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576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42576B1 KR102342576B1 KR1020170072734A KR20170072734A KR102342576B1 KR 102342576 B1 KR102342576 B1 KR 102342576B1 KR 1020170072734 A KR1020170072734 A KR 1020170072734A KR 20170072734 A KR20170072734 A KR 20170072734A KR 102342576 B1 KR102342576 B1 KR 1023425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lever
- push
- opening device
- magne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6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WPYVAWXEWQSOGY-UHFFFAOYSA-N indium antimonide Chemical compound [Sb]#[In] WPYVAWXEWQSOG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PQDHPTXJYYUPQ-UHFFFAOYSA-N indium arsenide Chemical compound [In]#[As] RPQDHPTXJYYUP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773 waff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2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D5/28—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with deflection of beams of light, e.g. for direct optical indication
- G01D5/3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with deflection of beams of light, e.g. for direct optical indication the beams of light being detected by photo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도어에 별도의 스위치가 마련되지 않아 도어의 외관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가 눌려지면 상기 도어의 이동량을 감지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마련되는 도어 개방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스위치 없이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등 가전제품이나 가구 등에는 본체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가 장착된다.
도어와 냉장고 본체 사이에는 도어를 닫았을 때 본체와 도어 사이를 밀폐하는 가스켓이 구비된다. 가스켓은 본체와 도어 양측에 밀착되어, 저장실의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를 개폐하여 저장실에 음식물을 넣거나 빼게 된다. 일단 도어를 열었다 닫으면 저장실 내에는 외기가 유입되는데, 유입된 외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냉각되어 비체적이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해 저장실 내부의 압력은 외부에 비하여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를 다시 열고자 할 때는 이러한 압력차를 극복할 수 있는 힘으로 도어를 열어야 하며, 때에 따라서는 도어를 열기 위해 상당히 큰 힘을 가하여야만 한다. 특히, 도어 자체의 무게가 무겁고 저장실의 용량이 큰 냉장고의 경우에는 도어의 개방을 위해 더욱 큰 힘이 필요하므로 도어를 쉽게 개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도어 개방장치를 구비하더라도 도어에 별도의 스위치가 마련되어야 하는 경우, 이러한 스위치로 인해 도어의 디자인 감성 품질이 저하되거나 재료비가 상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자동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도어에 별도의 스위치가 마련되지 않아 도어의 외관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별도의 스위치를 필요로 하지 않아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도어의 일측을 누름으로써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도어의 형태 및 종류에 관계 없이 다양한 도어에 장착될 수 있는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도어에 가해지는 푸시 압력과 도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구분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함으로써 개방 동작의 정확성 및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가 눌려지면 상기 도어의 이동량을 감지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마련되는 도어 개방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는, 상기 도어의 이동량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감지모듈과,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마련되는 푸시모듈과, 상기 감지모듈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푸시모듈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도어가 닫힘 상태일 때 상기 도어와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감지레버와 상기 감지레버의 변위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감지레버의 일 측에 마련되어 상기 감지레버와 함께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의 변위에 따라 변화하는 자기력의 크기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홀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도어의 전면이 눌려지면 상기 도어의 이동량만큼 직선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감지레버와, 상기 감지레버의 이동량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감지레버의 직선 변위를 회전 변위로 전환하고, 상기 감지레버의 변위량을 증폭하도록 마련되는 증폭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포토인터럽터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수광소자가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빛을 수신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차단 또는 허용하도록 마련되는 회전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은 상기 회전판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판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차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은 상기 회전판과 회전중심이 일치하는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는 상기 감지레버가 직선 이동하면 상기 회전판이 회전하도록 상기 증폭기어와 맞물리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감지레버를 상기 도어 쪽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모듈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상기 도어를 밀도록 마련되는 푸시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모듈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변위를 감소시키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증폭시키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푸시레버에 전달하는 감속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레버는, 상기 감속기어의 회전 변위를 직선 변위로 전환시키고, 상기 감속기어와 맞물리게 마련되는 랙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레버는 그 일측에 마련되는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푸시모듈은 상기 마그넷의 자기장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홀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소자는 상기 푸시레버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홀소자와 제2홀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은 상기 제1홀소자와 상기 제2홀소자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도어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푸시모듈은 상기 본체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도어 개방장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도어를 개방하도록 마련되는 푸시레버를 포함하는 푸시모듈과, 상기 도어가 눌려지면 상기 도어와 접촉하여 상기 도어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감지레버와, 상기 감지레버의 이동량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레버 및 상기 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레버의 직선 변위를 회전 변위로 전환하고, 상기 감지레버의 변위량을 증폭하도록 마련되는 증폭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포토인터럽터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수광소자가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빛을 수신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차단 또는 허용하도록 마련되는 회전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레버는 그 일측에 마련되는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푸시모듈은 상기 마그넷의 자기장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홀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가 눌려지면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마련되는 도어 개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방장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도어를 개방하도록 마련되는 푸시레버와, 상기 도어가 눌려지면, 상기 도어의 이동량만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감지레버와, 상기 감지레버의 이동량을 증폭하도록 마련되는 증폭기어 및 상기 감지레버의 증폭된 