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006B1 - 페이징을 위한 방법, 접속 네트워크 장치, 단말 장치와 코어 네트워크 장치 - Google Patents

페이징을 위한 방법, 접속 네트워크 장치, 단말 장치와 코어 네트워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006B1
KR102347006B1 KR1020207003586A KR20207003586A KR102347006B1 KR 102347006 B1 KR102347006 B1 KR 102347006B1 KR 1020207003586 A KR1020207003586 A KR 1020207003586A KR 20207003586 A KR20207003586 A KR 20207003586A KR 102347006 B1 KR102347006 B1 KR 102347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device
access network
terminal device
paging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7789A (ko
Inventor
하이 당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37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4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multi-step notification using statistical or historical mobi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6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using multi-step notification by changing the notification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페이징을 위한 방법, 접속 네트워크 장치, 단말 장치와 코어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방법에는,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의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며;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추적 구역 리스트에 의하여,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페이징을 개시하는 목표 페이징 구역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페이징을 위한 방법, 접속 네트워크 장치, 단말 장치와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합리적인 페이징 구역을 구성하는데 유리하여, 신호 오버헤드를 낮춘다.

Description

페이징을 위한 방법, 접속 네트워크 장치, 단말 장치와 코어 네트워크 장치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페이징을 위한 방법, 접속 네트워크 장치, 단말 장치와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페이징은 네트워크가 단말을 찾을 때 진행하는 신호 과정으로서, 네트워크에서 호출은 반드시 페이징을 통하여 응답하여야만 정상적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제5세대(5G) 시스템에서, 단말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도달하였을 때, 무선 접속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가 단말로 페이징을 개시한다. 그러므로, RAN으로 하여금 적합한 페이징 구역 내에서 단말로 페이징을 개시할 수 있는 방법이 시급하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페이징을 위한 방법, 접속 네트워크 장치, 단말 장치와 코어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합리적인 페이징 구역을 구성하는데 유리하도록 한다.
제1 방면으로, 페이징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바, 해당 방법에는,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의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며;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에 의하여,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로 페이징을 개시하는 목표 페이징 구역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의 TA list를 참조하는 것을 통하여 하나의 비교적 적합한 RAN 페이징의 페이징 구역을 결정하여, 신호 오버헤드를 낮추는데 유리하도록 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방법에는 또한, 송신하여야 하는 해당 단말 장치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상황 하에서,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목표 페이징 구역 내에서 해당 단말 장치로 페이징을 개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RAN 페이징은 또한 셀 시스템 메시지 개변이 트리거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송신하여야 하는 해당 단말 장치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상황 하에서,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목표 페이징 구역 내에서 해당 단말 장치로 페이징을 개시하는 것에는, 해당 단말 장치가 무선 자원 제어(RRC) 비활성화 상태 하에 처하고 또한 송신하여야 하는 다운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상황 하에서,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목표 페이징 구역 내에서 해당 단말 장치로 페이징을 개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RRC 아이들 상태 하의 단말 장치 페이징이 RAN으로도 개시할 수 있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의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는 것에는,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수신하기 전,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 및/또는 해당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고자 하는 요청을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가 송신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수신하는 것에는, 일단 해당 단말 장치가 추적 구역 업데이트 또는 부착 과정을 진행하기만 하면,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가 취득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가 송신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수신하는 것에는,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RRC 신호를 통하여 해당 단말 장치가 취득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단말 장치는 또한 MAC 신호와 DCI 신호 등을 통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단말 장치의 TA list를 송신할 수 있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의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는 것에는, 해당 단말 장치를 위하여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제2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전환된 상황 하에서,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제2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는 해당 단말 장치의 콘텍스트 정보 중에 베어링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로 해당 목표 페이징 구역의 정보를 송신하여,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목표 페이징 구역을 이동하여 벗어나기로 결정할 때,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를 트리거시켜 재차 해당 단말 장치를 위하여 페이징 구역을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2 방면으로, 페이징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바, 해당 방법에는, 단말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의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며;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송신하여,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로 페이징을 개시하는 목표 페이징 구역을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의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는 것에는, 해당 단말 장치가 추적 구역 업데이트 또는 부착을 진행하는 과정에,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단말 장치의 추적 구역 리스트를 송신하기 전,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고자 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송신하는 것에는, 일단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기만 하면,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송신하는 것에는, 해당 단말 장치가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를 통하여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단말 장치가 RRC 비활성화 상태에 처한 상황 하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바, 해당 페이징 메시지는 송신하여야 하는 해당 단말 장치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존재한다는 것을 지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해당 목표 페이징 구역의 정보를 수신하며;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목표 페이징 구역의 정보에 의하여,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를 트리거시켜 해당 단말 장치를 위하여 재차 페이징 구역을 할당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3 방면으로, 페이징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바, 해당 방법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의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며;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송신하여,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페이징을 개시하는 목표 페이징 구역을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추적 구역 리스트를 송신하기 전, 해당 방법에는 또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상기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고자 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4 방면으로, 접속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접속 네트워크 장치에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5 방면으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단말 장치에는 상기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6 방면으로, 코어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제3 방면 또는 제3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는 상기 제3 방면 또는 제3 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7 방면으로, 접속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접속 네트워크 장치에는 기억장치,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기억장치,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해당 기억장치는 명령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가 저장한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8 방면으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단말 장치에는 기억장치,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기억장치,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해당 기억장치는 명령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가 저장한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9 방면으로, 코어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는 기억장치,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기억장치,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해당 기억장치는 명령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가 저장한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제3 방면 또는 제3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10 방면으로,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여,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 또는 상기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 또는 상기 제3 방면 또는 제3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을 저장하며, 여기에는 상기 각 방면을 실행하는 것에 설계된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제11 방면으로, 명령이 포함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바, 이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가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 또는 상기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 상기 제3 방면 또는 제3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방면 또는 기타 방면은 하기 실시예의 설명에서 더욱 간단 명료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응용 상황 도면.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페이징을 위한 방법의 예시적 블록도.
