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123B1 -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123B1
KR102346123B1 KR1020210018711A KR20210018711A KR102346123B1 KR 102346123 B1 KR102346123 B1 KR 102346123B1 KR 1020210018711 A KR1020210018711 A KR 1020210018711A KR 20210018711 A KR20210018711 A KR 20210018711A KR 102346123 B1 KR102346123 B1 KR 102346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tagnant
passage
fix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일현
Original Assignee
백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일현 filed Critical 백일현
Priority to KR1020210018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1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상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고정판넬과,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상단에 거치대가 형성된 승강판넬이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고정판넬의 상측 양단에 회전핀이 개재된 수용홈과, 상기 승강판넬의 측면에 소정 크기로 함몰된 레일이 형성되는 장착부; 및 상기 수용홈 상에 회전핀으로 장착되고, 상기 레일과 맞물려 승강판넬을 설정된 높이로 고정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회전축과 맞물려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로 유동시키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 면서 유동에 따라 회전을 저지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출몰되게 연결되고 일방향의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 기 승강판넬의 인위적인 하강에 따라 브라켓를 회전시켜 승강판넬의 고정이 자동으로 해제되는 실린더가 구비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A PARTITION CAP ABLE OF HEIGHT ADJUSTMENT}
본 발명은 책상과 책상 사이에 배치되어 직원들의 시야를 제한해주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의도나 사무실의 환경에 따라 임의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실내 공기를 흡입, 살균, 배출하여 쾌적한 업무환경을 조성해줄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사무실이나 각종 업무현장에서 일정한 공간을 구획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파티션은, 그 용도나 외관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선보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칸막이를 포함하는 개념의 광범위한 파티션은 사생활의 간접적인 보호는 물론 개인별, 혹은 부서별 업 무의 효율성을 높힐 수 있는 중요한 사무용 기구의 하나로서 폭넓게 발전하고 있다.
통상 이러한 용도의 파티션은, 별도의 벽체 시공없이 소정의 높이와 소정의 폭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 되는데, 적어도 2개 이상의 칸막이가 구비되어 이를 좌,우 측면으로 병설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파티션은 그 높이가 최초 제조시에 2~3종류의 일정 규격으로 규격화되어 있기 때문에 선택의 폭이 좁고, 파티션의 시공시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를 맞추기 위해서는 공장에서 별도로 제작하여 설치해야 함으로 설치 단가가 상승되며, 원하는 규격을 선택한 경우에도 실제 설치 시공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계약상 별 수 없이 일정한 크기로 정해진 규격의 제품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불편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73894호
본 발명은, 책상과 책상 사이에 배치되어 직원들의 시야를 제한해줄 수 있고, 사용자의 의도, 사무실의 환경 등에 따라 임의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 공기를 흡입, 살균, 배출하여 쾌적한 업무환경을 조성해줄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 공기를 살균하는 과정에서 공기를 정체시키거나 우회시킴으로써, 공기의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치키스나 펀칭기 등의 사무용품을 옆자리 직원과 용이하게 주고 받도록 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업무에 관련된 내용이 인쇄된 출력물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책상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켜줄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은, 상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고정판넬과,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상단에 거치대가 형성된 승강판넬이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고정판넬의 상측 양단에 회전핀이 개재된 수용홈과, 상기 승강판넬의 측면에 소정 크기로 함몰된 레일이 형성되는 장착부; 및 상기 수용홈 상에 회전핀으로 장착되고, 상기 레일과 맞물려 승강판넬을 설정된 높이로 고정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회전축과 맞물려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로 유동시키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 면서 유동에 따라 회전을 저지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출몰되게 연결되고 일방향의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 기 승강판넬의 인위적인 하강에 따라 브라켓를 회전시켜 승강판넬의 고정이 자동으로 해제되는 실린더가 구비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넬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하측에 외기가 흡입되는 흡기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를 상승시키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며 상측에 외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흡기홀을 통해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통로에 전달하는 흡입부; 상기 하우징의 통로에 설치되며 상기 통로로 유입된 외기를 정화하는 정화부;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정화부에 의해 정화된 외기를 상기 배기홀을 통해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거치대의 상면에 배치되는 전달부; 및 상기 거치대의 상면에 배치되고, 업무자료를 부착하도록 마련되는 부착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화부는, 상기 통로에 배치되며 외기를 상승시키는 통과홀을 포함하며,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가 수직방향으로 연속되게 교차되게 형성되어 