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571B1 - Windows with excellent earthquake resistance - Google Patents

Windows with excellent earthquake resist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571B1
KR102343571B1 KR1020210063656A KR20210063656A KR102343571B1 KR 102343571 B1 KR102343571 B1 KR 102343571B1 KR 1020210063656 A KR1020210063656 A KR 1020210063656A KR 20210063656 A KR20210063656 A KR 20210063656A KR 102343571 B1 KR102343571 B1 KR 102343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rame
glass support
elastic
fron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6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병택
유동한
최수복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Priority to KR1020210063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57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5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5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being moved to a retracted position by elastic means, e.g.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with excellent earthquake resistance, which can absorb an impact generated in a glass unit by earthquake or the like.

Description

내진성이 우수한 창호{Windows with excellent earthquake resistance}Windows with excellent earthquake resistance

본 발명은 지진 등에 의해 유리부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내진성이 우수한 창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indows and doors having excellent seismic resistance capable of absorbing shocks generated in glass parts due to earthquakes or the like.

일반적으로, 커튼월은 하중을 지지에 관여하지 않는 바깥벽으로서 건물의 내외부를 구분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디자인으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다.In general, a curtain wall is an outer wall that does not support load, and functions as a design as well as a function to divide the inside and outside of a building.

상기 커튼월은 장막벽 이라고도 하는 비내력 외주벽으로서, 철근콘크리트조, 철골조, 철근콘크리트조 등의 구조에서 기둥, 보, 바닥판으로 형성되는 구조부(frame)의 외부를 금속재 또는 무기질 재료로써 공간의 수직방향으로 막아내는 비 내력벽(non bearing wall)을 말한다.The curtain wall is a non-load-bearing outer peripheral wall, also called a curtain wall. A non-bearing wall that blocks in the vertical direction.

초고층 건축공사에 있어서 커튼월 공사는 건축물의 외주벽을 구성하는 비내력벽으로서 구조체에 파스너로 부착시키는 공법으로서, 외주벽 커튼월의 주목적이 비와 바람으로부터의 보호이므로, 내풍압과 접합 수밀성이 중요한 기능요소가 된다.In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curtain wall construction is a non-load-bearing wall constituting the outer peripheral wall of the building and is attached to the structure with a fastener. become a functional element.

상기 커튼월은 건물 구조부에 장착되는 구조체 및 상기 구조체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유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단열성이 우수한 커튼월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44540호로 제안된 바 있다.The curtain wall includes a structure mounted on a building structure and a glass that is fitted and fixed to the structure.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44540호의 경우 지진 등으로 인해 유리에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없어 지진 등에 의한 진동에 의해 상기 유리가 파손되는 등 내진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744540,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vibration resistance is not good, such as the glass is damaged by the vibration caused by the earthquake, etc., because it cannot absorb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glass due to an earthquake.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44540호Domestic Registration Patent Publication No. 10-174454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지진 등에 의해 유리부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내진성이 우수한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ow having excellent seismic resistance capable of absorbing an impact generated on a glass part due to an earthquake or the lik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구비되는 유리지지부와; 상기 유리지지부에 구비되어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이 우수한 창호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rame; a glass support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ame; It provides a window with excellent seismic resistance comprising a; an elastic part provided in the glass support part to elastically support the glass part.

여기서,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유리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수용홈에 수용되고, 전측 중간부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수용판부재와; 상기 수용판부재의 전측 상부와 전측 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상부고정판 및 하부고정판과; 상기 상부고정판의 후측 하부와 상기 하부고정판의 후측 상부에서 각각 상기 끼움홈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움고정되는 상부끼움고정돌기 및 하부 끼움고정돌기와; 상기 상부고정판 및 하부고정판이 각각 후측 상부와 후측 하부에 형성되는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 receiving plate member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ame, the glass support portion being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frame, and having a fitting groove formed on the front middle portion; an upper fixing plate and a lower fixing plate respectively fixed to the front upper portion and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plate member; an upper fitting fixing protrusion and a lower fitting fixing protrusion which are respectively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fitting groove from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upper fixing plate and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lower fixing plate to be fitted in the fitting gro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fixing plate and the lower fixing plate are configured to include a body formed on the rear upper portion and the rear lower portion, respectively.

또는,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유리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수용홈에 수용되고, 전측 중간부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수용판부재와; 상기 수용판부재의 전측 상부와 전측 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상부고정판 및 하부고정판과; 상기 수용판부재의 끼움홈에 끼움고정되고, 상기 상부고정판 및 하부고정판이 각각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끼움판과; 상기 끼움판의 전측에서 상기 끼움판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연장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a receiving plate member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ame, the glass support portion being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frame, and having a fitting groove formed on the front middle portion; an upper fixing plate and a lower fixing plate respectively fixed to the front upper portion and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plate member; a fitting plate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of the receiving plate member and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fixing plates,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an extension plate extending from the front side of the fitting plate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side direction of the fitting plate.

그리고, 상기 유리지지부의 상부에 상부고정턱이 상기 유리지지부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는 내측 상부와 내측 하부에 각각 상부중공공간 및 하부중공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유리지지부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상부탄성몸체와; 상기 상부탄성몸체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고정턱의 내측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하부전측탄성판 및 하부후측탄성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n upper fixing jaw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glass support part on the upper part of the glass support part, and the elastic part has an upper hollow space and a lower hollow space on the inner upper part and the inner lower part, respectively, and the glass An upper elastic body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glass portion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lower front elastic plate and a lower rear elastic plate respectively formed on the lower front side and the lower rear side of the upper elastic body to be respectively caught and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upper fixing jaw.

또는, 상기 유리지지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고정턱과 하부고정턱이 상기 유리지지부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는 내측 상부와 내측 하부에 각각 상부중공공간 및 하부중공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유리지지부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상부탄성몸체와; 상기 상부탄성몸체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고정턱의 내측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하부전측탄성판 및 하부후측탄성판과; 내측 상부와 내측 하부에 각각 상부중공공간 및 하부중공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유리지지부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하부탄성몸체와; 상기 하부탄성몸체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하부고정턱의 내측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상부전측탄성판 및 상부후측탄성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an upper fixed jaw and a lower fixed jaw are respective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glass support unit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lass support part, and the elastic part is formed in an upper hollow space and a lower hollow in the inner upper part and the inner lower part, respectively. an upper elastic body having a space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glass portion position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ortion; a lower front elastic plate and a lower rear elastic plate respectively formed on the lower front side and the lower rear side of the upper elastic body to be respectively caught and fixed inside the upper fixing jaw; a lower elastic body having an upper hollow space and a lower hollow space formed on the inner upper part and the inner lower part, respectively,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glass part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upper front elastic plate and an upper rear elastic plate respectively formed on the upper front side and the upper rear side of the lower elastic body to be respectively caught and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lower fixed jaw.

또는, 상기 유리지지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고정턱과 하부고정턱이 상기 유리지지부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형으로 복수개로 수평배치되어 상기 유리지지부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상부탄성판부재와; 상기 상부탄성판부재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고정턱의 내측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하부전측탄성판 및 하부후측탄성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an upper fixed jaw and a lower fixed jaw are respective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glass support unit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lass support part, and the elastic part is horizontally arranged in plurality in a zigzag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an upper elastic plate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glass portion position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or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lower front elastic plate and a lower rear elastic plate respectively formed on the lower front side and the lower rear side of the upper elastic plate member to be respectively caught and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upper fixing jaw.

또는, 상기 유리지지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고정턱과 하부고정턱이 상기 유리지지부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형으로 복수개로 수평배치되어 상기 유리지지부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상부탄성판부재와; 상기 상부탄성판부재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고정턱의 내측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하부전측탄성판 및 하부후측탄성판과;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형으로 복수개로 수평배치되어 상기 유리지지부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하부탄성판부재와; 상기 하부탄성판부재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하부고정턱의 내측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상부전측탄성판 및 상부후측탄성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an upper fixed jaw and a lower fixed jaw are respective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glass support unit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lass support part, and the elastic part is horizontally arranged in plurality in a zigzag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an upper elastic plate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glass portion position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ortion; a lower front elastic plate and a lower rear elastic plate respectively formed on the lower front side and the lower rear side of the upper elastic plate member to be locked and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upper fixing jaw; a lower elastic plate member horizontally arranged in plurality in a zigzag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to elastically support the glass portion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or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upper front elastic plate and an upper rear elastic plate respectively formed on the upper front side and the upper rear side of the lower elastic plate member to be respectively caught and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lower fixing jaw.

나아가, 상기 유리지지부의 전측방향에 구비되는커버프레임과; 상기 커버프레임과 상기 유리지지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부와 하부에 상기 유리지지부의 전측 상부와 전측 하부를 감싸는 상부돌출부재 및 하부돌출부재가 형성되는 중간판부재와, 상기 중간판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내측에 각각 중공공간이 형성되며, 후측에 각각 요철부가 형성되는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로 구성되는 보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a cover frame provid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a middle plate member provided between the cover frame and the glass support part and having an upper protrusion member and a lower protrusion member disposed o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to surround the front upper part and the front lower part of the glass support part; It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reinforcing part comprising an upper body and a lower body each having a hollow space formed therein, and an uneven portion formed on the rear side,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보강부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상기 프레임의 전측방향으로 각각 회전이동되어 상기 유리지지부와 상기 유리부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of the reinforcing part are respectively rotationally mov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frame and interposed between the glass support part and the glass part.

또는,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복수의 끼움홈이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리지지부의 후측 중간부와 후측 하부에 상기 끼움홈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ame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and fitting projections are formed that are respectively detachably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s in the rear middle part and the rear lower part of the glass support part. It is preferable to be

또는,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복수의 끼움홈이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리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끼움홈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는 끼움돌기가 후측에 형성되는 연장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on the front side of the frame, and the glass support part is an extension plate having fitting projections that are detachably fitted to the fitting grooves of the frame and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fitting grooves of the frame at the rear side. It is preferable to consist of

