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042B1 - 센싱 단말을 이용한 이동 자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센싱 단말을 이용한 이동 자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042B1
KR102341042B1 KR1020210113964A KR20210113964A KR102341042B1 KR 102341042 B1 KR102341042 B1 KR 102341042B1 KR 1020210113964 A KR1020210113964 A KR 1020210113964A KR 20210113964 A KR20210113964 A KR 20210113964A KR 102341042 B1 KR102341042 B1 KR 102341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terminal
sensor
target object
illuminan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1718A (ko
KR102341042B9 (ko
Inventor
김기덕
박승현
Original Assignee
(주)씨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2713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97336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테크 filed Critical (주)씨앤테크
Priority to KR1020210113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042B1/ko
Publication of KR20210111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042B1/ko
Publication of KR10234104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04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대상 사물과 하우징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 상기 대상 사물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버로 전송되기 위한 전송 단위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상기 전송 단위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센싱 단말을 이용하여 이동 자산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센싱 단말을 이용한 이동 자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A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 movable asset using a monitoring device}
본 발명은 이동 자산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IoT 기술이 발달하면서 공장이나 창고의 이동 자산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맞추어 IoT 단말을 사용하여 이동 자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다수의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하나 이상의 공정 장비 및 콘베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공정 장비 및 콘베어의 운행 상태를 각각 측정 및 분석하는 센서 단말, 상기 센서 단말에 의해 분석된 결과값을 수집하고 상기 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운행 상태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운행 상태 및 상기 운행 상태의 이상 여부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공장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스템들은 대상 사물의 모니터링을 위해 센서 단말과 서버간에 상당한 양의 데이터가 송수신되게 된다. 이에 따라 센서 단말의 소비전력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센서 단말은 상시 전원을 사용하여야 한다. 센서 단말에 배터리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빈번하게 배터리를 교체하여 주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9563호(2018.01.29.)
본 명세서에서는 공장의 기계, 설비와 같은 이동 자산인 사물에 설치되는 센싱 단말을 제공함으로서, 사물의 동작에 의하여 발생되는 센싱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물의 상태에 대한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자산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는 사물에 부착된 센싱 단말이 사물에서 분리되는 유형에 따른 위험도 판단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위험도에 따른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싱 단말은 하우징, 대상 사물과 상기 하우징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 상기 대상 사물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버로 전송되기 위한 전송 단위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전송 단위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상기 대상 사물의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전송 단위 데이터에는 상기 대상 사물의 상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조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조도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센싱 단말이 상기 대상 사물로부터 탈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조도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센싱 단말이 상기 대상 사물로부터 탈착되는 탈착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조도값을 상기 센싱 단말이 상기 대상 사물에 부착된 후 상기 조도값이 측정된 시간의 경과에 따라 특정되는 임계 조도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탈착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조도값이 상기 임계조도값보다 큰 경우 강제탈착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탈착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탈착 스위치로부터 탈착 신호를 인가 받은 경우, 상기 조도센서에 조도 측정 개시 신호를 인가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조도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센싱 단말이 상기 대상 사물로부터 탈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조도센서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조도 측정 개시 신호를 인가 받기 전에는 조도를 센싱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조도 센서는 측정된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조도값을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으며, 상기 조도 센서는 측정된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조도값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탈착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슬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도센서는 상기 센싱 단말이 상기 대상 사물에 부착된 경우에도 상기 슬릿을 통해 유입되는 빛에 의하여 조도값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센싱 단말로부터 전송 단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전송 단위 데이터로부터 상기 센싱 단말의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 정보에 따라 상기 센싱 단말이 부착된 대상 사물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센싱 정보에는 상기 센싱 단말과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기지국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 단말이 정상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통신 연결될 수 있는 기지국의 목록인 세이프셀에 상기 기지국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상기 세이프셀에 등록된 기지국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미만인 경우, 상기 세이프셀에 상기 기지국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센싱 정보에는 상기 센싱 단말과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기지국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 단말이 정상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통신 연결될 수 있는 기지국의 목록인 세이프셀에 상기 기지국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상기 세이프셀에 등록된 기지국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인 경우, 상기 센싱 단말이 정상 위치를 이탈하였음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싱 단말을 이용한 대상 사물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대상 사물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버로 전송되기 위한 전송 단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단위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모니터링 방법은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조도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센싱 단말이 상기 대상 사물로부터 탈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조도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센싱 단말이 상기 대상 사물로부터 탈착되는 탈착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대상 사물 모니터링 방법은 센싱 단말로부터 전송 단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 단위 데이터로부터 상기 센싱 단말의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 정보에 따라 상기 센싱 단말이 부착된 대상 사물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센싱 단말이 정상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통신 연결될 수 있는 기지국의 목록인 세이프셀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단말이 정상 위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 정보에는 상기 센싱 단말과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기지국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세이프셀에 상기 기지국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상기 세이프셀에 등록된 기지국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미만인 