톱니파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로증가부;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의 사이마다 배치되며 외기를 살균하는 UV 램프; 상기 제1 경사부 및 제2 경사부의 사이마다 배치되며 외기를 정체시키는 제1 정체부; 최상부에 위치된 제1 경사부의 상면에 배치되고 외기를 정체시키는 제2 정체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내부에는 상기 경로증가부가 수용되는 제3 정체부;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정체부는, 상기 제1 경사부 및 제2 경사부의 상면에 각각 안착되고, 상기 통과홀과 연결되며 상기 통과홀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연결홀이 형성된 막음판; 상기 연결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연결홀을 통과하는 외기의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에어포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속도 증가부; 및 상기 제1 경사부 및 상기 제2 경사부의 상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막음판이 상기 통과홀의 상부에 위치되거나 또는, 이탈되도록 상기 막음판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정체부는, 최상부에 위치된 제1 경사부의 상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최상부에 위치된 제1 경사부의 통과홀을 통과한 외기를 상승시키는 상승시키는 상승통로가 형성된 본체; 일측이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벽에 상향 경사지게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본체의 내부 타측벽과 이격되는 제1 정체막; 및 상기 제1 정체막의 상측과 소정간격 이격되고 일측이 상기 본체의 내부 타측벽에 상향 경사지게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벽과 이격되는 제2 정체막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3 정체부는, 내부에 상기 경로증가부가 수용되고 외면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수평연결바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둘레면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과 이격되고, 상기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흡착하는 복수개의 흡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달부는, 상기 거치대의 상면에 안착되는 공압실린더; 및 상기 공압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거치대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며 상면에 피안착물이 안착되고 가장자리에는 피안착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낙하방지벽이 형성된 전달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거치대의 상면에 설치되고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에 축 결합되고, 상기 고정바와 반대 극성을 갖는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회동바; 상기 회동바의 끝단에 고정되는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에 여러겹으로 포개지는 형태로 고정되며 일면에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부착필름;을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책상과 책상 사이에 배치되어 직원들의 시야를 제한해줄 수 있고, 사용자의 의도, 사무실의 환경 등에 따라 임의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실내 공기를 흡입, 살균, 배출하여 쾌적한 업무환경을 조성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 공기를 살균하는 과정에서 공기를 정체시키거나 우회시킴으로써, 공기의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호치키스나 펀칭기 등의 사무용품을 옆자리 직원과 용이하게 주고 받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업무에 관련된 내용이 인쇄된 출력물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책상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을 부분적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의 승강작동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에 하우징과 전달부 및 부착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
도 7은 도 6의 A-A' 단면도.
도 8는 도 7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에 적용된 제1 정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B-B'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에 적용된 전달부의 작동을 도시한 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에 적용된 부착부의 작동을 도시한 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을 부분적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의 승강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은 프레임(10)과 장착부(20) 및 조절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내부에 상측으로 개구된 수용공간(11a)이 형성된 고정판넬(11)과, 수용공간(11a)에 삽입되며 상단에 거치대(15a)가 형성된 승강판넬(15)이 구비된다. 프레임(10)은 도 1처럼 전체적으로 사각의 판형으로 규격화된 크기로 형성된다. 이러한 프레임(10)은 높이를 연장하기 위해 고정판넬(11)과 승강판넬(15)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다.
고정판넬(11)은 하단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가 장착되거나 바닥에 밀착 고정하도록 조절다리가 장착된다. 이러한 고정판넬(11)은 다양한 색감과 문양을 지니도록 하여 미감을 향상해주는 것이 좋고, 내구성이 우수하도록 금속재와 수지재를 병행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부에는 승강판넬(15)을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공간(11a)이 마련된다. 여기서 수용공간(11a)은 승강판넬(15)의 사이즈보다 크게 하여 유동이 용이하게 형성해두는 것이 좋다.
승강판넬(15)은 수용공간(11a)이 삽입되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인출(연장)되어 진다. 이러한 승강판넬(15)은 인출 시에 중량을 최소화 하도록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단에는 고정판넬(11)의 상단을 마감처리 해주면서 인출이 용이하도록 손잡이 기능을 수행하는 거치대(15a)가 형성된다. 거치대(15a)는 미감을 향상 하면서 중량이 가벼운 알루미늄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20)는 고정판넬(11)의 상측 양단에 회전핀(21a)이 개재된 수용홈(21)과, 승강판넬(15)의 측면에 소정 크기로 함몰된 레일(25)이 형성된다. 장착부(20)는 도 1처럼 고정판넬(11)에 후술하는 조절부(30)가 장착되게 유도하고, 승강판넬(15)이 조절부(30)와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수용홈(21)은 도 2처럼 조절부(30)를 장착시키는 공간으로서, 조립과 정비가 용이하도록 고정판넬(11)의 상측에형성된다.
