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951B1 -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할 대상 영역을 설정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할 대상 영역을 설정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951B1
KR102346951B1 KR1020210176826A KR20210176826A KR102346951B1 KR 102346951 B1 KR102346951 B1 KR 102346951B1 KR 1020210176826 A KR1020210176826 A KR 1020210176826A KR 20210176826 A KR20210176826 A KR 20210176826A KR 102346951 B1 KR102346951 B1 KR 102346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implant
target area
image
contact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4943A (ko
Inventor
최참
Original Assignee
최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참 filed Critical 최참
Priority to KR1020210176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951B1/ko
Publication of KR20210154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51Prosthesis assessment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할 대상 영역을 설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골과 임플란트의 접촉 비율(Bone to Implant Contact ratio)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할 대상 영역을 설정하는 장치 {device that sets the target area to measure the bone-implant contact ratio}
본 발명은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할 대상 영역을 설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골과 임플란트의 접촉 비율(Bone to Implant Contact ratio)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아 임플란트 시술은 손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공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골에 심어 고정시킴으로써,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이러한 임플란트의 시술의 경우, 결합조직의 개입 없이 치조골과 매식체가 직접 연결되는 골유착 상태에 따라 임플란트 고정의 견고한 정도, 임플란트 고정이 유지되는 정도 등이 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임플란트 개발 시, 동물실험을 통해 치조골과 임플란트 사이의 골유착 정도를 평가하여 임플란트의 효능 및 성능을 평가하는 연구들이 개발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6513호(2016.11.02.)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골과 임플란트의 접촉 비율(Bone to Implant Contact ratio)을 측정하여 임플란트의 효능 및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장치는, 골 및 골에 이식된 임플란트를 촬영하여 단층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획득된 상기 단층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골 및 상기 임플란트의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3차원 영상 생성부, 상기 3차원 영상에서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할 대상 영역을 설정하는 대상 영역 설정부, 및 상기 대상 영역 내 상기 임플란트의 겉넓이, 및 상기 대상 영역 내 상기 골에 접촉된 상기 임플란트의 겉넓이를 이용하여 상기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하는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골 및 상기 임플란트를 고정하는 대상 고정부, 상기 골 및 상기 임플란트로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 조사된 광 축 상에 구비되어 상기 골 및 상기 임플란트를 투과한 광을 수광하여 투사 영상을 촬영하는 수광부, 및 촬영된 상기 투사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단층 영상을 획득하는 단층 영상 획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조사부 및 상기 수광부는, 상기 투사 영상의 촬영 시 설정된 중심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대상 고정부는, 상기 투사 영상의 촬영 시 상기 중심 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골 및 상기 임플란트를 고정하는 대상 고정부, 상기 골 및 상기 임플란트로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 조사된 광 축 상에 구비되어 상기 골 및 상기 임플란트를 투과한 광을 수광하여 투사 영상을 촬영하는 수광부, 및 촬영된 상기 투사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단층 영상을 획득하는 단층 영상 획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 고정부는, 상기 투사 영상의 촬영 시 설정된 중심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되, 상기 중심 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부는, 상기 대상 영역 내 상기 임플란트의 겉면에 대응되는 픽셀의 수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영역 내 상기 임플란트의 겉넓이를 측정하고, 상기 대상 영역 내 상기 골에 접촉된 상기 임플란트의 겉면에 대응되는 픽셀의 수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영역 내 상기 골에 접촉된 상기 임플란트의 겉넓이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방법은, 골 및 골에 이식된 임플란트를 촬영하여 상기 단층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단층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골 및 상기 임플란트의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3차원 영상에서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할 대상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영역 내 상기 임플란트의 겉넓이, 및 상기 대상 영역 내 상기 골에 접촉된 상기 임플란트의 겉넓이를 이용하여 상기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골과 임플란트의 접촉 비율을 측정함으로써, 임플란트의 효능 및 성능을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장치에서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할 대상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장치에서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장치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방법의 흐름도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장치(100)는 골 및 골에 이식된 임플란트의 영상을 촬영하여 골과 임플란트의 접촉 비율(Bone to Implant Contact ratio; BIC)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영상 획득부(102), 3차원 영상 생성부(104), 대상 영역 설정부(106), 및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부(108)를 포함한다.
