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162B1 -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 이동성 관리 개체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 Google Patents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 이동성 관리 개체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162B1
KR102344162B1 KR1020207017630A KR20207017630A KR102344162B1 KR 102344162 B1 KR102344162 B1 KR 102344162B1 KR 1020207017630 A KR1020207017630 A KR 1020207017630A KR 20207017630 A KR20207017630 A KR 20207017630A KR 102344162 B1 KR102344162 B1 KR 102344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dicated bearer
terminal
bearer establishment
establishment request
packe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7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7843A (ko
Inventor
후청 왕
Original Assignee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87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resource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7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8Connection release triggered by ti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6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wherein at least one of the networks is unlicen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공개는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 이동성 관리 개체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를 제공한다. 그중,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은, 추적 영역 갱신 프로세스에서, 단말기가 제공한 식별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을 확정하면,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유지하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전용 베어러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기술적 수단은 실제 수요에 따라 에어 인터페이스의 베어러를 온 디맨드 방식으로 구축하여, MME가 TAU 프로세스에서 eNB에 에어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베어러 구축을 요청함에 따라 발생하는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낭비를 피할 수 있고, 관련 기술에 따른 전용 베어러 구축 방안이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바람직하게 해결한다.

Description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 이동성 관리 개체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본 출원은 2017년 11월 21일 중국에 제출된 특허출원 No. 201711168078.4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공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 이동성 관리 개체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이다.
3GPP는 5G에서 4G로의 아이들링 상태 추적 영역 갱신(Tracking Area Update, TAU) 프로세스에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제어 평면 기능과 세션 관리 기능(PDN Gateway - Control Plane + Session Management Function, PGW-C+SMF)이 TAU 종료 후 전용 베어러의 구축 프로세스를 트리거링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제기했다. 그러나 관련 기술에 따른 TAU 프로세스에서 이동성 관리 개체(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는 TAU accept 메시지를 송신한 후 비접속 계층 NAS 시그널링 연결을 해제한다. 따라서, 3GPP는 Active flag(액티브 플러그)를 이용하여 NAS 연결을 확보하는 방법을 제기했다. 이러한 방법은 MME가 TAU 프로세스에서, 전용 베어러 구축 프로세스가 이어지는지와는 무관하게 항상 에어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를 구축할 것을 요구하며, 이는 에어 인터페이스의 자원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5G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4G 네트워크)의 상호 운용성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 모델은 도 1과 같다. 도면에서 MME와 5G 시스템(5G System, 5GS) 사이의, 접속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Control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간의 N26 인터페이스는 선택 가능하고 지원되는 것이다. 네트워크가 N26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경우, 네트워크는 5G와 LTE 네트워크 사이의 스위칭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MME와 AMF 사이에서는 이동성 컨텍스트와 세션 연결용 컨텍스트를 포함하는 단말기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전달해야 한다. 단말기가 N26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이러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 네트워크는 단말기의 등록 모드를 싱글 등록 모드(single registration mode)로 구성할 가능성이 있다. 도면에서 HSS+UDM은 홈 가입자 서버 + 통합 데이터 관리 기능을 나타내고, PCF+PCRF는 전략 제어 기능 + 전략 및 수수료 규칙 기능을 나타내며, UPF+PGW-U는 사용자 평면 기능 + PDN 게이트웨이 사용자 평면 기능을 나타내며, E-UTRAN은 진화된 UMTS 지상파 무선 접속망을 나타낸다.
Single registration 모드의 UE는 5GS로부터 EPS(진화된 패킷 시스템) 네트워크로 이동하며, 만약 5GS와 EPS 사이에서 N26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면,
연결 상태의 UE에 대해서는 TS 23.502와 같이 접속 기술간 inter-RAT 스위칭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또한 아이들링 상태의 UE에 대해서는, 만약 5GC로부터 EPC로 이동한다면, UE는 5G-GUTI(5G 글로벌 고유 임시 UE 식별자로서, 4G-GUTI로부터 맵핑된다)를 이용하여 TAU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MME는 N26 인터페이스를 통해 5GC로부터 UE의 이동성 관리 MM과 세션 관리 SM 컨텍스트를 획득한다. 만약 진화된 패킷 코어망 EPC로부터 5GC로 이동한다면, UE는 4G-GUTI(4G 글로벌 고유 임시 UE 식별자로서, 5G-GUTI로부터 맵핑된다)를 이용하여 registration(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접속 제어 및 이동성 관리 기능 AMF와 세션 관리 기능 SMF는 EPC로부터 UE의 MM과 SM 컨텍스트를 획득한다. 구체적인 흐름은 도 2와 같다. 도면에서 NG-RAN은 차세대 무선 접속망을 나타내며, PGW-U+UPF(P-GW-U/UPF)는 PDN 게이트웨이 사용자 평면 기능 + 사용자 평면 기능을 나타내고, HSS+UDM(HSS/UDM)은 홈 가입 사용자 서버 + 통합 데이터 관리 기능을 나타낸다.
만약 UE가 TAU request(TAU 요청) 메시지에 Active flag를 포함한다면 단계 215 이후 MME는 시그널링 연결을 해제되지 않도록 유지할 필요가 있다(그렇지 않으면 MME가 TAU complete-TAU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후 일정 시간 내에 S1 release-S1 해제 프로세스를 개시하여 NAS 시그널링 연결을 해제한다). 그러면 단계 216에서 만약 MME가 PGW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수신한다면, 기존의 NAS 시그널링 연결을 이용하여 전용 베어러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상기로부터 알 수 있듯이, 관련 기술에서는 UE가 active flag를 송신하도록 요구하며, 이로 인해 MME는 TAU 프로세스에서 에어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베어러를 구축할 것을 기지국 eNB에 요청하게 된다. 만약 후속 단계에서 PGW가 전용 베어러의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하지 않으면, eNB는 일정 시간 대기 후(타이머로 제어) 에어 인터페이스 베어러 해제 프로세스를 개시해야 하며, 이는 항상 필요 이상의 에어 인터페이스 베어러 구축과 삭제 프로세스를 초래한다.
