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376B1 - 시료 보관용 데시케이터 - Google Patents

시료 보관용 데시케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376B1
KR102340376B1 KR1020210075291A KR20210075291A KR102340376B1 KR 102340376 B1 KR102340376 B1 KR 102340376B1 KR 1020210075291 A KR1020210075291 A KR 1020210075291A KR 20210075291 A KR20210075291 A KR 20210075291A KR 102340376 B1 KR102340376 B1 KR 102340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ccommodating
tray
desiccator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혜실
노혜란
유순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10075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3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4Exchange or ejection of cartridges, containers or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4Process control and prevention of errors
    • B01L2200/141Preventing contamination, tamp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81Fil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료 보관용 데시케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간부가 마련되고 외형이 육면체 형상을 갖는 케이스(100); 및 상기 케이스(10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수납되는 하나 이상의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보관용 데시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료 보관용 데시케이터{Desiccator}
본 발명은 시료 보관용 데시케이터에 관한 것으로, 직경이 상이한 다수개의 필터를 수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트레이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시료 보관용 데시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하천, 호소 또는 댐의 물은 주기적으로 수질 분석이 요구되는데, 이는 이들 물이 음용수 내지 생활용수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특히 수질측정망 분석항목에 해당되는 부유물질(SS, Suspended Solids)과 용존유기탄소(DOC, Dissolved Organic Carbon) 분석 시에는 필터를 사용하게 된다.
부유물질(SS, Suspended Solids)을 분석할 시에는 소정량의 시료를 필터에 여과한 뒤 100~105℃에서 건조하고, 이후 실리카겔이 수납되어 있는 데시케이터에서 약 2시간 항량한 후 필터에 부착 내지 흡착되어 있는 물질의 총무게를 측정하여 부유물질의 농도로 표현한다.
그리고 용존유기탄소(DOC, Dissolved Organic Carbon)를 분석할 경우에는, 소정량의 시료를 필터로 여과하여 필터를 통과한 여과수를 DOC 분석장치에 주입하여 농도를 측정한다. 이때 필터는 깨끗한 증류수로 미리 세척한 후 데시케이터에서 건조한 필터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는 필터 제조시 혼입된 이물질이나 필터 소재에서 용출되는 유기물로 인해 분석결과에 오차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부유물질이나 용존유기탄소 분석시 사용하는 필터는 필연적으로 데시케이터에서 항량 내지 건조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통상 알루미늄 호일을 펼쳐 놓고 그 위에 다수의 필터를 안치시키는 정도이다.
하지만 데시케이터를 열고 닫을 때 필터에 쌓여 있던 일부 시료가 부유하게 되어 결과를 신뢰성을 떨어뜨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알루미늄 호일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다 보면 찢어지거나 오염되어 자주 새것으로 교체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폐기물이 발생하는 것이 필연적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508908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238275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876324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실010787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부유물질과 용존유기탄소 분석시 분석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시료 보관용 데시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료 보관용 데시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서는 여러 장의 필터를 동시에 항량 내지 건조하는 경우라도 특정 필터를 쉽게 확인 및 인지할 수 있는 시료 보관용 데시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질과 용존유기탄소 분석을 위한 시료 보관용 데시케이터는, 공간부가 마련되고 외형이 육면체 형상을 갖는 케이스(100); 및 상기 케이스(10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수납되는 복수개의 제1 트레이(200)와 제2 트레이(300)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100)는, 전면부가 개방되는 케이스 몸체(110), 전면부의 개방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도어(120), 및 트레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몸체(110) 내측 벽면에 서로 마주 보면서 위치하는 지지 가이드(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레이(200)는 부유물질 분석을 위한 제1 필터(F1)를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형의 제1 지지판(210), 및 상기 제1 지지판(210)에 마련되며 소정 깊이 연장된 원추형 드럼 형상의 복수개로 이루어진 제1 수용부(22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수용부(220)는 하부보다 