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399B1 - 스마트폰 받침기구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받침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399B1
KR102343399B1 KR1020210091333A KR20210091333A KR102343399B1 KR 102343399 B1 KR102343399 B1 KR 102343399B1 KR 1020210091333 A KR1020210091333 A KR 1020210091333A KR 20210091333 A KR20210091333 A KR 20210091333A KR 102343399 B1 KR102343399 B1 KR 102343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bottom plate
device fixing
fixing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연
Original Assignee
민병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연 filed Critical 민병연
Priority to KR1020210091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3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2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바닥에서 소정 각도로 세워놓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스마트폰 받침기구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스마트폰의 배면에 고정 설치되는 기기고정판; 일단이 상기 기기고정판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이 상기 기기고정판으로부터 회전되면서 펼쳐지게끔 설치되는 제1바닥판; 상기 기기고정판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바닥판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기기고정판과 제1바닥판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1버팀대; 및 상기 기기고정판을 상기 스마트폰의 배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받침기구{Device For Supporting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파트폰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을 바닥에서 소정 각도로 세워놓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스마트폰 받침기구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은 현대를 사는 우리들에게 필수적인 장치가 되었다. 전화기능은 스마트폰이 가진 기능을 일부에 지나지 않게 되었다. 스마트폰은 일상생활, 학업 또는 업무에 있어서 다방면을 활용되고 있다. 특히 근래 코로나 팬더믹에 의해 앞당겨진 비대면 시대에서 휴대폰의 사용빈도는 더욱 높아졌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화감상, 원격 화상회의, 원격 화상수업이 보편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스마트폰을 바닥에 세워놓고 사용하는 빈도가 높아졌다.
스마트폰을 바닥에 세워놓으려면 소정의 도구가 필요하다. 종래 스마트폰 또는 휴대폰을 바닥에 세워놓음으로써 보기 편하도록 하는 도구가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9753호는 신축 시트 및 슬라이딩 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통하여 한 손 조작시 손가락이 아치형 신축 시트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한 손 조작이 더욱 수월하게 함으로써 한 손 조작시 휴대폰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신축 시트의 아치형으로 설치된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통하여 휴대폰을 직접 안착면 위에 놓을 수 있기에 양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휴대폰 받침대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 휴대폰 받침대는 휴대폰과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소지하고 다니면서 어디서나 사용하기에 불편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9010호는 이동단말을 수용하는 본체 및, 돋보기를 장착한 확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좌우측에는 일체로 수직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좌우측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좌우측 지지대의 외측면에는 상기 본체의 종방향으로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확대부는, 상기 돋보기가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전면부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설치되는 돋보기 장착부와; 상기 돋보기 장착부의 좌우 양측면에서 일체로 상기 본체의 배면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본체의 횡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는 슬라이딩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상기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는 받침대 겸용 돋보기 장착 스마트폰 케이스가 제안된다.
