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117B1 - 안전한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 - Google Patents

안전한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117B1
KR102338117B1 KR1020197010321A KR20197010321A KR102338117B1 KR 102338117 B1 KR102338117 B1 KR 102338117B1 KR 1020197010321 A KR1020197010321 A KR 1020197010321A KR 20197010321 A KR20197010321 A KR 20197010321A KR 102338117 B1 KR102338117 B1 KR 102338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housing
additive manufacturing
manufacturing
air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0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9927A (ko
Inventor
장 피에르 니케즈
Original Assignee
애드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드업 filed Critical 애드업
Publication of KR20190059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41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solid materials
    • B29C64/153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solid materials using layers of powder being selectively joined, e.g. by selective laser sintering or me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10Formation of a green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20Direct sintering or melting
    • B22F10/28Powder bed fusion, e.g. selective laser melting [SLM] or electron beam melting [EB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30Process control
    • B22F10/32Process control of the atmosphere, e.g. composition or pressure in a building chamber
    • B22F10/322Process control of the atmosphere, e.g. composition or pressure in a building chamber of the gas flow, e.g. rate or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70Recycling
    • B22F10/77Recycling of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2/00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Auxiliary means for additive manufacturing; Combinations of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or devices with other processing apparatus or devices
    • B22F12/38Housings, e.g. machine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2/00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Auxiliary means for additive manufacturing; Combinations of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or devices with other processing apparatus or devices
    • B22F12/70Gas flow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2/00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Auxiliary means for additive manufacturing; Combinations of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or devices with other processing apparatus or devices
    • B22F12/80Plants, production lines or modules
    • B22F12/88Handling of additively manufactured products, e.g. by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79Handling of additively manufactured objects, e.g. using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33Y10/5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30Process control
    • B22F10/32Process control of the atmosphere, e.g. composition or pressure in a building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70Recycling
    • B22F10/73Recycling of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2/00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Auxiliary means for additive manufacturing; Combinations of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or devices with other processing apparatus or devices
    • B22F12/50Means for feeding of material, e.g. heads
    • B22F12/53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2/00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Auxiliary means for additive manufacturing; Combinations of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or devices with other processing apparatus or devices
    • B22F12/80Plants, production lines or modules
    • B22F12/82Combination of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or devices with other processing apparatu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201/00Treatment under specific atmosphere
    • B22F2201/50Treatment under specific atmosphere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lasma & Fu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10)에 관한 것으로, 본 설비는 주 자기-지지 프레임, 누설밀봉 방식으로 폐쇄된 주 제조 하우징(14), 주 제조 하우징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주 적층 제조 기계(M1), 주 불활성화 장치(26), 주 제조 하우징(14) 내의 주 순환 경로(32), 주 에어락(34), 주 제조 하우징(14) 내를 순환하는 공기의 처리를 위한 주 장치(42)를 포함하며, 이 주 처리 장치(42)는 주 제조 하우징(14)의 내부에 설비 바깥쪽으로 배출된 공기를 공급하는 것, 주 제조 하우징(14) 및 주 에어락(34) 내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출하는 것, 및 주 제조 하우징(14) 및 주 에어락(34)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력을 관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안전한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레이저 빔, 전자 빔 또는 다이오드와 같은 열원 또는 에너지원을 사용하여 분말의 그레인을 용융시키는 분말 기반 적층 제조 분야에 속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적층 제조 프로세스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증가하는 다수의 산업 분야가 적층 제조에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항공 산업, 자동차 산업, 시계 제조 산업, 원자력 산업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이는 적층 제조 프로세스가 금속 부품의 성형 및 기계 가공 또는 폴리머 기반 재료의 사출 성형과 같은 종래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는 제조할 수 없거나, 혹은 제조에 어려움을 갖는 부품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산업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적층 제조 기계를 제공하는 다양한 제조자가 시장에 존재한다.
현재까지는, 연구 및 개발의 노력은 주로 이 기계들의 운영 비용 및 제조된 부품의 원가를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적층 제조 기계의 생산성에 집중되었다.
그러나, 적층 제조 플랜트의 안전성, 더 나아가 적층 제조 기계 및 그 인근 환경에서 작업할 필요가 있는 인원의 안전성과 같은, 적층 제조를 사용하고자 하는 기업가가 현재 당면한 장벽이 존재한다.
이는 적층 제조 분말이 다양한 위험을 가지기 때문이다.
한편으로, 일부 적층 제조 분말은 알레르기성 또는 심지어 독성 화학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금속 적층 제조 분말은 니켈 또는 코발트와 같은 화학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다음에, 분말 그레인의 용융은 사람에게 유독한 기체를 함유하는 연기를 방출한다.
결과적으로, 단순한 방식으로 상기 위험을 극복하기 위해, 적층 제조 분말은 일반적으로 밀봉된 용기 내에 저장되어 적층 제조 기계로 운반되며, 적층 제조 기계의 제조 챔버는 밀폐된 하우징이다.
상기 언급된 위험에 추가하여, 일부 적층 제조 분말은 대기 중에 존재하는 산소와 접촉시 산화된다는 단점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산화를 피하기 위해, 적층 제조 기계의 제조 챔버는 질소 또는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기체로 채워진다.
