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524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524B1
KR102346524B1 KR1020150105169A KR20150105169A KR102346524B1 KR 102346524 B1 KR102346524 B1 KR 102346524B1 KR 1020150105169 A KR1020150105169 A KR 1020150105169A KR 20150105169 A KR20150105169 A KR 20150105169A KR 102346524 B1 KR102346524 B1 KR 102346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intake door
auxiliary
ai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2821A (ko
Inventor
김학규
이상기
이승호
이재민
이정은
이정재
최영호
강성호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5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524B1/ko
Publication of KR20170012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the detection of humidity or fro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테이크 도어와 보조 인테이크 도어의 제어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 정도에 따라 "외기"의 도입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 정도에 따라 최적량의 "외기"를 도입할 수 있으며, 이로써, 과도한 "외기 도입"없이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차량의 연비개선의 효과와 창유리의 김서림 방지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기모드위치와 내기모드위치 사이에서 운동하면서 외기도입구와 내기도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인테이크 도어(Intake Door)와, 보조 외기도입구에 대해 운동하면서 보조 외기도입구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보조 인테이크 도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차실내측 창유리부분의 습도에 따라 보조 인테이크 도어와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외기도입구와 보조 외기도입구를 통한 외기의 도입량을 창유리부분의 습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테이크 도어와 보조 인테이크 도어의 제어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 정도에 따라 "외기"의 도입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 정도에 따라 최적량의 "외기"를 도입할 수 있으며, 이로써, 과도한 "외기 도입"없이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차량의 연비개선의 효과와 창유리의 김서림 방지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차실내를 냉,난방하는 공조장치를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공조장치는, 차실내,외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인테이크 유닛(Intake Unit)을 구비한다.
인테이크 유닛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에 형성되는 외기도입구(12)와 내기도입구(14) 및 상기 외기도입구(12)와 내기도입구(14) 사이에 설치되는 인테이크 도어(Intake Door)(20)를 구비한다.
외기도입구(12)는, 차실외의 공기를 도입하고, 내기도입구(14)는 차실내의 공기를 도입한다.
인테이크 도어(20)는, 돔형(Dome Type)으로 구성되며, 공조케이스(10)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외기모드위치(A)"와 "내기모드위치(B)"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면서 외기도입구(12) 또는 내기도입구(14)를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따라서, 외기 또는 내기가 선택적으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인테이크 도어(20)는, "외기모드"가 선택되거나, 또는 공기의 토출모드가 창유리측의 "디프모드(Def. Mode)"로 제어될 시에만, "외기모드위치(A)"로 제어되면서 차실외의 공기"를 도입하고, 그 외의 모드에서는, "내기모드위치(B)"로 제어되면서 차실내의 공기를 도입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가능한 한 미리 온도조절된 차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공조장치의 냉,난방 부하를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에너지 손실"을 줄여 차량의 연비를 개선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인테이크 유닛은, 보조 외기도입구(16)와 보조 인테이크 도어(30)를 더 구비한다.
보조 외기도입구(16)는, 외기도입구(12)의 일측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외기도입구(12)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며, 비교적 소량의 차실외 공기를 도입하도록 구성된다.
보조 인테이크 도어(30)는, 플랫형(Flat Type)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공조케이스(10)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보조 외기도입구(16)에 대해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16)의 개도량을 조절한다.
이러한 보조 외기도입구(16)와 보조 인테이크 도어(30)는, 외기도입구(12)와는 별도로 차실외의 공기(이하, "외기"라 칭함)를 도입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외기도입구(12)가 인테이크 도어(20)에 의해 완전히 닫혀졌을 시에도, 소량의 "외기"를 도입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외기도입구(12)가 차단된 상태에서도, 소량의 "외기"를 차실내로 도입하고, 이를 통해, 외기도입구(12)가 차단된 상태에서도 차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게 한다.
