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028B1 - 진공 흡착구 - Google Patents

진공 흡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028B1
KR102343028B1 KR1020200018714A KR20200018714A KR102343028B1 KR 102343028 B1 KR102343028 B1 KR 102343028B1 KR 1020200018714 A KR1020200018714 A KR 1020200018714A KR 20200018714 A KR20200018714 A KR 20200018714A KR 102343028 B1 KR102343028 B1 KR 102343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late
suction
plate
head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4241A (ko
Inventor
이정숙
Original Assignee
이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숙 filed Critical 이정숙
Priority to KR1020200018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028B1/ko
Publication of KR20210104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흡착구에 관한 것으로서, 흡착판의 하부 중앙에 진공을 형성하기 위해 흡착판의 머리부가 상측으로 당겨지면 흡착판 중앙 하부의 진공면적이 최소화되어 흡착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흡착판을 가압하는 가압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독립형 가압돌기 단부가 흡착판의 상면을 골고루 가압하여 가압판이 흡착판 상면에서 미끄러지거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압판이 일측 방향으로 당겨지더라도 흡착판의 타측 방향으로 진공면적이 확대되면서 진공면적의 가장자리에서 흡착판 테두리까지의 거리가 짧아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외부공기가 흡착판의 중앙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흡착판의 흡착력을 장시간 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진공 흡착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진공 흡착구 { Vacuum fixture }
본 발명은 진공 흡착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유리, 거울, 타일, 가구 등의 피착물에 부착한 흡착판의 중앙을 상측으로 당기면 흡착판의 중앙부로 진공을 집중시켜 흡착판의 진공면적을 최소화하여 흡착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흡착판을 가압하는 가압판이 흡착판 상면에서 미끄러지거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압판이 일측 방향으로 당겨지더라도 흡착판의 타측 방향으로 진공면적이 확대되는 것을 억제하여 흡착판의 흡착 상태를 장시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진공 흡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흡착구는 유리, 거울, 타일, 가구 등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서도 피착물의 표면(피착면)에 제품을 부착하거나 각종 수건이나 비누 등을 걸거나 올려놓을 수 있는 수건걸이나 비누 받침대, 세면도구 보관함 등과 같은 경량의 생활용품을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기구이다.
이러한 진공 흡착구는 흡착 방식에 따라 손으로 단순 가압하여 진공 압축하는 방식, 지렛대를 당겨 진공 압축하는 방식, 나사 조임을 통해 진공 압축하는 방식 등이 있다. 이들에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09-0096379호(참고문헌 1), 공개특허 제10-2015-0144948호(참고문헌 2)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참고문헌 1은 단순 가압방식의 흡착판에 관한 것으로,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고, 일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일반적인 흡착판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흡착판의 중심부를 손가락으로 단순 가압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흡착판 표면을 가압하는 별도의 구성이 존재하지 않아 구조가 간단하고 흡착 및 분리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중심부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힘이 전혀 제공되지 않아 흡착판의 자체 복원력에 의존함에 따라 유리나 거울 또는 타일 등의 피착면에 가해지는 흡착력이 미약해 잘 떨어져 수건걸이나 비누 받침대, 세면도구 보관함 등을 부착하는데 부적합해 주로 가볍고 깨지지 않는 물건의 고정에만 사용하므로 그 용도가 극히 제한적이다.
