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250B1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250B1
KR102345250B1 KR1020170091157A KR20170091157A KR102345250B1 KR 102345250 B1 KR102345250 B1 KR 102345250B1 KR 1020170091157 A KR1020170091157 A KR 1020170091157A KR 20170091157 A KR20170091157 A KR 20170091157A KR 102345250 B1 KR102345250 B1 KR 102345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panel
driving circuit
curren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9200A (ko
Inventor
곽종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1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250B1/ko
Publication of KR20190009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by means of surfaces, e.g. metal plate, reflecting the light of an external light source
    • B60Q1/301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by means of surfaces, e.g. metal plate, reflecting the light of an external light source combined with a l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하는 차량용 램프에서 각 램프 기능(예,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방향지시 램프 등)에 따라 전류 구동 방식과 전압 구동 방식을 혼용하여 램프의 성능을 형상시키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 반도체 발광소자들을 구비하는 제1 패널과; 상기 제1 패널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2 반도체 발광소자들을 구비하는 제2 패널과; 상기 제1 패널이 전류 구동되도록, 상기 제1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집적회로를 구비하는 전류구동회로와; 상기 제2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패널을 전압 구동하도록 이루어지는 전압구동회로; 및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브레이크 신호, 테일 신호 및 방향지시등 신호 중 어느 신호인지를 기준으로 상기 전류구동회로 및 전압구동회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CAR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조명 기능이나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할로겐 램프나 가스 방전식 램프가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가 차량용 램프의 광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발광다이오드의 경우 사이즈를 최소화함으로서 램프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인 수명으로 인해 경제성도 갖추고 있으나, 현재 대부분 패키지 형태로 생산되고 있다. 패키지가 아닌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자체는 전류를 빛으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발광 소자로서, 정보 통신기기를 비롯한 전자장치의 표시 화상용 광원으로 개발 중이다.
현재까지 개발된 차량용 램프는 패키지 형태의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것이기에 양산 수율이 좋지 않고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플렉서블의 정도가 약하다는 약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패키지가 아닌 반도체 발광 소자의 자체를 이용하여 면광원을 제조하여 차량용 램프에 적용하는 시도가 있다. 하지만, 마이크로 단위의 반도체 발광 소자는 일반적인 LED에 비해 도전형 전극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 낮다. 따라서, 도전형 전극 외각에서 빛이 외부로 손실되는 손실영역의 비중이 마이크로 단위의 반도체 발광 소자가 일반적인 LED보다 더 클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리어 램프 구성에서 코스트(Cost)가 저렴한 디바이스를 적용하여 전압 구동 방식만을 적용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 단위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하는 차량용 램프에서 각 램프 기능(예,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방향지시 램프 등)에 따라 전류 구동 방식과 전압 구동 방식을 혼용하여 램프의 성능을 형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 반도체 발광소자들을 구비하는 제1 패널과; 상기 제1 패널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2 반도체 발광소자들을 구비하는 제2 패널과; 상기 제1 패널이 전류 구동되도록, 상기 제1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집적회로를 구비하는 전류구동회로와; 상기 제2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패널을 전압 구동하도록 이루어지는 전압구동회로; 및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브레이크 신호, 테일 신호 및 방향지시등 신호 중 어느 신호인지를 기준으로 상기 전류구동회로 및 전압구동회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브레이크 램프의 휘도가 증가되도록, 상기 전류구동회로를 통해 발생한 전류의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증가된 듀티값을 상기 제1 패널에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패널은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램프와 테일 램프를 갖는 복합 램프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때 제어부는 상기 브레이크 램프의 휘도가 증가되도록, 상기 전류구동회로를 통해 발생한 전류의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증가된 듀티값을 상기 제1 패널에 인가하고, 상기 테일 램프의 휘도가 감소되도록, 상기 전류구동회로를 통해 발생한 전류의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값을 감소시키고, 상기 감소된 듀티값을 상기 제1 패널에 인가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브레이크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류구동회로를 선택하고, 상기 전류구동회로 통해 구동 전류를 상기 제1 패널에 인가하여 상기 제1 패널을 전압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방향 지시등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압구동회로를 선택하고, 상기 전압구동회로 통해 구동 전압을 상기 제2 패널에 인가하여 상기 제2 패널을 전압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브레이크 램프의 소비 전력이 기준보다 크면 상기 전류구동회로의 전류 구동 방식을 채택하여 상기 브레이크 램프를 전류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테일 램프의 소비 전력이 상기 기준보다 작으면 상기 전압구동회로의 전압 구동 방식을 채택하여 상기 테일 램프를 전압 구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은 직렬로 복수개 또는 병렬로 복수개 형성되어 차량의 리어 램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램프에 적용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는, 마이크로 단위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하는 차량용 램프의 각 램프 기능(예,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방향지시 램프 등)에 따라 전류 구동 방식과 전압 구동 방식을 혼용하여 램프를 구동함으로써 램프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차량용 램프의 일 실시 예로서 리어 램프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리어 램프의 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수직형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램프 모듈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차량용 리어 램프 모듈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차량용 리어 램프 모듈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차량용 리어 램프 모듈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차량용 리어 램프 모듈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차량용 램프에는 전조등(헤드 램프), 미등, 차폭등, 안개등, 방향지시등, 제동등(브레이크 램프), 비상등, 후진등(테일 램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추후 개발되는 새로운 제품형태이라도, 발광이 가능한 장치에는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차량용 램프의 일 실시 예로서 리어 램프를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리어 램프의 확대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차량의 리어 램프(100)는 차량의 후면의 양측에 배치되며, 이를 통하여 차량의 후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리어 램프(100)는 미등, 브레이크 램프(100a), 방향지시등(100b), 비상등 및 테일 램프 등이 패키지 형태로 조합된 램프가 될 수 있다. 또한, 미등, 방향지시등(100b), 브레이크 램프(100a), 비상등 및 테일 램프 등은 서로 구분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브레이크 램프(100a)는 브레이크 램프 기능뿐만 아니라 테일 램프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미등, 방향지시등(100b), 브레이크 램프(100a), 비상등 및 테일 램프 등의 형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미등, 방향지시등(100b), 브레이크 램프(100a), 비상등 및 테일 램프 등의 사이즈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다.