영상 획득부(102)는 골 및 골에 이식된 임플란트를 촬영하여 단층 영상을 획득한다. 이때, 영상 획득부(102)는 예를 들어, 방사선, 초음파, 자기장 등을 이용하여 골 및 골에 이식된 임플란트의 투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투사 영상을 재구성하여 단층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층 영상은 예를 들어, 임플란트가 골에서 돌출되는 길이 방향(이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부(102)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획득부(102)는 대상 고정부(1022), 광 조사부(1024), 수광부(1026), 및 단층 영상 획득부(1028)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 고정부(1022)는 골 및 임플란트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고정부(1022)는 골 및 임플란트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 및 골 및 임플란트를 고정시킬 수 있는 설비 등을 구비하여 골 및 임플란트를 고정할 수 있다.
광 조사부(1024)는 골 및 골에 이식된 임플란트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 조사부(1024)는 골 및 골에 이식된 임플란트의 투사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골 및 골에 이식된 임플란트로 예를 들어, X-ray를 조사할 수 있다.
수광부(1026)는 광 조사부(1024)를 통해 조사된 광 축 상에 구비되어 골 및 임플란트를 투과한 광을 수광하여 골 및 임플란트의 투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광부(1026)는 광 조사부(1024), 및 골 및 임플란트와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의 면적을 가져 광 조사부(1024)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광할 수 있다.
단층 영상 획득부(1028)는 수광부(1026)를 통해 촬영된 투사 영상을 이용하여 단층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단층 영상 획득부(1028)는 투사 영상을 재구성함으로써 단층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영상 획득부(102)는 예를 들어, 스파이럴 스캔(Spiral scan) 방식을 이용하여 골 및 임플란트 전체에 대한 복수의 단층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획득부(102)는 광 조사부(1024) 및 수광부(1026)가 회전하고 대상 고정부(1022)가 이동하는 방식(예를 들어, In vivo 방식), 또는 대상 고정부(1022)가 회전 및 이동하는 방식(예를 들어, Ex vivo 방식)을 이용하여 골 및 임플란트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획득부(102)는 예를 들어, 단순히 대상 물체를 회전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라운드 스캔(Round scan) 방식보다 더 정확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조사부(1024) 및 수광부(1026)는 투사 영상의 촬영 시 설정된 중심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대상 고정부(1022)는 투사 영상의 촬영 시 설정된 중심 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설정된 중심 축은 예를 들어, 임플란트가 골에서 돌출되는 길이 방향의 중심 축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대상 고정부(1022)는 투사 영상의 촬영 시 설정된 중심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되, 설정된 중심 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3차원 영상 생성부(104)는 영상 획득부(102)를 통해 획득된 단층 영상을 이용하여 골 및 임플란트의 3차원 영상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획득부(102)는 골 및 골에 이식된 임플란트의 투사 영상을 촬영할 때, 각 투사 영상에 대응되는 단층의 위치(예를 들어, 설정된 중심 축 상에서의 단층의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영상 생성부(104)는 각 투사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단층 영상을 각 단층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열 및 합성함으로써, 골 및 임플란트의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 예시로서, 3차원 영상 생성부(104)의 3차원 영상 생성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대상 영역 설정부(106)는 3차원 영상 생성부(104)를 통해 생성된 3차원 영상에서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할 대상 영역을 설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장치(100)에서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할 대상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300)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대상 영역 설정부(106)는 설정된 중심 축(예를 들어, y축)에 대한 구역(도 3의 a에서는 0mm 내지 2mm로 표시된 구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구역 내에 존재하는 단층 영상들이 속하는 영역(302)을 대상 영역(302)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도 3의 a에서, 선명한 흰색으로 나타나는 부분(304)은 임플란트를 나타내며, 흐릿한 흰색으로 나타나는 부분(306)은 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영역 