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666B1 - Docking ramp of boarding bridge - Google Patents
Docking ramp of boarding brid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9666B1 KR102339666B1 KR1020210009416A KR20210009416A KR102339666B1 KR 102339666 B1 KR102339666 B1 KR 102339666B1 KR 1020210009416 A KR1020210009416 A KR 1020210009416A KR 20210009416 A KR20210009416 A KR 20210009416A KR 102339666 B1 KR102339666 B1 KR 1023396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aircraft
- docking
- scaffold
- hin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embarking or disembarking passengers
- B64F1/305—Bridges extending between terminal building and aircraft, e.g. telescopic, vertically adjustable
- B64F1/3055—Bridges extending between terminal building and aircraft, e.g. telescopic, vertically adjustable with hinged head interface between aircraft and passenger bridg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005—Movable bridges in general ; Constructional elements peculiar to movable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01D15/124—Folding or telescopic bridges; Bridges built up from folding or telescopic se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항공기용 탑승교의 도킹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승객이나 수하물의 움직임에 따라 항공기의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발판의 수평을 맞춰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cking ramp of a boarding bridge for an aircraft,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capable of leveling a footrest even if an aircraft shak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 passenger or baggage.
공항에서는 승객들의 안전한 탑승을 위해 탑승교(boarding bridge)가 사용된다. 즉 탑승교는 터미널과 항공기를 임시적으로 연결해주는 다리로서, 탑승교를 통해 승객들은 날씨에 영향 받지 않고 안전하고 편리하게 왕래할 수 있게 된다.In airports, boarding bridges are used for safe boarding of passengers. In other words, the boarding bridge is a bridge that temporarily connects the terminal and the aircraft. Through the boarding bridge, passengers can come and go safely and conveniently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weather.
탑승교는 사람이 이동 가능한 통로를 형성하며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호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다수의 구획된 통로를 갖는 터널(tunnel)과, 터널이 항공기의 위치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 내지 기둥의 기능을 하는 로툰다(rotunda)와, 항공기의 크기 및 출입문의 위치에 따라 터널을 승하강 시키는 리프트칼럼(lift column)과, 터널에 대하여 회전 운동이 가능하며 항공기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통로를 형성하는 캐빈과, 캐빈과 항공기 사이에서 틈새를 없애고 항공기에 직접 접촉되어 충격을 완화시키는 도킹램프로 구성된다.The boarding bridge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a person can move and has a tunnel having a plurality of partitioned passages that can slide each other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and the function of a rotating shaft or column so that the tunnel can rotat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aircraft. A rotunda to move the tunnel, a lift column to elevate the tunnel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ircraft and the position of the door, and a cabin that can rotate with respect to the tunnel and forms a passage in the direction facing the aircraft; It is composed of a docking lamp that eliminates the gap between the cabin and the aircraft and mitigates the impact by directly contacting the aircraft.
그러나 항공기가 지상에 주기된 상태라 하더라도, 승객이나 수하물이 오르고 내릴 때 충격이 발생하게 되는데, 심한 경우 발판이 갑자기 기울어지며 승객의 안전에 위협을 줄 수 있다.However, even when the aircraft is parked on the ground, shocks occur when passengers or luggage ascend and descend.
또한 항공기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도킹램프가 접촉하게 되는 탑승구는 높이와 방향이 다양하다. 이때 탑승구의 높이 차이만 있을 경우에는 리프트칼럼의 높이 조절을 통해 터널부터 도킹램프까지 완만한 경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면 된다. 반면 높이 차이는 물론 도킹 방향에서까지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캐빈의 회전을 통해 도킹램프가 탑승구에 도킹될 수 있도록 할 수는 있으나, 이미 터널과 캐빈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도킹램프가 추가로 회전을 해야 하기 때문에 도킹램프의 발판 좌우에서 높이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즉 발판의 전후방 기울어짐은 보행에 큰 지장을 주지 않지만, 좌우 기울어짐의 경우에는 사람의 균형 감각을 잃게 하여 안전 보행에 위협을 주게 된다.Also, depending on the size and type of aircraft, the height and direction of the boarding gate that the docking lamp comes into contact with vary. At this time, if there is only a difference in the height of the boarding gate, a gentle slope from the tunnel to the docking ramp can be made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ift column.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difference in height as well as in the docking direction, the docking lamp can be docked to the boarding gate through the rotation of the cabin. Therefore, there is a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 of the footrest of the docking lamp. That is, the forward and backward tilting of the footrest does not significantly impede walking, but in the case of left and right tilting, a person loses a sense of balance and threatens safe walking.
한편, 탑승교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69328호(2014.03.06.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로툰다형 탑승교') 등이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boarding bridge, there is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369328 (2014.03.06. 'Height-adjustable rotunda-type boarding bridge') and the lik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항공기 탑승시 승객과 수하물의 움직임에 따라 유동이 발생하더라도 승객의 안전한 보행이 가능토록 하는 항공기용 탑승교의 도킹램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a docking ramp for a boarding bridge for an aircraft that enables safe walking of passengers even when flow occur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passengers and baggage when boarding an aircraft. it has its purpose
또한, 도킹 높이와 방향을 함께 조절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좌우 기울어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항공기용 탑승교의 도킹램프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docking ramp of a boarding bridge for an aircraft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left and right inclination that may occur as the docking height and direction are adjusted togeth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용 탑승교의 도킹램프는, 캐빈의 출구 바닥에 설치되는 발판프레임; 상기 발판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프레임; 상기 힌지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항공기의 동체에 밀착되는 범퍼를 갖는 슬라이딩프레임; 상기 힌지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 상기 힌지프레임을 측방향 이동시키는 측방조절실린더; 및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이 상기 힌지프레임에 대하여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하는 전후조절실린더; 및 상기 힌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항공기의 동체에 밀착되어 상기 항공기의 기울어짐 각도를 감지하는 오토레벨러;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실린더는 상기 오토레벨러에서 감지되는 항공기의 기울어짐에 대응하여 상기 힌지프레임을 승강시킬 수 있다.Docking lamp of the boarding bridge for aircr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scaffold frame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exit of the cabin; a hinge frame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scaffold frame; a sliding frame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hinge frame and has a bumper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aircraft; an elevating cylinder for elevating the hinge frame; a lateral control cylinder for lateral movement of the hinge frame; and a front and rear adjustment cylinder for drawing out or retracting the sliding frame with respect to the hinge frame. and an auto-leveler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hinge fram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uselage of the aircraft to detect an angle of inclination of the aircraft; including, wherein the elevating cylinder corresponds to the inclination of the aircraft detected by the auto-leveler Thus, the hinge frame can be raised and lowered.
