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664B1 - 마스크 커버 - Google Patents

마스크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664B1
KR102346664B1 KR1020200030056A KR20200030056A KR102346664B1 KR 102346664 B1 KR102346664 B1 KR 102346664B1 KR 1020200030056 A KR1020200030056 A KR 1020200030056A KR 20200030056 A KR20200030056 A KR 20200030056A KR 102346664 B1 KR102346664 B1 KR 102346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present
existing mask
user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4679A (ko
Inventor
김민준
Original Assignee
김민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준 filed Critical 김민준
Priority to KR1020200030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664B1/ko
Publication of KR20200034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는 사용자의 안면 또는 기존 마스크와 밀착되고,하부 또는 측부가 개방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에 패드가 장착되어 사용자의 안면 또는 기존 마스크에 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스크 커버{cover of mask}
본 발명은 기존 마스크 외부에 덧댈수 있는 마스크 커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마스크의 경우에는 일회성으로 매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코로나 19의 경우 상대방 비말을 통해 전파되므로 비말을 차단할 필요가 대두되었다.
그러나, 위생용 마스크 부족으로 인해 면마스크 등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면마스크의 경우 비말을 통한 미세 침방울 입자를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해 면마스크 사용자들이 불안해하므로 비말을 차단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기존 특허등록 제10-1091928 호의 "위생 마스크"의 경우에는 조리자의 비말이 요리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스크 상부는 개방되고 조리자의 하부가 막혀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상대방과 대화시 상대방 비말이 상부 개방구를 통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 마스크에 덧댈수 있는 마스크 커버를 제공함으로써 상대방의 비말이 마스크를 착용한 본인의 코나 입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마스크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는 사용자의 안면 또는 기존 마스크와 밀착되고,하부 또는 측부가 개방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에 패드가 장착되어 사용자의 안면 또는 기존 마스크에 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의 내부면에 장착되어 기존 마스크에 탈부착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의 외부면에는 탈부착 가능한 시트가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코로나 19의 발생으로 인해 비말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일상생활에서 KF 80이상 사용하여 미세 입자를 차단하는데 노력하고 있는 시점에서 마스크 품귀현상으로 인해 어쩔수 없이 비말 차단효과가 떨어지는 면마스크를 착용하거나 KF80이상 마스크를 여러차례 재사용하여 오염의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고, 이를 기존 면마스크등의 외부면에 별도로 부착하고, 하부 및/또는 측부를 개방하고 상부는 밀착시켜 착용함으로써, 상대방과의 접촉시 상대방의 비말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해주는 효과가 있고 세척도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스크 커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마스크 커버가 기존 마스크와 결합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제1실시예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 슬라이딩 구조의 확대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제1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존 조리사들이 착용하는 위생마스크의 경우에는 조리사의 침이 조리하는 음식물에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리사의 하방이 막혀있고,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는 조리사의 비말이 하방에 위치한 음식물에 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하부를 막는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의 코로나 19의 경우와 같이 비말전파를 통해 바이러스가 감염되는 상황에서는 상대방의 비말은 공기보다 무거워 공기중에서 포물선을 그리면서 2M정도까지 도달하면서 떨어지게 되고 기존의 상부가 개방된 조리용 마스크의 경우에는 상대방의 비말은 차단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코로나 19의 예방을 위한 근접한 상대방의 비말 차단을 위해서각 개인별로 마스크를 착용하여 직접 비말이 입 또는 코의 점막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마스크의 부족, 필터의 부족으로 인해 각 개인별 사용가능한 마스크에는 한계가 발생하고 있고, 이를 대체하기 위해 면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으나, 면마스크의 경우 미세 비말입자를 차단하지 못해 면마스크를 착용하는 수요자가 불안해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면마스크등 기존 마스크의 외부에 탈착가능하게 부착하여 상대방의 비말이 사용자에게 도달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스크 커버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마스크 커버가 기존 마스크와 결합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스크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부(10)의 하부에는 개구부(4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숨을 쉴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서 개구부(40)의 경우, 몸체부(10)의 하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측면(20)의 경우에도 몸체부(10)가 얼굴면을 따라 굴곡져 있다면 측면 후방으로 개구부(40)가 형성될 수 도 있으며 이 경우 비말침투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낮아 측면을 개방할 수도 있다.
