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209B1 -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209B1
KR102341209B1 KR1020200031301A KR20200031301A KR102341209B1 KR 102341209 B1 KR102341209 B1 KR 102341209B1 KR 1020200031301 A KR1020200031301 A KR 1020200031301A KR 20200031301 A KR20200031301 A KR 20200031301A KR 102341209 B1 KR102341209 B1 KR 102341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ent
graphic object
tag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5467A (ko
Inventor
최승연
백유림
서명원
김보현
동이레
이지원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1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209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467A/ko
Priority to KR1020210179659A priority patent/KR102620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teletext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기기 상에서,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편집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태그 편집모드에서, 상기 동영상 콘텐츠와 연관시킬 정보 콘텐츠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정보 콘텐츠에 대응되는 태그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특정 재생 구간 동안 상기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도록,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상기 그래픽 객체를 삽입하는 단계를 통해, 재생되는 동영상 콘텐츠를 통해,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ADDING TAG TO VIDEO CONTENT}
본 발명은 동영상 콘텐츠와 연관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전자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는, 전화나 문자 메시지와 같은 통신 기능은 물론, 인터넷을 활용한 웹 서핑, 음악 감상, 영상 콘텐츠(동영상 콘텐츠를 포함)의 시청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의 대중화에 힘입어, 멀티 미디어로 이루어진 콘텐츠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동영상 공유 서비스(예를 들어, 유튜브(YouTube™),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라고 명명함)의 플랫폼이 발달하고, 이의 이용자 또한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플랫폼의 발달과 함께, 최근에는 콘텐츠 소비자들이 곧 콘텐츠의 생산자가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들이 직접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편집하여 하나의 동영상 콘텐츠로 제작하는 1인 미디어 시대가 도래하였다.
이러한 동영상 콘텐츠는 시청자(또는 사용자)들에게 시청각 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광고 매체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한편, 동영상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3317호는 태깅 정보를 가지는 동영상을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동영상이 포함하는 수많은 정보들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검색하기 위해 키워드 태그를 활용하는 것일 뿐, 동영상의 재생과 함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동영상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또 다른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72033호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해 태깅을 수행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다만, 이러한 방법은 센싱된 정보와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동영상 콘텐츠에 대해 자동으로 태깅 작업을 수행하는 기술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동영상 콘텐츠에 태그를 삽입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동영상 콘텐츠가 가진 고유의 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에 따른 정보 뿐만 아니라, 동영상 콘텐츠의 생산 주체가 되는 사용자의 니즈를 반영하여, 동영상 콘텐츠와 함께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니즈가 있다.
본 발명은,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데에서 나아가, 동영상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동영상 콘텐츠와 관련된 유익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서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재생되고 있는 장면과 연관된 유익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이 없더라도, 재생되고 있는 장면과 연관된 유익한 정보가 존재함을 사용자에게 쉽게 인지시키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동영상 콘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유익한 정보로의 직관적인 접근을 유도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는 것과 함께, 본래 전자기기에서 재생 중이던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을 유지할 수 있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사용자가, 동영상 콘텐츠와 함께 추가적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를 보다 쉽고, 직관적으로 추가할 수 있는 제작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동영상 콘텐츠에 다양한 정보 콘텐츠를 삽입함으로써, 동영상 콘텐츠가 단순히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정보 콘텐츠로의 연결 통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은, 전자기기 상에서,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편집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태그 편집모드에서, 상기 동영상 콘텐츠와 연관시킬 정보 콘텐츠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콘텐츠에 대응되는 태그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특정 재생 구간 동안 상기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도록,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상기 그래픽 객체를 삽입하는 단계를 통해, 동영상 콘텐츠와 함께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상기 특정 재생 구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은,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서 상기 그래픽 객체의 출력이 시작되는 시작 프레임 및 상기 시작 프레임과 연속하며, 상기 특정 재생 구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연관 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태그 편집 모드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편집을 위한 콘텐츠 편집 모드에서 발생되는 태그 삽입 요청 이벤트에 근거하여 실행되고, 상기 시작 프레임은,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중, 상기 태그 삽입 요청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 상기 전자기기에서 출력되고 있었던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 태그 편집모드에서, 상기 동영상 콘텐츠와 연관시킬 정보 콘텐츠를 선택받는 입력부 및 상기 정보 콘텐츠에 대응되는 태그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특정 재생 구간 동안 상기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도록,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상기 그래픽 객체를 삽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중 상기 특정 재생 구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상기 그래픽 객체를 오버랩하는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은, 동영상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에 정보 콘텐츠와 연관된 태그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를 추가함으로써,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콘텐츠는,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정보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동영상 콘텐츠와 함께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를, 보다 직관적으로 제3 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구간 중 그래픽 객체가 포함되는 특정 재생 구간을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추가적인 정보가 제공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재생되고 있는 부분과 연관되도록 정보 콘텐츠를 추가할 수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이 제작된 동영상 콘텐츠를 이용하는 제3 자(또는 사용자)는,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부분과 연관된 정보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별도로 정보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동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가 선택되는 경우, 그래픽 객체에 포함된 태그에 링크된 정보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동영상 콘텐츠를 이용하는 제3자(또는 사용자)는, 동영상 콘텐츠의 이용 중에 언제라도 정보 콘텐츠로 접근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정보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더라도, 전자기기의 일 영역에서 계속하여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하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동영상 콘텐츠를 이용하는 제3자(또는 사용자)는 끊김없이 동영상 콘텐츠를 계속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에서 태그를 삽입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살펴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 도 5b, 도 5c, 도 6a, 도 6b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에서 태그에 해당하는 그래픽 객체를 삽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에서 태그로서 삽입할 정보 콘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에서 정보 콘텐츠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영상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동영상 콘텐츠와 함께 유익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소프트웨어(software)의 형태로 구현되는 시스템에 의하여 일련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이하에서는, 애플리케이션과 소프트웨어의 용어를 구분하지 않고, 통일하여 애플리케이션이라고 명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은,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애플리케이션이라고도 명명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고유의 기능을 단독으로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일련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은 다른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갖는 일 기능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동영상 콘텐츠를 생성 또는 제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이 적용된 형태를 구분하지 않고 공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이 그 고유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되거나,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일 기능으로 제공되는 것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에서 태그를 삽입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전자기기(100c)에 설치되어, 동영상 콘텐츠에 대해 태그를 삽입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전자기기 상에서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전자기기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전자기기 출고 당시, 전자기기에 설치되어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을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외부 데이터(data) 저장소(또는 외부 서버(server))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되어, 전자기기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기기 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시스템이 구현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동영상 콘텐츠에 태그를 삽입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고유의 기능을 단독으로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뿐만 아니라, 다른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갖는 일 기능으로서, 일련의 과정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전자기기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시스템에 따른 기능이 동작가능한 전자기기이면 되며,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휴대용 컴퓨터(laptop computer),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데스크톱 컴퓨터(desk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시스템(100a)은, 입력부(110), 출력부(120), 저장부(130), 통신부(140) 및 제어부(1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의 구성요소들은,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요소로서, 전자기기(100c)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요소와 연동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는 전자기기(100c)에 구비된 입력부 구성(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가상 키(key), 물리적인 키(또는 하드웨어적인 버튼), 입력 센서, 마이크 등)을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10)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해 태그를 삽입하기 위한 태그 편집 모드에서, 동영상 콘텐츠와 연관시킬 정보 콘텐츠를 선택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선택받는다” 함은, 전자기기(100c)에 구비된 입력부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의 선택이 이루어지는 것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되는 선택 신호(또는 입력 신호, 또는 사용자 입력)를 수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출력부(120)는 전자기기(100c)에 구비된 출력부 구성(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 터치 스크린, 스피커 등)을 통하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전자기기(100c)에 구비된 메모리 및 외부 저장소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통해 생성되는 태그와 관련된 정보, 그래픽 객체와 관련된 정보 및 정보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거나, 시스템과 관련된 정보, 또는 명령(또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저장부(130)에 “저장된다”고 함은, 물리적으로는, 전자기기(100c)의 메모리 또는 외부 저장소에 정보가 저장됨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저장소(100b)는, 클라우드(cloud) 방식의 저장소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갖는 애플리케이션이 전자기기(100c)에서 삭제되는 경우,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보 또한, 전자기기(100c)에서 삭제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외부 저장소(100b)에 저장된 정보는 삭제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140)는, 전자기기(100c)에 구비된 통신 모듈(예를 들어,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위치정보 모듈, 방송 수신 모듈 등)의 구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정보(또는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또는 외부 서버)와 송수신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전자기기(100c)에 구비된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은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동작할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전자기기(100c)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50)는, 태그 편집 모드가 실행되는 전자기기에서, 정보 콘텐츠에 대응되는 태그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를 생성하고, 동영상 콘텐츠의 특정 재생 구간 동안 상기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도록,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상기 그래픽 객체를 삽입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보 콘텐츠란, 전자기기를 통해 나타낼 수 있는(또는 표현할 수 있는) 정보로서, 그 정보의 종류, 형태, 내용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자문서, 웹페이지, 이미지, 동영상, E-book,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 장소 정보, 쇼핑 정보 등도 모두 정보 콘텐츠라고 표현할 수 있다. 정보 콘텐츠는, 그 정보의 카테고리나, 정보의 유형을 구분하지 않고 매우 폭넓게 이해되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정보 콘텐츠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접근 가능한 정보로서, 그 접근 경로가 특정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접근 경로는 URL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접근 가능한 정보라 함은, “정보 콘텐츠로의 접근을 위하여 특별한 권한이나, 보안이 필요하지 않다”는 의미까지는 포함하지 않는다.
