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810B1 - Dry ice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Dry ice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810B1
KR102339810B1 KR1020210086290A KR20210086290A KR102339810B1 KR 102339810 B1 KR102339810 B1 KR 102339810B1 KR 1020210086290 A KR1020210086290 A KR 1020210086290A KR 20210086290 A KR20210086290 A KR 20210086290A KR 102339810 B1 KR102339810 B1 KR 102339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end
pellets
block
dry ic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2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우태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콜드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콜드체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콜드체인
Priority to KR1020210086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81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8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50Carbon dioxide
    • C01B32/55Solidif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22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by pressing in moulds or between roll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dry ice product.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capable of producing a block-shaped dry ice product.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S10) a storage step of storing liquid carbonic acid in a tank; (S20) a pelletizing step of cooling and molding the liquid carbonic acid by using a pelletizer to provide pellets; (S30) a block-forming step of forming the pellets into blocks by using a block-forming device including a mold for receiving the pellets and a press for pressurizing the pellets received in the mold; and a post-treatment step (40)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tep of packaging the blocks and a step of refrigerating the blocks.

Description

드라이아이스 제품 제조방법{DRY ICE MANUFACTURING METHOD}Dry ice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DRY IC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드라이아이스 제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 형상의 드라이아이스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드라이아이스 제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ry ice produc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ry ice product capable of manufacturing a block-shaped dry ice product.

드라이아이스란 고체 형태의 이산화탄소를 의미한다. 이러한 드라이아이스는 압력이 1 기압일 때 드라이아이스는 -78.5 ㅀC에서 기체로 승화되며, 다양한 용도의 냉매로 사용된다. 특히 드라이아이스는 부산물을 남기지 않기 때문에, 육류나 아이스크림 같은 냉동 및 냉장 식품을 보관하고 운반하는 데 편리하다.Dry ice refers to carbon dioxide in solid form. When the pressure of this dry ice is 1 atm, the dry ice sublimes to gas at -78.5 °C, and is used as a refrigerant for various purposes. In particular, dry ice does not leave any by-products, so it is convenient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frozen and refrigerated foods such as meat and ice cream.

한편, 드라이아이스는 기체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높은 압력에서 냉각시켜 액체 상태로 만들고, 액체 CO2를 팽창 밸브를 통해 비어있는 용기 속으로 이동시켜 팽창시키면 기화하면서 온도가 급격히 낮아진다. 이때 기체의 46% 정도는 분말 형태 드라이아이스로 만들어진다. 나머지 기체는 배출시키거나 회수하여 재사용한다.On the other hand, dry ice cools gaseous carbon dioxide at a high pressure to make it liquid, moves liquid CO2 into an empty container through an expansion valve to expand it, and then vaporizes and lowers the temperature rapidly. At this time, about 46% of the gas is made of dry ice in powder form. The remaining gas is discharged or recovered and reused.

한편, 종래의 기술인 등록실용신안 제20-0423559호(이하 종래기술)는 드라이아이스 펠렛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드라이아이스를 펠렛 상태로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ior art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23559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ior art) relates to a dry ice pellet manufacturing apparatus, and is for manufacturing dry ice in a pellet state.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에 두 개 이상의 실린더가 각각 구획되어 형성되는 실린더부와 그에 상응하는 피스톤, 사출다이, 크랭크 및 케넥팅 로드를 구비함으로써, 드라이아이스 펠렛을 일정시간에 보다 많이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More specifically, by having a cylinder part formed by dividing two or more cylinders therein and corresponding pistons, injection dies, cranks and connecting rods, it is possible to produce more dry ice pellets in a certain amount of time. have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운반 및 보관 등 취급이 용이한 블록 형상의 드라이아이스 제품으로 제조하지 못한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However,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be manufactured as a block-shaped dry ice product that is easy to handle, such as transport and storag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블록 형상의 드라이아이스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드라이아이스 제품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ry ice product capable of manufacturing a block-shaped dry ice product.

또한 본 발명은 블록 제조 과정에서 펠렛의 비산을 억제하여, 작업 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낭비되는 펠렛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드라이아이스 제품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ry ice product capable of suppressing scattering of pellets during the block manufacturing process, maintaining a clean working environment, and minimizing wasted pellets.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and features.

탱크에 액체 탄산을 보관하는 보관 단계(S10), 펠렛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액체 탄산을 냉각 및 성형하여 펠렛으로 제조하는 펠렛 제조 단계(S20), 상기 펠렛이 수납되는 형틀 및 상기 형틀에 수납된 펠렛을 가압하는 프레스를 포함하는 블록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펠렛을 블록으로 제조하는 블록 제조 단계(S30) 및 상기 블록을 포장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을 냉장 보관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후처리 단계(S40)를 포함한다.A storage step of storing liquid carbonic acid in a tank (S10), a pellet manufacturing step of cooling and molding the liquid carbonic acid using a pellet manufacturing device to produce pellets (S20), a mold in which the pellets are accommodated, and the mold housed in the mold Post-processing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block manufacturing step (S30) of manufacturing the pellets into blocks using a block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a press for pressing the pellets, packaging the blocks, and refrigerated storage of the blocks Step S40 is included.

