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570B1 - gasket collecting module for gas auto supply apparatus of gas cylinder - Google Patents

gasket collecting module for gas auto supply apparatus of gas cylin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570B1
KR102345570B1 KR1020200068357A KR20200068357A KR102345570B1 KR 102345570 B1 KR102345570 B1 KR 102345570B1 KR 1020200068357 A KR1020200068357 A KR 1020200068357A KR 20200068357 A KR20200068357 A KR 20200068357A KR 102345570 B1 KR102345570 B1 KR 102345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module
connector
gas
end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3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52078A (en
Inventor
이희균
김대진
복정주
신경철
성기범
최재욱
최돈진
홍원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익홀딩스
주식회사 씨케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익홀딩스, 주식회사 씨케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익홀딩스
Priority to KR1020200068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570B1/en
Publication of KR20210152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0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5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2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vessels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028Tools for removing or installin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8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having finger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04Shape cylindrical
    • F17C2201/0109Shape cylindrical with exteriorly curved end-pie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6Small (<1 m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03Exterio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5Applications for industrial use
    • F17C2270/0518Semi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자동공급장치 쪽으로 운반된 수평식(누운 자세) 가스실린더의 가스를 반도체 제조공정으로 자동 공급하는 가스실린더의 가스자동공급장치용 가스켓수거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스켓수거통의 덮개가 자동으로 개폐 가능한 가스실린더의 가스자동공급장치용 가스켓수거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sket collection module for an automatic gas supply device of a gas cylinder that automatically supplies gas from a horizontal (recumbent position) gas cylinder transported to an automatic gas supply device to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It relates to a gasket collection module for an automatic gas supply device of a gas cylinde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a .

Description

가스실린더의 가스자동공급장치용 가스켓수거모듈{gasket collecting module for gas auto supply apparatus of gas cylinder}Gasket collecting module for gas auto supply apparatus of gas cylinder

본 발명은 가스자동공급장치 쪽으로 운반된 수평식(누운 자세) 가스실린더의 가스를 반도체 제조공정으로 자동 공급하는 가스실린더의 가스자동공급장치용 가스켓수거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스켓수거통의 덮개가 자동으로 개폐 가능한 가스실린더의 가스자동공급장치용 가스켓수거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sket collection module for an automatic gas supply device of a gas cylinder that automatically supplies gas from a horizontal (recumbent position) gas cylinder transported to an automatic gas supply device to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It relates to a gasket collection module for an automatic gas supply device of a gas cylinde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a .

일반적으로, 반도체를 제조하는 제조공정에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가스가 공급되어 사용되는데, 이러한 가스들은 대부분 인체에 흡입되거나 대기중에 노출될 경우 안전사고 및 환경오염 등의 큰 피해를 일으키게 되므로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In general,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s, various types of gases are supplied and used depending on the purpose, but when most of these gases are inhaled into the human body or exposed to the atmosphere, they cause great damage such as safety accident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requires

예를 들면, 이온주입공정에 사용되는 가스의 종류로는, 수소화비소(AsH3 : Arsine), 인화수소(PH 3 : Phosphine) 또는 삼플루오르화붕소(BF3 : Boron Fluoride) 등과 같은 유동성 가스가 있는데, 이들 가스는 독성이 매우 강하여 작업자가 호흡기로 흡입할 경우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므로 생산라인으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누출(漏出)되지 않도록 세심하게 관리하여야 된다. For example, as a type of gas used in the ion implantation process, there is a fluid gas such as arsenic hydride (AsH3: Arsine), hydrogen phosphine (PH 3: Phosphine), or boron trifluoride (BF3: Boron Fluoride). These gases are very toxic and cause fatal results if inhaled by a worker. Therefore, care must be taken not to leak during the supply to the production line.

이와 같은 반도체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가스들은 그 관리가 매우 중요한데, 이러한 가스들은 가스통(이하 "고압가스통"이라 함)에 고압으로 충전된 상태로 캐비닛에 장착되어 가스 공급라인을 통해 생산라인에 공급되며, 가스가 약 90% 정도 소진되면 고압가스통의 내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이 웨이퍼 가공공정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작업자가 새로운 고압가스통으로 교체함으로써, 계속해서 가스를 공급하게 된다. The gas used in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is very important to manage, and these gases are installed in a cabinet with a high pressure charged in a gas cylind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high pressure gas cylinder") and supplied to the production line through the gas supply line. , when about 90% of the gas is exhausted, the operator replaces the high-pressure gas cylinder with a new high-pressure gas cylinder so that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inside the high-pressure gas cylinder are not supplied to the wafer processing process, thereby continuously supplying gas.

이를 위해 특허문헌(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40922호)에 공지된 바와 같이, 반도체의 FAB 공정(Fabrication Process)설비에서 웨이퍼 생산라인으로 가스를 공급하도록 캐비닛(cabinet)에 로딩(loading) 및 언로딩(unloading) 되는 고압가스통을 자동으로 교체하는 고압가스통 자동교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고압가스통 리프트에 고압가스통을 로딩하기만 하면 고압가스통을 고압가스통 연결 유닛에 자동으로 연결하고 고압가스통 내의 가스가 적정량 소진되면 고압가스통 연결유닛으로부터 고압가스통을 자동으로 분리하여 언로딩 할 수 있도록 하는 고압가스통 자동교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For this purpose, as is known in the patent literature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9-0040922), loading and It relates to an automatic high-pressure gas cylinder replacement system that automatically replaces an unloaded high-pressure gas cylinder, and more specifically, automatically connects the high-pressure gas cylinder to the high-pressure gas cylinder connection unit by simply loading the high-pressure gas cylinder into the high-pressure gas cylinder lift. And when the appropriate amount of gas in the high-pressure gas cylinder is exhausted, it relates to an automatic high-pressure gas cylinder replacement system that automatically separates the high-pressure gas cylinder from the high-pressure gas cylinder connection unit and enables unloading.

그러나, 종래의 고압가스통은 수직(직립)한 고압가스통으로서, 밸브는 수직방향, 가스분사노즐은 수평방향인 서로 직교하는 자세로 밸브를 열고 가스분사노즐로부터 가스를 배출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However, the conventional high-pressure gas cylinder is a vertical (upright) high-pressure gas cylinder, and the valve is opened in a postu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gas injection nozzle is horizontal, and the operation of discharging gas from the gas injection nozzle is performed.

한편, Y-실린더(상하에 밸브 어셈블리가 설치된 용기) 또는 톤 실린더(무게가 많이 나가는 용기)라 불리는 가스실린더는 세운 상태로 작업을 하지 못하는 형상 또는 큰 중량으로 말미암아 통상 가스실린더 운반용 스키드에 눕힌 수평으로 거치한 상태로 가스자동공급장치의 위치로 가지고 와서 하늘을 향하는 가스분사노즐에 작업자가 커넥터를 내려서 체결한다. On the other hand, a gas cylinder called a Y-cylinder (a container in which the valve assembly is installed at the top and bottom) or a ton cylinder (a container with a lot of weight) is usually placed on a skid for transporting the gas cylinder due to its shape that cannot be operated in an upright state or due to its large weight. Bring it to the position of the automatic gas supply device in the state of being mounted with

그러나, 하늘로 향하는 가스분사노즐이 정확히 수직하게 향하지 않으면 커넥터와의 체결이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다시 수평식 가스실린더의 가스분사노즐을 정확히 하늘로 향하게 돌려 조정한 다음 커넥팅 작업을 해야 한다. However, if the gas injection nozzle pointing to the sky is not directed exactly vertically, the connection with the connector is not performed well. Therefore, the gas injection nozzle of the horizontal gas cylinder should be adjusted by turning the gas injection nozzle of the horizontal gas cylinder toward the sky precisely before connecting.

또한,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커넥터 상에 가스분사노즐이 정확히 들어와 맞아야 하는데, 작업자가 가스실린더의 운반용 스키드를 밀고 들어올 때 그 센터가 맞지 않을 경우에 작업자가 스키드를 이리저리 밀면서 맞추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In addition, the gas injection nozzle must fit in exactly on the connector coming down from the top, but when the center does not fit when the operator pushes the skid for transport of the gas cylinder,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operator has to adjust the skid while pushing it back and forth.

이와 같이 수평식 가스실린더의 가스분사노즐과 커넥터를 정확히 자동으로 맞추는 시스템이 없기 때문에 억지 나사 체결에 의한 커넥팅 등 현장 애로 사항이 많았다. As there is no system that automatically aligns the gas injection nozzle of the horizontal gas cylinder with the connector exactly,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in the field, such as connecting by tightening the force screw.

또한, 작업자가 운반용 스키드의 투입 완료 시점을 미숙지하여 계속 투입하게 되면 설비와 충돌 발생 우려가 크다. In addition, if the operator continues to put in because he is unfamiliar with the timing of the completion of the input of the skid for transport, there is a high risk of collision with the equipment.

한편, 운반용 스키드의 미 투입상태에서 커넥터모듈의 배관 오염 및 가스 공급 배관의 가스 잔여물이 외부로 퍼지는 현상을 막기 위한 구성이 없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configuration to prevent the pipe contamination of the connector module and the gas residue of the gas supply pipe from spreading to the outside in a state in which the transport skid is not inserted.

다른 한편, 커넥터 너트 내부에서 가스켓의 투입 투출되는 특허문헌(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70878호)에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가스켓 제거 카트리지도 그 구조 및 작동이 복잡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patent document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9-0070878 No. 10-2019-0070878) in which the gasket is input and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connector nu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gasket removal cartridge are also complicated.

또한, 종래의 가스켓 자동 교체 장치는 누워있는 가스통의 가스출구포트가 하늘로 향하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automatic gasket replacement device cannot be applied when the gas outlet port of the lying gas cylinder faces the sky.

또 다른 한편, 가스통의 엔드 캡 이탈방지기능을 갖는 홀더가 특허문헌(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40922호)에 공지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 holder having an end cap separation prevention function of a gas cylinder is known in the patent document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9-0040922).

종래의 가스통의 엔드 캡 이탈방지기능을 갖는 홀더에서는 엔드 캡을 회전시켜 분리/체결하는 액추에이터가 별도로 있기 때문에, 엔드 캡이 분리된 후 가스분사노즐로부터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커넥터 쪽으로 가스통을 회전시켜야 하는 회전테이블과 그 구동부 등이 필요하다. Since there is a separate actuator for separating/fastening the end cap by rotating the end cap in the holder having an end cap separation prevention function of the conventional gas cylinder, the gas cylinder must be rotated toward the connector to supply gas from the gas injection nozzle after the end cap is removed. A rotary table and its driving unit are required.

또한, 엔드 캡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래치와 탄성부재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홀더가 엔드 캡의 외주면에 무리하게 삽입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end cap uses a latch and an elastic member, the structure is very complicated, and the holder may be forcefully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cap.

한편, 홀더에 엔드 캡의 홀딩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가 없기 때문에, 엔드 캡 분리 후 엔드 캡의 탈착이 이상 없이 이루어졌는지 그리고 엔드 캡의 체결 전 실제 엔드 캡을 홀딩 중에 있다가 체결 후 엔드 캡이 비정상 동작으로 인하여 다시 빠져 나오지는 않았는지 확인할 수 없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re is no sensor in the holder to detect whether the end cap is being held, whether the end cap was detached or detached after the end cap was removed, and the end cap is abnormal after holding the end cap before fastening the end cap. It is not possible to check whether or not it came out again due to an operation.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4092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40922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7087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70878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스켓수거통의 덮개가 자동으로 개폐 가능한 가스실린더의 가스자동공급장치용 가스켓수거모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sket collection module for an automatic gas supply device of a gas cylinder in which the cover of the gasket container can be opened and closed automatically.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가스실린더의 가스자동공급장치용 가스켓수거모듈은, 가스실린더(1)의 밸브(5)에 대해 직교(z)하는 가스출구포트(7)에 커넥팅되는 커넥터 모듈(300)의 커넥터 너트(340)에서 투출한 가스켓(G)을 그립핑한 핑거 그립퍼(550)가 가스켓수거통(911)에 놓아 수거하는 가스켓수거모듈(900)로서, 가스켓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켓(G)을 로딩하는 가스켓로딩부(510)의 일측에 배치되는 가스켓수거통(911)과 덮개(913)를 포함하는 가스켓수거부(910)와, 가스켓로딩부(510)와 가스켓수거부(910)를 전후방향(y)으로 이송시키는 전후이송용 액추에이터(930)와, 전후이송하는 가스켓수거통(911)에 대해 덮개(913)의 전후이송 및 승강을 통해 개폐시키는 수거통개폐구동부(950)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gasket collection module for an automatic gas supply device of a gas cylinder according to claim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as outlet port 7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valve 5 of the gas cylinder 1 (z). ), the finger gripper 550 gripping the gasket (G) ejected from the connector nut 340 of the connector module 300 connected to the A gasket collection part 910 including a gasket container 911 and a cover 913 disposed on one side of the gasket loading part 510 for loading the gasket G supplied from the supply part, and a gasket loading part 510 and An actuator 930 for forward and backward transport that transports the gasket collection unit 910 in the front-rear direction (y), and a container opening/closing driving unit that opens and closes the cover 913 through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nd elevating for the gasket container 911 that moves back and forth ( 950).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가스실린더의 가스자동공급장치용 가스켓수거모듈에 있어서, 수거통개폐구동부(950)는 가스켓수거부(910)의 배면에 위치하며, 좌우승강을 안내하는 캠(952)이 형성된 캠 고정판(951)과, 덮개(913)에 설치된 채 캠(952)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는 핀(953)을 포함한다. In the gasket collection module for the automatic gas supplying device of a gas cylinder according to claim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opening/closing driving part 950 is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gasket collecting part 910, and a cam 952 for guiding the left and right elevation is provided. The formed cam fixing plate 951 includes a pin 953 installed on the cover 913 and moving along the trajectory of the cam 952 .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가스실린더의 가스자동공급장치용 가스켓수거모듈에 있어서, 덮개(913)에는 배기 배관(미도시)과 연결되는 배기홀(915)이 형성되어 있다. In the gasket collection module for automatic gas supply of a gas cylinder according to claim 3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haust hole 915 connected to an exhaust pipe (not shown) is formed in the cover 913 .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가스실린더의 가스자동공급장치용 가스켓수거모듈에 있어서, 덮개(913)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용 가이드부(970)가 전후이송용 액추에이터(930)와 덮개(913) 사이에 더 설치되어 있다. In the gasket collection module for the automatic gas supplying device of a gas cylinder according to claim 4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ng guide portion 970 for guiding the elevating of the cover 913 is provid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actuator 930 and the cover 913 . more installed in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사용된 가스켓에는 공급했던 가스의 미세 잔여물이 묻어 나오게 되는데 이 가스켓이 수거통에서 계속하여 흄(연기) 발생을 시키게 되고, 이는 공중에 분산되어 공기를 오염시키고, 작업자를 위험에 노출 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된 가스켓 수거통 상부에 덮개를 설치하고, 이에 더하여 덮개의 배기홀에 배기 배관을 연결하여 외부로의 흄 비산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The used gasket is covered with fine residues of the supplied gas, and this gasket continues to generate fumes (smoke) from the container, which is dispersed in the air, pollutes the air, and exposes workers to danger. Therefore, a cover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used gasket container, and in addition, an exhaust pipe is connected to the exhaust hole of the cover to suppress fumes from scattering to the outside.

한가지 유닛 구조상 특이점이라고 하면 덮개를 움직이는 구동체를 따로 만들지 않고 기존 사용중인 가스켓로딩부(510)의 구동체를 이용하여 필요 상황에서만 덮개가 오픈 되는 구조로 제작되었다. As a singularity in the structure of the unit, it is manufactur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cover is opened only when necessary by using the driving body of the gasket loading unit 510 in use without making a separate driving body to move the cover.

도 1은 수평식 가스실린더(또는 Y-실린더)가 실린 운반용 스키드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자동공급장치와 얼라인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는 가스자동공급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수평식 가스실린더 운반용 스키드가 도 2의 가스자동공급장치에 도킹 전 상태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8은 도 1의 가스자동공급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배면도, 좌우측면도 및 평면도.
도 9는 도 4의 9-9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0은 수평식 가스실린더 운반용 스키드의 얼라인 가이드 되어 이송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11은 커넥터모듈의 공전(틸팅) 전의 정면도.
도 12 및 도 13은 커넥터모듈이 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공전(틸팅) 후의 정면도.
도 14 내지 도 16은 공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17 및 도 18은 가스켓을 척킹한 상태의 정면도와 부분 사시도.
도 19 및 도 20은 90도 회전하여 커넥팅모듈 주위에 배치된 정면도와 부분 사시도.
도 21 및 도 22는 가스켓투입/투출모듈이 커넥터모듈의 하부 및 투입된 정면도.
도 23은 사용된 가스켓을 척킹한 그립부의 위치로 가스켓수거통이 슬라이딩 한 사시도.
도 24는 공급된 가스켓의 차지(a) 및 리프팅 한(b) 상태의 정면도.
도 25는 가스켓얼라인부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횡단면도.
도 26은 그립퍼를 도시한 사시도.
도 27은 그립퍼가 가스켓을 척킹한 상태의 평면도.
도 28은 그립퍼가 가스켓을 척킹한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29 및 도 30은 엔드캡분리/체결모듈의 상하 사시도.
도 30a는 엔드캡용 근접센서가 달린 엔드캡분리/체결모듈의 사시도.
도 31 내지 도 36은 엔드 캡의 분리 과정을 설명하는 도.
도 37 내지 도 40은 커넥터모듈에 대한 커넥터플러그모듈의 분리 순서를 도시한 배면도.
도 41 내지 도 43은 사용한 가스켓의 수거 순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4는 엔드캡의 분리/체결 시 커넥터플러그모듈과의 간섭 회피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5는 밸브셔터모듈을 제외한 커넥터플러그모듈, 커넥터모듈, 비전모듈, 엔드캡분리/체결모듈, 커넥터공전모듈, 가스켓투입/투출모듈, 가스켓수거모듈을 나타낸 배면도.
도 46 및 도 47은 얼라인 가이드 유닛의 입구에 바퀴브레이크모듈이 설치된 평면도 및 정면도.
도 48 및 도 49는 바퀴브레이크모듈이 아이들 한 상태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50 및 도 51은 바퀴브레이크모듈이 브레이킹한 상태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52a 내지 도 52e는 가스 공급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 차트.
도 53a 내지 도 53d는 가스 교체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 차트.
1 is a side view of a transport skid on which a horizontal gas cylinder (or Y-cylinder) is loaded;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utomatic gas supply system including an automatic gas supply device and an alignment guid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rizontal gas cylinder transport skid of Figure 1 before docking to the automatic gas supply device of Figure 2;
4 to 8 are a front view, a rear view, a left and right sid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the automatic gas supplying device of FIG. 1;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9-9 of Fig. 4;
10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transport state by being an alignment guide of a skid for transporting a horizontal gas cylinder.
11 is a front view of the connector module before revolution (tilting).
12 and 13 are front views after the connector module revolves (tilting) in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14 to 16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unit.
17 and 18 are a front view and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gasket is chucked;
19 and 20 are a front view and a partial perspective view which are rotated 90 degrees and disposed around the connecting module;
21 and 22 are front views in which the gasket input/discharge module is inserted and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or module;
2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asket container sliding to the position of the grip part chucking the used gasket.
Fig. 24 is a front view of the supplied gasket in a state in which it is charged (a) and lifted (b);
2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gasket alignment part;
Fig. 2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ipper;
Fig. 27 is a plan view of the gripper chucking the gasket;
Fig. 2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gripper chucks the gasket;
29 and 30 are upper and lower perspective views of the end cap separation/fastening module;
30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d cap separation/fastening module having a proximity sensor for end caps;
31 to 36 are views for explaining a separation process of the end cap.
37 to 40 are rear views illustrating a separation procedure of the connector plug module from the connector module;
41 to 43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llection procedure of used gaskets.
4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connector plug module when the end cap is separated/fastened;
45 is a rear view showing a connector plug module, a connector module, a vision module, an end cap separation/tightening module, a connector idle module, a gasket input/discharge module, and a gasket collection module except for the valve shutter module;
46 and 47 are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in which the wheel brake module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alignment guide unit.
48 and 49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wheel brake module is idle;
50 and 51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a braked state of the wheel brake module.
52A to 52E are flowcharts showing a gas supply control method;
53A to 53D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gas replacement control metho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X축은 좌우방향, Y축은 전후(길이)방향, Z축은 승강(상하)방향으로 정의한다.First, the X-axis is defined as the left-right direction, the Y-axis is defined as the front-back (length) direction, and the Z-axis is defined as the elevation (up-down) direction.

