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667B1 -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667B1
KR102338667B1 KR1020200030306A KR20200030306A KR102338667B1 KR 102338667 B1 KR102338667 B1 KR 102338667B1 KR 1020200030306 A KR1020200030306 A KR 1020200030306A KR 20200030306 A KR20200030306 A KR 20200030306A KR 102338667 B1 KR102338667 B1 KR 102338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ter
sensor
blood glucose
information
glucose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4755A (ko
Inventor
이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to KR1020200030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667B1/ko
Priority to AU2021235262A priority patent/AU2021235262A1/en
Priority to US17/908,997 priority patent/US20230101081A1/en
Priority to JP2022552916A priority patent/JP2023517018A/ja
Priority to EP21767302.9A priority patent/EP4099241A4/en
Priority to CN202180017021.2A priority patent/CN115151927A/zh
Priority to PCT/KR2021/002680 priority patent/WO2021182797A2/ko
Publication of KR20210114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7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quality surveillance of prod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8Sensors provided with means for identification, e.g. barcodes or memory ch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2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sensors for in-vivo measur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2Operator till task planning
    • G05B2219/32368Quality contro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혈당측정용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조립 과정 중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에 사용되는 센서의 생산 정보와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를 서로 매핑한 품질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품질 관리 정보를 서버에 저장 관리함으로써 품질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유통 경로 또는 판매 경로를 모니터링하거나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품질 관리에 사용하거나 불량인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를 용이하게 추적할 수 있는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ensor transmitter for CGMS}
본 발명은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조립 과정 중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에 사용되는 센서의 생산 정보와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를 서로 매핑한 품질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품질 관리 정보를 서버에 저장 관리함으로써 품질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유통 경로 또는 판매 경로를 모니터링하거나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품질 관리에 사용하거나 불량인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를 용이하게 추적할 수 있는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현대인에게 많이 발생되는 만성질환으로 국내의 경우 전체 인구의 5%에 해당하는 200만 명 이상에 이르고 있다.
당뇨병은 비만, 스트레스, 잘못된 식습관, 선천적 유전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췌장에서 만들어지는 인슐린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거나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혈액에서 당에 대한 균형을 바로 잡아주지 못함으로써 혈액 안에 당 성분이 절대적으로 많아지게 되어 발병한다.
혈액 중에는 보통 일정 농도의 포도당이 함유되어 있으며 조직 세포는 여기에서 에너지를 얻고 있다.
그러나, 포도당이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간장이나 근육 또는 지방세포 등에 적절히 저장되지 못하고 혈액 속에 축적되며, 이로 인해 당뇨병 환자는 정상인보다 훨씬 높은 혈당이 유지되며, 과다한 혈당은 조직을 그대로 통과하여 소변으로 배출됨에 따라 신체의 각 조직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당분은 부족해져서 신체 각 조직에 이상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당뇨병은 초기에는 거의 자각 증상이 없는 것이 특징인데, 병이 진행되면 당뇨병 특유의 다음, 다식, 다뇨, 체중감소, 전신 권태, 피부 가려움증, 손과 발의 상처가 낫지 않고 오래가는 경우 등의 특유의 증상이 나타나며, 병이 한층 더 진행되면 시력장애, 고혈압, 신장병, 중풍, 치주질환, 근육 경련 및 신경통, 괴저 등으로 진전되는 합병증이 나타난다.
이러한 당뇨병을 진단하고 합병증으로 진전되지 않도록 관리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혈당 측정과 치료가 병행되어야 한다.
당뇨병은 관리를 위해 꾸준하게 혈당을 측정할 필요가 있어 혈당 측정과 관련된 장치는 그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당뇨병 환자가 혈당 조절을 엄격하게 하는 경우, 당뇨병의 합병증 발생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은 각종 연구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 그에 따라 당뇨병 환자는 혈당 조절을 위해 규칙적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를 위해 일반적으로 채혈식 혈당측정기(finger prick method)가 주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채혈식 혈당측정기는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에 도움을 주지만, 측정 당시의 결과만 나타나기 때문에 자주 변화하는 혈당 수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채혈식 혈당측정기는 하루에도 수시로 혈당을 측정하기 위해 매번 채혈을 할 필요가 있어, 당뇨병 환자에게 채혈에 대한 부담이 큰 문제가 있다.
