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574B1 - 비중격 교정기 - Google Patents

비중격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574B1
KR102344574B1 KR1020200000391A KR20200000391A KR102344574B1 KR 102344574 B1 KR102344574 B1 KR 102344574B1 KR 1020200000391 A KR1020200000391 A KR 1020200000391A KR 20200000391 A KR20200000391 A KR 20200000391A KR 102344574 B1 KR102344574 B1 KR 102344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corrector
adjusting
nose
nasal sept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7293A (ko
Inventor
김민지
Original Assignee
김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지 filed Critical 김민지
Priority to KR1020200000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574B1/ko
Publication of KR20210087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8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nose ; Devices for enlarging the nostril, e.g. for breathing improvement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 및 몸체부의 양종단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중공부를 포함하되, 몸체부는 일종단부로부터 사용자의 코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비중격을 가압하고, 사용자가 호흡할 때, 공기는 중공부를 따라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중격 교정기{nasal septum braces}
본 발명은 비중격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중격 만곡증에 따른 코를 손쉽게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비중격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비중격(nasal septum)은 콧속 중앙부에 위치하여 콧구멍을 좌우로 나누는 연골로서, 일반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변, 아랫변, 뒷변 및 윗변으로 이루어진 대략 4각 평판 형태를 갖는다. 비중격의 앞변은 코뼈(nasal bone)로부터 콧등을 따라 코끝까지 연장한다. 비중격의 아랫변은 앞변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데, 그 일부는 콧방울 연골(alar cartilage)로 덮여 있고, 다른 부위는 위턱뼈(maxilla bone)와 맞닿아 있다. 비중격의 뒷변은 서골(vomer)과 맞닿아 아랫변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한다. 비중격의 윗변은 사골(ethmoid)과 맞닿아 뒷변의 상단로부터 상기 앞변의 상단까지 연장된다.
한편, 비중격은 선천적 원인이나 후천적 원인으로 인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형적으로 휘어지기도 하는데, 이를 비중격 만곡증이라 한다. 비중격 만곡증으로 인해 비염 증상이 유발되거나 비강 내의 기능적 장애가 유발된다. 이러한 비중격 만곡증에 대해서 치료는 비중격의 휘어진 부위를 잘라내고, 이 자름으로 인해 생긴 손상 부위를 봉합사로 봉합하는 수술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치료를 통해 봉합된 손상 부위에서 골조직이 재생되어 비중격이 회복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치료는 손상 부위를 봉합사로만 봉합하기 때문에 비중격에 대한 고정력이 부족하여, 봉합된 손상 부위가 어긋나거나 벌어져 제대로 접합되지 않기도 한다. 즉, 비중격 수술에 따른 후유증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246832호(2010.11.04.)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4718호(2015.02.25.)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4815613호(2011.11.16.)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손쉽게 코에 설치되어 수술없이 비중격 만곡증을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비중격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코에 설치된 상태에서 원활한 호흡을 가능하도록 하는 비중격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 및 몸체부의 양종단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중공부를 포함하되, 몸체부는 일종단부로부터 사용자의 코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비중격을 가압하고, 사용자가 호흡할 때, 공기는 중공부를 따라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는 일종단면으로부터 타종단면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되는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비중격 교정기는, 중공부에 설치되어, 중공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중공부를 복수 개로 구획하도록 몸체부의 내측면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파티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공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의 파티션은 중공부의 중앙에서 상호 간에 연결되며, 비중격 교정기는, 파티션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중공부에 위치되고, 중공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파티션에는 구획된 중공부를 상호 간에 연결하는 연결 공간이 형성되고, 조절부는, 중공부의 횡단면에 대응되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이 연결 공간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며, 파티션들 사이의 간격에 따른 중공부의 횡단면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조절 개구들이 형성된 조절 몸체; 및 몸체부의 타종단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파티션을 통해 연결 공간에 삽입되어 조절 몸체에 연결되며, 자석에 붙는 재료로 이루어진 조절 핸들을 포함하되, 조절 핸들은 조절 몸체를 회전시켜 중공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조절부는 몸체부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비중격 교정기는, 조절부에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길이의 조절이 이루어지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되, 연결부는 한 쌍의 몸체부를 상호 간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되, 제 1 종단면에는 가이드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된 제 1 조절 몸체;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되, 제 1 종단면이 가이드 공간에 삽입되고 위치되어 제 1 조절 몸체에 연결되는 제 2 조절 몸체; 및 각각 제 1 조절 몸체의 제 2 종단면 및 제 2 조절 몸체의 제 2 종단면에 위치되어, 조절 핸들에 연결되도록 자석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연결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조절 몸체의 제 1 종단면 근처의 가이드 공간의 내측면에는 가이드 공간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가이드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제 2 조절 몸체의 제 1 종단면 근처의 제 2 조절 몸체의 외측면에는 제 2 조절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접촉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제 2 조절 몸체가 제 1 조절 몸체를 따라 이동하여, 접촉 돌기는 가이드 돌기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는, 몸체부의 측면에서 몸체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중공부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의 타종단면에는 개구에 대응하도록 삽입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삽입 공간은 개구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면서 개구를 통해 개방되며, 비중격 교정기는, 삽입 공간의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갖고, 삽입 공간에 삽입되고 삽입 공간으로부터 분리되는 절단부를 더 포함하되, 절단부는 칼날 형태의 일종단을 갖고 일종단부터 삽입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교정기가 코에 손쉽게 설치되어 비중격 만곡증을 치료할 수 있다.
