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190B1 - 인조잔디 구조체 - Google Patents

인조잔디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190B1
KR102337190B1 KR1020200064749A KR20200064749A KR102337190B1 KR 102337190 B1 KR102337190 B1 KR 102337190B1 KR 1020200064749 A KR1020200064749 A KR 1020200064749A KR 20200064749 A KR20200064749 A KR 20200064749A KR 102337190 B1 KR102337190 B1 KR 102337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rimp
pile
artificial turf
s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7475A (ko
Inventor
조광수
김종필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4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190B1/ko
Publication of KR20210147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D06N7/0063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 D06N7/0071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characterised by their backing, e.g. pre-coat, back coating, secondary backing, cushion backing
    • D06N7/0076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characterised by their backing, e.g. pre-coat, back coating, secondary backing, cushion backing the back coating or pre-coat being a thermoplastic material applied by, e.g. extrusion coating, powder coating or laminating a thermoplastic film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20Industrial for civil engineering, e.g. geotextiles
    • D10B2505/202Artificial gras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잔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기초층; 상기 기초층의 위에 배치되어 있는 섬유층; 상기 섬유층의 위에 배치되어 있고 규사 또는 크림프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지면 보완층; 상기 지면 보완층의 위에 배치되어 있는 인조잔디 매트; 및 상기 인조잔디 매트의 파일사들 사이에 위치하고 규사와 크림프사로 이루어져 있는 파일 보완층;을 포함한다.
상기 지면 보완층과 상기 파일 보완층의 크림프사와 규사는 적층 또는 혼합되어 있다.

Description

인조잔디 구조체{Artificial turf structure}
본 발명은 인조잔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미세플라스틱 발생의 이슈와 탄성 충진재의 인체유해성 문제, 경시차(경시에 의한 품질 균일도 차이)에 따른 탄성 저하 문제, 유실 문제 등에 따라 최근에는 탄성 충진재의 역할을 인조잔디 매트의 하부 탄성층이 대신하며 이에 따라 파일사이에는 규사만 충진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규사만 충진 할 경우 규사 표면에서의 반복적인 답압에 의한 표면이 경화되면서 경기자가 따라 넘어졌을 시 부상의 위험과 미끄러지는 문제와 공튀김성 과다, 공구름성 과다, 충격흡수성 저하, 수직 변형률 감소, 발목 회전 저항 증가, 선형 마찰의 감소 등으로 인하여 경기성능 저하 문제가 발생한다.
아울러 규사만 충진 할 경우 규사와 탄성칩 따위의 충진재를 별도 층으로 구성할 경우 대비 규사 자체의 반 데르 발스 힘에 의하여 최초 충진 시 국부적 쏠림 문제가 유발된다. 그리고 강수 시 규사의 유실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장 표면의 레벨링(Levelling)성 저하 및 가지런하지 않은(불균제) 표면의 주원인이 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3067호 (2012.06.2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6298호 (2020.03.27.)
본 발명은 길이와 권축을 가지는 섬유질을 지면 보완층 및 파일 보완층에 적용함으로써 내답압성 개선, 플레이 성능과 안전성능의 경시변화 최소화, 다짐성과 표면의 탄성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는 기초층; 상기 기초층의 위에 배치되어 있는 인조잔디 매트; 및 상기 인조잔디 매트의 파일사들 사이에 위치하고 규사와 크림프사로 이루어져 있는 파일 보완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는, 기초층; 기초층의 위에 배치되어 있는 섬유층; 상기 섬유층의 위에 배치되어 있고 규사 또는 크림프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지면 보완층; 및 상기 지면 보완층의 위에 배치되어 있는 인조잔디 매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는, 기초층; 상기 기초층의 위에 배치되어 있는 섬유층; 상기 섬유층의 위에 배치되어 있고 규사 또는 크림프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지면 보완층; 상기 지면 보완층의 위에 배치되어 있는 인조잔디 매트; 및 상기 인조잔디 매트의 파일사들 사이에 위치하고 규사와 크림프사로 이루어져 있는 파일 보완층;을 포함한다.