여기서, 상기 발판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평형조절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형조절실린더는 서로간의 로드 인출 높이 차이가 일정 수준 이상 발생하여 상기 발판프레임의 좌우 기울어짐이 발생하였을 시, 상기 발판프레임이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작동할 수 있다.Here, balance control cylinders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caffolding frame;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balance control cylinders have a difference in rod withdrawal height between each other at a certain level or more, and when left and right inclination of the scaffolding frame occurs, the It can be operated to make the scaffolding frame level.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용 탑승교의 도킹램프는 복수의 실린더를 제어하여 항공기의 탑승구에 정확하게 접촉할 수 있다. 즉 승강실린더를 통해 도킹 부분에서의 높이를 미세 조절할 수 있고, 평형조절실린더를 통해 좌우 방향 기울어짐을 보정해 줄 수 있으며, 측방조절실린더를 통해 통로의 측방향 미세 조절이 가능하고, 전후조절실린더를 통해 접근 거리 차이를 보완해 줄 수 있다.The docking ramp of the boarding bridge for an aircr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a plurality of cylinders to accurately contact the boarding gate of the aircraft. That is, the height at the docking part can be finely adjusted through the elevating cylinder, the left and right inclination can be corrected through the balance control cylinder,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passage can be finely adjusted through the side control cylinder, and the front-rear control cylinder This can compensate for the difference in the approach distance.
이때 제어수단은 도킹램프가 항공기와 도킹이 이루어질 때 발판프레임, 힌지프레임 및 슬라이딩프레임이 최적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안전한 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도킹이 완료된 이후에는 오토레벨러를 통해 항공기 동체의 기울어짐을 실시간으로 파악한 후 실린더를 추가로 제어하여 도킹램프가 항상 평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means ensures safe walking by making the scaffold frame, hinge frame and sliding frame form an optimal angle when the docking ramp is docked with the aircraft. After grasping as , it is possible to further control the cylinder so that the docking lamp always maintains the equilibrium state.
더불어 항공기의 탑승구의 높이 차이와 방향 차이로 인해 의도치 않게 발판프레임이 기울어졌을 경우 발판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된 평형조절실린더가 작동하여 기울어짐을 보정해 줄 수 있어서, 탑승객에게 항상 안전한 보행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caffolding frame is inadvertently tilted due to the difference in height and direction of the boarding gate of the aircraft, the balance control cylinder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caffolding frame operate to compensate for the tilt, providing a safe walking environment for passengers at all times. can mak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램프가 적용된 항공기용 탑승교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항공기용 탑승교의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도킹램프의 측면도.
도5는 도3에 도시된 도킹램프에서 힌지프레임과 측방조절실린더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도3에 도시된 도킹램프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7은 도3에 도시된 도킹램프에서 발판프레임의 좌우 기울어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8은 도3에 도시된 도킹램프에서 힌지프레임의 승강과 하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9는 도3에 도시된 도킹램프에서 힌지프레임의 측방향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10은 도3에 도시된 도킹램프에서 슬라이딩프레임의 전진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11은 높이 차이에 따른 탑승교의 도킹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12는 높이 차이와 방향 회전에 따른 탑승교의 도킹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13은 도3에 도시된 도킹램프에서 발판덮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14는 도13에서 발판덮개의 기능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1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boarding bridge for an aircraft to which a docking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boarding bridge for the aircraft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docking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docking lamp shown in Figure 3;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hinge frame and the side control cylinder in the docking lamp shown in FIG.
Figure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docking lamp shown in Figure 3;
7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the left and right inclination of the footrest frame in the docking lamp shown in FIG.
8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hinge frame in the docking ramp shown in 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lateral movement of the hinge frame in the docking ramp shown in FIG.
Figure 10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forward movement of the sliding frame in the docking ramp shown in Figure 3;
1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docking state of a boarding bridge according to a height difference.
1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docking state of a boarding bridge according to a height difference and direction rotation;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footrest cover in the docking lamp shown in Figure 3;
Figure 1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functional operation of the footrest in Figure 13;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ome components irrelevant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but the omitted configuration is not necessarily a configuration that is not necessary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will be used in combina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램프가 적용된 항공기용 탑승교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항공기용 탑승교의 측면도이다.1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boarding bridge for an aircraft to which a docking lamp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of the boarding bridge for an aircraft shown in FIG.
