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975B1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enu of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enu of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975B1
KR102344975B1 KR1020150150724A KR20150150724A KR102344975B1 KR 102344975 B1 KR102344975 B1 KR 102344975B1 KR 1020150150724 A KR1020150150724 A KR 1020150150724A KR 20150150724 A KR20150150724 A KR 20150150724A KR 102344975 B1 KR102344975 B1 KR 102344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enu
user
display screen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7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49866A (en
Inventor
장원일
신덕문
전진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0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975B1/en
Publication of KR20170049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866A/en
Priority to KR1020210160449A priority patent/KR202101431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9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통해 단말기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사용자 메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사용자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generating a menu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ognizing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by detecting an approach of the terminal to the display device through near field communication, wherein the display device Receiving user information of a terminal, generating a user menu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user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user menu by the display device.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ENU OF DISPLAY APPARATUS}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ENU OF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근접하는 단말기를 인식하고 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될 메뉴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generating a menu of a displa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recognizing a terminal close to a display apparatus using short-distance communication and generating a menu to be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based thereon.

최근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및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Table Top Display)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가 활용 가능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보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자 각각의 단말기와 연동을 통해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Recently, large display devices that can be utilized by a large number of users, such as digital signage and table top displays, are being distributed. Technologies that enable various uses through interlocking are being developed.

이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위치된 장소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단말기를 인식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별도의 영상 입력 장치를 필요로 하고 단말기를 인증할 때에 마커(marker)와 같은 별도 패턴을 등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In this regard, there is a method of recognizing a terminal by installing a camera at a place where the display device is located, but this requires a separate image input device and requires registration of a separate pattern such as a marker when authenticating the terminal. There was discomfort.

또한, 터치 패턴에 기반하여 단말기를 인식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별도의 터치 패턴을 단말기에 부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of recognizing a terminal based on a touch pattern, but this h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attach a separate touch pattern to the terminal.

한국공개특허공보, 2015-0059915 (2015.06.03.공개)Korea Patent Publication, 2015-0059915 (published on 06.03.2015)

본 발명은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으로 다수의 사용자 및 해당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를 인식하고, 각 사용자에게 적절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ore effectively recognizing a plurality of users and terminals carried by the users in a large display device, and providing an appropriate menu to each user.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oblems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o be solved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통해 단말기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사용자 메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사용자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generating a menu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ognizing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by detecting an approach of the terminal to the display device through near field communication, wherein the display device Receiving user information of a terminal, generating a user menu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user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user menu by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NFC 태그를 구비하는 베젤(Bezel),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사용자 메뉴를 생성하는 제어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NFC 태그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으로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사용자 메뉴를 생성한다.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screen, a bezel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play screen and having one or more NFC tags, an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user menu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 the controller detects an approach of the terminal to the display screen by using the NFC tag to recognize a location of the terminal, receiv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user information A user menu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is creat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NFC 태그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게 되므로, 추가적인 사용자 인식 장치 없이도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s recognized by using one or more NFC tags provided on the bezel of the display device, there is an effect of effectively recognizing the location of the user without an additional user recognition device.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인식된 단말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메뉴를 생성하게 되므로,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각각의 사용자에게 편리한 위치에 적절한 배열 패턴의 메뉴가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device generates a menu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based on the recognized position of the terminal, there is an effect that a menu having an appropriate arrangement pattern can be provided at a convenient location for each user on the display screen.