이동량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자동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도어에 별도의 스위치가 마련되지 않아 도어의 외관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별도의 스위치를 필요로 하지 않아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도어의 일측을 누름으로써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도어의 형태 및 종류에 관계 없이 다양한 도어에 장착될 수 있는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도어에 가해지는 푸시 압력과 도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구분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함으로써 개방 동작의 정확성 및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 개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도어 개방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도어 개방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에서, 회전판이 회전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에서, 회전판의 회전에 따른 포토인터럽터의 수광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에서, 감지레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에서, 푸시레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에서, 푸시레버의 동작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도어 개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도어 개방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 개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도어 개방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도어 개방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에서, 회전판이 회전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에서, 회전판의 회전에 따른 포토인터럽터의 수광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에서, 감지레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에서, 푸시레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에서, 푸시레버의 동작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도어 개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도어 개방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11)을 구비하는 본체(10)와, 저장실(11)의 전면에 마련되어 저장실(11)을 개폐하는 도어(20)와, 도어(20)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도어 개방장치(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냉장고(1)는 일반적인 냉장고와 동일하게 냉동사이클을 이루기 위한 압축기(미도시), 응축기(미도시), 팽창기(미도시) 및 증발기(미도시) 등의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실(11)이 1개로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11)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온도가 가변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저장실 또는 도어의 개수는 얼마든지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냉장고는 2개의 저장실이 상하로 마련되며, 냉동실이 아래에 배치되는 BMF(BOTTOM MOUNTED FREEZER) 타입 또는 냉동실이 위에 배치되는 TMF(TOP MOUNTED FREEZER)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냉장고는 2개의 저장실이 좌우로 배치되는 SBS(SIDE BY SIDE) 타입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20)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도어는 본체에 대해 전진 또는 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서랍식 도어로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 도어의 종류에도 그 제한이 없다.
도어 개방장치(100)는 본체(1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 개방장치(100)는 도어(20)의 전면 일부분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면, 도어(20)를 개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어 개방장치(100)는 본체(10)의 하단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냉장고의 종류에 따라 도어 개방장치(10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 개방장치(100)는 도어의 개수만큼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도어 개방장치(100)의 개수 및 배치는 냉장고의 종류 및 도어의 개수, 설계 사양에 따라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동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어 개방장치(100)는 도어(20)가 닫혔을 때, 도어(20)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감지레버(21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레버(210)는 도어(20)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도어(2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도어(20)와 함께 후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감지레버(210)는 도어(20)의 움직임에 따라 도어(2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20)가 닫혔을 때, 도어(20)의 임의의 일측을 밀어서 도어(20)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어(20)와 본체(10) 사이에는 가스켓(12)이 마련되고, 가스켓(12)은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마련되므로 사용자가 도어(20)를 밀면 도어(20)는 미소한 거리이지만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어(2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도어(20)와 함께 감지레버(210)가 도어 개방장치(10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푸시레버(31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도어(20)를 개방시킬 수 있다.
푸시레버(310)는 후술할 구동모터(32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도어(20)를 전방으로 밀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20)는 푸시레버(310)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푸시레버(310)는 도어(20)를 개방한 후, 구동모터(320)에 의해 원래 위치로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푸시레버(310)는 도어(20)를 개방하기 위해 전방으로 이동한 후, 다시 본래 위치로 돌아가도록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도어 개방장치(100)는 본체(10) 또는 도어(20)에 별도의 스위치가 마련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고, 디자인 감성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스위치로 인한 재료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도어(20)의 전면 임의의 일측을 밀면, 도어 개방장치(100)가 동작하여 도어(2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한 위치에 마련되는 스위치를 누르는 것이 아니라 도어(20)의 전면 중 아무 곳이나 누름으로써 도어(20)를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어(20)에 별도의 스위치가 마련되면, 스위치가 냉장고의 외관을 해칠 우려가 있고, 스위치로 인해 재료비가 상승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는 별도의 스위치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방장치(100)는 도어(20)를 완전히 개방하는 것이 아니라 도어(20)를 본체(10)로부터 이격시켜 사용자가 도어(20)를 적은 힘으로도 쉽게 열도록 할 수 있다. 즉, 가스켓(12)에 의해 본체(10)와 밀착된 도어(20)를 본체(10)로부터 이격시켜 개방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푸시레버(310)의 인출거리를 늘리거나 푸시레버(310)의 형상을 곡선으로 변형하여 도어 개방장치(100)가 도어(20)를 완전히 개방하게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 개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도어 개방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도어 개방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어 개방장치(100)는 도어(20)가 눌려지면, 도어(20)의 이동량을 감지하여 도어(20)를 개방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 개방장치(100)는 도어(20)의 이동량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감지모듈(200)과, 도어(20)를 개방시키도록 마련되는 푸시모듈(300)과, 감지모듈(2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푸시모듈(300)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모듈(200)은 도어(20)의 이동량만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감지레버(210)와, 감지레버(210)의 이동량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감지센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레버(210)는 직선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감지레버(210)는 도어(20)가 닫혔을 때, 도어(20)와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감지레버(210)는 전진 및 후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어(2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감지레버(210)는 도어(20)와 접촉하여 도어(20)와 함께 후퇴 이동할 수 있다.
