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639B1 - Drip hose - Google Patents

Drip ho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639B1
KR102336639B1 KR1020210038693A KR20210038693A KR102336639B1 KR 102336639 B1 KR102336639 B1 KR 102336639B1 KR 1020210038693 A KR1020210038693 A KR 1020210038693A KR 20210038693 A KR20210038693 A KR 20210038693A KR 102336639 B1 KR102336639 B1 KR 102336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ip
hose
drip hose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6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소인철
Original Assignee
소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인철 filed Critical 소인철
Priority to KR1020210038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63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6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flat form, e.g. fan-like, sheet-like
    • B05B1/044Slits, i.e. narrow openings defined by two straight and parallel lips; Elongated outlets for producing very wide discharges, e.g. fluid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p ho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pressurization structure has a bar shape and the simplest structure possible in the drip hose, water inflow is appropriately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in the drip hose, and perforation with a dedicated blade jig is also performed at a water discharge position formed in the drop hose along the position of a crop. For these purposes, a water inflow path, a water depressurization path, and a water discharge path are provided between first to fourth protruding bars formed on a strip drip base member. In the drip hose, an inflow slit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bove the base membe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otruding bars and discharge slits are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water discharge path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protruding bars such that long-wide or short-narrow perforation by the dedicated blade jig is performed and water is discharg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a crop and the amount of water supp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with ease and speed, can be smoothly mass-produced without defects, and ensures accurate and appropriate crop water supply, and thus crop cultivation efficiency can be maximiz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점적호스{Drip hose} Drip hose

본 발명은 농작물 재배시 필요로 하는 소량의 물을 공급하는 점적호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점적호스 내에서 감압을 위한 구조가 바(bar) 형태로 최소한의 간단한 구조를 가짐은 물론 점적호스 내의 압력에 따라 용수의 유입이 적정하게 이루어지면서 농작물의 위치에 따라 점적호스에 형성되는 용수의 배출 위치 또한 전용 칼날 지그의 타공(打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점적호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p hose for supplying a small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cultivation of crops, and more particularly, the structure for decompression in the drip hose has a minimal simple structure in the form of a bar as well as a drip hose It relates to a drip hose that allows proper inflow of water according to the internal pressure and the discharge location of water formed in the drip hos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crops by the perforation of the dedicated blade jig.

일반적으로 점적호스는 농작물 재배시 용수를 적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으로, 대지에 일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농작물이 심어진 위치에 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각각의 배출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In general, drip hoses are used to properly supply water when growing crops. They are arranged side by side at regular intervals on the land, and each drain hole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o supply water to the location where crops are planted.

이러한 점적호스에서의 용수 공급은 펌프의 압력에 의해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펌프와 가깝거나 먼 위치에 형성되는 배출공에서 배출되는 용수가 편차없이 일정하게 배출되도록 배출공에는 용수의 압력을 감압하여 공급하는 드립(drip)이 구비된다. The water supply from the drip hose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by the pressure of the pump. A drip (drip) for supplying under reduced pressure is provided.

상기에서, 드립은 배출공의 밑면에 융착되는 편 형태의 편 드립과, 비교적 긴 길이를 가지는 띠 형태의 띠 드립이 사용된다. In the above, as the drip drip, a piece-type drip drip that is fused to the bottom of the discharge hole and a strip-type drip drip with a relatively long length are used.

본 원에서는 띠 드립이 적용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Herein, the application of the strip drip is described as an example.

띠 드립은 점적호스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배출공과 배출공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점적호스의 내면에 융착되는 띠 본체에 각각의 드립부가 형성된다. Each drip part is formed in the strip body that is fus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rip hose so that the drip strip is located between the discharge hole and the discharge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drip hose.

상기에서, 드립부는 복수 개의 돌기 또는 홈 사이로 용수가 유입되고, 그 유입된 용수는 지그재그 형태로 하나 건너 하나씩 어긋나게 형성되는 돌기 사이로 형성된 감압로를 거쳐 감압된 후 그 감압로 끝단에 점적호스에 형성된 배출공 상에 위치하는 배출공간을 거쳐 용수가 배출된다. In the above, water flows into the drip part between a plurality of protrusions or grooves, and the introduced water is decompressed through a decompression path formed between protrusions that are alternately formed one by one in a zigzag form, and then discharged formed in the drip hose at the end of the decompression.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space located on the ball.

여기서, 점적호스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각각의 배출공은 띠 드립의 배출공간상에 형성되는 돌출 바를 이용하여 점적호스에 형성되는 것으로, 즉 돌출 바를 상부로 밀어올린 후 그 돌출 바에 의해 밀려 올려온 점적호스를 절단함으로써, 각각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이다. Here, each discharge hol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drip hose is formed in the drip hose using a protruding bar formed on the discharge space of the drip strip, that is, the protruding bar is pushed upward and then pushed up by the protruding bar. By cutting the drip hose, each discharge hole is formed.

그로 인해 점적호스에 배출공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이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을 가진다. As a result, the operation for forming the discharge hole in the drip hose is quite cumbersome and inconvenient.

