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357B1 - 공감콘텐츠 제공서버, 공감콘텐츠 제공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공감콘텐츠 제공서버, 공감콘텐츠 제공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357B1
KR102347357B1 KR1020200186267A KR20200186267A KR102347357B1 KR 102347357 B1 KR102347357 B1 KR 102347357B1 KR 1020200186267 A KR1020200186267 A KR 1020200186267A KR 20200186267 A KR20200186267 A KR 20200186267A KR 102347357 B1 KR102347357 B1 KR 102347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empathy
user terminal
sympath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6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수남
Original Assignee
(주)골드스타333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골드스타333 filed Critical (주)골드스타333
Priority to KR1020200186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감콘텐츠 제공서버는, 복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한 공감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공감콘텐츠 데이터가 생성된 장소 및 시간에 대한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에 따라 매핑시켜 저장한 공감콘텐츠 데이터베이스; 및 복수의 여행지코스 및 상기 복수의 여행지코스 각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스팟에 대한 스팟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여행지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풀과, 사용자단말로부터 선택된 특정 여행지코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스팟에 대한 상기 스팟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공감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의 현재위치정보 및 현지시간정보에 매칭되는 특정 공감콘텐츠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감콘텐츠 제공서버, 공감콘텐츠 제공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Server for providing sympathetic contents, a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program to perform the method}
본 발명은 자신이 체험한 특별한 경험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감콘텐츠 제공서버, 공감콘텐츠 제공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페이스북, 트위터 등과 같은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의 발달에 따라, 사람들은 자신의 관심이나 활동을 여러 사람들과 쉽게 공유할 수 있게 되었고, 특히 개인용 이동단말기인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해 이러한 욕구는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
사람들은 특별한 장소를 여행하면서 체험한 경험을 사진, 동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생성하여 SNS를 통해 공유하고 있다. 사람들이 자신이 체험한 경험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려는 욕구는 단순히 특정 지역에서 생성한 콘텐츠를 공유하는 것을 넘어서, 시간적 및 환경적 조건에 맞는 특별한 경험을 공유하는 것으로 진화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이러한 발전된 사용자 욕구를 충족시키는 서비스는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장소의 지역적, 시간적, 및 환경적 조건에 맞는 콘텐츠를 동일한 상황에 있는 사용자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먼저 체험한 사용자의 경험이 다음 사용자에게 공유되게 하여 사용자들 사이의 공감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공감콘텐츠 제공서버, 공감콘텐츠 제공방법 및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감콘텐츠 제공서버는, 복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한 공감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공감콘텐츠 데이터가 생성된 장소 및 시간에 대한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에 따라 매핑시켜 저장한 공감콘텐츠 데이터베이스; 및 복수의 여행지코스 및 상기 복수의 여행지코스 각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스팟에 대한 스팟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여행지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풀과, 사용자단말로부터 선택된 특정 여행지코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스팟에 대한 상기 스팟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공감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의 현재위치정보 및 현지시간정보에 매칭되는 특정 공감콘텐츠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감콘텐츠 제공서버는, 복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공감콘텐츠 데이터를 생성된 장소에 대한 위치정보 및 생성된 시간에 대한 시간정보에 따라 매핑하여 상기 공감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공감콘텐츠 생성모듈;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단말의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사용자단말이 선택한 특정 여행지코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스팟에 대한 상기 스팟위치정보를 비교하여 특정 스팟을 선정하는 스팟선정모듈; 상기 스팟선정모듈이 선정한 상기 특정 스팟의 스팟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 및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단말의 현지시간정보를 기초로 일정한 거리 및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 특정 공감콘텐츠 데이터를 추출하는 공감콘텐츠 추출모듈; 상기 공감콘텐츠 추출모듈이 추출한 상기 특정 공감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공감콘텐츠 전송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스팟을 포함하는 여행지정보를 수집하거나, 복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공감콘텐츠 데이터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스팟을 포함하는 여행지코스를 생성하여 상기 여행지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여행지정보 관리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감콘텐츠 데이터의 생성 위치 및 시간에 따라 해당 스팟에 대한 환경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집하는 스팟환경정보 수집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감콘텐츠 생성모듈은, 상기 스팟환경정보 수집모듈이 수집한 상기 해당 스팟에 대한 상기 환경정보를 대응하는 상기 공감콘텐츠 데이터에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사용자단말의 현재위치정보 및 현지시간정보를 추적하는 사용자단말 추적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견지에서, 