적층 제조 챔버의 이러한 불활성화는 인근에 위치한 인원에게 위험할 수 있다. 이는 누출이 발생할 경우, 불활성 기체가 점진적으로 산소를 대체하고 인근에 위치한 인원의 질식을 유발할 것이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층 제조 기계 및 그 인근 환경에서 작업할 필요가 있는 인원에 대한 최적의 안전 수준을 보장하면서 상기 산업 요구 사항을 총족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주제는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이며, 설비는 도로를 통해 설비를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주 자기-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설비는 주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주 프레임에 고정된 패널에 의해 누설밀봉 방식으로 폐쇄되는 주 제조 하우징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주 적층 제조 기계가 주 제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주 적층 제조 기계는 적어도 하나의 제조 챔버를 포함하고, 이 제조 챔버 내부에서 적층 제조 분말을 퇴적시키고 이 분말 그레인을 에너지원 또는 열원을 이용하여 용융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적층 제조 프로세스가 수행되며, 설비는 주 불활성화 장치를 포함하고, 주 불활성화 장치는 기계의 제조 챔버에 불활성 기체를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제조 하우징 내의 적층 제조에 의한 연기로 오염된 불활성 기체를 포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조작자가 주 적층 제조 기계 주위에서 순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주 순환 경로가 주 제조 하우징 내에 제공되며, 설비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의 출입을 위한 주 에어락을 포함하며, 이 주 에어락은 주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주 자기-지지 프레임에 고정된 패널에 의해 누설밀봉 방식으로 폐쇄되며, 내부 문이 조작자가 주 에어락과 주 제조 하우징 사이에서 순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외부 문이 조작자가 주 에어락과 설비의 바깥쪽 사이에서 순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설비는 주 제조 하우징 내를 순환하는 공기의 처리를 위한 주 장치를 포함하며, 이 주 처리 장치는 설비의 바깥쪽으로 배출된 공기를 주 제조 하우징 내로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 주 처리 장치는 주 제조 하우징 및 주 에어락 내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 주 처리 장치는 주 제조 하우징 및 주 에어락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력을 관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이하의 설명에서 명확해 질 것이다. 제한적이지 않은 예시로서 제공된 본 설명은 부속 문서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의 제2 대안 실시예의 투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의 제1 대안 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의 제3 대안 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의 제4 대안 실시예인 "멀티-하우징"의 사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의 제4 대안 실시예인 "멀티-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투명하게 도시된 바와 같은,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10)에 관한 것이다.
설비(10)를 도로를 통해 운반할 수 있도록, 설비(10)는 주 자기-지지 프레임(12) 및 주 프레임(12)에 의해 지지되고 주 프레임(12)에 고정된 패널(16)에 의해 누설밀봉 방식으로 폐쇄된 주 제조 하우징(14)을 포함하며, 도 1에서 패널(16)은 제조 하우징의 내부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투명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비(10) 및 주 제조 하우징(14)은 좌측(18G) 및 우측(18D) 측벽, 전방(20F) 및 후방(20R) 단부벽, 바닥(22) 및 지붕(24)을 갖는 평행 육면체 하우징의 형태를 취하며, 패널(16)은 이런 상이한 좌측(18G) 및 우측(18D), 전방(20F) 및 후방(20R) 벽, 그리고 또한 바닥(22) 및 지붕(24)을 폐쇄하기 위해 사용된다.
패널(16)은 설비 외부의 환경으로의 분말 또는 액체의 임의의 위험한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방수 및 기밀 상태이다.
바람직하게는, 패널(16)은 난연성이다.
본 발명이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주 적층 제조 기계(M1)가 주 제조 하우징(14) 내에 설치된다.
이 주 적층 제조 기계(M1)는 내부에서 적층 제조 분말을 퇴적시키고 이 분말 그레인을 예를 들어, 레이저 빔, 전자 빔 또는 다이오드와 같은 열원 또는 에너지원을 사용하여 용융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적층 제조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조 챔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10)에 설치된 기계(M1) 내부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프로세스 중에서, 분말 베드 퇴적, 점 분말 퇴적, 소정의 경로에 따른 분말의 퇴적, 노즐을 사용하여 분말을 퇴적시키고 이를 에너지원 또는 열원을 이용하여 노즐의 출구에서 응고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직접 에너지 퇴적" 기술, 또는 분무에 의한 분말의 퇴적에 의해 이루어지는 적층 제조 프로세스를 예로 들 수 있다.
주 기계(M1)의 제조 챔버를 불활성으로 만들기 위해, 설비(10)는 주 기계(M1)의 제조 챔버에 질소 또는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기체를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주 불활성화 장치(26)를 포함한다. 나아가, 이 주 불활성화 장치(26)는 또한 제조 챔버 내의 적층 제조로 인한 연기를 포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최종적으로 주 불활성화 장치(26)는 불활성 기체를 기계(M1)의 제조 챔버 내로 재주입 할 수 있도록 연기를 여과할 수 있게 하여, 폐쇄된 사이클에서 불활성 기체를 경제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층 제조 연기를 포획하기 위해 사용되는 필터는 여과 표준 EN779:2012에 따라 F9 등급이고 그러한 필터는 적어도 1마이크로미터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입자를 포획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산소 분자와 같은 다른 기체가 주 기계(M1)의 제조 챔버 내에 수 퍼센트 정도의 소량으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주 불활성화 장치(26)에 의하여 수행되는 여과는 또한 이러한 다른 기체가 주 기계(M1)의 제조 챔버 내로 재주입 될 수 있도록 제조 연기의 입자를 이러한 다른 기체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 파이프(28)는 주 기계(M1)의 제조 챔버(CF1)를 향해 주 불활성화 장치(26)로부터 불활성 기체 및 선택적으로 다른 기체를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제2 배출 파이프(30)는 제조 챔버(CF1) 내에 존재하는 연기와 기체의 일부를 주 불활성화 장치(26)를 향해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주 기계(M1)에 존재하고 제2 배출 파이프(30)의 상류에 위치한 집진 장치(31)는 제조 챔버(CF1)로부터 연기와 함께 추출된 기체 또는 기체들로부터 적어도 5마이크로미터인 연기 입자를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연기의 여과에 추가하여, 주 불활성화 장치(26)는 또한 주 기계(M1)의 제조 챔버(CF1) 내에 존재하는 기체의 압력을 관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주 불활성화 장치(26)는 예를 들어, 주 기계(M1)의 제조 챔버(CF1) 내에 존재하는 기체의 압력을 낮추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기계의 바깥쪽으로의 분말 누출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주 불활성화 장치(26)는 제조 하우징(14)의 바깥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주 불활성화 장치(26)는 제조 분말의 위험성이 있는 환경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언급된 필터를 교체하는 것 또는 유지 보수 작업과 같은 이 장치에 대한 임의의 인간의 개입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주 제조 하우징(14)과 함께 쉽게 운반되기 위해, 주 불활성화 장치(26) 그 자체는 또한 주 자기-지지 프레임(12)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10)는 주 제조 하우징(14) 내에 하나 이상의 조작자를 수용하도록 계획되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순환 경로(32)가 주 제조 하우징(14) 내에 제공되어 조작자가 주 적층 제조 기계(M1) 주위를 순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조작자는 새로운 적층 제조 플레이트를 주 기계(M1)의 제조 챔버(CF1)에 충전하고, 시작될 적층 제조 사이클을 파라미터화하기 위한 수단에 액세스하여, 제조된 부품 또는 부품들과 함께 적층 제조 플레이트를 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식 설비(10)에 조작자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동식 설비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의 출입을 위하여 주 에어락(34)을 포함한다. 이 주 에어락(34)은 주 프레임(12)에 의해 지지되며 주 자기-지지 프레임(12)에 고정된 패널(16)에 의해 누설밀봉 방식으로 폐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 에어락(34)은 주 제조 하우징(14)의 연장부에 위치하며 예를 들어, 패널(16)로 만들어진 칸막이(36)에 의해 이 하우징으로부터 격리된다. 내부 문(38)은 조작자가 주 에어락(34)과 주 제조 하우징(14) 사이를 순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외부 문(40)은 조작자가 주 에어락(34)과 이동식 설비(10)의 바깥쪽 사이를 순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주 에어락(34)은 분말의 누출에 대한 제1 장벽을 구성하여, 주 제조 하우징(14)의 내부가 설비의 바깥쪽과 직접 통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에어락(34)은 또한 주 제조 하우징(14)에 입장하기 전에 작업복, 장갑, 안경 또는 호흡기가 달린 마스크와 같은 보호 장비의 아이템을 착용하고, 이동식 설비(10)에서 퇴장하기 전에 이러한 장비의 아이템을 탈의하기 위해 조작자에 의해 사용된다.