본 공개의 목적은 관련 기술에 따른 전용 베어러 구축 방안이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 이동성 관리 개체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공개의 실시예는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이동성 관리 개체에 적용되며,
추적 영역 갱신 프로세스에서, 단말기가 제공한 식별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을 확정하면,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전용 베어러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는,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기설정된 시간대 내에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비접속 계층 연결은 에어 인터페이스의 RRC 연결과, 기지국과 MME 사이의 S1 연결로 이루어진다)을 유지하는 단계;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기설정된 시간대 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전용 베어러를 구축하는 단계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수신되면,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를 위해 에어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베어러를 구축함과 동시에 또는 구축 완료 후에,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이전 또는 그 단계와 함께, (기지국과의 S1 연결을 통해) 기지국에 초기 단말기 컨텍스트 생성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에어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상기 기지국을 트리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가 제공하는 식별 정보는 세계적으로 고유한 임시 단말기 식별자의 유형이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전용 베어러를 구축하는 단계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수신되면, 유지하고 있는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수신되면 기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전용 베어러를 구축하는 단계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캐리되어 있는 세션 구축 응답을 수신 서비스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세션 구축 응답으로부터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에 따라,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에 적용되며,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이 확정되고, 전용 베어러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되면,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포함시켜 서비스 게이트웨이에 송신하여, 세션 구축 응답을 통해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이동성 관리 개체에 운반하도록 상기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트리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이 확정되고, 전용 베어러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되면,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포함시켜 서비스 게이트웨이에 송신하는 단계는,
서비스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베어러 수정 요청을 수신하면,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으로 확정하고, 전용 베어러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포함시켜 서비스 게이트웨이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이동성 관리 개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이동성 관리 개체는,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 속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추적 영역 갱신 프로세스에서, 단말기가 제공한 식별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을 확정하면,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유지하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전용 베어러를 구축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기설정된 시간대 내에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유지하고;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기설정된 시간대 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수신되면,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를 위해 에어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베어러를 구축함과 동시에 또는 구축 완료 후에,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이전 또는 그 단계와 동시에, 기지국에 초기 단말기 컨텍스트 생성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에어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상기 기지국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가 제공하는 식별 정보는 세계적으로 고유한 임시 단말기 식별자의 유형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수신되면, 유지하고 있는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캐리되어 있는 세션 구축 응답을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 서비스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세션 구축 응답으로부터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분석하고;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에 따라,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를 더 제공한다. 상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는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 속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이 확정되고, 전용 베어러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되면,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포함시켜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서비스 게이트웨이에 송신하여, 세션 구축 응답을 통해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이동성 관리 개체에 운반하도록 상기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트리거링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서비스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베어러 수정 요청을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하면,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으로 확정하고, 전용 베어러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하며;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포함시켜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서비스 게이트웨이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이동성 관리 개체측의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측의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전용 베어러 구축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장치는 이동성 관리 개체에 적용되며,
추적 영역 갱신 프로세스에서, 단말기가 제공한 식별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을 확정하면,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제1 처리 모듈;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전용 베어러를 구축하기 위한 제2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처리 모듈은,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기설정된 시간대 내에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제1 처리 서브 모듈;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기설정된 시간대 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제2 처리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처리 모듈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수신되면,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를 위해 에어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베어러를 구축함과 동시에 또는 구축 완료 후에,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장치는,
상술한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이전 또는 그 단계와 동시에, 기지국에 초기 단말기 컨텍스트 생성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에어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상기 기지국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제1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가 제공하는 식별 정보는 세계적으로 고유한 임시 단말기 식별자의 유형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처리 모듈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수신되면, 유지하고 있는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제3 처리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처리 모듈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들어 있는 세션 구축 응답을 수신 서비스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세션 구축 응답으로부터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분석하기 위한 제4 처리 서브 모듈;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에 따라,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제5 처리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전용 베어러 구축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장치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에 적용되며,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이 확정되고, 전용 베어러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되면,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포함시켜 서비스 게이트웨이에 송신하여, 세션 구축 응답을 통해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이동성 관리 개체에 운반하도록 상기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제3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처리 모듈은,
서비스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베어러 수정 요청을 수신하면,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을 확정하고, 전용 베어러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하기 위한 제6 처리 서브 모듈;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포함시켜 서비스 게이트웨이에 송신하기 위한 제7 처리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본 공개에 따른 상기 기술적 수단의 유익한 효과는 아래와 같다.
상기 기술적 수단에서,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은 추적 영역 갱신 프로세스에서, 단말기가 제공한 식별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을 확정하면,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유지하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전용 베어러를 구축한다. 이로써, 실제 수요에 따라 에어 인터페이스의 베어러를 온 디맨드 방식으로 구축하여, MME가 TAU 프로세스에서 eNB에 에어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베어러 구축을 요청함에 따라 발생하는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낭비를 피할 수 있고, 관련 기술에 따른 전용 베어러 구축 방안이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바람직하게 해결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수단을 더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본 공개의 실시예에서 사용할 도면을 간단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 따른 도면은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고도 이들 도면을 기초로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음이 자명하다.
도 1은 관련 기술에 따른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관련 기술에서 UE가 5GS로부터 EPS 네트워크로 이동하는 흐름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의 첫 번째 흐름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의 두 번째 흐름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의 구체적인 응용 방법의 첫 번째 흐름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의 구체적인 응용 방법의 두 번째 흐름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관리 개체의 구성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의 구성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전용 베어러 구축 장치의 첫 번째 구성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전용 베어러 구축 장치의 두 번째 구성 개략도이다.
이하, 본 공개의 실시예의 도면을 결합하여,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수단을 명료하고도 완전하게 설명한다. 명백한 바,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이며 전체 실시예가 아니다. 본 공개의 실시예를 토대로,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고 얻는 그밖의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공개에서 보호하는 범위에 속한다.
