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851B1 - 모터의 과열 방지 및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산소발생기 - Google Patents

모터의 과열 방지 및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산소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851B1
KR102340851B1 KR1020190068854A KR20190068854A KR102340851B1 KR 102340851 B1 KR102340851 B1 KR 102340851B1 KR 1020190068854 A KR1020190068854 A KR 1020190068854A KR 20190068854 A KR20190068854 A KR 20190068854A KR 102340851 B1 KR102340851 B1 KR 102340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ogen
motor
oxygen
oxygen generator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3106A (ko
Inventor
문동현
윤이정
Original Assignee
키넷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넷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키넷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980026188.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2805883A/zh
Priority to US16/973,157 priority patent/US20210260522A1/en
Priority to PCT/KR2019/008132 priority patent/WO2020251110A1/ko
Priority to SG11202012007PA priority patent/SG11202012007PA/en
Publication of KR20200073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106A/ko
Priority to PH12020552087A priority patent/PH1202055208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C01B13/0229Purification or separation processes
    • C01B13/0248Physical processing only
    • C01B13/0251Physical processing only by making use of membranes
    • C01B13/0255Physical processing only by making use of membran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mb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01D53/228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characterised by specific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01D2053/221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6/00Main component in the product gas stream after treatment
    • B01D2256/12Oxy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체 분리막을 이용하여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터의 과열 방지 및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산소발생기는 내부에 모터 및 기체분리막 모듈이 구비되는 산소발생기 본체부를 포함하며, 모터에 의해 압축 또는 흡입된 공기가 기체 분리막 모듈을 통과하면서 산소와 질소로 분리되고 분리된 산소와 질소는 각각 산소 토출관 및 질소 토출관을 통해 토출되며, 질소 토출관을 통해 토출되는 질소는 질소 토출관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통해 질소 토출관의 길이가 변경되어 모터부 내측에서 질소를 토출하는 높이 또는 위치가 변경되면서 모터로 질소를 토출하여 모터를 냉각시킨다.

Description

모터의 과열 방지 및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산소발생기{OXYGEN GENERATOR}
본 발명은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체 분리막을 이용하여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산소발생기는 주로 병원등에서 의료용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 환경오염에 따른 문제점 및 청정한 환경에서 생활하고자 하는 현대인들의 수요에 맞물려 산소발생기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사무실이나 가정의 실내공간에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 쌓인 피로회복 및 세포의 활성화를 돕기 위한 용도로써 많이 쓰이고 있다.
이러한 산소발생기에 있어서 산소를 발생시키는 방법으로는 화학반응법, 전기분해법 또는 물리적 분리법 등이 알려져 있다. 화학반응법은 물과 과산화수소와 과탄산소다 및 알코올과 같은 금속산화물을 반응시키거나 화학물질인 KMn4 및 KClO4등을 열분해하여 산소를 발생시키는 방법이고, 전기분해법은 물 또는 전해물질이 함유된 물을 전기를 이용하여산소와 수소로 분리시키는 방법이다.
물리적 분리법으로는 기체의 물질에 대한 극성의 차이를 이용하거나 기체분자의 크기를 이용하여 기체를 분리시키는 막분리법과, 결정성 고체물질인 분자체(Molecular Sieve)와 같은 화합물의 흡착탈 원리를 이용하여 기체를 분리시키도록 하는 PSA(Pressure Swing Adsorption) 방법과 상압과 진공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VSA(VaccumSwing Adsorption) 방법 등이 있다.
한편, 기체나 액체 또는 고체, 특히 이온물질과 같은 특정 성분을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기체분리막은 특정 성분을 선택적으로 투과 및 배제시키기 위해 치밀한 구조 또는 다공성 구조를 적절히 결합시킴으로써 제거물질에 대한 선택성을 갖게 하는 동시에 투과 물질은 낮은 저항으로 통과할 수 있게 설계되고 있다.
특히 공기의 막분리에는 기체분리막(hollow fiber membrane)이 사용되고 있는데, 질소보다 산소를 쉽게 투과시키는 중공사막을 이용하여 중공사막을 투과된 산소와 투과하지 못하는 질소를 분리한다.