다음으로, 상기 참고문헌 2의 종래기술에는 지렛대 방식과 나사 조임 방식의 흡착구의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참고문헌 2의 지렛대 방식의 종래 진공흡착구는 피착면에 밀착력을 갖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된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캡과, 상기 지지캡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피벗결합되는 작동레버로 이루어져, 흡착판을 피착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작동레버를 선회시키면 작동레버와 연결된 포스트에 의해 흡착부재가 들어 올려져 피착면과 흡착판 사이가 진공상태가 되어 피착면에 부착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참고문헌 2의 나사 조임 방식의 종래 진공흡착구는 중앙에 상,하로 관통공이 형성된 캡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관통공에 정렬되며 나사산이 구비된 포스트가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 하측에 구비되는 연질소재로 된 흡착판과, 상기 포스트의 선단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너트와, 저면 일부가 상기 흡착판의 둘레부 상면에 겹쳐지도록 상기 케이스의 저면 둘레부에 끼워지는 가압링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링은 상기 흡착판 보다 경도가 낮은 연질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진공흡착구는 피착면에 가압한 후, 상기 조임너트를 조이면 상기 흡착판의 중앙부가 상향으로 들어 올려지며, 상기 흡착판의 중앙부가 들리면 피착면과 흡착판 사이에 형성되는 밀폐공간에 진공압이 발생하여 진공흡착구가 부착됨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참고문헌 2에 제안된 지렛대 방식과 나사 조임 방식의 흡착구는 흡착판의 사출성형시 흡착판과의 분리 방지를 위해 하부에 원판 형상의 지지부가 형성되는 포스트를 인서트 방식으로 고정함에 따라, 포스트가 상측으로 당겨지면 포스트의 지지부가 흡착판의 중앙부를 들어 올리게 되므로 피착면에서 분리되면서 형성되는 진공면적이 포스트의 지지부 면적 이상으로 넓게 형성됨에 따라 진공면적의 가장자리로부터 흡착판 테두리까지 거리가 짧아지는 원인이 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 우려가 커 장시간 흡착력을 유지하는데 불리하다.
아울러 참고문헌 2의 흡착구는 지지캡 또는 조임너트가 일측 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흡착판의 타측으로 진공공간이 편중되어 진공면적의 타측과 흡착판의 타측 테두리 사이의 거리가 급격하게 짧아져 외부공기는 진공공간으로 급속히 유입되어 피착면에서 쉽게 분리되는 단점도 있다.
이에 더해 참고문헌 2의 흡착구는 케이스의 가장자리 하부를 따라 케이스의 동일 반경의 원주 상에 연속적으로 지지턱이 형성되어 흡착판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므로 초기상태에서는 어느 정도 가압력을 제공하지만, 연질재로 이루어지는 흡착판의 특성상 지지캡 또는 조임너트가 일측 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흡착판의 일측부는 압축되어 두꺼워지고 타측부는 당겨지며 얇아지는 변형이 발생하게 되어 흡착판의 가장자리는 지지턱이 초기에 지지했던 부분이 이탈하면서 외부공기가 진공공간으로 더욱 쉽게 유입되어 흡착구가 피착면에서 더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도 있다.
참고문헌 1 : 공개특허 제10-2009-0096379호 참고문헌 2 : 공개특허 제10-2015-0144948호
이러한 종래 진공 흡착구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흡착판의 중앙부가 상측으로 당겨지는 경우 발생하는 진공면적을 최소화하여 흡착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흡착판을 가압하는 가압판의 하면에 흡착판의 상면을 가압하는 복수의 독립형 가압돌기를 형성하여 가압판이 흡착판 상면에서 미끄러지거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압판이 일측 방향으로 당겨지더라도 흡착판의 타측 방향으로 진공면적이 확대 및 편중되면서 진공면적의 가장자리에서 흡착판 테두리까지의 거리가 짧아지는 것도 최소화하여 외부공기가 진공공간으로 급속히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 흡착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판이 일측으로 당겨지더라도 흡착판의 초기 가압 부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흡착판을 부착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더욱 안정적으로 가압판이 흡착판을 가압하여 흡착판이 피착면에서 안정적인 흡착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진공 흡착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피착물의 피착면에 하면이 밀착되는 흡착 몸체의 중앙 상측으로 머리부가 돌출되는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의 상면을 가압하되 중앙에 상기 머리부가 