복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한 공감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공감콘텐츠 데이터가 생성된 장소 및 시간에 대한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에 따라 매핑시켜 저장한 공감콘텐츠 데이터베이스; 및 복수의 여행지코스 및 상기 복수의 여행지코스 각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스팟에 대한 스팟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여행지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풀을 이용한 공감콘텐츠 제공방법으로서, 스팟선정모듈이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한 현재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단말이 선택한 특정 여행지코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스팟에 대한 상기 스팟위치정보를 비교하여 특정 스팟을 선정하는 스팟선정단계와, 공감콘텐츠 추출모듈이,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한 현지 시간에 대한 현지시간정보와, 상기 스팟선정모듈이 선정한 상기 특정 스팟의 스팟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기초로, 일정한 거리 및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 특정 공감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공감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공감콘텐츠 추출단계와, 공감콘텐츠 전송모듈이, 상기 공감콘텐츠 추출모듈이 추출한 상기 특정 공감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공감콘텐츠 전송단계를 포함하여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감콘텐츠 생성모듈이, 복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 공감콘텐츠 데이터를 생성된 장소에 대한 위치정보 및 생성된 시간에 대한 시간정보에 따라 매핑하여 상기 공감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공감콘텐츠 생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여행지정보 관리모듈이, 외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스팟을 포함하는 여행지정보를 수집하거나, 복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공감콘텐츠 데이터에 포함된 생성된 장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스팟을 포함하는 여행지코스를 생성하여, 상기 여행지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여행지정보 생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팟환경정보 수집모듈이, 상기 공감콘텐츠 데이터의 생성 위치 및 시간에 따라 해당 스팟에 대한 환경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공감콘텐츠 생성모듈이, 상기 스팟환경정보 수집모듈이 수집한 상기 해당 스팟에 대한 상기 환경정보를 대응하는 상기 공감콘텐츠 데이터에 매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감콘텐츠 제공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회원들로부터 수집된 공감콘텐츠는 다음 방문자에게 적재적시에 제공되어 서로 공유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여행지를 방문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면, 자신과 동일한 장소, 시간, 및 환경에서 먼저 경험한 선방문자들의 체험을 공유할 수 있으므로, 해당 여행지에 대한 감동이 배가될 수 있다. 또한, 여행지를 방문하면서 자신이 체험한 경험을 다른 이들과 공유하기 위해 자신이 생성한 콘텐츠를 업로딩할 수 있으며, 서비스제공자는 콘텐츠를 공유한 회원에게 해당 지역에서 교환 가능한 지역쿠폰 등을 제공하여 보상함으로써 회원이 해당 지역을 재방문하게 하는 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제공자는 해당 지역에 설치된 Wifi, 중계기, MEC(Machine Edge Computing) 장비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단말이 연결되면 장소를 특정하는 디지털 좌표를 포함하는 공감 및 공유 가능한 콘텐츠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MEC 서버로 전달된 콘텐츠는 MEC 서버와 연동되는 다중 알고리듬을 갖는 AI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기법으로 분석되어, 사용자단말에 다양한 여행지코스에 대한 코스추천정보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회원들로부터 제공받은 공감콘텐츠는 사진, 동영상, 문서, 기타 형식으로 데이터베이스화될 수 있고, 해당 콘텐츠가 생성된 장소, 시간, 환경에 따라 매핑되어 저장된다. 이렇게 저장된 복수의 공감콘텐츠를 분석하여, 선호도가 높은 위치, 시간, 환경을 분석하여 새로운 여행지코스로 생성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자신의 경험을 서로 공유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으며, 해당 관광지에 대한 재방문 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지역 관광 산업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감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감콘텐츠 제공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감콘텐츠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감콘덴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 및 특허 청구 범위에서, "네트워크"는 컴퓨터 시스템들 및/또는 모듈들 간의 전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링크로서 정의된다. 정보가 네트워크 또는 다른 (유선, 무선, 또는 유선 또는 무선의 조합인) 통신 접속을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되거나 제공될 때, 이 접속은 컴퓨터-판독가능매체로서 이해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범용 컴퓨터 시스템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이 특정 기능 또는 기능의 그룹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어셈블리어, 또는 심지어는 소스코드와 같은 이진, 중간 포맷 명령어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랩탑 컴퓨터, 핸드헬드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가전제품(programmable consumer electronics),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모바일 전화, PDA, 페이저(pager)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시스템 구성을 가지는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에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들을 대상으로 광고를 제공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데이터 링크, 무선 데이터 링크, 또는 유선 및 무선 데이터 링크의 조합으로 링크된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시스템 모두가 태스크를 수행하는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위치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감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감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감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하, '공감콘텐츠제공시스템'으로 축약함)은, 공감콘텐츠제공서버(100) 및 사용자단말(200)를 포함한다.