이러한 기체분리막을 이용한 산소 분리에 있어서 대기 공기를 고압으로 기체분리막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높은 성능을 요구하는 모터가 사용되는데 높은 성능의 모터 장시간 사용시 모터 과열, 소음 및 진동으로 인하여 기체 분리 효율이 저하되거나 사용자에게 소음 및 진동으로 인한 사용시 편의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88260호(2006.06.01. 산소토출 유량을 증대시킨 산소발생기) 일본등록특허 제5858117호(2015.12.25. 분리막 모듈)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항을 고려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기체분리막을 이용한 기체 분리시 고성능의 모터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모터 과열로 인한 산소발생기의 오작동 발생 가능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산소발생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고성능의 모터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모터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으로 인한 사용자 편의성이 저하되는 것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산소발생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터의 과열 방지 및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산소발생기는 내부에 모터 및 기체분리막 모듈이 구비되는 산소발생기 본체부를 포함하며, 모터에 의해 압축 또는 흡입된 공기가 기체 분리막 모듈을 통과하면서 산소와 질소로 분리되고 분리된 산소와 질소는 각각 산소 토출관 및 질소 토출관을 통해 토출되며, 질소 토출관을 통해 토출되는 질소는 질소 토출관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통해 질소 토출관의 길이가 변경되어 모터부 내측에서 질소를 토출하는 높이 또는 위치가 변경되면서 모터로 질소를 토출하여 모터를 냉각시킨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는 질소 토출관을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습기등의 액체가 포착되는 포착부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질소 토출관에는 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단부, 중단부 및 후단부의 굴곡 및 토출각도가 서로 다른 형태로 이루어져 음압을 발생시켜 질소 공기를 모터부 내부로 확장하여 배출하는 확장 배출부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부 내측 상부에는 상기 모터를 냉각시킨 질소 공기가 경사진 형태로 각각 유입되는 유입부 및 상기 모터부 외측으로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질소를 각각 "ㄱ"자 형상으로 꺽인 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가열 공기 배출부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모터부 내측 상부에는 비산되는 이물질을 정전집진하는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 대전되는 집진판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모터의 과열 방지 및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산소발생기는 공기중에서 분리된 질소를 이용하여 불활성가스인 질소환경이 모터부 내부에 전체적으로 유지되게 하여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모터의 동작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모터의 과열 방지 및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산소발생기는 질소의 모터 냉각을 위한 토출 높이 및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어 모터의 냉각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모터의 과열 방지 및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산소발생기는 음압을 발생시켜 질소 공기를 모터부 내부로 확장하여 배출하여 모터의 냉각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소발생기 사시도 및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체분리막 참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소발생기 내부 구조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소발생기에 구비되는 질소 토출관 실시예 참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소발생기에 구비되는 확장 배출부의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표현이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을 위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장착된", "설치된", "접속된", "연결된", "지지된", "결합된" 등의 표현은, 다른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시하거나 한정하고 있는 않는 한, 직접적인 그리고 간접적인 장착, 설치, 접속, 연결, 지지, 및 결합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다. "접속된", "연결된", "결합된"이라고 하는 표현은, 물리적인 또는 기계적인 접속, 연결 또는 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상부, 하부, 하향, 상향, 후방, 바닥, 전방, 후부 등과 같이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편의를 위해 도면에 대해 상대적인 방향(정상적으로 봤을 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어떠한 형태로든 본 발명을 그 문자대로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상대적인 중요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소발생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산소발생기 본체부(110)와 사용자 편의부(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산소발생기 본체부(110)는 내부에 모터((310), 기체분리막 모듈(200), 전원 공급장치(400) 및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등을 포함한다.
기체분리막 모듈(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사막(210) 내부를 통과하는 기체가 산소(212)와 질소(214)를 주요 성분으로 하는 산소 이외의 기체로 분리되며 산소(212)는 사용자에게 공급되며 질소(214)는 외부로 배출된다.
