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874B1 -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 획득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 획득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874B1
KR102345874B1 KR1020207007844A KR20207007844A KR102345874B1 KR 102345874 B1 KR102345874 B1 KR 102345874B1 KR 1020207007844 A KR1020207007844 A KR 1020207007844A KR 20207007844 A KR20207007844 A KR 20207007844A KR 102345874 B1 KR102345874 B1 KR 102345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rminal
control channel
duration
w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8994A (ko
Inventor
후이 통
광 양
Original Assignee
차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리서치 인스티튜트
차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리서치 인스티튜트, 차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차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리서치 인스티튜트
Publication of KR20200038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dependent on the time of the day, e.g. according to expected transmission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공개는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획득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기를 제공한다.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은,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발생시키되, 웨이크업 신호는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웨이크업하는 웨이크업 신호이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관련되는 단계; 및 당해 설정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 획득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기
관련출원의 교차 참고
본 출원은 2017년 8월 18일 중국에 제출한 특허출원 No. 201710713348.9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공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는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획득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 서비스는 매우 긴 대기 시간이 필요하며, 예를 들어 2개의 AA 배터리를 10년 대기하는 등이다. 관련 NNB-IoT (NarrowBand-Internet of Things) 표준에서는 단말기가 장기간의 비연결 수신 상태(DRX)로 진입하여 절전할 수 있도록 규범화 하였다. 그러나, 절전과 동시에 기지국으로부터의 페이징에 대한 단말기의 응답 지연도 증가한다. 공유 자전거와 같은 일부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단말기의 응답 지연의 증가는 사용자의 체험을 크게 저하시킨다.
기지국의 페이징에 신속하게 응답하는 경우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표준에서는 라이트 레벨의 페이징 개념이 제시되어 있으며, 이 개념은 페이징 신호를 검출하기 전에 하나의 라이트 레벨의 신호(웨이크업 신호)를 추가하는 것이다. 이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 후에만 단말기는 후속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수행한다. 이 신호에 들어있는 정보량이 적으므로 적은 중복 횟수로도 셀을 커버할 수 있으며, 아이들 상태에서의 대부분 페이징 타이밍에서는 모두 페이징을 실제로 송신하지 않으므로, 웨이크업 신호를 도입하면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웨이크업 신호는 전체 셀을 커버해야 하므로, 일정한 회수의 중복이 필요하다. 웨이크업 신호의 중복 횟수(즉, 시간 도메인 자원)를 직접 설정하는 한 가지 방법이 있으나, 시그널링 오버 헤드가 어느 정도 필요하다.
본 공개는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획득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공개는 웨이크업 신호의 지속 시간 정보와 기존에 존재하는 커버리지 설정을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커버리지 내의 단말기로 하여금 서로 다른 지속 시간을 갖는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 측면에서, 본 공개는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당해 설정 방법은 웨이크업 신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웨이크업하는 웨이크업 신호이며, 상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상기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관련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상기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선형적으로 관련된다.
그중, 상기 지속 시간은 지속 시간=ROUND(A/M)+K이며; 그중, A는 커버리지 파라미터이고, K는 0이거나 0이 아닌 기설정 값이며, M은 기설정 상수이며; 라운드는 라운드 업, 라운드 다운 또는 라운드이다.
그중, 상기 커버리지 파라미터는 페이징 신호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데이터 스케줄링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Msg2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및/또는 Msg4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설정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는 단말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설정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은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중,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설정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설정하는 단계; 또는 단말기에 당해 단말기에 대한 시간 간격 설정 값이 들어 있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설정하는 단계; 또는 사전에 설정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토대로,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중,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은,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또는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중,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또는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또는 사전 설정 방식으로,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또는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서,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를 더 제공한다. 당해 네트워크 기기는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생성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웨이크업하는 웨이크업 신호이며, 상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상기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관련되며;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설정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상기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선형적으로 관련된다.
그중, 상기 지속 시간은 지속 시간=ROUND(A/M)+K이며; 그중, A는 커버리지 파라미터이고, K는 0이거나 0이 아닌 기설정 값이며, M은 기설정 상수이며; 라운드는 라운드 업, 라운드 다운 또는 라운드이다.
