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293B1 -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293B1
KR102336293B1 KR1020140184861A KR20140184861A KR102336293B1 KR 102336293 B1 KR102336293 B1 KR 102336293B1 KR 1020140184861 A KR1020140184861 A KR 1020140184861A KR 20140184861 A KR20140184861 A KR 20140184861A KR 102336293 B1 KR102336293 B1 KR 102336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authentication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5188A (ko
Inventor
구본현
김대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4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293B1/ko
Priority to CN201510958539.2A priority patent/CN105717795A/zh
Priority to EP15870397.5A priority patent/EP3235170A4/en
Priority to PCT/KR2015/014042 priority patent/WO2016099230A1/en
Priority to US14/976,062 priority patent/US10841290B2/en
Publication of KR20160075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2Entity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H04W12/64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using geofenced 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42Domotique, domestic, home control, automation, smart hous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04L63/049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by using a location-limited connec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or limited proximity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3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using wearable devices, e.g. using a smartwatch or smart-gl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성능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성능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을 인증하기 위한 단말 식별자 및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분류된 서비스 식별자가 포함된 제어 정보를 상기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서비스 식별자에 기반하여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 상호 간에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전자기기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기와 상기 전자기기로 구성된 메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PS)는 3 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현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실내에서의 위치는 측정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에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단말과 통신이 가능하고 단말과의 거리를 파악할 수 있는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비콘(beacon) 기술이 등장하였다. 상기 신호를 발생시켜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장치를 비콘이라 칭한다.
상기 비콘 기술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의 실내에서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하지만, 비콘은 블루투스를 이용해 자신의 신호 도달 반경 이내의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통신이 가능한 범위가 제한적이며, 각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단말이 각각의 제어 정보를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경우 에너지 소모 및 시간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을 자동으로 인증하고, 통신 가능한 전자기기와 상기 전자기기로 구성된 메쉬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기기를 제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를 제어 하는 단말은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을 인증하기 위한 단말 식별자 및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전자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분류된 서비스 식별자가 포함된 제어 정보를 상기 전자기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서비스 식별자에 기반하여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 상호 간에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전자기기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신 가능한 전자기기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단말을 인증하기 위한 단말 식별자 및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단말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분류된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한 제어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식별자에 기반하여 작동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신한 제어 정보를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 상호 간에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전자기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은 상기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을 인증하기 위한 단말 식별자 및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분류된 서비스 식별자가 포함된 제어 정보를 상기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서비스 식별자에 기반하여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 상호 간에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전자기기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신 가능한 전자기기의 작동 방법은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단말을 인증하기 위한 단말 식별자 및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분류된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한 제어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식별자에 기반하여 작동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신한 제어 정보를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전자기기 상호 간에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이 전자기기에 접근하는 경우 단말을 자동으로 인증할 수 있으며, 메쉬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전자기기에 한 번의 제어 정보 전송으로 다수의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단말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을 인증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S460 단계에서 게이트웨이(405)가 인증서버에 인증을 요청하는 경우, 인증을 요청하는 메시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전자기기가 단말을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는 단말이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기기로 구성된 메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른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기기로 구성된 메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른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A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기기가 작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어 정보에 포함된 비콘 프레임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어 정보에 포함된 또 다른 비콘 프레임의 형태 및 식별자의 종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기기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기기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전기기를 작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단말이 전자기기 및 게이트웨이를 통해 댁 내에 위치하는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프로토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100)은 통신부(110), 입력부(120), 저장부 (130), 표시부(140), 제어부(15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단말(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50)로 출력하고, 제어부(15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band) 등 모든 종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기기는 단말의 통신부(110)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비콘 신호를 전송하여 단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단말(100)을 이용하여 댁 내의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 신호를 입력 받아 제어부(120)에 전달한다.
저장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계정 정보와 단말의 식별자를 저장한다. 계정 정보란 사용자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이고, 단말 식별자란 단말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단말(100)이 전자기기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단말(100)은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 식별자 및 계정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전자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에는 단말이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의 인증이 완료된 경우에는 메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목록에 포함된 전자기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쉬 네트워크에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표시부(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 패널 또는 터치 필름과 결합될 수도 있다. 표시부(140)는 단말(1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의 목록 등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제어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단말의 인증이 완료된 경우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한 제어 정보를 전자기기에 전송하여 전자기기를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기기(200)은 통신부(210), 제어부(220), 저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210)는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band) 등 모든 종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기기는 단말의 통신부(110)에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비콘 신호를 전송하여 단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단말의 인증이 완료된 경우, 전자기기(2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220)가 도어락인 경우, 도어락의 잠금 장치가 해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통신부(110)가 비콘 신호를 전송한 경우, 상기 전송한 비콘 신호에 기반하여 단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단말로부터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한 제어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단말에 따라 서로 다른 단말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원이 4명인 가족의 경우, 각 구성원 별로 1개 이상의 단말을 소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는 구성원이 소지하고 있는 단말의 수만큼 단말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단말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310)은 댁 내에 위치하는 다수의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는 단말(310) 또는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 단말(310)은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band) 등 모든 종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310)은 TV(320), 오디오 플레이어(330) 등의 전자기기를 제어 할 수 있다. 또한, 단말(310)은 메쉬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단말이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전자기기에 등록되어 있는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구체적인 인증 과정은 후술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을 인증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401)이 전자기기(403)와 일정 거리 이내에 진입하는 경우, 단말(401)은 S410단계에서 통신 가능한 전자기기(403)에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단말 식별자를 전송한다.
