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275B1 - 마스크 기능을 가지는 목토시 - Google Patents

마스크 기능을 가지는 목토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275B1
KR102343275B1 KR1020200117982A KR20200117982A KR102343275B1 KR 102343275 B1 KR102343275 B1 KR 102343275B1 KR 1020200117982 A KR1020200117982 A KR 1020200117982A KR 20200117982 A KR20200117982 A KR 20200117982A KR 102343275 B1 KR102343275 B1 KR 102343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contact
wearer
face
yarn
moktosh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현
Original Assignee
정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현 filed Critical 정승현
Priority to KR1020200117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12Neck or shoulders area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9Yarns or threads with antibacteri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마스크 기능을 가지는 목토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토시는, 착용자의 목을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고, ATB-UV+(anti-bacterial) 원사에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원사를 섞어 형성된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항균 원사로 구성된 목토시 본체부; 상기 목토시 본체부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고, 착용자 안면의 코 및 입 부분과 맞닿는 위치에 배치되고, 착용자의 안면 구조와 대응되는 돌기구조가 형성된 안면 접촉부; 및 상기 안면 접촉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필터를 수납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수납공간이 마련된 마스크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착용자의 안면 부위를 보호하고 호흡 시 병균, 먼지 등의 흡입 및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목토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스크 기능을 가지는 목토시{Neck Warmer With Mask Function}
본 발명은 마스크 기능을 가지는 목토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착용자의 안면 부위를 보호하고 호흡 시 병균, 먼지 등의 흡입 및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목토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절기에 낚시나 등산, 자전거 등과 같은 레저 활동을 할 때나 외부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들의 경우 동절기의 차가운 바람 즉 냉기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 방한기능을 갖는 의복을 착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방한기능을 갖는 의복의 경우 신체의 상체와 하체에 대한 방한기능을 갖기 때문에 방한기능을 갖는 의복을 착용하더라도 착용자의 목과 얼굴이 그대로 노출되고 노출된 착용자의 목과 얼굴에 차가운 바람이 그대로 닿게 되어 착용자의 목과 얼굴에 대한 방한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얼굴은 물론 목부분의 방한을 위해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넥워머가 사용되고 있으며, 종래 넥워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했을 때 눈과 이마를 제외한 얼굴 전체 및 목을 덮어 동절기의 차가운 바람으로부터 보호받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넥워머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재질을 기능성 스판으로 하여 사용자가 탄력성을 이용하여 얼굴에 뒤집어 착용하도록 하고 있다.
기존 마스크는 레저활동, 실외현장 근무 등 부득이한 야외활동 시 안면에 견고하게 부착되기 어렵다. 또한, 마스크 부착 부위 이 외의 피부는 먼지와 햇빛으로부터 보호받기 어려워 기존의 마스크 단독으로는 자유로운 야외활동에 제약이 있었다. 그리고 겨울철에도 실외근무시에 미세먼지나 바이러스 등을 막기위해 마스크를 쓰고 그 위에 방한용 목토시를 착용하게 되는데, 이때 이중착용의 불편함과 두제품의 마찰로 인해 안에 착용한 마스크가 흘러내리거나 제품의 모양이 변형되어 마스크의 충분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게 됩니다.