본 공개는 관련 기술에 따른 전용 베어러 구축 방안이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에 대해 제출한 것으로,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이동성 관리 개체에 적용되고, 도 3과 같이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1: 추적 영역 갱신 프로세스에서, 단말기가 제공한 식별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을 확정하면,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유지한다.
단계 32: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전용 베어러를 구축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은, 추적 영역 갱신 프로세스에서, 단말기가 제공한 식별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을 확정하면,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유지하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전용 베어러를 구축한다. 이로써, 실제 수요에 따라 에어 인터페이스의 베어러를 온 디맨드 방식으로 구축하여, MME가 TAU 프로세스에서 eNB에 에어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베어러 구축을 요청함에 따라 발생하는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낭비를 피할 수 있고, 관련 기술에 따른 전용 베어러 구축 방안이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바람직하게 해결한다.
그중, 상술한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는,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기설정된 시간대 내에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비접속 계층 연결은 에어 인터페이스의 RRC 연결과, 기지국과 MME 사이의 S1 연결로 이루어진다)을 유지하는 단계;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기설정된 시간대 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설정된 시간대는 상기 단말기가 로컬에서 비접속 계층 연결을 해제하는 시간 길이보다 길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전용 베어러를 구축하는 단계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수신되면,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를 위해 에어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베어러를 구축함과 동시에 또는 구축 완료 후에,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REQUEST message)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술한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이전 또는 그 단계와 함께, (기지국과의 S1 연결을 통해) 기지국에 초기 단말기 컨텍스트 생성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에어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상기 기지국을 트리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가 제공하는 식별 정보는 세계적으로 고유한 임시 단말기 식별자의 유형이다.
단계 32에 대해, 본 공개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이 두 가지 구체적인 구현형태를 제공한다.
제1 유형: 상술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전용 베어러를 구축하는 단계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수신되면, 유지하고 있는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유형: 상술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수신되면, 기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전용 베어러를 구축하는 단계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들어 있는 세션 구축 응답을 수신 서비스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세션 구축 응답으로부터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분석하고;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에 따라,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중, 상술한 세션 구축 응답을 서비스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서비스 게이트웨이가 PGW를 토대로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들어 있는 베어러 수정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세션 구축 응답에는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들어 있다.
나아가,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은, 만약 상기 세션 구축 응답에 PGW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들어 있지 않으면, 기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에 적용되고, 도 4와 같이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41: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이 확정되고, 전용 베어러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되면,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포함시켜 서비스 게이트웨이에 송신하여, 세션 구축 응답을 통해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이동성 관리 개체에 운반하도록 상기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트리거링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은,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이 확정되고, 전용 베어러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되면,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포함시켜 서비스 게이트웨이에 송신하여, 세션 구축 응답을 통해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이동성 관리 개체에 운반하도록 상기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트리거링하며, 이에 더해 이동성 관리 개체로 하여금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되기 전에,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로부터 송신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수신하여 기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전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실제 수요에 따라 에어 인터페이스의 베어러를 온 디맨드 방식으로 구축하는 목적을 구현하여, MME가 TAU 프로세스에서 eNB에 에어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베어러 구축을 요청함에 따라 발생하는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낭비를 피할 수 있고, 관련 기술에 따른 전용 베어러 구축 방안이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바람직하게 해결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이 확정되고, 전용 베어러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되면,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포함시켜 서비스 게이트웨이에 송신하는 단계는, 서비스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베어러 수정 요청을 수신하면,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을 확정하고, 전용 베어러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포함시켜 서비스 게이트웨이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이동성 관리 개체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이들 두 측을 결합하여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을 더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공개의 실시예는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두 가지 구체적인 예시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 유형은 MME측을 메인으로 하는 것이며,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즉, MME는 UE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한 후(GUTI 유형에 따라 판단할 수 있음), NAS 시그널링 연결을 해제하지 않고 유지한다. MME는 PGW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수신한 후, 초기 단말기 컨텍스트 생성 요청 Initial UE context Setup 메시지를 eNB에 송신하여, UE를 위해 사용자 평면 베어러를 구축할 것을 eNB에 요청한다. MME는 전용 베어러 구축 프로세스를 계속한다. 구체적으로, 도 5와 같이 GUTI를 토대로 판단하여 NAS 연결을 유지한다.
단계 51: UE가 TAU trigger(TAU 트리거)를 송신한다.
단계 52: UE가 MME에 TAU request(TAU요청. Old GUTI(구 GUTI)가 들어 있음)를 송신한다.
단계 51-52. UE가 5G 네트워크로부터 4G 네트워크로 이동한 후, UE가 TAU 프로세스를 개시하며, 메시지에는 5G GUTI로부터 맵핑된 4G GUTI, 즉 Old GUTI (Mapped GUTI)가 들어 있다. 또한 UE는 GUTI type(GUTI의 유형)에서 당해 GUTI가 5G GUTI로부터 맵핑되었음을 지시할 수도 있으며, 아래와 같다.
8 7 6 5 4 3 2 1
GUTI type IEI 0 0 GUTI type 바이트 octet 1
spare
IEI는 Information element identifier(정보 원소 식별자)이고, spare는 Reserved value이다.
그중, GUTI type에서 00, 01의 의미는 여전히 관련 기술과 같으며, 10은 GUTI가 5G GUTI로부터 맵핑됨을 나타낸다.
단계 53: MME와 AMF는 Context Request/ Response(컨텍스트 요청/응답)를 서로 인터랙티브한다.
단계 54: MME는 SGW에 Create Session Request(세션 구축 요청)를 송신한다.
단계 55: SGW는 PGW-C+SMF에 Modify Bearer Request(베어러 수정 요청)를 송신한다.
단계 56: PGW-C+SMF는 SGW에 Modify Bearer Response(베어러 수정 응답)를 피드백한다.
단계 57: SGW는 MME에 Create Session Response(세션 구축 응답)을 피드백한다.
단계 53-57. MME는 먼저 AMF로부터 UE의 컨텍스트 context를 수신한 후, UE context에 따라 PGW-C+SMF에 대해 UE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 PDN connection을 갱신한다.