상기와 같이 점적호스에 띠 드립 형태가 적용되는 종래의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4779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외피, 상기 외피를 포함하여 2층 이상으로 가열 접합에 의해 배열되는 중첩 시트들, 상기 외피와 상기 중첩시트 중 가장 내측의 중첩시트 사이에 형성되는 주통로부, 상기 중첩시트와 중첩시트 사이에 형성되는 감압통로부, 상기 주통로부와 감압통로부의 경계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수공을 포함하는 압력조절 점적테이프와 같은 기술이 게시된 바 있다. In the prior art in which a strip drip shape is applied to a drip hose as described above,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54779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the outer shell, including the outer shell, has two layers. The overlapping sheets arranged by heat bonding as described above, the main passage formed between the outer layer and the innermost overlapping sheet among the overlapping sheets, the decompression passage formed between the overlapping sheet and the overlapping sheet, the main passage portion A technology such as a pressure control drip tape includ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formed at the boundary of the pressure reducing passage and the pressure reducing passage has been published.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5445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점적호스의 길이 방향으로 층 구조를 갖도록 유입부와 감압부 및 유출부가 형성되되, 상기 유입부와 감압부 및 유출부는 복수 개의 이동통로로 연결되게 형성되는 점적호스와 같이 기술이 게시된 바 있다. In addition,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80544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an inlet, a decompression unit, and an outlet are formed to have a layered struc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p hose, and the inlet and the decompression part and the outlet part have been posted technology like a drip hose which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moving passages.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은 외피에 2층 이상의 중첩 시트들을 가열 접합되는 부분 사이에 주통로부, 감압통로부를 형성함으로써, 2층 이상의 중첩 시트들을 가열 접합하는 접합작업이 상당히 번거롭고 까다로운 단점을 가진다. However, in the prior art document 1, by forming a main passage portion and a pressure-reducing passage portion between the parts where two or more overlapping sheets are heat-bonded to the outer skin, the bonding operation of heat-bonding two or more overlapping sheets is quite cumbersome and difficult.

또한, 가열 접합에 따른 용수 공급에 따른 내부의 이상 압력 발생시 그 가열 접합 부분이 이격 또는 분리되는 단점도 가진다. In addition, there is also a disadvantage in that the heat bonding portion is spaced apart or separated when an abnormal internal pressure is generated due to the supply of water according to the heat bonding.

또, 가열 접합시 작은 오차에 의해 가열 접합되는 부분에 작은 오차 발생시에는 감압 효율성의 저하는 물론 용수의 배출량에도 지장을 초래하는 단점을 가진다. In addition, when a small error occurs in a portion to be heat-bonded due to a small error during heat bonding,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decompression efficiency decreases as well as the discharge of water.

선행기술문헌 2는 감압을 위해 형성되는 감압부가 감압유로부, 제1 측부, 제1 구획편, 제2 유도돌기, 제1유도공, 제2측부, 제2구획편, 제2유도돌기, 제2유도공을 포함하는 상당히 복잡한 구조를 가짐은 물론 유출부 또한 배출유도부, 배출부, 지지부 및 배출공을 포함하는 복잡한 구조로 인해 제작이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을 가진다. Prior Art Document 2 discloses that a decompression unit formed for decompression is a decompression passage portion, a first side portion, a first partition piece, a second guide projection, a first guide hole, a second side portion, a second partition piece, a second guide projection, and a second As well as having a fairly complex structure including the guide hole, the outlet also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quite cumbersome and inconvenient to manufacture due to the complicated structure including the discharge induction part, the discharge part, the support part, and the discharge hole.

특히, 상기 감압유도부는 "Ω" 또는 "∧" 또는 "∩" 또는 "Π" 등과 같은 형상이 점적호스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 배열되는 것이므로 제작이 더욱더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을 가진다. In particular, since the pressure-reducing unit has a shape such as “Ω” or “∧” or “∩” or “Π” that is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p hose, it is more cumbersome and inconvenient to manufacture.

아울러, 선행기술문헌 1 내지 2는 용수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가열 접합이나 배출부에 형성되는 배출공이 지정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그 배출공이 농작물이 심어진 위치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용수의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도 가진다. In addition, in Prior Art Documents 1 and 2, the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is formed at a designated location by th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heating joint or the discharge part, so that when the discharge hole is not located at the position where the crops are planted, the water supply is properly performed It also has the disadvantage of not being defeat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4779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75477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5445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805445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점적호스 내에서 감압을 위한 구조가 바(bar) 형태로 최소한의 간단한 구조를 가짐은 물론 점적호스 내의 압력에 따라 용수의 유입이 적정하게 이루어지면서 농작물의 위치에 따라 점적호스에 형성되는 용수의 배출 위치 또한 전용 칼날 지그의 타공(打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점적호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specific technical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various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s that the structure for decompression in the drip hose has a minimal and simple structure in the form of a bar, as well as the flow of water according to the pressure in the drip hose.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drip hose that allows the discharge of water formed in the drip hos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crop to be made by the perforation of the dedicated blade jig as well as the proper inflow.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점적호스의 내측면 부착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specific technical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deformation due to attachmen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rip hose.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농작물에 따라 용수의 배출량을 선택하여 타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specific technical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lect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according to crops so that the perforation can be made.