상부가 상대적으로 넓도록 경사도가 상이하게 절곡된 형상의 측벽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제1 요홈부(221), 측벽 가장자리 바닥부의 제1 공간부(222), 및 상기 제1 공간부(222) 내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1 필터(F1)의 내경보다 작고 소정 높이 융기된 상태의 편평한 제1 안착부(22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트레이(300)는 용존유기탄소 분석을 위한 제2 필터(F2)를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형의 제2 지지판(310), 및 상기 제2 지지판(310)에 마련되며 소정 깊이 연장된 원추형 드럼 형상의 복수개로 이루어진 제2 수용부(320)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수용부(320)는 하부보다 상부가 상대적으로 넓도록 경사도가 상이하게 절곡된 형상의 측벽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제2 요홈부(321), 측벽 가장자리 바닥부의 제2 공간부(322), 및 상기 제2 공간부(322) 내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2 필터(F2)의 내경보다 작고 소정 높이 융기된 상태의 편평한 제2 안착부(32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부(220)와 상기 제2 수용부(320)는 내경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질과 용존유기탄소 분석을 위한 시료 보관용 데시케이터에서, 상기 지지 가이드(130)는 상부에 개방구가 마련된 ‘∪’ 또는 '
Figure 112021117747082-pat00001
' 자 형상이고, 상기 제1 지지판(210)과 제2 트레이(300) 양측 가장자리는 상기 지지 가이드(130)의 개방구를 통해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절곡부(211) 및 제2 절곡부(311)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질과 용존유기탄소 분석을 위한 시료 보관용 데시케이터에서, 상기 제1 지지판(210)에는 상기 제1 수용부(220)와 동일한 개수의 아라비아 숫자가 순차적으로 기재되고, 상기 제2 지지판(310)에는 상기 제2 수용부(320)와 동일한 개수의 아라비아 숫자가 순차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료 보관용 데시케이터에 의하면, 직경이 상이한 다수개의 필터들을 개별적으로 수납하도록 수용부가 구비된 트레이가 복수개 마련되어 있어, 인근의 시료들에 의한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료 보관용 데시케이터에 의하면, 트레이를 구성하는 지지판과 수용부에는 숫자가 구비되어 있어 시료별 필터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고 이는 실험결과의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시료 보관용 데시케이터에 의하면, 트레이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유지비용이 저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료 보관용 데시케이터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데시케이터에 수납되는 제1 트레이를 상부 일측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제1 트레이를 하부 일측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제1 트레이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제1 트레이를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데시케이터에 수납되는 제2 트레이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제2 트레이를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시료 보관용 데시케이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료 보관용 데시케이터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료 보관용 데시케이터는 소정 크기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내부가 비어 있으며 대략 육면체 형상의 외형을 갖는 케이스(100)와 투명한 트라이탄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트레이로 구성되고, 케이스(100) 안에는 실리카겔과 같은 흡수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00)는 3개의 측면, 바닥면 및 상부면이 밀폐되는 한편 전면부가 개방되는 케이스 몸체(110), 전면부의 개방부를 열거나 닫기 위한 개폐도어(120), 그리고 복수개의 트레이 양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케이스 몸체(110) 내측 벽면에 서로 마주 보면서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 가이드(130)가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 가이드(130)는 일측면은 케이스 몸체(110) 내측 벽면과 밀착하고 케이스 몸체(110) 내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ㄴ’자 형상이 바람직하고, 후술할 트레이의 절곡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에 개방구가 마련된 ‘∪’ 또는 '
Figure 112021066969610-pat00002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트레이의 한층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데시케이터에 수납되는 트레이는 제1 트레이와 제2 트레이인데, 제1 트레이는 부유물질(SS, Suspended Solids) 분석을 위한 제1 필터가 수납되고, 제2 트레이는 용존유기탄소(DOC, Dissolved Organic Carbon) 분석시 사용되는 제2 필터가 수납된다. 한편, 통상 부유물질 분석을 위한 제1 필터는 원형이며 직경은 대략 47mm인데 반해, 총유기탄소 분석을 위한 제2 필터는 25 m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데시케이터에 수납되는 제1 트레이를 상부 일측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제1 트레이를 하부 일측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제1 트레이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그리고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제1 트레이를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서, 제1 트레이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 가이드(130)에 의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1 트레이(200)는 제1 지지판(210)과, 제1 필터(F1)를 개별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 수용부(220)가 제1 지지판(210)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판(210)은 위에서 바라본 형상이 대략 사각형인 평판형 구조이고, 양측 단부는 하방을 향해 소정 각도 절곡된 제1 절곡부(211)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제1 절곡부(211)는 전술한 ‘∪’ 또는 '