도 1은 수평식 가스실린더(또는 Y-실린더)가 실린 운반용 스키드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자동공급장치와 얼라인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는 가스자동공급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수평식 가스실린더 운반용 스키드가 도 2의 가스자동공급장치에 도킹 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8은 도 1의 가스자동공급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배면도, 좌우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4의 9-9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10은 수평식 가스실린더 운반용 스키드의 얼라인 가이드 되어 이송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 11은 커넥터모듈의 공전(틸팅) 전의 정면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커넥터모듈이 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공전(틸팅) 후의 정면도이고, 도 14 내지 도 16은 공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가스켓을 척킹한 상태의 정면도와 부분 사시도이고, 도 19 및 도 20은 90도 회전하여 커넥팅모듈 주위에 배치된 정면도와 부분 사시도이고, 도 21 및 도 22는 가스켓투입/투출모듈이 커넥터모듈의 하부 및 투입된 정면도이고, 도 23은 사용된 가스켓을 척킹한 그립부의 위치로 가스켓수거통이 슬라이딩 한 사시도이고, 도 24는 공급된 가스켓의 차지(a) 및 리프팅 한(b)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25는 가스켓얼라인부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횡단면도이고, 도 26은 그립퍼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7은 그립퍼가 가스켓을 척킹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28은 그립퍼가 가스켓을 척킹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29 및 도 30은 엔드캡분리/체결모듈의 상하 사시도이고, 도 30a는 엔드캡용 근접센서가 달린 엔드캡분리/체결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1 내지 도 36은 엔드 캡의 분리 과정을 설명하는 도이고, 도 37 내지 도 40은 커넥터모듈에 대한 커넥터플러그모듈의 분리 순서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41 내지 도 43은 사용한 가스켓의 수거 순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4는 엔드캡의 분리/체결 시 커넥터플러그모듈과의 간섭 회피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5는 밸브셔터모듈을 제외한 커넥터플러그모듈, 커넥터모듈, 비전모듈, 엔드캡분리/체결모듈, 커넥터공전모듈, 가스켓투입/투출모듈, 가스켓수거모듈을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46 및 도 47은 얼라인 가이드 유닛의 입구에 바퀴브레이크모듈이 설치된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48 및 도 49는 바퀴브레이크모듈이 아이들 한 상태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50 및 도 51은 바퀴브레이크모듈이 브레이킹한 상태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a transport skid on which a horizontal gas cylinder (or Y-cylinder) is loaded, and FIG. 2 shows an automatic gas supply system including an automatic gas supply device and an alignment guid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perspective view,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rizontal gas cylinder transport skid of Figure 1 before docking to the automatic gas supply device of Figure 2, Figures 4 to 8 are front views showing the automatic gas supply device of Figure 1 , a rear view, a left and right side view and a plan view,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9-9 of FIG. 4, and FIG. 10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transport state by being align guide of the horizontal gas cylinder transport skid, FIG. 11 is a front view of the connector module before revolution (tilting), FIGS. 12 and 13 are front views of the connector module after revolution (tilting) in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and FIGS. 14 to 16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process unit, 17 and 18 are a front view and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gasket is chucked, FIGS. 19 and 20 are a front view and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module rotated by 90 degrees, and FIGS. 21 and 22 are gasket insertion/discharging The module is a lower and inserted front view of the connector module, FIG. 2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asket container sliding to the position of the grip part chucking the used gasket, and FIG. 24 is a state in which the supplied gasket is charged (a) and lifted (b) is a front view of, FIG. 2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gasket alignment part, FIG. 2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ripper, FIG. 27 is a plan view of the gripper chucking the gasket, and FIG. 28 is the gripper chucking the gasket It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one state, FIGS. 29 and 30 are top and bottom perspective views of the end cap separation/fastening module, FIG. 30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nd cap separation/fastening module with a proximity sensor for the end cap, and FIGS. 31 to 36 are end caps It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eparation process of the cap, FIGS. 37 to 40 are rear views illustrating the separation procedure of the connector plug module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module, and FIGS. 41 to 4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llection procedure of the used gasket, FIG. 44 is the removal of the end cap /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connector plug module when fastening, and FIG. 45 is a connector plug module, connector module, vision module, end cap separation/tightening module, connector idle module, gasket input/discharge module except for the valve shutter module. , a rear view showing the gasket collection module, FIGS. 46 and 47 are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in which the wheel brake module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alignment guide unit, and FIGS. 48 and 49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wheel brake module is idle 50 and 51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a braked state of the wheel brake module.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y)인 수평식 가스실린더(1)는 가스실린더 몸체(3)의 양단에 밸브 조립체가 형성된 Y실린더인 것으로 설명하다.First, as shown in FIG. 1 , the horizontal gas cylinder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will be described as a Y cylinder in which valve assemblie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gas cylinder body 3 .

수평식 가스실린더(1)의 일단 헤드(2)에는 길이방향(y)을 따르는 밸브(5)가 설치되고, 가스출구포트(7)는 밸브(5)와 직교하는 z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밸브(5)와 가스출구포트(7)는 직각으로 배치된다. A valve 5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head 2 of the horizontal gas cylinder 1 , and the gas outlet port 7 is disposed in the z direction orthogonal to the valve 5 . That is, the valve 5 and the gas outlet port 7 are disposed at right angles.

또한, 가스출구포트(7)에는 마개인 엔드 캡(8)이 나사 체결되어 있다. In addition, an end cap 8 serving as a stopper is screwed to the gas outlet port 7 .

이러한 수평식 가스실린더(1)는 캐스트(바퀴)가 달린 운반용 스키드(9)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눕혀 실은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게 벨트로 묶은 후, 작업자가 가스자동공급장치(100) 쪽으로 가까이 밀게 된다. This horizontal gas cylinder (1) is laid dow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ort skid (9) with cast (whee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ied with a belt so that it does not move in the loaded state, and then the operator pushes it close to the automatic gas supply device (100). do.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실린더의 가스자동공급시스템은 크게 가스자동공급장치(100)와, 가스자동공급장치(100) 쪽으로 운반용 스키드(9)를 길이방향(y)으로 똑바로 맞춰 이송 도킹시키는 얼라인 가이드 장치(1000)를 포함한다. 2 and 3, the automatic gas supply system of the gas cyl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largely moves the automatic gas supply device 100 and the automatic gas supply device 100 toward the transport skid 9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ncludes an alignment guide device 1000 for transporting and docking in a straight line with (y).

가스자동공급장치(100)Gas automatic supply device (100)

가스자동공급장치(100)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셔터모듈(200), 상하로 배치되는 커넥터모듈(300)과 비전모듈(400), 좌우측에 배치되는 가스켓투입/투출모듈(500)과 엔드캡분리/체결모듈(600), 그리고 커넥터공전모듈(70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4 to 8, the automatic gas supply device 100 includes a valve shutter module 200, a connector module 300 and a vision module 400 arranged vertically, and a gasket input/discharge modul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500 and the end cap separation/fastening module 600 , and a connector idle module 700 .

이러한 가스자동공급장치(100)는 후드 박스(hood box) 내에 있다. This automatic gas supply device 100 is in a hood box.

이하에서는 커넥터모듈(300), 비전모듈(400), 가스켓투입/투출모듈(500), 엔드캡분리/체결모듈(600), 커넥터공전모듈(700), 커넥터플러그모듈(800) 및 가스켓수거모듈(900)은 가스출구포트(7)와 직간접으로 관련된 것으로서, '가스출구포트용 모듈'이라고 정의한다. Hereinafter, a connector module 300, a vision module 400, a gasket input/discharge module 500, an end cap separation/tightening module 600, a connector idle module 700, a connector plug module 800, and a gasket collection module Reference numeral 900 is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gas outlet port 7, and is defined as a 'module for the gas outlet port'.

밸브셔터모듈(200)Valve shutter module (200)

밸브셔터모듈(20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5)를 개폐하는 밸브셔터(210)와, 밸브셔터(210)에 회전 구동시키는 밸브셔터모터(2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8 , the valve shutter module 200 includes a valve shutter 21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5 and a valve shutter motor 230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valve shutter 210 .

물론 밸브셔터(210)와 밸브셔터모터(230) 사이에는 회전동력전달부(220)가 설치되어 있다. Of course, a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unit 220 is installed between the valve shutter 210 and the valve shutter motor 230 .

밸브셔터(210)는 도 4와 같이, 밸브(5)의 테두리 요홈 사이로 핀(211)이 들어간 상태에서 회전시켜 개폐하는 구성이다.(특허문헌의 종래기술 참조)As shown in Fig. 4, the valve shutter 210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by rotating the pin 211 between the grooves on the edge of the valve 5. (Refer to the prior art of the patent document)

또한 밸브셔터모듈(200)은 도 8의 제1,2액추에이터(201)(203)에 의해 x축과 y축을 따라 이동한다. In addition, the valve shutter module 200 is moved along the x-axis and the y-axis by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201 and 203 of FIG. 8 .

제1,2액추에이터(201)(203)는 에어 실린더로서 서로 직교하게 배치되어 있다.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201 and 203 are air cylinders and are disposed orthogonally to each other.

제1액추에이터(20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30)에 고정된 제1고정레일블록(201a) 위에서 x축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제1가동레일블록(201b)으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5 , the first actuator 201 includes a first movable rail block 201b that slides in the x-axis direction on the first fixed rail block 201a fixed to the base 30 .

제2액추에이터(203)는 도 8과 같이, 제1가동레일블록(201b)에 고정된 제2고정레일블록(203a) 위에서 y축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제2가동레일블록(203b)으로 이루어진다. The second actuator 203 includes a second movable rail block 203b that slides in the y-axis direction on the second fixed rail block 203a fixed to the first movable rail block 201b, as shown in FIG. 8 .

x축은 밸브셔터(210)를 밸브(5)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y축은 밸브셔터(210)가 밸브(5)에 끼워져 개폐시킬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이다. The x-axis is a direction in which the valve shutter 210 is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valve 5 , and the y-axis is a direction in which the valve shutter 210 is inserted into the valve 5 and moved to a position to be opened and closed.

커넥터모듈(300)connector module (300)

커넥터모듈(30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310)와, 모터(310)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중공감속기(320)와, 중공감속기(320)의 출력단인 커넥터 소켓(330)에 설치되어 가스출구포트(7)에 체결되는 커넥터 너트(340)와, 커넥터 소켓(330)과 커넥터 너트(340) 사이에 설치되는 너트동심보정편(350)과, 중공감속기(320)의 중심을 통해 배치되는 가스 배관(360)과, 가스 배관(360)의 헤드(361)와 커넥터 너트(340) 사이에 개재되는 이탈방지용 C링(37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9, the connector module 300 includes a motor 310, a hollow reducer 320 receiving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310, and a connector socket 330 that is an output terminal of the hollow reducer 320. The connector nut 340 installed in and fastened to the gas outlet port 7, the nut concentric correction piece 350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or socket 330 and the connector nut 340, and the center of the hollow reducer 320 It includes a gas pipe 360 disposed through, and a C-ring 370 for preventing separation interposed between the head 361 of the gas pipe 360 and the connector nut 340 .

헤드(361)의 선단에는 가스켓(G)이 삽입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It shows that the gasket (G) is inserted into the front end of the head (361).

헤드(361) 선단에 가스켓(G)의 투입/투출은 도 4에 도시한 가스켓투입/투출모듈(500)에 의해 행해진다. Insertion/discharge of the gasket (G) to the tip of the head 361 is performed by the gasket input/discharge module 500 shown in FIG.

또한, 커넥터모듈(300)은 제3액추에이터(301)에 의해 z축을 따라 승강한다. In addition, the connector module 300 is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z-axis by the third actuator 301 .

커넥터모듈(300)의 하강은 가스출구포트(7)에 체결하기 위한 것이고, 커넥터모듈(300)의 상승은 비체결 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것이다. The lowering of the connector module 300 is for fastening it to the gas outlet port 7, and the raising of the connector module 300 is for returning to the non-fastening position.

제3액추에이터(301)도 에어 실린더이다. The third actuator 301 is also an air cylinder.

제3액추에이터(30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에 지지되는 제3고정레일블록(301a)과, 제3고정레일블록(301b)을 따라 z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3가동레일블록(301b)으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4, the third actuator 301 includes a third fixed rail block 301a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10, and a third actuator 301 sliding along the third fixed rail block 301b in the z-axis direction. It consists of three movable rail blocks (301b).

제3가동레일블록(301b)에는 커넥터모듈(300)이 설치되어, 커넥터모듈(300)의 승강이 가스출구포트(7)에 체결/분리되게 접근/퇴거시킨다. 물론, 후술되는 엔드캡(8)의 분리/체결 시에도 커넥터모듈(300)의 승강을 통해 접근/퇴거가 이루어진다. The connector module 300 is installed in the third movable rail block 301b, so that the elevation of the connector module 300 approaches/removes the gas outlet port 7 to be fastened/disconnected. Of course, even during the separation/fastening of the end cap 8 to be described later, the approach/exit is made through the elevation of the connector module 300 .

비전모듈(400)Vision module (400)

비전모듈(400)은 가스 공급될 위치로 도킹된 가스실린더(1)의 헤드(2)를 계속 촬영하면서 가스출구포트용 모듈을 X축 및 Y축 이동과 θ(공전) 시키면서, 결국 커넥터모듈(300)의 커넥터 너트(340)가 가스출구포트(7)에 정확히 커넥팅 될 최종 위치를 확인하는 촬영 모듈이다. The vision module 400 continues to photograph the head 2 of the gas cylinder 1 docked to the position where the gas is to be supplied while moving the module for the gas outlet port in the X and Y axes and θ (orbits), and eventually the connector module ( It is a photographing module that confirms the final position where the connector nut 340 of 300 will be accurately connected to the gas outlet port 7 .

비전모듈(400)은 비전 카메라(미도시)와 조명(미도시)을 포함한다. The vision module 400 includes a vision camera (not shown) and lighting (not shown).

커넥터모듈(300)과 비전모듈(400)은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에 상하 마주보게 지지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45 , the connector module 300 and the vision module 400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10 to face up and down.

커넥터플러그모듈(800) Connector Plug Module (800)

커넥터플러그모듈(800)은 가스실린더(1) 미 도킹 상태에서 커넥터모듈(300)의 배관(360)의 오염 및 가스 공급 배관의 가스 잔여물이 외부로 퍼지는 현상을 막기 위한 기능성 모듈이며, 커넥터모듈(300)의 승강 없이 대기위치에서 커넥터플러그(810)가 커넥터 너트(340)를 개폐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The connector plug module 800 is a functional module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pipe 360 of the connector module 300 and the gas residues of the gas supply pipe from spreading to the outside in a state in which the gas cylinder 1 is not docked, and the connector module It is meaningful that the connector plug 810 opens and closes the connector nut 340 in the standby position without lifting or lowering the 300 .

만약 커넥터모듈(300)의 하강동작이 필요하게 된다면 가스실린더(1)가 가스자동공급장치(100) 내 도킹되는 길목을 차단하기 때문에, 가스실린더(1)의 가스자동공급장치(100) 내의 도킹 전 커넥터플러그(810)를 미리 개방(해제)하게 되는데, 이는 오염이나 가스 잔여물로부터 안전상 바람직하지 못하다.If a lowering operation of the connector module 300 is required, the gas cylinder 1 blocks the docking path in the automatic gas supply apparatus 100, so the gas cylinder 1 is docked in the automatic gas supply apparatus 100. The front connector plug 810 is opened (released) in advance, which is undesirable in terms of safety from contamination or gas residues.

따라서, 시퀀스 상 가스실린더(1)의 커넥팅 동작과 최대한 근접한 곳에 시퀀스 배치를 하기 위하여 가스실린더(1)의 도킹 완료 및 비전 얼라인 후 커넥터플러그(810)의 개폐가 가능한 형식으로 제작되었다. Therefore, in order to arrange the sequenc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connecting operation of the gas cylinder 1 in the sequence, the connector plug 810 can be opened and closed after the gas cylinder 1 has been docked and the vision alignment is completed.