그러나 이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을 하나의 방향으로만 세워놓을 수밖에 없으며, 나아가 휴대폰의 부피감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975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9010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을 바닥에 소정 각도로 세워놓을 수 있게 하는 스마트폰 받침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휴대폰과 일체를 이룸으로써 별도로 소지하고 다니지 않아도 무방하며, 부피감의 증가가 크지 않아서 소지하고 다니기에 부담이 적으며, 스마트폰을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세워놓을 수 있게 하는 스마트폰 받침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스마트폰의 배면에 고정 설치되는 기기고정판; 일단이 상기 기기고정판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이 상기 기기고정판으로부터 회전되면서 펼쳐지게끔 설치되는 제1바닥판; 상기 기기고정판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바닥판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기기고정판과 제1바닥판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1버팀대; 및
상기 기기고정판을 상기 스마트폰의 배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받침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일단이 상기 기기고정판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이 상기 기기고정판으로부터 회전되면서 펼쳐지게끔 설치되는 제2바닥판; 상기 기기고정판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바닥판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기기고정판과 제2바닥판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2버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기기고정판에 설치되며 스마트폰의 가장자리에 끼워져 고정되는 스마트폰케이스이며;
상기 스마트폰케이스와 상기 기기고정판은 일체형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기기고정판에 설치되며 스마트폰의 가장자리에 끼워져 고정되는 스마트폰 케이스; 및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에 상기 기기고정판을 부착 고정시키기 위한 기기고정판부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바닥판과 제2바닥판의 펼쳐지는 방향은 서로 직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1바닥판과 제2바닥판은 독립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동일한 평면 상에 나란히 설치되며 서로 면적이 서로 다르게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바닥판과 제2바닥판의 타단은 자석에 의해 상기 기기고정판에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바닥판과 제2바닥판의 경계선은 상기 제1바닥판의 하단의 폭을 넓게 확보하고, 동시에 상기 제2바닥판의 길이를 길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각 변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고 있을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스마트폰을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바닥에 세워놓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스마트폰 받침기구가 제공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휴대폰과 일체를 이룸으로써 별도로 소지하고 다니지 않아도 무방하며, 부피감의 증가가 크지 않아서 소지하고 다니기에 부담이 적은 스마트폰 받침기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받침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받침기구의 형태가 변형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받침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받침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받침기구의 제2버팀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받침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받침기구의 사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동시에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먼저 설명하며, 이후 필요한 곳에서 나머지 도면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받침기구(100)는 스마트폰(1)의 배면에 고정 설치된다.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기기고정판(111)이 후술되는 다양한 고정수단에 의해 스마트폰(1)의 배면에 고정 설치된다. 스마트폰 받침기구(100)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렌즈 등을 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관통공(101)을 가진다.
기기고정판(111)에는 종래의 스마트폰케이스과 유사한 방식으로 카드안착부(102)가 마련될 수 있다. 신용카드를 소지하고 다닐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기기고정판(111)에는 스마트폰(1)의 카메라렌즈, 후레쉬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1관통공(110a)이 마련되어 있다.
제1바닥판(120)이 기기고정판(111)의 후면에 설치된다. 제1바닥판(120)은 일단이 기기고정판(111)에 힌지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이 회전되면서 기기고정판(111)으로부터 펼쳐지게끔 설치된다. 제1바닥판(120)의 타단에는 자석(121)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어느 정도 힘을 가해야 펼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바닥판(120)에는 스마트폰(1)의 카메라렌즈, 후레쉬 등이 겉으로 드러나도록 하는 제2관통공(120a)이 마련되어 있다. 제1관통공(110a)과 제2관통공은(120a)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관통공(110a)과 제2관통공(120a)이 합쳐져서 관통공(101)을 만들고 있다.
제1버팀대(140)가 기기고정판(111)에 설치된다. 제1버팀대(14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바닥판(120)을 삼각구조로 지지함으로써 기기고정판(111)과 제1바닥판(120)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제1버팀대(140)는 일단(141)은 기기고정판(111)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142)은 회전되면서 펼쳐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제1버팀대의 타단(142)에는 임의로 유동하지 않도록 자석(143)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1바닥판(120)에는 제1버팀대의 타단(142)이 걸려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제1버팀대걸림홈(122)이 마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는 제2바닥판(130)도 기기고정판(111)에 설치된다. 제2바닥판(130)은 일단이 기기고정판(111)에 힌지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이 회전되면서 기기고정판(111)으로부터 펼쳐지게끔 설치된다. 제2바닥판(130)의 타단에도 자석(131)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버팀대(150)가 기기고정판(111)에 설치된다. 제2버팀대(15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2바닥판(130)을 삼각구조로 지지함으로써 기기고정판(111)과 제2바닥판(130)이 소정 각도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제2버팀대(150)는 일단(151)은 기기고정판(111)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152)은 회전되면서 펼쳐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제2버팀대의 타단(152)에는 임의로 유동하지 않도록 자석(153)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2바닥판(130)에는 제2버팀대의 타단(152)이 걸려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제2버팀대걸림홈(132)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기기고정판(111)을 상기 스마트폰(1)의 배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필요하다. 다양한 방식의 고정수단이 고안될 수 있을 것이다. 가장 기본적으로는 기기고정판(111)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케이스(110, 또는 휴대폰케이스)의 일부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스마트폰케이스(110)는 기기고정판(111)과 스마트폰의 가장자리 4면을 타이트하게 감쌀 수 있는 측부홀더(112)로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닥판(120)이 화살표(K1) 방향으로 펼쳐지고, 제2바닥판(130)이 화살표(K2) 방향으로 펼쳐짐으로써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1)을 바닥에서 소정 각도로 세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시된 것처럼 스마트폰(1)을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세울 수가 있게 된다.