단말은 단말 식별자를 직접 통신 가능한 전자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후술할 계정 정보 역시 직접 전자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이 직접 단말 및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단말 및 사용자 별로 별도의 서비스 또는 인증 처리가 가능하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종래의 비콘 기술은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기기가 특정 식별자를 포함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비콘이 수신한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상기 정보에 따라 특정 어플을 실행할 수 있다.
반면, 본원발명의 경우, 단말이 직접 단말 및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전송함으로써, 전자기기는 다수의 단말을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기기가 가족 구성원인 A, B, C, D가 소지한 단말에 대한 식별자를 저장하고 있으면,
A, B, C, D 각각에 대하여 인증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식별자를 통해 A, B, C, D에게 별도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403)는 단말(401)과 직접 통신이 가능할 수 있고, 혹은 통신이 가능한 기기가 부착되어 단말(401)과 통신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401)은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band) 등 모든 종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가능한 기기는 일 예로, 비콘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는 단말이 전송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전자 기기는 비콘 데이터를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여, 단말이 소유한 사용자가 전자기기로 근접하게 되면, 전자 기기는 이를 식별하고, 사용자가 PIN 코드를 입력하지 않고도 이를 인지하여 자동으로 기기의 개폐가 가능하다.
전자기기(403)가 단말 식별자를 수신한 경우, 전자기기(403)는 S420 단계에서 단말 식별자가 전자기기(403)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자기기(403)에는 단말에 따라 다수 개의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전자기기(403)가 단말 식별자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저장되어 있는 식별자와 수신한 식별자를 비교하여 전자기기에 단말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말 식별자가 전자기기에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S430 단계에서 전자기기(403)는 단말에 계정 정보(417)를 요청한다. 상기 계정 정보란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계정 정보에는 다수의 단말 식별자들이 계층적인 하위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명의 사용자는 다수의 단말을 소유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는 하나의 계정 정보를 가지며, 상기 계정 정보에 다수의 단말을 식별하기 위해 각각의 단말에 대한 단말 식별자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계정 정보(417)에는 인증 코드, 재생 정보 및 액세스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재생 정보란, 액세스 정보를 재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하며, 액세스 정보는 단말의 인증에 사용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단말이 전자기기(403)의 계정 정보 요청을 수신한 경우, 단말은 S440 단계에서 인증 코드를 전자기기(403)에 전송한다. 실제 인증에 사용되는 상기 재생 정보와 액세스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것은 보안상 취약하므로, 이를 대리 인증하기 위하여 인증코드가 사용될 수 있다.
인증코드를 수신한 전자기기(403)는 S450 단계에서 수신한 인증코드를 게이트웨이(405)로 전송한다. 상기 게이트웨이(405)는 네트워크와 전자기기를 연결해주는 장치를 의미한다. 인증코드를 수신한 게이트웨이(405)는 S460 단계에서 수신한 인증 코드를 인증 서버(407)로 전송하여 단말의 인증을 요청한다.
또는, 상기 전자기기(403)는 게이트웨이(405)를 거치지 않고 상기 인증코드를 인증 서버(407)에 전송하여 단말의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인증 정보를 수신한 인증 서버(407)는 게이트웨이(405) 또는 전자기기(403)로부터 수신한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단말의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인증 서버(407)가 인증을 완료하는 경우, 인증 서버(407)는 S470 단계에서 인증 결과를 게이트웨이(405)에 전송한다. 상기 게이트웨이(405)는 S480 단계에서 인증 결과를 전자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인증서버는 인증 결과를 전자기기(403)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전자기기(403)가 게이트웨이(405) 또는 인증 서버(407)로부터 인증결과를 수신한 경우, 인증 결과에 따라 전자기기(403)는 S490 단계에서 작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기기가 도어락인 경우를 가정해보면, 단말의 단말 식별자가 도어락에 등록되어 있고, 단말이 전송한 인증 코드에 의해 인증에 성공한 경우에는, 도어락의 잠금 장치가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S460 단계에서 게이트웨이(405)가 인증서버에 인증을 요청하는 경우, 인증을 요청하는 메시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기기(403)로부터 인증코드를 수신한 게이트웨이(405)는 S460 단계에서 인증 코드를 포함한 인증 요청 메시지(410B)를 인증서버에 전송한다. 인증 요청 메시지(410B)에는 인증 코드에 관련된 내용임을 지시하는 부분(413B)와 인증 코드(417B)를 포함될 수 있다.