그중, 상기 커버리지 파라미터는 페이징 신호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데이터 스케줄링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Msg2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및/또는 Msg4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구체적으로 단말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설정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설정하거나; 또는
단말기로 당해 단말기에 대한 시간 간격 설정 값이 들어 있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설정하거나; 또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 간격 설정 값으로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토대로,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또는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또는 사전 설정 방식으로,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또는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3 측면에서,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는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획득 방법을 더 제공한다. 당해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웨이크업하는 웨이크업 신호이며, 상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상기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관련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정보를 토대로 웨이크업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상기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기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선형적으로 관련된다.
그중, 상기 지속 시간은 지속 시간=ROUND(A/M)+K이며; 그중, A는 커버리지 파라미터이고, K는 0이거나 0이 아닌 기설정 값이며, M은 기설정 상수이며; 라운드는 라운드 업, 라운드 다운 또는 라운드이다.
그중, 상기 커버리지 파라미터는 페이징 신호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데이터 스케줄링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Msg2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및/또는 Msg4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를 포함한다.
그중,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지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중, 당해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획득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시간 간격 설정 값으로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중,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시간 간격 설정 값으로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지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또는 사전에 설정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토대로,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시간 간격 설정 값으로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중, 당해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획득 방법은,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로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또는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중,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로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또는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또는 사전 설정 방식으로,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로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또는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중, 당해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획득 방법은, 상기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에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에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중지하거나 또는 상기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전의 L개의 부호에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중지하되, 그중, L은 네트워크 기기가 브로드캐스트한 것이거나 또는 사전에 설정한 것인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4 측면에서,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는 단말기를 더 제공한다. 당해 단말기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기는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설정 정보를 토대로 웨이크업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웨이크업하는 웨이크업 신호이며, 상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상기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관련된다.
그중, 상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상기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기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선형적으로 관련된다.
그중, 상기 지속 시간은 지속 시간=ROUND(A/M)+K이며; 그중, A는 커버리지 파라미터이고, K는 0이거나 0이 아닌 기설정 값이며, M은 기설정 상수이며; 라운드는 라운드 업, 라운드 다운 또는 라운드이다.
그중, 상기 커버리지 파라미터는 페이징 신호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데이터 스케줄링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Msg2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및/또는 Msg4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지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시간 간격 설정 값으로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지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또는 사전에 설정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토대로,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시간 간격 설정 값으로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로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또는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또는 사전 설정 방식으로,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로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또는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상기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에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고; 및/또는 상기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에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중지하거나, 또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전의 L개의 부호에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중지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L은 네트워크 기기가 브로드캐스트한 것이거나 또는 사전에 설정한 것이다.
제5 측면에서,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는 통신 기기를 더 제공한다. 당해 통신 기기는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그중,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작동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술한 제1 측면 또는 제3 측면에 따른 방법을 수행한다.
제6 측면에서,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당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컴퓨터에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컴퓨터는 상술한 제1 측면 또는 제3 측면에 따른 방법을 수행한다.
본 공개에 따른 상기 기술적 수단은 적어도 아래와 같은 유익한 효과가 있다.
본 공개에 따른 상기 기술적 수단은 웨이크업 신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설정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함으로써 단말기가 당해 설정 정보를 토대로 웨이크업 신호를 획득하도록 한다. 그중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웨이크업하는 웨이크업 신호이며, 상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상기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기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관련된다. 본 공개에 따른 기술적 수단은 웨이크업 신호의 지속 시간과 기존에 존재하는 커버리지 설정을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서로 다른 커버리지의 단말기로 하여금 서로 다른 지속 시간의 웨이크업 신호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의 또 다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공개에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와 페이징 신호를 검출하기 시작하는 제어 채널 사이에 개재된 시간 간격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의 또 다른 흐름도이다.
도 5는 설정된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로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및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의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공개의 예시적 실시예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 비록 도면에서 본 공개의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냈으나, 본 공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반대로, 이러한 실시예를 제공하는 것은 본 공개를 보다 투철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본 공개의 범위를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완전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에서, 웨이크업 신호의 지속 시간과 기존에 존재하는 커버리지의 설정을 연결시킬 수 있다. 만약 채널의 중복 횟수가 높으면, 단말기가 웨이크업 신호를 획득하는 지속 시간이 길어지며; 만약 채널의 중복 횟수가 적으면, 단말기가 웨이크업 신호를 획득하는 지속 시간이 짧아진다.