외부로 배출되는 질소(214)는 아래에서 자세한 설명이 이루어지지만 모터부(300) 내부로 배출되어 모터(310)를 냉각시킨 후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사용자 편의부(112)는 선반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책, 음료 및 다과를 올려놓거나 산소발생기(100)를 주로 사용하는 노약자 및 환자가 산소발생기(100)를 잡고 일어날 수 있도록 손잡이(114)가 마련된다. 손잡이(114)는 사용자가 손잡이(114)를 잡고 산소발생기를 다른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용 손잡이(114)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산소발생기 본체부(110) 상단에는 수납 공간(116)이 마련되어 사용자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산소발생기 본체부(110) 하단에는 산소발생기 본체부 지지부(118)가 마련되는데 산소발생기 본체부 지지부(118)는 일측은 바퀴로 이루어지고 타측은 지지바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손잡이(114)를 잡고 일어나더라도 밀려 사용자가 넘어지는 안전사고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타측을 들어 일측에 마련된 바퀴로 산소발생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산소발생기 본체부(110) 또는 사용자 편의부(112)에는 사용자가 산소발생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산소발생기(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산소발생기(100)의 산소토출량 및 작동시간등을 사용자에게 안내하여 줄 수 있다.
산소발생기(100)에서 토출되는 산소는 산소발생기 본체부(110) 또는 사용자 편의부(112) 일측에 마련된 산소 토출부(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사용자에게 토출되거나 별도로 마련된 산소 토출 호스(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사용자에게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소발생기(100)는 주요 사용 대상자인 노인 또는 환자가 안전사고 발생의 염려없이 산소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다양한 물품을 수납하는등 생활가전 형태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로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소발생기(100)의 발열, 소음 및 진동 저감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소발생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10)에 의해 압축된 공기가 기체 분리막 모듈(200)을 통과하면서 산소(212)와 질소(214)등으로 분리되고 분리된 산소(212)와 질소(214)등은 각각 산소 토출관(230) 및 질소 토출관(240)을 통해 토출된다.
산소(212)는 산소 토출관(230)을 통해 외부로 사용자에게 토출되며 질소(214)등은 질소 토출관(240)을 통해 모터부(300) 내부로 공급되어 모터(310)를 냉각시킨 후 외부로 토출된다.
본 설명에서는 모터(310)가 기체분리막 모듈(200) 전단에서 대기 공기를 압축하여 기체분리막 모듈(200)로 전달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는 모터(310)가 기체분리막 모듈(200) 후단에서 대기 공기를 흡입하여 기체분리막 모듈(200) 내부로 기체가 흡입되는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며, 소형의 모터 2개를 이용하여 산소 토출관(230) 및 질소 토출관(240) 측에서 각각 흡입하는 형태로도 실시가 가능하다.
모터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한 압력으로 대기 공기를 압축하여 기체분리막 모듈(200)로 압축하기 때문에 모터(310)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기 위하여 모터(310)는 두꺼운 금속재질의 모터 케이스(330)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모터 케이스(330) 내측에서 진동 댐퍼(320) 상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모터 케이스(330) 내측에는 모터(310)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흡음재(340)가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부(300)는 이와 같은 모터 케이스(310) 및 흡음재(340)로 인해 모터(310)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못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질소 토출관(240)을 통해 토출되는 질소를 이용하여 모터(310)를 냉각시킨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소발생기(100)는 단순히 질소 토출관(240)을 통해 토출되는 질소를 이용하여 모터(310)를 냉각시키는 것이 아니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소 토출관(240)에 슬라이딩 부(250), 냉각부(260) 및 확장 배출부(270)를 통해 소음 및 진동저감 및 냉각의 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킨다.
먼저 슬라이딩 부(2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 질소 토출관(254) 및 후단 질소 토출관(252)이 슬라이딩 가이드(256)에 의해 연결되며 슬라이딩 가이드(256)를 통해 전단 질소 토출관(254) 및 후단 질소 토출관(252)이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통해 탄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 전단 질소 토출관(254)이 도3의 하단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모터부(300) 내측에서 질소를 토출하는 높이 또는 위치를 변경시켜 모터(310)의 성능 및 설치 형상에 따라 질소의 토출 높이 또는 위치를 변경시켜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는 서로 다른 토출 높이 및 위치를 갖는 전단 질소 토출관(254)을 구비하여 주어 모터(310)의 성능 및 설치 형상에 따라 질소의 토출 높이 또는 위치를 변경시켜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산소발생기(100)의 사용형태 및 용량에 따라 모터(310)의 크기, 설치 형상 및 댐퍼(320) 높이 및 크기등이 변경되는데 전단 질소 토출관(254)만 다른 형상으로 구비하여 줌으로써 설치 편의성 및 제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전단 질소 토출관(254) 및 후단 질소 토출관(252) 사이에는 추가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가이드(256)에 흡음재(257)를 구비하여 주어 소음을 저감시키거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착부(258)를 구비하여 주어 질소 토출관(240)을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습기등의 액체가 포착될 수 있도록 구비하여 줄 수 있다.