또한 일반 나일론 계열 목토시의 경우에는 단순히 햇빛을 차단할 수는 있겠지만 미세먼지 차단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우며, 항균원사가 아닌 일반원사를 사용하여 장시간 착용시에 호흡기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세균증식으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1313호 (공개일자: 2012년02월27일)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착용자의 안면 부위를 보호하고 호흡 시 병균, 먼지 등의 흡입 및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목토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토시는, 착용자의 목을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고, ATB-UV+(anti-bacterial) 원사에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원사를 섞어 형성된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항균 원사로 구성된 목토시 본체부; 상기 목토시 본체부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고, 착용자 안면의 코 및 입 부분과 맞닿는 위치에 배치되고, 착용자의 안면 구조와 대응되는 돌기구조가 형성된 안면 접촉부; 및 상기 안면 접촉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필터를 수납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수납공간이 마련된 마스크 삽입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목토시 본체부는, ATB-UV+(anti-bacterial) 항균원사에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원사를 5 내지 20 % 혼합하여 제작된 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비율은 원단의 용도와 두께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면 접촉부는, 상기 안면 접촉부의 테두리를 따라 내측에 장착되고, 착용자 안면의 코 및 입 부분을 감싸는 단일폐곡선 구조이며, 안면의 윤곽을 따라 변형될 수 있는 와이어 소재로 구성된 안면 접촉프레임; 및 상기 안면 접촉프레임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안면 접촉프레임과 결속되는 상방 돌출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면 접촉프레임은, 상기 안면 접촉부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변경 가능하도록 다수의 결속구조가 양측에 형성된 와이어 구조가 다수 결속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방 돌출프레임은, 상기 안면 접촉프레임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변경 가능하도록 다수의 결속구조가 양측에 형성된 와이어 구조가 다수 결속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기구조는, 상기 안면 접촉부의 일측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거나, 상기 안면 접촉부의 일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기구조는,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유연한 구조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구조는, 목토시 본체부를 구성하는 항균 원사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되고, 착용자의 코와 안면 사이의 공간을 차지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삽입부는, 상기 안면 접촉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스크 삽입부는, 둘 이상의 서로 겹쳐서 고정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 삽입부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접어 폭을 변경하거나 두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토시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목토시 본체부, 돌기구조, 안면 접촉부, 마스크 삽입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착용자의 안면 부위를 보호하고 호흡 시 병균, 먼지 등의 흡입 및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목토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토시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안면 접촉프레임 및 상방 돌출프레임을 포함하는 안면 접촉부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의도에 따라 안면 접촉부의 형상을 변경하여 착용자 안면의 코 및 입 부분을 감싸는 공간의 형태와 크기를 변경할 수 있어, 착용자의 취향과 착용 환경에 따라 적절히 활용할 수 있어, 보다 쾌적한 착용 상태를 보장하는 목토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토시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돌기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코와 안면 사이의 공간을 안정적으로 밀폐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착용자의 호흡기로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쾌적한 착용 상태를 보장하는 목토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토시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마스크 삽입부를 구비함으로써, 삽입하고자 하는 필터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적절히 마스크 삽입부의 크기와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착용자의 취향과 착용 환경에 따라 적절히 활용할 수 있어, 보다 쾌적한 착용 상태를 보장하는 목토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목토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토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목토시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토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안면 접촉부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토시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실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토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목토시를 나타내는 전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목토시(100)는, 특정 구조의 목토시 본체부(110), 돌기구조(121), 안면 접촉부(120) 및 마스크 삽입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착용자의 안면 부위를 보호하고 호흡 시 병균, 먼지 등의 흡입 및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목토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목토시(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목토시 본체부(110)는, 착용자의 목을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는 구성으로서, ATB-UV+(anti-bacterial) 원사에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원사를 섞어 형성된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항균 원사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목토시 본체부(110)는, ATB-UV+(anti-bacterial) 항균원사에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원사를 5 내지 20 % 혼합하여 제작된 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위 언급한 혼합 비율은 원단의 용도와 두께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경우에 따라서, 목토시 본체부(110)를 구성하는 직물소재는, 에어로실버(aerosilver) 원사를 포함하여 직조된 신축성 있는 원단을 적용한 후, 폴리진(polygiene)처리하여 항균, 소취, 흡한 속건 및 자외선 차단의 기능성을 갖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목토시 본체부(110)는 두 가지 편직물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목토시 본체부(110)는 하부 편직물과 수직 편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부 편직물은, 구리 성분을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섬유와 구리 성분을 포함하는 비전도성 섬유를 포함하는 편직물이다. 또한, 수직 편직물은 모노 필라멘트사 섬유를 포함하는 편직물이다. 이때, 모노 필라멘트사는 폴리프로필렌 모노사, 나일론 모노사, 및 폴리에스터 모노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며, 구리 성분을 포함하는 비전도성 섬유와 함께 편직된 것이다.