도 3은 EPS 베어러 서비스 구조의 예시적 블록도.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페이징을 위한 방법의 다른 일 예시적 블록도.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페이징을 위한 방법의 또 다른 일 예시적 블록도.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 블록도.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예시적 블록도.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코어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 블록도.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다른 일 적 블록도.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다른 일 예시적 블록도.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코어 네트워크 장치의 다른 일 예시적 블록도.
아래 본 출원 실시예 중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여러 가지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코드 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월드와이드 상호운영성 마이크로파 접속(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엔알(New Radio, NR) 또는 미래의 5G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특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비직교 다중 접속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여러 가지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스파스 코드 다중 접속(Sparse Code Multiple Access, SCMA) 시스템, 저밀도 사인(Low Density Signature, LDS) 시스템 등이며, SCMA 시스템과 LDS 시스템이 통신 분야에서 또한 기타 명칭으로 불릴 수 있음은 물론이며; 나아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비직교 다중 접속 기술을 이용하는 다중 캐리어 전송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비직교 다중 접속 기술을 이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필터 밴드 멀티 캐리어(Filter Bank Multi-Carrier, FBMC), 범용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GFDM), 필터링된 OFDM(Filtered-OFDM, F-OFDM) 시스템 등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는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접속 단말,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무선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이동 장치,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통신 장치,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접속 단말은 셀룰로오스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핸드핼드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장치,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장치 또는 미래 향상된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단말 장치 등일 수 있으나,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와 통신을 진행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으며,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GSM 또는 CDMA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도 있고, 또는 W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또는 LTE 시스템 중의 향상된 기지국(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고, 또는 클라우드 무선 접속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환경 하의 무선 제어기일 수 있거나, 또는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중계국, 접속점,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장치 또는 미래 향상된 PLMN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으나,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이동 관리 실체(Mobile Management Entity, MME)일 수 있고, 또한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 또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 등일 수 있으나,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응용 상황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TE의 시스템 구조는 두 부분으로 구분되는 바, MME/S-GW와 eNodeB가 포함된다. eNodeB와 UE 사이는 Uu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을 진행하고, UE까지의 제어 평면과 사용자 평면의 프로토코르 종료점을 제공한다. eNodeB 사이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을 진행하고, 또한 통신이 필요한 두 개의 다른 eNodeB 사이에는 언제나 X2 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 LTE 접속 네트워크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을 진행하고, S1 인터페이스는 멀티 대 멀티 연결 방식을 지원한다.
일반적인 상황 하에서, 페이징의 주요 목적은 UE로부터 향상된 패킷 코어(Evolved Packet Core, EPC)까지의 신호 연결을 구성하여, 후속의 신호 또는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5G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도달하였을 때,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를 통하여 단말 장치로 페이징할 수도 있고, 또한 RAN을 통하여 단말 장치로 페이징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페이징을 위한 방법(1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100)에는 하기 일부 또는 전부 내용이 포함된다.
S110: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의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한다.
S120: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에 의하여,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로 페이징을 개시하는 목표 페이징 구역을 결정한다.
이른바 추적 구역(Tracking Area, TA)은 통신 시스템 중에서 단말의 위치 관리를 위하여 도입한 개념이다. 다수의 TA가 하나의 TA 리스트(TA list)를 구성하고, 아울러 하나의 단말로 할당하며, 단말이 해당 TA List 내에 이동 시 TA 업데이트를 진행할 필요가 없어, 네트워크와의 빈번한 상호작용을 감소시키며; UE가 이가 등록하지 않은 TA List 중의 새 TA로 진입할 때, TA 업데이트를 진행하여야 하고, 코어 네트워크가 단말로 재차 TA list를 할당하며, 새로 할당된 TA list에도 원 TA list 중의 일부 TA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이 아이들 상태에 처할 때, 코어 네트워크는 단말이 처한 추적 구역을 알 수 있고, 아울러 아이들 상태에 처한 단말이 페이징되어야 할 때, 코어 네트워크는 반드시 단말이 등록한 추적 구역의 모든 셀, 즉 단말의 TA list내의 모든 셀에서 페이징을 진행하여야 한다.
