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906B1 - 렌즈 광학계 - Google Patents

렌즈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906B1
KR102337906B1 KR1020190150823A KR20190150823A KR102337906B1 KR 102337906 B1 KR102337906 B1 KR 102337906B1 KR 1020190150823 A KR1020190150823 A KR 1020190150823A KR 20190150823 A KR20190150823 A KR 20190150823A KR 102337906 B1 KR102337906 B1 KR 102337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system
sensor
conditional expression
focal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2511A (ko
Inventor
오준혁
이정환
조재훈
김세진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90150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906B1/ko
Publication of KR20210062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3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thre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05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having F-Theta characteristic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1Interference filters designed for the infrared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1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hree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렌즈 광학계는, 물체와 상기 물체의 상이 맺히는 센서 사이에서 상기 물체 측으로부터 상기 센서 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 렌즈, 제2 렌즈 및 제3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광학계로서, 상기 제1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1 렌즈의 물체 측 면은 근축에서 오목하고, 상기 제2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2 렌즈의 물체 측 면 및 센서 측 면 중 적어도 하나는 근축에서 볼록하고, 상기 제3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렌즈의 물체 측 면 및 센서 측 면 중 적어도 하나는 근축에서 볼록하고, 상기 제3 렌즈의 센서 측 면은 비구면이고, f1은 상기 제1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일 때, 아래의 조건식을 만족한다.
<조건식>
-2.4 < f1/f < -1.2

Description

렌즈 광학계{Lens optical system}
본 발명은 렌즈 광학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매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촬상용 카메라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광학계와 렌즈 광학계를 통과한 광을 수광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로는 통상적으로 전하 결합 소자(charge coupled device)(CCD) 또는 씨모스 이미지센서(compli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CMOS 이미지센서)와 같은 고체 촬상 소자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의 카메라모듈은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랩-탑 컴퓨터 등 전자 장치에 널리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모듈은 통상의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의 목적뿐만 아니라 각종 광학 센서의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최근의 카메라모듈 중 일부는 안면 인식 센서 또는 지문 인식 센서 등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카메라모듈이 지문 인식 센서로 사용되는 경우, 초점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으면서 광축 방향의 길이가 짧은 형태가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 사항은 탑재되는 전자 장치가 박형화 및 슬림화되면서 더욱 강화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카메라모듈이 탑재될 수 있는 소형이면서, 향상된 광학적 성능을 가지는 렌즈 광학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8,724,239호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형이고 근접 촬영에 적합한 고성능의 렌즈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렌즈 광학계의 렌즈들을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고, 특히 단가가 낮은 재질을 보다 많이 사용하여 경제성이 우수한 렌즈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렌즈 광학계는, 물체와 상기 물체의 상이 맺히는 센서 사이에서 상기 물체 측으로부터 상기 센서 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 렌즈, 제2 렌즈 및 제3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광학계로서, 상기 제1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1 렌즈의 물체 측 면은 근축에서 오목하고, 상기 제2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2 렌즈의 물체 측 면 및 센서 측 면 중 적어도 하나는 근축에서 볼록하고, 상기 제3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렌즈의 물체 측 면 및 센서 측 면 중 적어도 하나는 근축에서 볼록하고, 상기 제3 렌즈의 센서 측 면은 비구면이고, f1은 상기 제1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일 때, 아래의 조건식을 만족한다.