바람직하게, 하부 편직물과 수직 편직물의 적층 구조에 의해 생성되는 사이 공간에는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목토시 본체부(110)는, 공기층이 개재된 다층 편직물 구조를 포함하고 있어, 쿠션감과 단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부 공기층에 세균이 서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항균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안면 접촉부(120)는, 목토시 본체부(1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고, 착용자 안면의 코 및 입 부분과 맞닿는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착용자의 안면 구조와 대응되는 돌기구조(12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돌기구조(121)는, 안면 접촉부(120)의 일측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안면 접촉부(120)의 일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돌기구조(121)는,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유연한 구조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돌기구조(121)는, 목토시 본체부(110)를 구성하는 항균 원사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착용자의 코와 안면 사이의 공간을 차지하는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돌기구조(121)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코와 안면 사이의 공간을 안정적으로 밀폐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착용자의 호흡기로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쾌적한 착용 상태를 보장하는 목토시를 제공할 수 있다.
마스크 삽입부(130)는, 안면 접촉부(120)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써, 내부에 필터(131)를 수납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수납공간이 마련된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삽입부(130)는, 안면 접촉부(12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마스크 삽입부(130)는, 둘 이상의 서로 겹쳐서 고정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삽입부(13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접어 폭을 변경하거나 두께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마스크 삽입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삽입하고자 하는 필터(131)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적절히 마스크 삽입부(130)의 크기와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착용자의 취향과 착용 환경에 따라 적절히 활용할 수 있어, 보다 쾌적한 착용 상태를 보장하는 목토시를 제공할 수 있다.
마스크 삽입부(130)에 삽입되는 필터는, 항균 성능이 향상된 필터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삽입부(130)에 삽입되는 필터는, 일라이트 입자를 포함하는 일라이트 부직포일 수 있다.
일라이트는 천연 광물로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나 아래 화학구조를 가진 것이 일반적이다.
<일라이트 화학구조식>
Figure 112020097473927-pat00001
이러한 화학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일라이트는 금속 이온 교환이 용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상기 칼륨 등의 이온화 가능한 성분을 이온 교환함으로써 항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라이트의 이온교환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383454호에서도 공지되어 있는데, 일라이트를 은 이온 교환하여 이온교환 일라이트를 제조함으로써 항균성능을 획득할 수 있다.
은 입자가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널리 알려진 것이나, 마스크에 적용하기에는 공정과 비용에서 경제성이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일라이트 자체를 적절하게 가공함으로써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토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안면 접촉부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목토시(100)의 안면 접촉부(120)는, 특정 구조의 안면 접촉 프레임(122) 및 상방 돌출프레임(123)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면 접촉프레임(122)은, 안면 접촉부(120)의 테두리를 따라 내측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착용자 안면의 코 및 입 부분을 감싸는 단일폐곡선 구조이며, 안면의 윤곽을 따라 변형될 수 있는 와이어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안면 접촉프레임(12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 접촉부(120)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구성이다. 또한, 안면 접촉프레임(122)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변경 가능하도록 다수의 결속구조(122b)가 양측에 형성된 와이어 구조(122a)가 다수 결속되어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방 돌출프레임(123)은, 안면 접촉프레임(122)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안면 접촉프레임(122)과 결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방 돌출프레임(123)은, 안면 접촉프레임(122)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변경 가능하도록 다수의 결속구조(123b)가 양측에 형성된 와이어 구조(123a)가 다수 결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안면 접촉프레임(122) 및 상방 돌출프레임(123)을 포함하는 안면 접촉부(120)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의도에 따라 안면 접촉부(120)의 형상을 변경하여 착용자 안면의 코 및 입 부분을 감싸는 공간의 형태와 크기를 변경할 수 있어, 착용자의 취향과 착용 환경에 따라 적절히 활용할 수 있어, 보다 쾌적한 착용 상태를 보장하는 목토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목토시