이러한 수용홈(21)은 조절부(30)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회전핀(21a)과 함께 회전 영역을 제한하는 고정핀(21b)이 소정 위치에 개재된다.
회전핀(21a)과 고정핀(21b)의 상세한 역할에 대해서는 조절부와 함께 설명하겠다.
레일(25)은 도 2처럼 승강판넬(15)의 측면에 형성되는 홈으로서, 조절부(30)와 연동하여 고정판넬(11)로부터 슬라이딩 운동을 유도한다.
즉, 레일(25)이 조절부(30)의 롤러(31)와 맞물려 조절하는 과정에서 정위치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승강판넬(15)이 고정판넬(11)과 마찰되지 않아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 할수가 있고, 적은 힘으로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레일(25)을 배제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절부(30)는 수용홈(21)상에 회전핀(21)으로 장착되고, 레일(25)과 맞물려 승강판넬(15)을 설정된 높이로 고정하는 롤러(31)가 구비된다. 조절부(30)는 도 1처럼 수용홈(21)에 장착되어 레일(25)과 맞물려 승강판넬(15)의 유동에 따라 자동으로 회전하는 롤러(31)를 통해 승강판넬(15)을 고정판넬(11)로부터 임의의 높낮이에서 고정해준다.
이러한 조절부(30)는 도 2처럼 롤러(31)의 회전축(31a)과 맞물려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로 유동시키는 코일 스프링(32)과, 롤러(31)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면서 유동에 따라 회전을 저지하는 브라켓(33)과, 브라켓(33)을 출몰되게 연결되고 일방향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실린더(35)로 구성된다.
롤러(31)는 레일(25)내에 수용되는 연질의 고무재로 형성되고, 중앙에 회전축(31a)에 의해 승강판넬(15)의 유동에 따라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롤러(33)의 회전축(31a)은 브라켓(33)에 형성된 장형의 유동공(33a)에 삽입장착된다. 그리고 브라켓(33)에는 회전축(31a)과 맞물리고 일방향의 탄성을 부여하는 코일 스프링(32)이 장착된다. 여기서 회전축(31a)과 코일 스프링(32)은 상호 밀착되는 부위에 연질의 고무재가 덧씌워지거나 서로 치합하는 톱니가 형성된다.
즉, 레일(25)에 회전방향에 따라 롤러(31)가 유동공(33a)상에서 좌우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롤러(31)가 우측으로 유동하게 되면 롤러(31)의 외주면이 브라켓(33)의 내주단과 맞물리게 되어 회전이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브라켓(33)의 일단에는 로드(33b)가 돌출형성 되는데, 로드(33b)는 실린더(35)내에 스냅링(S)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실린더(35)의 내부에는 압축 스프링(35a)이 수용되어 로드(33b)에 일방향의 탄성을 부여한다.
이러한 실린더(35)는 회전핀(21)에 결합되어 브라켓(32)을 고정핀(21b)에 의한 소정 영역 내에서 회전시켜 준다.
따라서 실린더(35)는 승강판넬(15)의 인위적인 하강에 따라 브라켓(33)을 회전시켜 승강판넬(15)의 고정을 자동으로 해제시켜 준다. 이러한 작동에 관련해서는 실제 승강판넬(15)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실시예를 바탕으로 상세히 설명하겠다.
최초 승강판넬(15)이 고정판넬(11)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도 2처럼 롤러(31)는 브라켓(33)의 유동공(33a)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되어 회전이 차단된 상태이고, 롤러(31)와 브라켓(33)은 실린더(35)내에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이다.
여기서 승강판넬(15)의 거치대(15a)를 파지하고 원하는 높이로 인출을 개시하면, 도 3처럼 실린더(35)가 회전핀(21)을 중심으로 고정핀(21b)까지 회전하게 된다.
브라켓(33)이 회전을 하더라도 압축 스프링(35a)에 의해 롤러(31)를 레일(25)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켜준다.
즉, 롤러(31)는 레일(25)을 따라 우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에 의한 회전축(31a)이 코일 스프링(32)을 타고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롤러(31)의 회전이 자유롭게 해제된다. 따라서 승강판넬(15)을 인출과 동시에 압축 스프링(35a)에 의한 압박이 순간적으로 해제하게 되므로 적은 힘으로 쉽고 간편하게 인출할 수가 있다.
이어서 승강판넬(15)을 원하는 높이로 인출이 완료되면, 도 4처럼 승강판넬(15)의 하중에 의해 미세한 거리로 하강하게 된다.