본 발명은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면서 상기 유리부에 지진 등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로 인해 내진성이 매우 우수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earthquake resistance can be very excellent due to the elastic part that absorbs the shock generated by the earthquake, etc. in the glass part while elastically supporting the glass p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내진성이 우수한 창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는 제 1예의 유리지지부 및 제 1예의 보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분리종단면도이고,
도 3은 제 1예의 유리지지부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4는 제 1예의 유리지지부의 상부방향과 하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5는 제 2예의 보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종단면도이고,
도 7은 제 3예의 보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종단면도이고,
도 9는 보강부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각각 프레임의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종단면도이고,
도 10은 제 1예의 유리지지부와 유리부 사이에 보강부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개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수직프레임에 구비된 제 1예의 유리지지부 및 탄성부가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고,
도 12는 제 2예의 유리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분리종단면도이고,
도 14는 제 2예의 유리지지부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5는 제 2예의 유리지지부의 상부방향과 하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6은 수직프레임에 구비된 제 2예의 유리지지부 및 탄성부가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고,
도 17은 탄성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8은 수직프레임에 구비된 다른예의 탄성부가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고,
도 19는 제 3예의 유리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분리종단면도이고,
도 21은 제 3예의 유리지지부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일예의 탄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2는 제 3예의 유리지지부의 상부방향과 하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일예의 탄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3은 제 3예의 유리지지부의 상부방향과 하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다른예의 탄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4는 수직프레임에 구비된 제 3예의 유리지지부 및 다른예의 탄성부가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고,
도 25 및 도 26은 복수의 끼움홈을 통해 제 3예의 유리지지부의 상하높이가 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7은 상하높이조절된 제 3예의 유리지지부에 구비된 탄성부가 유리를 탄성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8은 제 4예의 유리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종단면도이고,
도 29는 도 28의 결합종단면도이고,
도 30은 제 4예의 유리지지부의 상부방향과 하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31은 상하높이조절된 제 4예의 유리지지부에 구비된 탄성부가 유리를 탄성지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32는 제 3예의 유리지지부의 상하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한 상하이동프레임 및 일예의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종단면도이고,
도 33은 도 32의 결합종단면도이고,
도 34는 상하이동프레임과 일예의 지지부에 의해 제 3예의 유리지지부의 상하높이가 정밀하게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35는 상하이동프레임과 다른예의 지지부에 의해 제 3예의 유리지지부의 상하높이가 정밀하게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36은 상하이동프레임과 또 다른예의 지지부에 의해 제 3예의 유리지지부의 상하높이가 정밀하게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37은 제 4예의 유리지지부의 상하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한 상하이동프레임 및 일예의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종단면도이고,
도 38은 도 37의 결합종단면도이고,
도 39는 상하이동프레임과 일예의 지지부에 의해 제 4예의 유리지지부의 상하높이가 정밀하게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40은 상하이동프레임과 다른예의 지지부에 의해 제 4예의 유리지지부의 상하높이가 정밀하게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41 및 도 42는 상하이동프레임과 또 다른예의 지지부에 의해 제 4예의 유리지지부의 상하높이가 정밀하게 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indow having excellent seismic resistanc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first example and the reinforcing part of the first exampl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astic part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glass part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first exampl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astic part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glass part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and the low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first example,
5 is an explod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inforcing part of the second example;
Figure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5,
7 is an explod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reinforcing part of the third example;
Figure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7,
9 is a separat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of the reinforcing part are rotationally mov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frame, respectively;
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of the reinforcement part are interposed between the glass support part and the glass part of the first exampl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lass support part and the elastic part of the first example provided in the vertical frame elastically support the glass part,
1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glass support of a second example;
13 is an explod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12;
1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astic part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glass part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second example,
1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astic part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glass part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and the low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second example,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lass support part and the elastic part elastically support the glass part of the second example provided in the vertical frame,
1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elastic part;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lastic part of another example provided in the vertical frame elastically supports the glass part,
1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glass support part of a third example;
20 is an explod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19;
2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astic part of an example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glass part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third example,
2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n elastic part for elastically supporting a glass part respectively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and the low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third example,
2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astic part of another example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glass part respectively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and the low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third example,
2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third example and the elastic part of another example provided in the vertical frame elastically support the glass part,
25 and 26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vertical height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third example through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2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part provided in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third example of which the vertical height is adjusted elastically supports the glass,
28 is an explod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fourth example;
29 is a combin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3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astic part for elastically supporting a glass part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and the low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fourth example,
31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part provided in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fourth example of which the vertical height is adjusted elastically supports the glass;
32 is a separated vertic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rtical moving frame and an example support for precisely adjusting the vertical height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third example;
33 is a combin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32;
34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height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third example is precisely adjusted by the vertical movement frame and the support part of one example;
35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height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third example is precisely adjusted by the vertical movement frame and the support part of another example;
36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height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third example is precisely adjusted by the vertical movement frame and the support part of another example;
37 is a separated vertic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rtical moving frame and an example support for precisely adjusting the vertical height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fourth example;
38 is a combin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37;
39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height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fourth example is precisely adjusted by the vertical movement frame and the support part of one example;
40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height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fourth example is precisely adjusted by the vertical movement frame and the support part of another example,
41 and 42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vertical height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fourth example is precisely adjusted by the vertical moving frame and the support part of another examp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내진성이 우수한 창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는 제 1예의 유리지지부 및 제 1예의 보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분리종단면도이다.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indow having excellent seismic resistanc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parat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schematically showing a glass support part of the first example and a reinforcing part of the first example.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내진성이 우수한 창호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10), 유리지지부(20) 및 탄성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windows and doors having excellent earthquake res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 a frame 10 , a glass support part 20 and an elastic part 30 .

먼저,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에 상기 유리지지부(20)가 구비된다.First, the glass support 2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ame 10 .

상기 프레임(10)은 유리부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리지지부(20) 또한 상기 프레임(10)을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The frame 10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one side of the glass portion to the other 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glass support portion 20 may also be formed to extend from one side to the other by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frame 10 .

상기 유리지지부(2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 또는 단열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glass support 2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for example,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or a polyamide material having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또는, 상기 유리지지부(20)의 단열성과 내진성이 크게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유리지지부(20)는 단열성은 물론 충격흡수가 뛰어나면서 생산성과 압출시 형상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PVC(폴리염화비닐) 등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lternatively, the glass support 20 has excellent insulation properties as well as shock absorption so that the heat insulation and earthquake resistance of the glass support 20 can be greatly formed. It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vinyl chloride).

상기 유리지지부(20)에는 상기 유리지지부(20)의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 또는 상기 유리지지부(20)의 상부방향과 하부방향 모두에 위치하는 유리부를 탄성지지하기 위한 상기 탄성부(30)가 구비될 수 있다.The glass support part 20 has the elastic part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glass part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or the low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or the glass part located in both the upper direction and the low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 (30) may be provided.

상기 탄성부(30)는 내충격성이 뛰어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등의 합성수지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lastic part 3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ethylene propylene rubber (EPDM) having excellent impact resistance.

상기 탄성부(30)는 상기 프레임(10)을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The elastic part 30 may be formed to extend left and right 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frame 10 .

일예로,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을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수용홈(11)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 a receiving groove 11 extending left and right along the frame 10 by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ame 10 .

상기 유리지지부(20)는 제 1예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수용판부재(201), 상부고정판(202), 하부고정판(203), 상부끼움고정돌기(204), 하부끼움고정돌기(205) 및 몸체(20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glass support 20 is a first example, and as shown in FIG. 2 , a receiving plate member 201, an upper fixing plate 202, a lower fixing plate 203, an upper fitting fixing protrusion 204, a lower fitting fixing protrus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205 and a body 206 .

상기 수용판부재(201)의 전측 중간부에 끼움홈(201a)이 형성될 수 있다.A fitting groove 201a may be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receiving plate member 201 .

상기 수용판부재(201)는 단열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재질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ceiving plate member 201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olyamide material or polycarbonate having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상기 상부고정판(202)은 상기 수용판부재(201)의 전측 상부에 고정부재(6)에 의해 수직고정될 수 있다.The upper fixing plate 202 may be vertically fixed by a fixing member 6 on the front side of the receiving plate member 201 .

상기 하부고정판(203)은 상기 수용판부재(201)의 전측 하부에 상기 고정부재(6)에 의해 수직고정될 수 있다.The lower fixing plate 203 may be vertically fixed by the fixing member 6 to the lower front side of the receiving plate member 201 .

상기 고정부재(6)는 피스, 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피스, 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고정부재(6)는 상기 상부고정판(202), 상기 수용판부재(201)의 상부, 상기 수용홈(11)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상부부위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6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such as pieces and bolts, and the fixing member 6, which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such as pieces and bolts, includes the upper fixing plate 202 and the receiving plate member 201 . The upper portion and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frame 10 position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11 may be sequentially horizontally penetrated.

또한, 피스, 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고정부재(6)는 상기 하부고정판(203), 상기 수용판부재(201)의 하부, 상기 수용홈(11)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하부부위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6 , which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such as pieces and bolts, includes the lower fixing plate 203 ,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plate member 201 , and the frame 10 position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11 . ) can pass through the anterior lower part sequentially horizontally.

상기 상부끼움고정돌기(204)는 상기 상부고정판(202)을 수평관통하는 상기 고정부재(6)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고정판(202)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하부에서 상기 수용판부재(201)의 끼움홈(201a)의 상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돌출되어 상기 끼움홈(201a)의 상측에 끼움고정될 수 있다.The upper fitting fixing protrusion 204 is the receiving plate member ( 201) horizontally protrudes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fitting groove 201a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may be fitted and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tting groove 201a.

상기 하부끼움고정돌기(205)는 상기 하부고정판(203)을 수평관통하는 상기 고정부재(6)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고정판(203)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상부에서 상기 수용판부재(201)이 끼움홈(201a)의 하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돌출되어 상기 끼움홈(201a)의 하측에 끼움고정될 수 있다.The lower fitting fixing protrusion 205 is the receiving plate member ( 201) may be horizontally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fitting groove 201a to be fitted and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tting groove 201a.

상기 몸체(206)는 상기 프레임(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206)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상부에 상기 상부고정판(202)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The body 206 may be horizontally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frame 10 , and the upper fixing plate 202 may be vertically formed on the upper rear side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body 206 .

상기 몸체(206)의 후측 하부에 상기 하부고정판(203)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fixing plate 203 may be vertically formed on the lower rear side of the body 206 .

상기 유리지지부(20)의 몸체(206)의 전측에는 상기 유리지지부(20)를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커버프레임(22)이 구비될 수 있다.The front side of the body 206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may be provided with a cover frame 22 extending left and right 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glass support part 20 .

상기 커버프레임(22)은 일예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내측커버프레임(221)과 외측커버프레임(222)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ver frame 22 may be largely composed of an inner cover frame 221 and an outer cover frame 222 as shown in FIG. 2 .

상기 내측커버프레임(221)의 상부에는 상기 내측커버프레임(221)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상부삽입홈(221a)이 형성될 수 있다.An upper insertion groove 221a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inner cover frame 221 may be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cover frame 221 .

상기 내측커버프레임(221)의 하부에는 상기 내측커버프레임(221)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하부삽입홈(221b)이 형성될 수 있다.A lower insertion groove 221b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an upper direction of the inner cover frame 221 may b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cover frame 221 .

상기 내측커버프레임(221)의 중간부 및 상기 유리지지부(20)의 몸체(206)의 전측 중간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하는 피스, 볼트 등의 체결부재(5)에 의해 상기 유리지지부(20)의 몸체(206)의 전측에 상기 내측커버프레임(221)이 체결고정될 수 있다.of the glass support part 20 by a fastening member 5 such as a piece or bolt sequentially horizontally penetrating the middle part of the inner cover frame 221 and the front middle part of the body 206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The inner cover frame 221 may be fastened to the front side of the body 206 .

상기 내측커버프레임(221)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면 중간부 주변의 상기 내측커버프레임(221)의 후면 부위에는 상기 내측커버프레임(221)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돌출되는 끼움편(221c, 221d)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Fitting pieces 221c horizontally protruding for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inner cover frame 221 on the rear portion of the inner cover frame 221 around the middle portion of the rear side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inner cover frame 221, 221d) may be respectively formed.

상기 체결부재(5)는 상기 끼움편(221c, 221d) 사이의 상기 내측커버프레임(221)의 중간부를 수평관통할 수 있다.The fastening member 5 may horizontally penetrate the middle portion of the inner cover frame 221 between the fitting pieces 221c and 221d.

상기 외측커버프레임(222)이 상기 내측커버프레임(221)을 감싼 상태로 상기 내측커버프레임(22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외측커버프레임(222)의 상부 내면과 하부 내면에는 각각 상기 내측커버프레임(221)의 상부삽입홈(221a)과 하부삽입홈(221b)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삽입홈(221a)과 하부삽입홈(221b)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상부삽입돌기(222a)와 하부삽입돌기(222b)가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cover frame 222 has the upper inner surface and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ver frame 222 so as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inner cover frame 221 while surrounding the inner cover frame 221, respectively. An upper insertion protrusion that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insertion groove 221a and the lower insertion groove 221b of the inner cover frame 221 and is detachably inserted and fixed into the upper insertion groove 221a and the lower insertion groove 221b, respectively. 222a) and a lower insertion protrusion 222b may be formed.

도 3은 제 1예의 유리지지부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astic part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glass part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first example.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프레임(22)과 상기 유리부(3) 사이 및 상기 유리(3)와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사이에 실리콘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실링부재(7)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between the cover frame 22 and the glass part 3 and between the glass 3 and the front side of the frame 10, there is a sealing member 7 that can be made of various types such as silicone. Each may be provided.