110: 목토시 본체부
120: 안면 접촉부
121: 돌기구조
122: 안면 접촉프레임
122a: 와이어 구조
122b: 결속구조
123: 상방 돌출프레임
123a: 와이어 구조
123b: 결속구조
130: 마스크 삽입부
131: 필터

Claims (5)

  1. 착용자의 목을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고, ATB-UV+(anti-bacterial) 원사에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원사를 섞어 형성된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항균 원사로 구성된 목토시 본체부(110);
    상기 목토시 본체부(1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고, 착용자 안면의 코 및 입 부분과 맞닿는 위치에 배치되고, 착용자의 안면 구조와 대응되는 돌기구조(121)가 형성된 안면 접촉부(120); 및
    상기 안면 접촉부(120)에 장착되고, 내부에 필터(131)를 수납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수납공간이 마련된 마스크 삽입부(130);
    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구조(121)는,
    상기 안면 접촉부(120)의 일측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유연한 구조의 소재로 구성되며,
    목토시 본체부(110)를 구성하는 항균 원사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되고, 착용자의 코와 안면 사이의 공간을 차지하는 구조이고,
    상기 안면 접촉부(120)는,
    상기 안면 접촉부(120)의 테두리를 따라 내측에 장착되고, 착용자 안면의 코 및 입 부분을 감싸는 단일폐곡선 구조이며, 안면의 윤곽을 따라 변형될 수 있는 와이어 소재로 구성된 안면 접촉프레임(122); 및
    상기 안면 접촉프레임(122)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안면 접촉프레임(122)과 결속되는 상방 돌출프레임(123);
    을 포함하고,
    상기 안면 접촉프레임(122)은,
    상기 안면 접촉부(120)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변경 가능하도록 다수의 결속구조(122b)가 양측에 형성된 와이어 구조(122a)가 다수 결속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방 돌출프레임(123)은,
    상기 안면 접촉프레임(122)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변경 가능하도록 다수의 결속구조(123b)가 양측에 형성된 와이어 구조(123a)가 다수 결속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토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17982A 2020-09-14 2020-09-14 마스크 기능을 가지는 목토시 KR102343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982A KR102343275B1 (ko) 2020-09-14 2020-09-14 마스크 기능을 가지는 목토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982A KR102343275B1 (ko) 2020-09-14 2020-09-14 마스크 기능을 가지는 목토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275B1 true KR102343275B1 (ko) 2021-12-27

Family

ID=7917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982A KR102343275B1 (ko) 2020-09-14 2020-09-14 마스크 기능을 가지는 목토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27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403U (ko) * 2007-02-14 2008-08-20 김용환 필터 교환형 방진 마스크
KR20120001313U (ko) 2010-08-17 2012-02-27 정연우 목토시
US20160213959A1 (en) * 2014-11-28 2016-07-28 Skotti Llc Protective Garment
KR20180058604A (ko) * 2016-11-24 2018-06-01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홀더부재가 형성되는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KR102124114B1 (ko) * 2020-03-18 2020-06-18 홍재의 마스크 기능이 구비된 넥 워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403U (ko) * 2007-02-14 2008-08-20 김용환 필터 교환형 방진 마스크
KR20120001313U (ko) 2010-08-17 2012-02-27 정연우 목토시
US20160213959A1 (en) * 2014-11-28 2016-07-28 Skotti Llc Protective Garment
KR20180058604A (ko) * 2016-11-24 2018-06-01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홀더부재가 형성되는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KR102124114B1 (ko) * 2020-03-18 2020-06-18 홍재의 마스크 기능이 구비된 넥 워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77601B (zh) 模块化面部面罩
KR101954022B1 (ko) 밀폐성을 구비한 미세먼지 차단용 넥워머
KR200448087Y1 (ko) 다기능성 밴드
KR102199774B1 (ko) 목걸이줄을 구비한 항균마스크
KR100769488B1 (ko) 자외선 차단용 황토 마스크
EP0157140A1 (en) Protective clothing for particulate control
WO1994002041A1 (en) Surgical cap and mask
KR101315357B1 (ko) 방제복 안면 보호대
KR102343275B1 (ko) 마스크 기능을 가지는 목토시
EP3944886A1 (en) A composite material for use in a face mask, and a face mask formed thereof
KR102078959B1 (ko) 핀홀 안경 효과를 가진 마스크
CN113208207B (zh) 口罩
CN108260867A (zh) 一种便捷防护服
US20220110378A1 (en) Performance fabric ppe face mask
JP3228463U (ja) フェイスカバー
KR20210026638A (ko) 접착식 라벨지와 수정토를 포함하는 사용여부 확인이 가능한 기능성 마스크
KR20200126869A (ko) 친환경 건강 마스크
CN211910646U (zh) 一种真丝抗病毒口罩
KR20110002632U (ko) 마스크
CN220157638U (zh) 一种防护口罩面罩一体装置
KR200338221Y1 (ko) 코 필터
CN212754337U (zh) 一种防护服
KR101228042B1 (ko) 농약 살포용 마스크
KR200497216Y1 (ko) 안면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의류
JP3227797U (ja) 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