상기와 같은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은 농작물 재배시 필요로 하는 소량의 물을 공급하도록 용수 유입영역, 용수 감압영역 및 용수 토출영역을 갖는 단위 드립이 연속적으로 반복되게 형성되는 스트립 형태의 띠 드립이 내주면에 부착되는 점적호스에 있어서, 상기 띠 드립은 점적호스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용수의 수압에 의해 형상 변형 및 형상 복원이 가능한 탄성재질로 베이스 부재의 상면에 상기 점적호스의 내주면에 부착 가능하도록 소정 높이의 바(bar)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 바 내지 제4 돌출 바 사이에 용수 유입로, 용수 감압로 및 용수 토출로를 포함하되, 상기 용수 유입로는 상기 제1 돌출 바와 제2 돌출 바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내지 제2 돌출 바 사이의 베이스 부재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점적호스 내의 수압 차이에 따라 넓게 또는 좁게 벌어져 용수가 유입되도록 각각의 유입 슬릿(slit)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용수 감압로는 상기 제2 돌출 바에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통로에 의해 상기 용수 유입로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2 돌출 바와 제3 돌출바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용수 토출로는 상기 제3 돌출 바 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각각의 제2 통로에 의해 상기 용수 감압로와 연결되는 제3 돌출 바와 제4 돌출 바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용수 토출로가 위치한 점적호스에 전용 칼날 지그에 의해 농작물의 위치 및 용수 공급량에 따라 길고 넓은 폭 또는 짧고 좁은 폭으로 타공되어 용수가 배출되는 각각의 배출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The specific technical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specific technical problem is that unit drips having a water inlet area, water pressure reduction area and water discharge area are continuously repeated to supply a small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growing crops. In the drip hose having a strip-shaped drip strip formed so as to be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strip drip is an elastic material capable of shape deformation and shape restoration by the water pressure of water flowing along the inside of the drip hose, and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A water inflow path, a water pressure reducing path and a water discharging path are included between the first and fourth protruding bars protruding in the form of a bar of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be able to be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p hose, wherein the water inflow The furnac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bar and the second protruding bar, and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ase membe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otruding bars so that the water is spread wide or narrow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water pressure in the drip hose, respectively. and forming an inlet slit of the water pressure reducing path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inflow path by a plurality of first passage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rotruding bar and the third protruding bar. It is formed between the protruding bars, and the water discharge path is formed between the third protruding bar and the fourth protruding bar connected to the water pressure reducing path by each second path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third protruding bar. However, each discharge slit through which the water is discharged is formed by perforating the drip hose in which the water discharge path is located in a long and wide width or short and narrow width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crop an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by a dedicated knife jig.

상기 제1 내지 제4 돌출 바는 점적호스의 내주면에 부착시 변형방지를 위해 상기 베이스 부재와 접하는 단면적이 동일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The first to fourth protruding bars include those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in contact with the base member to prevent deformation when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p hose.

상기 제1 통로는 용수 유입로의 베이스 부재에 형성되는 유입 슬릿과 유입 슬릿의 중간 위치의 상기 제2 돌출 바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The first passage includes an inlet slit formed in the base member of the water inlet passage and the second protruding bar formed at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inlet slit.

상기 제2 통로는 제1 통로를 기점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상기 제3 돌출 바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The second passage includes at least one formed on the third protruding bar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first passage as a starting point.

상기 전용 칼날 지그는 타공대, 상기 타공대의 하부에 서로 다른 길이와 폭을 갖는 각각의 타공 칼날을 포함하되, 상기 각각의 타공 칼날은 타공대에 일체 또는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The dedicated blade jig includes a perforated table, each perforated blade having a different length and width under the perforated table, wherein each perforated blade is integrally or detachably formed on the perforated table.

본 발명은 점적호스 내에서 감압을 위한 구조가 바(bar) 형태로 최소한의 간단한 구조를 가짐은 물론 점적호스 내의 압력에 따라 용수의 유입이 적정하게 이루어지면서 농작물의 위치에 따라 점적호스에 형성되는 용수의 배출 위치 또한 전용 칼날 지그의 타공(打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불량 발생 없이 대량생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와 함께 농작물로의 용수 공급이 정확하고 적정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농작물의 재배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for decompression in the drip hose has a minimal and simple structure in the form of a bar, and the inflow of water is made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pressure in the drip hose, and is formed in the drip hos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rop. By making the location of the discharge of water also possible by the perforation of the dedicated blade jig, the production is simple and quick, as well as the effect that mass production can be performed smoothly without any defects, and the water supply to crops is reduced. As it is done accurately and appropriately, it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cultivation efficiency of crops.

또한, 점적호스의 내측면 부착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점적호스 내의 압력 변화에서 감압과 용수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제품에 대한 높은 신뢰성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In addition, by making it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due to attachmen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rip hose, pressure reduction and water supply in the drip hose can be smoothly performed, and high reli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secured.

또, 농작물에 따라 용수의 배출량을 선택하여 타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농작물의 특성에 따라 적정량의 용수를 공급함에 따라 재배 효율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In addition, by selecting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according to the crop so that the perforation can be made, the cultivation efficiency can be further increased by supplying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op.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
도 2는 도 1에 다른 종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띠 드립을 도시한 평 단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1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Fig. 1;
3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illustrating the drip strip according to FIG. 1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이며, 도 2는 도 1에 다른 종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띠 드립을 도시한 평 단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1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other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n FIG. 1, and FIG. 3 is a flat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drip strip according to FIG.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점적호스는 내부에 공급되는 유체인 용수의 공급 압력 변동에 따라 유량의 증감시 이에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용수의 배출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스트립 형태의 띠 드립이 내주면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As shown, the conventional drip hose has a strip-shaped strip drip so that it can be discharged by maintaining a constant discharge pressure of water by flexibly responding to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flow rate according to the supply pressure fluctuation of water, which is the fluid supplied to the inside. It is used attach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이러한 점적호스에 구비되는 스트립 형태의 띠 드립은 용수 유입영역, 용수 감압영역 및 용수 토출영역을 갖는 단위 드립 형태가 연속적으로 반복되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strip drips provided in such drip hoses are generally formed in a continuous repeating unit drip shape having a water inlet area, a water pressure reduction area and a water discharge area.

그러나 종래 통상적인 점적호스에 구비되는 스트립 형태의 띠 드립은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부분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점적호스의 내에서 용수가 유입되고 감압하는 기술적 구성이 상당히 번거로운 작업공정은 물론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단점을 가진다. However, as described in the technical part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the strip-shaped drip drip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conventional drip hose is a very cumbersome work process in which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water inflow and pressure reduction in the drip hose is quite cumbersome. Of course, it has the disadvantage of having a complex structure.