측면(20)이 밀폐된 경우에는 측면(20)에 측면부재가 몸체부(10)와 사용자의 입과 이격 거리를 유지해주는 이격체 역할을 수행하나 측면(20)이 개방된 경우에는 별도의 이격체(21)가 있어 이격체(21)와 사용자의 턱부분이 지지되어 몸체부(10)와 사용자의 입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몸체부(10)의 내부면, 즉 기존 마스크와 마주보는 면에는 기존 마스크(2)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된 결합부(30)를 포함한다.
결합부(30)는 도면상 도시된 ㄷ자 형 구조물이거나, 클립타입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리, 집게, 밸크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기존 마스크와 결합가능하다.
결합부(30)가 ㄷ자 형 구조물일 경우 내부면에 고무재질이 코팅되어 기존 마스크(2)와 마스크 커버(1)가 미끄러지거나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몸체부(10)의 외부면, 즉 외부로 노출된 면에는 시트(70)를 교체가능하도록 결합된 교체부(6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외부로 노출된 면에 시트(70)를 교체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일정 기간 착용후 시트지(70)를 빼서 버림으로써 외부에 노출되어 비말등에 오염되었던 시트지를 별도의 마스크 커버(1) 세척없이도 지속적으로 사용가능하다.
교체부(60)는 몸체부(10)의 외부면에 시트(70)를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하기 위해 설치되고, 이는 시트(70)가 슬라이딩되어 인입될 수 있는 ㄷ자 형 구조이거나, 밸크로, 집게, 똑딱이, 클립 형태일 수 있고 이러한 형상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ㄷ자 형상의 내부면에는 고무가 장착되어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어 시트(70)가 삽입후 미끄러져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몸체부(10)의 경우 유연한 소재의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서 얼굴 안면을 따라 휠 수 있고 비말이 전혀 침투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세척이 가능하다.
몸체부(10)의 상부는 패드(50)가 부착되어 기존마스크(2)와 미착되거나 사용자의 안면부와 밀착가능하게 하여 비말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패드(50)는 탄성중합체 재질로 되어 유연하고 밀착가능하며 세척가능하게 한다.
도 2에 기존마스크(2)와 결합된 마스크 커버(1)를 도시하고 있고, 기존 마스크(2)와 몸체부(10)의 상부는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대방의 비말이 튀어서 사용자의 코나 입에 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대발의 비말은 공기보다 무거우므로 몸체부(10)의 하부를 개방하여 기존마스크(2)를 통해 투과된 들숨, 날숨이 개구부(40)를 통해 이동하게 되고, 상대방의 비말은 중력에 의해 개방된 개구부(40)를 통해서 인입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1 및 도 2의 마스크 커버(1)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나, 별도의 결합부(30)가 존재하지 않고 마스크 커버(1)를 귀걸이 타입으로도 사용자에게 착용가능하다.
또한, 기존 마스크보다 하방으로 턱 아래부분까지 감쌀 수 있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장되는 복수개의 확장부(80)를 포함하고, 확장부(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의 일면에 가이드 레일(90)이 위치하고 확장부(80)의 양 끝단에 이동부재(100)가 고정되어 가이드 레일(90)을 따라 이동부재(100)가 이동하면서 확장가능하다.
슬라이딩되면서 확장되는 확장부(80)의 구조는 반드시 도 3 및 4의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슬라이딩 방식, 회전식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확장되는 방식등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커버(1)의 몸체부(10) 하부의 개구부(40)가 완전히 개방된 것이 아니라 탈부착 가능한 필터부재(110)를 장착 가능하게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 경우, 필터부재(110)가 입 주변에서 이격된 턱 하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필터부재(110)의 오염이 줄어들고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이 연장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외부에서 날아오는 비말의 경우에는 필터부재(110)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아 오염될 확률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어 몸체부(10)만 세척시 필터부재(110)의 수명은 연장가능하다.