경우 상기 세이프셀에 상기 기지국 정보가 추가되고, 상기 세이프셀에 상기 기지국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상기 세이프셀에 등록된 기지국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인 경우 상기 센싱 단말이 정상 위치를 이탈하였음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사물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하도록 작성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이동 자산 모니터링 방법은 공장의 기계, 설비와 같은 이동 자산인 대상 사물에 설치되는 센싱 단말을 제공함으로서, 사물의 동작에 의하여 발생되는 센싱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물의 상태에 대한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자산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사물에 부착된 센싱 단말이 사물에서 분리되는 유형에 따른 위험도 판단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위험도에 따른 경고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자산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센싱 단말(1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는 서버(2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싱 단말(100)의 외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센싱 단말(100)의 조도센서(142)로부터 측정되는 조도 값의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 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등의 용어는, 만약 있는 경우, 유사한 구성요소 사이의 구분을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특정 순차 또는 발생 순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시퀀스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여기에 제시된 그러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그러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순서인 것은 아니며, 임의의 기술된 단계는 생략될 수 있거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단계가 그 방법에 부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왼쪽", "오른쪽", "앞", "뒤", "상부", "바닥", "위에", "아래에" 등의 용어는,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반드시 불변의 상대적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연결된"은 전기적 또는 비 전기적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기술된 대상은, 그 문구가 사용되는 문맥에 대해 적절하게,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동일한 일반적 범위 또는 영역에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연결된다', '연결하는', '체결된다', '체결하는', '결합된다', '결합하는'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자산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자산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동 자산 모니터링 시스템은 센싱 단말(100), 서버(200), 사용자 단말(400)로 구성되며, 각 구성은 네트워크(20)를 통해 서로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센싱 단말(100)은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자산인 대상 사물(10)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데이터를 서버(200)나 사용자 단말(400)로 네트워크(20)를 통해 전송한다.
센싱 단말(100)은 데이터 획득을 위해 대상 사물(10)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싱 단말(100)은 대상 사물(10)의 내면이나 외면에 부착되어 모니터링 대상 사물(10)의 표면을 센싱함으로써 대상 사물(10)의 상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단말(100)은 대상 사물(10)의 외면에 부착되어 대상 사물(10)의 진동 데이터를 내장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센싱 단말(100)은 대상 사물(10)의 인근에 위치할 수 있다. 센싱 단말(100)은 대상 사물(1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채로 대상 사물(10)의 상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단말(100)은 대상 사물(1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대상 사물(10)의 온도 데이터를 내장된 열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센싱 단말(10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센싱 단말(1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센싱 단말(100)은 하우징(미도시) 내에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통신부(130), 센서부(140), 사용자인터페이스(150), 전원부(160) 및 사물 결합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이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센싱 단말(100)을 구성하는 각 구성을 제어함으로써 대상 사물(10)의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태 데이터를 메모리(120)에 저장한다. 예를들어, 프로세서(110)는 메모리에 저장된 센싱 알고리즘에 따라 센서부(140)를 제어하여 대상 사물(10)의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여 메모리(120)에 저장하거나, 생성된 데이터를 통신부(130)를 이용하여 서버(200)나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통신부(130)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대상 사물의 상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전송 단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0)와 센싱 단말(100)의 각 모듈들이 동작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포함한다. 메모리(120)에는 센싱 단말(100)의 동작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센싱 단말(100)이 서버(200)나 사용자단말(3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외부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한다. 통신부(130)는 무선 통신 회선 가입자의 식별정보를 담고 있는 유심(USIM)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유심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센싱 단말(100)이 대상 사물(10)의 상태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 구성된다. 이하 가용 센서의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설명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부(140)는 대상 사물(10)의 진동데이터 및/또는 이동여부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대상 사물(1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온도계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센서부(140)는 대상 사물(10) 인근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해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센서부(140)는 센싱 단말(100)의 주변 조도를 측정하기 위한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센싱 단말(100)이 대상 사물(10)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센싱 단말(100)이 대상 사물(10)로부터 탈거되어 센싱 단말(100)이 대상 사물(10)로부터 분리되었는지를 센싱하는 탈착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40)는 대상 사물(10)의 이동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GPS센서, 자이로 센서, 및/또는 지자계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압이나 압력을 파악하기 위해 기압센서 및/또는 압력센서를 사용할 수 있고, 대상 사물(10)의 전력량을 센싱하기 위해 전력량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인터페이스(150)는 센싱 단말(100)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출력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입력부는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정보 출력부는 LED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단말(100)의 측면에는 단말의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한 동작 버튼이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 등이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LED는 센싱 단말(100)의 배터리 잔량을 녹색, 황색, 적색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LED는 통신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점등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원부(160)는 센싱 단말(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단이며 외부 유선 전력이나, 내장 또는 외장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170)는 센싱 단말(100)을 대상 사물(10)에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이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170)는 부착력이 강한 양면테이프, 기계적 접합을 위한 볼트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용접이 수행되는 경우 용접 모재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서버(2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는 서버(2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서버(200)는 하우징(미도시) 내에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통신부(230), 사용자 인터페이스(240) 및 전원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을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와 통신부(230) 및 전원부(250)와 같은 서버(200)의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서버(200)를 동작시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자산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한다.