그리고 무엇보다도 종래 띠 드립이 적용된 점적호스에서의 가장 큰 문제점은 용수가 배출되는 배출공의 위치를 변경할 수 없는, 즉 띠 드립의 배출공간과 일치되는 위치에 배출공을 형성함으로써, 배출공의 위치에 농작물을 심거나 농작물의 위치에 따라 배출공의 위치를 맞추어 점적호스를 설치해야 하는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을 가진다. And above all, the biggest problem in the drip hose to which the conventional strip drip is applied is that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cannot be changed, that is,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in a position coincident with the discharge space of the strip drip, so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hole It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quite cumbersome and inconvenient to plant a crop in the field or to install a drip hose by adjusting the location of the discharge hol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crop.

또한, 심어진 농작물이 일정한 거리에 심어지지 않을 경우, 용수를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는 단점 또한 가진다. In addition, if the planted crops are not planted at a certain distance, there is also a disadvantage in that water is not properly supplied.

본 발명은 점적호스 내에서 감압을 위한 구조가 바(bar) 형태로 최소한의 간단한 구조를 가짐은 물론 점적호스 내의 압력에 따라 용수의 유입이 적정하게 이루어지면서 농작물의 위치에 따라 점적호스에 형성되는 용수의 배출 위치 또한 전용 칼날 지그의 타공(打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점적호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for decompression in the drip hose has a minimal and simple structure in the form of a bar, and the inflow of water is made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pressure in the drip hose, and is formed in the drip hos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rop. The point of discharging water is also to provide a drip hose that can be made by the perforation of the dedicated blade jig.

본 발명에 따른 점적호스(1)는 농작물 재배시 필요로 하는 소량의 물을 공급하도록 용수 유입영역, 용수 감압영역 및 용수 토출영역을 갖는 단위 드립이 연속적으로 반복되게 형성되는 스트립 형태의 띠 드립(10)이 내주면에 융착방식 등에 의해 부착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The drip hos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ip-shaped strip drip ( 10) has a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is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by a fusion method or the like.

점적호스(1)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띠 드립(10)은 점적호스(1)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용수의 수압에 의해 형상 변형 및 형상 복원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베이스 부재(12)의 상면에 상기 점적호스(1)의 내주면에 융착 등에 의해 부착 가능하도록 소정 높이의 바(bar)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 바 내지 제4 돌출 바(14A)(14B)(14C)(14D) 사이에 용수 유입로(13), 용수 감압로(15) 및 용수 토출로(16)를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제1 내지 제4 돌출 바(14A)(14B)(14C)(14D)는 점적호스(1)의 내주면에 부착시 변형방지를 위해 상기 베이스 부재(12)와 접하는 단면적이 동일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rip drip 10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p hose 1 is an elastic material that can be deformed and restored in shape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flowing along the inside of the drip hose 1, and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12. Between the first and fourth protruding bars 14A, 14B, 14C, and 14D, which are formed to protrude in the form of a bar of a predetermined height to be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p hose 1 by fusion, etc. It has a technical configuration including a water inflow path 13 , a water pressure reducing path 15 , and a water discharge path 16 . The first to fourth protruding bars 14A, 14B, 14C, and 14D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in contact with the base member 12 to prevent deformation when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p hose 1 it is preferable

예를 들어, 상기 띠 드립(10)은 점적호스(1)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용수의 압력이 1kg/㎠일 때와 2kg/㎠일 때와 같이 용수의 수압이 변하는 경우에도 배출되는 용수의 압력차는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점적호스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용수의 수압이나 유량의 변화시 최종 배출되는 용수의 배출량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한다. For example, the strip drip 10 is the water discharged even when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changes, such as when the pressure of the water flowing along the inside of the drip hose 1 is 1kg/cm2 and 2kg/cm2 By preventing the pressure difference from occurring almost, the discharge amount of the final discharged water is maintained substantially constant when the water pressure or flow rate of water flowing inside the drip hose is changed.

더욱이, 상기한 띠 드립은 전체적인 기술적 구성이 베이스 부재의 상면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제1 내지 제4 돌출 바에 의해 용수의 유입과 감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최소한의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Moreover, the drip strip has a technical configuration in which the overall technical configuration is composed of a minimal simple structure in which water inflow and pressure reduction can be made by the first to fourth protruding bars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그로 인해 제작이 간단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그로 인한 경제성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도 뛰어난 조건을 가진다. As a result, manufacturing is made simple, and the resulting economic feasibility is excellent, as well as excellent productivity.

