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756B1 - 반려동물 돌봄 센터용 개별공간 nfc 도어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돌봄 센터용 개별공간 nfc 도어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756B1
KR102341756B1 KR1020210028218A KR20210028218A KR102341756B1 KR 102341756 B1 KR102341756 B1 KR 102341756B1 KR 1020210028218 A KR1020210028218 A KR 1020210028218A KR 20210028218 A KR20210028218 A KR 20210028218A KR 102341756 B1 KR102341756 B1 KR 102341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ian
companion animal
nfc
management server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기플라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기플라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기플라워
Priority to KR1020210028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2Access control comprising means for the enrolment of us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8With time considerations, e.g. temporary activation, valid time window or time limit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반려동물 돌봄 센터용 개별공간 NFC 도어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복수의 개별공간이 마련되어 반려동물별로 전용 제공되며, 개별공간마다 구비된 도어에 NFC 기반 디지털 도어락이 갖춰진 반려동물 돌봄 센터를 위해 특화된 것으로, 보호자가 반려동물 돌봄 센터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 한하여 보호자 반려동물용 개별공간의 디지털 도어락에 NFC ID를 등록시킨다.

Description

반려동물 돌봄 센터용 개별공간 NFC 도어 제어 방법{Individual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NFC for pet card center}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호자들의 반려동물들에 대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려동물 돌봄 센터에 특화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014-0115631호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도어락 장치와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스마트폰은 도어락 어플리케이션으로 도어락 장치에 접속하여 도어락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도어락 장치는 도어락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되면 도어락 잠금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르면, 리모트 콘트롤 방식의 도어락에 대해 별도의 전용 리모콘 없이도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도어락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014-0115631호 (2014년 10월 1일 공개)
본 발명은 복수의 개별공간이 마련되어 반려동물마다 개별공간을 하나씩 전용으로 제공하여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려동물 돌봄 센터를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개별공간별 디지털 도어락에 대해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호자의 잠금 해제를 가능하게 함은 물론 정당한 권한이 없는 자에 의한 잠금 해제를 원천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반려동물 돌봄 센터용 개별공간 NFC 도어 제어 방법은 복수의 개별공간이 마련되어 반려동물별로 전용 제공되며, 개별공간마다 구비된 도어에 NFC 기반 디지털 도어락이 갖춰진 반려동물 돌봄 센터를 위해 특화된 것으로, 반려동물 보호자가 착용한 블루투스 액세서리는 주기적으로 보호자 식별자가 담긴 비콘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반려동물 돌봄 센터 내 서로 다른 영역에 마련된 복수의 비콘 수신기는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비콘 신호로부터 보호자 식별자를 추출하여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관리 서버는 어느 하나의 비콘 수신기로부터 보호자 식별자가 수신되면 해당 보호자가 반려동물 돌봄 센터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관리하며, 일정 시간 이상 보호자 식별자가 미수신되면 해당 보호자가 반려동물 돌봄 센터를 벗어난 것으로 관리하는 단계, 관리 서버는 보호자가 반려동물 돌봄 센터에 위치하고 있는 동안에 한하여 보호자의 반려동물용 개별공간의 디지털 도어락에 보호자의 NFC ID를 등록시키며, 보호자가 반려동물 돌봄 센터를 벗어나면 디지털 도어락에 등록된 NFC ID를 삭제시키는 단계, 및 디지털 도어락은 보호자 스마트폰의 NFC 태깅을 통해 획득된 NFC ID를 내부에 등록된 NFC ID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도어를 잠금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호자로 하여금 반려동물을 위한 개별공간의 NFC 기반 디지털 도어락을 잠금 해제할 수 있는 권한을 갖게 하면서도 보호자가 스마트폰을 분실하거나 NFC ID를 도용당하더라도 타인에 의한 잠금 해제를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자로 하여금 지인을 대리인으로 두어 반려동물 돌봄 센터에서 돌봄 중인 반려동물을 살피게 할 수 있으면서도 대리인 인증을 강화하여 지인의 대리인 권한 남용을 원천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돌봄 센터용 개별공간 NFC 도어 제어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돌봄 센터용 개별공간 NFC 도어 제어 방법 흐름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돌봄 센터용 개별공간 NFC 도어 제어 시스템 블록도이다. 