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911B1 - 원격 진료용 영상 송신 장치 - Google Patents

원격 진료용 영상 송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911B1
KR102337911B1 KR1020210053544A KR20210053544A KR102337911B1 KR 102337911 B1 KR102337911 B1 KR 102337911B1 KR 1020210053544 A KR1020210053544 A KR 1020210053544A KR 20210053544 A KR20210053544 A KR 20210053544A KR 102337911 B1 KR102337911 B1 KR 102337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treaming
captured
unit
recei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엔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엔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엔웨어
Priority to KR1020210053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9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8Remultiplexing multiplex streams, e.g. involving modifying time stamps or remapping the packet ident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료용 영상 송신 장치는 영상 기기에서 원격 환자에 대한 영상 소스(source)를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 상기 영상 입력부로부터 제1 전송 경로를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 소스를 인코딩하여 인코딩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영상 입력부로부터 상기 제1 전송 경로와 다른 제2 전송 경로를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 소스를 캡쳐하여 캡쳐 이미지 영상을 생성하는 이미지 캡쳐부; 상기 영상 처리부로부터 제3 전송 경로를 통하여 상기 인코딩 영상을 전송받고, 상기 영상 수신 장치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인코딩 영상에 대한 스트리밍 영상을 상기 영상 수신 장치로 제공하는 스트리밍 처리부; 및 상기 이미지 캡쳐부로부터 상기 제3 전송 경로와 다른 제4 전송 경로를 통하여 상기 캡쳐 이미지 영상을 전송받고, 상기 영상 수신 장치의 선택에 따라 상기 캡쳐 이미지 영상을 상기 영상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이미지 전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 진료용 영상 송신 장치{APPARATUS FOR TRAMITTING IMAGE FOR REMOTE MEDICAL TREAMENT}
본 발명은 원격 진료용 영상 송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대역 초고속 통신망이 구축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광대역 초고속 통신망을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의료 분야는 광대역 초고속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진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원격 진료는 환자의 생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되므로 원격 환자에 대한 영상이 신속하게 끊김없이 안정적으로 전송되어야 한다.
또한 원격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려면 원격 환자에 대한 고품질의 영상이 원격 의사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원격 환자에 대한 고품질의 영상이 끊김없이 안정적으로 제공되려면 전송 대역폭이 커져야 하지만 전송 대역폭의 제한 등으로 이와 같은 영상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못할 수 있다.
공개 특허 10-2016-0027000 (공개일자 : 2016년03월09일)
본 발명은 원격 의사가 원격 환자에 대한 진단을 신속하고 정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원격 의사의 영상 수신 장치와 통신하는 영상 송신 장치에 있어서, 영상 기기에서 원격 환자에 대한 영상 소스(source)를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 상기 영상 입력부로부터 제1 전송 경로를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 소스를 인코딩하여 인코딩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영상 입력부로부터 상기 제1 전송 경로와 다른 제2 전송 경로를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 소스를 캡쳐하여 캡쳐 이미지 영상을 생성하는 이미지 캡쳐부; 상기 영상 처리부로부터 제3 전송 경로를 통하여 상기 인코딩 영상을 전송받고, 상기 영상 수신 장치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인코딩 영상에 대한 스트리밍 영상을 상기 영상 수신 장치로 제공하는 스트리밍 처리부; 및 상기 이미지 캡쳐부로부터 상기 제3 전송 경로와 다른 제4 전송 경로를 통하여 상기 캡쳐 이미지 영상을 전송받고, 상기 영상 수신 장치의 선택에 따라 상기 캡쳐 이미지 영상을 상기 영상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이미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원격 진료용 영상 송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캡쳐 이미지 영상의 품질은 상기 인코딩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별 영상의 품질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영상 소스를 손실압축처리하여 상기 인코딩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캡쳐부는 상기 영상 소스를 비손실압축처리하여 상기 캡쳐 이미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처리부는 상기 인코딩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영상 