상기에서, 베이스 부재(12)와 제1 내지 제4 돌출 바(14A)(14B)(14C)(14C)는 동일한 재질에 의해 일체로 제작된다. 즉, 상기 구성들을 포함하는 띠 드립(10)은 점적호스(1) 내의 용수의 수압이나 유량이 일정 이상 증가한 경우, 형상이 변형되어 용수 감압영역을 흐르는 용수를 더욱 감압하게 된다. 반대로, 용수의 수압이나 유량이 감소한 경우, 형상이 반대 방향으로 변형되어 용수 감압영역을 흐르는 용수의 감압 정도를 감소하게 된다. 이렇게, 점적호스 내의 수압 등에 의해 띠 드립이 형상 변형 가능하도록 띠 드립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띠 드립(10)은 점적호스(1)의 재질보다 상대적으로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적인 폴리에틸렌 수지에 고무가 첨가된 재질, 고무, 우레탄 및 비닐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띠 드립과 점적호스 사이의 융착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띠 드립이 고무, 우레탄, 비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실질적으로 점적호스에 융착되는 상단부에는 점적호스을 구성하는 재질과 유사한 플라스틱 계열의 소재가 더 코팅될 수도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above, the base member 12 and the first to fourth protruding bars 14A, 14B, 14C, and 14C are integrally made of the same material. That is, when the water pressure or flow rate of the water in the drip hose 1 increases by a certain level or more, the strip drip 10 including the above components is deformed to further depressurize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decompression region. Conversely, when the water pressure or flow rate of the water is reduced, the shape is de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decrease the degree of decompression of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decompression region. In this way, it is preferable that the strip drip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a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strip drip can be deformed in shape by the water pressure in the drip hose. That is, the strip drip 1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relatively softer than the material of the drip hose 1, and is made of any one of a material in which rubber is added to a conventional polyethylene resin, rubber, urethane, and vinyl. can be done In addi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fusion operation between the strip drip and the drip hose, when the strip drip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urethane, scale, etc.,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drip hose and It is desirable to allow a similar plastic-based material to be further coated.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12)는 제1 내지 제4 돌출 바(14A)(14B)(14C)(14D)가 형성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것으로, 대략 0.3~0.7㎜ 정도의 얇은 두께를 가지는 박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람직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돌출 바(14A)(14B)(14C)(14D) 또한 베이스 부재(12)의 표면으로부터 대략 0.3~0.7㎜ 정도의 얇은 두께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 돌출 바 사이는 용수 유입영역, 용수 감압영역 및 용수 토출영역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 돌출 바는 통상적인 사각형이나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베이스 부재의 일변과 타변에 형성되는 제1 돌출 바 및 제4 돌출 바는 위치의 특성상 사각형의 반 사각형이나 사다리꼴의 반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점적호스의 내측면에 상기 각 돌출 바의 상면이 용이하게 긴밀하고 견고하게 융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base member 12 provides a region in which the first to fourth protruding bars 14A, 14B, 14C, and 14D are formed, and has a thin plate shape having a thin thickness of about 0.3 to 0.7 mm. Preferably, the first to fourth protruding bars 14A, 14B, 14C, and 14D are also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base member 12 to a thin thickness of about 0.3 to 0.7 mm. A water inflow region, a water pressure reduction region, and a water discharge region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to fourth protruding bars, which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The first to fourth protruding bars may be formed in a conventional quadrangle or trapezoidal shape, as well as the first protruding bar and the fourth protruding bar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memb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ositions. It can be formed in a semi-trapezoidal shape of This is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protruding bars can be easily and firmly fus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rip hose.

용수 유입영역인 용수 유입로(13)는 상기 제1 돌출 바(14A)와 제2 돌출 바(14B)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내지 제2 돌출 바(14A)(14B) 사이의 베이스 부재(12)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점적호스(1) 내의 수압 차이에 따라 넓게 또는 좁게 벌어져 용수가 유입되도록 각각의 유입 슬릿(12A)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유입 슬릿은 베이스 부재에 통상적인 펀칭방식이나 칼날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대략 3~7㎜ 정도의 길이로 중간의 벌어진 폭은 대략 0.2~0.4㎜ 정도로 좁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유입 슬릿은 탄성 재질의 특성상 점적호스 내에 용수 공급에 따른 압력 발생시 벌어져 용수가 유입되고 압력이 해제되면 다시 오므려지는 것으로, 후술하는 점적호스에 형성되는 배출 슬릿 또한 같은 원리이다. The water inflow path 13, which is a water inflow region,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bar 14A and the second protruding bar 14B, and a base member between the first to second protruding bars 14A and 14B. Each of the inlet slits (12A) is formed so that water flows in wide or narrow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water pressure in the drip hose (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12). The inlet slit may be formed by a conventional punching method or a blade on the base member, and has a length of about 3 to 7 mm and a narrow width in the middle of about 0.2 to 0.4 mm. In particular, the inlet slit opens when pressure is generated due to the supply of water in the drip hose due to the nature of the elastic material, and when water flows in and the pressure is released, the inlet slit is closed again.

그로 인해 점적호스 내의 용수가 상기 유입 슬릿을 거쳐 용수 유입영역인 용수 유입로에 유입되어 채워진다. 이는 점적호스 내에 펌프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유입 슬릿이 벌어지는 틈을 통하여 유입된다. 즉, 점적호스 내의 수압이 높은 경우, 유입 슬릿이 그나마 넓게 벌어져 용수의 유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반대로 수압이 낮은 경우, 유입 슬릿이 좁게 벌어져 용수의 유입이 천천히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 슬릿은 탄성 재질의 베이스 부재에 형성됨에 따라 점적호스 내의 수압 차이에 따라 넓게 또는 좁게 벌어지고 좁혀지게 된다. As a result, water in the drip hose flows through the inlet slit into the water inflow path, which is the water inflow region, and is filled. It is introduced through the gap where the inlet slit is opened by the pressure applied by the pump in the drip hose. That is, when the water pressure in the drip hose is high, the inflow slit is widened so that water flows in quickly. On the contrary, when the water pressure is low, the inflow slit opens narrowly and the inflow of water slowly flows in. Here, as the inlet slit is formed on the base member of an elastic material, it is widened or narrow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water pressure in the drip hose.

