaust pipe 220 and the bypass unit 130 at the same tim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에서 배기부에 외기 유입 방지부재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xternal air inflow prevention member is further provided in the exhaust unit in the total heat exchanger having a bypass function that can reduce damage in case of f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배기부(200)에는 내기가 배출될 때 강풍에 의해 외기가 역으로 유입되거나 배기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외기 유입 방지부재(2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exhaust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n outside air inflow prevention member 230 capable of preventing the inflow of outside air to the reverse by strong winds or a decrease in exhaust efficiency when the bet is discharged.

상기 외기 유입 방지부재(230)는, 배기 방향 측으로 벌어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내측은 회동 가능한 힌지 구조로 설치되어 배기나 외기 유입에 의해 유동되게 구비되는 유동 댐퍼(231)와, 상기 유동 댐퍼(231)가 적정 각도를 유지하면서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체(232) 및 상기 유동 댐퍼(231)의 상부와 하부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체(232)가 유동 댐퍼(231)를 지지하도록 탄성체와 결합되는 탄성체 결합부(2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outside air inflow prevention member 230 is provided with a hinge structure rotatable inside while forming an inclined surface that is widened in the exhaust direction, and is provided to flow by exhaust or outside air inflow. A flow damper 231, and the flow damper 231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outer sides of the elastic body 232 and the flow damper 231 to support the flow while maintaining an appropriate angle so that the elastic body 232 is coupled to the elastic body to support the flow damper 231. and a portion 233 .

이때, 상기 탄성체 결합부(233)는 배기 방향을 따라 경사면을 이루게 구비되어 내기의 배출에 의해 유동 댐퍼(231)가 서로 모여지면서 배기 공간을 확보하도록 유도하는 배기 유도 경사면(233a)이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elastic body coupling part 233 is provided to form an inclined surface along the exhaust direction, so that the flow dampers 231 are gathered together by the discharge of the bet and an exhaust induction inclined surface 233a is formed.

이로 인해 배기시 유동 댐퍼(231)의 경사면을 따라 원활한 배기가 가능하면서 강풍 등의 외부 요인으로 인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 유동 댐퍼(231)가 유입되는 외기에 의해 벌어지며 외기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Due to this, smooth exhaust is possible along the slope of the flow damper 231 during exhaust, and when external air is introduced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strong wind, the flow damper 231 is widened by the incoming external air, and the inflow of external air can be minimized. there will be

특히 화재 발생 시 높은 출력으로 내기가 배출되면 상기 유동 댐퍼(231)는 배기 압력에 의해 벌어진 부분이 밀착되면서 배기 통로를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when the bet is discharged with a high output in the event of a fire, the flow damper 231 can secure a wider exhaust passage while the part opened by the exhaust pressure is closely adhered.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에서 바이패스부에 와류 생성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vortex generating unit is further provided in the bypass unit in the total heat exchanger having a bypass function that can reduce damage in case of f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바이패스부(130)에는 바이패스 과정에서 배기 경로상에 와류를 발생시켜 와류에 의해 배기속도를 높일 수 있는 와류 생성부(13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bypass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vortex generating unit 134 capable of generating a vortex on the exhaust path during the bypass process to increase the exhaust speed by the vortex.

상기 와류 생성부(134)는 바이패스부(130)의 하부 공간 바닥면에 구비되되, 내기가 유입되는 바이패스홀(330) 바로 아래쪽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내기의 방향을 회전시키는 유입측 와류 형성 날개(134a) 및 내기가 배기되는 바이패스 배출구(132) 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측 와류 형성 날개(134a)에서 회전 유도된 내기를 다시 한 번 회전시켜 배기하는 배출 측 와류 형성 날개(13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vortex generating unit 134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pace of the bypass unit 130, and is provided just below the bypass hole 330 through which the bet is introduced to form an inflow side vortex to rotate the direction of the introduced bet. The blade 134a and the exhaust side vortex forming blade 134b tha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ypass outlet 132 through which the bet is exhausted and rotates the bet induced by rotation in the inlet side vortex forming blade 134a once again to exhaust. is comprised of