공감콘텐츠제공서버(100) 및 사용자단말(200)은 통신망(Network)을 통해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망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통신망은 예컨대, 다수의 접속망(미도시) 및 이들을 연결하는 코어망(미도시)으로 이루어진 이동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망은 단말과 직접 접속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망으로서, 예를 들어,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과 같은 다수의 기지국과, BSC(Base Station Controller),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같은 기지국 제어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에 일체로 구현되어 있던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무선 신호 처리부를 각각 디지털 유니트(Digital Unit, 이하 DU라 함과 무선 유니트(Radio Unit, 이하 RU라 함)로 구분하여, 다수의 영역에 각각 다수의 RU(미도시)를 설치하고, 다수의 RU를 집중화된 DU와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접속망과 함께 모바일 망을 구성하는 코어망(미도시)은 접속망과 외부 망, 예컨대, 인터넷망과 같은 다른 통신망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코어망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망 간의 이동성 제어 및 스위칭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서킷 교환(circuit switching) 또는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을 수행하며, 모바일 망 내에서의 패킷 흐름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코어망은 주파수간 이동성을 관리하고, 접속망 및 코어망 내의 트래픽 및 다른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망과의 연동을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어망은 SGW(Serving GateWay), PGW(PDN GateWay), MSC(Mobile Switching Center), HLR(Home Location Register), MME(Mobile Mobility Entity)와 HSS(Home Subscriber Server)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은 인터넷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망은 TCP/IP 프로토콜에 따라서 정보가 교환되는 통상의 공개된 통신망, 즉 공용망을 의미한다. 이러한 통신망(NW)을 통해서 서버(100) 및 사용자단말(200)이 상호 연동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감콘텐츠제공시스템을 구성한다.
여기서, 서버(100)는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하나의 엔티티로, 웹 서버(web server), 데이터베이스 서버(database server)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단말(200)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단말기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패블릿 PC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기이거나, 다른 예로, 노트북, 퍼스널컴퓨터 등이 될 수도 있다.
서버(100)는, 복수의 사용자단말(200)로부터 각각의 사용자들이 생성한 공감콘텐츠를 수신하여 각각의 공감콘텐츠가 생성된 위치 및 시간에 따라 공감콘텐츠 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하고, 또한 공감콘텐츠 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된 특정 공감콘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단말(200)에 제공한다. 한편, 사용자단말(200)에는, 서버(100)와 연동되어 서버(100)에 자신이 생성한 공감콘텐츠를 제공하거나 혹은 서버(100)로부터 공감콘텐츠를 제공받아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그러면,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 및 사용자단말(200)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감콘텐츠제공서버(1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통신모듈(110), 저장모듈(120) 및 제어모듈(130)을 포함한다.
