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094B1 - Construction methods for connection part of section variable modular pipe girder system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s for connection part of section variable modular pipe girde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094B1
KR102341094B1 KR1020200160288A KR20200160288A KR102341094B1 KR 102341094 B1 KR102341094 B1 KR 102341094B1 KR 1020200160288 A KR1020200160288 A KR 1020200160288A KR 20200160288 A KR20200160288 A KR 20200160288A KR 102341094 B1 KR102341094 B1 KR 102341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dominal plate
section
flange
girder system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2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광습
김민재
김홍현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60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09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0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35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having a grid fram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part structure of a pipe-flange girder system with variable designs for each section and a construction technology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to a synthetic girder system which is installed between pillars at both si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respective foundation concrete installed on both sides of a road and constitut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s constituted by coupling a flange with an abdominal plate. A modular girder system with an easily-changeable cross-sec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flange part provided on an upper end between the pillars at both sides, and including upper flange parts separately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lower flange parts spaced apart from lower sides of the upper flange parts by a specific distance and provided between the pillars at both sides; and an abdominal plate structure including an upper end member inserted into the outer side of the upper flange part, a lower end member inserted into the outer side of the lower flange part, and the abdominal plate coupled between the upper end member and the lower end member.

Description

단면 가변이 용이한 모듈러 거더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s for connection part of section variable modular pipe girder system}Modular girder system with easy cross-se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onstruction methods for connection part of section variable modular pipe girder system}

본 발명은 구간별 가변 설계가 가능한 파이프-플랜지 거더 시스템의 연결부구조와 그의 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특허는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으로 수행되었다(과제번호 20CTAP-C152291-02).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structure of a pipe-flange girder system capable of variable design for each section and a construction technology thereof. This patent was carried out with the support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Land Transportation Science and Technology Promotion Agency (task number 20CTAP-C152291-02).

일반적으로, 도심지 및 주택가에 시공되는 고층건물은, 도로와 인접한 것이 통상적이고 이러한 인접도로에서 발생하는 차량의 소음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In general, high-rise buildings constructed in downtown areas and residential areas are usually adjacent to roads and are usually exposed from vehicle noise generated on these adjacent roads.

이러한 도로 내부의 소음을 차단 또는 흡수하기 위해 각종 차단벽 또는 흡음벽 등을 도로변에 설치하여 도로내부의 소음이 건물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이러한 차단벽 또는 흡음벽은 그 설치 높이의 한계성으로 인하여 일정한 층고 이상부터는 도로 내부의 소음으로부터 안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In order to block or absorb the noise inside the road, various blocking walls or sound-absorbing walls ar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road to prevent the noise inside the road from directly affecting the building. Due to limitation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safe from noise inside the road from a certain floor height or more.

따라서 차량의 주행과정에서 발생한 소음이 주택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쾌적한 주거환경을 유지시키도록 한 차음벽 또는 차음터널이 설치된다.Therefore, a sound-insulating wall or sound-insulating tunnel is installed to maintain a comfortable residential environment by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noise generated during the driving process of the vehicle to the residential area.

이러한 차음시설에 적용되는 차음판은 유해시설 등이 가려지도록 불투명체를 사용하기도 하나, 점차 외부의 자연경관을 자연스럽게 보여질 수 있는 투명 재질의 차음판을 사용함으로써 빛 등이 쉽게 투과되어 주거지를 쾌적하게 하고 있는 추세이다.The sound insulation board applied to these sound insulation facilities uses an opaque material to cover harmful facilities, but by using a sound insulation board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allows the natural scenery of the outside to be seen naturally, light, etc. can be easily transmitted to provide a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is a trend that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고층건물이 밀집한 도심지 또는 주택가에는 터널형 방음시설이 적용되는 것인데, 상기한 터널형 방음시설은 도로의 양측면 및 상부를 완전히 밀폐시켜 도로 내부의 소음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도로 내부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운전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주행 소음 또한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a tunnel-type soundproofing facility is applied to a downtown area or residential area where high-rise buildings are dense. At the same time, it effectively absorbs the noise inside the road and reduces the driving noise that affects the driver.

상기한 터널형 방음벽은 방음패널 설치시 기초부 상단의 중간 중간에 일정 간격으로 지주를 설치하고, 이들 지주 사이에 방음패널을 차례로 끼워 설치하며, 방음패널의 외측에 마감커버를 설치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함으로써 터널형 방음벽을 시공하고 있다.In the tunnel-type sound insulation wall described above, when the soundproof panel is installed, the posts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middle of the upper part of the foundation, the soundproof panels are installed between these posts in turn, and the finish cover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soundproof panel to improve the appearance. By doing so, a tunnel-type soundproof wall is being constructed.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터널형 방음벽을 시공시에는 지주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일정 간격을 갖도록 도로를 따라 설치한 후에 지주와 지주 사이에 지붕 구조물을 설치하게 되는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지주와 지주 사이에 지붕 구조물을 설치하기가 까다로워 터널형 방음벽을 시공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constructing such a conventional tunnel-type soundproof wall, the roof structure is installed between the posts and the posts after they are installed along the road to have a certain interval in a state in which the posts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construct a tunnel-type soundproof wall because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roof structure between the posts.