관통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가압 몸체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하향 돌출되어 상기 흡착판의 흡착 몸체 상면을 가압하는 복수의 독립형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가압판; 및 상기 가압판의 관통부를 통과해 상부로 돌출된 상기 머리부를 상측으로 당기면서 상기 가압판을 상기 흡착판에 가압하는 조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독립형 가압돌기는 가압 몸체의 하부에 하향 돌출되어 상기 흡착판의 흡착 몸체 상면을 가압하도록 원기둥, 각기둥, 반구 형상 중에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독립형 가압돌기는 가압 몸체의 하부에 하향 돌출되어 상기 흡착판의 흡착 몸체 상면을 파고들도록 끝단이 뾰족한 침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흡착판의 머리부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재는 상기 흡착판의 머리부가 안내되며 상기 머리부의 수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머리유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판은 관통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조임부재의 하단이 가압되는 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는 상기 머리부가 상측으로 당겨지면 상기 흡착 몸체의 중심부 주변이 유입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판의 머리부 상단 중앙에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재의 머리유입부에는 상기 흡착판의 머리부 상단 중앙에 형성되는 지지홈에 삽입되는 중심지지돌부가 하향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흡착판의 머리부에 형성된 수나사산 또는 상기 조임부재의 머리유입부에 형성된 암나사산에 윤활유가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흡착판와 조임부재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착판의 하부 중앙에 진공을 형성하기 위해 흡착판의 머리부가 상측으로 당기는 경우 흡착판 중앙 하부의 진공면적이 최소화되어 흡착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흡착판을 가압하는 가압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독립형 가압돌기 단부가 흡착판의 상면을 골고루 가압하여 가압판이 흡착판 상면에서 미끄러지거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압판이 일측 방향으로 당겨지더라도 흡착판의 타측 방향으로 진공면적이 확대되면서 진공면적의 가장자리에서 흡착판 테두리까지의 거리가 짧아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외부공기가 흡착판의 중앙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흡착판의 흡착력을 장시간 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판의 하면에 고르게 복수의 독립형 가압돌기가 형성됨에 따라 표면이 고르지 못해 굴곡진 면을 갖는 울퉁불퉁한 타일 등에 흡착판을 밀착시키더라도 각각의 독립형 가압돌기가 흡착판 상면을 지긋히 가압함에 따라 굴곡진 피착면에 흡착판이 잘 밀착되고 이로 인해 진공 흡착구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판의 독립형 가압돌기가 침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침의 끝단에서 흡착판의 초기 가압 부위가 이탈되는 것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착판을 피착물의 피착면에 가압한 후 지속적으로 독립형 가압돌기의 끝단이 흡착판의 표면을 서서히 파고들며 지지함에 따라 더욱 안정적으로 가압판이 흡착판을 가압하여 피착면에 대한 흡착판의 흡착력도 증가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를 상측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를 하측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흡착구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진공 흡착구(1)는 유리, 거울, 타일, 가구 등의 피착물(2)의 피착면(20)에 흡착되되 머리부(120)가 중앙 상측으로 돌출되는 흡착판(100)과, 상기 흡착판(100)의 상면을 가압하되 상기 머리부(120)가 관통되는 관통부(220)가 중앙에 형성되는 가압판(200)과, 상기 가압판(200)의 관통부(220)를 통과해 상부로 돌출된 상기 머리부(120)를 상측으로 당기면서 상기 가압판(200)을 상기 흡착판(100)에 가압하는 조임부재(300)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흡착판(100)은 연질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유리, 거울, 타일, 가구 등과 같은 피착물(2)의 피착면(20)에 하면이 밀착되는 흡착 몸체(110)와, 상기 흡착 몸체(110)의 중앙 상측에 구비되는 머리부(1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흡착판(100)은 머리부(120)가 흡착 몸체(110)와 동일한 연질재로 일체로 제조하여 머리부(120)를 흡착 몸체(110) 성형시 인서트하여 사출하는 방식에 비해 흡착판(100)의 제조단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고 제조공정 역시 간단하다. 