단계 58: MME는 UE에 TAU Accept(추적 영역 갱신 수락)을 송신한다.
단계 59: UE는 MME에 TAU Complete(추적 영역 갱신 완료)를 피드백한다.
단계 510: MME는 Keep NAS signaling connection(비접속 계층 시그널링 연결 유지)을 수행한다.
단계 58-510. MME는 UE에 TAU Accept 메시지를 송신한 후 또는 TAU Complete 메시지를 수신한 후, MME는 UE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하였음을 식별하므로, 여전히 UE가 연결 상태에 있음을 유지한다. 즉, UE의 NAS 연결(및 eNB의 S1 인터페이스와의 연결)을 충분한 시간 동안 해제하지 않고 유지한다. 이 시간 길이는 UE가 로컬에서 NAS 시그널링 연결을 해제하는 시간 길이보다 길어야 한다(관련 기술에서 UE가 로컬에서 NAS 시그널링 연결을 해제함을 트리거링하는 시간 길이는 10초이다).
단계 511: PGW-C+SMF는 SGW에 Create bearer Request(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한다.
단계 512: SGW는 MME에 Create bearer Request(베어러 구축 요청)을 전달한다.
단계 511-512. PGW-C는 서비스 게이트웨이 SGW가 송신한 Modify Bearer Request 메시지를 단계 55에서 수신한 후, 전용 베어러의 구축 프로세스를 트리거링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Modify Bearer Response 메시지를 송신한 후, SGW에 Create Bearer Request를 송신하여 전용 베어러의 구축을 개시한다.
단계 513: MME는 eNB에 Initial UE context Setup Request(초기 단말기 컨텍스트 생성 요청)을 송신한다.
MME는 Create Bearer Request를 수신한 후, 기존의 S1 연결을 이용하여 eNB에 Initial UE context Setup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eNB로 하여금 UE context와 에어 인터페이스 DRB를 구축하도록 한다. 이와 함께 MME는 Initial UE context Setup Request 메시지를 통해, PGW가 요청한 전용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eNB에 요청할 가능성이 있으며, Initial UE context Setup 프로세스의 완료 후에 eNB에 베어러 구축 요청 Bearer Setup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하여 전용 베어러를 구축할 가능성도 있다.
나아가,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를 위해 에어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베어러를 구축함과 함께 또는 구축 완료 이후에, MME는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할 수 있으며, 단말기는 이에 응답할 수 있다.
단계 514: UE와 eNB 사이에서 Radio Bearer Establishment(무선 베어러 구축)을 구현한다.
단계 515: eNB는 MME에 Initial UE context Setup Complete(초기 단말기 컨텍스트 생성 완료)을 피드백한다.
단계 516: MME는 SGW에 Create bearer Response(베어러 구축 응답)을 송신한다.
단계 517: SGW는 PGW-C+SMF에 Create bearer Response(베어러 구축 응답)을 전달한다.
단계 514-517. eNB는 MME의 요청에 따라 에어 인터페이스 베어러를 구축한 후, MME에 응답을 피드백한다. MME는 PGW-C+SMF에 응답을 피드백한다. 그후 UE는 연결 상태에 들어간다.
제2 유형: PGW측을 메인으로 하며, UE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을 PGW가 식별한 후, 만약 전용 베어러의 구축 수요가 있다면, 베어러 수정 응답 Modify Bearer Response에 베어러 구축 요청 Create bearer Request를 포함시켜, MME가 Modify Bearer Response 메시지와 Create Bearer Request 메시지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도록 하며, TAU 프로세스와 Initial UE context Setup 프로세스 진행을 동기화 할 수 있다. 또한, 먼저 UE에 TAU Accept 메시지를 송신하여 TAU 프로세스를 완료한 후 다시 Initial UE context Setup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6과 같다.
단계 61: UE가 TAU trigger(TAU 트리거)를 송신한다.
단계 62: UE가 MME에 TAU request(TAU 요청이며, 이 중에 Old GUTI-구 GUTI가 들어 있다)를 송신한다.
단계 61-62. MME가 UE의 TAU 요청을 수신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단계 51-52의 설명을 참고할 수 있다.
단계 63: MME와 AMF는 Context Request/ Response(컨텍스트 요청/응답)을 서로 인터랙티브한다.
단계 64: MME는 SGW에 Create Session Request(세션 구축 요청)을 송신한다.
단계 65: SGW는 PGW-C+SMF에 Modify Bearer Request(베어러 수정 요청)을 송신한다.
단계 66: PGW-C+SMF는 SGW에 Modify Bearer Response(베어러 수정 응답)을 피드백하며, 이 중에 Create Bearer Request(베어러 구축 요청)이 들어 있다.
단계 67: SGW는 MME에 Create Session Response(세션 구축 응답)을 피드백하며, 이에 Create Bearer Request(베어러 구축 요청)이 들어 있다.
단계 63-67. MME는 먼저 AMF로부터 UE의 context를 수신한 후, UE context를 토대로 PGW-C+SMF에 대해 UE의 PDN connection을 갱신한다.
그중, 단계 66-67. PGW-C는 SGW가 송신한 Modify Bearer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전용 베어러의 구축 프로세스를 트리거링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PGW-C+SMF는 Modify Bearer Response 메시지를 송신할 때, 관련 기술 중의 GTPv2 프로토콜의 메시지 피기 백 메커니즘(piggyback)을 이용하여, 전용 베어러 구축을 위한 Create Bearer Request 메시지를 그 속에 포함시킴으로써, MME가 Modify Bearer Response 메시지와 Create Bearer Request 메시지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단계 68: MME는 UE에 TAU Accept(추적 영역 갱신 수락)을 송신한다.
단계 69: UE는 MME에 TAU Complete(추적 영역 갱신 완료)를 피드백한다.
단계 68-69. MME는 Create Bearer Request를 수신한 후, TAU 프로세스와 Initial UE context Setup 프로세스의 진행을 동기화 할 수 있다. 또한, 먼저 UE에 TAU Accept 메시지를 송신하여 TAU 프로세스를 완료한 후 다시 Initial UE context Setup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도 있다.
