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703B1 - 드론용 프로펠러 - Google Patents

드론용 프로펠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703B1
KR102338703B1 KR1020210098117A KR20210098117A KR102338703B1 KR 102338703 B1 KR102338703 B1 KR 102338703B1 KR 1020210098117 A KR1020210098117 A KR 1020210098117A KR 20210098117 A KR20210098117 A KR 20210098117A KR 102338703 B1 KR102338703 B1 KR 102338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ing edge
coupling
propeller
wing
dr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영
한승룡
이경석
박수길
윤경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김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김천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8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7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32Rotors
    • B64C27/46Blades
    • B64C27/473Constructional features
    • B64C2201/024
    • B64C2201/1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용 프로펠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의 블레이드 리딩 에지(leading edge) 부분을 착탈식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페인트 등의 이물질에 의한 리딩 에지 부분의 손상을 최소화함은 물론 리딩 에지의 손상에 따른 청소 및 프로펠러 교체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드론용 프로펠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론용 프로펠러{Propeller for drone}
본 발명은 드론용 프로펠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의 프로펠러를 구성하는 블레이드 리딩 에지(leading edge) 부분을 착탈식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페인트 등의 이물질에 의한 리딩 에지 부분의 손상을 최소화함은 물론 리딩 에지의 손상에 따른 청소 및 프로펠러 교체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드론용 프로펠러에 관한 것이다.
드론(Drone)은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무선전파 유도에 의해 비행과 조종이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무인기를 뜻하는 것으로, 애초 군사용으로 개발되었지만 최근에는 고공영상·사진 촬영과 배달, 기상정보 수집, 재난 관리, 농약 살포, 페인트 분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드론 산업은 항공, 정보통신기술(ICT), 소프트웨어, 센서 등 첨단기술이 융합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산업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최근에는 건축물의 도장 등의 페인팅 작업이나, 세척 및 소화 방제 등을 위해 수직 방향 등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기술과 같은 수요 또한 증대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드론은 프로펠러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프로펠러 상,하면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양력을 발생시켜 비행하게 되는데, 프로펠러의 블레이드 상면을 흐르는 기류는 하면에 흐르는 기류 보다 빠르게 흘러가야 상부의 압력이 하부 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아지기 때문에 블레이드의 형상은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표면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설계한다.
드론의 프로펠러는 매우 빠른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작은 물체가 부딪히더라도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되기 쉽고, 특히 프로펠러의 리딩 에지 부분에 이물질이 부딪힐 경우 작은 흠집이라도 생기면 프로펠러의 효율은 급격히 감소된다.
또한, 도 1의 (a),(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기 중의 끈적거림이 많은 물질이나, 드론에 의한 페인팅 작업시 분사되는 미세 페인트 입자가 드론용 프로펠러 블레이드의 리딩 에지 부분에 달라 붙을 경우, 유선형의 공기 흐름이 발생되지 않고 와류가 발생하게 되어 양력이 급격히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력 감소 또는 양력 불균형이 발생될 경우 비행 제어가 힘들어지거나 심할 경우 추락하는 현상도 발생될 수 있으므로, 드론의 조종사는 주기적으로 리딩 에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프로펠러를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이물질 제거가 어려운 경우 고가의 프로펠러를 교체하기도 한다.