메모리(220)에는 프로세서(21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센싱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센싱데이터 및 프로세서(210)의 동작으로 추출된 분석 결과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통신부(230)는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따라 센싱 단말(100)과 분석모델 학습부(300) 및 사용자 단말(400)과 같은 외부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들어, 통신부(230)는 센싱 단말(100)로부터 센싱 데이터, 경고 알림 등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분석모델 학습부(300)에 학습을 위한 데이터를 송신하고 분석 모델을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400)에 센싱 데이터로 생성된 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른 이동 자산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서버(2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서버(200)는 센싱 단말(100)로부터 수신함에 따라 새롭게 업데이트된 센싱 데이터와 메모리에 저장된 기존의 데이터 이력을 비교함으로써 센싱 단말(100)이 부착된 대상 사물(10)에 기존과는 다른 데이터 값을 나타내는 상태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센싱 단말(100)로부터 서버(200)가 수신한 센싱 데이터에는 센싱 데이터의 생성시각, 센싱 데이터를 생성한 센싱 단말(100)의 정보, 센싱 데이터의 종류, 센싱 데이터의 값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200)는 센싱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의 값이 메모리에 저장된 기존의 데이터값에 따른 유효 변동 범위내에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센싱 단말(100)이 부착된 대상 사물에 이상 상태가 발생하였음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존 데이터값에 따라 계산되는 유효 변동 범위는 기존 데이터가 보이는 상한값과 하한값으로 결정되는 데이터값의 범위거나, 상한값과 하한값의 중간값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오차율에 따라 결정되는 데이터값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서버(200)는 기존데이터의 변동 이력을 패턴화 하고, 센싱 단말(100)로부터 업데이트된 데이터가 기존 데이터의 변동 패턴과 연속성을 가지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유효 변동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서버(200)는 기존 데이터값의 변동이력에 따라 주기적으로 증감하는 변동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효 변동 범위는 기존 데이터의 변동 패턴에 따른 상한값과 하한값으로 특정되는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기존 데이터의 주기별 변동 패턴에 따라, 현재 주기에 따라 예측되는 예측값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오차율에 따른 데이터값 범위로 유효 변동 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서버(200)는 센싱 단말(100)로부터 업데이트된 센싱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된 기존의 데이터값과의 관계에서 유효 변동 범위 내인 경우 업데이트된 센싱 데이터를 정상 가동 데이터로써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서버(200)는 앞서 설명한 유효 변동 범위를 업데이트된 센싱 데이터를 반영하여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서버(200)는 센싱 단말(100)로부터 업데이트된 센싱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된 기존의 데이터값의 유효 변동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업데이트된 센싱 데이터를 비정상 가동 데이터로써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단말(400)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센싱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데이터를 활용하여 센싱 단말(100)이 부착된 대상사물(10)의 상태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기계 학습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버(200)는 분석모델 학습부(300)로 센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분석모델학습부(300)에서 분석모델의 학습이 완료된 후, 서버(200)는 분석모델학습부(300)로부터 분석모델을 수신하고, 수신된 분석모델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대상 사물(10)의 상태정보를 보다 상세히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수신한 설정 데이터에 따라 다양한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센싱 단말(100)의 메모리(120)에 저장된 대상 사물(10)의 센싱 데이터를 일정 주기마다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24시간에 1회씩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서버(200)의 메모리(220)로 저장을 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센싱 데이터의 값이 미리 설정된 유효 변동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센싱 단말(100)의 배터리 잔량이 부족한 경우, 센싱 단말(100)의 GPS 값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정상 위치 범위를 벗어난 경우, 센싱 단말(100)의 대상 사물(10)의 전력량 센싱 모듈로부터 획득된 전력량 센싱 값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전력범위를 벗어난 경우 해당 이벤트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400)로 알림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수신한 설정 데이터에 따라 대상 사물(10)의 가동율을 산출하기 위하여 산업분류상의 업종을 설정하며, 설정된 업종에 해당하는 이동 자산들의 가동율을 산출하여 전일 혹은 전월 혹은 전년 대비 가동율이 증가되었는지, 감소되었는지를 분석하여 금융권에서의 투자 적격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투자 적격 유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산업분류란 산업에 따라 공공기관에서 분류한 산업 분류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부품 제조업과 같이 업종을 분류한 정보일 수 있다. 