당뇨병 환자는, 일반적으로 고혈당 및 저혈당 상태를 오가는데, 응급상황은 저혈당 상태에서 발생한다. 저혈당 상태는 당분이 오랫동안 지속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하며, 의식을 잃거나 최악의 경우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따라서 저혈당 상태를 즉각적으로 발견하는 것은 당뇨병 환자에게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간헐적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채혈식 혈당측정기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
이러한 채혈식 혈당측정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인체 내에 삽입하여 수분 간격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CGMS,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이 개발되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당뇨병 환자의 관리와 응급 상황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부착되어 체액을 추출하여 혈당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와, 전송받은 혈당 생체 정보로부터 혈당값을 계산하여 출력하는 통신 단말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는 인체에 일부가 삽입되는 연속혈당 측정용 센서를 구비하는데, 센서는 일정기간, 예컨대, 대략 15일 정도 동안 인체에 삽입된 상태로 사용자의 체액을 추출한다.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는 추출한 체액으로부터 주기적으로 혈당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데, 통신 단말기에는 혈당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로부터 혈당 생체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며 수신한 혈당 생체 정보를 교정하여 사용자에 출력한다.
여기서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는 연속혈당측정용 센서와 트랜스미터의 조립체로서, 제조 과정에서 센서와 트랜스미터를 조립하여 제조한다.
연속혈당측정용 센서는 동일한 공장에서 생산되더라도 생산 공정에 따라 또는 센서의 제조 공정에 따라 센서 민감도, 오프셋 등의 초기 교정 정보가 서로 상이하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가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를 신체에 부착 후 혈당 생체 정보를 측정시 먼저 초기 교정 정보를 이용하여 센서를 교정하여야 한다.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혈당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 후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포장지에 인쇄되어 있는 초기 교정 정보를 통신 단말기에 직접 입력하여 센서를 초기 교정하는데, 노약자나 혈당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초기 교정 정보를 입력하는데 불편함이 있으며, 잘못된 초기 교정 정보를 입력하거나 입력 과정에서 실수가 발생하여 정확한 혈당값을 획득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한편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는 센서와 트랜스미터를 조립하여 생산되는데, 센서 또는 트랜스미터 중 일부가 제조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한 경우 동일한 센서 또는 동일한 부품이 사용된 트랜스미터를 확인하여 문제가 있는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를 리콜하거나 사용자에 불량인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를 사용 중단하도록 알려주어야 한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조립 과정 중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에 사용되는 센서의 생산 정보와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를 서로 매핑한 품질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센서에 대한 생산 정보와 트랜스미터에 대한 생산 정보로 이루어진 품질 관리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품질 관리 코드를 생성하고 품질 관리 코드를 구비하는 라벨을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어플리케이터에 부착하거나 내부 또는 외부 포장지에 부착하여 품질 관리 코드를 통해 센서의 교정 정보를 용이하게 통신 단말기에 입력할 수 있는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은 트레이에 배치된 센서의 생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트레이에 배치된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한 센서의 생산 정보와 획득한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를 서로 매핑하여 품질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품질 관리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여 품질 관리 정보를 서버에 저장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센서와 트랜스미터는 동일한 트레이에 배치되고 트레이에 배치된 센서와 트랜스미터는 품질 관리 정보의 생성 후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로 서로 체결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은 품질 관리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품질 관리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한 품질 관리 코드를 구비하는 라벨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품질 관리 코드는 품질 관리 정보 중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만을 판독 가능하거나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와 센서의 생산 정보 모두를 판독 가능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라벨은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가 장착되는 어플리케이터, 어플리케이터의 내부 포장지, 어플리케이터의 외부 포장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은 품질 관리 정보를 트랜스미터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메모리의 제1 영역에는 품질 관리 정보 중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가 저장되고 메모리의 제2 영역에는 품질 관리 정보 중 센서의 생산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센서에 형성된 센서 식별자를 판독하여 센서의 생산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트랜스미터의 외부 하우징에 형성된 트랜스미터 식별자를 판독하여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는 트랜스미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메모리로부터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은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조립 과정 중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에 사용되는 센서의 생산 정보와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를 서로 매핑한 품질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품질 관리 정보를 서버에 저장 관리함으로써, 품질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유통 경로 또는 판매 경로를 모니터링하거나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품질 관리에 사용하거나 불량인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를 용이하게 추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은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조립 과정 중 센서에 대한 생산 정보와 트랜스미터에 대한 생산 정보로 이루어진 품질 관리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품질 관리 코드를 생성하고 품질 관리 코드를 구비하는 라벨을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어플리케이터에 부착하거나 내부 또는 외부 포장지에 부착함으로써, 사용자는 품질 관리 코드를 통해 다양한 센서 정보 및 트랜스미터의 정보를 통신 단말기의 혈당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는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를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인체에 부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트레이(230)에 담겨진 센서와 트랜스미터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조 단말기, 관리 서버 및 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관리 서버에 저장되는 품질 관리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단말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1)은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10) 및 통신 단말기(30)를 포함한다.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10)는 신체에 부착되는데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10)가 신체에 부착시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10)의 센서 일단은 피부에 삽입되어 인체의 체액을 주기적으로 추출하여 혈당 생체 정보를 측정한다. 여기서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는 피부에 삽입되어 체액을 추출하는 센서 및 체액으로부터 혈당 생체 정보를 측정 후 혈당 생체 정보를 통신 단말기(30)로 송신하는 트랜스미터로 이루어진다. 공장에서 센서와 트랜스미터는 서로 조립되어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로 제조되며,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는 다시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를 신체에 부착하는 어플리케이터(미도시)에 장착된다.