<조건식>
-2.4 < f1/f < -1.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 사이에 위치하는 조리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의 물체 측 면은 비구면이고 유효경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의 센서 측 면은 오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의 물체 측 면 및 센서 측 면은 모두 볼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의 물체 측 면 및 센서 측 면은 모두 볼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의 센서 측 면은 유효경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f2는 상기 제2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3은 상기 제3 렌즈의 초점거리일 때, 아래의 조건식을 더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0.48<f2/f3<0.8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S11은 상기 제1 렌즈의 광축에서의 두께이고, S12는 광축에서의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 사이의 거리일 때, 아래의 조건식을 더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0.45<S11/S12<0.7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S22는 광축에서의 상기 제2 렌즈와 상기 제3 렌즈 사이의 거리이고, TT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 측 면에서 상기 센서까지의 광축 상의 거리일 때, 아래의 조건식을 더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0.003<S22/TTL<0.0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V1은 상기 제1 렌즈의 아베수(Abbe number)이고, V2는 상기 제2 렌즈의 아베수이고, V3은 상기 제3 렌즈의 아베수일 때, 아래의 조건식을 더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52<(V1+V2+V3)/3<5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θ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화각이고, f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일 때, 아래의 조건식을 더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7<|tan
Figure 112019120124385-pat00001
/f|<1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와 상기 센서 사이에 위치하고, 적외선 대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적외선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보다 물체 측에 가깝게 위치하는 커버글래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글래스는 양면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는 소형이고 근접 촬영에 적합한 고성능이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는 렌즈들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특히 단가가 낮은 재질을 보다 많이 사용하여 경제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렌즈 광학계의 렌즈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렌즈 광학계의 렌즈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렌즈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렌즈 광학계는, 피사체에 해당하는 물체와 물체의 상이 맺히는 센서(IS) 사이에 제1 렌즈(L1), 제2 렌즈(L2) 및 제3 렌즈(L3)가 위치한다. 제1 내지 제3 렌즈 (L1, L2, L3)는 물체 측에서 센서(IS)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각의 렌즈는 서로 마주보는 양면을 가진다. 하나의 렌즈에 있어서, 물체 측을 바라보는 면은 광이 렌즈로 들어오는 면인 입사면에 해당한다. 또한, 하나의 렌즈에 있어서, 센서(IS) 측을 바라보는 면은 렌즈에서 광이 나가는 면인 출사면에 해당한다. 본 명세서에서 n번째 렌즈의 물체 측면이자 입사면인 면을 Sn1로 표시하고, 센서 측면이자 출사면인 면은 Sn2로 표시하도록 한다. 따라서, 제1 렌즈(L1)의 물체 측 면이자 입사면은 S11로 표시되고, 센서 측 면이자 출사면은 S12로 표시된다. 또한, 제2 렌즈(L2)의 물체 측 면이자 입사면은 S21로 표시되고, 센서 측 면이자 출사면은 S22로 표시된다. 또한, 제3 렌즈(L3)의 물체 측 면이자 입사면은 S31로 표시되고, 센서 측 면이자 출사면은 S32로 표시된다.
렌즈 광학계는 조리개(S)를 포함한다. 조리개(S)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렌즈 광학계 내부로 조사되는 광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조리개(S)는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 사이에 위치한다.
렌즈 광학계는 광학 필터(OF)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필터(OF)는 제3 렌즈(L3)와 센서(IS)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광학 필터(OF)는 센서(IS)가 감지하는 대역 이외의 광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 필터(OF)는 센서(IS)가 가시광선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IS)인 경우 적외선 대역의 광을 차단할 수 있고, 센서(IS)가 적외선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IS)인 경우 가시광선 대역의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센서(IS)는 렌즈를 통과한 광을 수광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IS)일 수 있다. 센서(IS)는 제1 내지 제3 렌즈(L1~3)를 통과한 광이 센서(IS)의 물체 측 면 상에서 상이 맺히도록 제3 렌즈(L3)의 후면에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광학계는 커버글래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글래스는 제1 렌즈보다 물체 측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커버글래스는 양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커버글래스는 본 발명의 렌즈 광학계가 탑재된 전자 기기의 전면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렌즈 광학계의 각각의 렌즈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
제1 렌즈(L1)는 부(-, negative)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1 렌즈(L1)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제1 렌즈(L1)를 형성하는 플라스틱은 굴절률이 1.5보다는 크고 1.6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렌즈(L1)의 아베수(Abbe number)는 52보다는 크고 58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렌즈(L1)의 물체 측 면(S11)은 근축에서 오목하다. 여기서, 근축이라는 것은 광축에 근접한 부분을 의미하고, 렌즈의 유효경에서 광축에 근접한 일부분을 의미한다. 제1 렌즈(L1)의 물체 측 면(S11)의 근축을 기준으로 하는 곡률반경이 음의 값을 가진다. 제1 렌즈(L1)의 물체 측 면(S11)은 유효경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가질 수 있다. 제1 렌즈(L1)의 물체 측 면(S11)은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렌즈(L1)의 센서 측 면(S12)은 근축에서 오목하다. 제1 렌즈(L1)의 센서 측 면(S12)의 근축을 기준으로 하는 곡률반경이 양의 값을 가진다. 제1 렌즈(L1)의 센서 측 면(S12)은 유효경 내에서도 오목하다. 이러한 제1 렌즈(L1)의 센서 측 면(S12)은 비구면으로 형성된다.