RAN 페이징에 있어서,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우선 단말 장치를 위하여 하나의 페이징 구역을 결정하여야 한다. 단말 장치가 해당 페이징 구역 내에서 이동할 때,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측에 통지하지 않고, 단말 장치는 직접 해당 페이징 구역 내에서 셀 재선택을 진행할 수 있다. 단말 장치가 이동하여 해당 페이징 구역을 벗어날 때, 단말 장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를 트리거시켜 재차 단말 장치를 위하여 하나의 새로운 페이징 구역을 구성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의 TA list를 참조할 수 있는 바, 다시 말하면 코어 네트워크의 제어 구역 범위 내에서 단말 장치를 위하여 하나의 적합한 페이징 구역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페이징을 위한 방법에서,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의 TA list를 참조하여 하나의 비교적 적합한 RAN 페이징의 페이징 구역을 결정하여, 신호 오버헤드를 낮추는데 유리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방법에는 또한, 송신하여야 하는 해당 단말 장치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상황 하에서,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목표 페이징 구역 내에서 해당 단말 장치로 페이징을 개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페이징은 데이터가 트리거시킬 수도 있고, 또한 셀 시스템 메시지 개변 등에 의하여 트리거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상기 페이징은 역시 데이터 트리거시키는 페이징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전송하여야 하는 다운링크 데이터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면,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집적 결정된 목표 페이징 구역 내에서 상응한 단말 장치로 페이징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운링크 데이터가 접속 네트워크 장치에 도달하였을 때,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상응한 단말 장치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페이징 메시지 중에 해당 단말 장치의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 예를 들면, 다운링크 데이터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도달하였을 때,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잠시 해당 다운링크 데이터를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지 않고,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하나의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해당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야 하는 다운링크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지시할 수 있으며,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단말 장치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를 트리거시켜 페이징을 개시하는 조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송신하여야 하는 해당 단말 장치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상황 하에서,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목표 페이징 구역 내에서 해당 단말 장치로 페이징을 개시하는 것에는, 해당 단말 장치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비활성화 상태 하에 처하고 또한 송신하여야 하는 다운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상황 하에서,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목표 페이징 구역 내에서 해당 단말 장치로 페이징을 개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향상된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EPS) 베어러 서비스 구조 중의 일부 요소에 대하여 간략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구조에는 주요하게 향상된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 육상 무선 접속 네트워크(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와 향상된 패킷 코어(Evolved Packet Core, EPC)가 포함된다. EPS 베어링의 서비스 구조 시스템에서, 단대단의 서비스는 EPS 베어링과 외부 베어링 두 부분으로 분할할 수 있다. 그 중에서, 하나의 향상된 무선 접속 베어러(Evolved Radio Access Bearer, E-RAB)는 UE와 향상된 EPC 사이에서 하나의 EPS 베어러의 패킷을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E-RAB와 EPS 베어러 사이는 일대일 대응 관계이다. 하나의 무선 베어러는 UE와 eNodeB 사이에서 하나의 E-RAB 베어러의 패킷을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무선 베어러와 E-RAB/EPS 베어러 사이에는 일대일 대응 관계가 존재한다. 하나의 S1 베어러는 eNodeB와 하나의 S-GW 사이에서 하나의 E-RAB 베어러의 패킷을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하나의 S5/S8 베어러는 S-GW와 P-GW 사이에서 하나의 EPS 베어러의 패킷을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LTE 시스템에서, UE의 RRC 상태에는 주요하게 RRC 아이들 상태와 RRC 연결 상태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RRC 연결 상태: S5/S8 베어러가 존재하고, 무선 베어러와 S1 베어러가 없으며, 코어 네트워크 측이 UE 콘텍스트를 보류하고, eNodeB와 UE가 서로의 콘텍스트를 보류하지 않으며, 단말이 타임 어드밴스(Time advance, TA) 내 유일한 아이디(일반적으로 임시 이동 사용자 아이디(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TMSI))를 보류한다. RRC 아이들 상태에 처한 UE는 네트워크와 데이터 상호작용, 비 접속 계층(Non-access stratum, NAS)이 구성한 비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과정, 시스템 정보 방송과 페이징, 인접 셀 측정, 셀 재선택의 이동성, 측정 리포트가 없는 리포팅 등 행위가 있어서는 않된다. RRC 연결 상태: S5/S8 베어러, S1 베어러와 무선 베어러가 존재하고, 코어 네트워크, eNodeB와 UE가 모드 상응한 콘텍스트를 보류하며, eNodeB가 접속 계층(access stratum, AS) 아이디(일반적으로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아이디(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C-RNTI))를 할당한다. RRC 연결 상태에 처한 UE는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상호작용할 수 있고, As가 구성한 DRX, 전환의 이동성, 채널 측정을 네트워크 측으로 리포팅하는 등 행위가 존재할 수 있다.