부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메뉴를 생성하게 되므로, 각각의 사용자의 설정 및 콘텐츠를 반영한 메뉴가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device receives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and generates a menu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based thereon, there is an effect that a menu reflecting the settings and contents of each user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단말기 및 서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및 단말기의 위치에 기반한 메뉴 생성 방법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메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의 여유 공간이 클 시에 생성된 메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의 여유 공간이 작을 시에 생성된 메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 terminal, and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menu creation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method of creating a menu based on user information and a loc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cre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created when the free space of a display screen is lar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created when the free space of a display screen is sm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First,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are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since it is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with knowledge can clear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operators, etc., of cours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단말기(200) 및 서버(300)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display apparatus 100, a terminal 200, and a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메뉴 및 콘텐츠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화면(110)과, 디스플레이 화면(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베젤(120)과, 디스플레이 화면(110)에 표시될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기(140)를 포함한다. 한편, 도 1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어기(14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어기(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되지 않고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The display apparatus 100 includes a display screen 110 on which a user menu and content information are displayed, a bezel 120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play screen 110, and a controller ( 140). Meanwhile, although the display apparatus 100 is illustrated as including the controller 140 in FIG. 1 , the controller 140 is not included in the display apparatus 100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베젤(120)은 하나 이상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130)를 구비한다. NFC 태그(130)는 전자태그의 일종으로 특정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 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가까운 거리에서 장치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NFC 태그(130)가 내장된 장치를 능동형(Active) 모드로 작동시킴으로써, 태그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태그를 읽는 리더(Reader), 태그에 정보를 입력하는 라이터(Writer)의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고, 장치와 장치 간 P2P(Peer to Peer)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NFC 태그(130)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110)은 직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 원형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화면(110)을 둘러싸는 베젤(120)의 각 변에 NFC 태그(130)는 하나 이상 위치할 수 있으며, 베젤(120)의 각 변이 복수 개의 NFC 태그(130)를 구비하는 경우, NFC 태그(130) 사이의 간격은 일정할 수 있다. 베젤(120)이 복수의 NFC 태그(130)를 구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기(200)가 접근하는 경우 단말기(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어느 위치에 존재하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하나의 단말기(200)를 도시하고 있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NFC 태그(130)를 이용하여 근접한 복수의 단말기(20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The bezel 120 of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one or mor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ags 130 . The NFC tag 130 is a type of electronic tag and enables data to be transmitted between devices at a short distance through a non-contac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using a specific frequency band. By operating the device in which the NFC tag 130 is embedded in an active mode, it can perform not only a function as a tag, but also a function of a reader that reads a tag, and a function of a writer that enters information into the tag. , it is possible to enable P2P (Peer to Peer) communication between the device and the device. Also, the NFC tag 130 may store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The display screen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a polygonal shape, a circular shape, or the like. On the other hand, one or more NFC tags 130 may be located on each side of the bezel 120 surrounding the display screen 110, and when each side of the bezel 120 includes a plurality of NFC tags 130, The distance between the NFC tags 130 may be constant. As the bezel 120 includes a plurality of NFC tags 130 , the display device 100 may recognize where the terminal 200 is located around the display device 100 when the terminal 200 approaches. have. Although one terminal 200 is illustrated in FIG. 1 ,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recognize the positions of a plurality of adjacent terminals 200 using a plurality of NFC tags 130 .

단말기(2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부는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기(200)와 다른 장치간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해당 통신 모듈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기(200)는 해당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베젤(120)에 위치한 NFC 태그(130)를 인식하고 NFC 태그 근접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기(140)에 전달할 수 있다. The terminal 200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and the like. The terminal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one or more communication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2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terminal 200 and other devices, and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he terminal 200 recognizes the NFC tag 130 located on the bezel 12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through the corresponding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that an NFC tag proximity event has occurred to the controller 14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 can be passed to

서버(300)는 클라우드 서버 형태로 단말기(200) 외부에 존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300)는 복수의 단말기(200) 각각의 사용자 설정 정보 및 콘텐츠를 저장하고, 단말기(200)에 의해 NFC 태그 근접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단말기(200)의 사용자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기(14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200)의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설정 정보, 사용자가 작업하고 있는 파일, 사용자가 보관하고 있는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서 서버(300)의 역할을 단말기(200) 각각이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단말기(200)에 의해 NFC 태그 근접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단말기(20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가 해당 단말기(200)로부터 제어기(140)로 직접 전송될 수도 있다. The server 300 may exist outside the terminal 200 in the form of a cloud serv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rver 300 stores user setting information and content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200 , and when an NFC tag proximity event occurs by the terminal 200 , displays the user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200 to the display device 100 .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40 of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may include a user's setting information, a file the user is working on, and contents stored by the user. 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each of the terminals 200 may perform the role of the server 300 . That is, when an NFC tag proximity event is generated by the terminal 200 ,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200 may be directly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200 to the controller 140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메뉴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메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2와 도 4에 대해 함께 설명한다. 2 is a flowchart of a menu creation method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cre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FIGS. 2 and 4 will be described together.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기(200)가 접근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상대적인 단말기(200)의 위치를 인식한다 (S110). 도 4에서 디스플레이 화면(110)의 좌측에 단말기(200)가 접근하는 경우 베젤(120)의 좌측에 위치한 NFC 태그(130)에 의해 해당 단말기(200)의 위치가 인식되며, 디스플레이 화면(110)의 하단에 다른 단말기(200)가 접근하는 경우 베젤(120)의 하단에 위치한 NFC 태그(130)에 의해 해당 다른 단말기(200)의 위치가 인식된다. When the terminal 200 approaches, the display apparatus 100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200 relative to the display apparatus by detecting it (S110). In FIG. 4 , when the terminal 200 approaches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screen 110 ,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200 is recognized by the NFC tag 130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bezel 120 , and the display screen 110 . When another terminal 200 approaches the lower end of the , the position of the other terminal 200 is recognized by the NFC tag 130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bezel 120 .