(2) 교정기가 코에 설치된 상태에서 원활한 호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가 코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의 변형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코의 해부학적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비중격이 휘어진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100)가 코(11)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100)의 변형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100)는 몸체부(101) 및 중공부(102)를 포함하고, 사용자(10)의 코(11)에 삽입되어, 휘어진 비중격(12)을 가압하여 교정하는 데에 이용된다.
몸체부(101)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01)는 1.5㎝ 내지 2.5㎝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0.8㎝ 내지 1.1㎝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101)는 사용자(10)의 콧구멍의 형상 및 크기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1)는 일종단면으로부터 타종단면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되는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즉, 몸체부(101)는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몸체부(101)가 일종단부부터 사용자(10)의 코(11)에 삽입되어 설치될 때, 몸체부(101)는 용이하게 코(11)에 삽입될 수 있고, 타종단부로 인하여 코(11)에 깊숙하게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몸체부(101)가 타종단부부터 사용자(10)의 코(11)로부터 분리될 때, 몸체부(101)의 타종단부만이 코(11)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몸체부(101)는 코(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몸체부(101)는 용이하게 코(11)에 삽입되거나 코(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몸체부(101)는 연하고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리콘, 플라스틱 등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리콘(silicone)이다. 몸체부(101)는 코(11)에 삽입되어 휘어진 비중격(12)을 가압하여 교정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01)는 항균 처리되거나 항균 성분을 포함하여, 코(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세균 발생을 방지하면서 코(11)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중공부(102)는 몸체부(101)의 양종단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중공부(102)는 몸체부(101)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101)가 사용자(10)의 코(11)에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10)가 호흡하면, 공기는 중공부(102)를 통해 유입되어 사용자(10)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즉, 몸체부(101)가 코(11)에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10)는 중공부(102)로 인해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될 수도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100)의 몸체부(101)에는 개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111)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몸체부(101)의 둘레방향을 따라 몸체부(101)의 측면에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개구(111)는 각각 몸체부(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즉, 개구(111)는 몸체부(101)의 측면에 형성되어 중공부(10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개구(111)는 전체적인 몸체부(101)의 형상을 유지하면서도 몸체부(101)의 재료를 감소시킬 수 있고, 몸체부(101)와 코(11) 내부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몸체부(101)의 접촉이 이루어진 코(11)의 내측면에서 점막 자극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100)의 중공부(102)에는 파티션(121)이 형성될 수 있다.