다음으로, 상기 유리지지부(20)의 상부에 상부고정턱(23)이 상기 유리지지부(2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Next, upper fixing jaws 23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lass support unit 20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unit 20 .

상기 상부고정턱(23)은 일예로,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전측상부고정턱(231)과 후측상부고정턱(232)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upper fixed jaw 23 may be largely composed of an upper front fixed jaw 231 and a rear upper fixed jaw 232 as shown in FIGS. 2 and 3 .

상기 전측상부고정턱(231)은 유리지지부(20)의 몸체(206)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된 상태로 상기 몸체(206)의 전측 상부방향에 일정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The front upper fixing jaw 231 may be horizontally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body 206 of the glass support 20 and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front-upper direction of the body 206 .

상기 전측상부고정턱(231)의 전측은 상기 유리지지부(20)의 몸체(206)의 전측 상부방향으로 수직절곡되어 상기 몸체(206)의 전측 상부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The front side of the front upper fixing jaw 231 may be vertically bent in the front upper direction of the body 206 of the glass support 20 to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body 206 .

상기 후측상부고정턱(232)은 상기 상부고정판(202)을 수평관통하는 상기 고정부재(6)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고정판(202)의 전측 하부에서 상기 몸체(206)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rear upper fixing jaw 232 is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fixing member 6 horizontally passing through the upper fixing plate 202 from the lower front side of the upper fixing plate 202 to the front side of the body 206. Horizontal protrusion may be formed to a certain length.

상기 탄성부(30)는 일예로,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부탄성몸체(301)와 하부전측탄성판(302) 및 하부후측탄성판(30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elastic part 30 may be largely configured to include an upper elastic body 301, a lower front elastic plate 302, and a lower rear elastic plate 303, as shown in FIGS. 2 and 3 . .

상기 상부탄성몸체(301)의 내측 상부와 내측 하부에 각각 상부중공공간(301a)과 하부중공공간(301b)이 형성될 수 있다.An upper hollow space 301a and a lower hollow space 301b may be respectively formed in the inner upper portion and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upper elastic body 301 .

상기 상부탄성몸체(301)는 상기 유리지지부(2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의 하부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The upper elastic body 301 may elastically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glass portion 3 position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ortion 20 .

상기 하부전측탄성판(302)은 상기 상부탄성몸체(301)의 하부 전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고정턱(23)의 전측상부고정턱(231)의 내측에 슬라이딩 결합된 상태로 걸림고정될 수 있다.The lower front elastic plate 302 is formed o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upper elastic body 301 and can be locked in a slidingly coupled state inside the front upper fixed jaw 231 of the upper fixed jaw 23. .

상기 하부후측탄성판(303)은 상기 상부탄성몸체(301)의 하부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고정턱(23)의 후측상부고정턱(232)의 내측에 슬라이딩 결합된 상태로 걸림고정될 수 있다.The lower rear elastic plate 303 is formed on the lower rear side of the upper elastic body 301 and can be locked in a slidingly coupled state inside the rear upper fixed jaw 232 of the upper fixed jaw 23. .

도 4는 제 1예의 유리지지부의 상부방향과 하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astic part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glass part respectively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and the low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first example.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리지지부(20)의 하부에 하부고정턱(24)이 상기 유리지지부(2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4 , lower fixing jaws 24 may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lass support 20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glass support 20 .

상기 하부고정턱(24)은 일예로, 크게, 전측하부고정턱(241)과 후측하부고정턱(242)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lower fixed jaw 24 may include, for example, a front lower fixed jaw 241 and a rear lower fixed jaw 242 .

상기 전측하부고정턱(241)은 상기 유리지지부(20)의 몸체(206)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된 상태로 상기 몸체(206)의 전측 하부방향에 일정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The front lower fixing jaw 241 may be horizontally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body 206 of the glass support unit 20 and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front and lower direction of the body 206 .

상기 전측하부고정턱(241)의 전측은 상기 유리지지부(20)의 몸체(206)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수직절곡되어 상기 몸체(206)의 전측 하부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The front side of the front lower fixing jaw 241 may be vertically bent in the lower front direction of the body 206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to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ront lower part of the body 206 .

상기 후측하부고정턱(242)은 상기 하부고정판(203)을 수평관통하는 상기 고정부재(6)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고정판(203)의 전측 상부에서 상기 몸체(206)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rear lower fixing jaw 242 is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fixing member 6 that horizontally penetrates the lower fixing plate 203 from the upper front side of the lower fixing plate 203 to the front side of the body 206. Horizontal protrusion may be formed to a certain length.

그리고, 상기 탄성부(3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탄성몸체(304)와 상부전측탄성판(305) 및 상부후측탄성판(30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the elastic part 3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lower elastic body 304, an upper front elastic plate 305 and an upper rear elastic plate 306, as shown in FIG.

상기 하부탄성몸체(304)의 내측 상부와 내측 하부에 각각 상부중공공간(304a)과 하부중공공간(304b)이 형성될 수 있다.An upper hollow space 304a and a lower hollow space 304b may be formed in the inner upper portion and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lower elastic body 304, respectively.

상기 하부탄성몸체(304)는 상기 유리지지부(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의 상부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The lower elastic body 304 may elastically support the upper portion of the glass portion 3 position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ortion 20 .

상기 상부전측탄성판(305)은 상기 하부탄성몸체(304)의 상부 전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고정턱(24)의 전측하부고정턱(241)의 내측에 슬라이딩결합된 상태로 걸림고정될 수 있다.The upper front elastic plate 305 is formed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lower elastic body 304 and can be locked in a slidingly coupled state inside the front lower fixed jaw 241 of the lower fixed jaw 24. .

상기 상부후측탄성판(305)은 상기 하부탄성몸체(304)의 상부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고정턱(24)의 후측하부고정턱(242)의 내측에 슬라이딩결합된 상태로 걸림고정될 수 있다.The upper rear elastic plate 305 is form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lower elastic body 304 and can be locked in a slidingly coupled state inside the rear lower fixed jaw 242 of the lower fixed jaw 24. .

이와 같이 상기 유리부(3)를 탄성지지하면서 상기 유리부(3)에 지진 등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상기 탄성부(30)로 인해 내진성이 매우 우수해질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earthquake resistance can be very excellent due to the elastic part 30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glass part 3 and absorbs an impact generated by an earthquake or the like in the glass part 3 .

특히, 상기 탄성부(30)의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중공공간(301a, 304a)과 하부중공공간(301b, 304b)을 통해 상기 탄성부(30)가 상기 유리부(3)에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한 진동을 보다 더욱 높은 효율로 흡수하여 상기 유리부(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elastic part 30 through the upper hollow space (301a, 304a) and the lower hollow space (301b, 304b) formed inside the elastic part 30, respectively, the impact generated on the glass part (3)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glass portion 3 by absorbing the vibration caused by the higher efficiency.

다음으로, 지진 등의 발생 후 상기 실리콘(7)이 찢어지면서 훼손되었을 경우를 대비하면서 단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부(12)가 상기 유리지지부(20)의 전측에 더 구비될 수 있다.Next, a reinforcing part 12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while preparing for a case where the silicon 7 is torn and damaged after an earthquake or the like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

상기 보강부(12)는 상기 유리지지부(20)를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part 12 may be formed to extend left and right 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glass support part 20 .

상기 보강부(12)는 내충격성이 뛰어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등의 합성수지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중 수밀 가스켓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inforcing part 12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such as a double watertight gasket which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ethylene propylene rubber (EPDM) having excellent impact resistance.

제 1예로, 상기 보강부(12)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중간판부재(121)와 상부몸체(124) 및 하부몸체(1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a first example, as shown in FIG. 2 , the reinforcing part 12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termediate plate member 121 , an upper body 124 , and a lower body 125 .

상기 중간판부재(121)는 상기 커버프레임(22)과 상기 유리지지부(20)의 몸체(206)의 전측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intermediate plate member 12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over frame 22 and the front side of the body 206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

상기 중간판부재(121)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유리지지부(20)의 몸체(206)의 전측 상부 외면과 전측 하부 외면을 감싸는 상부돌출부재(122) 및 하부돌출부재(123)가 상기 중간판부재(121)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An upper protrusion member 122 and a lower protrusion member 123 surrounding the front upper outer surface and the front lower outer surface of the body 206 of the glass support unit 20 ar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termediate plate member 121 . The member 121 may be horizontally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rear direction opposite to the front side.

피스, 볼트 등의 상기 체결부재(5)는 상기 상부돌출부재(122)와 하부돌출부재(123) 사이의 상기 중간판부재(121)의 중간부를 수평관통할 수 있다.The fastening member 5 such as a piece or bolt may horizontally penetrate the middle portion of the intermediate plate member 121 between the upper protruding member 122 and the lower protruding member 123 .

상기 상부돌출부재(122)의 내측과 상기 하부돌출부재(123)의 내측에 각각 상기 내측커버프레임(221)의 끼움편(221c, 221d)이 끼움고정될 수 있다.Fitting pieces 221c and 221d of the inner cover frame 221 may be fitted and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upper protruding member 122 and the inner side of the lower protruding member 123, respectively.

상기 상부몸체(124)는 상기 중간판부재(12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body 124 may be formed on the intermediate plate member 121 .

상기 상부몸체(124)가 상기 유리부(3)에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을 높은효율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부몸체(124)의 내측에 중공공간(126)이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for the upper body 124 to absorb vibrations that may be generated in the glass part 3 with high efficiency, a hollow space 126 may be formed inside the upper body 124 .

상기 상부몸체(124)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는 상기 상부몸체(124)의 후측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3)의 전면에 밀착되는 요철부(128)가 상기 상부몸체(124)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rear side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upper body 124, the concave-convex portion 128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glass portion 3 located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upper body 124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upper body 124.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상기 요철부(128)로 인해 상기 상부몸체(124)와 상기 유리부(3) 사이의 슬립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The slip phenomenon between the upper body 124 and the glass part 3 can be easily prevented due to the concavo-convex part 128 .

상기 상부몸체(124)의 전측에는 상기 내측커버프레임(221)의 후면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삽입홈(221e)에 삽입고정되는 상부삽입돌기(128a)가 상기 상부삽입홈(221e)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On the front side of the upper body 124, an upper insertion protrusion 128a that is inserted and fixed in an upper insertion groove 221e formed on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inner cover frame 221 is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insertion groove 221e. can be formed to protrude.

상기 상부삽입돌기(128a)가 상기 상부삽입홈(221e)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부삽입돌기(128a)이 내측에 중공공간(128b)이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llow the upper insertion protrusion 128a to be more easily inserted into the upper insertion groove 221e, a hollow space 128b may be formed inside the upper insertion protrusion 128a.

상기 하부몸체(125)는 상기 중간판부재(12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body 125 may be formed under the intermediate plate member 121 .

상기 하부몸체(125)가 상기 유리부(3)에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을 높은 효율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부몸체(125)의 내측에 중공공간(127)이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for the lower body 125 to absorb vibrations that may be generated in the glass part 3 with high efficiency, a hollow space 127 may be formed inside the lower body 125 .

상기 하부몸체(125)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는 상기 하부몸체(125)의 후측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3)의 전면에 밀착되는 요철부(129)가 상기 하부몸체(125)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rear side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lower body 125, an uneven portion 129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glass portion 3 positioned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lower body 125 is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ower body 125.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상기 요철부(129)로 인해 상기 하부몸체(125)와 상기 유리부(3) 사이의 슬립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The slip phenomenon between the lower body 125 and the glass part 3 can be easily prevented due to the concavo-convex part 129 .

상기 하부몸체(125)의 전측에는 상기 내측커버프레임(221)의 후면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삽입홈(221f)에 삽입고정되는 하부삽입돌기(129a)가 상기 하부삽입홈(221f)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On the front side of the lower body 125, a lower insertion protrusion 129a which is inserted and fixed in a lower insertion groove 221f formed in the lower rear surface of the inner cover frame 221 is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insertion groove 221f. can be formed to protrude.

