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218B1 - 이중 탈착형 배터리 커버 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탈착형 배터리 커버 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218B1
KR102340218B1 KR1020150015165A KR20150015165A KR102340218B1 KR 102340218 B1 KR102340218 B1 KR 102340218B1 KR 1020150015165 A KR1020150015165 A KR 1020150015165A KR 20150015165 A KR20150015165 A KR 20150015165A KR 102340218 B1 KR102340218 B1 KR 102340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ver
battery
body case
electronic devi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4067A (ko
Inventor
김광문
김태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5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218B1/ko
Publication of KR20160094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Abstract

배터리를 가지는 전자 장치가 개시되며, 전자 장치에는 상기 배터리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배터리 수납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에 탈착가능한 구조의 복수의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커버는 베이스로서의 배터리 커버와 복수의 나머지 배터리 커버 또는 플립형 배터리 커버로 분리되어 구성됨에 따라, 각각의 커버에 리얼 메탈 소재를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으면서도, 안테나 방사 성능을 제공할 수 있고, 베이스 배터리 커버에서 복수의 배터리 커버 등이 분리 또는 개방되면 배터리 커버에 적용된 소재와 리얼 메탈 소재와의 조합에 어울리는 UX 환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중 탈착형 배터리 커버 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 {ELECTRICAL DEVICE HAVING TWO-PIECES DETACHABLE BATTERRY COVER STRUCTUR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주문에 따라 만들 수 있는 맞춤형의 이중 탈착형(CUSTOMIZABLE TWO-PIECE DETACHABLE TYPE) 배터리 커버 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하기 위하여 점점 더 많은 기능이 전자 장치에 부가됨에 따라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역시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많은 기능이 부가된 휴대용 전자장치는 응용 프로그램 (통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줄여서 '앱(app)' 이라 함)을 통해, 상당 부분 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휴대용 전자 장치를 스마트기기(smart device, 또는 '스마트 장치'라고도 함)라고 지칭하며, 예컨대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텔레비전(smart TV), 스마트 키(smart key), 스마트 카드(smart card) 및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또는 스마트 패드(smart pad)라고 함)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 장치의 인터페이스 포트에, 예를 들어 동글(DONGLE) 형태의 회로를 부가하여 사용자마다 다른 요구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지만, 이 경우에 동글을 별도로 휴대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모바일 결재 등이 확산되면서 전자 장치의 인터페이스 포트에 케이블로 연결되는 카드 리더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 경우 역시 부피가 큰 카드 리더기를 휴대해야 하므로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다.
이에 필요로 하는 기능을 옵션으로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는 회로들은 간단하게 전자 장치에 적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나아가 휴대성을 손상하지 않으면서 전자 장치에 부가할 수 있어야 할 필요성이 점증하고 있다.
이에 따른 일 예로, 소프트 백 배터리를 장착한 전자 장치의 배터리 덮개의 내부에 옵션 회로들을 내장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전자 장치는,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지만, 예컨대 휴대폰 등의 스펙이나 사이즈가 비슷해 지면서 디자인적으로 한계 상황에 이른 시점에서 특히 주력 모델(flagship)의 판매가 둔화되고 있음에 따라, 새롭고 개성있는 다양한 디자인에 대한 니즈(needs)가 시장의 트랜드임에도, 이러한 트랜트에 부합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또한,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제공하고자 메탈 데코(Metal Deco)를 적용하는 경우, 특히 후면 케이스에 리얼 메탈(Real Metal)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안테나의 성능 확보를 고려해야 하고, 이에 따른 공정상의 추가 등을 해소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리얼 메탈을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어 디자인적으로 더 과감하게 적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안테나의 성능을 확보하면서 트렌드에 부합할 수 있는 이중 탈착형 배터리 커버 구조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상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는 이중 탈착형 배터리 커버 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는 배터리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배터리 수납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에 