사용자는 포장지에서 어플리케이터를 꺼낸 후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를 장착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어플리케이터를 위치시킨 후,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를 피부에 배치한다.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10)가 피부에 배치 완료된 후,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10)와 통신 단말기는 서로 통신 접속하여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10)에서 측정한 혈당 생체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10)와 통신 단말기(30)를 서로 통신 접속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통신 단말기(30)에 설치되어 있는 혈당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한 후 어플리케이터 또는 포장지에 부착되어 있는 라벨의 품질 관리 코드를 판독하여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10)와 통신 단말기(30) 사이의 통신을 접속한다. 여기서 접속 정보로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시리얼 번호, 핀(PIN) 코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통신 단말기(30)는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1O)와 통신 접속 후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10)로부터 주기적으로 혈당 생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혈당 생체 정보를 교정하여 생성한 혈당값을 사용자에 표시하는데, 통신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 등과 같이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10)와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가 이용될 수 있다. 물론, 통신 단말기(3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 기능을 포함하고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단말기이면 통신 단말기로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10)와 통신 단말기(30)는 서로 USB 케이블 등에 의해 유선으로 통신 연결되거나 또는 적외선 통신, NFC 통신,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단말기(30)는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10)로부터 수신한 혈당 생체 정보를 교정하는데 사용될 교정 정보가 필요한데, 바람직하게 혈당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품질 관리 코드를 판독시 센서의 교정 정보도 함께 획득하고 획득한 센서의 교정 정보에 기초하여 혈당 생체 정보를 교정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는 어플리케이터를 통해 신체 일부에 부착되는데, 도 2 및 도 3는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를 인체에 부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어플리케이터(40)는,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10)를 내부에 구비하며 사용자의 조작으로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10)를 외부로 토출하여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에 부착시키도록 작동한다. 어플리케이터(40)는 일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10)는 어플리케이터(40)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어플리케이터(40)에 설치된다.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10)를 신체에 부착시키는 과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보호캡을 분리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터(40)의 개방된 일면을 신체의 특정 부위 피부(20)에 밀착시킨다. 이렇게 어플리케이터(40)를 신체의 피부(2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어플리케이터(40)를 작동시키면,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110)는 어플리케이터(40)에서 토출되면서 피부(20)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10)의 하부에는 센서(12)의 일단이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10)에서 노출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센서(12)의 일단은 어플리케이터(40)에 구비된 니들을 통해 일부가 피부(20)에 삽입된다. 따라서 센서(12)의 일단이 피부(20)에 삽입된 상태로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10)는 피부(20)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10)의 신체 접촉면에는 센서트랜스미터(10)가 신체의 피부(20)에 고정 부착될 수 있게 접착테이프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터(40)를 신체의 피부(20)에서 이격시키면 접착테이프에 의해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10)는 신체의 피부(20)에 고정 부착된 상태가 된다.