감지레버(210)는 랙기어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기어부(211)는 증폭기어(2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증폭기어(230)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판(222)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랙기어부(211)는 회전판(222)과 직접 연결되어 회전판(222)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감지센서(220)는 감지레버(210)의 이동량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감지센서(220)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포토인터럽터(221)와, 회전함에 따라 수광소자가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빛을 수신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차단 또는 허용하도록 마련되는 회전판(222)을 포함할 수 있다.
포토인터럽터(221)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포함하고,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빛을 수광소자가 수신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전판(222)은 원판형상의 상면(223)과, 상기 상면(223)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회전판(22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차광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차광부(224) 사이에는 슬릿(225)이 마련될 수 있다.
상면(223)의 중앙에는 회전축이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샤프트홀이 마련될 수 있다. 차광부(224)는 상면(223)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차광부(224)는 상면(223)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슬릿(225)은 연속으로 마련되는 차광부(22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판(22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차광부(224)와 슬릿(225)은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회전판(222)은 기어부(226)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부(226)는 회전판(222)과 회전중심이 일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어부(226)는 상면(223)의 중심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기어부(226)는 감지레버(210)의 랙기어부(211)와 직접 맞물려 감지레버의 직선 변위를 회전 변위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부(226)는 증폭기어(230)와 맞물리게 마련될 수도 있다.
차광부(224) 또는 슬릿(225)은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에 차광부(224)가 배치되면, 수광소자는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빛을 수신하는 것이 차단된다. 반면,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에 슬릿(225)이 배치되면, 수광소자는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빛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수광소자가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빛을 수신하는 것이 허용된다.
회전판(222)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차광부(224)와 슬릿(225)이 반복적으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판(222)은 회전함에 따라 수광소자가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빛을 수신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차단 또는 허용할 수 있다.
감지모듈(200)은 증폭기어(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증폭기어(230)는 감지레버(210)의 직선 변위를 회전 변위로 전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증폭기어(230)는 감지레버(210)의 변위량을 증폭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감지레버(210)는 도어(20)와 접촉하여 도어(20)의 이동량만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도어(20)의 변위량은 대략 0.5 ~ 1.5mm 수준으로 매우 작아 감지센서(220)가 이러한 변위량을 감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는, 감지센서(220)가 이를 감지하더라도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감지모듈(200)은 감지레버(210)의 변위량을 증폭시키기 위해 증폭기어(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증폭기어(230)는 회전축이 일치하는 대경부(231)와 소경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소경부(232)는 대경부(231)보다 지름이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소경부(232)와 대경부(231)는 그 외측 둘레에 형성되는 기어 이빨의 간격이 서로 일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소경부(232)는 감지레버(210)의 랙기어부(211)와 맞물릴 수 있다. 감지레버(210)가 직선 이동하면, 소경부(232)는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소경부(232)는 피니언 기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소경부(232)를 통해, 증폭기어(230)는 감지레버(210)의 직선 변위를 회전 변위로 전환할 수 있다.
대경부(231)는 소경부(232)와 회전축이 일치하므로 소경부(232)가 회전하면 대경부(231)가 함께 회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소경부(232)와 대경부(231)는 기어 이빨의 간격이 일치하므로 소경부(232)와 대경부(231)가 같은 각도로 회전하였을 때, 대경부(231)에서 소경부(232)보다 많은 수의 기어 이빨이 회전하게 된다. 이를 통해, 증폭기어(230)는 감지레버(210)의 변위를 증폭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폭기어(230)가 2개로 마련되는 경우, 감지레버(210)의 변위 증폭량은 더욱 커질 수 있다. 증폭기어(230)가 복수로 마련될 때에는 제1증폭기어(230a)의 대경부(231a)가 제2증폭기어(230b)의 소경부(232b)와 맞물리게 배치되어야 한다. 또한, 제2증폭기어(230b)의 대경부(231b)는 회전판(222)의 기어부(226)와 맞물리게 배치될 수 있다. 증폭기어(230)의 개수는 설계 사양이므로 감지레버(210)의 변위 증폭량을 늘리고자 할 때에는 증폭기어(230)의 개수를 더 늘릴 수 있다.
