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131B1 - 계단실 방화문 유효폭 개선을 위한 경첩 - Google Patents

계단실 방화문 유효폭 개선을 위한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131B1
KR102340131B1 KR1020210072328A KR20210072328A KR102340131B1 KR 102340131 B1 KR102340131 B1 KR 102340131B1 KR 1020210072328 A KR1020210072328 A KR 1020210072328A KR 20210072328 A KR20210072328 A KR 20210072328A KR 102340131 B1 KR102340131 B1 KR 102340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hinge
fire door
bar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호
정명호
Original Assignee
박준호
정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호, 정명호 filed Critical 박준호
Priority to KR1020210072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1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Abstract

본 발명인 계단실 방화문 유효폭 개선을 위한 경첩은 유효폭을 갖는 출입구를 형성하는 문틀의 일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효폭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방화문을 회전시키는 경첩에 있어서, 상기 경첩은 힌지 부재와, 상기 힌지 부재에 서로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는 직교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계단실 방화문 유효폭 개선을 위한 경첩{Hinge for fire door}
본 발명은 계단실 방화문 유효폭 개선을 위한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행법 상으로 규정된 소정의 방화문 유효폭을 침범하지 않고 만족할 수 있도록 방화문을 개폐하도록 안내하는 계단실 방화문 유효폭 개선을 위한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계단실에 설치되는 방화문은 화재시 내부에 물을 흐르게 하여 열기를 차단함과 동시에 문틀과 문 사이의 틈을 밀폐시켜 유독가스가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이러한 방화문은 여닫이 방식으로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여닫이 방식의 계단실에 적용된 방화문의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2는 종래의 여닫이 방식의 계단실에 적용된 방화문의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종래의 방화문은 유효폭을 형성하는 문틀의 일측부에 경첩을 통해 연결된다.
종래의 경첩은 힌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지지판을 갖는다. 이러한 종래의 경첩은 버터플라이 형상의 경첩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방화문은 상기 경첩에 의해 회전이 안내되어 유효폭을 형성하는 출입구 개폐한다.
한편,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하는 피난계단의 구조에 있어서, 현행 규정 상,건축물의 내부에서 계단실로 통하는 출입구의 유효너비는 0.9 미터 이상으로 설정된다.
이러한 출입구에는 피난의 방향으로 열 수 있는 것으로서 언제나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화재로 인한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닫히는 구조로 된 제26조에 따라 갑종 방화문 설치가 규정되며, 건축물의 바깥쪽에 설치하는 피난계단의 구조를 이루어야 함으로 규정됩니다.
더하여, 계단의 유효너비는 0.9미터 이상으로 설정되면, 특별피난계단의 구조의 경우 출입구의 유효너비는 0.9 미터 이상으로 하고 피난의 방향으로 열 수 있을 것으로 규정됩니다.
그러나,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일자 또는 버터플라이 형상의 경첩을 사용하여 방화문이 개방되는 상태에서는 방화문의 타측부가 벽면에 밀착되고, 경첩이 설치된 부분의 방화문의 일측부는 벽면으로터 이격되어 방화문과 벽면이 경사를 이루는 상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방화문의 일측부 내측 모서리와 출입구의 타측 사이가 실제 유효폭을 이루지만, 이는 법으로 규정된 유효폭 이하를 이루게 되는 문제를 갖는다.