이로 인해 바이패스부(130)로 유입되는 내기는 와류를 형성하며 빠른 속도로 배기될 수 있게 된다.Due to this, the bet introduced into the bypass unit 130 forms a vortex and can be exhausted at a high speed.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total heat exchanger having a bypass function capable of reducing damage in the event of a f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다.8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total heat exchanger having a bypass function capable of reducing damage in the event of a f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tal heat exchanger having a bypass function, and FIG. 10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total heat exchanger having a bypass function that can reduce damage in case of f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천정이나 벽체에 설치되어 외기와 내기를 순환시키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싱(500), 상기 케이싱(500)의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연통되게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부(600), 상기 배기부(600)와 교차되게 유로를 형성하면서 외부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급기부(700) 및 상기 배기부(600)와 급기부(700)가 교차되는 지점에 구비되어 순환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전열 교환 소자(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8 to 10,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ing 500 that is installed on a ceiling or a wall to provide a space for circulating outside air and bet air, and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indoor and outdoor sides of the casing 500. The exhaust unit 600 for exhausting air, the air supply unit 700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room while forming a flow path to cross the exhaust unit 600, and the exhaust unit 600 and the air supply unit 700 cross It is provided at a point wher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otal heat exchange element 800 for exchanging the circulated air.

여기서, 상기 케이싱(500)의 일측에는 화재 발생 시 내기가 전열 교환 소자(800)를 통과하지 않고 바로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배출하는 바이패스관(530)이 구비된다. Here, one side of the casing 500 is provided with a bypass pipe 530 for inducing and discharging the bet to be discharged directly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800 when a fire occurs.

상기 배기부(600)는 케이싱(500) 내부에서 실내공기 배기 경로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팬 구동에 의해 강제 배기하는 배기팬(610)과 케이싱(500)의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배기팬(610)의 구동에 의해 실내 공기를 유입시켜 배출하는 배기관(6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exhaust unit 600 is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an exhaust fan 610 installed in the indoor air exhaust path inside the casing 500 to forcibly exhaust indoor air by fan driving, and the indoor and outdoor sides of the casing 500, and an exhaust pipe 620 for introducing and discharging indoor air by driving the exhaust fan 610 .

상기 급기부(700)는 케이싱 내부에서 외부공기 유입 경로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시켜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팬(710)과, 상기 배기관(620)과 교차되는 경로로 구비되어 외부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급기관(7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air supply unit 700 is provided in a path that intersects the air supply fan 710 that is installed in the external air inlet path inside the casing to introduce air from the outside and supply it to the room, and the exhaust pipe 620, so that the outside air is supplied into the room.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ir supply pipe 720 for introducing into the.

이때, 상기 케이싱(500)의 내측 중앙에는 전열 교환 소자(800)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열 교환 소자 설치부(510)가 구비되고 전열 교환 소자(800)의 세척이나 교체 및 케이싱(500) 내부의 유지보수를 위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t this time, a total heat exchange element installation part 510 in which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800 is detachably provided is provid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casing 500 , and cleaning or replacement of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800 and the inside of the casing 500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ver 520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for the maintenance of the.

그리고 상기 케이싱(500)에서 실내공기가 케이싱(500) 내부로 유입되는 배기관(6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실내 공기를 바이패스관(530) 측으로 유도하는 바이패스 유도관(540)이 더 구비된다.In the casing 500, a bypass guide pipe 540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xhaust pipe 620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flows into the casing 500 to guide the indoor air to the bypass pipe 530 side. .

상기 바이패스 유도관(540)은 실내측 공기가 유입되는 배기관(620)에서 측면으로 연통되게 설치되고, 배기관(620)과 연통된 다른쪽 끝부분은 케이싱 내측으로 연결되되, 급기팬이 설치된 급기 경로로 실내 공기를 유도하여 케이싱 내부로 유도된 공기가 바이패스관(530)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The bypass guide pipe 540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ide from the exhaust pipe 620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is introduced, and the oth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exhaust pipe 62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asing, and the air supply fan is installed. By guiding the indoor air through the path, the air induced into the casing can be moved to the bypass pipe (530).

상기 케이싱(500)에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실내 측으로 구비된 급기관(720)과 바이패스관(530)이 교차되는 지점에는 급기관(720)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바이패스관(530)을 차단한 상태로 외기를 유입시키다가 화재 발생 시 급기관(720)을 차단하면서 바이패스관(530)을 개방하도록 동작되는 급기측 댐퍼(550)가 구비된다.At the point where the air supply pipe 720 and the bypass pipe 530 provided to the indoor side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flows from the casing 500 intersect, the bypass pipe 530 is maintained while the air supply pipe 720 is kept open. The air supply side damper 550 that is operated to open the bypass pipe 530 while blocking the air supply pipe 720 when a fire occurs while introducing outside air in a blocked state is provided.