가동율의 경우에는 생산설비가 어느 정도 이용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업체가 주어진 조건(설비, 노동, 생산 효율 등)하에서 생산 설비를 정상적으로 가동하였을 때 생산할 수 있는 최대 생산량에 대한 실제 생산량의 비율을 말하며, 개별기업의 생산설비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통상 가동률이 80% 이상이면 정상 가동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현재 특정 분야의 가동율을 산출하게 되면 해당 산업분야의 성장률을 예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전일 혹은 전월 혹은 전년 대비 가동율이 증가되었다면, 해당 분야는 성장중임을 결정할 수 있고, 감소되었다면 해당 분야는 정체기이거나 쇠퇴기임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처리를 위하여 서버(200)의 메모리(220)에는 대상 사물(10) 소재지 및 식별 정보, 대상 사물(10)의 이력 정보, 대상 사물(10) 소유자의 산업분류표 정보, 동산소유자의 업체 규모 및 인원수 정보, 매출액 정보, 대상 사물(10) 소유자의 성격 정보, 재무제표 정보, 대상 사물(10) 소유자의 인증 정보, 대상 사물(10) 소유자의 업체 설립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의 일 사용자인 금융기관에서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해당 분야의 투자 적격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 지표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200)는 설정된 업종 혹은 지역에 해당하는 대상 사물(10)들의 센싱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대상 사물(10)의 운영상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대전 소재의 전자부품 분야 업체 정보를 추출한 후, 해당 업체에서 소유하고 있는 대상 사물(10)의 센싱 단말(100)로부터 생성하여 저장된 센싱 데이터나 이로부터 생성된 대상 사물(10)의 상태 정보들을 추출할 수 있다. 서버(200)는 추출된 대상 사물(10)들의 센싱 데이터를 참조하여 업종 또는 지역별 가동율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사물(10)이 컨베이어 벨트인 경우, 이의 가동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들어 가동률 계산 대상이 되는 24시간 동안 컨베이어 벨트가 20시간 가동되었으면, 가동율은 83.3%로 계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버(200)는 상기한 전자부품 분야에 해당하는 업체별 가동율을 계산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자산 모니터링 방법을 구성하는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센싱 단말(100)이 대상 사물(10)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데이터가 대상 사물(10)에 대한 데이터라는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센싱 단말(100)이 상기 대상 사물(10)에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센싱 단말(100)은 센싱 단말(100)이 대상 사물(10)에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센싱 단말(100)의 부착/탈착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부착이란 센싱 단말(100)이 대상 사물(10)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탈착이란 센싱 단말(100)이 대상 사물(10)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싱 단말(100)의 외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는 센싱 단말(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50)가 구비된 외면을 도시하고, 도 4의 (b)는 센싱 단말(100)을 대상 사물(10)에 부착시키기 위한 결합부(170)로써 양면 테이프가 구현된 부착면을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센싱 단말(100)은 센싱 단말(100)의 부착면에 위치한 탈착 스위치(141)의 동작으로 센싱 단말(100)의 부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탈착 스위치(141)는 센싱 단말(100)이 사물에 부착된 경우 사물의 부착면이 탈착 스위치(141)를 압착함에 따라 눌려진 상태로 유지되고, 센싱 단말(100)이 대상 사물(1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사물의 부착면이 탈착 스위치(141)를 압착하는 힘이 소멸됨에 따라 눌려지지 않은 풀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도록, 탈착 스위치(141)는 양면테이프와 같이 센싱 단말(100)의 부착면에 구성된 다른 구성들 보다 부착면에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탈착 스위치(141)를 이용하는 경우, 탈착 스위치(141)가 풀렸을 때 슬립모드에 있는 센싱 단말(100)이 웨이크업 되고, 센싱 단말(100)이 외부 장치에 탈착 여부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탈착 스위치(141)가 풀리기 전까지는 센싱 단말(100)을 슬립모드로 유지함으로써, 탈착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센싱 단말(100)의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들어, 탈착스위치(141)가 눌린 상태일 경우 회로가 개방 상태에 있을 수 있고, 탈착 스위치(141)가 풀린 상태일 경우 회로가 통전 상태에 있을 수 있다. 통전 상태일 경우 슬립모드의 센싱 단말(100)은 웨이크업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센싱 단말(100)은 센싱 단말(100)의 부착면에 위치한 조도센서(142)의 동작으로 센싱 단말(100)의 부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의 예와 같이 조도센서(142)가 센싱 단말(100)의 부착면에 또는 그 인근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싱 단말(100)이 대상 사물(10)과 분리되었을 때 보다 낮은 조도 값을 센싱 단말(100)이 대상 사물(10)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 조도 센서(142)가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부터, 센싱 단말(100)은 조도 값이 증가한 경우 센싱 단말(100)이 대상 사물(10)로부터 분리되었음을 결정할 수 있다.