또한, 지붕 구조물이 단순하게 아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적설이나 바람 등의 외력이 작용시에 구조적인 안정성이 저하되어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터널형 방음벽이 손상되어 유지 및 보수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oof structure is formed to have a simple arch shape, structural stability is lowered when external forces such as snow or wind act, so it cannot withstand the load and the tunnel-type soundproof wall is damaged, requiring a lot of time and effort for maintenance and repair. There is a problem that

또한,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투명패널의 설치를 위해서는 패널 주변을 감싸는 사각프레임 및 고정프레임 등의 추가적인 구성을 필요로 함으로써 시설물의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되어지게 되고, 프레임 구조체로 인하여 미관 및 시야를 저해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overall weight of the facility is increased by requiring an additional configuration such as a square frame and a fixed frame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panel for installation of the transparent panel, and the frame structure impairs the aesthetics and view. There were problems such as

도 1은 종래 차음 터널용 거더 구조(1)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종래 차음 터널용 거더 구조(1)는 지주(10)와 지주(10) 사이의 지붕구조물로서 I빔(2), 또는 H빔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중량이 증가하게 되며, 빔(2)의 웹부에 의해 운전자의 시인성과, 거더의 풍 저항력이 커지고, 통기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irder structure 1 for a conventional sound insulation tunnel. 1,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girder structure for sound insulation tunnel (1) increases the weight by using the I-beam (2), or the H-beam as a roof structure between the posts (10) and the posts (10). And, the visibility of the driver by the web portion of the beam 2, the wind resistance of the girder is increased, and there is a problem of poor ventilation.

플랜지-웹으로 구성되는 H빔, I빔의 구조는 역학적, 경험적으로 입증이 된 안정적인 구조이다. 그러나 기존의 H빔 거더의 경우, 최대 부재력에 대한 단일단면을 선택하여 설계하고 있어, 구간별 요구강도에 대한 단면가변이 가능하지 않은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The structure of H-beam and I-beam composed of flange-web is a stable structure that has been proven mechanically and empirically. However, in the case of the existing H-beam girder, a single section for maximum member force was selected and designed, so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not possible to change the section for the required strength for each sec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118414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8-0118414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96278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189627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강관-복부판 합성 거더구조 시스템으로, 상단과 하단의 기성품 강관과 이를 연결하는 비정형 복부판으로 구성되며, 기존의 H빔 거더의 경우, 최대 부재력에 대한 단일단면을 선택하여 설계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거더시스템은 구간별 요구강도에 대한 단면선택을 강관과 복부판 치수 선택을 통해 설계가 가능, 즉, 구간별 설계하중에 따라 플랜지와, 복부판을 구간에 따라 각기 다른 단면을 적용 할 수 있는, 단면 가변이 용이한 강관 모듈러 거더 시스템의 연결부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el pipe-abdominal plate composite girder structure system is composed of an upper and lower ready-made steel pipe and an atypical abdominal plate connecting them, , In the case of the existing H-beam girder, a single cross-section for maximum member force is selected and designed, whereas the gird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igned by selecting the cross-section for the required strength for each section by selecting the dimensions of the steel pipe and the abdominal plate, i.e.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connection structure for a steel pipe modular girder system with an easy cross-section that can be applied with different cross-sections for flanges and abdominal plates according to the design load for each section,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H빔의 기본구조를 차용한 강관 합성 거더 시스템이나, 복부판-강관 접합부 모서리에서 나타는 높은 응력집중을 플랜지-복부판 응력집중부 부재의 강성증대를 통해 응력집중을 해소할 수 있는 안정적인 거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el pipe composite girder system borrowing the basic structure of an H-beam, or a high stress concentration at the edge of the abdominal plate-steel pipe joint, is reduced by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flange-abdominal plate stress concentration membe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table girder system that can be resolv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랜지-복부판 거더구조 시스템의 플랜지와 복부판 구조물을 각각 제작하여 체결하는 모듈러 방식이며, 구간별 플랜지의 단면과 복부판의 치수를 각각 선택할 수 있는, 단면 가변이 용이한 강관 모듈러 거더 시스템의 연결부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modular method in which the flange and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of the flange-abdominal plate girder structure system are manufactured and fastened, respectively, and the cross-section of the flange and the dimensions of the abdominal plate for each section can be selected, respectively, the cross-section variable is eas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structure of a steel pipe modular girder system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랜지로 사용하는 강관은 대량생상되는 기성품 강관(KS D 3566 일반구조용 강관)을 사용하여 설계 용이성 확보 및 단가절감을 실현할 수 있고, 복부판이 설치되는 구간의 구조물을 연결부로 활용할 수 있는, 단면 가변이 용이한 강관 모듈러 거더 시스템의 연결부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el pipe used as a flange can be used as a mass-produced ready-made steel pipe (KS D 3566 steel pipe for general structure) to achieve design easiness and cost reduction, and to connect the structure in the section where the abdominal plate is install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part structure of a steel pipe modular girder system with an easy cross-section that can be used as a steel pip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그리고 기존의 H빔 구조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름변, 구간별 소요강도에 대해 일대일 대응이 가능한 모듈러 형식을 가질 수 있고, 복부판 구조물은, 본래의 복부판으로의 기능을 수행하며, 구간에 따라 연결재로의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는, 단면 가변이 용이한 강관 모듈러 거더 시스템의 연결부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d, unlike the existing H-beam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have a modular form that allows one-to-one correspondence to the required strength for each section, and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functions as an original abdominal plate, and the section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structure of a steel pipe modular girder system with an easy cross-section that can also serve as a connecting materia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can be understood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기초 콘크리트 각각에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어 수직방향으로 구성되는 양측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플랜지와 복부판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합성 거더시스템에 있어서, 양측 지주 사이 상단부에 구비되며, 횡방향으로 분할 배치되는 상현 플랜지부와, 상기 상현 플랜지부의 하부측으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양측 지주 사이에 구비되는 하현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상현 플랜지부 외측에 삽입되는 상단부재와, 상기 하현플랜지부 외측에 삽입되는 하단부재와, 상단부재와 하단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복부판을 갖는 복부판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면 가변이 용이한 모듈러 거더 시스템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site girder system comprising a flange and an abdominal plate coupled to each other, which is installed between both post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each of the foundation concret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oad, in which both sides It is provided in the upper end between the poles, the upper flange portion divi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paced a certain distance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flange portion, the flange portion comprising a lower flange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two poles; and an upper member inserted outside the upper flange portion, a lower member inserted outside the lower flange portion, and an abdominal plate structure having an abdominal plate coupled between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This can be achieved as an easy modular girder system.