한편, “태그(tag)”란, “특정 정보 콘텐츠”를 나타내는(또는 대표하는, 요약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특정 정보 콘텐츠”는 임의의 정보 콘텐츠가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또는 요청)이나 제어부(150)에 의하여 특정된 정보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쇼핑정보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정보 검색 사이트(또는 정보 검색 엔진)을 통해, “운동화”라는 검색어를 입력했을 때, 출력되는 “운동화”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는 “임의의 정보 콘텐츠”라고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임의의 정보 콘텐츠 중, 사용자의 선택(또는 요청)이나 제어부(150)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가 특정된 경우, 특정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 콘텐츠는, “특정 정보 콘텐츠”라고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보 콘텐츠가 선택되었다”라고 함은, “정보 콘텐츠가 특정 되었다”라고 이해되어질 수 있다. 나아가, 위에서 선택된 정보 콘텐츠는, “특정 정보 콘텐츠”라고도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정 정보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특정 정보 콘텐츠의 태그로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태그는, 특정 정보 콘텐츠를 나타내는(또는 대표하는, 요약하는) 정보라고 표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제어부(150)는 태그와 특정 정보 콘텐츠를 상호 연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태그와 특정 콘텐츠는 서로 매칭될 수 있으며, 그 매칭과 관련된 정보(또는 “매칭 정보”라고도 명명될 수 있음)는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태그가 동영상 콘텐츠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매칭과 관련된 정보는, 동영상 콘텐츠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태그를 동영상 콘텐츠에 삽입함에 있어서, 상기 매칭과 관련된 정보까지 동영상 콘텐츠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태그와 특정 정보 콘텐츠가 상호 연관된다”고 함은, 태그를 통하여, 특정 정보 콘텐츠로 접근이 가능함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태그에 “상기 특정 정보 콘텐츠로의 접근 경로에 대한 정보가 링크되었다” 라고도 표현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앞서 살펴본 특정 정보 콘텐츠로의 접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매칭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동영상 콘텐츠에 태그가 삽입된 후, 동영상 콘텐츠에 삽입된 태그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경우,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하던 전자기기는 동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매칭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정보 콘텐츠로 접근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상기 접근 경로에 대한 정보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전자기기에서 접근 가능한 정보로서, URL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태그는, 반드시 텍스트(도 2의 (a) 221 참조: “나이스 런닝화”)로 이루어지는 것 만은 아니며, 이미지(도 2의 (a) 222 이미지 참조)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이미지는, 정적인 이미지(static image) 및 동적인 이미지(또는 동영상, video)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와 같이,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태그가 이루어 진 것을, “시각적인 정보로 태그가 이루어졌다”고 표현할 수 있다. 이외에도, 태그는 청각적인 정보로 이루어지거나, 촉각적인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태그는, 정보가 출력되는 형태에 따라, 시각적인 정보로 이루어진 태그, 청각적인 정보로 이루어진 태그, 또는 촉각적인 정보로 이루어진 태그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시각적인 정보로 이루어진 태그를 동영상 콘텐츠에 삽입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한편, 태그는 특정 정보 콘텐츠와 연관성을 갖는 정보로서, 특정 정보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거나, 특정 정보 콘텐츠를 대표하거나 의미할 수 있는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50)는, 특정 정보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특정 정보 콘텐츠의 태그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일부의 정보는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50)는 특정 정보 콘텐츠에 포함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여, 추출된 정보를 상기 특정 정보 콘텐츠와 연관된 태그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어떠한 정보가 추출될지 여부는, 기 설정된 기준 또는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근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특정 정보 콘텐츠와 연관시킬 태그에 해당하는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상기 특정 정보 콘텐츠의 태그로서 설정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태그는, 태그 편집 모드를 통해 동영상 콘텐츠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에서, 태그 편집 모드란, 동영상 콘텐츠에 태그를 삽입하기 위한 모드로서, 태그 편집 모드의 실행은,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할 수 있다.
이때, 태그 편집 모드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에 근거하여, 실행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만을 고유하게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다고 함은, 곧 태그 편집 모드가 실행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외에 다른 기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다고 함은, 곧 태그 편집 모드가 실행되었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상기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 한하여, 태그 편집 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의 선택은,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할 수 있다. 상기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이 링크된(또는 연관된) 기능 아이콘 또는 메뉴가 존재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이러한 기능 아이콘 또는 메뉴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태그 편집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태그 편집 모드를 실행하는 방법은, 위에서 살펴본 예들 외에도 다양한 적용 예들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태그 편집 모드를 실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태그를 삽입한다고 함은, 동영상 콘텐츠와 태그를 연관시키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콘텐츠를 나타내는(또는 대표하는) 태그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적인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시각적인 처리는, 태그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도 2의 (a) 220 참조)가, 동영상 콘텐츠의 적어도 일 재생구간에서 나타나도록 하는 그래픽 처리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동영상 콘텐츠에 태그를 삽입한다”고 함은, “동영상 콘텐츠에 태그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를 삽입한다” 라고도 표현할 수 있으며, 두 표현은 모두 동일한 기술적 의미를 갖는다.