주 에어락(34)과 별개로, 여전히 설비(10) 주위의 구역 및 주 제조 하우징(14) 내에서 순환하도록 요구되는 인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비는 주 제조 하우징(14) 내를 순환하는 공기의 처리를 위한 주 장치(42)를 포함한다.
우선, 이 주 처리 장치(42)는 주 제조 하우징(14) 내부에 설비 바깥쪽으로 배출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계속해서, 여전히 설비 내부의 공기를 교체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 주 처리 장치(42)는 또한 주 제조 하우징(14) 및 주 에어락(34) 내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조 하우징(14) 내에서 순환된 공기는 적층 제조 분말 입자를 함유할 수 있으므로, 주 처리 장치(42)는 이 공기를 설비 바깥쪽의 공기로 배출하기 전에 주 제조 하우징(14) 및 주 에어락(34) 내에서 포획된 공기를 여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층 제조 분말 입자를 주 제조 하우징(14) 및 주 에어락(34) 내에서 포획된 공기로부터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필터는 HEPA(고효율 미립자 공기) 유형이며, 이 필터는 적어도 0.3 마이크로미터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분말 입자를 포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설비 바깥쪽으로 분말이 누출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주 처리 장치(42)는 또한 주 제조 하우징(14) 및 주 에어락(34)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력을 관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주 처리 장치(42)는 주 제조 하우징(14) 및 주 에어락(34) 내의 압력을 낮추는데 사용되어 분말 그레인과 입자를 설비 내부에 유지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주 제조 하우징(14) 내의 공기 압력이 주 에어락(34) 내의 공기 압력보다 낮고, 주 에어락(34) 내의 공기 압력이 설비 바깥쪽의 공기 압력보다 낮다.
적층 제조 프로세스의 사용이 많은 양의 열을 방출하기 때문에, 주 처리 장치(42)는 또한 주 제조 하우징(14) 및 주 에어락(34)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 더 정확히는 냉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온도 조절과 동시에, 이 주 처리 장치(42)는 또한 주 제조 하우징(14) 및 주 에어락(34)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주 제조 하우징(14) 내의 과도하게 높은 습도가 주 기계(M1)의 제조 챔버 내에 물의 존재를 초래할 수 있고, 분말 그레인의 용융 품질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부품의 품질을 해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주 제조 하우징(14) 내의 습도는 40% 미만으로 유지된다.
주 제조 하우징(14) 내의 조작자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 처리 장치(42)는 또한 주 제조 하우징(14)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산소 분자 함량을 모니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제조 챔버(CF1)가 갖춘 누설 방지 수단 및 가능한 모든 예방 조치에도 불구하고, 제조 챔버(CF1) 내로 주입된 불활성 기체가 이 챔버로부터 빠져나와, 주 제조 챔버(14)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예를 들어 산소 분자와 같은 다른 기체를 대체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2개의 경보 임계치가 제공된다: 제1 경보 신호는 주 제조 하우징(14)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산소 분자 함량이 20% 미만일 때 발생되고, 제2 경보 신호는 주 제조 하우징(14)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산소 분자 함량이 18% 미만일 때 발생된다. 실제로, 제1 경보 임계치는 예방적이며, 조작자들에게 그들이 주 제조 하우징(14)을 대피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하고, 제2 경보 신호는 주 제조 하우징(14) 및 이동식 설비(10)가 위치한 환경에서 대피시키는 것 또한 목표로 하는 경보이다.
바람직하게는, 주 처리 장치(42)는 제조 하우징(14)의 바깥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주 처리 장치(42)는 제조 분말의 위험성이 있는 환경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언급된 필터를 교체하는 것 또는 유지 보수 작업과 같은 이 장치에 대한 임의의 인간의 개입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주 제조 하우징(14)과 함께 쉽게 운반되기 위해, 주 처리 장치(42) 그 자체는 또한 주 자기-지지 프레임(12)에 의해 지지된다.
불활성화 장치(26)와 주 장치(42)가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상이한 구성 요소는 그 상이한 기능 각각과 관련된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특히, 주 장치(42)가 주 제조 하우징(14) 내를 순환하는 공기를 처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파이프, 송풍기, 추출기 및 팬과 같은 수단은 표현되거나 기술되지 않았다.