설정부(106)는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중심 축에 대한 구역을 입력 받고, 입력된 구역을 이용하여 대상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대상 영역 설정부(106)는 설정된 중심 축의 각 좌표에 대응되는 단층 영상(도 3의 b)을 분석하여 특정 구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구역을 이용하여 대상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상 영역 설정부(106)는 임플란트의 겉면 모두가 골에 접촉된 단층 영상(308)에 대응되는 지점(도 3의 a에서 0mm에 해당하는 지점)부터 임플란트의 겉면 모두가 골에 비접촉된 단층 영상(310)에 대응되는 지점(도 3의 a에서 2mm에 해당하는 지점)까지를 특정 구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대상 영역 설정부(106)는 특정 구역에 대응되는 단층 영상들이 속하는 영역(302)를 대상 영역(302)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 예시로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장치(100)에서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400, 500)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부(108)에서 영상 획득부(102)를 통해 획득된 단층 영상 내 픽셀들 중에서 골 또는 임플란트에 해당하는 픽셀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400)이며, 도 5는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부(108)에서 픽셀을 이용하여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500)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부(108)는 단층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의 값을 분석하여 각 픽셀들 중에서 골 또는 임플란트에 해당하는 픽셀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부(108)는 각 픽셀들의 값(예를 들어, 그레이 스케일로 0 내지 255, 도 4에서 가로축) 별 픽셀의 수(도 4에서 세로축)에 대한 그래프를 생성하고, 생성된 그래프를 분석하여 각 픽셀 중에서 골 또는 임플란트에 해당하는 픽셀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단층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의 값은 예를 들어, 각 픽셀에 대응되는 지점의 강도(Intensity)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꼭지점으로 나타난 지점(402, 404, 406, 408)에 대응되는 픽셀들은 각각 공기, 연조직(soft tissue), 골, 임플란트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부(108)는 각 지점이 의미하는 바를 파악하고, 골 또는 임플란트를 의미하는 지점의 픽셀들을 산출하여, 단층 영상 내 골 또는 임플란트에 해당하는 픽셀을 산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부(108)는 대상 영역 설정부(106)를 통해 설정된 대상 영역 내 임플란트의 겉넓이, 및 대상 영역 내 골에 접촉된 임플란트의 겉넓이를 이용하여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부(108)는 대상 영역 내 임플란트의 겉면에 대응되는 픽셀의 수를 이용하여 대상 영역 내 임플란트의 겉넓이를 측정하고, 대상 영역 내 골에 접촉된 임플란트의 겉면에 대응되는 픽셀의 수를 이용하여 대상 영역 내 골에 접촉된 임플란트의 겉넓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부(108)는 임플란트로 판단된 픽셀들을 설정된 픽셀 수만큼 확장시키고, 확장된 임플란트의 겉면에 대응되는 픽셀의 수와 확장된 임플란트의 겉면 중 골에 접촉되는 픽셀의 수를 이용하여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설정된 픽셀 수는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수로서, 예를 들어, 2픽셀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는 단층 영상 내 픽셀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임플란트로 판단된 픽셀들(502), 설정된 픽셀 수(2 pixel)만큼 확장된 픽셀들(504), 및 골로 판단된 픽셀들(506)를 포함하고 있으며, 우측으로 갈수록 임플란트의 겉면으로 가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부(108)는 확장된 임플란트의 겉면에 대응되는 픽셀의 수를 5개(빨간색 화살표로 표시)로 산출하고, 확장된 임플란트의 겉면 중 골에 접촉되는 픽셀의 수를 4개(파란색 화살표로 표시)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부(108)는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80%(= 4 / 5 × 100)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부(108)는 대상 영역 내 각 단층 영상들에 대해 각각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산출한 후, 산출된 비율들을 평균을 전체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로 산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장치(100)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600)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 및 (b)는 대상 물체의 이동 없이 단순히 대상 물체를 회전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라운드 스캔 방식에 따라 획득된 영상을 나타낸다. 또한, 도 6의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상 물체를 회전 및 이동시키며 영상을 획득한 경우의 획득 영상을 나타낸다.