센싱 단말(100)은 조도 값이 분리를 나타내는 분리 임계 값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 센싱 단말(100)이 대상 사물(10)과 분리되었음을 결정할 수 있다.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하여, 센싱 단말(100)은 조도 값이 분리 임계 값 미만인 경우 조도 값의 센싱 만을 수행하고, 센싱된 조도 값을 메모리(120)에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센싱 단말(100)은 조도 값이 분리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센싱 단말(100)이 대상 사물(10)과 분리되었음을 결정하고, 센싱된 조도 값을 메모리(120)에 저장하고, 센싱 단말(100)을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 모드로 모드를 변경하며, 외부장치에 센싱 단말(100)이 대상 사물(10)로부터 분리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분리 임계 값 이상의 조도 값이 측정될 경우에만 메모리 엑세스 등을 수행하기 때문에 탈착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센싱 단말(100)의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조도센서(142)를 사용하는 경우 조도센서가 불량인 경우에는 조도 값을 측정할 수 없기에 센싱 단말(100)이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위하여, 조도센서(142)의 정상 작동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센싱 단말(100)이 부착된 경우에도 조도센서(142)에 일정량의 빛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싱 단말(100)의 부착면에는 소량의 빛이 유입될 수 있는 슬릿(171, 17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슬릿(171)은 결합부(170)의 일 부분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의 예와 같이 슬릿(171)은 결합부(170)의 일부분이 오목하게 파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파인 홈을 따라 외부의 빛이 유입되어 조도센서(142)에 닿을 수 있도록 결합부(170)의 외측(171a)으로부터 내측(171b)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슬릿(171)을 통해 소량의 빛이 조도센서(142)에 유입됨에 따라, 조도센서(142)는 센싱 단말(100)이 부착된 상태에서 변동되는 조도 값을 센싱할 수 있으며, 부착 상태에서의 조도 값 변화량을 정상 범위의 조도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정상 범위의 조도 값을 설정하기 위해, 센싱 단말(100)은 미리 설정된 기간동안 조도 값의 변동 범위를 측정하고, 조도 값의 변동 범위에 따른 정상 범위의 조도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단말(100)은 부착 후 일정기간 동안 측정된 조도 값 중에 가장 높은 값을 정상 범위의 조도 값으로 메모리(1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로써, 센싱 단말(100)은 조도센서(142)의 조도 값이 0인 경우 조도센서(142)의 동작 오류를 검출하고, 조도센서(142)의 조도 값이 0 보다 크며 정상 범위의 조도 값인 경우 정상 작동하고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센싱 단말(100)은 조도센서(142)의 조도 값이 분리 임계 값 미만인 경우 조도 값의 센싱만을 수행하고, 조도센서(142)의 조도 값이 분리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센싱 단말(100)이 대상 사물(10)과 분리되었음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는 센싱 단말(100)의 조도센서(142)로부터 측정되는 조도 값의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강제탈착과 자연탈착을 구분하는 기준 패턴을 도시한다. 기준패턴은 센싱 단말(100)이 대상 사물(10)에 부착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조도 값의 변화를 나타내며, 도 5a 및 도 5b에서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센싱 단말(100)은 센싱 단말(100)이 대상 사물(10)에 부착된 후 경과된 시간과 기준 패턴에 따라 특정되는 따른 임계 조도 값과 비교함으로써 탈착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센싱 단말(100)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조도 값이 임계 조도 값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강제탈착 영역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강제탈착으로, 임계 조도 값과 같거나 그 보다 작은 값을 나타내는 자연탈착 영역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자연탈착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5b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측정되는 조도 값이 붉은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결합부(170)의 결합력이 감소함에 인하여 센싱 단말(100)이 자연적으로 대상 사물(10)로부터 분리되는 자연탈착의 경우에는 조도센서(142)의 조도 값이 기준 패턴보다 천천히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5b의 (a)의 예시와 같이 조도 값 그래프는 자연탈착 영역에 도시되게 된다.
그러나, 결합부(170)의 결합력 감소외에 외력이 센싱 단말(100)에 작용함으로 인하여 센싱 단말(100)이 대상 사물(10)로부터 분리되는 강제탈착의 경우에는 조도센서(142)의 조도 값이 기준 패턴보다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5b의 (b)의 예시와 같이 조도 값 그래프는 강제탈착 영역에 도시되게 된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슬릿은 부착면의 두개 이상의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부착면에 형성된 슬릿의 너비를 서로 다르게 구비함으로써, 자연탈착과 인위적 탈착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들어, 도 4과 같이 결합부(170)에는 제 1 슬릿(171)과 제 2 슬릿(17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슬릿(171)은 센싱 단말(100)이 대상 사물(10)에 부착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단에 위치하고, 제 2 슬릿(172)은 센싱 단말(100)이 대상 사물(10)에 부착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슬릿(172)의 너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동될 수 있다. 제 2 슬릿(172)은 결합부(170)의 외측(172a)으로부터 중간 지점(172b)까지는 일정한 너비로 형성될 수 있으나, 중간 지점(172b)부터 내측(171c)까지는 너비가 일정하게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b)의 도시를 기준으로 센싱 단말(100)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에서부터 센싱 단말(100)과 대상 사물(10)의 분리가 발생하는 경우 결합부(170)의 내측경계(173)가 분리될 때까지 슬릿(171, 172)을 통해 조도센서(142)에 유입되는 광량의 변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센싱 단말(100)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에서부터 분리가 발생하는 경우 결합부(170)의 내측경계면(173)의 분리에 따라 조도센서(142)에 의하여 측정되는 조도 값이 급격히 증가한 후에 유지되게 된다.
