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257B1 -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 - Google Patents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257B1
KR102347257B1 KR1020200189288A KR20200189288A KR102347257B1 KR 102347257 B1 KR102347257 B1 KR 102347257B1 KR 1020200189288 A KR1020200189288 A KR 1020200189288A KR 20200189288 A KR20200189288 A KR 20200189288A KR 102347257 B1 KR102347257 B1 KR 102347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bed
transfer
weight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1020200189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4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 B23Q5/38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feeding continuously
    • B23Q5/40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feeding continuously by feed shaft, e.g. lead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28Electr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2Feeding working-spindles
    • B23Q5/326Feeding working-spindles screw-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54Arrangements or details not restricted to group B23Q5/02 or group B23Q5/22 respectively, e.g. control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5/00Driving working spindles or 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2705/10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2705/14Electric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Tool Replacement In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공작물을 가공하는 툴과, 상기 툴과 연결되어 상기 툴을 위치를 고정하는 베드와, 상기 툴의 위치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베드와 이송수단의 위치를 결속 고정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가공선반에 있어서,
상기 베드에 결속되는 상기 툴의 무게를 보상하여 상기 이송수단을 통해 상기 툴의 용이한 이송을 유도하는 무게 보상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무게 보상수단은 무게 추를 이용하여 툴과 베드의 무거운 중량을 절감 해소하여 이송수단은 매우 적은 용량의 모터를 통해 툴의 안정적인 이송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대형모터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장치의 제작 및 설치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경제적인 운영 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송수단은 툴의 저속 이송을 담당하는 저속모터를 통해 이송 축을 회전시켜 툴의 저속 이송을 유도하거나, 툴의 고속 이송을 담당하는 고속모터를 통해 이송블록을 회전시켜 툴의 저속 이송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툴의 저속 또는 고속 이송을 확보함으로, 종래의 가공선반에서 감속기나 변속기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장치의 안정적인 운영 관리와 함께 장치의 우수한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송수단의 고속모터 회전력이 연결부를 통해 이송블록으로 용이하게 전달되는 구조를 제시함으로, 고속모터의 작동을 통한 이송블록의 안정적인 회전을 유도하여 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Machining lathe with stable tool transfer}
본 발명은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게 보상수단은 무게 추를 이용하여 툴과 베드의 무거운 중량을 절감 해소하여 이송수단은 매우 적은 용량의 모터를 통해 툴의 안정적인 이송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대형모터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장치의 제작 및 설치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경제적인 운영 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lathe), 밀링기, 머시닝센터(machining center), 드릴링기, 보링기, 연삭기, 기어가공기, 특수가공기 등과 같은 가공선반은 공작물을 적합한 툴을 사용하여 소정의 형상 및 치수로 가공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가공선반의 툴은 모터의 회전력을 동력원으로 하는 이송수단을 통해 공작물로 이송되어 공작물을 가공하게 되는데, 상기 이송수단은 고중량의 툴과 베드를 함께 이송하기 위해 대용량의 대형모터가 사용되는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해, 가공선반 전체의 부피가 증대되어 장치의 제작 및 설치의 제약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대형모터의 작동에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는 특성상 장치의 경제적인 운영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공선반은 툴이 공작물에 근접 이송되는 과정에서는 툴을 빠른 속도로 이송시켜 툴이 