단계 610: MME는 eNB에 Initial UE context Setup Request(초기 단말기 컨텍스트 생성 요청)을 송신한다.
MME는 기존의 S1 연결을 이용하여 eNB에 Initial UE context Setup 메시지를 송신하여, UE context와 에어 인터페이스 DRB를 구축하도록 eNB를 트리거링한다. MME는 PGW가 요청한 전용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Initial UE context Setup Request 메시지에서 동시에 eNB에 요청할 가능성이 있으며, Initial UE context Setup 프로세스를 완료한 후, eNB에 Bearer Setup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하여 전용 베어러를 구축할 가능성도 있다.
나아가,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를 위해 에어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베어러를 구축함과 동시에 또는 구축 완료 이후에 MME는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할 수 있으며, 단말기는 이에 응답한다.
단계 611: UE와 eNB 사이에서 Radio Bearer Establishment(무선 베어러 구축)를 구현한다.
단계 612: eNB는 MME에 Initial UE context Setup Complete(초기 단말기 컨텍스트 생성 완료)를 피드백한다.
단계 613: MME는 SGW에 Create bearer Response(베어러 구축 응답)을 송신한다.
단계 614: SGW는 PGW-C+SMF에 Create bearer Response(베어러 구축 응답)을 전달한다.
단계 611-614. eNB는 MME의 요청에 따라 에어 인터페이스 베어러를 구축한 후, MME에 응답을 피드백한다. MME는 PGW-C+SMF에 응답을 피드백한다. 그후 UE는 연결 상태에 들어간다.
상기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의 제1 유형의 예시는 주로 아래와 같다.
(1) UE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을 MME가 확정하면, 구축된 NAS 연결을 TAU 프로세스 완료 후에 유지한다.
MME는 PGW-C+SMF로부터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수신한 후, 기존의 NAS 연결을 이용하여 전용 베어러 구축 프로세스를 완료한다.
(2) MME는 TAU 프로세스에서 GUTI의 유형 또는 디스플레이된 표시에 의해, UE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을 확정한다.
(3) MME가 구축된 NAS 연결을 TAU 프로세스 완료 후에 유지하는 것은, 구축된 NAS 연결을 TAU Accept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또는 TAU complete 메시지를 수신한 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4) PGW-C+SMF로부터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수신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Create Session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한 후 수신하는 것을 가리킨다.
(5) MME는 구축된 NAS 연결을 일정 시간 유지한 후, 만약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NAS 연결을 해제한다.
제2 유형의 예시는 주로 아래와 같다.
(1) MME가 PGW-C+SMF로부터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수신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세션 구축 응답 Create Session Response 메시지로부터 분석하는 것이다.
(2) 상기 Create Bearer Request는 PGW-C+SMF가 Modify Bearer Response 메시지에 패키징 한 후 SGW가 Create Session Response 메시지를 통해 MME에 전달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수단은 5G로부터 4G로의 TAU 프로세스에서 에어 인터페이스 베어러의 구축과 삭제를 필요 이상으로 진행하는 것을 피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이동성 관리 개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이동성 관리 개체는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 속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추적 영역 갱신 프로세스에서, 단말기가 제공한 식별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을 확정하면,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유지하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전용 베어러를 구축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성 관리 개체는, 추적 영역 갱신 프로세스에서, 단말기가 제공한 식별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을 확정하면,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유지하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전용 베어러를 구축한다. 이로써, 실제 수요에 따라 에어 인터페이스의 베어러를 온 디맨드 방식으로 구축하여, MME가 TAU 프로세스에서 eNB에 에어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베어러 구축을 요청함에 따라 발생하는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낭비를 피할 수 있고, 관련 기술에 따른 전용 베어러 구축 방안이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바람직하게 해결한다.
구체적으로 도 7과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관리 개체는,
프로세서(71); 및 버스 인터페이스(72)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71)에 연결된 메모리(73)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73)는 상기 프로세서(71)의 동작 수행 시 사용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프로세서(71)가 상기 메모리(73)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호출하여 실행하는 경우,
추적 영역 갱신 프로세스에서, 단말기가 제공한 식별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을 확정하면,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유지하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상기 송수신기(74)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전용 베어러를 구축하는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그중, 송수신기(74)는 버스 인터페이스(72)에 연결되어, 프로세서(71)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 7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서로 연결된 임의의 수량의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71)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73)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장치, 전압안정기 및 파워관리회로 등 각종 기타 회로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들을 더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74)는 다수의 소자일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 매체에서 기타 각종 장치와 통신하는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71)는 버스 아키텍처와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며, 메모리(73)는 프로세서(71)의 동작 수행 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상술한 실시예의 전체 또는 일부 단계는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할 수 있고, 상술한 방법의 일부 또는 전체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관련 하드웨어를 지시하여 구현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 매체는 임의의 형태의 저장 매체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그중,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기설정된 시간대 내에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유지하고;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기설정된 시간대 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수신되면,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를 위해 에어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베어러를 구축함과 동시에 또는 구축 완료 후에,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이전 또는 그 단계와 함께, 기지국에 초기 단말기 컨텍스트 생성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에어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상기 기지국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가 제공하는 식별 정보는 세계적으로 고유한 임시 단말기 식별자의 유형이다.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전용 베어러를 구축하는 동작에 대해, 본 공개의 실시예는 두 가지 구체적인 구현형태를 제공하며, 아래와 같다.