제2 렌즈(L2)는 정(+, positive)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2 렌즈(L2)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제2 렌즈(L2)를 형성하는 플라스틱은 굴절률이 1.5보다는 크고 1.6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렌즈(L2)의 아베수(Abbe number)는 52보다는 크고 58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렌즈(L2)의 물체 측 면(S21)은 근축에서 볼록하다. 제2 렌즈(L2)의 물체 측 면(S21)의 근축을 기준으로 하는 곡률반경이 양의 값을 가진다. 이러한 제2 렌즈(L2)의 물체 측 면(S21)은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렌즈(L2)의 센서 측 면(S22)은 근축에서 볼록하다. 제2 렌즈(L2)의 센서 측 면(S22)은 근축을 기준으로 하는 곡률반경이 음의 값을 가진다. 제2 렌즈(L2)의 센서 측 면(S22)은 유효경 내에서도 볼록하다. 이러한 제2 렌즈(L2)의 센서 측 면(S22)은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렌즈(L3)는 정(+, positive)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3 렌즈(L3)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제3 렌즈(L3)를 형성하는 플라스틱은 굴절률이 1.5보다는 크고 1.6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3 렌즈(L3)의 아베수(Abbe number)는 52보다는 크고 58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렌즈(L3)의 물체 측 면(S31)은 근축에서 볼록하다. 제2 렌즈(L3)의 물체 측 면(S31)의 근축을 기준으로 하는 곡률반경이 양의 값을 가진다. 이러한 제3 렌즈(L3)의 물체 측 면(S31)은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렌즈(L3)의 센서 측 면(S32)은 근축에서 볼록하다. 제3 렌즈(L3)의 센서 측 면(S32)은 근축을 기준으로 하는 곡률반경이 음의 값을 가진다. 제3 렌즈(L3)의 센서 측 면(S32)은 유효경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3 렌즈(L3)의 센서 측 면(S32)은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렌즈 광학계는 아래의 조건식 1 내지 5를 만족한다.
<조건식 1>
-2.4 < f1/f < -1.2
여기서, f1은 제1 렌즈(L1)의 초점거리이고, f는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이다.
<조건식 2>
0.48<f2/f3<0.82
여기서, f2는 제2 렌즈(L2)의 초점거리이고, f3은 제3 렌즈(L3)의 초점거리이다.
<조건식 3>
0.45<S11/S12<0.70
여기서, S11은 제1 렌즈(L1)의 광축에서의 두께이고, S12는 광축에서의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 사이의 거리이다.
<조건식 4>
0.003<S22/TTL<0.02
여기서, S22는 광축에서의 제2 렌즈(L2)와 제3 렌즈(L3) 사이의 거리이고, TTL은 제1 렌즈(L1)의 물체 측 면(S11)에서 센서(IS)까지의 광축 상의 거리이다.
<조건식 5>
52<(V1+V2+V3)/3<58
여기서, V1은 제1 렌즈(L1)의 아베수(Abbe number)이고, V2는 제2 렌즈(L2)의 아베수이고, V3은 제3 렌즈(L3)의 아베수이다.
<조건식 6>
7<|tan
Figure 112019120124385-pat00002
/f|<14
여기서, θ는 렌즈 광학계의 화각이고, f는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이다.
아래의 표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광학 특성을 설명한 것이다.
구성요소 r d N f V
커버글래스 S01 1.500
S02 1.030
제1 렌즈(L1) S11* -0.366 0.250 1.546 -0.628 56.093
S12* 4.986 0.468      
조리개(S) 0.100    
제2 렌즈(L2) S21* 0.710 0.450 1.546 0.804 56.093
S22* -0.844 0.040      
제3 렌즈(L3) S31* 0.816 0.243 1.546 1.383 56.093
S32* -6.947 0.227
Focal length(F) 0.350
Total Track Length(TTL) 2.270
Image height 1.200
Chief Ray Angle(CRA) 20.000
HFOV 103.650
상기 표에서 렌즈면에 표시된 *는 해당 렌즈면이 비구면임을 나타낸다. 상기 표에서 r은 해당하는 렌즈 면의 곡률반경이고, d는 해당하는 렌즈 면이 물체 측 면인 경우에 해당하는 렌즈의 광축 상의 두께이고, 해당하는 렌즈 면이 센서 측 면인 경우에는 해당하는 렌즈의 출사면에서 다음의 구성요소(렌즈, 조리개(S) 또는 필터)와 사이의 거리이다. 따라서, S32의 d는 제3 렌즈(L3)의 센서 측 면(S32)과 제3 렌즈(L3)의 후측에 위치하는 필터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N는 해당하는 렌즈의 굴절률이고, f는 해당하는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V는 해당하는 렌즈의 아베 수(Abbe number)이다. 여기서 r, d 및 f의 거리 단위는 mm이다.Focal Length(F)는 전체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이고, Image height는 센서(IS)의 대각의 절반 길이이고, TTL은 렌즈 광학계의 전체 트랙 거리(total track length)로서 구체적으로 제1 렌즈(L1)의 물체측면(S11)에서 센서(IS)까지의 광축 상의 거리이고, CRA는 렌즈 광학계의 주 광선 입사각(chief ray angle)의 최댓값이고, HFOV는 렌즈 광학계의 화각이다. 여기서 F 및 TTL의 단위는 mm이고, CRA 및 HFOV의 각도는 도(degree)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렌즈면 중 비구면인 면은 다음의 수학식의 비구면 방정식을 만족한다.