한편, 그래픽 객체(220)는, 도 2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태그(221, 222)를 포함하는 이미지로 이해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태그는, 특정 정보 콘텐츠를 대표하는 데이터 그 자체를 의미하며, 그 데이터가 시각화 된 것을 “그래픽 객체(220)”라고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태그가 선택되었다 함은, 도 2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기기(100c) 상에서 그래픽 객체(220)가 선택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반대로, 본 발명에서, 그래픽 객체(220)가 선택되었다 함은, 그래픽 객체(200)를 통해 나타내어지는 태그가 선택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는, 그 선택되는 대상에 대한 엄격한 구분을 하지 않고,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한편, 앞선 설명에서, 태그와 특정 정보 콘텐츠가 상호 매칭되어 있음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태그와 특정 정보 콘텐츠가 상호 매칭되었음은, 곧 그래픽 객체와 특정 정보 콘텐츠가 상호 매칭되어 있는 것과 동일하게 해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태그와 특정 정보 콘텐츠가 상호 연관된다”고 함은, “그래픽 객체와 정보 콘텐츠가 상호 연관된다”고도 이해되어 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그래픽 객체를 통해 특정 정보 콘텐츠로 접근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그래픽 객체에 “특정 정보 콘텐츠로의 접근 경로에 대한 정보가 링크되었다” 라고도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태그로서 삽입된 그래픽 객체(220)가 선택되는 경우, 도 2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태그에 매칭된 정보 콘텐츠(230)의 적어도 일부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그래픽 객체(220)는 태그 그 자체만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각적인 요소(예를 들어, 형상, 색상, 크기 등과 관련된 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뒷부분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내용을 기반으로, 도면들과 함께 동영상 콘텐츠에 대해 태그를 삽입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살펴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 도 5b, 도 5c, 도 6a, 도 6b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에서 태그에 해당하는 그래픽 객체를 삽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이하에서, 도면과 함께 설명되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은,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시스템을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또는 소프트웨어)이 전자기기(100c)상에서 실행되어 있음을 전제로 이해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100c) 상에, 본 발명의 수행을 위하여 출력되는 화면들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화면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화면을 “실행화면”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에 의하면,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편집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이 진행된다(S310, 도 3 참조).
태그 편집 모드는, 전자기기(100c)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나아가,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태그 편집 모드는 동영상 콘텐츠에 태그를 삽입하기 위한 모드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실행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만을 고유하게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전자기기의 화면 상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태그 편집 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외에 다른 기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이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태그 편집 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의 선택은,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또는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은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하나의 기능으로서 탑재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제어 및 동영상 콘텐츠에 태그를 삽입하기 위한 제어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또는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도 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이 링크된(또는 연관된) 기능 아이콘(410) 또는 메뉴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태그 편집 모드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편집을 위한 콘텐츠 편집 모드에서 발생되는 태그 삽입 요청 이벤트에 근거하여 실행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전자기기(100c)에서 상기 기능 아이콘(410)이 선택되는 경우, 이를 태그 삽입 요청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이러한 태그 삽입 요청 이벤트에 근거하여, 태그 편집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기능 아이콘(410)으로의 접근 경로는 매우 다양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콘텐츠 편집 모드에서 상기 전자기기(100c)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콘텐츠 편집 실행화면이 출력되고, 상기 콘텐츠 편집 실행화면의 일 영역에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편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아이콘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태그 삽입 요청 이벤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 아이콘 중 상기 태그 편집 모드의 실행 기능에 링크된 어느 하나의 기능 아이콘(410)이 선택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본 기능에 따른 태그 편집 모드를 실행하는 일 예를 설명한 것일 뿐, 위의 예에 본 발명이 구속되지 않는다. 태그 편집 모드가 실행된 이후의 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이 고유의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제공되거나,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일 기능으로 제공되는 것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태그 편집 모드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하여 태그를 삽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태그 편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태그를 삽입할 동영상 콘텐츠의 특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때, 상기 S310 단계는, 동영상 콘텐츠를 특정하는 과정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S310 단계는, 동영상 콘텐츠를 구성하는 영상을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영상 콘텐츠의 특정은, 사용자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상이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이용하여, 동영상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동영상 콘텐츠를, 태그 편집의 대상이 되는 동영상 콘텐츠로서 특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태그 편집의 대상이 되는 동영상 콘텐츠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에 대응되는 동영상 콘텐츠일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은, 정적인 영상(static image) 또는 동적인 영상(또는 동영상, video)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이, 정적인 영상인 경우, 동영상 콘텐츠에는, 정적인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동영상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이, 정적인 영상인 경우, 상기 정적인 영상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재생시간을 갖는 동적인 영상(또는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상기 생성된 동적인 영상에 대해, 태그 삽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상기 정적인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복사(copy) 또는 복제하여, 복수의 프레임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기 설정된 재생시간을 갖는 동적인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의 유형에 구애받지 않고, 태그 삽입을 수행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 태그 삽입의 대상이 되는 동영상 콘텐츠는, 하나 또는 복수의 동영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영상 콘텐츠는 복수의 동영상(610, 620, 6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동영상의 구분은, 동영상 콘텐츠가 생성되기 전, 복수의 동영상들이 하나의 동영상 파일로 존재했는지 또는 별개의 동영상 파일로 존재했는지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로 이루어진 동영상을 포함하는 동영상 콘텐츠의 적어도 일 구간에 대하여, 태그를 삽입하는 태그 편집 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한편, 태그 편집 모드의 실행은, 태그를 삽입할 동영상 콘텐츠가 특정된 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태그 편집 모드의 실행은, 동영상 콘텐츠가 특정되기 전 먼저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동영상 콘텐츠는, 태그 편집 모드가 실행된 후에, 선택될 수 있다. 나아가, 동영상 콘텐츠로서, 복수의 영상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50)는 선택된 복수의 영상을 하나의 동영상 콘텐츠로서 합성하는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S310 과정에서 함께 살펴본 것과 같이, 동영상 콘텐츠가 특정되고, 태그 편집 모드가 실행된 경우, 본 발명에서는, 동영상 콘텐츠와 연관시킬 정보 콘텐츠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이 진행된다(S320). 