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153B1 - Functional pillow - Google Patents

Functional pill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153B1
KR102340153B1 KR1020200169003A KR20200169003A KR102340153B1 KR 102340153 B1 KR102340153 B1 KR 102340153B1 KR 1020200169003 A KR1020200169003 A KR 1020200169003A KR 20200169003 A KR20200169003 A KR 20200169003A KR 102340153 B1 KR102340153 B1 KR 102340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allation space
unit
driving
heating uni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0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희석
Original Assignee
안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희석 filed Critical 안희석
Priority to KR1020200169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15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1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26B3/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 F26B3/08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tributing fluidising gas, e.g. gri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6Temperatur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pillow which allows a user to dry hair while seating the head on the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al pillow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flow passages penetrat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 cushion unit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user's head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flow passages vertically penetrating on the same line as the first flow passages; a heating unit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and heated when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o heat the internal air of the installation space to a set temperature; and a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and turning on/off the driving of the heating unit by a user's operation.

Description

기능성 베개{Functional pillow}Functional pillow {Functional pillow}

본 발명은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베개에 머리부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머리카락을 건조시킬 수 있는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pillow,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nctional pillow in which a user can dry hair while seated on the pillow.

일반적으로 베개는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할 때 사용자의 머리 부위를 받쳐주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숙면을 취하거나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인체 공학적인 형태로 제작된다.In general, a pillow is used to support a user's head when sleeping or resting, and is manufactured in an ergonomic form so that the user can take a deep sleep or take a comfortable rest.

이러한 베개는 섬유 소재 등을 이용해 일측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외피와, 외피의 내부에 충전되고 일정 쿠션력을 갖는 충진재 등으로 구성되는 형태와, 형태 변형 후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도록 형상 기억 소재(메모리폼, 스폰지 등)를 이용한 베개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se pillows have a shape consisting of an outer shell with one side openable and openable using a fiber material, a filling material that is filled inside the outer shell and has a certain cushioning force, and a shape memory material ( Pillows using memory foam, sponges, etc.) are widely used.

그런데, 종래의 베개는 사용자의 머리카락에 수분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베개를 사용하는 경우 수분이 베개에 스며들게 되고, 이로 인해 베개에 얼룩, 곰팡이 등이 발생할 염려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베개의 지지영역은 통풍이 원활하지 않아 수분이 장시간 남아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pillow in a state in which moisture remains in the user's hair in the conventional pillow, moisture permeates into the pillow, thereby causing stains, mold, and the like on the pillow.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area of the pillow supporting the user's head is not well ventilated, moisture remains for a long time, and thus the user feels discomfort.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0380호(2013년 01월 16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기능성 베개가 개시되어 있다.As a prior docu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3-0000380 (January 16, 2013), the prior document discloses a functional pillow.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베개에 머리부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머리카락을 건조시킬 수 있는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pillow that allows a user to dry hair in a state in which the head is seated on the pillow.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는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다수의 제1유로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머리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유로와 동일 선상에 다수의 제2유로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쿠션부와,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전력 전달시 가열되어 상기 설치공간의 내부 공기를 설정온도로 가열하는 히팅부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외부의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히팅부의 구동을 온(ON)/오프(OFF)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formed therein, a plurality of first flow passages penetrating upward and downward, and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user's head, and the first flow passage and A cushion part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second flow paths are formed vertically on the same line, a heating part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and heated when electric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o heat the internal air of the installation space to a set temperature, and the body; It is installed in the external power supply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turning on (ON) / off (OFF) the driving of the heating unit by a user's operation.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외부의 전원 단자와 접속 가능하게 구비되는 충전 단자부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히팅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조작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nd expos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termina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heating unit. It may further include a manipulation unit exposed to one side of the.

또한, 상기 설치공간에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기준온도범위가 기설정되고, 구동 온(ON) 상태에서 상기 온도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측정온도가 상기 기준온도범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히팅부의 구동을 중지시키며, 상기 온도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측정온도가 상기 기준온도범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히팅부의 구동을 재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space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sense a temperature, wherein the control unit has a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range and is driven from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in an ON state. When the transmitted measurement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range, the driving of the heating unit is stopped, and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transmitted from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is low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range, the driving of the heating unit can be resumed.

또한, 상기 본체와 상기 쿠션부의 측부에는 외부로 공기가 상기 설치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나 이상의 유입홀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설치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이 제어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회전중심이 결합되고, 회전시 상기 설치공간의 내부 공기를 상부로 송풍하는 회전 날개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or more inlet holes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cushion part so that air flows into the installation space to the outside, and the driving mo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control driving in the installation space. And, the drive shaft and the rotation center of the driving motor are coupled, and a rotary blade that blows the internal air of the installation space upward during rotation may be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설치공간은 상부에 상기 제2유로가 위치되고, 상기 히팅부가 설치되는 제1공간부 및, 격벽에 의해 상기 제1공간부와 구획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제어부가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space has at least one first space in which the second flow path is located, the first space in which the heating unit is installed, and the first space in the installation space are partitioned by a partition wall, and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control unit are installed. A second space may be formed.