또한 상기 펠렛 제조장치는 다이 후단에 구비되어 펠렛의 배출 경로를 제공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선단이 상기 배출부의 후단 하부에 배치되고 후단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선단바닥부, 상기 선단바닥부의 후단에 구비되고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며 하향 경사진 후단바닥부, 상기 선단바닥부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된 선단측벽부; 후단바닥부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된 후단측벽부, 및 상기 배출부의 상측부와 접촉하는 연결파트와 상기 연결파트에서 선단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되 상기 배출부의 하측부와 이격되는 이격파트를 포함하는 비산방지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재에 의해 수행되는 펠렛 이송 단계(S25)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llet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es a discharge unit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die to provide a discharge path of the pellets, the front end is disposed below the rear end of the discharge unit, the front end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end, the front end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bottom and a rear end bottom portion that decreases in width toward the rear end and inclined downward, and a front end side wall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each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ront end bottom portion; A rear end side wall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rear end bottom portion, a connecting part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ion, and a spaced part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connecting part to the front end side an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ion It may include a pellet transfer step (S25) carried out by a guide member including a scattering prevention unit that includes.

또한 선단이 상기 블록 제조장치 후단 측에 구비되고, 후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플레이트에 의해 수행되는 블록 이송 단계(S35)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경사플레이트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end is provided on the rear end of the block manufacturing apparatus, and further comprising a block transfer step (S35) performed by an inclined plat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end, wherein the inclined plate may hav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블록 제조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운반 및 보관 등 취급이 용이한 블록 형상의 드라이아이스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has the effect of manufacturing a block-shaped dry ice product that is easy to handle, such as transport and storage, by including the block manufacturing step.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부재에 의해 수행되는 펠렛 이송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펠렛의 비산 및 외부 유출을 억제할 수 있어 펠렛의 낭비를 최소화 하고 작업 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waste of the pellets and keeping the working environment clean by including the pellet transport step performed by the guide member,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scattering and external leakage of the pellets.

또한 본 발명은 통공이 형성된 경사플레이트에 의해 수행되는 블록 이송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블록에 부착된 펠렛을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재료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material waste by including a block transfer step performed by an inclined plate having a through hole, so that the pellets attached to the block can be recovered and reu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제품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펠렛 제조장치 및 가이드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블록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경사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포장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냉동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펠렛 제조장치의 제어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ry ice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ank.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ellet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he guide member.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ock manufacturing apparatus.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clined plate.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ackaging machine.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freezer.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rol panel of the pellet manufacturing apparatus.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mplementation examples (態樣, aspects) (o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used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spect, aspect, aspect) (or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nsists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1~, ~2~, etc.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to be referred to to distinguish that they are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of manufacture, and their names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are may not match.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제품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ry ice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ank.

일반적으로 드라이아이스는 탄산가스(이산화탄소 가스)를 높은 압력에서 냉각하여 냉각된 액체 탄산(액체 상태의 이산화탄소)으로 제조하고, 상기 액체 탄산을 팽창시키면서 일부를 기화시켜 액체 탄산의 나머지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드라이아이스로 제조한다.In general, dry ice is produced by cooling carbon dioxide gas (carbon dioxide gas) at a high pressure to produce cooled liquid carbon dioxide (liquid carbon dioxide), and by absorbing heat from the rest of the liquid carbonic acid by vaporizing some while expanding the liquid carbon dioxide. Made with dry 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제품 제조방법은 블록 형태(형상)의 드라이아이스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방법'이라 칭하기로 한다.The dry ice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manufacturing a block-shaped (shape) dry ice product. Hereinafter, it will be referred to as 'this metho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방법은 보관 단계(S10), 펠렛 제조 단계(S20), 블록 제조 단계(S30) 및 후처리 단계(S40)를 포함한다.1 and 2, the method includes a storage step (S10), a pellet production step (S20), a block production step (S30) and a post-processing step (S40).

보관 단계(S10)는 탱크(1)에 액체 탄산을 보관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체 탄산은 탄산가스를 고압에서 냉각하여 얻어진 액체 상태의 이산화탄소이다.The storage step S10 is a step of storing liquid carbonic acid in the tank 1 . As described above, liquid carbon dioxide is carbon dioxide in a liquid state obtained by cooling carbon dioxide gas at a high pressure.

따라서 상기 탱크(1)는 액체 탄산을 액체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냉동장치 등이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tank 1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refrigeration device or the like to maintain the liquid carbonic acid in a liquid state.

도 3은 펠렛 제조장치 및 가이드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ellet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he guide member.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펠렛 제조 단계(S20)는 펠렛 제조장치(2)를 이용하여 상기 액체 탄산을 냉각 및 성형하여 펠렛으로 제조하는 단계이다.1 and 3, the pellet manufacturing step (S20) is a step for manufacturing pellets by cooling and molding the liquid carbonic acid using the pellet manufacturing apparatus (2).

펠렛 제조장치(2)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펠렛타이저(Pelletizer)(상기 종래기술 참조)와 상응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시적으로 펠렛 제조장치(2)는 냉각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탱크(1)와 연통되는 팽창챔버, 상기 팽창챔버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탱크(1)에서 액체 탄소는 상기한 밸브가 개방됨에 따라 팽창챔버로 이동하는데, 상기 팽창챔버에서 액체 탄산의 부피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일부가 나머지의 열을 흡수하여 기화되면서 나머지가 설상(스노우) 탄산으로 제조된다.Pellet manufacturing apparatus 2 may include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a pelletizer (Pelletizer) (refer to the prior art) commonly used in the field, illustratively the pellet manufacturing apparatus 2 includes a cooling device and an expansion chamber communicating with the tank 1 and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xpansion chamber. That is, the liquid carbon in the tank 1 moves to the expansion chamber as the valve is opened. As the volume of liquid carbonic acid in the expansion chamber rapidly increases, some absorbs the rest of the heat and vaporizes it, leaving the rest on the tongue. (Snow) Made from carbonic acid.