다시 말해, 태그 편집 모드가 실행된 전자기기(100c)에서, 상기 동영상 콘텐츠와 연관시킬 정보 콘텐츠를 선택받는 과정이 진행된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정보 콘텐츠는, 전자기기를 통해 나타낼 수 있는(또는 표현할 수 있는) 정보로서, 그 정보의 종류, 형태, 내용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자문서, 웹페이지, 이미지, 동영상, E-book,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 장소 정보, 쇼핑 정보 등도 모두 정보 콘텐츠라고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 콘텐츠를 선택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환경에 따른 실행화면(420, 도 4 참조)통해,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 콘텐츠를 선택받거나,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정보 콘텐츠를 선택 받는다” 함은, 전자기기를 통해 제공가능한 정보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동영상 콘텐츠에 태그로서 삽입할 정보로서 선택함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정보 콘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소(전자기기 및 외부 저장소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임)에 저장되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콘텐츠를 입력 받는다” 함은, 정보 콘텐츠의 원천이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전자기기(100c)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메모, URL주소 등의 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정보 콘텐츠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자체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선택의 방식으로 정보 콘텐츠를 특정”하는 것을 “제1 방식으로 정보 콘텐츠를 선택한다”라고 표현하고, “입력의 방식으로 정보 콘텐츠를 특정”하는 것을 “제2 방식으로 정보 콘텐츠를 선택”한다고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제1 방식 또는 제2 방식 중 어느 방식으로 정보 콘텐츠를 선택할지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방식 또는 제2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 콘텐츠 선택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방식으로 정보 콘텐츠를 선택받는 경우, 정보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정보 콘텐츠로서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어부(150)는 제2 방식으로 정보 콘텐츠를 선택받는 경우, 정보 콘텐츠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정보 콘텐츠를 선택받기 위한 실행화면(420)을 도 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도 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행화면(420) 상에, 서로 다른 정보 카테고리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카테고리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도시와 같이, 복수의 카테고리 항목은, 장소, 쇼핑, 링크, 책, 영화, news, 여행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정보 카테고리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정보 콘텐츠를 선택하는데 있어, 그 선택의 편의를 위하여, 정보 콘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정보의 카테고리를 일차적으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카테고리에는 정보를 선택하는 방식이 기 설정되어 존재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카테고리에는, 앞서 살펴본, 제1 방식 또는 제2 방식 중 어느 방식으로 각각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정보를 선택받을지 여부가 기 설정되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소”항목에 해당하는 카테고리는,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방식인 “선택의 방식”으로 정보 콘텐츠를 특정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상기 “장소”항목이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실행화면(도 8a의 (b) 참조)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실행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특정 장소를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정보 콘텐츠로서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선택된 정보는, 정보 콘텐츠로서 특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링크”항목에 해당하는 카테고리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방식인 “입력의 방식”으로 정보 콘텐츠를 특정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실행화면(도 9의 (b) 참조)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정보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복수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방식으로 정보 콘텐츠가 선택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되, 상기 사용자 환경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는,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정보로 제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50)는, 도 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방식으로 정보 콘텐츠를 선택하는 것이 설정된 제1 카테고리(예를 들어, “쇼핑”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항목(421)이 선택된 경우, 도 4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쇼핑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실행화면(또는 검색 화면, 430)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상기 실행화면(430)을 통해, 정보 검색을 위한 검색어(또는 정보)가 입력된 경우(예를 들어, “nice”), 상기 검색어와 연관된 쇼핑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제어부(150)는, 상기 검색어와 연관된 다른 종류(예를 들어, 사전 정보, 인물 정보 등)의 정보가 존재하더라도, 쇼핑 정보만을 검색결과로서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상기 실행 화면(430)을 통해 검색어가 입력되면, 해당 검색어를 상품을 검색하기 위한 정보로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되는 상품 판매와 관련된 정보를 정보 콘텐츠로서 검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50)는, 카테고리가 선택된 후, 정보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nice”) 검색어가 추가적으로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상기 추가적으로 입력된 정보(예를 들어, 검색어)에 대응되면서, 상기 일차적으로 선택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서로 다른 정보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정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보 콘텐츠가 검색된 경우, 제어부(150)는 검색된 정보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을 수 있다(도 4의 (c), 431 참조). 정보 콘텐츠의 선택은, 도시와 같이, 정보 콘텐츠에 각각 대응되는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431)이 선택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항목(431)의 선택은, 상기 항목(431)에 링크된 웹페이지, 또는 전자문서 페이지를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상기 항목(431)이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항목(431)에 대응되는 상품 판매 페이지(예를 들어, “나이스 런닝화” 상품 판매 페이지)를 정보 콘텐츠로서 특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택은, 전자기기(100c)를 통해, 사용자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보 콘텐츠가 특정된 경우, 특정된 정보 콘텐츠에 대응되는 태그를 포함한 그래픽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이 진행된다(S330).
태그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를 생성하기 위하여, 제어부(150)는 특정된 정보 콘텐츠와 관련된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태그(tag)”란, “특정 정보 콘텐츠”를 나타내는(또는 대표하는, 요약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제어부(150)는, 특정 정보 콘텐츠에 포함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여, 태그로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도 4의 (c)에 선택된 항목(431)에 대응되는 정보 콘텐츠로부터 적어도 일부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정보 콘텐츠로부터 텍스트 또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정보 콘텐츠로부터, “나이스 런닝화”라는 텍스트와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태그를 생성(또는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텍스트가 추출된 경우, 추출된 텍스트 자체를 태그로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이미지가 추출된 경우, 추출된 이미지 자체를 상기 특정 정보 콘텐츠의 태그로서 설정할 수 있고, 이와 다르게, 추출된 이미지에 대해 썸네일(thumbnail)이미지(도 4의 (d) 442 참조)를 생성하여,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특정 정보 콘텐츠의 태그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태그가 생성(또는 설정)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태그와 특정 정보 콘텐츠를 상호 연관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호 연관시킨다”는 것은 상호 매칭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태그와 정보 콘텐츠와의 연관관계는 앞서, 도 1 및 도2와 함께 살펴본 설명으로 대체하도록 한다.
한편, 정보 콘텐츠로부터 어떠한 정보가 태그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추출될지 여부는, 기 설정된 기준 또는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근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특정 정보 콘텐츠와 연관시킬 태그에 해당하는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상기 특정 정보 콘텐츠의 태그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태그의 설정(또는 생성)이 완료되면, 제어부(150)는 태그(도 4의 (d), 441, 442 참조)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도 4의 (d), 420)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그래픽 객체(420)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특정 정보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그래픽 객체(420, 또는 상기 태그)에 상기 특정 정보 콘텐츠를 링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그래픽 객체에 상기 특정 정보 콘텐츠를 링크” 한다는 것은, 상기 그래픽 객체에 상기 특정 정보 콘텐츠로의 접근 경로에 해당하는 링크 정보를 연결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정보 콘텐츠, 태그 및 그래픽 객체 간의 상호 연관 관계에 대한 설명 역시, 앞서 도 1 및 도2와 함께 살펴본 설명으로 대체하도록 한다.
그래픽 객체(420)는, 도 4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태그 그 자체(441, 442)만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각적인 요소(예를 들어, 형상, 색상, 크기 등과 관련된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기 설정된 크기, 형상 및 색상으로 이루어지는 그래픽 객체를 생성하며, 이러한 그래픽 객체는, 태그(441, 4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정보 콘텐츠의 카테고리에 따라, 그래픽 객체의 크기, 형상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카테고리 항목 각각에는 서로 다른 색상 정보가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매칭과 관련된 정보(또는 매칭 정보)는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존재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이러한 매칭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정보 콘텐츠가 속한 카테고리에 매칭된 색상으로, 그래픽 객체의 배경 색상(또는 색상)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상기 서로 다른 색상 정보 중 특정 정보 콘텐츠가 속한 카테고리 항목에 매칭된 색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정보 콘텐츠의 태그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의 배경 색상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카테고리가 서로 상이한 정보 콘텐츠의 경우, 그래픽 객체의 색상 또한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테고리 별로 배경 색상을 상이하게 하는 경우, 사용자는, 어떤 종류의 정보가 태그되었는지 여부를 색상만으로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그래픽 객체의 크기, 형상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50)는 그래픽 객체의 색상을 설정받기 위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선택 영역(710))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 영역(71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항목(예를 들어, 도 7의 (a) 711 또는 도 7의 (b) 712)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색상으로 그래픽 객체의 배경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7의 (a)에 도시된 그래픽 객체(720) 또는 도 7의 (b)에 도시된 그래픽 객체(730) 참조).