이때, 급기측 댐퍼(550)는 급기관(720)과 바이패스관(530)이 교차되는 위치에서 한쪽 끝부분이 회동 구조로 설치되고, 회전축과 연결 설치되는 급기측 제어 모터(552)에 의해 회동 제어되면서 화재 감지를 통한 제어에 의해 회동되며 급기관(720)과 바이패스관(53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air supply side damper 550 is installed in a rotating structure at one end at the position where the air supply pipe 720 and the bypass pipe 530 intersect, and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As the rotation is controlled, it is rotated by control through fire detection, and the air supply pipe 720 and the bypass pipe 530 can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한편, 상기 급기측 댐퍼(550)에는 화재 시 바이패스관(530)으로 실내 공기를 배출함에 있어서, 배출 경로를 곡선화 하여 보다 원활한 내기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변형 유도판(551)이 더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ir supply side damper 550 has a deformable guide plate 551 capable of discharging indoor air through the bypass pipe 530 in case of fire to enable smoother discharge of the bet by curving the discharge path. More may be provided.

상기 변형 유도판(551)은 상기 급기측 댐퍼(550)에서 바이패스관(530)의 배기 경로 측에 구비되되, 급기측 댐퍼(550)보다 큰 크기로 구비되고, 고무나 실리콘 등 연질로 이루어진다.The deformation guide plate 551 is provided on the exhaust path side of the bypass pipe 530 in the air supply side damper 550, is provided with a size larger than the air supply side damper 550, and is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

이에 따라 바이패스관(530)을 닫힘 상태로 유지할 때에는 급기관(720)의 내주연을 따라 변형 밀착되며 효율적으로 바이패스관(530)을 차단할 수 있고 화재 발생 시 급기관(720)을 차단하고 바이패스관(530)을 개방할 때에는 급기관(720)은 닫힘 상태로 전환되면서 변형 유도판(551)은 화재 시 내기의 배출 경로를 따라 곡면 형태로 변형되어 내기 배출 시 보다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bypass pipe 530 is kept in a closed state, it is deformed and closely adhered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air supply pipe 720 and can effectively block the bypass pipe 530 and block the air supply pipe 720 when a fire occurs. When the bypass pipe 530 is opened, the air supply pipe 720 is switched to a closed state, and the deformation guide plate 551 is deformed into a curved shape along the discharge path of the bet in case of fire to enable smoother discharge when the bet is discharged. do.

상기 바이패스관(530)에는 내기가 바이패스관(530)을 통해 배기될 때 배기 속도를 높이기 위해 벤츄리관(531)이 형성된다.A venturi pipe 531 is formed in the bypass pipe 530 to increase the exhaust speed when the bet is exhausted through the bypass pipe 530 .

그리고 배기관(620)과 바이패스 유도관(540)이 교차되는 지점에 구비되어 배기관(620)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바이패스 유도관(540)을 차단한 상태로 실내 공기를 배기하다가 화재 발생 시 배기관(620)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바이패스 유도관(540)을 개방하여 실내 공기가 배기관(620)을 통해 배기되면서 바이패스관(530) 측으로 유도되어 동시에 배기되도록 할 수 있는 배기측 댐퍼(5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nd it is provided at the point where the exhaust pipe 620 and the bypass guide pipe 540 intersect to keep the exhaust pipe 620 in an open state while exhausting indoor air in a state in which the bypass guide pipe 540 is blocked. The exhaust pipe 620 opens the bypass guide pipe 540 while maintaining an open state so that indoor air is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pipe 620 and is guided toward the bypass pipe 530 to be exhausted at the same tim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amper (560).