5G 시스템에서, 세 번째 상태, 즉 RRC 비활성화 상태를 도입하였다. RRC 비활성화 상태: S5/S8 베어러, S1 베어러 및 일부 무선 베어러가 존재하고, 코어 네트Ÿp, eNodeB와 UE가 모드 상응한 콘텍스트를 보류하며, eNodeB가 접속 계층(AS) 아이디(일반적으로 회복(Resume) 아이디(identification, ID))를 할당한다. RRC 비활성화 상태에 처한 UE는 셀 재선택의 이동성을 구비하고, 측정 리포팅이 없으며, 작은 데이터 송신과 수신을 진행할 수 있고, AS가 구성한 DRX가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인 상황 하에서, RRC 아이들 상태 하의 단말 장치 페이징은 CN이 개시한 것일 수 있고, 페이징 구역도 CN이 구성한 것이며, RRC 비활성화 상태 하의 단말 장치의 페이징은 RAN가 개시한 것일 수 있고, 페이징 구역은 RAN이 구성한 것일 수 있다. 하지만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RRC 아이들 상태 하의 단말 장치 페이징도 RAN가 개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의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는 것에는,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 자체가 자신의 TA list를 저장할 수 있고, 코어 네트워크 장치도 단말 장치의 TA list를 알 수 있으며, 그렇다면 단말 장치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의 TA list를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의 TA list를 취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장치는 하기 신호 중의 적어도 한 가지 신호를 통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단말 장치의 TA list를 송신할 수 있는 바, 즉 RRC 신호,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신호와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등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수신하기 전,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 및/또는 해당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고자 하는 요청을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가 RRC 연결 상태에 처한 상태 하에서, 단말 장치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단말 장치의 TA list를 취득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또한 단말 장치가 RRC 비활성화 상태에 처한 상태 하에서,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단말 장치의 TA list를 취득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또한 단말 장치로 페이징할 필요가 있을 때에만, 비로소 단말 장치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단말 장치의 TA list를 취득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구체적으로 어느 때에 단말 장치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단말 장치의 TA list를 취득할 것을 요청하는지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한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한 상기 추적 구역 리스트를 수신하는 것에는, 일단 상기 단말 장치가 추적 구역 업데이트 또는 부착 과정을 진행하기만 하면,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가 취득한 상기 추적 구역 리스트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단말 장치는 부착 과정 또는 추적 구역 업데이트(TA Update, TAU)를 통하여 단말 장치의 TA list를 취득하고, 단말 장치는 그 TA list를 취득할 때, 주동적으로 해당 TA list를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말 장치는 부착 과정 또는 TAU 과정을 통하여 이가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TA list를 송신하는 것을 트리거시키고,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TA list를 요구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장치는 부착 과정 또는 TAU 과정을 통하여 TA list를 취득하거나, 또는 주동적으로 송신하지 않고,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요구한 후, 비로소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이가 취득한 TA list를 송신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의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는 것에는, 해당 단말 장치를 위하여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제2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전환된 상황 하에서,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제2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만일 단말 장치가 소스 셀로부터 목표 셀로 이동한다면, 소스 셀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의 TA list를 목표 셀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목표 셀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또한 단말 장치 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직접 해당 단말 장치의 TA list를 취득할 수 있고, 소스 셀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취득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목표 셀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 소스 셀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와 코어 네트워크 장치 중의 임의의 장치로 해당 단말 장치의 TA list를 요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장치, 소스 셀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와 코어 네트워크 장치 중의 임의의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의 TA list를 단말 장치의 콘텍스트로 하여 목표 셀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로 해당 목표 페이징 구역의 정보를 송신하여,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목표 페이징 구역을 이동하여 벗어나기로 결정할 때,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를 트리거시켜 재차 해당 단말 장치를 위하여 페이징 구역을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구성한 페이징 구역의 정보에 의하여 단말 장치가 해당 페이징 구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만일 있다면, 단말 장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통지할 필요없이, 직접 셀 전환을 진행하면 되며, 만일 있지 않다면, 단말 장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통지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재차 단말 장치를 위하여 새로운 페이징 구역을 구성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페이징을 위한 방법(2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200)에는 하기 일부 또는 전부 내용이 포함된다.
S210: 단말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의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한다.
S220: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추적 구역 리스트를 송신하여,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로 페이징을 개시하는 목표 페이징 구역을 결정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페이징을 위한 방법에서, 단말 장치는 TA list를 리포팅하는 것을 통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하나의 비교적 적합한 RAN 페이징의 페이징 구역을 결정하도록 하여, 신호 오버헤드를 낮추는데 유리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의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는 것에는, 해당 단말 장치가 추적 구역 업데이트 또는 부착을 진행하는 과정에,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단말 장치의 추적 구역 리스트를 송신하기 전,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고자 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송신하는 것에는, 일단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기만 하면,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송신하는 것에는, 해당 단말 장치가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를 통하여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단말 장치가 RRC 비활성화 상태에 처한 상황 하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바, 해당 페이징 메시지는 송신하여야 하는 해당 단말 장치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존재한다는 것을 지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해당 목표 페이징 구역의 정보를 수신하며;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목표 페이징 구역의 정보에 의하여,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를 트리거시켜 해당 단말 장치를 위하여 재차 페이징 구역을 할당하는 것이 포함된다.