<수학식>
Figure 112019120124385-pat00003
여기서, z는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y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리를 나타낸다. 그리고 R은 렌즈의 정점에 있어서의 곡률반경을, K는 코닉 상수(conic constant)를 나타낸다. 또한, A 2 내지 A 12는 비구면계수를 각각 나타낸다.
아래의 표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비구면인 면의 비구면계수에 관한 표이다.
K A2 A4 A6 A8 A10 A12
S11 -7.634 3.448 -18.354 73.369 -196.492 342.498 -376.642
S12 -103514.149 20.791 -429.308 17856.470 -539635.886 10234064.056 -115884492.452
S21 -11.160 1.136 129.465 -5882.390 145848.722 -2237295.161 21610186.397
S22 -0.087 -0.484 -59.441 2546.595 -48595.629 531595.163 -3470345.733
S31 -1.315 -1.947 47.394 -821.134 9957.821 -84935.699 440330.923
S32 132.901 2.953 -30.459 614.405 -7423.128 50309.357 -209361.098
도 1 및 위의 두 표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각각의 렌즈는 상술한 특성을 만족한다.아래의 표는 본 실시예의 렌즈 광학계에서 상술한 조건식 1 내지 6의 값을 계산한 것이다.
조건식 대상값 제1 실시예의 대상값
조건식 1 -2.4 < f1/f < -1.2 f1/f -1.795
조건식 2 0.48<f2/f3<0.82 f2/f3 0.581
조건식 3 0.45<S11/S12<0.70 S11/S12 0.535
조건식 4 0.003<S22/TTL<0.02 S22/TTL 0.018
조건식 5 52<(V1+V2+V3)/3<58 (V1+V2+V3)/3 56.093
조건식 6 7<|tan
Figure 112019120124385-pat00004
/f|<14
|tan
Figure 112019120124385-pat00005
/f|
11.758
상기 표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렌즈 광학계는 조건식 1 내지 5를 모두 만족함을 알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렌즈 구성도이다.
아래의 표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 계의 광학 특성을 설명한 것이다.
구성요소 r d N f V
커버글래스 S01 1.500
S02 1.030
제1 렌즈(L1) S11* -0.393 0.259 1.534 -0.656 55.810
S12* 3.922 0.459      
조리개(S) 0.100    
제2 렌즈(L2) S21* 0.695 0.448 1.534 0.847 55.810
S22* -1.003 0.040      
제3 렌즈(L3) S31* 0.707 0.255 1.534 1.213 55.810
S32* -6.640 0.232      
Focal length(F) 0.356
Total Track Length(TTL) 4.800
Image height 1.200
Chief Ray Angle(CRA) 20.000
HFOV 107.831
상기 표에서 렌즈면에 표시된 *는 해당 렌즈면이 비구면임을 나타낸다. 상기 표에서 r은 해당하는 렌즈 면의 곡률반경이고, d는 해당하는 렌즈 면이 물체 측 면인 경우에 해당하는 렌즈의 광축 상의 두께이고, 해당하는 렌즈 면이 센서 측 면인 경우에는 해당하는 렌즈의 출사면에서 다음의 구성요소(렌즈, 조리개(S) 또는 필터)와 사이의 거리이다. 따라서, S32의 d는 제3 렌즈(L3)의 센서 측 면(S32)과 제3 렌즈(L3)의 후측에 위치하는 필터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N는 해당하는 렌즈의 굴절률이고, f는 해당하는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V는 해당하는 렌즈의 아베 수(Abbe number)이다. 여기서 r, d 및 f의 거리 단위는 mm이다.Focal Length(F)는 전체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이고, Image height는 센서(IS)의 대각의 절반 길이이고, TTL은 렌즈 광학계의 전체 트랙 거리(total track length)로서 구체적으로 제1 렌즈(L1)의 물체측면(S11)에서 센서(IS)까지의 광축 상의 거리이고, CRA는 렌즈 광학계의 주 광선 입사각(chief ray angle)의 최댓값이고, HFOV는 렌즈 광학계의 화각이다. 여기서 F 및 TTL의 단위는 mm이고, CRA 및 HFOV의 각도는 도(degree)이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렌즈면 중 비구면인 면은 다음의 수학식의 비구면 방정식을 만족한다.