다음으로 전단 질소 토출관(254)에는 질소를 추가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260)을 구비하여 줄 수 있는데 냉각부(260)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각부 형태로 실시 가능하다.
다음으로 전단 질소 토출관(254)의 끝단에는 질소 공기를 모터부(300) 내부로 토출하기 위한 배출부가 구비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소발생기(100)는 확장 배출부(270) 형태로 구비된다.
확장 배출부(2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단부(272), 중단부(274) 및 후단부(276)의 굴곡 및 토출각도가 서로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이 굴곡 및 토출각도가 서로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면 확장 배출부(270) 내부에 음압이 발생하여 냉각된 질소 공기를 모터부(300) 내부로 좀더 확장하여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해 모터부(300) 내부의 냉각 효율을 더욱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불활성가스인 질소환경이 모터부(300) 내부에 전체적으로 유지되게 하여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모터의 동작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부(300)의 상측에는 가열 공기 배출부(350)이 구비되는데 가열 공기 배출부(350)는 모터부(300) 내측에서는 각각 경사진 유입부(352)를 가지며 모터부(300) 외측에서는 각각 "ㄱ"자 형상으로 꺽인 배기구(356)를 갖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모터부(300) 내측의 모터(310)의 소음이 외부와 연결된 가열 공기 배출부(340)를 통해 외부로 바로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모터(310)의 소음이 각각 경사진 유입부(352) 및 "ㄱ"자 형상으로 꺽인 배기구(356)를 통해 반사되어 전달되므로 외측으로 전달되는 소음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모터부(300) 내측 상부에는 집진판(332)이 구비되는데 집진판(332)은 비산되는 이물질을 정전집진하여 이물질에 모터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모터부(300) 내측 상면 내벽에 도전체로 이루어져 "-" 대전되는 집진판(332)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산소발생기(100)의 소음 및 진동저감을 줄이며 모터(310)의 과열로 인한 산소발생기(100)의 오작동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0: 산소발생기 200: 기체 분리막 모듈 210: 기체 분리막
230: 산소 토출관 240: 질소 토출관
300: 모터부 310: 모터 320: 진동 댐퍼

Claims (5)

  1. 내부에 모터(310) 및 기체분리막 모듈(200)이 구비되는 산소발생기 본체부(110);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310)에 의해 압축 또는 흡입된 공기가 기체 분리막 모듈(200)을 통과하면서 산소(212)와 질소(214)로 분리되고 분리된 산소(212)와 질소(214)는 각각 산소 토출관(230) 및 질소 토출관(240)을 통해 토출되며,
    상기 질소 토출관(240)을 통해 토출되는 질소는 질소 토출관(240)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가이드(256)를 통해 질소 토출관(240)의 길이가 변경되어 모터부(300) 내측에서 질소를 토출하는 높이 또는 위치가 변경되면서 상기 모터(310)로 질소를 토출하여 상기 모터(310)를 냉각시키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256)에는 질소 토출관(240)을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습기등의 액체가 포착되는 포착부(258)가 포함되어 있는, 모터의 과열 방지 및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산소발생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 토출관(240)에는 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단부(272), 중단부(274) 및 후단부(276)의 굴곡 및 토출각도가 서로 다른 형태로 이루어져 음압을 발생시켜 질소 공기를 모터부(300) 내부로 확장하여 배출하는 확장 배출부(270)가 포함되어 있는, 모터의 과열 방지 및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산소발생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300) 내측 상부에는 상기 모터(310)를 냉각시킨 질소 공기가 경사진 형태로 각각 유입되는 유입부(350) 및 상기 모터부(300) 외측으로 상기 유입부(350)를 통해 유입된 질소를 각각 "ㄱ"자 형상으로 꺽인 배기구(356)를 통해 배출하는 가열 공기 배출부(340)가 구비되는, 모터의 과열 방지 및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산소발생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300) 내측 상부에는 비산되는 이물질을 정전집진하는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 대전되는 집진판(332)이 구비되는, 모터의 과열 방지 및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산소발생기.