커넥터플러그모듈(800)은 도 37 내지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모듈(300)과 동시에 승강되게 제3가동레일블록(301b)에 설치되고 있다. The connector plug module 800 is installed on the third movable rail block 301b to be raised and lowered at the same time as the connector module 300 as shown in FIGS. 37 to 40 .

즉, 커넥터플러그모듈(800)은 커넥터 너트(340)에 분리/체결되는 커넥터플러그(810)와, 제3액추에이터(301)의 제3가동레일블록(301b)에 설치되어 커넥터플러그(810)를 z축 중심으로 선회시키는 커넥터플러그 선회용 액추에이터(801)와, 커넥터플러그 선회용 액추에이터(801)에 설치되어 커넥터플러그(810)를 승강(z축)시키는 커넥터플러그 승강용 액추에이터(803)와, 커넥터플러그 승강용 액추에이터(803)와 커넥터플러그(810) 사이를 연결하는 브리지(830)를 포함한다. That is, the connector plug module 800 is installed in the connector plug 810 separated/fastened to the connector nut 340 and the third movable rail block 301b of the third actuator 301 to connect the connector plug 810 to the connector plug 810 . An actuator for turning the connector plug (801) for turning it around the z-axis, and an actuator for turning the connector plug (803) installed in the actuator for turning the connector plug (801) to raise and lower the connector plug (810) (z-axis), and a connector It includes a bridge 830 for connecting between the actuator for lifting the plug (803) and the connector plug (810).

커넥터플러그 선회용 액추에이터(801)는 제3가동레일블록(301b)과 커넥터모듈(300)을 연결하는 브라켓의 하면에 설치되는 로터리 에어 실린더(801)이다. The actuator for turning the connector plug 801 is a rotary air cylinder 801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racket connecting the third movable rail block 301b and the connector module 300 .

커넥터플러그 승강용 액추에이터(803)는 에어 실린더로서, 로터리공압실린더(801)의 하면에 설치되는 고정레일블록(803a)과, 고정레일블록(803a)을 따라 승강하는 가동레일블록(803b)로 이루어진다. The connector plug elevating actuator 803 is an air cylinder, and consists of a fixed rail block 803a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ry pneumatic cylinder 801, and a movable rail block 803b that elevates along the fixed rail block 803a. .

따라서, 커넥터 너트(340)의 회전방향에 따라 커넥터플러그(810)가 아래로 하강하면 분리(도 38 참조), 상승하면 체결(도 37 참조)된다. Accordingly, depending 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nnector nut 340, when the connector plug 810 descends downward, it is separated (see FIG. 38), and when it rises, it is fastened (see FIG. 37).

또한, 브리지(830)에는 커넥터플러그모듈(800)의 하강과 간섭되지 않게 회피시키는 회피공간부(835)가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n avoidance space portion 835 is formed in the bridge 830 to avoid interfering with the descent of the connector plug module 800 .

즉, 브리지(830)는 일측이 커넥터플러그 승강용 액추에이터(803)에서 외측 아래로 향하는 경사브리지(831)와, 경사브리지(831)의 타측에서 외측 수평으로 향하는 수평브리지(833)를 포함한다. That is, the bridge 830 includes an inclined bridge 831 of which one side faces downward from the connector plug elevating actuator 803, and a horizontal bridge 833 that faces horizontally out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inclined bridge 831.

수평브리지(833)의 타측 상면에는 커넥터플러그(810)가 설치된다. A connector plug 81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bridge 833 .

이러한 회피공간부(835)는 경사브리지(831)의 하측에 형성된 공간으로서, 커넥터모듈(300)과 엔드캡분리/체결모듈(600) 간의 엔드캡(8)의 분리/체결시킬 때 도 44와 같이, 하강한 브리지(831)에 간섭되지 않는 통로의 역할을 하여, 콤팩트화 한다. This avoidance space portion 835 is a space formed below the inclined bridge 831, and is shown in FIG. 44 when the end cap 8 is separated/fastened between the connector module 300 and the end cap separation/fastening module 600. Similarly, it serves as a passag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lowered bridge 831, thereby making it compact.

이러한 커넥터플러그(810)의 분리(해제) 과정을 도 37 내지 도 4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separation (release) process of the connector plug 8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7 to 40 .

도 37은 커넥터플러그(810)가 커넥터 너트(340)에 체결되어 막고 있는 상태이다. 37 i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plug 810 is fastened to the connector nut 340 to block it.

이 상태에서, 커넥터 너트(340)가 해체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커넥터플러그 승강용 액추에이터(803)의 가동레일블록(803b)을 하강시키면, 도 38과 같이 해제된다.In this state, when the movable rail block 803b of the connector plug elevating actuator 803 is lowered while the connector nut 340 rotates in the disassembly direction, it is released as shown in FIG. 38 .

이 해제된 상태에서 커넥터 너트(340)의 회전은 멈추고 도 39와 같이, 커넥터플러그 선회용 액추에이터(801)로 브리지(830)를 90도 선회시켜 커넥터플러그(810)가 커넥터 너트(340)의 외곽으로 배치된다. In this released state, the rotation of the connector nut 340 is stopped and, as shown in FIG. 39, the bridge 830 is rotated 90 degrees with the actuator 801 for turning the connector plug, so that the connector plug 810 is located outside the connector nut 340. is placed as

그 다음 도 40과 같이 가동레일블록(803b)을 상승시켜 커넥터플러그(810)의 분리는 완료된다. Then, as shown in FIG. 40 , the movable rail block 803b is raised to complete the separation of the connector plug 810 .

커넥터플러그(810)의 체결 과정은 분리 과정의 역순으로 하면 된다. The fastening process of the connector plug 810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disconnection process.

엔드캡분리/체결모듈(600)End cap separation/fastening module (600)

엔드캡분리/체결모듈(600)은 커넥터 너트(340)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가스출구포트(7)의 마개인 엔드 캡(8)을 회전시켜 분리/체결하는 모듈이다.The end cap separation/fastening module 600 is a module that receives the rotational power of the connector nut 340 and rotates the end cap 8 which is the stopper of the gas outlet port 7 to separate/fasten it.

즉, 엔드캡분리/체결모듈(600)은 도 29 및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암(610)과, 수평 암(610)의 일단이 z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용 엔드캡액추에이터(630)와, 수평 암(610)의 타단에 지지되는 공구부(650)를 포함한다. That is, the end cap separation/fastening module 600 is, as shown in FIGS. 29 and 30 , a horizontal arm 610 and an end for rotation in which one end of the horizontal arm 610 is rotatably supported about the z-axis. It includes a cap actuator 630 and a tool part 650 supported by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arm 610 .

수평 암(610)은 링크 타입으로 되어 있다. The horizontal arm 610 is of a link type.

또한, 수평 암(610)은 회전용 엔드캡액추에이터(630)에 일측이 설치되는 제1수평 암(611)과, 제1수평 암(611)의 타측 상면에 일측이 배치되는 제2수평 암(613)과, 제1수평 암(611)에 대해 제2수평 암(613)이 길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길이조절부(615)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horizontal arm 610 includes a first horizontal arm 611 having one side installed on the end cap actuator 630 for rotation, and a second horizontal arm having one sid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arm 611 ( 613) and the second horizontal arm 613 with respect to the first horizontal arm 611 includes a length adjustment unit 615 that is supported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길이조절부(615)는 제2수평 암(613)에 형성된 장공과, 제1수평 암(611)에 체결되는 볼트로 통상의 구조로 되어 있다. The length adjusting part 615 has a long hole formed in the second horizontal arm 613 and a bolt fastened to the first horizontal arm 611 and has a normal structure.

회전용 엔드캡액추에이터(630)는 로터리 에어 실린더이다. The rotary end cap actuator 630 is a rotary air cylinder.

공구부(650)는 수평 암(610) 또는 제2수평 암(613)의 상측에 배치되는 커넥터 너트용 소켓(651)과, 수평 암(610) 또는 제2수평 암(613)의 하측에 배치되는 엔드 캡용 소켓(653)과, 커넥터 너트용 소켓(651)과 엔드 캡용 소켓(653)을 연결한 채 수평 암(610) 또는 제2수평 암(613)에 지지되는 샤프트(655)와, 엔드 캡용 소켓(653)의 내부에 설치되는 엔드캡홀딩부(미도시)를 포함한다. The tool part 65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or nut socket 651 disposed above the horizontal arm 610 or the second horizontal arm 613 , and the horizontal arm 610 or the second horizontal arm 613 . A shaft 655 supported by the horizontal arm 610 or the second horizontal arm 613 while connecting the socket 653 for the end cap, the socket 651 for the connector nut and the socket 653 for the end cap, and the end It includes an end cap holding part (not shown) installed inside the cap socket 653 .

샤프트(655)는 수평 암(610) 또는 제2수평 암(613)의 타단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관통공(611)에 배치되어, 상하 자유롭게 움직이게 된다. The shaft 655 is disposed in a through hole 611 formed vertically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arm 610 or the second horizontal arm 613 to move freely up and down.

수평 암(610) 또는 제2수평 암(613)의 하면에는 엔드캡 소켓용 근접센서(670)가 설치되고, 수평 암(610) 또는 제2수평 암(613)의 상면에는 커넥터너트 소켓용 근접센서(680)가 설치되어 있다.A proximity sensor 670 for an end cap socket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arm 610 or the second horizontal arm 613 , and the proximity sensor 670 for the connector nut socke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arm 610 or the second horizontal arm 613 . A sensor 680 is installed.

엔드캡 소켓용 근접센서(670)는 수평 암(610) 또는 제2수평 암(613)의 하면과 엔드 캡용 소켓(653) 사이의 거리를 센싱하기 때문에, 엔드캡 소켓용 근접센서(670)가 수평 암(610) 또는 제2수평 암(613)의 하면과 동일 선상에 있도록 수평 암(610)의 하면에 형성된 위로 오목한 홈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proximity sensor 670 for the end cap socket senses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arm 610 or the second horizontal arm 613 and the socket 653 for the end cap, the proximity sensor 670 for the end cap socket is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in an upward concave groov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arm 610 so as to be on the same line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arm 610 or the second horizontal arm 613 .

마찬가지로 커넥터 너트용 근접센서(680)는 수평 암(610) 또는 제2수평 암(613)의 상면과 커넥터 너트용 소켓(651) 사이의 거리를 센싱하기 때문에, 커넥터 너트용 근접센서(680)가 수평 암(610) 또는 제2수평 암(613)의 상면과 동일 선상에 있도록 수평 암(610) 또는 제2수평 암(613)의 상면에 형성된 아래로 오목한 홈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milarly, since the proximity sensor 680 for the connector nut senses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arm 610 or the second horizontal arm 613 and the socket 651 for the connector nut, the proximity sensor 680 for the connector nut is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in a downwardly concave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arm 610 or the second horizontal arm 613 so as to be on the same lin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arm 610 or the second horizontal arm 613 .

상기 엔드캡홀딩부(미도시)는 기계식이나 마그넷 타입 등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자석(미도시)으로 구현되는 것이 구조 상 간단하여 바람직하다. The end cap holding unit (not show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mechanical or magnet type, but it is preferable because it is simple in structure to be implemented with a magnet (not shown) as in this embodiment.

한편, 회전용 엔드캡액추에이터(630)와 공구부(650) 사이의 수평 암(610) 또는 제1수평 암(611) 하측에는 도 30a와 같이, 브라켓을 통해 엔드캡용 근접센서(69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on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arm 610 or the first horizontal arm 611 between the rotary end cap actuator 630 and the tool part 650, as shown in FIG. 30A, the proximity sensor 690 for the end cap through a bracket is further It is preferable to install

엔드캡용 근접센서(690)는 엔드 캡(8) 분리 후 엔드캡용 소켓(653)에 엔드 캡(8)의 홀딩이 이상 없이 이루어졌는지 그리고 엔드 캡(8) 체결 전 실제 엔드 캡(8)을 홀딩 중에 있다가 체결 후 엔드 캡(8)이 비정상 동작으로 인하여 다시 이탈되지는 않았는지 확인하기 위한 감지 센서이다. The proximity sensor 690 for the end cap checks whether the end cap 8 is properly held in the end cap socket 653 after the end cap 8 is removed, and the actual end cap 8 is held before the end cap 8 is fastened. It is a detection sensor for confirming that the end cap 8 is not separated again due to an abnormal operation after being fastened in the middle.

이를 위한 엔드캡용 근접센서(690)로는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690)가 바람직하다. As the proximity sensor 690 for the end cap for this purpose,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690 is preferable.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690)는 고주파자기장이 접근하면 엔드 캡(8) 안에 유도전류가 흘러 열 손실이 발생하여 발진이 감소 또는 정지되는 변화로 감지하는 센서로, 엔드 캡(8)의 형태와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감지한다. The high-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690 is a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which oscillation is reduced or stopped due to heat loss due to an induced current flowing in the end cap 8 when the high-frequency magnetic field approaches. Stable detection regardless.

이러한 엔드캡분리/체결모듈(600)의 동작은 도 31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설명하다. The operation of the end cap separation/fastening module 6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1 to 36 .

엔드 캡 분리 동작End cap removal action

1. 도 3과 같이 가스실린더(1)의 헤드(2)가 자동가스공급장치(100)에 도킹 되면, 도 31과 같이 커넥터모듈(300)의 커넥터 너트(340) 아래에 엔드 캡(8)이 배치된다. 1. When the head 2 of the gas cylinder 1 is docked to the automatic gas supply device 100 as shown in FIG. 3, the end cap 8 under the connector nut 340 of the connector module 300 as shown in FIG. this is placed

2. 도 31의 상태에서 도 32와 같이 수평 암(610)을 z축을 중심으로 90도 회전시켜 커넥터 너트(340)와 엔드 캡(8) 사이로 공구부(650)를 배치시킨다. 공구부(650)의 커넥터 너트용 소켓(651)이 수평 암(610)에 걸리게 된다. 2. In the state of FIG. 31 , the tool part 650 is disposed between the connector nut 340 and the end cap 8 by rotating the horizontal arm 610 by 90 degrees about the z-axis as shown in FIG. 32 . The socket 651 for the connector nut of the tool part 650 is caught by the horizontal arm 610 .

3. 도 32의 상태에서, 후술되는 승강구동부(110)를 작동하여 지지프레임(10)을 하강시키면 도 33과 같이 상기 가스출구포트용 모듈이 화살표①와 같이 하강하면서 엔드 캡용 소켓(653)이 엔드 캡(8)의 외주면에 끼운 후 화살표②와 같이 약간 위로 상승시켜 수평 암(610)이 엔드 캡용 소켓(653)에서 떨어트려 샤프트(655)의 중간쯤에 있게 된다.3. In the state of Fig. 32, when the support frame 10 is lowered by operating the elevating driving unit 110 to be described later, the gas outlet port module is lowered as shown by the arrow ① as shown in Fig. 33, and the socket for the end cap 653 is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cap 8, the horizontal arm 610 is dropped from the socket 653 for the end cap by raising it slightly upward as shown by the arrow ②, so that it is in the middle of the shaft 655.

4. 도 33의 상태에서 제3액추에이터(301)를 동작시켜 도 34 및 도 44와 같이 커넥터모듈(300)을 화살표③으로 하강시켜 커넥터 너트용 소켓(651)의 내부에 커넥터 너트(340)를 끼운다. 4. In the state of FIG. 33, by operating the third actuator 301, as shown in FIGS. 34 and 44, the connector module 300 is lowered by the arrow ③ to insert the connector nut 340 into the socket 651 for the connector nut. insert

5. 도 34 및 도 44의 상태에서 커넥터 너트(340)를 회전{전술한 가스출구포트(7)로부터 풀림 방식과 같이 회전}시키면, 도 35와 같이 공구부(650)도 엔드 캡(8)을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켜 위로 빼내게 된다. 이때, 엔드 캡(8)의 풀림 높이를 엔드 캡용 근접센서(670)로 센싱하여 화살표④방향으로 지지프레임(10)도 점차 상승시킨다. 5. When the connector nut 340 is rotated in the state of FIGS. 34 and 44 (rotating in the same manner as unwinding from the gas outlet port 7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of FIGS. 34 and 44, the tool part 650 is also the end cap 8 as shown in FIG. is rotated in the loosening direction to pull it out. At this time, by sensing the loosening height of the end cap 8 by the proximity sensor 670 for the end cap, the support frame 10 is also gradually rais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④.

6. 도 35와 같이 가스출구포트(7)에서 엔드 캡(8)이 분리되면 도 36과 같이 제3액추에이터(301)의 동작으로 커넥터 너트(340)가 커넥터너트용 소켓(651)에서 빠지면서 커넥터모듈(300)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6. When the end cap 8 is separated from the gas outlet port 7 as shown in FIG. 35, the connector nut 340 is pulled out from the connector nut socket 651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actuator 301 as shown in FIG. The module 30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7. 엔드 캡(8)을 홀딩한 수평 암(610)은 회전되어 도 31과 같은 위치로 가게 된다. 7. The horizontal arm 610 holding the end cap 8 is rotated and goes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31 .

8. 도 31의 위치에서 수평 암(610)이 홀딩한 엔드 캡(8)을 엔드캡용 근접센서(690)가 홀딩 유무를 감지하며, 만약 홀딩되지 않을 시 작업자에게 알람으로 알린다. 8. The proximity sensor 690 for the end cap detects whether the end cap 8 held by the horizontal arm 610 at the position of FIG. 31 is holding, and if not held, an alarm is notified to the operator.

이처럼 분리된 엔드 캡(8)은 엔드 캡용 소켓(653)의 내부에 설치된 자석 등과 같은 엔드캡홀딩부(미도시)에 의해 흡착 홀딩되어 이탈되지 않는다. The separated end cap 8 is adsorbed and held by an end cap holding part (not shown) such as a magnet installed inside the end cap socket 653 and is not separated.