이후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10)에 전원이 인가되면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10)는 통신 단말기(30)와 통신을 연결하며,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10)는 측정한 혈당 정보를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10)는 혈당 정보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생체 정보의 일례로 혈당 정보를 측정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로 살펴보면,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공장에는 이송 벨트(210)가 구동되고 있는데, 연속 혈당 측정용 센서(241)와 트랜스미터(243)가 담겨진 다수의 트레이(230)들은 이송 벨트(21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판독 카메라(250)는 이송 벨트(210)의 상단에 배치되어 이송 벨트(210)를 따라 이동하는 트레이(230)에 담겨진 센서(241) 또는 트랜스미터(243)의 생산 정보를 판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이송 벨트(210)의 상단에 배치된 판독 카메라(250) 대신 작업자가 직접 센서(241) 또는 트랜스미터(243)의 생산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휴대용 판독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송 벨트(210)를 따라 이동하는 트레이(230)에 담겨진 센서(241)와 트랜스미터(243)의 생산 정보를 획득 후, 작업자는 트레이(230)에 담겨진 센서(241)와 트랜스미터(243)를 조립하여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240)를 제조하게 된다.
도 5는 트레이(230)에 담겨진 센서와 트랜스미터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센서(241)는 트랜스미터에 접속되는 전극이 형성된 제1 부분(241-1)과 피부에 삽입되는 제2 부분(241-3)으로 구성되는데, 제1 부분(241-1)에는 센서의 생산 정보를 구비하고 있는 센서 식별자(241-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트랜스미터(243)는 상부 하우징(243-1)과 하부 하우징(243-3)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을 구비하며, 하우징의 내부에는 센서(241)가 삽입되며 센서에서 추출한 체액으로부터 혈당 생체 정보를 생성하고 혈당 생체 정보를 통신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다수의 부품이 구비되어 있다. 트랜스미터의 상부 하우징(243-1)의 일면에는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를 구비하고 있는 트랜스미터 식별자(243-5)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도 4를 참고로 살펴보면, 제조 단말기(미도시)는 트레이(230)에 담겨진 센서(241)와 트랜스미터(243)로부터 획득한 생산 정보를 서로 매핑하여 품질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제조 단말기는 품질 관리 정보를 구비하는 품질 관리 코드를 생성하며 이후 품질 관리 코드가 구비된 라벨을 생성한다. 여기서 라벨은 QR 코드, 바코드, RFID 등으로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품질 관리 코드는 품질 관리 정보 중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만을 구비하거나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와 센서의 생산 정보 모두를 구비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제조자는 제조된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240)를 어플리케이터(미도시)에 조립하게 되는데,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240)를 어플리케이터에 조립 후 어플리케이터의 일면에 생성한 라벨을 부착하게 된다.
어플리케이터에 부착된 라벨은 차후 멸균 공정, 포장 공정 등에서 다시 생성되어 멸균용 1차 포장지, 출하용 2차 포장지 등에 부착되어 사용자에 판매될 수 있다.
사용자는 통신 단말기의 혈당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활성 후 어플리케이터, 1차 포장지, 출하용 2차 포장지 등에 부착된 라벨로부터 센서의 생산 정보를 획득하거나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센서의 생산 정보를 이용하여 혈당 생체 정보를 교정하거나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와 용이하게 통신을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제조 단말기(미도시)는 품질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품질 관리 정보를 제조사 관리 서버로 송신할 수 있는데, 제조사 관리 서버는 품질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유통 경로 또는 판매 경로를 모니터링하거나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품질 관리에 사용하거나 불량인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를 용이하게 추적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조 단말기, 관리 서버 및 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제조 단말기는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공장에 배치되어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품질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단말기이며, 관리 서버는 혈당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며 품질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유통 경로 또는 불량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를 의미하는데, 제조 단말기, 관리 서버 및 통신 단말기는 서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도 6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공정 중 품질 관리 정보를 생성한 제조 단말기는 관리 서버로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품질 관리 정보를 송신한다(S10).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는 다수의 공장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센서로 생산될 수 있는데, 관리 서버에는 각 공장에서 제조된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에 대한 품질 관리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제조 단말기는 센서의 생산 정보와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뿐만 아니라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시각,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를 제조한 공장 식별자 등을 포함하여 품질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품질 관리 정보를 관리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관리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회원 정보를 관리 서버로 송신하여 회원 등록할 수 있는데(S30), 사용자는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 식별자, 나이, 주소, 국적, 연락처 등의 회원 정보를 송신하여 회원 등록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신규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통신 단말기의 혈당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어플리케이터 또는 포장지 등에 부착된 라벨의 품질 관리 코드로부터 센서의 생산 정보 또는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한 센서의 생산 정보 또는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를 회원 정보와 함께 관리 서버로 송신하게 된다(S50).