본 발명은 사용자가 누어 있는 상태에서 머리를 말릴 수 있어 취침 전에 머리카락을 말려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취침시 머리카락에 남아있는 수분에 의해 베개가 오염(곰팡이 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므로 안전사고 및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liminate the hassle of drying hair before bedtime because the user can dry the hair while lying down, and prevent the pillow from being contaminated (mould, etc.) by moisture remaining in the hair when sleeping. , since air at a temperature set by the us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safety accidents and fires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충전 단자부 방향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조작부 방향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단열부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단열부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전원 케이블을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압력 감지부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direction of the charging terminal portion of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direction of the operation part of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a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a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ulation of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the insulating portion of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of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the power cable of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essure sensor of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 same,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related known techniqu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충전 단자부 방향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조작부 방향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단열부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direction of the charging terminal part of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the direction of the operation part of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to show. Figure 4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a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eparate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a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ombination for showing the insulation of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 sec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단열부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전원 케이블을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압력 감지부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Figure 7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the insulating portion of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 of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wer cable of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essure sensor of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는 본체(100)와, 쿠션부(200)와, 히팅부(300)와, 제어부(400) 및, 전원 공급부(500)를 포함한다.1 to 10 ,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 a cushion unit 200 , a heating unit 300 , a control unit 400 , and a power supply unit 500 .

본체(100)는 내부에 설치공간(101a)(101b)이 형성되고, 상부에 다수의 제1유로(112)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측부에는 외부로 공기가 설치공간(101a)(101b)으로 유입되도록 하나 이상의 유입홀(130)이 더 형성될 수 있고, 본체(100)는 사용자가 눕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main body 100 has installation spaces 101a and 101b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first flow paths 112 are formed vertically through the upper portion. In addition, one or more inlet holes 130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side of the body 100 so that air flows into the installation spaces 101a and 101b to the outside, and the body 100 move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lays down. can have a length of

설치공간(101a)(101b)은 후술 될 히팅부(300)가 설치되고, 상부에 제1유로(112)가 형성되는 제1공간부(101a) 및, 격벽(121)에 의해 제1공간부(101a)와 구획되고, 후술 될 전원 공급부(500)와 제어부(400)가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공간부(101b)를 형성할 수 있다.The installation spaces 101a and 101b include a first space portion 101a in which a heating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a first flow path 112 formed thereon, and a partition wall 121 . One or more second space portions 101b that are partitioned from 101a and in which a power supply unit 500 and a control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are installed may be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0)는 설치면에 안착되고 일정 넓이를 갖는 하부 몸체(110) 및, 하부 몸체(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몸체(120)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 몸체(120)는 하부 몸체(110)의 상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lower body 110 seated on an installation surface an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an upper body 12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110, The upper body 12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110 to be coupled and detachable.

하부 몸체(110)는 설치면(침대, 방바닥 등)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하부 몸체(110)의 상부에 후술 될 히팅부(300)와 제어부(400)와 구동 모터(610) 및 회전 날개(620)가 설치될 수 있으며, 하부 몸체(110)의 상면에는 상부 몸체(120)의 하단이 대응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요홈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body 110 is a part to be seated on an installation surface (bed, floor, etc.), and a heating unit 300 and a control unit 400, a driving motor 610 and a rotary blade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110 ( 620 may be installed, and a concave groove may b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1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120 can be inserted correspondingly.

여기서, 하부 몸체(110)는 수지 계열, 금속 등의 소재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복합적으로 사용해 제작할 수 있고, 하부 몸체(110)의 하부에는 일정 쿠션력을 갖도록 탄성 소재(고무, 스폰지, 실리콘 등)를 이용한 베이스(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는 탄성 소재를 이용하므로 기능성 베개를 설치면(침대, 방바닥 등)에 안착시키는 경우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Here, the lower body 110 may be manufactured by using one or more of materials such as resin series and metal in combination, and an elastic material (rubber, sponge, silicone, etc.)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body 110 to have a certain cushioning force. ) using a base (not shown) may be combined. Since the base uses an elastic material, the impact can be buffered when the functional pillow is plac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bed, floor, etc.).

상부 몸체(120)는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설치공간은 상부 몸체(120)의 하부로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상부 몸체(120)의 내부에 형성된 설치공간은 격벽(121)에 의해 제1공간부(101a)와 제2공간부(101b)로 구획될 수 있다.The upper body 120 may have an installa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the installation space may be open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120 . In this case, the installation space formed inside the upper body 12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space portion 101a and a second space portion 101b by the partition wall 121 .