상개 팽창챔버에는 냉각장치(예시적으로 이원 냉동기)를 포함하여, 설상 탄산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The upper expansion chamber may include a cooling device (eg, a binary refrigerator)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snow carbonate.

또한 펠렛 제조장치(2)는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플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다이(금형)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팽창챔버의 설상 탄산을 상기 다이로 압출하여 배출시키는 가압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설상 탄산이 압출되어 상기 다이를 통과함에 따라 상기한 펠렛 형태의 드라이아이스 가공품이 제조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ellet manufacturing apparatus 2 may include a die (mold) including a plate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etc. . That is, as the carbonated tongue is extruded and passed through the die, the dry ice processed product in the form of pellets is manufactured.

또한 펠렛 제조장치(2)는 상기 다이 후단에 구비되어 펠렛의 배출 경로를 제공하는 배출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배출부(21)는 선단이 상기 다이 측에 배치되고 후단 측이 후술하는 선단바닥부(51)의 상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배출부(21)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관 형상일 수 있다.Also, the pellet manufacturing apparatus 2 may include a discharge unit 21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die to provide a discharge path of the pellets. Exemplarily, the discharge part 21 may have a tip disposed on the die side and a rear end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tip bottom part 51 to be described later. Exemplarily, the discharge unit 21 may have a tubular shape with a hollow therein.

여기에서 산단 및 후단은 본 방법에서 이산화탄소(탄산가스, 액체 탄산, 드라이아이스)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본 방법에서 상기한 이산화탄소는 선단에서 후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후술하는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펠렛은 후술하는 비산방지부(55)와 충돌한 후 선단바닥부(51) 까지는 역방향(후단에서 선단 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음).Here, the industrial end and the rear end are based on the movement direction of carbon dioxide (carbon dioxide gas, liquid carbon dioxide, dry ice) in the present method, and in this method, the carbon dioxide may move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below) However, after the pellet collides with the scattering prevention part 55 to be described later, it can move in the reverse direction (from the rear end to the front end side) until the tip bottom part 51).

한편, 상기한 종래기술과 같이 펠렛 형태로 제조된 드라이아이스 가공품은 그 부피가 작아 비산이 용이하여 운반 및 보관 등 취급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dry ice processed product manufactured in the form of pellets as in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handle, such as transport and storage, because the volume is small and scattering is easy.

본 방법은 상기한 펠렛 형태의 드라이아이스 가공품을 블록 형태로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블록 제조 단계(S30)를 포함한다.This method is for manufacturing the dry ice processed product in the form of pellets in a block form, and includes a block manufacturing step (S30).

도 4는 블록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ock manufacturing apparatus.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블록 제조 단계(S30)는 상기 펠렛이 수납되는 형틀(31)(수납함) 및 상기 형틀(31)에 수납된 펠렛을 가압하는 프레스(32)를 포함하는 블록 제조장치(3)를 이용하여 상기 펠렛을 블록 형태의 드라이아이스 제품으로 제조하는 단계이다.1 and 4, the block manufacturing step (S30) is block manufacturing comprising a mold 31 (accommodating box) in which the pellets are accommodated and a press 32 for pressing the pellets accommodated in the mold 31 It is a step of manufacturing the pellets into block-type dry ice products using the device 3 .

예시적으로 형틀(31)은 평면상에서 봤을 때 사각형 형상의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측면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레스(32)는 저면이 상기 바닥판의 형상에 상응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formwork 31 may include a bottom plate having a rectangular shape in plan view and a side plat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bottom plate, and the press 32 may have a bottom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ottom plate. can

상기 프레스(32)는 예시적으로 실린더에 연결되어 승강이동 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스(32)가 측면판 상단이 형성하는 개구를 덮을 경우 내부 공간은 상기 블록의 형상과 상응할 수 있다.The press 32 may be connected to the cylinder to move up and down, for example, and when the press 32 covers the opening formed by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the internal space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lock.

상기 펠렛은 상기 형틀(31)의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프레스(32)가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펠렛을 가압하여 블록 형상의 드라이아이스 제품이 제조된다.The pellets ar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mold 31, and as the press 32 moves downward, the pellets are pressed to produce a block-shaped dry ice product.

이와 같이, 본 방법은 블록 제조 단계(S30)를 포함함으로써, 운반 및 보관 등 취급이 용이한 블록 형상의 드라이아이스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metho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anufacture a block-shaped dry ice product that is easy to handle, such as transport and storage, by including the block manufacturing step ( S30 ).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방법은 펠렛 이송 단계(S25)를 포함할 수 있다. 펠렛 이송 단계(S25)는 펠렛 제조장치(2)에서 제조된 펠렛은 상기한 블록 제조장치(3) 측으로 이송시키는 단계로서, 가이드부재(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1, 3 and 4, the method may include a pellet transfer step (S25). The pellet transfer step (S25) is a step of transferring the pellets manufactured in the pellet manufacturing apparatus 2 to the above-described block manufacturing apparatus 3, and may be performed by the guide member 5.