승강판넬(15)이 하강하면 롤러(31)가 레일(25)을 따라 좌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에 의한 회전축(31a)이 코일 스프링(32)을 타고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롤러(31)의 회전이 구속하게 된다. 롤러(31)의 회전이 구속되면, 레일(25)과 정지마찰이 생성되어 승강판넬(15)을 고정시켜 준다.
여기서 승강판넬(15)의 높낮이를 수정하기 위해 하강이 필요할 때는 단순히 승강판넬(15)을 인위적으로 눌러주면 인가한 만큼만 하강하게 된다. 즉, 승강판넬(15)이 정지된 상태에서 하강시켜 주면, 도 5처럼 롤러(31)와 브라켓(33)이 본래의 위치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롤러(31)와 브라켓(33)이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정지마찰이 소실된다. 조절이 완료된 이후엔 순간적으로 압축 스프링(35a)에 의한 압박으로 정지마찰이 재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승강판넬(15)의 하강에 필요한 힘은 정지마찰과 압축 스프링(35a)의 탄성계수를 극복하는 힘만이 요구되므로 극히 미약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절과정에서 소음과 진동을 억제함은 물론, 마찰을 최소화 하여 적은 힘으로도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도6 내지 도 12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1)에 적용된 하우징(40)과, 흡입부(50)와, 정화부(60), 배출부(70)와, 전달부(80) 및 부착부(9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에 하우징과 전달부 및 부착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 단면도이며, 도 8는 도 7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에 적용된 제1 정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7의 B-B'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에 적용된 전달부의 작동을 도시한 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에 적용된 부착부의 작동을 도시한 도이다.
먼저, 하우징(40)과, 흡입부(50)와, 정화부(60), 배출부(70)는 실내공기를 흡입 및 정화하여, 실내에 쾌적한 공기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하우징(40)은 고정판넬(11)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하우징(40)은 직사각형 관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40)은 흡입부(50)와 정화부(60) 및 배출부(7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된다.
그리고, 하우징(40)의 개방된 부분은 덮개(미도시)에 의해 개폐된다.
하우징(40)의 하측에는 외기가 흡입되는 흡기홀(41)이 형성되고, 내부에 외기를 상승시키기 위한 통로(42)가 형성되며, 상측에는 외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홀(43)이 형성된다.
흡입부(50) 및 배출부(70)는 팬(FAN)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50)는 하우징(4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흡기홀(41)과 마주한다.
배출부(70)는 하우징(40)의 천장면에 설치되어 배기홀(43)과 마주한다.
흡입부(50) 및 배출부(70)가 작동하면 하우징(40)의 외부와 내부 간의 압력차가 발생된다.
즉, 흡입부(50)의 작동에 의해 실내의 공기는 흡기홀(41)을 통해 통로(42)로 유입되고, 배출부(70)의 작동에 의해 통로(42)로 유입된 공기는 통로(42)를 따라 상승한 후, 배기홀(43)을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은 하우징(40)의 내부공간 하측에 설치되어 흡입부(50)에 의해 흡입된 먼지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정화부(60)는 하우징(40)의 통로(42)에 설치되며, 흡입부(50)와 배출부(70)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흡입부(50)에 의해 통로(42)로 유입된 공기는 정화부(60)에 의해 정화된 후 배출부(70)에 의해 실내로 배출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고정판넬(11) 또는 거치대(15a)에는 흡입부(50) 및 배출부(70)를 작동 또는 정지시키기 위한 버튼 또는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버튼 또는 스위치를 통해 흡입부(50) 및 배출부(70)에 전원을 인가하여 작동시키거나 또는, 흡입부(50) 및 배출부(7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정화부(60)는 경로증가부(61)와, 제1 정체부(63)와, 제2 정체부(64) 및 제3 정체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경로증가부(61)는 통로(42)에 배치되는 것으로, 수직 방향으로 서로 연속되게 교차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 경사부(611) 및 제2 경사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경사부(611) 및 제2 경사부(612)의 조합된 형상은 톱니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경사부(611) 및 제2 경사부(612)는 모두 통로(42)에 유입된 공기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통과홀(611a,612a)을 포함한다.
UV 램프(62)는 제1 경사부(611) 및 제2 경사부(612)의 사이마다 각각 배치된다.
이때, UV 램프(62)는 후술되는 수용부(651)의 내벽면에 고정되며 대략 "C"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홀더(H)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UV램프는 제1 경사부(611) 및 제2 경사부(612)의 사이 공간을 따라 상승하는 공기를 살균한다.