또한, 상부 몸체(120)의 상부에 다수의 제1유로(112)가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상부 몸체(120)의 내부에 격벽(1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몸체(120)는 수지 계열, 금속 등의 소재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복합적으로 사용해 제작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flow paths 112 may be vertically form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120 , and a partition wall 121 may be formed inside the upper body 120 , and the upper body 120 . can be manufactured by using one or more of materials such as resin and metal in combination.

제1유로(112)는 설치공간(101a)(101b)의 공기를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유로(112)는 측방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고, 격벽(121)은 제1유로(112)가 형성된 위치와 제1유로(112)가 형성되지 않는 경계 부위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유로(112)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시킬 수도 있다. 즉 격벽(121)에 의해 제1공간부(101a)와 제2공간부(101b)가 구획되어 서로 다른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flow path 112 is for moving the air of the installation spaces 101a and 101b upward, and the first flow path 112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states along the side, and the partition wall 121 .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boundary between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flow path 112 is formed and the portion where the first flow path 112 is not formed, and the first flow path 112 is tapered to gradually increase in diameter toward the bottom. can do it That is, the first space portion 101a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101b may b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121 to form different spaces.

그리고, 하부 몸체(110)의 가장자리측 상단에는 걸림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부(111)는 하부 몸체(110)의 상부로 돌출되고, 하부 몸체(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걸림부(111)의 상단에는 걸림단(111a)이 하부 몸체(110)의 외곽을 향해 수평하게 돌출될 수 있다. 걸림단(111a)의 상단은 하부 몸체(110)의 외곽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locking part 111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edge side of the lower body 110 . The locking part 111 protrudes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body 110 , and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states along the edge of the lower body 110 , and the locking end 111a at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part 111 . It may protrude horizontally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lower body 110 .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end 111a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lower body 110 .

이와 함께, 상부 몸체(120)의 측면에는 걸림부(111)의 걸림단(111a)이 수평하게 삽입되어 걸림 위치될 수 있도록 걸림홈(122)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될 수 있고, 걸림홈(122)은 걸림부(11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At the same time, a locking groove 122 may be horizontally formed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body 120 so that the locking end 111a of the locking part 111 can be horizontally inserted into a locking position, and the locking groove 122 )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ortion 111 .

예를 들어, 하부 몸체(110)의 상부에 상부 몸체(120)를 결합시키는 경우, 상부 몸체(120)의 하단이 걸림단(111a)의 상부 경사면과 밀착되면서 하강되고, 걸림부(111)의 상단이 하부 몸체(110) 방향으로 벤딩됨과 동시에 걸림단(111a)이 걸림홈(122)으로부터 분리된다. 상부 몸체(110)의 하단이 상부 몸체(120)의 상면에 안착되는 경우, 걸림부(111)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고, 걸림단(111a)이 걸림홈(122)에 수평하게 삽입되어 걸림 위치된다.For example, when coupling the upper body 12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110,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120 is lowered whil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inclined surface of the engaging end (111a), the engaging portion (111) The upper end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body 110 and the locking end 111a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122 at the same time. When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11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120 , the engaging portion 111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by its own elastic force, and the engaging end 111a is horizontal to the engaging groove 122 . It is inserted into the jammed position.

이 상태에서는, 걸림홈(122)의 하단이 걸림단(111a)의 하단에 걸림 위치되므로, 상부 몸체(120)가 하부 몸체(110)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하부 몸체(110)의 가장자리측 단부는 상부 몸체(120)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고, 하부 몸체(110)의 가장자리측 상면에 후술 될 쿠션부(200)의 하단이 안착될 수 있다.In this state, since the lower end of the engaging groove 122 is caught at the lower end of the engaging end 111a, the upper body 120 maintains a stat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110 . In this case, the edge-side end of the lower body 110 may have a wider width than the upper body 120 , and the lower end of the cushion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seated on the edge-sid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10 .

반면, 상부 몸체(110)의 외부에서 걸림홈(122)을 통해 노출된 걸림단(111a)을 설치공간(101a)(101b)으로 밀어 넣는 동작으로 걸림홈(122)과 걸림단(111a)의 걸림을 해지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y pushing the engaging end 111a exposed through the engaging groove 122 from the outside of the upper body 110 into the installation spaces 101a and 101b, the engaging groove 122 and the engaging end 111a jam can be cleared.

쿠션부(200)는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머리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쿠션부(200)는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메모리 폼(memory foam), 스폰지(sponge) 등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쿠션부(200)의 소재는 한정하지 않는다.The cushion unit 20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0 to support the user's head, and the cushion unit 200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memory foam using polyurethane or a sponge. However, the material of the cushion unit 200 is not limited.

여기서, 쿠션부(200)에는 제1유로(110)와 동일 선상에 다수의 제2유로(210)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쿠션부(200)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머리부를 대응되게 지지하기 위한 안착홈(220)이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Here, in the cushion unit 200, a plurality of second flow paths 210 are formed vertically and vertically on the same line as the first flow path 1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unit 200 has a corresponding support for the user's head. The seating groove 220 may be concave downwardly.