이동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툴이 공작물에 접촉 가공되는 과정에서는 툴을 느린 속도로 이송시켜 낮은 부하로 공작물의 정밀한 가공을 유도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가공선반용 툴의 이송수단은 툴의 이송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대형모터와 연결되는 감속기나 변속기를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감속기나 변속기는 잦은 고장이나 오작동 등으로 인해 가공선반의 원활한 운영 관리가 곤란하다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공선반용 툴의 이송수단은 대형모터와 연결되는 감속기나 변속기의 큰 부피와 무거운 중량으로 인해 상기와 같은 가공선반의 제작 및 설치의 제약을 더욱 곤란하게 하여 장치의 사용범용성이 다소 낮추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무게 보상수단은 무게 추를 이용하여 툴과 베드의 무거운 중량을 절감 해소하여 이송수단은 매우 적은 용량의 모터를 통해 툴의 안정적인 이송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대형모터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장치의 제작 및 설치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경제적인 운영 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이송수단은 툴의 저속 이송을 담당하는 저속모터를 통해 이송 축을 회전시켜 툴의 저속 이송을 유도하거나, 툴의 고속 이송을 담당하는 고속모터를 통해 이송블록을 회전시켜 툴의 저속 이송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툴의 저속 또는 고속 이송을 확보함으로, 종래의 가공선반에서 감속기나 변속기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장치의 안정적인 운영 관리와 함께 장치의 우수한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이송수단의 고속모터 회전력이 연결부를 통해 이송블록으로 용이하게 전달되는 구조를 제시함으로, 고속모터의 작동을 통한 이송블록의 안정적인 회전을 유도하여 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은 공작물을 가공하는 툴과, 상기 툴과 연결되어 상기 툴을 위치를 고정하는 베드와, 상기 툴의 위치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베드와 이송수단의 위치를 결속 고정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가공선반에 있어서,
상기 베드에 결속되는 상기 툴의 무게를 보상하여 상기 이송수단을 통해 상기 툴의 용이한 이송을 유도하는 무게 보상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무게 보상수단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방에 위치되는 상기 베드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제1고리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부에는 제2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베드와 함께 상기 툴의 무게를 보상하는 무게 추와, 일단은 상기 제1고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고리와 연결되어 상기 베드와 함께 상기 툴의 중량이 상기 무게 추를 통해 보상되도록 상호 연결하는 연결체인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체인의 텐션이 유지되도록 유도하는 동시에, 상기 베드의 위치 변화에 따른 상기 연결체인의 이송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수단은 일직선으로 길게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봉 형상의 이송 축과, 상기 이송 축 상에 형성되되, 상기 툴과 결합되는 베드와 연결되어 상기 베드와 함께 상기 이송 축을 타고 이송되는 이송블록과, 상기 이송 축으로 저속의 회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이송 축 상에 형성되는 상기 이송블록이 상기 이송 축을 타고 상기 베드와 연결되는 상기 툴과 함께 느린 속도로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저속모터와, 상기 이송블록으로 고속의 회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이송블록이 상기 이송 축을 타고 상기 툴과 함께 빠른 속도로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고속모터와, 상기 고속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이송블록으로 공급되도록 하되, 상기 이송블록의 상기 베드와 간섭없이 회전되도록 상기 이송블록과 고속모터와 베드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드 상에 형성되는 상기 툴의 각도를 정밀하게 조절하는 각도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베드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툴과 결합되어 상기 툴과 함께 회전하는 환형의 조절편과, 상기 조절편 상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편과 함께 회전되는 웜 휠과, 상기 웜 휠과 치합되어 상기 웜 휠로 회전력을 제공하되, 상기 연결 프레임에 고정되는 웜과, 상기 연결 프레임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웜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에 의하면, 무게 보상수단은 무게 추를 이용하여 툴과 베드의 무거운 중량을 절감 해소하여 이송수단은 매우 적은 용량의 모터를 통해 툴의 안정적인 이송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대형모터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장치의 제작 및 설치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경제적인 운영 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송수단은 툴의 저속 이송을 담당하는 저속모터를 통해 이송 축을 회전시켜 툴의 저속 이송을 