관리 서버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센서의 생산 정보 또는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를 회원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 관리하는데, 관리 서버에 저장된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품질 관리 정보 및 해당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를 실제 사용하는 회원 정보를 매핑 저장 관리함으로써,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가 어느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지 등의 유통 경로 또는 판매 경로를 모니터링하거나, 사용자가 혈당측정기를 통해 측정한 기준 혈당값과 연속혈당측정기를 통해 측정한 혈당 생체 정보를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품질 관리 정보와 함께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정확도 등의 품질을 관리하거나 불량인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를 용이하게 추적할 수 있다.
이후 통신 단말기를 통해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불량 메시지가 접수되는 경우(S70), 불량 메시지에 기초하여 불량 메시지가 접수된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와 동일한 센서가 사용되었거나 동일한 부품이 사용된 트랜스미터로 제조된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를 사용하거나 구매한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로 해당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를 사용 중단 요청하는 알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S90). 사용자는 알람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하고 있는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를 사용 중단하거나 사용자가 구매한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를 새로운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로 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불량 메시지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직접 통신 단말기를 통해 송신하거나 통신 단말기에서 측정한 혈당 생체 정보 또는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와의 통신 불량 등을 모니터링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 자동으로 관리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관리 서버에 저장되는 품질 관리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7를 참고로 살펴보면 관리 서버에는 센서 정보, 트랜스미터 정보 및 기타 정보가 서로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다. 센서 정보는 해당 센서의 lot 정보(0001, 0002), 교정 정보(0.05, 0.45), 센서 제조 일자 등이 포함되며, 트랜스미터 정보는 해당 트랜스미터의 고유 시리얼번호(100A, 100B, 100C, 100D, 200A, 200B, 200C), 해당 트랜스미터의 핀(pin) 번호(1234, 1234), 해당 트랜스미터의 제조 일자 등이 포함되며, 기타 정보에는 해당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가 제조된 공장 식별자(A공장, B공장), 해당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를 사용하고 있거나 구매한 사용자 정보(이름, 국적, 주소 등)가 서로 매핑되어 저장된다.
이와 같이 관리 서버에는 센서, 트랜스미터 및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에 대한 정보가 서로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어, 예를 들어 사용자 홍길동이 사용하고 있는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가 불량 접수되는 경우 동일한 센서 또는 트랜스미터를 사용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에게도 알람 경고를 보내 잘못된 혈당 측정으로 인한 피해를 줄 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센서 교정 정보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동일한 센서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로 신규 교정 정보를 송신하여 정확하게 혈당값을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각 공장에서 제조된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 국적, 주소지에 기초하여 해당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유통 경로나 국적별, 주소지별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선호도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단말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센서 정보 획득부(110)는 이송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트레이에 담겨진 연속혈당측정용 센서로부터 센서 생산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센서 정보 획득부(110)는 센서에 형성된 센서 식별자를 판독하는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센서 식별자의 종류에 따라 센서 식별자를 판독하기 위한 다양한 판독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트랜스미터 정보 획득부(130)는 이송 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트레이에 담겨진 트랜스미터로부터 트랜스미터 생산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트랜스미터 정보 획득부(130)는 트랜스미터에 형성된 트랜스미터 식별자를 판독하는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트랜스미터 식별자의 종류에 따라 트랜스미터 식별자를 판독하기 위한 다양한 판독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는 트랜스미터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는데, 트랜스미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트랜스미터의 메모리로부터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서의 생산 정보와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정보 생성부(150)는 센서의 생산 정보와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를 서로 매핑하여 품질 관리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한 품질 관리 정보를 저장부(170)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정보 생성부(150)는 품질 관리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품질 관리 코드를 생성하고, 품질 관리 코드를 구비하는 라벨을 별도의 라벨 생성부(미도시)로 제공할 수 있다. 