이러한 흡착판(100)은 우레탄, PVC, 고무 등의 다양한 연질재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밀착성이 우수한 다양한 소재도 사용가능하며 이러한 정도의 재질변경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흡착 몸체(110)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 외에도 균등한 범위 내에서의 설계 변경 역시 가능하며 이러한 정도의 변형 정도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 경우 상기 흡착 몸체(110)가 전체적으로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가압판(200)의 하부면 역시 흡착 몸체(110) 상면을 감싸 밀착될 수 있도록 완만하게 하향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 몸체(110)의 중앙 상측으로는 머리부(120)가 수직으로 연장 돌출된다. 이러한 머리부(120)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각기둥, 육각기둥, 팔각기둥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그 외에도 균등한 범위 내에서의 설계 변경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머리부(120)는 상기 조임부재(300)에 의해 상측으로 당겨지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머리부(12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122)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부재(300)와 나사결합된다. 물론 상기 조임부재(300)는 나사결합되는 구조 이외에도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상기 머리부(120)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본원발명은 상기 머리부(120)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며 상기 가압판(200)을 상기 흡착판(100)에 가압할 수 있는 구조라면 나사결합 방식, 지렛대 방식 이외에 다양한 방식을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고, 이러한 정도의 설계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러한 조임부재(300)와 흡착판(100)는 단순 나사 결합되는 구조도 가능하지만, 상기 머리부(120)의 상단 중앙에 지지홈(124)이 형성되어 조임부재(300)와 나사결합시 머리부(120)가 나사결합부위에서 이탈되거나 형상이 뒤틀려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조임부재(300)에 더욱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조임부재(300)에는 상기 지지홈(124)에 삽입되어 머리부(120)를 지지하는 중심지지돌부(320)가 구비된다. 이러한 조임부재(300)에 관해서는 이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흡착 몸체(110)의 테두리에는 수평으로 분리용 손잡이(130)가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분리용 손잡이(130)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외부공기가 진공공간(V)으로 급속히 유입되어 흡착판(100)을 피착면(2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판(200)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흡착판(100)의 흡착 몸체(110) 상면을 유리, 타일 등의 피착면(20)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흡착판(100)의 머리부(120)가 통과되는 관통부(220)가 형성되는 원판형상의 가압 몸체(210)와, 상기 가압 몸체(210)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하향 돌출되어 상기 흡착판(100)의 흡착 몸체(110) 상면을 고르게 가압하도록 복수의 독립형 가압돌기(2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압 몸체(210)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지만, 흡착판(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도 설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도의 설계 변경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가압 몸체(210)의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부(220)는 흡착판(100)의 머리부(120)가 관통부(220)의 상측으로 당겨지는 경우 흡착 몸체(110)의 중심부 주변이 균일하게 안정적으로 상측으로 당겨져 찢어짐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원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 몸체(210)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하향 돌출되어 상기 흡착판(100)의 흡착 몸체(110) 상면을 가압하는 복수의 독립형 가압돌기(230)는 상기 흡착판(100)의 흡착 몸체(110) 상면을 골고루 가압한다. 