UV 램프(62)는 UV 램프(62)로 한정되지 않으며, 공기를 살균할 수 있는 제품 중에서 택일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1 경사부(611) 및 제2 경사부(612)로 인해, 제1 경사부(611) 및 제2 경사부(612)들의 각 사이마다 구획공간(S)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우 UV 램프(62)의 살균력이 공기에 적용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에, 경로증가부(61)는 UV 램프(62)의 살균력이 다른 구획공간(S)에 위치한 공기에도 적용되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된다.
즉, 경로증가부(61)를 투명재질로 형성하면 어느 하나의 구획공간(S)에 위치한 UV 램프(62)의 살균력이 해당 구획공간(S)에 위치한 공기에도 적용되지만, 상층 또는 하층의 다른 구획공간(S)에 위치한 공기에도 UV 램프(62)의 살균력이 적용되어 공기의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정체부(63)는 각각의 구획공간(S) 마다 배치되어 공기를 정체시키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1 정체부(63)는 막음판(631)과, 속도 증가부(632) 및 유압실린더(633)를 포함할 수 있다.
막음판(631)은 제1 경사부(611) 및 제2 경사부(612)의 상면에 각각 안착된다.
막음판(631)에는 통과홀(611a,612a)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홀(631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는 통과홀(611a,612a) 및 연결홀(631a)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승될 수 있다.
이때, 연결홀(631a)은 복수개로 형성되면서 통과홀(611a,612a) 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공기를 분산 및 정체시키면서 통과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UV 램프(62)의 살균력이 공기에 충분히 적용되도록 하여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속도 증가부(632)는 연결홀(631a)에 각각 배치되며, 일측이 막음판(631)의 내벽면에 고정된다.
속도 증가부(632)는 에어포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홀(631a)을 통과하는 외기의 속도를 증가시킨다.
속도 증가부(632)로 인해 공기가 통과홀(611a,612a) 및 연결홀(631a)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과도하게 정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속도 증가부(632)는 연결홀(631a)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는 경우나 기타 다양한 여건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유압실린더(633)는 제1 경사부(611) 및 제2 경사부(612)들의 상면에 각각 결합된다.
유압실린더(633)의 피스톤은 막음판(631)에 고정된다.
유압실린더(633)는 막음판(631)이 통과홀(611a,612a)의 상부에 위치되거나 또는, 이탈되도록 막음판(631)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반복되게 전진 또는 후진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막음판(631)이 전진되어 통과홀(611a,612a)의 상부에 위치되면 공기는 통과홀(611a,612a)과 연결홀(631a)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막음판(631)이 후진되어 통과홀(611a,612a) 상에서 이탈되면 공기는 통과홀(611a,612a)만 통과한다.
그리고, 고정판넬(11) 또는 거치대(15a)에는 유압실린더(633)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버튼(미도시)과 유압실린더(633)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버튼(미도시) 및 유압실린더(633)가 막음판(631)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반복되게 전진 또는 후진시키도록 하기 위한 반복작동버튼(미도시)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고정판넬(11)의 일측에는 유압실린더(633)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탱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작동버튼을 누르면 유압실린더(633)에 유압이 주입되고, 이로 인해 피스톤이 막음판(631)을 전진시켜 통과홀(611a,612a)의 상부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정지버튼을 누르면 유압실린더(633)에 주입되었던 유압이 유압탱크에 회수되고, 이로 인해 피스톤이 후진되어 막음판(631)을 통과홀(611a,612a)에서 이탈시킨다.
또한, 반복작동버튼을 누르면 유압실린더(633)에 유압이 반복적으로 주입, 배출되고, 이로 인해 피스톤이 막음판(631)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반복되게 전진 또는 후진시켜, 막음판(631)이 통과홀(611a,612a)의 상부에 위치되거나 또는 이탈 됨을 반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앱이나 웹을 통해 실시간으로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가 좋거나 나쁨을 알 수 있는 바,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가 많은 경우에는 작동버튼을 눌러 막음판(631)을 통과홀(611a,612a)의 상부에 위치시켜 공기의 정체작용이 일어나게 함으로써, 공기의 살균효율을 향상시키면 된다.
그리고,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가 보통으로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정지버튼을 눌러 막음판(631)을 통과홀(611a,612a)에서 이탈시킴으로써, 막음판(631)이 통과홀(611a,612a)에 위치된 것에 비해 공기의 살균속도를 증가시키면 된다.
또한, 반복작동버튼은 막음판(631)을 통해 공기의 살균효율을 향상시키고 싶으나, 공기가 과도하게 정체되는 것은 원하지 않을 경우 사용하면 된다.
