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307B1 - 케이블 고정장치 및 케이블 고정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고정장치 및 케이블 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307B1
KR102342307B1 KR1020190136776A KR20190136776A KR102342307B1 KR 102342307 B1 KR102342307 B1 KR 102342307B1 KR 1020190136776 A KR1020190136776 A KR 1020190136776A KR 20190136776 A KR20190136776 A KR 20190136776A KR 102342307 B1 KR102342307 B1 KR 102342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s
cable
holder
press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1471A (ko
Inventor
전호일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6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307B1/ko
Publication of KR20210051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8Fastenings for securing ends of driving-cables to one another, the fastenings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diameter as the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에 구비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의 둘레를 감쌀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되는 부분의 축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지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를 상기 센서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및 케이블 고정방법으로서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고정장치 및 케이블 고정방법{Apparatus for fixing cable and method for fixing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장치 및 케이블 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을 감싼 상태에서 복수의 케이블의 연결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는 케이블 고정장치 및 케이블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축케이블은 신호의 교란을 방지하기 위해 중심에 있는 중심도체(구리심선)를 폴리에틸렌 등의 절연체로 감싸고, 외면에 보호피복을 입혀 구성된다. 동축케이블은 고주파수 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장거리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전송 시스템에서 수신기와 송신기간의 물리적인 데이터전송 수단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동축케이블은 SATA 케이블, USB 케이블, HDMI 케이블, RGB 영상케이블, 오디오의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TV의 안테나 케이블, 네비게이션 GPS 케이블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동축 케이블은 장거리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복수의 동축케이블을 서로 연결하여 신호를 전송하였다.
그러나, 복수의 동축케이블을 연결함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에 충격 혹은 진동이 발생할 경우 복수의 동축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접촉 불량이 발생되고,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에 노이즈가 발생되었다. 종래에는 복수의 동축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을 케이블타이 혹은 와이어 등으로 주변 구조물에 묶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상기의 방법들은 복수의 동축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에 충격 혹은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였고,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에 노이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JP 3296150 B2
본 발명은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는 케이블 고정장치 및 케이블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에 충격 혹은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고정장치 및 케이블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센서에 구비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의 둘레를 감쌀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의 축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지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를 상기 센서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센서에 구비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의 둘레를 감쌀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교차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지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를 상기 센서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센서에 구비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의 둘레를 감쌀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의 축방향 및 상기 축방향과 교차하는 교차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지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를 상기 센서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센서에 구비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의 둘레를 감쌀 수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를 상기 센서에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몸체부에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케이블은, 상부케이블과 하부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케이블을 하측에서 지지 가능한 홀더와, 상기 상부케이블을 상측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누름판;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케이블은,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의 외주면에 내측으로 함몰된 제1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축방향에 교차하는 교차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와 연결되고 신장수축 가능한 제1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가압부재 및 상기 제1 탄성부재는,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의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이격 배치된다.
상기 누름판은, 상기 홀더의 상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부케이블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누름판몸체; 및 상기 누름판몸체를 상기 홀더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누름판몸체에 설치되는 제1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에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대 이동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에 설치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결합부몸체; 상기 결합부몸체를 상기 센서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몸체에 설치되는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삽입부재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축방향으로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쌍의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재는, 외주면에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와 접하는 면에 내측으로 함몰되고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된 결합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센서에 구비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서로 연결시키는 과정;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의 둘레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가압하는 과정; 및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가압하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상기 센서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가압하는 과정은, 상기 케이블의 축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가압하여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밀착시키는 과정; 및 상기 축방향과 교차하는 교차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을 가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을 가압하는 과정은,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을 상기 축방향을 향하여 밀어내는 과정; 및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에 상기 교차방향에서 전해지는 진동을 흡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상기 센서에 고정시키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케이블에 상기 축방향에서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을 감싼 상태에서 복수의 케이블을 고정시키므로,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에 접촉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을 상기 연결되는 부분의 축방향 및 상기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고정시키므로,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을 더욱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에 충격 혹은 진동이 전달되어도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이 분리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에 노이즈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를 통해, 케이블 고정장치로 전달되는 충격 혹은 진동을 흡수하므로,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충격 혹은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고, 복수의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에 노이즈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와 케이블 고정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의 정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가 복수의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케이블이 신호 테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설비에 설치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케이블은 동축케이블(Coaxial Cable)일 수 있고, 설비는 센서일 수 있다. 하지만, 설비 및 케이블의 적용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와 케이블 고정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케이블 고정장치(100)는 센서(10)에 구비되는 복수의 케이블(20)을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복수의 케이블(20)이 연결되는 부분(이하, 연결부분이라 함)의 둘레를 감쌀 수 있고 연결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는 몸체부(110) 및 몸체부(110)를 센서(10)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하기에서는 복수의 케이블(20)이 상부케이블(21) 및 하부케이블(22)로 마련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상부케이블(21)은 일단이 센서(10)의 상부 및 하부 구성 중 상부에 마련된 구성과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케이블(22)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케이블(21)은 암수 동축케이블 중 수 동축케이블일 수 있다. 상부케이블(21)은 하부케이블(22)에 삽입되는 부분인 접속구(21a)의 상측에 접속구(21a)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21b)를 구비할 수 있고, 지지부재(21b)의 상측에는 지지부재(21b)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도선(21c)이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21b)는 후술하는 누름판(112)과 접촉할 수 있다.