제1 유형: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수신되면, 유지하고 있는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유형: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들어 있는 세션 구축 응답을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 서비스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세션 구축 응답으로부터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분석하고;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에 따라,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이동성 관리 개체측의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의 상기 구현 실시예는 모두 당해 이동성 관리 개체의 실시예에 적용되며, 이 역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를 더 제공한다. 상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는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 속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이 확정되고, 전용 베어러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되면,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포함시켜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서비스 게이트웨이에 송신하여, 세션 구축 응답을 통해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이동성 관리 개체에 운반하도록 상기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트리거링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는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이 확정되고, 전용 베어러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되면,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포함시켜 서비스 게이트웨이에 송신하여, 세션 구축 응답을 통해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이동성 관리 개체에 운반하도록 상기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트리거링하며, 이에 더해 이동성 관리 개체로 하여금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되기 전에,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로부터 송신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수신하여 기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전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실제 수요에 따라 에어 인터페이스의 베어러를 온 디맨드 방식으로 구축하는 목적을 구현하여, MME가 TAU 프로세스에서 eNB에 에어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베어러 구축을 요청함에 따라 발생하는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낭비를 피할 수 있고, 관련 기술에 따른 전용 베어러 구축 방안이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바람직하게 해결한다.
구체적으로 도 8과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는,
프로세서(81); 및 버스 인터페이스(82)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81)에 연결된 메모리(83)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83)는 상기 프로세서(81)의 동작 수행 시 사용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프로세서(81)가 상기 메모리(83)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호출하여 실행하는 경우,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이 확정되고, 전용 베어러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되면,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포함시켜 상기 송수신기(84)를 통해 서비스 게이트웨이에 송신하며, 세션 구축 응답을 통해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이동성 관리 개체에 운반하도록 상기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트리거링하는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그중, 송수신기(84)는 버스 인터페이스(82)에 연결되어, 프로세서(81)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 8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서로 연결된 임의의 수량의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1)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83)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장치, 전압안정기 및 파워관리회로 등 각종 기타 회로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들을 더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84)는 다수의 소자일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 매체에서 기타 각종 장치와 통신하는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81)는 버스 아키텍처와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며, 메모리(83)는 프로세서(81)의 동작 수행 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상술한 실시예의 전체 또는 일부 단계는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할 수 있고, 상술한 방법의 일부 또는 전체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관련 하드웨어를 지시하여 구현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 매체는 임의의 형태의 저장 매체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서비스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베어러 수정 요청을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하면,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으로 확정하고, 전용 베어러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하며;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포함시켜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서비스 게이트웨이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측의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의 상기 구현 실시예는 모두 당해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의 실시예에 적용되며, 이 역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당해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이동성 관리 개체측의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그중, 상기 이동성 관리 개체측의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의 상기 구현 실시예는 모두 당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실시예에 적용되며, 이 역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당해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측의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그중, 상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측의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의 상기 구현 실시예는 모두 당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실시예에 적용되며, 이 역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전용 베어러 구축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장치는 이동성 관리 개체에 적용되며, 도 9와 같이,
추적 영역 갱신 프로세스에서, 단말기가 제공한 식별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을 확정하면,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제1 처리 모듈(91);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전용 베어러를 구축하기 위한 제2 처리 모듈(92)을 포함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장치는 추적 영역 갱신 프로세스에서, 단말기가 제공한 식별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을 확정하면,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유지하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전용 베어러를 구축한다. 이로써, 실제 수요에 따라 에어 인터페이스의 베어러를 온 디맨드 방식으로 구축하여, MME가 TAU 프로세스에서 eNB에 에어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베어러 구축을 요청함에 따라 발생하는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낭비를 피할 수 있고, 관련 기술에 따른 전용 베어러 구축 방안이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바람직하게 해결한다.
그중, 상기 제1 처리 모듈은,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기설정된 시간대 내에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제1 처리 서브 모듈;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기설정된 시간대 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제2 처리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처리 모듈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수신되면,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를 위해 에어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베어러를 구축함과 동시에 또는 구축 완료 후에,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장치는,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이전 또는 그 단계와 함께, 기지국에 초기 단말기 컨텍스트 생성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에어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상기 기지국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제1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가 제공하는 식별 정보는 세계적으로 고유한 임시 단말기 식별자의 유형이다.
제2 처리 모듈에 대해, 본 공개의 실시예는 두 가지 구체적인 구현형태를 제공하며, 아래와 같다.
제1 유형: 상기 제2 처리 모듈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수신되면, 유지하고 있는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제3 처리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제2 유형: 상기 제2 처리 모듈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들어 있는 세션 구축 응답을 수신 서비스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세션 구축 응답으로부터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분석하기 위한 제4 처리 서브 모듈;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에 따라,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제5 처리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그중, 상기 이동성 관리 개체측의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의 상기 구현 실시예는 모두 당해 전용 베어러 구축 장치의 실시예에 적용되며, 이 역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전용 베어러 구축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장치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에 적용되며, 도 10과 같이,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이 확정되고, 전용 베어러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되면,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포함시켜 서비스 게이트웨이에 송신하여, 세션 구축 응답을 통해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이동성 관리 개체에 운반하도록 상기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제3 처리 모듈(101)을 포함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장치는,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이 확정되고, 전용 베어러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되면,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포함시켜 서비스 게이트웨이에 송신하여, 세션 구축 응답을 통해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이동성 관리 개체에 운반하도록 상기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트리거링하며, 이에 더해 이동성 관리 개체로 하여금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되기 전에,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로부터 송신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수신하여 기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전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실제 수요에 따라 에어 인터페이스의 베어러를 온 디맨드 방식으로 구축하는 목적을 구현하여, MME가 TAU 프로세스에서 eNB에 에어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베어러 구축을 요청함에 따라 발생하는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낭비를 피할 수 있고, 관련 기술에 따른 전용 베어러 구축 방안이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바람직하게 해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처리 모듈은, 서비스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베어러 수정 요청을 수신하면,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으로 확정하고, 전용 베어러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하기 위한 제6 처리 서브 모듈;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포함시켜 서비스 게이트웨이에 송신하기 위한 제7 처리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그중, 상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측의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의 상기 구현 실시예는 모두 당해 전용 베어러 구축 장치의 실시예에 적용되며, 이 역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많은 기능 부재는 그 구현형태의 독립성을 특히 더 강조하기 위해 모두 모듈/서브 모듈로 지칭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서 모듈/서브 모듈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다양한 유형의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된 하나의 실행 가능한 코드 모듈은 컴퓨터 명령의 하나 또는 다수의 물리 또는 로직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이 실행 가능한 코드 모듈은 오브젝터, 프로세스 또는 함수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표시된 모듈의 실행 가능한 코드는 물리적으로 함께 위치할 필요가 없이, 서로 다른 위치에 저장된 서로 다른 명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명령이 로직적으로 하나로 결합된 경우, 모듈을 구성하고 당해 모듈의 소정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사실상, 실행 가능한 코드 모듈은 단일 명령 또는 다수의 명령일 수 있으며, 심지어 다수의 서로 다른 코드 세그먼트에 분포되거나, 서로 다른 프로그램에 분포되거나, 다수의 메모리 기기에 분포될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동작 데이터는 모듈 내에서 식별될 수 있으며, 임의의 적절한 형태로 구현되어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데이터 구조 내에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작 데이터는 단일 데이터 세트로서 수집될 수 있거나, 또는 서로 다른 위치에 분포될 수 있으며(서로 다른 저장 기기에 포함됨),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자 신호로서만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 존재할 수 있다.