수신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영상 수신 장치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전송하는 스트리밍 처리 서버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이미지 전송부는 상기 캡쳐 이미지 영상을 저장하며, 상기 영상 수신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영상 수신 장치로 상기 캡쳐 이미지 영상을 전송하는 이미지 전송 서버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인코딩 영상 및 상기 캡쳐 이미지 영상은 타임 스탬프(time stamp)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수신 장치의 선택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처리부가 상기 스트리밍 영상의 송신을 중지할 경우, 상기 이미지 전송부는 상기 영상 수신 장치로 상기 캡쳐 이미지 영상을 전송하고, 상기 이미지 전송부와 상기 영상 수신 장치 사이의 전송 대역폭에 따라 상기 캡쳐 이미지 영상의 전송 빈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수신 장치는, 상기 전송된 캡쳐 이미지 영상을 이미지 버퍼부에 저장하고,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표시하는 과정 중에 상기 영상 수신 장치의 원격 의사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영상의 과거 시점에 대한 캡쳐 이미지 영상을 요청할 경우, 상기 과거 시점에 대한 타임 스탬프에 해당되는 캡쳐 이미지 영상을 상기 이미지 버퍼부에서 읽어들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수신 장치가,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표시하는 과정 중에 상기 영상 수신 장치의 원격 의사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영상의 과거 시점에 대한 캡쳐 이미지 영상을 요청할 경우, 상기 이미지 전송부는, 상기 과거 시점에 대한 타임 스탬프에 해당되는 캡쳐 이미지 영상을 상기 영상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코딩 및 캡쳐를 위하여 서로 다른 전송 경로를 사용하므로 원격 진료 과정에서 원격 의사가 원격 환자에 대한 진단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격 진료 과정에서 전송 대역폭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화질의 스트리밍 영상과 캡쳐 이미지 영상을 원격 의사의 선택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료용 영상 송수신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료용 영상 송신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료용 영상 송신 장치의 활용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영상 수신 장치의 스트리밍 영상의 표시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료용 영상 송수신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료용 영상 송신 장치(이하, 영상 송신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송신 장치의 활용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영상 수신 장치의 스트리밍 영상의 표시 일례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송신 장치(100)는 원격 의사의 영상 수신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수신 장치(300)는 스트리밍 영상 및 캡쳐 이미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수신 장치(300)는 데스크 탑 PC,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 전용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영상 수신 장치(300)와 영상 송신 장치(1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이동통신망, 인터넷, 인트라넷, 로컬 영역 네트워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송신 장치(100)는 영상 입력부(110), 영상 처리부(120), 이미지 캡쳐(capture)부(130), 스트리밍(streaming) 처리부(140), 이미지 전송부(150)를 포함한다.
영상 입력부(110)는 영상 기기(10)에서 원격 환자에 대한 영상 소스(source)를 입력받는다. 영상 입력부(110)는 HDMI 인터페이스, USB 인터페이스, DVI 인터페이스, DP(DisplayPort)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 기기(10)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소스을 생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기기(10)는 디지털 카메라(예를 들어, DSLR, mirrorless camera 등), 디지털 캠코더, 각종 전자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폰, 랩탑 컴퓨터, 데스트탑 컴퓨터, tablet pc 등)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 의료용 장치(예를 들어, 내시경 장치, MRI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 처리부(120)는 영상 입력부(110)로부터 제1 전송 경로를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 소스를 인코딩하여 인코딩 영상을 생성한다. 영상 처리부(120)는 인코딩을 통하여 영상 소스에 대한 손실압축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20)는 영상압축 코덱(예를 들어, H.265, H.264 등)을 사용하여 영상 소스을 압축할 수 있다.
영상 송신 장치(100)와 영상 수신 장치(300) 사이의 제한된 통신 대역폭으로 인하여 실시간으로 고화질 영상 데이터(예를 들어, 4K UHD 또는 8K UHD 등)를 전송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처리부(120)는 인코딩 과정에서 영상 데이터를 줄이게 되며, 이에 따라 영상 소스의 원본 화질이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제한된 통신 대역폭에 적합한 수준으로 화질을 낮추게 된다.