먼저 도1 및 도2를 참고하면 탑승교는 로툰다(10), 고정터널(30), 확장터널(40), 리프트칼럼(50), 드라이브유닛(60), 캐빈(70) 및 도킹램프(100)를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boarding bridge is a
로툰다(10)는 로툰다칼럼(20)에 지지되고 터미널 또는 터널과 연결되어 도킹 방향을 전환하여 이동통로를 연결시켜주는 구성이다. 즉 도1 및 도2에 도시된 로툰다(10) 이전에 별도의 터널이 연결될 수도 있고 터미널이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The
고정터널(30)은 일단이 로툰다(10)에 연결되고 타단이 확장터널(40)에 연결되어 통로를 형성하며, 확장터널(40)은 일단이 고정터널(30)에 연결되고 타단이 캐빈(70)에 연결되어 통로가 연장되도록 한다. 확장터널(40)은 고정터널(3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실시하기에 따라 하나 이상의 확장터널(40)이 이후 단에 더 연결될 수도 있다.The
리프트칼럼(50)은 항공기(300)의 크기나 탑승구(310)의 위치에 따라 터널(30,40)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마련되며, 드라이브유닛(60)은 리프트칼럼(50)을 지지한 채로 지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터널(30,40)의 길이와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도2의 (a) 및 (b)와 같이 드라이브유닛(60)의 이동에 따라 터널(30,40)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The
확장터널(40)과 도킹램프(100)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캐빈(70)은 확장터널(40)에 대하여 회전 운동하여 도킹램프(100)가 항공기(300)와 마주보도록 방향을 전환시킨다.The
도킹램프(100)는 캐빈(70)과 항공기(300)의 탑승구(31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도1 및 도2에 도시된 탑승교에서 로툰다(10), 터널(30,40) 리프트칼럼(50), 드라이브유닛(60) 및 캐빈(70)의 구성은 기존의 탑승교의 구성과 크게 다르지 않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킹램프(100)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토록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4는 도3에 도시된 도킹램프의 측면도이며, 도5는 도3에 도시된 도킹램프에서 힌지프레임과 측방조절실린더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6은 도3에 도시된 도킹램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docking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of the docking lamp shown in FIG. 3, and FIG. 5 is a hinge frame and a side adjustment cylinder in the docking lamp shown in FIG. FIG.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docking lamp shown in FIG. 3 .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램프(100)는 크게 발판프레임(110), 힌지프레임(170), 서포트프레임(140), 슬라이딩프레임(190), 오토레벨러(210) 및 복수의 실린더(121,122,160,180,200)를 포함한다.3 to 6, the
발판프레임(110)은 캐빈(70)의 출구 바닥면에서 연장된 캐빈발판(71)으로부터 연장되는 판 형상이며, 이후단에 도킹램프(100)의 나머지 구성들이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즉 발판프레임(110)은 도킹램프(100)의 전체 구성이 캐빈(70)에 지지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발판프레임(110)은 캐빈발판(71)에 직접 연결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충격이나 경사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독립적인 움직임을 갖도록 설치된다.The
즉 캐빈(70)의 출구 양측에는 캐빈(70)에서 연장 지지되는 형태의 베이스프레임(80)이 마련되어 있고, 양측 베이스프레임(80)의 사이 공간에 발판프레임(110)이 설치된다. 이때 발판프레임(110)은 캐빈발판(71)이나 베이스프레임(80)에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아니하며, 일정 각도 기울어짐이 가능하도록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이다.That is, the
이러한 발판프레임(110)의 하부 양측에는 평형조절실린더(121,122)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항공기(300)에서 캐빈(70)을 바라보았을 시 발판프레임(110)의 좌측 하부에 설치된 것을 제1평형조절실린더(121)라 하고, 우측 하부에 설치된 것을 제2평형조절실린더(122)라고 명칭하도록 한다.
평형조절실린더(121,122)의 실린더본체는 캐빈(70) 출구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캐빈(70)에 고정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80)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평형조절실린더(121,122)에서 실린더본체 상부로 돌출된 로드는 각각 발판프레임(110)의 양측 하부와 연결되어 있다.The cylinder bodies of the
따라서 발판프레임(110)은 캐빈발판(71)이나 베이스프레임(80)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은 아니지만, 평형조절실린더(121,122)에 의해 베이스프레임(80)에 지지되는 형태이다. 따라서 평형조절실린더(121,122)의 로드 돌출 길이에 따라 발판프레임(110)은 캐빈발판(71)이나 베이스프레임(80)에 간섭받지 않고 자유롭게 경사각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Therefore, the
한편 발판프레임(110)이 캐빈발판(71)에 간섭받지 않고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발판프레임(110)에서 캐빈발판(71)을 향한 양쪽 모서리 부분은 일부 절개를 하여 경사진 형태가 이루어지도록 설계하였다. 따라서 캐빈발판(71)과 발판프레임(110) 사이에는 틈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틈을 막아주기 위해 발판덮개(91,92)가 설치된다.Meanwhile, in order for the
즉 항공기(300)에서 캐빈(70)을 바라보았을 시 발판프레임(110)의 좌측 틈에는 제1발판덮개(91)가 설치되고, 우측 틈에는 제2발판덮개(92)가 설치된다. 발판덮개(91,92)는 캐빈발판(71)과 발판프레임(110) 사이의 제거된 공간 형태에 대응하여 대략 삼각형 모양으로 제작되며, 일측변이 캐빈발판(71)에 경첩(93)으로 결합되어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발판덮개(91,92)에서 발판프레임(110)을 향한 부분은 발판프레임(110) 위에 올려진 상태이다. 따라서 발판덮개(91,92)는 한쪽이 캐빈발판(71)에 경첩(93)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발판프레임(110)의 움직임에 따라 자유롭게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발판프레임(110)이 움직이더라도 발판덮개(91,92)는 항상 캐빈발판(71)과 발판프레임(110) 사이의 틈을 막아주어 승객의 발이 빠지지 않게 해준다.That is, when the
힌지프레임(170)은 발판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힌지프레임(170)은 샤프트(130)를 매개로하여 발판프레임(110)과 연결된다. 즉 발판프레임(110) 측면 양쪽에는 샤프트지지브라켓(112)이 마련되어 있고, 샤프트(130)의 양단이 양쪽 샤프트지지브라켓(11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The
또한 힌지프레임(170)의 일측에는 샤프트(130)가 관통되는 샤프트연결커버(171)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샤프트(130)를 매개로하여 힌지프레임(170)이 발판프레임(110)에 대한 회전 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힌지프레임(170)의 샤프트연결커버(171)에 샤프트(130)가 관통된 상태이기 때문에 힌지프레임(170)은 샤프트(130)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는 발판프레임(110)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In addition, a