본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구성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반려동물 돌봄 센터(10)는 반려동물 보호자들의 반려동물(강아지 또는 고양이)들에 대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물리적 공간을 갖춘 곳으로, 반려동물들을 개별적으로 돌보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별공간들을 제공한다. 각각의 개별공간은 출입용 도어가 마련되어 있으며, 도어에는 디지털 도어락(100)이 구비된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반의 도어락이다. 그리고 각각의 보호자는 자신의 반려동물에게 전용으로 할당된 개별공간의 디지털 도어락(100)에 대해 NFC 태깅을 통해 도어를 잠금 해제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반려동물 돌봄 센터(10)에는 블루투스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비콘 수신기(200)가 구비된다. 비콘 수신기(200)들은 서로 다른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반려동물 돌봄 센터(10)의 전 영역을 비콘 통신 영역으로 아우른다. 블루투스 비콘(400)은 반려동물의 보호자가 소지하고 다니는 것으로, 팔찌 등과 같이 보호자의 착용을 위한 액세서리형 비콘일 수 있다. 각각의 블루투스 비콘(400)은 주기적으로 보호자 식별을 위한 고유 식별자인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가 담긴 무선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한다. 일 예로, 불필요한 신호 송출을 방지하기 위해 블루투스 비콘(400)에는 전원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블루투스 비콘(400)은 전원 스위치가 온(on) 되면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반려동물에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가 주어질 수 있다. 반려동물에게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과 관리 서버(9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별도의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보호자 스마트폰(500)은 반려동물 보호자에 의해 사용되는 모바일 통신 가능한 컴퓨팅 단말이며, 대리인 스마트폰(700)은 보호자의 대리인에 의해 사용되는 모바일 통신 가능한 컴퓨팅 단말이다. 각각의 보호자 스마트폰(500)에는 보호자용 애플리케이션(보호자 앱)(600)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각각의 대리인 스마트폰(700)에는 대리인용 애플리케이션(대리인 앱)(800)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 보호자 앱(600)과 대리인 앱(800)은 개별공간의 도어를 잠금 해제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관리 서버(900)는 하나 이상의 서버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버 시스템으로서, 윈도우 계열 운영체제나 MacOS, 자바, 유닉스(UNIX) 또는 리눅스(LINUX)를 포함하거나 이에 포함되지 않는 다양한 운영체제 하에서 운영될 수 있다. 관리 서버(900)는 디지털 도어락(100)들과 비콘 수신기(200)들과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들과 보호자 스마트폰(500)들 및 대리인 스마트폰(700)들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보호자들 및 대리인들에게 개별공간 NFC 도어 제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같은 관리 서버(900)는 반려동물 돌봄 센터(10) 내에 구축될 수도 있고, 별도의 장소에 구축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돌봄 센터용 개별공간 NFC 도어 제어 방법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보호자는 반려동물 돌봄 센터(10)에서 제공하는 반려동물 돌봄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으며, 보호자의 반려동물은 개별공간 #1에서 지내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도 2에 대해 설명한다. 보호자의 블루투스 비콘(400)은 보호자 식별자(UUID)가 담긴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한다(S100). 예를 들어, 10초 단위로 비콘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이다. 그리고 불필요한 신호 송출을 방지하기 위해, 블루투스 비콘(400)에는 전원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블루투스 비콘(400)은 전원 스위치가 온(on) 되면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이다.
보호자가 반려동물 돌봄 센터(10)를 방문해 있으면, 반려동물 돌봄 센터(10)에 설치된 비콘 수신기(200)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비콘 수신기(200)는 블루투스 비콘(400)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비콘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비콘 수신기(200)는 수신된 비콘 신호로부터 보호자 식별자(UUID)를 추출하며, 그 추출된 보호자 식별자(UUID)를 관리 서버(900)로 전달한다(S110)(S120).