탈착가능한 구조의 복수의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커버는 베이스로서의 제 1 배터리 커버와 나머지로서의 제 2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배터리 커버와 상기 제 2 배터리 커버가 서로 다른 소재로 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는 이중 탈착형 배터리 커버 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는 상기 배터리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배터리 수납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에 탈착가능한 구조의 복수의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본체 케이스에 부착되는 베이스 배터리 커버와, 상기 베이스 배터리 커버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부착되는 플립 배터리 커버 및 상기 베이스 배터리 커버의 일측과 상기 플립 배터리 커버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립 배터리 커버의 내부는 상기 배터리 커버에 적용되는 소재와 다른 소재로 조합되어 상기 플립 배터리 커버가 테두리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의 배터리 커버로 분리됨에 따라, 각각의 커버에 리얼 메탈 소재를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으면서도, 안테나 방사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 탈착형 구조의 배터리 커버에 사용된 리어 매탈의 배터리 커버를 프레스 공정으로 구현이 가능하므로 많은 공정이 축소되어 생산 단가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 탈착형 구조의 배터리 커버의 내부에 칩을 설치하고, 이 칩이 메인 디바이스와 연결됨에 따라 메인 디바이스에 어울리는 UX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메인 디바이스의 외관 뿐만 아니라 모드(mode) 변경, 사용자 설정 등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다양한 배터리 커버의 조합과 소재를 통해, 이에 부합되는 애프터 마켓이 조성될 수 있어, 2차 수익을 거둘 수 있는 기대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로서 대표적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터리 커버를 전면에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 전자 장치의 배터리 커버가 제 1 및 제 2 배터리 커버로 서로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 본체 케이스와 배터리 커버의 제 1 배터리 커버와의 슬라이딩 탈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터리 커버가 플립 배터리 커버의 형태로 제작되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 플립 배터리 커버의 내면에 리얼 메탈이 부착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 6의 B-B선을 따라 취한 일부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로서 대표적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로서 휴대폰(10)을 나타내고 있고, 본체 케이스(11)의 전면 중앙에는 넓은 면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가 구비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는 복잡한 키 패드 구조를 벗어나 터치 구동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휴대폰(10)의 전면 하단에는 홈 키(H: Home-Key)가 마련되어 있다. 홈 키(H)는 휴대폰(10)의 다양한 기능을 원터치 방식으로 구현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휴대 단말기로서 휴대폰(10) 이외에 태블릿 PC 등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터리 커버를 전면에 나타내고 있고, 도 3은 도 2 전자 장치의 배터리 커버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는 배터리(도시하지 않음)를 후면에 수납할 수 있는 본체 케이스(420)와, 본체 케이스(420)의 후면에 탈착가능한 구조의 배터리 커버(44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커버(440)는 서로 탈착가능한 구조의 다수의 배터리 커버를 포함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배터리 커버(442)는 베이스 배터리 커버로서 본체 케이스(420)의 배면을 개폐하도록 본체 케이스(420)의 배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제 1배터리 커버(442) 이외의 나머지 배터리 커버는 제 2 배터리 커버(444)로서 각각의 내측에 서로 탈착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배터리 커버(442)와 제 2 배터리 커버(444)의 한 쌍이 서로 결합되어 본체 케이스(420)에 부착되면, 본체 케이스(420)의 배면에 제 1 배터리 커버(442) 및 제 2 배터리 커버(444)의 순서로 부착되며, 또한 제 1 배터리 커버(442)가 가장 바깥쪽에 위치되고, 제 2 배터리 커버(444)가 제 1 배터리 커버(442)의 내측에 위치되므로, 제 1 배터리 커버(442)가 제 2배터리 커버(444)의 테두리로서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로서 형성되는 제 1 배터리 커버(442)의 두께를 적의 선택함으로써, 제1 및 제 2 배터리 커버의 조합시의 느낌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제 2 배터리 커버(444)의 개수 및 제 1 배터리 커버(442)의 두께는 의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도 2및 도 3에서 배터리 커버(440)의 형상을 직사각형으로 한정하였으나, 이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배터리 커버(440)의 형상은 본체 케이스(420)의 형상에 따라 적절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배터리 커버(444)는 제 1 배터리 커버(442)의 안쪽에 후크 고정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고, 제 1 배터리 커버(442)는 본체 케이스(42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제2 배터리 커버(444)의 바깥쪽에 탈부착될 수 있다.