파티션(121)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중공부(102)에 위치되어 중공부(10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중공부(102)를 구획하도록 몸체부(101)의 내측면에 연결된다. 여기서, 파티션(121)은 각각 몸체부(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될 수 있고, 중공부(102)의 중앙에 대응하면서 상호 간에 연결될 수 있다. 몸체부(101)가 코(11)에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10)가 호흡할 때, 공기는 파티션(121)에 의해 제한된 상태로 중공부(102)를 사용자(10)에 흡입될 수 있다. 특히, 파티션(121)은 공기가 중공부(102)를 과도하게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사용자(10)가 두통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121)은 중공부(102)를 4개로 구획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중공부(102)를 적어도 2개로 구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파티션(121)은 중공부(10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비중격 교정기(100)는 원기둥 형상의 몸체부(101)에 중공부(102)를 형성한다. 여기서, 몸체부(101)는 일종단면으로부터 타종단면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는 외경을 갖는 경우, 일종단부부터 코(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몸체부(101)는 용이하게 코(11)에 삽입될 수 있고, 타종단부로 인하여 코(11)에 깊숙하게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1)가 타종단부부터 사용자(10)의 코(11)로부터 분리될 때, 몸체부(101)의 타종단부만이 코(11)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면 몸체부(101)는 코(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100)는 용이하게 코(11)에 삽입되거나 코(11)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용이하게 코(11)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100)는 몸체부(101)가 코(11)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몸체부(101)는 휘어진 비중격(12)을 가압하고, 휘어진 비중격(12)을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100)는 휘어진 비중격(12)을 수술하지 않고 코(11)에 삽입하기만 하면 원래의 형태로 위치시키도록 교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100)에서 몸체부(101)가 코 (11)에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10)는 중공부(102)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호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100)는 사용자(10)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사용자(10)에게 원활한 호흡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3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30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300)는 몸체부(301), 중공부(302), 조절부(303) 및 연결부(304)를 포함하고, 사용자(10; 도 2 참조)의 코(11; 도 2 참조)에 삽입되어, 휘어진 비중격(12; 도 2 참조)을 가압하여 교정하는 데에 이용된다.
몸체부(301)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몸체부(301)의 각각은 1.5㎝ 내지 2.5㎝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0.8㎝ 내지 1.1㎝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301)는 사용자(10)의 콧구멍의 형상 및 크기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부(301)는 일종단면으로부터 타종단면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되는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즉, 몸체부(301)는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몸체부(301)가 일종단부부터 사용자(10)의 코(11)에 삽입되어 설치될 때, 몸체부(301)는 용이하게 코(11)에 삽입될 수 있고, 타종단부로 인하여 코(11)에 깊숙하게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몸체부(301)가 타종단부부터 사용자(10)의 코(11)로부터 분리될 때, 몸체부(301)의 타종단부만이 코(11)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몸체부(301)는 코(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몸체부(301)는 용이하게 코(11)에 삽입되거나 코(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몸체부(301)는 연하고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리콘, 플라스틱 등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리콘(silicone)이다. 몸체부(301)는 코(11)에 삽입되고, 휘어진 비중격(12)을 가압하여 교정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301)는 항균 처리되거나 항균 성분을 포함하여, 코(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세균 발생을 방지하면서 코(11)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중공부(302)는 몸체부(301)의 각각의 양종단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중공부(302)는 몸체부(301)에 상응하는 형상, 즉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301)가 사용자(10)의 코(11)에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10)가 호흡하면, 공기는 중공부(302)를 통해 유입되어 사용자(10)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즉, 몸체부(301)가 코(11)에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10)는 중공부(302)로 인해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다.
또한, 중공부(302)에는 파티션(321)이 형성될 수 있다. 파티션(321)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중공부(302)에 위치되어 중공부(30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중공부(302)를 구획하도록 몸체부(301)의 내측면에 연결된다. 여기서, 파티션(321)은 각각 몸체부(3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될 수 있고, 중공부(302)의 중앙에서 상호 간에 연결될 수 있다. 몸체부(301)가 코(11)에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10)가 호흡할 때, 공기는 파티션(321)에 의해 제한된 상태로 중공부(302)를 사용자(10)에 흡입될 수 있다. 특히, 파티션(321)은 공기가 중공부(302)를 과도하게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사용자(10)가 두통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321)은 중공부(302)를 4개로 구획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중공부(302)를 적어도 2개로 구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파티션(321)은 중공부(30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도록 위치되어, 중공부(302)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구획할 수 있다.
조절부(303)는 파티션(321)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중공부(302)에 위치되고, 중공부(302)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절부(303)는 몸체부(301)의 타종단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조절부(303)는 조절 몸체(331) 및 조절 핸들(333)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절 몸체(331)는 중공부(302)의 횡단면에 대응되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조절 몸체(331)에는 파티션(321)들 사이의 간격에 따른 중공부(302)의 횡단면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조절 개구(331a)들이 형성된다. 여기서, 조절 개구(331a)의 개수는 파티션(321)에 의해 구획된 중공부(302)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파티션(321)에는 구획된 중공부(302)를 상호 간에 연결하는 연결 공간(321a)이 형성된다. 조절 몸체(331)의 중앙은 연결 공간(32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조절 몸체(331)는 중공부(302)에서 회전될 수 있다.