상기 배기측 댐퍼(560)는 회전축과 연결 설치되는 배기측 제어 모터(561)에 의해 회동 제어되면서 바이패스 유도관(540)을 단일 개폐하도록 구비되어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배기관(620) 측은 항시 개방상태를 유지하면서 평상시에는 바이패스 유도관(540)을 차단하여 정상적인 전열 교환이 가능하게 하고, 화재 발생 시에 바이패스 유도관(540)을 개방함에 따라 실내 공기를 배기 경로로 배기하면서 동시에 바이패스관(530) 측으로 유도하여 빠른 속도로 실내 공기를 배기할 수 있게 된다. The exhaust side damper 560 is provided to single open and close the bypass guide pipe 540 while being rotationally controlled by the exhaust side control motor 561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so that the exhaust pipe 620 side through which indoor air is introduced is always open. While maintaining the state, the bypass guide pipe 540 is normally blocked to enable normal heat exchange, and when the bypass guide pipe 540 is opened in case of a fire, the indoor air is exhausted to the exhaust path and bypasse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exhaust the indoor air at a high speed by guiding it toward the tube 530 .

한편, 케이싱에서 실내의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관 측에 화재 감지부(570)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a fire detection unit 57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exhaust pipe from which the indoor air is exhausted from the casing.

상기 화재 감지부(570)는 제어부와 연동되어 제어부(580)로 감지 신호를 전달함에 따라 제어부(580)는 급기측 댐퍼(550)를 제어하여 바이패스관(530)을 개방하면서 급기관(720)을 차단하고, 배기측 댐퍼(560)는 바이패스 유도관(540)을 개방하도록 제어한다.As the fire detection unit 570 is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unit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580 , the control unit 580 controls the air supply side damper 550 to open the bypass pipe 530 while opening the air supply pipe 720 . ), and the exhaust side damper 560 controls the bypass guide pipe 540 to open.

동시에 급기팬(710)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배기팬(610)의 출력을 높여줌에 따라 실내의 공기를 빠르게 배기하면서 외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At the same time, b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supply fan 710 and increasing the output of the exhaust fan 610, it is possible to quickly exhaust the air in the room and block the inflow of outside air.

상기 화재 감지부(570), 급기측 제어 모터(552), 배기측 제어 모터(561), 배기팬(610) 및 급기팬(710)은 제어부(580)와 서로 연결되어 제어부(580)에 의한 일괄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The fire detection unit 570 , the air supply side control motor 552 , the exhaust side control motor 561 , the exhaust fan 610 , and the air supply fan 710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80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trol unit 580 . Batch control becomes possible.

상호 연결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설치 상황에 따라 적용할 수 있으며 상세한 연결 상태의 도시는 생략한다.The interconnection can be applied wirelessly or wir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ituation, and detailed connection states are omitted.

이로 인해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화재가 발생된 실내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공기 밀도를 낮추어줌에 따라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실내의 화재로 인해 발생된 유독가스를 빠르게 배출하여 유독가스로 인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in the event of a fi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by lowering the air density by blocking the inflow of outside air into the room where the fire has occurred quickly,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quickly discharge the toxic gas generated by the fire in the room.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 to human life caused by the toxic gas.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에서 평시에 외기와 내기의 순환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이다.11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circulation state of outside air and indoor air in normal time in a total heat exchanger having a bypass function that can reduce damage in case of f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평시에는 배기관(620)과 급기관(720)이 모두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배기팬(610)과 급기팬(710)의 구동에 의해 내기를 배기하면서 외기를 유입시켜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게 된다.11, in normal times, both the exhaust pipe 620 and the air supply pipe 720 are maintained in an open state, and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while exhausting the bet by driving the exhaust fan 610 and the air supply fan 710. It is possible to circulate the air in the room.

이때, 내기와 외기는 전열 교환 소자(800)를 서로 다른 경로로 통과함에 따라 서로 혼합되지 않으면서 내기와 외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as the bet and the outside air pass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800 through different paths, heat exchange between the bet and the outside air is made without being mixed with each other.

전열 교환 소자(800)는 종래의 실시 구성으로 서로 교차되도록 배기 또는 급기의 통로가 교차 배치되는 구조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800 has a structure in which exhaust or supply air passages cross each other in a conventional implementation configura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에서 화재 발생 시의 배기 상태를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12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exhaust state when a fire occurs in a total heat exchanger having a bypass function capable of reducing damage in the event of a f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화재의 발생이 감지되면, 화재 감지 신호를 제어부(580)로 전달하여 제어부(580)는 급기측 댐퍼(550)를 닫힘 상태로 전환하고, 이에 따라 급기관(720)이 차단되고 바이패스관(530)이 개방되도록 제어한다.12, when the occurrence of a fire is detected, a fire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580, and the control unit 580 switches the air supply side damper 550 to a closed state, and accordingly, the air supply pipe 720 operates It is blocked and the bypass pipe 530 is controlled to be opened.

