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191B1 - 통신 신호 저하에 따른 경고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신호 저하에 따른 경고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191B1
KR102340191B1 KR1020190075422A KR20190075422A KR102340191B1 KR 102340191 B1 KR102340191 B1 KR 102340191B1 KR 1020190075422 A KR1020190075422 A KR 1020190075422A KR 20190075422 A KR20190075422 A KR 20190075422A KR 102340191 B1 KR102340191 B1 KR 102340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ngth
communication signal
user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399A (ko
Inventor
장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075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191B1/ko
Publication of KR20210000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3Indication means, e.g. displays, alarms, audibl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6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using historical data, averaging values or stat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신호 저하에 따른 경고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생성된 후 해당 데이터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통신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해당 통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크기 이하가 된 경우 단말기 내부에 기 구비된 파지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특정 위치에 대한 파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파지 상태를 판단한 경우 사용자에게 통신 제한과 관련된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신 신호 저하에 따른 경고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COMMUNICATION SIGNAL STRENGTH CHANGE}
본 발명은 통신 신호 저하에 따른 경고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의 통신 신호 저하 상황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서비스가 4G(4 Generation)에서 5G(5 Generation)로의 전환에 대한 논의와 서비스 도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현재까지 논의된 또는 결정된 바에 따르면 5G 통신의 경우 mmWave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경우 대표적으로 28GHz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기로 되어 있다.
5G 통신 서비스의 경우 기존 4G와 비교하여 초광대역서비스, 초저지연, 대량연결 등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이처럼 높은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데, 이에 따라 5G 통신 주파수는 개활지에서는 직전성이 좋아 멀리까지 도달하나, 장애물을 만나면 통신 신호의 세기가 급속히 떨어져 통신 장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5G 서비스를 위한 기지국을 4G와 비교하여 더 촘촘히 구축해야 하는데, 이때 기지국 구축비용이 급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통신 서비스 표준 기술이 바뀔 때마다 비슷한 상황이 발생하기는 하는데, 특히 5G 통신 서비스의 경우에는 완전한 전국단위 상용화 구축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게 되므로 4G 통신 서비스와 5G 통신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기간이 길어지게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따라서 통신 단말기에는 복수의 영역에 통신 안테나가 내장될 수밖에 없는데, 이때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 특정 위치(즉, 안테나가 내장된 근처 위치)를 파지(단말기를 손으로 잡는 행위)하는 경우 통신 신호의 급격한 저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을 사용자가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5G 단말기를 이용하면서도 실제로는 5G 통신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공개특허 제10-2019-0018242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자의 파지 행위로 인한 특정 통신 서비스를 위한 신호 저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파지 감지 센서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생성된 후 해당 데이터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통신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는 신호 세기 판단부와; 상기 신호 세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해당 통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크기 이하가 된 경우 상기 파지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특정 위치에 대한 파지 여부를 판단하는 파지 여부 판단부와; 상기 파지 여부 판단부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파지 상태가 판단된 경우 사용자에게 통신 제한과 관련된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파지 감지 센서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생성된 후 해당 데이터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통신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여 시간별 누적 저장하는 통신 신호 관리부와; 상기 파지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특정 위치에 대한 파지 상태가 감지된 경우 상기 통신 신호 관리부에 의해 누적 저장된 시간별 통신 신호의 세기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된 시간별 통신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파지로 인한 통신 신호 세기 저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파지로 인한 통신 신호 세기 저하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에게 통신 제한과 관련된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생성된 후 해당 데이터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통신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해당 통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크기 이하가 된 경우 단말기 내부에 기 구비된 파지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특정 위치에 대한 파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파지 상태를 판단한 경우 사용자에게 통신 제한과 관련된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생성된 후 해당 데이터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통신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여 시간별 누적 저장하는 단계와; 단말기 내부에 기 구비된 파지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특정 위치에 대한 파지 상태가 감지된 경우 상기 (a) 단계에서 누적 저장된 시간별 통신 신호의 세기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추출된 시간별 통신 신호의 세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파지로 인한 통신 신호 세기 저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파지로 인한 통신 신호 세기 저하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에게 통신 제한과 관련된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에 대한 잘못된 파지로 인해 특정 통신 서비스가 불가능해지는 것을 사용자에 알림으로써, 통신 서비스 장애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특히, 특정 통신 서비스가 활성화가 안 된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사용자의 특정 위치 파지 여부를 감지하지 않음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통신 신호 전력 세기에 대한 히스토리를 