조절 핸들(333)은 몸체부(301)의 타종단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파티션(321)을 통해 연결 공간(321a)에 삽입되어 조절 몸체(331)에 연결된다. 여기서, 조절 핸들(333)은 조절 몸체(331)의 중앙에 연결되고, 조절 몸체(3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조절 몸체(331)는 조절 핸들(333)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구획된 중공부(302)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절 핸들(333)은 자석에 붙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조절 핸들(333)의 일부는 몸체부(301)의 타종단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을 이용하여 조절 핸들(333)의 일부를 회전시켜 조절 몸체(3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절 몸체(331) 및 조절 핸들(333)을 포함하는 조절부(303)는 중공부(302)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사용자(10)는 원하는 양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연결부(304)는 조절부(303)에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길이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조절부(303)가 각각의 몸체부(301)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연결부(304)에 연결되기에, 한 쌍의 몸체부(301)들은 연결부(304)에 의해 상호 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04)는 제 1 조절 몸체(341), 제 2 조절 몸체(343) 및 연결 몸체(3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조절 몸체(341)는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 1 조절 몸체(341)의 제 1 종단면에는 가이드 공간(341a)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 공간(341a)은 제 1 조절 몸체(34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조절 몸체(341)의 제 1 종단면 근처의 가이드 공간(341a)의 내측면에는 가이드 돌기(341b)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 돌기(341b)는 가이드 공간(341a)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 2 조절 몸체(343)는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고, 가이드 공간(341a)에 삽입될 수 있다. 제 2 조절 몸체(343)의 제 1 종단면이 가이드 공간(341a)에 삽입되어 위치되고, 제 2 조절 몸체(343)는 제 1 조절 몸체(341)에 연결되고 가이드 공간(341a)을 통해 제 1 조절 몸체(341)를 따라 이동가능하다. 이로 인해, 제 2 조절 몸체(343)는 제 1 조절 몸체(341)와 조합한 다양한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조절 몸체(343)의 제 1 종단면 근처의 제 2 조절 몸체(343)의 외측면에는 접촉 돌기(343a)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접촉 돌기(343a)는 제 2 조절 몸체(343)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 2 조절 몸체(343)의 제 1 종단면이 가이드 공간(341a)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 2 조절 몸체(343)는 가이드 공간(341a)을 통해 제 1 조절 몸체(34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접촉 돌기(343a)는 가이드 돌기(341b)에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2 조절 몸체(343)는 제 1 조절 몸체(341)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제 1 조절 몸체(341)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연결 몸체(345)는 한 쌍의 이루어지되, 각각 제 1 조절 몸체(341)의 제 2 종단면 및 제 2 조절 몸체(343)의 제 2 종단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몸체(345)는 조절부(303)의 조절 핸들(333)에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몸체(345)는 자석으로 이루어져, 자석에 붙는 재료로 이루어진 조절 핸들(333)에 연결된 상태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304)는 한 쌍의 몸체부(301)를 연결할 수 있고, 몸체부(301)는 상호 간에 연결된 상태에 코(11)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301)는 연결부(304)에 의해 코(11)에 깊숙하게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연결부(304)가 조절 핸들(333)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조절 핸들(333)은 조절 몸체(331)를 회전시켜 중공부(302)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5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 교정기(500)는 몸체부(501), 중공부(502) 및 절단부(503)를 포함하고, 사용자(10; 도 2 참조)의 코(11; 도 2 참조)에 삽입되어, 휘어진 비중격(12; 도 2 참조)을 가압하여 교정하는 데에 이용된다.