화질을 낮추는 방법은 예를 들어, 최대 비트레이트를 제한하거나 크로마 서브샘플링(chroma subsampling)과 같이 색상 정보를 줄이는 등의 방법이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미지 캡쳐부(130)는 영상 입력부(110)로부터 제1 전송 경로와 다른 제2 전송 경로를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 소스를 캡쳐하여 캡쳐 이미지 영상을 생성한다. 이미지 캡쳐부(130)는 영상 소스에 대한 무손실 압축 처리된 캡쳐 이미지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영상 소스과 동일한 이미지 품질의 캡쳐 이미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캡쳐 이미지 영상은 스틸 이미지(still image)일 수 있다.
스트리밍 처리부(140)는 영상 처리부(120)로부터 제3 전송 경로를 통하여 인코딩 영상을 전송받고, 영상 수신 장치(300)의 선택에 따라 인코딩 영상에 대한 스트리밍 영상을 영상 수신 장치(300)로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스트리밍 처리부(140)는 인코딩 영상을 저장할 수 있으며, 영상 수신 장치(300)의 요청에 따라 인코딩 영상을 패킷화하여 영상 수신 장치(300)로 전송함으로써 스트리밍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스트리밍 처리부(140)는 인코딩 영상을 저장하고, 영상 수신 장치(300)의 요청에 따라 영상 수신 장치(300)로 스트리밍 영상을 전송하는 스트리밍 처리 서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 전송부(150)는 이미지 캡쳐부(130)로부터 제3 전송 경로와 다른 제4 전송 경로를 통하여 캡쳐 이미지 영상을 전송받고, 영상 수신 장치(300)의 선택에 따라 캡쳐 이미지 영상을 영상 수신 장치(300)로 전송한다. 이미지 전송부(150)는 캡쳐 이미지 영상을 저장할 수 있으며, 영상 수신 장치(300)의 요청에 따라 캡쳐 이미지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이미지 전송부(150)는 캡쳐 이미지 영상을 저장하며, 영상 수신 장치(300)의 요청에 따라 영상 수신 장치(300)로 캡쳐 이미지 영상을 전송하는 이미지 전송 서버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인코딩 영상 및 캡쳐 이미지 영상은 동기화되어 타임 스탬프(time stamp)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수신 장치(300)의 스트리밍 재생기 및 이미지 재생기는 각각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 및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수신 장치(300)는 스트리밍 영상 및 캡쳐 이미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리밍 처리부(140) 및 이미지 전송부(150)는 각각 스트리밍 서버 및 이미지 전송 서버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영상 수신 장치(300)는 스트리밍 처리부(140)및 이미지 전송부(150)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영상 소스에 대한 인코딩 및 스트리밍 제공을 위한 전송 경로와 이미지 캡쳐 및 캡쳐된 이미지 제공을 위한 전송 경로가 서로 다르다.