즉, 계단실 방화문 규격이 lOOOx2100인 경우 문틀과 문틀간 너비는 0.91 미터이나, 유효폭(문틀과 문짝간 너비)는 0.86 미터로 측정되어, 일자형의 버터플라이 경첩의 경우 문짝을 개방하여도 방화문 두께 만큼 유효폭을 침범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를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4254호(등록일: 2018.06.2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4255호(등록일: 2018.06.2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4253호(등록일: 2018.06.2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4367호(등록일: 2012.07.03)
본 발명은 현행법 상으로 규정된 소정의 방화문 유효폭을 침범하지 않고 만족할 수 있도록 방화문을 개폐하도록 안내하는 계단실 방화문 유효폭 개선을 위한 경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화문이 개방되는 경우 방화문의 외면과 유효폭을 형성하는 벽체와 평행을 이루도록 안내하여 방화문 개방시 일반 통행 또는 화재시 탈출하는 경우 사람들이 방화문의 모서리에 충돌하여 추가적인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계단실 방화문 유효폭 개선을 위한 경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단실 방화문 유효폭 개선을 위한 경첩은 유효폭을 갖는 출입구를 형성하는 문틀의 일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효폭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방화문을 회전시키는 경첩에 있어서, 상기 경첩은 힌지 부재와, 상기 힌지 부재에 서로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는 직교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제 1고정 플레이트와, 제 2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 1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문틀의 일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2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방화문의 일측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힌지 부재에 연결되는 제 1-1고정 부재와, 상기 제 1-1고정 부재의 단부에서 절곡되는 제 1-2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1고정 부재와, 상기 제 1-2고정 부재는 상기 문틀의 일측부에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절곡홈에 고정되고, 상기 제 2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힌지 부재에 연결되는 제 2-1고정 부재와, 상기 제 2-1고정 부재의 단부에서 절곡되는 제 2-2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2고정 부재는 상기 방화문의 일측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2고정 부재의 너비는 상기 방화문의 일측부 측면의 두께에 해당되는 치수를 이루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고정 플레이트의 절곡 형상은 상기 절곡홈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성으로 형성되는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제 1-1고정 부재, 제1-2고정 부재 각각은 서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한 쌍의 판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 2-1고정 부재, 제2-2고정 부재 각각은 서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한 쌍의 다른 판 부재로 구성되어 문틀의 일측 두께 및 방화문의 두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현행법 상으로 규정된 소정의 방화문 유효폭을 침범하지 않고 만족할 수 있도록 방화문을 개폐하도록 안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화문이 개방되는 경우 방화문의 외면과 유효폭을 형성하는 벽체와 평행을 이루도록 안내하여 방화문 개방시 일반 통행 또는 화재시 탈출하는 경우 사람들이 방화문의 모서리에 충돌하여 추가적인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효과들과 아울러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들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여닫이 방식의 계단실에 적용된 방화문에 적용되는 경첩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종래에 실시되는 경첩이 계단실 방화문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실 방화문의 유효폭 개선을 위한 경첩이 방화문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계단실 방화문 유효폭 개선을 위한 경첩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도 3의 일부분을 확대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실시되는 경첩이 계단실 방화문에 적용되어 실시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첩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5에 도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계단실 방화문 유효폭 개선을 위한 경첩은 유효폭(W)을 갖는 출입구를 형성하는 문틀(10)의 일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효폭(W)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방화문(20)을 회전시키는 경첩이다.
본 발명의 경첩은 힌지 부재(100)와, 상기 힌지 부재(100)에 서로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200)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200)는 직교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200) 각각은 제 1고정 플레이트(210)와, 제 2고정 플레이트(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고정 플레이트(210)는, 상기 문틀(10)의 일측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 2고정 플레이트(220)는, 상기 방화문(20)의 일측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 1고정 플레이트(210)는 상기 힌지 부재(100)에 연결되는 제 1-1고정 부재(211)와, 상기 제 1-1고정 부재(211)의 단부에서 절곡되는 제 1-2고정 부재(212)를 구비한다.
상기 제 1-1고정 부재(211)와, 상기 제 1-2고정 부재(212)는 상기 문틀(10)의 일측부에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절곡홈(11)에 고정된다.
상기 제 2고정 플레이트(220)는 상기 힌지 부재(100)에 연결되는 제 2-1고정 부재(221)와, 상기 제 2-1고정 부재(221)의 단부에서 절곡되는 제 2-2고정 부재(222)를 구비한다.
상기 제 2-2고정 부재(222)는, 상기 방화문(20)의 일측부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 2-2고정 부재(222)의 너비는 상기 방화문(20)의 일측부 측면의 두께에 해당되는 치수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고정 플레이트(220)의 절곡 형상은 상기 절곡홈(11)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성된다.