여기서, 엔드 캡(8)의 분리되는 동안 지지프레임(10)도 위로 약간 상승해 있기 때문에, 밸브(5)에 밸브셔터(210)를 맞추게 지지프레임(10)을 하강시킨 후 가스 공급을 위한 동작을 행한다. Here, since the support frame 10 also rises slightly upward while the end cap 8 is separated, the operation for supplying gas after lowering the support frame 10 to fit the valve shutter 210 to the valve 5 do

엔드캡 체결 동작End cap tightening action

가스실린더(1)의 가스 공급이 완료된 후, 분리된 엔드 캡(8)을 가스출구포트(7)로 체결해서 다시 막기 위해서는 엔드캡 분리 동작의 역순으로 하면 된다. 물론, 이것은 전술한 가스출구포트(7)에 커넥터 너트(340)의 체결 접속 방식과 같이 회전시켜 엔드 캡(8)을 가스출구포트(7)에 체결시켜 막는다. After the gas supply to the gas cylinder 1 is completed, the end cap 8 is connect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end cap separation operation in order to close it again by fastening the separated end cap 8 to the gas outlet port 7 . Of course, this is blocked by fastening the end cap 8 to the gas outlet port 7 by rotating it in the same way as the fastening connection method of the connector nut 340 to the gas outlet port 7 described above.

이때에는 커넥터너트 소켓용 근접센서(680)와 수평 암(61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면서 엔드 캡(8)이 체결되어 내려가는 양에 따라 지지프레임(10)을 하강시키면 된다. At this time, while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roximity sensor 680 for the connector nut socket and the horizontal arm 610, the support frame 10 may be lower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end cap 8 being fastened and descending.

가스켓투입/투출모듈(500)Gasket input/discharge module (500)

가스켓투입/투출모듈(500)은 커넥터 너트(340)가 가스출구포트(7)에 체결되기 전에 미사용 가스켓(G)을 가스 배관(360)의 가스켓지지관(362)에 투입시키고, 커넥터 너트(340)가 가스출구포트(7)로부터 분리되면 투입된 사용된 가스켓(G)을 꺼내는 모듈이다. The gasket input/discharge module 500 inserts an unused gasket (G) into the gasket support pipe 362 of the gas pipe 360 before the connector nut 340 is fastened to the gas outlet port 7, and the connector nut ( When the 340 is separated from the gas outlet port 7, it is a module for taking out the used gasket (G).

즉, 가스켓투입/투출모듈(500)은 도 17 내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켓공급부(501)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켓(G)을 로딩하는 가스켓로딩부(510)와, 가스켓로딩부(510)에 로딩된 가스켓(G)을 그립핑하는 한 쌍의 핑거 그립퍼(550)와, 한 쌍의 핑거 그립퍼(550)를 서로 접근/퇴거(y축)시키는 접근/퇴거용 가스켓액추에이터(560)와, 한 쌍의 핑거 그립퍼(550)를 좌우(x축)로 이동시키는 좌우용 가스켓액추에이터(570)와, 한 쌍의 핑거 그립퍼(550)를 커넥터모듈(300) 쪽으로 회전(x-z평면)시키는 회전용 가스켓액추에이터(580)와, 한 쌍의 핑거 그립퍼(550)의 가스켓(G)을 커넥터모듈(300)의 커넥터 너트(340)에 투입/투출되게 리프팅(z축)시키는 투입/투출용 가스켓액추에이터(590)를 포함한다. That is, the gasket input/discharge module 500 includes a gasket loading part 510 for loading the gasket G supplied from the gasket supply part 501, and a gasket loading part 510 as shown in FIGS. 17 to 23 . ), a pair of finger grippers 550 for gripping the gasket (G), and a gasket actuator 560 for approaching/removing (y-axis) of the pair of finger grippers 550 from each other. , a gasket actuator 570 for left and right that moves a pair of finger grippers 550 to the left and right (x-axis), and a pair of finger grippers 550 for rotation (xz plane) toward the connector module 300 The gasket actuator 580 and the gasket (G) of the pair of finger grippers 550 are lifted (z-axis) to be inserted/discharged into the connector nut 340 of the connector module 300. A gasket actuator for input/discharge ( 590).

가스켓로딩부(510)는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켓공급부(501)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켓(G)을 차지(charge)하는 가스켓차지부(520)와, 가스켓차지부(520)의 상측에 배치되는 가스켓얼라인부(530)와, 가스켓차지부(520)의 가스켓(G)을 가스켓얼라인부(530)로 리프팅(z축)시키는 리프트용 가스켓액추에이터(54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24 and 25, the gasket loading unit 510 includes a gasket charging unit 520 for charging the gasket G supplied from the gasket supply unit 501, and a gasket charging unit 520. It includes a gasket aligning unit 53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and a gasket actuator 540 for lifting lifting (z-axis) the gasket G of the gasket charging unit 520 to the gasket aligning unit 530 .

또한, 가스켓로딩부(510)에는 도 24(b)와 같이 가스켓(G)이 리프팅 위치에 있는지, 도 18과 같이 가스켓(G)이 그립핑되어 있는지의 유무를 감지하는 가스켓용 근접센서(515)가 설치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gasket loading unit 510 has a proximity sensor 515 for a gasket that detects whether the gasket G is in the lifting position as shown in FIG. 24(b) and whether the gasket G is gripped as shown in FIG. 18 . ) is installed.

가스켓차지부(520)는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켓(G)의 하면 및 전면을 받치는 하면 및 전면 받침편(521)(222)을 갖는 가스켓차지판(523)과, 가스켓(G)의 배면을 받치는 얼라인용 블록(524)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24 and 25, the gasket charging unit 520 includes a gasket charging plate 523 having lower and front support pieces 521 and 222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gasket G, and a gasket. It includes an alignment block 524 that supports the rear surface of (G).

하면 받침편(521)은 가스켓(G)의 하면과 같은 궤적인 아래로 오목한 원호 형상이다. The lower surface support piece 521 has an arc shape concave downward in the same trajectory as the lower surface of the gasket (G).

전면 받침편(522)은 가스켓차지판(523)의 수직 중심 선상에서 돌출된 바 형상으로, 그 상단은 가스켓(G)의 중심까지 돌출되어 있다. The front support piece 522 has a bar shape protruding from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gasket charge plate 523 , and its upper end protrudes to the center of the gasket (G).

얼라인용 블록(524)의 일측면에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켓공급부(미도시)에서 공급된 가스켓(G)이 하면 받침편(521) 상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차단하는 차단벽(525)이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5, a blocking wall 525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alignment block 524 to block the gasket G supplied from the gasket supply unit (not shown) from deviated from the lower surface support piece 521. has been

가스켓얼라인부(530)는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얼라인용 블록(524)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24 and 25 , the gasket alignment unit 53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alignment block 524 .

가스켓얼라인부(530)는 얼라인용 블록(524)의 전면에서 좌측면을 향해(x축) 형성되는 얼라인용 홈(531)과, 얼라인용 홈(531)에 배치되는 가스켓얼라인판(532)과, 가스켓얼라인판(532)과 얼라인용 홈(531)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533)을 포함한다. The gasket alignment part 530 includes a groove 531 for alignment formed from the front side of the block 524 for alignment toward the left side (x-axis), a gasket alignment plate 532 disposed in the groove 531 for alignment, and , and a spring 533 installed between the gasket alignment plate 532 and the alignment groove 531 .

이것은 가스켓(G)의 얼라인 동작에 있어 가스켓얼라인판(532)이 고정 형식이면 핑거 그립퍼(550)가 가스켓(G)을 가스켓얼라인판(532)으로 압착하게 되어 가스켓(G)에 흠집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y축방향으로 압축되는 스프링(533)을 넣은 가동식 가스켓얼라인판(532)과 수지계열의 재질로 제작하여 가스켓(G)의 자동 얼라인과 흠집을 방지한다. This is because when the gasket aligning plate 532 is of a fixed type in the aligning operation of the gasket (G), the finger gripper 550 presses the gasket (G) with the gasket aligning plate 532, thereby causing a scratch on the gasket (G). Therefore, the movable gasket alignment plate 532 with the spring 533 compressed in the y-axis direction is made of a resin-based material to prevent automatic alignment of the gasket (G) and scratches.

즉, 가스켓(G)이 차지된 가스켓차지판(523)이 리프팅 되어 가스켓(G)의 배면이 가스켓얼라인판(523)의 전면에 위치하면, 핑거 그립퍼(550)로 가스켓(G)의 양측면을 척킹할 때 자동으로 얼라인이 함께 된다. That is, when the gasket charge plate 523 occupied by the gasket G is lifted and the rear surface of the gasket G is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gasket aligning plate 523, the both sides of the gasket G with the finger grippers 550 are lifted. Alignment is automatically performed when chucking.

리프팅용 가스켓액추에이터(540)는 얼라인용 블록(524)의 배면에 설치되는 에어 실린더이다. The lifting gasket actuator 540 is an air cylinder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alignment block 524 .

가스켓차지판(523)의 하면과 후술될 전후용 액추에이터(930)의 피스톤은 연결블록(543)에 의해 연결된다. The lower surface of the gasket charge plate 523 and the piston of the actuator 930 for front and rear to be described later are connected by a connection block 543 .

얼라인용 블록(524)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용 액추에이터(930)를 통해 지지프레임(10)에 지지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3 , the alignment block 524 is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10 through the front and rear actuators 930 .

한 쌍의 핑거 그립퍼(550)는 전면 받침편(522)을 중심으로 좌우에 배치되어 있다. A pair of finger grippers 550 ar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with the front support piece 522 as the center.

즉, 한 쌍의 핑거 그립퍼(550)는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근/퇴거용 가스켓액추에이터(560)의 상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접근/퇴거 블록(551)과, 접근/퇴거 블록(551)의 상단에 설치되어 가스켓(G)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그립부(552)와, 한 쌍의 그립부(552)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가스켓(G)의 전면에 닿는 한 쌍의 가스켓얼라인돌기(553)를 포함한다. That is, the pair of finger grippers 550 are a pair of access/exit blocks 551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asket actuator 560 for approach/exit, as shown in FIGS. 26 to 28, and an approach/exit block 551 A pair of grip parts 552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removal block 551 an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gasket G, and a pair of grip parts 552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grip parts 552 as long as they are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gasket (G) A pair of gasket alignment projections 553 are included.

특히 한 쌍의 그립부(552)의 내면에는 도 26 및 도 27과 같이, 가스켓(G)의 측면에 설치된 C링(G1)이 끼워지는 끼움홈(554)이 형성되어 있다. In particular, a fitting groove 554 into which the C-ring G1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gasket G is fitte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grip parts 552 as shown in FIGS. 26 and 27 .

여기서, 가스켓(G)은 도넛 형상의 금속이며, 그 측면에 C링(G1)이 끼워져 있다(도 27 참조). Here, the gasket (G) is a donut-shaped metal, and a C-ring (G1) is fitted on the side thereof (see FIG. 27).

따라서, 가스켓(G) 측면 형상과 일치하는 모양으로 그립부(552)를 제작하여 척 동작 시 2포지션 그립(Position Grip)만으로 안정적인 동작 구현이 가능하다.Therefore, by manufacturing the grip portion 552 in a shape consistent with the shape of the side of the gasket (G),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table operation with only a two-position grip (Position Grip) during chuck operation.

또한, 핑거 그립퍼(550)에 얼라인을 서포트해 줄 수 있는 가스켓얼라인돌기(553)가 있어, 가스켓 척 동작 중 별도의 동작 없이 얼라인이 함께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gasket alignment protrusion 553 capable of supporting alignment in the finger gripper 550, so that alignment is performed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during the operation of the gasket chuck.

또한, 가스켓(G)의 전면 및 배면은 흠집이 발생 돼서는 안 되기 때문에 그립부(552)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는 게 바람직하다. In addition, since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gasket G should not be scratched, the grip portion 552 is preferably made of an engineering plastic material.

접근/퇴거용 가스켓액추에이터(560)는 에어 실린더로서, 회전용 가스켓액추에이터(580)에 설치되어 있다. The gasket actuator 560 for approach/exit is an air cylinder, and is installed in the gasket actuator 580 for rotation.

좌우용 가스켓액추에이터(570)는 에어 실린더로서, 지지프레임(10)에 지지되어 있다. The left and right gasket actuators 570 are air cylinders and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10 .

회전용 가스켓액추에이터(580)는 로터리 에어 실린더이다. The rotary gasket actuator 580 is a rotary air cylinder.

투입/투출용 가스켓액추에이터(590)는 수평식 가스실린더(1)라는 특정 자세로 인해 마련된 에어 실린더로서, 도 17과 같이 좌우용 가스켓액추에이터(570)와 회전용 가스켓액추에이터(580) 사이에 설치된다. The gasket actuator 590 for input/discharge is an air cylinder provided due to a specific posture of the horizontal gas cylinder 1,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gasket actuators 570 and the rotary gasket actuator 580, as shown in FIG. .

투입/투출용 가스켓액추에이터(590)는 커넥터모듈(300)이 수직하게 배치된 관계로 핑거 그립퍼(550)를 위로 아래로 이동시킨다. The gasket actuator 590 for input/discharge moves the finger gripper 550 up and down because the connector module 300 is vertically disposed.

한편 가스켓로딩부(510)의 일측에는 가스켓수거부(910)가 설치되고, 가스켓로딩부(510)와 가스켓수거부(910)는 전후방향(y)으로 이송시키는 전후용 액추에이터(930)를 더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a gasket collecting part 91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gasket loading part 510, and the gasket loading part 510 and the gasket collecting part 910 are forward and backward actuators 930 for transferring them in the front-rear direction (y). include

전후용 액추에이터(930)는 에어 실린더로서, 고정레일블록(931)과, 고정레일블록(931)에서 전후로 슬라이딩하는 가동레일블록(933)을 포함하다. The actuator 930 for front and rear is an air cylinder, and includes a fixed rail block 931 and a movable rail block 933 sliding back and forth in the fixed rail block 931 .

고정레일블록(931)은 지지프레임(10) 상에 지지되고, 가동레일블록(933)에는 가스켓로딩부(510)와 가스켓수거통(911)이 설치되어 있다. The fixed rail block 931 is supported on the support frame 10 , and a gasket loading part 510 and a gasket container 911 are installed in the movable rail block 933 .

가스켓(G)은 체결될 때 압축되는 일회용이라서 가스켓수거통(911)에 수거되어 버려진다. Since the gasket (G) is a disposable that is compressed when it is fastened, it is collected and discarded in the gasket container (911).

이와 같이 가스켓수거통(911)이 상부에 배치되는 것은 수평식 가스실린더(1)의 가스출구포트(7)가 직교하게 배향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자동공급장치(100)의 내부 중 최소한의 점유공간을 차지하게 하기 위함이다. The reason that the gasket container 911 is disposed in this way is because the gas outlet port 7 of the horizontal gas cylinder 1 is oriented orthogonally, so that the minimum occupied space among the interior of the automatic gas supply device 100 is reduced. in order to occupy

이러한 가스켓투입/투출모듈(500)의 동작은 도 17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하다. The operation of the gasket input/discharge module 5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 to 24 .

가스켓 투입 동작Gasket Insertion Operation

1. 도 24(a)와 같이 가스켓공급부(501)로부터 공급된 미사용 가스켓(NG) 1개가 가스켓차지판(523)에 인계 받는다. 1. As shown in FIG. 24( a ), one unused gasket NG supplied from the gasket supply unit 501 is taken over by the gasket charge plate 523 .

2. 도 24(a)에서 도 24(b)와 같이, 리프팅용 가스켓액추에이터(540)로 가스켓차지판(523)을 업(z축)시켜 그립부(552)와 마주하는 가스켓얼라인부(530)로 미사용 가스켓(NG)을 리프팅시킨다. 가스켓(G)의 리프팅 유무는 가스켓용 근접센서(515)로 감지된다. 2. As shown in Figs. 24(a) to 24(b), the gasket aligning unit 530 facing the grip unit 552 by raising (z-axis) the gasket charge plate 523 with a gasket actuator 540 for lifting. Lift the unused gasket (NG)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lifting of the gasket (G) is detected by the proximity sensor 515 for the gasket.

3. 도 17, 도 18 및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용 가스켓액추에이터(570)를 좌측으로 당겨(x축) 그립부(552)를 미사용 가스켓(NG)에 접촉과 동시에 가스켓얼라인부(530)의 가스켓얼라인판(532)에서 미사용 가스켓(NG)을 얼라인하면서 접근/퇴거용 가스켓액추에이터(560)의 접근(y축) 동작으로 척킹한다. 3. As shown in FIGS. 17, 18 and 28, by pulling the left and right gasket actuators 570 to the left (x-axis), the grip part 552 contacts the unused gasket NG and at the same time the gasket aligning part 530 ), while aligning the unused gasket (NG) in the gasket alignment plate 532, chucking by the approach (y-axis) operation of the gasket actuator 560 for approach/exit.

4. 미사용 가스켓(NG)이 얼라인 및 척킹되면, 가스켓차지판(523)을 하강(z축)시키면, 미사용 가스켓(NG) 1개를 인계받은 상태로 정지해 있다. 이때의 가스켓용 근접센서(515)는 가스켓(G)의 척킹 유무를 감지된다. 4. When the unused gasket (NG) is aligned and chucked, when the gasket charge plate 523 is lowered (z-axis), the unused gasket (NG) is taken over and is stopped. At this time, the gasket proximity sensor 515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chucking of the gasket (G).

5. 척킹한 그립부(552)를 좌우용 가스켓액추에이터(570)로 우측으로 밀어(x축) 가스켓얼라인부(530)에서 벗어나 최초 위치로 복귀시킨다. 5. Push the chucked grip part 552 to the right with the left and right gasket actuators 570 (x-axis) to get out of the gasket alignment part 530 and return it to the initial position.

6. 최초 위치로 복귀한 척킹한 그립부(552)를 회전용 가스켓액추에이터(580)로 y축을 중심으로 90도 회전시켜 도 19 및 도 20과 같이 커넥터모듈(300)의 주변에 배치시킨다. 6. The chucked grip part 552 returned to its initial position is rotated 90 degrees about the y-axis with a rotary gasket actuator 580 to be disposed around the connector module 300 as shown in FIGS. 19 and 20 .

7. 척킹한 그립부(552)를 좌우용 가스켓액추에이터(570)로 우측으로 더 밀어(x축) 도 21과 같이, 척킹된 미사용 가스켓(NG)을 커넥터 너트(340) 바로 아래로 위치시킨다.7. Push the chucked grip part 552 further to the right with the left and right gasket actuators 570 (x-axis) to position the chucked unused gasket NG just below the connector nut 340 as shown in FIG. 21 .