상기 지면 보완층과 상기 파일 보완층의 크림프사와 규사는 적층 또는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규사의 입도는 0.3mm 내지 3.0mm이고, 상기 크림프사의 섬도는 3 내지 20 Denier이며, 상기 크림프사의 권축율은 10 내지 50%이고, 상기 크림프사의 길이는 1.5in 내지 6.5in일 수 있다.
상기 크림프사는 나일론(Nylon),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구성된 군 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섬유층은 부직포 또는 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 또는 직포는 폴리올레핀(Polyolefin),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구성된 군 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지면 보완층은 단위 면적당 상기 규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크림프사 3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일 보완층은 단위 면적당 상기 규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크림프사 3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면 보완층과 상기 파일 보완층의 두께는 각각 3mm 내지 20mm일 수 있다.
상기 지면 보완층과 상기 파일 보완층은 각각 구형의 발향펠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발향펠렛의 입경은 1mm 내지 3mm일 수 있다.
상기 지면 보완층과 상기 파일 보완층은 각각, 상기 규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크림프사 3 내지 20 중량부, 그리고 상기 발향펠렛 2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면 보완층과 상기 파일 보완층은 각각,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지름이 2mm 내지 3mm인 발포플라스틱(Plastic foa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면 보완층과 파일 보완층은 단위 면적당 각각 규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크림프사 3 내지 20 중량부 및 발포플라스틱 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층은, 자갈, 석분, 아스콘으로 구성된 군 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인조잔디 구조체는 상기 인조잔디 매트를 지지하는 충격흡수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도가 0.3mm 내지 3.0mm인 친천연의 규사와 섬도가 3 내지 20 Denier이며, 권축율이 10 내지 50%이고, 길이는 1.5in 내지 6.5in인 크림프사를 지면 보완층 및 파일 보완층에 적용함으로써 내답압성 개선, 경기자의 플레이 성능과 안전성능의 경시변화 최소화, 다짐성과 표면의 탄성의 변화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석분층의 위에 지면 보완층이 3mm 내지 20mm 두께로 형성된다. 이에 30mm 내지 40mm 두께로 형성하던 석분층을 두께를 20mm 내지 37mm 두께로 형성하면서 지면 보완층으로 보충하게 도니다. 이에 석분층 시공에 따라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형의 발향펠렛에는 천연잔디, 풀 등의 향을 농축되어 풀 향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구형의 발향펠렛은 섬유, 발포플라스틱 따위로 만들어져 크림프사와 더불어 완충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포플라스틱은 크림프사와 함께 완충력을 제공하며 수분을 흡수하여 먹음을 수 있다. 이에, 발포플라스틱이 먹음은 수분은 증발되면서 인조잔디 구조체의 표면 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1)는 기초층(10), 섬유층(20), 지면 보완층(30), 충격흡수층(40); 인조잔디 매트(50); 및 파일 보완층(60)을 포함하며 내답압성 개선, 경기자의 플레이 성능과 안전성능의 경시변화 최소화, 다짐성과 표면의 탄성의 변화가 최소화되도록 한다.
기초층(10)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자갈층(11), 제2 자갈층(12) 및 석분층(13)으로 이루어져 다짐되어 있다. 제1 자갈층(11)은 두께가 100mm 내지 200mm이며 지름이 25mm 이하인 자갈들로 이루어져 있다. 제2 자갈층(12)은 60mm 내지 100mm이며 지름이 13mm 이하인 자갈들로 이루어져 있다. 석분층(13)은 제2 자갈층(12)의 위에서 20mm 내지 37mm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석분층(13)의 두께는 지면 보완층(30)의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석분층(13)은 장석, 한수석, 석회암, 현무암 등의 가루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석분층(13)에 입자가 0.002∼0.005mm인 황토가 혼합될 수도 있다.