그리고 배기측 댐퍼(560)를 동작시켜 바이패스 유도관(540)이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Then, the exhaust side damper 560 is operated to control the bypass guide pipe 540 to be opened.

동시에 배기팬(610)의 출력을 최고치로 높여주어 실내의 공기를 배기관(620)과 바이패스관(530)을 동시에 통과하면서해 빠르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At the same time, by increasing the output of the exhaust fan 610 to the highest value, it is possible to rapidly discharge indoor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exhaust pipe 620 and the bypass pipe 530 at the same time.

이때, 급기팬(710)은 구동되지 않도록 정지 상태로 제어할 수 있고, 급기팬(710)을 작동시킴에 따라 바이패스 유도관(540)에서 유도되는 실내 공기를 바이패스관(530)으로 강제 배기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air supply fan 710 may be controlled to be in a stopped state so as not to be driven, and as the air supply fan 710 is operated, the indoor air induced from the bypass guide pipe 540 is forced into the bypass pipe 530 . may be exhausted.

급기팬(710)을 정지할 경우 내기는 배기팬(610)의 출력에 의해 바이패스관(530)으로 유도되어 배출되고, 급기팬(710)을 함께 구동시킬 경우 급기관(720)은 폐쇄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바이패스 유도관(540)으로 유입되는 내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바이패스관(530)을 통해 배출할 수도 있다. When the air supply fan 710 is stopped, the bet is guided to the bypass pipe 530 by the output of the exhaust fan 610 and discharged, and when the air supply fan 710 is driven together, the air supply pipe 720 is closed. Because it is maintained, the bet flowing into the bypass guide pipe 540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bypass pipe 530 more efficiently.

이는 설치된 공간 구조나 크기에 따라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화재 센서에 감지되는 매연의 양에 의해 자동 조절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This can be selectively applied by the setting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installed space structure or size, and can be set to b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soot detected by the fire sensor.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실내 공간에서 내기와 외기를 순환시킴에 있어서, 팬 구동에 의해 내기와 외기가 열교환되며 순환되고, 화재 발생 시 화재가 감지되면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실내의 공기를 빠르게 배출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면서 유독 가스를 배출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n circulating bet and outdoor air in an indoor space, heat exchange between bet and outdoor air is circulated by driving a fan, and when a fire is detected, when a fire is detected, the outdoor air is blocked from flowing into the indoor sp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by quickly evacuating the air from

100 : 케이싱 110 : 전열 교환 소자 설치부
120 : 커버 130 : 바이패스부
131 : 내기 유입관 132 : 바이패스 배출구
133 : 바이패스 댐퍼 133a : 바이패스 제어 모터
134 : 벤츄리관 140 : 화재 감지부
150 : 제어부 200 : 배기부
210 : 배기팬 220 : 배기관
300 : 급기부 310 : 급기팬
320 : 급기관 321 : 급기관 댐퍼
321a : 급기 제어 모터 330 : 바이패스홀
400 : 전열 교환 소자
500 : 케이싱 510 : 전열 교환 소자 설치부
520 : 커버 530 : 바이패스관
531 : 벤츄리관 540 : 바이패스 유도관
550 : 급기측 댐퍼 551 : 변형 유도판
552 : 급기측 제어 모터 560 : 배기측 댐퍼
561 : 배기측 제어 모터 570 : 화재 감지부
580 : 제어부 600 : 배기부
610 : 배기팬 620 : 배기관
700 : 급기부 710 : 급기팬
720 : 급기관 800 : 전열 교환 소자
100: casing 110: total heat exchange element installation part
120: cover 130: bypass unit
131: bet inlet pipe 132: bypass outlet
133: bypass damper 133a: bypass control motor
134: venturi tube 140: fire detection unit
150: control unit 200: exhaust unit
210: exhaust fan 220: exhaust pipe
300: air supply 310: air supply fan
320: air supply pipe 321: air supply pipe damper
321a: air supply control motor 330: bypass hole
400: total heat exchange element
500: casing 510: total heat exchange element installation part
520: cover 530: bypass pipe
531: venturi tube 540: bypass guide tube
550: supply side damper 551: deformation guide plate
552: air supply side control motor 560: exhaust side damper
561: exhaust side control motor 570: fire detection unit
580: control unit 600: exhaust unit
610: exhaust fan 620: exhaust pipe
700: air supply 710: air supply fan
720: air supply pipe 800: total heat exchange element