상기 하부삽입돌기(129a)가 상기 하부삽입홈(221f)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부삽입돌기(129)의 내측에 중공공간(129b)이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llow the lower insertion protrusion 129a to be more easily inserted into the lower insertion groove 221f, a hollow space 129b may be formed inside the lower insertion protrusion 129 .

도 5는 제 2예의 보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종단면도이다.5 is an explod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inforcing part of the second example, and FIG. 6 is a combin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제 2예로, 상기 보강부(12)는 제 1예의 상기 보강부(12)와 동일하게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중간판부재(121)와 상부몸체(124) 및 하부몸체(1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a second example, the reinforcing part 12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reinforcing part 12 of the first example, as shown in FIGS. 5 and 6 , the middle plate member 121 , the upper body 124 and the lower body. 125 may be included.

단, 상기 내측커버프레임(221)의 후면 중간부에는 상기 끼움편(221c, 221d)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중간판부재(121)의 상부돌출부재(122) 및 하부돌출부재(123)는 솔리드형태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However, the fitting pieces 221c and 221d are not formed on the rear middle portion of the inner cover frame 221, and the upper protruding member 122 and the lower protruding member 123 of the intermediate plate member 121 are solid. It can be formed by horizontal extension in the form.

도 7은 제 3예의 보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종단면도이다.7 is an explod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reinforcing part of the third example, and FIG. 8 is a combin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제 3예로, 상기 보강부(12)는 제 2예의 상기 보강부(12)와 동일하게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중간판부재(121)와 상기 상부몸체(124) 및 하부돌출부재(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a third example, the reinforcing part 12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reinforcing part 12 of the second example, as shown in FIGS. 7 and 8 , the middle plate member 121 , the upper body 124 and the lower par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rotruding member 123 .

단, 상기 내측커버프레임(221)의 후면 중간부에 중간삽입홈(221g)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중간판부재(121)의 전면 중간부에 상기 중간삽입홈(221g)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돌출되어 상기 중간삽입홈(221g)에 삽입고정되는 돌출몸체(121a)가 형성될 수 있다.However, an intermediate insertion groove (221g) may be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cover frame (221), and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insertion groove (221g)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late member (121) A protruding body 121a which is horizontally protruded and inserted and fixed in the intermediate insertion groove 221g may be formed.

상기 돌출몸체(121a)가 상기 중간삽입홈(221g)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돌출몸체(121a)의 내측에 중공공간(121b)이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llow the protruding body 121a to be more easily inserted into the intermediate insertion groove 221g, a hollow space 121b may be formed inside the protruding body 121a.

도 9는 보강부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각각 프레임의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종단면도이고, 도 10은 제 1예의 유리지지부와 유리부 사이에 보강부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개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9 is a separat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of the reinforcing unit are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frame, and FIG. It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posed state.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12)의 상부몸체(124)는 작업자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의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되어 상기 유리지지부(20)의 몸체(206)의 상부와 상기 유리지지부(2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3)의 하부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9 and 10 , the upper body 124 of the reinforcing part 12 is rotationally mov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frame 10 by an operator,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body 206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is And i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glass portion (3)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20).

또한, 상기 보강부(12)의 하부몸체(125)는 작업자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의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되어 상기 유리지지부(20)의 몸체(206)의 하부와 상기 유리지지부(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3)의 상부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body 125 of the reinforcing part 12 is rotat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frame 10 by an operator, and the lower part of the body 206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and the glass support part 20 I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glass portion 3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이와 같이 상기 유리지지부(20)와 상기 유리부(3)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보강부(12)의 상부몸체(124)와 상기 하부몸체(125)를 통해 상기 유리부(3)에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한 진동을 보다 보다 더더욱 높은 효율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impact generated on the glass part 3 through the upper body 124 and the lower body 125 of the reinforcing part 12 interposed between the glass support part 20 and the glass part 3 Vibration caused by this can be absorbed with higher efficiency.

도 11은 수직프레임에 구비된 제 1예의 유리지지부 및 탄성부가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lass support part and the elastic part of the first example provided in the vertical frame elastically support the glass part.

상기 프레임(10)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리부(3)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유리부(3)의 하부와 상부를 각각 지지하는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rame 10 may be formed of a horizontal frame extending horizontally from one side of the glass part 3 to the other 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support the lower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glass part 3,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또는,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보강부(12), 유리지지부(20), 커버프레임(22) 및 탄성부(30)와 함께 수직으로 세워져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리부(3)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지지하는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rame 10 is vertically erected together with the reinforcing part 12, the glass support part 20, the cover frame 22 and the elastic part 30, and as shown in FIG. It may be formed of a vertical frame support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상기 프레임(10)이 이룰 수 있는 수직프레임에 구비되는 제 1예의 유리지지부(2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는 탄성부(30)의 상부탄성몸체(301)는 유리부(3)의 타측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The upper elastic body 301 of the elastic part 30 that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first example provided in the vertical frame that the frame 10 can achieve is the other side of the glass part 3 .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상기 프레임(10)이 이룰 수 있는 수직프레임에 구비되는 제 1예의 유리지지부(2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는 탄성부(30)의 하부탄성몸체(304)는 유리부(3)의 일측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The lower elastic body 304 of the elastic part 30 that can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first example provided in the vertical frame that the frame 10 can achieve is one side of the glass part 3 .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도 12는 제 2예의 유리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분리종단면도이다.1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second example, and FIG. 13 is an explod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12 .

한편, 본 발명인 내진성이 우수한 창호는 커튼월 창호, 프로젝트 창호 등 다양한 종류의 창호를 이룰 수 있으며, 특히, 유리부(3)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노출되는 상기 커버프레임(22)이 구비된 노출타입의 창호 또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프레임(22)이 구비되지 않는 히든 타입의 창호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indows with excellent earthquake resist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various types of windows, such as curtain wall windows and project windows, in particular, the exposed type provided with the cover frame 22 exposed in the front and outward direction of the glass part 3 of the window or as shown in FIG. 12 , it may be made of a hidden type window that is not provided with the cover frame 22 .

본 발명인 내진성이 우수한 창호가 상기 커버프레임(22)이 구비되지 않는 히든 타입의 창호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유리지지부(20)는 제 2예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수용판부재(201), 상기 상부고정판(202), 상기 하부고정판(203), 끼움판(207) 및 연장판(20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window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excellent earthquake resistance is made of a hidden type window that is not provided with the cover frame 22, the glass support 20 is a second example, and as shown in FIG. 13 , the receiving plate member 201 is large. ), the upper fixing plate 202 , the lower fixing plate 203 , the fitting plate 207 and the extension plate 208 may be included.

상기 끼움판(207)은 상기 수용판부재(201)의 끼움홈(201a)에 끼움고정될 수 있다.The fitting plate 207 may be fitted and fixed to the fitting groove 201a of the receiving plate member 201 .

상기 끼움판(207)의 전측 상부에 상기 상부고정판(202)이 상기 끼움판(207)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fixing plate 202 may be vertically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fitting plate 207 o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fitting plate 207 .

상기 끼움판(207)의 전측 하부에 상기 하부고정판(203)이 상기 끼움판(207)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fixing plate 203 may be vertically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fitting plate 207 at the lower front side of the fitting plate 207 .

상기 연장판(208)은 상기 끼움판(207)의 전측 중간부에서 상기 끼움판(207)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The extension plate 208 may be horizontally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side direction of the fitting plate 207 from the middle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fitting plate 207 .

상기 상부고정턱(23)의 전측상부고정턱(231)의 전측은 상기 연장판(208)의 전측 상부방향으로 수직절곡되어 상기 연장판(208)의 전측 상부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The front side of the upper front fixing jaw 231 of the upper fixing jaw 23 may be vertically bent in the forward and upward direction of the extension plate 208 to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extension plate 208 .

상기 하부고정턱(24)의 전측하부고정턱(241)의 전측은 상기 연장판(208)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수직절곡되어 상기 연장판(208)의 전측 하부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The front side of the front lower fixing jaw 241 of the lower fixing jaw 24 may be vertically bent in the front downward direction of the extension plate 208 to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front side of the extension plate 208 .

도 14는 제 2예의 유리지지부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1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astic part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glass part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second example.

제 2예의 상기 유리지지부(20)의 연장판(208)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는 상기 탄성부(30)의 상부탄성몸체(301)는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예의 상기 유리지지부(2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의 하부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 the upper elastic body 301 of the elastic part 30 that can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extension plate 208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second example is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second example. ) may elastically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glass portion 3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도 15는 제 2예의 유리지지부의 상부방향과 하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1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astic part for elastically supporting a glass part respectively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and the low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second example.

제 2예의 상기 유리지지부(20)의 연장판(208)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는 상기 탄성부(30)의 하부탄성몸체(304)는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예의 상기 유리지지부(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의 상부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 the lower elastic body 304 of the elastic part 30 that may be provided under the extension plate 208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second example is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second example. ) may elastically support the upper portion of the glass portion 3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도 16은 수직프레임에 구비된 제 2예의 유리지지부 및 탄성부가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1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lass support part and the elastic part of the second example provided in the vertical frame elastically support the glass part.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이 이룰 수 있는 수직프레임에 구비되는 제 2예의 유리지지부(2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는 탄성부(30)의 상부탄성몸체(301)는 유리부(3)의 타측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6 , the upper elastic body 301 of the elastic part 30 that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second example provided in the vertical frame that the frame 10 can achieve is a glass part. The other side of (3)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상기 프레임(10)이 이룰 수 있는 수직프레임에 구비되는 제 2예의 유리지지부(2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는 탄성부(30)의 하부탄성몸체(304)는 유리부(3)의 일측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The lower elastic body 304 of the elastic part 30 that can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second example provided in the vertical frame that the frame 10 can achieve is one side of the glass part 3 .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도 17은 탄성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1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elastic part.

다음으로, 상기 탄성부(30)는 다른예로,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탄성판부재(307), 상기 하부전측탄성판(302) 및 상기 하부후측탄성판(30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Next,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17 , the elastic part 30 may include an upper elastic plate member 307 , the lower front elastic plate 302 and the lower rear elastic plate 303 . can

상기 상부탄성판부재(307)는 상기 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형으로 복수개로 일정간격으로 수평배치되어 상기 유리지지부(2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3)의 하부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The upper elastic plate member 307 is horizontal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a plurality of zigzag shap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10 to elastically lower the lower portion of the glass portion 3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ortion 20 . can support

상기 하부전측탄성판(302)은 상기 상부탄성판부재(307)의 하부 전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고정턱(23)의 전측상부고정턱(231)의 내측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The lower front elastic plate 302 may be formed o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upper elastic plate member 307 to be caught and fixed inside the front upper fixing jaw 231 of the upper fixing jaw 23 .

상기 하부후측탄성판(303)은 상기 상부탄성판부재(307)의 하부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고정턱(23)의 후측상부고정턱(232)의 내측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The lower rear elastic plate 303 may be formed on the lower rear side of the upper elastic plate member 307 to be caught and fixed inside the rear upper fixing jaw 232 of the upper fixing jaw 23 .

다른예의 상기 탄성부(30)는 하부탄성판부재(308)와 상기 상부전측탄성판(305) 및 상부후측탄성판(30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elastic part 30 may include a lower elastic plate member 308 , the upper front elastic plate 305 , and an upper rear elastic plate 306 .