이의 구성을 통해 현행법 상으로 규정된 소정의 방화문 유효폭을 침범하지 않고 만족할 수 있도록 방화문을 개폐하도록 안내할 수 있고, 방화문이 개방되는 경우 방화문의 외면과 유효폭을 형성하는 벽체와 평행을 이루도록 안내하여 방화문 개방시 일반 통행 또는 화재시 탈출하는 경우 사람들이 방화문의 모서리에 충돌하여 추가적인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 1-1고정 부재, 제1-2고정 부재 각각은 서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한 쌍의 판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제 2-1고정 부재, 제2-2고정 부재 각각은 서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한 쌍의 다른 판 부재로 구성되어 문틀의 일측 두께(10a) 및 방화문의 두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첩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고정 플레이트(210)는 홀(311a)이 형성된 제 1고정바(311)와, 제 1가변바(312)를 갖는다. 상기 제 1가변바(312)는 L 형상으로 절곡된다. 제 1가변바(312)의 일단에는 제 1고정바(311)의 홀(311a)에 끼워져 활주되는 가변축(312a)이 형성된다.
상기 제 1가변바(312)의 일단은 회전축 역할을 하는 힌지 부재(100)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고정 플레이트(220)는 홀(321a)이 형성된 제 2고정바(321)와, 제 2가변바(322)를 갖는다. 상기 제 2가변바(322)는 L 형상으로 절곡된다. 제 2가변바(322)의 일단에는 제 2고정바(321)의 홀(321a)에 끼워져 활주되는 가변축(322a)이 형성된다.
상기 제 2가변바(322)의 일단은 회전축 역할을 하는 힌지 부재(100)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 1고정바(311)에는 해당 홀(311a)에 노출되는 제 1기어(G1)가 설치된다. 상기 제 1기어(G1)는 상기 홀에 끼워진 상기 제 1가변바(312)의 가변축(312a)과 기어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에 제 1기어(G1)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 1가변바(312)의 가변축(312a)은 좌우를 따라 이동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고정바(322)에는 해당 홀(321a)에 노출되는 제 2기어(G2)가 설치된다. 상기 제 2기어(G2)는 상기 홀(321a)에 끼워진 상기 제 2가변바(322)의 가변축(322a)과 기어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에 제 2기어(G2)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 2가변바(322)의 가변축(322a)은 좌우를 따라 이동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문틀
20 : 방화문
100 : 린지 부재
200 : 고정 플레이트
210 : 제 1고정 플레이트
220 : 제 2고정 플레이트

Claims (3)

  1. 유효폭을 갖는 출입구를 형성하는 문틀의 일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효폭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방화문을 회전시키는 경첩에 있어서,
    상기 경첩은 힌지 부재와, 상기 힌지 부재에 서로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는 직교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제 1고정 플레이트와, 제 2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문틀의 일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2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방화문의 일측부에 고정되는며,
    상기 제 1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힌지 부재에 연결되는 제 1-1고정 부재와, 상기 제 1-1고정 부재의 단부에서 절곡되는 제 1-2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1고정 부재와, 상기 제 1-2고정 부재는 상기 문틀의 일측부에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절곡홈에 고정되며, 상기 제 2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힌지 부재에 연결되는 제 2-1고정 부재와, 상기 제 2-1고정 부재의 단부에서 절곡되는 제 2-2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2고정 부재는 상기 방화문의 일측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 2-2고정 부재의 너비는 상기 방화문의 일측부 측면의 두께에 해당되는 치수를 이루고, 상기 제 2고정 플레이트의 절곡 형상은 상기 절곡홈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1고정 부재, 제1-2고정 부재 각각은 서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한 쌍의 판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 2-1고정 부재, 제2-2고정 부재 각각은 서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한 쌍의 다른 판 부재로 구성되어 문틀의 일측 두께(10a) 및 방화문의 두께에 따라 조절하고,
    상기 제 1고정 플레이트는 홀이 형성된 제 1고정바와 제 1가변바를 갖고, 상기 제 1가변바는 L 형상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 1가변바의 일단에는 제 1고정바의 홀에 끼워져 활주되는 가변축이 형성되고, 상기 제 1가변바의 일단은 회전축 역할을 하는 힌지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 2고정 플레이트는 홀이 형성된 제 2고정바와 제 2가변바를 갖고, 상기 제 2가변바는 L 형상으로 절곡되며, 제 2가변바의 일단에는 제 2고정바의 홀에 끼워져 활주되는 가변축이 형성되고, 상기 제 2가변바의 일단은 회전축 역할을 하는 힌지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 1고정바에는 해당 홀에 노출되는 제 1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제 1기어는 상기 홀에 끼워진 상기 제 1가변바의 가변축과 기어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2고정바에는 해당 홀에 노출되는 제 2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제 2기어는 상기 홀에 끼워진 상기 제 2가변바의 가변축과 기어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실 방화문 유효폭 개선을 위한 경첩.