제1 배터리 커버(442)와 제 2 배터리 커버(444)는 통상적인 후크 고정방식으로 결합되므로, 제 2 배터리 커버(444)의 상단 또는 하단에 체결돌기(430)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배터리 커버(442)에는 제 2 배터리 커버(444)와 후크결합될 수 있도록 제 2배터리 커버(444)의 체결돌기(430)에 대응하는 체결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배터리 커버(444)에는 카메라를 위한 개구부(45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배터리 커버(444)는 리얼 메탈 소재, 예컨대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크롬, 스틸, 투명 유리 등의 소재를 적용할 수 있고, 제 1 배터리 커버(442)는 비메탈 소재, 예컨대, 가죽, 나무, 카본, 세라믹, 플라스틱, 폴리카보네이트, 패브릭, 폴리아마이드, 고무 등의 소재를 적용함으로서, 안테나 방사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얼 메탈 소재로서 알루미늄 재질의 제 2 배터리 커버(444)와 비메탈 소재로서 가죽재 또는 목재의 제 1 배터리 커버(442)로 조합하는 경우, 리얼 메탈 소재의 제 2 배터리 커버(444)가 안쪽에 위치하고, 이를 둘러싸는 가죽재 또는 목재의 제 1 배터리 커버(442)가 테두리를 이룸에 따라 메탈 특유의 차가운 느낌이 테두리의 가죽재 또는 목재에 의해 희석되므로, 전자 장치(400)를 고급스럽고 세련된 이미지로 연상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터리 커버 구조는 내부와 외부의 제 2 및 제 1 배터리 커버(444)(442)의 소재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선택의 폭을 넓혀주고,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동시에, 비메탈 소재의 제 1 배터리 커버(442)가 제 2 배터리 커버(444)의 테두리로 사용됨에 따라 안테나 방사성능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커버(440)는 분리형으로 구성하되, 제 2 배터리 커버(444)를 리얼 메탈 소재로 적용함으로서, 프레스 공정으로 구현이 가능하므로 현재 다이캐스팅이나 CNC 공법으로 구현하는 경우보다, 많은 공정을 단축할 수 있어서, 생산 단가와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4는 도 2 본체 케이스(420)와 배터리 커버(440)의 제 1 배터리 커버(442)와의 슬라이딩 탈부착 구조를 나타내고,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440)의 제1 배터리 커버(442)는 본체 케이스(4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 2 배터리 커버(444)를 제거한 후, 제 1 배터리 커버(442)를 본체 케이스(420)로부터 하방으로, 예컨대 2mm 정도 내리면, 제 1 배터리 커버(442)가 본체 케이스(42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상방으로 올라가도록 작동하면 제 1 배터리 커버(442)가 본체 케이스(4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배터리 커버(442)의 하면에는 예컨대 “ㄴ”자 형상의 삽입돌기(445)를 포함할 수 있고, 본체 케이스(420)의 양측면에는 제 1 배터리 커버(442)의 삽입돌기(445)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슬라이딩홈(424)을 포함할 수 있고, 삽입돌기(445)가 슬라이딩홈(424)에 삽입됨에 따라 제 1 배터리 커버(442)는 본체 케이스(420)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배터리 커버(442)를 본체 케이스(42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 본체 케이스(420)의 슬라이딩홈(424)에는 개방홈(42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배터리 커버(442)가 본체 케이스(420)에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 케이스(420)의 슬라이딩홈(424)의 일정 위치, 예컨대 슬라이딩홈(424)의 상단에서부터2 mm정도 하부의 위치에 개방홈(426)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 1 배터리 커버(442)를 본체 케이스(420)로부터 하방으로 약간 내리면, 제 1 배터리 커버(442)의 삽입돌기(445)가 개방홈(426)에 위치될 수 있고, 이 위치에서 제 1 배터리 커버(442)를 본체 케이스(420)에서 제거할 수 있다. 개방홈(426)의 위치는 설계 시의 선택사항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터리 커버가 플립 배터리 커버의 형태로 제작되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은 도 6 플립 배터리 커버의 내면에 리얼 메탈이 부착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500)는 본체 케이스(420)에 부착되는 베이스 배터리 커버(520)와, 베이스 배터리 커버(520)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부착되는 플립 배터리 커버(540) 및 상기 베이스 배터리 커버(520)의 일측과 플립 배터리 커버(540)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배터리 커버(520)은 본체 케이스(4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본체 케이스(420)의 배면에 고정부착되고, 플립 베터리 커버(540)는 베이스 배터리 커버(5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결부(560)에 의해 베이스 배터리 커버(520)와 플립 배터리 커버(540)의 일측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결부(560)를 축으로 플립 배터리 커버(540)를 회전하여 플립 배터리 커버(540)의 내부를 개방할 수 있다.
배터리 커버(500)에는 상기 실시에와 마찬가지로, 카메라를 위한 개구부(450)가 설치될 수 있다.