그리고 상기 복부판 구조물은 상기 플랜지부 간 비연결부 및, 상기 플랜지부 간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non-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lange portions and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lange portions.

또한 상기 복부판은 필렛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dominal plat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let is applied.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복부판 구조물은 구간별 다른 치수의 부재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the flange portion and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members of different dimensions for each section can be applied.

또한 상기 상단 부재 및 상기 하단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끝단에 링형보강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ring-shaped reinforcement is provided at both ends of at least one of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상현플랜지와 상기 하현플랜지 사이에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의 길이방향 연결부에 상기 복부판 구조물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the flange por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bdominal plat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specific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anges, and the longitudinal connecting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is coupled.

또한 상기 복부판 구조물과 상기 플랜지부는 봉나사와 볼트를 관통시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and the flange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astened through a bar screw and a bolt.

그리고 상기 복부판 구조물과 상기 플랜지부 사이공간에 그라우트를 충진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by filling the grout in the space between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and the flange portion.

또한 상기 그라우트 충진 부분의 상기 상단부재와 하단부재의 내면 및 상기 플랜지부의 외면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members of the grout filling portio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그리고 상기 상현 플랜지부와, 상기 하현 플랜지부와, 상기 상단부재, 상기 하단부재는 강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the upper flange portion, the lower flange portion, the upper end member, the lower end membe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l pip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 가변이 용이한 강관 모듈러 거더 시스템의 연결부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따르면, 강관-복부판 합성 거더구조 시스템으로서, 상단과 하단의 기성품 강관과 이를 연결하는 비정형 복부판으로 구성되며, 기존의 H빔 거더의 경우, 최대 부재력에 대한 단일단면을 선택하여 설계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거더시스템은 구간별 요구강도에 대한 단면선택을 강관과 복부판 치수 선택을 통해 설계가 가능, 즉, 구간별 설계하중에 따라 플랜지와, 복부판을 구간에 따라 각기 다른 단면을 적용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connecting part structure of the steel pipe modular girder system with easy cross-section ch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it is a steel pipe-abdominal plate composite girder structure system, comprising an upper and lower ready-made steel pipe and an atypical abdominal plate connecting them, , In the case of the existing H-beam girder, a single cross-section for maximum member force is selected and designed, whereas the gird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igned by selecting the cross-section for the required strength for each section by selecting the dimensions of the steel pipe and the abdominal plate, i.e. , has the effect of applying different cross-sections to flanges and web plates according to the design load for each sec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 가변이 용이한 강관 모듈러 거더 시스템의 연결부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따르면, H빔의 기본구조를 차용한 강관 합성 거더 시스템이나, 복부판-강관 접합부 모서리에서 나타는 높은 응력집중을 플랜지-복부판 응력집중부 부재의 강성증대를 통해 응력집중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n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part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eel pipe modular girder system with easy cross-section chan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pipe composite girder system borrowing the basic structure of the H-beam or the high-end plate-steel pipe junction corner Stress concentration has the effect of relieving stress concentration by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flange-abdominal plate stress concentration memb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 가변이 용이한 강관 모듈러 거더 시스템의 연결부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따르면, 플랜지-복부판 거더구조 시스템의 플랜지와 복부판 구조물을 각각 제작하여 체결하는 모듈러 방식이며, 구간별 플랜지의 단면과 복부판의 치수를 각각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nection part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eel pipe modular girder system with easy cross section chan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modular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fastening the flanges and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s of the flange-abdominal plate girder structure system, respectively, and sec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elect the cross section of the star flange and the size of the abdomen plate,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 가변이 용이한 강관 모듈러 거더 시스템의 연결부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따르면, 플랜지로 사용하는 강관은 대량생상되는 기성품 강관(KS D 3566 일반구조용 강관)을 사용하여 설계 용이성 확보 및 단가절감을 실현할 수 있고, 복부판이 설치되는 구간의 구조물을 연결부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connection part structure of the modular girder system with an easy cross-sec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pipe used as a flange uses a mass-produced ready-made steel pipe (KS D 3566 steel pipe for general structure) for ease of design It is possible to secure and reduce unit cost, and has the effect of utilizing the structure in the section where the abdominal plate is installed as a connection part.