유도하거나, 툴의 고속 이송을 담당하는 고속모터를 통해 이송블록을 회전시켜 툴의 저속 이송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툴의 저속 또는 고속 이송을 확보함으로, 종래의 가공선반에서 감속기나 변속기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장치의 안정적인 운영 관리와 함께 장치의 우수한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송수단의 고속모터 회전력이 연결부를 통해 이송블록으로 용이하게 전달되는 구조를 제시함으로, 고속모터의 작동을 통한 이송블록의 안정적인 회전을 유도하여 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의 이송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의 각도 조절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의 측면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의 이송수단을 도시한 도면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의 각도 조절수단을 도시한 도면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100)은 공작물을 가공하는 툴(1)과, 상기 툴(1)과 연결되어 상기 툴(1)을 위치를 고정하는 베드(2)와, 상기 툴(1)의 위치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베드(2)와 이송수단의 위치를 결속 고정하는 고정프레임(3)을 포함하는 가공선반에 있어서,
상기 베드(2)에 결속되는 상기 툴(1)의 무게를 보상하여 상기 이송수단(30)을 통해 상기 툴(1)의 용이한 이송을 유도하는 무게 보상수단(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무게 보상수단(10)은 상기 고정프레임(3)의 전방에 위치되는 상기 베드(2)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제1고리(11)와, 상기 고정프레임(3)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부에는 제2고리(12a)가 형성되며, 상기 베드(2)와 함께 상기 툴(1)의 무게를 보상하는 무게 추(12)와, 일단은 상기 제1고리(11)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고리(12a)와 연결되어 상기 베드(2)와 함께 상기 툴(1)의 중량이 상기 무게 추(12)를 통해 보상되도록 상호 연결하는 연결체인(13)과, 상기 고정프레임(3)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체인(13)의 텐션이 유지되도록 유도하는 동시에, 상기 베드(2)의 위치 변화에 따른 상기 연결체인(13)의 이송을 안내하는 안내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가공선반의 툴(1)은 베드(2)에 결속되어 다소 무거운 중량을 가지게 되므로, 상기 툴(1)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에 구비되는 동력원, 일 예로 통상의 모터는 대용량이 구비되기 마련이며, 이러한 대용량의 모터(대형모터)는 부피가 커서 장치의 제작 및 설치의 제약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구동에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어 장치의 경제적인 운영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게 보상수단(10)은 연결체인(13)을 통해 상기 베드(2)와 연결되는 상기 무게 추(12)가 상기 베드(2)와 툴(1)의 무게를 보상 해소함으로, 상기 이송수단(30)은 중량이 가벼워진 상기 툴(1)을 저용량의 동력원(소형모터)을 통해 충분히 이송시킬 수 있어 가공선반의 전체적인 부피 및 작동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대폭 절감하여 장치의 효율적인 제작 및 운영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14)는 상기 고정프레임(3)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연결체인(13)의 중심부분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41)과, 상기 지지프레임(14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결체인(13)의 일단을 상기 베드(2) 측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롤러(142)와, 상기 지지프레임(14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결체인(13)의 타단을 상기 무게 추(12) 측으로 이송하는 제2이송롤러(143)와, 상기 지지프레임(14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1,2이송롤러(142,143)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체인(13)을 상기 제1이송롤러(142) 또는 제2이송롤러(143) 측으로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롤러(144)와, 상기 제1,2이송롤러(142,143)와 안내롤러(144)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외주면에 접촉되는 상기 연결체인(13)이 내입되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환형의 결속홈(145)과, 상기 지지프레임(141)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2이송롤러(142,143)와 안내롤러(144)와 노출을 방지하면서 상기 결속홈(145)에 내입된 상기 연결체인(13)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덮개(1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무게 추(12)와 베드(2)는 상기와 같은 안내부(14)를 통해 연결되므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수단(30)을 통해 상기 툴(1)의 높이가 승강되면 상기 연결체인(13)이 상기 제1이송롤러(142)와 안내롤러(144)와 제2이송롤러(143)를 타고 상기 무게 추(12) 측으로 이송되면서 자연스럽게 상기 무게 추(12)를 하강시키고,