통신모듈(110)은 사용자단말(200)과의 통신을 위한 것이다. 통신모듈(110)은 사용자단말(200)이 서버(100)에 접속하면 사용자단말(200)과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모듈(110)은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데이터를 제어모듈(130)로 전달한다. 또한, 통신모듈(110)은 제어모듈(130)로부터 사용자단말(200)에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달 받으면, 전달 받은 데이터를 패킷으로 구성하여 전송한다. 아울러, 통신모듈(110)은, 서버(100)와 통신망에 의해 연결된 외부 장치, 예컨대 날씨, 기온, 강수량 등과 같은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환경정보제공서버(300)나, 다양한 여행지코스, 스팟 정보 등을 제공하는 여행지정보제공서버(400) 등과도 필요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저장모듈(120)은 서버(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서버(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사용자단말(200)에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서버(100)의 운영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 및 서버(100)의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다양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풀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풀에는 사용자단말(200)에 의해 가입된 회원의 가입정보와, 사용자단말(200)의 인증에 필요한 인증정보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저장모듈(120)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풀은, 복수의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수신한 공감콘텐츠 데이터가 생성된 장소 및 시간에 대한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에 따라 매핑되어 저장된 공감콘텐츠 데이터베이스(121)와, 복수의 여행지코스 및 각각의 여행지코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스팟에 대한 스팟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여행지정보 데이터베이스(122)를 포함한다.
제어모듈(130)은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서버(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모듈(130)은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어모듈(130)은, 사용자단말 인증모듈(131), 사용자단말 추적모듈(132), 공감콘텐츠 생성모듈(133), 스팟선정모듈(134), 공감콘텐츠 추출모듈(135), 공감콘텐츠 전송모듈(136), 여행지정보 관리모듈(137), 스팟환경정보 생성모듈(138)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구성 모듈들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급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200)은 통신부(210), 입력부(220), 표시부(230), 저장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서버(100)를 비롯한 다른 장치와 통신을 위한 것으로, 다양한 통신 연결 방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신부(210)는 다양한 통신 연결 방식의 통신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10)는 하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통신부(210)는 WCDMA, LTE, LTE-A 등의 표준에 따라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광대역이동통신 방식, Wi-Fi(wireless fidelity)를 이용하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방식에 따라 접속포인트(AP: Access Point)를 통해 네트워크(NW)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근거리통신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제어부(250)로부터 전달 받은 데이터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50)로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21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회원가입정보, 회원인증정보, 사용자단말의 식별정보, 사용자단말의 현재위치정보, 사용자단말이 위치한 장소의 현지시간정보,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공감콘텐츠 데이터, 사용자단말(200)이 생성한 공감콘텐츠 데이터 등이 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사용자단말(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 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50)로 전달한다. 입력부(220)는 전원 on/off를 위한 전원 키, 숫자 키, 방향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200)의 일면에 소정의 기능키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230)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경우, 입력부(220)의 각 종 키들의 기능이 표시부(230)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만으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입력부(220)는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부(230)는 사용자단말(2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230)는 사용자단말(2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등의 각종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표시부(23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표시부(23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부(230)는 터치센서를 포함하며, 제어부(250)는 터치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들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터치센서로 이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250)로 전송한다. 