즉, 반복작동버튼을 누르는 경우 막음판(631)이 통과홀(611a,612a)의 상부에 위치되거나 또는 이탈됨을 반복하는게 되는 바, 통과홀(611a,612a)을 통과한 공기를 일시적으로 반복되게 정체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정체부(64)는 본체(641)와, 제1 정체막(642) 및 제2 정체막(643)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641)는 상면과 저면이 개방된 구조의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641)는 최상부에 위치된 제1 경사부(611)의 상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최상부에 위치된 제1 경사부(611)의 통과홀(611a,612a)을 통과한 외기를 상승시키는 상승시키는 상승통로(641a)가 형성된다.
제1 정체막(642)은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정체막(642)은 일측이 본체(641)의 내부 일측벽에 고정되고 타측은 본체(641)의 타측벽과 소정간격 이격된다.
제1 정체막(642)은 본체(641)에 고정되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경사각이 점진적이 높아지는 형태를 이룬다.
제2 정체막(643)은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정체막(643)은 일측이 본체(641)의 내부 타측벽에 고정되고 타측은 본체(641)의 일측벽과 소정간격 이격된다.
제2 정체막(643)은 본체(641)에 고정되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경사각이 점진적이 높아지는 형태를 이룬다.
이때, 본체(641)와 제1 정체막(642) 및 제2 정체막(643)은 UV 램프(62)의 살균력이 공기에 적용되록 투명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7을 기준으로 최상부에 위치한 제1 경사부(611)의 통과홀(611a,612a)을 통과한 공기는 본체(641)의 상승통로(641a)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1 정체막(642)과 제2 정체막(643)에 의해 본체(641)의 내부 우측 끝으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본체(641)의 내부 좌측 끝으로 이동한 다음 배기홀(43)을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최상부에 위치된 UV 램프(62)의 살균력이 본체(641)의 내부에서 제1 정체막(642)과 제2 정체막(643)에 의해 우회하면서 이동하고 있는 공기에 적용됨으로 공기의 살균효과를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정체부(65)는 수용부(651) 및 흡착부(65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651)는 하우징(4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다.
수용부(651)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통 구조로 이루어져, 그 내부공간에 경로증가부(61)가 위치된다.
수용부(651)의 저면에는 하우징(40)의 내측벽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수평연결바(651a)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흡입부(50)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일부량은 수용부(651)의 내부공간을 통해 상승되어 경로증가부(61) 및 UV 램프(62)를 통과하면서 살균되고, 공기의 다른 일부량은 수용부(651)와 하우징(40)의 사이 공간을 통해 상승된다.
이때, 수용부(651)는 하우징(40)과 수용부(651)의 사이 공간에 위치한 공기에 UV 램프(62)의 살균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된다.
흡착부(652)는 다수개로 적용되어 수용부(651)의 둘레면과 수직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흡착부(652)는 공기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40)의 내벽면과 이격된다.
흡착부(652)는 이물질을 흡착할 수 있도록 부직포 재질로 형성되거나 공지의 필터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흡착부(652)로 인해 공기의 상승속도를 정체시킬 수 있어, 공기에 UV 램프(62)의 살균력이 효율적으로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달부(80)는 호치키스, A4 용지에 2개의 홀을 형성시키는 펀칭기 등의 사무용품을 옆자리에서 근무하는 직장동료에게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전달부(80)는 거치대(15a)의 상면에 안착되는 공압실린더(81) 및 공압실린더(81)의 구동에 의해 거치대(15a)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는 전달판(82)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달판(82)의 상면에는 사무용품이 안착된다. 전달판(82)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사무용품의 낙하를 방지하는 낙하방지벽(82a)이 형성된다.
전달판(82)이 사각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낙하방지벽(82a)은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고정판넬(11)의 양면 또는 거치대(15a)의 상면에는 공압실린더(8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버튼은 전달판(82)을 공압실린더(81)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도 11과 같이 전달판(82)이 프레임(10)의 좌측에 위치한 경우, 프레임(10)의 우측에 위치한 사람이 버튼을 누르면 공압실린더(81)가 전달판(82)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됨으로, 우측에 위치한 사람이 전달판(82)에 안착된 사무용품을 용이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전달부(80)를 통해 프레임(10)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한 사람이 호치키스나 펀칭기를 공동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어, 좌측과 우측에 위치한 사람이 호치키스나 펀칭기를 각각 마련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부착부(90)는 업무자료가 인쇄된 출력물(A4 용지일 수 있음)를 거치대(15a) 상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부착부(90)는 고정바(91)와, 회동바(92)와, 베이스판(93) 및 부착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바(91)는 거치대(15a)의 상면에 볼트나 접착제를 통해 고정되며, 자석재질로 형성된다.
고정바(91)의 일측은 회동바(92)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고정바(91)는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홈은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동바(92)는 일측이 고정바(91)의 삽입홈에 삽입된다.