이로써, 다량의 "외기"의 도입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를 최소화시키면서 동시에 최대한의 환기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차실내의 공기오염을 방지하면서 창유리측의 김서림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보조 인테이크 도어(30)는, 차량의 주행속도(이하, "차속"이라 칭함)에 따라 보조 외기도입구(16)에 대한 개도각이 능동적으로 가변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차속이 빠를수록, 이에 대응하여 보조 외기도입구(16)를 점차 닫는 방향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차속이 빠를수록, 보조 외기도입구(16)의 개도량이 점차 감소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차속이 빨라질 경우, 빠른 차속으로 인한 주행풍이 보조 외기도입구(16)로 도입되면서 내기도입구(14)로 역류하여 차실내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차속이 빨라질수록, 이에 비례하여 주행풍도 점차적으로 커지므로, 차속이 빨라질수록, 점차 많은 량의 주행풍이 보조 외기도입구(16)로 도입되면서 내기도입구(14)로 역류하여 차실내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차속이 빠를수록, 이에 대응하여 보조 외기도입구(16)의 개도량을 점차 줄여줌으로써, 차속이 빠를수록, 이에 비례하여 커지는 주행풍의 보조 외기도입구(16) 역류현상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차속이 빠를수록 보조 외기도입구(16)의 개도량을 점차 줄여주는 구조이므로,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차속이 빠른 상태에서 창유리부분에 김서림이 발생되더라도, 보조 외기도입구(16)의 개도량이 오히려 저감되면서 "외기"의 도입량이 줄어들므로, 창유리부분에 발생된 김서림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운전자의 시계확보에 매우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결과, 주행 중 안전운전에 많은 지장을 받는다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이를 감안하여, 창유리에 김서림이 발생될 경우, 오토 디포깅 장치(Auto Defogging Device)(도시하지 않음)가 이를 감지하여 인테이크 도어(20)와 보조 인테이크 도어(30)를 "풀 후레쉬 모드"(Full Fresh Mode)로 제어하고, 이를 통해, 외기도입구(12)와 보조 외기도입구(16) 모두를 완전히 개방하여, "외기" 도입량을 대폭적으로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어구조는,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 시에, 인테이크 도어(20)와 보조 인테이크 도어(30)를 "풀 후레쉬 모드"로 제어하여, 외기도입구(12)와 보조 외기도입구(16) 모두를 완전히 개방하는 구조이므로, 많은 량의 "외기"가 한꺼번에 도입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공조장치의 냉,난방 부하가 급격하게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에너지 소비"가 가중된다는 결점이 있으며, 그 결과, 차량의 연비가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인테이크 도어와 보조 인테이크 도어의 제어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차속에 관계없이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빠른 차속조건에서 창유리의 김서림이 발생될 시,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테이크 도어와 보조 인테이크 도어의 제어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 시에, 다량의 "외기" 도입없이도 창유리의 김서림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량의 "외기" 도입없이도 창유리의 김서림을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다량의 "외기"의 도입으로 인한 "냉,난방 부하 증가"를 방지하면서도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난방 부하 증가"를 방지하면서도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연비개선의 효과와 창유리의 김서림 방지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외기모드위치와 내기모드위치 사이에서 운동하면서 상기 외기도입구와 내기도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인테이크 도어(Intake Door)와, 보조 외기도입구에 대해 운동하면서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보조 인테이크 도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차실내측 창유리부분의 습도에 따라 상기 보조 인테이크 도어와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상기 외기도입구와 보조 외기도입구를 통한 외기의 도입량을 창유리부분의 습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창유리부분의 습도가 미리 설정된 제 1기준 창유리 습도 이상이면, 제 1디포깅 모드로 진입하면서 상기 보조 인테이크 도어를 최대개방위치(Max Open)로 제어하여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를 1차로 개방시키고, 상기 제 1디포깅 모드 진입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창유리부분의 습도가 상기 제 1기준 창유리 습도보다 낮게 설정된 