이러한 감지 신호에는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한 좌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에 터치센서는 터치 위치 이동 경로의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25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사용자단말(2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사용자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사용자단말(200)을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사용자단말(2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예를 들면, 저장되는 데이터는 사용자단말이 생성한 사진, 동영상, 문서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사진, 동영상, 문서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사용자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사용자단말(2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5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그래픽 프로세서(GPU: graphic processing unit)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50)의 동작은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공감콘텐츠 제공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감콘텐츠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100)의 사용자단말인증모듈(131)은 S110 단계에서 사용자단말(200)로부터 회원 가입 및/또는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회원정보 및 사용자단말(200)의 식별번호 등의 데이터를 통해 인증을 수행한다. 여기서, 회원 가입/인증 절차는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단말(200)에 대한 회원 가입/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서버(100)는 사용자단말(200)에 회원이 여행하고자 하는 여행지에 대한 선택을 유도한다(S120). 서버(100)는, 여행지정보 관리모듈(137)을 통해, 외부의 여행지정보제공서버(400)로부터 여행지정보를 수집하거나, 혹은 미리 구축된 공감콘텐츠 데이터베이스(121)에 포함된 복수의 공감콘텐츠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기초로 여행지정보를 생성하여, 여행지정보 데이터베이스(122)를 구축해 둘 수 있다. 여기서, 여행지정보는 하나 이상의 스팟을 포함하는 여행지코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AI(Artificial Intelligence)에 기반하여 여행지코스를 제공하는 외부의 여행지정보제공서버(4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스팟에 대한 스팟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여행지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여행지정보 관리모듈(137)은, 공감콘텐츠 데이터베이스(121)에 포함된 다양한 공감콘텐츠에 대한 생성 위치 및 시간에 대한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자체 AI 학습 알고리듬을 통해 여행지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축된 여행지정보 데이터베이스(122)에 포함된 복수의 여행지에 대해 코스추천정보로서 사용자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을 통해 회원이 선정한 여행지 또는 서버(100)에 의해 제공된 코스추천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여행지로부터 선택된 여행지에 대한 여행지선택정보가 서버(100)에 전달된다. 그러면, 서버(100)는, 사용자단말 추적모듈(132)을 통해 사용자단말(200)의 위치 및 시간을 추적한다(S130). 사용자단말 추적모듈(132)은, 사용자단말(200)의 동의 하에, 사용자단말(200)이 현재 존재하고 있는 '현재위치정보' 및 사용자단말(200)의 현재 위치에서의 '현지시간정보'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추적한다. 여기서, '현재위치정보'는 예컨대, 사용자단말(200)의 GPS 위치 좌표일 수 있다. 또한, '현지시간정보'는 사용자단말(200)의 현재 위치에서의 시간정보로서 국가 또는 지역에 따른 사용자단말(200)의 현지 시간 정보를 의미하며, 예컨대 회원이 미국에 있는 경우 미국 현지에서의 지역에 따른 시간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단말 추적모듈(132)은 예컨대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사용자단말(200)에 현재위치 및 현지시간에 대해 정보 전달을 요청하고, 사용자단말(200)로부터 현재위치정보 및 현지시간정보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S140 단계에서, 스팟선정모듈(134)이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수신된 '현재위치정보'와, 사용자단말(200)이 선택한 특정 여행지코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스팟에 대한 스팟위치정보를 비교하여 특정 스팟을 선정한다. 예컨대, 회원이 선택한 여행지코스에는 하나 이상의 스팟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각의 스팟에 해당하는 스팟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스팟위치정보에 대한 좌표와, 사용자단말(200)의 현재위치정보에 대한 좌표를 비교하면, 사용자단말(200)이 여행지코스에 포함된 복수의 스팟 중 어떤 스팟으로 이동하고 있는지 알 수 있으며, 현재위치 및 스팟위치 사이의 좌표값을 계산하여 양자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스팟선정모듈(134)은 사용자단말(200)의 현재위치 및 스팟위치를 비교하여 현재 위치가 일정한 거리 범위 내에 포함되는 특정 스팟을 선정할 수 있다.