주 불활성화 장치(26) 및 주 처리 장치(42), 주 적층 제조 기계(M1) 및 이동식 설비(10)의 안쪽과 바깥쪽에 존재하고 전기 에너지 공급을 요구하는 임의의 다른 장치에도 공급하기 위해, 설비는 상술한 장치와 기계의 전력 및 제어 회로를 함께 결합한 주 전기 캐비닛(44)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주 불활성화 장치(26)와 주 처리 장치(42)와 마찬가지로, 주 전기 캐비닛(44)은 주 제조 하우징(14)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주 전기 캐비닛(44)은 제조 분말의 위험성이 있는 환경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어, 유지 보수 작업과 같은 임의의 인간의 개입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주 제조 하우징(14)과 함께 쉽게 운반되기 위해, 주 전기 캐비닛(44) 그 자체는 또한 주 자기-지지 프레임(12)에 의해 지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 불활성화 장치(26), 주 처리 장치(42) 및 주 전기 캐비닛(44)은 설비의 전방 단부벽(20F)에 기대어, 이동식 설비(10)의 전방에 나란히 배치된 3개의 블록 형태를 취한다.
주 기계(M1)에 불활성 기체를 공급하고, 주 제조 하우징(14) 내를 순환하는 공기를 처리하고, 전기 에너지를 공급함과 동시에, 이동식 설비(10)는 물의 공급도 포함한다. 이 물은 공업용 목적, 제조된 부품 또는 위에서 설명한 장치의 특정 부품이나 구성 요소를 헹구거나 청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및/또는 이 물은 또한 보호 장비 아이템에도 불구하고, 분말 그레인에 노출되기 쉬운 신체의 특정 부위를 씻거나 헹구기 위해 조작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와 같이 사용된 물은 독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분말 그레인을 함유할 수 있으므로, 이동식 설비(10)는 폐수를 회수하기 위한 주 장치(46)를 포함한다. 이 주 회수 장치(46)는 폐수가 전문 회사에 의해 회수 및 처리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폐수를 저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용기의 형태를 취한다.
바람직하게는, 주 회수 장치(46)는 주 제조 하우징(14)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주 회수 장치(46)는 또한 주 자기-지지 프레임(12)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 회수 장치(46)는 이동식 설비(10)의 전방에, 설비의 전방 단부벽(20F)에 근접하여 불활성화 장치(26), 주 처리 장치(42), 주 전기 캐비닛(44)과 함께 나란히 배치된 블록의 형태를 취한다.
도 2에 도시된 이동식 설비(10)의 제1 대안 실시예에서, 주 에어락(34)은 단지 하나의 룸만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제2 대안 실시예에서, 주 에어락(34)은 서로 통하는 2개의 룸을 포함한다: 외부 문(40)을 통해 설비(10)의 바깥쪽과 통하는 외부 룸(34E), 내부 문(36)을 통해 주 하우징(14)과 통하는 내부 룸(34I)으로서, 중간 문(48)을 통해 외부 룸(34E)과 통하는 내부 룸(34I).
이 에어락(34) 쌍은 조작자의 출입 동안 있을 수 있는 분말의 누출에 대해 이중 장벽을 형성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물론, 주 처리 장치(42)는 주 에어락(34)의 이 2개의 룸(34I, 34E)에서 공기의 재순환을 제공하고 그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주 처리 장치(42)는 주 에어락(34)의 이 2개의 룸들(34I, 34E) 각각의 공기 압력을 관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주 제조 하우징(14)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력은 주 에어락의 내부 룸(34I)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력보다 높고, 주 에어락의 내부 룸(34I)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력은 주 에어락의 외부 룸(34E)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력보다 높고, 주 에어락의 외부 룸(34E)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력은 이동식 설비(10)의 바깥쪽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력보다 높다.
예를 들어, 주 기계(M1)에 공급하기 위한 적층 제조 분말의 단지 배치와 같은 상이한 용품 또는 재료의 출입을 위해, 이동식 설비(10)는 보조 에어락(50)을 포함한다. 이 보조 에어락은 주 에어락(34)의 치수보다 작은 치수를 가지며, 이는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좌측 측벽(18G)과 같은, 이동식 설비의 측벽을 통해 제공된다.
보조 에어락(50)을 통해 이동식 설비(10)로부터 출입하는 제품을 취급하기 쉽게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핸들링 툴(52)이 주 제조 하우징(14) 내에 제공된다.
이 핸들링 툴(52)은 예를 들어, 주 기계(M1)에 새로운 분말을 공급하기 위한 제2 용기(54B)를 이동하거나, 이미 주 기계(M1)에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나 아직 용융되지 않은 분말을 재활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용기(54A)를 이동하기 위해 조작자에 의해 사용된다.
적층 제조 분말 그레인에 대한 노출로부터 조작자를 가능한 많이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동식 설비(10)는 누설밀봉 방식으로 폐쇄된 하우징(58), 조작자가 하우징(58) 내부를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창문(60), 및 조작자가 폐쇄된 하우징 내에서 분말 단지(55)를 다루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장갑 포트(62)를 포함하는 디켄팅 장치(56)를 포함한다. 분말 단지(55)는 용기(54A, 54B)보다 작은 용량을 갖는 리셉터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조작자에 의해 핸들링 툴(52) 없이 운반되고 다룰 수 있어야 한다. 이 분말 단지(55)는 제어된, 바람직하게는 불활성 환경에서 분말을 저장하고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누설밀봉 용기이다. 이 디켄팅 장치(56)와 그 하우징(58)은 완전히 안전하게 새로운 분말을 단지(55)에서 제2 용기(54B)로 디켄팅하고, 또한 분말을 제어된, 바람직하게는 불활성 환경에서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질소 또는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기체를 내부에 주입하여 적층 제조 분말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디켄팅 장치(56)의 하우징(58)은 이송 파이프(28)와 배출 파이프(30)를 통해 불활성화 장치(26)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파이프(30)는 예를 들어, 조작자가 단지(55)를 내부에 넣기 위해 하우징(58)을 열어야 할 때 불활성 기체를 하우징(58)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디켄팅 장치(56)의 하우징(58)에 연결될 수 있다.