8. 도 22와 같이, 투입/투출용 가스켓액추에이터(590)의 상승(z축) 동작으로 그립부(552)의 미사용 가스켓(NG)을 커넥터 너트(340)의 가스켓지지관(362)에 투입시킨다. 8. As shown in FIG. 22, the unused gasket NG of the grip part 552 is put into the gasket support pipe 362 of the connector nut 340 by the rising (z-axis) operation of the gasket actuator 590 for input/discharge. .

9. 미사용 가스켓(NG)의 투입이 완료되면, 접근/퇴거용 가스켓액추에이터(560)의 퇴거(y축) 동작으로 언척킹한 후, 투입/투출용 가스켓액추에이터(570)의 하강(z축) 동작으로 언척킹된 그립부(552)를 커넥터 너트(340)의 밖으로 꺼낸다.(도 21 참조)9. When the input of the unused gasket (NG) is completed, unchucking is performed by the removal (y-axis) operation of the gasket actuator for approach/exit 560, and then lowers (z-axis) of the gasket actuator 570 for input/discharge. The unchucked grip part 552 is taken out of the connector nut 340 by operation. (See FIG. 21 )

10. 언척킹된 그립부(552)를 좌우용 액추에이터(570)로 좌측(x)으로 당겨 커넥터 너트(340)의 주위로부터 벗어나게 한다.(도 19 참조) 10. Pull the unchucked grip portion 552 to the left (x) with the left and right actuators 570 to move away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or nut 340 (see FIG. 19).

가스켓 투출 동작gasket ejection action

가스실린더(1)의 가스 공급이 완료된 후, 가스출구포트(7)로부터 분리된 커넥터 너트(340)의 내부에 있는 사용된 가스켓(OG)을 투출하는 동작인 1사이클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One cycle of discharging the used gasket OG in the connector nut 340 separated from the gas outlet port 7 after the gas supply to the gas cylinder 1 is completed will be described below.

1. 좌우용 가스켓액추에이터(570)로 언척킹된 그립부(552)를 우측(x)으로 밀어 커넥터 너트(340)의 하부에 위치시킨다.(도 21 참조)1. Push the unchucked grip part 552 to the right (x) with the left and right gasket actuators 570 to position it under the connector nut 340 (see FIG. 21).

2. 투입/투출용 가스켓액추에이터(570)의 상승 동작으로 그립부(552)가 커넥터 너트(340)의 내부로 삽입된다.(도 22 참조)2. The grip portion 552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nut 340 by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gasket actuator 570 for input/discharge. (See FIG. 22 )

3. 접근/퇴거용 가스켓액추에이터(560)의 접근 동작으로 그립부(552)가 사용된 가스켓(OG)을 척킹한다. 3. The gasket OG in which the grip part 552 is used is chucked by the approach operation of the gasket actuator 560 for approach/exit.

4. 투입/투출용 가스켓액추에이터(590)의 하강 동작으로 척킹된 그립부(552)를 커넥터 너트(340)로부터 꺼낸다.(도 21 참조)4. The chucked grip portion 552 is taken out from the connector nut 340 by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gasket actuator 590 for input/discharge. (See FIG. 21 )

5. 척킹된 그립부(552)를 좌우용 가스켓액추에이터(570)로 좌측으로 당겨 커넥터 너트(340)의 주위로부터 벗어나게 한다.(도 19 참조)5. Pull the chucked grip part 552 to the left with the left and right gasket actuators 570 to escape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or nut 340 (see FIG. 19).

6. 척킹된 그립부(552)를 회전용 가스켓액추에이터(580)로 -90도 회전시켜 가스켓얼라인부(530)와 마주하는 위치로 복귀킨다.6. The chucked grip part 552 is rotated by -90 degrees with the rotary gasket actuator 580 to return to a position facing the gasket alignment part 530 .

7. 가스켓수거통(911)과 가스켓로딩부(510)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도 23과 같이, 가스켓수거통(911)을 척킹된 그립부(552)와 마주시킨다.7. By sliding the gasket container 911 and the gasket loading part 510 backward, the gasket container 911 faces the chucked grip part 552 as shown in FIG. 23 .

8. 척킹된 그립부(552)를 좌우용 액추에이터(570)로 좌측으로 당겨 가스켓수거통(911) 상에 위치시킨다.8. Pull the chucked grip part 552 to the left with the left and right actuators 570 and place it on the gasket container 911.

9. 접근/퇴거용 가스켓액추에이터(560)의 퇴거 동작으로 그립부(552)의 언척킹으로 사용된 가스켓(OG)을 자유 낙하시켜 가스켓수거통(911)에 수거한다. 9. The gasket (OG) used for unchucking of the grip part 552 is free-falling by the removal operation of the gasket actuator 560 for approach/exit, and is collected in the gasket container 911.

가스켓수거모듈(900)Gasket collection module (900)

통상 사용된 가스켓에는 공급했던 가스의 미세 잔여물이 묻어 나오게 되는데 이 가스켓이 가스켓수거통(911)에서 계속하여 연기(Hum)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는 공중에 분산되어 공기를 오염시키고, 작업자를 위험에 노출 시키게 된다. A normally used gasket is stained with fine residues of the supplied gas. This gasket continues to generate hum in the gasket container 911, which is dispersed in the air to pollute the air, and puts workers at risk. will expose

따라서, 가스켓수거통(911)의 상부에 덮개(913)를 설치하고, 덮개(913)에 배기 배관(미도시)을 연결하여 외부로의 연기 비산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Therefore, the cover 913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asket container 911 and an exhaust pip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cover 913 to suppress scattering of smoke to the outside.

한가지 가스켓수거모듈 구조상 특이점은 덮개(913)를 움직이는 액추에이터를 따로 만들지 않고 기존 사용중인 전후 액추에이터(930)를 이용하여 필요 상황에서만 덮개(913)를 자동으로 온/오프되는 구조로 제작되었다. One peculiarity in the structure of the gasket collection module is that the cover 913 is automatically turned on/off only in necessary situations using the existing front and rear actuators 930 without making a separate actuator for moving the cover 913.

가스켓수거모듈(900)은 도 41 내지 도 43,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켓수거부(910), 전후이송용 액추에이터(930) 및 수거통개폐구동부(95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41 to 43 and 45 , the gasket collecting module 900 includes a gasket collecting unit 910 , an actuator 930 for forward/backward transfer, and a container opening/closing driving unit 950 .

가스켓수거부(910)는 가스켓로딩부(510)의 일측에 배치되는 가스켓수거통(911)과 덮개(913)를 포함한다. The gasket collecting unit 910 includes a gasket collecting box 911 and a cover 913 disposed on one side of the gasket loading unit 510 .

전후이송용 액추에이터(930)는 에어 실린더로서, 가스켓로딩부(510)와 가스켓수거부(910)를 전후방향(y)으로 이송시킨다. The actuator 930 for forward and backward transfer is an air cylinder, and transfers the gasket loading part 510 and the gasket collecting part 91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y).

가스켓로딩부(510)와 가스켓수거부(910)는 가동레일블록(933)에 설치되어 있다. The gasket loading unit 510 and the gasket collecting unit 910 are installed on the movable rail block 933 .

수거통개폐구동부(950)는 전후이송하는 가스켓수거통(911)에 대해 덮개(913)의 전후이송 및 승강을 통해 개폐시킨다. The container opening/closing driving unit 950 opens and closes the gasket container 911 that is transported back and forth through forward and backward transport and elevating of the cover 913 .

수거통개폐구동부(950)는 지지프레임(10)과 가스켓투입/투출모듈(500)을 연결하는 브라켓(15)에 고정되는 캠 고정판(951)과, 덮개(913)에 설치된 채 캠 고정판(951)의 캠(952) 궤적을 따라 이동하는 핀(953)을 포함한다. The container opening/closing driving unit 950 includes a cam fixing plate 951 fixed to the bracket 15 connecting the support frame 10 and the gasket input/discharging module 500, and a cam fixing plate 951 while installed on the cover 913. and a pin 953 that moves along the trajectory of the cam 952 of

캠(951)은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에서 위로 경사지게 가다가 최종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핀(953)이 전후이송됨에 따라 동시에 점차 승강되게 된다. As shown in FIG. 42 , the cam 951 is formed in the final horizontal direction while going obliquely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as the pin 953 is transferred back and forth, it is gradually raised and lowered at the same time.

또한, 덮개(913)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용 가이드부(970)가 전후이송용 액추에이터(930)와 덮개(913) 사이에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vating guide portion 970 for guiding the elevating of the cover 913 is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actuator 930 and the cover 913 .

승강용 가이드부(970)는 가동레일블록(933)에 설치되는 승강가이드봉(971)과, 승강가이드봉(971)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볼록(973)과, 승강블록(973)과 덮개(913)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975)을 포함한다. The elevating guide unit 970 includes an elevating guide bar 971 installed on the movable rail block 933, an elevating convex 973 elevating along the elevating guide bar 971, an elevating block 973, and a cover ( 913) to include a connection bracket (975) for connecting.

덮개(913)에는 배기 배관(미도시)과 연결되는 배기홀(915)이 형성되어 있다. An exhaust hole 915 connected to an exhaust pipe (not shown) is formed in the cover 913 .

이와 같은 가스켓수거모듈(900)의 동작을 도 41 내지 도 4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such a gasket collection module 9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1 to 43 .

도 41과 같이 사용된 가스켓(OG)을 그립핑한 핑거 그립퍼(550)가 가스켓로딩부(510)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 42와 같이 y축(뒤쪽)으로 이송시켜 가스켓수거부(910)를 핑거 그립퍼(550)가 있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In the state in which the finger gripper 550 gripping the gasket OG used as shown in FIG. 41 is positioned on the gasket loading part 510, it is transferred to the y-axis (rear side) as shown in FIG. 42 and the gasket collecting part 910 moves to the position where the finger gripper 550 is located.

그러면 도 42와 같이 가스켓수거부(910)가 후방으로 이송될 때 덮개(913)는 위로 올라가 가스켓수거통(911)의 상부를 개방시킨다.Then, as shown in FIG. 42 , when the gasket collecting part 910 is transferred to the rear, the cover 913 goes up to open the upper part of the gasket collecting container 911 .

도 42와 같이 덮개(913)가 개방된 가스켓수거부(910)가 핑거 그립퍼(550)의 위치에 오면, 도 43과 같이 핑거 그립퍼(550)가 회전용 가스켓액추에이터(580)에 의해 회전하여 가스켓수거통(911)에 위치하고 그립핑을 해제하면 가스켓(OG)이 가스켓수거통(911) 속으로 낙하되어 자동 수거가 된다. When the gasket collecting part 910 with the cover 913 open comes to the position of the finger gripper 550 as shown in FIG. 42, the finger gripper 550 is rotated by the rotary gasket actuator 580 as shown in FIG. When it is located in the container 911 and the gripping is released, the gasket OG is dropped into the gasket container 911 for automatic collection.

커넥터공전모듈(700)Connector idle module (700)

커넥터공전모듈(700)은 상기 가스출구포트용 모듈을 지지프레임(10)에 대해 x-z평면 상에서 공전(회전)시키는 유닛이다. The connector idle module 700 is a unit that revolves (rotates) the module for the gas outlet port on the x-z plan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frame 10 .

커넥터공전모듈(700)은 가동좌우레일블록(150)에 대해 지지프레임(10)을 x-z평면 즉 커넥터모듈(300)과 비전모듈(400)이 그리는 원을 중심으로 공전(회전)시키는 유닛이다. The connector revolving module 700 is a unit that revolves (rotates) the support frame 10 with respect to the movable left and right rail blocks 150 around a circle drawn by the x-z plane, that is, the connector module 300 and the vision module 400 .

즉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모듈(300)과 비전모듈(400) 사이로 가스출구포트(7)가 같은 선상에 위치하면 커넥터모듈(300)을 하강시켜 가스출구포트(7)에 커넥팅시키면 된다. That is, when the gas outlet port 7 is located on the same line between the connector module 300 and the vision module 400 as shown in FIG. 11 , the connector module 300 is lowered and connected to the gas outlet port 7 . .

그러나,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커넥터모듈(300)과 비전모듈(400) 사이로 가스출구포트(7)가 같은 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θ 또는 -θ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들어온 경우, 커넥터공전모듈(700)에 의해 상기 가스출구포트용 모듈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같은 틸팅 선상에 맞춘 후, 커넥터모듈(300)을 하강시켜 가스출구포트(7)에 커넥팅시키면 된다. However, as shown in FIGS. 13 and 14 , when the gas outlet port 7 is not located on the same line between the connector module 300 and the vision module 400 and is inclined by +θ or -θ, the connector idle module After the module for the gas outlet port is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by 700 and aligned on the same tilting line, the connector module 300 is lowered and connected to the gas outlet port 7 .

커넥터공전모듈(700)은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710)와 스크루봉(720), 스크루봉(720)에 체결되는 볼 스크루 무빙 블록(730), 볼 스크루 무빙 블록(730)의 전후에 배치되는 캠팔로우 블록(740)과, 캠팔로우 블록(740)의 제1캠팔로우 레일(741)을 따라 구르는 제1캠팔로우(750)와, 캠팔로우 블록(740)과 캠팔로우(750) 사이에 설치되는 구동플레이트블록(760)과, 캠팔로우 블록(740)의 제2캠팔로우 레일(743)을 따라 구르는 제2캠팔로우(770)와, 제2캠팔로우(770)가 고정되는 공전플레이트(780)와, 구동플레이트블록(760)과 공전플레이트(780)에 체결 고정되는 덮개판(79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4 to 16, the connector idle module 700 is a motor 710 and a screw rod 720, a ball screw moving block 730 fastened to the screw rod 720, and a ball screw moving block ( A cam follower block 740 disposed before and after 730, a first cam follower 750 that rolls along the first cam follow rail 741 of the cam follower block 740, a cam follower block 740 and a cam The driving plate block 760 installed between the follower 750, the second cam follower 770 and the second cam follower 770 rolling along the second cam follower rail 743 of the cam follower block 740. It includes an idle plate 780 to which is fixed, and a cover plate 790 fastened to the driving plate block 760 and the idle plate 780 .

캠팔로우 블록(740)의 일면은 가동좌우레일블록(153)에 브라켓(157)을 통해 지지된다.One surface of the cam follower block 740 is supported on the movable left and right rail blocks 153 through brackets 157 .

제1캠팔로우 레일(741)은 캠팔로우 블록(740)의 타면에 아래로 볼록한 원호 형상이다. The first cam follower rail 741 has a circular arc shape convex downwar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am follower block 740 .

제2캠팔로우 레일(743)은 캠팔로우 블록(740)에 천공 형성된 원호형 장공이다.The second cam follower rail 743 is an arc-shaped long hole perforated in the cam follower block 740 .

따라서, 제1,2캠팔로우 레일(741)(743)은 좌우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cam follower rails 741 and 743 are arranged side by side.

구동플레이트블록(760)은 볼 스크루 무빙 블록(730)의 z축 레일(731)을 따라 승강(z)한다. The driving plate block 760 elevates (z) along the z-axis rail 731 of the ball screw moving block 730 .

구동플레이트블록(760)의 좌우 무빙은 제1캠팔로우(750)가 제1캠팔로우 레일(741)을 따라 움직임과 연동된다.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driving plate block 760 is linked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cam follower 750 along the first cam follower rail 741 .

제1캠팔로우(750)는 구동플레이트블록(76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캠팔로우 레일(741)에 놓여 있다. The first cam follower 75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driving plate block 760 and is placed on the first cam follower rail 741 .

제2캠팔로우(770)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캠팔로우 레일(743) 내에 다수개 놓여 있다. As shown in FIGS. 15 and 16 , the second cam follower 770 is placed in plurality in the second cam follower rail 743 .

물론, 제2캠팔로우(770)는 미리 공전플레이트(780)에 조립 설치되어 있다. Of course, the second cam follower 770 is pre-assembled and installed on the idle plate 780 .

이와 같은 커넥터공전모듈(700)의 공전 동작은 다음과 같다. The idle operation of this connector idle module 700 is as follows.

모터(710)가 회전하면 스크루봉(720)이 회전되고, 회전된 양만큼 볼 스크루 무빙 블럭(730)이 z축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한다.When the motor 710 rotates, the screw rod 720 is rotated, and the ball screw moving block 730 rises or descends in the z-axis direction by the rotated amount.

상승 또는 하강한 길이만큼 구동플레이트블록(760)도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동시에, 제1캠팔로우(750)가 제1캠팔로우 레일(741)을 따라 올라거나 내려가도록 구동플레이트블록(760)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The driving plate block 760 is also raised or lowered by the raised or lowered length,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cam follower 750 is raised or lowered along the first cam follower rail 741 so that the driving plate block 760 is also left or move to the right

구동플레이트블록(760)의 상승 또는 하강은 덮개판(790)을 통해 전달된 공전플레이트(780)의 제2캠팔로우(770)도 제2캠팔로우 레일(743)을 따라 동시에 올라거나 내려감으로써, 도 12 또는 도 13과 같이 커넥터모듈(300)의 공전 또는 틸팅이 행해진다. The rising or falling of the driving plate block 760 is performed by simultaneously raising or lowering the second cam follower 770 of the idle plate 780 transmitted through the cover plate 790 along the second cam follower rail 743, As shown in FIG. 12 or 13 , the connector module 300 is idle or tilted.

이러한 커넥터공전모듈(700)에 의해서 매우 무겁고 누워 들어온 가스실린더(1)의 가스출구포트(7)의 방향이 어디에 위치하더라도 커넥팅 너트(340)와의 동일한 반경으로 맞춰 자동 커넥팅이 가능하게 된다. By this connector idle module 700, automatic connection is possible by matching the same radius as the connecting nut 340 no matter where the direction of the gas outlet port 7 of the very heavy and lying gas cylinder 1 is located.

만약 공전 또는 틸팅하지 못할 경우에는 가스실린더(1)를 다시 가지고 나가서 가스실린더(1)의 가스출구포트(7)를 정위치가 되게 돌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f it is not possible to idle or tilt, it is inconvenient to take the gas cylinder 1 again and turn the gas outlet port 7 of the gas cylinder 1 to the original position.