상기 하부탄성판부재(308)는 상기 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형으로 복수개로 일정간격으로 수평배치되어 상기 유리지지부(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3)의 상부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The lower elastic plate member 308 is horizontal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a plurality of zigzag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10 so as to elasticize the upper portion of the glass portion 3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ortion 20 . can support

상기 상부전측탄성판(305)은 상기 하부탄성판부재(308)의 상부 전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고정턱(24)의 전측하부고정턱(241)의 내측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The upper front elastic plate 305 may be formed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lower elastic plate member 308 to be caught and fixed inside the front lower fixing jaw 241 of the lower fixing jaw 24 .

상기 상부후측탄성판(306)은 상기 하부탄성판부재(308)의 상부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고정턱(24)의 후측하부고정턱(242)의 내측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The upper rear elastic plate 306 may be form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lower elastic plate member 308 to be caught and fixed inside the rear lower fixing jaw 242 of the lower fixing jaw 24 .

도 18은 수직프레임에 구비된 다른예의 탄성부가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1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part of another example provided in the vertical frame elastically supports the glass part.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이 이룰 수 있는 수직프레임에 구비되는 유리지지부(2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는 탄성부(30)의 상부탄성판부재(307)는 유리부(3)의 타측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8 , the upper elastic plate member 307 of the elastic part 30 that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provided in the vertical frame that the frame 10 can achieve is the glass part 3 ) can elastically support the other side.

상기 프레임(10)이 이룰 수 있는 수직프레임에 구비되는 유리지지부(2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는 탄성부(30)의 하부탄성판부재(308)는 유리부(3)의 일측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The lower elastic plate member 308 of the elastic portion 30 that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glass support portion 20 provided in the vertical frame that the frame 10 can achieve elastically supports one side of the glass portion 3 . can do.

도 19는 제 3예의 유리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분리종단면도이다.1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third example, and FIG. 20 is an explod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19 .

다음으로, 도 19 및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른예로,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상부, 전측 중간부 및 전측 하부에는 복수의 끼움홈(110, 120, 130)이 상기 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19 and 20 , as another example,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110 , 120 , 130 are provided in the front upper part, the front middle part, and the front lower part of the frame 10 . It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일예로, 복수의 상기 끼움홈(110, 120, 130) 중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상부에 형성된 끼움홈(110)의 단면형상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상부에 형성된 끼움홈(1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상부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mong the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110 , 120 , 130 ,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tting groove 110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ame 10 may be formed in a '┛' shape of the frame 10. The rear upper portion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fitting groove 110 formed in the front upper portion may b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frame 10 .

복수의 상기 끼움홈(110, 120, 130) 중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중간부에 형성된 끼움홈(120)의 단면형상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중간부에 형성된 끼움홈(12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상부와 후측 하부는 각각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방향과 하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The middle of the front side of the frame 10 so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tting groove 120 formed in the middle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frame 10 among the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110 , 120 , 130 can be formed in a '┫' shape The rear upper portion and the rear lower portion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fitting groove 120 formed in the portion may b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of the frame 10 , respectively.

복수의 상기 끼움홈(110, 120, 130) 중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하부에 형성된 끼움홈(130)의 단면형상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하부에 형성된 끼움홈(13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하부는 상기 프레임(1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Among the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110, 120, 130,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tting groove 130 formed i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frame 10 is formed in a '┓' shape i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frame 10. The lower rear side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formed fitting groove 130 may b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frame 10 .

제 3예로서, 상기 유리지지부(20)는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에 상기 유리부(3)의 상하폭에 따라 상기 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높낮이 조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As a third example, the glass support part 2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ame 10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10 according to the vertical width of the glass part 3 .

이를 위해, 제 3예의 상기 유리지지부(20)의 후측에는 복수의 상기 끼움홈(110, 120, 130)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는 끼움돌기(210)가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at the rear side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third example, fitting protrusions 210 that are respectively detachably fitted into the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110 , 120 , 130 may be formed.

상기 끼움돌기(210)는 일예로,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중간끼움돌기(211)와 하부끼움돌기(212)로 구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tting protrusion 210 may be largely composed of a middle fitting protrusion 211 and a lower fitting protrusion 212 as shown in FIG. 20 .

상기 중간끼움돌기(211)는 상기 유리지지부(2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중간부에서 상기 프레임(10)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끼움홈(110, 120, 130) 중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상부와 전측 중간부에 각각 형성된 끼움홈(120, 130)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될 수 있다.The intermediate fitting protrusion 211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rear middle portion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glass support portion 20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frame 10 to form a plurality of the fitting grooves 110, 120, 130. It may be detachably fitted and fixed to the fitting grooves 120 and 130 respectively formed in the front upper part and the front middle part of the frame 10 .

상기 중간끼움돌기(211)가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상부와 전측 중간부에 각각 형성된 끼움홈(120, 130)에 각각 용이하게 끼움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중간끼움돌기(211)의 상부면에 경사면(211a)이 형성 및 상기 중간끼움돌기(211)의 하부방향에 단차홈(211b)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fitting protrusion 211 so that the intermediate fitting protrusion 211 can be easily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s 120 and 130 respectively formed in the front upper part and the front middle part of the frame 10, respectively. The inclined surface 211a may be formed, and a stepped groove 211b may be form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fitting protrusion 211 .

상기 중간끼움돌기(211)의 경사면(211a)은 상기 중간끼움돌기(211)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상기 중간끼움돌기(211)의 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The inclined surface 211a of the intermediate fitting protrusion 211 may be inclined downward in the lower rear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fitting protrusion 211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intermediate fitting protrusion 211 .

상기 중간끼움돌기(211)의 하부방향의 상기 유리지지부(20)의 후측 중간부위에 형성될 수 있는 상기 단차홈(211b)의 단면형상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단차홈(211b)은 상기 유리지지부(20)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The stepped groove 211b so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tepped groove 211b that can be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rear side of the glass support 20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fitting protrusion 211 can be formed in a '┏' shape. ) may b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rear to the front side of the glass support 20 .

상기 단차홈(211b)으로 인해 상기 중간끼움돌기(211)는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상부와 전측 중간부에 각각 형성된 끼움홈(120, 130)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는 과정 중에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상부와 전측 중간부에 각각 형성된 끼움홈(110, 120)의 후측 상부에 용이하게 끼움고정될 수 있다.Due to the step groove 211b, the intermediate fitting protrusion 211 is elastically deformed during the process of being detachably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s 120 and 130 respectively formed in the front upper part and the front middle part of the frame 10, respectively. It can be easily fitted and fixed to the upper rear portion of the fitting grooves 110 and 120 respectively formed in the front upper portion and the front intermediate portion of the frame 10 while the frame 10 is formed.

상기 하부끼움돌기(212)는 상기 유리지지부(2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1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끼움홈(110, 120, 130) 중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중간부와 전측 하부에 각각 형성된 끼움홈(120, 130)의 후측 하부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될 수 있다.The lower fitting protrusion 212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frame 10 from the lower rear side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and is formed in a plurality of the fitting grooves 110, 120, 130. The frame 10 may be detachably fitted and fixed to the rear lower portions of the fitting grooves 120 and 130 respectively formed in the front middle portion and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frame 10 .

상기 하부끼움돌기(212)가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중간부와 전측 하부에 각각 형성된 끼움홈(120, 130)의 후측 하부에 용이하게 끼움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끼움돌기(212)의 전측에 경사면(212a)이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side of the lower fitting protrusion 212 so that the lower fitting protrusion 212 can be easily fitted and fixed to the lower rear side of the fitting grooves 120 and 130 respectively formed in the front middle portion and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frame 10 . An inclined surface 212a may be formed on the .

상기 하부끼움돌기(212)의 경사면(212a)은 상기 하부끼움돌기(212)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하부끼움돌기(212)의 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The inclined surface 212a of the lower fitting protrusion 212 may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side of the lower fitting protrusion 212 to the rear downward direction of the lower fitting protrusion 212 toward the rear side.

상기 상부고정턱(23)의 전측상부고정턱(231)은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된 상태로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의 전측 상부방향에 일정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The front upper fixed jaw 231 of the upper fixed jaw 23 is horizontally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ing unit 20 of the third example, and is constant in the front upp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ing unit 20 of the third example. It may be provided at a height.

상기 전측상부고정턱(231)의 전측은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의 전측 상부방향으로 수직절곡되어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의 전측 상부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The front side of the upper front fixing jaw 231 may be vertically bent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third example to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third example.

상기 상부고정턱(23)의 후측상부고정턱(232)은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 수평연장된 상태로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의 후측 상부에 일정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The rear upper fixing jaw 232 of the upper fixing jaw 23 is horizontally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ing unit 20 of the third example, and is raised to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rear side of the glass supporting unit 20 of the third example. can be provided.

상기 후측상부고정턱(232)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은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의 후측 상부방향으로 수직절곡되어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의 후측 상부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The rear side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rear upper fixing jaw 232 is vertically bent in the rear upp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third example to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rear side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third example.

도 21은 제 3예의 유리지지부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일예의 탄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2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elastically supporting a glass portion position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ortion of the third example.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는 상기 탄성부(30)의 상부탄성몸체(301)는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3)의 하부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The upper elastic body 301 of the elastic part 30 that can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third example is a glass position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third example as shown in FIG. 21 . The lower part of the part 3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도 22는 제 3예의 유리지지부의 상부방향과 하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일예의 탄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2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elastically supporting a glass part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and the low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third example.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고정턱(24)의 전측하부고정턱(241)은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된 상태로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의 전측 하부방향에 일정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22, the front lower fixed jaw 241 of the lower fixed jaw 24 is horizontally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third example, and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third example. It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front side.

상기 전측하부고정턱(241)의 전측은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수직절곡되어 상기 몸체(206)의 전측 하부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The front side of the front lower fixing jaw 241 may be vertically bent in the lower front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third example to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ront lower part of the body 206 .

상기 후측하부고정턱(242)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은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의 후측 하부방향으로 수직절곡되어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의 후측 하부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The rear side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rear lower fixing jaw 242 is vertically bent in the lower rea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third example to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rear side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third example.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는 상기 탄성부(30)의 하부탄성몸체(304)는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3)의 상부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The lower elastic body 304 of the elastic part 30 that may be provided under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third example is a glass position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third example as shown in FIG. 22 . The upper part of the part 3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도 23은 제 3예의 유리지지부의 상부방향과 하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다른예의 탄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2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astic part of another example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glass part respectively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and the low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third example.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는 상기 탄성부(30)의 상부탄성판부재(307)는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3)의 하부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The upper elastic plate member 307 of the elastic part 30 that can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third example is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third example as shown in FIG. The lower portion of the glass portion 3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는 상기 탄성부(30)의 하부탄성판부재(308)는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3)의 상부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The lower elastic plate member 308 of the elastic part 30 that may be provided under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third example is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third example as shown in FIG. It is possible to elastically support the upper portion of the glass portion (3).

도 24는 수직프레임에 구비된 제 3예의 유리지지부 및 다른예의 탄성부가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2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third example and the elastic part of another example provided in the vertical frame elastically support the glass part.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이 이룰 수 있는 수직프레임에 구비되는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는 탄성부(30)의 상부탄성판부재(307) 또는 상부탄성몸체(301)는 유리부(3)의 타측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4 , the upper elastic plate member 307 or the upper part of the elastic part 30 that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third example provided in the vertical frame that the frame 10 can achieve. The elastic body 301 may elastically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glass part 3 .

상기 프레임(10)이 이룰 수 있는 수직프레임에 구비되는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는 탄성부(30)의 하부탄성판부재(308) 또는 하부탄성몸체(304)는 유리부(3)의 일측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The lower elastic plate member 308 or the lower elastic body 304 of the elastic portion 30 that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glass support portion 20 of the third example provided in the vertical frame that the frame 10 can achieve is One side of the glass portion 3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도 25 및 도 26은 복수의 끼움홈을 통해 제 3예의 유리지지부의 상하높이가 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7은 상하높이조절된 제 3예의 유리지지부에 구비된 탄성부가 유리를 탄성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25 and 26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vertical height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third example is adjusted through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and FIG. It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it is elastically supported.