스팟선정모듈(134)이 특정 스팟을 선정하면, 공감콘텐츠 추출모듈(135)이 해당 스팟에 대한 스팟위치정보 및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수신된 현지시간정보를 기초로 일정한 거리 및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 특정 공감콘텐츠 데이터를 추출한다(S150). 즉, 공감콘텐츠 데이터베이스(121)에는 각각의 공감콘텐츠가 생성된 위치 및 시간에 따라 매핑되어 있다. 따라서, 특정 스팟에 대한 스팟위치정보에 대한 좌표값과 비교하여 일정한 거리 범위 내에 속하는 생성 위치 정보(좌표)를 포함하는 공감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200)의 현지시간정보를 기초로 일정한 시간 범위(예컨대, 일자를 기준으로 특정 계절에 속하거나, 하루 중 특정 시간대에 속하는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 생성 시간에 따라 특정 공감콘텐츠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공감콘텐츠 전송모듈(136)은, 이렇게 추출된 공감콘텐츠를 사용자단말(200)에 제공한다(S160). 선정된 특정 스팟에 대한 스팟위치정보 및 사용자단말(200)의 현지시간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공감콘텐츠가 추출될 수 있다. 공감콘텐츠 전송모듈(136)은, 사용자단말(200)의 현재위치정보와 현지시간정보를 기초로 더 세분화하여 공감콘텐츠를 사용자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회원이 여행하고 있는 관광지의 명소(스팟)에 포함된 여러 체험 장소에 대해, 회원이 해당 체험 장소에 도착했을 때, 동일 시간에 작성된 동일 장소에서의 선방문자가 작성한 공감콘텐츠를 추출하여 즉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공감콘텐츠제공시스템을 통해, 한정된 지역, 예컨대 관광지를 방문한 회원은 해당 장소에서 위치, 시간, 환경과 연관된 선방문자의 공감콘텐츠를 즉각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회원은 자신이 방문한 스팟에 대한 정보를 일일이 찾아보지 않고도, 선방문자가 작성한 콘텐츠를 적재적시에 제공받아 감상할 수 있다.
한편, 회원은 자신이 방문한 스팟에 대한 공감콘텐츠를 생성하여 서버(100)에 업로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서 보듯이, 사용자단말(200)을 통해 회원은 자신이 방문한 스팟에서 생성한 콘덴츠를 서버(100)에 업로딩할 수 있다(S210). 복수의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업로딩된 공감콘텐츠는, 공감콘텐츠 생성모듈(133)에 의해 해당 콘텐츠가 생성된 위치 및 시간에 따라 공감콘텐츠 데이터베이스(121)에 매핑되어 저장된다(S220). 아울러, 스팟환경정보 수집모듈(138)은 공감콘텐츠가 생성된 위치 및 시간에 따라 해당 스팟에 대한 환경정보를 외부의 환경정보제공서버(300)에 접속하여 수집한다(S230). 예컨대, 특정 국가, 지역에서의 날씨(기온, 풍속, 강수량 등)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300)에 접속하여 해당 스팟에서의 환경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렇게 수집된 환경정보는 해당 위치 및 시간에서의 공감콘텐츠에 대한 환경정보로서 공감콘텐츠에 매핑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감콘텐츠 전송모듈(136)은, 사용자단말(200)의 현재위치정보 및 현지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추출된 공감콘텐츠 중에서, 해당 위치 및 시간에 따라 추출된 환경정보를 사용자단말(200)의 환경정보로 인지하고, 유사한 환경정보를 가진 공감콘텐츠를 선별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복수의 회원들로부터 수집된 공감콘텐츠는 다음 방문자에게 적재적시에 제공되어 서로 공유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여행지를 방문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면, 자신과 동일한 장소, 시간, 및 환경에서 먼저 경험한 선방문자들의 체험을 공유할 수 있으므로, 해당 여행지에 대한 감동이 배가될 수 있다. 또한, 여행지를 방문하면서 자신이 체험한 경험을 다른 이들과 공유하기 위해 자신이 생성한 콘텐츠를 업로딩할 수 있으며, 서비스제공자는 콘텐츠를 공유한 회원에게 해당 지역에서 교환 가능한 지역쿠폰 등을 제공하여 보상함으로써 회원이 해당 지역을 재방문하게 하는 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제공자는 해당 지역에 설치된 Wifi, 중계기, MEC(Machine Edge Computing) 장비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단말이 연결되면 장소를 특정하는 디지털 좌표를 포함하는 공감 및 공유 가능한 콘텐츠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MEC 서버로 전달된 콘텐츠는 MEC 서버와 연동되는 다중 알고리듬을 갖는 AI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기법으로 분석되어, 사용자단말에 다양한 여행지코스에 대한 코스추천정보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회원들로부터 제공받은 공감콘텐츠는 사진, 동영상, 문서, 기타 형식으로 데이터베이스화될 수 있고, 해당 콘텐츠가 생성된 장소, 시간, 환경에 따라 매핑되어 저장된다. 이렇게 저장된 복수의 공감콘텐츠를 분석하여, 선호도가 높은 위치, 시간, 환경을 분석하여 새로운 여행지코스로 생성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자신의 경험을 서로 공유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으며, 해당 관광지에 대한 재방문 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지역 관광 산업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와이어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Claims (10)

  1. 복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한 공감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공감콘텐츠 데이터가 생성된 장소 및 시간에 대한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에 따라 매핑시켜 저장한 공감콘텐츠 데이터베이스; 및 복수의 여행지코스 및 상기 복수의 여행지코스 각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스팟에 대한 스팟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여행지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풀과,
    복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공감콘텐츠 데이터를 생성된 장소에 대한 위치정보 및 생성된 시간에 대한 시간정보에 따라 매핑하여 상기 공감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공감콘텐츠 생성모듈;