플립 배터리 커버(540)의 개방 시, 플립 배터리 커버(540)가 리얼 메탈(600)의 테두리로서 형성될 수 있도록 플립 배터리 커버(540)의 안쪽에는 플립 배터리 커버(540)에 적용된 소재와 다른 소재의 리얼 메탈(600)이 부착될 수 있다. 베이스 배터리 커버(520)에는 리얼 메탈(600)을 상부를 수용하는 수용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커버(500)는 비메탈 소재, 예컨대, 가죽, 나무, 카본, 세라믹, 플라스틱, 폴리카보네이트, 패브릭, 폴리아마이드, 고무 등의 소재를 적용함으로서, 안테나 방사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플립 배터리 커버(540) 안쪽의 리얼 메탈(600)은 예컨대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크롬, 스틸, 투명 유리 등의 소재를 적용할 수 있어, 배터리 커버(500)의 플립 배터리 커버(540)와 리얼 메탈(600)의 소재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선택의 폭을 넓혀주고,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얼 메탈(6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620)를 이용하여 플립 배터리 커버(540)에 고정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플립 배터리 커버(540)에는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검출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검출부(640)로서 플립 배커리 커버(540)의 개방을 검출하는 검출 센서, 검출 칩 등을 포함하고 있다면, 리얼 메탈(600)을 알루미늄 소재로 하고, 플립 배터리 커버(540)을 가죽재 또는 목재 소재로 조합하는 경우, 플립 배터리 커버(540)의 개방 시, 리얼 메탈(600)이 플립 배터리 커버(540)의 안쪽에 위치하고, 플립 배터리 커버(540)가 리얼 메탈(600)의 테두리를 이룸에 따라 메탈 특유의 차가운 느낌이 테두리의 가죽재 또는 목재에 의해 희석되므로, 고급스럽고 세련된 이미지를 연상하게 되고, 이와 더블어 검출부(640)를 통해 플립 배터리 커버(540)와 리얼 메탈(600)과의 조합에 어울리는 UX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전자 장치의 외관 뿐만 아니라, 모드에 부합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변경, 사용자 설정의 변경 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배터리 커버에 대한 조합과 소재에 대하여 다양한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으므로 애프터 마켓이 조성되어 2차 수익을 올릴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탈착형 배터리 커버 구조 및 그 전자 장치는 배터리 커버가 2개로 분리되거나 플립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각각의 배터리 커버에 리얼 메탈 소재를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으면서도, 안테나 방사 성능을 제공할 수 있고, 베이스 배터리 커버에서 복수의 배터리 커버 등이 분리되거나 개방되면, 배터리 커버에 적용된 소재와 리얼 메탈 소재와의 조합에 어울리는 UX 환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과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400 : 전자 장치 420 : 본체 케이스
424 : 슬라이딩홈 426 : 개방홈
430 : 체결돌기 440: 배터리 커버
442 : 제 1 배터리 커버 444 : 제 2 배터리 커버
445 : 삽입돌기 450 : 개구부
500 : 배터리 커버 520 : 베이스 배터리 커버
540 : 플립 배터리 커버 560 : 연결부
600 : 리얼 메탈 620 : 체결부재
640 : 검출부

Claims (19)

  1. 배터리를 가지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배터리 수납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에 탈착가능한 구조의 복수의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커버는 베이스로서의 제 1 배터리 커버와 나머지로서의 제 2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배터리 커버와 상기 제 2 배터리 커버가 서로 다른 소재로 조합되며,
    상기 배터리 커버가 분리되면 상기 배터리 커버에 적용된 소재의 조합에 어울리는 UX 환경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터리 커버는 상기 본체 케이스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 2배터리 커버는 상기 제 1 배터리 커버가 테두리로서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배터리 커버의 내측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의 형상은 상기 본체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 1 배터리 커버는 비메탈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터리 커버는 상기 제 1 배터리 커버의 안쪽에 후크 고정되어 부착되는 전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터리 커버는 상기 본체 케이스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되는 전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터리 커버는 리얼 메탈 소재, 예컨대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크롬, 스틸, 투명 유리 소재의 리어 메탈 소재를 적용하고,
    상기 제 1 배터리 커버는 비메탈 소재를 적용하는 전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메탈 소재는 가죽, 나무, 카본, 세라믹, 플라스틱, 폴리카보네이트, 패브릭, 폴리아마이드, 고무의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 커버는 상기 본체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배터리 커버를 제거한 후, 상기 본체 케이스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에는 슬라이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배터리 커버에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형성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슬라이딩홈에는 상기 제 1 배터리 커버가 상기 본체 케이스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분리되도록 상기 슬라이딩홈에 형성된 개방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배터리를 가지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배터리 수납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에 탈착가능한 구조의 복수의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본체 케이스에 부착되는 베이스 배터리 커버와, 상기 베이스 배터리 커버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부착되는 플립 배터리 커버 및 상기 베이스 배터리 커버의 일측과 상기 플립 배터리 커버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립 배터리 커버의 내부는 상기 배터리 커버에 적용되는 소재와 다른 소재로 조합되어 상기 플립 배터리 커버가 테두리를 형성하며,