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의 특정 위치를 파지한 경우 해당 파지로 인해 통신 신호 세기가 약해졌는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서, 불필요한 경로/알림 메시지 출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외관 및 안테나 내장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통신 단말기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특정 안테나 영역을 감싼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2의 통신 단말기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경고 메시지를 읽은 사용자가 파지 위치를 바꾼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제어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외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두 개의 영역에 각각 4G(Fourth Generation) 통신 서비스를 위한 안테나와 5G(Fifth Generation) 통신 서비스를 위한 안테나가 구비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특히 도 1의 상단 영역(A) 내부에는 4G 통신 서비스를 위한 안테나가 내장되어 있고, 도 1의 우측 하단 영역(B) 내부에는 5G 통신 서비스를 위한 안테나가 내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가 도 2와 같이 5G 통신 서비스를 위한 안테나가 내장된 영역(B)을 감싸는 형태로 파지하는 경우 5G 통신 서비스를 위한 신호 수발신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는 이러한 경우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파지 방식을 또는 파지 위치를 바꾸라는 안내를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100)는 파지 감지 센서(110), 신호 세기 판단부(120), 파지 여부 판단부(130), 경고 출력부(140), 센서 활성화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파지 감지 센서(110)는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100)의 특정 영역(본 실시예에서는 우측 하단 영역(B))을 파지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파지 감지 센서(110)는 접촉 센서, 정전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더 나아가 외부로부터의 빛을 수신하여 감지하는 수광센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신호 세기 판단부(120)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즉, DRB : Data Radio Bearer)가 생성된 후 해당 데이터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통신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신호 세기 판단부(120)는 5G 통신용 안테나(미 도시함)를 통해 통신과 관련된 셀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신호 세기 판단부(120)는 5G 통신용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직접 판단할 수도 있고,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단말기(100)가 전송한 발신 신호에 대한 신호의 세기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통신 신호의 세기를 판단할 수도 있다.
파지 여부 판단부(130)는 신호 세기 판단부(120)의 판단 결과 해당 통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크기 이하가 된 경우 파지 감지 센서(1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특정 위치에 대한 파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파지 여부 판단부(130)는 파지 감지 센서(110)로부터 수신되는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통신 단말기(100) 특정 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파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파지 여부 판단부(130)는 수시로 사용자의 파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조건 즉, 신호 세기 판단부(120)의 판단 결과 해당 통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크기 이하가 된 경우에 비로소 통신 단말기(100) 특정 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파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때 파지 여부 판단부(130)는 신호 세기 판단부(120)에 의해 판단되는 통신 신호의 세기를 시간 단위로 분석하여,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해당 통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폭 이상으로 떨어진 경우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100) 특정 영역(B)에 대한 파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파지 여부 판단부(130)는 통신 신호 세기의 시간당 변화량을 고려하여 파지 여부 판단 시점을 결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시간당 통신 신호 세기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기울기 값보다 더 크게 떨어지는 경우에 한하여 파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예로 1분에 걸쳐 완만하게 통신 신호의 세기가 떨어지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파지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10초 이내에 급속히 통신 신호의 세기가 떨어진 경우에는 사용자의 파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파지 감지 센서(110)가 항상 활성화된 상태인 것을 전제로 파지 여부 판단부(130)가 소정 조건 만족시 그 파지 감지 센서(1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100)의 특정 위치에 대한 파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파지 감지 센서(110)는 항상 활성화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특정 조건에 부합되는 경우에 한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즉, 센서 활성화부(150)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파지 감지 센서(110)를 활성화시켜 센싱 동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활성화부(150)는 신호 세기 판단부(120)의 판단 결과 해당 통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크기 이하가 된 경우 또는 이와 함께 또는 이와 독립적으로 통신 신호의 시간당 변화량이 기 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낮아진 경우 파지 감지 센서(11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파지 감지 센서(110)를 활성화하는 것에는 파지 감지 센서(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
경고 출력부(140)는 파지 여부 판단부(130)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파지 상태가 판단된 경우 사용자에게 통신 제한과 관련된 경고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5G 통신 신호가 약합니다. 접촉 면적을 피해 주세요"라는 팝업 메시지가 통신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고 출력부(140)의 경고 출력은 반드시 시각적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진동에 의한 촉각적 방식, 소리에 의한 청각적 방식 등 다양한 방식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의 특정 영역(B)에 대한 파지 상태가 해지되면, 경고 출력부(140)는 경고 메시지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도 4와 같은 경고 메시지를 읽은 통신 단말기(100) 사용자는 도 5와 같이 5G 안테나가 내장된 위치를 비켜서 파지함으로써 원활한 5G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의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통신 단말기(100)는 5G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
판단 결과 5G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생성된 경우 통신 단말기(100)는 해당 5G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통한 셀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
판단 결과 셀 신호의 크기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통신 단말기(100)는 셀 신호 크기의 시간당 변화량을 판단하여 셀 신호의 세기가 급속하게 떨어졌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5).