가이드부재(5)를 자세히 설명하면, 선단이 상기 배출부(21)의 후단 하부 측에 배치되고 후단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선단바닥부(51), 상기 선단바둑부의 후단에 구비되고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며 하향 경사진 후단바닥부(52), 상기 선단바닥부(51)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된 선단측벽부(53) 및 후단바닥부(52)의 일단 및 타단에서 각각 상측으로 돌출 구비된 후단측벽부(54)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guide member 5 is described in detail, the front end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discharge unit 21 and the end bottom 51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end, the front end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Baduk portion, and the width toward the rear end is reduced and inclined downwar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ront end side wall portion 53 and the rear end bottom 52 each protruding upward from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ront end bottom 51, respectively. It may include a rear end side wall portion 54 protruding upward.

예시적으로 상기 블록 제조장치(3)는 호퍼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후단바닥부(52)는 상기 호퍼의 상부 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부(21)에서 배출된 펠렛이 선단바닥부(51)와 후단바닥부(52)를 지나 상기 블록 제조장치(3)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block manufacturing apparatus 3 may include a hopper, and the rear bottom part 52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pper, so that the pellet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art 21 are discharged from the tip bottom part ( 51) and the rear bottom part 52, it can move toward the block manufacturing apparatus (3) side.

여기에서 상기 폭은 일단과 타단간의 거리를 의미하고, 상기 폭이란 상기 펠렛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바닥부(선단바닥부(51)와 후단바닥부(52)) 상에서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width means a distance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and the width mean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bottom part (the tip bottom part 51 and the rear bottom part 52) based on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pellet. can do.

이와 같이, 본 방법은 선단바닥부(51) 및 후단바닥부(52)를 포함하는 가이드부재(5)를 이용하여 펠렛을 블록 제조장치(3) 측으로 이동시키는 펠렛 이송 단계(S25)를 포함하여 펠렛 제조장치(2)에서 제조된 펠렛은 블록 제조장치(3) 측으로 용이하게 운반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s such, the method includes a pellet transfer step (S25) of moving the pellets to the block manufacturing apparatus 3 side by using the guide member 5 including the front end bottom 51 and the rear end bottom 52.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ellets manufactured in the pellet manufacturing apparatus (2) can be easily transported to the block manufacturing apparatus (3) sid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선단측벽부(53) 및 후단측벽부(54)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바닥부 상에 펠렛이 일단 및 타단으로 이동하여 외부(가이드부재(5)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by including the front end side wall part 53 and the rear end side wall part 54, the pellets on the bottom part move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to be separated to the outside (from the guide member 5 to the outside).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한편, 펠렛은 그 부피가 작가 질량도 작기 때문에, 상기 배출부(21)에서 선단바닥부(51)로 낙하할 경우 튕겨서 가이드부재(5) 외측으로 이탈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재(5)는 펠렛의 이탈을 억제하기 위한 구성인 비산방지부(55)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volume of the pellets is small and the mass of the writer is also small, when the pellets fall from the discharge part 21 to the tip bottom part 51, they may bounce off the guide member 5 and escape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guide member 5 may include a scattering prevention part 55 which is a configuration for suppressing the separation of the pellets.

비산방지부(55)는 예시적으로 봉 또는 관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선단바닥부(51) 상에 배치되어 선단바닥부(51)의 법선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The scattering prevention part 55 may be, for example, in a rod or tubular shape, and may be disposed on the tip bottom part 51 to have a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the normal direction of the tip bottom part 51 .

이때 배출부(21)의 상측부(내측 상측면)에 접촉하는 연결파트, 상기 연결파트에서 선단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되 상기 배출부(21)의 하측부와 이격되는 이격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a connection part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inner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unit 21, and a spaced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onnection part to the tip side an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unit 21 may be included.

상술하였듯이 비산방지부(55)는 봉 또는 관 형상일 수 있다고 하였는데, 하단이 상기 선단바닥부(51) 상에 접촉하여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배출부(21)의 내측 중공으로 일부가 삽입되어 내측 상측면과 접촉하고, 중간부가 상기 배출부(21)의 하측부와 이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was said that the scattering prevention part 55 may have a rod or tube shape, and the lower end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tip bottom part 51 , and the upper part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hollow inside of the discharge part 21 to the insid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the middle portion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ion (21).

이를 통해 배출부(21)에서 배출되는 펠렛은 우선 상기 비산방지부(55)와 충돌하여 낙하하되, 배출부(21)에서 후단 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펠렛이 비산방지부(55)와 충돌 후 역 방향인 선단 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선단바닥부(51) 상에 배치되고, 이후에 선단바닥부(51) 상에서 다시금 후단 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rough this, the pellet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21 first collide with the scattering prevention unit 55 and fall, but the pellets moving in the rear end direction from the discharge unit 21 collide with the scattering prevention unit 55 and then reverse It moves in the tip-side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and is disposed on the tip bottom part 51 , and then moves again in the rear-end direction on the tip bottom part 51 .

따라서 후단 측 방향으로 이동하던 펠렛을 정지시킨 후 선단 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펠렛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선단바닥부(51)와 펠렛의 충격 정도를 감소시켜 펠렛의 튀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어, 펠렛이 가이드부재(5) 상에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since the speed of the pellet is reduced by stopping the pellet moving in the rear end direction and then moving it in the front end sid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gree of bouncing of the pellet by reducing the impact level between the tip bottom part 51 and the pellet.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separation from the guide member 5 .