가스자동공급장치(100)의 X,Y,Z축 이송구동부X, Y, Z axis transfer driving part of the gas automatic supply device 100

한편, 가스자동공급장치(100)에는 도 4 내지 도 8,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자동공급장치(100)를 승강(Z)시키는 승강구동부(110)와, 상기 가스출구포트용 모듈을 전후(Y) 및 좌우(X)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130)와 좌우이동부(150)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automatic gas supplying device 100 has, as shown in FIGS. 4 to 8 and 45 , a lift driving unit 110 for elevating (Z) the automatic gas supplying device 100 , and a module for the gas outlet port. It includes a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unit 130 and a left and right movement unit 150 for moving the forward and backward (Y) and left and right (X).

승강구동부(110)는 바닥과 베이스(30) 사이에 설치되며, 커넥터모듈(300)과 비전모듈(400) 사이의 가상 중심 상을 가스출구포트(7)와 맞추기 위한 상하 이송 구동부이다. The lift driving unit 110 is installed between the floor and the base 30 , and is a vertical transfer driving unit for aligning the virtual center image between the connector module 300 and the vision module 400 with the gas outlet port 7 .

전후이동부(130)는 얼라인 가이드 장치(1000)가 가스자동공급장치(100)에 들어오면, 상기 가스출구포트용 모듈을 가스출구포트(7) 쪽으로 당겨 접근시키는 전후 이송 구동부이다. The forward/backward movement unit 130 is a forward/backward transfer driving unit that pulls the gas outlet module toward the gas outlet port 7 to approach it when the alignment guide device 1000 enters the automatic gas supply device 100 .

즉, 전후이동부(130)는 고정전후레일블록(131)과, 고정전후레일블록(131)의 상면에 놓이는 가동전후레일블록(133)과, 고정전후레일블록(131)에 대해 가동전후레일블록(133)을 전후로 슬라이딩시키는 전후구동부(135)를 포함한다.That is, the front and rear moving part 130 is a fixed front and rear rail block 131, a movable front and rear rail block 133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front and rear rail block 131, and a movable front and rear rail block with respect to the fixed front and rear rail block 131. It includes a front and rear driving unit 135 for sliding the 133 back and forth.

전후구동부(135)는 모터의 스크루봉의 회전에 의해 가동전후레일블록(133)의 너트가 전후 왕복운동하는 스크루-너트기구를 포함한다. The front and rear drive unit 135 includes a screw-nut mechanism in which the nut of the front and rear rail block 133 reciprocates back and forth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rod of the motor.

또한, 고정전후레일블록(131)의 하면은 베이스(30)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ed front and rear rail block 131 is fixed to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30).

좌우이동부(150)는 커넥터모듈(300)과 비전모듈(400)을 가스출구포트(7) 쪽으로 맞추기 위한 좌우 이송 구동부이다. The left and right movement unit 150 is a left and right transfer driving unit for aligning the connector module 300 and the vision module 400 toward the gas outlet port 7 .

즉, 좌우이동부(150)는 가동전후레일블록(133)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좌우레일블록(151)과, 고정좌우레일블록(151)의 상면에 놓이는 가동좌우레일블록(153)과, 고정좌우레일블록(151)에 대해 가동좌우레일블록(153)을 좌우로 슬라이딩시키는 좌우구동부(155)를 포함한다.That is, the left and right moving part 150 includes a fixed left and right rail block 151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block 133 before and after movable, and a movable left and right rail block 153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left and right rail block 151, and fixed It includes a left and right driving unit 155 for sliding the movable left and right rail blocks 153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rail blocks 151 .

좌우구동부(155)도 모터의 스크루봉의 회전에 의해 가동좌우레일블록(153)의 너트가 좌우 왕복운동하는 스크루-너트기구를 포함한다. The left and right driving unit 155 also includes a screw-nut mechanism in which the nut of the movable left and right rail block 153 reciprocates left and right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rod of the motor.

커넥터공전모듈(700)은 가동좌우레일블록(150)에 대해 지지프레임(10)을 공전(회전)시킨다. The connector revolving module 700 revolves (rotates) the support frame 10 with respect to the movable left and right rail blocks 150 .

가스실린더의 얼라인 가이드 장치(1000)Gas cylinder alignment guide device (1000)

또한, 처음부터 가스실린더(1)가 가스자동공급장치(100)에 그 길이방향으로 똑바로 들어가는 게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gas cylinder 1 enters the automatic gas supply device 100 straight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beginning.

이를 위해 도 2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얼라인 가이드 장치(1000)가 가스자동공급장치(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S. 2 and 9 , the alignment guide device 1000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automatic gas supply device 100 .

얼라인 가이드 장치(1000)는 좌우측 얼라인 가이드 유닛(1100)이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In the alignment guide device 1000 , left and right alignment guide units 1100 are install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좌우측 얼라인 가이드 유닛(1100)은 운반용 스키드(9)의 좌우 측면에 나란히 배치되는 좌우 고정얼라인가이드부(1200)와, 좌우 고정얼라인가이드부(1200)의 상면에 배치되는 좌우 가동얼라인가이드부(1300)와, 좌우 고정얼라인가이드부(1200)에 대해 좌우 가동얼라인가이드부(1300)를 길이방향(y축)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얼라인가이드구동부(1400)와, 좌우 가동얼라인가이드부(130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롤(1500)과, 좌우 가동얼라인가이드부(1300)에 설치되어 운반용 스키드(9)를 클램핑하는 클램핑모듈(1600)을 포함한다.The left and right alignment guide unit 1100 is a left and right fixed alignment guide unit 1200 disposed side by sid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ansport skid 9, and left and right movable alignment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fixed alignment guide unit 1200 The guide part 1300, the left and right movable alignment guide part 1300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fixed alignment guide part 1200, the alignment guide driving part 1400 for sliding 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and the left and right movable alignment It includes a plurality of rolls 150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unit 1300, and a clamping module 1600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movable alignment guide unit 1300 to clamp the transport skid 9.

얼라인가이드구동부(1400)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 볼 스크루 타입으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는 기구이다. The alignment guide driving unit 1400 is a ball screw type mechanism that converts rotational motion into linear motion by rotation of a motor.

좌우 고정얼라인가이드부(1200)와 좌우 가동얼라인가이드부(1300)는 레일 형태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The left and right fixed alignment guide part 1200 and the left and right movable alignment guide part 1300 slide in the form of rails.

클램핑모듈(1600)은 에어 실린더와 같은 구동실린더(1610)에 의해 클램프(1630)가 움직여 스키드(9)의 양측면을 가압해서 클램핑되게 된다. The clamping module 1600 is clamped by pressing the both sides of the skid 9 by moving the clamp 1630 by a driving cylinder 1610 such as an air cylinder.

한편, 좌우 고정얼라인가이드부(1200)와 좌우 가동얼라인가이드부(1300) 사이의 진입 초입부에는 운반용 스키드(9)의 좌우 폭보다 넓은 사다리꼴 형상의 경사 도입부(1115)가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t the entr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fixed alignment guide unit 1200 and the left and right movable alignment guide unit 1300, a trapezoidal inclined introduction unit 1115 that is wid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transport skid 9 is formed.

이러한 얼라인 가이드 장치(1000)의 작동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n operation of the alignment guide apparatus 10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

먼저, 도 10(a)과 같이 운반용 스키드(9)가 얼라인 가이드 유닛(1100) 사이로 초기 진입하게 된다. First, as shown in FIG. 10 ( a ), the transport skid 9 initially enters between the alignment guide units 1100 .

이때, 운반용 스키드(9)가 길이방향에 대해 θ만큼 비뚤어지게 진입한 경우를 나타낸다. At this time, it represents a case in which the skid for transport 9 entered skewed by θ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10(a)과 같이 초기 진입한 상태에서 도 10(b)과 같이 좌우 가동얼라인가이드부(1300)가 길이방향으로 후퇴하면, 롤(1500)들이 운반용 스키드(9)의 측면을 타고 가면서 좌우 가동얼라인가이드부(1300) 사이의 폭과 같게 비뚤어진 상태를 바로 얼라인 가이드 하게 된다. When the left and right movable alignment guide part 1300 retrea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0(b) in the initial entry state as shown in FIG. A crooked state equal to the width between the left and right movable alignment guide units 1300 is directly aligned.

도 10(b)과 같이 운반용 스키드(9)가 얼라인 가이드 되면, 도 10(c)과 같이 클램핑모듈(1600)의 클램프(1630)가 운반용 스키드(9)의 양측면을 가압해서 클램핑한다. When the transport skid 9 is aligned as shown in FIG. 10 ( b ), the clamp 1630 of the clamping module 1600 presses both sides of the transport skid 9 to clamp it as shown in FIG. 10 ( c ).

운반용 스키드(9)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도 10(d)과 같이 좌우 가동얼라인가이드부(1300)를 가스자동공급장치(100) 쪽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전진시키면 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transport skid 9 is clamped, the left and right movable alignment guide unit 1300 may be advanc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automatic gas supply device 100 as shown in FIG. 10( d ).

한편, 도 46 내지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얼라인 가이드 장치(1000)에는 좌우측 얼라인 가이드 유닛(1100)의 입구 측 전방에 배치되며, 이송되는 운반용 스키드(9)의 좌우 측면에 접촉된 채 z축을 중심으로 아이들(회전)되는 좌우측 바퀴(1700)와, 좌우측 얼라인 가이드 유닛(1100)의 출구에서 벗어나기 전의 운반용 스키드(9)를 감지하는 스키드용 센서(1800)와, 좌우측 클램핑모듈(1600)의 클램핑 유무 또는 스키드용 센서(1800)의 감지에 따라 좌우측 바퀴(1700)를 아이들(회전) 또는 브레이크(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좌우측 바퀴브레이크부(19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46 to 51, the alignment guide device 10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entrance side of the left and right alignment guide units 1100, and is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ansport skid 9 to be transported. The left and right wheels 1700 that are idle (rotated) around the z-axis, the skid sensor 1800 that detects the transport skid 9 before departing from the exit of the left and right alignment guide unit 1100, and the left and right clamping modules (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left and right wheel brake unit 1900 that converts the left and right wheels 1700 to an idle (rotation) or brake (stop)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clamping of the 1600) or the detection of the skid sensor 1800.

좌우측 바퀴(1700)는 z축을 회전중심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운반용 스키드(9)의 측면에 그 외주면이 선접촉된다. The left and right wheels 1700 are installed with the z-axis as the center of rotation, and their outer peripheral surface is in lin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transport skid 9 .

스키드용 센서(1800)는 도 47과 같이, 좌우 가동얼라인가이드부(13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센서(1800a)와 수광센서(1800b)로 이루어진다. The skid sensor 1800 includes a light emitting sensor 1800a and a light receiving sensor 1800b installed inside the left and right movable alignment guide unit 1300 as shown in FIG. 47 .

또한, 도 46과 같은 위치까지 작업자가 운반용 스키드(9)를 밀고 들어 오가다 스키드용 센서(1800)가 운반용 스키드(9)의 측면을 감지하게 되면, 운반용 스키드(9)의 측면에 접촉된 채 아이들 하게 회전(도 48 및 도 49 참조)하는 좌우측 바퀴(1700)가 브레이크 걸려(도 50 및 도 51 참조) 회전을 멈춤게 된다. 그러면, 작업자는 더이상 운반용 스키드(9)를 밀지 않고 종료한다. In addition, when the operator pushes the transport skid 9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46 and the sensor 1800 for the skid detects the side of the transport skid 9, the child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transport skid 9 The left and right wheels 1700 rotating slowly (see FIGS. 48 and 49) are braked (refer to FIGS. 50 and 51) to stop the rotation. Then, the operator no longer pushes the transport skid 9 and ends.

좌우측 바퀴브레이크부(1900)는 도 48 내지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측 바퀴(1700)와 동일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록깅부(1910)와, 제2록킹부(1930)와, 제2록킹부(1930)를 제1록킹부(1910)에 맞물리게 직선 이동시키는 바퀴록킹용 액추에이터(195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48 to 51 , the left and right wheel brake units 1900 include a first locking unit 1910 and a second locking unit 1930 installed on the same rotation axis as the left and right wheels 1700 , and a second It includes an actuator 1950 for wheel locking for linearly moving the locking part 1930 to engage the first locking part 1910 .

제1록킹부(1910)는 평기어 타입으로 구현되는 바람직하다. The first locking unit 1910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 spur gear type.

제2록킹부(1930)는 평기어와 맞물리는 길이가 매우 짧은 랙기어 타입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locking unit 1930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 rack gear type having a very short length meshing with the spur gear.

바퀴록킹용 액추에이터(1950)는 공압 유입 시 스프링 복귀(언록킹), 공압 배기 시 스프링 확장(록킹)되는 단동 실린더(1950)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ctuator 1950 for wheel locking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 single-acting cylinder 1950 that is spring-returned (unlocked) when pneumatic inlet, and spring-expanded (locked) when pneumatic exhaust.

따라서, 제2록킹부(1930)는 단동 실린더(1950)의 피스톤(1953)에 설치되는 제2록킹편(1931)과, 단동 실린더(1950)의 실린더(1951)에 대해 제2록킹편(1931)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직선 가이드 레일(1933)을 포함한다. Accordingly, the second locking part 1930 is a second locking piece 1931 installed on the piston 1953 of the single-acting cylinder 1950 and the second locking piece 1931 with respect to the cylinder 1951 of the single-acting cylinder 1950 . ) includes a straight guide rail 1933 for guiding the linear motion.

직선 가이드 레일(1933)은 고정 가이드 레일(1933a)과 가동 가이드 레일(1933b)로 구성된다. The straight guide rail 1933 includes a fixed guide rail 1933a and a movable guide rail 1933b.

고정 가이드 레일(1933a)은 단동 실린더(1950)를 감싸는 브라켓(1955)의 상면에 고정된다. The fixed guide rail 1933a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1955 surrounding the single-acting cylinder 1950 .

가동 가이드 레일(1933b)의 선단에는 제2록킹편(1931)이 브라켓(1935)을 통해 결합되어 있다. A second locking piece 1931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movable guide rail 1933b through a bracket 1935 .

또한, 피스톤(1953)과 브라켓(1935)은 ㄱ자 형상의 브라켓(1937)을 통해 결합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piston 1953 and the bracket 1935 are coupled through a L-shaped bracket 1937 .

이러한 바퀴록킹용 액추에이터(1950)는 스키드용 센서(1800)에 따라 좌우측 바퀴(1700)를 도 49의 아이들(언록킹) 또는 도 51의 브레이크(록킹)하게 작동한다. This wheel locking actuator 1950 operates to idle (unlock) the left and right wheels 1700 in FIG. 49 or brake (lock) FIG. 51 according to the skid sensor 1800 .

한편, 가스 공급 중 운반용 스키드(9)의 가스실린더(1)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 셀(1010)이 바닥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a load cell 1010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gas cylinder 1 of the transport skid 9 during gas supply is installed on the floor.

즉 가스 공급이 행해질 때 운반용 스키드(9)를 어느 정도는 잡아준 상태에서 하기 때문에, 가스 공급 중의 클램프(1630)의 클램핑 힘이 운반용 스키드(9) 이송 시의 클램핑 힘 보다 약하게 전환시키지 않으면 운반용 스키드(9)의 미세한 승강을 감지 못해 정밀한 무게 측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무게 측정을 위해 약해진 클램핑 힘을 보완하기 위해 좌우측 바퀴(1700)가 록킹되어 운반용 스키드(9)의 뒤쪽을 브레이크 상태로 잡아준다. That is, since the transport skid 9 is held to some extent when the gas supply is performed, the clamping force of the clamp 1630 during gas supply is weaker than the clamping force during transport of the transport skid 9. 9), since it is impossible to accurately measure the weight, the left and right wheels 1700 are locked to compensate for the weakened clamping force for weight measurement to hold the rear of the transport skid 9 in a brake state.

이와 같은 좌우측 바퀴브레이크부(1900)의 구성으로 인해 아래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left and right wheel brake units 1900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수평식 가스실린더(1) 투입 시 작업자가 투입완료 시점을 미 숙지하여 계속 투입하게 되면 가스자동공급장치(100)와 충돌 발생 우려가 있기 때문에, 수평식 가스실린더(1)의 투입 유/무 감지센서가 수평식 가스실린더(1) 투입을 감지하게 되면 아이들 상태(언록킹)의 좌우측 바퀴(1700)를 브레이크 상태(록킹)로 전환시켜 작업자가 가스실린더 운반용 스키드(9)를 밀어 넣기가 다소 어렵게 하여 충돌 전에 숙지를 가능케 한다. When inputting the horizontal gas cylinder (1), if the operator does not know the timing of the completion of the input and continues to input,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with the automatic gas supply device 100. When the sensor detects the input of the horizontal gas cylinder (1), the left and right wheels (1700) in the idle state (unlocked) are switched to the brake state (locked), making it somewhat difficult for the operator to push the gas cylinder transport skid (9) This allows for familiarization before collision.

운반용 스키드(9)를 클램핑하여 가스자동공급장치(100)로 스텝 이동 시에는 바퀴(1700)의 아이들 상태로 유지하고, 스텝 동작 사이에 클램핑을 해제하는 구간이 발생하는데 이때 운반용 스키드(9)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지 위하여 바퀴(1700)의 브레이크 상태로 전환하여 얼라인 가이드 동작에 안전성을 높인다. When the transport skid 9 is clamped and moved to the automatic gas supply device 100, the wheel 1700 is maintained in an idle state, and a section in which the clamping is released occurs between step operations. At this time, the transport skid 9 is In order to prevent the wheel from being pushed, it is switched to the brake state of the wheel 1700 to increase safety in the alignment guide operation.

바퀴록킹용 액추에이터(1950)가 공압 유입 시 스프링 복귀(언록킹), 공압 배기 시 스프링 확장(록킹)되는 단동 실린더로 구성하여, 에어 공급 차단 장비전원 오프 시 운반용 스키드(9)가 가스자동공급장치(100) 안쪽 혹은 바깥쪽으로 밀리는 현상을 막아주는 인터록(Interlock) 역할을 한다. The actuator for wheel locking (1950) consists of a single-acting cylinder that returns (unlocks) the spring when pneumatic inlet and expands (locks) the spring when pneumatic exhaust. (100) It acts as an interlock to prevent pushing inward or outward.