인증 서버가 사용자의 인증을 성공한 경우에, 인증 서버는 S470 단계에서 인증 결과 메시지(420B)를 게이트웨이(405)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 결과 메시지(420B)를 참고하면, 인증에 성공한 경우, 인증 결과 메시지(420B)에는 200 OK(421B)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인증 결과 메시지(420B)에는 재생 정보(423B)와 액세스 정보(425B)가 포함될 수 있다. 재생 정보(423B)와 액세스 정보(425B)는 게이트웨이(403)에 포함된 재생 정보 및 액세스 정보가 만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5는 전자기기가 단말을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말(501)이 전자기기(503)와 일정 거리 이내에 진입하는 경우, 단말(501)은 S510단계에서 전자기기(503)에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단말 식별자를 전송한다.
또는, 본 실시 예에서 단말(501)은 지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단말 식별자를 방송(broadcasting)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501)이 전자기기(503)가 단말이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거리 이내에 진입하는 경우, 전자기기(503)가 단말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말은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방송(broadcasting)할 수 있다.
단말이 직접 단말 및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단말 및 사용자 별로 별도의 서비스 또는 인증 처리가 가능하다.
전자기기(503)는 단말(501)과 직접 통신이 가능할 수 있고, 혹은 통신이 가능한 기기가 부착되어 단말(501)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503)는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비콘 신호를 전송하여 단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전자기기(503)가 단말 식별자를 수신한 경우, 전자기기(503)는 S520 단계에서 단말 식별자가 전자기기(503)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자기기(503)에는 단말에 따라 다수 개의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족 구성원이 4명인 경우, 가족 구성원이 각각 하나 이상의 단말을 소지하고 있다면, 총 4대 이상의 단말의 식별자가 전자기기(503)에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503)가 단말 식별자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저장되어 있는 식별자와 수신한 식별자를 비교하여 전자기기에 단말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말 식별자가 전자기기에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S530 단계에서 전자기기(503)는 단말에 계정 정보를 요청한다. 상기 계정 정보란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비콘 신호를 사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여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보안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계정 정보에는 다수의 단말 식별자들이 계층적인 하위 구조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인증 코드, 재생 정보 및 액세스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4a에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며,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한다.
단말이 전자기기(503)의 계정 정보 요청을 수신한 경우, 단말은 S540 단계에서 인증 코드를 전자기기(503)에 전송한다. 실제 인증에 사용되는 상기 재생 정보와 액세스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것은 보안상 취약하므로, 이를 대리 인증하기 위하여 인증코드가 사용될 수 있다.
인증코드를 수신한 전자기기(503)는 S550 단계에서 수신한 인증코드를 게이트웨이(505)로 전송한다. 상기 게이트웨이(505)는 네트워크과 전자기기를 연결해주는 장치를 의미한다. 인증코드를 수신한 게이트웨이(505)는 S560 단계에서 수신한 인증 코드를 인증 서버(507)로 전송하여 단말의 인증을 요청한다.
또는, 상기 전자기기(503)는 게이트웨이(505)를 거치지 않고 상기 인증코드를 인증 서버(507)에 전송하여 단말의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인증 정보를 수신한 인증 서버(507)는 S570 단계에서 게이트웨이(505) 또는 전자기기(503)로부터 수신한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단말의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인증 서버(507)가 인증을 완료하는 경우, 인증 서버(507)는 S580 단계에서 인증 결과를 게이트웨이(505)에 전송한다. 상기 게이트웨이(505)는 S590 단계에서 인증 결과를 전자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인증서버(507)는 인증 결과를 전자기기(503)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전자기기(503)가 게이트웨이(505) 또는 인증 서버(507)로부터 인증결과를 수신한 경우, 인증 결과에 따라 전자기기(503)는 S595 단계에서 작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기기가 도어락인 경우를 가정해보면, 단말의 단말 식별자가 도어락에 등록되어 있고, 단말이 전송한 인증 코드에 의해 인증에 성공한 경우에는, 도어락의 잠금 장치가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다.