Figure 112021066969610-pat00003
'자 형상의 지지 가이드(130) 개방구에 안착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시에는 지지 가이드(130)로부터 제1 지지판(210)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수용부(220)는 소정 깊이 아래를 향해 연장된 원추형 드럼 형상으로, 측벽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복수개의 제1 요홈부(221), 측벽 가장자리 바닥부의 제1 공간부(222), 그리고 제1 공간부(222) 내측에 위치하면서 소정 높이 융기된 상태로 위치하는 제1 안착부(2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함몰된 상태로 상호 분리된 다수개의 제1 수용부(220) 각각에 한 장씩의 제1 필터(F1)를 수납하기 때문에 인근하는 제1 필터(F1)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1 요홈부(221)을 형성하는 측벽은 하부보다 상부가 상대적으로 넓도록 경사도가 상이하게 절곡된 형상이어서, 핀셋을 사용하여 제1 필터(F1)를 제1 수용부(220)에 수납하거나 분리할 시, 제1 요홈부(221)에 의해 핀셋을 다소 경사지게 위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공간부(222) 내측에서 다소 융기된 상태로 위치하는 제1 안착부(223)에 제1 필터(F1)가 노여지기 때문에 제1 필터(F1)를 쉽게 집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물론 제1 안착부(223)는 제1 필터(F1)가 수평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편평하며, 핀셋으로 집을 수 있도록 제1 필터(F1)의 직경보다 조금 작은 것이 좋다.
한편 제1 지지판(210)에는 제1 수용부(220)와 동일한 개수의 아라비아 숫자가 제1 수용부(220) 인근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수용부(220)의 제1 안착부(223)에도 제1 수용부(220) 인근과 동일한 숫자가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통상 수질 분석은 적게는 수개 많게는 수십 개의 시료를 대상으로 수행되며, 이때 부유물질(SS, Suspended Solids)도 시료별로 분석해야 하므로 해당 시료별로 준비한 제1 필터(F1)를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가 빈번하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1 트레이(200)에는 제1 지지판(210)과 제1 안착부(223)에 숫자가 마련되어 있어 시료별로 준비한 제1 필터(F1)를 쉽게 구분 및 식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음은 제2 트레이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데시케이터에 수납되는 제2 트레이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제2 트레이를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지지 가이드(130)에 의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2 트레이(300)는 제2 지지판(310)과, 제2 필터(F2)를 개별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2 수용부(320)가 제2 지지판(310)에 마련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트레이(300)는 용존유기탄소(DOC, Dissolved Organic Carbon) 분석시 사용되는 제2 필터(F2)가 수납되며, 이러한 제2 필터(F2)는 부유물질 분석을 위한 제1 필터(F1) 보다 직경이 작다. 따라서 하나의 제2 지지판(310)에 구비되는 제2 수용부(320)의 개수는 제1 지지판(210)에 마련되는 제1 수용부(220) 보다 상대적으로 많으며, 나머지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제2 지지판(310)은 위에서 바라본 형상이 대략 사각형인 평판형 구조이고, 양측 단부는 하방을 향해 소정 각도 절곡된 제2 절곡부(311)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제2 절곡부(311)는 전술한 ‘∪’ 또는 '
Figure 112021066969610-pat00004
'자 형상의 지지 가이드(130) 개방구에 안착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시에는 지지 가이드(130)로부터 제2 지지판(310)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수용부(320)는 소정 깊이 아래를 향해 연장된 원추형 드럼 형상으로, 측벽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복수개의 제2 요홈부(321), 측벽 가장자리 바닥부의 제2 공간부(322), 그리고 제2 공간부(322) 내측에 위치하면서 소정 높이 융기된 상태로 위치하는 제2 안착부(3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함몰된 상태로 상호 분리된 다수개의 제2 수용부(320) 각각에 한 장씩의 제2 필터(F2)를 수납하기 때문에 인근하는 제2 필터(F2)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2 요홈부(321)를 형성하는 측벽은 하부보다 상부가 상대적으로 넓도록 경사도가 상이하게 절곡된 형상이어서, 게다가 핀셋을 사용하여 제2 필터(F2)를 제2 수용부(320)에 수납하거나 분리할 시, 제2 요홈부(321)에 의해 핀셋을 다소 경사지게 위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공간부(322) 내측에서 다소 융기된 상태로 위치하는 제2 안착부(323)에 제2 필터(F2)가 노여지기 때문에 제2 필터(F2)를 쉽게 집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물론 제2 안착부(323)는 제2 필터(F2)가 수평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편평하며, 핀셋으로 집을 수 있도록 제2 필터(F2)의 직경보다 조금 작은 것이 좋다.