도 25 내지 도 2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의 의 중간끼움돌기(211)가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상부에 형성된 끼움홈(110)에 끼움고정 및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의 하부끼움돌기(212)가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중간부에 형성된 끼움홈(120)에 끼움고정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30)와 함께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방향으로 상승될 수 있다.25 to 27, the intermediate fitting projection 211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third example is fixed to the fitting groove 110 formed i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frame 10, and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third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fitting projection 212 of (20) is fitted and fixed to the fitting groove 120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frame 10, the glass support portion 20 of the third example is provided together with the elastic portion 30. The frame 10 may be raised upward.

또한,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의 중간끼움돌기(211)가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중간부에 형성된 끼움홈(120)에 끼움고정 및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의 하부끼움돌기(212)가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하부에 형성된 끼움홈(130)에 끼움고정된 상태로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가 상기 프레임(10)의 하부방향으로 하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mediate fitting protrusion 211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third example is fixed to the fitting groove 120 formed in the middle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frame 10 and the lower fitting protrus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third example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third example may be lower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frame 10 in a state where the 212 is fixed to the fitting groove 130 formed o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frame 10 .

도 28은 제 4예의 유리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종단면도이고, 도 29는 도 28의 결합종단면도이다.28 is an explod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fourth example, and FIG. 29 is a combin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28 .

다음으로, 제 4예의 유리지지부(20)는 도 28 및 도 2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복수의 끼움홈(110, 120, 130)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는 끼움돌기(209)가 형성되는 상기 연장판(208)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28 and 29 ,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fourth example is a fitting protrusion 209 that is detachably fitted into the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110 , 120 , 130 of the frame 10 , respectively. ) may be formed of the extension plate 208 on which it is formed.

상기 끼움돌기(209)는 상기 연장판(208)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상부면에서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아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fitting protrusion 209 may be formed to protrude vertically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side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extension plate 208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frame 10 .

상기 후측상부고정턱(232)은 상기 끼움돌기(209)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장판(208)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된 상태로 상기 연장판(208)의 후측 상부에 일정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The rear upper fixing jaw 232 is horizontally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extension plate 208 so as to be locat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fitting protrusion 209, and is fix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extension plate 208. It may be provided at a height.

상기 후측상부고정턱(232)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은 상기 연장판(208)의 후측 상부방향으로 수직절곡되어 상기 연장판(208)의 후측 상부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The rear side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rear upper fixing jaw 232 may be vertically bent in the upper rear direction of the extension plate 208 to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rear side of the extension plate 208 .

상기 후측하부고정턱(242)은 상기 연장판(208)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된 상태로 상기 연장판(208)의 후측 하부에 일정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The lower rear fixing jaw 242 may be horizontally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extension plate 208 and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lower rear portion of the extension plate 208 .

상기 후측하부고정턱(242)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은 상기 연장판(208)의 후측 하부방향으로 수직절곡되어 상기 연장판(208)의 후측 하부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The rear side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rear lower fixing jaw 242 may be vertically bent in the lower rear direction of the extension plate 208 to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rear side of the extension plate 208 .

도 30은 제 4예의 유리지지부의 상부방향과 하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유리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31은 상하높이조절된 제 4예의 유리지지부에 구비된 탄성부가 유리를 탄성지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3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astic part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glass part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and the low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fourth example, and FIG. It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in which it is elastically supported.

제 4예의 유리지지부(20)를 이룰 수 있는 상기 연장판(208)은 도 30 및 도 3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리부(3)의 상하폭에 따라 높낮이 조절될 수 있다.The extension plate 208 capable of forming the glass support portion 20 of the fourth example may be adjusted in height according to the vertical width of the glass portion 3 as shown in FIGS. 30 and 31 .

도 32는 제 3예의 유리지지부의 상하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한 상하이동프레임 및 일예의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종단면도이고, 도 33은 도 32의 결합종단면도이다.32 is an isolated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rtical movement frame for precisely adjusting the vertical height of the glass support portion of the third example and a support portion of an example, and FIG. 33 is a combined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다음으로, 다른예로,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에 슬릿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개방구(101)가 상기 프레임(10)을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Next, as another example, the opening 101 of various shapes, such as a slit shape, on the front side of the frame 10 may be formed to extend left and right 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frame 10 .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상부와 전측 하부는 각각 상기 개방부(101)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절곡될 수 있다.The front upper part and the front lower part of the frame 10 may be vertically bent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opening part 101 ,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개방구(101)에는 상기 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높낮이 조절이 되는 상하이동프레임(100)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101 of the frame 10 may be provided with a vertical movement frame 100 that can be adjusted in height by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10 .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00)의 상하폭은 상기 프레임(10)의 개방구(101)의 상하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vertical width of the vertical movement frame 100 may be smaller than the vertical width of the opening 101 of the frame 10 .

도 32 및 도 3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00)의 내측에 복수의 상기 끼움홈(110, 120, 130)이 상기 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32 and 33 ,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110 , 120 , 130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10 on the inside of the vertical moving frame 100 .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00)이 상하반전된 상태에서도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00)에 상기 유리지지부(20)가 구비될 수 있어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00), 상기 유리지지부(20)의 상호호환성이 매우 우수해질 수 있다.Even in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movement frame 100 is vertically inverted, the glass support part 20 may be provided on the vertical movement frame 100, so that the vertical movement frame 100 and the glass support part 20 can have mutual compatibility. can be very good.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00)의 상부 전측과 하부 전측은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00)의 상부방향 및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각각 수직연장되어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상부 및 전측 하부와 면접촉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The upper front side and the lower front side of the vertical movement frame 100 are vertically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of the vertical movement frame 100 to make surface contact with the front upper and lower front sides of the frame 10 . In this state, it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frame 10 .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00)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유리지지부(20)의 높낮이가 조절가능하도록 제 3예의 상기 유리지지부(20)의 끼움돌기(210)는 복수의 상기 끼움홈(110, 120, 130)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될 수 있다.The fitting protrusion 210 of the glass support 20 of the third example has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110, 120, 130 so that the height of the glass support 20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rtical moving frame 100 can be adjusted. ) can be detachably fitted to each.

도 34는 상하이동프레임과 일예의 지지부에 의해 제 3예의 유리지지부의 상하높이가 정밀하게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34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height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third example is precisely adjusted by the vertical movement frame and the support part of one example.

다음으로, 제 3예의 유리지지부(20)가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높낮이 조절된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00)을 지지하는 지지부(40)가 구비될 수 있다.Next,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third example is detachably fitted and fixed, and the support part 40 for supporting the vertically movable frame 100 whose height is adjusted by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10 will be provided. can

상기 지지부(40)는 일예로, 도 32 내지 도 3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부지지몸체(411)와 하부지지축(4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art 4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ower support body 411 and a lower support shaft 412, as shown in FIGS. 32 to 34, for example.

상기 하부지지몸체(411)는 상기 프레임(10)을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support body 411 may be formed to extend left and right 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frame 10 .

상기 하부지지몸체(411)의 전측 상부에는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00)의 하부를 수용하는 하부단차홈(411c)이 형성될 수 있다.A lower stepped groove 411c for accommoda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ly movable frame 100 may b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lower support body 411 .

상기 하부단차홈(411c)의 단면형상은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00)의 하부와 대응되도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ower stepped groove 411c may be formed in a '┛' shape to correspon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moving frame 100 .

상기 하부지지몸체(411)의 일측 하부 내측과 타측 하부 내측에는 상기 하부지지몸체(411)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하부나사홈(411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A lower screw groove 411a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body 411 to the upper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lower inner side of one side and the lower inn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upport body 411, respectively.

상기 하부지지몸체(411)는 상기 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높낮이 조절된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0)의 하부를 안착지지할 수 있다.The lower support body 411 may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10 to seat and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ly movable frame 10 whose height is adjusted.

상기 하부지지축(412)은 상기 하부지지몸체(411)의 일측 하부 내측과 타측 하부 내측에 각각 형성된 상기 하부나사홈(411a)에 승강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ower support shaft 412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such as bolts that are screwed up and down to the lower screw grooves 411a respectively formed on the lower inner side of one side and the lower inn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upport body 411 .

상기 하부지지축(412)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하부지지몸체(411)는 상기 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높낮이 조절될 수 있다.By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lower support shaft 412 , the lower support body 411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10 so that its height can be adjusted.

상기 하부지지축(412)을 이룰 수 있는 볼트의 하부에 형성된 헤드(412a)는 상기 하부지지축(412)의 하부와 마주보는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하부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The head 412a formed under the bolts constituting the lower support shaft 412 may be closely fixed to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frame 10 facing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shaft 412 .

도 35는 상하이동프레임과 다른예의 지지부에 의해 제 3예의 유리지지부의 상하높이가 정밀하게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3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height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third example is precisely adjusted by the vertical movement frame and the support part of the other example.

상기 지지부(40)는 다른예로, 도 3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부지지부재(410)와 상부지지부재(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35 , the support part 40 may include a lower support member 410 and an upper support member 420 .

상기 하부지지부재(410)는 상기 하부지지몸체(411)와 상기 하부지지축(412)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lower support member 410 may include the lower support body 411 and the lower support shaft 412 .

상기 상부지지부재(420)는 상부지지몸체(421)와 상부지지축(422)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upper support member 420 may include an upper support body 421 and an upper support shaft 422 .

상기 상부지지몸체(421)는 상기 프레임(10)을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support body 421 may be formed to extend left and right 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frame 10 .

상기 상부지지몸체(421)의 전측 하부에는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00)의 상부를 수용하는 상부단차홈(421c)이 형성될 수 있다.An upper stepped groove 421c for accommoda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moving frame 100 may be formed i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upper support body 421 .

상기 상부단차홈(421c)의 단면형상은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00)의 상부와 대응되도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upper stepped groove 421c may be formed in a '┓' shape to correspon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moving frame 100 .

상기 상부지지몸체(421)의 일측 상부 내측과 타측 상부 내측에는 상기 상부지지몸체(421)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상부나사홈(421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An upper screw groove 421a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upper support body 421 may be formed in the upper inner side of one side and the upper inn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pport body 421, respectively.

상기 상부지지몸체(421)는 상기 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높낮이 조절된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00)의 상부와 접한 상태로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00)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다.The upper support body 421 may support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ly movable frame 100 while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ly movable frame 100 whose height is adjusted by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10 .

상기 상부지지축(422)은 상기 상부지지몸체(421)의 일측 상부 내측과 타측 상부 내측에 각각 형성된 상기 상부나사홈(421a)에 승강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upper support shaft 422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such as bolts that are screwed up and down to the upper screw grooves 421a respectively formed in the upper inner side of one side and the upper inn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pport body 421 .

상기 상부지지축(422)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지지몸체(421)는 상기 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높낮이 조절될 수 있다.By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upper support shaft 422 , the upper support body 421 may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10 to adjust its height.

상기 상부지지축(422)을 이를 수 있는 볼트의 상부에 형성된 헤드(422a)는 상기 상부지지축(422)의 상부와 마주보는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상부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The head 422a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lt that can reach the upper support shaft 422 may be closely fixed to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 facing the upper part of the upper support shaft 422 .

도 36은 상하이동프레임과 또 다른예의 지지부에 의해 제 3예의 유리지지부의 상하높이가 정밀하게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3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height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third example is precisely adjusted by the vertical movement frame and the support part of another example.

상기 지지부(40)는 또 다른예로, 도 3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하부지지몸체(411), 상기 하부지지축(412) 및 하부스토퍼(4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36 , the support part 4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lower support body 411 , the lower support shaft 412 , and the lower stopper 413 .

상기 하부지지몸체(411)의 일측 하부 내측과 타측 하부 내측에는 상기 하부지지몸체(411)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하부가이드홈(411b)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A lower guide groove 411b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body 411 to the upper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lower inner side of one side and the lower inn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upport body 411, respectively.