하지만, 석분층(13)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석분층(13) 대신 아스콘층이 제2 자갈층(12)의 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 기초층(10)의 구조는 인조잔디 구조체의 시공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섬유층(20)은 기초층(10)의 위에 형성되어 있다. 섬유층(20)은 부직포일 수 있다. 부직포는 폴리올레핀(Polyolefin),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구성된 군 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은 가장 가벼운 플라스틱에 속하며 그 투명성도 매우 우수하다. 부직포는 스펀본드 방식, 멜트브라운 방식, 니들 펀칭 방, 및 수분사교락방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부직포를 이루는 이웃한 섬유들은 우수 따위의 유체는 용이하게 통과하고, 규사, 탄성칩 따위의 분체는 통과하지 않는 정도로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부직포를 이루고 있는 섬유는 항균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항균물질은 항진균성 항생물질, 항바이러스성 항생물질, 항종양성 항생물질 및 특이효소저해물질 따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우수 등에 의해 섬유층(20)에서 곰팡이 등의 유해 세균이 발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섬유층(20)은 폴리올레핀(Polyolefin),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구성된 군 중 1종 이상인 직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지면 보완층(30)은 단위 면적당 규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크림프사 3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고 있다. 규사와 크림프사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는 내답압성 개선, 경기자의 플레이 성능과 안전성능의 경시변화 최소화, 다짐성과 표면의 탄성의 변화가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크림프사가 3 중량부 미만인 경우 크림프사의 효과가 없으며 2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규사가 다져지지 않고 흩날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규사의 입도는 0.3mm 내지 3.0mm일 수 있다. 입도가 0.3mm 미만이거나 3.0mm를 초과하는 경우 다짐성이 불량하며, 0.3mm 미만인 경우 경기자의 흡입, 먼지 발생 등의 문제가 있다. 규사는 화강암류, 화강편마암류 등 석영 성분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천연규사일 수 있다. 그리고 색깔은 흰색 또는 검은색일 수 있으며 경도는 7이고, 비중은 약 2.65일 수 있다. 그러나 규사는 페그마타이트에서 선별 분쇄하여 입자 크기를 모래상으로 만든 인공규사일 수도 있다.
크림프사의 섬도는 3 내지 20Denier이고, 권축율은 10 내지 50% 이며, 길이는1.5in 내지 6.5in일 수 있다. 크림프사의 섬도가 3Denier 미만인 경우 크림프 효과가 낮고 20 Denier을 초과하는 경우 다짐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크림프사의 권축율이 10%미만인 경우 완충 효과가 낮으며 50%를 초과하는 경우 규사와 크림프사간의 다짐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크림프사의 길이가 1.5in 미만인 경우 크림프사의 효과가 저하되며 6.5in를 초과할 경우 밀착성이 저하된다.
크림프사는 나일론(Nylon),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구성된 군 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크림프사는 나일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일 수 있다. 크림프사는 폴리에틸렌과 나일론이 혼합된 이형소재 복합사일 수 있다. 크림프사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과 나일론이 혼합된 이형소재 복합사일 수 있다. 크림프사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와 폴리에틸렌의 이형소재 복합사일 수 있다. 크림프사는 크폴리에릴렌과 폴리프로필렌의 이형소재 복합사일 수 있다. 크림프사는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의 계통의 이형소재 복합사일 수 있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의 계통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butylene Terephthalate),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일 수 있다.
나일론은 얇고 가벼우며 질기고 오염에 강하며 내구성이 뛰어나다. 그리고 나일론은 가공처리 하지 않으면 물을 잘 흡수한다. 이에 크림프사를 나일론으로 형성할 경우 가공처리 하지 않아 물을 잘 흡수하여 규사가 젖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폴리에틸렌은 저밀도 또는 고밀도일 수 있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밀도가 0.91 정도이며 말랑말랑하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인장강도는 작지만 내충격성은 크며 가공과 사용하기 쉽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연화점, 굳기, 강도 크지만 진장과 내충격성이 작고 촉감도 딱딱하다.
폴리프로필렌은 무게가 가볍고 강도가 우수하다. 폴리프로필렌은 유해 물질을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 소재로 항균 기능도 갖추고 있다.
이와 같이 규사와 크림프사가 혼합된 지면 보완층(30)은 섬유층(20)의 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크림프사와 규사는 혼합되어 하나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크림프사는 교락된 부직포 형태로 형성되어 섬유층(20)의 위에 크림프사층이 형성되고 그 위에 규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면 보완층(30)은 섬유층(20)을 기준으로 3mm 내지 20mm 두께(30t)로 형성될 수 있다. 지면 보완층(30)의 두께가 3mm 미만인 경우 다짐이 용이하지 않으며, 20mm를 초과하는 경우 시공비 과다 및 오버 스펙이 발생한다.