리어 램프(100) 내에서 미등, 브레이크 램프(100a), 방향지시등(100b), 비상등 및 테일 램프 등의 배치 위치는 설계자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 리어 램프(100)는 차량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복수의 램프들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복수의 램프들 중 적어도 하나는 기 설정된 모양(shape)을 발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일 예로서, 브레이크 램프(100a)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분에서 상하방향으로 커브드(curved)되도록 형성되어, 브레이크 램프(100a)의 형상에 대응되는 모양을 발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브레이크 램프(100a)는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굽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3차원 형태의 복잡한 형상은 복수의 발광영역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형상이 서로 다른 발광영역이 서로 조합되어, 상기 기설정된 모양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 발광영역에는 반도체 발광소자에 의하여 구현되는 광원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200)는 프레임을 통하여 차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에는 광원부(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200)는 외력에 의하여 휘어질 수 있는, 구부러질 수 있는, 비틀어질 수 있는, 접힐 수 있는, 말려질 수 있는 플렉서블 광원부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부(200)는 상기 발광영역에 해당하는 발광면을 가지는 면광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광원부(20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발광영역의 각각에 배치되거나, 하나의 광원부가 상기 모양 전체를 구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200)의 화소는 반도체 발광 소자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류를 빛으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일 종류로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예시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수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 크기로 구성되는 발광소자가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3차원의 공간상에서도 화소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구현된 상기 광원부(2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수직형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의 도시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광원부(200)로서 패시브 매트릭스(Passive Matrix, PM) 방식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경우를 예시한다. 다만, 이하 설명되는 예시는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AM) 방식의 반도체 발광 소자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광원부(200)는 베이스 기판(210), 제1전극(220), 접착층(230), 제2전극(240) 및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250)를 포함한다.
베이스 기판(210)은 전체 공정을 통해 구조가 형성되는 기본층(base layer)이며, 제1전극(220)이 배치되는 배선기판이 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210)은 플렉서블(flexible) 광원부를 구현하기 위하여 유리나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기판(210)은 박형 금속이 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절연성이 있고, 유연성 있는 재질이면 예를 들어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210)은 투명한 재질 또는 불투명한 재질 어느 것이나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기판(210)에는 방열 시트나 히트 싱크 등이 장착되어, 방열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전극(220)이 배치되는 면의 반대면에 상기 방열 시트나 히트 싱크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제1전극(220)은 베이스 기판(210) 상에 위치하며, 면 형태의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전극(220)은 상기 베이스 기판상에 배치되는 전극층이 될 수 있으며, 데이터 전극의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층(230)은 제1전극(220)이 위치하는 베이스 기판(210)상에 형성된다.
상기 접착층(230)은 접착성과 전도성을 가지는 층이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접착층(230)에서는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과 접착성을 가지는 물질이 혼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착층은 전도성 접착층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접착층(230)은 연성을 가지며, 이를 통하여 광원부(200)에서 플렉서블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예로서, 접착층(230)은 이방성 전도성 필름(anistropy conductive film, ACF), 이방성 전도 페이스트(paste), 전도성 입자를 함유한 솔루션(solution)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230)은 두께를 관통하는 Z 방향으로는 전기적 상호 연결을 허용하나, 수평적인 X-Y 방향으로는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레이어로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착층(230)은 Z축 전도층으로 명명될 수 있다.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이방성 전도매질(anisotropic conductive medium)이 절연성 베이스부재에 혼합된 형태의 필름으로서, 열 및 압력이 가해지면 특정 부분만 이방성 전도매질에 의하여 전도성을 가지게 된다. 이하,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는 열 및 압력이 가해지는 것으로 설명하나,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이 부분적으로 전도성을 가지기 위하여 다른 방법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상기 열 및 압력 중 어느 하나만이 가해지거나 UV 경화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방성 전도매질은 예를 들어, 도전볼이나 전도성 입자가 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본 예시에서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도전볼이 절연성 베이스 부재에 혼합된 형태의 필름으로서, 열 및 압력이 가해지면 특정부분만 도전볼에 의하여 전도성을 가지게 된다.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전도성 물질의 코어가 폴리머 재질의 절연막에 의하여 피복된 복수의 입자가 함유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열 및 압력이 가해진 부분이 절연막이 파괴되면서 코어에 의하여 도전성을 가지게 된다. 이때, 코어의 형태는 변형되어 필름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접촉하는 층을 이룰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열 및 압력은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전체적으로 가해지며,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의하여 접착되는 상대물의 높이차에 의하여 Z축 방향의 전기적 연결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다른 예로서,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절연 코어에 전도성 물질이 피복된 복수의 입자가 함유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열 및 압력이 가해진 부분이 전도성 물질이 변형되어(눌러 붙어서) 필름의 두께방향으로 전도성을 가지게 된다. 또 다른 예로서, 전도성 물질이 Z축 방향으로 절연성 베이스 부재를 관통하여 필름의 두께방향으로 전도성을 가지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전도성 물질은 뽀족한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도전볼이 절연성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삽입된 형태로 구성되는 고정배열 이방성 전도성 필름(fixed array ACF)가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연성 베이스부재는 접착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며, 도전볼은 상기 절연성 베이스부재의 바닥부분에 집중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에서 열 및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도전볼과 함께 변형됨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전도성을 가지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절연성 베이스부재에 도전볼이 랜덤하게 혼입된 형태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며 어느 한 층에 도전볼이 배치되는 형태(double-ACF) 등이 모두 가능하다.