  2. 삭제
  3. 삭제
KR1020210072328A 2021-06-03 2021-06-03 계단실 방화문 유효폭 개선을 위한 경첩 KR102340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328A KR102340131B1 (ko) 2021-06-03 2021-06-03 계단실 방화문 유효폭 개선을 위한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328A KR102340131B1 (ko) 2021-06-03 2021-06-03 계단실 방화문 유효폭 개선을 위한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131B1 true KR102340131B1 (ko) 2021-12-15

Family

ID=78865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328A KR102340131B1 (ko) 2021-06-03 2021-06-03 계단실 방화문 유효폭 개선을 위한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1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715Y1 (ko) * 2000-05-08 2000-10-02 우병일 편리한 경첩
KR101164367B1 (ko) 2011-05-11 2012-07-09 박갑환 방화문용 경첩
KR101874254B1 (ko) 2017-08-02 2018-07-03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874253B1 (ko) 2017-08-02 2018-07-03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874255B1 (ko) 2017-08-16 2018-07-03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715Y1 (ko) * 2000-05-08 2000-10-02 우병일 편리한 경첩
KR101164367B1 (ko) 2011-05-11 2012-07-09 박갑환 방화문용 경첩
KR101874254B1 (ko) 2017-08-02 2018-07-03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874253B1 (ko) 2017-08-02 2018-07-03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874255B1 (ko) 2017-08-16 2018-07-03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81779A1 (en) Reversible sliding glass door
KR101520149B1 (ko) 이중 개폐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US20180023335A1 (en) Seamless multi-panel door
KR102340131B1 (ko) 계단실 방화문 유효폭 개선을 위한 경첩
DK0837976T3 (da) Rullegardin til vinduer og döre
KR100667586B1 (ko) 도어의 방음장치
US20070266653A1 (en) Combination window, screen, storm shutter and fire escape
EP3604725B1 (en) Break-in-resistant intelligent sliding enclosure
US6859977B2 (en) Security storm door
KR100943028B1 (ko) 기어방식을 이용한 창호 여닫이 구조
KR20210101569A (ko) 기밀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여닫이 창호
RU2244793C2 (ru) Открываемый защитный элемент типа двери
US6886298B2 (en) Shutter
US6698139B1 (en) Sliding sash window assembly
EP1288390A1 (en) Safety device for opening in slanting roofs
FI101317B (fi) Ovensuljinkytkentä
KR200196645Y1 (ko) 층이 없는 레일은폐형 창호(또는 문)장치
KR0118886Y1 (ko) 방화셔터의 비상문 설치용 경첩
AU2002300001B9 (en) Dual hinged frame
JPH11200722A (ja) 通風機能付きドア
KR20230046519A (ko) 설치가 편리한 도어장치
EP2182158A2 (en) Improved window/door.
KR20220166021A (ko) 무동력 방화 도어 시스템
GB2400131A (en) Door frame with adjustable breadth
KR100592661B1 (ko) 건축용 방음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