단말 장치가 설명하는 단말 장치와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상호작용 및 관련 특성, 기능 등은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관련 특성, 기능에 상응하다. 다시 말하면, 단말 장치가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어떤 정보를 송신하면,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상응하게 어떤 정보를 수신한다.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출원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실행 순서의 선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각 과정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과 내적인 논리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대하여 아무런 제한도 하지 말아야 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페이징을 위한 방법(3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300)에는 하기 일부 또는 전부 내용이 포함된다.
S310: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의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한다.
S320: 해당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추적 구역 리스트를 송신하여,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로 페이징을 개시하는 목표 페이징 구역을 결정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페이징을 위한 방법에서,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TA list를 리포팅하는 것을 통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하나의 비교적 적합한 RAN 페이징의 페이징 구역을 결정하도록 하여, 신호 오버헤드를 낮추는데 유리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송신하기 전, 해당 방법에는 또한, 해당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고자 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설명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와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상호작용 및 관련 특성, 기능 등은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관련 특성, 기능에 상응하다. 다시 말하면,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어떤 정보를 송신하면,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상응하게 어떤 정보를 수신한다.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출원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실행 순서의 선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각 과정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과 내적인 논리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대하여 아무런 제한도 하지 말아야 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위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페이징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였으며, 아래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페이징을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로 하는 바, 방법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 특징은 하기 장치 실시예에 적용된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4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해당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이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접속 네트워크 장치(400)에는,
단말 장치의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는 취득 유닛(410);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에 의하여,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로 페이징을 개시하는 목표 페이징 구역을 결정하는 결정 유닛(420)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의 TA list를 참조하여 하나의 비교적 적합한 RAN 페이징의 페이징 구역을 결정하여, 신호 오버헤드를 낮추는데 유리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접속 네트워크 장치에는 또한, 송신하여야 하는 해당 단말 장치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상황 하에서, 해당 목표 페이징 구역 내에서 해당 단말 장치로 페이징을 개시하는 페이징 유닛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페이징 유닛은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가 무선 자원 제어(RRC) 비활성화 상태 하에 처하고 또한 송신하여야 하는 다운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상황 하에서, 해당 목표 페이징 구역 내에서 해당 단말 장치로 페이징을 개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취득 유닛은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접속 네트워크 장치에는 또한, 해당 단말 장치 및/또는 해당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고자 하는 요청을 송신하는 제1 송신 유닛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취득 유닛은 구체적으로, 일단 해당 단말 장치가 추적 구역 업데이트 또는 부착 과정을 진행하기만 하면, 해당 단말 장치가 취득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취득 유닛은 구체적으로, RRC 신호를 통하여 해당 단말 장치가 취득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취득 유닛은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를 위하여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제2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전환된 상황 하에서, 해당 제2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는 해당 단말 장치의 콘텍스트 정보 중에 베어링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접속 네트워크 장치에는 또한, 해당 단말 장치로 해당 목표 페이징 구역의 정보를 송신하여,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목표 페이징 구역을 이동하여 벗어나기로 결정할 때,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를 트리거시켜 재차 해당 단말 장치를 위하여 페이징 구역을 구성하도록 하는 제2 송신 유닛이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4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 실시예 중의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에 대응될 수 있고, 또한 접속 네트워크 장치(400) 중의 각 유닛의 상기와 기타 조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2의 방법 중의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상응한 흐름을 구현하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5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 장치(500)에는,
해당 단말 장치의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는 취득 유닛(510);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추적 구역 리스트를 송신하여,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로 페이징을 개시하는 목표 페이징 구역을 결정하도록 하는 송신 유닛(520)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는 TA list를 리포팅하는 것을 통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하나의 비교적 적합한 RAN 페이징의 페이징 구역을 결정하도록 하여, 신호 오버헤드를 낮추는데 유리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취득 유닛은 구체적으로, 추적 구역 업데이트 또는 부착을 진행하는 과정에,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단말 장치에는 또한,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고자 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제1 수신 유닛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일단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기만 하면,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를 통하여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단말 장치에는 또한, 해당 단말 장치가 RRC 비활성화 상태에 처한 상황 하에서,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바, 해당 페이징 메시지는 송신하여야 하는 해당 단말 장치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존재한다는 것을 지시하는 제2 수신 유닛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단말 장치에는 또한,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해당 목표 페이징 구역의 정보를 수신하는 제3 수신 유닛; 해당 목표 페이징 구역의 정보에 의하여,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를 트리거시켜 해당 단말 장치를 위하여 재차 페이징 구역을 할당하는 트리거 유닛이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5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에 대응될 수 있고, 또한 해당 단말 장치(500) 중의 각 유닛의 상기와 기타 조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4의 방법 중의 단말 장치의 상응한 흐름을 구현하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코어 네트워크 장치(6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코어 네트워크 장치(600)에는,