본 발명과 다르게 동일한 전송 경로로 영상 소스에 대한 인코딩 및 캡쳐가 이루어진다면, 인코딩을 위해 전송 경로가 사용될 경우 캡쳐가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캡쳐를 위해 전송 경로가 사용될 경우 인코딩이 어려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코딩 및 캡쳐를 위하여 서로 다른 전송 경로를 사용하므로 원격 진료 과정에서 원격 의사가 원격 환자에 대한 진단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캡쳐 이미지 영상의 품질은 인코딩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별 영상의 품질보다 높을 수 있다. 영상 처리부(120)는 영상 소스를 손실압축처리하여 인코딩 영상을 생성하고, 이미지 캡쳐부(130)는 영상 소스를 무손실 압축 처리하여 캡쳐 이미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인코딩 영상과 캡쳐 이미지 영상의 품질 차이를 두는 방법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소스가 8K UHD 해상도를 지닌 경우, 인코딩 영상의 해상도는 FHD 해상도로 설정하고 캡쳐 이미지 영상은 4K UHD 해상도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영상 소스가 10 bit 색상정보를 가진 경우 인코딩 영상은 8 bit 색상정보를 가지고 캡쳐 이미지 영상은 10 bit 색상정보를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스트리밍 영상이 고품질일수록 통신 대역폭의 제한으로 인하여 안정적인 영상 전송이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영상 수신 장치(300)에서 영상 끊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영상 끊김은 원격 의료 등에서는 치명적인 문제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인코딩 영상은 손실압축되어 전송되는 데이터량을 줄임으로써 통신 대역폭의 제한을 벗어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기기(10)는 원격 환자에 대한 영상 소스를 생성하고, 유저에 해당되는 원격 의사의 조작에 따른 영상 수신 장치(300)의 선택에 따라 스트리밍 처리부(140)가 스트리밍 영상을 전송하거나 캡쳐 이미지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수신 장치(300)는 유저(예를 들어, 원격 의사)의 조작에 따라 스트리밍 영상의 표시 및 캡쳐 이미지 영상의 표시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영상 수신 장치(300)의 선택에 따라 스트리밍 처리부(140)가 스트리밍 영상의 송신을 중지할 수 있다. 영상 수신 장치(300)의 요청에 따라 이미지 전송부(150)는 영상 수신 장치(300)로 캡쳐 이미지 영상을 전송하고, 이미지 전송부(150)와 영상 수신 장치(300) 사이의 전송 대역폭에 따라 캡쳐 이미지 영상의 전송 빈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의사가 원격 환자의 위에 대한 스트리밍 영상을 보다가 정확한 진단 등을 위하여 고화질의 캡쳐 이미지 영상을 원할 경우, 원격 의사는 도 5의 타임 슬라이드를 좌우로 이동시켜 자신이 원하는 과거 시점의 캡쳐 이미지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미지 전송부(150)는 상기 과거 시점의 타임 스탬프에 해당되는 캡쳐 이미지 영상을 영상 수신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캡쳐 이미지 영상은 고화질의 이미지이므로 데이터의 크기가 클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전송부(150)는 전송 대역폭에 따라 캡쳐 이미지 영상의 전송 빈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전송부(150)는 1초에 1 프레임의 캡쳐 이미지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전송 빈도는 전송 대역폭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스트리밍 처리부(140)와 이미지 전송부(150)는 전송 대역폭을 확인하기 위하여 스트리밍 영상이나 캡쳐 이미지 영상을 보내기 전에 일정 크기의 테스트 데이터를 영상 수신 장치(300)로 전송하고, 영상 수신 장치(300)가 상기 테스트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다는 응답을 전송받음으로써 전송 대역폭을 확인할 수 있다.
영상 수신 장치(300)가 정상적으로 테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스트리밍 처리부(140) 또는 이미지 전송부(150)는 크기를 줄인 테스트 데이터를 영상 수신 장치(300)로 전송하여 전송 대역폭을 확인할 수 있다.
원격 의료의 경우, 원격 의사가 원격 환자의 스트리밍 영상을 보는 과정에서 스트리밍 영상의 품질로 인하여 정확한 진단을 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 의사는 영상 수신 장치(300)를 통하여 고화질의 캡쳐 이미지 영상을 요청할 수 있다. 영상 수신 장치(300)에 의하여 요청된 캡쳐 이미지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두 가지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첫 번째 방법의 경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수신 장치(300)는 전송된 캡쳐 이미지 영상을 이미지 버퍼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 버퍼부에 캡쳐 이미지 영상을 저장하기 위하여 이미지 전송부(150)는 영상 수신 장치(300)의 요청 이전에 캡쳐 이미지 영상을 미리 영상 수신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캡쳐 이미지 영상은 고화질의 이미지이므로 데이터의 크기가 클 수 있우며, 이미지 전송부(150)는 전송 대역폭에 따라 캡쳐 이미지 영상의 전송 빈도를 조절할 수 있다.