그리고, 쿠션부(200)의 하면에는 상부 몸체(110)가 대응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체결홈(230)이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쿠션부(200)의 측부에는 외부로 공기가 설치공간(101a)(101b)으로 유입되도록 하나 이상의 유입홀(26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쿠션부(200)의 유입홀(260)은 전술한 상부 몸체(120)의 유입홀(130)과 동일 선상에 형성된다.An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ushion unit 200, a fastening groove 230 is formed concavely to the upper side so that the upper body 110 can be inserted correspondingly, and air to the outside is supplied to the installation space ( One or more inflow holes 260 may be further formed to flow into 101a) and 101b. The inlet hole 260 of the cushion unit 200 is formed on the same line as the inlet hole 130 of the upper body 120 described above.

제2유로(210)는 제1유로(112)를 통해 상부로 이동된 공기를 쿠션부(200)의 상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유로(210)는 제1유로(112)의 상부에 동일 선상으로 배열되고, 제2유로(210)는 측방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The second flow path 210 is for discharging the air moved upward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12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ushion unit 200 , and the second flow path 210 is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low path 112 . They are arranged in the same line, and the second flow passages 210 may be arranged in a state that a plurality of them are spaced apart along the side.

또한, 체결홈(230)의 내측면에는 제1삽입돌기(123)가 대응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삽입홈(240)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상부 몸체(120)의 측면에는 제1삽입홈(240)에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제1삽입돌기(123)가 수평하게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삽입돌기(123)의 돌출된 끝단은 반구, 타원 형태 등으로 돌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nsertion groove 240 may be concave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ing groove 230 so that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23 can be inserted correspondingly, and the first insertion groove 240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body 120 .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23 may protrude horizontally so as to be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groove 240 . Here, the protruding end of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23 may protrude in the form of a hemisphere, an ellipse, or the like.

제1삽입돌기(123)는 상부 몸체(120)의 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나, 제1삽입돌기(123)를 상부 몸체(120)의 측면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형성시킬 수 있다. 제1삽입홈(240)은 체결홈(230)의 내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나, 제1삽입홈(240)을 체결홈(230)의 내측면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23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body 120 , but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23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body 120 . The first insertion groove 240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ing groove 230 , but the first insertion groove 240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ing groove 230 . have.

예를 들어, 상부 몸체(120)의 상부에 쿠션부(200)를 결합시키는 경우, 상부 몸체(120)가 체결홈(230)에 대응되게 삽입되고, 쿠션부(200)의 하단이 제1삽입돌기(123)에 의해 외곽으로 벌어진 후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결합완료 위치까지 하강된다. 이때 쿠션부(200)의 측면이 상부 몸체(120)의 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고, 체결홈(230)의 내주면과 상부 몸체(120)의 외주면이 밀착되며, 제1유로(112)와 제2유로(210)가 수직하게 연결된다.For example, when the cushion unit 20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120 , the upper body 120 is inserted to correspond to the fastening groove 230 , and the lower end of the cushion unit 200 is first inserted. After being spread outward by the protrusion 123, i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by its own elastic force and descends to the combined position. At this time, the side surface of the cushion unit 200 is coupled in a state that surrounds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body 120 ,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groove 23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body 120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flow path 112 and the second The two flow paths 210 are vertically connected.

즉, 제1삽입돌기(123)가 제1삽입홈(240)에 수평하게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걸림 위치되므로, 쿠션부(200)와 상부 몸체(1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1유로(112)의 상단과 제2유로(210)의 하단을 연통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That is, since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123 is horizontally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240 and lo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ushion unit 200 and the upper body 120 can be improved, and the first The upper end of the flow path 112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low path 210 may be maintained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부 몸체(120)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2삽입돌기(124)가 돌출될 수 있고, 체결홈(230)의 상면에는 제2삽입돌기(124)가 대응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2삽입홈(250)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or more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124 may protrud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120 , and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124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groove 230 to correspond to the second insertion. The groove 250 may be concave.

여기서, 제2삽입돌기(124)는 도 8에서처럼 양측에 한 쌍이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삽입돌기(120)의 상단에는 걸림단(124a)이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될 수 있고, 걸림단(124a)의 상단은 상호 반대되는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24 may be installed to correspond to a pair on both sides as shown in FIG. 8 . In this case, the locking end 124a may protrude horizontally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20 , and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end 124a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opposite directions. .

예를 들어, 상부 몸체(120)의 상부에 쿠션부(200)를 결합시키는 경우, 제2삽입돌기(124)의 상단이 제2삽입홈(250)의 내부로 수직하게 삽입된다. 이때 걸림단(124a)의 돌출된 끝단이 제2삽입홈(250)의 내측면을 가압하면서 일정 길이로 삽입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ushion unit 20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120 , the upper end of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24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50 . At this time, the protruding end of the locking end 124a may be inserted to a predetermined length while press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50 .