운반용 스키드(9)의 정상 투입완료 후 가스 공급 중에 로드 셀(1010)을 이용하여 가스 잔량 및 교체 시기를 확인하게 되는데, 얼라인 가이드의 클램핑 힘이 강하면 로드 셀(1010) 측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클램핑 힘이 고압에서 저압으로 전환하게 된다. 하지만 저압 파지로 전환하면 지진 혹은 바닥 경사로 인하여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에 바퀴(1700)의 록킹(브레이크)인 안전장치로 스키드(9)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단, 바퀴(1700)가 선접촉이고 브레이크력은 접촉한 바퀴(1700)의 멈춤 상태를 유지시키는 정도이기 때문에 로드 셀(1010)에 큰 영향이 없다.After the normal input of the transport skid 9 is completed, the remaining gas amount and replacement time are checked using the load cell 1010 during gas supply. The clamping force switches from high pressure to low pressure. However, when switching to low-pressure gripping, a sliding phenomenon may occur due to an earthquake or floor slope, so it serves to hold the skid 9 as a safety device that is a locking (brake) of the wheel 1700 . However, since the wheel 1700 is in line contact and the braking force is enough to maintain the stopped state of the contact wheel 1700 , there is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oad cell 1010 .

수평식 가스실린더(1)를 운반하는 스키드(9)가 좌우 얼라인 가이드부(1100) 사이로 경사지게 진입하더라도, 그 경사 진입 상태에서 좌우 가동얼라인가이드부(1300)를 앞뒤로 슬라이딩시키면 롤(1500)에 닿는 부위와 닿지 않는 부위의 교차를 통해 스키드(9)의 경사가 좌우 얼라인 가이드부(1300)의 길이방향으로 손쉽게 얼라인 가이드 된다. Even if the skid 9 carrying the horizontal gas cylinder 1 enters obliquely between the left and right alignment guide parts 1100, sliding the left and right movable alignment guide part 1300 back and forth in the inclined entry state rolls 1500. The inclination of the skid 9 is easily alig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alignment guide parts 1300 through the intersection of the parts touching and not touching.

이처럼 센터가 맞은 상태가 되면 클램프(1630)로 스키드(9)를 클램핑 및 해제를 좌우 가동얼라인가이드부(1300)를 앞뒤 슬라이딩과 함께 작동시키면, 가스자동공급장치(100)의 원하는 위치로 가스실린더(1)가 이송 도킹된다. When the center is in the right state, clamping and releasing the skid 9 with the clamp 1630 and operating the left and right movable alignment guide unit 1300 with front and rear sliding, the gas to the desired position of the automatic gas supply device 100 The cylinder 1 is transport docked.

가스 공급/교체 제어 방법Gas supply/replacement control method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가스실린더(1)의 얼라인 가이드 장치(1000)와 가스자동공급장치(100)를 이용해서 가스실린더의 가스를 투입 또는 가스실린더의 교체를 위한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for injecting gas into the gas cylinder or replacing the gas cylinder using the alignment guide device 1000 and the automatic gas supply device 100 of the gas cylinder 1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가스 공급 제어 방법How to control gas supply

가스 공급 제어 방법은 도 52a 내지 도 52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실린더 운반용 스키드 투입->가스실린더 바코드 판독(BCR)->가스실린더 센터 높이 측정->비전->커넥터플러그 분리(해체)->엔드캡 분리->가스켓 체결->커넥터 너트 체결->밸브 오픈 순서로 이루어진다. The gas supply control method is as shown in FIGS. 52A to 52E, inserting the gas cylinder transport skid->Gas cylinder barcode reading (BCR)->Gas cylinder center height measurement->Vision->Connector plug separation (disassembly)-> End cap removal -> gasket tightening -> connector nut fastening -> valve open sequence.

1. 스키드(9) 투입1. Insert the skid (9)

(1)작업자는 스키드(9)를 얼라인 가이드 장치(1000) 사이로 밀고 들어가 가스실린더(1)(Y-Cylinder)의 투입을 시작한다(S10).(1) The operator pushes the skid 9 between the alignment guide devices 1000 and starts inputting the gas cylinder 1 (Y-Cylinder) (S10).

(2)투입되는 스키드(9)가 스키드용 센서(1800)에 감지되면 바퀴(1700)는 아이들에서 브레이크가 걸리고(lock) 작업자는 더이상 스키드(9)를 밀지 않고 투입을 종료한다(S11). (2) When the input skid 9 is detected by the skid sensor 1800, the wheel 1700 is braked at idle (lock) and the operator does not push the skid 9 anymore and ends the input (S11).

(3)그리고 나서, 작업자가 투입 버튼을 누르면(S12), 얼라인 가이드 실린더인 클램프(1630)가 스키드(9)를 클램핑(chuck)하게 되고, 바퀴(1700)의 브레이크는 해제(unlock)된다(S13).(3) Then,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input button (S12), the clamp 1630, which is an alignment guide cylinder, clamps the skid 9, and the brake of the wheel 1700 is unlocked (S13).

(4)클램핑(chuck) 상태에서 좌우 가동얼라인가이드부(1300)가 y축 방향을 따라 스키드(9)를 밀어 전진시킨다(S14).(4) In the clamping (chuck) state, the left and right movable alignment guide part 1300 pushes the skid 9 forward along the y-axis direction (S14).

(5)전진된 스키드(9)가 정위치 확인 결과 맞으면 가스실린더(1)의 바코드의 판독 여부를 판단하고(S20), 아니면 브레이크 걸림(lock) 및 클램핑 해제(unchuck)하여 좌우 가동얼라인가이드부(1300)를 후진시키고(S16), 단계(S13)를 반복한다.(5) If the advanced skid (9) is correct as a result of checking the correct posi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arcode of the gas cylinder (1) is read (S20), otherwise the left and right movable alignment guides by locking and unlocking the brake The unit 1300 is moved backward (S16), and the step S13 is repeated.

2. 가스실린더의 바코드 판독(BCR Reading)2. Barcode reading of gas cylinder (BCR Reading)

가스실린더(1)의 바코드를 판독하여 공급하려는 가스의 종류가 맞으면 Z축 승강구동부(110)를 이용하여 가스자동공급장치(100)를 상승시키고(S30), 아니면 알람을 발생시킨다(S21). If the barcode of the gas cylinder 1 is read and the type of gas to be supplied is correct, the automatic gas supply device 100 is raised by using the Z-axis lift driving unit 110 (S30), otherwise an alarm is generated (S21).

3. 가스실린더 높이 센터와 가스자동공급장치의 높이 센터 맞추기3. Align the height center of the gas cylinder with the height center of the gas automatic supply device.

Z축을 상승 이동시키고(S30), 높이 측정 센서로 가스실린더(1)의 길이방향 센터 높이를 측정하고(S31), 가스실린더(1)의 센터 높이 위치로 가스자동공급장치(100)를 이동시킨다(S32). The Z-axis is moved upward (S30), the longitudinal center height of the gas cylinder 1 is measured with a height measuring sensor (S31), and the gas automatic supply device 100 is moved to the center height position of the gas cylinder 1 (S32).

4. 비전 얼라인(X축, Y축, 공전)4. Vision alignment (X-axis, Y-axis, orbit)

Z축 센터 위치로 이동시킨 후(S32), 비전 측정 위치 즉 자동가스공급장치 내(skid hood box 안쪽)로 가스실린더(1)를 이동시킨다(S40). After moving to the Z-axis center position (S32), the gas cylinder 1 is moved to the vision measurement position, that is, in the automatic gas supply device (inside the skid hood box) (S40).

비전 측정 위치로 이동한 후(S40), 비전 촬영을 확인하면서 가스자동공급장치(100)의 X축, Y축, 공전 위치를 판단해서(S41), 맞으면 가스자동공급장치(100)를 커넥터플러그(CGA Plug) 및 엔드캡(End Cap) 작업 가능 위치인 Z축 위치로 이동하고(S50), 아니면 X축, Y축, 공전 위치 이동시키고(S42), 이동된 X축, Y축, 공전 위치를 비전으로 확인 판단을 행한다(S43).After moving to the vision measurement position (S40), while checking the vision shooting, determine the X-axis, Y-axis, and idle position of the gas automatic supply device 100 (S41), and if correct, plug the automatic gas supply device 100 into the connector (CGA Plug) and End Cap Move to the workable Z-axis position (S50), otherwise, move the X-axis, Y-axis, and idle position (S42), and the moved X-axis, Y-axis, and idle position Confirmation judgment is made with a vision (S43).

5. 커넥터플러그(CGA PLUG) 분리(해제)5. Remove (release) the connector plug (CGA PLUG)

X축, Y축, 공전 위치가 맞으면(S41 또는 S43), 가스자동공급장치(100)를 커넥터플러그 및 엔드캡 작업 가능 위치인 Z축 위치로 이동한다(S50). When the X-axis, Y-axis, and the idle position match (S41 or S43), the gas automatic supply device 100 is moved to the Z-axis position, which is a connector plug and end cap workable position (S50).

커넥터플러그(810)의 선회 중립 상태에서 커넥터 너트(340)를 분리방향으로 회전하고(S51), 커넥터플러그(810)를 하강시켜 분리시킨다(S52). In the pivoting neutral state of the connector plug 810, the connector nut 340 is rotated in the separation direction (S51), and the connector plug 810 is lowered to separate it (S52).

커넥터 너트(340)의 회전을 정지하고, 분리된 커넥터플러그(810)를 90도 선회시키고(S53), 커넥터플러그(810)를 상승시켜 커넥터플러그(810)의 분리를 종료한다(S54). The rotation of the connector nut 340 is stopped, the separated connector plug 810 is rotated 90 degrees (S53), and the connector plug 810 is raised to end the separation of the connector plug 810 (S54).

6. 엔드 캡 분리(해체)6. End cap removal (disassembly)

커넥터플러그(810)의 분리가 종료되면(S54), 엔드캡분리/체결모듈(600)을 엔드캡(8) 쪽으로 선회시키고(S60), 엔드캡(8)의 바텀을 확인하면서 Z축을 하강시켜 엔드캡분리/체결모듈(600)의 엔드캡용 소켓(653)을 엔드캡(8)에 끼운다.(S61). When the separation of the connector plug 810 is finished (S54), the end cap separation/fastening module 600 is rotated toward the end cap 8 (S60), and the Z-axis is lowered while checking the bottom of the end cap 8. Insert the end cap socket 653 of the end cap separation/fastening module 600 into the end cap 8 (S61).

커넥터모듈(300)을 하강시켜 엔드캡분리/체결모듈(600)의 커넥터 너트용 소켓(651)에 커넥터 너트(340)가 끼워진다(S62). The connector nut 34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nut socket 651 of the end cap separation/fastening module 600 by lowering the connector module 300 (S62).

커넥터 너트(340)가 분리방향으로 회전하고(S63), 엔드캡분리/체결모듈(600)은 중립 상태에서(S64), 회전 엔코더 값과 비례하여 Z축을 상승시키면 체결이 해제된다(S65). The connector nut 340 rotates in the separation direction (S63), and the end cap separation/fastening module 600 is in a neutral state (S64), and when the Z-axis is raised in proportion to the rotation encoder value, the coupling is released (S65).

지정된 엔코더 값 만큼 회전한 후 센서가 탑 확인 감지, 바텀 미확인 되면 커넥터 너트(340)의 회전을 중지하고(S66), 커넥터모듈(300)을 상승 및 엔드캡분리/체결모듈(600)을 선회(Swing)시켜 엔드캡(8)의 분리를 종료한다(S67). After rotating as much as the specified encoder value, when the sensor detects the top confirmation and the bottom is not confirmed, the rotation of the connector nut 340 is stopped (S66), the connector module 300 is raised, and the end cap separation/tightening module 600 is turned ( Swing) to end the separation of the end cap 8 (S67).

엔드캡(8)의 홀딩 유무를 판단해서(S68), 맞으면 Z축 위치를 가스출구포트(7)의 체결 위치로 이동시키고(S70), 아니면 알람을 발생시킨다(S69).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nd cap 8 is held (S68), and if it is correct, the Z-axis position is moved to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gas outlet port 7 (S70), otherwise an alarm is generated (S69).

7. 가스켓 투입7. Insert the gasket

커넥터 너트(340)가 가스출구포트(7)의 체결 위치로 Z축 위치 이동되면(S70), 그립퍼(550)를 90도 회전하고 가스켓(G)을 그립핑 준비 위치로 가스켓차지부(520) 실린더를 업 시킨다(S71). When the connector nut 340 is moved to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gas outlet port 7 in the Z-axis position (S70), the gripper 550 is rotated 90 degrees and the gasket (G) is returned to the gripping ready position by the gasket charging part 520. The cylinder is raised (S71).

가스켓(G)이 준비 위치에 있는지 판단해서(S72), 맞으면 그립퍼(550)(gasket hand)로 가스켓(G) 척킹하고(S73), 아니면 가스켓 준비 실린더 다운(2회 이상 시 알람을 발생)시킨다(S72'). It is judged whether the gasket (G) is in the ready position (S72), and if it is correct, chuck the gasket (G) with the gripper 550 (gasket hand) (S73), otherwise, the gasket preparation cylinder is down (an alarm occurs when more than two times) (S72').

그립퍼(550)가 가스켓(G) 척킹을 확인 후(S73), 가스켓차지부(520) 실린더를 다운시키고(S74), 그립퍼(550)의 가스켓 척킹 유무를 판단하여(S75), 맞으면 그립퍼(550)를 90도 회전하고 커넥터 너트(340)로 포워드(forward) 시키고(S76), 아니면 그립퍼(550)가 가스켓을 언척킹한 단계로 간다(S75'). After the gripper 550 checks the gasket (G) chucking (S73), the gasket charging unit 520 lowers the cylinder (S74), and determines whether the gripper 550 has gasket chucking (S75), and if correct, the gripper 550 ) is rotated 90 degrees and forwarded to the connector nut 340 (S76), otherwise the gripper 550 goes to the stage in which the gasket is unchucked (S75').

포워드 된 가스켓은 위로 상승되면서 커넥터 너트로 투입 및 언척킹시키고(S77), 아래로 내려와 그립퍼(55)가 백워드(backward)시키고(S78), 그립퍼(550)를 0도 위치로 회전시켜 가스켓의 투입을 완료한다(S79). The forwarded gasket is inserted and unchucked with the connector nut while rising upward (S77), and the gripper 55 moves backward (S78) when it comes down, and the gripper 550 is rotated to the 0 degree position to remove the gasket. The input is completed (S79).

8. CGA 체결8. Signed CGA

가스켓의 투입이 완료된 후(S79), 커넥터 너트(340)가 가스출구포트(9)에 커넥팅(Put In) 되고(S80), 커넥터 너트(340)를 설정 바퀴수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S81), 커넥터 너트(340)를 체결방향으로 회전시킨다(S82). After the input of the gasket is completed (S79), the connector nut 340 is connected to the gas outlet port 9 (Put In) (S80), and the connector nut 340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set number of wheels (S81) , rotate the connector nut 340 in the fastening direction (S82).

체결이 설정 토크 값에 도달하면(S83), 커넥터모듈(300)의 모터 최소 엔코더 값 이상이 되었는지 그리고 Putting 센서가 감지되었는지 확인해서(S84), 맞으면 상위 제어기로 상태신호를 전달하고(S90), 아니면 알람을 발생한다(S85). When the tightening reaches the set torque value (S83), it is checked whether the motor minimum encoder value of the connector module 300 or more and the putting sensor is detected (S84). Otherwise, an alarm is generated (S85).

9. 밸브 오픈(가스 공급 시작)9. Open valve (start gas supply)

상위 제어기로 상태신호를 전달하고(S90), 상위 제어기 신호가 획득되면(S91), 밸브 셔터(210) 실린더의 이동으로 밸브(5)에 풋 인(Put In)되고(S92), 다시 상위 제어기로 상태신호를 전달하고(S90), 상위 제어기 신호가 획득되면(S91) 밸브 셔터(210)로 밸브(5)를 오픈하면서(S93) 가스의 공급이 시작된다(S94).The stat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pper controller (S90), and when the upper controller signal is obtained (S91), the valve shutter 210 is put in to the valve 5 by the movement of the cylinder (S92), and again the upper controller When the state signal is transmitted to (S90) and the upper controller signal is obtained (S91), the valve 5 is opened by the valve shutter 210 (S93) and the supply of gas is started (S94).

가스 공급이 시작되면 바퀴(1700)의 브레이크는 걸림(lock)되고, 얼라인 가이드 실린더인 클램프(1630)가 스키드(9)를 클램핑 해제(unchuck)한다. When the gas supply starts, the brake of the wheel 1700 is locked, and the clamp 1630, which is an alignment guide cylinder, unclamps the skid 9.

가스 교체 제어 방법How to control gas replacement

가스 교체 제어 방법은 도 53a 내지 도 5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 공급 제어 방법과 반대로, 밸브 클로스(닫음)->CGA 해체->가스켓 투출(해체)->엔드캡 체결->커넥터플러그 체결->스키드 배출 순서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S. 53A to 53D, the gas replacement control method is opposite to the gas supply control method, valve cloth (close) -> CGA dismantling -> gasket ejection (disassembly) -> end cap fastening-> connector plug fastening- > Skid discharge is done in order.

1. 밸브 클로즈(가스 공급 종료)1. Close the valve (stop gas supply)

가스 공급이 종료되면(S94), 밸브 셔터(210)로 밸브(5)를 클로즈 시키고(S100), 밸브 셔터(210)를 밸브(5)로부터 꺼내고(Put Out)(S110), 본래의 위치로 포워드 이동시킨다(S120).When the gas supply is finished (S94), the valve 5 is closed by the valve shutter 210 (S100), and the valve shutter 210 is taken out from the valve 5 (Put Out) (S110), and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Move forward (S120).

2. 커넥터모듈(CGA) 분리(해체)2. Connector module (CGA) separation (disassembly)

밸브 셔터(210)가 분리된 후(S120), 커넥터 너트(340)가 가스출구포트(7)에 커넥팅 체결 상태(S200)에서, 커넥터 모듈(300) 실린더를 중립상태로 유지하고 커넥터 너트(340)을 해체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S210).After the valve shutter 210 is separated (S120), the connector nut 340 is connected to the gas outlet port 7, and in the fastening state (S200), the connector module 300 cylinder is maintained in a neutral state and the connector nut 340 is ) is rotated in the dismantling direction (S210).