특히, 리딩 에지 부분에 페인트가 달라 붙은 경우 제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거를 위해 시너(thinner) 등의 화학물질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통상적으로 카본 소재로 제작되는 프로펠러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3640호에는 블레이드의 리딩 에지용 보호 매트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합체 필름(1)과, 중합체 필름의 일부 상에 증착된 금속 스트립(2) 및 블레이드에 중합체 필름을 접합하기 위한 수단(3)을 포함하는 복합부(10)로 구성되고, 중합체 필름은 블레이드 요소의 저입사각 영역을 덮도록 성형되고, 금속 스트립은 블레이드의 고입사각 영역을 덮도록 성형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모래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중합체 필름(1)과, 빗물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금속 스트립(2)을 포함하는 블레이드 리딩 에지보호 매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보호 매트를 블레이드 리딩 에지 부분에 접합시킴으로써 모래와 빗물에 의한 항공기 블레이드의 리딩 에지 부분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으나, 구성 및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접합에 의해 보호 매트가 리딩 에지 부분에 결합되므로 필연적으로 보호매트의 두께에 따른 단차가 발생하여 불연속적인 면이 형성될 수밖에 없고, 그에 따라 공기역학적 손실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 해당하는 보호 매트의 접합에 의해 에어 포일에 형성되는 불연속적인 부분이 드론과 같이 규모가 작은 비행체의 프로펠러에 형성되는 경우 공기역학적 손실에 따른 부작용은 더 크게 나타나게 되어 비행제어가 어려워지거나, 심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추락하는 현상도 발생될 수 있으므로, 항공기나 헬리콥터와 같은 규모가 큰 비행체에 적용될 수 있을 지 모르지만, 드론과 같은 소규모 비행체에는 적용될 수 없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3640호(2015. 09. 11.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론의 블레이드 리딩 에지(leading edge) 부분을 착탈식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페인트 등의 이물질에 의한 리딩 에지 부분의 손상을 최소화함은 물론, 블레이드 형상이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유선형을 이루도록 하여 양력 감소 또는 양력 불균형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드론용 프로펠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드론용 프로펠러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전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리딩에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리딩에지부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날개부의 전단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리딩에지부의 후단부에는 상기 결합홈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개부의 전단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절단되는 절단면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절단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의 전단부와 리딩에지부의 후단부 사이에는 탄성 재질의 패킹부재가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홈의 후방 단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림 결합되는 결합헤드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리딩에지부는 'U'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소정 두께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날개부의 전단부에는 리딩에지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커팅부가 형성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리딩에지부가 날개부의 전단부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리딩에지부가 날개부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경우 블레이드의 형상이 불연속면이 없이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선의 유선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개부의 전단부와 리딩에지부에는 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및 제2체결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홀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체결수단의 헤드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행시 이물질과의 충돌이나 이물질의 부착에 의한 손상이 주로 발생되는 드론의 블레이드 리딩 에지(leading edge) 부분을 착탈식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리딩 에지 부분을 강도 및 탄성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형성시킴으로써 페인트 등의 이물질에 의한 리딩 에지 부분의 손상을 최소화함은 물론 리딩 에지의 손상에 따른 청소 및 프로펠러 교체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블레이드 리딩 에지 부분을 착탈 가능한 형태로 분리 형성시키면서도 블레이드 형상이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선의 유선형을 이루도록 하여, 분리 형성에 따른 양력 감소 또는 양력 불균형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의 (a),(b)는 드론 비행시 블레이드 부근에서의 기류 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블레이드 리딩 에지용 보호 매트를 나타낸 도면.
도 3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레이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레이드의 분리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에 나타낸 리딩에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레이드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레이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레이드의 분리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에 나타낸 리딩에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레이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드론의 블레이드 리딩 에지(leading edge) 부분을 착탈식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페인트 등의 이물질에 의한 리딩 에지 부분의 손상을 최소화함은 물론 리딩 에지의 손상에 따른 청소 및 프로펠러 교체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드론용 프로펠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다수의 블레이드(100)를 포함하는 드론용 프로펠러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00)는 날개부(110)와, 상기 날개부(110)의 전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리딩에지부(120)를 포함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즉, 일반적으로 드론은 엔진의 구동에 의한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양력을 