아울러, 석분층(13)의 일반적인 두께는 30mm 내지 40mm이다. 그러나 지면 보완층(30)의 형성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석분층(13)을 20mm 내지 37mm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지면 보완층(30)은 석분층(13)이 생략된 경우 제2 자갈층(12) 또는 아스콘층의 위에 바로 형성될 수 있다.
충격흡수층(40)은 지면 보완층(30)의 위에 배치되어 기설정된 두께를 갖는다. 충격흡수층(40)은 고무, 발포체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충격흡수층(40)의 위에는 인조잔디 매트(50)가 놓인다. 인조잔디 매트(50)와 접하고 있는 충격흡수층(40)의 상면에는 배수로(41)가 형성되어 있다. 배수로(41)는 유입된 우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경사져 있다. 충격흡수층(40)은 경기자가 밟았을 때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인조잔디 매트(50)를 통과한 우수는 배수로(41)를 따라 유동하여 집수정 따위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충격흡수층(40)은 생략될 수 있다.
인조잔디 매트(50)는 백킹층(51), 기포층(52) 및 파일부(53)를 포함하며 충격흡수층(40)의 위에 배치되어 있다. 인조잔디 매트(50)의 세부적인 구성은 공지된 인조잔디 구조체의 파일부, 파일부가 결합된 기포층, 파일부가 기포층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백킹층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충격흡수층(40)이 생략된 경우 인조잔디 매트(50)는 기초층(1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파일 보완층(60)은 인조잔디 매트(50)에 포설되어 기포층(52)에서 파일부(53)를 지지하고 있다. 파일 보완층(60)은 규사와 크림프사를 포함한다.
규사의 입도는 0.3mm 내지 3.0mm일 수 있다. 입도가 0.3mm 미만이거나 3.0mm를 초과하는 경우 다짐성이 불량하며, 0.3mm 미만인 경우 경기자의 흡입, 먼지 발생 등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규사의 크기가 3.0mm를 초과하는 경우 경기자와의 마찰로 상해가 발생할 수 있다.
파일 보완층(60)은 단위 면적당 규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크림프사 3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고 있다. 규사와 크림프사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는 내답압성 개선, 경기자의 플레이 성능과 안전성능의 경시변화 최소화, 다짐성과 표면의 탄성의 변화가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크림프사가 3 중량부 미만인 경우 크림프사의 효과가 없으며 2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규사가 다져지지 않고 흩날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파일 보완층(60)은 기포층(52)의 상면을 기준으로 3mm 내지 20mm 두께(60t)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규사와 크림프사를 포함하는 파일 보완층의 구성과 작용은 전술된 지면 보완층의 규사 및 크림프사와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일 보완층(60)은 탄성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파일 보완층(60)은 단위 면적당 규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크림프사 3 내지 20 중량부 및 탄성칩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파일 보완층(60)은 파일부(53)에서 파일사들을 지지하여 파일사들이 직립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면 보완층(30)과 파일 보완층(60)은 크림프사에 의해 기설정된 쿠션력이 발생한다. 이에 경기자가 인조잔디 매트(50)를 밟았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경기자에게 완충력을 제공하게 되어 경기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지면 보완층은 부직포로 이루어진 섬유층에 의해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파일 보완층은 인조잔디 패드의 백킹층에 의해 유실되는 것이 최소화된다. 이에 규사의 유실로 인한 규사의 보충하는 정비 공정 발생 시기를 늦출 수 있어 규사 충진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보완층(60)를 제외한 모든 구성 요소를 포함하면서 충격흡수층(4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2)는 도면 도 3을 참고하면 파일부(53)가 표면에 매끄럽게 형성된 모노사(531)와 크림프사(532)가 기포층에 함께 결합된다. 이때 크림프사(532)는 모노사(531)를 지지하여 모노사(531)는 무충진 상태로 직립성을 유지한다. 이에 파일부의 크림프사(532)와 지면 보완층(30)의 크림프사가 인조잔디 구조체(2)를 경기자가 밟았을 때 완충력을 제공하여 경기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지면 보완층(30)이 충격흡수층(40)과 섬유층(20)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규사의 유실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크림프사(532)는 생략되고 모노사(531)만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충격흡수층(40)이 생략된 경우 인조잔디 매트(50)는 지면 보완층(30)의 위에 배치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지면 보완층(30)를 제외한 모든 구성 요소를 포함하면서 충격흡수층(4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3)는 도면 도 4를 참고하면 지면 보완층의 생략으로 충격흡수층(40)이 기초층(10)에 놓인다.