제 2기준 창유리 습도 이상이면, 제 2디포깅 모드로 진입하면서 상기 인테이크 도어를 외기모드위치로 제어하여 상기 외기도입구를 2차로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디포깅 모드의 진입 전에, 상기 보조 인테이크 도어가 이미 최대개방위치로 제어되고 있는 상태이면, 창유리부분의 습도가 상기 제 1기준 창유리 습도 이상일 시에, 상기 제 2디포깅 모드로 직접 진입하면서 상기 인테이크 도어를 외기모드위치로 제어하여 상기 외기도입구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디포깅 모드의 진입 상태에서, 창유리부분의 습도가, 상기 제 2기준 창유리 습도 미만으로 저하되면, 상기 제 2디포깅 모드로부터 해제되면서 상기 인테이크 도어와 보조 인테이크 도어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인테이크 도어는, 차속이 빠를수록, 이에 대응하여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를 점차 닫는 방향으로 제어되어, 차속이 빠를수록,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의 개도량을 점차 감소시켜 외기의 도입량을 차속에 따라 제어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창유리 습도"에 따라 보조 인테이크 도어와 인테이크 도어를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외기의 도입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구조이므로,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 정도에 따라, "외기"의 도입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 정도에 따라 최적량의 "외기"를 도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 정도에 따라 최적량의 "외기"를 도입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 시에, 무조건 "풀 후레쉬 모드"(Full Fresh Mode)로 제어하여 다량의 "외기"를 한꺼번에 도입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특히, 다량의 "외기"를 한꺼번에 도입함에 따른 과도한 "외기 도입"과, 과도한 "외기 도입"으로 인한 "냉,난방 부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 정도에 따라 최적량의 "외기"를 도입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차속에 관계없이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빠른 차속조건에서 창유리의 김서림이 발생될 시,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최적량의 "외기"를 도입하여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과도한 "외기 도입"으로 인한 "냉,난방 부하 증가"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창유리의 김서림 방지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연비개선의 효과와 창유리의 김서림 방지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보조 인테이크 도어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인테이크 도어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차량용 공조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실내,외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인테이크 유닛을 구비한다.
인테이크 유닛은, 외기도입구(12)와 내기도입구(14) 및, 인테이크 도어(20)를 구포함한다.
외기도입구(12)는, 차실외의 공기를 도입하고, 내기도입구(14)는 차실내의 공기를 도입한다.
인테이크 도어(20)는, "외기모드위치(A)"와 "내기모드위치(B)"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면서 외기도입구(12) 또는 내기도입구(14)를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따라서, 외기 또는 내기가 선택적으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통상적으로, 인테이크 도어(20)는, "외기모드"가 선택되거나, 또는 "디프모드"로 제어될 시에만, "외기모드위치(A)"로 제어되면서 차실외의 공기"를 도입하고, 그 외의 모드에서는, "내기모드위치(B)"로 제어되면서 차실내의 공기를 도입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인테이크 유닛은, 보조 외기도입구(16)와 보조 인테이크 도어(30)를 더 포함한다.
보조 외기도입구(16)는, 차실외 공기를 도입하고, 보조 인테이크 도어(30)는, 보조 외기도입구(16)에 대해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16)의 개도량을 조절한다. 특히, 보조 외기도입구(16)에 대해 4단계로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16)의 개도량을 4단계로 조절한다.
이러한 보조 외기도입구(16)와 보조 인테이크 도어(30)는, 외기도입구(12)와는 별도로 "외기"를 도입한다. 따라서, 외기도입구(12)가 차단된 상태에서도, 소량의 "외기"가 차실내로 도입될 수 있게 하며, 이로써, 외기도입구(12)가 차단된 상태에서도 차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보조 인테이크 도어(30)는, "차속"이 빠를수록, 이에 대응하여 보조 외기도입구(16)를 점차 닫는 방향으로 제어된다. 따라서, "차속"이 빠를수록, 보조 외기도입구(16)의 개도량을 점차 감소시켜, "외기"의 도입량을 차속에 따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창유리 습도 감지수단(40)을 구비한다.