커넥터 모듈(300)의 해체 유무를 Putting 위치 감지 및 엔코더 값을 체크해서(S220), 맞으면 커넥터 모듈(300)을 상승 시키게 되고, 실린더 상승 신호를 획득하게 되면 커넥터 너트(340)의 회전이 멈추고 해체를 완료하게 된다(S230).Putting position detection and encoder value are checked to determine whether the connector module 300 is dismantled (S220), and if it is correct, the connector module 300 is raised. to complete (S230).

3. 가스켓 투출(해체)3. Gasket ejection (disassembly)

그립퍼(550)를 90도 회전(Swing)하고 커넥터 너트(340)로 포워드(forward) 시키고(S300), 그립퍼(550)가 위로 상승 후 그립퍼(550)가 사용된 가스켓을 척킹한다(S310). The gripper 550 is rotated 90 degrees (Swing) and forwarded with the connector nut 340 (S300), and after the gripper 550 rises upward, the gripper 550 chucks the gasket used (S310).

상승했던 그립퍼(500)가 하강하여 사용된 가스켓을 투출하고, 그립퍼(550)를 백워드시킨다(S320).The gripper 500, which has risen, descends, ejects the used gasket, and moves the gripper 550 backward (S320).

그립퍼(550)를 0도 회전(Swing)시켜 가스켓로딩부(510)에 접근시킨 후 센서로 가스켓이 핑거 그립퍼에 있는지 확인해서(S340), 맞으면 그립퍼(550)를 0도 회전(Swing) 후 가스켓수거부(910)가 그립퍼(550)와 마주하는 위치로 이동(stoke backward)시키고 그립퍼(550)를 90도 회전(Swing)시켜 가스켓수거부(910)에 접근시킨다(S330). 아니면 알람을 발생한다(S360).After rotating the gripper 550 by 0 degrees (Swing) to approach the gasket loading part 510, check whether the gasket is in the finger gripper with a sensor (S340). The collecting unit 910 is moved to a position facing the gripper 550 (stoke backward) and the gripper 550 is rotated 90 degrees (Swing) to approach the gasket collecting unit 910 (S330). Otherwise, an alarm is generated (S360).

수거부(910)에 접근한 그립퍼(550)를 언척킹하여 사용된 가스켓을 가스켓수거부(910)의 가스켓수거통(911)으로 떨어트리고(S350) 다시 그립퍼(550)를 90도 회전시키고, 가스켓수거부(910)가 원위치로 이동하면 가스켓로딩부(510)가 그립퍼(550)와 마주하는 위치로 복귀하고(S370), 그립퍼(550)가 0도 위치로 회전해서 미사용 가스켓을 척킹할 준비를 한다(S380). Unchucking the gripper 550 approaching the collecting unit 910, dropping the used gasket into the gasket collecting box 911 of the gasket collecting unit 910 (S350), rotating the gripper 550 again by 90 degrees, and then rotating the gasket When the collecting unit 910 moves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gasket loading unit 510 returns to the position facing the gripper 550 (S370), and the gripper 550 rotates to the 0 degree position to prepare for chucking the unused gasket. do (S380).

4. 엔드 캡 체결4. End cap fastening

미사용 가스켓을 척킹할 준비를 한 후(S380), 가스자동공급장치(100)를 커넥터플러그 및 엔드캡 작업 가능 위치인 Z축 위치로 이동한다(S400). Z축 이동 후 엔드캡분리/체결모듈(600)을 가스출구포트(7) 쪽으로 선회시킨다(S410). After preparing to chuck the unused gasket (S380), the automatic gas supply device 100 is moved to the Z-axis position, which is a position where the connector plug and the end cap can work (S400). After moving the Z-axis, the end cap separation/fastening module 600 is rotated toward the gas outlet port 7 (S410).

Z축을 하강시켜 엔드캡의 바텀(bottom)을 확인하고(S420), 커넥터 너트(340)를 하강시켜 커넥터 너트용 소켓(651)에 끼우고(S430), 엔드캡분리/체결모듈(600)을 중립 상태로 만든다.(S440),Lower the Z-axis to check the bottom of the end cap (S420), lower the connector nut 340 and insert it into the connector nut socket 651 (S430), and insert the end cap separation/tightening module 600 Make it neutral. (S440),

그 후 커넥터 너트(340)를 체결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엔코더 값과 비례하여 Z축을 하강하게 되고 설정 토크 값에 도달하면 체결이 완료되게 된다(S450).After that, while rotating the connector nut 340 in the fastening direction, the Z-axis is lowered in proportion to the encoder value, and when the set torque value is reached, the fastening is completed (S450).

체결 완료 후 설정된 엔코더 값 만큼 커넥터 너트(340)가 역방향 회전 후 커넥터 너트(340)를 상승시켜(S460) 커넥터 너트(340)와 커넥터 너트용 소켓(651)을 분리한다(S470). After the fastening is completed, the connector nut 340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set encoder value, and then the connector nut 340 is raised (S460) to separate the connector nut 340 and the connector nut socket 651 (S470).

분리 후 가스자동공급장치(100)를 커넥터플러그 및 엔드캡 작업 가능 위치인 Z축 위치로 이동하고(S480), 엔드캡분리/체결모듈(600)을 선회(Swing)시켜 엔드캡(8)의 분리를 종료한다(S490).After separation, the automatic gas supply device 100 is moved to the Z-axis position, which is a position where the connector plug and end cap can be operated (S480), and the end cap separation/fastening module 600 is rotated (Swing) of the end cap (8). Separation is terminated (S490).

5. 커넥터플러그 체결5. Fastening the connector plug

엔드캡(8)의 분리를 종료한 후(S490), 커넥터플러그(810) 실린더 다운 및 커넥터 너트(340) 쪽으로 선회시키고(S500), 커넥터플러그(810) 실린더 업 시켜 커넥터 너트(340)에 접속시킨다(S510). After completing the separation of the end cap (8) (S490), the connector plug (810) cylinder down and turn toward the connector nut (340) (S500), the connector plug (810) cylinder up and connect to the connector nut (340) to do (S510).

커넥터모듈(300)축 체결 전 역방향으로 위치시키고(S520), 커넥터플러그 중립 상태에서 커넥터모듈(300)축 체결(토크 제어)하여(S530), 커넥터플러그(810)가 커넥터 너트(340)에 체결된다(S540). The connector module 300 is positioned in the reverse direction before the shaft is fastened (S520), the connector module 300 shaft is fastened (torque control) in the neutral state of the connector plug (S530), and the connector plug 810 is fastened to the connector nut 340 becomes (S540).

6. 스키드(9) 배출6. Skid (9) drain

Z축을 비전 위치로 이동 시키고(S600), 스키드 브레이크 해제 및 클램프(1630)로 클램핑을 하고(S610), 좌우 가동얼라인가이드부(130)를 후진 위치시킨다(S620). The Z-axis is moved to the vision position (S600), the skid brake is released and clamped with a clamp 1630 (S610), and the left and right movable alignment guide units 130 are positioned backward (S620).

가동얼라인가이드 동작을 지정 횟수만큼 반복동작 후(S630) 알람을 발생(S640) 및 상위로 신호를 전달하여(S650) 작업이 종료 되었음을 작업자에게 알린다(S660). After repeating the movable alignment guide operation for a specified number of times (S630), an alarm is generated (S640) and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pper level (S650) to notify the operator that the operation is finished (S66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or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can be carried out.

1 : 수평식 가스실린더 3 : 가스실린더 몸체
5 : 밸브 7 : 가스출구포트
8 : 엔드 캡 9 : 운반용 스키드
10 : 지지프레임 30 : 베이스
100 : 가스자동공급장치 200 : 밸브셔터모듈
300 : 커넥터모듈 340 : 커넥터 너트
400 : 비전모듈 500 : 가스켓투입/투출모듈
510 : 가스켓로딩부 520 : 가스켓차지부
550 : 핑거 그립퍼 600 : 엔드캡분리/체결모듈
610 : 수평 암 630 : 회전용 엔드캡액추에이터
650 : 공구부 651 : 커넥터 너트용 소켓
653 : 엔드 캡용 소켓 655 : 샤프트
670 : 엔드캡 소켓용 근접센서 680 : 커넥터너트 소켓용 근접센서
690 : 엔드캡용 근접센서 700 : 공전유닛모터
710 : 모터 720 : 스크루봉
730 : 볼 스크루 무빙 블록 740 : 캠팔로우 블록
741,743 : 제1,2캠팔로우 레일 750,770 : 제1,2캠팔로우
760 : 구동플레이트블록 780 : 공전플레이트
790 : 덮개판 800 : 커넥터플러그모듈
810 : 커넥터플러그 830 : 브리지
835 : 회피공간부 900 : 가스켓수거모듈
910 : 가스켓수거부 911 : 가스켓수거통
913 : 덮개 1000 : 얼라인 가이드 장치
1010 : 로드 셀 1100 : 좌우 얼라인 가이드 유닛
1115 : 경사 도입부 1200 : 좌우 고정 얼라인가이드부
1300 : 좌우 가동 얼라인가이드부 1400 : 얼라인가이드구동부
1500 : 롤 1600 : 클램핑모듈
1630 : 클램프 1700 : 바퀴
1800 : 스키드용 센서 1900 : 바퀴브레이크부
1910,1930 : 제1,2록킹부 1950 : 바퀴록킹용 액츄에이터
1 : Horizontal gas cylinder 3 : Gas cylinder body
5: valve 7: gas outlet port
8: end cap 9: carrying skid
10: support frame 30: base
100: automatic gas supply device 200: valve shutter module
300: connector module 340: connector nut
400: vision module 500: gasket input/discharge module
510: gasket loading part 520: gasket charging part
550: finger gripper 600: end cap separation/fastening module
610: horizontal arm 630: rotary end cap actuator
650: tool part 651: socket for connector nut
653: socket for end cap 655: shaft
670: proximity sensor for end cap socket 680: proximity sensor for connector nut socket
690: proximity sensor for end cap 700: idle unit motor
710: motor 720: screw rod
730: ball screw moving block 740: cam follow block
741,743: 1st and 2nd cam follower rail 750,770: 1st and 2nd cam follower
760: drive plate block 780: idle plate
790: cover plate 800: connector plug module
810: connector plug 830: bridge
835: avoidance space 900: gasket collection module
910: gasket collection unit 911: gasket collection box
913: cover 1000: alignment guide device
1010: load cell 1100: left and right alignment guide unit
1115: inclined introduction part 1200: left and right fixed alignment guide part
1300: left and right movable alignment guide unit 1400: alignment guide driving unit
1500: roll 1600: clamping module
1630: clamp 1700: wheel
1800: sensor for skid 1900: wheel brake part
1910,1930: 1st and 2nd locking parts 1950: Actuator for wheel locking

Claims (4)

가스실린더(1)의 가스출구포트(7)에 커넥팅되는 커넥터 모듈(300)의 커넥터 너트(340)에서 투출한 사용된 가스켓(G)을 가스켓수거통(911)에 놓아 수거하는 가스켓수거모듈(900)로서,
미사용 가스켓(NG)을 로딩하는 가스켓로딩부(510)의 일측에 배치되는 가스켓수거통(911)과 덮개(913)를 포함하는 가스켓수거부(910)와,
가스켓로딩부(510)와 가스켓수거부(910)를 전후방향(y)으로 이송시키는 전후이송용 액추에이터(930)와,
전후이송(y)하는 가스켓수거통(911)에 대해 덮개(913)의 전후이송(y) 및 승강(z)을 통해 개폐시키는 수거통개폐구동부(950)를 포함하여.
덮개(913)는, 공급했던 가스의 미세 잔여물이 사용된 가스켓(G)에 묻어 나와 발생하는 흄(연기) 비산을 억제하는,
가스실린더의 가스자동공급장치용 가스켓수거모듈.
A gasket collection module 900 that collects the used gasket G ejected from the connector nut 340 of the connector module 300 connected to the gas outlet port 7 of the gas cylinder 1 by placing it in the gasket container 911 )as,
A gasket collection part 910 including a gasket container 911 and a cover 913 disposed on one side of the gasket loading part 510 for loading unused gaskets (NG),
An actuator 930 for forward and backward transport for transferring the gasket loading unit 510 and the gasket collecting unit 91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y);
Including a container opening/closing driving unit 950 that opens and closes through the forward and backward transfer (y) and elevation (z) of the cover 913 with respect to the gasket container 911 for forward and backward transfer (y).
The cover 913 suppresses fumes (smoke) scattering generated by burying the fine residue of the supplied gas on the used gasket (G),
Gasket collection module for automatic gas supply of gas cylinder.
청구항 1에 있어서,
수거통개폐구동부(950)는
가스켓수거부(910)의 배면에 위치하며, 승강(z)을 안내하는 캠(952)이 형성된 캠 고정판(951)과,
덮개(913)에 설치된 채 캠(952)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는 핀(953)을 포함하는,
가스실린더의 가스자동공급장치용 가스켓수거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driving unit 950 is
A cam fixing plate 951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gasket collecting part 910 and having a cam 952 gui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z) formed therein;
a pin 953 installed on the cover 913 and moving along the trajectory of the cam 952;
Gasket collection module for automatic gas supply of gas cylinder.
청구항 1에 있어서,
덮개(913)에, 배기 배관(미도시)과 연결되는 배기홀(915)이 형성되는,
가스실린더의 가스자동공급장치용 가스켓수거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over 913, an exhaust hole 915 connected to an exhaust pipe (not shown) is formed,
Gasket collection module for automatic gas supply of gas cylinder.
청구항 1에 있어서,
덮개(913)의 승강(z)을 가이드하는 승강용 가이드부(970)가, 전후이송용 액추에이터(930)와 덮개(913) 사이에 더 설치되는,
가스실린더의 가스자동공급장치용 가스켓수거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levating guide portion 970 for guiding the elevation (z) of the cover 913 is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actuator 930 and the cover 913 for forward and backward transfer,
Gasket collection module for automatic gas supply of gas cylinder.
KR1020200068357A 2020-06-05 2020-06-05 gasket collecting module for gas auto supply apparatus of gas cylinder KR1023455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357A KR102345570B1 (en) 2020-06-05 2020-06-05 gasket collecting module for gas auto supply apparatus of gas cylin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357A KR102345570B1 (en) 2020-06-05 2020-06-05 gasket collecting module for gas auto supply apparatus of gas cylin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078A KR20210152078A (en) 2021-12-15
KR102345570B1 true KR102345570B1 (en) 2022-01-03

Family

ID=78865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357A KR102345570B1 (en) 2020-06-05 2020-06-05 gasket collecting module for gas auto supply apparatus of gas cylin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570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4853A1 (en) 2003-04-02 2004-10-07 Frederick Cuffari Two part docking and filling station for pressurized containers
JP3989187B2 (en) 2001-04-25 2007-10-10 株式会社水道技術開発機構 Chip discharging structure of existing pipe drilling equipment and chip discharging method of existing pipe drilling equipment
US20180353634A1 (en) * 2015-12-14 2018-12-13 Saraya Co., Ltd. Liquid supplying system
KR101980045B1 (en) 2018-07-03 2019-05-17 주식회사 유니락 Gas cylinder auto coupl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040713B1 (en) * 2017-10-11 2019-11-27 에이엠티 주식회사 Automatic replacement system and method of high-pressure gas tank
KR102112765B1 (en) * 2019-02-01 2020-05-19 주식회사 케이씨 Automated gas supply device
KR102112763B1 (en) 2019-02-01 2020-06-04 주식회사 케이씨 Automated Gas Supply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980B1 (en) 2017-12-13 2020-08-11 에이엠티 주식회사 Automatic replacement device of gasket of high-pressure gas tank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9187B2 (en) 2001-04-25 2007-10-10 株式会社水道技術開発機構 Chip discharging structure of existing pipe drilling equipment and chip discharging method of existing pipe drilling equipment
US20040194853A1 (en) 2003-04-02 2004-10-07 Frederick Cuffari Two part docking and filling station for pressurized containers
US20180353634A1 (en) * 2015-12-14 2018-12-13 Saraya Co., Ltd. Liquid supplying system
KR102040713B1 (en) * 2017-10-11 2019-11-27 에이엠티 주식회사 Automatic replacement system and method of high-pressure gas tank
KR101980045B1 (en) 2018-07-03 2019-05-17 주식회사 유니락 Gas cylinder auto coupl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112765B1 (en) * 2019-02-01 2020-05-19 주식회사 케이씨 Automated gas supply device
KR102112763B1 (en) 2019-02-01 2020-06-04 주식회사 케이씨 Automated Gas Supply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078A (en) 202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5571B1 (en) endcap removal auto supply apparatus of gas cylinder
KR102345573B1 (en) gas auto supply system of gas cylind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883372B1 (en) The male connector feed driving device for the automatic cleaning device connected to feed the chemical
CN108288726B (en) Production system for welding battery core into shell and top cover of power battery
KR102148402B1 (en) gas supply apparatus of gas cylinder
KR102192660B1 (en) turn table module for gas supply apparatus of gas cylinder
KR102248100B1 (en) gas auto supply system of horizontal gas cylinder
KR102345570B1 (en) gasket collecting module for gas auto supply apparatus of gas cylinder
KR102345572B1 (en) gas auto supply apparatus of gas cylinder in adapted connector plug module
KR102132170B1 (en) pallet type jig, automatic driving system
KR102345569B1 (en) align for auto supply system of gas cylinder
KR102244426B1 (en) conector revolution module for auto supply apparatus of gas cylinder
KR102268334B1 (en) gas auto supply apparatus and method of horizontal gas cylinder
KR102248102B1 (en) gasket input/output module for auto supply apparatus of horizontal gas cylinder and method for gas supply apparatus of gas cylinder
KR102248101B1 (en) align for auto supply system of horizontal gas cylinder
KR102132169B1 (en) finger gripper of gasket input/output module for gas supply apparatus of gas cylinder
KR102132171B1 (en) gasket supply line of gasket input module for gas supply apparatus of gas cylinder
CN112643335B (en) Automatic assembly line of contactor
KR102148400B1 (en) upper module for gas supply apparatus of gas cylinder
KR102410000B1 (en)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Replacement System Of Gas Cylinder
KR102343723B1 (en) connector member and gas auto supply module of gas cylinder
KR102343707B1 (en) gas auto supply module of gas cylinder
KR102336330B1 (en) hoist module for gas auto supply apparatus of gas cylinder
KR102343760B1 (en) gas auto supply apparatus of high presure gas cylinder and its method
CN112455275A (en) AGV positioning mechanism and position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