도 6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라운드 스캔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영상 내 불명확한 부분(도 6의 (a) 및 (b)의 화살표 부분)이 발생하나, 본 발명에 따라 대상 물체를 이동 및 회전하며 영상을 획득하는 경우, 영상 내에 불명확한 부분이 사라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방법의 흐름도(700)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장치(100)는 골 및 골에 이식된 임플란트를 촬영하여 단층 영상을 획득한다(701). 이때,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장치(100)는 골 및 임플란트로 광을 조사하고, 골 및 임플란트를 투과한 광을 수광하여 투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투사 영상을 이용하여 단층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장치(100)는 투사 영상의 촬영 시 설정된 중심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되, 중심 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골 및 임플란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장치(100)는 투사 영상의 촬영 시 설정된 길이 방향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골 및 임플란트를 회전시키되, 중심 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장치(100)는 획득된 단층 영상을 이용하여 골 및 임플란트의 3차원 영상을 생성한다(702).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장치(100)는 3차원 영상에서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할 대상 영역을 설정한다(703).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장치(100)는 대상 영역 내 임플란트의 겉넓이, 및 대상 영역 내 골에 접촉된 임플란트의 겉넓이를 이용하여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한다(704). 이때,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장치(100)는 대상 영역 내 임플란트의 겉면에 대응되는 픽셀의 수를 이용하여 대상 영역 내 임플란트의 겉넓이를 측정하고, 대상 영역 내 골에 접촉된 임플란트의 겉면에 대응되는 픽셀의 수를 이용하여 대상 영역 내 골에 접촉된 임플란트의 겉넓이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순서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장치(10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장치
102: 영상 획득부 104: 3차원 영상 생성부
106: 대상 영역 설정부 108: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부
1022: 대상 고정부 1024: 광 조사부
1026: 수광부 1028: 단층 영상 획득부

Claims (1)

  1. 방사선, 초음파, 자기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골(bone) 및 상기 골에 이식된 임플란트(implant)를 촬영하되, 스파이럴 스캔(spiral scan) 방식을 이용하여 복수의 단층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획득된 상기 복수의 단층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골 및 상기 임플란트의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3차원 영상 생성부;
    상기 3차원 영상에서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할 대상 영역을 설정하는 대상 영역 설정부; 및
    상기 대상 영역 내 상기 임플란트의 제1 겉넓이, 및 상기 대상 영역 내 상기 골에 접촉된 상기 임플란트의 제2 겉넓이를 이용하여 상기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하는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 영역 설정부는,
    상기 복수의 단층 영상 중에서 상기 임플란트의 겉면 모두가 상기 골에 접촉된 제1 단층 영상에 상응하는 제1 지점을 식별하고,
    상기 복수의 단층 영상 중에서 상기 임플란트의 겉면 모두가 상기 골에 비접촉된 제2 단층 영상에 상응하는 제2 지점을 식별하고,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의 특정 구역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골 및 상기 임플란트를 고정하는 대상 고정부와,
    상기 골 및 상기 임플란트로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와,
    조사된 광 축 상에 구비되어 상기 골 및 상기 임플란트를 투과한 광을 수광하여 투사 영상을 촬영하는 수광부와,
    촬영된 상기 투사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단층 영상을 획득하는 단층 영상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 조사부 및 상기 수광부는, 상기 투사 영상의 촬영 시 설정된 중심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되, 상기 중심 축은 상기 임플란트가 상기 골에서 돌출되는 길이 방향을 중심 축으로 설정되며,
    상기 대상 고정부는, 상기 투사 영상의 촬영 시 설정된 중심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되, 상기 중심 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부는,
    상기 대상 영역 내 상기 임플란트의 겉면에 대응되는 픽셀의 수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영역 내 상기 임플란트의 제1 겉넓이를 측정하고,
    상기 대상 영역 내 상기 골에 접촉된 상기 임플란트의 겉면에 대응되는 픽셀의 수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영역 내 상기 골에 접촉된 상기 임플란트의 제2 겉넓이를 측정하고,
    상기 제2 겉넓이 대비 상기 제1 겉넓이의 비율을 산출하여 상기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하고,
    i) 상기 대상 영역 내 상기 임플란트의 겉면에 대응되는 픽셀 및 ii) 상기 대상 영역 내 상기 골에 접촉된 상기 임플란트의 겉면에 대응되는 픽셀에 기반하여 그래프를 생성하고,