이렇게 힌지프레임(170)이 발판프레임(11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해 발판프레임(110)과 힌지프레임(170) 사이에 승강실린더(160)가 설치되고, 샤프트(130)와 힌지프레임(170) 사이에는 서포트프레임(140)과 측방조절실린더(180)가 설치된다.In this way, the
먼저 발판프레임(110)의 하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프레임(111)이 마련되어 있다. 연장프레임(111)의 하부에는 승강실린더(160)의 실린더본체가 브라켓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승강실린더(160)의 로드는 서포트프레임(1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First, an
서포트프레임(140)은 힌지프레임(170)과 직접 결합된 구성은 아니며, 측방조절실린더(180)를 지지하고, 승강실런더의 작동에 따라 힌지프레임(170)을 가압하여 상승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보다 구체적으로 서포트프레임(140)은 측면이 'ㄴ' 형태로 제작되며, 일측 상부에는 샤프트연결부(141)가 형성되어 샤프트(130)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 상부에는 슬라이드플레이트(150)가 설치되어 슬라이드플레이트(150)를 통해 힌지프레임(170)의 저면과 밀착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또한 서포트프레임(140)에서 슬라이드플레이트(150)가 설치된 부분과 샤프트연결부(141)가 형성된 부분의 사이에는 측방조절실린더(180)가 브라켓을 통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측방조절실린더(180)는 로드가 누워 있는 형태로 설치되며, 로드의 끝단이 힌지프레임(170)의 저면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측방조절실린더(180)의 로드 인출에 따라 힌지프레임(170)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between the part where the
여기서 서포트프레임(140)은 샤프트연결부(141)를 통해 샤프트(130)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측방조절실린더(180)의 작동에 따라 힌지프레임(170)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는, 샤프트연결커버(171)가 샤프트(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힌지프레임(170)이 측방향 이동할 시 서포트프레임(14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그런데 서포트프레임(140)은 승강실린더(160)와도 연결되어 있어서, 승강실린더(160)의 로드 인출에 따라 힌지프레임(170)을 밀어 올리는 역할도 수행해야 한다. 즉 서포트프레임(140)은 힌지프레임(170)을 가압하여 힘을 전달하면서도, 동시에 힌지프레임(170)이 측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위치를 유지한 채 측방조절실린더(180)를 지지하고 있어야 한다.Here, the
이를 위해 서포트프레임(140)과 힌지프레임(170)이 밀착되는 부분에 슬라이드플레이트(150)가 설치되는 것이다. 슬라이드플레이트(150)는 서로 다른 구성을 연결시키되 상호간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토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슬라이드플레이트(150)의 상부와 하부에 접촉 연결된 구성들은 접촉면을 향한 힘의 전달은 가능하지만, 어느 하나가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는 다른 구성과 별개로 작동하게 된다.To this end, the
보다 구체적으로 힌지프레임(170)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힌지프레임브라켓(172)이 일정 길이로 연장 설치되어 있고, 양쪽 힌지프레임브라켓(172)을 횡단하는 형태로 사각프레임 형태의 실린더지지부(173)가 연결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이러한 구조에서 슬라이드플레이트(150)의 상부는 힌지프레임(170)의 실린더지지부(173)와 접촉하고 있고, 하부는 서포트프레임(140)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서포트프레임(140)에 승강실린더(160)의 가압력이 전달되면 실린더지지부(173)를 포함한 힌지프레임(170) 전체를 상부로 밀어올리게 되고, 측방조절실린더(180)가 작동하면 서포트프레임(140)은 샤프트(130)와 함께 고정된 상태에서 힌지프레임(170) 전체가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드플레이트(150)에 의해 서포트프레임(140)과 실린더지지부(173) 사이에서도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진다.In this structure, the upper portion of the
한편 힌지프레임(170)의 일측 측면에는 오토레벨러(210)가 설치되어 있다. 오토레벨러(210)는 항공기(300) 동체에 접촉한 상태에서 항공기(300) 동체의 유동에 따른 기울어짐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샤프트(211) 및 디스크(212)를 포함한다.Meanwhile, an
샤프트(211)는 힌지프레임(170)의 측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에 의해 작동하여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항공기(300)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샤프트(211)의 종단에 디스크(212)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디스크(212)는 항공기(300)의 동체에 밀착된 상태에서 동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함으로써, 항공기(300) 동체의 기울어짐 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오토레벨러(210)의 구성으로 샤프트(211)와 디스크(212)를 설명하였으나, 이 외에도 오토레벨러(210)는 힌지프레임(170)의 측면에 고정되고 샤프트(211)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프레임이나, 샤프트(21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나, 샤프트(211)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스프링이나, 디스크(212)의 회전에 따른 각도 산출을 위한 센서 또는 리미트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슬라이딩프레임(190)은 힌지프레임(17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항공기(300) 방향으로 인출되거나, 힌지프레임(170) 방향으로 인입됨으로써 보행 통로의 길이를 확장시키고 항공기(300)의 동체에 밀착 고정되는 구성이다.The sliding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프레임(190)은 힌지프레임(170)의 저면에서 힌지프레임(170)의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딩프레임(190)과 힌지프레임(170)의 양측 접촉부에는 구름바퀴가 설치되어 상호간의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토록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프레임(190)의 전방, 즉 힌지프레임(170)의 반대쪽 방향이자, 항공기(300)의 탑승구(310)를 향한 방향의 측면에는 범퍼(192)가 설치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liding
범퍼(192)는 도킹램프(100)의 슬라이딩프레임(190)이 항공기(300)의 동체에 밀착될 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 범퍼(192)는 슬라이딩프레임(190)의 종단을 따라 길게 연장된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범퍼(192)가 상하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범퍼(192)와 슬라이딩프레임(190)이 사이에는 범퍼세팅플레이트(191)가 설치된다. 범퍼세팅플레이트(191)은 슬라이딩프레임(190)의 측면과 밀착되는 판 형상에서 상단과 하단을 범퍼를 향하여 일정각도 절곡시킨 구조이며, 절곡된 부분에 의해 범퍼(192)가 상하 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범퍼(192)와 범퍼세팅플레이트(191)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슬라이딩프레임(190)에 고정 설치된다.The
슬라이딩프레임(190)이 힌지프레임(170)에 대하여 진출입하기 위해 전후조절실린더(200)가 설치된다. 즉 전후조절실린더(200)의 실린더본체는 힌지프레임(170) 저면의 실린더지지부(173)에 고정되고, 전후조절실린더(200)의 로드가 슬라이딩프레임(190)의 저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전후조절실린더(200)가 작동하면 힌지프레임(170)은 고정된 상태에서 슬라이딩프레임(190)이 힌지프레임(170)에 대하여 인출 또는 인입 작동하게 된다.In order for the sliding