그리고 기존의 H빔 구조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 가변이 용이한 강관 모듈러 거더 시스템의 연결부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따르면, 구간별 소요강도에 대해 일대일 대응이 가능한 모듈러 형식을 가질 수 있고, 복부판 구조물은, 본래의 복부판으로의 기능을 수행하며, 구간에 따라 연결재로의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nd, unlike the existing H-beam structur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part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eel pipe modular girder system with easy cross-section chan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have a modular type that can provide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required strength for each section. There is,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original abdominal plate, has the effect that can also perform the role as a connecting material depending on the sec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abl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I 빔을 이용한 차음터널용 거더 구조의 사시도,
도 2a는 강관-복부판 합성 거더구조의 사진,
도 2b는 강관-복부판 합성 거더 부분 사시도,
도 3은 개구부를 갖는 강관-복부판 합성거더의 응력집중을 나타낸 모식도,
도 4a는 조인트부를 갖는 강관-복부판 합성거더의 정면도,
도 4b는 도 4a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과 복부판 구조물의 분재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부판 구조물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과 복부판 구조물의 결합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구간과 비연결부 구간에 복부판 구조물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연결부 구간에서의 그라우트를 통해 복부판 구조물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9b는 도 9a의 B-B 단면도,
도 9c는 도 9a의 복부판 구조물 연결부의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구간과 비연결부 구간에서의 그라우트를 통해 복부판 구조물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강관-복부판 모듈의 연결부 구간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부판 구조물에 의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e matters described in those drawing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irder structure for a sound insulation tunnel using a conventional I-beam;
Figure 2a is a photo of the steel pipe-abdominal plate composite girder structure,
2b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steel pipe-abdominal plate composite girder;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ess concentration of a steel pipe having an opening - an abdominal plate composite girder;
4A is a front view of a steel pipe-abdominal plate composite girder having a joint portion;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a;
5 is a bonsai front view of a steel pipe and an abdominal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bdominal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bination of a steel pipe and an abdominal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n abdominal plate structure is coupled to a connection section and a non-connection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is coupled through the grout in the non-connection s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9a;
Figure 9c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connection portion of Figure 9a;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is coupled through a grout in a connection section and a non-connection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section of the steel pipe-abdominal plate module is coupled by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above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other component or a third compon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the components is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and/or plan views, which are ideal illustrative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icknesses of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echnical content.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illustrative drawing may be modified due to manufacturing technology and/or tolerance. Theref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form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example, the region shown at right angles may be rounded or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Accordingly,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have properties, and the shapes of the illustrated regions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specific shapes of regions of the device and not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 complementary embodiment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contents have been prepared to more specifically describe the invention and help understanding. However, a reader having enough knowledge in this field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ognize that it can be used without these various specific details. In some cases,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parts that are commonly known and not largely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confusion without any reas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 가변이 용이한 모듈러 거더 시스템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a modular girder system with an easy cross-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더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플랜지-복부판 합성 거더시스템에 해당한다. 도 2a는 강관-복부판 합성 거더구조의 사진을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강관-복부판 합성 거더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First, the girder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 flange-corresponding to an abdominal plate composite girder system. Figure 2a shows a photograph of the steel pipe-abdominal plate composite girder structure, Figure 2b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steel pipe-abdominal plate composite girder.