스트리밍 영상을 표시하는 과정 중에 영상 수신 장치(300)의 원격 의사의 조작에 따라 스트리밍 영상의 과거 시점에 대한 캡쳐 이미지 영상을 요청할 경우, 과거 시점에 대한 타임 스탬프에 해당되는 캡쳐 이미지 영상을 이미지 버퍼부에서 읽어들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의사가 원격 환자의 위에 대한 스트리밍 영상을 보다가 정확한 진단 등을 위하여 고화질의 캡쳐 이미지 영상을 원할 경우, 원격 의사는 도 5의 타임 슬라이드를 좌우로 이동시켜 자신이 원하는 과거 시점의 캡쳐 이미지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영상 수신 장치(300)는 상기 과거 시점의 타임 스탬프에 해당되는 캡쳐 이미지 영상을 이미지 버퍼부에서 읽어들여 표시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의 경우, 영상 수신 장치(300)가, 스트리밍 영상을 표시하는 과정 중에 영상 수신 장치(300)의 원격 의사의 조작에 따라 스트리밍 영상의 과거 시점에 대한 캡쳐 이미지 영상을 요청할 경우, 이미지 전송부(150)는, 과거 시점에 대한 타임 스탬프에 해당되는 캡쳐 이미지 영상을 영상 수신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영상 수신 장치(300)가 과거 시점의 캡쳐 이미지 영상을 선택할 경우 이미지 전송부(150)는 과거 시점의 타임스탬프에 해당되는 캡쳐 이미지 영상을 읽어들여 영상 수신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영상 기기(10)
영상 송신 장치(100)
영상 입력부(110)
영상 처리부(120)
이미지 캡쳐부(130)
스트리밍 처리부(140)
이미지 전송부(150)
영상 수신 장치(300)

Claims (7)

  1. 원격 의사의 영상 수신 장치와 통신하는 원격 진료용 영상 송신 장치에 있어서,
    영상 기기에서 원격 환자에 대한 영상 소스(source)를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
    상기 영상 입력부로부터 제1 전송 경로를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 소스를 인코딩하여 인코딩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영상 입력부로부터 상기 제1 전송 경로와 다른 제2 전송 경로를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 소스를 캡쳐하여 캡쳐 이미지 영상을 생성하는 이미지 캡쳐부;
    상기 영상 처리부로부터 제3 전송 경로를 통하여 상기 인코딩 영상을 전송받고, 상기 영상 수신 장치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인코딩 영상에 대한 스트리밍 영상을 상기 영상 수신 장치로 제공하는 스트리밍 처리부; 및
    상기 이미지 캡쳐부로부터 상기 제3 전송 경로와 다른 제4 전송 경로를 통하여 상기 캡쳐 이미지 영상을 전송받고, 상기 영상 수신 장치의 선택에 따라 상기 캡쳐 이미지 영상을 상기 영상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이미지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쳐 이미지 영상의 품질은 상기 인코딩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별 영상의 품질보다 높으며,
    상기 스트리밍 처리부는 상기 인코딩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영상 수신 장치의 요청에 따라 클라이언트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영상 수신 장치로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전송하는 스트리밍 처리 서버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이미지 전송부는 상기 캡쳐 이미지 영상을 저장하며, 상기 영상 수신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영상 수신 장치로 상기 캡쳐 이미지 영상을 전송하는 이미지 전송 서버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용 영상 송신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영상 소스를 손실압축처리하여 상기 인코딩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캡쳐부는 상기 영상 소스를 비손실압축처리하여 상기 캡쳐 이미지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용 영상 송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영상 및 상기 캡쳐 이미지 영상은 타임 스탬프(time stamp)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원격 진료용 영상 송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수신 장치의 선택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처리부가 상기 스트리밍 영상의 송신을 중지할 경우,
    상기 이미지 전송부는
    상기 영상 수신 장치로 상기 캡쳐 이미지 영상을 전송하고,
    상기 이미지 전송부와 상기 영상 수신 장치 사이의 전송 대역폭에 따라 상기 캡쳐 이미지 영상의 전송 빈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용 영상 송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수신 장치는,
    상기 전송된 캡쳐 이미지 영상을 이미지 버퍼부에 저장하고,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표시하는 과정 중에 상기 영상 수신 장치의 원격 의사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영상의 과거 시점에 대한 캡쳐 이미지 영상을 요청할 경우,
    상기 과거 시점에 대한 타임 스탬프에 해당되는 캡쳐 이미지 영상을 상기 이미지 버퍼부에서 읽어들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용 영상 송신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수신 장치가,
    상기 스트리밍 영상을 표시하는 과정 중에 상기 영상 수신 장치의 원격 의사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영상의 과거 시점에 대한 캡쳐 이미지 영상을 요청할 경우,
    상기 이미지 전송부는,
    상기 과거 시점에 대한 타임 스탬프에 해당되는 캡쳐 이미지 영상을 상기 영상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용 영상 송신 장치.