이러한 독립형 가압돌기(230)는 가압 몸체(210)의 하면에 고르게 형성되는데, 이 경우 동심원상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하향 돌출되게 구비되거나, 하면에 전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복수의 독립형 가압돌기(230)의 배치는 다양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이때, 상기 독립형 가압돌기(230)는 원기둥, 각기둥 등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단이 흡착 몸체(110) 상면을 가압할 수 있고, 기둥 하단에 반구형으로 볼록한 돌출부가 형성되거나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흡착 몸체(110) 상면을 가압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독립형 가압돌기(230)는 끝단이 뾰족한 침 형상으로 이루어져 흡착 몸체(110) 상면을 가압하며 파고들 수도 있도록 원뿔, 삼각뿔, 사각뿔 등 다양한 침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독립형 가압돌기(230)는 가압 몸체(2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압판(200)을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시 가압 몸체(210)의 하면에 독립형 가압돌기(230)가 일체로 함께 형성되도록 제조하거나, 사출 성형시 가압 몸체(210)에 금속재질의 침을 인서트하는 방식으로 독립형 가압돌기(230)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정도의 설계 변경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흡착판(100)을 가압판(200)이 가압한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하면서 서서히 독립형 가압돌기(230)의 단부가 흡착판(100)의 상면을 가압하며 해당 가압 위치를 더욱 견고히 잡아줄 뿐만 아니라 흡착판(100)이 피착면(20)에 더욱 밀착되어 안정적인 흡착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흡착판(100)을 가압하는 가압판(200)이 일측으로 당겨지더라도 흡착판(100)의 타측에 진공공간(V)이 편중되지 않아 흡착판(100)의 중앙 하부가 들뜨는 피착면(20)의 진공면적(S) 타측과 흡착판(100)의 타측 테두리 사이의 거리가 급격하게 짧아지는 것도 방지하여 외부공기가 진공공간(V)으로 급속히 유입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 몸체(210)의 하면 전체에 고르게 복수의 독립형 가압돌기(230)를 형성하는 경우 울퉁불퉁한 타일 등과 같이 피착면(20)이 고르지 못한 굴곡진 면에 독립형 가압돌기(230)가 흡착판(100) 상면을 가압하여 흡착판(100)이 피착면(20)에 잘 밀착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독립형 가압돌기(230)는 흡착판(100) 상면을 파고들도록 가압 몸체(210)의 하면에 끝단이 뾰족한 침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흡착판(100)의 흡착 몸체(110) 상면을 쉽게 파고든다. 특히 이러한 뾰족한 침 형상의 독립형 가압돌기(230)는 연질재로 이루어진 흡착판(100)의 흡착 몸체(110)의 상면을 서서히 깊히 파고들어 가압판(200)이 흡착판 상면에서 미끄러지거나 회전되는 것을 덕욱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가압 몸체(210) 일측으로 돌출되는 걸이부(240)에 물건을 걸어 가압 몸체(210)가 일측으로 하중이 가해져 당겨지더라도 가압 몸체(210)의 독립형 가압돌기(230)의 뾰족한 침이 흡착판(100)의 흡착 몸체(110) 상면의 초기 가압 위치를 벗어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며 가압판(200)이 일측으로 처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흡착판(100)이 더 늘어나는 것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흡착판(100)을 가압판(200)이 가압한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하면서 서서히 독립형 가압돌기(230)의 날카롭고 뾰족한 침의 단부가 흡착판(100)의 상면을 더 깊이 파고들어 뾰족한 침의 단부가 파고든 위치를 더욱 견고히 잡아줄 뿐만 아니라 흡착판(100)이 피착면(20)에 더욱 밀착되어 안정적인 흡착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복수의 독립형 가압돌기(230)는 가압판(200)이 흡착판(100)을 가압하는 경우 하중분산의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가압판(200)의 독립형 가압돌기(230)가 뾰족한 침 형상으로 이루어지면 하중이 일측으로 가해지는 경우 가압판(200)의 타측이 조금 벌어져도 독립형 가압돌기(230)의 침 단부가 흡착판(100)에 깊이 파고들어 박혀 있으므로 가압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유도한다.