반대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툴(1)의 높이가 하강되면 상기 연결체인(13)이 상기 제2이송롤러(143)와 안내롤러(144)와 제1이송롤러(142)를 타고 상기 베드(2) 측으로 이송되면서 자연스럽게 상기 무게 추(12)를 승강시켜 상기 무게 추(12)가 항상 상기 베드(2)와 함께 상기 툴(1)의 중량을 안정적으로 보상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툴(1)의 위치를 이송시키는 상기 이송수단(30)은 에너지 소모가 적은 소형모터 등의 동력원으로 상기 툴(1)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게 추(12)의 안정적인 승·하강을 유도하는 승강수단(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승강수단(20)은 상기 고정프레임(3)의 양측에 수직으로 직립되게 세워지는 승강기둥(21)과, 상기 무게 추(12)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승강기둥(21) 상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기둥(21)에 의지하여 상기 무게 추(12)의 수직 승·하강을 안내하는 승강블록(22)과, 상기 무게 추(12)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무게 추(12)와 지면과 마찰시 발생하는 충격을 탄성 흡수하는 탄성패널(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14)를 통해 상기 무게 추(12)가 승강 또는 하강시 상기 무게추(12)는 상기 무게 추(12)와 연결되는 상기 승강블록(22)을 통해 상기 승강기둥(21)의 안내를 받아 수직 승·하강이 유도되므로 상기 무게 추(12)는 상기 승강수단(20)을 통해 안정적으로 승·하강되도록 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수단(30)은 일직선으로 길게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나사산(31a)이 형성되는 봉 형상의 이송 축(31)과, 상기 이송 축(31) 상에 형성되되, 상기 툴(1)과 결합되는 베드(2)와 연결되어 상기 베드(2)와 함께 상기 이송 축(31)을 타고 이송되는 이송블록(32)과, 상기 이송 축(31)으로 저속의 회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이송 축(31) 상에 형성되는 상기 이송블록(32)이 상기 이송 축(31)을 타고 상기 베드(2)와 연결되는 상기 툴(1)과 함께 느린 속도로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저속모터(33)와, 상기 이송블록(32)으로 고속의 회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이송블록(32)이 상기 이송 축(31)을 타고 상기 툴(1)과 함께 빠른 속도로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고속모터(34)와, 상기 고속모터(34)의 회전력이 상기 이송블록(32)으로 공급되도록 하되, 상기 이송블록(32)의 상기 베드(2)와 간섭없이 회전되도록 상기 이송블록(32)과 고속모터(34)와 베드(2)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툴(1)이 공작물에 근접 이송되는 과정에서는 툴(1)을 빠른 속도로 이송시켜 툴(1)이 이동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툴(1)이 공작물에 접촉 가공되는 과정에서는 툴(1)을 느린 속도로 이송시켜 낮은 부하로 공작물의 정밀한 가공을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가공선반의 툴(1)을 공작물로 신속하게 근접시키기 위해 고속 이송이 요구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속모터(34)를 통해 상기 이송블록(32)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상기 이송블록(32)이 이송 축(31)을 타고 이송되면서 상기 이송블록(32)과 연결되는 상기 툴(1)이 빠른 속도로 공작물에 근접하게 한다.
이때, 상기 고속모터(34)는 상기 연결부(35)를 통해 상기 이송블록(32)으로 안정적으로 회전력이 공급되게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연결부(35)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런 후,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툴(1)을 통해 공작물을 정밀하게 가공하기 위해 상기 툴(1)의 저속 이송이 요구되면 상기 저속모터(33)를 통해 상기 이송 축(31)을 회전시켜 상기 이송블록(32)이 상기 이송 축(31)을 타고 느린 속도로 서서히 이송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고속모터(34)는 브레이크 모터로 구현하여 상기 고속모터(34) 측으로 상기 이송 축(31)의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유도하여 상기 이송블록(32)이 상기 이송 축(31)을 타고 상기 툴(1)과 함께 안정적으로 천천히 이송되도록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5)는 상기 고속모터(34)의 축 상에 형성되어 상기 고속모터(34)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회전기어(351)와, 상기 이송블록(32)과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기어(351)와 치합되는 전달기어(352a)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기어(351)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이송블록(32)과 함께 회전되는 고속 회전체(352)와, 일단은 상기 고속 회전체(352)의 끝단에 연결 결속되되, 내부에 베어링(353a)이 형성되어 상기 고속 회전체(352)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으며, 타단에는 상기 고속모터(34)가 결합되어 상기 고속모터(34)의 위치를 결속하며, 상부는 상기 베드(2)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블록(32)과 함께 이송되면서 결국 상기 베드(2)와 함께 상기 툴(1)을 이송시키는 연결 프레임(3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수단(35)은 상기 고속모터(34)를 통해 상기 회전기어(351)가 회전되면, 상기 회전기어(351)와 치합되는 상기 전달기어(352a)가 회전되면서 자연스럽게 상기 고속 회전체(352)와 함께 상기 이송블록(32)이 회전되므로, 상기 이송블록(32)은 상기 이송 축(31)을 타고 이송되는데, 이때 