이방성 전도 페이스트는 페이스트와 도전볼의 결합형태로서, 절연성 및 접착성의 베이스 물질에 도전볼이 혼합된 페이스트가 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입자를 함유한 솔루션은 전도성 particle 혹은 nano 입자를 함유한 형태의 솔루션이 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210) 상에 제1전극(220)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예를 들어 이방성 전도성 필름을 위치시킨 후에, 반도체 발광 소자(250)를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접속시키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250)가 제1전극(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제1전극(220) 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접착 성분을 함유하기 때문에, 접착층(230)은 반도체 발광 소자(250)와 제1전극(220) 사이에서 전기적 연결뿐만 아니라 기계적 결합까지 구현한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접착층은 Eutectic bonding을 위한 주석계열 alloy, Au, Al 또는 Pb 등을 구비하며, 상기 기판과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는 Eutectic bonding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휘도가 우수하므로, 작은 크기로도 개별 단위 픽셀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별 반도체 발광 소자(250)의 크기는 한 변의 길이가 80㎛ 이하일 수 있고,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소자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단일 반도체 발광소자의 면적은 10-10~10-5m2 의 범위를 가지며, 발광소자 간 간격은 100um~10mm 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수직형 구조가 될 수 있다.
수직형 반도체 발광 소자들의 사이에는 복수의 제2전극(240)이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제2전극(240)은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수직형 반도체 발광 소자는 p형 전극(256), p형 전극(256) 상에 형성된 p형 반도체층(255), p형 반도체층(255) 상에 형성된 활성층(254), 활성층(254)상에 형성된 n형 반도체층(253) 및 n형 반도체층(253) 상에 형성된 n형 전극(252)을 포함한다. 이 경우, 하부에 위치한 p형 전극(256)은 제1전극(220)과 접착층(23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부에 위치한 n형 전극(252)은 후술하는 제2전극(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형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전극을 상/하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칩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는 큰 강점을 가지고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또한,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발광 소자 어레이(array)를 구성하며,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250)의 사이에는 절연층(260)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층(230)의 일면에 절연층(260)이 형성되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250)의 사이 공간을 채우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절연층(260)이 없이 상기 접착층(230)이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의 사이를 모두 채우는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절연층(260)은 실리콘 옥사이드(SiOx) 등을 포함하는 투명 절연층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절연층(260)에는 전극간의 short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 절연특성이 우수하고 광흡수가 적은 에폭시 혹은 methyl, phenyl 계열 실리콘 등의 고분자 물질 혹은, SiN, Al2O3 등의 무기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발광 소자 어레이에는 형광체층(28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형광체층(280)은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25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청색(B) 광을 발광하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이고, 이러한 청색(B) 광을 다른 색상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형광체층(280)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형광체층(280)은 청색 광을 적색(R)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적색 형광체, 청색 광을 녹색(G)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녹색 형광체 또는 청색 광을 백색(W)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황색 형광체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Nitride 기반 반도체 발광소자에서 형성되는 광의 파장은 390~550nm 의 범위를 가지며, 형광체가 삽입된 필름을 통해 450~670nm 로 변환시킬 수 있다. 또한, 적색 형광체 및 녹색 형광체를 전부 구비하여, 여러 파장의 광을 혼합하여, 백색 광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적색계열의 광이 필요할 때, GaAs 계열의 적색 반도체 발광소자를 사용할 경우 형광체가 아닌 광 확산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패턴된 시트가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0)와 상기 형광체층(280)의 사이에는 광학갭층(271)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광학갭층(271)은 광흡수가 적고 bending 특성이 우수한 에폭시, 아크릴, 혹은 methyl, phenyl 계열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광효율 최적화를 위해 패턴된 시트가 삽입되거나, 굴절율이 다른 입자가 혼합될 수 있다.
한편, 이 때에 컬러 필터(272)가 상기 형광체층(280)에 적층되어 변환된 광의 색순도를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수분, 산소 및 외부충격으로부터 광원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컬러 필터(272)를 보호층(273)이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보호층(273)은 필름 접함 또는 레진 코팅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본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전극층(제1전극(220))은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들이 각각 오버랩되는 공통 전극면(221)을 구비하며, 상기 공통 전극면(221)의 적어도 일부가 굽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전극(220)은 면전극으로 구현되며, 공통전극으로서 구동하게 된다.
상기 공통 전극면(221)은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250)의 사이에서 빛을 반사하도록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250)의 사이를 덮게 되며, 이를 통하여 고반사 전극층의 구조가 구현되어 광효율을 높아질 수 있다.