한편 힌지프레임(170)과 슬라이딩프레임(190)의 상부에는 우천 시 비를 막아주는 레인커버(미도시)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드레일(미도시)이 마련되어 있으며, 실시하기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지는 형태의 후드(미도시)가 설치되어 탑승구(310)와 캐빈(70)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가려줄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 rain cover (not shown) that blocks rain in case of rain and a handrail (not shown) that the user can hold ar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램프(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process of the
먼저 도7은 도3에 도시된 도킹램프에서 발판프레임의 좌우 기울어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7은 항공기(300)에서 캐빈(70) 방향으로 발판프레임(110)을 바라본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rst,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left and right inclination of the footrest frame in the docking lamp shown in FIG. 3 . More specifically, FIG. 7 conceptually illustrates a view of the
만약 캐빈(70)과 항공기(300) 사이에 기울어짐이 없다면 도7의 (a)와 같이 발판프레임(110)은 수평 상태를 이루게 될 것이다. 또한 발판프레임(110)과 캐빈발판(71) 사이를 덮어주는 발판덮개(91,92) 역시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f there is no inclination between the
반면 캐빈(70) 또는 항공기(300)가 기울어진 상태라면, 도7의 (b)나 (c)와 같이 발판프레임(110)도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즉 도7의 (b)에서는 발판프레임(110)이 좌측으로 기울어져서 제1평형조절실린더(121)의 로드는 실린더본체에 인입되었고, 제2평형조절실린더(122)의 로드는 인출된 상태이다. 이 경우에도 제1발판덮개(91)는 발판프레임(110)의 좌측 부분 하강에 따라 함께 하강하면서 틈을 가려주게 되고, 제2발판덮개(92)는 발판프레임(110)의 우측 부분 상승에 따라 함께 상승하면서 틈을 가려주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도7의 (c)에서는 발판프레임(110)이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이며 평형조절실린더(121,122)와 발판덮개(91,92)의 상태는 도7의 (b)와 반대 상태가 된다.In (c) of FIG. 7, the
이렇게 발판프레임(11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그 상부를 밟고 지나가는 보행자의 안전을 담보해 줄 수가 없다. 즉 인간의 신체 구조상 전후 방향 기울어짐은 보행에 큰 지장을 주지 않지만, 좌우 방향 기울어짐은 균형 감각을 잃게 하여 넘어짐의 위험이 있다.In this way, in a state in which the
따라서 실린더들(121,122,160,180,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미도시)에서는 제1평형조절실린더(121)와 제2평형조절실린더(122)의 로드 인출 거리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양쪽 로드의 인출 거리 차이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것이 확인되면, 즉시 평형이 맞춰질 수 있도록 평형조절실린더(121,122)를 작동시킨다. 즉 제어수단이 평형조절실린더(121,122)의 로드 인출 거리 차이를 확인한 결과 도7의 (b)와 같은 기울어짐이 발생한 것이 확인되었다면 제1평형조절실린더(121)의 로드는 인출시키고, 제2평형조절실린더(122)의 로드는 인입시킴으로써 도7의 (a)와 같이 발판프레임(110)이 평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control means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s (121, 122, 160, 180, 200) grasps the rod withdrawal distance of the first
도8은 도3에 도시된 도킹램프에서 힌지프레임의 승강과 하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8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hinge frame in the docking ramp shown in FIG.
항공기(300)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탑승구(310)의 높이도 서로 다르다. 물론 대략적인 높이는 리프트칼럼(50)을 통해 탑승교 전체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킹램프(100)는 탑승구(310) 하단에 정확하게 밀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도킹 직전에 정밀한 높이 조절이 추가로 이루어져야 한다. 즉 도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프레임(190)이 항공기(300)의 탑승구(310)에 거의 다다른 상태에서 제어수단이 승강실린더(160)의 로드를 인출시키거나 인입시킴으로써 서포트프레임(140)이 실린더지지부(173)를 포함한 힌지프레임(170) 전체를 밀어올리거나 내리도록 한다. 이에 따라 힌지프레임(170)에 결합된 슬라이딩프레임(190)도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정확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진 후 슬라이딩프레임(190)을 전진시키면, 도8의 (b)와 같이 슬라이딩프레임(190) 종단에 설치된 범퍼(192)가 탑승구(310) 아래쪽에 정확히 밀착하게 된다.The height of the
또한 슬라이딩프레임(190)이 전진하여 범퍼(192)가 탑승구(310)의 하단에 밀착되고나면, 도8의 (b)와 같이 제어수단이 오토레벨러(210)의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샤프트(211)가 항공기(300)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한다. 오토레벨러(210)의 샤프트(211)가 회전하여 디스크(212)가 항공기(300)의 동체에 밀착되고 나면 액츄에이터의 작동이 멈추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sliding
도9는 도3에 도시된 도킹램프에서 힌지프레임의 측방향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9의 (a)는 도킹램프(100)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9의 (b)는 항공기(300) 방향에서 캐빈(70) 방향을 바라보았을 시 측방조절실린더(180)의 모습을 바라본 도면이다.9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lateral movement of the hinge frame in the docking ramp shown in FIG. More specifically, Fig. 9 (a) is a view of the
도킹램프(100)가 항공기(300)의 탑승구(310)에 접근하였으나, 수평위치가 약간 맞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이 측방조절실린더(180)의 로드를 인출시켜 힌지프레임(170)이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거나, 로드를 인입시켜 힌지프레임(170)이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여 진입 위치를 맞춰줄 수 있다.Although the
이때 측방조절실린더(180)의 실린더본체는 서포트프레임(140)에 고정된 상태이고, 서포트프레임(140)은 샤프트연결부(141)를 통해 샤프트(130)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샤프트(130)와 서포트프레임(140)의 고정된 상태에서 힌지프레임(170)과 이에 연결된 슬라이딩프레임(190)만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cylinder body of the
도10은 도3에 도시된 도킹램프에서 슬라이딩프레임의 전진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10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forward movement of the sliding frame in the docking ramp shown in FIG.