이러한 합성거더(3)는 도로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기초 콘크리트 각각에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어 수직방향으로 구성되는 양측 지주(10) 사이에 설치되며, 플랜지(20)와 복부판(50)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The composite girder 3 is installed between both sides of the post 10 configu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each of the foundation concret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oad, and the flange 20 and the abdominal plate 50 are combined. is made up of

플랜지부(20)는 양측 지주(10) 사이 상단부에 구비되며 횡방향으로 분할 배치되는 상현 플랜지부(30)와, 이러한 상현 플랜지부(30)의 하부측으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양측 지주(10) 사이에 구비되는 하현 플랜지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상현 플랜지부(30)와 하현플랜지부(40)는 강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부판(50)은 특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므로 합성 거더 시스템(3)은 개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The flange portion 2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between the both sides of the struts 1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flange portion 30 divi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a specific distance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flange portion 30, and both sides of the struts (1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wer side flange portion 40 provided therebetween. 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flange portions 30 and 40 may be formed of a steel pipe. And since the abdominal plate 50 is installed at a specific interval, the composite girder system 3 is configured to include an opening.

강재는 등방성 재료로 제단, 접합 등 충분한 제작성을 갖춘 자재로써 건축, 토목분야 및 여러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는 부재이다.Steel is an isotropic material, and it is a material with sufficient manufacturability such as for altar and bonding, and is a member frequently used in construction, civil engineering and other fields.

일반구조용 탄소강관(KS D 3566)은 상황에 따라 기둥, 보, 트러스 부재로 사용되는 재료로 압축재, 인장재, 휨재로서의 거동이 분석되고 검증된 재료이다.Carbon steel pipe for general structure (KS D 3566) is a material used as a column, beam, and truss member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its behavior as a compression member, tension member, and flexural member has been analyzed and verified.

플랜지-웹으로 구성되는 H빔, I빔의 구조는 역학적, 경험적으로 입증이 된 안정적인 구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개구부를 갖는 강관-복부판 합성 거더구조 시스템으로, 상단과 하단의 기성품 강관(20)과 이를 연결하는 비정형 복부판(50)으로 구성되게 된다. The structure of H-beam and I-beam composed of flange-web is a stable structure that has been proven mechanically and empirical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A and 2B, a steel pipe-abdominal plate composite girder structure system having an opening is composed of an upper and lower ready-made steel pipe 20 and an atypical abdominal plate 50 connecting them.

기존의 H빔 거더의 경우, 최대 부재력에 대한 단일단면을 선택하여 설계하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더시스템은 구간별 요구강도에 대한 단면선택을 강관과 복부판 치수 선택을 통해 설계가 가능하다. 즉, 구간별 설계하중에 따라 플랜지와, 복부판을 구간에 따라 각기 다른 단면을 적용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existing H-beam girder, a single section for maximum member force is selected and designed, whereas the girder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igned by selecting the section for the required strength for each section by selecting the dimensions of the steel pipe and the abdominal plate. do. That is, according to the design load for each section, different cross sections can be applied to the flange and the abdominal plate depending on the section.

도 3은 개구부를 갖는 강관-복부판 합성거더의 응력집중을 나타낸 모식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더시스템은 기존 H빔 거더와 달리 개구부를 취하는 구조물로써, 첫째, 강관 플랜지와 복부판 접합부의 응력 집중부가 존재하며, 두번째, 기성품 강관의 제작단위로 인한 연결소요가 필요하다. Figure 3 show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ess concentration of the steel pipe having an opening - a composite girder. The gird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that takes an opening unlike the existing H-beam girder. First, there is a stress concentration part at the joint of the steel pipe flange and the abdomen plate, and second, it requires connection due to the production unit of the ready-made steel pipe.

첫째, 플랜지(강관)과 복부판을 차용한 강관 합성 거더 시스템에서는, 복부판-강관 접합부 모서리에서 높은 응력집중이 나타난다. 응력집중은 본 구조의 부재의 치수 비율에서 발생하는 필연적인 역학적 문제이다.First, in the steel pipe composite girder system borrowing flange (steel pipe) and abdominal plate, high stress concentration appears at the edge of the abdominal plate-steel pipe joint. Stress concentration is an inevitable mechanical problem arising from the dimensional ratio of the members of the present structure.

두번째, 본 거더시스템은, 플랜지에 해당하는 구조체로 기성품 강관을 체택하여 설계한다. KS강관은 일반적으로 1본(약 6.0m) 단위로 제작되며, 차음터널용 거더와 같은 장스팬 구조물을 제작할 경우, 기본길이를 초과하는 강관을 특수제작하거나, 기본길이마다 적절한 접합을 취해야 한다.Second, this girder system is designed by adopting a ready-made steel pipe as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flange. KS steel pipes are generally manufactured in units of 1 piece (about 6.0m), and when manufacturing long span structures such as girders for sound insulation tunnels, a steel pipe exceeding the basic length must be specially manufactured or an appropriate joint must be taken for each basic length.