그리고, 사물 인터넷 단말기는 복잡도가 비교적 낮으며, 웨이크업 신호를 처리한 후 단말기는 일정한 시간 동안 신호 처리를 수행해야 할 수 있다. 만약 웨이크업 신호가 확실히 검출되고, 후속으로 페이징이 있는 것으로 지시되면, 단말기는 다시 다른 회로를 작동시켜 페이징을 진행한다. 따라서, 웨이크업 신호 획득을 종료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와 페이징 신호 검출을 시작하는 사이에 일정한 시간 간격이 존재한다. 이때, 시간 간격의 수치는 기지국이 설정할 수 있으며, 표준에서 규정할 수도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는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을 제공하며, 당해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며, 단계 11 내지 단계 12를 포함한다.
단계 11: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발생시킨다.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웨이크업하는 웨이크업 신호이며, 상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상기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관련된다.
단계 12: 상기 설정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설정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본 공개에 따른 상기 기술적 수단은 웨이크업 신호의 시간 도메인 자원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설정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함으로써, 단말기로 하여금 당해 설정 정보를 토대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중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웨이크업하는 웨이크업 신호이며, 상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상기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서로 관련된다. 본 공개에 따른 기술적 수단은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과 기존에 존재하는 커버리지 설정을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서로 다른 커버리지의 단말기로 하여금 서로 다른 지속 시간의 웨이크업 신호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공개에 따른 당해 실시예에서, 상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상기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선형적으로 관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속 시간은 지속 시간=ROUND(A/M)+K일 수 있으며,
그중, A는 커버리지 파라미터이고, K는 0이거나 0이 아닌 기설정 값이며, M은 기설정 상수이며; 라운드는 올림 값(roundup)업, 내림 값(rounddown) 또는 반올림(round)이다.
그중, 상기 커버리지 파라미터는 페이징 신호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데이터 스케줄링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Msg2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및/또는 Msg4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를 포함한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는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을 더 제공하며, 당해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며, 단계 21 내지 단계 23을 포함한다.
단계 21: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발생시킨다.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웨이크업하는 웨이크업 신호이며, 상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상기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관련된다.
단계 22: 상기 설정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한다.
단계 23: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종료와 페이징 신호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단계 23은 단계 231 또는 단계 232 또는 단계 233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31: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단말기를 위해 상기 시간 도메인 자원의 종료와 페이징 신호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설정한다.
단계 232: 단말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단말기를 위해 상기 시간 도메인 자원의 종료와 페이징 신호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설정하되, 상기 지시 정보에는 당해 단말기에 대한 시간 간격 설정 값이 캐리되어 있다.
단계 233: 사전에 설정한 상기 시간 도메인 자원의 종료와 페이징 신호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토대로, 단말기를 위해 상기 시간 도메인 자원의 종료로부터 페이징 신호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와 같이, 웨이크업 신호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종료와 페이징 신호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에는 시간 간격이 존재하며, 그 구체적인 수치는 기지국이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셀 레벨로 설정하거나 또는 기지국이 단말기 레벨로 설정한 것일 수 있으며, 표준에서 지정한 것일 수도 있다.
본 공개에 따른 당해 실시예는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설정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고, 웨이크업 신호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종료로부터 페이징 신호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까지의 시간 간격을 단말기에 설정함으로써, 단말기로 하여금 당해 설정 정보를 토대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중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웨이크업하는 웨이크업 신호이며, 상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상기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관련된다. 웨이크업 신호 획득을 처리한 후 단말기는 일정한 시간 동안 신호 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있을 수 있으며, 만약 웨이크업 신호가 확실히 검출되고, 후속으로 페이징이 있는 것으로 표시되면, 단말기는 다시 다른 회로를 작동시켜 페이징을 진행한다. 본 공개에 따른 기술적 수단은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과 기존에 존재하는 커버리지 설정을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서로 다른 커버리지의 단말기가 웨이크업 신호를 획득하는 지속 시간이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는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을 더 제공하며, 당해 설정 방법은 단계 41내지 단계 43을 포함한다.