도 6은 단말이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610)은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단말(611)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는 단말의 전자기기의 일 예로서 전등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단말(611)이 전등에 접근하는 경우, 전등은 단말(611)의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전자기기에 의해 단말(611)의 인증 과정이 완료된 경우에는 인증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단말(611)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전등은 단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611)은 전등을 제어하기 위해 전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등은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기이며, 예를 들면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611)은 전등을 제어하기 위해서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전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는 전등의 위치를 포함하는 제어 패킷(6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패킷은 기기 제어 패킷, 컨트롤 패킷, 컨트롤 데이터 패킷 등 제어를 위한 패킷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전등의 위치는 구체적으로, 제어 패킷(620) 내부의 목적지 주소(621) 부분에 맵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611)은 전등 1(613)을 켜기 위해서 목적지 주소(621) 부분에 전등 1(613)의 주소인 00:00:00:00:00:00:AA를 맵핑시켜 전등 1(613)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611)이 세 개의 전등을 동시에 켜기 위해서는 세 개의 제어 패킷(620)을 포함한 제어 정보를 각각의 전등에 개별적으로 전송해야 한다.
즉, 제어 하고자 하는 전자기기가 다수일 경우, 다수의 전자기기에 각각의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는 과도한 에너지 소모를 발생시키며, 시간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기기로 구성된 메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른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는 하나의 전자기기는 하나의 노드(예를 들면, A 노드)로 표현되었다. 또한, 실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노드는 전자기기 간에 상호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전자기기를 노드로 표현한다.
단말이 E 노드와 통신이 가능한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단말은 E 노드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은 일 예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과 통신하는 전자기기는 비콘 신호를 통해 단말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는 상기 측정한 값을 비콘 데이터를 통해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단말은 사용자가 특정 PIN 코드를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전자기기에 근접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
단말이 전자기기에 근접하였음을 인지하는 경우, 단말은 E 노드를 통해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인증 과정은 도 4a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며,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한다.
단말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E 노드는 서비스 식별자(731)를 포함한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 정보에는 단말은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의 목록에 따른 전자기기의 서비스 식별자(731)를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의 목록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기기의 목록은 단말의 인증 과정에서 사용한 사용자의 인증 정보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목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노드는 서비스 식별자(731)에 따라 제어 정보를 전송할 노드의 정보와, 제어가 정상적으로 처리된 후 이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전송할 노드에 대한 정보(이하, 노드 정보, 740)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서비스 식별자(731)에 따라 제어 정보(730)를 전송할 노드의 정보를 parent 노드(743)라 칭하고, 응답 정보를 전송할 노드에 대한 정보를 child 노드(745)라 칭한다.
제어 정보(730)가 E 노드에 전송되는 경우, E 노드는 제어 정보(730)에 포함된 서비스 식별자(731)에 따라 상기 서비스 식별자(731)에 대응하는 parent 노드(743)로 제어 정보(730)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노드는 서비스 식별자가 0s 01인 경우 D 노드로, 서비스 식별자가 0s 02인 경우 B 노드로, 서비스 식별자가 0s 03인 경우 C 노드로 제어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노드 정보(74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식별자 0s 01 및 0s 02가 포함된 제어 정보가 노드 A로 전송되면, 노드 A는 노드 정보(740)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 정보를 노드 D 와 노드 B에 각각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집에 도착한 경우, 도어락(노드 E에해당)은 단말의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인증이 성공한 경우, 단말은 서비스 식별자 포함한 제어 정보(730)를 도어락에 전송한다. 제어 정보(730)를 수신한 도어락은 상기 정보를 단말의 인증에 사용되는 게이트웨이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게이트웨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도어락에 연결되어 있는 현관의 전등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정보에는 서비스 식별자 0s 01, 0s 02, 0s 03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식별자는 각각 거실의 전등, 거실의 티비, 거실의 에어컨을 작동시키기 위한 식별자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한 제어 정보를 수신한 현관의 전등은 상기 제어 정보를 거실의 전등, 거실의 티비, 거실의 에어컨에 연결된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떤 노드로 전송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는 각 노드에 포함된 노드 정보(740)에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노드가 상호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메쉬 네트워크라 칭한다. 종전에는 4개의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네 개의 제어 정보를 각각의 전자기기에 전송해야 했지만, 본원발명에서와 같이 전자기기로 구성된 메쉬 네트워크를 이용하면, 다수의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한 하나의 제어 정보를 전자기기에 한 번 전송함으로써, 다양한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제어 데이터가 도달할 수 없는 거리에 전자기기가 위치해 있는 경우라도, 전자 기기간의 연결설정을 통해 원거리의 전자기기의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노드 정보(740)에는 전자기기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트리거 비트(741)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특정 서비스 식별자에 대하여 트리거 비트가 1인 경우, 상기 서비스 식별자를 수신하면 전자기기가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 A가 노드 정보(740)을 포함하는 경우, 노드 A는 서비스 식별자 0s 01, 0s 02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노드 정보(740)에는 metric distance(747), hop distance(749)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중간 노드들이 동작을 하지 않거나 제어 정보 전송에 문제가 있어 무한 루핑에 빠지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이다.