상기 고속 회전체(352)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 프레임(353)이 함께 이송되면서 결국 상기 연결 프레임(353)에 연결된 상기 베드(2)와 함께 상기 툴(1)이 이송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100)는 저속 및 고속모터(33,34)와 연결수단(35)을 통해 상기 툴(1)의 저속 및 고속 이송을 안정적으로 각각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 종래의 가공선반에서 툴의 저속 및 고속 이송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하는 감속기나 변속기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장치(가공선반)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드(2) 상에 형성되는 상기 툴(1)의 각도를 정밀하게 조절하는 각도 조절수단(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각도 조절수단(40)은 상기 베드(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툴(1)과 결합되어 상기 툴(1)과 함께 회전하는 환형의 조절편(41)과, 상기 조절편(41) 상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편(41)과 함께 회전되는 웜 휠(42)과, 상기 웜 휠(42)과 치합되어 상기 웜 휠(42)로 회전력을 제공하되, 상기 연결 프레임(353)에 고정되는 웜(43)과, 상기 연결 프레임(353)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웜(43)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툴(1)의 회전이 요구되면 상기 각도 조절수단(40)의 회전모터(44)를 통해 상기 웜(43)으로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웜(43)과 치합되는 상기 웜 휠(42)과 함께 상기 조절편(41)을 서서히 회전시켜 상기 조절편(41) 상에 형성되는 상기 툴(1)이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툴(1)은 상기 각도 조절수단(40)을 통해 다양한 각도(기울기)로 위치될 수 있어 상기 툴(1)을 통한 공작물의 가공을 보다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100)의 무게 보상수단(10)은 무게 추(12)를 이용하여 툴(1)과 베드(2)의 무거운 중량을 절감 해소하여 상기 이송수단(30)은 매우 적은 용량의 모터를 통해 툴(1)의 안정적인 이송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대형모터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장치의 제작 및 설치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경제적인 운영 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30)은 툴(1)의 저속 이송을 담당하는 상기 저속모터(33)를 통해 상기 이송 축(31)을 회전시켜 툴(1)의 저속 이송을 유도하거나, 툴(1)의 고속 이송을 담당하는 상기 고속모터(34)를 통해 상기 이송블록(32)을 회전시켜 툴(1)의 저속 이송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툴(1)의 저속 또는 고속 이송을 확보함으로, 종래의 가공선반에서 감속기나 변속기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장치의 안정적인 운영 관리와 함께 장치의 우수한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30)의 고속모터(34) 회전력이 상기 연결부(35)를 통해 상기 이송블록(32)으로 용이하게 전달되는 구조를 제시함으로, 상기 고속모터(34)의 작동을 통한 상기 이송블록(32)의 안정적인 회전을 유도하여 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툴 2. 베드
3. 고정프레임
10. 무게 보상수단 11. 제1고리
12. 무게 추 12a. 제2고리
13. 연결체인 14. 안내부
141. 지지프레임 142. 제1이송롤러
143. 제2이송롤러 144. 안내롤러
145. 결속홈 146. 안전덮개
20. 승강수단 21. 승강기둥
22. 승강블록 23. 탄성패널
30. 이송수단 31. 이송 축
32. 이송블록 33. 저속모터
34. 고속모터 35. 연결부
351. 회전기어 352. 고속 회전체
352a. 전달기어 353. 연결프레임
40. 각도 조절수단 41. 조절편
42. 웜 휠 43. 웜
44. 회전모터
100.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

Claims (6)

  1. 공작물을 가공하는 툴(1)과, 상기 툴(1)과 연결되어 상기 툴(1)을 위치를 고정하는 베드(2)와, 상기 툴(1)의 위치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베드(2)와 이송수단의 위치를 결속 고정하는 고정프레임(3)을 포함하는 가공선반에 있어서,
    상기 베드(2)에 결속되는 상기 툴(1)의 무게를 보상하여 상기 이송수단(30)을 통해 상기 툴(1)의 용이한 이송을 유도하는 무게 보상수단(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무게 보상수단(10)은,
    상기 고정프레임(3)의 전방에 위치되는 상기 베드(2)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제1고리(11)와,
    상기 고정프레임(3)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부에는 제2고리(12a)가 형성되며, 상기 베드(2)와 함께 상기 툴(1)의 무게를 보상하는 무게 추(12)와,
    일단은 상기 제1고리(11)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고리(12a)와 연결되어 상기 베드(2)와 함께 상기 툴(1)의 중량이 상기 무게 추(12)를 통해 보상되도록 상호 연결하는 연결체인(13)과,