도어 개방장치(100)는 도어(20)를 개방시키도록 마련되는 푸시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푸시모듈(300)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20)와, 구동모터(32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도어(20)를 밀도록 마련되는 푸시레버(3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320)는 감지모듈(2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동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감지모듈(200)은 사용자가 도어(20)를 밀었을 때, 감지레버의 움직임을 통해 이를 감지할 수 있고, 이러한 감지신호를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하면, 제어부(미도시)가 구동모터(320)를 동작시킬 수 있다.
구동모터(320)는 구동샤프트(321)를 포함하고, 구동샤프트(321)에는 구동기어(322)가 결합될 수 있다.
구동모터(320)는 정회전하여 푸시레버(3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구동모터(320)는 역회전하여 푸시레버(3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푸시레버(310)는 직선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푸시레버(310)는 구동모터(320)와 연결되어 구동모터(32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도어(20)를 밀도록 마련될 수 있다. 푸시레버(20)는 전진 이동하여 도어(20)와 접촉한 후, 도어(20)가 열리는 방향으로 도어(20)를 본체(1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푸시레버(310)는 도어(20)를 개방하기 위해 전방으로 이동한 후, 구동모터(320)에 의해 다시 본래 위치로 돌아가기 위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푸시레버(310)는 랙기어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랙기어부(311)는 구동모터(320)와 직접 연결되어 구동모터(320)의 회전 변위를 직선 변위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 때, 구동기어(322)는 피니언 기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기어부(311)는 감속기어(330)와 연결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푸시레버(310)의 랙기어부(311)와 구동모터(320)의 구동기어(322) 사이에 감속기어(330)가 마련됨으로써 구동모터(320)의 구동력이 증폭될 수 있다.
푸시모듈(300)은 구동모터(320)의 회전 변위를 감소시키도록 마련되는 감속기어(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속기어(330)는 구동모터(320)의 회전 변위를 감소시키는 대신 구동모터(320)의 구동력을 증폭시킬 수 있다. 감속기어(330)는 푸시레버(310)의 랙기어부(311)와 구동모터(320)의 구동기어(3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감속기어(330)는 증폭기어(230)와 마찬가지로 회전축이 일치하는 대경부(331)와 소경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소경부(332)는 대경부(331)보다 지름이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소경부(332)와 대경부(331)는 그 외측 둘레에 형성되는 기어 이빨의 간격이 서로 일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감속기어(330)의 대경부(331)는 구동기어(322)와 맞물릴 수 있다. 감속기어(330)의 소경부(332)는 푸시레버(310)의 랙기어부(311)와 맞물릴 수 있다. 감속기어(330)의 소경부(332)는 피니언 기어로서 기능하여 구동기어(322)의 회전 변위를 푸시레버(310)의 직선 변위로 전환시킬 수 있다.
감속기어(330)가 마련됨으로써, 구동모터(320)의 변위가 감소하는 대신 구동모터(320)의 출력이 증폭될 수 있다. 한편, 감속기어(33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기어(330)는 제1감속기어(330a), 제2감속기어(330b), 제3감속기어(330c) 및 제4감속기어(330d)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감속기어(330a)의 대경부(331a)는 구동기어(322)와 맞물리고, 제1감속기어(330a)의 소경부(332a)는 제2감속기어(330b)의 대경부(331b)와 맞물릴 수 있다. 제2감속기어(330b)의 소경부(332b)는 제3감속기어(330c)의 대경부(331c)와 맞물릴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3감속기어(330c) 및 제4감속기어(330d)가 맞물릴 수 있다. 제4감속기어(330d)의 소경부(332d)는 푸시레버(310)의 랙기어부(311)와 맞물릴 수 있다.
감속기어(330)를 통해, 구동모터(320)의 출력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작은 출력을 가지는 구동모터(320)를 이용하여 도어(20)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출력이 작은 구동모터(320)를 사용함으로써, 구동모터(320)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푸시모듈(300)은 푸시레버(310)의 일측에 마련되는 마그넷(340)과, 마그넷(340)의 자기장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홀소자(3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소자(341)는 푸시레버(31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홀소자(342)와 제2홀소자(243)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340)은 제1홀소자(342)와 제2홀소자(343)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어 개방장치(100)는 도어 개방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감지모듈(200)과 푸시모듈(300)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케이스(110)는 그 내측에 감속기어(330) 및 구동모터(320)의 적어도 일부분이 배치되며, 구동모터(320)로 인한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마련되는 소음저감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소음저감부(111)는 와플 형상을 가지는 리브를 포함하여 구동모터(320)로부터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하부케이스(120)는 구동모터(320)가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구동모터 장착부(121)와, 구동모터(320)가 구동모터 장착부(121)에 고정되도록 구동모터(320)의 하측에 배치되는 구동모터 고정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 장착부(121)에 구동모터(320)를 삽입한 후, 구동모터 고정부재(122)를 구동모터(320) 및 구동모터 장착부(121)에 결합시킴으로써 구동모터(320)를 하부케이스(120)에 장착할 수 있다. 이 때, 구동모터 고정부재(122)에 마련되는 결합부(122a)와 결합돌기(122b)를 이용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120)는 제1탄성부재(240)의 일측을 고정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1고정핀(123)과, 제2탄성부재(250)의 일측을 고정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2고정핀(1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에서, 회전판이 회전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에서, 회전판의 회전에 따른 포토인터럽터의 수광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감지레버가 후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의 동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인터럽터(221)는 발광소자(221a)와 수광소자(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발광소자(221a)는 빛을 방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수광소자(221b)는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이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위치는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소자(221a)와 수광소자(221b) 사이에 차광부(224)가 배치되는 경우, 수광소자(221b)는 발광소자(221a)의 빛을 수신할 수 없다.