회동바(92)는 고정바(91)에 축(92a)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회동바(92)는 상 방향으로 회동될 시 고정바(91)에 대해 직각을 이루고, 하 방향으로 회동될 시 고정바(91)와 수평을 이룬다.
아울러, 회동바(92)는 원활한 회동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거치대(15a)의 상면과 접촉되는 그 끝단이 곡선 형상으로 라운딩 처리된다.
그리고, 회동바(92)는 고정바(91)와 반대 극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회동바(92)는 자력을 통해 고정바(91)에 대해 직각을 이룬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고정바(91)와 수평을 이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베이스판(93)은 회동바(92)의 끝단에 고정된다.
부착부(90)는 베이스판(93)에 고정되는 것으로, 일면에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부착구간(941) 및 부착구간(941)에 일체로 형성되며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지 않은 미부착구간(942)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부(90)는 다수개로 적용되는 것으로, 접착물질을 통해 서로 포개지는 형태를 유지한다.
부착구간(941) 및 미부착구간(942)은 모두 필름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부착구간(941)과 미부착구간(942)의 비율은 7:3 내지 9:1일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부착부(90)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
먼저, 부착부(9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회동바(92)를 상 방향으로 회동시켜 회동바(92)가 업무영역을 침범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부착부(9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회동바(92)를 하 방향으로 회동시킨 다음, 선단에 위치한 부착필름(94)에 출력물을 부착한다.
종래와 같이 출력물을 업무용 책상 위에 올려 놓고 참고하여 업무를 하는 경우, 출력물이 업무용 책상에서 공간을 차지하게 됨으로, 또 다른 출력물들을 많이 올려 놓을 수 없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부착필름(94)에 출력물을 부착하는 경우, 출력물을 업무용 책상에 올려 놓지 않아도 됨으로 업무용 책상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출력물을 참고하기 위해 고개를 숙이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물을 참고한 업무가 마무리 된 경우에는 미부착구간(942)을 당겨 후방에 위치한 미사용 부착필름(94)으로부터 분리하면 되고, 필요에 따라 새롭게 노출된 미사용 부착필름(94)에 새로운 출력물을 부착하면 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10: 프레임
11: 고정판넬 11a: 수용공간
15: 승강판넬 15a: 거치대
20: 장착부 21: 수용홈
21a: 회전핀 21b: 고정핀
25: 레일 30: 조절부
31: 롤러 31a: 회전축
32: 코일 스프링 33: 브라켓
33a: 유동공 33b: 로드
40 : 하우징 41 : 흡기홀
42 : 통로 43 : 배기홀
50 : 흡입부 60 : 정화부
61 : 경로증가부 611 : 제1 경사부
611a,612a : 통과홀 612 : 제2 경사부
62 : UV 램프 63 : 제1 정체부
631 : 막음판 631a : 연결홀
632 : 속도 증가부 633 : 유압실린더
64 : 제2 정체부 641 : 본체
641a ; 상승통로 642 : 제1 정체막
643 : 제2 정체막 65 : 제3 정체부
651 : 수용부 651a : 수평연결바
652 : 흡착부 70 : 배출부
80 : 전달부 81 : 공압실린더
82 : 전달판 82a : 낙하방지벽
90 : 부착부 91 : 고정바
92 : 회동바 92a : 축
93 : 베이스판 94 : 부착필름
941 : 부착구간 942 : 미부착구간

Claims (2)

  1. 상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고정판넬과,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승강되는 승강판넬이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고정판넬의 상측 양단에 회전핀이 개재된 수용홈과, 상기 승강판넬의 측면에 소정 크기로 함몰된 레일이 형성되는 장착부;
    상기 수용홈 상에 회전핀으로 장착되고, 상기 레일과 맞물려 승강판넬을 설정된 높이로 고정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회전축과 맞물려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로 유동시키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 면서 유동에 따라 회전을 저지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출몰되게 연결되고 일방향의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 기 승강판넬의 인위적인 하강에 따라 브라켓를 회전시켜 승강판넬의 고정이 자동으로 해제되는 실린더가 구비되는 조절부;
    상기 고정판넬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하측에 외기가 흡입되는 흡기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를 상승시키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며 상측에 외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흡기홀을 통해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통로에 전달하는 흡입부;
    상기 하우징의 통로에 설치되며 상기 통로로 유입된 외기를 정화하는 정화부;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정화부에 의해 정화된 외기를 상기 배기홀을 통해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승강판넬의 상면에 배치되는 전달부; 및
    상기 승강판넬의 상면에 배치되고, 업무자료를 부착하도록 마련되는 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화부는,
    상기 통로에 배치되며 외기를 상승시키는 통과홀을 포함하며,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가 수직방향으로 연속되게 교차되게 형성되어 톱니파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로증가부;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의 사이마다 배치되며 외기를 살균하는 UV 램프;
    상기 제1 경사부 및 제2 경사부의 사이마다 배치되며 외기를 정체시키는 제1 정체부;
    최상부에 위치된 제1 경사부의 상면에 배치되고 외기를 정체시키는 제2 정체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내부에는 상기 경로증가부가 수용되는 제3 정체부;포함하고,
    상기 제1 정체부는,