제1바닥판(120)과 제2바닥판(130)의 펼쳐지는 방향은 서로 직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제1바닥판(120)과 제2바닥판(130)은 독립적으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동일한 평면 상에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닥판(120)과 제2바닥판(130)은 부등변 평행사변형으로 되어 있고, 또한 면적이 서로 다르게 되어 있을 수 있다.
제1,2바닥판(120,130)의 경계선이 스마트폰(1)의 각 변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제1바닥판(120)의 하단의 폭을 넓게 확보하여 스마트폰(1)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제2바닥판(130)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스마트폰(1)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다양한 형식의 스마트폰(1)에 적용될 수 있다. 근래에는 폴더 형태의 스마트폰이 출시되기도 한다. 이러한 폴딩 형태의 스마트폰은 휴대시 부피감을 줄이는 한편, 부피 대비 넓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폴딩 방식도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도 5는 좌우방향으로 펼쳐지는 스마트폰에 적용되는 스마트폰 받침기구(100')를 예시한다.
기본적인 내용은 위에서 설명된 것과 내용이 같으므로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2바닥판(130)을 지지하기 위한 제2버팀대(150') 역시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제2버팀대(150')는 구성이 이전 실시예의 그것과 다를 수 있다. 즉 길이가 "L" 에서 "L'"로 가변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버팀대(150')는 일단(151)은 기기고정판(111)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152)에는 자석(153)이 설치되는 구성은 같지만, 3개의 단위바(161,162,163)가 자바라 형태로 연결되어 있어서 펼쳐지거나(도 6(b) 참조), 접힐 수 있는(도 6(a) 참조)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1단위바(161)와 제2단위바(162)는 제1축(X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고, 제2단위바(162)와 제3단위바(163)는 제2축(X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이들 단위바(161,162,163)는 접힌 상태에서 하나의 판재와 같은 두께를 가진다.
이러한 제2버팀대(150')에 의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스마트폰을 세워놓을 수도 있게 된다. 길이가 긴 스마트폰을 세워놓을 수 있는 다른 실시예라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받침기구(100)는 기존에 시중에 제공되고 있는 일반적인 스마트폰케이스(110')에 부가적으로 접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성의 스마트폰케이스(110')의 배면(110'a)에 기기고정판부착수단을 이용하여 기기고정판(111)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기기고정판부착수단은 양면접착테잎 또는 접착제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스마트폰의 배면에 기기고정판(111)을 직접 접착 고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된 스마트폰 받침기구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되어 있을 수 있으며 자석(121,131,143,153)을 사용할 수 있게끔 접촉하는 상대편에도 자석 또는 철재가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 : 스마트폰(휴대폰) 100 : 스마트폰 받침기구
101 : 관통공 102 : 카드안착부
110 : 스마트폰케이스 111 : 기기고정판
120 : 제1바닥판 121,131,143,153 : 자석
130 : 제2바닥판 140 : 제1버팀대
150 : 제2버팀대

Claims (6)

  1. 스마트폰의 배면에 고정 설치되는 기기고정판;
    일단이 상기 기기고정판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이 상기 기기고정판으로부터 회전되면서 펼쳐지게끔 설치되는 제1바닥판;
    상기 기기고정판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바닥판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기기고정판과 제1바닥판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1버팀대; 및
    상기 기기고정판을 상기 스마트폰의 배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바닥판과 제2바닥판의 펼쳐지는 방향은 서로 직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1바닥판과 제2바닥판은 독립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동일한 평면 상에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제1바닥판과 제2바닥판은 서로 면적이 서로 다르게 되어 있고,
    상기 제1바닥판과 제2바닥판의 경계선은 상기 제1바닥판의 하단의 폭을 넓게 확보하고, 동시에 상기 제2바닥판의 길이를 길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각 변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받침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기기고정판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이 상기 기기고정판으로부터 회전되면서 펼쳐지게끔 설치되는 제2바닥판;
    상기 기기고정판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바닥판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기기고정판과 제2바닥판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2버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받침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기기고정판에 설치되며 스마트폰의 가장자리에 끼워져 고정되는 스마트폰케이스이며;
    상기 스마트폰케이스와 상기 기기고정판은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받침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기기고정판에 설치되며 스마트폰의 가장자리에 끼워져 고정되는 스마트폰케이스; 및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에 상기 기기고정판을 부착 고정시키기 위한 기기고정판부착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받침기구.