KR1020190068854A 2018-12-13 2019-06-11 모터의 과열 방지 및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산소발생기 KR102340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80026188.8A CN112805883A (zh) 2019-06-11 2019-07-03 噪音及振动低下、小型化及用户使用方便性提高的氧气发生器
US16/973,157 US20210260522A1 (en) 2019-06-11 2019-07-03 Oxygen generator with improved noise and vibration reduction, compactness, and user convenience
PCT/KR2019/008132 WO2020251110A1 (ko) 2019-06-11 2019-07-03 소음 및 진동저감, 소형화 및 사용자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산소발생기
SG11202012007PA SG11202012007PA (en) 2019-06-11 2019-07-03 Oxygen generator with improved noise and vibration reduction, compactness, and user convenience
PH12020552087A PH12020552087A1 (en) 2019-06-11 2020-12-03 Oxygen generator with improved noise and vibration reduction, compactness, and user conveni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901 2018-12-13
KR20180160901 2018-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106A KR20200073106A (ko) 2020-06-23
KR102340851B1 true KR102340851B1 (ko) 2021-12-20

Family

ID=71138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854A KR102340851B1 (ko) 2018-12-13 2019-06-11 모터의 과열 방지 및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산소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85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356Y1 (ko) * 2013-11-26 2014-04-18 에코과학주식회사 소음감소 및 과열방지기능을 구비한 산소발생기
KR101767640B1 (ko) 2016-11-21 2017-08-17 주식회사 기원솔루텍 산소발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026B1 (ko) * 2001-09-22 2008-05-02 주식회사 나노포아 휴대용 산소발생장치
KR100550408B1 (ko) * 2002-11-04 2006-02-08 주식회사 케이피씨 공기 중의 산소와 질소 분리 공급 장치
KR100588260B1 (ko) 2004-05-06 2006-06-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산소토출유량을 증대시킨 산소발생기
KR20170111031A (ko) * 2016-03-25 2017-10-12 이병휘 소음 및 과열방지기능과 산소정화기능을 구비한 산소발생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356Y1 (ko) * 2013-11-26 2014-04-18 에코과학주식회사 소음감소 및 과열방지기능을 구비한 산소발생기
KR101767640B1 (ko) 2016-11-21 2017-08-17 주식회사 기원솔루텍 산소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106A (ko)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01252B (zh) 真空清洁器
KR100761279B1 (ko) 공기청정기
EP2033562A3 (en) Cyclone dust-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TW201208634A (en) Electric vacuum cleaner
CN111820816B (zh) 一种水机干湿两用污水箱组件
JP4950307B2 (ja) 真空掃除機
CN211299775U (zh) 手持式清洁装置
US20180235419A1 (en) Dust collector
EP1795102A3 (en) Vacuum cleaner with mounting unit for dust storage chamber
CN109282383A (zh) 一种可拆卸滤网的空气净化器
KR102340851B1 (ko) 모터의 과열 방지 및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산소발생기
RU2463944C2 (ru) Пылесос вертикального типа, содержащий клапан переключения всасывающих трактов
JP4099709B2 (ja) 空気清浄機能付き電気掃除機
KR101591054B1 (ko) 고강도 탄성부재 여과 장치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
JP2006289235A (ja) 空気清浄機
JP6323404B2 (ja) 空気清浄機
JP2007190234A (ja) 空気清浄機能付き塵埃収集装置
JP2011092751A (ja) 空気中の浮遊物質の除去装置
CN208852641U (zh) 一种活性炭吸附箱
KR20210037768A (ko) 산소 발생 장치
KR100503505B1 (ko) 공기청정기
CN215138341U (zh) 一种便于清洁的吸附式干燥机
CN211066439U (zh) 一种应用于公共卫生间的清洁装置
CN109758037B (zh) 一种清洁装置
JP5405352B2 (ja) 塵埃分離集塵容器および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