몸체부(10)의 하부면에 필터교체를 위한 교체필터부(120)가 장착되어 있고, 교체필터부(120)는 필터부재(110)를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하기 위해 설치되고, 이는 필터부재(110)가 슬라이딩되어 인입될 수 있는 ㄷ자 형 구조이거나, 밸크로, 집게, 똑딱이, 클립 형태일 수 있고 이러한 형상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ㄷ자 형상의 내부면에는 고무가 장착되어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어 필터부재(110)가 삽입후 미끄러져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

  1. 상부는 사용자의 안면 또는 기존 마스크와 밀착되고,하부 또는 측부가 개방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에 패드가 장착되어 사용자의 안면 또는 기존 마스크에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의 내부면에 장착되어 기존 마스크에 탈부착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외부면에는 탈부착 가능한 시트가 결합가능하며,
    상기 몸체부의 하방으로 턱 아래부분까지 감쌀 수 있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장되는 복수개의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가이드 레일이 위치하고, 상기 확장부의 양 끝단에 이동부재가 고정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확장부가 확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커버.
  2. 삭제
  3. 삭제
KR1020200030056A 2020-03-11 2020-03-11 마스크 커버 KR102346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056A KR102346664B1 (ko) 2020-03-11 2020-03-11 마스크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056A KR102346664B1 (ko) 2020-03-11 2020-03-11 마스크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679A KR20200034679A (ko) 2020-03-31
KR102346664B1 true KR102346664B1 (ko) 2022-01-03

Family

ID=70002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056A KR102346664B1 (ko) 2020-03-11 2020-03-11 마스크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6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128B1 (ko) * 2020-08-07 2023-08-30 정기호 비말 감염 예방용 플라스틱 마스크
KR102260020B1 (ko) * 2020-08-11 2021-06-03 안팔용 투 트랙 투명 마스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4395A (ja) * 2003-05-22 2004-12-09 Contribute:Kk マスク装置
JP2006068336A (ja) * 2004-09-03 2006-03-16 Joshoku Rin 多層式マスク
JP2007000378A (ja) * 2005-06-23 2007-01-11 Kao Corp マスク
KR101653608B1 (ko) 2016-04-15 2016-09-09 주식회사 고스디자인 반려동물용 황사 방지 마스크
KR101797701B1 (ko) 2017-06-15 2017-11-14 이완규 마스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4395A (ja) * 2003-05-22 2004-12-09 Contribute:Kk マスク装置
JP2006068336A (ja) * 2004-09-03 2006-03-16 Joshoku Rin 多層式マスク
JP2007000378A (ja) * 2005-06-23 2007-01-11 Kao Corp マスク
KR101653608B1 (ko) 2016-04-15 2016-09-09 주식회사 고스디자인 반려동물용 황사 방지 마스크
KR101797701B1 (ko) 2017-06-15 2017-11-14 이완규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679A (ko)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6664B1 (ko) 마스크 커버
EP2251064A2 (en) Sanitary mask for the protection of others
KR101142835B1 (ko) 일회용 황사 마스크
KR20180025098A (ko) 커버 및 필터 교체식 마스크
US11266861B2 (en) Face mask assembly
KR101699153B1 (ko) 방진용 코마스크
EP2490769A1 (en) Hygienic mask for aircraft crewmember and a mask assembly comprising the hygienic mask
JP2011000430A (ja) パーフェクトプロテクトマスク
KR20220020041A (ko) 기능성 마스크
KR102225244B1 (ko) 유해물질을 차단하는 세척형 마스크
KR101530869B1 (ko) 일상 생활용 마스크
KR102502204B1 (ko) 마스크
KR20220048890A (ko) 김서림이 방지되는 필터 교체형 마스크
KR102573128B1 (ko) 비말 감염 예방용 플라스틱 마스크
KR200493803Y1 (ko) 탈부착 가능한 프레임 마스크
KR102212607B1 (ko) 필터교체형 마스크
CN210114067U (zh) 一种新型口罩
KR20200119224A (ko) 탈착식 마스크 밸브 장치
KR20170000318U (ko) 마스크
CN207604528U (zh) 一种拉链式可拆的通气口罩
KR200496668Y1 (ko) 통기성 마스크
KR20210003367A (ko) 미세 먼지용 마스크
KR102445480B1 (ko) 코 마스크
KR200494145Y1 (ko) 코 마스크
KR20100128663A (ko) 위생용 입가리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