단계 41: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발생시킨다.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웨이크업하는 웨이크업 신호이며, 상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상기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관련된다.
단계 42: 상기 설정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한다.
단계 43: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또는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와 같이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또는 사전 설정 방식으로,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또는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설정한다. 선택적으로, 단말기는 당해 웨이크업 신호의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에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거나, 또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에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중지할 수 있으며, 당해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설정하기 전의 L개의 부호에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중지할 수도 있으며, 당해 L은 네트워크 기기가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설정한 것이거나, 또는 사전에 설정한 것일 수 있다.
본 공개에 따른 당해 실시예는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설정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고,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와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단말기에 설정함으로써, 단말기로 하여금 당해 설정 정보를 토대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거나, 또는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중지하도록 한다. 그중,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웨이크업하는 웨이크업 신호이며, 상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상기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관련된다. 이로써, 서로 다른 커버리지의 단말기로 하여금 서로 다른 지속 시간의 웨이크업 신호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공개에 따른 상기 기술적 수단은 단말기를 위해 서로 다른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당해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기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관련됨)을 설정함으로써, 기지국이 한 세트의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한 상황에서, 서로 다른 커버리지의 단말기가 서로 다른 지속 시간의 웨이크업 신호를 획득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를 더 제공하며, 당해 네트워크 기기는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웨이크업하는 웨이크업 신호이며, 상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상기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관련되며;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설정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상기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선형적으로 관련된다.
그중, 상기 지속 시간은 지속 시간=ROUND(A/M)+K이며; 그중, A는 커버리지 파라미터이고, K는 0이거나 0이 아닌 기설정 값이며, M은 기설정 상수이며; 라운드는 올림 값(roundup)업, 내림 값(rounddown) 또는 반올림(round)이다.
그중, 상기 커버리지 파라미터는 페이징 신호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데이터 스케줄링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Msg2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및/또는 Msg4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구체적으로 단말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설정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설정하거나; 또는 단말기에 당해 단말기에 대한 시간 간격 설정 값이 들어 있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설정하거나; 또는 사전에 설정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토대로,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또는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또는 사전 설정 방식으로,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또는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당해 네트워크 기기의 실시예는 상술한 방법에 대응하는 기기이며, 당해 기기는 기지국일 수도 있고, 기타 네트워크측의 기기일 수도 있으며, 상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모든 구현 형태는 모두 당해 기기의 실시예에 적용되며, 이들 역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는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획득 방법을 더 제공하며, 당해 방법은 단말기에 적용되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웨이크업하는 웨이크업 신호이며, 상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상기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기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관련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정보를 토대로 웨이크업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상기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선형적으로 관련된다.
그중, 상기 지속 시간은 지속 시간=ROUND(A/M)+K이며; 그중, A는 커버리지 파라미터이고, K는 0이거나 0이 아닌 기설정 값이며, M은 기설정 상수이며; 라운드는 올림 값(roundup)업, 내림 값(rounddown) 또는 반올림(round)이다.
그중, 상기 커버리지 파라미터는 페이징 신호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데이터 스케줄링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Msg2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및/또는 Msg4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를 포함한다.
그중,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지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획득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시간 간격 설정 값으로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중,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시간 간격 설정 값으로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표시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사전에 설정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토대로,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시간 간격 설정 값으로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획득 방법은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로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또는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중,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로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또는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또는 사전 설정 방식으로,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로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또는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획득 방법은, 상기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에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에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중지하거나 또는 상기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전의 L개의 부호에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중지하되, 그중 L은 네트워크 기기가 브로드캐스트한 것이거나 또는 사전에 설정한 것인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당해 방법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관련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설정 정보를 토대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수행함으로써, 기지국이 한 세트의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한 상황에서, 서로 다른 커버리지의 단말기가 서로 다른 지속 시간의 웨이크업 신호를 획득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는 단말기를 더 제공하며, 당해 단말기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기는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설정 정보를 토대로 웨이크업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웨이크업하는 웨이크업 신호이며, 상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상기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관련된다.
그중, 상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상기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선형적으로 관련된다.