창유리 습도 감지수단(40)은, 차실내의 창유리측부분에 설치되는 습도센서로 구성되며, 이렇게 구성된 습도센서는 창유리측부분의 습도를 감지한 다음, 감지된 "창유리 습도" 데이터를 후술하는 제어부(50)에 입력시킨다.
여기서, 창유리 습도 감지수단(40)의 습도센서는, 기존에 설치된 오토 디포깅 장치(Auto Defogging Device)의 디포그 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별도의 습도센서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창유리측부분의 습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비용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도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제어부(50)를 구비한다.
제어부(5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창유리 습도 감지수단(40)으로부터 현재의 "창유리 습도"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창유리 습도"에 따라 상기 보조 인테이크 도어(30)와 인테이크 도어(20)를 제어하여 외기의 도입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한다.
따라서,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 정도에 따라, "외기"의 도입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한다. 이로써,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 정도에 따라 최적량의 "외기"를 도입하여, 과도한 "외기 도입"과, 과도한 "외기 도입"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예방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50)는, 창유리 습도 감지수단(40)으로부터 현재의 "창유리 습도"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창유리 습도"와 미리 내장된 "제 1기준 창유리 습도"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창유리 습도 감지수단(40)의 "창유리 습도"가, "제 1기준 창유리 습도" 이상이면, 제어부(50)는, 현재 창유리부분의 습도가 높아서 창유리부분에 김서림이 발생할 우려가 매우 많으므로, "외기"의 도입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이 들면, 제어부(50)는, "제 1디포깅 모드(52)"로 진입하고, "제 1디포깅 모드(52)"로 진입한 제어부(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인테이크 도어(30)를 "최대개방위치(C)(Max Open)"로 제어하여, 보조 외기도입구(16)를 완전히 개방시킨다.
따라서, 완전히 개방된 보조 외기도입구(16)를 통해 비교적 많은 량의 "외기"가 도입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공기가 환기되면서 창유리부분의 습도를 1차적으로 낮출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제어부(50)는, 보조 외기도입구(16)에 대한 보조 인테이크 도어(30)의 개도위치에 관계없이, 즉, 4단계의 개도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창유리 습도 감지수단(40)의 "창유리 습도"가, "제 1기준 창유리 습도" 이상이면, 무조건 상기 보조 인테이크 도어(30)를 "최대개방위치(C)"로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50)는, 미리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창유리 습도 감지수단(40)으로부터 입력된 "창유리 습도"와, 상기 "제 1기준 창유리 습도"보다 높게 설정된 "제 2기준 창유리 습도"를 다시 비교한다.
비교 결과, 창유리 습도 감지수단(40)의 "창유리 습도"가, "제 2기준 창유리 습도" 이상이면, 제어부(50)는, 여전히 창유리부분의 습도가 낮아지지 않아서 창유리에 김서림이 발생할 우려가 매우 많으므로, "외기"의 도입량을 다시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이 들면, 제어부(50)는, "제 2디포깅 모드(54)"로 진입하고, "제 2디포깅 모드(54)"로 진입한 제어부(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테이크 도어(20)를 "외기모드위치(A)"로 제어하여, 외기도입구(12)를 완전히 개방시킨다.