차음터널용 거더를 제작하는 경우, 관련 설계기준에 의해 현장 용접이 불가하다. 또한, 도로교통법에 의거하여 일정 길이 이상의 부재의 운송이 금지되어 있어 현장 체결이 필수적이다. 도 4a는 조인트부를 갖는 강관-복부판 합성거더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b는 도 4a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 강관-복부판 합성거더의 모듈간 연결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 연결을 위한 조인트부를 통해 연결되었다. 전통적인 강관 조인트를 위한 볼트 너트를 통한 체결방식은, 판재간 연결에는 용이하나, 해당 구조물과 같이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 일부 제한적이다. 차음터널용 방음패널은, 패널의 종류 및 시공성에 따라 1.0m, 2.0m, 4.0m 부재를 사용하나, 일반적으로 2.0m 패널을 사용한다. 따라서 해당 거더시스템의 복부판 설치간격은 4.0m를 초과할 수 없으며, 주로 2.0m를 체택한다. 따라서 본 거더시스템을 채용하기 위해 효율적인 연결구조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In case of manufacturing girder for sound insulation tunnel, field welding is not possible according to the relevant design standards. In addi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ad Traffic Act, transportation of members longer than a certain length is prohibited, so on-site fastening is essential. Figure 4a shows a front view of a steel pipe-abdominal plate composite girder having a joint portion. And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A.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conventional steel pipe-module connection of the composite girder was connected through a joint part for connecting the steel pipe. The fastening method through the bolt and nut for the conventional steel pipe joint is easy to connect between plates, but there are some limitations when using a steel pipe like the corresponding structure. Soundproofing panels for soundproof tunnels use 1.0m, 2.0m, and 4.0m members depending on the type and workability of the panel, but generally use a 2.0m panel. Therefore, the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abdominal plate of the girder system cannot exceed 4.0m, and 2.0m is mainly adopted. Therefore, an efficient connection structure is essential to adopt this girder system.

즉, 본 발명에서는 플랜지-복부판 응력집중부 부재의 강성증대를 통해 응력집중을 해소한 안정적인 거더시스템(100)을 제안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table girder system 100 in which stress concentration is eliminated through the increase in rigidity of the flange-abdominal plate stress concentration member.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과 복부판 구조물의 분해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부판 구조물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과 복부판 구조물의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5 is an exploded front view of a steel pipe and an abdominal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steel pipe and an abdominal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현 플랜지부(30)와 하현 플랜지부(40)는 강관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간별, 모듈별 서로 다른 치수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로 제작되는 복부판 구조물(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upper and lower flange portions 30 and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 steel pipe, and may have different dimensions for each section and module. 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parately manufactured abdominal plate structure (60).

복부판 구조물(6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현 플랜지부(30) 외측에 삽입되는 상단부재(61)와, 하현 플랜지부(40) 외측에 삽입되는 하단부재(62)와, 상단부재(61)와 하단부재(62) 사이에 결합되는 복부판(6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bdominal plate structure 60, as shown in Figure 6, the upper member 61 is inserted into the outer side of the upper flange part 30, the lower member 62 is inserted into the outer side of the lower flange part 40, and the upper memb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bdominal plate 63 coupled between the 61 and the lower member 62 .

즉, 본 거더 시스템(100)은, 소형 기성품 강관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구간에 따라 연결부의 역할을 수행하는 복부판 구조물(60)로 구성된다.That is, the girder system 100 is composed of a small ready-made steel pipe and an abdominal plate structure 60 that i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serves as a connecting part according to a section.

복부판 구조물(60)은 플랜지부(20) 간 비연결구간 및, 플랜지부(20) 간 연결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구간과 비연결부 구간에 복부판 구조물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6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t least one of a non-connection section between the flange parts 20 and a connection section between the flange parts 20 .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section and the non-connection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부판 구간을 별개로 제작하며, 상단부재(61)의 내경을 상현 플랜지부(30)의 외경과 일치하게 맞추고, 하단부재(62)의 내경을 하현 플랜지부(40)의 외경과 일치하게 맞추고, 복부판(63)에 필렛을 적용하여 끝단 응력집중을 완화하도록 구성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dominal plate section is separately manufactured,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member 61 is matched with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flange portion 3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member 62 is adjusted to the lower flange portion 40 ) is matched with the outer diameter, and is configured to relieve stress concentration at the end by applying a fillet to the abdomen plate 63 .

그리고 복부판 구조물(60)의 상단부재(61)와 하단부재(62) 각각의 양끝단은 필요에 따라 링형 보강재를 덧대어 충분한 강성을 구현한다.In addition, both ends of each of the upper member 61 and the lower member 62 of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60 are padded with a ring-shaped reinforcing material as necessary to implement sufficient rigidity.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간, 또는 비연결구간에 강관과 복부판 구조물(60)을 결합하여 구조물을 완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부재를 서로 고정하기 위해 적정량의 봉나사-볼트와 같은 체결부재(80)를 배치하여 체결한다. 체결시에는 해당 구간 강관의 거동을 고려하여 수직, 수평으로 체결한다. And, as shown in FIG. 8,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can be completed by combining the steel pipe and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60 in the connected section or the non-connected section. In order to fix the members to each other, an appropriate amount of bar screws and fastening members 80 such as bolts are arranged and fastened. When fastening, consider the behavior of the steel pipe in the relevant section and fasten it vertically and horizontally.