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222)이 회전하여 슬릿(225)이 발광소자(221a)와 수광소자(221b)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수광소자(221b)가 발광소자(221a)의 빛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수광소자(221b)가 발광소자(221a)의 빛을 수신하였을 때는 포토인터럽터(222)가 온(on) 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하고, 수광소자(221b)가 발광소자(221a)의 빛을 수신하지 못하였을 때는 포토인터럽터(222)가 오프(off) 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간헐적인 온/오프 신호만으로는 푸시모듈(300)을 동작시키지 않고, 연속적인 온/오프 신호를 전달받았을 때에만 푸시모듈(300)을 동작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냉장고 도어가 살짝 이동하는 경우에는 도어가 개방되지 않고,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냉장고 도어를 밀었을 때에만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도한 때에만 도어가 개방될 수 있고,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어(20)가 개방되지 않고, 연속적인 온/오프 신호가 제어부(모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에서, 감지레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감지레버(210)는 전진 및 후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감지레버(210)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감지레버(210)는 사용자에 의해 도어(20)가 후방으로 밀리면, 도어(2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지 않는 경우, 후방으로 이동한 감지레버(210)는 전방으로 다시 되돌아오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케이스(120)는 제1고정핀(123)과 제2고정핀(124)을 포함할 수 있고, 감지모듈(200)는 제1탄성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240)는 감지레버(210)를 도어 쪽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탄성부재(240)의 일단(241)과 타단(242)은 각각 감지레버(210)의 일측과 제2고정핀(124)에 걸림될 수 있다. 이 때, 제1탄성부재(240)는 제1고정핀(123)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감지레버(210)는 후방으로 이동할 때, 제1탄성부재(240)는 탄성력을 축적할 수 있다. 또한, 감지레버(210)는 도어(20)가 개방될 때, 제1탄성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감지레버(210)는 후방으로 이동하더라도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모듈(200)은 감지레버(210)를 전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기 위해 기어(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부케이스(120)는 제3고정핀(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기어(250)는 회전판(222)과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기어(250)의 내측에는 제2탄성부재(251)가 마련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251)는 일단이 기어(250)의 내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기어(25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레버(21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기어(250)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탄성부재(251)는 탄성력을 축적한다. 제2탄성부재(251)는 도어(20)가 개방될 때, 축적된 탄성력으로 기어(25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감지레버(210)는 제2탄성부재(251)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레버(210)는 후방으로 이동하더라도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한편, 제1탄성부재(240)와 제2탄성부재(251)는 각각 감지레버(210)를 전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제1탄성부재(240)와 제2탄성부재(251) 및 기어(250)는 한 실시예에 모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에서, 푸시레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마그넷과 홀소자를 이용한 푸시레버의 동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푸시레버(310)는 그 일측에 마그넷 장착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 장착부(312)는 랙기어부(311)의 반대면에 마련될 수 있다. 마그넷 장착부(312)에는 마그넷(340)이 장착될 수 있다.