따라서, 완전히 개방된 외기도입구(12)를 통해 다량의 "외기"가 도입될 수 있게 한다. 특히, 1차적으로 개방된 보조 외기도입구(16)와 함께 "풀 후레쉬 모드"(Full Fresh Mode)로 제어되면서 다량의 "외기"가 도입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차실내의 공기가 환기되면서 창유리부분의 습도를 2차적으로 낮출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50)는, "제 1디포깅 모드(52)"로 진입하기 전에, 보조 인테이크 도어(30)가 이미 "최대개방위치(C)"로 제어되고 있는 상태일 경우에는, 창유리 습도 감지수단(40)의 "창유리 습도"가, "제 1기준 창유리 습도" 이상으로 판단되면, "제 1디포깅 모드(52)"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제 2디포깅 모드(54)"로 진입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보조 인테이크 도어(30)가 이미 "최대개방위치(C)"로 제어되고 있는 상태에서, 창유리 습도 감지수단(40)의 "창유리 습도"가, "제 1기준 창유리 습도" 이상이면, 인테이크 도어(20)가 곧바로 "외기모드위치(A)"로 제어되면서 외기도입구(12)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외기도입구(12)와 보조 외기도입구(16)가 "풀 후레쉬 모드"(Full Fresh Mode)로 제어되면서 대량의 "외기"가 도입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창유리부분의 습도가 현저하게 낮아지면서 창유리의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제어부(50)는, "제 2디포깅 모드(54)"로 진입한 상태에서, 창유리 습도 감지수단(40)으로부터 입력된 "창유리 습도"가, "제 1기준 창유리 습도" 미만으로 저하되면, 창유리의 김서림 우려가 해소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이 들면, 제어부(50)는, "제 2디포깅 모드(54)"로부터 해제되면서 인테이크 도어(20)와 보조 인테이크 도어(30)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킨다. 특히, 인테이크 도어(20)를 원래의 "내기모드위치(B)"로 복귀시키고, 보조 인테이크 도어(3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따라서, 외기도입구(12)가 차단될 수 있게 하고, 보조 인테이크 도어(30)의 개도각이 "차속"에 따라 가변제어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과도한 "외기" 도입을 제한하고, 그 결과, 과도한 "외기" 도입으로 인한 "냉,난방 부하 증가"를 방지하여 차량의 연비를 개선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공조장치가 온(ON)된 상태에서(S101), 현재의 "창유리 습도"가 미리 내장된 "제 1기준 창유리 습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03).
판단 결과, 현재의 "창유리 습도"가, "제 1기준 창유리 습도" 이상이면, 제어부(50)는, 보조 인테이크 도어(30)가 "최대개방위치(C)"로 제어되고 있는 상태인지를 다시 판단한다(S105).
판단 결과, 보조 인테이크 도어(30)가 "최대개방위치(C)"로 제어되고 있는 상태이면, 제어부(50)는, 곧바로 "제 2디포깅 모드(54)"로 진입하고(S107), 제 2디포깅 모드(54)"로 진입한 제어부(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테이크 도어(20)를 "외기모드위치(A)"로 제어하면서(S109) 외기도입구(12)를 개방시킨다(S111).
그러면, 외기도입구(12)와 보조 외기도입구(16)가 "풀 후레쉬 모드"로 제어되면서 대량의 "외기"가 도입된다. 그 결과, 창유리부분의 습도가 현저하게 낮아지면서 창유리의 김서림을 방지한다.
다시,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50)는, "제 2디포깅 모드(54)"로 진입한 상태에서, "창유리 습도"가, "제 1기준 창유리 습도" 미만으로 저하되는 지를 다시 판단한다(S113).
판단 결과, "제 1기준 창유리 습도" 미만으로 저하되면, 제어부(50)는, 창유리의 김서림 우려가 해소된 것으로 인식하고, 이러한 인식에 따라 "제 2디포깅 모드(54)"로부터 해제된다(S115).
그리고 "제 2디포깅 모드(54)"로부터 해제된 제어부(50)는, 인테이크 도어(20)와 보조 인테이크 도어(30)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킨다(S117).
그러면, 인테이크 도어(20)가 원래의 "내기모드위치(B)"로 복귀되면서 외기도입구(12)를 차단하고, 보조 인테이크 도어(30)가 "차속"에 따라 가변제어된다.
다시,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S10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보조 인테이크 도어(30)가 "최대개방위치(C)"로 제어되고 있는 상태가 아니면(S105-1), 제어부(50)는, "제 1디포깅 모드(52)"로 진입한다(S119).
그리고 "제 1디포깅 모드(52)"로 진입한 제어부(50)는, 보조 인테이크 도어(30)를 "최대개방위치(C)"로 제어한다(S121)(도 3참조).