즉 도킹램프(100)가 항공기(300)의 탑승구(310)에 접근한 이후에는 제어수단이 전후조절실린더(200)를 작동시켜 슬라이딩프레임(190)이 힌지프레임(170)에 대하여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범퍼(192)가 항공기(300)의 동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한다.That is, after the
한편 슬라이딩프레임(190)이 항공기(300)를 향하여 전진함으로써 범퍼(192)가 항공기(300)의 동체에 밀착되고 나면, 제어수단은 오토레벨러(210)를 통해 항공기(300) 동체의 흔들림이나 기울어짐을 감지한 후 각각의 실린더들을 제어하여 도킹램프(100)가 항상 평형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liding
즉 승객과 화물이 터널(30,40)을 지나 도킹램프(100)를 통해 항공기(300)의 탑승구(310)로 드나들 때 충격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항공기(300)의 동체가 기울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범퍼(192)가 항공기(300)에 밀착하고 있기 때문에 도킹램프(100) 전체가 함께 기울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수단은 오토레벨러(210)의 디스크(212) 회전량을 통해 항공기(300) 동체의 기울어짐 각도를 산출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1평형조절실린더(121), 제2평형조절실린더(122), 승강실린더(160)를 제어함으로써 발판프레임(110), 힌지프레임(170) 및 슬라이딩프레임(190)을 포함하는 도킹램프(100) 전체의 기울어짐 각도를 보정해줄 수 있다.That is, when passengers and cargo pass through the
이때 제어수단은 항공기(300) 동체가 일정 각도 미만(예컨대 3도 미만)으로 기울어질 경우에는 실린더(121,122,160)의 제어를 통해 각도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일정 각도를 초과(예컨대 3도 초과)하는 기울어짐에 대해서는 리프트칼럼(50)의 제어를 통해 터널(30,40)과 도킹램프(100) 전체의 각도가 보정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body of the
한편 도7을 통해 발판프레임(110)의 좌우 기울어짐 현상과 이를 보완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 바 있다. 도7과 같이 발판프레임(110)이 기울어지게 되면, 발판프레임(110)에 연결된 힌지프레임(170)과 슬라이딩프레임(190)까지 모두 기울어지게 된다. 이러한 기울어짐 현상은 도킹램프(100)가 항공기(300)에 도킹된 상태에서 항공기(300)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탑승구(310)의 높이나 터미널과의 방향이 교묘하게 어긋나 있을 경우에도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도11 및 도12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Meanwhile, the left and right inclination of the
도11은 높이 차이에 따른 탑승교의 도킹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12는 높이 차이와 방향 회전에 따른 탑승교의 도킹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1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docking state of a boarding bridge according to a height difference, and FIG. 1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docking state of a boarding bridge according to a height difference and direction rotation.
먼저 도11의 (a)를 참조하면, 항공기(300)의 탑승구(310) 높이가 터미널이나 로툰다(10)의 높이와 거의 일치할 경우 터널(30,40)부터 도킹램프(100)까지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며 도킹이 가능하게 된다.First, referring to FIG. 11 ( a ), when the height of the
반면 항공기(300)의 탑승구(310) 높이가 터미널이나 로툰다(10)의 높이보다 낮다면, 도11의 (b)와 같이 리프트칼럼(50)이 확장터널(4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터널(30,40)부터 도킹램프(100)까지 경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 있지만 도11의 (b)와 같이 보행 방향으로 경사진 것은 보행에 큰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height of the
그러나 탑승구(310)와 높이에 차이가 있는 상태에서 도킹 방향까지 전환해야 한다면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However, if there is a difference in height from the
즉 항공기(300)의 탑승구(310) 방향이 터널(30,40) 방향이 아닌 측방향에 위치한 경우라면, 도12의 (a)와 같이 캐빈(70)을 회전시켜 도킹램프(100)가 항공기(300)의 탑승구(310)를 향하도록 해야 한다.That is, if the direction of the
그러나 도12의 (a)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12의 (b)를 참조하면, 리프트칼럼(50)이 하강하여 터널(30,40)부터 도킹램프(100)까지 이미 기울어진 상태에서, 캐빈(70)이 회전을 하게 되면, 도킹램프(100)의 발판프레임(110)과 그 이후의 구성들이 모두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즉 보행 방향의 전후 방향 기울어짐이 아니라, 발판프레임(110)의 좌우가 수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가 되는 것이다.However, referring to FIG. 12 (b) when viewed from the side (a) of FIG. 12 , in a state in which the
이 경우 제어수단이 평형조절실린더(121,122)를 작동시켜 도12의 (c)와 같이 발판프레임(110)을 포함하는 도킹램프(100) 전체의 좌우방향 기울기를 보정하여 수평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항공기(300)의 탑승구(310) 높이 차이는 물론 도킹 방향 차이까지 발생하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램프(100)는 발판프레임(110)의 기울어짐 현상을 보정하여 안전한 보행을 보장해 줄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means operates the
이때 제어수단이 평형조절실린더(121,122)를 작동시켜 발판프레임(110)이 수평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은, 양쪽 평형조절실린더(121,122)의 로드 인출 길이 차이를 확인한 후 이루어지거나, 발판프레임(110)에 설치된 수평계(미도시)의 측정값을 확인한 후 이루어지거나, 관리자가 육안 확인을 거친 후 조작부(미도시)를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control means to operate the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발판덮개(91,92)가 캐빈발판(71)에 경첩(93)으로 결합되어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발판프레임(110)의 한쪽이 상승 또는 하강하더라도, 발판덮개(91,92)에 의해 캐빈발판(71)과 발판프레임(110) 사이의 틈을 덮어줄 수 있다고 설명한 바 있다. 하지만 발판덮개(91,92)에서 발판프레임(110)과 겹쳐지는 부분의 구조를 개량하여 경계 부분의 연결을 보다 매끄럽게 해줄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caffolding covers 91 and 92 are coupled to the
즉 도13은 도3에 도시된 도킹램프에서 발판덮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14는 도13에서 발판덮개의 기능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That is,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scaffolding in the docking lamp shown in FIG. 3 , and FIG. 1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functional operation of the scaffolding in FIG. 13 .