상기 하부지지축(412)은 상기 하부지지몸체(411)의 일측 하부 내측과 타측 하부 내측에 각각 형성된 상기 하부가이드홈(411b)에 승강가능하게 수용되는 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ower support shaft 412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such as bolts that are liftably accommodated in the lower guide grooves 411b respectively formed in the lower inner side of one side and the lower inn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upport body 411 .

상기 하부스토퍼(413)는 상기 하부지지축(412)의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상기 하부지지몸체(411)의 하부를 안착지지하는 너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ower stopper 413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such as a nut that is screwed up and dow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shaft 412 to seat and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body 411 .

상기 하부스토퍼(413)를 이룰 수 있는 너트는 정역회전하여 상기 하부지지축(412)의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할 수 있다.The nut capable of forming the lower stopper 413 may be rotated forward and reverse to move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ower support shaft 412 .

상기 지지부(40)는 또 다른예로, 상기 하부지지몸체(411), 상기 하부지지축(412) 및 상기 하부스토퍼(413)로 구성되는 하부지지부재(410)와; 상기 상부지지몸체(421), 상기 상부지지축(422) 및 상부스토퍼(423)로 구성되는 상부지지부재(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upport part 40 includes a lower support member 410 including the lower support body 411 , the lower support shaft 412 and the lower stopper 413 ; The upper support body 421, the upper support shaft 422, and may include an upper support member 420 composed of an upper stopper (423).

상기 상부지지부재(420)의 상부지지몸체(421)의 일측 상부 내측과 타측 상부 내측에는 상기 상부지지몸체(421)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상부가이드홈(421b)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Upper guide grooves 421b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upper support body 421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upper inner side of one side and the upper inn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pport body 421 of the upper support member 420 . can be

상기 상부지지부재(420)의 상부지지축(422)은 상기 상부지지몸체(421)의 일측 상부 내측과 타측 상부 내측에 각각 형성된 상기 상부가이드홈(421b)에 승강가능하게 수용되는 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upper support shaft 422 of the upper support member 420 is of various types, such as bolts, which are liftably accommodated in the upper guide grooves 421b formed in the upper inner side of one side and the upper inn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pport body 421, respectively. can be made with

상기 상부지지부재(420)의 상부스토퍼(423)는 상기 상부지지축(422)에 승강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상기 상부지지몸체(421)의 상부와 접한 상태로 상기 상부지지몸체(421)를 지지하는 너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upper stopper 423 of the upper support member 420 is screwed up and down to the upper support shaft 422 to support the upper support body 421 while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body 421 . It can be made of various types, such as a nut.

다음으로, 상기 하부지지몸체(411)의 원활한 상하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전측부 하부 내측에 하부가이드프레임(50)이 형성될 수 있다.Next, in order to guide the smooth vertical movement of the lower support body 411 , a lower guide frame 50 may be formed inside the lower front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10 .

상기 하부가이드프레임(50)은 상기 수평프레임(10)의 내측 하부면에서 상기 수평프레임(10)의 내측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하부지지몸체(411)의 후측과 접할 수 있다.The lower guide frame 50 may extend vertically from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10 to the inner upper direc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0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be in contact with the rear side of the lower support body 411 .

상기 하부가이드프레임(50)은 상기 수평프레임(10)을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될 수 있다.The lower guide frame 50 may extend left and right 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horizontal frame 10 .

다음으로, 상기 상부지지몸체(421)의 원활한 상하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전측부 상부 내측에 상부가이드프레임(60)이 형성될 수 있다.Next, in order to guide the smooth vertical movement of the upper support body 421 , the upper guide frame 60 may be formed inside the upper inner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10 .

상기 상부가이드프레임(60)은 상기 수평프레임(10)의 내측 상부면에서 상기 수평프레임(10)의 내측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상부지지몸체(421)의 후측과 접할 수 있다.The upper guide frame 60 may vertically extend from an inner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10 to an inner lower direc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0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be in contact with the rear side of the upper support body 421 .

상기 상부가이드프레임(60)은 상기 수평프레임(10)을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될 수 있다.The upper guide frame 60 may extend left and right 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horizontal frame 10 .

도 37은 제 4예의 유리지지부의 상하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한 상하이동프레임 및 일예의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종단면도이고, 도 38은 도 37의 결합종단면도이다.37 is an exploded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rtical moving frame for precisely adjusting the vertical height of the glass support portion of the fourth example and a support portion of an example, and FIG. 38 is a combined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37 및 도 3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00)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상기 끼움홈(110, 120, 130)에는 제 4예의 상기 유리지지부(20)를 이룰 수 있는 연장판(208)의 끼움돌기(209)가 각각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될 수도 있다.37 and 38, the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110, 120, 130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side the vertical moving frame 100 are extended to form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fourth example. The fitting projections 209 of the plate 208 may be respectively detachably fitted.

도 39는 상하이동프레임과 일예의 지지부에 의해 제 4예의 유리지지부의 상하높이가 정밀하게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39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height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fourth example is precisely adjusted by the vertical movement frame and the support part of one example.

제 4예의 상기 유리지지부(20)를 이룰 수 있는 연장판(208)이 높낮이 조절된 상태로 끼움고정되는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00)은 상기 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높낮이 조절될 수 있다.The vertical movement frame 100 to which the extension plate 208 that can form the glass support 20 of the fourth example is fitted in a height-adjusted state can be adjusted in height by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10 have.

제 4예의 상기 유리지지부(20)를 이룰 수 있는 연장판(208)이 높낮이 조절된 상태로 끼움고정되면서 상기 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높낮이 조절되는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00)을 지지하기 위한 상기 지지부(40)는 일예로, 도 37 내지 도 3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하부지지몸체(411)와 상기 하부지지축(4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extension plate 208 capable of forming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fourth example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10 while being fitted and fixed in a height-adjusted state to support the vertically movable frame 100 whose height is adjusted. For example, the support part 4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lower support body 411 and the lower support shaft 412 to be large, as shown in FIGS. 37 to 39 .

도 40은 상하이동프레임과 다른예의 지지부에 의해 제 4예의 유리지지부의 상하높이가 정밀하게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4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height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fourth example is precisely adjusted by the vertical movement frame and the support part of the other example.

제 4예의 상기 유리지지부(20)를 이룰 수 있는 연장판(208)이 높낮이 조절된 상태로 끼움고정되면서 상기 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높낮이 조절되는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00)을 지지하기 위한 상기 지지부(40)는 다른예로, 도 4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하부지지몸체(411)와 상기 하부지지축(412)으로 구성되는 상기 하부지지부재(410)와; 상기 상부지지몸체(421)와 상기 상부지지축(422)으로 구성되는 상기 상부지지부재(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extension plate 208 capable of forming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fourth example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10 while being fitted and fixed in a height-adjusted state to support the vertically movable frame 100 whose height is adjusted.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40, the support part 40 for The upper support member 420 composed of the upper support body 421 and the upper support shaft 422; may be included.

도 41 및 도 42는 상하이동프레임과 또 다른예의 지지부에 의해 제 4예의 유리지지부의 상하높이가 정밀하게 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41 and 42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vertical height of the glass support part of the fourth example is precisely adjusted by the vertical moving frame and the support part of another example.

제 4예의 상기 유리지지부(20)를 이룰 수 있는 연장판(208)이 높낮이 조절된 상태로 끼움고정되면서 상기 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높낮이 조절되는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00)을 지지하기 위한 상기 지지부(40)는 또 다른예로, 도 41 및 도 4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하부지지몸체(411), 상기 하부지지축(412) 및 상기 하부스토퍼(4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extension plate 208 capable of forming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fourth example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10 while being fitted and fixed in a height-adjusted state to support the vertically movable frame 100 whose height is adjusted.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S. 41 and 42, the support part 40 for can

상기 지지판부(30)가 높낮이 조절된 상태로 끼움고정되면서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높낮이 조절되는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00)을 지지하기 위한 상기 지지부(40)는 또 다른예로, 도 41 및 도 4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하부지지몸체(411), 상기 하부지지축(412) 및 상기 하부스토퍼(413)로 구성되는 상기 하부지지부재(410)와; 상기 상부지지몸체(421), 상기 상부지지축(422) 및 상기 상부스토퍼(423)로 구성되는 상기 상부지지부재(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ort part 40 for supporting the vertically movable frame 100 whose height is adjusted by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0 while the support plate part 30 is fitted in a height-adjusted state i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S. 41 and 42, the lower support member 410 is largely composed of the lower support body 411, the lower support shaft 412, and the lower stopper 413; The upper support body 421, the upper support shaft 422, and the upper support member 420 composed of the upper stopper 423; may be made to include.

상기 지지부(40)를 통해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00)과 함께 제 3예 및 제 4예의 유리지지부(20)의 상하높이를 상기 유리(3)의 상하폭에 따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vertical height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of the third and fourth examples together with the vertical moving frame 100 can be precis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vertical width of the glass 3 through the support part 40 .

10; 프레임, 20; 유리지지부,
30; 탄성부.
10; frame, 20; glass support,
30; elastic part.