이후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기(200)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다 (S120).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기(140)가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단말기(200) 로부터 직접 수신될 수도 있고 단말기(200) 외부에 위치된 단말기(200)와는 별도의 서버(300)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단말기(200)의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설정 정보, 사용자가 작업하고 있는 파일, 사용자가 보관하고 있는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reafter, the display apparatus 100 receives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 S120 ). For example, the controller 14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receive user information. The user information may be directly received from the terminal 200 or may be received from a server 300 separate from the terminal 200 located outside the terminal 200 .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may include a user's setting information, a file the user is working on, and contents stored by the user.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기(140)는 단말기(200)의 위치 및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화면(110)에 표시될 사용자 메뉴를 생성한다 (S130). 사용자 메뉴를 생성하는 자세한 방법은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The controller 14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generates a user menu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110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200 and user information (S130). A detailed method of creating a user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이 후에, 제어기(140)는 생성된 사용자 메뉴를 디스플레이 화면(110) 상에 표시한다 (S140). 도 4에서 디스플레이 화면(110)은 좌측의 단말기(200)와 근접한 부분에 2열의 부채 형상으로 배열된 사용자 메뉴를 표시하고 있다. 사용자 메뉴는 사용자 선택 메뉴(301), 사용자 작업 파일(302) 및 컨텐츠(30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선택 메뉴(301)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하는 것으로 음악을 듣기 위한 아이콘,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아이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아이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작업 파일(302)은 사용자가 단말기(200)에서 작업하고 있던 파일을 표시하는 것으로 문서 파일, 이미지 파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컨텐츠(303)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이미지를 메뉴화한 것에 해당된다. 디스플레이 화면(100) 상에 표시되는 사용자 메뉴는 사용자의 선호도 및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메뉴의 위치, 크기 및 배열 패턴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2열의 부채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After that, the controller 140 displays the created user menu on the display screen 110 (S140). In FIG. 4 , the display screen 110 displays user menus arranged in a fan shape of two columns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terminal 200 on the left side. The user menu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one or more of a user selection menu 301 , a user work file 302 , and content 303 . The user selection menu 301 displays a menu that a user can select, and may include an icon for listening to music, an icon for playing a video, and an icon for displaying an image. The user work file 302 displays a file that the user was working on in the terminal 200 and may be composed of a document file, an image file, and the like. The content 303 corresponds to a menu form of moving images and images stored in the user terminal 200 . The user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100 may be display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preference and priority. Meanwhile, the location, size, and arrangement pattern of the user menu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nd is not limited to the fan shape of two columns as shown in FIG. 4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및 단말기(200)의 위치에 기반한 메뉴 생성 방법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method of creating a menu based on user information and a location of the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기(140)가 단말기(200) 또는 단말기와는 별도의 서버(3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제어기(140)는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메뉴에 포함될 아이템을 생성한다 (S210). 사용자 메뉴에 포함될 아이템은 사용자 선택 메뉴(301), 사용자 작업 파일(302) 및 컨텐츠(30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when the controller 14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receives user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200 or a server 300 separate from the terminal, the controller 140 receives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Creates an item to be included in the user menu based on the (S210). The item to be included in the user menu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user selection menu 301 , a user work file 302 , and content 303 .

또한, 제어기(140)는 NFC 태그(130)를 통하여 단말기(200)의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된 단말기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화면(110)상의 여유 공간을 확인한다 (S220). 예를 들어, 단말기(200)가 디스플레이 화면(110)의 하단에 위치한 경우 그 근방의 디스플레이 화면(100)에 메뉴를 표시할 공간이 어느 정도 되는지를 확인한다. 일 예로, 단말기(200)가 디스플레이 화면(110)의 하단의 중간 부근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기(200)가 디스플레이 화면(110)의 모서리 부근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메뉴 표시 공간이 넓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40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NFC tag 130 and checks the free space on the display screen 110 based on the recognized position of the terminal (S220).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20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display screen 110 , it is checked how much space is available for displaying the menu on the display screen 100 in the vicinity of the terminal 200 .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200 is located near the middle of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screen 110 , the menu display space is wider than when the terminal 200 is located near a corner of the display screen 110 .