Hop distance(749) 정보의 값이 1인 경우, 경유하는 노드들이 증가할수록 1의 값을 증가시키게 되며,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 되면 더 이상 제어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 Metric distance(747) 정보는 노드 간의 경로 가중치를 의미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A 노드에서 D 노드로 가는 경로가 두 가지 이상인 경우(예를 들면, A->C->D 또는 A->B->D), Metric distance(747) 정보에 포함된 값이 큰 경로를 이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기기로 구성된 메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른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전자기기가 S810단계에서 단말의 인증에 성공한 경우, 전자기기는 S820 단계에서 서비스 식별자가 포함된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 정보에는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의 목록에 따른 전자기기의 서비스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전자기기가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전자기기는 S830 단계에서 제어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 식별자에 기반하여 작동할 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전자기기(노드)에는 노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노드 정보에는 전자기기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트리거 비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수신한 서비스 식별자에 대하여 노드 정보의 트리거 비트의 값이 1인 경우, 전자기기는 작동될 수 있다.
전자기기가 S830 단계에서 작동 여부가 판단되면, 전자기기는 S840 단계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할 전자기기를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노드 정보에는 제어 정보를 전송할 전자기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서비스 식별자에 따라 어떤 전자기기에 제어 정보를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 정보를 전송할 전자기기를 결정한 경우, 전자기기는 S850 단계에서 제어 정보를 전자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정보를 수신한 또 다른 전자기기는 상기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도 9A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기기가 작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를 참고하면, 단말이 전자기기에 접근하여 인증을 완료하는 경우,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정보에 따라 메쉬 네트워크로 구성된 전자기기들이 작동될 수 있다. 제어 정보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기기의 목록은 사용자가 미리 선택한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기기의 목록은 단말의 인증 과정에서 사용한 사용자의 인증 정보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도면에 따르면, 단말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경우, 거실의 전등, 침실의 전등, 에어컨이 작동될 수 있다.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어 정보에 포함된 비콘 프레임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단말이 전송하는 제어 정보에는 비콘 프레임(920)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비콘 프레임(920)에는 서비스 식별자(923)를 할당할 수 있는 공간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도면에서는, 비콘 프레임(920)에 포함된 Advertisement data에 포함된 MSP에 서비스 식별자(923)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정보를 수신한 전자기기는 제어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 식별자(923)를 확인하여 제어 정보를 어디에 전달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어 정보에 포함된 또 다른 비콘 프레임의 형태 및 식별자의 종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 정보에는 비콘 프레임(1010)이 포함될 수 있으며, 비콘 프레임에는 서비스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도면의 비콘 프레임(1010)은 advertising payload(1015)부분이 추가적으로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단말은 상기 advertising payload(1015)에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시켜 전자기기에 비콘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식별자 변화 과정(1020)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 단말은 시간에 따라 다른 식별자를 전송함으로써,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인증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단말 및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해 단말 식별자 및 인증 코드(1021)를 전자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인증이 완료된 경우, 단말은 전자기기를 제어 하기 위해 서비스 식별자(1023)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전자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정보를 통해 전자기기가 작동하는 경우, 히스토리 식별자(1025)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티비를 시청하는 경우, 사용자가 자주 보는 채널에 대한 정보 또는 이전에 재생되고 있던 콘텐츠에 대한 정보 등을 히스토리 식별자(1025)를 이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오디오 플레이어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재생하고 있던 플레이 리스트를 히스토리 식별자(1025)를 이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티비를 시청하는 경우, 사용자는 자주 보는 채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식별자(1021)는 상기 히스토리 식별자(1025)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기기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S1120 단계에서 단말(1111)은 전자기기(1115)에 단말 식별자를 전송한다. 단말 식별자를 수신한 전자기기(1115)는 S1130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종전 제공하던 서비스의 히스토리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전자기기(1115)는 사용자에게 종전 제공하던 서비스를 단말 식별자를 이용하여 저장하고, 단말 식별자를 수신하는 경우 저장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티비를 시청하는 경우, 사용자의 단말(1111)은 티비(1115)에 단말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식별자를 수신한 티비는, 사용자가 최근에 시청한 채널의 리스트, 재생 콘텐츠의 리스트, 사용자의 위시 리스트, 단말과 공유하던 콘텐츠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1150)을 참고하면, S1160 단계에서 단말(1151)이 전자기기(1155)에 단말 식별자(1153)을 전송하면, 전자기기(1155)는 S1170 단계에서 단말 식별자(1153)를 수신하였다는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1155)는 S1180단계에서 단말 식별자를 통해 저장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1155)는 사용자가 이전에 재생 중이던 콘텐츠를 이어 재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콘텐츠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단말에서 재생 중인 영상을 티비가 이어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1155)는 S1190 단계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을 스트리밍 할 수 있다.