    상기 플립 배터리 커버가 개방되면, 배터리 커버에 적용된 소재의 조합에 어울리는 UX 환경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배터리 커버는 상기 본체 케이스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본체 케이스의 배면에 고정부착되고, 상기 플립 베터리 커버는 상기 베이스 배터리 커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 배터리 커버와 상기 플립 배터리 커버의 일측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부를 축으로 상기 플립 배터리 커버를 회전하여 그 내부를 개방하는 전자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는 비메탈 소재를 적용하여 안테나 성능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메탈 소재는 가죽, 나무, 카본, 세라믹, 플라스틱, 폴리카보네이트, 패브릭, 폴리아마이드, 고무의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소재는 리얼 메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삭제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에는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플립 배터리 커버의 개방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삭제
  19. 전자 장치의 배터리 수납면을 개폐하는 배터리 커버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를 상기 전자 장치에 탈착가능한 구조의 복수의 배터리 커버로 분리하되,
    각 배터리 커버를 다른 소재로 조합하여 구성하고, 상기 배터리 커버가 분리되면 배터리 커버에 적용된 소재의 조합에 어울리는 UX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
KR1020150015165A 2015-01-30 2015-01-30 이중 탈착형 배터리 커버 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 KR102340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165A KR102340218B1 (ko) 2015-01-30 2015-01-30 이중 탈착형 배터리 커버 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165A KR102340218B1 (ko) 2015-01-30 2015-01-30 이중 탈착형 배터리 커버 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067A KR20160094067A (ko) 2016-08-09
KR102340218B1 true KR102340218B1 (ko) 2021-12-16

Family

ID=56712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165A KR102340218B1 (ko) 2015-01-30 2015-01-30 이중 탈착형 배터리 커버 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2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943Y1 (ko) * 2005-01-14 2005-04-18 (주)중앙티앤씨 배터리 교환이 용이한 휴대전화용 커버
KR101226837B1 (ko) * 2011-07-13 2013-01-25 이주훈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355772B1 (ko) * 2013-10-08 2014-02-03 김상민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9754A (ko) * 2000-12-20 2002-06-26 송문섭 밧데리를 갖춘 핸드폰
KR20140065085A (ko) * 2012-11-21 2014-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면커버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102241291B1 (ko) * 2013-03-14 2021-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943Y1 (ko) * 2005-01-14 2005-04-18 (주)중앙티앤씨 배터리 교환이 용이한 휴대전화용 커버
KR101226837B1 (ko) * 2011-07-13 2013-01-25 이주훈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355772B1 (ko) * 2013-10-08 2014-02-03 김상민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067A (ko) 201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1208B2 (en) Method for outputting imag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24002357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KR102448304B1 (ko) 금속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10549B1 (ko) 베젤리스 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장치
US10530913B2 (en) Flexible electronic device
KR102383702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하우징 제작 방법
KR102483238B1 (ko) 방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CN105934134B (zh) 具有散热器的电子设备
KR102311616B1 (ko)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45911B1 (ko) 가상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수신 방법
KR102355459B1 (ko)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US10739822B2 (en) Blower and docking device comprising blower
US10234909B2 (en) Portable device with optical member for back side camera
CN108450040B (zh) 电子设备和电子设备的配件设备
CN108432231A (zh) 透镜组件和包括透镜组件的电子装置
EP3346678B1 (en) Cov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264220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423759B1 (ko) 스마트 키가 내장된 결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상 객체 제어 방법
US20160357250A1 (en) Wearable device having control panel
US9860971B2 (en) Shield can structure
KR102353514B1 (ko)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50063B1 (ko) 신체 착용형 전자 장치
KR102446319B1 (ko) 전자 장치
KR102464684B1 (ko)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70033633A (ko) 펜과,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