그중, 상기 지속 시간은 지속 시간=ROUND(A/M)+K이며; 그중, A는 커버리지 파라미터이고, K는 0이거나 0이 아닌 기설정 값이며, M은 기설정 상수이며; 라운드는 올림 값(roundup)업, 내림 값(rounddown) 또는 반올림(round)이다.
그중, 상기 커버리지 파라미터는 페이징 신호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데이터 스케줄링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Msg2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및/또는 Msg4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설정 정보를 수신할 경우,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지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시간 간격 설정 값으로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지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또는 사전에 설정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토대로,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시간 간격 설정 값으로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로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또는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또는 사전 설정 방식으로,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로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또는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상기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에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고; 및/또는 상기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에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중지하거나 또는 상기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전의 L개의 부호에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중지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L은 네트워크 기기가 브로드캐스트한 것이거나 또는 사전에 설정한 것이다.
당해 단말기는 상술한 단말기측 방법에 대응하는 단말기이며, 상술한 방법 실시예의 모든 구현 형태는 모두 당해 단말기의 실시예에 적용되며, 이들 역시 동일한 기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는 통신 기기를 더 제공하며, 당해 통신 기기는 프로세서와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작동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술한 방법을 수행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인터페이스 또는 버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당해 통신 기기는 상술한 네트워크 기기 예를 들어 기지국일 수 있으며; 상술한 단말기일 수도 있으며, 당해 단말기는 사물 인터넷 단말기일 수 있다.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당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컴퓨터에서 작동되는 경우, 상기 컴퓨터는 상술한 방법을 수행한다.
본 공개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또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또는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또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본 공개에 따른 상술한 기술적 수단은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당해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기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관련됨)을 설정함으로써, 기지국이 한 세트의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한 상황에서, 서로 다른 커버리지의 단말기가 서로 다른 지속 시간의 웨이크업 신호를 획득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공개의 선택적인 실시 형태이다. 참고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공개의 상기 원리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부 개량과 윤색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들 개량과 윤색도 본 공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40)

  1. 웨이크업 신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단말기를 웨이크업하는 웨이크업 신호이며, 상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상기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선형적으로 관련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중, 상기 지속 시간은, 지속 시간=ROUND(A/M)+K이며;
    그중, A는 커버리지 파라미터이고, K는 0이거나 0이 아닌 기설정 값이며, M은 기설정 상수이며; 라운드는 라운드 업(ROUNUP), 라운드 다운(ROUDDOWN) 또는 라운드(ROUND)인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리지 파라미터는 페이징 신호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데이터 스케줄링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Msg2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및/또는 Msg4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단말기로 지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설정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설정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설정하는 단계; 또는
    단말기로 당해 단말기에 대한 시간 간격 설정 값이 캐리되어 있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설정하는 단계; 또는
    사전에 설정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토대로,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또는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또는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또는 사전 설정 방식을 통해, 단말기를 위해 상기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또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
  6.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웨이크업 신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단말기를 웨이크업하는 웨이크업 신호이며, 상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상기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관련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은,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그중,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설정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설정하는 단계; 또는
    단말기로 당해 단말기에 대한 시간 간격 설정 값이 캐리되어 있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설정하는 단계; 또는
    사전에 설정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토대로,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
  7.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웨이크업 신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단말기를 웨이크업하는 웨이크업 신호이며, 상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상기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관련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은,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또는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그중, 단말기를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또는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또는 사전 설정 방식을 통해, 단말기를 위해 상기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또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
  8.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웨이크업하는 웨이크업 신호이며, 상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상기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선형적으로 관련되며;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설정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상기 지속 시간은, 지속 시간=ROUND(A/M)+K이며;
    그중, A는 커버리지 파라미터이고, K는 0이거나 0이 아닌 기설정 값이며, M은 기설정 상수이며; 라운드는 라운드 업(ROUNUP), 라운드 다운(ROUDDOWN) 또는 라운드(ROUND)인 네트워크 기기.