단말 장치의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는 취득 유닛(610);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추적 구역 리스트를 송신하여,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단말 장치로 페이징을 개시하는 목표 페이징 구역을 결정하도록 하는 송신 유닛(620)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TA list를 리포팅하는 것을 통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하나의 비교적 적합한 RAN 페이징의 페이징 구역을 결정하도록 하여, 신호 오버헤드를 낮추는데 유리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는 또한, 해당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해당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고자 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이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코어 네트워크 장치(6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 실시예 중의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대응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장치(600) 중의 각 유닛의 상기와 기타 조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5의 방법 중의 코어 네트워크 장치의 상응한 흐름을 구현하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접속 네트워크 장치(700)를 제공하는 바, 해당 접속 네트워크 장치(700)는 도 6 중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400)일 수 있고, 이는 도 2 중의 방법(100)에 대응되는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내용을 실행할 수 있다. 해당 접속 네트워크 장치(700)에는 입력 인터페이스(710), 출력 인터페이스(720), 프로세서(730) 및 기억장치(740)가 포함되고, 해당 입력 인터페이스(710), 출력 인터페이스(720), 프로세서(730) 및 기억장치(740)는 버스 시스템을 통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해당 기억장치(740)는 프로그램, 명령 또는 코드를 저장한다. 해당 프로세서(730)는 해당 기억장치(740) 중의 프로그램, 명령 또는 코드를 실행하여, 입력 인터페이스(71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인터페이스(7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조작을 완성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의 TA list를 참조하여 하나의 비교적 적합한 RAN 페이징의 페이징 구역을 결정하여, 신호 오버헤드를 낮추는데 유리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프로세서(73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도 있고, 해당 프로세서(730)는 또한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모듈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해당 기억장치(740)에는 ROM과 RAM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730)로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기억장치(740)의 일부분에는 또한 비휘발성 RAM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억장치(740)는 또한 장치 유형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현 과정에, 상기 방법의 각 내용은 프로세서(73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방법의 내용과 결합시켜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실행되거나, 또는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74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730)가 기억장치(740)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내용을 완성한다.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일 구체적인 실시 방식에서, 접속 네트워크 장치(400)의 페이징 유닛, 제1 송신 유닛과 제2송신 유닛은 도 9 중의 출력 인터페이스(72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고, 접속 네트워크 장치(400) 중의 취득 유닛과 결정 유닛은 도 9 중의 프로세서(73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단말 장치(800)를 제공하는 바, 해당 단말 장치(800)는 도 7 중의 단말 장치(500)일 수 있고, 이는 도 4 중의 방법(200)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의 내용을 실행할 수 있다. 해당 단말 장치(800)에는 입력 인터페이스(810), 출력 인터페이스(820), 프로세서(830) 및 기억장치(840)가 포함되고, 해당 입력 인터페이스(810), 출력 인터페이스(820), 프로세서(830) 및 기억장치(840)는 버스 시스템을 통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해당 기억장치(840)는 프로그램, 명령 또는 코드를 저장한다. 해당 프로세서(830)는 해당 기억장치(840) 중의 프로그램, 명령 또는 코드를 실행하여, 입력 인터페이스(81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인터페이스(8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조작을 완성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는 TA list를 리포팅하는 것을 통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하나의 비교적 적합한 RAN 페이징의 페이징 구역을 결정하도록 하여, 신호 오버헤드를 낮추는데 유리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프로세서(83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도 있고, 해당 프로세서(830)는 또한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모듈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해당 기억장치(840)에는 ROM과 RAM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830)로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기억장치(840)의 일부분에는 또한 비휘발성 RAM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억장치(840)는 또한 장치 유형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현 과정에, 상기 방법의 각 내용은 프로세서(83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방법의 내용과 결합시켜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실행되거나, 또는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84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830)가 기억장치(840)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내용을 완성한다.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일 구체적인 실시 방식에서, 단말 장치(500)의 송신 유닛은 도 10 중의 출력 인터페이스(82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고, 단말 장치(500)의 제1 수신 유닛 내지 제3 수신 유닛은 도 10 중의 입력 인터페이스(81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말 장치(500)의 취득 유닛과 트리거 유닛은 도 10 중의 프로세서(83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코어 네트워크 장치(900)를 제공하는 바, 해당 코어 네트워크 장치(900)는 도 8 중의 코어 네트워크 장치(600)일 수 있고, 이는 도 5 중의 방법(300)에 대응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의 내용을 실행할 수 있다. 해당 코어 네트워크 장치(900)에는 입력 인터페이스(910), 출력 인터페이스(920), 프로세서(930) 및 기억장치(940)가 포함되고, 해당 입력 인터페이스(910), 출력 인터페이스(920), 프로세서(930) 및 기억장치(940)는 버스 시스템을 통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해당 기억장치(940)는 프로그램, 명령 또는 코드를 저장한다. 해당 프로세서(930)는 해당 기억장치(940) 중의 프로그램, 명령 또는 코드를 실행하여, 입력 인터페이스(91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인터페이스(9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조작을 완성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TA list를 리포팅하는 것을 통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하나의 비교적 적합한 RAN 페이징의 페이징 구역을 결정하도록 하여, 신호 오버헤드를 낮추는데 유리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프로세서(93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도 있고, 해당 프로세서(930)는 또한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모듈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해당 기억장치(940)에는 ROM과 RAM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930)로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기억장치(940)의 일부분에는 또한 비휘발성 RAM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억장치(940)는 또한 장치 유형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현 과정에, 상기 방법의 각 내용은 프로세서(93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방법의 내용과 결합시켜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실행되거나, 또는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94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930)가 기억장치(940)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내용을 완성한다.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일 구체적인 실시 방식에서, 코어 네트워크 장치(600) 중의 송신 유닛은 도 11 중의 출력 인터페이스(92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고, 코어 네트워크 장치(600) 중의 수신 유닛은 도 11 중의 입력 인터페이스(91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600) 중의 취득 유닛은 도 11 중의 프로세서(93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명세서 공개된 실시예의 각 예시의 유닛 및 연산 단계를 결합시켜,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는 기술방안의 특정된 응용과 설계 제한 조건에 의하여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들은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않된다.