관리 서버(900)는 비콘 수신기(200)로부터 보호자 식별자(UUID)를 수신하며, 수신된 보호자 식별자로 식별되는 보호자가 반려동물 돌봄 센터(10)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상태 관리한다(S130)(S140). 다음으로, 관리 서버(900)는 데이터베이스 상에 보호자 식별자(UUID)에 매핑되어 있는 보호자의 NFC ID를 개별공간 #1의 디지털 도어락(100)으로 전송한다(S150).
도 3에 대해 설명한다. S150의 후속으로 개별공간 #1의 디지털 도어락(100)은 관리 서버(900)로부터 보호자의 NFC ID를 수신하여 내부 메모리에 등록한다(S200). 이후, 보호자에 의해 보호자 스마트폰(500)이 디지털 도어락(100)에 NFC 태깅되면, 디지털 도어락(100)은 보호자 스마트폰(500)으로부터 NFC ID를 획득(수신)하여 내부 메모리에 등록된 NFC ID와 일치하는지 비교 인증한다(S210)(S220). 비교 결과 일치하면, 즉 NFC ID 인증에 성공하면, 디지털 도어락(100)은 도어를 잠금 해제한다(S230). 한편, 디지털 도어락(100)은 S200 이후에 관리 서버(900)로부터 NFC ID 삭제 명령이 있으면 내부 메모리에 등록된 NFC ID를 삭제한다(S240)(S250).
도 4에 대해 설명한다. S140의 후속으로 관리 서버(900)는 보호자 식별자(UUID)가 일정 시간(예를 들어, 1분) 내에 미수신되면 보호자가 반려동물 돌봄 센터(10)를 벗어난 것으로 상태 관리한다(S310)(S320). 보호자가 반려동물 돌봄 센터(10) 내에 위치해 있다면 보호자가 소지한 블루투스 비콘(400)이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비콘 신호가 비콘 수신기(200)에 의해 수신되어 관리 서버(900)로 보호자 식별자가 전달되지만, 보호자가 반려동물 돌봄 센터(10)를 벗어나면 보호자 식별자는 관리 서버(900)로 전달되지 않는다. 즉, 관리 서버(900)는 일정 시간 내 보호자 식별자의 수신 여부에 따라 보호자가 반려동물 돌봄 센터(10)에 그대로 머무르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보호자의 방문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참고로, 관리 서버(900)에 의해 관리되는 방문 상태 테이블은 표 1에 예시되어 있다. 표 1에서 ○는 방문중임을 나타내며, ×는 방문중이 아님을 나타낸다.
개별공간 보호자
#1 O
#2 O
#3 O
#4 X
#5 X
#6 O
한편, S320 이후에 관리 서버(900)는 개별공간 #1의 디지털 도어락(100)으로 NFC ID 삭제를 명령하며, 이에 의해 도 3의 S250이 수행된다. 이상의 도 1 내지 도 4에 따르면, 보호자가 스마트폰을 분실하거나 NFC ID를 도용당하더라도 보호자가 반려동물 돌봄 센터(10)에 머무르고 있지 않으면 디지털 도어락에는 NFC ID가 등록되지 않게 되는 바, 사실상 타인에 의한 잠금 해제는 불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5와 도 6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와 도 6은 보호자가 아닌 대리인이 보호자 대신에 반려동물 돌봄 센터(10)를 방문하여 개별공간 #1의 도어를 잠금 해제시키고자 하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보호자를 대신하여 반려동물 돌봄 센터(10)에 방문한 대리인은 자신의 스마트폰(700)을 조작하여 대리인 앱(800)을 실행시키며, 대리인 앱(800)에서 제공하는 반려동물 블루투스 연결 기능을 선택한다. 이에 대리인 앱(800)은 대리인 스마트폰(700)과 보호자의 반려동물이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와의 블루투스 페어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400). 그 과정에서 대리인 앱(8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에 대한 블루투스 페어링을 위한 PIN(personal identificaion number) 입력 요청이 있으면, 보호자로부터 정보 제공된 PIN을 입력하여 블루투스 페어링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블루투스 페어링이 완료되면, 대리인 앱(8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 반려동물 프로필을 전송한다(S410).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리인 앱(800)은 대리인에게 반려동물 프로필의 입력을 요청하며, 그에 따라 대리인으로부터 입력된 반려동물 프로필을 블루투스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반려동물 프로필에는 견종 또는 묘종, 성별, 연령, 닉네임, 보호자 연락처가 포함된다. 추가로, 대리인 앱(800)은 대리인 스마트폰(700)에 기록되어 있는 대리인의 폰 전화번호를 읽어들여 반려동물 프로필과 함께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대리인 스마트폰(700)으로부터 반려동물 프로필을 수신하며(S420), 수신된 반려동물 프로필을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내부에 기록되어 있는 반려동물 식별자와 함께 관리 서버(900)로 전달한다(S430). 이때, 대리인 스마트폰(700)으로부터 반려동물 프로필 외에 대리인 스마트폰(700)에 부여된 전화번호가 함께 수신된 경우에는 그 대리인 전화번호도 관리 서버(900)로 전달된다.