이상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가압판(200)의 독립형 가압돌기(230)는 흡착판(100)과 가압판(200) 사이의 표면 밀착 면적 증가를 고려한다면 가압판(200)의 가압 몸체(210) 하면의 독립형 가압돌기(230)를 오목한 밀착홈(미도시됨)으로 대체하여 형성하거나 독립형 가압돌기(230) 들 사이의 공간에 밀착홈을 함께 형성함도 가능하고, 상기 가압판(200)의 가압 몸체(210) 하면에 형성된 독립형 가압돌기(230)를 점착층(미도시됨)으로 대체하여 형성하거나 독립형 가압돌기(230)들 사이의 공간에 점착층을 함께 형성함도 가능하며, 이러한 정도의 설계 변경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가압판(200)은 관통부(220) 가장자리를 따라 조임부재(300)의 가장자리 하단이 가압되는 받침부(222)가 상향 돌출된다. 이러한 받침부(222)는 가압판(200)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강도를 보강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부(222)의 하부에는 수납공간(224)이 형성되어 흡착 몸체(110)의 중심부 주변이 중앙 상부로 당겨지는 경우 수납공간(224)으로 흡착 몸체(110)으로 완만하게 유입되어 흡착 몸체(110)가 급격히 꺾이면서 가압 몸체(210)에 마찰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상기 가압 몸체(210)는 필요에 따라 일 예로 일측에 물건을 걸 수 있는 걸이부(240)가 일체로 더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이부(240)는 상기 가압 몸체(210)의 테두리 일측에 일체로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가압 몸체(210)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이부(240)는 물건을 걸 수 있는 후크(242)가 단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순 원형의 걸이공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걸이부(240)는 후크, 걸이공 이외에 물건을 걸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가압 몸체(210)에서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함도 가능하며, 이러한 정도의 설계 변경 역시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임은 당연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초기에 흡착판(100)의 머리부(120)를 상기 가압판(200)의 관통부(220)로 밀어 넣어 상부로 노출시킨 후 조임부재(300)를 머리부(120)와 나사결합시켜 조이게 되면 조임부재(300)의 하단이 가압판(200)의 받침부(222)에 지지되어 머리부(120)가 상승한다. 이때 상기 조임부재(300)는 상기 머리부(120)에 나사결합시켜 조이면 머리부(120)를 상측으로 끌어올리지만 상대적으로 상기 조임부재(300)는 하강하면서 상기 가압판(200)의 가압 몸체(210)를 흡착판(100)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조임부재(300)는 상기 흡착판(100)의 머리부(120)가 안내되며 상기 머리부(120)의 수나사산(122)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312)이 내주면에 형성된 머리유입부(3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흡착판(100)의 머리부(120)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산(122)과 조임부재(300)의 머리유입부(310)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산(312)의 모양은 삼각단면을 갖는 삼각 나사산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각단면을 갖는 사각 나사산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도의 설계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아울러 상기 조임부재(300)의 외측에는 손으로 잡고 돌리는 경우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용 요철(314)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상기 조임부재(300)가 흡착판(100)과 나사 결합되면서 흡착판(100)의 머리부(120)가 상측으로 당겨지면서 더욱 강한 진공압이 흡착판(100)의 중앙 하부(111)에 집중되어 피착면(20)에 대한 흡착력이 증대되어 장시간 강한 흡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상기 조임부재(300)의 머리유입부(310)에는 상기 흡착판(100)의 머리부(120) 상단 중앙에 형성되는 지지홈(124)에 삽입되는 중심지지돌부(320)가 하향돌출된다. 이때, 상기 흡착판(100)의 머리부(120)에 형성되는 지지홈(124)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지지돌부(320)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조임부재(300)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임부재(300)는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될 수 있는 것으로, 중심지지돌부(320)는 살빼기홈(322)이 더 형성되어 재료소모를 줄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임부재(300)는 합성수지재 이외에도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공지의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 너트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정도의 설계 변경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조임부재(300)를 흡착판(100)과 나사결합시 흡착판(100)의 머리부(120)에 형성된 지지홈(124)에 조임부재(300)의 중심지지돌부(320)가 서서히 삽입되면서 흡착판(100)의 머리부(120)가 상기 조임부재(300)의 머리유입부(310)에서 이탈되거나 형상이 뒤틀려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흡착판(100)과 조임부재(300)가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나사 결합된다.