설명의 편리와 간략화를 위하여, 상기 시스템, 장치와 유닛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몇 개 실시예에서, 상기 공개된 시스템, 장치와 방법은 또한 기타 방식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구분이고, 실제 구현 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복수의 유닛 또는 모듈은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삭제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사이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을 통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는 바,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 있다.
해당 분리된 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것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으며, 한 곳에 위치하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의하여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 중에 집적될 수도 있고, 또는 각 유닛의 독립적인 물리적 존재일 수 있으며, 또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되어 있을 수 있다.
해당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될 때,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출원의 기술방안의 본질적이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공헌이 있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방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컴퓨터 설비(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설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로 하여금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이동 하드,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을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상기 청구항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Claims (38)

  1. 페이징을 위한 방법으로서,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의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며;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추적 구역 리스트에 의하여,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페이징을 개시하는 목표 페이징 구역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되고,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의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는 것에는,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추적 구역 리스트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추적 구역 리스트는 상기 단말 장치의 콘텍스트 정보에 베어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을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송신하여야 하는 상기 단말 장치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상황 하에서,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목표 페이징 구역 내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 페이징을 개시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을 위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여야 하는 상기 단말 장치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상황 하에서,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목표 페이징 구역 내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 페이징을 개시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무선 자원 제어(RRC) 비활성화 상태 하에 처하고 또한 송신하여야 하는 다운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상황 하에서,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목표 페이징 구역 내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 페이징을 개시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을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추적 구역 리스트를 수신하기 전,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고자 하는 요청을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을 위한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의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를 위하여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제2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전환된 상황 하에서,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2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상기 추적 구역 리스트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을 위한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목표 페이징 구역의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페이징 구역을 이동하여 벗어나기로 결정할 때,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를 트리거시켜 재차 상기 단말 장치를 위하여 페이징 구역을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을 위한 방법.
  7.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데 이용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8. 페이징을 위한 방법으로서,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의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며;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추적 구역 리스트를 송신하여,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페이징을 개시하는 목표 페이징 구역을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추적 구역 리스트를 송신하기 전,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상기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고자 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추적 구역 리스트는 상기 단말 장치의 콘텍스트 정보에 베어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을 위한 방법.
  9.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는,
    단말 장치의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는 취득 유닛;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추적 구역 리스트를 송신하여,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페이징을 개시하는 목표 페이징 구역을 결정하도록 하는 송신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제1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상기 추적 구역 리스트를 취득하고자 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추적 구역 리스트는 상기 단말 장치의 콘텍스트 정보에 베어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KR1020207003586A 2017-08-18 2017-08-18 페이징을 위한 방법, 접속 네트워크 장치, 단말 장치와 코어 네트워크 장치 KR1023470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98095 WO2019033402A1 (zh) 2017-08-18 2017-08-18 用于寻呼的方法、接入网设备、终端设备和核心网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789A KR20200037789A (ko) 2020-04-09
KR102347006B1 true KR102347006B1 (ko) 2022-01-03

Family

ID=65362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586A KR102347006B1 (ko) 2017-08-18 2017-08-18 페이징을 위한 방법, 접속 네트워크 장치, 단말 장치와 코어 네트워크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1533706B2 (ko)
EP (1) EP3661278B1 (ko)
JP (1) JP2020534721A (ko)
KR (1) KR102347006B1 (ko)
CN (2) CN110800348A (ko)
AU (1) AU2017427860A1 (ko)
BR (1) BR112020002547A2 (ko)
CA (1) CA3071008A1 (ko)
MX (1) MX2020001679A (ko)