제어기(140)는 디스플레이 화면(110)상의 여유 공간을 확인한 뒤, 사용자 메뉴의 위치, 크기 및 배열 패턴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한다 (S230). 사용자 메뉴는 인식된 단말기(200)의 위치에 근접하도록 디스플레이 화면(110) 상에 배치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화면(110)상의 여유 공간이 큰 경우 메뉴를 구성하는 아이콘의 크기가 커지고, 아이콘 사이의 간격이 넓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0)가 디스플레이 화면(110)의 모서리 부근에 위치하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110)상의 여유 공간이 작은 경우에는, 메뉴를 구성하는 아이콘의 크기가 작아지고, 아이콘 사이의 간격이 좁게 배치될 수 있다.After checking the free space on the display screen 110, the controller 140 determines one or more of the location, size, and arrangement pattern of the user menu (S230). The user menu is disposed on the display screen 110 to be close to the recognized position of the terminal 200 . On the other hand, when the free space on the display screen 110 is large, the size of the icons constituting the menu may be increased, and the spacing between the icons may be wide. In addition, when the free space on the display screen 110 is small, such as when the terminal 200 is located near the edge of the display screen 110, the size of the icons constituting the menu is reduced,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icons is narrowed. can be placed.

제어기(140)가 사용자 메뉴에 포함될 아이템과 해당 아이템을 어떻게 배치할지에 대해 결정하게 되면 제어기(140)는 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화면(120)에 표시될 메뉴 이미지를 생성한다 (S240). 생성된 메뉴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화면(120)에 표시되게 된다. When the controller 140 determines the items to be included in the user menu and how to arrange the items, the controller 140 generates a menu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120 based thereon ( S240 ). The generated menu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120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의 여유 공간이 클 시에 생성된 메뉴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 사용자 메뉴의 아이콘은 2열의 부채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2열 이상의 열로 배열될 수도 있고, 직사각형 등의 형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image generated when a free space of a display screen is lar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 , the icons of the user menu are arranged in a fan shape of two column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rranged in two or more columns, or may be arranged in a shape such as a rectangl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의 여유 공간이 작을 시에 생성된 메뉴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 메뉴를 구성하는 아이콘은 바둑판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아이콘 사이의 간격이 좁게 배열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image generated when the free space of a display screen is sm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6 , the icons constituting the menu are arranged in a checkerboard shape and the intervals between the icons are narrowly arrang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베젤(12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NFC 태그(130)를 이용하여 단말기(200)의 위치를 인식하고 이에 따른 사용자 메뉴를 디스플레이 화면(110) 상에 표시하게 되므로 단말기(200)를 보유하고 있는 다수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어느 위치에서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활용할 수 있다. As su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200 using one or more NFC tags 130 provided on the bezel 120 of the display device 100 and displays a user menu accordingly on the display screen 110 . ), so that a plurality of users holding the terminal 200 can utilize the display apparatus 100 at any location around the display apparatus 100 .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인식된 단말기(200)의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할 메뉴를 생성하게 되므로, 디스플레이 화면(120) 상에서 각각의 사용자에게 편리한 위치에 적절한 배열 패턴의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apparatus 100 generates a menu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100 based on the recognized position of the terminal 200, an arrangement pattern suitable for each user on the display screen 120 is A menu may be provided.

부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단말기(200)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할 메뉴를 생성하게 되므로, 각각의 사용자의 설정 및 콘텐츠를 반영한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apparatus 100 receives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and generates a menu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100 based thereon, a menu reflecting the settings and contents of each user can be provided. have.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Combinations of each block in the block diagram attach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each step in the flowchart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embodied in a processor of a general-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the instructions executed by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may be configured in the respective blocks of the block diagram or of the flowchart. Each step creates a means for performing the described fun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which may direct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particular manner, and thus the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block diagram may also produce an item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a function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each step of the flowchart.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a series of operational steps ar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executed process to create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It is also possible that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equipment provide steps for carrying out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and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 each block or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comprising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it is also possible for the functions recited in blocks or steps to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it is possible that two blocks or steps shown one after another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that the blocks or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qu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으로 다수의 사용자 및 해당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를 인식하고, 각 사용자에게 적절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large display device,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recognize a plurality of users and terminals carried by the users, and provide an appropriate menu to each user.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 화면
120: 베젤 130: NFC 태그
140: 제어기 200: 단말기
300: 서버
100: display device 110: display screen
120: bezel 130: NFC tag
140: controller 200: terminal
300: server