한편 제2 지지판(310)에는 제2 수용부(320)와 동일한 개수의 아라비아 숫자가 제2 수용부(320) 인근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수용부(320)의 제2 안착부(323)에도 제2 수용부(320) 인근과 동일한 숫자가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통상 수질 분석은 적게는 수개 많게는 수십 개의 시료를 대상으로 수행되며, 이때 용존유기탄소(DOC, Dissolved Organic Carbon)도 시료별로 분석해야 하므로 해당 시료별로 준비한 제2 필터(F2)를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가 빈번하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2 트레이(300)에는 제2 지지판(310)과 제2 안착부(323)에 숫자가 마련되어 있어 시료별로 준비한 제2 필터(F2)를 쉽게 구분 및 식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나의 트레이에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함께 구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하나의 트레이에서 소정 영역은 부유물질(SS, Suspended Solids) 분석을 위한 제1 필터(F1)를 수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제1 수용부, 나머지 영역에는 용존유기탄소(DOC, Dissolved Organic Carbon) 분석을 위한 제2 필터(F2)를 수납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2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케이스
110 : 케이스 몸체
120 : 개폐도어
130 : 지지 가이드
200 : 제1 트레이
210 : 제1 지지판
211 : 제1 절곡부
220 : 제1 수용부
221 : 제1 요홈부 222 : 제1 공간부
223 : 제1 안착부
300 : 제2 트레이
310 : 제2 지지판
311 : 제2 절곡부
320 : 제2 수용부
321 : 제2 요홈부 322 : 제2 공간부
323 : 제2 안착부
F1 : 제1 필터
F2 : 제2 필터

Claims (5)

  1. 공간부가 마련되고 외형이 육면체 형상을 갖는 케이스(100); 및
    상기 케이스(10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수납되는 복수개의 제1 트레이(200)와 제2 트레이(300)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100)는, 전면부가 개방되는 케이스 몸체(110), 전면부의 개방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도어(120), 및 트레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몸체(110) 내측 벽면에 서로 마주 보면서 위치하는 지지 가이드(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레이(200)는 부유물질 분석을 위한 제1 필터(F1)를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형의 제1 지지판(210), 및 상기 제1 지지판(210)에 마련되며 소정 깊이 연장된 원추형 드럼 형상의 복수개로 이루어진 제1 수용부(22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수용부(220)는 하부보다 상부가 상대적으로 넓도록 경사도가 상이하게 절곡된 형상의 측벽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제1 요홈부(221), 측벽 가장자리 바닥부의 제1 공간부(222), 및 상기 제1 공간부(222) 내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1 필터(F1)의 내경보다 작고 소정 높이 융기된 상태의 편평한 제1 안착부(22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트레이(300)는 용존유기탄소 분석을 위한 제2 필터(F2)를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형의 제2 지지판(310), 및 상기 제2 지지판(310)에 마련되며 소정 깊이 연장된 원추형 드럼 형상의 복수개로 이루어진 제2 수용부(320)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수용부(320)는 하부보다 상부가 상대적으로 넓도록 경사도가 상이하게 절곡된 형상의 측벽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제2 요홈부(321), 측벽 가장자리 바닥부의 제2 공간부(322), 및 상기 제2 공간부(322) 내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2 필터(F2)의 내경보다 작고 소정 높이 융기된 상태의 편평한 제2 안착부(32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부(220)와 상기 제2 수용부(320)는 내경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질과 용존유기탄소 분석을 위한 필터 보관용 데시케이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가이드(130)는 상부에 개방구가 마련된 ‘∪’ 또는 '
    Figure 112021117747082-pat00013
    '자 형상 이고, 상기 제1 지지판(210)과 제2 트레이(300) 양측 가장자리는 상기 지지 가이드(130)의 개방구를 통해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절곡부(211) 및 제2 절곡부(311) 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질과 용존유기탄소 분석을 위한 필터 보관용 데시케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판(210)에는 아라비아 숫자가 순차적으로 기재된 제1-1 표시부(230)가 제1 수용부(220) 인근에 각각 구비되며, 제1 수용부(220)의 제1 안착부(223) 각각에는 상기 제1-1 표시부(230)와 동일한 아라비아 숫자로 이루어진 제1-2 표시부(240)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지지판(310)에는 아라비아 숫자가 순차적으로 기재된 제2-1 표시부(330)가 제2 수용부(320) 인근에 각각 구비되며, 제2 수용부(320)의 제2 안착부(323) 각각에는 상기 제2-1 표시부(330)와 동일한 아라비아 숫자로 이루어진 제2-2 표시부(34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질과 용존유기탄소 분석을 위한 필터 보관용 데시케이터.