홀소자(341)는 제1홀소자(342)와 제2홀소자(343)를 포함할 수 있다. 홀소자(341)는 마그넷(340)의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마그넷(340)은 제1홀소자(342)와 제2홀소자(343)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푸시레버(310)가 전방으로 이동하기 이전의 위치를 제1위치라 할 수 있다. 또한, 푸시레버(310)가 전방으로 최대한 이동하였을 때의 위치를 제2위치라 할 수 있다. 푸시레버(310)는 도어(20)를 개방하기 위해,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한 후, 다시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마그넷(340)은 푸시레버(310)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제1홀소자(342)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넷(340)은 푸시레버(310)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제2홀소자(343)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구동모터(320)가 동작하면, 푸시레버(310)는 제1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마그넷(340)이 제2홀소자(343)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제2홀소자(343)는 마그넷(340)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제2홀소자(343)의 신호를 수신한 후, 구동모터(320)가 역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푸시레버(310)는 제2위치로부터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푸시레버(31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마그넷(340)이 다시 제1홀소자(342)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제1홀소자(3432)는 마그넷(340)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미도시)는 구동모터(320)의 동작을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도어(20) 전면을 밀면, 푸시레버(310)는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하여 도어(20)를 개방하고, 제2위치로부터 다시 본래 위치인 제1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푸시레버(310)는 제1홀소자(342)와 제2홀소자(343) 사이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홀소자(342)와 제2홀소자(343) 및 포토인터럽터(221)는 인쇄회로기판(260)에 실장될 수 있다. 이 때, 홀소자(342) 및 포토인터럽터(221)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모터(320)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마이컴(미도시)도 인쇄회로기판(260)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냉장고는 메인마이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마이컴(미도시)은 도어(20)의 개폐상태와 같은 냉장고의 상태정보를 인지할 수 있고, 마이컴(미도시)을 통하거나 직접 구동모터(32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마이컴(미도시)은 도어(20)가 개방되어있을 때에는 구동모터(320)가 동작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도어(20)를 폐쇄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구동모터(320)가 동작하여 도어(20)가 반복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에서, 푸시레버의 동작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푸시레버(310)는 제1홀소자(342)와 제2홀소자(343) 사이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홀소자(341)에 이상이 생겨 홀소자(341)가 마그넷(340)의 자기장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푸시레버(310)의 이동범위를 구조적으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레버(310)는 하부케이스(120)에 마련되는 제1스토퍼(126)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마그넷(340)이 제1홀소자(342)를 지나 계속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푸시레버(310)의 후단과 제1스토퍼(126)가 접촉하게 되고, 푸시레버(310)의 후방 이동이 제한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레버(310)는 하부케이스(120)에 마련되는 제2스토퍼(127)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마그넷(340)이 제2홀소자(343)를 지나 계속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푸시레버(310)의 마그넷 장착부(312)가 제2스토퍼(127)와 접촉하게 되고, 푸시레버(310)의 전방 이동이 제한된다. 다만, 이 경우, 마그넷 장착부(312)와 제2스토퍼(127)가 접촉하기 이전에 제4감속기어(330d)의 소경부(332d)와 푸시레버(310)의 랙기어부(311)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푸시레버(310)는 구동모터(320)의 구동력을 더 이상 전달받을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푸시레버(310)는 마그넷 장착부(312)가 제2스토퍼(127)에 접촉하기 이전에 전방으로 이동할 동력이 사라져 자연스레 전방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100)는 푸시레버(310a)와 감지레버(210a)의 디자인이 변경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도어 개방장치와는 달리, 감지레버(210a)는 푸시레버(310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감지레버(210a)의 전후방 이동과, 푸시레버(310a)의 전후방 이동은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방장치는 감지모듈(200b)과 푸시모듈(300b)이 각각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감지모듈(200b)은 도어(20)에 마련될 수 있고, 푸시모듈(300b)은 본체(10)에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지모듈(200b)은 도어(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푸시모듈(300b)은 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감지모듈(200)은 도어(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푸시모듈(300)도 본체(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감지모듈(200)은 도어(20)의 상부에 배치되고, 푸시모듈(300)은 본체(10)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감지모듈(200)과 푸시모듈(300)이 별도로 마련되는 경우, 감지모듈(200)과 푸시모듈(300)의 위치는 설계 사양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도어 개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도어 개방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개방장치(100)는 마그넷(400)과 홀 소자(4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감지레버(200)는 도 6 내지 도 17에 도시된 감지레버들과는 달리 마그넷(400)과 함께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감지레버(200)에는 마그넷(400)이 장착될 수 있다.
마그넷(400)은 감지레버(210)와 함께 이동하도록 마련되고, 홀 소자(410)는 마그넷(400)의 이동량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방장치(100)는 도어(20)의 이동량을 마그넷(400)과 홀 소자(410)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마그넷(400)은 감지레버(210)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마그넷(400)은 감지레버(210)와 함께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감지레버(21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면, 마그넷(400)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감지레버(210)는 감지레버(210)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그넷 장착부(401)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 장착부(401)는 감지레버(210)의 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마그넷(400)이 마그넷 장착부(401)에 장착되면, 마그넷(400)는 마그넷 장착부(401)에 고정될 수 있다. 마그넷 장착부(401)에 마그넷(400)이 장착됨으로써, 마그넷(400)이 감지레버(200)에 장착될 수 있다.
홀 소자(410)는 하부케이스(120)에 장착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120)에는 홀 소자 장착부(411)가 마련될 수 있다. 홀 소자 장착부(411)에 홀 소자(410)가 장착되면, 홀 소자(410)가 하부케이스(120)에 고정될 수 있다. 홀 소자(410)는 하부케이스(12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홀 소자(410)는 마그넷(400)의 이동량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홀 소자(410)는 마그넷(400)의 이동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홀 소자(410)는 얇은 반도체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인 홀 소자(410)의 예는 InAs(Indium-Arsenide) 또는 InSb(Indium-Antimonide)일 수 있으며, 다양할 수 있다.