몸체부(501)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501)는 2.5㎝ 내지 2.8㎝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0.8㎝ 내지 1.1㎝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501)는 사용자(10)의 콧구멍의 형상 및 크기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부(501)는 일종단면으로부터 타종단면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되는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즉, 몸체부(501)는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몸체부(501)가 일종단부부터 사용자(10)의 코(11)에 삽입되어 설치될 때, 몸체부(501)는 용이하게 코(11)에 삽입될 수 있고, 타종단부로 인하여 코(11)에 깊숙하게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몸체부(501)가 타종단부부터 사용자(10)의 코(11)로부터 분리될 때, 몸체부(501)의 타종단부만이 코(11)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몸체부(501)는 코(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몸체부(501)는 용이하게 코(11)에 삽입되거나 코(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몸체부(501)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501)는 코(11)에 삽입되어 변형되지 않고, 휘어진 비중격(12)을 가압하여 교정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501)는 항균 처리되거나 항균 성분을 포함하여, 코(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세균 발생을 방지하면서 코(11)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중공부(502)는 몸체부(501)의 양종단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중공부(502)는 몸체부(501)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501)가 사용자(10)의 코(11)에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10)가 호흡하면, 공기는 중공부(502)를 통해 유입되어 사용자(10)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즉, 몸체부(501)가 코(11)에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10)는 중공부(502)로 인해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비중격 교정기(500)의 몸체부(501)에는 개구(511) 및 삽입 공간(513)이 형성될 수 있다.
개구(511)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몸체부(501)의 둘레방향을 따라 몸체부(501)의 측면에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개구(511)는 각각 몸체부(50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즉, 개구(511)는 몸체부(501)의 측면에 형성되어 중공부(50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개구(511)는 전체적인 몸체부(501)의 형상을 유지하면서도 몸체부(501)의 재료를 감소시킬 수 있고, 몸체부(501)와 코(11) 내부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몸체부(501)의 접촉이 이루어진 코(11)의 내측면에서 점막 자극을 감소시킬 수 있다.
삽입 공간(513)은 개구(511)에 대응하도록 몸체부(501)의 타종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삽입 공간(513)은 개구(511)의 폭보다 큰 폭을 갖고 개구(511)를 통해 개방될 수 있다.
절단부(503)는 삽입 공간(513)의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갖고, 삽입 공간(513)에 삽입되고 삽입 공간(513)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절단부(503)은 칼날 형태의 일종단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절단부(503)의 일종단부터 삽입 공간(513)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501)가 코(11)에 삽입되어 설치될 때, 코(11) 내부의 코털이 개구(511)를 통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절단부(503)는 삽입 공간(513)에 삽입되어 개구(511)를 통과한 코털을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절단부(503)가 삽입 공간(513)에 삽입되어, 칼날 형태의 절단부(503)의 일종단은 개구(511)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501)가 코(11)에 삽입되어 설치될 때, 절단부(503)는 코(11)에 삽입되면서 개구(511)를 통과한 코털을 절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절단부(503)는 몸체부(501)에 위치되어, 몸체부(501)가 코(11)에 삽입된 상태이거나 코(1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코털을 절단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300, 500: 비중격 교정기
101, 301, 501: 몸체부
102, 302, 502: 중공부
303: 조절부
304: 연결부
503: 절단부

Claims (10)

  1. 비중격 교정기에 있어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 및
    몸체부의 양종단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중공부를 포함하되,
    몸체부는 일종단부로부터 사용자의 코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비중격을 가압하고,
    사용자가 호흡할 때, 공기는 중공부를 따라 유동하며,
    비중격 교정기는,
    중공부에 설치되어, 중공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중공부를 복수 개로 구획하도록 몸체부의 내측면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파티션을 더 포함하고,
    중공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의 파티션은 중공부의 중앙에서 상호 간에 연결되며,
    비중격 교정기는,
    파티션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중공부에 위치되고, 중공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파티션에는 구획된 중공부를 상호 간에 연결하는 연결 공간이 형성되며,
    조절부는,
    중공부의 횡단면에 대응되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이 연결 공간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며, 파티션들 사이의 간격에 따른 중공부의 횡단면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조절 개구들이 형성된 조절 몸체; 및
    몸체부의 타종단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파티션을 통해 연결 공간에 삽입되어 조절 몸체에 연결되며, 자석에 붙는 재료로 이루어진 조절 핸들을 포함하고,
    조절 핸들은 조절 몸체를 회전시켜 중공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격 교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부는 일종단면으로부터 타종단면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되는 외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격 교정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몸체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조절부는 몸체부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비중격 교정기는,
    조절부에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길이의 조절이 이루어지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되,
    연결부는 한 쌍의 몸체부를 상호 간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격 교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되, 제 1 종단면에는 가이드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된 제 1 조절 몸체;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되, 제 1 종단면이 가이드 공간에 삽입되고 위치되어 제 1 조절 몸체에 연결되는 제 2 조절 몸체; 및
    각각 제 1 조절 몸체의 제 2 종단면 및 제 2 조절 몸체의 제 2 종단면에 위치되어, 조절 핸들에 연결되도록 자석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연결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격 교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제 1 조절 몸체의 제 1 종단면 근처의 가이드 공간의 내측면에는 가이드 공간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가이드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제 2 조절 몸체의 제 1 종단면 근처의 제 2 조절 몸체의 외측면에는 제 2 조절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접촉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제 2 조절 몸체가 제 1 조절 몸체를 따라 이동하여, 접촉 돌기는 가이드 돌기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격 교정기.