펠렛 이송 단계(S25)를 통해 펠렛 제조장치(2) 측으로 이송된 펠렛은 상기한 호퍼의 배출구로 배출된 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형틀(31)의 내측 공간으로 수납될 수 있다.The pellets transferred to the pellet manufacturing apparatus 2 through the pellet transfer step (S25) are discharged to the outlet of the hopper, and then receiv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ormwork 31 by a horizontal transfer means that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수평이송수단은 예시적으로 유체실린더, 유체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구비되는 이동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horizontal transport means may include, for example, a fluid cylinder, a moving plate provided at the rod end of the fluid cylinder, and the like. Since this is commonly used in the relevant fiel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동판이 이동함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펠렛은 상기 형틀(31)의 상부 개구(측면판이 형성하는 개구)측을 통해 형틀(31)의 내측 공간으로 수용되거나, 상기 바닥판이 실린더에 연결되어 승강이동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이 하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이동판에 의해 상기 펠렛이 상기 바닥판과 측면판 사이로 이동하고, 이후에 상기 바닥판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형틀(31)의 내측 공간으로 수용될 수 있다.As the moving plate moves, the pellets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accommoda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orm 31 through the upper opening (opening formed by the side plate) of the form 31, or the bottom plate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to move up and down. After the bottom plate moves downward, the pellets move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side plate by the moving plate, and then the bottom plate moves upward to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old 31 have.

상기한 구성은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펠렛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틀(31)의 내측 공간으로 수용될 수 있다.The above configura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and the pellets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orm 31 in various ways.

이후에 상술하였듯이 블록 제조 단계(S30)에서 프레스(32)가 하측으로 이동하며 펠릿이 압축 성형되어 블록으로 제조된다.Thereafter, as described above, in the block manufacturing step (S30), the press 32 moves downward and the pellets are compression molded and manufactured into blocks.

도 5는 경사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clined plate.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방법은 선단이 상기 블록 제조장치(3)의 후단 측에 구비되고, 후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플레이트에 의해 수행되는 블록 이송 단계(S35)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이송 단계(S35)에서 상기 경사플레이트(6)의 후단에는 컨베이어가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블록 이송 단계(S35)는 경사플레이트(6) 및 상기 컨베이어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블록 이송 단계(S35)에서 블록 형상의 드라이아이스 제품은 후단 측으로 이송되어 후술하는 포장기(41) 또는 냉동고(42) 등으로 이동될 수 있다.1 and 5 , the method may include a block transfer step (S35) performed by an inclined plate having a front end provid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block manufacturing apparatus 3, and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end. have. A conveyor may be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inclined plate 6 in the block transfer step (S35), and thus the block transfer step (S35) may be performed by the inclined plate 6 and the conveyor. In the block transfer step ( S35 ), the block-shaped dry ice product may be transferred to the rear end and moved to the packaging machine 41 or the freezer 42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한 경사플레이트(6)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통공(61)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61 formed to pas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clined plate 6 described above.

이를 통해 블록이 경사플레이트(6) 상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며, 블록에 부착되어 있는 펠릿이 상기 통공(61)을 관통하여 경사플레이트(6) 하측으로 낙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블록으로 형성되지 않은 펠릿을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rough this, the block moves downward on the inclined plate 6, and the pellets attached to the block penetrate the through hole 61 and fall to the lower side of the inclined plate 6, through which the pellets are not formed into blocks.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recovered and reused.

도 6은 포장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냉동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ackaging machine, and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reezer.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후처리 단계(S40) 블록을 포장하는 단계(이하 포장 단계) 및 블록을 냉장 보관하는 단계(이하 냉장보관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1, 6 and 7, the post-processing step (S40) includes at least one of a step of packaging a block (hereinafter a packaging step) and a step of refrigerated storage of the block (hereinafter, a cold storage step).

상기 포장 단계는 포장기(41)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포장기(41)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인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packaging step may be performed by the packaging machine 41, and the packaging machine 41 is conventional in the relevant field, an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냉장보관 단계는 냉동고(4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refrigeration storage step may be performed by the freezer 42 .

도 8은 펠렛 제조장치의 제어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rol panel of the pellet manufacturing apparatus, Figure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펠렛 제조장치(2)는 제어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8 and 9, the pellet manufacturing apparatus 2 may include a monitoring unit including a terminal for outputting control state information in real time.

상기한 제어 상태 정보는 예시적으로 팽창챔버 내부의 압력, 온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출력되는 제어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한 후, 상기 펠렛 제조장치(2)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The above-described control state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pressure, temperature, etc. inside the expansion chamber. After checking the control state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monitoring unit in real time, the user can control the pellet manufacturing apparatus (2).

한편, 출력된 단말기 화면에서 특정 부분을 확대하여 자세히 보고자 할 상황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출력된 단말기 화면에서 온도를 표시한 부분(예시적으로 도 9에서 "A" )를 더욱 크게 확대하여 보고자 할 경우 온도를 표시한 부분이 포함되는 영역을 확대할 필요성이 요구된다.On the other hand, a situation in which a specific part is enlarged and viewed in detail on the output terminal screen is required. For example, if you want to enlarge and view a portion (eg, “A” in FIG. 9 ) in which the temperature is displayed on the output terminal screen, it is necessary to enlarge the area including the portion in which the temperature is displayed.

특히 노안의 노인들에게는 출력되는 화면에서 특정 영역을 확대할 필요성이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In particular, the need to enlarge a specific area on an output screen is more necessary for the elderly with presbyopia.

상기와 같은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는 단말기 화면에서 선택된 영역(Z3)을 확대 화는 확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가 설치될 수 있다.In order to satisfy the above requirements, a client including an enlarged interface for enlarging the selected area Z3 on the terminal screen may be installed in the terminal.