홀 소자(410)는 마그넷(400)에 의해서 변화하는 자기장을 전압값으로 검출할 수 있다. 마그넷(400)과 홀 소자(410)가 가까워지면, 자력이 증가하여 홀 소자(410)가 검출하는 전압값이 증가할 수 있다. 마그넷(400)이 홀 소자(410)와 멀어지면, 자력이 감소하여 홀 소자(410)가 검출하는 전압값이 감소할 수 있다. 마그넷(400)이 미세하게 움직이더라도 자기장이 변화하며, 홀 소자(410)는 이러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홀 소자(410)는 마그넷(400)의 작은 변위도 감지할 수 있다. 홀 소자(410)에서 검출된 전압값은 잭(420)을 거쳐 인쇄회로기판(260)에 실장된 마이크로 칩(270)으로 전달될 수 있다.
홀 소자(410)는 마그넷(400)이 홀 소자(410)와 가까워지는 것과, 마그넷(400)이 홀 소자(410)와 멀어지는 것을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 개방장치(100)는 외부 충격에 따른 감지레버(210)의 이동과, 사용자가 도어(20)를 열기 위해 도어(20)에 가한 힘(이하, 푸시 압력)에 의한 감지레버(210)의 이동을 구분할 수 있다. 도어 개방장치(100)는 푸시 압력과 도어(20)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을 구분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할 수 있다. 단순 충격의 경우, 사용자는 도어(20)를 개방하려는 의도를 갖지 않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도어 개방장치(100)가 도어(20)를 개방하지 않을 수 있다. 푸시 압력의 경우, 사용자가 도어(20)를 개방하려는 의도이므로 도어 개방장치(100)가 도어(20)를 개방할 수 있다. 푸시레버(310)에 의한 도어(20)의 개방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다. 푸시모듈(300)을 포함한 나머지 구성들은 도 6 내지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마그넷(400)과 홀 소자(410)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즉, 마그넷(400)이 하부케이스(120)에 고정될 수 있고, 홀 소자(410)가 감지레버(210)에 장착되어 감지레버(210)와 함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마그넷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홀 소자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냉장고 10 : 본체
11 : 저장실 12 : 가스켓
20 : 도어 100 : 도어 개방장치
110 : 상부케이스 111 : 소음저감부
120 : 하부케이스 121 : 구동모터 장착부
122 : 구동모터 고정부재 123 : 제1고정핀
124 : 제2고정핀 125 : 제3고정핀
126 : 제1스토퍼 127 : 제2스토퍼
200 : 감지모듈 210 : 감지레버
211 : 랙기어부 220 : 감지센서
221 : 포토인터럽터 221a : 발광소자
221b : 수광소자 222 : 회전판
223 : 상면 224 : 차광부
225 : 슬릿 226 : 기어부
230 : 증폭기어 231 : 대경부
232 : 소경부 240 : 제1탄성부재
250 : 기어 251 : 제2탄성부재
260 : 인쇄회로기판 300 : 푸시모듈
310 : 푸시레버 311 : 랙기어부
312 : 마그넷 장착부 320 : 구동모터
321 : 구동샤프트 322 : 구동기어
330 : 감속기어 331 : 대경부
332 : 소경부 340 : 마그넷
341 : 홀소자 342 : 제1홀소자
343 : 제2홀소자 400 : 마그넷
410 : 홀 소자
11 : 저장실 12 : 가스켓
20 : 도어 100 : 도어 개방장치
110 : 상부케이스 111 : 소음저감부
120 : 하부케이스 121 : 구동모터 장착부
122 : 구동모터 고정부재 123 : 제1고정핀
124 : 제2고정핀 125 : 제3고정핀
126 : 제1스토퍼 127 : 제2스토퍼
200 : 감지모듈 210 : 감지레버
211 : 랙기어부 220 : 감지센서
221 : 포토인터럽터 221a : 발광소자
221b : 수광소자 222 : 회전판
223 : 상면 224 : 차광부
225 : 슬릿 226 : 기어부
230 : 증폭기어 231 : 대경부
232 : 소경부 240 : 제1탄성부재
250 : 기어 251 : 제2탄성부재
260 : 인쇄회로기판 300 : 푸시모듈
310 : 푸시레버 311 : 랙기어부
312 : 마그넷 장착부 320 : 구동모터
321 : 구동샤프트 322 : 구동기어
330 : 감속기어 331 : 대경부
332 : 소경부 340 : 마그넷
341 : 홀소자 342 : 제1홀소자
343 : 제2홀소자 400 : 마그넷
410 : 홀 소자
Claims (20)
-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가 눌려지면, 상기 도어의 이동량을 감지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마련되는 도어 개방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방장치는,
제1고정핀과 제2고정핀을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마련되는 푸시모듈과,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도어의 이동량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감지모듈로서, 상기 도어가 눌려지면 상기 도어와 접촉하여 상기 도어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감지레버와, 상기 감지레버의 이동량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모듈 및
상기 제1고정핀에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핀에 연결되는 제1단과 상기 감지레버에 연결되는 제2단을 포함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는,
상기 감지모듈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푸시모듈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레버는, 상기 도어가 닫힘 상태일 때 상기 도어와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냉장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감지레버의 일 측에 마련되어 상기 감지레버와 함께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의 변위에 따라 변화하는 자기력의 크기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홀 소자를 포함하는 냉장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레버는 상기 도어의 전면이 눌려지면 상기 도어의 이동량만큼 직선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냉장고.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감지레버의 직선 변위를 회전 변위로 전환하고, 상기 감지레버의 변위량을 증폭하도록 마련되는 증폭기어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포토인터럽터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수광소자가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빛을 수신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차단 또는 허용하도록 마련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냉장고.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회전판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판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차광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회전판과 회전중심이 일치하는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는 상기 감지레버가 직선 이동하면 상기 회전판이 회전하도록 상기 증폭기어와 맞물리게 마련되는 냉장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감지레버를 상기 도어 쪽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도록 마련되는 냉장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모듈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상기 도어를 밀도록 마련되는 푸시레버를 포함하는 냉장고.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모듈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변위를 감소시키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증폭시키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푸시레버에 전달하는 감속기어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레버는,