그러면, 보조 외기도입구(16)가 완전히 개방되고, 완전히 개방된 보조 외기도입구(16)를 통해 비교적 많은 량의 "외기"가 도입되며, 이를 통해, 차실내의 공기가 환기되면서 창유리부분의 습도가 1차적으로 낮아진다. 그 결과,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이 방지된다.
한편, 제어부(50)는, "제 1디포깅 모드(52)"의 진입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경과 후, 현재의 "창유리 습도"가 "제 1기준 창유리 습도"보다 높은 "제 2기준 창유리 습도" 이상인지를 다시 판단한다(S123).
판단 결과, 현재의 "창유리 습도"가, "제 2기준 창유리 습도" 이상이면, 제어부(50)는, 여전히 창유리부분의 습도가 낮아지지 않아서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 우려가 있으므로, "외기"의 도입량을 다시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고, 이러한 인식에 따라 "제 2디포깅 모드(54)"로 진입한다(S107).
그리고 "제 2디포깅 모드(54)"로 진입한 제어부(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테이크 도어(20)를 "외기모드위치(A)"로 제어하면서(S109) 외기도입구(12)를 개방시킨다(S111).
그러면, 외기도입구(12)와 보조 외기도입구(16)가 "풀 후레쉬 모드"로 제어되면서 대량의 "외기"가 도입된다. 그 결과, 창유리부분의 습도가 현저하게 낮아지면서 창유리의 김서림을 방지한다.
다시,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50)는, "제 2디포깅 모드(54)"로 진입한 상태에서, "창유리 습도"가, "제 1기준 창유리 습도" 미만으로 저하되는 지를 다시 판단한다(S113).
판단 결과, "제 1기준 창유리 습도" 미만으로 저하되면, 제어부(50)는, 창유리의 김서림 우려가 해소된 것으로 인식하고, 이러한 인식에 따라 "제 2디포깅 모드(54)"로부터 해제된다(S115).
그리고 "제 2디포깅 모드(54)"로부터 해제된 제어부(50)는, 인테이크 도어(20)와 보조 인테이크 도어(30)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킨다(S117).
그러면, 인테이크 도어(20)가 원래의 "내기모드위치(B)"로 복귀되면서 외기도입구(12)를 차단하고, 보조 인테이크 도어(30)가 "차속"에 따라 가변제어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공조장치에 의하면, "창유리 습도"에 따라 보조 인테이크 도어(30)와 인테이크 도어(20)를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외기의 도입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구조이므로,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 정도에 따라, "외기"의 도입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 정도에 따라 최적량의 "외기"를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 정도에 따라 최적량의 "외기"를 도입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 시에, 무조건 "풀 후레쉬 모드"(Full Fresh Mode)로 제어하여 다량의 "외기"를 한꺼번에 도입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특히, 다량의 "외기"를 한꺼번에 도입함에 따른 과도한 "외기 도입"과, 과도한 "외기 도입"으로 인한 "냉,난방 부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 정도에 따라 최적량의 "외기"를 도입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차속에 관계없이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빠른 차속조건에서 창유리의 김서림이 발생될 시,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최적량의 "외기"를 도입하여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과도한 "외기 도입"으로 인한 "냉,난방 부하 증가"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창유리의 김서림 방지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연비개선의 효과와 창유리의 김서림 방지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공조케이스(Case) 12: 외기도입구
14: 내기도입구 16: 보조 외기도입구
20: 인테이크 도어(Intake Door) 30: 보조 인테이크 도어
40: 창유리 습도 감지수단 50: 제어부
52: 제 1디포깅 모드(Defogging Mode) 54: 제 2디포깅 모드
A: 외기모드위치 B: 내기모드위치
C: 최대개방위치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외기모드위치(A)와 내기모드위치(B) 사이에서 운동하면서 외기도입구(12)와 내기도입구(14)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인테이크 도어(Intake Door)(3)와, 보조 외기도입구(16)에 대해 운동하면서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16)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보조 인테이크 도어(3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차실내측 창유리부분의 습도에 따라 상기 보조 인테이크 도어(30)와 인테이크 도어(20)를 제어하여, 상기 외기도입구(12)와 보조 외기도입구(16)를 통한 외기의 도입량을 창유리부분의 습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50)는,
    창유리부분의 습도가 미리 설정된 제 1기준 창유리 습도 이상이면, 제 1디포깅 모드(52)로 진입하면서 상기 보조 인테이크 도어(30)를 최대개방위치(C)(Max Open)로 제어하여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16)를 1차로 개방시키고;