종래에는 특정 영역을 확대하고자 하는 경우 터치스크린(단말기 화면)을 여러번 두들기거나 두 개의 손가락(예를 들어 엄지와 검지)으로 터치스크린을 터치한 상태에서 두 개의 손가락의 거리를 조절하여 화면 크기를 조절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Conventionally, when you want to enlarge a specific area, you can increase the screen size by tapping the touch screen (terminal screen) several times or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wo fingers while touching the touch screen with two fingers (for example, thumb and index finger). control method was used.

터치스크린을 여러번 두들기는 경우 확대하여 보고자 하는 부분뿐만 아니라 다른 부분도 확대되기 때문에, 확대하여 확인하고자 하는 부분을 한 화면에서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화면을 이동시키는 동작이 수반되어야 했다.When the touch screen is tapped several times, not only the part to be enlarged but also other parts are enlarged, so it is often not possible to check the part to be enlarged and checked on one screen.

또한 두 개의 손가락으로 터치스크린을 터치한 상태에서 두 개의 손가락의 거리를 조절하는 경우 단말기(예시적으로 스마트폰 등)를 파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l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grip a terminal (eg, a smart phon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fingers is adjusted while the touch screen is touched with two fingers.

상기 확대 인터페이스는 종래의 방식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확대하여 보고자 하는 영역을 한 화면에 출력 가능하도록 하되, 손가락 한 개만을 터치하여 확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enlargement interface is design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ethod, so that an area to be enlarged can be output on one screen, but enlarged by touching only one finger.

확대 인터페이스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확대 인터페이스는 상기 단말기 화면에서 처음 터치된 시작점(Z1)을 출력하고, 상기 시작점(Z1)에서 드래그(단말기 화면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 등을 이동) 되는 경우 드래그 경로를 따라 점선(Z11)을 출력한다(도 9의 [A] 참조).To describe the magnification interface in more detail, the magnification interface outputs the first touched starting point Z1 on the terminal screen, and dragging it when dragged (moving a finger, etc. while touching the terminal screen) at the starting point Z1. A dotted line Z11 is output along the path (refer to [A] in FIG. 9).

또한 상기 확대 인터페이스는 상기 시작점(Z1)에서 드래그(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손가락 등이 화면을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 된 이후 상기 시작점(Z1)이 다시 터치 되지 않은 상태에서 터치가 해제(단말기 화면을 손가락 등으로 터치하지 않은 상태)된 경우 상기 점선(Z11)의 후단에 재클릭 아이콘(Z2)을 출력할 수 있다(도 9의 [B] 참조).In addition, after the zoom interface is dragged from the starting point Z1 (a finger touching the touch screen is dragged while touching the screen), the touch is released in a state where the starting point Z1 is not touched again (the terminal screen is touched). When the touch is not performed with a finger or the like), the re-click icon Z2 may be output at the rear end of the dotted line Z11 (see [B] of FIG. 9 ).

또한 상기 확대 인터페이스는 재클릭 아이콘(Z2)이 기 설정된 시간(예시적으로 약 3초)을 초과하여 터치된 경우 상기 점선(Z11)을 따라 실선을 출력(Z12)할 수 있다(도 9의 [B] 참조).In addition, the enlarged interface may output a solid line Z12 along the dotted line Z11 when the re-click icon Z2 is touch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eg, about 3 seconds) (see [ in FIG. 9 ). B]).

상기 점선(Z11)을 따라 실선(Z12)으로 출력됨으로써, 확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이용자는 재클릭 아이콘(Z2)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터치 되었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점선(Z11)을 따라 실선(Z12)이 출력될 때까지 재클릭 아이콘(Z2)을 터치하면 되는 것이다.By outputting a solid line Z12 along the dotted line Z11, a user using the enlarged interface can visually confirm whether the re-click icon Z2 has been touch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That is, it is enough to touch the re-click icon Z2 along the dotted line Z11 until a solid line Z12 is output.

만약 재클릭 아이콘(Z2)이 생성되지 않거나, 상기 재클릭 아이콘(Z2)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터치되지 않을 경우, 출력된 점선(Z11)은 삭제될 수 있다.If the re-click icon Z2 is not generated or the re-click icon Z2 is not touch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the output dotted line Z11 may be deleted.

이후에 상기 확대 인터페이스는 상기 재클릭 아이콘(Z2)에서 드래그(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손가락 등이 화면을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 되는 경우 드래그 경로를 따라 실선(Z12)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시작점(Z1)에서 드래그 되는 경우 드래그 경로(제1 드래그 경로)를 따라 점선(Z11)이 출력되고, 상기 재클릭 아이콘(Z2)에서 드래그 되는 경우 드래그 경로(제2 드래그 경로)를 따라 실선(Z12)이 출력되는 것이다(도 9의 [B] 참조).Thereafter, the enlarged interface may output a solid line Z12 along a drag path when dragged from the re-click icon Z2 (a finger touching the touch screen is dragged while touching the screen). That is, when dragged from the starting point Z1, a dotted line Z11 is output along the drag path (first drag path), and when dragged from the re-click icon Z2, along the drag path (second drag path) A solid line Z12 is output (refer to [B] of FIG. 9 ).