  9. 삭제
  10. 비중격 교정기에 있어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 및
    몸체부의 양종단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중공부를 포함하며,
    몸체부는 일종단부로부터 사용자의 코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비중격을 가압하고,
    사용자가 호흡할 때, 공기는 중공부를 따라 유동하며,
    몸체부는,
    몸체부의 측면에서 몸체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중공부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개구를 포함하고,
    몸체부의 타종단면에는 개구에 대응하도록 삽입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삽입 공간은 개구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면서 개구를 통해 개방되며,
    비중격 교정기는,
    삽입 공간의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갖고, 삽입 공간에 삽입되고 삽입 공간으로부터 분리되는 절단부를 더 포함하되,
    절단부는 칼날 형태의 일종단을 갖고 일종단부터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격 교정기.
KR1020200000391A 2020-01-02 2020-01-02 비중격 교정기 KR102344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391A KR102344574B1 (ko) 2020-01-02 2020-01-02 비중격 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391A KR102344574B1 (ko) 2020-01-02 2020-01-02 비중격 교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293A KR20210087293A (ko) 2021-07-12
KR102344574B1 true KR102344574B1 (ko) 2021-12-29

Family

ID=76859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391A KR102344574B1 (ko) 2020-01-02 2020-01-02 비중격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45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2557A2 (en) * 2022-04-25 2023-11-02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an airwa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1073A1 (en) 2001-05-22 2005-01-27 Ernest Santin Nasal congestion and obstruction relief and breathing assist devices
JP2010246832A (ja) * 2009-04-20 2010-11-04 Keytron:Kk 呼吸補助具
JP4815613B2 (ja) * 2005-08-26 2011-11-16 国立大学法人 岡山大学 構音障害改善用鼻孔栓
KR101494718B1 (ko) * 2012-11-28 2015-02-25 정관영 비강 호흡 보조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1073A1 (en) 2001-05-22 2005-01-27 Ernest Santin Nasal congestion and obstruction relief and breathing assist devices
JP4815613B2 (ja) * 2005-08-26 2011-11-16 国立大学法人 岡山大学 構音障害改善用鼻孔栓
JP2010246832A (ja) * 2009-04-20 2010-11-04 Keytron:Kk 呼吸補助具
KR101494718B1 (ko) * 2012-11-28 2015-02-25 정관영 비강 호흡 보조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293A (ko) 202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5042B2 (en) Nasal valve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US11116950B2 (en) Stent for splinting a nasal passage
RU2476247C2 (ru) Комплексная маска и канюли для интраназального положительного непрерывного давления в воздухоносных путях
EP0824015B1 (en) Nasal appliance
US20120285470A9 (en) Nasal devices with noise-reduction and methods of use
CN106999302B (zh) 小外型咽鼓管扩张系统
US20190167464A1 (en) Nasal dilator apparatus
US20090194100A1 (en) Nostril plug for improving articulatory disorder
EP2117482B1 (en) Nose-dilating device
KR102344574B1 (ko) 비중격 교정기
Ghosh et al. Surgical treatment of nasal obstruction in rhinoplasty
JP6822709B1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US20120323322A1 (en) Surgical instrument for corporeal internal fixation septoplasty
US20180146967A1 (en) Tamponade for nasal cavities or sinus cavities
US10857023B1 (en) Nasal device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US9782297B2 (en) Eustachian tube stents, introducers and methods for their use
KR102204175B1 (ko) 내시경 삽입 가능한 비루관 삽입 도구
Bridger Split rib graft for alar collapse
Bull Rhinoplasty: aesthetics, ethics and airway
KR102600486B1 (ko) 비강 확장 기구
KR102530809B1 (ko) 비중격 교정 장치
US9603745B2 (en) Introducer for otolaryngological devices
RU2627353C2 (ru) Интраназальный тренажёр
Goode Nasal Valve Surgery
Adamson Rhinoplasty-our pa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