용수 감압영역인 용수 감압로(15)는 상기 제2 돌출 바(14B)에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통로(14B-1)에 의해 상기 용수 유입로(13)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2 돌출 바(14B)와 제3 돌출 바(14C)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1 통로(14B-1)는 용수 유입로(13)의 베이스 부재(12)에 형성된 유입 슬릿(12A)과 유입 슬릿(12A)의 중간 위치의 상기 제2 돌출 바(12B)에 형성된다. 상기 제1 통로는 제2 돌출 바에 그 제2 돌출 바로부터 함몰된 형태로 베이스 부재의 표면까지 소정 폭을 가지는 통상적인 홈 형태로 형성되며, 용수 유입로로부터 용수 감압로로 신속하게 용수가 유입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된다. The water decompression path 15, which is a water decompression area, is connected to the water inflow path 13 by a plurality of first passages 14B-1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econd protruding bar 14B. It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protruding bar 14B and the third protruding bar 14C. The first passage 14B-1 is formed in the second protruding bar 12B at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inlet slit 12A formed in the base member 12 of the water inlet passage 13 and the inlet slit 12A. . The first passage is formed in the second protruding bar in the form of a conventional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second protruding bar to the surface of the base member in a recessed form, so that water is rapidly introduced from the water inflow path to the water pressure reducing path. formed in plurality.

다시 말해서, 점적호스의 용수가 유입 슬릿에 의해 용수 유입로에 유입된 후 제2 돌출 바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통로를 통하여 용수 감압로로 유입되면서 감압이 이루어진다. 즉, 용수 유입로는 점적호스 내의 용수가 직접 유입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수압이 놓은 상태에서 복수 개의 제1 통로를 통하여 다시 용수 감압로로 유입됨으로 인해 감압이 이루어진다. 그로 인해 용수 배출시 항시 일정한 압력으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이 된다. In other words, after the water from the drip hose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inflow path through the inlet slit, the pressure is reduced while flowing into the water pressure reducing path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passages formed in the second protruding bar. That is, the pressure is reduced because the water in the drip hose directly flows into the water inflow path and flows back into the water pressure reducing path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passages while the water pressure is relatively high. As a result, it becomes the basis for discharging water at a constant pressure when discharging it.

용수 토출영역인 용수 토출로(16)는 상기 제3 돌출 바(14C) 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각각의 제2 통로(14C-1)에 의해 상기 용수 감압로(15)와 연결되는 제3 돌출 바(14C)와 제4 돌출 바(14C)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용수 토출로(16)가 위치한 점적호스(1)에 전용 칼날 지그(20)에 의해 농작물의 위치 및 용수 공급량에 따라 길고 넓은 폭 또는 짧고 좁은 폭으로 타공되어 용수가 배출되는 각각의 배출 슬릿(1A)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통로(14C-1)는 제1 통로(14B-1)를 기점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상기 제3 돌출 바(14C)에 형성된다. 상기 제2 통로는 제3 돌출 바에 그 제3 돌출 바로부터 함몰된 형태로 베이스 부재의 표면까지 소정 폭을 가지는 통상적인 홈 형태로 형성되며, 용수 감압로에서 감압 된 용수가 용수 토출로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용수 토출로(16)는 제3 돌출 바(14C)와 제4 돌출 바(14C) 사이에 용수 감압로(15)의 폭에 비해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용수 감압로에서 1차적으로 감압 된 후 다시 한번 감압 되도록 한다. 이는 제2 통로를 통하여 용수 토출로로 유입되는 용수의 수압이나 유량을 항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조건을 갖도록 함에 따라 배출 슬릿을 통하여 배출되는 용수 또한 항시 일정한 압으로 배출된다. The water discharge path 16, which is a water discharge area, is the first connected to the water pressure reducing path 15 by each of the second passages 14C-1 formed on the third protruding bar 14C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between. It is formed between the 3 protruding bar 14C and the fourth protruding bar 14C,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crops an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by the dedicated knife jig 20 to the drip hose 1 where the water discharge path 16 is located. Each of the discharge slits 1A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by being perforated with a long and wide width or a short and narrow width is formed. At least one second passage 14C-1 is formed in the third protruding bar 14C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first passage 14B-1 as a starting point. The second passage is formed in the third protruding bar in the form of a conventional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third protruding bar to the surface of the base member in a recessed form, and the water pressure-reduced in the water pressure reducing path can be smoothly transferred to the water discharging path. At least one is formed so as to be introduced. The water discharge path 16 is formed with a wider width than the width of the water pressure reducing path 15 between the third protruding bar 14C and the fourth protruding bar 14C, so that the pressure is primarily reduced in the water decompression path. After that, let the pressure be reduced again. This ensures that the water pressure or flow rate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discharge path through the second passage is constantly maintained,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slit is also discharged at a constant pressure.

상기에서, 배출 슬릿(1A)은 전용 칼날 지그(20)에 의해 타공되는 것으로, 일정한 위치에 타공시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농작물이 심어진 직 상부의 점적호스(1)에 작업자가 임의대로 전용 칼날 지그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출 슬릿(1A) 또한 용수 토출로(16)에 유입된 용수의 수압에 의하여 소정 길이와 폭을 절개되는 것으로, 유입 슬릿과 동일한 형태로 절개할 수 있음은 물론 용수의 공급량에 따라 길고 넓은 폭으로 절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짧고 좁은 폭으로 절개할 수 있다. 일 예로, 용수의 양이 많이 요구되는 농작물의 경우에는 배출 슬릿을 길고 넓게 절개하여 많은 양의 용수가 배출되도록 하고, 용수의 양이 적게 요구되는 농작물의 경우, 배출 슬릿을 짧고 좁게 형성하여 적은 양의 용수가 배출되어 공급되도록 한다. In the above, the discharge slit (1A) is perforated by the dedicated blade jig 20, and can be formed by perforating at a certain position, of course, in particular, in the drip hose (1) directly above the crops planted by the operator at will It can be formed by a dedicated blade jig. The discharge slit 1A is also cut in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discharge path 16, and can be cut in the same shape as the inlet slit, as well as a long and wide width depending on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make an incision with the For example, in the case of crops requiring a large amount of water, the discharge slit is cut long and wide so that a large amount of water is discharged. For crops requiring a small amount of water, the discharge slit is formed short and narrow to produce a small amount of water is discharged and supplied.