이용하여 비행을 하게 되는데, 드론의 프로펠러는 엔진의 회전력을 추진력으로 변환시켜 드론이 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중심부의 프로펠러 허브와, 상기 프로펠러 허브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프로펠러를 구성하는 블레이드(100)를 날개부(110)와 리딩에지부(120)로 분리 구성하고, 리딩에지부(120)를 날개부(110)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리딩에지부(12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 리딩에지부(120)에 이물질이 부착되거나 손상이 발생된 경우 프로펠러를 전체적으로 교체하는 대신 리딩에지부(120) 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 중의 끈적거림이 많은 물질이나, 드론에 의한 페인팅 작업시 분사되는 미세 페인트 입자가 리딩에지부(120)에 달라 붙거나, 리딩에지부(120)에 손상이 발생되는 경우, 유선형의 공기 흐름이 발생되지 않고 와류가 발생하게 되어 양력이 급격히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양력 감소 또는 양력 불균형이 발생될 경우 비행 제어가 힘들어지거나 심할 경우 추락하는 현상도 발생될 수 있는데, 종래에는 주기적으로 리딩에지부(12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프로펠러를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물질 제거가 어렵거나 리딩에지부(120)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 고가의 프로펠러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프로펠러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던 것임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블레이드(100)의 리딩에지부(120) 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로펠러의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의 블레이드(1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부(110)와 리딩에지부(120)로 분리 구성될 수 있는데, 먼저 상기 날개부(110)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지는 블레이드(100)의 후방 몸체를 구성하는 것이고, 상기 리딩에지부(120)는 날개부(110)의 전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블레이드(100)의 전방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날개부(110)와 리딩에지부(120)의 결합에 의해 유선형의 블레이드(1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100)의 전체적인 형상은 기존의 공지된 다양한 블레이드 형상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권리로서 청구하고자 하는 바가 아니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날개부(110)의 전단부에는 블레이드(100)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리딩에지부(120)의 후단부에는 상기 결합홈(112)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12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결합홈(112)과 결합돌기(122)는 리딩에지부(120)가 날개부(110)의 전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홈(112)의 내측, 즉 후방 단부에는 걸림홈(112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122)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걸림홈(112a)에 걸림 결합되는 결합헤드(122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걸림홈(112a)과 결합헤드(122a)에 의해 날개부(110)의 전단부에 결합된 리딩에지부(120)는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헤드(122a)의 후방 단부에는 경사면(122b), 즉 결합홈(112)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결합돌기(122)의 진행 방향으로 하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122b)이 형성되어 결합홈(112) 내측으로의 결합돌기(122)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걸림홈(112a)에 걸림 결합되는 결합헤드(122a)에는 요홈부(122c)가 형성되어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결합헤드(122a)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딩에지부(120)는 스테인레스 등 강도와 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리딩에지부(120)를 날개부(110)에 결합시키는 경우, 결합돌기(122)의 후방 단부에 돌출 형성된 결합헤드(122a)의 경사면(122b)이 결합홈(112) 내측으로 진입하면서 결합홈(112)에 의해 결합헤드(112a)에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상기 결합홈(112)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요홈부(122c)가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면서 결합헤드(122a)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결합헤드(122a)는 결합홈(112)의 내측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홈(112) 내측으로의 결합돌기(122) 결합이 완료되면, 결합헤드(122a)는 걸림홈(112a)이 형성된 부분에 위치하게 되어 자체 탄성에 의해 요홈부(122c)가 복원되면서 결합헤드(122a)가 걸림홈(112a)에 의해 걸림 결합되어 리딩에지부(120)가 날개부(110)의 전단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날개부(110)에는 걸림홈(112a)과 연통되는 도구삽입홀(116)이 형성되어 리딩에지부(120)를 날개부(11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송곳 등의 뾰족한 형상의 도구를 도구삽입홀(116)을 통해 삽입하여 걸림홈(112a)에 걸림 결합된 상태의 결합헤드(122a)를 가압함으로써 리딩에지부(120)를 날개부(1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헤드(122a)가 위치되는 결합홈(112)의 후방 단부에는 도구삽입홀(116)을 통한 도구의 가압에 의해 결합헤드(122a)가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부(112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도구삽입홀(116)을 통해 도구를 삽입하여 결합헤드(122a)를 가압하면, 요홈부(122c)가 압축되면서 결합헤드(122a)의 높이가 낮아짐과 동시에, 결합홈(112)에 형성된 공간부(112b)에 의해 결합헤드(122a)가 전체적으로 하부로 휘어지면서 결합헤드(122a)의 상단부가 결합홈(112)의 내측으로 진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외부로부터의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결합돌기(122)는 결합홈(112)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어 리딩에지부(120)를 날개부(1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리딩에지부(120)를 강도와 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드론의 비행 중 이물질과의 충돌에 의한 손상 위험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화학성이 우수하므로 페인트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화학약품의 사용에도 리딩에지부(120)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리딩에지부(120)는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리딩에지부(120)가 결합되는 날개부(110)의 전단부에는 리딩에지부(1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커팅부(118)가 