도 4의 (b)의 도시를 기준으로 센싱 단말(100)의 상단에서 센싱 단말(100)과 대상 사물(10)의 분리가 발생하는 경우, 분리가 진행됨에 따라 제 1 슬릿(171)을 통해 유입되는 빛의 광로가 짧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조도 센서(142)에 유입되는 광량은 증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결합부(170)의 내측경계면의 분리에 따라 조도센서(142)에 의하여 측정되는 조도 값은 급격히 증가한 후에 유지되게 된다.
도 4의 (b)의 도시를 기준으로 센싱 단말(100)의 하단에서 센싱 단말(100)과 대상 사물(10)의 분리가 발생하는 경우, 분리가 진행됨에 따라 제 2 슬릿(172)을 통해 유입되는 빛의 광로가 짧아지게 되는 점은 상단에서의 분리와 동일하다.
그러나, 하단에서 분리가 발생하는 경우 제 2 슬릿(172)의 중간 지점(172b)부터 슬릿의 너비가 증가하게 된다. 슬릿의 너비가 증가할수록 유입되는 광량도 증가한다. 내측(171c)까지 분리가 발생하는 동안 조도 센서(142)에 유입되는 광량은 상단에서의 분리 과정보다 크게 증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결합부(170)의 내측경계면의 분리에 따라 조도센서(142)에 의하여 측정되는 조도 값은 급격히 증가한 후에 유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센싱 단말(100)의 결합부(170)에 너비가 상이한 슬릿들을 부가함으로써 센싱 단말(100)의 분리 방향에 따른 조도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센싱 단말의 부착시 자연적으로 분리가 시작될 수 있는 지점을 상단으로 설정하며 대상 사물(100)에 부착함으로써, 상단부터 분리가 발생한 경우의 조도값의 변화가 식별되는 경우 자연탈착으로 결정하고, 그 외의 경우는 강제탈착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탈착 스위치(141)와 조도 센서(142)가 함께 사용되어 센싱 단말(100)의 탈착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탈착 스위치(141)의 눌림이 풀림으로써 1차적으로 탈착 여부가 식별될 수 있다. 1차적으로 탈착 여부가 식별되면, 센싱 단말(100)은 조도센서(142)의 센싱 값이 미리 설정된 분리 임계값 이상의 값을 나타내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센싱 단말(100)의 탈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센싱 단말(100)의 탈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자이로 센서나 지자계 센서와 같은 방향센서를 활용할 수 있다. 센싱 단말(100)은 탈착 스위치(141)나 조도센서(142)의 값의 변화와 무관하게 방향센서로 감지된 센싱 단말(100)의 방향이 설치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유지되는 경우 센싱 단말(100)이 대상 사물(10)로부터 분리되었음을 결정할 수 있다. 설치된 방향을 특정하기 위하여, 센싱 단말(100)은 일정한 방향으로만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센싱 단말(100)이 설치된 후 초기 설정단계에서 센싱 단말(100)이 설치된 방향을 센싱 단말(100)이 방향센서를 통해 인식하고 메모리(120)에 저장함으로써 설치된 방향을 특정할 수도 있다.
서버(200)는 센싱 단말(100)의 위치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대상 사물(10)이 미리 설정된 정상 위치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서버(200)는 센싱 단말(100)의 위치를 센싱 단말(100)과 통신 연결된 기지국의 위치에 기반하여 판단하거나, 비콘 통신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센싱 단말(100)은 센싱 단말(100)의 위치를 전송하기 위해 기지국이나 비콘의 정보만을 서버(200)로 전송하기에 위치 전송에 소요되는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비콘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서버(200)는 센싱 단말(100)이 주변 비콘으로부터 수신한 비콘의 ID를 센싱 단말(100)로부터 수신하고, 해당 비콘 ID를 이용하여 식별되는 비콘의 위치를 센싱 단말(100)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서버(200)가 기지국의 위치에 기반하여 대상 사물(10)의 위치 이탈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센싱 단말(100)은 통신 연결이 설정된 네트워크 기지국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싱 단말(100)은 무선통신망을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 정보로 해당 기지국의 Cell ID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Cell ID를 기초로 센싱 단말(100)이 연결된 기지국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200)는 Cell ID를 기초로 센싱 단말(100)이 연결된 기지국의 위치에 기반하여 삼각측량 등의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센싱 단말(100)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서버(200)는 센싱 단말(100)이 정상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통신 연결될 수 있는 기지국의 목록을 메모리에 유지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해당 기지국들의 목록을 세이프셀(Safe cell)이라고 약칭한다. 세이프셀은 센싱 단말(100)마다 설정될 수 있다. 서버(200)는 센싱 단말(100)이 통신 연결된 기지국이 세이프셀에 포함되면 센싱 단말(100)이 정상위치에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서버(200)는 통신 연결된 기지국이 세이프셀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일정 기준에 따라 통신 연결된 기지국을 세이프셀에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200)는 센싱 단말(100)의 세이프셀에 포함된 기지국의 개수에 따라 현재 통신 연결된 기지국을 세이프셀에 추가할 수 있다.