한편, 조임부재(300)를 흡착판(100)에 조여 놓은 상태에서 오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조임부재(300)의 암나사산(312)에 흡착판(100)의 수나사산(122) 부위가 눌러붙으면 조임부재(300)를 쉽게 풀 수 없다. 이에 상기 흡착판(100)의 머리부(120)에 형성된 수나사산(122) 또는 조임부재(300)의 머리유입부(310)에 형성된 암나사산(312)에 구리스, 비누성분 등 다양한 형태의 미끄러운 재질로 이루어지는 윤활유를 도포한 상태에서 흡착판(100)과 조임부재(300)를 나사결합한다. 이러한 구조는 조임부재(300)를 흡착판(100)에 쉽게 조이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조임부재(300)를 흡착판(100)에 조여 놓은 상태에서 오랜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조임부재(300)를 흡착판(10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흡착판(100)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구조를 갖는 진공 흡착구(1)는 유리, 거울, 타일, 가구 등의 피착물(2)의 피착면(20)에 흡착판(100) 하면을 밀착시켜 공기를 제거한 상태에서 조임부재(300)를 일방향으로 조이면, 상기 흡착판(100)의 머리부(120)가 상승하면서 조임부재(300)의 머리유입부(310)로 안내됨과 동시에 조임부재(300)는 상대적으로 하강하며 가압판(200)의 받침부(222)를 가압하게 되며 가압판(200)의 하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독립형 가압돌기(230)가 흡착판(100)을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속적으로 조임부재(300)를 조이게 되면 머리부(120)가 더욱 상측으로 당겨짐과 동시에 독립형 가압돌기(230)가 흡착판(100) 상면을 더욱 가압하게 되며, 이에 흡착판(100)의 중앙 하부(111)에 진공압이 더욱 집중되어 피착면(20)에 대한 흡착력이 증대되어 장시간 강한 흡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1: 진공 흡착구 2: 피착물
20: 피착면 100: 흡착판
110: 흡착 몸체 120: 머리부
122: 수나사산 124: 지지홈
130: 분리용 손잡이 200: 가압판
210: 가압 몸체 220: 관통부
222: 받침부 224: 수납공간
230: 독립형 가압돌기 240: 걸이부
242: 후크 300: 조임부재
310: 머리유입부 312: 암나사산
314: 미끄럼 방지용 요철 320: 중심지지돌부

Claims (6)

  1. 피착물(2)의 피착면(20)에 하면이 밀착되는 흡착 몸체(110)의 중앙 상측으로 머리부(120)가 돌출되는 흡착판(100)과;
    상기 흡착판(100)의 상면을 가압하되 중앙에 상기 머리부(120)가 관통되는 관통부(220)가 형성되는 가압 몸체(210)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하향 돌출되어 상기 흡착판(100)의 흡착 몸체(110) 상면을 가압하는 복수의 독립형 가압돌기(230)가 형성되는 가압판(200); 및
    상기 가압판(200)의 관통부(220)를 통과해 상부로 돌출된 상기 머리부(120)를 상측으로 당기면서 상기 가압판(200)을 상기 흡착판(100)에 가압하는 조임부재(300)로 구성되며,
    상기 독립형 가압돌기(230)는 가압 몸체(210)의 하부에 하향 돌출되어 상기 흡착판(100)의 흡착 몸체(110) 상면을 파고들도록 끝단이 뾰족한 침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100)의 머리부(120) 외주면에는 수나사산(122)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재(300)는 상기 흡착판(100)의 머리부(120)가 안내되며 상기 머리부(120)의 수나사산(122)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312)이 내주면에 형성된 머리유입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판(200)은 관통부(220)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조임부재(300)의 하단이 가압되는 받침부(222)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222)의 하부에는 상기 머리부(120)가 상측으로 당겨지면 상기 흡착 몸체(110)의 중심부 주변이 유입되는 수납공간(2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100)의 머리부(120) 상단 중앙에는 지지홈(124)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재(300)의 머리유입부(310)에는 상기 흡착판(100)의 머리부(120) 상단 중앙에 형성되는 지지홈(124)에 삽입되는 중심지지돌부(320)가 하향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100)의 머리부(120)에 형성된 수나사산(122) 또는 상기 조임부재(300)의 머리유입부(310)에 형성된 암나사산(312)에 윤활유가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흡착판(100)와 조임부재(300)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구.