    상기 고정프레임(3)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체인(13)의 텐션이 유지되도록 유도하는 동시에, 상기 베드(2)의 위치 변화에 따른 상기 연결체인(13)의 이송을 안내하는 안내부(14)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수단(30)은 일직선으로 길게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나사산(31a)이 형성되는 봉 형상의 이송 축(31)과, 상기 이송 축(31) 상에 형성되되, 상기 툴(1)과 결합되는 베드(2)와 연결되어 상기 베드(2)와 함께 상기 이송 축(31)을 타고 이송되는 이송블록(32)과, 상기 이송 축(31)으로 저속의 회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이송 축(31) 상에 형성되는 상기 이송블록(32)이 상기 이송 축(31)을 타고 상기 베드(2)와 연결되는 상기 툴(1)과 함께 느린 속도로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저속모터(33)와, 상기 이송블록(32)으로 고속의 회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이송블록(32)이 상기 이송 축(31)을 타고 상기 툴(1)과 함께 빠른 속도로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고속모터(34)와, 상기 고속모터(34)의 회전력이 상기 이송블록(32)으로 공급되도록 하되, 상기 이송블록(32)의 상기 베드(2)와 간섭없이 회전되도록 상기 이송블록(32)과 고속모터(34)와 베드(2)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35)를 포함하며,
    상기 베드(2) 상에 형성되는 상기 툴(1)의 각도를 정밀하게 조절하는 각도 조절수단(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각도 조절수단(40)은 상기 베드(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툴(1)과 결합되어 상기 툴(1)과 함께 회전하는 환형의 조절편(41)과, 상기 조절편(41) 상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편(41)과 함께 회전되는 웜 휠(42)과, 상기 웜 휠(42)과 치합되어 상기 웜 휠(42)로 회전력을 제공하되, 상기 연결 프레임(353)에 고정되는 웜(43)과, 상기 연결 프레임(353)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웜(43)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4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189288A 2020-12-31 2020-12-31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 KR102347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288A KR102347257B1 (ko) 2020-12-31 2020-12-31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288A KR102347257B1 (ko) 2020-12-31 2020-12-31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7257B1 true KR102347257B1 (ko) 2022-01-05

Family

ID=79348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288A KR102347257B1 (ko) 2020-12-31 2020-12-31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2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344B1 (ko) * 2023-01-09 2024-01-12 김영수 공작기계용 피가공물 회수장치
KR102625343B1 (ko) * 2023-01-09 2024-01-12 김영수 공작기계용 피가공물 회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8453A (ko) * 2008-09-11 2008-12-15 파스칼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공작기계용 주축 밸런서
KR20090016222A (ko) * 2007-08-10 2009-02-13 화천기공 주식회사 미세진동상쇄부를 갖는 중력축 공작기계
JP5966100B1 (ja) * 2014-09-05 2016-08-10 ヤマザキマザック株式会社 工作機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6222A (ko) * 2007-08-10 2009-02-13 화천기공 주식회사 미세진동상쇄부를 갖는 중력축 공작기계
KR20080108453A (ko) * 2008-09-11 2008-12-15 파스칼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공작기계용 주축 밸런서
JP5966100B1 (ja) * 2014-09-05 2016-08-10 ヤマザキマザック株式会社 工作機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344B1 (ko) * 2023-01-09 2024-01-12 김영수 공작기계용 피가공물 회수장치
KR102625343B1 (ko) * 2023-01-09 2024-01-12 김영수 공작기계용 피가공물 회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7257B1 (ko) 툴의 이송이 안정적인 가공선반
CN112935811B (zh) 加工轴瓦油线的油槽加工中心
CN106285121B (zh) 用于大型客车的立体车库
KR101789743B1 (ko) 대형복합가공기의 컬럼 이송장치
CN112743108A (zh) 一种龙门车床
KR20160018376A (ko) 워크 반송 장치 및 공작 기계
CN105522388A (zh) 一种卷筒轴复合加工专机铣刀架
KR102347258B1 (ko) 가공선반용 툴의 저속 및 고속 이송장치
CN202143957U (zh) 一种深孔钻床的工件夹持装置
CN206343657U (zh) 一种多工位组合钻床
US2375789A (en) Milling machine attachment for lathes
KR20190111211A (ko)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
CN2905278Y (zh) 以叉车为动力的大型盘类零件车削加工设备
KR100856104B1 (ko) 앵귤러헤드의 스핀들 유니트
KR101700335B1 (ko) 복합 스파이럴형 샤프닝 가공기
CN105522186A (zh) 一种卷筒轴复合加工专机
US3903765A (en) Simplified lathe
WO2021036438A1 (zh) 箱体孔系机加工平台
CN205085715U (zh) 一种双坐标进给动力箱
JP7384079B2 (ja) ワークチェンジャ、ワーク搬送装置、加工装置、及び、リング軸受の製造方法、機械の製造方法、車両の製造方法
JP4350820B2 (ja) 搬送装置
CN205520481U (zh) 一种卷筒轴复合加工专机镗刀架
CN205085427U (zh) 一种单坐标小行程进给动力箱
CN218560162U (zh) 翻转式输出辊道
JPH08141867A (ja) 工作機械のパレット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