디켄팅 장치(56)와 동시에, 설비(10)는 또한 제1 용기(54A)로부터 제2 용기(54B)로 분말을 이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체(65)를 통해 이 분말의 체질을 수행하는 체질 장치(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체질 장치(64)는 주 기계(M1)에 공급하기 위해 이미 사용되었으나 용융되지 않은 적층 제조 분말을 재활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체질 장치(64)는 또한 새로운 분말을 체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체질을 위해, 우선 새로운 분말은, 예를 들어 디켄팅 장치(56)에 의해 제2 용기(54B)로 디켄팅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조작자를 보호하기 위해, 이 체질 장치(64)는 누설밀봉 방식으로 폐쇄된 하우징(66) 내에 배치되고, 주 제조 하우징(14)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체질 장치(64)의 회로는 질소 또는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기체를 내부에 주입하는 것에 의해 적층 제조 분말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이송 파이프(28)를 통해 불활성화 장치(26)로 연결되어 이 회로에 불활성 기체를 공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체질 장치(64)의 회로는 또한 이 회로로 날려온 불활성 기체의 일부를 회수하기 위해, 배출 파이프(30)를 통해 불활성화 장치(26)에 연결될 수 있다. 체질 장치(64)의 회로는 체질될 분말의 제1 용기(54A), 체(65), 체질된 분말을 수용할 제2 용기(54B) 및 이들 요소들 사이에 위치한 다양한 커넥터와 밸브에 의해 형성된다.
디켄팅 장치(56) 및 체질 장치(64)는 주 제조 하우징(14) 내의 분말이 뒤따르는 회로의 제어 및 이동식 설비(10)의 주 제조 하우징(14) 또는 이 설비의 다른 제조 하우징에서 작업하도록 요구되는 인원의 안전성과 관련하여 특히 중요하다.
전술한 장치에 추가하여 조작자의 안전에 기여하기 위해, 주 처리 장치(42)는 주 하우징(14) 내에 존재하는 공기를 질소와 같은 불활성 기체로 포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불활성 기체로의 포화는 주 제조 하우징(14) 내에서 화재가 시작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물론, 이 작동은 모든 인원이 주 제조 하우징(14)으로부터 대피한 이후에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추가로, 이동식 설비(10)는 주 제조 하우징(14) 내에서 화재가 시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분말을 분무하기 위한 장치(6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고, 주 제조 하우징(14) 내에서 주 기계(M1) 설비가 더 큰 생산 용량을 제공하고 또한 더 큰 부피를 가질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제3 대안 실시예에서, 이동식 설비(10)는 주 제조 하우징(14)의 체적을 확장시키기 위한 모듈(70)을 포함한다. 이 확장 모듈(70)은 자기-지지되지만, 주 자기-지지 마운팅(12)에 고정되어 있다. 이 확장 모듈(70)은 주 제조 하우징(14) 내의 주 기계(M1) 위치의 반대편에 제공된다. 이 확장 모듈(70)은 주 기계(M1)에 근접한 주 제조 하우징(14)을 넓히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기계의 큰 부피에도 불구하고 순환 경로(32)에서 조작자가 기계 주위를 순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설비(10)에 의해 제공되는 생산 용량을 증가시키는 유사한 목적으로, 이동식 설비(10)는 주 제조 하우징(14)에 누설밀봉 방식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제조 하우징(1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보조 제조 하우징 내에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적층 제조 기계(M2)가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보조 적층 제조 기계들(M2 및 M3)가 이 보조 제조 하우징(114) 내에 설치된다. 하나의 기계가 보조 제조 하우징(114)의 전방에 설치되고 다른 기계는 보조 제조 하우징(114)의 후방에 설치된다.
이 보조 제조 하우징(114)을 지지하기 위해, 이동식 설비(10)는 주 자기-지지 프레임(12)과 독립된 보조 자기-지지 프레임(112)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 보조 제조 하우징(114)은 주 제조 하우징(14)을 운반하는 차량 이외의 차량에 의해 도로로 운반될 수 있다.
주 제조 하우징(14)과 마찬가지로, 제2 제조 하우징(114)은 제2 프레임에 고정된 패널(16)에 의해 누설밀봉 방식으로 폐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제조 하우징(114)은 좌측(118G) 및 우측(118D) 측벽, 전방(120F) 및 후방(120R) 단부벽, 바닥(122) 및 지붕(124)을 갖는 평행 육면체이며, 패널(16)은 이 상이한 좌측(118G) 및 우측(118D), 전방(120F) 및 후방(120R) 벽, 그리고 또한 바닥(122) 및 지붕(124)을 폐쇄하기 위해 사용된다.
보조 순환 경로(132)가 보조 제조 하우징(114) 내에 제공되어 조작자가 이 보조 제조 하우징(114) 내에 설치된 각 보조 제조 기계(M2, M3) 주위를 순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2개의 주 하우징(14)과 제2 하우징(114)을 연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들 하우징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조립식인, 문(72, 172)을 포함하고, 결합 복도(74)가 이 2개의 문 사이에 설치된다. 이 결합 복도(74)는 또한 패널(16)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밀봉과 같은 누설 방지 수단이 복도(74)와 문(72, 172) 사이의 접합 지점에 제공된다. 이 결합 복도(74)는 조작자가 주 하우징(14)의 주 순환 경로(32)와 보조 하우징(114)의 보조 순환 경로(132) 사이에서 자유롭게 순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주 하우징(14)이 확장 모듈(70)을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결합 복도(74)의 길이(L74)는 적어도 확장 모듈(70)의 폭(W70)과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는, 문(72, 172)은 그 하우징(14, 114)의 우측(18D, 118D) 또는 좌측(18G, 118G) 측벽에 위치한다. 유연한 배열을 가능하도록, 각 하우징(14, 114)의 각각의 우측(18D, 118D) 및 좌측(18G, 118G) 측벽은 문(72, 172)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하우징(14, 114)의 각각의 측면 상에 문(72, 172)을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보조 제조 하우징(114)을 주 제조 하우징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본 발명은 2개, 3개, 4개 등의 보조 제조 하우징(114)이 주 제조 하우징(14)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2개의 보조 적층 제조 기계(들)가 이 보조 제조 하우징(114) 각각에 설치된 이동식 설비의 이러한 대안 실시예들을 커버한다.