  5. 삭제
  6. 삭제
KR1020200018714A 2020-02-17 2020-02-17 진공 흡착구 KR102343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714A KR102343028B1 (ko) 2020-02-17 2020-02-17 진공 흡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714A KR102343028B1 (ko) 2020-02-17 2020-02-17 진공 흡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241A KR20210104241A (ko) 2021-08-25
KR102343028B1 true KR102343028B1 (ko) 2021-12-23

Family

ID=77495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714A KR102343028B1 (ko) 2020-02-17 2020-02-17 진공 흡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0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15266B2 (en) 2020-12-30 2022-08-16 Israel Harry Zimmerman Quick-release anchoring apparatus with self-mounted anchor member
CN114233740B (zh) * 2021-12-29 2023-12-19 吉林大学 一种自适应真空吸盘
WO2023132974A1 (en) * 2022-01-04 2023-07-13 Israel Zimmerman Quick-release anchoring apparatus with self-mounted anchor member
WO2023132973A1 (en) * 2022-01-04 2023-07-13 Israel Zimmerman Quick-release anchoring apparatus with acceleration damping
US11988242B2 (en) 2022-03-25 2024-05-21 Mighty Ventures, Inc. Valve-actuated suction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08667A1 (en) * 2007-06-18 2008-12-18 Tai-In Chang Tissue roll holder
KR101063058B1 (ko) 2010-10-28 2011-09-07 박민식 거치 대 용 기밀 부착 패드
US20180355906A1 (en) * 2014-03-07 2018-12-13 Isee Store Innovations, L.L.C. Securing assembly
KR101979598B1 (ko) 2016-08-09 2019-05-17 장진태 흡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903340A0 (en) * 2003-07-01 2003-07-17 Eznut Pty Ltd Elastic joint element and threaded fasten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KR20090096379A (ko) 2009-06-29 2009-09-10 김정호 인디케이터가 형성된 흡착판
KR20150144948A (ko) 2014-06-18 2015-12-29 유승태 흡착판, 흡착판의 제조방법 및 이 흡착판을 이용한 진공흡착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08667A1 (en) * 2007-06-18 2008-12-18 Tai-In Chang Tissue roll holder
KR101063058B1 (ko) 2010-10-28 2011-09-07 박민식 거치 대 용 기밀 부착 패드
US20180355906A1 (en) * 2014-03-07 2018-12-13 Isee Store Innovations, L.L.C. Securing assembly
KR101979598B1 (ko) 2016-08-09 2019-05-17 장진태 흡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241A (ko)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3028B1 (ko) 진공 흡착구
US6045111A (en) Fixing sucker structure
US6666420B1 (en) Suction cup having compact axial installation and release mechanism
US7513481B2 (en) One way valve
US7503540B2 (en) Detachable suction-based holder
US20070210225A1 (en) Suction cup having compact axial installation and release mechanism
MXPA06012748A (es) Dispositivo sujetador por succion.
TW201723327A (zh) 有利重覆固定使用的真空固定器
CN204646961U (zh) 一种具有阻隔层的新型吸盘
JP2001208035A (ja) カバー式吸盤
US2336632A (en) Athletic shoe pad
KR101532916B1 (ko) 부착력이 향상된 흡착유닛
JP2009092107A (ja) 吸着具
KR102083126B1 (ko) 진공 흡착구
US3131742A (en) Sealing and locking washer for sheet metal nut
KR101671618B1 (ko) 진공흡착구
US20020095831A1 (en) Soft-shelled ornament filled with fluid
KR101707298B1 (ko) 행거 장치
KR100819888B1 (ko) 수납 선반용 신축 지주
JPS62268751A (ja) 吸盤付キヤリアその他の吸着体
JPH05220042A (ja) 吸盤付物掛具
CA1061613A (en) Nut having expansible and reducible body construction
KR100919232B1 (ko) 부착패드
KR102497651B1 (ko) 진공 흡착구
WO2010029535A1 (en) Connector for pipe-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