<수학식>
Figure 112019120124385-pat00006
여기서, z는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y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리를 나타낸다. 그리고 R은 렌즈의 정점에 있어서의 곡률반경을, K는 코닉 상수(conic constant)를 나타낸다. 또한, A 2 내지 A 12는 비구면계수를 각각 나타낸다.
아래의 표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비구면인 면의 비구면계수에 관한 표이다.
K A2 A4 A6 A8 A10 A12
S11 -6.648 4.092 -23.214 93.011 -245.468 420.527 -454.774
S12 -73839.238 21.441 -710.415 35832.286 -1087152.072 19587506.735 -210618189.374
S21 -9.253 1.547 76.231 -3244.650 75272.500 -1083628.454 9866297.003
S22 -0.917 -2.449 24.341 56.150 -2406.718 -11611.277 644611.431
S31 -1.326 -3.029 86.827 -1789.534 24760.851 -222527.193 1207121.425
S32 155.672 2.646 -4.618 -13.692 860.170 -14033.727 91745.343
도 2 및 위의 두 표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각각의 렌즈는 상술한 특성을 만족한다.아래의 표는 본 실시예의 렌즈 광학계에서 상술한 조건식 1 내지 6의 값을 계산한 것이다.
조건식 대상값 제1 실시예의 대상값
조건식 1 -2.4 < f1/f < -1.2 f1/f -1.845
조건식 2 0.48<f2/f3<0.82 f2/f3 0.698
조건식 3 0.45<S11/S12<0.70 S11/S12 0.564
조건식 4 0.003<S22/TTL<0.02 S22/TTL 0.008
조건식 5 52<(V1+V2+V3)/3<58 (V1+V2+V3)/3 55.810
조건식 6 7<|tan
Figure 112019120124385-pat00007
/f|<14
|tan
Figure 112019120124385-pat00008
/f|
8.745
상기 표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렌즈 광학계는 조건식 1 내지 5를 모두 만족함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렌즈 광학계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L1: 제1 렌즈 L2: 제2 렌즈
L3: 제3 렌즈
S11: 제1 렌즈의 물체측면 S12: 제1 렌즈의 센서측면
S21: 제2 렌즈의 물체측면 S22: 제2 렌즈의 센서측면
S31: 제3 렌즈의 물체측면 S32: 제3 렌즈의 센서측면
IS: 센서 S: 조리개
OF: 광학 필터

Claims (15)

  1. 물체와 상기 물체의 상이 맺히는 센서 사이에서 상기 물체 측으로부터 상기 센서 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 렌즈, 제2 렌즈 및 제3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광학계로서,
    상기 제1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1 렌즈의 물체 측 면은 근축에서 오목하고,
    상기 제2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2 렌즈의 물체 측 면 및 센서 측 면은 근축에서 볼록하고,
    상기 제3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렌즈의 물체 측 면 및 센서 측 면 중 적어도 하나는 근축에서 볼록하고, 상기 제3 렌즈의 센서 측 면은 비구면이고 유효경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가지고,
    f1은 상기 제1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일 때, 아래의 조건식 1을 만족하고,
    <조건식 1>
    -2.4 < f1/f < -1.2
    θ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화각이고, f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일 때, 아래의 조건식 2를 더 만족하는 렌즈 광학계.