이 상태에서는, 제2삽입홈(250)에 제2삽입돌기(124)가 수직하게 삽입되어 측방으로 걸림 위치된 상태가 되므로, 쿠션부(200)가 외력에 의해 측방으로 유동되지 않고, 제2삽입돌기(124)의 걸림단(124a)이 제2삽입홈(250)의 내측면을 수평하게 가압하므로 쿠션부(200)가 상부 몸체(120)의 상부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In this state, since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124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50 and is in a laterally locked position, the cushion unit 200 does not flow laterally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second Since the engaging end 124a of the insertion protrusion 124 horizontally presses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50 , the cushion part 200 is not easily separat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120 .

한편, 상부 몸체(120)의 상면과 쿠션부(200)의 사이에는 단열부(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단열부(700)에는 하부의 제1유로(112)와 상부의 제2유로(210)와 연통될 수 있도록 제3유로(710)가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고, 단열부(700)는 열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단열부(700)는 상부 몸체(120)와 쿠션부(200)의 사이에서 열 전달을 차단하므로, 상부 몸체(120)와 접하는 쿠션부(200)가 높은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a heat insulating part 700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120 and the cushion part 200 . A third flow path 710 may be formed vertically through the heat insulating part 700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flow path 112 at the lower part and the second flow path 210 at the upper part, and the heat insulating part 700 is heated. Insulating materials to block transmission may be used. That is, since the heat insulating part 700 blocks heat transfer between the upper body 120 and the cushion part 2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ushion part 200 in contact with the upper body 120 from being damaged by high heat. .

히팅부(300)는 설치공간(110)의 내부에서 하부 몸체(110)의 상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전력 전달시 가열되어 설치공간(110)의 내부 공기를 설정온도로 상승시키기 위한 것으로, 외부에서 전달되는 전력에 의해 발열 가능하도록 열선, 히팅 파이프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The heating unit 30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10 in the interior of the installation space 110, and is heated when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o raise the internal air of the installation space 110 to a set temperature. , it can be manufactured using materials such as a heating wire and a heating pipe so that it can be heated by electric power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여기서, 히팅부(300)는 후술 될 전원 공급부(500)와 제어부(4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하부 몸체(110)의 상면에 결합된 브라켓(310)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히팅부(300)는 하부 몸체(11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heating unit 3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500 and the control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bracket 310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10 . At this time, the heating unit 300 may be install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10).

또한, 히팅부(300)는 원적외선(far infrared ray, 파장 25㎛ 이상)을 발생시키기 위한 세라믹(ceramic) 소재와 결합되거나, 외부에는 세라믹(ceramic) 소재가 코팅될 수 있다. 이 경우 히팅부(300)는 외부로 원적외선을 발산하므로 사용자의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고, 세포조직 생성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세포조직을 활성화하여 노화방지, 신진대사 촉진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ing unit 300 may be combined with a ceramic material for generating far infrared ray (wavelength 25 μm or more) or may be coated with a ceramic material on the outside. In this case, since the heating unit 300 emits far-infrared rays to the outside, it can expand the user's capillaries to promote blood circulation, help to generate cell tissues, and activate cell tissues to prevent aging and promote metabolism. effects can be expected.

제어부(400)는 본체(100)에 설치되어 외부의 전원 공급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히팅부(300)의 구동을 온(ON)/오프(OFF)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400)에는 조작부(4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조작부(410)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본체(100)의 일측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0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upply unit 500, and is to turn on/off the driving of the heating unit 300 by a user's operation. , the control unit 4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410 , and the operation unit 410 may be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one side of the body 100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it.

조작부(410)에는 온(ON)/오프(OFF) 상태, 온도, 시간 등의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411)과, 히팅부(300)를 온(ON)/오프(OFF) 상태, 온도, 시간, 전원 공급부(500)의 충전 상태 등을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 스위치(412) 및, 히팅부(300)의 상태 정보를 외부로 표시(적색, 녹색 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램프(413)가 구비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410 includes a display window 411 for externally displaying information such as an ON/OFF state, temperature, and time, and turning the heating unit 300 ON/OFF in an ON/OFF state. , temperature, time, a plurality of operation switches 412 for selecting the charging state of the power supply unit 500, and the like, and one or more lamps for display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heating unit 300 to the outside (red, green, etc.) 413 may be provided.

즉, 사용자는 조작부(410)의 조작 스위치(412)를 이용해 히팅부(300)의 온도, 구동 시간 등은 선택할 수 있고, 표시창(411)과 램프(413)를 통해 표시되는 히팅부(300)의 상태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can select the temperature, driving time, etc. of the heating unit 300 by using the operation switch 412 of the operation unit 410, and the heating unit 300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window 411 and the lamp 413. status information can be visually checked.