한편,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그래픽 객체의 배경 색상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이후, 새로 생성되는 그래픽 객체의 배경 색상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색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선호 색상을 반영하기 위함이다. 이때, 제어부(150)는, 새롭게 생성되는 모든 그래픽 객체의 배경 색상을 상기 선택된 색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배경 색상이 변경된 그래픽 객체와 관련성이 있는 그래픽 객체가 새롭게 생성되는 경우에 한하여, 새롭게 생성되는 그래픽 객체의 배경 색상을 상기 선택된 색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경 색상이 변경된 그래픽 객체(이하, “제1 그래픽 객체”라 명명함)와 관련성이 있는 그래픽 객체(이하, “제2 그래픽 객체”라 명명함)는, 정보 콘텐츠의 카테고리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상기 제1 그래픽 객체에 링크된 정보 콘텐츠(또는 특정 정보 콘텐츠)의 카테고리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정보 콘텐츠가 링크된 제2 그래픽 객체의 배경 색상을, 상기 선택된 색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태그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가 생성되면, 동영상 콘텐츠의 특정 재생구간 동안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도록, 동영상 콘텐츠에 그래픽 객체를 삽입하는 과정이 진행된다(S340).
도 4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영상 콘텐츠에는, 태그(441, 442)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440)가 삽입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동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중 상기 특정 재생 구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상기 그래픽 객체(440)를 오버랩하는 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영상 콘텐츠는, 복수의 프레임(frame)으로 구성되며, 제어부(150)는, 복수의 프레임 중 특정 재생 구간(T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511, 512, 513, 514, 515)에 그래픽 객체(520)를 오버랩 할 수 있다. 한편, 동영상 콘텐츠를 구성하는 프레임은 이미지(image)라고도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그래픽 객체(520)가 동영상 콘텐츠(또는 프레임)에 오버랩된다고 함은, 그래픽 객체(520)를 동영상 콘텐츠(또는 프레임)에 합성하는 그래픽 처리가 수행됨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래픽 객체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은,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서 상기 그래픽 객체의 출력이 시작되는 시작 프레임(511) 및 상기 시작 프레임(511)과 연속하며, 상기 특정 재생 구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연관 프레임(512, 513, 514, 51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작 프레임(511) 및 적어도 하나의 연관 프레임(512, 513, 514, 515)은 상기 특정 재생 구간 동안 재생되는 프레임들에 해당한다.
제어부(150)는 특정 재생 구간을 벗어난 프레임들(516, 517)에 대해서는, 그래픽 객체를 오버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재생 구간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시작 프레임의 기 설정된 제1 위치에 상기 그래픽 객체를 삽입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제1 위치는, 기 설정된 위치라고도 표현될 수 있다. 기 설정된 위치는, 시스템 상에서 기본으로 설정된 위치(또는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위치)일 수 있다.
도 5c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 설정된 제1 위치는, 제1 좌표(x1, x2)에 해당하는 위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좌표는, 프레임에 대한 절대좌표를 의미할 수 있다. 그래픽 객체(520)는, 시작 프레임 및 연관 프레임에서 상기 제1 좌표(x1, x2)에 따른 제1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50) 도 5c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기기(100c)를 통한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시작 프레임의 상기 제1 위치에 삽입된 상기 그래픽 객체(520)가,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예를 들어, 도 5c의 (b)에 도시된 제2 좌표(x2, y2))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시작 프레임 상에서 그래픽 객체(520)의 삽입 위치를 상기 제2 좌표(x2, y2)에 따른 상기 제2 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상기 그래픽 객체(520)의 삽입 위치가, 상기 시작 프레임 상에서 변경되는 것에 연동하여, 연관 프레임에서의 상기 그래픽 객체(520)의 삽입 위치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연관 프레임에서의 그래픽 객체(520)의 출력 위치가, 상기 시작 프레임에서의 출력 위치와 동일하도록, 상기 연관 프레임의 상기 제2 위치에 상기 그래픽 객체(520)를 삽입할 수 있다.
위의 설명에서는, 시작 프레임에서 그래픽 객체의 삽입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어부(150)는, 시작 프레임 및 연관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서 그래픽 객체의 삽입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나머지 프레임에 대해서도 그래픽 객체의 삽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는 “특정 재생 구간”에 대하여 살펴보면, 특정 재생 구간은, i) 동영상 콘텐츠의 어느 재생시점부터 그래픽 객체를 출력할지에 대한 시작 시점 및 ii) 상기 시작 시점으로부터, 얼만큼의 재생 시간 동안 그래픽 객체의 출력을 유지할지에 대한 출력 유지 시간에 의하여 특정될 수 있다.
특정 재생 구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은, i) 동영상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들 중 상기 시작 시점에 대응되는 시작 프레임 및 상기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출력 유지 시간 사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연관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시작 시점 및 출력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변경되거나,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시작 시점이 특정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제어부(150)는, 앞서 살펴본, 태그 삽입 요청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 근거하여, 그래픽 객체의 출력이 시작되는 시작 시점을 특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동영상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중, 태그 삽입 요청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 상기 전자기기(100c)에서 출력되고 있었던 프레임(도 4의 (a) 및 도 5의 511 참조)을, 시작 프레임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 내에서의 상기 시작 프레임의 재생 시점을, 특정 재생 구간의 시작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위에서 살펴본 방법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시작 시점 및 시작 프레임을 설정하거나, 선택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특정 재생 구간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제어부(150)는 상기 시작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만큼을 특정 재생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시스템 상에서 기본으로 설정된 시간(또는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적인 영상이 기 설정된 재생시간을 갖는 동영상으로 변환된 경우, 제어부(150)는, 상기 기 설정된 재생시간 동안 상기 변환된 동영상에 대하여, 그래픽 객체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재생 구간은, 상기 기 설정된 재생 시간에 대응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어부(150)는, 상기 시작 시점으로부터, 특정 재생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간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50)는 특정 재생 구간을 설정받기 위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설정 영역(530))를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재생 구간은, “재생 유지 시간”을 선택받는 것에 의하여 특정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 영역(53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항목(예를 들어, 도 5b(a)의 533 항목, 또는 도 5b(b)의 531 항목)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시간만큼을,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는 재생 구간(또는 출력 유지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는 특정 재생 구간은, 상기 시작 프레임에 대응되는 시작 시점부터, 상기 선택된 재생 유지 시간(예를 들어, 3초)까지에 해당하는 재생 구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초”에 해당하는 항목(531)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50)는, 기 특정된 시작 시점으로부터 3초에 해당하는 재생구간에 포함된 프레임들에 그래픽 객체(520)를 삽입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동영상 콘텐츠 중, 상기 기 특정된 시작 시점에 대응되는 시작 프레임 및 상기 3초에 대응되는 재생 구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또는 연관 프레임)에 그래픽 객체(520)를 삽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어부(150)는 동영상 단위로 그래픽 객체를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영상 콘텐츠는 복수의 동영상(610, 620, 6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동영상의 구분은, 동영상 콘텐츠가 생성되기 전, 복수의 동영상들이 하나의 동영상 파일로 존재했는지 또는 별개의 동영상 파일로 존재했는지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50)는,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복수의 동영상 중, 기 특정된 시작 프레임(611)을 포함하는 특정 동영상(610)에 대해서만 그래픽 객체(611a)를 삽입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기 특정된 시작 프레임(611)부터 시작되는 상기 특정 동영상(610)의 잔여 재생 시간이, 상기 선택된 재생 시간(예를 들어, 3초)보다 짧은 경우, 상기 잔여 재생 시간에 해당하는 프레임들에 대해서만, 그래픽 객체(611)를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상기 특정 동영상(610)의 상기 특정 재생 구간에 대해서만, 그래픽 객체(611a)가 출력될 수 있다(또는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서 상기 특정 동영상(610)과 다른 동영상(620)이 재생되는 경우, 상기 그래픽 객체(611a)는 전자기기(100c)에서 사라질 수 있다. 여기에서, 그래픽 객체(611a)가 전자기기(100c)에서 사라진다고 함은, 전자기기(100c)에 더 이상 출력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그래픽 객체의 출력이 시작되는 시작 시점이 기 특정되었더라도 이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도 5b에서 살펴본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선택에 근거하여, 그래픽 객체의 출력이 시작되는 시작 시점 및 출력 유지 시간을 모두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제어부(150)는, 동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전체에 대하여, 그래픽 객체(520)를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립 전체”에 해당하는 항목(533)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50)는, 동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전체에 대하여, 그래픽 객체(520)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영상 콘텐츠가 복수의 동영상(610, 620, 630)으로 구성된 경우, 상기 복수의 동영상(610, 620, 630) 중, 앞서 살펴본 기 특정된 시작 프레임(611)을 포함하는 특정 동영상(610)을 구성하는 전체 프레임들에 대해서만, 그래픽 객체(611a)를 삽입할 수 있다. 