라벨 생성부는 품질 관리 코드에 품질 관리 정보 중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만을 판독 가능하거나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와 센서의 생산 정보 모두를 판독 가능하도록 라벨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품질 관리 정보를 설정된 주기가 도래하는 경우 또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품질 관리 정보의 수를 카운트하여 설정된 수의 품질 관리 정보가 저장부(170)에 저장되는 경우 통신부(190)를 통해 관리 서버로 송신한다. 바람직하게, 제어부(180)는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일자,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를 제조한 공장 식별자 등을 품질 관리 정보에 포함하여 관리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어부(180)는 생성한 품질 관리 정보를 트랜스미터의 메모리에 저장 제어할 수 있다. 트랜스미터의 메모리 중 제1 영역에는 센서의 생산 정보가 저장되고 트랜스미터의 메모리 중 제2 영역에는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가 분리되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신 단말기의 혈당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라벨을 판독하여 센서의 생산 정보 및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를 직접 획득할 수 있지만, 라벨을 판독하여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 예를 들어 시리얼 번호, 핀코드 등을 획득하여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와 통신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접속시키고 이후 트랜스미터의 메모리에 저장된 센서의 생산 정보, 예를 들어 교정 정보, lot 정보, 생산 일자 등을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로부터 자동 수신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고로 살펴보면, 센서로부터 센서의 생산 정보를 획득한다(S110). 바람직하게 센서의 생산 정보는 센서에 형성된 센서 식별자를 통해 획득할 수 있으며, 여기서 센서의 생산 정보는 센서의 특성을 포함하는 lot 정보, 센서의 제조 공장, 센서의 제조일자, 센서의 교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스미터로부터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를 획득한다(S130). 바람직하게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는 트랜스미터에 형성된 트랜스미터 식별자를 통해 획득하거나 트랜스미터의 메모리를 통해 획득할 수 있으며, 여기서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는 트랜스미터의 제조 공장, 트랜스미터의 제조일자, 트랜스미터의 시리얼번호, 트랜스미터의 핀 번호, 트랜스미터의 생산 일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획득한 센서의 생산 정보와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를 서로 매핑하여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품질 관리 정보를 생성한다(S150). 품질 관리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품질 관리 정보를 나타내는 품질 관리 코드를 구비하는 라벨을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공정에 따라 적어도 1개 이상 생성하고 생성한 라벨을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공정에 따라 어플리케이터에 부착하거나 포장지에 부착한다(S170).
한편, 생성한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품질 관리 정보를 관리 서버로 송신한다(S190).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 30: 통신 단말기
110: 센서 정보 획득부 130: 트랜스미터 정보 획득부
150: 정보 생성부 170: 저장부
180: 제어부 190: 통신부
210: 이송벨트 230: 트레이
241: 센서 243: 트랜스미터

Claims (8)

  1.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센서 정보 획득부에서 트레이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센서의 생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트랜스미터 정보 획득부에서 트레이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정보 생성부에서 획득한 상기 센서의 생산 정보와 획득한 상기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를 서로 매핑하여 품질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품질 관리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품질 관리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라벨 생성부에서 생성한 품질 관리 코드를 구비하는 라벨을 생성하는 단계; 및
    통신부에서 상기 품질 관리 정보를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와 상기 트랜스미터는 동일한 트레이에 배치되고,
    동일한 트레이에 배치된 센서와 트랜스미터는 상기 품질 관리 정보의 생성 후 서로 체결되어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로 제조되며,
    상기 품질 관리 정보는 상기 센서의 생산 정보, 상기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 및 상기 센서트랜스미터를 제조한 제조 공장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라벨은 상기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가 장착되는 어플리케이터,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내부 포장지,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외부 포장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관리 코드는
    상기 품질 관리 정보 중 상기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만을 판독 가능하거나 상기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와 상기 센서의 생산 정보 모두를 판독 가능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은
    제어부에서 상기 품질 관리 정보를 상기 트랜스미터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의 제1 영역에는 품질 관리 정보 중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메모리의 제2 영역에는 품질 관리 정보 중 센서의 생산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제 3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 형성된 센서 식별자를 판독하여 상기 센서의 생산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
  7. 제 1 항, 제 3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터의 외부 하우징에 형성된 트랜스미터 식별자를 판독하여 상기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
  8. 제 1 항, 제 3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는 상기 트랜스미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트랜스미터의 생산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