상기 공통 전극면(221)은 10 내지 100000 개의 반도체 발광소자들과 오버랩될 수 있으며,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0)는 어레이 형태로 상기 공통 전극면(221)을 덮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250)는 매트릭스 형태를 이루며, 상기 공통 전극면(221)은 상하좌우 방향을 따라 반도체 발광소자(250)와 오버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250)는 열과 행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공통 전극면(221)은 상기 열과 행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250)가 각각 오버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0)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되고, 불규칙하게 배열된 반도체 발광소자(250)를 공통 전극면(221)이 모두 덮는 구조도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전극층은 복수의 단위 전극층들을 구비하며, 상기 단위 전극층들(미도시)은 각각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들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단위 공통 전극면들(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위 공통 전극면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용이하게 대면적의 면광원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구조상 다양한 제작크기 및 형태에 대응 가능하며 단위 면광원을 교체할 수 있어 제품수명 및 수리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전극(220)이 면전극으로 형성되므로, 공통 전극면(221)이 굽어짐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단선이 완화 또는 방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원부(200)는 도 1b을 참조하여 전술한 프레임의 곡면 또는 절곡된 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공통 전극면(221)은 적어도 일부가 굽어질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전극층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2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222)은 상기 공통 전극면(221)의 굽어진 부분에 배치되는 크랙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굽어진 부분에 홈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공통 전극면(221)이 금속으로 구현되더라도 탄성 복원되려는 힘이 약하게 되며, 따라서 프레임의 곡면 또는 절곡된 면에 보다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랙이 형성되더라도 면전극이므로 배선의 단선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전극(240)은 반도체 발광 소자들(250) 사이에 위치하고, 반도체 발광 소자들(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반도체 발광 소자들(250)은 복수의 열로 배치되고, 제2전극(240)은 반도체 발광 소자들(250)의 열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개별 화소를 이루는 반도체 발광 소자(250)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크기 때문에 제2전극(240)은 반도체 발광 소자들(25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전극(240)은 일 방향으로 긴 바(bar) 형태의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2전극(240)은 상기 공통 전극면(221)의 굽어진 부분의 절곡 라인(BL)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전극(240)이 상기 절곡 라인(BL)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제2전극(240)은 라인 형상이나 굽어지지 않아 배선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절곡 라인(BL)과 평행한 n 배선 전극을 통하여, 전극 스트레스 최소화 및 크랙의 방지가 발휘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제2전극(240)과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제2전극(240)에서 돌출된 연결 전극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전극이 반도체 발광 소자(250)의 n형 전극(252)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형 전극(252)은 오믹(ohmic) 접촉을 위한 오믹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전극(240)은 인쇄 또는 증착에 의하여 오믹 전극의 적어도 일부를 덮게 된다. 이를 통하여 제2전극(240)과 반도체 발광 소자(250)의 n형 전극(252)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제2전극(240)은 절연층(26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절연층(260)이 없이 상기 접착층(230)이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의 사이를 모두 채우는 경우에 상기 제2전극(240)은 상기 접착층(23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제2전극(240)은 n형 전극(25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n형 전극(252)이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에서 상기 절연층(260)의 일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전극(240)은 p형 전극(256)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전술한 전극층(제1전극)은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의 p형 전극(256) 및 n형 전극(252)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이고, 상기 p형 전극(256) 및 n형 전극(252)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에서 상기 절연층(260)의 일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2전극(240)은 상기 n형 전극(25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며, 상기 제2전극(240)과 n형 전극(252)은 제2전극(240)으로 지칭한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제2전극(240)은 라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에서 상기 라인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절연층(260)의 일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구조의 구현을 위하여, 상기 절연층(260)은 상기 전극층을 덮는 제1평면(261)과 상기 제1평면(261)의 반대측에 형성되며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가 외부로 노출되는 홀을 구비하는 제2평면(26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평면(262)으로 상기 제2전극(240)이 연장되기 위하여, 상기 제2평면(262)은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의 n형 반도체층(253)과 동일평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제2평면(262)은 돌출된 부분이 없는 평탄한 면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추후 설명하는 평탄화 공정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실제로는 상기 제2평면(262)은 반도체 발광소자의 외면과 단차가 존재할 것이나 상기 단차의 90 내지 95 %까지 평탄화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절연층(260)의 일면에는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체(2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전체(241)는 상기 제2전극(240)의 증착시에 반도체 발광소자가 없는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전체(241)는 상기 p형 전극(256) 및 n형 전극(252) 중 다른 하나와 동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예시와 같이, 상기 도전체(241)는 상기 n형 전극(252)과 일체화된 제2전극(240)과 동일 재질로서 형성된다. 또한, 제2전극(240)의 증착시에 형성되므로 상기 제2전극(240)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이루어진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도전체(241)와 상기 전극층의 사이에서 쇼트를 제한하도록, 상기 절연층(260)은 상기 도전체(241)와 상기 전극층의 사이를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도전체(241)와 상기 제1전극(220)의 사이를 상기 절연층(260)이 완전히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랑용 리어 램프(100)의 타입(예를 들면, 미등, 브레이크 램프(100a), 방향지시등(100b), 비상등 및 테일 램프 등)에 따라 전류 구동 방식과 전압 구동 방식으로 구동시켜 리어 램프(100)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에는 리어 램프 구성에서 코스트(Cost)가 저렴한 디바이스를 적용하여 전압 구동 방식만 적용하였으나 OLED 리어 램프가 차량에 적용되면서 온도 보상 문제(저온에서 안정적인 방전을 위해서 전류를 상승시킴)로 전류 구동 방식도 채택한다. 따라서, 두가지 구동방식(전압구동방식과 전류구동방식)을 혼용하여 리어 램프 성능을 향상시키고, 리어 램프 코스트(cost)를 감소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 반도체 발광소자들로 이루어진 제1 광원부를 구비하는 제1 패널(310)과;
상기 제1 패널(310)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2 반도체 발광소자들로 이루어진 제2 광원부(200)를 구비하는 제2 패널(320)과;
상기 제1 패널(310)이 전류 구동되도록, 상기 제1 패널(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집적회로(driver IC)를 구비하는 전류구동회로(330)와;
상기 제2 패널(3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패널(320)을 전압 구동하도록 이루어지는 전압구동회로(340); 및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브레이크 신호, 테일 신호 및 방향지시등 신호(Turn signal) 중 어느 신호인지를 기준으로 상기 전류구동회로(330) 및 전압구동회로(340)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널(310)은 리어 램프인 미등, 브레이크 램프(100a), 방향지시등(100b), 비상등 및 테일 램프 등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에 적용될 수 있다.