판단 결과 셀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짧은 시간 내에 급속하게 떨어진 경우, 통신 단말기(100)는 파지 감지 센서(110)를 활성화시키고(단계 S7), 사용자에 의한 통신 단말기(100) 특정 영역(B)의 파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9).
판단 결과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100) 상의 기 정의된 특정 영역(B)을 파지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에게 통신 제한 경고를 출력한다(단계 S11).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2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선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200)의 기능 블록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200)는, 파지 감지 센서(210), 통신 신호 관리부(220), 추출부(230), 판단부(240), 경고 출력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파지 감지 센서(210)는 도 1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통신 신호 관리부(220)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생성된 후 해당 데이터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통신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여 시간별 누적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통신 신호 관리부(220)는 5G 통신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통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세기에 대한 시간별 히스토리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추출부(230)는 파지 감지 센서(2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특정 위치에 대한 파지 상태가 감지된 경우 통신 신호 관리부(220)에 의해 누적 저장된 시간별 통신 신호의 세기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추출부(230)는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200) 특정 영역/위치(B)에 대한 파지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과 함께 파지 상태가 감지되는 경우 통신 신호 관리부(220)에 의해 누적 저장된 시간별 통신 신호의 세기를 추출하는 기능도 수행하는 것이다.
판단부(240)는 추출부(230)에서 추출된 시간별 통신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파지로 인한 통신 신호 세기 저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추출부(230)가 사용자의 파지 상태 감지에 따라 기 저장되어 있던 시간별 통신 신호의 세기를 추출한 경우, 판단부(240)는 해당 추출된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통신 신호 세기기 저하되었는지 여부는 물론이고, 그러한 통신 신호의 저하가 사용자의 파지로 인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판단부(240)는 추출부(230)에서 추출한 시간별 통신 신호의 세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한 파지 시점을 전후하여 해당 통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폭 이상으로 떨어진 경우 사용자의 파지로 인한 통신 신호 세기 저하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판단부(240)는 시간에 따른 통신 신호의 세기 변화량과 사용자의 파지 시점을 함께 고려하여 파지로 인해 통신 신호의 세기가 급격하게 떨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경고 출력부(250)는 판단부(240)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파지로 인한 통신 신호 세기 저하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에게 통신 제한과 관련된 경고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200)의 제어 흐름을 설명한다.
통신 단말기(200)는 셀 신호 세기를 시간대별로 누적 저장하고(단계 S21),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200)의 특정 영역/위치(B)에 대한 파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3).
판단 결과 사용자의 특정 영역(B)에 대한 파지가 감지된 경우 통신 단말기(200)는 누적 저장된 시간별 셀 신호 세기를 추출하고(단계 S25),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200) 특정 영역(B)에 대한 파지로 인한 셀 신호 세기 저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7).
판단 결과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200) 특정 영역(B)에 대한 파지로 인한 셀 신호 세기 저하 발생을 판단한 경우(단계 S29), 통신 단말기(200)는 도 4와 같이 사용자에게 통신 제한과 관련된 경고를 출력한다(단계 S31).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생성 여부 및 해당 데이터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통신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데이터 무선 베어러의 생성과 관련된 것은 일 예에 불과하고,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다양한 통신 방식에 있어서 통신을 위한 준비가 되었는지, 또한 해당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값 이하로 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200 : 통신 단말기 110 : 파지 감지 센서
120 : 신호 세기 판단부 130 : 파지 여부 판단부
140 : 경고 출력부 150 : 센서 활성화부
210 : 파지 감지 센서 220 : 통신 신호 관리부
230 : 추출부 240 : 판단부
250 : 경고 출력부

Claims (12)

  1. (a)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생성된 후 해당 데이터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통신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의 판단 결과 해당 통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크기 이하가 된 경우 단말기 내부에 기 구비된 파지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특정 위치에 대한 파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파지 상태인 경우 사용자에게 파지로 인한 통신 제한과 관련된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a) 단계의 판단 결과 해당 통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크기 이하가 된 경우 상기 파지 감지 센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b2) 상기 (b1) 단계의 활성화 이후에 그 활성화된 파지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특정 위치에 대한 파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a) 단계의 판단 결과를 시간 단위로 분석하여,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해당 통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폭 이상으로 떨어진 경우 상기 파지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특정 위치에 대한 파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3. 삭제
  4. (a)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생성된 후 해당 데이터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통신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여 시간별 누적 저장하는 단계와;