특히, 상기 배출 슬롯(1A)은 농작물이 심어진 위치나 필요로 하는 양만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용 칼날 지그에 의해 타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은 물론 규칙적으로 농작물이 심어진 재배지에서는 점적호스에 미리 배출 슬롯을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시켜 제공할 수도 있다. In particular, the discharge slot (1A) is a condition that can be perforated by a dedicated blade jig to supply the required amount or the location where crops are planted, as well as in the field where crops are regularly planted. It may be provided by incision at regular intervals.

여기서, 상기 전용 칼날 지그(20)는 작업자의 손으로 잡거나 혹은 프레스 등과 같은 장비에 장착할 수 있는 타공대(22), 상기 타공대(22)의 하부에 서로 다른 길이와 폭을 갖는 각각의 타공 칼날(24)을 포함하되, 상기 각각의 타공 칼날(24)은 타공대(22)에 일체 또는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Here, the dedicated blade jig 20 is a perforated table 22 that can be held by the operator's hand or mounted on equipment such as a press, and each perforated hole having a different length and width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erforating table 22 It includes a blade 24, wherein each of the perforated blades 24 is integrally or detachably formed on the perforated table 22.

상기에서, 타공 칼날은 점적호스에 배출 슬릿을 타공 시 타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타공대로부터 타공 칼날의 탈착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홈과 돌기에 의한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다. In the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perforated blade is formed in an arc shape so that the perforation can be made smoothly when the discharge slit is perforated in the drip hose, and the detachment of the perforated blade from the perforating table is inhibited by the groove and the protrusion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t can be formed detachably by a fitting method.

그에 따라 작업자가 사용시에는 농작물의 위치에 따라 점적호스에 배출 슬릿을 형성할 수 있어, 농작물의 위치에 따라 정확하게 배출 슬릿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operator is in use, the discharge slit can be formed in the drip hos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rop, and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slit can be accurately se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rop.

아울러, 배출 슬릿의 위치를 일정하게 위치하고자 할 때에는 장비에 타공대를 장착시켜 배출 슬릿을 일정한 위치에 타공할 수 있도록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slit is to be located at a constant position, a perforation table can be mounted on the equipment so that the discharge slit can be perfor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따라서, 본 발명은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최소한의 간단한 기술적 구성인 띠 드립의 베이스 부재에 점적호스 내의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 슬릿과, 용수 유입로, 용수 감압로 및 용수 토출로 또한 제1 내지 제4 돌출 바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제작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불량 발생 없이 대량생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complicated technical configuration, but rather an inflow slit through which water in the drip hose flows into the base member of the strip drip, which is a minimal simple technical configuration, a water inflow path, a water pressure reducing path, and a water discharge path. By being formed between the fourth protruding bars, manufacturing can be performed simply and quickly, and mass produc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without occurrence of defects.

더욱이, 점적호스 내의 용수가 유입되는 구조 또한 베이스 부재에 형성되는 유입 슬릿에 의한 간단한 구조는 물론 띠 드립을 거쳐 배출되는 용수 또한 점적호스에 농작물의 위치나 혹은 공급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짐으로써, 농작물의 재배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in which the water in the drip hose is introduced is also a simple structure by the inflow slit formed in the base member, as well as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strip drip. By having , it has conditions that can maximize the cultivation efficiency of crops.

1 : 점적호스 1A : 배출 슬릿
10 : 띠 드립 12 : 베이스 부재
12A : 유입 슬릿 13 : 용수 유입로
14A : 제1 돌출 바 14B : 제2 돌출 바
14B-1 : 제1 통로 14C : 제3 돌출 바
14C-1 : 제2 통로 14D : 제4 돌출 바
15 : 용수 감압로 16 : 용수 토출로
20 : 전용 칼날 지그 22 : 타공대
24 : 타공 칼날
1: drip hose 1A: discharge slit
10: strip drip 12: base member
12A: inlet slit 13: water inlet path
14A: first protruding bar 14B: second protruding bar
14B-1: first passage 14C: third protruding bar
14C-1: second passage 14D: fourth protruding bar
15: water decompression furnace 16: water discharge furnace
20: dedicated blade jig 22: perforated table
24: perforated blade

Claims (5)