형성되어 리딩에지부(120)가 날개부(110)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경우 블레이드(100)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불연속면이 없이 완만한 곡선의 유선형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110)의 전단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절단되는 절단면(11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12)은 절단면(114)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날개부(110)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리딩에지부(120)의 후단부 형상이 평면 형상이 되므로,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가공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불연속면이 없이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선의 유선형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날개부(110)의 전단부와 리딩에지부(120)의 후단부를 평면 형상으로 형성시키는 경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홈(112) 및 결합돌기(122)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어 날개부(110)와 리딩에지부(120) 사이의 결합력을 보다 견고히 하면서도 결합홈(112)과 결합돌기(122)의 형성 개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돌기(122)를 중공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도구를 이용한 리딩에지부(120)의 분리 작업, 즉 날개부(110)의 전단부에 결합된 상태의 리딩에지부(120)를 교체하기 위해 분리시키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110)의 전단부와 리딩에지부(120)의 후단부 사이에는 탄성 재질의 패킹부재(130)가 삽입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패킹부재(130)는 날개부(110)와 리딩에지부(120) 사이의 결합력을 보다 강화시킴과 동시에 블레이드(100)의 고속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110)와 리딩에지부(120)는 체결수단(140)에 의해 체결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리딩에지부(120)는 U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소정 두께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리딩에지부(120)가 결합되는 날개부(110)의 전단부에는 리딩에지부(1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커팅부(118)가 형성되어, 불연속면이 없이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선의 유선형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110)의 전단부와 리딩에지부(120)에는 서로 연통되는 제1 및 제2체결홀(115,125)이 각각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및 제2체결홀(115,125)의 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체결수단(140)이 내측으로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딩에지부(120)에 형성되는 제2체결홀(125)의 외측 단부에는 제2체결홀(125)에 비해 직경이 큰 안착홈(125a)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안착홈(125a)은 체결수단(140)의 헤드부(142)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체결수단(140)의 헤드부(142)가 리딩에지부(120)의 외측으로 돌출될 경우 리딩에지부(120)에 이물질이 부착되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양력 감소 또는 양력 불균형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체결수단(140)의 헤드부(142)가 안착홈(125a)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체결수단(140)에 의한 양력 감소 또는 양력 불균형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안착홈(125a)의 깊이는 체결수단(140)의 헤드부(142)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142)의 상면이 리딩에지부(120)의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안착홈(125a)의 직경 또한 헤드부(142)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시킴으로써 체결수단(140)의 결합에 의한 와류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프로펠러에 의하면, 비행시 이물질과의 충돌이나 이물질의 부착에 의한 손상이 주로 발생되는 드론의 블레이드 리딩 에지(leading edge) 부분을 착탈식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리딩 에지 부분을 강도 및 탄성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형성시킴으로써 페인트 등의 이물질에 의한 리딩 에지 부분의 손상을 최소화함은 물론 리딩 에지의 손상에 따른 청소 및 프로펠러 교체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딩에지부를 착탈 가능한 형태로 분리 형성시키면서도 전체적인 블레이드 형상의 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분리 형성에 따른 양력 감소 또는 양력 불균형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를 드론이 아닌 일반 항공기나 헬리콥터에 적용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드론용 프로펠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의 프로펠러 리딩 에지(leading edge) 부분을 착탈식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페인트 등의 이물질에 의한 리딩 에지 부분의 손상을 최소화함은 물론 리딩 에지의 손상에 따른 청소 및 프로펠러 교체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드론용 프로펠러에 관한 것이다.
100 : 블레이드 110 : 날개부
112 : 결합홈 112a : 걸림홈
112b : 공간부 114 : 절단면
115 : 제1체결홀 116 : 도구삽입홀
118 : 커팅부 120 : 리딩에지부
122 : 결합돌기 122a : 결합헤드
122b : 경사면 122c : 요홈부
125 : 제2체결홀 125a : 안착홈
130 : 패킹부재 140 : 체결수단
142 : 헤드부

Claims (7)

  1.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드론용 프로펠러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전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리딩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의 전단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리딩에지부의 후단부에는 상기 결합홈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의 후방 단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림 결합되는 결합헤드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헤드의 후방 단부에는 결합돌기의 진행 방향으로 하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 걸림 결합되는 결합헤드에는 결합헤드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요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의 전단부와 리딩에지부의 후단부 사이에는 탄성 재질의 패킹부재가 삽입 설치되어