보조 기계(M2, M3)의 제조 챔버를 불활성으로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설비(10)는 보조 기계(M2, M3)의 제조 챔버에 질소 또는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기체를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보조 불활성화 장치(126)를 포함한다. 또한, 이 보조 불활성화 장치(126)는 또한 제조 챔버 내의 적층 제조로 인한 연기를 포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최종적으로, 보조 불활성화 장치(126)는 보조 기계(M2, M3)의 제조 챔버 내로 불활성 기체가 재주입 될 수 있도록 연기를 여과할 수 있게 하여, 폐쇄된 사이클에서 불활성 기체를 경제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층 제조 연기를 포획하기 위해 사용되는 필터는 여과 표준 EN779:2012에 따라 F9 등급이고 그러한 필터는 적어도 1마이크로미터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입자를 포획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산소 분자와 같은 다른 기체가 보조 기계의 제조 챔버 내에 수 퍼센트 정도의 소량으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 불활성화 장치(126)에 의하여 수행되는 여과는 또한 이러한 다른 기체가 보조 기계(M2, M3)의 제조 챔버 내로 재주입 될 수 있도록 제조 연기의 입자를 이러한 다른 기체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 파이프(128)는 보조 기계(M2, M3)의 제조 챔버(CF2, CF3)를 향해 보조 불활성화 장치(126)로부터 불활성 기체 및 선택적으로 다른 기체를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제2 배출 파이프(130)는 제조 챔버(CF2, CF3) 내에 존재하는 연기와 기체의 일부를 보조 불활성화 장치(126)를 향해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보조 기계(M2, M3) 각각에 존재하고 제2 배출 파이프(30)의 상류에 위치한 집진 장치는 제조 챔버(CF2, CF3)로부터 연기와 함께 추출된 기체 또는 기체들로부터 적어도 5마이크로미터인 연기 입자를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연기의 여과에 추가하여, 보조 불활성화 장치(126)는 보조 기계(M2, M3)의 제조 챔버(CF2, CF3) 내에 존재하는 기체의 압력을 관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보조 불활성화 장치(126)는 예를 들어, 보조 기계(M2, M3)의 제조 챔버(CF2, CF3) 내에 존재하는 기체의 압력을 낮추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기계의 바깥쪽으로의 분말 누출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 불활성화 장치(126)는 주 불활성화 장치(26)와 독립적이다. 또한, 보조 불활성화 장치(126)는 보조 제조 하우징(114)의 외부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보조 불활성화 장치(126)는 보조 자기-지지 프레임(112)에 의해 지지된다.
주 제조 하우징(14) 내를 순환하는 공기의 처리를 위한 주 장치(42)가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비는 상이한 하우징(14, 114) 내를 순환하는 공기의 처리에 있어서 주 처리 장치(42)를 도와줄 보조 처리 장치(142)를 포함한다.
이 보조 처리 장치(142)는 주 처리 장치(42)와 독립적이다. 따라서 이 보조 처리 장치(142)는 보조 제조 하우징(114) 및 주 제조 하우징(14)에 설비 바깥쪽으로 배출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우징(14, 114) 내에서 순환한 공기는 적층 제조 분말 입자를 함유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 처리 장치(142)는 이 공기를 설비 바깥쪽의 공기로 배출하기 전에 포획된 공기를 여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층 제조 분말 입자를 포획된 공기로부터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필터는 HEPA(고효율 미립자 공기) 유형이며, 이 필터는 적어도 0.3 마이크로미터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분말 입자를 포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설비 바깥쪽으로 분말이 누출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보조 처리 장치(142)는 또한 하우징(14,114)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력을 관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보조 처리 장치(142)는 하우징 내의 압력을 낮추는데 사용되어 분말 그레인과 입자를 설비 내부에 유지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조 하우징(14, 114) 내의 공기 압력이 주 에어락(34) 내의 공기 압력보다 낮고, 주 에어락(34) 내의 공기 압력이 설비 바깥쪽의 공기 압력보다 낮다.
적층 제조 프로세스의 사용이 많은 양의 열을 방출하기 때문에, 보조 처리 장치(142)는 또한 제조 하우징(14, 114) 및 주 에어락(34)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 더 정확히는 냉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온도 조절과 동시에, 이 보조 처리 장치(142)는 또한 제조 하우징(14, 114) 및 주 에어락(34)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조 하우징(14, 114) 내의 조작자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조 처리 장치(142)는 또한 제조 하우징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산소 분자 함량을 모니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보조 처리 장치(142)는 보조 제조 하우징(114)의 바깥쪽에 위치한다. 또한, 보조 처리 장치(142) 그 자체는 또한 보조 자기-지지 프레임(112)에 의해 지지된다.
보조 불활성화 장치(126) 및 보조 처리 장치(142), 보조 적층 제조 기계(M2, M3) 및 전기 에너지 공급을 요구하는 임의의 다른 장치에도 공급하기 위해, 설비는 상술한 장치와 기계의 전력 및 제어 회로를 함께 결합한 보조 전기 캐비닛(144)을 포함한다. 이 보조 전기 캐비닛(144)은 주 전기 캐비닛(44)과 독립적이다.
바람직하게는, 보조 불활성화 장치(126) 및 보조 처리 장치(142)와 마찬가지로, 보조 전기 캐비닛(144)은 보조 제조 하우징(114)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 전기 캐비닛(144)은 보조 자기-지지 프레임(112)에 의해 지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조 불활성화 장치(126), 보조 처리 장치(142) 및 보조 전기 캐비닛(144)은 보조 제조 하우징(114)의 전방에 나란히 배치된 3개의 블록 형태를 취한다.
이동식 설비(10)는 또한 폐수를 회수하기 위한 보조 장치(146)를 포함한다. 이 회수 장치(146)는 주 회수 장치(46)와 독립적이다. 이 보조 회수 장치(146)는 폐수가 전문 회사에 의해 회수 및 처리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폐수를 저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용기의 형태를 취한다.
바람직하게는, 보조 회수 장치(146)는 보조 제조 하우징(114)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보조 회수 장치(146)는 또한 보조 자기-지지 프레임(112)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조 회수 장치(146)는 보조 제조 하우징(114)의 전방에, 이 하우징의 전방 단부벽(20F)에 근접하여 보조 불활성화 장치(126), 보조 처리 장치(142), 보조 전기 캐비닛(144)과 함께 나란히 배치된 블록의 형태를 취한다.