또한, 조작부(410)에는 히팅부(300)와 구동 모터(610)를 모두 구동시키는 가열 모드와, 히팅부(300)의 구동은 중지시키고 구동 모터(610) 만을 구동시키는 송풍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조작 스위치(412)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ipulation unit 410 has a heating mode for driving both the heating unit 300 and the driving motor 610, and a blowing mode fo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heating unit 300 and driving only the driving motor 610. An operation switch 412 may be provided.

아울러, 설치공간에는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부(420)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제어부(400)에는 기준온도범위가 기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space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ing unit 42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00 to sense a temperature, and a reference temperature range may be preset in the control unit 400 .

이때, 제어부(400)는 히팅부(300)의 구동 온(ON) 상태에서 온도 감지부(420)로부터 전달되는 측정온도가 기준온도범위보다 높은 경우 히팅부(300)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반면, 온도 감지부(420)로부터 전달되는 측정온도가 기준온도범위보다 낮은 경우 히팅부(300)의 구동을 재개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400 stops the driving of the heating unit 300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transmitted from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420 in the driving-on state of the heating unit 300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range, whereas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transmitted from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420 is low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range, the driving of the heating unit 300 may be restarted.

또한, 제어부(400)는 히팅부(300)의 구동 온(ON) 상태에서 온도 감지부(420)로부터 전달되는 측정온도가 기준온도범위보다 높은 경우 히팅부(300)와 구동 모터(610)의 구동을 모두 중지시키는 반면, 온도 감지부(420)로부터 전달되는 측정온도가 기준온도범위보다 낮은 경우 히팅부(300)와 구동 모터(610)의 구동을 모두 재개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transmitted from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420 in the driving-on state of the heating unit 300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range, 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the heating unit 300 and the driving motor 610 . While all driving is stopped,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transmitted from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420 is low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range, both driving of the heating unit 300 and the driving motor 610 may be restarted.

즉, 사용자는 제어부(300)의 조작부(410)를 이용해 히팅부(300)의 가열 온도를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히팅부(300)의 가열 온도가 유지될 수 있어 쿠션부(200)의 제2유로(210)를 통해 적정 온도의 공기가 토출될 수 있으며, 히팅부(30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화재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That is, the user can set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300 by using the operation unit 410 of the control unit 300, and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300 can be maintained at the temperature set by the user, so that the cushion unit ( Air of an appropriate temperature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210 of 200 , and the heating unit 30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overheated,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fire.

전원 공급부(500)는 히팅부(300)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이 제어되고, 본체(100)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전원 공급부(500)는 제2공간부(101b)에 설치되어 히팅부(300)와 격벽(121)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500 is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unit 300 ,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00 to control driving, and is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0 . Here, the power supply unit 500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space unit 101b to be partitioned by the heating unit 300 and the partition wall 121 .

또한, 전원 공급부(50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고, 전원 공급부(500)에는 충전 단자부(5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충전 단자부(510)는 본체(100)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외부의 전원 단자(미도시)와 접속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 몸체(110)의 일측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500 may use a rechargeable battery, and the charging terminal unit 5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500 . The charging terminal unit 510 is expos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terminal (not shown), and may be installed in a state exposed to one side of the lower body 110 .

이와 다른 형태로, 전원 공급부(500)는 도 9에서처럼 전원 케이블(C)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전원 케이블(C)은 본체(100)의 외부로 연장되어 외부의 전원 단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전원 케이블(C)의 끝단에는 접속 플러그가 구비될 수 있다.In another form, the power supply unit 5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wer cable (C) as shown in FIG. 9 , and the power cable (C)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includes an external power terminal (not shown) and It may be provided to be electrically connectable, and a connection plug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power cable (C).

한편, 본체(100)의 상부에는 도 10에서처럼 쿠션부(200)의 중량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감지부(430)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제어부(400)에는 기준압력범위가 기설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ressure sensing unit 430 for sensing the weight of the cushion unit 200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s shown in FIG. 10 , and a reference pressure range may be preset in the control unit 400 . .

이때, 제어부(400)는 히팅부(300)의 구동 온(ON) 상태에 압력 감지부(430)로부터 전달되는 측정압력이 기준압력범위보다 작은 경우 히팅부(300)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반면, 압력 감지부(430)로부터 전달되는 측정압력이 기준압력범위 이내인 경우 히팅부(300)와 구동 모터(610)의 구동을 재개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400 stops the driving of the heating unit 300 when the measured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pressure sensing unit 430 in the driving-on state of the heating unit 300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pressure range, whereas When the measured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pressure sensing unit 430 is within the reference pressure range, the heating unit 300 and the driving motor 610 may be restarted.