하부케이블(22)은 일단이 센서(10)의 하부에 마련된 구성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부케이블(21)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케이블(22)은 암수 동축케이블 중 암 동축케이블일 수 있다. 하부케이블(22)은 상부케이블(21)의 접속구(21a)가 삽입되는 부분의 외주면에 내측으로 함몰되는 제1 홈(2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22a)에는 후술하는 가압부재(111g)가 삽입될 수 있다. 하지만, 상부케이블(21) 및 하부케이블(2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케이블 고정장치(100)의 구조를 설명한다.
몸체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몸체부(110)는 연결 부분의 축방향과 상기 축방향에 교차하는 교차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연결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축방향(이하, 상하방향이라 함)은 연결 부분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축방향에 교차하는 교차방향은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방향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케이블 고정장치(100)의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 교차방향들 중 좌우방향과 전후방향을 따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즉, 좌우방향은 상기 상하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고 교차방향들 중 케이블 고정장치(100)에서 결합부(120)가 설치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전후방향은 상하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고, 좌우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일 있다.
몸체부(110)는 복수의 케이블(20)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111a)을 구비하고 하부케이블(22)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는 홀더(111), 상부케이블(21)을 상측에서 가압할 수 있는 누름판(112) 및 체결플레이트(113)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1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홀더(1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관통홀(111a)을 구비할 수 있다. 하기에서 홀더(111)의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 홀더(111)를 상부홀더(111b)와 하부홀더(111c)로 나누어 설명한다. 상술하는 관통홀(111a)은 상부홀더(111b) 및 하부홀더(111c)에 동일하게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상부홀더(111b)는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관통홀(111a)을 갖고, 일면에 관통홀(111a)과 연통되는 제1 함몰 부분(111d)을 갖을 수 있다. 즉, 제1 함몰 부분(111d)은 상부홀더(111b)의 일면에서 도면상 전측에서 후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함몰 부분(111d)은 관통홀(111a)과 연통될 수 있고, 이에, 작업자가 제1 함몰 부분(111d)을 통해 하부케이블(22)이 후술하는 하부홀더(111c)의 가압부재(111g)와 결합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부홀더(111b)에는 관통홀(111a)에서 도면상 전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제1 결합홀(111e)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홀(111a)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1 고정부재(112b)와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홀더(111b)는 좌우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ㄱ'자 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부홀더(111b)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하부홀더(111c)는 상부홀더(111b)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관통홀(111a)을 갖을 수 있다. 여기서, 하부홀더(111c)의 관통홀(111a)은 상부홀더(111b)의 관통홀(111a)과 중심축이 일치하고 직경의 크기가 동일할 수 있다. 하부홀더(111c)는 관통홀(111a)을 형성하는 내주면에 외측, 즉 도면상 좌우방향으로 함몰된 제2 홈(111f)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홈(111f)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고, 관통홀(111a)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관통홀(111a)을 형성하는 내주면에 방사형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홈(111f)에는 후술하는 가압부재(111g) 및 제1 탄성부재(111h)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홀더(111c)는 하부케이블(22)을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재(111g) 및 가압부재(111g)와 연결된 제1 탄성부재(111h)를 구비할 수 있다. 가압부재(111g)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교차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압부재(111g)는 적어도 일부가 관통홀(111a)의 내부로 돌출될 수 있고, 관통홀(111a)에 하부케이블(22)이 삽입될 경우 제1 홈에(22a)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가압부재(111g)가 제1 홈(22a)에 삽입되어 하부케이블(22)을 하측에서지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111g)는 제1 탄성부재(111h)에 의해 교차방향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고, 이에 하부케이블(22)을 교차방향에서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재(111g)는 제1 홈(22a)과 접촉하는 일면에 실링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실링부재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가압부재(111g)가 