모듈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경우, 관련 기술 중의 하드웨어 공정 수준을 고려한다. 따라서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모듈은 비용을 고려하지 않는 상황에서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모두 대응 하드웨어 회로를 구성하여 대응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 회로는 통상의 대규모 집적(VLSI) 회로 또는 게이트 어레이, 및 로직 칩 또는 트랜지스터와 같은 관련 기술에 따른 반도체 또는 그밖의 다른 개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은 또한 예컨대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프로그래머블 로직 기기 등과 같은 프로그래머블 하드웨어 기기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 본 공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했다. 지적해야 할 것은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공개에서 설명한 원리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부 개량과 윤색을 진행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개량과 윤색도 본 공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22)

  1. 이동성 관리 개체에 적용되는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추적 영역 갱신(Tracking Area Update, TAU) 프로세스에서, 단말기가 제공한 식별 정보(identification information)를 토대로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을 확정하면,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Non-Access Stratum, NAS)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전용 베어러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술한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는,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기설정된 시간대 내에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기설정된 시간대 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술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전용 베어러를 구축하는 단계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수신되면,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를 위해 에어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베어러를 구축함과 동시에 또는 구축 완료 후에,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이전 또는 그 단계와 함께,
    기지국에 초기 단말기 컨텍스트 생성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에어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상기 기지국을 트리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제공하는 식별 정보는 세계적으로 고유한 임시 단말기 식별자의 유형인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술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전용 베어러를 구축하는 단계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수신되면, 유지하고 있는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술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수신되면, 기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전용 베어러를 구축하는 단계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캐리되어 있는 세션 구축 응답을 수신 서비스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세션 구축 응답으로부터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에 따라,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
  8.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에 적용되는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이 확정되고, 전용 베어러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되면,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Modify Bearer Response message)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포함시켜 서비스 게이트웨이에 송신하여, 세션 구축 응답을 통해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이동성 관리 개체에 운반하도록 상기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트리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술한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이 확정되고, 전용 베어러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되면,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포함시켜 서비스 게이트웨이에 송신하는 단계는,
    서비스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베어러 수정 요청을 수신하면,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으로 확정하고, 전용 베어러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포함시켜 서비스 게이트웨이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
  10. 이동성 관리 개체에 적용되는 전용 베어러 구축 장치에 있어서,
    추적 영역 갱신 프로세스에서, 단말기가 제공한 식별 정보를 토대로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을 확정하면,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제1 처리 모듈;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전용 베어러를 구축하기 위한 제2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전용 베어러 구축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추적 영역 갱신이 완료된 후에, 기설정된 시간대 내에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유지하고;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기설정된 시간대 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 평면의 비접속 계층 연결을 해제하는 전용 베어러 구축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이 수신되면,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를 위해 에어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베어러를 구축함과 동시에 또는 구축 완료 후에,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용 베어러 구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비접속 계층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이전 또는 그 단계와 함께,
    기지국에 초기 단말기 컨텍스트 생성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를 위해 에어 인터페이스 사용자 평면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상기 기지국을 트리거링하는 전용 베어러 구축 장치.
  14.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에 적용되는 전용 베어러 구축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이 확정되고, 전용 베어러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되면,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포함시켜 서비스 게이트웨이에 송신하여, 세션 구축 응답을 통해 상기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이동성 관리 개체에 운반하도록 상기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제3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전용 베어러 구축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서비스 게이트웨이가 송신한 베어러 수정 요청을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하면, 단말기가 5G로부터 4G로 이동한 것으로 확정하고, 전용 베어러 구축 프로세스를 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하며;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에 전용 베어러 구축 요청을 포함시켜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서비스 게이트웨이에 송신하기 위한 것인 전용 베어러 구축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207017630A 2017-11-21 2018-09-10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 이동성 관리 개체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KR102344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1168078.4A CN109819483B (zh) 2017-11-21 2017-11-21 专用承载创建方法、移动性管理实体及分组数据网络网关
CN201711168078.4 2017-11-21
PCT/CN2018/104821 WO2019100813A1 (zh) 2017-11-21 2018-09-10 专用承载创建方法、移动性管理实体及分组数据网络网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843A KR20200087843A (ko) 2020-07-21
KR102344162B1 true KR102344162B1 (ko) 2021-12-27

Family

ID=66600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630A KR102344162B1 (ko) 2017-11-21 2018-09-10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 이동성 관리 개체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76375B2 (ko)
EP (1) EP3716680B1 (ko)
JP (1) JP7039697B2 (ko)
KR (1) KR102344162B1 (ko)
CN (1) CN109819483B (ko)