    <조건식 2>
    7<|tanθ/f|<14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 사이에 위치하는 조리개를 더 포함하는 렌즈 광학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의 물체 측 면은 비구면이고 유효경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가지는 렌즈 광학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의 센서 측 면은 오목한 렌즈 광학계.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의 물체 측 면 및 센서 측 면은 모두 볼록한 렌즈 광학계.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f2는 상기 제2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3은 상기 제3 렌즈의 초점거리일 때, 아래의 조건식을 더 만족하는 렌즈 광학계.
    <조건식>
    0.48<f2/f3<0.82
  9. 제1 항에 있어서,
    S11은 상기 제1 렌즈의 광축에서의 두께이고, S12는 광축에서의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 사이의 거리일 때, 아래의 조건식을 더 만족하는 렌즈 광학계.
    <조건식>
    0.45<S11/S12<0.70
  10. 제1 항에 있어서,
    S22는 광축에서의 상기 제2 렌즈와 상기 제3 렌즈 사이의 거리이고, TT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 측 면에서 상기 센서까지의 광축 상의 거리일 때, 아래의 조건식을 더 만족하는 렌즈 광학계.
    <조건식>
    0.003<S22/TTL<0.02
  11. 제1 항에 있어서,
    V1은 상기 제1 렌즈의 아베수(Abbe number)이고, V2는 상기 제2 렌즈의 아베수이고, V3은 상기 제3 렌즈의 아베수일 때, 아래의 조건식을 더 만족하는 렌즈 광학계.
    <조건식>
    52<(V1+V2+V3)/3<58
  12. 삭제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와 상기 센서 사이에 위치하고, 적외선 대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적외선 필터를 더 포함하는 렌즈 광학계.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보다 물체 측에 가깝게 위치하는 커버글래스를 더 포함하는 렌즈 광학계.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글래스는 양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렌즈 광학계.
KR1020190150823A 2019-11-21 2019-11-21 렌즈 광학계 KR102337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823A KR102337906B1 (ko) 2019-11-21 2019-11-21 렌즈 광학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823A KR102337906B1 (ko) 2019-11-21 2019-11-21 렌즈 광학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511A KR20210062511A (ko) 2021-05-31
KR102337906B1 true KR102337906B1 (ko) 2021-12-10

Family

ID=76150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823A KR102337906B1 (ko) 2019-11-21 2019-11-21 렌즈 광학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9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9010B2 (ja) * 2002-10-25 2007-10-10 株式会社長野光学研究所 デジタルカメラ用撮影レンズ
JP2017134359A (ja) * 2016-01-29 2017-08-03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撮像レンズ系及び撮像装置
JP6205034B2 (ja) * 2013-08-19 2017-09-27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撮像レンズ系及びこれを備えた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48722B (zh) 2011-11-11 2014-08-11 Largan Precision Co Ltd 成像系統
KR102182268B1 (ko) * 2015-12-09 2020-11-25 (주)탑중앙연구소 광각 렌즈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9010B2 (ja) * 2002-10-25 2007-10-10 株式会社長野光学研究所 デジタルカメラ用撮影レンズ
JP6205034B2 (ja) * 2013-08-19 2017-09-27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撮像レンズ系及びこれを備えた撮像装置
JP2017134359A (ja) * 2016-01-29 2017-08-03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撮像レンズ系及び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511A (ko) 202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006B1 (ko) 촬상 광학계 및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진 복수의 촬상 광학계가 장착된 모바일 기기
KR101452084B1 (ko) 초소형 광학계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
KR20230019260A (ko) 촬상렌즈
KR101649467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2416100B1 (ko) 촬상 광학계
KR20170051080A (ko) 단초점 렌즈 광학계 및 그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KR102048984B1 (ko) 소형 망원 광학계
KR101915644B1 (ko) 렌즈 광학계
KR20200127484A (ko) 촬상 광학계
KR102632379B1 (ko) 촬상 광학계
KR20130106107A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1729470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1661922B1 (ko) 렌즈 광학계
KR20220082537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483504B1 (ko) 촬상 광학계
KR101724264B1 (ko) 촬영 렌즈계
KR101831203B1 (ko) 렌즈 광학계
KR102363470B1 (ko) 렌즈 광학계
KR102337906B1 (ko) 렌즈 광학계
KR20190053067A (ko) 촬상 광학계
CN114967044B (zh) 成像透镜组及摄像模组
KR102159667B1 (ko) 렌즈 광학계
KR102139492B1 (ko) 렌즈 광학계
KR102479779B1 (ko) 촬상 광학계
KR102491911B1 (ko) 고해상도 렌즈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