제2 패널(320)은 리어 램프인 미등, 브레이크 램프(100a), 방향지시등(100b), 비상등 및 테일 램프 등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패널(310) 또는 제2 패널(320)은 브레이크 램프와 함께 테일 램프를 갖는 램프(복합 램프)에 적용될 수도 있다.
제1 패널(310) 및 제2 패널(320)은 전조등(헤드 램프), 차폭등, 안개등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350)는 리어 램프(100)의 제1 램프(예를 들면, 브레이크 램프(100a)와 제2 램프(방향지시등(100b))를 서로 다른 구동 방식으로 구동시킨다. 예를 들면, 제어부(350)는 전류구동회로(330)를 통해 발생한 구동 전류를 브레이크 램프(100a)에 적용된 제1 패널(310)에 인가하고, 전압구동회로(340)를 통해 구동 전압을 테일 램프 및 방향지시등(100b)에 각각 적용된 제2 패널(320)에 인가한다.
제1 패널(310)이 브레이크 램프(100a)에 적용되었다고 가정할 때, 제어부(350)는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브레이크 신호(제동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선택하고,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통해 제1 구동 전류를 제1 패널(310)에 인가한다. 브레이크 램프(100a)에 적용된 제1 패널(310)의 제1 광원부(200)는 상기 제1 구동 전류에 의해 구동하여 적색광을 발생한다.
제1 패널(310)이 브레이크 램프 기능 및 테일 램프 기능을 갖는 램프에 적용되었다고 가정할 때, 제어부(350)는,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브레이크 신호(제동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선택하고,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통해 제1 구동 전류를 제1 패널(310)에 인가하고,
테일 신호(테일 램프 구동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선택하고,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통해 제2 구동 전류를 제1 패널(310)에 인가한다. 브레이크 램프 기능 및 테일 램프 기능을 갖는 램프에 적용된 제1 패널(310)의 제1 광원부(200)는 상기 제2 구동 전류에 의해 구동하여 적색광을 발생한다. 상기 제1 구동 전류의 전류값은 브레이크 램프(100a)의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2 구동 전류의 전류값보다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코스트(Cost)가 저렴한 리어 램프를 차량에 적용하여 전압 구동 방식만 적용할 수도 있으나, 최근에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리어램프가 차량에 적용되면서 온도 보상 문제(저온에서 안정적인 방전을 위해서 전류를 상승시킴)로 전류 구동 방식을 통해 해당 램프를 구동한다.
제2 패널(310)이 방향지시등(100b)에 적용되었다고 가정할 때, 제어부(350)는 방향지시등 레버의 조작에 따라 발행하는 방향 지시등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압구동회로(340)를 선택하고, 상기 전압구동회로(340)를 통해 구동 전압을 제2 패널(320)에 인가한다. 제2 패널(320)의 제2 광원부(200)는 구동 전압에 의해 구동하여 황색광을 발생한다.
제어부(350)는 마이크로 LED 자체(광원부)의 효율을 감안하여 브레이크 램프를 전류 구동 방식으로 구동시키고, 방향지시 램프와 테일 램프를 전압 구동 방식으로 구동시킨다.
도 1b와 같은 구조의 리어 램프(100)에서는 차량이 정지할 때 사용하는 브레이크 램프(100a)는 고휘도를 요구하기 때문에, 제어부(350)는 전류구동회로(330)를 통해 전류의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값을 증가시켜 브레이크 램프(100a)에 적용된 제1 패널의 휘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값을 감소시켜 브레이크 램프(100a)에 적용된 테일 램프에 적용된 제1 패널의 휘도를 감소시킨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에서는 양산성과 생산성을 만족하기 위해서 자동차 부품 단 구성에 대해서 제약 사항을 두고 있다. 예를 들어 리어 램프(100)의 각 기능별(Tail, Stop, Turn etc.)로 전력 인가용 입력 배선에 제약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리어램프 각 기능별로 출력 전력에 제한이 가해지므로 OEM 규격을 만족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구동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압 구동 방식만 적용할 경우 회로 손실이 커서(효율 50% 미만) OEM 요청 성능을 만족할 수 없을 가능성이 생기며, 이를 위해 출력 전력 정격을 만족할 수 없는 리어 램프 기능에 대해서는 전류 구동 방식을 적용하고(효율 90% 이상) 전압 구동 방식을 적용해서도 출력 전력 정격을 만족할 수 있는 리어램프 기능에 대해서는 코스트(cost)를 고려하여 전압 구동 방식을 적용하여 구동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효율적 측면에서 보면 전류 구동 방식을 선정하여 LED 구동 IC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품 관점에서 코스트(cost) 저감이 중요하므로 전압 구동 방식을 혼용하여 리어 램프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 하다.
브레이크 램프의 경우 자동차 규격에서 요구하는 광속이 커서 소비 전력이 크므로 LED 구동 IC를 적용하여 전류 구동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고효율 구동을 수행한다.