    상기 제 1디포깅 모드(52) 진입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창유리부분의 습도가 상기 제 1기준 창유리 습도보다 높게 설정된 제 2기준 창유리 습도 이상이면, 제 2디포깅 모드로 진입하면서 상기 인테이크 도어(20)를 외기모드위치(A)로 제어하여 상기 외기도입구(12)를 2차로 개방시키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 1디포깅 모드(52)의 진입 전에, 상기 보조 인테이크 도어(30)가 이미 최대개방위치(C)로 제어되고 있는 상태이면, 창유리부분의 습도가 상기 제 1기준 창유리 습도 이상일 시에, 상기 제 2디포깅 모드(54)로 직접 진입하면서 상기 인테이크 도어(20)를 외기모드위치(A)로 제어하여 상기 외기도입구(12)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인테이크 도어(30)는,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16)에 대한 개도위치가 4단계로 제어되며;
    상기 제어부(50)는, 창유리부분의 습도가 상기 제 1기준 창유리 습도 이상일 시에, 상기 보조 인테이크 도어(30)를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16)에 대한 개도위치에 관계없이 최대개방위치(C)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 2디포깅 모드(54)의 진입 상태에서, 창유리부분의 습도가, 상기 제 1기준 창유리 습도 미만으로 저하되면, 상기 제 2디포깅 모드(54)로부터 해제되면서 상기 인테이크 도어(20)와 보조 인테이크 도어(3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인테이크 도어(30)는,
    차속이 빠를수록, 이에 대응하여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16)를 점차 닫는 방향으로 제어되어, 차속이 빠를수록, 상기 보조 외기도입구(16)의 개도량을 점차 감소시켜 외기의 도입량을 차속에 따라 제어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50105169A 2015-07-24 2015-07-24 차량용 공조장치 KR102346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169A KR102346524B1 (ko) 2015-07-24 2015-07-24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169A KR102346524B1 (ko) 2015-07-24 2015-07-24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821A KR20170012821A (ko) 2017-02-03
KR102346524B1 true KR102346524B1 (ko) 2022-01-05

Family

ID=58156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169A KR102346524B1 (ko) 2015-07-24 2015-07-24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5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884B1 (ko) 2017-08-11 2019-10-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 방법
CN114590228A (zh) * 2020-12-04 2022-06-07 纬湃汽车电子(长春)有限公司 用于运行机动车车载空调系统的方法及除雾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3533A (ja) 2005-05-31 2011-05-12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KR101575546B1 (ko) * 2014-12-05 2015-1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5626A (ko) * 2013-01-24 2014-08-0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3533A (ja) 2005-05-31 2011-05-12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KR101575546B1 (ko) * 2014-12-05 2015-1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821A (ko) 2017-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06721A1 (en) Energy-efficient vehicle window defogging and prevention of re-freezing
CN111731153B (zh) 车辆用电池冷却系统
US20150273975A1 (en) Reverse flow automotive ventilation system
CN108556592A (zh) 一种车窗自动升降控制方法及其系统
KR10234652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90017419A (ko)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 방법
KR10229549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91243B1 (ko) 자동차의 지능형 공조 시스템 및 방법
US20160229265A1 (en) Vehicle speed induced ventilation for motor vehicle
KR20170023434A (ko) 차량의 환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6000442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6051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2619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2943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3724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28598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2346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75546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176636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61940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4968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3724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3989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64720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3379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