이후에 상기 확대 인터페이스는 상기 재클릭 아이콘(Z2)에서 드래그 되어 상기 시작점(Z1)이 터치 되는 경우 실선(Z12)이 형성하는 공간을 상기 선택된 영역(Z3)으로 설정하고, 상기 선택된 영역(Z3)을 기 설정된 배율만큼 확대시킬 수 있다(도 9의 [C] 참조).Afterwards, the enlarged interface is dragged from the re-click icon Z2 and when the starting point Z1 is touched, the space formed by the solid line Z12 is set as the selected area Z3, and the selected area Z3 can be enlarged by a preset magnification (see [C] of FIG. 9 ).

예시적으로 상기 기 설정된 배율은 상기 출력 단말의 화면에서 상기 선택된 영역(Z3)이 한 화면에 출력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상기 선택된 영역(Z3)이 최대 크기가 되는 배율일 수 있다.Exemplarily, the preset magnification may be a magnification at which the selected region Z3 has a maximum size within a limit in which the selected region Z3 can be output on one screen of the screen of the output terminal.

상기 선택된 영역(Z3)이 확대되어 출력된 상태에서, 비선택 영역(Z4)이 터치된 경우, 선택된 영역(Z3)이 확대되기 이전 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다.When the non-selected area Z4 is touched while the selected area Z3 is enlarged and output, the screen before the selected area Z3 is enlarged may be returned.

이와 같이, 확대 인터페이스는 한 개의 손가락만으로 특정 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는데, 터치 및 드래그 동작으로 확대하고자 하는 영역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확대하고자 하는 영역을 이용자가 정확히 설정할 수 있으며, 한 화면에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As such, the magnification interface can enlarge a specific area with only one finger. Since the area to be enlarged can be set by touch and drag operations, the user can accurately set the area to be enlarged and output it on one screen. may be

뿐만 아니라, 확대 인터페이스는 상기 재클릭 아이콘(Z2)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해야만 점선(Z11)을 따라 실선(Z12)이 출력되고, 이러한 실선(Z12)을 통해 상기 선택된 영역(Z3)이 특정되기 때문에, 의도치 않은 동착으로 단말기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단말기에서 출력된 화면의 일부분이 확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magnification interface, a solid line Z12 is output along a dotted line Z11 only when the re-click icon Z2 is touched for a preset time, and the selected area Z3 is specified through this solid line Z12. For this reas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part of the screen output from the terminal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nlarged when the terminal screen is touched due to unintentional attachment.

이와 같이 의도치 않은 동작으로 단말기를 터치하여도 단말기 화면에서 출력된 일부분이 확대되지 않기 때문에 시작점(Z1)을 생성하기 위한 별도의 개시 아이콘이 필요치 않으며, 따라서 개시 아이콘을 동작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작이 필요치 않아, 확대하고자 하는 부분을 보다 쉽게 특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s such, even when the terminal is touched with an unintentional operation, a separate start icon for generating the starting point Z1 is not required because the part output on the terminal screen is not enlarged, and thus a separate operation for operating the start icon is not required. Since it is not necessar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art to be enlarged can be more easily specified.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탱크: 1 펠렛 제조장치: 2
배출부: 21 블록 제조장치: 3
형틀: 31 프레스: 32
포장기: 41 냉동고: 42
가이드부재: 5 선단바닥부: 51
후단바닥부: 52 선단측벽부: 53
후단측벽부: 54 비산방지부: 55
경사플레이트: 6 통공: 61
Tank: 1 Pellet Maker: 2
Discharge: 21 Block Maker: 3
Form: 31 Press: 32
Packing Machine: 41 Freezer: 42
Guide member: 5 Tip bottom: 51
Bottom bottom: 52 Front side wall: 53
Rear end side wall: 54 Anti-shattering part: 55
Inclined plate: 6 Holes: 61

Claims (4)