테일 램프의 경우 자동차 규격에서 요구하는 광속이 브레이크 램프 대비 상대적으로 작아서 소비 전력이 작으므로 LED 구동 IC를 적용하지 않는 전압 구동 방식을 채택하여 저효율 구동을 형성하는 대신 코스트(cost) 낮은 구동 회로단을 구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패널(310)이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램프에 적용되었다고 가정할 때,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브레이크 램프의 소비 전력이 기준보다 상당히 크므로 상기 전류구동회로의 전류 구동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상기 브레이크 램프를 전류 구동시켜 고효율 구동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브레이크 램프의 소비 전력이 기준보다 크면 상기 전류구동회로(330)의 전류 구동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상기 브레이크 램프를 전류 구동시킨다.
또한, 상기 제2 패널(320)은 상기 차량의 테일 램프에 적용되었다고 가장할 때,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테일 램프의 소비 전력이 상기 기준보다 작으므로 상기 전압구동회로의 전압 구동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상기 테일 램프를 전압 구동시켜 저효율 구동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테일 램프의 소비 전력이 상기 기준보다 작으면 상기 전압구동회로(340)의 전압 구동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상기 테일 램프를 전압 구동시킨다.
방향지시 램프(Turn signal)의 경우 "Amber"로 적용시 "Amber" 패널의 광효율이 크므로 전압 구동 방식으로 구성하고, "Red"로 적용시 "Red" 패널의 광효율이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전류 구동 방식을 적용하여 소비 전력의 규격을 초과하지 않게 설계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램프 모듈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패널(310)은 리어 램프 중에서 브레이크 램프, 테일 램프, 방향지지 램프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제2 패널(320) 역시 리어 램프 중에서 브레이크 램프, 테일 램프, 방향지지 램프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제1 패널(310)이 브레이크 램프(100a)에 적용되었다고 가정할 때,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브레이크 신호(제동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선택하고,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통해 PWM 방식의 제1 구동 전류(I)를 제1 패널(310)에 인가한다. 브레이크 램프(100a)에 적용된 제1 패널(310)의 제1 광원부(200)는 상기 제1 구동 전류에 의해 구동하여 적색광을 발생한다.
또한, 제어부(350)는, 제1 패널(310)이 브레이크 램프 기능 및 테일 램프 기능을 갖는 복합 램프에 적용되었다고 가정할 때,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브레이크 신호(제동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선택하고,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통해 제1 구동 전류를 제1 패널(310)에 인가하고,
테일 신호(테일 램프 구동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선택하고,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통해 제2 구동 전류를 제1 패널(310)에 인가한다.
브레이크 램프 기능 및 테일 램프 기능을 갖는 램프에 적용된 제1 패널(310)의 제1 광원부(200)는 상기 제2 구동 전류에 의해 구동하여 적색광을 발생한다. 상기 제1 구동 전류의 전류값은 브레이크 램프(100a)의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2 구동 전류의 전류값보다 높을 수 있다.
제1 패널(310)에는 저항기(360)가 직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저항기(360)에 의해 안정적인 전류가 제1 패널(310)에 인가될 수 있다.
제2 패널(310)이 방향지시등(100b)에 적용되었다고 가정할 때, 제어부(350)는 방향지시등 레버의 조작에 따라 발행하는 방향 지시등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압구동회로(340)를 선택하고, 상기 전압구동회로(340)를 통해 구동 전압을 제2 패널(320)에 인가한다. 제2 패널(320)의 제2 광원부(200)는 구동 전압에 의해 구동하여 황색광을 발생한다.
제2 패널(310)에는 저항기(370)와 제너다이오드(380)가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저항기(370)에 의해 안정적인 전압이 제2 패널(320)에 인가될 수 있고, 제너다이오드(380)에 의해 제2 패널(310)에 인가되는 역전압을 차단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차량용 리어 램프 모듈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패널(310)은 리어 램프 중에서 브레이크 램프, 테일 램프, 방향지지 램프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제2 패널(320) 역시 리어 램프 중에서 브레이크 램프, 테일 램프, 방향지지 램프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350)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1 패널(310)이 브레이크 램프(100a)에 적용되었다고 가정할 때,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브레이크 신호(제동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선택하고,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통해 PWM 방식의 제1 구동 전류(I)를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1 패널(310)에 인가한다. 브레이크 램프(100a)에 적용된 복수의 제1 패널(310)의 복수의 제1 광원부(200)는 상기 제1 구동 전류에 의해 구동하여 적색광을 발생한다.
또한, 제어부(350)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1 패널(310)이 브레이크 램프 기능 및 테일 램프 기능을 갖는 복합 램프에 적용되었다고 가정할 때,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브레이크 신호(제동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선택하고,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통해 제1 구동 전류를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1 패널(310)에 인가하고, 테일 신호(테일 램프 구동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선택하고,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통해 제2 구동 전류를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1 패널(310)에 인가한다.
브레이크 램프 기능 및 테일 램프 기능을 갖는 램프에 적용된 제1 패널(310)의 제1 광원부(200)는 상기 제2 구동 전류에 의해 구동하여 적색광을 발생한다. 상기 제1 구동 전류의 전류값은 브레이크 램프(100a)의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2 구동 전류의 전류값보다 높을 수 있다.