또한, 제어부(400)는 히팅부(300)의 구동 온(ON) 상태에 압력 감지부(430)로부터 전달되는 측정압력이 기준압력범위보다 작은 경우 히팅부(300)와 구동 모터(610)의 구동을 모두 중지시키는 반면, 압력 감지부(430)로부터 전달되는 측정압력이 기준압력범위 이내인 경우 히팅부(300)와 구동 모터(610)의 구동을 모두 재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easured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pressure sensing unit 430 in the driving-on state of the heating unit 300 is less than the reference pressure range, 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the heating unit 300 and the driving motor 610 . While all driving is stopped, when the measured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pressure sensing unit 430 is within the reference pressure range, both the heating unit 300 and the driving motor 610 may be restarted.

즉, 사용자의 머리부가 쿠션부(200)의 상면에 안착되는 경우에만 히팅부(300)와 구동 모터(610)가 구동되므로, 불필요한 구동을 줄일 수 있어 전기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고, 불필요한 동작에 의해 히팅부(30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화재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That is, since the heating unit 300 and the driving motor 610 are driven only when the user's head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unit 200, unnecessary driving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electrical energy waste, and unnecessary ope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ting unit 300 from being overheated by this,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fire.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누어 있는 상태에서 머리를 말릴 수 있어 취침 전에 머리카락을 말려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취침시 머리카락에 남아있는 수분에 의해 베개가 오염(곰팡이 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므로 안전사고 및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dry their hair while lying down, thereby eliminating the hassle of drying hair before bedtime, and preventing the pillow from being contaminated (mould, etc.) by moisture remaining in the hair at bed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fires because air at the temperature set by the us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various implementation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that do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veyed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at i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oncept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본체 101a: 제1공간부
101b: 제2공간부 110: 하부 몸체
111: 걸림부 111a: 걸림단
112: 제1유로 120: 상부 몸체
121: 격벽 122: 걸림홈
123: 제1삽입돌기 124: 제2삽입돌기
124a: 걸림단 130: 유입홀
200: 쿠션부 210: 제2유로
220: 안착홈 230: 체결홈
240: 제1삽입홈 250: 제2삽입홈
260: 유입홀 300: 히팅부
310: 브라켓 400: 제어부
410: 조작부 411: 표시창
412: 조작 스위치 413: 램프
420: 온도 감지부 430: 압력 감지부
500: 전원 공급부 510: 충전 단자부
610: 구동 모터 620: 회전 날개
700: 단열부 710: 제3유로
A: 공기 C: 전원 케이블
100: body 101a: first space
101b: second space 110: lower body
111: engaging portion 111a: engaging end
112: first flow path 120: upper body
121: bulkhead 122: locking groove
123: first insertion projection 124: second insertion projection
124a: stopping end 130: inlet hole
200: cushion part 210: second flow path
220: seating groove 230: fastening groove
240: first insertion groove 250: second insertion groove
260: inlet hole 300: heating unit
310: bracket 400: control unit
410: control unit 411: display window
412: operation switch 413: lamp
420: temperature sensing unit 430: pressure sensing unit
500: power supply 510: charging terminal unit
610: drive motor 620: rotary vane
700: insulating part 710: third flow path
A: Air C: Power cable