또한 소형 강관과 복부판 구조물(60) 사이에 고강도 그라우트로 충전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그라우트가 충전될 위치에 강관(20) 및 복부판 구조물(60) 표면에 돌출부(71)를 형성시킨다. 본 발명의 구조로 플랜지 강관(20)의 강성을 온전히 유지하고, 구간별 단면선택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Also, it can be connected by filling with high-strength grout between the small steel pipe and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60 . At this time, a protrusion 71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teel pipe 20 and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60 at the position where the grout is to be filled. With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maintain the rigidity of the flanged steel pipe 20, and to freely select the section for each section.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연결부 구간에서의 그라우트를 통해 복부판 구조물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9b는 도 9a의 B-B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9c는 도 9a의 복부판 구조물 연결부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9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is coupled through the grout in the non-connection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B of Figure 9a, Figure 9c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connecting portion of Figure 9a.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부판 구조물(60)은 플랜지부(20)의 비연결구간에 삽입하여, 그라우팅(70)을 통해 일체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부판 구조물(60)의 상단부재(61)와 하단부재(62) 각각에 그라우트 주입부(72)와 배출부(73)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단부재(61)와 하단부재(62) 내면과 그라우팅(70)되는 부위의 상현 플랜지부(30)의 외면과 하현 플랜지부(30)의 외면에 돌출부(71)가 형성되어, 그라우팅(70)에 의한 일체화가 용이해지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S. 9a to 9c, it can be seen that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6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egrated through the grouting 70 by inserting it into the unconnected section of the flange portion 20. have.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9c, a grout injection part 72 and a discharge part 73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upper member 61 and the lower member 62 of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60, and the upper member ( 61) and the lower member 62,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portion 3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portion 30 of the portion to be grouted 70, the protrusion 71 is formed, integrated by the grouting (70)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configured to be easy.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구간과 비연결부 구간에서의 그라우트를 통해 복부판 구조물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부판 구조물(60)은 플랜지부(20)의 비연결구간와 연결구간 모두에 대하여 그라우팅(70)을 통해 결합되어질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is coupled through the grout in the connection section and the non-connection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 it can be seen that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6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hrough the grouting 70 for both the unconnected section and the connected section of the flange portion 20 .

그리고 도 11은 강관-복부판 모듈의 연결부 구간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부판 구조물에 의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상현 플랜지부(30)와 하현 플랜지부(40) 사이에 복부판(50)을 갖는 모듈형 합성 거더를 이용하면서, 이러한 모듈형 합성거더의 연결구간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부판 구조물(60)을 설치하여 그라우팅(70)을 통해 연결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And Figure 11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section of the steel pipe-abdominal plate module is coupled by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while using the conventional modular composite girder having an abdominal plate 50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ange portions 30 and 40,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section of the modular composite girder It can be seen that by installing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6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grouting 70 .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apparatus and method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ly applicable, but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is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1:종래 차음터널용 거더 구조
2:I빔
3:플랜지-복부판 합성거더 시스템
10:지주
20:플랜지부
30:상현 플랜지부
40:하현 플랜지부
50:복부판
60:복부판 구조물
61:상단부재
62:하단부재
63:복부판
70:그라우트
71:돌출부
72:그라우트 주입부
73:그라우트 배출부
80:체결부재
100:단면 가변이 용이한 강관 모듈러 거더 시스템
1: Conventional girder structure for sound insulation tunnels
2:I beam
3: Flange-Abdominal Composite Girder System
10: holding
20: flange part
30: upper side flange part
40: lower string flange part
50: abdomen
60: Abdominal plate structure
61: upper member
62: lower member
63: abdominal plate
70: grout
71: protrusion
72: grout injection unit
73: grout discharge part
80: fastening member
100: Steel pipe modular girder system with easy cross-section

Claims (10)