관리 서버(9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부터 수신된 반려동물 프로필을 인증한다(S440).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 서버(900)는 반려동물 프로필과 함께 수신된 반려동물 식별자를 가지고 데이터베이스에서 반려동물 프로필을 검색한 후에 그 검색된 반려동물 프로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부터 수신된 반려동물 프로필이 일치하는지 비교 인증한다. 부연하면, 데이터베이스에는 돌봄 서비스 대상의 반려동물들에 부여된 반려동물 식별자들과 각각의 반려동물 식별자에 매핑된 반려동물 프로필이 등록되어 있으며, 관리 서버(9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부터 수신된 반려동물 식별자에 매핑된 반려동물 프로필을 검색하고 비교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다.
S440에서 반려동물 프로필이 인증되면, 관리 서버(900)는 보호자 스마트폰(500)의 보호자 앱(600)으로 인증 사실을 보고한다(S450). 즉, 대리인이 인증되었음을 보고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 서버(900)는 해당 보호자가 반려동물 돌봄 센터(10)에 위치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한 후에 반려동물 돌봄 센터(10)에 없을 경우에 한하여 보호자 앱(600)으로 인증 사실을 보고한다. 즉, 관리 서버(900)는 표 1의 예와 같은 방문 상태 테이블에서 개별공간 #1의 보호자가 방문중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확인한 후에 방문중이 아닐 경우에 한하여 보호자 앱(600)으로 인증 사실을 보고하는 것이다. 이때, 관리 서버(9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부터 수신된 대리인 전화번호를 보호자 앱(600)으로 전달하면서 대리인 인증 사실을 보고할 수 있다.
도 6에 대해 설명한다. 보호자 스마트폰(500)의 보호자 앱(600)은 관리 서버(900)로부터 대리인 인증 사실이 보고되면 보호자에게 대리인이 개별공간 #1의 디지털 도어락(100)을 잠금 해제할 수 있는 권한에 대한 승인을 요청한다(S500).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호자 앱(600)은 관리 서버(900)로부터 대리인 전화번호와 함께 대리인 인증 사실이 보고되면 그 수신된 대리인 전화번호를 화면에 표시하면서 보호자에게 대리인의 잠금 해제 권한에 대한 승인을 요청한다. 또는 보호자 앱(600)은 대리인 전화번호로 보호자 스마트폰(500)에 저장된 연락처 리스트에서 해당 대리인의 이름을 검색하며, 검색된 이름을 화면 표시하면서 권한 승인을 요청할 수도 있다. 권한 승인을 요청받은 보호자는 권한 승인 여부를 입력하며, 보호자 앱(600)은 보호자의 입력에 따른 권한 승인 여부를 관리 서버(900)로 통지한다(S510).
관리 서버(900)는 보호자 앱(600)으로부터의 통지를 수신하고 그 통지를 통해 대리인 권한 승인이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한하여 개별공간 #1의 디지털 도어락(100)으로 보호자의 NFC ID를 전송하여 임시 등록시킨다(S520). 즉, 소정의 제한 시간(예를 들어, 30초) 동안만 임시 등록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디지털 도어락(100)은 NFC ID를 수신하여 내부 메모리에 등록한 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내부 메모리에 등록된 NFC ID를 삭제 처리한다.