즉, 앞서 살펴본 연관 프레임은, 상기 특정 동영상(610)을 구성하는 프레임으로 한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5b의 (a)에서 살펴본, “클립 전체”란, 동영상 콘텐츠 전체가 아닌, 동영상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동영상(610, 620, 63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를 살펴보면, 동영상 콘텐츠는 제1, 제2 및 제3 동영상(610, 620, 630)을 포함하고, 동영상 단위로 그래픽 객체(611a, 621a)가 삽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동영상은, 제1 동영상을 구성하는 전체 프레임에 대하여 그래픽 객체(611a)가 삽입되어 있고, 제2 동영상은, 특정 재생 구간에 포함된 일부 프레임(621, 622, 623, 624)에 대해서만 그래픽 객체(612a)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제3 동영상은, 그래픽 객체가 삽입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동영상 콘텐츠를 구성하는 개별 동영상 단위로 그래픽 객체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동영상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동영상에 대하여, 동일한 정보 콘텐츠에 해당하는 태그 삽입 요청이 각각 수신된 경우에는, 복수의 동영상에 동일한 그래픽 객체가 삽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이상의 실시 예들에서는, 하나의 동영상에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삽입하는 예에 대해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하나의 동영상에 복수의 그래픽 객체를 삽입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 그래픽 객체의 출력위치, 출력시점, 재생 시점 등은, 모두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다양하게 변경 또는 설정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은, 동영상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에 정보 콘텐츠와 연관된 태그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를 추가함으로써,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콘텐츠는,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정보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동영상 콘텐츠와 함께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를, 보다 직관적으로 제3 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구간 중 그래픽 객체가 포함되는 특정 재생 구간을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추가적인 정보가 제공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재생되고 있는 부분과 연관되도록 정보 콘텐츠를 추가할 수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이 제작된 동영상 콘텐츠를 이용하는 제3 자(또는 사용자)는,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부분과 연관된 정보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별도로 정보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노력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앞선 설명에서, S320단계에서 정보 콘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정보 콘텐츠가 선택되거나, 입력되는 과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에서 태그로서 삽입할 정보 콘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본 발명에서, “정보 콘텐츠를 선택 받는다” 함은, 전자기기를 통해 제공가능한 정보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동영상 콘텐츠에 태그로서 삽입할 정보로서 선택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선택의 방식으로 정보 콘텐츠를 특정”하는 것을 “제1 방식으로 정보 콘텐츠를 선택한다”라고 표현하고, “입력의 방식으로 정보 콘텐츠를 특정”하는 것을 “제2 방식으로 정보 콘텐츠를 선택”한다고 표현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1 방식 또는 제2 방식 중 어느 방식으로 정보 콘텐츠를 선택할지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방식 또는 제2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 콘텐츠 선택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방식으로 정보 콘텐츠를 선택받는 경우, 정보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정보 콘텐츠로서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어부(150)는 제2 방식으로 정보 콘텐츠를 선택받는 경우, 정보 콘텐츠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정보 콘텐츠를 선택하는데 있어, 그 선택의 편의를 위하여, 정보 콘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정보의 카테고리를 일차적으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카테고리에는 정보를 선택하는 방식이 기 설정되어 존재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카테고리에는, 앞서 살펴본, 제1 방식 또는 제2 방식 중 어느 방식으로 각각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정보를 선택받을지 여부가 기 설정되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식과 같이, 검색의 방식으로 정보 콘텐츠를 선택하는 카테고리는, 장소, 쇼핑, 책, 영화, 뉴스, 검색 엔진(검색 포털 사이트) 내에서의 정보,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게시된 정보 검색, 사용자의 계정과 연결되어 웹 상에 게시된 정보 검색 등과 관련된 카테고리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방식과 같이, 사용자 입력의 방식으로 정보 콘텐츠를 선택하는 카테고리는, URL, 외부 링크, 질문, 투표, 날씨, 날짜 등의 입력과 관련된 카테고리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방식으로 정보 콘텐츠를 선택받는 경우, 정보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정보 콘텐츠로서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전자기기 상에, 서로 다른 정보 카테고리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카테고리 항목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항목 중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 항목을 선택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기기 상에, 상기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 항목에 대응되는 정보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상기 검색 화면을 통해 검색 정보(또는 검색어)가 입력된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 항목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해당하며, 상기 검색 정보와 관련된 정보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색된 정보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정보 콘텐츠가 선택되면, 제어부(150)는, 동영상 콘텐츠에 상기 어느 하나의 정보 콘텐츠에 대응되는 태그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를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장소”항목(811)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실행화면(도 8a의 (b) 참조)을 전자기기(100c)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실행화면에는, 전자기기(100c)의 현재 위치(예를 들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XX로”)와 관련된 정보(813)가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전자기기(100c)에 구비된 위치 정보 수집 모듈을 이용하여, 전자기기(100c)이 현재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전자기기(100c)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어부(150)는, “장소”항목(811)이 선택된 경우,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실행화면 상에, 동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장소 정보에 대응되는 항목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동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장소 정보는, 동영상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meta data)로서, 존재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장소 정보는, 동영상 콘텐츠가 실제 촬영된 장소 일 수 있으며, 동영상 콘텐츠를 촬영한 전자기기에 의해 수집된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도 8a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행화면(820)을 통해, 검색어(또는 검색 정보)를 입력받고, 도 8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검색 정보(예를 들어, “정자동 파크뷰”)에 대응되는 장소 관련 정보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검색된 정보 콘텐츠를 표시할 때, 위에서 상기 전자기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검색된 장소 관련 정보 콘텐츠 중 상기 전자기기의 현재 위치와 가장 가까운 순으로 상기 검색된 장소 관련 정보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콘텐츠(또는 장소 관련 정보 콘텐츠)의 출력은, 정보 콘텐츠 그 자체가 아니라, 정보 콘텐츠에 각각 대응되는 항목들로 출력될 수 있다. 즉, 정보 콘텐츠는, 리스트 형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50)는, 장소 관련 정보 콘텐츠에 각각 대응되는 항목들을 정렬할 때, 다양한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50)는 전자기기의 현재 위치와 가장 가까운 순으로 상기 검색된 장소 관련 정보 콘텐츠를 표시함은 물론, 상기 전자기기의 장소 선택 히스토리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장소 관련 정보 콘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이때, “장소 관련 정보 콘텐츠를 정렬”한다고 함은, 상기 장소 관련 정보 콘텐츠에 각각 대응되는 항목들에 대한 정렬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장소 선택 히스토리 정보는, 상기 전자기기에서 선택되었던 장소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로서, 제어부(150)는, 전자기기 상에서 장소(또는 장소 정보)가 선택될 때마다, 이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전자기기에서 선택되었던 장소(또는 장소 정보)는, 상기 전자기기에서 검색된 장소(또는 장소정보)까지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소 선택 히스토리 정보는, 상기 전자기기에서 가장 최근에 선택된 장소 정보(또는 최근 장소 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에서 선택된 장소에 대한 선택 횟수 정보(또는 장소 선택 횟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150)는, 전자기기에서 특정 장소가 선택될 때마다, 선택된 장소에 대한 선택 횟수 카운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선택된 장소가 상기 전자기기에서 몇회 선택되었는지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50)는, 상기 장소 관련 정보 콘텐츠를 출력할 때, 사용자가 관심있어 할 만한 요소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가장 가까운 장소,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검색 또는 선택한 장소, 사용자가 가장 많이 검색 또는 선택한 장소를 우선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장소 관련 정보 콘텐츠를 표시할 때, 상기 전자기의 현재 위치정보, 상기 전자기기에서 가장 최근에 선택된 장소 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에서 선택된 장소에 대한 선택 횟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고려하거나, 또는 적어도 두개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상기 전자기기의 현재 위치정보, 상기 전자기기에서 가장 최근에 선택된 장소 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에서 선택된 장소에 대한 선택 횟수 정보 간에 우선순위를 두어 장소 정보 관련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상기 전자기기의 현재 위치정보 정보를 우선하여 고려하되, 동일한 거리에 있는 장소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차선으로 상기 전자기기에서 가장 최근에 선택된 장소 정보를 고려할 수 있다.