KR1020210053544A 2021-04-26 2021-04-26 원격 진료용 영상 송신 장치 KR102337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544A KR102337911B1 (ko) 2021-04-26 2021-04-26 원격 진료용 영상 송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544A KR102337911B1 (ko) 2021-04-26 2021-04-26 원격 진료용 영상 송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911B1 true KR102337911B1 (ko) 2021-12-10

Family

ID=78865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544A KR102337911B1 (ko) 2021-04-26 2021-04-26 원격 진료용 영상 송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9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3305A (ja) * 2000-05-18 2003-11-11 エクセル テック リミテッド タイム・スタンプおよびネットワーク通信を使用する患者モニタリングおよび患者データの精査のための分散システム
KR20070022975A (ko) * 2005-08-23 2007-02-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의 다이콤 영상 중계 시스템
KR20160027000A (ko) 2013-09-26 2016-03-09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원격진료를 위한 의료영상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원격 의료진단 시스템
KR20190080247A (ko) * 2017-12-28 2019-07-08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의료 영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3305A (ja) * 2000-05-18 2003-11-11 エクセル テック リミテッド タイム・スタンプおよびネットワーク通信を使用する患者モニタリングおよび患者データの精査のための分散システム
KR20070022975A (ko) * 2005-08-23 2007-02-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의 다이콤 영상 중계 시스템
KR20160027000A (ko) 2013-09-26 2016-03-09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원격진료를 위한 의료영상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원격 의료진단 시스템
KR20190080247A (ko) * 2017-12-28 2019-07-08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의료 영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22482A1 (en) Medical image acquisition system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medical images instantaneousl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0968606B1 (en) Method for still picture transmission and display
US6665002B2 (en) Real-time video/audio quality adjustment method
WO2015046641A1 (ko) 원격진료를 위한 의료영상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원격 의료진단 시스템
US934467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8694995B (zh) 一种医疗诊断系统及方法
CN101681243A (zh) 通过通用串行总线接口的视频数据传输
CN111866143A (zh) 一种远程数据传输方法、装置及监控系统
CN111629220A (zh) 一种远程医疗的快速回放对比系统和方法
EP2563038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video signals from an application on a server over an IP network to a client device
TW201026056A (en) Image capturing device and image delivery method
Barman et al. Parametric Quality Models for Multiscreen Video Systems
KR102337911B1 (ko) 원격 진료용 영상 송신 장치
Zou et al. Perceptual video quality metric for compression artefacts: from two‐dimensional to omnidirectional
TWI381733B (zh) 高解析度視訊會議系統
CN111782876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N110753243A (zh) 图像处理方法、图像处理服务器及图像处理系统
CN108184053A (zh) 嵌入式图像处理方法及装置
KR102297262B1 (ko) 하이브리드 해상도를 가진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해상도 영상 생성 방법
Dinevski et al. Video communication in telemedicine
CN101340546A (zh) 高分辨率视频会议系统
US11490101B2 (en) Video signal compression processor, video signal decompression processor, video signal transmission system, method of compressing video signal, and method of decompressing video signal
KR20020015219A (ko) 영상회의 시스템에서의 영상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Umeda et al. Case report: Tele-echo system: A real-time telemedicine system using medical ultrasound image sequence
US20140059027A1 (en) Server device, client device, medical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dical image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