전술한 장치에 추가하여 조작자의 안전에 기여하기 위해, 보조 처리 장치(142)는 하우징(14, 114) 내에 존재하는 공기를 질소와 같은 불활성 기체로 포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이동식 설비(10)는 보조 제조 하우징(114) 내에서 화재가 시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분말을 분무하기 위한 장치(168)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이동식 설비(10)는 보조 제조 하우징(114)의 체적을 확장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보조 모듈(17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보조 확장 모듈(170)은 자기-지지되지만, 보조 자기-지지 마운팅(112)에 고정되어 있다. 보조 확장 모듈(170)은 보조 제조 하우징(114) 내의 보조 기계(M2, M3) 각각의 위치의 반대편에 제공된다. 각각의 보조 확장 모듈(170)은 보조 기계(M2, M3)에 근접한 보조 제조 하우징(114)을 넓히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기계의 큰 부피에도 불구하고 보조 순환 경로(132)에서 조작자가 이 기계 주위를 순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10)

  1.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10)이며,
    도로를 통해 상기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10)를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주 자기-지지 프레임(12),
    상기 주 자기-지지 프레임(1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주 자기-지지 프레임(12)에 고정된 패널(16)에 의해 누설밀봉 방식으로 폐쇄된 주 제조 하우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주 적층 제조 기계(M1)가 상기 주 제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주 적층 제조 기계(M1)는 적어도 하나의 제조 챔버(CF1)를 포함하고, 상기 제조 챔버 내부에서 적층 제조 분말을 퇴적시키고 이 분말 그레인을 에너지원 또는 열원을 이용하여 용융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적층 제조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주 제조 하우징(14),
    상기 주 적층 제조 기계(M1)의 상기 제조 챔버(CF1)에 불활성 기체를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기 제조 챔버(CF1) 내의 상기 적층 제조에 의한 연기로 오염된 상기 불활성 기체를 포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주 불활성화 장치(26), 및 조작자가 상기 주 적층 제조 기계(M1) 주위에서 순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주 제조 하우징(14) 내에 제공되는 주 순환 경로(32),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의 출입을 위한 주 에어락(34)으로서, 상기 주 자기-지지 프레임(1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주 자기-지지 프레임(12)에 고정된 패널(16)에 의해 누설밀봉 방식으로 폐쇄되며, 내부 문(38)이 조작자가 주 에어락(34)과 상기 주 제조 하우징(14) 사이에서 순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외부 문(40)이 조작자가 상기 주 에어락(34)과 상기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10)의 바깥쪽 사이에서 순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주 에어락(34), 및
    상기 주 제조 하우징(14) 내를 순환하는 공기의 처리를 위한 주 처리 장치(42)로서, 상기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10)의 바깥쪽으로 배출된 공기를 상기 주 제조 하우징(14) 내로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주 제조 하우징(14) 및 상기 주 에어락(34) 내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주 제조 하우징(14) 및 상기 주 에어락(34)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력을 관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주 처리 장치(42)를 포함하는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처리 장치(42)가 상기 주 제조 하우징(14)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산소 함량 비율을 모니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 처리 장치(42)가 상기 주 제조 하우징(14) 및 상기 주 에어락(34)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추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 처리 장치(42)가 상기 주 제조 하우징(14) 및 상기 주 에어락(34)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 에어락(34)은 서로 통하는 2개의 룸들인 외부 룸(34E)과 내부 룸(34I)을 포함하며, 외부 룸(34E)은 상기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10)의 바깥쪽과 상기 외부 문(40)을 통해 통하고, 내부 룸(34I)은 상기 주 제조 하우징(14)과 상기 내부 문(38)을 통해 통하고, 상기 내부 룸(34I)은 상기 외부 룸(34E)과 중간 문(48)을 통해 통하는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 처리 장치(42)가 상기 주 에어락(34)의 이 2개의 룸들(34I, 34E) 내의 공기의 재순환을 제공하는 것 및 이 공기의 온도와 이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10)가 디켄팅 장치(56)를 포함하고, 디켄팅 장치(56)는 누설밀봉 방식으로 폐쇄된 하우징(58), 조작자가 상기 하우징(58)의 내부를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창문(60), 및 조작자가 상기 폐쇄된 하우징 내에서 분말 단지(55)를 다루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장갑 포트(62)를 포함하는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10)가 제1 용기(54A)로부터 제2 용기(54B)로 분말을 이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이 분말의 체질을 수행하는 체질 장치(64)를 포함하며, 이 체질 장치(64)가 누설밀봉 방식으로 폐쇄되고 상기 주 제조 하우징(14) 내에 위치된 하우징(66) 내에 배치된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 처리 장치(42)가 상기 주 제조 하우징(14) 내에 존재하는 공기를 불활성 기체로 포화 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10)가 화재가 시작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분말을 상기 주 제조 하우징(14) 내로 분무하기 위한 장치(68)를 포함하는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
KR1020197010321A 2016-10-13 2017-10-12 안전한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 KR102338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59896 2016-10-13
FR1659896A FR3057488B1 (fr) 2016-10-13 2016-10-13 Atelier mobile et securise de fabrication additive
PCT/EP2017/076071 WO2018069446A1 (fr) 2016-10-13 2017-10-12 Atelier mobile et securise de fabrication additi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927A KR20190059927A (ko) 2019-05-31
KR102338117B1 true KR102338117B1 (ko) 2021-12-10

Family

ID=57590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0321A KR102338117B1 (ko) 2016-10-13 2017-10-12 안전한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773306B2 (ko)
EP (1) EP3525959B1 (ko)
JP (1) JP6979065B2 (ko)
KR (1) KR102338117B1 (ko)
CN (1) CN109803776B (ko)
ES (1) ES2948238T3 (ko)
FR (1) FR3057488B1 (ko)
WO (1) WO20180694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00416A1 (de) * 2019-01-09 2020-07-09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3D-Drucker mit Brandschutzfunktion
LU101168B1 (en) * 2019-03-29 2020-09-30 BigRep GmbH Loading lock arrangement