탱크에 액체 탄산을 보관하는 보관 단계(S10);
펠렛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액체 탄산을 냉각 및 성형하여 펠렛으로 제조하는 펠렛 제조 단계(S20);
상기 펠렛이 수납되는 형틀 및 상기 형틀에 수납된 펠렛을 가압하는 프레스를 포함하는 블록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펠렛을 블록으로 제조하는 블록 제조 단계(S30); 및
상기 블록을 포장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을 냉장 보관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후처리 단계(S40);
를 포함하고,
상기 펠렛 제조장치는 다이 후단에 구비되어 펠렛의 배출 경로를 제공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선단이 상기 배출부의 후단 하부에 배치되고 후단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선단바닥부, 상기 선단바닥부의 후단에 구비되고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며 하향 경사진 후단바닥부, 상기 선단바닥부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된 선단측벽부; 후단바닥부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된 후단측벽부, 및 상기 배출부의 상측부와 접촉하는 연결파트와 상기 연결파트에서 선단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되 상기 배출부의 하측부와 이격되는 이격파트를 포함하는 비산방지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재에 의해 수행되는 펠렛 이송 단계(S2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아이스 제품 제조방법.
Storage step of storing liquid carbonic acid in the tank (S10);
A pellet manufacturing step (S20) of cooling and molding the liquid carbonic acid using a pellet manufacturing apparatus to produce pellets;
Block manufacturing step (S30) of manufacturing the pellets into blocks using a block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a press for pressing the pellets accommodated in the mold and the pellets accommodated in the mold; and
A post-processing step (S40)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step of packaging the block and the step of refrigerated storage of the block;
including,
The pellet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es a discharge unit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die to provide a discharge path of the pellets,
The front end is disposed below the rear end of the discharge unit and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end, the rear end bottom portion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ront end bottom part and the width decreases toward the rear end and is inclined downward, respectively,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ront end bottom a tip side wall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A rear end side wall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rear end bottom portion, a connecting part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ion, and a spaced part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connecting part to the front end side an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ion Pellet transport step (S25) carried out by a guide member including a scattering prevention section including;
Dry ice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선단이 상기 블록 제조장치 후단 측에 구비되고, 후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플레이트에 의해 수행되는 블록 이송 단계(S35);
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경사플레이트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아이스 제품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lock transfer step (S35) having a front end provided on the rear end of the block manufacturing apparatus, and performed by an inclined plat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end;
further comprising,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dry ice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plate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펠렛 제조장치는 제어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단말기 화면에서 선택된 영역을 확대하는 확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가 설치되고,
상기 확대 인터페이스는 상기 단말기 화면에서 처음 터치된 시작점을 출력하고, 상기 시작점에서 드래그 되는 경우 드래그 경로를 따라 점선을 출력하고, 상기 시작점이 터치 되지 않은 상태에서 터치가 해제된 경우 상기 점선의 후단에 재클릭 아이콘을 출력하고, 상기 재클릭 아이콘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터치된 경우 상기 점선을 따라 실선을 출력하고, 상기 재클릭 아이콘에서 드래그 되는 경우 드래그 경로를 따라 실선을 출력하고, 상기 재클릭 아이콘에서 드래그 되어 상기 시작점이 터치 되는 경우 실선이 형성하는 공간을 상기 선택된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선택된 영역을 기 설정된 배율만큼 확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아이스 제품 제조방법.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pellet manufactur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monitoring unit including a terminal for outputting control state information in real time,
The terminal is installed with a client including an enlarged interface for enlarging the selected area on the terminal screen,
The enlarged interface outputs a starting point touched for the first time on the terminal screen, outputs a dotted line along a drag path when dragged from the starting point, and returns to the rear end of the dotted line when the touch is released while the starting point is not touched Outputs a click icon, and outputs a solid line along the dotted line when the re-click icon is touch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and outputs a solid line along a drag path when the re-click icon is dragged from the re-click icon A dry ice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tarting point is touched by being dragged in the , a space formed by a solid line is set as the selected area, and the selected area is enlarged by a preset magnification.
KR1020210086290A 2021-07-01 2021-07-01 Dry ice manufacturing method KR1023398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290A KR102339810B1 (en) 2021-07-01 2021-07-01 Dry ice manufactu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290A KR102339810B1 (en) 2021-07-01 2021-07-01 Dry ice manufactur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810B1 true KR102339810B1 (en) 2021-12-15

Family

ID=78865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290A KR102339810B1 (en) 2021-07-01 2021-07-01 Dry ice manufactur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81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493B1 (en) * 2022-01-11 2022-09-07 주식회사 무한상사 Method for manufacturing dry ice
KR102550211B1 (en) * 2023-03-28 2023-06-30 (주)빅텍스 Dry ice nugget automatic manufacturring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019A (en) * 2001-03-14 2002-09-19 김선근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ry ice pellet
KR20080004089A (en) * 2006-07-04 2008-01-09 이재혁 Apparatus for making refrigerant from lco2
KR20140124591A (en) * 2013-04-17 2014-10-27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ry ice bloc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019A (en) * 2001-03-14 2002-09-19 김선근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ry ice pellet
KR20080004089A (en) * 2006-07-04 2008-01-09 이재혁 Apparatus for making refrigerant from lco2
KR20140124591A (en) * 2013-04-17 2014-10-27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ry ice block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ouTube video (https://youtu.be/JExAHW1B88Y) *
유튜브 동영상(https://youtu.be/JExAHW1B88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493B1 (en) * 2022-01-11 2022-09-07 주식회사 무한상사 Method for manufacturing dry ice
KR102550211B1 (en) * 2023-03-28 2023-06-30 (주)빅텍스 Dry ice nugget automatic manufacturr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9810B1 (en) Dry ice manufacturing method
CN109573337B (en) Frozen food logistics transport packaging box
KR101458769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ry ice block
KR100984302B1 (en) Refrigerator
CN104822290B (en) Cosmetics containers
KR101533708B1 (en) A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dryice
KR10241801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dryice
CN104351455A (en)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ice cream on a stick and machine for making and dispensing a liquid or semiliquid product for making ice cream on a stick
JP3769681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foam molding material
KR20160049326A (en) A piston member and machine for manufacturing dry ice containing the same
CN208751348U (en) Cold recovery equipment in a kind of dry ice production process
JP2007254253A (en) Manufacturing device and method of block-shaped dry ice
CN209505000U (en) A kind of cuber of plastic waste
KR100793547B1 (en) Apparatus for making Refrigerant from LCO2
JP5092048B2 (en) Gas hydrate pellet manufacturing equipment
KR101621464B1 (en) Dry ice manufacturing device
KR20160039366A (en) Device for manufacturing dry ice and dry ice vending machine containing the same
CN209452479U (en) A kind of comprehensive utilization process equipment of bamboo and wood class solid waste
RU2619029C2 (en) Holder for liquid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holder
JPH0154629B2 (en)
CN110228664A (en) A kind of packing case
US6354102B1 (en) Freezing device for supercooled water
KR101153749B1 (en) Automatic Injection Apparatus of CO2 for Refrigerant And Automatic Injection Method Thereof
JP6999988B1 (en) Dry ice pellet manufacturing equipment and dry ice pellet manufacturing method
KR100857561B1 (en) Kimchi refrigerator instituted a auto moving apparatus of rice storage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