또한, 관리 서버(900)는 S520에서 대리인 스마트폰(700)의 대리인 앱(800)으로도 보호자의 NFC ID를 전송하여 임시 등록시킨다. 참고로, 관리 서버(900)는 보호자 식별자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그 보호자 식별자에 매핑된 대리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대리인 정보를 통해 해당 대리인 앱(800)으로 보호자의 NFC ID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대리인 앱(800)은 관리 서버(900)로부터 NFC ID를 수신하면 그 NFC ID를 대리인 스마트폰(700) 내의 NFC 칩에 소정의 제한 시간(예를 들어, 30초) 동안만 임시 등록함으로써 대리인으로 하여금 디지털 도어락(100)에 대한 NFC 태깅을 통해 도어를 잠금 해제할 수 있게 하며,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NFC 칩에 등록된 NFC ID를 완전 파기함으로써 재사용을 방지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보호자 앱(600)은 S500에서 관리 서버(900)로부터 대리인 전화번호와 함께 대리인 인증 사실이 보고되면 그 수신된 대리인 전화번호 보호자 스마트폰(500)에 저장된 연락처 리스트에서 해당 대리인의 이름을 검색하며, 검색에 성공할 경우에 한하여 그 검색된 이름을 화면 표시하면서 권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즉, 해당 대리인의 이름이 연락처 리스트에서 검색되지 않으면, 보호자 앱(600)은 보호자에게 잠금 해제 권한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지 않는 것이다. 대신에 보호자 앱(600)는 관리 서버(900)로 대리인의 잠금 해제 권한에 대한 승인 거부를 자동으로 통지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디지털 도어락 200 : 비콘 수신기
300 : 웨어러블 디바이스 400 : 블루투스 비콘
500 : 보호자 스마트폰 600 : 보호자 앱
700 : 대리인 스마트폰 800 : 대리인 앱
900 : 관리 서버

Claims (3)

  1. 복수의 개별공간이 마련되어 반려동물마다 전용으로 제공되며, 개별공간별로 구비된 도어에 NFC 기반 디지털 도어락이 갖춰진 반려동물 돌봄 센터를 위한 개별공간 NFC 도어 제어 방법에 있어서,
    반려동물 보호자에 의해 착용되는 액세서리형 블루투스 비콘은 주기적으로 보호자 식별자가 담긴 비콘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반려동물 돌봄 센터 내 서로 다른 영역에 마련된 복수의 비콘 수신기는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비콘 신호로부터 보호자 식별자를 추출하여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관리 서버는 어느 하나의 비콘 수신기로부터 보호자 식별자가 수신되면 해당 보호자가 반려동물 돌봄 센터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관리하며, 일정 시간 이상 보호자 식별자가 미수신되면 해당 보호자가 반려동물 돌봄 센터를 벗어난 것으로 관리하는 단계;
    관리 서버는 보호자가 반려동물 돌봄 센터에 위치하고 있는 동안에 한하여 보호자의 반려동물용 개별공간의 디지털 도어락에 보호자의 NFC ID를 등록시키며, 보호자가 반려동물 돌봄 센터를 벗어나면 디지털 도어락에 등록된 NFC ID를 삭제시키는 단계;
    디지털 도어락은 보호자 스마트폰의 NFC 태깅을 통해 획득된 NFC ID를 내부에 등록된 NFC ID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도어를 잠금 해제하는 단계;
    보호자의 대리인 스마트폰은 개별공간에 위치한 반려동물이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블루투스 페어링하는 단계;
    대리인 스마트폰은 블루투스 페어링 완료 후에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반려동물 프로필을 전송하는 단계;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반려동물 식별자와 대리인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반려동물 프로필을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관리 서버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반려동물 식별자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해당 보호자의 반려동물 프로필을 검색하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반려동물 프로필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반려동물 프로필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인증하는 단계;
    관리 서버는 인증에 성공하면 보호자 스마트폰으로 인증 사실을 통지하는 단계;
    보호자 스마트폰은 관리 서버로부터 인증 사실이 통지되면 보호자에게 대리인 권한 승인을 요청하며, 그 요청에 따른 보호자의 대리인 권한 승인 여부를 관리 서버로 보고하는 단계;
    관리 서버는 보호자 스마트폰으로부터 대리인 권한 승인이 보고되면 해당 디지털 도어락에 보호자의 NFC ID를 소정의 제한 시간 동안만 등록시키며, 대리인 스마트폰으로 NFC ID를 전송하는 단계; 및
    대리인 스마트폰은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NFC ID를 내부의 NFC 칩에 제한된 시간 동안만 임시 등록하여 해당 디지털 도어락에 대한 NFC 태깅을 통해 도어를 잠금 해제할 수 있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돌봄 센터용 개별공간 NFC 도어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인증 사실 통지 단계는 보호자가 반려동물 돌봄 센터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한하여 보호자 스마트폰으로 인증 사실을 통지하는 반려동물 돌봄 센터용 개별공간 NFC 도어 제어 방법.