하부케이블(22)을 가압할 때, 실링부재가 하부케이블(22)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하부케이블(22)을 더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재(111g) 및 실링부재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111h)는 제1 가압부재(111g)와 제2 홈(111f)을 형성하는 하부홀더(111c)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며, 교차방향, 예컨데 관통홀(111a)의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탄성부재(111h)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111h)는 일단이 하부홀더(111c)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타측이 가압부재(111g)에 연결되며, 하부홀더(111c)의 내주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신장하며 가압부재(111g)를 교차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다. 제1 탄성부재(111h)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가압부재(111g)와 제1 탄성부재(111h)는 복수개의 제2 홈(111f)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가압부재(111g)가 관통홀(111a)을 형성하는 하부홀더(111c)의 내주면에서 방사형으로 이격 배치되어, 하부케이블(22)을 복수의 위치에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재(111g)가 방사형으로 이격된 복수의 위치에서 하부케이블(22)을 가압하므로, 연결 부분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충격 혹은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연결 부분이 분리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탄성부재(111h)는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충격을 흡수 상쇄시킬 수 있는 완충부재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제1 탄성부재(111h)가 연결 부분에 교차방향에서 전해지는 충격 혹은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케이블 고정장치(100)에 교차방향으로의 충격 및 진동이 발생될 경우, 제1 탄성부재(111h)가 신장 수축하며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부분에 충격 및 진동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고, 연결 부분이 분리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홀더(111c)는 좌측면 및 우측면에 내측으로 함몰된 제3 홈(111i)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홈(111i)은 하부홀더(111c)에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홈(111i)에는 후술하는 결합부(120)의 삽입부재(121a)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3 홈(111i)의 상하방향 형성 길이는 삽입부재(121a)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홈(111i)을 형성하는 하부홀더(111c)의 내주면 중 전측면 및 후측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4 홈(111j)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홈(111j)에는 후술하는 삽입부재(121a)의 결합돌기(121c)가 삽입될 수 있다. 제3 홈(111i)과 삽입부재(121a) 및 제4 홈(111j)과 결합돌기(121c)의 결합관계는 하기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하부홀더(111c)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누름판(112)은 상부홀더(111b)에 결합될 수 있고,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부홀더(111b)의 관통홀(111a)에 배치된 상부케이블(21)을 상측에서 가압할 수 있다. 누름판(112)은 상부홀더(111b)의 상측에 배치되는 누름판몸체(112a) 및 누름판몸체(112a)를 상부홀더(111b)에 결합시킬 수 있는 제1 고정부재(112b)를 포함할 수 있다.
누름판몸체(112a)는 일측면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부홀더(111b)의 상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체일 수 있다. 즉, 누름판몸체(112a)는 상부케이블(21)의 도선(21c)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제2 함몰 부분(112c)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함몰 부분(112c)은 누름판몸체(112a)에서 도면상 후측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누름판몸체(112a)와 상부홀더(111b)를 결합시킬 때, 제2 함몰 부분(112c)은 관통홀(111a)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관통홀(111a)의 내부에는 상부케이블(21)의 지지부재(21b)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함몰 부분(112c)의 내부에는 도선(21c)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함몰 부분(112c)의 좌우방향 길이(L1)는 도선(21c)의 직경(D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도선(21c)이 제2 함몰 부분(112c)에 끼이는 현상 없이 원활하게 제2 함몰 부분(112c)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제2 함몰 부분(112c)의 좌우방향 길이(L1)는 상부케이블(21)의 지지부재(21b)의 직경(D2)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도선(21c)이 제2 함몰 부분(112c)에 배치된 상태에서 누름판몸체(112a) 중 제2 함몰 부분(112c)을 형성하는 부분이 지지부재(21b)의 상부면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누름판몸체(112a)가 지지부재(21b)의 상부면을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고, 상부케이블(21)을 하부케이블(2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누름판몸체(112a)에는 제2 함몰 부분(112c)에서 도면상 전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제2 결합홀(112d)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홀(112d)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홀(112d)의 내경은 제1 결합홀(111e)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결합홀(112d)과 제1 결합홀(111e)의 중심축이 일치된 상태에서, 제1 고정부재(112b)가 제2 결합홀(112d) 및 제1 결합홀(111e)에 나사 결합되며 누름판몸체(112a)와 상부홀더(111b)를 결합시킬 수 있다. 