나아가, 도 8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검색된 정보 콘텐츠에 대응되는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831)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50)는, 기 특정된 동영상 콘텐츠에 대해 태그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삽입되는 태그는, 다시 말해, 태그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일 수 있다. 즉, 도 8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50)는 상기 어느 하나의 항목(831)에 대응되는 정보 콘텐츠와 관련된 태그를 생성하고, 생성된 태그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850)를 동영상 콘텐츠(840)에 삽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입력된 검색어에 따른 검색이 이루어진 경우, 도 8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검색 결과에 대응되는 정보 콘텐츠를, 모두 표시하지 않고, 정보 콘텐츠 각각에 대응되는 항목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항목은 도시와 같이, 리스트 형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각각의 항목에 기능 아이콘(870)을 출력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능 아이콘(870)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50)는, 도 8c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택된 기능 아이콘(870)이 포함된 항목(예를 들어, “토다이 분당점” 정보 콘텐츠 항목)에 링크된 정보 콘텐츠(880)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리스트 상에서, 정보 콘텐츠로 바로 접근이 가능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정확한 정보 콘텐츠를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제2 방식으로 정보 콘텐츠를 선택받는 경우, 정보 콘텐츠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링크”항목(911)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50)는 도 9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링크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실행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실행화면은, 링크 정보 입력 영역(920)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 정보 입력 영역(920)는 도 9의 (c)에 도시된 과같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의 정보 입력은, 전자기기(100c)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와 같이, 가상의 키보드(930)를 통하여 입력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정보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정보 콘텐츠로서 특정할 수 있다. 제어부(150), 도 9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태그로 생성하고, 생성된 태그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960)를 동영상 콘텐츠(950)에 삽입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정보를,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정보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항목이 선택된 경우, 입력된 정보를 링크 정보로서 처리할 수 있다. 링크 정보로서 처리한다고 함은, 제어부(150)가 링크 정보를 URL주소로 인식하고,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는 웹페이지로 바로 접근 가능하도록, 그래픽 객체(960)와 URL 주소를 링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그래픽 객체(960)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예를 들어, 링크 정보(또는 URL주소)에 해당하는 웹페이지가 전자기기(100c) 상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을 통해, 태그가 삽입된 동영상 콘텐츠는,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출력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방식으로 제작된 동영상 콘텐츠가 임의의 전자기기에서 재생되는 경우, 태그로서 삽입된 그래픽 객체를 통해 정보 콘텐츠가 출력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에서 정보 콘텐츠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는,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재생될 수 있으며, 동영상 콘텐츠에 삽입된 그래픽 객체는, 앞서 살펴본 특정 재생 구간에서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중에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동영상 콘텐츠는, 전자기기(100c)에 설치된 동영상 재생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재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영상 콘텐츠에 삽입된 그래픽 객체(220)가 선택된 경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고 있던 전자기기(100c)의 디스플레이부는, 도 10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적어도 두개의 영역(1010, 1020)으로 분할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전자기기의 일 영역(1010)에서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계속하여 출력되고, 상기 전자기기의 다른 일 영역(1020)에서는 상기 그래픽 객체(1030)에 링크된 정보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두개의 영역(1010, 1020)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포함된 정보의 출력이 종료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는 더 이상 분할되지 않고, 하나의 영역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영역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영역과 다른 영역에 포함되었던 정보가 계속하여 출력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 2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영상 콘텐츠에 삽입된 그래픽 객체(220)가 선택된 경우, 상기 그래픽 객체(220)에 링크된 정보 콘텐츠를 포함하는 팝업 윈도우(미도시됨)가 전자기기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팝업 윈도우가 출력되더라도,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은 계속하여 유지될 수 있다. 나아가, 팝업 윈도우는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출력이 종료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르게, 도 2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영상 콘텐츠에 삽입된 그래픽 객체(220)가 선택된 경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고 있던 전자기기(100c)의 디스플레이부는, 도 10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래픽 객체에 링크된 정보 콘텐츠(1040)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전자기기(100c)의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화면을, 정보 콘텐츠 출력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상기 정보 콘텐츠 출력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동영상 콘텐츠(1050)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동영상 콘텐츠(1050)는, 팝업 윈도우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나아가, 전자기기에서 본 발명을 통해 생성된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도 11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기기의 일 영역에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아이콘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 아이콘은 전자기기에서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중에, 또는 재생이 정지된 중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 아이콘 중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연관된 정보 콘텐츠의 출력을 위한 어느 하나의 기능 아이콘(1120)이 선택된 경우, 전자기기에서는, 도 11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동영상 콘텐츠와 관련된 모든 정보 콘텐츠에 대응되는 항목(1130, 1140, 1150)을 포함하는 정보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전체보기” 또는 “모아보기” 기능 등으로 명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보 콘텐츠에 대응되는 항목(1130, 1140, 1150) 중 어느 하나의 항목(1150)이 선택된 경우, 전자기기에서는, 도 11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택된 항목(1150)에 대응되는 정보 콘텐츠(1160)가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생성된 동영상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언제라도, 동영상 콘텐츠와 관련되어 태그된 정보 콘텐츠를 한번에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동영상 콘텐츠에 태그된 정보 콘텐츠로의 직관적인 진입을 유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동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가 선택되는 경우, 그래픽 객체에 포함된 태그에 링크된 정보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동영상 콘텐츠를 이용하는 제3자(또는 사용자)는, 동영상 콘텐츠의 이용 중에 언제라도 정보 콘텐츠로 접근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정보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더라도, 전자기기의 일 영역에서 계속하여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하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동영상 콘텐츠를 이용하는 제3자(또는 사용자)는 끊김없이 동영상 콘텐츠를 계속하여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6)

  1. 전자기기 상에서,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편집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구성하기 위한 영상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태그 편집 모드에서, 상기 동영상 콘텐츠와 연관시킬 정보 콘텐츠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정보 콘텐츠에 대응되는 태그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특정 재생 구간 동안 상기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도록,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상기 그래픽 객체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그래픽 객체를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중 상기 특정 재생 구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상기 그래픽 객체를 오버랩하는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선택된 영상이 정적인 영상인 경우, 상기 정적인 영상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재생 시간을 갖는 동적인 영상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재생 구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은,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서 상기 그래픽 객체의 출력이 시작되는 시작 프레임 및
    상기 시작 프레임과 연속하며, 상기 특정 재생 구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연관 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편집 모드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편집을 위한 콘텐츠 편집 모드에서 발생되는 태그 삽입 요청 이벤트에 근거하여 실행되고,