농작물 재배시 필요로 하는 소량의 물을 공급하도록 용수 유입영역, 용수 감압영역 및 용수 토출영역을 갖는 단위 드립이 연속적으로 반복되게 형성되는 스트립 형태의 띠 드립이 내주면에 부착되는 점적호스에 있어서,
상기 띠 드립은 점적호스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용수의 수압에 의해 형상 변형 및 형상 복원이 가능한 탄성재질로 베이스 부재의 상면에 상기 점적호스의 내주면에 부착 가능하면서 부착시 변형방지를 위해 상기 베이스 부재와 접하는 단면적이 동일면적을 갖도록 소정 높이의 바(bar)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 바 내지 제4 돌출 바 사이에 용수 유입로, 용수 감압로 및 용수 토출로를 포함하되,
상기 용수 유입로는 상기 제1 돌출 바와 제2 돌출 바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내지 제2 돌출 바 사이의 베이스 부재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점적호스 내의 수압 차이에 따라 넓게 또는 좁게 벌어져 용수가 유입되도록 각각의 유입 슬릿(slit)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용수 감압로는 상기 제2 돌출 바에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통로에 의해 상기 용수 유입로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2 돌출 바와 제3 돌출바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용수 토출로는 상기 제3 돌출 바 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각각의 제2 통로에 의해 상기 용수 감압로와 연결되는 제3 돌출 바와 제4 돌출 바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용수 토출로가 위치한 점적호스에 전용 칼날 지그에 의해 농작물의 위치 및 용수 공급량에 따라 길고 넓은 폭 또는 짧고 좁은 폭으로 타공되어 용수가 배출되는 각각의 배출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전용 칼날 지그는 타공대, 상기 타공대의 하부에 서로 다른 길이와 폭을 갖는 각각의 타공 칼날을 포함하되, 상기 각각의 타공 칼날은 타공대에 일체 또는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점적호스.
In a drip hose having a strip-shaped strip drip formed continuously and repeatedly having a water inlet area, water pressure reduction area and water discharge area to supply a small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growing crops,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drip strip is an elastic material capable of shape deformation and shape restoration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flowing along the inside of the drip hose, and can be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p hos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to prevent deformation during attachment. A water inflow path, a water pressure reducing path, and a water discharging path are included between the first to fourth protruding bars protruding in the form of a bar of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n contact with the water has the same area,
The water inflow path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bar and the second protruding bar, an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otruding bars, the base member is spaced wide or narrow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water pressure in the drip hose to allow water to flow through the water. Each inlet slit is formed so as to be introduced,
The water pressure reducing path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protruding bar and the third protruding bar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inflow path by a plurality of first passage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cond protruding bar,
The water discharging path is formed between a third protruding bar and a fourth protruding bar connected to the water pressure reducing path by respective second path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third protruding bar, wherein the water discharging path is Including that each discharge slit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is formed by drilling in a long and wide width or short and narrow width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crops and the amount of water supply by a dedicated knife jig in the located drip hose,
The dedicated blade jig includes a perforated table, each perforated blade having different lengths and widths under the perforated table, wherein each perforated blade is integrally or detachably formed in the perforated table drip hos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돌출 바는 점적호스의 내주면에 부착시 변형방지를 위해 상기 베이스 부재와 접하는 단면적이 동일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점적호스.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to fourth protruding bars include a drop hose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in contact with the base member to prevent deformation when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p ho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로는 용수 유입로의 베이스 부재에 형성되는 유입 슬릿과 유입 슬릿의 중간 위치의 상기 제2 돌출 바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점적호스.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assage is a drip hose comprising an inlet slit formed in the base member of the water inflow path and the second protruding bar at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inlet sl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로는 제1 통로를 기점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상기 제3 돌출 바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점적호스.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passage is a drip hose comprising at least one formed on the third protruding bar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first passage as a starting point.
삭제delete
KR1020210038693A 2021-03-25 2021-03-25 Drip hose KR1023366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693A KR102336639B1 (en) 2021-03-25 2021-03-25 Drip ho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693A KR102336639B1 (en) 2021-03-25 2021-03-25 Drip ho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639B1 true KR102336639B1 (en) 2021-12-08

Family

ID=7886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693A KR102336639B1 (en) 2021-03-25 2021-03-25 Drip ho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63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8765A (en) * 1993-05-26 2001-09-14 T-Systems Internatl Inc Hose for drip irrigation
KR100754779B1 (en) 2007-02-21 2007-09-03 주식회사 서원양행 Pressure control drip tape and hose
KR101805445B1 (en) 2017-08-08 2017-12-06 주식회사 탑드립 Drip ho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8765A (en) * 1993-05-26 2001-09-14 T-Systems Internatl Inc Hose for drip irrigation
KR100754779B1 (en) 2007-02-21 2007-09-03 주식회사 서원양행 Pressure control drip tape and hose
KR101805445B1 (en) 2017-08-08 2017-12-06 주식회사 탑드립 Drip ho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2757B2 (en) Emitter and drip irrigation tube
JP6541220B2 (en) Emitter and drip irrigation tube
US5375770A (en) Drip irrigation tape having a reduced thickness portion covering an indented flow groove
JP6532759B2 (en) Emitter and drip irrigation tube
US4247051A (en) Irrigation hose and method for its construction
JP6533158B2 (en) Emitter and drip irrigation tube
US20060186228A1 (en) Irrigation dripper and pipe
US8220727B2 (en) Pressure-compensation drip tape
EP3075237B1 (en) Emitter and drip irrigation tube
EP3039961B1 (en) Dripper and drip irrigation tube
MXPA01005089A (en) Drip irrigation hose with emitters having different discharge rates.
CN104684381A (en) Dripper for drip irrigation and drip irrigation device
JP6417176B2 (en) Emitter and drip irrigation tubes
KR102336639B1 (en) Drip hose
KR20100124753A (en) Perforation anvil
KR100932433B1 (en) Drops hose
WO2021091201A1 (en) Water conduit
JP6689634B2 (en) Emitter and drip irrigation tubes
JP6429577B2 (en) Emitter and drip irrigation tubes
KR101904964B1 (en) The drip for emitting pipe
KR101754033B1 (en) Drip hose having double discharge port
KR101541759B1 (en) drip hose for growing plant with intaglio-waterway
CN104254941A (en) Fuel cell fluid distribution
WO2016151200A1 (en) Detachable wear strip for use in the vacuum belt filter device
WO1997019759A1 (en) Drip irrigation hose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