JP7213164B2 (ja) * 2019-08-09 2023-01-2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金属積層造形システム、金属積層造形方法、プログラム
US20230067216A1 (en) * 2019-09-04 2023-03-02 SLM Solutions Group AG Method of treating a gas stream and method of operating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work piece
FR3103125B1 (fr) * 2019-11-18 2021-10-22 Addup Module de fourniture de poudre de fabrication additive permettant le rempotage de poudre sous atmosphrere inerte
FR3106841A1 (fr) 2020-02-05 2021-08-06 Cesi Association Unité de fabrication modulaire et transportable offrant une haute sécurité industrielle notamment pour la fabrication additive métallique
CN113204214B (zh) * 2021-04-28 2024-04-09 中国人民解放军陆军装甲兵学院 移动式模块化多能束能场增减材复合修复设备及方法
CN114226763B (zh) * 2021-11-30 2024-05-28 广西星耀皓宇智能机械有限公司 一种智能制造3d打印零部件生产站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18309A1 (en) 2002-07-03 2004-06-24 Therics, In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three-dimensional printing
US20130109291A1 (en) 2009-08-16 2013-05-02 G-Con, Llc Modular, self-contained, mobile clean room
US20140374935A1 (en) 2013-06-23 2014-12-25 Addibot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e additive manufacturing
US20160229005A1 (en) 2015-02-05 2016-08-11 Siemens Energy, Inc. Mobile repair an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gas turbine engine maintenance
US20170334134A1 (en) 2014-11-13 2017-11-23 Cl Schutzrechtsverwal Tungs Gmbh Production system for the simultaneous, rapid manufacturing of several component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002744U1 (ko) * 1990-03-08 1990-09-13 Gks Klima-Service Gmbh, 2800 Bremen, De
JPH1066738A (ja) * 1996-10-18 1998-03-10 Nohmi Bosai Ltd 高架式の消火装置
JP3866840B2 (ja) * 1997-10-28 2007-01-10 三機工業株式会社 不活性ガス供給設備
US6940037B1 (en) * 2003-08-25 2005-09-06 Southern Methodist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welding parameters in welding-based deposition processes
US20060214335A1 (en) * 2005-03-09 2006-09-28 3D Systems, Inc. Laser sintering powder recycle system
DE102008022495A1 (de) * 2008-05-07 2009-11-12 Fockele, Matthias, Dr.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Gegenstandes durch schichtweises Aufbauen aus pulverförmigem Werkstoff
BR112012003549B1 (pt) * 2009-08-16 2020-08-04 G-Con Manufacturing Inc Estrutura unitária, unidade de biossegurança e método de fazer uma unidade prévalidável unitária
JP5559948B2 (ja) * 2010-03-12 2014-07-23 Hoya株式会社 多層反射膜付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反射型マスクブランクの製造方法
US10371394B2 (en) * 2010-09-20 2019-08-06 Biologics Modular Llc Mobile, modular cleanroom facility
JP5421425B2 (ja) * 2012-05-15 2014-02-19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遠隔操作システム
US20140265046A1 (en) * 2013-03-15 2014-09-18 Matterfab Corp. Laser sintering apparatus and methods
US9724877B2 (en) * 2013-06-23 2017-08-08 Robert A. Flitsch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e additive manufacturing of advanced structures and roadways
CN203779865U (zh) * 2013-12-27 2014-08-20 万英南 一种3d打印系统
SG11201700155YA (en) * 2014-07-11 2017-02-27 G Con Mfg Inc Modular parts that supply utilities to cleanroom, isolation or containment cubicles, pods, or modules
EP2992942B1 (en) * 2014-09-03 2019-06-05 SLM Solutions Group AG Apparatus for producing 3d work pieces by additive manufacturing with an improved recycling gas circuit and related method using the same
FR3032637A1 (fr) * 2015-02-16 2016-08-19 Michelin & Cie Procede de gestion d'une poudre dans une installation de fabrication additive comprenant une pluralite de machin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18309A1 (en) 2002-07-03 2004-06-24 Therics, In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three-dimensional printing
US20130109291A1 (en) 2009-08-16 2013-05-02 G-Con, Llc Modular, self-contained, mobile clean room
US20140374935A1 (en) 2013-06-23 2014-12-25 Addibot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e additive manufacturing
US20170334134A1 (en) 2014-11-13 2017-11-23 Cl Schutzrechtsverwal Tungs Gmbh Production system for the simultaneous, rapid manufacturing of several components
US20160229005A1 (en) 2015-02-05 2016-08-11 Siemens Energy, Inc. Mobile repair an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gas turbine engine maintenan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www.cassamobile.eu/dissemination/second_workshop/index.ph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73306B2 (en) 2020-09-15
JP2019536900A (ja) 2019-12-19
WO2018069446A1 (fr) 2018-04-19
KR20190059927A (ko) 2019-05-31
JP6979065B2 (ja) 2021-12-08
FR3057488B1 (fr) 2018-11-09
FR3057488A1 (fr) 2018-04-20
EP3525959A1 (fr) 2019-08-21
US20190009336A1 (en) 2019-01-10
ES2948238T3 (es) 2023-09-06
CN109803776A (zh) 2019-05-24
EP3525959B1 (fr) 2023-03-29
CN109803776B (zh) 2021-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8117B1 (ko) 안전한 이동식 적층 제조 설비
KR102337443B1 (ko) 이동식 멀티 하우징 적층 제조 설비
CN108367353B (zh) 具有连续嵌套密闭室的增材制造设施
CN108367351B (zh) 增材制造容器/托盘组件或托盘的运送设备/方法及设施
CN109689251B (zh) 用于实体自由成形制造的多腔室沉积设备
US102138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high output laser trimming
JPH0796940B2 (ja) 物体取扱設備および方法
CN110139723B (zh) 双壳增材制造机器
GB2146166A (en) Equipment for reclaiming radioactive metallic components from spent nuclear power plants
KR20240035070A (ko) 소방 기능을 갖는 폐배터리 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배터리 재활용 시스템
JP2016191600A (ja) 燃料デブリ回収時換気システム及び燃料デブリ回収時換気方法
CN115971608A (zh) 一种自动弧焊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