파일 보완층(60)은 파일부(53)에서 파일사들을 지지하여 파일사들이 직립성을 유지하도록 하며 경기자가 인조잔디 구조체(3)를 밟았을 때 충격을 흡수하여 경기자에게 완충력을 제공한다. 아울러, 충격흡수층(40)이 생략된 경우 인조잔디 매트(50)는 기초층(10)의 위에 배치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서 지면 보완층과 파일 보완층은 각각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지름이 2mm 내지 3mm인 발포플라스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면 보완층과 파일 보완층은 단위 면적당 규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크림프사 3 내지 20 중량부 및 발포플라스틱 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한다.
발포플라스틱은 크림프사와 함께 완충력을 제공한다. 또한 발포플라스틱은 수분을 흡수하여 먹음을 수 있다. 크림프사와 발포플라스틱이 먹음은 수분은 증발되면서 인조잔디 구조체의 표면 온도를 낮추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서 지면 보완층과 파일 보완층은 각각 구형의 발향펠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향펠렛의 입경은 1mm 내지 3mm일 수 있다.
지면 보완층과 파일 보완층은 단위 면적당 규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크림프사 3 내지 20 중량부 및 발향펠렛 2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구형의 발향펠렛에는 천연잔디, 풀 등의 향을 농축되어 있다. 이에 인조잔디 구조체에서 풀 향이 발생할 수 있다. 구형의 발향펠렛은 섬유, 발포플라스틱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아울러, 구형의 발향펠렛은 크림프사와 더불어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2, 3: 인조잔디 구조체 10: 기초층
11: 제1 자갈층 12: 제2 자갈층
13: 석분층 20: 섬유층
30: 지면 보완층 40: 충격흡수층
41: 배수로 50: 인조잔디 매트
51: 백킹층 52: 기포층
53: 파일부 531: 모노사
532: 크림프사 60: 파일 보완층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기초층;
    부직포 또는 직포로 이루어져 상기 기초층의 위에 배치되어 있는 섬유층;
    상기 섬유층의 위에 배치되어 있고 규사 또는 크림프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지면 보완층;
    상기 지면 보완층의 위에 배치되어 있는 인조잔디 매트; 및
    상기 인조잔디 매트의 파일사들 사이에 위치하고 규사와 크림프사로 이루어져 있는 파일 보완층;
    을 포함하며,
    상기 지면 보완층과 상기 파일 보완층의 두께는 각각 3mm 내지 20mm이고, 상기 지면 보완층과 상기 파일 보완층의 크림프사와 규사는 적층 또는 혼합되어 있으며, 상기 지면 보완층과 상기 파일 보완층의 규사 입도는 0.3mm 내지 3.0mm이고, 크림프사의 섬도는 3 내지 20 Denier이며, 크림프사의 권축율은 10 내지 50%이고, 상기 크림프사의 길이는 1.5in 내지 6.5in이며,
    상기 지면 보완층은 단위 면적당 규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크림프사 3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 보완층은 단위 면적당 규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크림프사 3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면 보완층과 상기 파일 보완층의 크림프사는 나일론(Nylon),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구성된 군 중 1종 이상이고,
    상기 부직포 또는 직포는 폴리올레핀(Polyolefin),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구성된 군 중 1종 이상인
    인조잔디 구조체.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3항에서,
    상기 지면 보완층과 상기 파일 보완층은 각각 구형의 발향펠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발향펠렛의 입경은 1mm 내지 3mm인 인조잔디 구조체.
  12. 제11항에서,
    상기 지면 보완층과 상기 파일 보완층은 각각,
    상기 규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크림프사 3 내지 20 중량부, 그리고
    상기 발향펠렛 2 내지 10 중량부
    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13. 제3항에서,
    상기 지면 보완층과 상기 파일 보완층은 각각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지름이 2mm 내지 3mm인 발포플라스틱(Plastic foam)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면 보완층과 상기 파일 보완층은 단위 면적당 각각
    규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크림프사 3 내지 20 중량부 및
    발포플라스틱 0.1 내지 2.0 중량부
    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14. 제3항에서,
    상기 기초층은, 자갈, 석분, 아스콘으로 구성된 군 중 1종 이상인 인조잔디 구조체.