도13 및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발판덮개(91)의 한쪽은 캐빈발판(71)에 경첩(93)으로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그 반대쪽에서 발판프레임(110)과 겹쳐지는 부분에는 아래쪽으로 절곡된 상태로 꺾임부(9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발판덮개(92)의 한쪽은 캐빈발판(71)에 경첩(93)으로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그 반대쪽에서 발판프레임(110)과 겹쳐지는 부분은 보조경첩(92b)에 의해 보조덮개(92a)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13 and 14, one side of the
따라서 도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프레임(110)의 좌측이 하강하게 되면, 제1발판덮개(91)의 꺾임부가 발판프레임(110)에 밀착하면서 그 경계 부분이 아래쪽으로 완만하게 경사를 이루게 된다.Therefore, when the left side of the
반대로 발판프레임(110)의 좌측이 상승하게 되면, 도14의 (b)와 같이 제1발판덮개(91)는 상승하게 되지만 그 종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의 꺾임부(91a)는 발판프레임(110)과 평행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경계 부분에서의 연결이 매끄러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만약 제1발판덮개(91)에 꺾임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평탄한 부분이 연장된 형태라면, 도14의 (b)와 같이 발판프레임(110)이 상승하였을 시 제1발판덮개(91)의 종단부가 발판프레임(110)의 위쪽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보행자가 돌출된 제1발판덮개(91)에 걸릴 위험이 있다.Conversely, when the left side of the
또한 제2발판덮개(92)에서 발판프레임(110)과 겹쳐지는 부분은 보조경첩(92b)에 의해 보조덮개(92a)가 연결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도14의 (c)와 같이 발판프레임(110)의 우측이 하강하였을 시 보조덮개(92a)가 제2발판덮개(92)로부터 회전하여 발판프레임(110) 상부에 평행하게 밀착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경계 부분의 연결이 매끄러워지게 된다.In addition, the part overlapping the
물론 도13 및 도14에서는 도킹램프(100)가 설치된 탑승교의 특성상 발판프레임(110)이 주로 좌측이 상승하고 우측이 하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좌측의 제1발판덮개(91)에는 꺾임부(91a)가 형성되도록 하고, 제2발판덮개(92)에는 보조덮개(92a)가 보조경첩(92b)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설계한 것이지만, 탑승교가 설치되는 공항의 특성을 고려하여 양쪽 발판덮개(91,92)의 구조가 서로 반대가 되도록 하거나, 양쪽 모두 꺾임부(91a) 또는 양쪽 모두 보조경첩(92b)으로 연결되는 보조덮개(92a)로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in FIGS. 13 and 14, since the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용 탑승교의 도킹램프(100)는 복수의 실린더(121,122,160,180,200)를 제어하여 항공기(300)의 탑승구(310)에 정확하게 접촉할 수 있다. 즉 승강실린더(160)를 통해 도킹 부분에서의 높이를 미세 조절할 수 있고, 평형조절실린더(121,122)를 통해 좌우 방향 기울어짐을 보정해 줄 수 있으며, 측방조절실린더(180)를 통해 통로의 측방향 미세 조절이 가능하고, 전후조절실린더(200)를 통해 접근 거리 차이를 보완해 줄 수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이때 제어수단은 도킹램프(100)가 항공기(300)와 도킹이 이루어질 때 발판프레임(110), 힌지프레임(170) 및 슬라이딩프레임(190)이 최적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안전한 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도킹이 완료된 이후에는 오토레벨러(210)를 통해 항공기 동체의 기울어짐을 실시간으로 파악한 후 실린더(121,122,160)를 추가로 제어하여 도킹램프(100)가 항상 평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means allows the
더불어 항공기(300)의 탑승구(310)의 높이 차이와 방향 차이로 인해 의도치 않게 발판프레임(110)이 기울어졌을 경우 발판프레임(1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된 평형조절실린더(121,122)가 작동하여 기울어짐을 보정해 줄 수 있어서, 탑승객에게 항상 안전한 보행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are to be consider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로툰다
20 : 로툰다칼럼
30 : 고정터널
40 : 확장터널
50 : 리프트칼럼
60 : 드라이브유닛
70 : 캐빈
71 : 캐빈발판
80 : 베이스프레임
91 : 제1발판덮개
92 : 제2발판덮개
93 : 경첩
100 : 도킹램프
110 : 발판프레임
111 : 연장프레임
112 : 샤프트지지브라켓
121 : 제1평형조절실린더
122 : 제2평형조절실린더
130 : 샤프트
140 : 서포트프레임
141 : 샤프트연결부
150 : 슬라이드플레이트
160 : 승강실린더
170 : 힌지프레임
171 : 샤프트연결커버
172 : 힌지프레임브라켓
173 : 실린더지지부
180 : 측방조절실린더
190 : 슬라이딩프레임
191 : 범퍼세팅플레이트
192 : 범퍼
200 : 전후조절실린더
210 : 오토레벨러
211 : 샤프트
212 : 디스크
300 : 항공기
310 : 탑승구10 : Rotunda
20 : Rotunda Column
30: fixed tunnel
40: expansion tunnel
50: lift column
60: drive unit
70 : cabin
71: cabin scaffolding
80: base frame
91: first scaffolding cover
92: second scaffolding cover
93: hinge
100: docking lamp
110: scaffold frame
111: extension frame
112: shaft support bracket
121: first balance control cylinder
122: second balance control cylinder
130: shaft
140: support frame
141: shaft connection part
150: slide plate
160: elevating cylinder
170: hinge frame
171: shaft connection cover
172: Hinge frame bracket
173: cylinder support
180: side control cylinder
190: sliding frame
191: bumper setting plate
192: bumper
200: front and rear control cylinder
210: auto leveler
211: shaft
212: disk
300: aircraft
310: boarding gate
Claims (2)
상기 발판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프레임;
상기 힌지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항공기의 동체에 밀착되는 범퍼를 갖는 슬라이딩프레임;
상기 힌지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
상기 힌지프레임을 측방향 이동시키는 측방조절실린더;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이 상기 힌지프레임에 대하여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하는 전후조절실린더; 및
상기 힌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항공기의 동체에 밀착되어 상기 항공기의 기울어짐 각도를 감지하는 오토레벨러;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실린더는 상기 오토레벨러에서 감지되는 항공기의 기울어짐에 대응하여 상기 힌지프레임을 승강시키며,