    (b) 단말기 내부에 기 구비된 파지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특정 위치에 대한 파지 상태가 감지된 경우 상기 (a) 단계에서 누적 저장된 시간별 통신 신호의 세기를 추출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 추출된 시간별 통신 신호의 세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파지로 인한 통신 신호 세기 저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파지로 인한 통신 신호 세기 저하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에게 통신 제한과 관련된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b) 단계에서 추출한 시간별 통신 신호의 세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한 파지 시점을 전후하여 해당 통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폭 이상으로 떨어진 경우 사용자의 파지로 인한 통신 신호 세기 저하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6.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7.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8. 파지 감지 센서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생성된 후 해당 데이터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통신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는 신호 세기 판단부와;
    상기 신호 세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해당 통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크기 이하가 된 경우 상기 파지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특정 위치에 대한 파지 여부를 판단하는 파지 여부 판단부와;
    상기 파지 여부 판단부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파지 상태인 경우 사용자에게 파지로 인한 통신 제한과 관련된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 출력부와;
    상기 신호 세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해당 통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크기 이하가 된 경우 상기 파지 감지 센서를 활성화시키는 센서 활성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여부 판단부는 통신 신호의 세기를 시간 단위로 분석하여,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해당 통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폭 이상으로 떨어진 경우 상기 파지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특정 위치에 대한 파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0. 삭제
  11. 파지 감지 센서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생성된 후 해당 데이터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통신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여 시간별 누적 저장하는 통신 신호 관리부와;
    상기 파지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특정 위치에 대한 파지 상태가 감지된 경우 상기 통신 신호 관리부에 의해 누적 저장된 시간별 통신 신호의 세기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된 시간별 통신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파지로 인한 통신 신호 세기 저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파지로 인한 통신 신호 세기 저하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에게 통신 제한과 관련된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한 시간별 통신 신호의 세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한 파지 시점을 전후하여 해당 통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폭 이상으로 떨어진 경우 사용자의 파지로 인한 통신 신호 세기 저하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KR1020190075422A 2019-06-25 2019-06-25 통신 신호 저하에 따른 경고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40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422A KR102340191B1 (ko) 2019-06-25 2019-06-25 통신 신호 저하에 따른 경고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422A KR102340191B1 (ko) 2019-06-25 2019-06-25 통신 신호 저하에 따른 경고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399A KR20210000399A (ko) 2021-01-05
KR102340191B1 true KR102340191B1 (ko) 2021-12-16

Family

ID=74140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422A KR102340191B1 (ko) 2019-06-25 2019-06-25 통신 신호 저하에 따른 경고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1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1218A (ja) 2013-09-19 2015-03-30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527B1 (ko) * 2011-06-07 2017-09-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스위칭 방법 및 장치
US9629004B2 (en) * 2014-10-17 2017-04-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dication of wireless signal quality using detected errors in data
KR102456541B1 (ko) * 2016-06-22 2022-10-19 삼성전자 주식회사 Sar 저감을 위한 안테나 스위칭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329925B1 (ko) 2017-08-14 2021-1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4g/5g 동시 등록된 이동 통신 단말을 위한 네트워크 이동시 데이터 동기화 제공 방안
KR102365184B1 (ko) * 2017-08-25 2022-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선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1218A (ja) 2013-09-19 2015-03-30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399A (ko)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32757B (zh) 删除推送消息的方法及相关产品
CN109831689B (zh) 一种数据缓冲方法及移动终端
WO2014201863A1 (en) Volume adjusting method, volume adjus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9431983B2 (en) Volume adjusting method, volume adjus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8990105B (zh) 无线通信传输方法、装置、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取存储介质
CN109168013B (zh) 一种抽帧的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2405608A (zh) 自动音频转换
CN103369094B (zh) 在通话被打断时不影响通讯过程连续性的移动终端
KR20110064339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어폰 장착을 인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3974163A (zh) 耳机兼容方法和装置及移动终端
CN108174407B (zh) 一种通信控制方法及终端
CN108712778B (zh) 信道选择方法及相关产品
CN107318173A (zh) 移动终端与车载系统的数据传输方法及系统
CN103327410A (zh) 移动终端浏览器中视频的播放方法、系统和移动终端
CN106455027A (zh) 一种网络制式调整方法及移动终端
CN111417173B (zh) 断流恢复方法及电子设备
CN107835519B (zh) 通话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2723087B (zh) 多媒体播放方法和装置
CN110891292A (zh) 一种终端自动切换网络方法和装置
CN108449787B (zh) 连接控制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KR102340191B1 (ko) 통신 신호 저하에 따른 경고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7861704A (zh) 播放控制方法、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CN104301235A (zh) 网络流量的控制方法及装置
CN106131892A (zh) 网络接入的控制方法与设备
CN106713642B (zh) 一种基于联系人的穿戴设备控制方法及穿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