Claims (4)

천정이나 벽체에 설치되어 외기와 내기를 순환시키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싱(100);
상기 케이싱(100)의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연통되게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부(200);
상기 배기부(200)와 교차되게 유로를 형성하면서 외부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급기부(300); 및
상기 배기부(200)와 급기부(300)가 교차되는 지점에 구비되어 순환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전열 교환 소자(400);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0)의 일측에는 화재 발생 시 내기가 전열 교환 소자(400)를 통과하지 않고 바로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배출하는 바이패스부(130)가 구비되되,

상기 배기부(200)는 케이싱(100) 내부에서 실내공기 배기 경로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팬 구동에 의해 강제 배기하는 배기팬(210)과 케이싱(100)의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배기팬(210)의 구동에 의해 실내 공기를 유입시켜 배출하는 배기관(220)을 포함하며,
상기 급기부(300)는 케이싱(100) 내부에서 외부공기 유입 경로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시켜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팬(310)과, 상기 배기관(220)과 교차되는 경로로 구비되어 외부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급기관(320) 및 화재 시 급기관(320)이 닫힘 상태로 전환되면 케이싱(100) 내부로 유입된 내기를 바이패스부(130)로 배출하는 바이패스홀(330)을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부(130)는 실내측 공기가 케이싱(100) 내부로 유입되는 위치와 유입된 공기가 바이패스부(130)를 통해 배기부(200) 측으로 이송되는 위치에 각각 바이패스 댐퍼(133)가 구비되고, 상기 급기관(320)에는 외부로부터 외기를 유입시킬 때는 개방되었다가 외기 유입 중단 시에는 닫힘 상태로 유지되는 급기관 댐퍼(321)가 구비됨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댐퍼(133)는 정상 동작 시에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급기관 댐퍼(321)는 개방 상태를 유지하다가 화재 발생 시 급기관 댐퍼(321)는 닫힘 상태로 전환되며, 바이패스 댐퍼(133)는 개방 상태로 전환되어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바이패스부(130)로 유입된 내기는 급기팬(310)에 의해 유입되어 상기 바이패스홀(330)을 통과함에 따라 바이패스부(130)로 이동하고, 바이패스부(130)를 통해 이송된 내기는 케이싱(100)에서 배기부(200) 측으로 다시 유입되어 배기팬(210)과 배기관(220)에 의해 실내 측에 구비되는 배기관(220)으로 유입되는 내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전열 교환기.
The casing 100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r wall to provide a space for circulating outside air and bet;
an exhaust unit 200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indoor side and the outdoor side of the casing 100 to exhaust indoor air;
an air supply unit 300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room while forming a flow path to cross the exhaust unit 200; and
In including; a total heat exchange element 400 that is provid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exhaust unit 200 and the air supply unit 300 to exchange heat with the circulated air;
One side of the casing 100 is provided with a bypass unit 130 for inducing and discharging the bet to be discharged directly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400 when a fire occurs,