누름판몸체(112a)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112b)는 상술한 바와 같이 누름판몸체(112a)를 상부홀더(111b)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부재(112b)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1 고정부재(112b)가 제2 결합홀(112d)을 삽입 관통하고, 제1 고정부재(112b)에서 제2 결합홀(112d)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제1 결합홀(111e)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누름판몸체(112a)와 상부홀더(111b)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정부재(112b)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누름판몸체(112a)를 상부홀더(111b)에 고정시킬 수 있는 어떠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체결플레이트(113)는 하부홀더(111c)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고 하부홀더(111c)의 제3 홈(111i)에 삽입된 결합부(120)가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체결플레이트(113)는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하로 관통된 홀(113a)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홀(113a)은 관통홀(111a)과 중심축이 일치하게 배치되고, 관통홀(111a)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플레이트(113)는 용접 또는 볼트체결 방식으로 하부홀더(111c)에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체결플레이트(113)의 구조 및 결합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결합부(120)는 몸체부(110)에 설치되며, 몸체부(110)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부(120)는 한쌍으로 마련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홀더(111c)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형성된 제3 홈(111i)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제3 홈(111i)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제3 홈(111i)에 삽입되는 삽입부재(121a)를 구비하는 결합부몸체(121), 삽입부재(121a)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2 탄성부재(122) 및 결합부몸체(121)를 센서(10)에 결합시킬 수 있는 제2 고정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몸체(121)는 직육면체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제3 결합홀(121b)을 갖을 수 있다. 제3 결합홀(121b)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결합홀(121b)에 제2 고정부재(123)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몸체(121)는 도면상 우측에 배치된 결합부몸체(121)를 기준으로, 결합부몸체(121)의 좌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부재(121a)를 구비할 수 있다. 삽입부재(121a)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삽입부재(121a)는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 길이가 제3 홈(111i)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상하방향 길이가 제3 홈(111i)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부재(121a)는 제3 홈(111i)에 끼움 체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3 홈(111i)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재(121a)의 전측면 및 후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한쌍의 결합돌기(121c)가 구비될 수 있다. 한쌍의 결합돌기(121c)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4 홈(111j)에 끼움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삽입부재(121a)가 제3 홈(111i)에 삽입되었을 때, 한쌍의 결합돌기(121c)도 제4 홈(111j)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돌기(121c)를 통해, 결합부몸체(121)가 하부홀더(111c)에서 좌우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결합부몸체(121), 삽입부재(121a) 및 결합돌기(121c)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122)는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며, 삽입부재(121a)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탄성부재(122)는 삽입부재(121a)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탄성부재(122)를 기준으로, 일단이 삽입부재(121a)의 상부면과 접촉되고 타단이 제3 홈(111i)을 형성하는 하부홀더(111c)의 내주면 중 상부면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탄성부재(122)는 삽입부재(121a)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탄성부재(122)를 기준으로, 일단이 삽입부재(121a)의 하부면과 접촉되고 타단이 체결플레이트(113)의 상부면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센서(10)에 상하방향으로 충격 혹은 진동이 발생했을 때, 삽입부재(121a)가 한쌍의 제2 탄성부재(122)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충격 혹은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부분에 상하방향으로의 충격 혹은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시킬 수 있다.