도로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기초 콘크리트 각각에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어 수직방향으로 구성되는 양측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플랜지와 복부판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합성 거더시스템에 있어서,
양측 지주 사이 상단부에 구비되며, 횡방향으로 분할 배치되는 상현 플랜지부와, 상기 상현 플랜지부의 하부측으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양측 지주 사이에 구비되는 하현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상현 플랜지부 외측에 삽입되는 상단부재와, 상기 하현 플랜지부 외측에 삽입되는 하단부재와, 상단부재와 하단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복부판을 갖는 복부판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복부판 구조물은 상기 플랜지부 간 비연결부 및, 상기 플랜지부 간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복부판 구조물과 상기 플랜지부 사이공간에 그라우트를 충진하여 연결하고,
상기 그라우트 충진 부분의 상기 상단부재와 하단부재의 내면 및 상기 플랜지부의 외면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면 가변이 용이한 모듈러 거더 시스템.
In the composite girder system consisting of a flange and an abdominal plate coupled to each other,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two posts configu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each of the foundation concret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oad,
It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between the two poles, and the upper flange portion divi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paced a certain distance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flange portion, the flange portion comprising a lower flange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two poles; and
Containing; including;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is coupled to at least one of a non-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lange portions and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lange portions,
Filling and connecting the grout in the space between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and the flange portion,
A modular girder system with easy cross-section, characterized in that protrusions ar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members of the grout filling portion and the outer surfaces of the flang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판은 필렛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면 가변이 용이한 모듈러 거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abdominal plate is a modular girder system with easy cross-se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fillet is appli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복부판 구조물은 구간별 다른 치수의 부재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면 가변이 용이한 모듈러 거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Modular girder system with easy cross-s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nge portion and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can be applied to members of different dimensions for each sectio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부재 및 상기 하단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끝단에 링형보강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면 가변이 용이한 모듈러 거더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A modular girder system with easy cross-se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ring-shaped reinforcement is provided at both ends of at least one of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상현 플랜지부와 상기 하현 플랜지부 사이에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의 길이방향 연결부에 상기 복부판 구조물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면 가변이 용이한 모듈러 거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lange por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bdominal plat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specific interva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ange portions, and the cross-sectional variab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is coupled to the longitudinal connection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Easy modular girder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판 구조물과 상기 플랜지부는 봉나사와 볼트를 관통시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면 가변이 용이한 모듈러 거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odular girder system with easy cross-s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bdominal plate structure and the flange part are fastened through a bar screw and a bol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현 플랜지부와, 상기 하현 플랜지부와, 상기 상단부재, 상기 하단부재는 강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면 가변이 용이한 모듈러 거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odular girder system with easy cross-s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flange portion, the lower flange portion,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are steel pipes.





KR1020200160288A 2020-11-25 2020-11-25 Construction methods for connection part of section variable modular pipe girder system KR1023410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288A KR102341094B1 (en) 2020-11-25 2020-11-25 Construction methods for connection part of section variable modular pipe gird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288A KR102341094B1 (en) 2020-11-25 2020-11-25 Construction methods for connection part of section variable modular pipe girde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094B1 true KR102341094B1 (en) 2021-12-17

Family

ID=79033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288A KR102341094B1 (en) 2020-11-25 2020-11-25 Construction methods for connection part of section variable modular pipe girde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09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502B1 (en) * 2013-01-24 2014-10-27 진명구 An assembly lattice girder
KR101896278B1 (en) 2017-10-24 2018-09-07 신영기술개발(주) Light weight type truss sound absorption tunnel
KR20180118414A (en) 2017-04-21 2018-10-31 정만식 Tunnel soundproofed wall having steel pipe connecting part
KR102027514B1 (en) * 2019-02-07 2019-10-01 동아이엔지(주) Soundproof tunne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502B1 (en) * 2013-01-24 2014-10-27 진명구 An assembly lattice girder
KR20180118414A (en) 2017-04-21 2018-10-31 정만식 Tunnel soundproofed wall having steel pipe connecting part
KR101896278B1 (en) 2017-10-24 2018-09-07 신영기술개발(주) Light weight type truss sound absorption tunnel
KR102027514B1 (en) * 2019-02-07 2019-10-01 동아이엔지(주) Soundproof tunne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235B1 (en) Precast truss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hereof
US8646239B2 (en) Modular building block building system
KR101880494B1 (en) Core wall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0646661B1 (en) Hybrid beam for slim-floor and slim-floor structure using the same
JP3981949B2 (en)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JP2007270598A (en) Structural wall
KR102341094B1 (en) Construction methods for connection part of section variable modular pipe girder system
KR20190036248A (en) Seismic retrofit structure for building and seismic retrofit method using the same
KR20060115563A (en) Soundproof structure
JP3752999B2 (en) Upper and lower integrated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596742B1 (en) Girder system for mitigating a stagnant airflow in tunnels
KR101707409B1 (en) Soundproof tunnel construction method and soundproof tunnel thereby
KR102338280B1 (en) Lightweight Girder structure for soundproof tunnel
KR102222834B1 (en) Slim transfer ma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with reverse drop panel
KR100768081B1 (en) Columnless structure of apartment buildings
KR100588193B1 (en) Hybrid Structere System of Steel and Reinforced Concrete for Slim Floor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997850B1 (en) Temporary fence
CN113931298A (en) Low-multilayer assembled light steel and light concrete structural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80091582A (en) Composite through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30016960A (en) Each other's cross section area adjoined slim support and soundproof walls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N205444453U (en) Assembled prestressing force double T board frame construction
JP2007085098A (en) Earthquake resistant reinforcing brace structure
KR200324443Y1 (en) Prefabricated soundproof wall of lightweight PC
KR101028301B1 (en) One piece-a prop soundproofing wall except link-ing bracket
KR101222186B1 (en) Soundproof fac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