또는, 전자기기(1155)는 S1190 단계에서 사용자의 단말이 스트리밍하고 있던 영상을 티비가 스트리밍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기기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을 참고하면, 전자기기(1210)는 도 11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에 종전 제공하던 플레이리스트를 단말 식별자를 이용하여 저장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디오 플레이어(1210)를 사용하는 경우, 단말 A(1220)는 오디오 플레이어(1210)에 단말 식별자 A(1225)를 전송한다. 단말 식별자 A(1225)를 수신한 오디오 플레이어(1210)는 단말 식별자 A(1225)를 이용해 저장하고 있던, 단말 A의 플레이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재생하고 있던 음원을 이어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또 다른 단말 B(1230)도 오디오 플레이어(1210)에 단말 식별자 B(1235)를 전송할 수 있으며, 단말 식별자 B(1235)를 수신한 오디오 플레이어(1210)는 단말 식별자 B에 대해 저장되어 있는 플레이리스트를 서버(1240)에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플레이어(1210)는 단말 A(1220)와 단말 B(1230)로부터 수신한 플레이 리스트를 순차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단말 B(1230)의 단말 식별자 B(1235)를 이용하여 서버(1240)로부터 오디오 플레이어(1210)에 플레이 리스트가 전송됨과 동시에 단말 B(1230)의 단말 식별자 B(1235)에 의해 티비(1250)에 사용자가 즐겨보던 채널의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전자기기를 작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전자기기는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기이며, 일 예로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S1310 단계는 사용자는 단말(1311)을 소지하고 안방에 접근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단말(1311)은 지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자신의 단말 식별자 등의 정보를 방송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1311)이 안방에 위치한 전자기기(1321)과 통신이 가능한 거리에 접근하는 경우, 전자기기(1321)는 S1320 단계에서 단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단말의 위치가 일정 거리 이내라고 인식하는 경우, 전자기기(1321)는 단말의 위치를 제어 장치(1331)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장치(1331)는 S1330 단계에서 단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S1340 단계에서 전자기기(1321)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자기기(1321)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1321)는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만약, 단말(1311)을 소지한 사용자가 안방에서 거실로 이동하는 경우, 안방에 위치한 전자기기(1321)와 거실에 위치한 전자기기(1351)는 단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이 안방과 거실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각 장소에 있는 전자기기는 단말로부터 신호 세기를 비교하여, 신호의 세기가 큰 쪽의 전자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신호의 세기가 큰 쪽의 전자기기를 선택한 경우, 제어 장치(1331)는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서 전자기기(1411)는 단말(1401)과 통신이 가능하며, 본 실시 예에서 전자기기(1411) 일 예로 블루투스(bluetooth)를 통해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단말(1401)은 S1410 단계에서 단말(1401)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전자기기(1411)에 전송한다. 또한, 단말은(1401) S1410 단계에서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계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식별 정보를 수신한 전자기기(1411)는 S1420 단계에서 스캔 요청 패킷을 전송한다. 전자기기(1411)가 스캔 요청 패킷을 전송하는 이유는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일 예로, 전자기기(1411)는 스캔 요청 패킷을 통하여 단말과 블루투스로 연결될 수 있다.
단말(1401)이 스캔 요청 패킷을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1401)은 S1430 단계에서 서버에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는 S1450 단계에서 수신한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댁 내에 위치한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전송하는 제어 정보에는 서비스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전자기기는 메쉬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제어될 수 있다. 또는, 제어 정보에는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의 목적지 주소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서버는 각 전자기기에 제어 정보를 전송하여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단말(1401)이 스캔 요청 패킷을 수신한 경우, S1440 단계에서 스캔 응답 패킷을 전송하여 전자기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401)은 전자기기와 블루투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전자기기(1411)가 스캔 응답 패킷을 수신한 경우, 전자기기(1411)는 단말의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인증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는, 단말의 인증은 전자기기가 S1410 단계에서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스캔 응답 패킷을 수신한 전자기기(1411)는 S1460 단계에서 식별 정보를 게이트웨이(1431)에 전송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단말의 식별 정보 또는 전자기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게이트웨이는 전자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S1470 단계에서 스캔 요청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스캔 요청 패킷을 수신한 전자기기(1411)는 S1480 단계에서 스캔 응답 패킷을 전송하여 게이트웨이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과 전자기기, 전자기기와 게이트웨이 사이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경우, 단말은 전자기기 및 게이트웨이를 통해 S1490 단계에서 댁 내의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는 메쉬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 15는 단말이 전자기기 및 게이트웨이를 통해 댁 내에 위치하는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프로토콜을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블루투스 스택의 구조는 마스터 스택과 슬레이브 스택 사이에 1:1통신만을 수행하였다. 즉, 단말과 게이트웨이 연결 시, 한 번에 한가지의 스택 모드로만 사용 가능하였다.