제2 고정부재(123)는 결합부몸체(121)를 센서(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고정부재(123)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2 고정부재(123)가 제3 결합홀(121b)을 삽입 관통하고, 제2 고정부재(123)에서 제3 결합홀(121b)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센서(1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에, 결합부몸체(121)를 센서(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고정부재(123)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결합부몸체(121)를 센서(10)고정시킬 수 있는 어떠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고정장치(100)로 복수의 케이블(20)이 연결되는 부분을 고정시키고, 연결된 복수의 케이블(20)을 센서(10)에 고정시키는 과정은 케이블 고정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그 과정을 함께 설명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케이블 고정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케이블 고정장치(100)는 센서(10)에 구비되는 복수의 케이블(20)을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복수의 케이블(20)이 연결되는 부분의 둘레를 감쌀 수 있고, 복수의 케이블(20)이 연결되는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케이블(20)이 연결되는 부분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교차방향에서 복수의 케이블(20)을 지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몸체부(110) 및 몸체부(110)를 센서(20)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몸체부(120)에 설치되는 결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몸체부(110) 및 결합부(120)의 세부 구성은 일 실시 예의 케이블 고정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인 케이블 고정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인 케이블 고정장치(100)는 센서(10) 구비되는 복수의 케이블(20)을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복수의 케이블(20)이 연결되는 부분의 둘레를 감쌀 수 있고, 복수의 케이블(20)이 연결되는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케이블(20)이 연결되는 부분의 축방향 및 축방향과 교차하는 교차방향에서 복수의 케이블(20)을 지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몸체부(110) 및 몸체부(110)를 센서(20)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몸체부(110)에 설치되는 결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몸체부(110) 및 결합부(120)의 세부 구성은 일 실시 예의 케이블 고정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인 케이블 고정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인 케이블 고정장치(100)는 센서에 구비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복수의 케이블(20)이 연결되는 부분의 둘레를 감쌀 수 있는 몸체부(110) 및 몸체부(110)를 센서(20)에 고정시킬 수 있고, 몸체부(110)에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복수의 케이블(20)이 연결되는 부분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몸체부(110)에 설치되는 결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몸체부(110) 및 결합부(120)의 세부 구성은 일 실시 예의 케이블 고정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방법은 센서(10)에 구비되는 복수의 케이블(20)을 고정시키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케이블(20)을 서로 연결시키는 과정(S110), 복수의 케이블(20)이 연결되는 부분의 둘레를 감싼 상태에서 복수의 케이블을 가압하는 과정(S120) 및 복수의 케이블(20)을 가압하는 상태에서 복수의 케이블(20)을 센서(10)에 고정시키는 과정(S1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케이블 고정장치에 하부케이블이 삽입되는 도면이고, 도 4(c)는 케이블 고정장치에 상부케이블이 삽입되는 도면이고, 도 4(d)는 상부케이블을 하부케이블에 고정시키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a) 내지 도 4(d)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케이블 투입방법을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먼저 케이블 고정장치(100)을 마련할 수 있다. 케이블 고정장치(100)는 홀더(111)와 누름판(112)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고, 홀더(111)와 체결플레이트(113)만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체결플레이트(113)를 관통홀(111a)의 중심축과 체결플레이트(113)의 홀(113A)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홀더(111)에서 제1 탄성부재(111h)는 신장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으며, 이에 관통홀(111a) 내에 가압부재(111g)의 일부가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홀더(111)의 내부로 하부케이블(22)을 삽입시킬 수 있다. 즉, 하부케이블(22)을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하부홀더(111c)의 관통홀(111a)로 삽입시킬 수 있다. 이때, 홀더(111) 내부의 관통홀(111a) 중 하부홀더(111c)의 관통홀(111a)에 하부케이블(22)이 배치되고, 상부홀더(111b)의 관통홀(111a)에 하부케이블(22)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하부케이블(22)을 홀더(111)에 삽입할 때, 가압부재(111g)들을 하부케이블(22)의 제1 홈(22a)에 삽입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케이블(22) 중 제1 홈(22a)의 상측 부분을 삽입할 때, 가압부재(111g)들은 하부케이블(22) 중 제1 홈(22a)의 상측 부분에 의해 홀더(111)의 외측으로 밀려날 수 있다. 즉, 도면상 좌측에 배치된 가압부재(111g)는 좌측으로 밀려 이동할 수 있고, 도면상 우측에 배치된 가압부재(111g)는 우측으로 밀려 이동할 수 있다. 제1 홈(22a)의 상측 부분이 가압부재(111g)들을 통과하면, 가압부재(111g)들은 다시 홀더(111)의 내측으로 이동하며 제1 홈(22a)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도면상 좌측에 배치된 가압부재(111g)는 우측으로 이동하며 제1 홈(22a)에 삽입될 수 있고, 도면상 우측에 배치된 가압부재(111g)는 좌측으로 이동하며 제1 홈(22a)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가압부재(111g)들이 제1 홈(22a)에 삽입되어 제1 홈(22a)의 상측부분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작업자는 제1 함몰 부분(111d)을 통해 제1 홈(22a)에 가압부재(111g)들이 삽입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홀더(111)의 내부로 상부케이블(21)을 삽입시킬 수 있다. 즉, 상부케이블(21)을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하부케이블(22)에 연결시킬 수 있다(S110). 이때, 상부케이블(21)의 접속구(21a) 중 일부만 하부케이블(22)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접속구(21a)의 상하방향 길이를 기준으로 일부만 하부케이블(22)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상부케이블(21) 중 지지부재(21b)의 일부가 관통홀(111a)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누름판몸체(112a)로 상부케이블(21)을 가압하면서 누름판몸체(112a)를 상부홀더(111b)에 결합시킬 수 있다(S120). 보다 구체적으로, 제2 함몰 부분(112c)에 도선(21c)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누름판몸체(112a)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누름판몸체(112a)를 지지부재(21b) 중 관통홀(111a)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과 접촉시킬 수 있고, 접촉시킨 상태에서 누름판몸체(112a)를 하측으로 더 이동시켜 상부홀더(111b)의 상면에 누름판몸체(112a)을 접촉시킬 수 있다. 즉, 누름판몸체(112a)를 통해 상부케이블(21)을 가압하여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접속구(21a) 전체를 하부케이블(22)에 삽입시킬 수 있다.