Claims (5)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다수의 제1유로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머리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유로와 동일 선상에 다수의 제2유로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쿠션부;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전력 전달시 가열되어 상기 설치공간의 내부 공기를 설정온도로 가열하는 히팅부;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외부의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히팅부의 구동을 온(ON)/오프(OFF)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와 상기 쿠션부의 측부에는 외부로 공기가 상기 설치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나 이상의 유입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이 제어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축과 회전중심이 결합되고, 회전시 상기 설치공간의 내부 공기를 상부로 송풍하는 회전 날개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본체는 설치면에 안착되는 하부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몸체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 몸체는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하부 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 몸체의 하단이 대응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요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몸체의 하부에는 쿠션력을 갖도록 탄성 소재를 이용한 베이스가 결합되며,
상기 하부 몸체의 가장자리측 상단에는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하부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며, 상기 걸림부의 상단에는 걸림단이 상기 하부 몸체의 외곽을 향해 수평하게 돌출되며, 상기 걸림단의 상단은 상기 하부 몸체의 외곽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 몸체는 내부에 상기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은 상부 몸체의 하부로 개방되며, 상기 상부 몸체의 상부에 상기 제1유로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상부 몸체의 측면에는 상기 걸림부의 상기 걸림단이 수평하게 삽입되어 걸림 위치될 수 있도록 걸림홈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되며,
상기 쿠션부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머리부를 대응되게 지지하기 위한 안착홈이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쿠션부의 하면에는 상기 상부 몸체가 대응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체결홈이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의 내측면에는 제1삽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몸체의 측면에는 상기 제1삽입홈에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제1삽입돌기가 수평하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a body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flow passages formed therethrough vertically;
a cushion part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to support a user's head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flow passages vertically penetrating on the same line as the first flow passage;
a heating unit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and heated when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o heat the internal air of the installation space to a set temperature; and
A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and turning on/off the driving of the heating unit by a user's operation; including,
At least one inlet hole is further formed in the main body and the side of the cushion part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installation space to the outside, and a driving mo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control the driving in the installation space;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and the rotation center are coupled, and a rotary blade for blowing the internal air of the installation space upward during rotation is further provided.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lower body sea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an upper bod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the upper body is provided to be coupled and detachabl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A concave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can be inserted correspondingly, and a base using an elastic material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body to have a cushioning force,
A locking part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edge side of the lower body, the locking part protrudes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lower body, and a plurality of them are arranged in a spaced apart state along the edge of the lower body, and the locking end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part. It horizontally protrudes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end of the engaging end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lower body,
The upper body has the installation space formed therein, the installation space is open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and the first flow path is vertically penetrat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and the hooked side surface of the upper body A locking groove is formed horizontally through so that the locking end of the part can be horizontally inserted and placed in a locking position,
A seating groove for supporting the user's head is formed concave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part, and a fastening groov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ushion part so that the upper body can be inserted correspondingly.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insertion groove is formed concave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ing groove, and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horizontally protrudes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body to correspond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외부의 전원 단자와 접속 가능하게 구비되는 충전 단자부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히팅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조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According to claim 1,
a charging terminal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part and expos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able to connect to an external power supply terminal;
Functional pillow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further comprises a manipulation unit expos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heat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간에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기준온도범위가 기설정되고, 구동 온(ON) 상태에서 상기 온도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측정온도가 상기 기준온도범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히팅부의 구동을 중지시키며, 상기 온도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측정온도가 상기 기준온도범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히팅부의 구동을 재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According to claim 1,
The installation space is further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sense a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stops the driving of the heating unit when a reference temperature range is preset, and the measured temperature transmitted from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in the driving-on stat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range, and is transmitted from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o restart the driving of the heating unit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rang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간은 상부에 상기 제2유로가 위치되고, 상기 히팅부가 설치되는 제1공간부 및,
격벽에 의해 상기 제1공간부와 구획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제어부가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According to claim 1,
The installation space includes a first space in which the second flow passage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and the heating unit is installed;
Partitioned from the first space by a partition wall,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one or more second space in which the power supply and the control unit are installed.
KR1020200169003A 2020-12-04 2020-12-04 Functional pillow KR1023401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003A KR102340153B1 (en) 2020-12-04 2020-12-04 Functional pil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003A KR102340153B1 (en) 2020-12-04 2020-12-04 Functional pillo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153B1 true KR102340153B1 (en) 2021-12-16

Family

ID=79033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003A KR102340153B1 (en) 2020-12-04 2020-12-04 Functional pill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15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3969B1 (en) * 1992-05-04 2000-06-01 최병순 A pillow for air supply
KR100936835B1 (en) * 2009-07-10 2010-01-14 강성원 Pillow typed manual therapeutics equipment for spots on the body suitable for acupuncture
KR101085245B1 (en) * 2011-03-21 2011-11-22 강성원 Manual therapeutics pillow for spots on the body suitable for acupuncture
KR20160142453A (en) * 2015-06-02 2016-12-13 김경숙 Emergency situation detection system using sleep management pillow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3969B1 (en) * 1992-05-04 2000-06-01 최병순 A pillow for air supply
KR100936835B1 (en) * 2009-07-10 2010-01-14 강성원 Pillow typed manual therapeutics equipment for spots on the body suitable for acupuncture
KR101085245B1 (en) * 2011-03-21 2011-11-22 강성원 Manual therapeutics pillow for spots on the body suitable for acupuncture
KR20160142453A (en) * 2015-06-02 2016-12-13 김경숙 Emergency situation detection system using sleep management pillow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4084B1 (en) Wall installation type Foot Dryer for Identifying Human Body
KR101993169B1 (en) Multipurpose chair
US20050015874A1 (en) Warm bath apparatus
KR20190005330A (en) Warm air mattress
KR102340153B1 (en) Functional pillow
US4446855A (en) Foot treatment apparatus
KR100834094B1 (en) Hot water circulation mat
JP5713627B2 (en) Air mat device
KR101261876B1 (en) Controller for heating mat and control method thereo
CN114173616A (en) Portable space heater and surface heating system
KR20010097383A (en) A hot air generator for the korean under-floor heating room
WO2011149208A2 (en) Toilet cover having a poultice function
KR20180086057A (en) Air heater bed mattress
JP4055743B2 (en) Foot bath
KR101899516B1 (en) Equipped with a cold blast furnace feature an air mattress
KR102535500B1 (en) sterilization blower for blowing hot and cold air
CN219406237U (en) Cushion of electric blanket
KR20070000162U (en) Hot water mat
KR102491156B1 (en) Vehicle hot water mat device
KR101610730B1 (en) Heater apparatus for vehicle seat
KR101525119B1 (en) Duplex sauna booth
KR200264840Y1 (en) Far infrared ray emission base
JP4257691B2 (en) Toilet room
JP2012007812A (en) Heating panel
CN206852734U (en) A kind of medical air cush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