    사용자단말이 현재 존재하고 있는 현재위치정보 및 상기 사용자단말의 현재 위치에서의 현지시간정보를 추적하는 사용자단말 추적모듈;
    상기 사용자단말의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사용자단말이 선택한 특정 여행지코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스팟에 대한 상기 스팟위치정보를 비교하여 특정 스팟을 선정하는 스팟선정모듈;
    상기 스팟선정모듈이 선정한 상기 특정 스팟의 스팟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기초로 일정한 거리 범위 내에 속하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공감콘텐츠 데이터 중에서, 상기 사용자단말의 현지시간정보를 기초로 일정한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 시간정보를 가지는 특정 공감콘텐츠 데이터를 추출하는 공감콘텐츠 추출모듈;
    상기 공감콘텐츠 추출모듈이 추출한 상기 특정 공감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공감콘텐츠 전송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선택된 특정 여행지코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스팟에 대응하여, 상기 공감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의 현재위치정보 및 현지시간정보에 매칭되는 특정 공감콘텐츠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감콘텐츠 제공서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스팟을 포함하는 여행지정보를 수집하거나, 복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공감콘텐츠 데이터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스팟을 포함하는 여행지코스를 생성하여 상기 여행지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여행지정보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감콘텐츠 제공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감콘텐츠 데이터의 생성 위치 및 시간에 따라 해당 스팟에 대한 환경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집하는 스팟환경정보 수집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감콘텐츠 생성모듈은, 상기 스팟환경정보 수집모듈이 수집한 상기 해당 스팟에 대한 상기 환경정보를 대응하는 상기 공감콘텐츠 데이터에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감콘텐츠 제공서버.
  5. 삭제
  6. 복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한 공감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공감콘텐츠 데이터가 생성된 장소 및 시간에 대한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에 따라 매핑시켜 저장한 공감콘텐츠 데이터베이스; 및 복수의 여행지코스 및 상기 복수의 여행지코스 각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스팟에 대한 스팟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여행지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풀을 이용한 공감콘텐츠 제공방법으로서,
    공감콘텐츠 생성모듈이, 복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 공감콘텐츠 데이터를 생성된 장소에 대한 위치정보 및 생성된 시간에 대한 시간정보에 따라 매핑하여 상기 공감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공감콘텐츠 생성단계와,
    사용자단말 추적모듈이 사용자단말이 현재 존재하고 있는 현재위치정보 및 상기 사용자단말의 현재 위치에서의 현지시간정보를 추적하여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현재위치정보 및 현지시간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단말 위치추적단계와,
    스팟선정모듈이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한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사용자단말이 선택한 특정 여행지코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스팟에 대한 상기 스팟위치정보를 비교하여 특정 스팟을 선정하는 스팟선정단계와,
    공감콘텐츠 추출모듈이, 상기 특정 스팟의 스팟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기초로 일정한 거리 범위 내에 속하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공감콘텐츠 데이터 중에서, 상기 사용자단말의 현지시간정보를 기초로 일정한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 시간정보를 가지는 특정 공감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공감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공감콘텐츠 추출단계와,
    공감콘텐츠 전송모듈이, 상기 공감콘텐츠 추출모듈이 추출한 상기 특정 공감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공감콘텐츠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감콘텐츠 제공방법.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여행지정보 관리모듈이, 외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스팟을 포함하는 여행지정보를 수집하거나, 복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공감콘텐츠 데이터에 포함된 생성된 장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스팟을 포함하는 여행지코스를 생성하여, 상기 여행지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여행지정보 생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감콘텐츠 제공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스팟환경정보 수집모듈이, 상기 공감콘텐츠 데이터의 생성 위치 및 시간에 따라 해당 스팟에 대한 환경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공감콘텐츠 생성모듈이, 상기 스팟환경정보 수집모듈이 수집한 상기 해당 스팟에 대한 상기 환경정보를 대응하는 상기 공감콘텐츠 데이터에 매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감콘텐츠 제공방법.