지지부재(21b) 전체를 관통홀(111a)의 내부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제1 고정부재(112b)를 제2 결합홀(112d) 및 제1 결합홀(111e)에 나사 체결시켜 누름판몸체(112a)를 상부홀더(111b)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하부케이블(22)을 가압부재(111g)들로 하측에서 지지하고, 하부케이블(22)과 연결된 상부케이블(21)을 누름판몸체(112a)로 상측에서 가압하므로, 하부케이블(22)과 상부케이블(21)의 연결 부분을 상하방향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111g)들을 통해 연결 부분의 둘레에서 연결 부분을 가압하므로, 연결 부분을 교차방향에서 가압할 수 있다. 즉, 가압부재(111g)들을 통해 복수의 위치에서 연결 부분을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연결 부분이 상하방향 및 교차방향에서 고정되므로, 외부 충격에 의해 연결 부분이 분리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연결 부분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케이블 고정장치(100)를 센서(10)에 고정시킬 수 있다(S130). 보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부재(123)를 제3 결합홀(121b)에 삽입시키고, 제2 고정부재(123) 중 제3 결합홀(121b)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센서(10)에 나사 결합시켜 케이블 고정장치(100)를 센서(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만일, 센서(10)에 상하방향으로 충격 혹은 진동이 발생될 경우, 결합부몸체(121)와 홀더(111)가 상대 이동하며 충격 혹은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즉, 홀더(111)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 부분으로 충격 혹은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충격 혹은 진동이 발생될 경우, 제3 홈(111i)에 삽입된 삽입부재(121a)가 제3 홈(111i)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삽입부재(121a)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된 제2 탄성부재(122)가 삽입부재(121a)를 상측 및 하측에서 지지하는 상태에서 신장 수축할 수 있고, 이에 삽입부재(121a)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전달되는 충격 혹은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홀더(111)로 충격 혹은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고, 연결 부분에 충격 혹은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10)에 교차방향으로 충격 혹은 진동이 발생될 경우, 제1 탄성부재(111h)들이 신장수축하며 교차방향으로의 충격 혹은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연결 부분으로 충격 혹은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케이블 고정장치(100)를 통해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을 상하방향 및 교차방향에서 가압하여 연결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연결 부분에 상하방향 및 교차방향으로 충격 혹은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연결 부분이 분리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부재(111h) 및 제2 탄성부재(122)를 통해 상하방향 및 교차방향에서 발생되는 충격 혹은 진동을 흡수 혹은 상쇄시킬 수 있다. 이에, 연결 부분에 상하방향 및 교차방향에서 발생되는 충격 혹은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연결 부분이 분리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센서 20: 복수의 케이블
100: 고정장치 110: 몸체부
111: 홀더 111h: 제1 탄성부재
120: 누름판 112: 제2 탄성부재

Claims (15)

  1. 센서에 구비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의 둘레를 감쌀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의 축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지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를 상기 센서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케이블은, 상부케이블과 하부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케이블을 하측에서 지지 가능한 홀더와, 상기 상부케이블을 상측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누름판을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2. 센서에 구비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의 둘레를 감쌀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교차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지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를 상기 센서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케이블은, 상부케이블과 하부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케이블을 하측에서 지지 가능한 홀더와, 상기 상부케이블을 상측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누름판을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3. 센서에 구비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의 둘레를 감쌀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의 축방향 및 상기 축방향과 교차하는 교차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지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를 상기 센서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케이블은, 상부케이블과 하부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케이블을 하측에서 지지 가능한 홀더와, 상기 상부케이블을 상측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누름판을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4. 센서에 구비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의 둘레를 감쌀 수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를 상기 센서에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몸체부에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케이블은, 상부케이블과 하부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케이블을 하측에서 지지 가능한 홀더와, 상기 상부케이블을 상측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누름판을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5. 삭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블은,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의 외주면에 내측으로 함몰된 제1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축방향에 교차하는 교차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와 연결되고 신장수축 가능한 제1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 및 상기 제1 탄성부재는,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의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이격 배치되는 케이블 고정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상기 홀더의 상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부케이블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누름판몸체; 및
    상기 누름판몸체를 상기 홀더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누름판몸체에 설치되는 제1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에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대 이동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케이블 고정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결합부몸체;
    상기 결합부몸체를 상기 센서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몸체에 설치되는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삽입부재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축방향으로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쌍의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외주면에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와 접하는 면에 내측으로 함몰되고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된 결합홈이 형성되는 케이블 고정장치.