  15. 제3항에서,
    상기 인조잔디 매트를 지지하는 충격흡수층을 더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KR1020200064749A 2020-05-29 2020-05-29 인조잔디 구조체 KR102337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749A KR102337190B1 (ko) 2020-05-29 2020-05-29 인조잔디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749A KR102337190B1 (ko) 2020-05-29 2020-05-29 인조잔디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475A KR20210147475A (ko) 2021-12-07
KR102337190B1 true KR102337190B1 (ko) 2021-12-08

Family

ID=78867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749A KR102337190B1 (ko) 2020-05-29 2020-05-29 인조잔디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1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4331B2 (ja) * 1996-04-09 2003-03-10 大塚化学株式会社 人工芝片間に砂を撒設して使用する雑草成長抑制人工芝構造体
KR200487232Y1 (ko) * 2018-04-17 2018-09-28 김태희 설치가 용이한 인조잔디 매트
KR101965206B1 (ko) * 2019-03-12 2019-05-07 주식회사 월드그린 초미세 발포 및 형상유지기술을 이용하여 고충격 흡수성과 수분을 유지하는 인조잔디 충전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조잔디 충전재
KR101993888B1 (ko) * 2019-05-01 2019-06-28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에센셜 오일이 함유된 인조잔디용 탄성 충진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6957A (ko) * 2009-04-03 2010-03-10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축구장용 인조잔디 구조체
KR101163067B1 (ko) 2011-10-14 2012-07-05 (주)영일에이치앤티 인조잔디용 동결방지 충진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6298B1 (ko) 2019-06-10 2020-04-02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다층 섬유 충전층을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4331B2 (ja) * 1996-04-09 2003-03-10 大塚化学株式会社 人工芝片間に砂を撒設して使用する雑草成長抑制人工芝構造体
KR200487232Y1 (ko) * 2018-04-17 2018-09-28 김태희 설치가 용이한 인조잔디 매트
KR101965206B1 (ko) * 2019-03-12 2019-05-07 주식회사 월드그린 초미세 발포 및 형상유지기술을 이용하여 고충격 흡수성과 수분을 유지하는 인조잔디 충전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조잔디 충전재
KR101993888B1 (ko) * 2019-05-01 2019-06-28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에센셜 오일이 함유된 인조잔디용 탄성 충진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475A (ko)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8148B2 (en) Filler for artificial turf system
KR102424160B1 (ko) 배수성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US8263203B2 (en) Filler for artificial turf system
EP1238163B1 (en) Artificial turf including damping material
KR102192710B1 (ko) 인조잔디용 투수성 충격 흡수패드,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1962318B1 (ko) 인조잔디 구조체
KR101677934B1 (ko) 인조 잔디 구조물
US201002397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improved artificial turf
JP5984311B2 (ja) 人工芝および人工芝施設
CA2462530A1 (en) Playing surface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of a playing surface
CN101563505B (zh) 特别地用于人造草运动场的人造草坪
US7186450B2 (en) Construction of playing surfaces
KR20120072617A (ko) 보행로용 인조잔디 구조체
KR101912447B1 (ko) 3중 구조로 된 인조잔디 시스템
KR102374726B1 (ko) 인조잔디 구조체
KR102337190B1 (ko) 인조잔디 구조체
KR101274293B1 (ko) 인조잔디
JP5416921B2 (ja) 弾性舗装体の形成方法
KR101102899B1 (ko) 인조잔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65768B1 (ko) 배수기능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인조잔디 구조체
KR102580785B1 (ko) 충격흡수패드층이 일체로 구성되어 자기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인조잔디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 인조잔디매트
KR102532874B1 (ko) 과열 방지 인조잔디 시스템
KR102375538B1 (ko) 지반 보강층을 구비한 인조잔디 구조체
KR102634824B1 (ko) 에어 탄성층이 포함된 인조잔디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에어 탄성층이 포함된 인조잔디 구조체
KR102622278B1 (ko) 전면 배수가 가능한 인조잔디용 폴리에틸렌(pe) 발포 폼 충격흡수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