  9.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송신한 웨이크업 신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웨이크업하는 웨이크업 신호이며, 상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상기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선형적으로 관련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정보를 토대로 웨이크업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중, 상기 지속 시간은, 지속 시간=ROUND(A/M)+K이며;
    그중, A는 커버리지 파라미터이고, K는 0이거나 0이 아닌 기설정 값이며, M은 기설정 상수이며; 라운드는 라운드 업(ROUNUP), 라운드 다운(ROUDDOWN) 또는 라운드(ROUND)인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획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리지 파라미터는 페이징 신호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데이터 스케줄링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Msg2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 및/또는 Msg4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의 최대 중복 횟수를 포함하며,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송신한 웨이크업 신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송신한 지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획득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송신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또는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송신한 지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또는 사전에 설정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토대로,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획득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또는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또는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또는 사전 설정 방식을 통해,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또는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획득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에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시작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에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중지하거나, 또는 상기 종료 시간 도메인 자원 위치 전의 L개의 부호에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중지하되, 그중, L은 네트워크 기기가 브로드캐스트한 것이거나 또는 사전에 설정한 것인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획득 방법.
  14.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획득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송신한 웨이크업 신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웨이크업하는 웨이크업 신호이며, 상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상기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관련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정보를 토대로 웨이크업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획득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그중,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송신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또는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송신한 지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또는 사전에 설정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토대로,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웨이크업 신호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어 채널과 페이징 신호의 검출을 시작하는 제어 채널 간의 시간 간격 설정 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획득 방법.
  15.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기는,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송신한 웨이크업 신호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설정 정보를 토대로 웨이크업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웨이크업하는 웨이크업 신호이며, 상기 지속 시간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전에 상기 사물 인터넷 단말기를 위해 설정한 커버리지 파라미터와 선형적으로 관련되며,
    그중, 상기 지속 시간은, 지속 시간=ROUND(A/M)+K이며;
    그중, A는 커버리지 파라미터이고, K는 0이거나 0이 아닌 기설정 값이며, M은 기설정 상수이며; 라운드는 라운드 업(ROUNUP), 라운드 다운(ROUDDOWN) 또는 라운드(ROUND)인 단말기.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KR1020207007844A 2017-08-18 2018-07-27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 획득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기 KR1023458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713348.9A CN109413721B (zh) 2017-08-18 2017-08-18 唤醒信号检测时间的配置、检测方法、网络设备及终端
CN201710713348.9 2017-08-18
PCT/CN2018/097377 WO2019033916A1 (zh) 2017-08-18 2018-07-27 唤醒信号持续时间的配置方法、获取方法、网络设备及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994A KR20200038994A (ko) 2020-04-14
KR102345874B1 true KR102345874B1 (ko) 2021-12-31

Family

ID=65362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844A KR102345874B1 (ko) 2017-08-18 2018-07-27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 획득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205079A1 (ko)
EP (1) EP3672313A4 (ko)
KR (1) KR102345874B1 (ko)
CN (1) CN109413721B (ko)
WO (1) WO20190339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0995B2 (en) 2017-09-25 2022-03-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wireless device for monitoring downlink channel or downlink signal using power saving signal
CN110557814B (zh) * 2018-06-04 2021-02-23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唤醒区域更新方法及装置
US11546855B2 (en) * 2018-08-09 2023-01-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W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CN110536230A (zh) * 2018-09-28 2019-12-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唤醒信号发送、接收方法、装置、基站、终端和存储介质