  3. 삭제
KR1020210028218A 2021-03-03 2021-03-03 반려동물 돌봄 센터용 개별공간 nfc 도어 제어 방법 KR102341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218A KR102341756B1 (ko) 2021-03-03 2021-03-03 반려동물 돌봄 센터용 개별공간 nfc 도어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218A KR102341756B1 (ko) 2021-03-03 2021-03-03 반려동물 돌봄 센터용 개별공간 nfc 도어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756B1 true KR102341756B1 (ko) 2021-12-24

Family

ID=79176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218A KR102341756B1 (ko) 2021-03-03 2021-03-03 반려동물 돌봄 센터용 개별공간 nfc 도어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7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5631A (ko) 2013-03-21 2014-10-01 삼성전기주식회사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027131A1 (en) * 2015-03-24 2017-02-02 Chelsea W. Brownridge Dog locker/pet locker
KR20200104562A (ko) * 2019-02-27 2020-09-04 주식회사 뉴턴 비콘 기반의 고객 자동 인식 기능을 갖는 대화형 키오스크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5631A (ko) 2013-03-21 2014-10-01 삼성전기주식회사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027131A1 (en) * 2015-03-24 2017-02-02 Chelsea W. Brownridge Dog locker/pet locker
KR20200104562A (ko) * 2019-02-27 2020-09-04 주식회사 뉴턴 비콘 기반의 고객 자동 인식 기능을 갖는 대화형 키오스크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2023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ccess control and awareness management
US943706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unit real estate management
US11968525B2 (en) Vehicle digital key shar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US11080378B1 (en) Hybrid device having a personal digital key and receiver-decoder circuit and methods of use
RU2695709C1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блокировкой и разблокировкой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блокировкой и разблокировкой
US10008057B2 (en) Short-range device communications for secured resource access
US9898881B2 (en) Short-range device communications for secured resource access
US80781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ty and asset management
US8045960B2 (en) Integrated access control system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507594B1 (ko) 식별 수단을 이용한 안전 출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4232355B2 (ja) 分散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提供方法
KR101296863B1 (ko) Nfc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인증 시스템
JP2011511350A (ja) アクセス制御の管理方法および装置
US200800407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mission management
CN113989959A (zh) 用于访问控制和觉察管理的方法和系统
US8756431B1 (en) Remote access privileges renewal
KR102341756B1 (ko) 반려동물 돌봄 센터용 개별공간 nfc 도어 제어 방법
KR20180131586A (ko) 서비스를 위한 크리덴셜
JPWO2008117414A1 (ja) 加入者情報共有方法及び移動通信端末
JP2006086675A (ja) アクセス制御方法、無線lanシステム、アクセス制御サーバ、および入場制御システム
JP2007170019A (ja) ゲート管理システム、ゲート管理装置
JP2002123803A (ja) 個人識別システム
JP7491162B2 (ja) 電気錠制御装置、ユーザ端末、電気錠制御システム、電気錠制御方法及び電気錠制御プログラム
US2023008079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and method
JP6868819B2 (ja) 通信システム、総合通信システム、中継システム、受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