KR1020210075291A 2021-06-10 2021-06-10 시료 보관용 데시케이터 KR102340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291A KR102340376B1 (ko) 2021-06-10 2021-06-10 시료 보관용 데시케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291A KR102340376B1 (ko) 2021-06-10 2021-06-10 시료 보관용 데시케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376B1 true KR102340376B1 (ko) 2021-12-17

Family

ID=79033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291A KR102340376B1 (ko) 2021-06-10 2021-06-10 시료 보관용 데시케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37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07875Y1 (en) 1993-12-18 1997-10-14 Posco Desicator with multisample box
KR101238275B1 (ko) 2012-10-30 2013-03-04 주식회사 비앤비코리아 유기물 보관용 진공 데시케이터
KR101508908B1 (ko) 2014-03-31 2015-04-08 (주)지비아이 안정적인 습도유지를 위한 오토 데시케이터의 운전방법
US20170259258A1 (en) * 2013-03-14 2017-09-14 Gen-Probe Incorporated Multi-well tray and rack therefore
KR101876324B1 (ko) 2016-11-29 2018-07-10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진공 데시케이터
KR20190097336A (ko) * 2018-02-09 2019-08-21 주식회사 파나진 핵산증폭 반응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핵산증폭반응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07875Y1 (en) 1993-12-18 1997-10-14 Posco Desicator with multisample box
KR101238275B1 (ko) 2012-10-30 2013-03-04 주식회사 비앤비코리아 유기물 보관용 진공 데시케이터
US20170259258A1 (en) * 2013-03-14 2017-09-14 Gen-Probe Incorporated Multi-well tray and rack therefore
KR101508908B1 (ko) 2014-03-31 2015-04-08 (주)지비아이 안정적인 습도유지를 위한 오토 데시케이터의 운전방법
KR101876324B1 (ko) 2016-11-29 2018-07-10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진공 데시케이터
KR20190097336A (ko) * 2018-02-09 2019-08-21 주식회사 파나진 핵산증폭 반응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핵산증폭반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0376B1 (ko) 시료 보관용 데시케이터
US201701312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undesired measurement conditions
JPH08189927A (ja) 除去器
US8703054B2 (en) Direction selection mechanism for analytical tool, and analytical device
CN106404582B (zh) 土壤生态污染检测装置以及检测方法
CN101535796B (zh) 用于评估样品的方法和设备
CN210037839U (zh) 样本架操纵设备和自动检测系统
EP0082194A4 (en) IMPROVED BOWL TRAY FOR MEDICAL ANALYSIS.
CN205581117U (zh) 一种β-兴奋剂检测卡
US7807107B2 (en) Particle agglutination-evaluating container
KR20150004161U (ko) 시약병 차양장치 및 분석장치
CN218344127U (zh) 一种水质检测样品箱
CN203422384U (zh) 一种自动分析装置及其试药库
CN210719848U (zh) 一种检验科临床采尿检验设备
RU13802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нализа образцов крови на дисках сухих пятен крови на бумаге
JP6247391B2 (ja) スライド組立体
CN209231200U (zh) 一种带有存储装置的光谱分析仪
JP7374330B2 (ja) 自動分析装置
CN209636237U (zh) 一种用于快速检测dna甲基化的检测卡
CN109696544B (zh) 液体检测匣
CN219891260U (zh) 一种曝光液避光孵育盒
CN211978687U (zh) 一种新型紫外可见分光光度计
CN213535554U (zh) 一种滴定平板存放盒以及滴定平板清洗和存放装置
CN218795983U (zh) 一种液体样本检测杯
CN107621464A (zh) 一种压紧式盐酸克伦特罗检测试剂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