  12. 센서에 구비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서로 연결시키는 과정;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의 둘레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가압하는 과정; 및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가압하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상기 센서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케이블은, 상부케이블과 하부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가압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홀더로 상기 하부케이블을 하측에서 지지시키고,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누름판으로 상기 상부케이블을 상측에서 가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가압하는 과정은,
    상기 케이블의 축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가압하여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밀착시키는 과정; 및
    상기 축방향과 교차하는 교차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을 가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을 가압하는 과정은,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을 상기 축방향을 향하여 밀어내는 과정; 및
    상기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에 상기 교차방향에서 전해지는 진동을 흡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상기 센서에 고정시키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케이블에 상기 축방향에서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방법.
KR1020190136776A 2019-10-30 2019-10-30 케이블 고정장치 및 케이블 고정방법 KR102342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776A KR102342307B1 (ko) 2019-10-30 2019-10-30 케이블 고정장치 및 케이블 고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776A KR102342307B1 (ko) 2019-10-30 2019-10-30 케이블 고정장치 및 케이블 고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471A KR20210051471A (ko) 2021-05-10
KR102342307B1 true KR102342307B1 (ko) 2021-12-22

Family

ID=75918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776A KR102342307B1 (ko) 2019-10-30 2019-10-30 케이블 고정장치 및 케이블 고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3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583B1 (ko) * 2022-08-23 2023-01-19 박상배 해저케이블 고강도 클램프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6150B2 (ja) 1995-07-13 2002-06-2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高周波同軸ケーブル
JP4602412B2 (ja) * 2005-11-25 2010-12-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保持金具
KR101681650B1 (ko) * 2014-12-23 2016-12-02 주식회사 케이제이컴텍 상호변조 방지용 qn형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471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0328B1 (en) RF pass-through connector
US10103483B2 (en) Coaxial plug-in connector arrangement
US8298020B1 (en) Central conductor of coaxial cable connector
JP5669135B2 (ja) コネクタ用エンクロージャ組立体、ストレインリリーフ部材、及び封止方法
US20200091658A1 (en) Coaxial cable connector interface for preventing mating with incorrect connector
CN100409490C (zh) 具有增强绝缘件的同轴连接器及相关的制造方法
US9362682B2 (en) Micro electronic plug connector
KR102342307B1 (ko) 케이블 고정장치 및 케이블 고정방법
US20090017684A1 (en) Connector and pins thereof
CA2961197C (en) Universal mounting clip for signal-carrying cables
US8657625B2 (en) Connector and semiconductor test device
US8965031B2 (en) Earphone with elastic holder for driver and cord
KR101408249B1 (ko)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
US20210119340A1 (en) Antenna apparatuses and image transmission devices having same
JP2013219030A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20100175906A1 (en) Wire connection unit
US11245234B2 (en) Multi-pole electric connection device
KR102364001B1 (ko) 케이블 하니스
KR101643877B1 (ko) 케이블 고정 장치
CN203166162U (zh) 一种集束连接器
WO2019087675A1 (ja) 超音波センサ
US10832834B2 (en) Cable assembly
JP6727756B2 (ja) 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アセンブリ、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RU2738979C1 (ru) Концевое 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узел троса управлен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да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10044153B1 (en)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hell with a cap with a conical wall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