  10. 제6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감콘텐츠 제공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00186267A 2020-12-29 2020-12-29 공감콘텐츠 제공서버, 공감콘텐츠 제공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347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267A KR102347357B1 (ko) 2020-12-29 2020-12-29 공감콘텐츠 제공서버, 공감콘텐츠 제공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267A KR102347357B1 (ko) 2020-12-29 2020-12-29 공감콘텐츠 제공서버, 공감콘텐츠 제공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7357B1 true KR102347357B1 (ko) 2022-01-05

Family

ID=79348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267A KR102347357B1 (ko) 2020-12-29 2020-12-29 공감콘텐츠 제공서버, 공감콘텐츠 제공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3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1083A (ko) * 2009-04-06 2010-10-14 주식회사 하나투어 여행정보 단말기 및 상기 여행정보 단말기의 여행정보 제공방법
KR20150079739A (ko) * 2012-10-23 2015-07-08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이벤트 리뷰들을 획득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27683A (ko) * 2019-05-03 2020-11-11 네이버 주식회사 스팟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1083A (ko) * 2009-04-06 2010-10-14 주식회사 하나투어 여행정보 단말기 및 상기 여행정보 단말기의 여행정보 제공방법
KR20150079739A (ko) * 2012-10-23 2015-07-08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이벤트 리뷰들을 획득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27683A (ko) * 2019-05-03 2020-11-11 네이버 주식회사 스팟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0240B2 (en) Autonomous pull and display of location based service applications by a mobile device based on context of the mobile device
CN104170472B (zh) 提供热点给服务器控制区域内的用户装置
JP6448906B2 (ja) 電子機器と情報提供サーバとを含むシステムの情報提供方法及びそれを適用した電子機器
US202003569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eographic delivery locations for aerial package delivery
US930127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GB2502395A (en) Sending location-relevant data to a user device for predicted locations of interest
CN105723746A (zh) 基于连接质量数据的因用户而异的销售点网络推荐
US20220104029A1 (en) Multi-stage object detection and categorization of antenna mount locations
WO2017185462A1 (zh) 位置推荐方法及系统
Psiha et al. IoT applications with 5G connectivity in medical tourism sector management: third-party service scenarios
JP640670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20160077932A (ko) 군중 혼잡도를 예측하는 방법, 장치 및 단말
KR102347357B1 (ko) 공감콘텐츠 제공서버, 공감콘텐츠 제공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erra A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urban mobility applications
Gao et al. An introduction to edge computing
Hao Design of WSN traffic forecasting system with delayed self-sensing
KR102463355B1 (ko) 환경플랫폼 시스템
Alepis et al. Mapping the wireless coverage grid for carrier and user recommendations through crowdsourcing
KR101725943B1 (ko) 열차 교통망에서의 와이파이 제공 시스템
KR101134585B1 (ko) 제휴매장 정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US202401298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wireless access points with satellite control plane
KR102561048B1 (ko)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사이니지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Huang et al. An enhanced hybrid LBS and its prototype for supporting backpackers in Beijing
Lee et al. Emerging ubiquitous knowledge services: From mobile sensing to ubiquitous crowdsourcing and beyond
Kim et al. An integration avenue of ground monitoring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