WO (1) WO20191008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1810B1 (ko) * 2017-10-20 2022-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4325926A3 (en) * 2019-06-14 2024-04-03 Honor Device Co., Ltd. Non-access stratum connection handling
CN112118606B (zh) * 2019-06-21 2022-04-29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业务连续的方法、相关装置及系统
CN110944367B (zh) * 2019-12-20 2021-12-24 广东工业大学 一种4g与5g互操作的方法
CN113825186B (zh) * 2020-06-19 2023-08-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离开网络的控制方法、装置和通信设备
CN112468981B (zh) * 2020-11-26 2022-03-01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及设备
US11483750B1 (en) 2021-04-07 2022-10-25 Cisco Technology, Inc. User equipment (UE) mobility between evolved packet system (EPS) and fifth generation (5G) system (5GS) using a simplified 3GPP core architecture for interworking
CN113923613B (zh) * 2021-10-14 2022-09-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通话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8045B2 (ja) * 2007-11-16 2013-02-06 ノキア シーメンス ネットワークス オサケユキチュア システム間ハンドオーバのためのサービス品質のマッピング
CN101478743B (zh) * 2008-01-03 2010-08-25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eps承载管理的方法和装置
WO2010078255A1 (en) * 2008-12-29 2010-07-0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area update procedure and eps bearer contexts representation
CN102714818B (zh) * 2009-10-30 2016-06-15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无线通信的信令
EP2925077A1 (en) * 2010-02-12 2015-09-3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achine-type communications
CN102281519B (zh) 2010-06-12 2016-06-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承载修改方法及系统
CN102111745A (zh) 2010-10-15 2011-06-2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Eps系统的会话管理过程的重发起方法和设备
EP2509345A1 (en) * 2011-04-05 2012-10-10 Panasonic Corporation Improved small data transmissions for machine-type-communication (MTC) devices
WO2013009892A1 (en) * 2011-07-11 2013-01-1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multiple cellular connections and/or interfaces
WO2013029245A1 (zh) * 2011-08-31 2013-03-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承载的处理方法、系统及装置
US9648173B2 (en) * 2012-03-01 2017-05-09 Cellco Partnership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network status information to a device
US9848322B2 (en) * 2013-01-17 2017-12-19 Intel IP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beare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U2014219562B2 (en) * 2013-02-22 2017-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imultaneous connectivity between multiple E-NodeBs and user equipment
EP3183907A4 (en) * 2014-08-22 2018-08-2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Low latency service connection setup in new service area
EP3195683A1 (en) * 2014-08-25 2017-07-26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nnection management
US9832719B2 (en) * 2014-10-17 2017-11-28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on of a serving n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6126238A1 (en) * 2015-02-03 2016-08-1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Improvements in dual connectivity for different access networks
US9948519B2 (en) * 2015-08-14 2018-04-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 packet data network connec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0512001B2 (en) * 2015-08-17 2019-12-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arranging gateway and method for generating dedicated bearer
CN112996069A (zh) * 2015-10-06 2021-06-18 苹果公司 使用3gpp无线电接入技术的接入系统之间的双无线电操作
TWI738703B (zh) * 2016-01-05 2021-09-11 美商內數位專利控股公司 在傳訊平面上傳送小資料nas協定之增強
CA3016750C (en) * 2016-03-07 2020-12-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nodes for handling bearers
WO2017200269A1 (ko) * 2016-05-16 2017-11-23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데이터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738908B2 (ja) * 2016-05-17 2020-08-12 コンヴィーダ ワイヤレス, エルエルシー 接続がpdnゲートウェイとローカルゲートウェイとの間のデータのルーティングを有効にすることを指示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3469816A1 (en) * 2016-07-04 2019-04-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Session management for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in 5g networks
KR102241996B1 (ko) * 2017-01-09 2021-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간 상호연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0169160B (zh) * 2017-09-14 2022-07-29 Lg电子株式会社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v2x通信的方法及其设备
US10694427B2 (en) * 2017-09-27 2020-06-23 Intel IP Corporation Solution for vehicle-to-everything (V2X) communication authorization in 5G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G SA WG2, Meeting #122, S2-174568, 2017.6.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19483A (zh) 2019-05-28
EP3716680A1 (en) 2020-09-30
JP7039697B2 (ja) 2022-03-22
KR20200087843A (ko) 2020-07-21
EP3716680A4 (en) 2021-02-24
US11076375B2 (en) 2021-07-27
WO2019100813A1 (zh) 2019-05-31
CN109819483B (zh) 2020-09-11
EP3716680B1 (en) 2023-07-26
JP2021503859A (ja) 2021-02-12
US20200367190A1 (en) 202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4162B1 (ko) 전용 베어러 구축 방법, 이동성 관리 개체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US11641601B2 (e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for allowing terminal to move between 4G and 5G networks
JP7139382B2 (ja) 無線通信方法及びデバイス
US20240063898A1 (en) Selecting a Non-Access Stratum Period Based on a Non-Terrestrial Access Network Type
KR102223586B1 (ko) 이중 활성 접속들을 이용하는 핸드오버
US20190313262A1 (en) Handling QoS Flow without a Mapping Data Radio Bearer
US9392583B2 (en) Method, entity, and system for implementing trunk service
KR10209449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로컬 영역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90061855A1 (en) Dynamic ggsn relocation in a gprs network
CN109587677B (zh) 数据无线承载的恢复方法、终端、基站及核心网设备
CN106412859B (zh) 一种自动重发短信的方法及终端
KR20140136463A (ko) 트래킹 지역 갱신 승낙 후 계류 중인 상향링크 시그널링 및 데이터를 위해 존재하는 시그널링 연결을 이용하기 위한 방법
US20240064864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20150083406A (ko) 초기 nas메시지를 라우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4183222A1 (en) Dual connectivity scenario for coordinated leave
CN102083170B (zh) 选择性ip数据分流激活的通知及输出方法、系统和设备
KR102524596B1 (ko) 데이터 포워딩 방법, 장치, 마스터 기지국 및 세컨더리 기지국
GB2616261A (en) Communication system
US10390383B2 (en) Timer-based handling of multiple connection requests
EP4360401A1 (en) Notification of sgw change for one or more pdn connections when combined sgw/pgw/smf set is deployed
CN117769031A (zh) 通信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3069665A1 (en) Enabling paging occasion of idle state for the inactive state
CN108616987A (zh) 信息交互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