반면, 본 발명에서의 전자기기(1520)는 단말과 통신시에는 슬레이브 모드로 작동하는 반면, 게이트웨이와 통신시에는 마스터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가 단말과 통신 시, 전자기기는 슬페이브 모드로 작동하고, 단말은 마스터 모드로 작동한다. 이를 통해 단말로부터 단말 식별자 및 인증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는 인증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인증 코드를 게이트웨이로전송해야 하며, 스택로더 및 핸들러(1531)에 의해 마스터 모드의 스택 로드 및 전환이 진행된다. 이를 통해, 마스터 모드 기반의 연결을 위한 메시지가 게이트웨이에 전송되며, 전자기기가 마스터 모드로서 게이트웨이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웨이는 전자기기로부터 인증 코드를 수신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를 게이트웨이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스택 로드 및 핸들러(1531)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는 마스터 스택 및 슬레이브 스택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단말, 전자기기, 게이트웨이 3자 간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전자기기 및 게이트웨이를 통해 댁 내의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8)

  1.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단말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비콘 ID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제1 전자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비콘 ID에 포함된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인증 정보를 복수의 전자기기 중 제어할 제2 전자기기에 의해 제공될 서비스의 종류에 대응되는 서비스 식별자로 변환하고,
    상기 비콘 ID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식별자에 기초해 상기 제2 전자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2 신호를 상기 제1 전자기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단말을 인증하기 위한 단말 식별자 및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는 상기 단말 인증에 사용되는 계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식별자는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가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전자기기를 동작시키는 상기 제2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상기 제2 전자기기로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서비스 식별자는 미리 저장된 서비스 목록, 이전에 사용된 서비스, 및 이전에 재생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기 위한 히스토리 식별자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전송(bluetooth)에 기반하여 통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비스 식별자는 미리 저장된 서비스의 리스트를 상기 단말에게 제공하기 위해 히스토리 식별자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전자기기와 통신이 가능한 거리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정 정보는,
    상기 단말의 인증에 필요한 액세스 정보, 상기 액세스 정보를 최신 정보로 재 생성하기 위한 정보인 재생 정보 및 상기 액세스 정보와 상기 재생 정보를 암호화 하기 위한 인증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전자기기와 상기 제2 전자기기에 포함된 노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전자기기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기적으로 상기 단말 식별자를 방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8. 제1 전자기기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비콘 ID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비콘 ID에 포함된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비콘 ID를 포함하고, 서비스 식별자에 기초해 제2 전자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2 신호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상기 제2 전자기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콘 ID에 포함된 인증 정보는 상기 단말을 인증하기 위한 단말 식별자 및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서비스 식별자로 변환되고,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는 상기 단말 인증에 사용되는 계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식별자는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가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전자기기를 동작시키는 상기 제2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상기 제2 전자기기로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서비스 식별자는 미리 저장된 서비스 목록, 이전에 사용된 서비스, 및 이전에 재생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기 위한 히스토리 식별자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전자기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Bluetooth)에 기반하여 통신하고,
    상기 서비스 식별자는 상기 단말에게 미리 저장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히스토리 식별자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전자기기.
  10. 삭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전자기기와 통신 가능한 거리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전자기기.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계정 정보는,
    상기 단말의 인증에 필요한 액세스 정보, 상기 액세스 정보를 최신 정보로 재생성하기 위한 정보인 재생 정보 및 상기 액세스 정보와 상기 재생 정보를 암호화 하기 위한 인증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전자기기.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전자기기 및 상기 제2 전자기기에 포함된 노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전자기기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전자기기.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식별자는,
    상기 단말에 의해 주기적으로 방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전자기기.
  15.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비콘 ID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제1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비콘 ID에 포함된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인증 정보를 복수의 전자기기 중 제어할 제2 전자기기에 의해 제공될 서비스의 종류에 대응되는 서비스 식별자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비콘 ID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식별자에 기초해 상기 제2 전자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2 신호를 상기 제1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단말을 인증하기 위한 단말 식별자 및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는 상기 단말 인증에 사용되는 계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식별자는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가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전자기기를 동작시키는 상기 제2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상기 제2 전자기기로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서비스 식별자는 미리 저장된 서비스 목록, 이전에 사용된 서비스, 및 이전에 재생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기 위한 히스토리 식별자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기기는 근거리 무선 전송(bluetooth)에 기반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
  17. 삭제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식별자 및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전자기기와 통신이 가능한 거리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계정 정보는,
    상기 단말의 인증에 필요한 액세스 정보, 상기 액세스 정보를 최신 정보로 재생성하기 위한 정보인 재생 정보 및 상기 액세스 정보와 상기 재생 정보를 암호화 하기 위한 인증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전자기기와 상기 제2 전자기기에 포함된 노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전자기기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주기적으로 상기 단말 식별자를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
  22. 통신 가능한 제1 전자기기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비콘 ID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콘 ID에 포함된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비콘 ID를 포함하고, 서비스 식별자에 기초해 제2 전자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2 신호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상기 제2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콘 ID에 포함된 인증 정보는 상기 단말을 인증하기 위한 단말 식별자 및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서비스 식별자로 변환되고,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는 상기 단말 인증에 사용되는 계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식별자는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가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전자기기를 동작시키는 상기 제2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상기 제2 전자기기로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서비스 식별자는 미리 저장된 서비스 목록, 이전에 사용된 서비스, 및 이전에 재생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기 위한 히스토리 식별자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전자기기의 작동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가능한 전자기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Bluetooth)에 기반하여 통신하고,
    상기 서비스 식별자는 상기 단말에게 미리 저장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히스토리 식별자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전자기기의 작동 방법.