상기 감속기어의 회전 변위를 직선 변위로 전환시키고, 상기 감속기어와 맞물리게 마련되는 랙기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레버는 그 일측에 마련되는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푸시모듈은 상기 마그넷의 자기장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홀소자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홀소자는 상기 푸시레버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홀소자와 제2홀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은 상기 제1홀소자와 상기 제2홀소자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냉장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는 상기 본체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되는 냉장고. -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도어 개방장치에 있어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도어를 개방하도록 마련되는 푸시레버를 포함하는 푸시모듈과,
상기 도어가 눌려지면, 상기 도어와 접촉하여 상기 도어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감지레버와,
상기 감지레버의 이동량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감지센서와,
상기 푸시모듈과, 상기 감지레버 및 상기 감지센서를 수용하고, 제1고정핀과 제2고정핀을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제1고정핀에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핀에 연결되는 제1단과 상기 감지레버에 연결되는 제2단을 포함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도어 개방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레버 및 상기 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레버의 직선 변위를 회전 변위로 전환하고, 상기 감지레버의 변위량을 증폭하도록 마련되는 증폭기어를 더 포함하는 도어 개방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포토인터럽터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수광소자가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빛을 수신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차단 또는 허용하도록 마련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도어 개방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레버는 그 일측에 마련되는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푸시모듈은 상기 마그넷의 자기장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홀소자를 더 포함하는 도어 개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5/860,429 US10995536B2 (en) | 2017-01-03 | 2018-01-02 | Refrigerator |
PCT/KR2018/000103 WO2018128378A1 (en) | 2017-01-03 | 2018-01-03 | Refrig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70000953 | 2017-01-03 | ||
KR1020170000953 | 2017-01-0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0080A KR20180080080A (ko) | 2018-07-11 |
KR102342576B1 true KR102342576B1 (ko) | 2021-12-23 |
Family
ID=62917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2734A KR102342576B1 (ko) | 2017-01-03 | 2017-06-09 | 냉장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4257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57828A (ko) * | 2020-06-22 | 2021-12-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KR20220114868A (ko) * | 2021-02-09 | 2022-08-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자동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
KR20220114871A (ko) * | 2021-02-09 | 2022-08-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자동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의 자동 도어 제어방법 |
KR20220114867A (ko) * | 2021-02-09 | 2022-08-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자동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의 자동 도어 제어방법 |
KR20220114866A (ko) * | 2021-02-09 | 2022-08-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자동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의 자동 도어 제어방법 |
KR20240104972A (ko) * | 2022-12-28 | 2024-07-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083461A1 (en) | 2009-10-13 | 2011-04-14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22849A (ko) * | 2009-08-28 | 2011-03-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KR101151618B1 (ko) * | 2010-07-05 | 2012-06-08 | 주식회사 에스 씨디 | 냉장고 도어 열림 장치 및 방법 |
-
2017
- 2017-06-09 KR KR1020170072734A patent/KR10234257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083461A1 (en) | 2009-10-13 | 2011-04-14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KR101639435B1 (ko) | 2009-10-13 | 2016-07-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0080A (ko) | 2018-07-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42576B1 (ko) | 냉장고 | |
KR102448499B1 (ko) |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의 제어방법 | |
US10995536B2 (en) | Refrigerator | |
JP6771609B2 (ja) | 冷蔵庫 | |
US10054362B2 (en) | Refrigerator | |
US8653767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 |
US8469469B2 (en) | Refrigerator | |
KR102421650B1 (ko) |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 |
US20110083461A1 (en) | Refrigerator | |
KR102403037B1 (ko) |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 |
US20200263918A1 (en) | Refrigerator | |
US20230095878A1 (en) | Refrigerator | |
KR102442380B1 (ko) | 냉장고 | |
KR20230128827A (ko) | 냉장고 | |
KR20170022087A (ko) | 냉장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