The exhaust unit 200 is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door side and the outdoor side of the casing 100 and the exhaust fan 210, which is installed in the indoor air exhaust path inside the casing 100 and forcibly exhausts indoor air by fan driving, and an exhaust pipe 220 for introducing and discharging indoor air by driving the exhaust fan 210,
The air supply unit 300 is provided in a path intersecting the air supply fan 310 which is installed in the external air inflow path inside the casing 100 to introduce air from the outside and supply it to the room, and the exhaust pipe 220, so that it is provided to the outside. The air supply pipe 320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room and the bypass hole 330 for discharging the bet introduced into the casing 100 to the bypass unit 130 when the air supply pipe 320 is switched to the closed state in case of fire. including,
The bypass unit 130 includes a bypass damper 133 at a position where indoor air flows into the casing 100 and a position at which the inflow air is transferred to the exhaust unit 200 through the bypass unit 130 , respectively. ) is provided, and the air supply pipe 320 is provided with an air supply pipe damper 321 that is opened when introducing external air from the outside and is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when the inflow of external air is stopped,
The bypass damper 133 maintains a closed state during normal operation, and the air supply pipe damper 321 maintains an open state. When a fire occurs, the air supply pipe damper 321 is switched to a closed state, and the bypass damper 133 is switched to the open state to block outside air from flowing into the room, and the bet introduced into the bypass unit 130 is introduced by the air supply fan 310 and bypasses as it passes through the bypass hole 330 . The bet moved to the unit 130 and transferred through the bypass unit 130 flows back into the exhaust unit 200 from the casing 100 and is provided on the indoor side by the exhaust fan 210 and the exhaust pipe 220 . A total heat exchanger with a bypass function that can reduce damage in the event of a fi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ogether with the bet flowing into the exhaust pipe 220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79221A 2021-06-18 2021-06-18 Total heat exchanger with bypass function to reduce damage in case of fire KR1023483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221A KR102348384B1 (en) 2021-06-18 2021-06-18 Total heat exchanger with bypass function to reduce damage in case of f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221A KR102348384B1 (en) 2021-06-18 2021-06-18 Total heat exchanger with bypass function to reduce damage in case of fi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384B1 true KR102348384B1 (en) 2022-01-10

Family

ID=79347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221A KR102348384B1 (en) 2021-06-18 2021-06-18 Total heat exchanger with bypass function to reduce damage in case of f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384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192B1 (en) 2012-08-13 2013-09-30 에버맥스(주) Total heat exchanger having fire mode
KR101560192B1 (en) * 2014-11-12 2015-10-14 주식회사 휴앤텍 Heat recovering ventilation apparatus having bypass operating
KR101578528B1 (en) * 2015-07-31 2015-12-18 은성화학(주) a Heat exchanger ventilator with bypass line
KR20170035824A (en) * 2016-12-21 2017-03-31 두양텍(주) By-pass apparatus for ventilation system
KR101841954B1 (en) * 2017-03-31 2018-03-26 탑에어주식회사 Ventilating system having a multi-function heat exchanger and method thereof
KR102105017B1 (en) * 2019-07-31 2020-04-27 오충록 A Ventilat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192B1 (en) 2012-08-13 2013-09-30 에버맥스(주) Total heat exchanger having fire mode
KR101560192B1 (en) * 2014-11-12 2015-10-14 주식회사 휴앤텍 Heat recovering ventilation apparatus having bypass operating
KR101578528B1 (en) * 2015-07-31 2015-12-18 은성화학(주) a Heat exchanger ventilator with bypass line
KR20170035824A (en) * 2016-12-21 2017-03-31 두양텍(주) By-pass apparatus for ventilation system
KR101841954B1 (en) * 2017-03-31 2018-03-26 탑에어주식회사 Ventilating system having a multi-function heat exchanger and method thereof
KR102105017B1 (en) * 2019-07-31 2020-04-27 오충록 A Ventil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954B1 (en) Ventilating system having a multi-function heat exchanger and method thereof
KR101115314B1 (en) Ventilating apparatus with smoke removal function on fire
KR102055298B1 (en) Air circulation system with toilet and bathroom exhaust
CN108662708B (en) Fan and heat exchanger with bypass function
KR102075130B1 (en) Heat Recovery Ventilator with Rapid Smoke Removal Function
KR102348384B1 (en) Total heat exchanger with bypass function to reduce damage in case of fire
KR100747802B1 (en) Ventil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20010094498A (en) device for by-pass in big size air conditioner
KR102029712B1 (en) Heat Exchanger
KR100359997B1 (en) Air cleaning ventilation fan
KR100696716B1 (en) Multi system using energy recovery ventilation
KR101843856B1 (en) By-pass apparatus for a ventilation system
JPH0593536A (en) Ventilating apparatus
KR102376628B1 (en) Heat exchanger
KR101443631B1 (en) A duct type air conditioner
KR20180079720A (en) Floor-mounted heat recovery ventilation
KR101507794B1 (en) A control method for a duct type airconditioner
KR101737305B1 (en) By-pass apparatus for a ventilation system
KR20040102703A (en) Air condition
JP3449551B2 (en) Latest air conditioning unit
JPH0264332A (en)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device
KR102624568B1 (en) Direct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KR200205601Y1 (en) Air cleaning ventilation fan
KR101904481B1 (en) A Floor-type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capable of bypass exhaust
KR20200068409A (en) Heat exchnage ventil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