  5. 삭제
  6. 삭제
KR1020210091333A 2021-07-13 2021-07-13 스마트폰 받침기구 KR102343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333A KR102343399B1 (ko) 2021-07-13 2021-07-13 스마트폰 받침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333A KR102343399B1 (ko) 2021-07-13 2021-07-13 스마트폰 받침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399B1 true KR102343399B1 (ko) 2021-12-24

Family

ID=79176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333A KR102343399B1 (ko) 2021-07-13 2021-07-13 스마트폰 받침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3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1800A (ko) * 2008-12-19 2010-06-29 (주)엘티엠에이피 휴대통신단말기용 스탠드조립체
KR20140124036A (ko) * 2013-04-15 2014-10-24 조성실 가로세로 받침시스템이 구성된 프레임 및 휴대폰케이스
KR101499010B1 (ko) 2013-12-18 2015-03-12 박주현 받침대 겸용 돋보기 장착 스마트폰 케이스
KR101849753B1 (ko) 2015-10-20 2018-05-31 박진규 휴대폰 받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1800A (ko) * 2008-12-19 2010-06-29 (주)엘티엠에이피 휴대통신단말기용 스탠드조립체
KR20140124036A (ko) * 2013-04-15 2014-10-24 조성실 가로세로 받침시스템이 구성된 프레임 및 휴대폰케이스
KR101499010B1 (ko) 2013-12-18 2015-03-12 박주현 받침대 겸용 돋보기 장착 스마트폰 케이스
KR101849753B1 (ko) 2015-10-20 2018-05-31 박진규 휴대폰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5345B2 (en) Mobile device accessory
KR102464948B1 (ko) 연성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모바일 통신장치용 힌지구조
US8842425B2 (en) Variable display area type display device
US9259068B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00072334A1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US20140375901A1 (en) Computing device and case having adjustable shade
TW201228522A (en) Case with integrated swivel hand-strap and pullout stand system
US20140349719A1 (en) Adjustable folding shade
KR20140007050A (ko) 휴대단말기 케이스
TWI676411B (zh) 支撐架
KR102343399B1 (ko) 스마트폰 받침기구
CN208046700U (zh) 支架结构及手机壳
JP5220930B1 (ja) スマートフォンケース
KR20180083007A (ko) 안전거치대를 일체로 형성한 셀카봉
US20210337057A1 (en) Foldable clip-on phone tripod
KR20130007167U (ko) 휴대폰용 접이식 받침구
KR101364157B1 (ko) 멀티힌지구조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KR200488289Y1 (ko) 휴대 단말기 거치수단
KR101946952B1 (ko) 휴대폰 케이스
JP3077035U (ja) 画面表示部を有する携帯用電気機器の拡大部付きスタンド
CN214675226U (zh) 一种具有折叠屏幕的手机
CN209710171U (zh) 一种带支架组件的手机壳
CN214900948U (zh) 一种壳体及电子设备
KR102291149B1 (ko)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
KR102507974B1 (ko) 접이식 휴대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