    상기 시작 프레임은,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중, 상기 태그 삽입 요청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 상기 전자기기에서 출력되고 있었던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객체를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복수의 동영상으로 구성된 경우, 상기 복수의 동영상 중 상기 시작 프레임을 포함하는 특정 동영상에 대해 상기 그래픽 객체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특정 재생 구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연관 프레임은 상기 특정 동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콘텐츠 중 상기 특정 재생 구간에 따른 상기 특정 동영상이 재생되는 경우, 상기 그래픽 객체가 나타나고,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서 상기 특정 동영상과 다른 동영상이 재생되는 경우, 상기 그래픽 객체는 상기 전자기기에서 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객체를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시작 프레임의 기 설정된 제1 위치에 상기 그래픽 객체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기기를 통한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시작 프레임의 상기 제1 위치에 삽입된 상기 그래픽 객체가,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시작 프레임 상에서 그래픽 객체의 삽입 위치를 상기 제2 위치로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객체를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관 프레임에서의 상기 그래픽 객체의 출력 위치가, 상기 시작 프레임에서의 출력 위치와 동일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관 프레임의 상기 제2 위치에 상기 그래픽 객체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기준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고, 추출된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콘텐츠에 대한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구성하는 영상 중 상기 생성된 동적인 영상에 대해 상기 그래픽 객체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특정 재생 구간은, 상기 기 설정된 재생 시간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콘텐츠를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전자기기 상에, 서로 다른 정보 카테고리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카테고리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항목 중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 항목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전자기기 상에, 상기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 항목에 대응되는 정보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검색 화면을 통해 검색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 항목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해당하며, 상기 검색 정보와 관련된 정보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정보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정보 콘텐츠를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삽입되는 상기 그래픽 객체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정보 콘텐츠에 대응되는 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 항목이 장소와 관련된 카테고리 항목인 경우,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장소 관련 정보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현재 위치와 가장 가까운 순으로 상기 검색된 장소 관련 정보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 항목이 장소와 관련된 카테고리 항목인 경우,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장소 관련 정보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현재 위치로부터의 거리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와 관련된 장소 선택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검색된 장소 관련 정보 콘텐츠를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장소 선택 히스토리 정보는,
    상기 전자기기에서 가장 최근에 선택된 장소 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에서 선택된 장소에 대한 선택 횟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그래픽 객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정보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상기 그래픽 객체에 상기 어느 하나의 정보 콘텐츠를 링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상에서, 상기 그래픽 객체가 삽입된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그래픽 객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의 일 영역에서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계속하여 출력되고,
    상기 전자기기의 다른 일 영역에서는 상기 그래픽 객체에 링크된 상기 어느 하나의 정보 콘텐츠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항목 각각에는 서로 다른 색상 정보가 매칭되어 존재하고,
    상기 그래픽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서로 다른 색상 정보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 항목에 매칭된 색상 정보에 대응되는 색상으로 상기 그래픽 객체의 배경 색상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16. 태그 편집 모드가 실행되는 전자기기에서,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구성하기 위한 영상과, 상기 태그 편집 모드에서, 상기 동영상 콘텐츠와 연관시킬 정보 콘텐츠를 선택받는 입력부; 및
    상기 정보 콘텐츠에 대응되는 태그를 포함하는 그래픽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특정 재생 구간 동안 상기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도록,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상기 그래픽 객체를 삽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중 상기 특정 재생 구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상기 그래픽 객체를 오버랩하는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선택된 영상이 정적인 영상인 경우, 상기 정적인 영상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재생 시간을 갖는 동적인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시스템.

KR1020200031301A 2020-03-13 2020-03-13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 KR102341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301A KR102341209B1 (ko) 2020-03-13 2020-03-13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
KR1020210179659A KR102620445B1 (ko) 2020-03-13 2021-12-15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301A KR102341209B1 (ko) 2020-03-13 2020-03-13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659A Division KR102620445B1 (ko) 2020-03-13 2021-12-15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467A KR20210115467A (ko) 2021-09-27
KR102341209B1 true KR102341209B1 (ko) 2021-12-20

Family

ID=779254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301A KR102341209B1 (ko) 2020-03-13 2020-03-13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
KR1020210179659A KR102620445B1 (ko) 2020-03-13 2021-12-15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659A KR102620445B1 (ko) 2020-03-13 2021-12-15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412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2639A (ko) * 2022-11-02 2024-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521904B1 (ko) 2022-11-28 2023-04-17 (주)비디오몬스터 오토 라벨링 활용과 디자인 요소 삽입을 통한 영상 자동 편집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632B1 (ko) * 2009-10-01 2016-02-29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태그 편집 방법
KR101674946B1 (ko) * 2010-04-16 2016-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19047B1 (ko) * 2013-10-16 2015-05-1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영상 처리 방법
KR101938667B1 (ko) * 2017-05-29 2019-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07885B1 (ko) * 2017-10-17 2018-12-18 주식회사 팝스라인 단말 및 그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445B1 (ko) 2024-01-02
KR20210115467A (ko) 2021-09-27
KR20210154957A (ko)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72166A1 (en) Systems methods and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media playback using scrollable text
JP5845254B2 (ja) 画像を使用したサーチ体験のカスタム化
US10203845B1 (en) Controlling the rendering of supplemental content related to electronic books
US875651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photos, videos, RSS and other media content in full-screen immersive view and grid-view using a browser feature
US8826169B1 (en) Hiding content of a digital content item
US20130268826A1 (en) Synchronizing progress in audio and text versions of electronic books
US20140310746A1 (en) Digital asset management, authoring, and presentation techniques
US20080281793A1 (en) Method and System of Information Engine with Make-Share-Search of consumer and professional Information and Content for Multi-media and Mobile Global Internet
US20090049384A1 (en) Computer desktop multimedia widget applications and methods
CN102473304A (zh) 元数据标记系统、图像搜索方法和设备、及其用于标记手势的方法
US9843823B2 (en)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creation of information modules, including server, media searching, user interface and/or other features
WO2013090946A1 (en)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features of seach and/or search integration
KR102620445B1 (ko)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
CN113115096A (zh) 界面信息切换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91649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electronic book service in a mobile device
US201300134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ocument link service and linkable advertisement
US201300134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web documents
CN111859856A (zh) 信息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7515870B (zh) 一种搜索方法和装置、一种用于搜索的装置
CN112329403A (zh) 一种直播文档处理方法和装置
US99468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services capable of pasting document stored on a cloud-based cross-clipboard
CN110704740A (zh) 用于呈现信息的方法和设备
US10387503B2 (en)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features of search and/or search integration
US11099714B2 (en)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creation/display/utilization of information modules, such as mixed-media and multimedia modules
EP4099711A1 (e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processing video and timing of subtit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