제1 패널(310)에는 저항기(360)가 직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저항기(360)에 의해 안정적인 전류가 제1 패널(310)에 인가될 수 있다.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2 패널(310)이 방향지시등(100b)에 적용되었다고 가정할 때, 제어부(350)는 방향지시등 레버의 조작에 따라 발행하는 방향 지시등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압구동회로(340)를 선택하고, 상기 전압구동회로(340)를 통해 구동 전압을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2 패널(320)에 인가한다.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2 패널(320)의 제2 광원부(200)는 구동 전압에 의해 구동하여 황색광을 발생한다.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2 패널(310)에는 저항기(370)와 제너다이오드(380)가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저항기(370)에 의해 안정적인 전압이 제2 패널(320)에 인가될 수 있고, 제너다이오드(380)에 의해 제2 패널(310)에 인가되는 역전압을 차단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차량용 리어 램프 모듈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패널(310)은 리어 램프 중에서 브레이크 램프, 테일 램프, 방향지지 램프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제2 패널(320) 역시 리어 램프 중에서 브레이크 램프, 테일 램프, 방향지지 램프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1 패널(310)이 브레이크 램프(100a)에 적용되었다고 가정할 때,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브레이크 신호(제동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선택하고,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통해 PWM 방식의 제1 구동 전류(I)를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1 패널(310)에 인가한다. 브레이크 램프(100a)에 적용된 복수의 제1 패널(310)의 복수의 제1 광원부(200)는 상기 제1 구동 전류에 의해 구동하여 적색광을 발생한다.
또한, 제어부(350)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1 패널(310)이 브레이크 램프 기능 및 테일 램프 기능을 갖는 복합 램프에 적용되었다고 가정할 때,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브레이크 신호(제동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선택하고,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통해 제1 구동 전류를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1 패널(310)에 인가하고, 테일 신호(테일 램프 구동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선택하고,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통해 제2 구동 전류를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1 패널(310)에 인가한다.
브레이크 램프 기능 및 테일 램프 기능을 갖는 램프에 적용된 제1 패널(310)의 제1 광원부(200)는 상기 제2 구동 전류에 의해 구동하여 적색광을 발생한다. 상기 제1 구동 전류의 전류값은 브레이크 램프(100a)의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2 구동 전류의 전류값보다 높을 수 있다.
제1 패널(310)에는 저항기(360)가 직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저항기(360)에 의해 안정적인 전류가 제1 패널(310)에 인가될 수 있다.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2 패널(310)이 방향지시등(100b)에 적용되었다고 가정할 때, 제어부(350)는 방향지시등 레버의 조작에 따라 발행하는 방향 지시등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압구동회로(340)를 선택하고, 상기 전압구동회로(340)를 통해 구동 전압을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2 패널(320)에 인가한다.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2 패널(320)의 제2 광원부(200)는 구동 전압에 의해 구동하여 황색광을 발생한다.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2 패널(310)에는 저항기(370)와 제너다이오드(380)가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저항기(370)에 의해 안정적인 전압이 제2 패널(320)에 인가될 수 있고, 제너다이오드(380)에 의해 제2 패널(310)에 인가되는 역전압을 차단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차량용 리어 램프 모듈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패널(310)은 리어 램프 중에서 브레이크 램프, 테일 램프, 방향지지 램프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제2 패널(320) 역시 리어 램프 중에서 브레이크 램프, 테일 램프, 방향지지 램프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350)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1 패널(310)이 브레이크 램프(100a)에 적용되었다고 가정할 때,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브레이크 신호(제동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선택하고,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통해 PWM 방식의 제1 구동 전류(I)를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1 패널(310)에 인가한다. 브레이크 램프(100a)에 적용된 복수의 제1 패널(310)의 복수의 제1 광원부(200)는 상기 제1 구동 전류에 의해 구동하여 적색광을 발생한다.
또한, 제어부(350)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1 패널(310)이 브레이크 램프 기능 및 테일 램프 기능을 갖는 복합 램프에 적용되었다고 가정할 때,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브레이크 신호(제동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선택하고,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통해 제1 구동 전류를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1 패널(310)에 인가하고, 테일 신호(테일 램프 구동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선택하고,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통해 제2 구동 전류를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1 패널(310)에 인가한다.
브레이크 램프 기능 및 테일 램프 기능을 갖는 램프에 적용된 제1 패널(310)의 제1 광원부(200)는 상기 제2 구동 전류에 의해 구동하여 적색광을 발생한다. 상기 제1 구동 전류의 전류값은 브레이크 램프(100a)의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2 구동 전류의 전류값보다 높을 수 있다.
제1 패널(310)에는 저항기(360)가 직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저항기(360)에 의해 안정적인 전류가 제1 패널(310)에 인가될 수 있다.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2 패널(310)이 방향지시등(100b)에 적용되었다고 가정할 때, 제어부(350)는 방향지시등 레버의 조작에 따라 발행하는 방향 지시등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압구동회로(340)를 선택하고, 상기 전압구동회로(340)를 통해 구동 전압을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2 패널(320)에 인가한다.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2 패널(320)의 제2 광원부(200)는 구동 전압에 의해 구동하여 황색광을 발생한다.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2 패널(310)에는 저항기(370)와 제너다이오드(380)가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저항기(370)에 의해 안정적인 전압이 제2 패널(320)에 인가될 수 있고, 제너다이오드(380)에 의해 제2 패널(310)에 인가되는 역전압을 차단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차량용 리어 램프 모듈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패널(310)은 리어 램프 중에서 브레이크 램프, 테일 램프, 방향지지 램프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제2 패널(320) 역시 리어 램프 중에서 브레이크 램프, 테일 램프, 방향지지 램프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1 패널(310)이 브레이크 램프(100a)에 적용되었다고 가정할 때,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브레이크 신호(제동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선택하고,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통해 PWM 방식의 제1 구동 전류(I)를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1 패널(310)에 인가한다. 브레이크 램프(100a)에 적용된 복수의 제1 패널(310)의 복수의 제1 광원부(200)는 상기 제1 구동 전류에 의해 구동하여 적색광을 발생한다.