서버(200)는 통신 연결된 기지국이 세이프셀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세이프셀에 추가된 기지국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수 이하이면, 통신 연결된 기지국을 세이프셀에 추가할 수 있다. 기지국마다 커버리지가 중첩되는 경우가 있으며, 대상 사물(10)이 기지국 간의 커버리지 경계에서 이동하며 동작하는 경우, 대상 사물(10)에 부착된 센싱 단말(100)은 한정적인 개수의 여러 기지국 사이에서 빈번하게 핸드오버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마다 정상위치를 벗어난 것으로 결정하지 않기 위함이다.
서버(200)는 통신 연결된 기지국이 세이프셀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세이프셀에 추가된 기지국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수 이상이면, 센싱 단말(100)이 정상 위치를 벗어나 외부로 이탈되었음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사물(10)의 도난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적지 않은 거리를 연속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서버(200)는 센싱 단말(100)이 세이프셀에 포함되지 않은 기지국과 통신연결 되는 경우에도 일정 개수의 기지국 까지는 센싱 단말(100)과 통신 연결된 기지국을 실제 기지국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세이프셀에 추가한다. 그러나, 세이프셀에 일정 개수 이상의 기지국이 등록된 후에는, 센싱 단말(100)이 세이프셀에 등록되지 않은 기지국과 통신 연결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 센싱 단말(100)이 정상 위치에서 이탈했음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서버(200)는 센싱 단말(100)의 동작 시간에 따라 현재 통신 연결된 기지국을 세이프셀에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200)는 센싱 단말(100)이 동작을 개시한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는 센싱 단말(100)과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모든 기지국을 세이프셀에 추가할 수 있다. 서버(200)는 일정 시간이 도과된 후 센싱 단말(100)이 세이프셀에 등록되지 않은 기지국과 통신연결을 수립하면 정상위치에서 센싱 단말(100)이 이탈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버(200)는 일정 시간이 도과한 경우 세이프셀에 등록된 기지국의 정보를 삭제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통신 연결되는 기지국을 세이프셀에 재등록함으로써 세이프셀을 갱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서버(2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정 개수의 기지국을 세이프셀에서 유지하면서, 세이프셀에 등록된 이후 일정 시간이 도과한 기지국은 세이프셀에서 삭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버(200)는 세이프셀에 기지국을 추가할 때 등록시간 정보를 함께 등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서버(200)는 통신 연결된 기지국이 세이프셀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세이프셀에 추가된 기지국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수 이하이면, 통신 연결된 기지국을 등록시간과 함께 세이프셀에 추가할 수 있다. 서버(200)는 통신 연결된 기지국이 세이프셀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세이프셀에 추가된 기지국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수이면, 센싱 단말(100)이 정상 위치를 벗어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200)는 센싱 단말(100)이 세이프셀에 속하지 않은 기지국과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경우, 현재 연결된 기지국의 위치와 세이프셀에 등록된 기지국들의 위치를 이용하여 위험도를 판단하거나, GPS나 현재 연결된 기지국의 위치로부터 삼각측량등을 통해 측정되는 센싱 단말(100)의 위치와 세이프셀에 등록된 기지국들의 위치를 이용하여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200)는 센싱 단말(100)이 현재 연결된 기지국의 위치가 세이프셀에 등록된 기지국들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안전거리 내에 위치한 경우, 센싱 단말(100)이 정상위치를 이탈하였지만 위험하지는 않은 상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에, 서버(200)는 센싱 단말(100)이 현재 연결된 기지국의 위치가 세이프셀에 등록된 기지국들의 위치로부터 결정되는 기준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안전거리를 벗어난 경우, 센싱 단말(100) 위험한 상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서버(200)는 Cell Id로 식별된 기지국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연결된 기지국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서버(200)는 세이프셀에 속한 기지국 중에서 현재 연결된 기지국의 위치에서 가장 근거리에 위치한 기지국의 위치를 기준 위치로 설정하거나, 가장 원거리에 위치한 기지국의 위치를 기준 위치로 설정하거나 두 기지국의 중간 위치를 기준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서버(200)는 세이프셀에 속한 기지국들의 중간위치를 기준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기지국들의 경도 및 위도를 각각 산술평균함으로써 계산되는 좌표를 기준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자산 모니터링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에 따라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앞선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참조된 도면 각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각 화면에 표시된 정보들의 항목, 내용과 이미지들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하우징;
    대상 사물과 상기 하우징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
    상기 대상 사물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버로 전송되기 위한 전송 단위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전송 단위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제 1 센서 및 제 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대상 사물로부터 분리되었음을 나타내는 탈착 신호를 상기 제 1 센서로부터 인가받은 경우 상기 제 2 센서에 측정 개시 신호를 인가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센서의 측정값에 기반하여 상기 하우징이 상기 대상 사물로부터 탈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센싱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보다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상기 대상 사물의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전송 단위 데이터에는 상기 대상 사물의 상태 데이터가 포함되는 센싱 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서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조도센서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조도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센싱 단말이 상기 대상 사물로부터 탈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조도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센싱 단말이 상기 대상 사물로부터 탈착되는 탈착 유형을 결정하는 센싱 단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조도값을 상기 센싱 단말이 상기 대상 사물에 부착된 후 상기 조도값이 측정된 시간의 경과에 따라 특정되는 임계 조도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탈착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조도값이 상기 임계 조도값보다 큰 경우 강제탈착으로 결정하는 센싱 단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탈착 스위치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탈착 스위치로부터 탈착 신호를 인가 받은 경우, 상기 조도센서에 조도 측정 개시 신호를 인가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조도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센싱 단말이 상기 대상 사물로부터 탈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조도센서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조도 측정 개시 신호를 인가 받기 전에는 조도를 센싱하지 않는 센싱 단말.