KR1020200030306A 2020-03-11 2020-03-11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 KR102338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306A KR102338667B1 (ko) 2020-03-11 2020-03-11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
AU2021235262A AU2021235262A1 (en) 2020-03-11 2021-03-04 Manufacturing method for sensor transmitter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US17/908,997 US20230101081A1 (en) 2020-03-11 2021-03-04 Method of manufacturing sensor transmitter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JP2022552916A JP2023517018A (ja) 2020-03-11 2021-03-04 連続血糖測定用センサートランスミッタの製造方法
EP21767302.9A EP4099241A4 (en) 2020-03-11 2021-03-04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NSOR TRANSMITTER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CN202180017021.2A CN115151927A (zh) 2020-03-11 2021-03-04 连续血糖测量用传感器发送机的制造方法
PCT/KR2021/002680 WO2021182797A2 (ko) 2020-03-11 2021-03-04 연속혈당측정용 센서 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306A KR102338667B1 (ko) 2020-03-11 2020-03-11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755A KR20210114755A (ko) 2021-09-24
KR102338667B1 true KR102338667B1 (ko) 2021-12-13

Family

ID=77670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306A KR102338667B1 (ko) 2020-03-11 2020-03-11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101081A1 (ko)
EP (1) EP4099241A4 (ko)
JP (1) JP2023517018A (ko)
KR (1) KR102338667B1 (ko)
CN (1) CN115151927A (ko)
AU (1) AU2021235262A1 (ko)
WO (1) WO2021182797A2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3912551T3 (da) * 2009-02-26 2023-10-30 Abbott Diabetes Care Inc Fremgangsmåde til kalibrering af en analytsensor
KR102208696B1 (ko) * 2014-05-13 2021-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 데이터 획득 방법 및 그 장치
CN108348162B (zh) * 2015-08-31 2021-07-23 梅西莫股份有限公司 无线式病人监护系统和方法
KR20180102714A (ko) * 2017-03-07 2018-09-18 김선철 정품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제품 이력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EP3632316A4 (en) * 2017-06-02 2021-03-03 I-sens, Inc. SENSOR APPLICATOR KIT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AU2018354120B2 (en) * 2017-10-24 2024-05-30 Dexcom, Inc. Pre-connected analyte sensors
KR102082357B1 (ko) * 2018-02-14 2020-02-27 주식회사 아이센스 센서 사용 정보를 이용한 생체 정보의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01081A1 (en) 2023-03-30
EP4099241A4 (en) 2024-02-21
KR20210114755A (ko) 2021-09-24
WO2021182797A3 (ko) 2021-11-11
WO2021182797A2 (ko) 2021-09-16
AU2021235262A1 (en) 2022-09-22
EP4099241A2 (en) 2022-12-07
JP2023517018A (ja) 2023-04-21
CN115151927A (zh)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229182U (zh) 测量装置、监测装置、和监测系统
ES2741178T3 (es) Método de gestión y utilización mejoradas de datos de diabetes utilizando conectividad inalámbrica entre pacientes y proveedores de atención sanitaria, y repositorio de información de gestión de la diabetes
KR100472092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혈당측정장치 및 그 측정치를인터넷상의 서버에 전송하는 방법.
CA3011551C (en) Analyte measurement system and initialization method
EP1304856A1 (en) Remote data control system and measuring data gathering method
JP5726286B2 (ja) 自己完結型の体外診断装置
US20140024907A1 (en) Method and system to indicate hyperglycemia or hypoglycemia for people with diabetes
US83629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weight alert notification during automated patient management
US20120165639A1 (en) Storage of calibration data at a continuous glucose monitor
CA2645065A1 (en) Bodily fluid analyzer, and system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programming same
CN104838258A (zh) 用于血细胞比容校正的方法和为此适配的血糖仪
US20120330555A1 (en) Analyte Testing System with Docking Station for Data Management
JP2012132938A (ja) 試験システム
US20210378601A1 (en) Analyte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KR102338667B1 (ko) 연속혈당측정용 센서트랜스미터의 제조 방법
CN106908594B (zh) 血糖值数据处理方法
TWM536039U (zh) 血糖檢測裝置
US20230298741A1 (en) Method for providing guidance on use period of sensor
CN115856272A (zh) 校准分析物传感组件的浓度变化曲线的方法与系统
EP3408772A1 (en) Estimating a substance concentration using multiple non-invasive sensors
US20180271451A1 (en) Method, system,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alibrating time of physiological data
TWI552104B (zh) 血糖值管理系統
KR20110040348A (ko) 혈당 이력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WO20230531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optimizing medical data
TWM468734U (zh) 智慧型雲端體重量測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