PH (1) PH12020500174A1 (ko)
RU (1) RU2748316C1 (ko)
SG (1) SG11202000651TA (ko)
TW (1) TWI785097B (ko)
WO (1) WO20190334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31799A1 (en) * 2018-09-27 2021-10-28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flight path of unmanned aerial vehicle
US11076330B2 (en) * 2019-05-02 2021-07-27 Apple Inc. Intelligent core network selection
CN114916063A (zh) * 2021-02-09 2022-08-16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寻呼消息的发送、接收方法、网络设备及终端
CN115150746A (zh) * 2021-03-31 2022-10-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寻呼方法和装置
CN115623493A (zh) * 2021-07-16 2023-01-17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跟踪区域更新方法、装置、终端、网络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9430B2 (en) 2004-03-04 2006-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al mode of a MAC layer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TW201538014A (zh) * 2007-02-05 2015-10-01 Interdigital Tech Corp 高訴下鏈共享頻道呼叫
CN103763774B (zh) * 2007-12-17 2017-10-13 Tcl通讯科技控股有限公司 移动通信系统
CN101778371B (zh) 2009-01-09 2012-08-2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寻呼方法及装置
US8428625B2 (en) * 2009-02-27 2013-04-23 Cisco Technology, Inc. Paging heuristics in packet based networks
JP5462357B2 (ja) * 2009-04-28 2014-04-02 ▲ホア▼▲ウェイ▼技術有限公司 ページング方法、ロケーション更新方法、およびデバイス
CN101998633A (zh) * 2009-08-14 2011-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载波聚合场景下的寻呼方法及基站
US8571582B2 (en) * 2010-11-04 2013-10-2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LTE smart paging list
CN103220653B (zh) * 2012-01-18 2018-09-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中继跟踪区域配置及位置更新方法和装置
KR101496352B1 (ko) * 2012-06-18 2015-02-26 주식회사 케이티 펨토 기지국 및 매크로 기지국의 트래킹 영역 운용 방법 및 시스템
KR102015804B1 (ko) * 2013-03-11 2019-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호 페이징 방법 및 장치
GB2513181A (en) 2013-04-19 2014-10-22 Sony Corp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US9167555B2 (en) * 2013-05-22 2015-10-20 Rogers Communications Inc. Paging an idle state electronic device
CN104581947A (zh) 2013-10-25 2015-04-29 中国移动通信集团广东有限公司 一种寻呼方法、装置及网络系统
US9191835B2 (en) * 2013-11-27 2015-11-1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area planning and optimiz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10212693B2 (en) * 2014-11-03 2019-02-19 Parallel Wireless, Inc Tracking area planning
WO2016116157A1 (en) 2015-01-22 2016-07-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error handling in a cellular system, network device, user equipment,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fore
US20180220289A1 (en) 2015-07-28 2018-08-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naging plurality of location area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09327903B (zh) * 2015-09-14 2019-11-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寻呼的方法、设备以及系统
KR102461973B1 (ko) * 2016-02-19 2022-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정보 관리 방법
CN107872877A (zh) * 2016-09-28 2018-04-03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配置寻呼区的方法、基站及核心网节点
WO2018040039A1 (zh) * 2016-08-31 2018-03-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小数据的传输方法、相关设备及系统
BR112019005966A2 (pt) 2016-09-29 2019-07-30 Huawei Tech Co Ltd método, dispositivo e sistema de comunicação
US20180103429A1 (en) * 2016-10-07 2018-04-12 Chie-Ming Chou Power saving method of wireless electronic devices
CN107018497B (zh) 2017-03-24 2019-05-2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寻呼方法及装置
WO2018202351A1 (en) * 2017-05-05 2018-11-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aging policy differentiation in 5g system
CN108990117B (zh) * 2017-06-01 2023-09-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会话处理方法及相关设备
US20190082148A1 (en) * 2017-09-14 2019-03-14 Jeffrey Overall Drone Stabilizing Handgrip
CN112087795B (zh) 2019-06-14 2022-05-17 华为技术有限公司 寻呼方法、设备及存储介质
CL2020000351A1 (es) 2020-02-11 2020-06-0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Procedimiento de notificación de información de estado de canal y equipo relacionado.
CL2020000352A1 (es) 2020-02-11 2020-06-0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Procedimiento y dispositivo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R23.799 v2.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00348A (zh) 2020-02-14
EP3661278A1 (en) 2020-06-03
PH12020500174A1 (en) 2020-09-14
CA3071008A1 (en) 2019-02-21
JP2020534721A (ja) 2020-11-26
AU2017427860A1 (en) 2020-02-13
BR112020002547A2 (pt) 2020-08-04
EP3661278B1 (en) 2023-09-27
EP3661278A4 (en) 2020-09-16
RU2748316C1 (ru) 2021-05-24
US20200229134A1 (en) 2020-07-16
WO2019033402A1 (zh) 2019-02-21
US11533706B2 (en) 2022-12-20
TW201914350A (zh) 2019-04-01
MX2020001679A (es) 2020-03-20
CN111294924B (zh) 2021-12-10
TWI785097B (zh) 2022-12-01
CN111294924A (zh) 2020-06-16
SG11202000651TA (en) 2020-02-27
KR20200037789A (ko) 202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7006B1 (ko) 페이징을 위한 방법, 접속 네트워크 장치, 단말 장치와 코어 네트워크 장치
KR102666360B1 (ko) 무선 통신 방법,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
AU2017429661B2 (en) Method for paging, access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CA3063617C (en) Transit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JP7281561B2 (ja) 無線通信方法、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端末機器
KR102360592B1 (ko) 페이징 방법,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
JP2020507967A (ja) 通信方法、端末及び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
EP3447990B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KR20200118356A (ko)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EP36032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ging a user equipment in an area spanning across a plurality of radio access technologies
KR102317096B1 (ko)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및 기기
CN113114446B (zh) 一种资源指示方法、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