    상기 리딩에지부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날개부에는 걸림홈과 연통되는 도구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헤드가 위치되는 결합홈의 후방 단부에는 결합헤드가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프로펠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전단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절단되는 절단면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절단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프로펠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98117A 2021-07-26 2021-07-26 드론용 프로펠러 KR102338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117A KR102338703B1 (ko) 2021-07-26 2021-07-26 드론용 프로펠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117A KR102338703B1 (ko) 2021-07-26 2021-07-26 드론용 프로펠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8703B1 true KR102338703B1 (ko) 2021-12-13

Family

ID=78831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117A KR102338703B1 (ko) 2021-07-26 2021-07-26 드론용 프로펠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7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6320B2 (en) * 2018-05-31 2022-05-31 Vestas Wind Systems A/S Wind turbine blade leading edge pairing
US11441545B2 (en) * 2020-02-25 2022-09-13 General Electric Company Tungsten-based erosion-resistant leading edge protection cap for rotor blade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9763A1 (en) * 2002-12-24 2005-08-04 Anning Bruce D. Helicopter rotor and method of repairing same
US6966806B1 (en) * 2004-08-10 2005-11-22 Brunswick Corporation Replaceable leading edge for a marine drive unit
US20080210818A1 (en) * 2004-10-29 2008-09-04 L3 Communications Autonomous, back-packable computer-controlled breakaway unmanned aerial vehicle (UAV)
US20110049297A1 (en) * 2009-09-01 2011-03-03 Rolls-Royce Plc Aerofoil with erosion resistant leading edge
US20150191233A1 (en) * 2012-07-31 2015-07-09 Russel Ian Hawkins Propeller Including a Discrete Blade Edge Cover Member
KR20150103640A (ko) 2014-03-03 2015-09-11 유러피언 에어로너틱 디펜스 앤드 스페이스 컴퍼니 이아드스 프랑스 에어포일 요소의 리딩 에지용 보호 매트
KR20170079194A (ko) * 2015-12-30 2017-07-1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무인 항공기용 프로펠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9763A1 (en) * 2002-12-24 2005-08-04 Anning Bruce D. Helicopter rotor and method of repairing same
US6966806B1 (en) * 2004-08-10 2005-11-22 Brunswick Corporation Replaceable leading edge for a marine drive unit
US20080210818A1 (en) * 2004-10-29 2008-09-04 L3 Communications Autonomous, back-packable computer-controlled breakaway unmanned aerial vehicle (UAV)
US20110049297A1 (en) * 2009-09-01 2011-03-03 Rolls-Royce Plc Aerofoil with erosion resistant leading edge
US20150191233A1 (en) * 2012-07-31 2015-07-09 Russel Ian Hawkins Propeller Including a Discrete Blade Edge Cover Member
KR20150103640A (ko) 2014-03-03 2015-09-11 유러피언 에어로너틱 디펜스 앤드 스페이스 컴퍼니 이아드스 프랑스 에어포일 요소의 리딩 에지용 보호 매트
KR20170079194A (ko) * 2015-12-30 2017-07-1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무인 항공기용 프로펠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6320B2 (en) * 2018-05-31 2022-05-31 Vestas Wind Systems A/S Wind turbine blade leading edge pairing
US11441545B2 (en) * 2020-02-25 2022-09-13 General Electric Company Tungsten-based erosion-resistant leading edge protection cap for rotor blad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8703B1 (ko) 드론용 프로펠러
US7762785B2 (en) Main rotor blade with integral tip section
US5813625A (en) Active blowing system for rotorcraft vortex interaction noise reduction
EP3088290B1 (en) A textured leading edge for aerospace and nautical structures
JP6959110B2 (ja) 空力制御面及び関連する後縁部閉鎖方法
US20070095971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horizontal forces in aerial vehicles and related method
EP3317180B1 (en) Helicopter with anti-torque system, related kit and methods
US7931233B2 (en) Protective skin for aircraft
US10036320B2 (en) Passive internal ice protection systems for engine inlets
CA2446191A1 (en) Anti-torque and yaw-control system for a rotary-wing aircraft
EP1592613A4 (en) TORQUE COMPENSATION AND SIDE CONTROL SYSTEM FOR A TURN FLOATER
US9988148B2 (en) Vehicle with asymmetric nacelle configuration
EP3181447B1 (en) Active airflow system and method of reducing drag for aircraft
US20230182890A1 (en) Removable passive airflow oscillation device and system
US20220380025A1 (en) Download reducing winglets for aircraft having a rotor producing downwash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7278606B2 (en) Helicopter having a fusilage section and a tail section coupled thereto
US7063289B2 (en) Helicopter tail section
JP2016008040A (ja) 航空機の境界層制御装置
CN109625238B (zh) 飞机的一体座舱罩
US20180319487A1 (en) Rotorcraft configuration
US20170370233A1 (en) Enhanced durability nickel abrasion strip
US10640206B2 (en) Method of optimizing sections of a tail boom for a rotary wing aircraft
JP6326381B2 (ja) 航空機アセンブリに使用される均圧通気口
US11554873B2 (en) Rotorcraft equipped with an aerodynamic device having a fairing provided with a perforated plate at an air in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