Claims (11)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에 구비되는 유리지지부(20)와;
상기 유리지지부(20)에 구비되어 유리부(3)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30)와;
중간판부재(121)와, 상기 중간판부재(12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몸체(124) 및 하부몸체(125)로 구성되어 상기 유리지지부(20)의 전측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몸체(124)의 내측 및 상기 하부몸체(125)의 내측에 상기 유리부(3)에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중공공간(126, 127)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124)의 후측 및 상기 하부몸체(125)의 후측에 상기 상부몸체(124)와 상기 유리부(3) 사이의 슬립현상을 방지 및 상기 하부몸체(125)와 상기 유리부(3) 사이의 슬립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부(128, 129)가 각각 형성되는 보강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이 우수한 창호.
frame 10;
a glass support 20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ame 10;
an elastic part 30 provided on the glass support part 20 to elastically support the glass part 3;
The intermediate plate member 121 and the upper body 124 and the lower body 125 respectively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termediate plate member 121 ar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and the Hollow spaces 126 and 127 for absorbing vibration generated in the glass part 3 are formed inside the upper body 124 and inside the lower body 125, respectively, and Preventing the slip phenomenon between the upper body 124 and the glass part 3 on the rear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lower body 125 and preventing the slip phenomenon between the lower body 125 and the glass part 3 A window with excellent earthquake resist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에 구비되고,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고정턱(23)과 하부고정턱(24)이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유리지지부(20)와;
상기 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형으로 복수개로 수평배치되어 상기 유리지지부(2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3)를 탄성지지하는 상부탄성판부재(307)와, 상기 상부탄성판부재(307)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고정턱(23)의 내측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하부전측탄성판(302) 및 하부후측탄성판(303)으로 구성되는 탄성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이 우수한 창호.
frame 10;
a glass support part 20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ame 10 and having upper and lower fixed jaws 23 and lower fixed jaws 24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respectively;
An upper elastic plate member 307 which is horizontally arranged in a zigzag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10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glass part 3 position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and the upper elastic An elastic part ( 30); windows with excellent seismic resist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에 구비되고,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고정턱(23)과 하부고정턱(24)이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유리지지부(20)와;
상기 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형으로 복수개로 수평배치되어 상기 유리지지부(2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3)를 탄성지지하는 상부탄성판부재(307)와, 상기 상부탄성판부재(307)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고정턱(23)의 내측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하부전측탄성판(302) 및 하부후측탄성판(303)과, 상기 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형으로 복수개로 수평배치되어 상기 유리지지부(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3)를 탄성지지하는 하부탄성판부재(308)와, 상기 하부탄성판부재(308)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하부고정턱(24)의 내측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상부전측탄성판(305) 및 상부후측탄성판(306)으로 구성되는 탄성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이 우수한 창호.
frame 10;
a glass support part 20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ame 10 and having upper and lower fixed jaws 23 and lower fixed jaws 24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respectively;
An upper elastic plate member 307 which is horizontally arranged in a zigzag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10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glass part 3 position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and the upper elastic The lower front elastic plate 302 and the lower rear elastic plate 303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lower front side and the lower rear side of the plate member 307 and are respectively hooked and fixed inside the upper fixing jaw 23, and the frame 10 ) horizontally arranged in a zigzag shape in a plurality of vertical directions to elastically support the glass part 3 position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the lower elastic plate member 308, and the lower elastic plate member 308 ) formed on the upper front side and the upper rear side, respectively, and the elastic part 30 consisting of an upper front elastic plate 305 and an upper rear elastic plate 306 that are respectively caught and fixed inside the lower fixing jaw 24; A window with excellent earthquake resist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에 구비되는 유리지지부(20)와;
상기 유리지지부(20)에 구비되어 유리부(3)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30)와;
상기 유리지지부(20)의 전측방향에 구비되는 커버프레임(22)과;
상기 커버프레임(22)과 상기 유리지지부(20) 사이에 구비되고 상부와 하부에 상기 유리지지부(20)의 전측 상부와 전측 하부를 감싸는 상부돌출부재(122) 및 하부돌출부재(123)가 형성되는 중간판부재(121)와, 상기 중간판부재(12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내측에 각각 중공공간(126)이 형성되며 후측에 각각 요철부(128)가 형성되는 상부몸체(124) 및 하부몸체(125)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몸체(124)와 하부몸체(125)가 상기 프레임(10)의 전측방향으로 각각 회전이동되어 상기 유리지지부(20)와 상기 유리부(3) 사이에 개재되는 보강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이 우수한 창호.
frame 10;
a glass support 20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ame 10;
an elastic part 30 provided on the glass support part 20 to elastically support the glass part 3;
a cover frame 22 provid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unit 20;
An upper protrusion member 122 and a lower protrusion member 123 are provided between the cover frame 22 and the glass support part 20 and surround the front upper part and the front lower part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at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re formed. The middle plate member 121 to be used, and the upper body 124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termediate plate member 121, respectively, the hollow space 126 is formed inside, and the concave-convex portion 128 is formed at the rear side, respectively. ) and a lower body 125, and the upper body 124 and the lower body 125 are rotat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frame 10, respectively, so that the glass support part 20 and the glass part (3) A window with excellent seismic resist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전측에 복수의 끼움홈(110, 120, 130)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에 구비되고, 후측 중간부와 후측 하부에 상기 끼움홈(110, 120, 130)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는 끼움돌기(210)가 형성되는 유리지지부(20)와;
상기 유리지지부(20)에 구비되어 유리부(3)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이 우수한 창호.
a frame 10 in which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110, 120, 130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ide;
A glass support part 20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ame 10 and having fitting projections 210 that are detachably fitted and fixed to the fitting grooves 110, 120, 130, respectively, in the rear middle part and the rear lower part; and ;
and an elastic part (30) provided on the glass support part (20) to elastically support the glass part (3).
전측에 복수의 끼움홈(110, 120, 130)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10)의 끼움홈(110, 120, 130)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는 끼움돌기(209)가 후측에 형성되는 연장판(208)으로 이루어지는 유리지지부(20)와;
상기 유리지지부(20)에 구비되어 유리부(3)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이 우수한 창호.
a frame 10 in which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110, 120, 130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ide;
As an extension plate 208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ame 10 and having fitting protrusions 209 that are detachably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s 110 , 120 and 130 of the frame 10 , respectively, are formed on the rear side. a glass support 20 made of;
and an elastic part (30) provided on the glass support part (20) to elastically support the glass part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지지부(20)의 전측방향에 커버프레임(22)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부(12)의 중간판부재(121)는 상기 커버프레임(22)과 상기 유리지지부(2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중간판부재(121)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유리지지부(20)의 전측 상부와 전측 하부를 감싸는 상부돌출부재(122) 및 하부돌출부재(1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이 우수한 창호.
The method of claim 1,
A cover frame 22 is provid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20,
The intermediate plate member 121 of the reinforcing part 12 is provided between the cover frame 22 and the glass support part 20,
Windows and doors with excellent earthquake resist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rotrusion member 122 and the lower protrusion member 123 surrounding the front upper part and the front lower part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are formed on the upper part and lower part of the intermediate plate member 121 .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에 수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유리지지부(20)는 상기 프레임(10)의 수용홈(11)에 수용되고, 전측 중간부에 끼움홈(201a)이 형성되는 수용판부재(201)와;
상기 수용판부재(201)의 전측 상부와 전측 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상부고정판(202) 및 하부고정판(203)과;
상기 상부고정판(202)의 후측 하부와 상기 하부고정판(203)의 후측 상부에서 각각 상기 끼움홈(201a)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끼움홈(201a)에 끼움고정되는 상부끼움고정돌기(204) 및 하부끼움고정돌기(205)와;
상기 상부고정판(202) 및 하부고정판(203)이 각각 후측 상부와 후측 하부에 형성되는 몸체(20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이 우수한 창호.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 receiving groove 11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ame 10,
The glass support unit 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1 of the frame 10, the receiving plate member 201 having a fitting groove (201a) formed in the middle of the front side;
an upper fixing plate 202 and a lower fixing plate 203 respectively fixed to the front upper portion and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plate member 201;
An upper fitting fixing protrusion ( 204) and a lower fitting fixing protrusion (205);
The upper fixed plate 202 and the lower fixed plate 203 are each formed in the upper rear and lower rear body 206; windows and doors with excellent earthquake resist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에 수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유리지지부(20)는 상기 프레임(10)의 수용홈(11)에 수용되고, 전측 중간부에 끼움홈(201a)이 형성되는 수용판부재(201)와;
상기 수용판부재(201)의 전측 상부와 전측 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상부고정판(202) 및 하부고정판(203)과;
상기 수용판부재(201)의 끼움홈(201a)에 끼움고정되고, 상기 상부고정판(202) 및 하부고정판(203)이 각각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끼움판(207)과;
상기 끼움판(207)의 전측에서 상기 끼움판(207)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연장판(20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이 우수한 창호.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 receiving groove 11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ame 10,
The glass support unit 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1 of the frame 10, the receiving plate member 201 having a fitting groove (201a) formed in the middle of the front side;
an upper fixing plate 202 and a lower fixing plate 203 respectively fixed to the front upper portion and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plate member 201;
a fitting plate 207 fixed to the fitting groove 201a of the receiving plate member 201 and having the upper fixing plate 202 and the lower fixing plate 203 form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An extension plate (208) extending from the front side of the fitting plate (207)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fitting plate (207).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지지부(20)의 상부에 상부고정턱(23)이 상기 유리지지부(2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30)는 내측 상부와 내측 하부에 각각 상부중공공간(301a) 및 하부중공공간(301b)이 형성되고, 상기 유리지지부(2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3)를 탄성지지하는 상부탄성몸체(301)와;
상기 상부탄성몸체(301)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고정턱(23)의 내측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하부전측탄성판(302) 및 하부후측탄성판(30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이 우수한 창호.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6,
Upper fixing jaws 23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front side of the glass supporting unit 20 to the rear side at an upper portion of the glass supporting unit 20,
The elastic part 30 is formed with an upper hollow space 301a and a lower hollow space 301b in the inner upper part and the inner lower part, respectively, and the glass part 3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is elasticized. an upper elastic body 301 for supporting;
Including; A window with excellent seismic resist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structed.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지지부(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고정턱(23)과 하부고정턱(24)이 상기 유리지지부(2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30)는 내측 상부와 내측 하부에 각각 상부중공공간(301a) 및 하부중공공간(301b)이 형성되고, 상기 유리지지부(2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3)를 탄성지지하는 상부탄성몸체(301)와;
상기 상부탄성몸체(301)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고정턱(23)의 내측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하부전측탄성판(302) 및 하부후측탄성판(303)과;
내측 상부와 내측 하부에 각각 상부중공공간(304a) 및 하부중공공간(304b)이 형성되고, 상기 유리지지부(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유리부(3)를 탄성지지하는 하부탄성몸체(304)와;
상기 하부탄성몸체(304)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하부고정턱(24)의 내측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상부전측탄성판(305) 및 상부후측탄성판(30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이 우수한 창호.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6,
An upper fixed jaw 23 and a lower fixed jaw 24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lass support 20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glass support 20,
The elastic part 30 is formed with an upper hollow space 301a and a lower hollow space 301b in the inner upper part and the inner lower part, respectively, and the glass part 3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is elasticized. an upper elastic body 301 for supporting;
a lower front elastic plate 302 and a lower rear elastic plate 303 respectively formed on the lower front side and the lower rear side of the upper elastic body 301 to be respectively caught and fixed inside the upper fixing jaw 23;
An upper hollow space 304a and a lower hollow space 304b are formed in the inner upper part and the inner lower part, respectively, and the lower elastic body 304 elastically supports the glass part 3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glass support part 20 . )Wow;
Including; A window with excellent seismic resist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structed.
KR1020210063656A 2021-05-17 2021-05-17 Windows with excellent earthquake resistance KR1023435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656A KR102343571B1 (en) 2021-05-17 2021-05-17 Windows with excellent earthquake resist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656A KR102343571B1 (en) 2021-05-17 2021-05-17 Windows with excellent earthquake resist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571B1 true KR102343571B1 (en) 2021-12-27

Family

ID=79177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656A KR102343571B1 (en) 2021-05-17 2021-05-17 Windows with excellent earthquake resist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57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101Y1 (en) * 2013-11-19 2014-06-11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windows
KR101744540B1 (en) 2016-08-01 2017-06-09 주식회사 보광 curtain wall
KR101892667B1 (en) * 2017-10-11 2018-08-28 (주)전진기업 window system having insulation structure
KR102069502B1 (en) * 2019-02-26 2020-01-23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Window with excellent insulation and vibration resistan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101Y1 (en) * 2013-11-19 2014-06-11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windows
KR101744540B1 (en) 2016-08-01 2017-06-09 주식회사 보광 curtain wall
KR101892667B1 (en) * 2017-10-11 2018-08-28 (주)전진기업 window system having insulation structure
KR102069502B1 (en) * 2019-02-26 2020-01-23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Window with excellent insulation and vibration resist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460B1 (en) Seismic vibration-absorbing panels
KR200484795Y1 (en) Stoper for window
US4411104A (en) Inswing door bottom and sill assembly
KR101798029B1 (en) A corner piece of an earthquake-proof windows and door sash
KR200491614Y1 (en) finishing panel assembly having pollution preventing and quake proof structure
KR102069502B1 (en) Window with excellent insulation and vibration resistance
KR102337992B1 (en) Earthquake resistant panel for building
KR102460462B1 (en) Aluminum deck for shock absorber
KR102343571B1 (en) Windows with excellent earthquake resistance
KR101549352B1 (en) Earthquake-resistant frame system
KR102100231B1 (en) Stoper for impact prevention of window frame
KR101877014B1 (en) Seismic reinforcing structure
KR102252107B1 (en) Project window association structure
GB2087462A (en) Inswing Door Bottom and Sill Assembly
KR101250508B1 (en) The roof-fixing frame for an arkade constructure
KR200457657Y1 (en) Corner clamp
KR102199146B1 (en) Complicated steel complex curtain wall
KR101295247B1 (en) Composite windows and doors
CN110565827A (en) Anti-seismic assembly and modular building
KR20230086061A (en) Glass railing for extended balcony
KR101663825B1 (en) Wood panel combination structure using magnet
KR20220140949A (en) The support for partition
KR20190048277A (en) Sound proof wall
KR102304374B1 (en) Window with excellent insulation and earthquake resistance and height adjustment
KR101662783B1 (en) Curtain wall having improved assembl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