    상기 그래프에서 공기, 연조직(soft tissue), 골, 또는 임플란트에 상응하는 부분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210176826A 2019-06-26 2021-12-10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할 대상 영역을 설정하는 장치 KR102346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826A KR102346951B1 (ko) 2019-06-26 2021-12-10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할 대상 영역을 설정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599A KR102339807B1 (ko) 2019-06-26 2019-06-26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0210176826A KR102346951B1 (ko) 2019-06-26 2021-12-10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할 대상 영역을 설정하는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599A Division KR102339807B1 (ko) 2019-06-26 2019-06-26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943A KR20210154943A (ko) 2021-12-21
KR102346951B1 true KR102346951B1 (ko) 2022-01-03

Family

ID=741267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599A KR102339807B1 (ko) 2019-06-26 2019-06-26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0210176826A KR102346951B1 (ko) 2019-06-26 2021-12-10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할 대상 영역을 설정하는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599A KR102339807B1 (ko) 2019-06-26 2019-06-26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 측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398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627B1 (ko) 2007-04-23 2008-08-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골과 임플란트 사이의 골유착된 골접촉 면적의 측정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513A (ko) 2015-04-24 2016-11-02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약물이 로딩된 치과용 임플란트의 제조방법
KR102026716B1 (ko) * 2017-11-15 2019-09-30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엑스선 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사용한 촬영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627B1 (ko) 2007-04-23 2008-08-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골과 임플란트 사이의 골유착된 골접촉 면적의 측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807B1 (ko) 2021-12-14
KR20210154943A (ko) 2021-12-21
KR20210001076A (ko)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ne et al. Completing the 3-dimensional picture
CN102711617B (zh) 扫描规划视场调整器、确定器和/或质量评估器
JP5715335B2 (ja) 任意のスペクトルにおける計算機式断層写真法画像の形成のための順投影
JP6066596B2 (ja) X線撮像における散乱補正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9511124A (ja) 散乱補正
US20200151921A1 (en) Methods for metal artifact reduction in cone beam reconstruction
US1102406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cattered radiation correction
KR20190101694A (ko) Ct 데이터와 광학 데이터의 정합성능 향상 방법 및 그 장치
KR20240013724A (ko) 다중 펄스 x-선 소스 이동 단층합성 영상화 시스템을 사용한 인공 지능 훈련
US20100142674A1 (en) Method and support device for measuring jawbone mineral density
JP6767997B2 (ja) 歯科用画像生成システムの画像データの画像向上のための方法
KR102201643B1 (ko) 콘빔 씨티를 이용한 치아 골밀도 추정방법 및 골밀도 추정장치
CN113226181B (zh) 在x射线锥形束计算机断层扫描中校准x射线投影几何形状的方法
KR102346951B1 (ko)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할 대상 영역을 설정하는 장치
CN112822983B (zh) 用于编辑全景射线照相图像的设备和方法
JP2006334319A (ja) X線ct装置とその前処理方法、及びデータ作成装置とその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CN105992558A (zh) 用于断层合成成像的设备和方法
US11786193B2 (en) Metal artifacts reduction in cone beam reconstruction
US11357465B2 (en) Evaluating the reliability of a CT volume image
CN110678123B (zh) 改进的x射线图像中的几何测量
JP2021168788A (ja) 医用画像処理装置および医用画像処理方法
JP6299045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x線撮影装置
KR101613391B1 (ko) 치료 계획용 ct 영상을 이용한 산란선 제거 방법 및 시스템
CN113164152B (zh) 双能锥形束ct图像的校准参数生成方法
JP6663094B2 (ja) 散乱線強度算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散乱線補正装置並びに散乱線強度算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