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 센서는 측정된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조도값을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으며,
    상기 조도 센서는 측정된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조도값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탈착 신호를 인가하는 센싱 단말.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슬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도센서는 상기 센싱 단말이 상기 대상 사물에 부착된 경우에도 상기 슬릿을 통해 유입되는 빛에 의하여 조도값을 센싱하는 센싱 단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서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측정 개시 신호를 인가받기 전에는 측정을 수행하지 않는 센싱 단말.
  9. 센싱 단말을 이용하여 대상 사물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상 사물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버로 전송되기 위한 전송 단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단위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단말은 제 1 센서 및 제 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 사물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단말이 상기 대상 사물로부터 분리되었음을 나타내는 탈착 신호가 상기 제 1 센서에서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 2 센서에 측정 개시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센싱 단말이 상기 대상 사물로부터 탈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 사물 모니터링 방법.
  10. 제 9 항의 대상 사물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하도록 작성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10113964A 2019-10-14 2021-08-27 센싱 단말을 이용한 이동 자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KR102341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964A KR102341042B1 (ko) 2019-10-14 2021-08-27 센싱 단말을 이용한 이동 자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139A KR102297336B1 (ko) 2019-07-09 2019-10-14 센싱 단말을 이용한 이동 자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KR1020210113964A KR102341042B1 (ko) 2019-10-14 2021-08-27 센싱 단말을 이용한 이동 자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139A Division KR102297336B1 (ko) 2019-07-09 2019-10-14 센싱 단말을 이용한 이동 자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718A KR20210111718A (ko) 2021-09-13
KR102341042B1 true KR102341042B1 (ko) 2021-12-21
KR102341042B9 KR102341042B9 (ko) 2023-02-23

Family

ID=79165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964A KR102341042B1 (ko) 2019-10-14 2021-08-27 센싱 단말을 이용한 이동 자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0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9346A (ko) 2021-08-24 2023-03-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260B1 (ko) * 2016-03-31 2017-10-26 주식회사 이노템즈 시설물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09563A (ko) 2016-07-19 2018-01-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장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718A (ko) 2021-09-13
KR102341042B9 (ko)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983B1 (ko) 안전 관리 지능형 통합 관제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80006893A (ko) 통합 자산 완전성 관리 시스템
EP2227033A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managing an underground facility
CN104471506A (zh) 用于工作流程监测系统的温度监测装置
KR101492592B1 (ko) 동산 관리 시스템
US9743221B2 (en) User association with passive tags
KR101833794B1 (ko) 상황인지센서를 활용한 화재 감지 및 관제 방법
KR102341042B1 (ko) 센싱 단말을 이용한 이동 자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US11726068B2 (en) Steam/hot water device monitoring
US10872514B1 (en) Safety system for tracking movable objects during vehicle production
US20150179037A1 (en) Using data fusion to electronically detect liquid in mobile devices
JP2015050739A (ja) 監視システム、報知装置、監視方法
KR20150116194A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반도체 제조 공정용 가스 실린더 정보 제공 시스템
US119684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mobile asset by using sensing terminal
KR101576433B1 (ko) 타 디바이스에 비해서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디바이스를 감지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KR102297336B1 (ko) 센싱 단말을 이용한 이동 자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AU2020226203A1 (en) Power monitoring
KR20110074480A (ko) 화재 관련 상황 인지가 가능한 서버
US20220053292A1 (en) Low Cost, High Performance Asset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JP6466703B2 (ja) 作業支援システム、設定装置、設定方法及び設定プログラム
EP3376174B1 (en) Environmental sensor
KR101388723B1 (ko) 전자 선반 라벨 및 전자 선반 라벨 시스템
KR101302160B1 (ko) 소비 전력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
KR102446595B1 (ko) 스마트 옹벽 변위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N111310877B (zh) 一种资产监控方法、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