항공기에서 상기 캐빈을 바라 보았을 시 상기 발판프레임의 좌측 하부와 우측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평형조절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형조절실린더는 서로간의 로드 인출 높이 차이가 일정 수준 이상 발생하여 상기 발판프레임의 좌우 기울어짐이 발생하였을 시, 상기 발판프레임이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탑승교의 도킹램프.
Scaffolding frame installed on the exit floor of the cabin;
a hinge frame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scaffold frame;
a sliding frame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hinge frame and has a bumper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aircraft;
an elevating cylinder for elevating the hinge frame;
a lateral control cylinder for lateral movement of the hinge frame;
a front and rear adjustment cylinder for drawing out or retracting the sliding frame with respect to the hinge frame; and
An auto-leveler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hinge fram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uselage of the aircraft to detect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aircraft; including,
The elevating cylinder elevates the hinge frame in response to the inclination of the aircraft detected by the auto-leveler,
When the cabin is viewed from the aircraft, the balance control cylinders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lower left and right lower parts of the scaffold frame; further comprising,
Docking ramp of boarding bridge for aircraft, characterized in that the balance control cylinder operates so that the scaffold frame can be leveled when the left and right inclination of the scaffold frame occurs due to a difference in the height of the load withdrawal between each other by a certain level or more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9416A KR102339666B1 (en) | 2021-01-22 | 2021-01-22 | Docking ramp of boarding brid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9416A KR102339666B1 (en) | 2021-01-22 | 2021-01-22 | Docking ramp of boarding brid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9666B1 true KR102339666B1 (en) | 2021-12-14 |
Family
ID=78902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9416A KR102339666B1 (en) | 2021-01-22 | 2021-01-22 | Docking ramp of boarding brid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9666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43295A (en) * | 2006-12-08 | 2008-06-26 | Zennikku Motor Service Kk | Boarding bridge |
KR20090066869A (en) * | 2007-12-20 | 2009-06-24 |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 Horizontal adjustment device for canopy baseplate |
KR20110058023A (en) * | 2009-11-25 | 2011-06-01 | (주)에이비텍 | The boarding bridge with minute approaching device and shock-absorber par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2021
- 2021-01-22 KR KR1020210009416A patent/KR10233966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43295A (en) * | 2006-12-08 | 2008-06-26 | Zennikku Motor Service Kk | Boarding bridge |
KR20090066869A (en) * | 2007-12-20 | 2009-06-24 |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 Horizontal adjustment device for canopy baseplate |
KR20110058023A (en) * | 2009-11-25 | 2011-06-01 | (주)에이비텍 | The boarding bridge with minute approaching device and shock-absorber par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40467B2 (en) | Bulk material transport vehicle access structure | |
KR960006002B1 (en) | Airbridge | |
CA2360815C (en) | Telescopic gangway | |
RU2677567C2 (en) | Method for controlling articulated turntable ladder of rescue vehicle | |
US3589490A (en) | Apron transloading device for an air freight transloading station | |
EP1787613B1 (en) | Vehicle, device and process for accessing said vehicle by persons with reduced mobility | |
JP4663748B2 (en) | Boarding bridge connections and boarding bridges | |
US20230391171A1 (en) | Vehicle with a platform unit on a bodywork opening | |
KR20110058023A (en) | The boarding bridge with minute approaching device and shock-absorber par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US10507848B2 (en) | Railway vehicle with a movable, vertical gap bridging entry threshold | |
US20170282774A1 (en) | Vehicle accessibility system | |
KR102339666B1 (en) | Docking ramp of boarding bridge | |
JP7028458B2 (en) | Lift device for freight cars | |
JP6018713B2 (en) | Passenger boarding bridge | |
CN115768676A (en) | Improved self-propelled ladder climbing device | |
KR102363684B1 (en) | Docking ramp of boarding bridge | |
JP6420795B2 (en) | Ship passenger boarding bridge | |
JP7353781B2 (en) | boarding bridge | |
JP5416466B2 (en) | Boarding bridge | |
CA2207499A1 (en) | Passenger loading bridge for small aircraft and method of aligning same | |
GB2493502A (en) | Lift apparatus for a vehicle | |
CN220012066U (en) | Car body stabilizing structure of crank arm car | |
KR100924223B1 (en) | Horizontal Adjustment Device For Canopy Baseplate | |
JP7101037B2 (en) | Boarding bridge | |
WO2016038761A1 (en) | Passenger boarding brid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