Claims (6)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으로서,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통해 단말기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사용자 메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메뉴의 크기 및 배열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메뉴의 크기 및 배열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여유 공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여유 공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메뉴의 크기 및 배열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
A method of creating a menu for a display device, comprising:
recognizing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by detecting an approach of the terminal to the display device through near field communication;
receiving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generating a user menu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user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user menu,
The generating step is
determining at least one of a size and an arrangement pattern of the user menu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user information;
The step of determining at least one of the size and arrangement pattern of the user menu comprises:
Checking free space information on the display scree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and determining at least one of a size and an arrangement pattern of the user menu based on the free space information on the display screen
How to create a menu for a disp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외주면에 형성된 베젤(Bezel)을 구비하고,
상기 베젤은 하나 이상의 NFC 태그를 구비하고,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NFC 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screen and a bezel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play screen,
The bezel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NFC tags,
The recognizing includes recognizing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using the NFC tag.
How to create a menu for a display devi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택 메뉴, 사용자 작업 파일 및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메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generating includes generating the user menu including at least one of a user selection menu, a user work file, and content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How to create a menu for a display device.
삭제delet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거나 단말기와는 별도의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생성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receiving includes receiving the user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or from a server separate from the terminal
How to create a menu for a display device.
디스플레이 화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를 구비하는 베젤(Bezel); 및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사용자 메뉴를 생성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NFC 태그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으로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사용자 메뉴를 생성하되,
상기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메뉴의 크기 및 배열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여 상기 사용자 메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메뉴의 크기 및 배열 패턴은 상기 단말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여유 공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여유 공간 정보를 기초로 결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screen;
a bezel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play screen and having one or mor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ags; an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user menu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The controller is
By using the NFC tag to detect the approach of the terminal to the display screen to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Receiv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Create a user menu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user information,
Determining at least one of a size and an arrangement pattern of the user menu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user information to generate the user menu,
The size and arrangement pattern of the user menu are determined based on the free space information on the display screen by checking the free space information on the display scree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KR1020150150724A 2015-10-29 2015-10-29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enu of display apparatus KR1023449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724A KR102344975B1 (en) 2015-10-29 2015-10-29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enu of display apparatus
KR1020210160449A KR20210143152A (en) 2015-10-29 2021-11-19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enu of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724A KR102344975B1 (en) 2015-10-29 2015-10-29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enu of display apparatu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449A Division KR20210143152A (en) 2015-10-29 2021-11-19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enu of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866A KR20170049866A (en) 2017-05-11
KR102344975B1 true KR102344975B1 (en) 2021-12-29

Family

ID=587409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724A KR102344975B1 (en) 2015-10-29 2015-10-29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enu of display apparatus
KR1020210160449A KR20210143152A (en) 2015-10-29 2021-11-19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enu of display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449A KR20210143152A (en) 2015-10-29 2021-11-19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enu of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4497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7669A (en) * 2011-12-28 2013-07-11 Ntt Docomo Inc Screen sharing device and screen shar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151B1 (en) * 2012-08-24 2019-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Control Method of Device hav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Device thereof
KR101560352B1 (en) 2013-11-25 2015-10-19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Interactive image contents display system using smart table device on large wall surfa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7669A (en) * 2011-12-28 2013-07-11 Ntt Docomo Inc Screen sharing device and screen sha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866A (en) 2017-05-11
KR20210143152A (en) 2021-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16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US201601622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multi-screen display
KR102351500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973631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268481B2 (en) User arrangement of objects on home screen of mobile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of
US10311260B2 (en)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US20140315489A1 (en) Method for performing wireless display sharing,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associ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206986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virtual keypad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JP6125811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US20140274214A1 (en) Display of a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multiple operation modes
US20110210825A1 (en) Mobile terminal device, program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for user in display area part not covered with rfid tag
US11474692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on which execution screen for multiple applications is displayed, and method for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
US9377901B2 (en) Display method, a display control method and electric device
WO2015010570A1 (en) A method, device, and terminal for hiding or un-hiding content
KR101667727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92995A (en) User input method and apparatus in a electronic device
EP2677413B1 (en) Method for improving touch recogni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747708B2 (en) Method for generating writing data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500251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input function in a electronic device
US201503252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peech recognition information
JP2013201863A (en)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charger
KR102344975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enu of display apparatus
JP641106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put method
KR102475336B1 (en) User equipment,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US10929007B2 (en) Method of displaying object on device,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