    상기 제1 경사부 및 제2 경사부의 상면에 각각 안착되고, 상기 통과홀과 연결되며 상기 통과홀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연결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막음판;
    상기 연결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연결홀을 통과하는 외기의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에어포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속도 증가부; 및
    상기 제1 경사부 및 상기 제2 경사부의 상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막음판이 상기 통과홀의 상부에 위치되거나 또는, 이탈되도록 상기 막음판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정체부는,
    최상부에 위치된 제1 경사부의 상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최상부에 위치된 제1 경사부의 통과홀을 통과한 외기를 상승시키는 상승시키는 상승통로가 형성된 본체;
    일측이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벽에 상향 경사지게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본체의 내부 타측벽과 이격되는 제1 정체막; 및
    상기 제1 정체막의 상측과 소정간격 이격되고 일측이 상기 본체의 내부 타측벽에 상향 경사지게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벽과 이격되는 제2 정체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정체부는,
    그리고, 상기 제3 정체부는, 내부에 상기 경로증가부가 수용되고 외면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수평연결바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둘레면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과 이격되고, 상기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흡착하는 복수개의 흡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는,
    상기 승강판넬의 상면에 안착되는 공압실린더; 및
    상기 공압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승강판넬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며 상면에 피안착물이 안착되고 가장자리에는 피안착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낙하방지벽이 형성된 전달판;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승강판넬의 상면에 설치되고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에 축 결합되고, 상기 고정바와 반대 극성을 갖는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회동바;
    상기 회동바의 끝단에 고정되는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에 여러겹으로 포개지는 형태로 고정되며 일면에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부착필름;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2. 삭제
KR1020210018711A 2021-02-09 2021-02-09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KR102346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711A KR102346123B1 (ko) 2021-02-09 2021-02-09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711A KR102346123B1 (ko) 2021-02-09 2021-02-09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123B1 true KR102346123B1 (ko) 2021-12-31

Family

ID=79177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711A KR102346123B1 (ko) 2021-02-09 2021-02-09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1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854U (ko) 2022-03-15 2023-09-22 오창석 판형 파티션의 다리 연결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894B1 (ko) 2004-11-24 2007-01-24 조명구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KR101754596B1 (ko) * 2014-12-13 2017-07-06 주식회사 모빌퍼스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높이 가변형 파티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894B1 (ko) 2004-11-24 2007-01-24 조명구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KR101754596B1 (ko) * 2014-12-13 2017-07-06 주식회사 모빌퍼스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높이 가변형 파티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854U (ko) 2022-03-15 2023-09-22 오창석 판형 파티션의 다리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6123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US2914122A (en) Combination vinyl plastic venetian blind and screen
US20080029226A1 (en) Window blind assembly having an outer frame
KR102159612B1 (ko) 조명 겸용 방향 장치
CN107812270A (zh) 一种便于调节的电动医用天轨式输液架
WO2022004351A1 (ja) エアカーテン装置及び殺菌送風装置
CN104776494B (zh) 空气调节器
CN106617803B (zh) 办公设备
KR20130004731U (ko) 붙박이장
CN213345009U (zh) 一种阻燃pvc面料的榻榻米
CN209801318U (zh) 一种led落地灯
CN113081625A (zh) 一种电动调节工作台及咽拭子采集隔离装置
KR200376013Y1 (ko) 침대
CN208096483U (zh) 一种可调排椅
CN218605827U (zh) 一种床
CN207299212U (zh) 空气处理装置以及空调室内机、空调室外机
CN215936973U (zh) 一种便于清洗与更换的新型乳胶枕头
CN208192629U (zh) 一种舒适排椅
CN220025495U (zh) 一种可调节式体位垫
CN218720809U (zh) 一种多功能组合装饰灯
CN211154462U (zh) 鞋柜
JPH084491Y2 (ja) 室内構造
CN214147641U (zh) 一种多用途灯具
CN107348730A (zh) 一种舒适排椅
CN215195366U (zh) 一种带有吸烟灯的麻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