또한, 제어부(350)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1 패널(310)이 브레이크 램프 기능 및 테일 램프 기능을 갖는 복합 램프에 적용되었다고 가정할 때,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브레이크 신호(제동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선택하고,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통해 제1 구동 전류를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1 패널(310)에 인가하고, 테일 신호(테일 램프 구동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선택하고, 상기 전류구동회로(330)를 통해 제2 구동 전류를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1 패널(310)에 인가한다.
브레이크 램프 기능 및 테일 램프 기능을 갖는 램프에 적용된 제1 패널(310)의 제1 광원부(200)는 상기 제2 구동 전류에 의해 구동하여 적색광을 발생한다. 상기 제1 구동 전류의 전류값은 브레이크 램프(100a)의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2 구동 전류의 전류값보다 높을 수 있다.
제1 패널(310)에는 저항기(360)가 직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저항기(360)에 의해 안정적인 전류가 제1 패널(310)에 인가될 수 있다.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2 패널(310)이 방향지시등(100b)에 적용되었다고 가정할 때, 제어부(350)는 방향지시등 레버의 조작에 따라 발행하는 방향 지시등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압구동회로(340)를 선택하고, 상기 전압구동회로(340)를 통해 구동 전압을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2 패널(320)에 인가한다.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2 패널(320)의 제2 광원부(200)는 구동 전압에 의해 구동하여 황색광을 발생한다.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2 패널(310)에는 저항기(370)와 제너다이오드(380)가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저항기(370)에 의해 안정적인 전압이 제2 패널(320)에 인가될 수 있고, 제너다이오드(380)에 의해 제2 패널(310)에 인가되는 역전압을 차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는, 마이크로 단위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하는 차량용 램프의 각 램프 기능(Tail, Stop, Turn)에 따라 전류 구동 방식과 전압 구동 방식을 혼용하여 램프를 구동함으로써 램프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제1 반도체 발광소자들을 구비하는 제1 패널과;
    상기 제1 패널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2 반도체 발광소자들을 구비하는 제2 패널과;
    상기 제1 패널이 전류 구동되도록, 상기 제1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집적회로를 구비하는 전류구동회로와;
    상기 제2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패널을 전압 구동하도록 이루어지는 전압구동회로; 및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브레이크 신호, 테일 신호 및 방향지시등 신호 중 어느 신호인지를 기준으로 상기 전류구동회로 및 전압구동회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은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램프에 적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브레이크 램프의 휘도가 증가되도록, 상기 전류구동회로를 통해 발생한 전류의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증가된 듀티값을 상기 제1 패널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은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램프와 테일 램프를 갖는 복합 램프에 적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브레이크 램프의 휘도가 증가되도록, 상기 전류구동회로를 통해 발생한 전류의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증가된 듀티값을 상기 제1 패널에 인가하고,
    상기 테일 램프의 휘도가 감소되도록, 상기 전류구동회로를 통해 발생한 전류의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값을 감소시키고, 상기 감소된 듀티값을 상기 제1 패널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은 브레이크 램프에 적용되고,
    상기 제어부는,
    브레이크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류구동회로를 선택하고, 상기 전류구동회로 통해 구동 전류를 상기 제1 패널에 인가하여 상기 제1 패널을 전류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은 방향지시 램프에 적용되고,
    상기 제어부는,
    방향 지시등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압구동회로를 선택하고, 상기 전압구동회로 통해 구동 전압을 상기 제2 패널에 인가하여 상기 제2 패널을 전압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은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램프에 적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브레이크 램프의 소비 전력이 기준보다 크면 상기 전류구동회로를 선택하고, 상기 전류구동회로의 전류 구동 방식을 통해 상기 브레이크 램프를 전류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차량의 테일 램프에 적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테일 램프의 소비 전력이 상기 기준보다 작으면 상기 전압구동회로를 선택하고, 상기 전압구동회로의 전압 구동 방식을 통해 상기 테일 램프를 전압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은 직렬로 복수개 또는 병렬로 복수개 형성되어 차량의 리어 램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램프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은 직렬로 복수개 또는 병렬로 복수개 형성되어 차량의 리어 램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램프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170091157A 2017-07-18 2017-07-18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KR102345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157A KR102345250B1 (ko) 2017-07-18 2017-07-18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157A KR102345250B1 (ko) 2017-07-18 2017-07-18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200A KR20190009200A (ko) 2019-01-28
KR102345250B1 true KR102345250B1 (ko) 2021-12-31

Family

ID=65269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157A KR102345250B1 (ko) 2017-07-18 2017-07-18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2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97351A1 (en) 2015-04-07 2016-10-13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le lamp
JP2016221995A (ja) 2015-05-27 2016-12-28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9710A (ko) * 2007-11-14 2009-05-19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차량의 미등램프 어셈블리 및 램프 점등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97351A1 (en) 2015-04-07 2016-10-13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le lamp
JP2016221995A (ja) 2015-05-27 2016-12-28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200A (ko) 2019-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4143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vehicular lamp comprising same
CN107017273B (zh) 使用半导体发光器件的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09691231B (zh) 使用半导体发光元件的显示器件
KR102605471B1 (ko)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0753567B2 (en) Car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10914445B2 (en) Vehicle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10400979B2 (en) Vehicle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EP3505812B1 (en) Vehicle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1852436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KR20180003239A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KR102486969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KR102345250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KR102456888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0121940B1 (en) Vehicle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539444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램프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10890A (ko)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KR102374262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02354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