CN110546999B (zh) * 2019-07-25 2023-02-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唤醒信号的变更处理、监听方法、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0771222B (zh) * 2019-08-16 2022-11-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寻呼配置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EP4030831A4 (en) * 2019-09-30 2022-09-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WAKE-UP SIGNAL MONITORING
CN113260022B (zh) * 2020-02-07 2022-12-2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号传输方法及设备
CN116506925A (zh) * 2022-01-19 2023-07-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配置确定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CN116781221A (zh) * 2022-03-11 2023-09-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唤醒信号接收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94413A1 (en) * 2011-10-14 2013-04-18 Nokia Corporation Adaptive awake window
JP2014507900A (ja) 2011-02-01 2014-03-27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タイムシェアリングされた同時並行多プロトコルビーコン送信設計
US20170181091A1 (en) 2015-12-18 2017-06-22 Shanghai Research Center For Wireless Communications Hybrid monitoring-sleeping method of wireless sensor and wireless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6147A1 (en) * 2003-03-06 2004-09-09 Wilberth Escalante Power conserv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tilizing variable reacquisition time in a discontinuous reception regime
US9445253B2 (en) * 2008-04-30 2016-09-13 Maarten Menzo Wentink Methods and apparatus for scanning for mesh nodes
US8447368B2 (en) * 2008-11-13 2013-05-21 Lantiq Deutschland Gmbh Base station,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52311B1 (en) * 2008-12-30 2013-05-28 Marvell International Ltd. Sleep estimator for cellular telephones
CN101946538B (zh) * 2009-05-18 2013-08-07 华为技术有限公司 监听网络的方法和终端
US9402273B2 (en) * 2013-12-23 2016-07-26 Qualcomm Incorporated DRX wakeup rule in an eICIC environment
WO2016165144A1 (zh) * 2015-04-17 2016-10-20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周期配置方法及装置
US9749955B2 (en) * 2015-07-20 2017-08-29 Intel Corporation Connectivity management for mobile wireless low-power wake-up radios
CN105554863B (zh) * 2015-12-11 2018-10-16 上海纵行实业有限公司 一种基于寻呼的低功耗通信方法和网络
CN106937368A (zh) * 2015-12-31 2017-07-07 深圳友讯达科技股份有限公司 低功耗通信节点二次唤醒/休眠方法、节点及系统
US9992741B2 (en) * 2016-01-11 2018-06-05 Intel IP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grant frame for bandwidth scheduling
US10841876B2 (en) * 2017-05-15 2020-11-17 Qualcomm Incorporated Wake-up signal (WUS) and wake-up receiver (WUR) in a communication device
US10959175B2 (en) * 2017-12-21 2021-03-23 Qualcomm Incorporated Wake up signal configuration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WO2019168455A1 (en) * 2018-02-27 2019-09-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figuration of wake-up signal maximum transmission length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7900A (ja) 2011-02-01 2014-03-27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タイムシェアリングされた同時並行多プロトコルビーコン送信設計
US20130094413A1 (en) * 2011-10-14 2013-04-18 Nokia Corporation Adaptive awake window
US20170181091A1 (en) 2015-12-18 2017-06-22 Shanghai Research Center For Wireless Communications Hybrid monitoring-sleeping method of wireless sensor and wireless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72313A1 (en) 2020-06-24
US20200205079A1 (en) 2020-06-25
CN109413721A (zh) 2019-03-01
EP3672313A4 (en) 2021-04-28
KR20200038994A (ko) 2020-04-14
CN109413721B (zh) 2021-01-15
WO2019033916A1 (zh) 2019-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5874B1 (ko) 웨이크업 신호 지속 시간의 설정 방법, 획득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기
US11751136B2 (en) Power optimization method and device, system, and user equipment
EP2887746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20180124701A1 (en) Scheduling request (sr) period extension for low power enhanc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W201715900A (zh) 用於廣播隨選系統資訊的方法及裝置
CN116233941B (zh) 测量时间确定、驻留小区确定、参数确定方法和装置
KR20140026376A (ko) 파라미터를 구성하는 방법, 기지국 및 사용자 기기
EP263221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network entry/reent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3216811A1 (zh) 一种基站节能方法、基站、终端设备和存储介质
CN110896558A (zh) 一种工作模式切换方法、终端及网络设备
AU2017430818A1 (en) Discontinuous recep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EP3285508B1 (en) Obtaining and determining method of system message and terminal device thereof
EP2982187B1 (en) Access node dormancy
KR20130106815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모드 단말의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장치
US11895729B2 (en) Discontinuous recep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04871575A (zh) 用于基于cqi掩码处理csi报告的方法、装置及计算机程序产品
CN111698767B (zh) 一种请求系统信息的方法及设备
KR102413986B1 (ko) 정보 송신 방법, 수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기
US11622330B2 (en)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signaling, and terminal, base station and storage medium
CN114765837B (zh) 省电处理方法、装置及设备
EP3490310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CN114760679B (zh) 非连续接收drx配置切换的方法、装置及终端
CN105530595B (zh) 一种设备对设备通信方法和装置
CN112533281A (zh) Drx通信同步及启动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22538207A (ja) 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