  24. 삭제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식별자 및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전자기기와 통신 가능한 거리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1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전자기기의 작동 방법.
  26.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계정 정보는,
    상기 단말의 인증에 필요한 액세스 정보, 상기 액세스 정보를 최신 정보로 재생성하기 위한 정보인 재생 정보 및 상기 액세스 정보와 상기 재생 정보를 암호화 하기 위한 인증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전자기기의 작동 방법.
  27.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전자기기와 상기 제2 전자기기에 포함된 노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전자기기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전자기기의 작동 방법.
  28.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식별자는,
    상기 단말에 의해 주기적으로 방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전자기기의 작동 방법.
KR1020140184861A 2014-12-19 2014-12-19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36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861A KR102336293B1 (ko) 2014-12-19 2014-12-19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CN201510958539.2A CN105717795A (zh) 2014-12-19 2015-12-18 控制具有处理器的电子设备中的显示器的装置和方法
EP15870397.5A EP3235170A4 (en) 2014-12-19 2015-12-2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display in electronic device having processors
PCT/KR2015/014042 WO2016099230A1 (en) 2014-12-19 2015-12-2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display in electronic device having processors
US14/976,062 US10841290B2 (en) 2014-12-19 2015-12-2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in electronic device having process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861A KR102336293B1 (ko) 2014-12-19 2014-12-19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188A KR20160075188A (ko) 2016-06-29
KR102336293B1 true KR102336293B1 (ko) 2021-12-07

Family

ID=56127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861A KR102336293B1 (ko) 2014-12-19 2014-12-19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41290B2 (ko)
EP (1) EP3235170A4 (ko)
KR (1) KR102336293B1 (ko)
CN (1) CN105717795A (ko)
WO (1) WO20160992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7053A (zh) * 2016-08-31 2016-12-14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智能家居系统
EP3682602A4 (en) * 2017-09-12 2020-12-16 D&M Holding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IMITED ACCESS TO A CONTROL DEVICE TO A MESH NETWORK OF MULTIMEDIA RENDERING DEVICES
CN109976166A (zh) * 2017-12-27 2019-07-05 西安比卓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连接管理系统
JP7005371B2 (ja) * 2018-02-08 2022-01-21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09489193A (zh) * 2018-10-17 2019-03-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控制方法、装置、系统、控制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200090403A (ko) 2019-01-21 2020-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0086782B (zh) * 2019-03-29 2022-04-15 岭博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酒店物联智控系统及智能控制设备的方法和电子设备
CN110471298B (zh) * 2019-08-12 2020-10-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家电控制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US20210218741A1 (en) * 2019-09-26 2021-07-15 FlexIt Inc. Access management to service facilities and presence tracking
CN113009838A (zh) * 2021-02-02 2021-06-2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智能家居控制方法、终端设备及智能家居控制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72700A1 (en) * 2005-01-31 2006-08-03 Microsoft Corporation User authentication via a mobile telephone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6578B2 (en) * 2001-05-22 2005-02-15 Daniel J. Magine Underwater alert system
JP3895146B2 (ja) * 2001-10-22 2007-03-22 富士通株式会社 サービス制御ネットワーク、サーバ装置、ネットワーク装置、サービス情報配布方法、及びサービス情報配布プログラム
ATE320684T1 (de) * 2002-01-18 2006-04-15 Nokia Corp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zugriffskontrolle eines mobilen endgerätes in einem kommunikationsnetzwerk
CN1705399A (zh) * 2004-05-26 2005-12-07 史庄 基于移动通讯终端号码的身份识别控制系统及其方法
JP4561704B2 (ja) * 2005-08-09 2010-10-13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端末およびその状態報知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8107414B2 (en) * 2006-02-14 2012-01-3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for expanded coverage in a mesh network
US20070206838A1 (en) * 2006-02-22 2007-09-06 Fouquet Julie E Time synchronous biometric authentication
CN1929382B (zh) * 2006-09-28 2012-01-25 中山大学 一种对数字家电访问权限进行控制的装置及方法
US9503562B2 (en) 2008-03-19 2016-11-22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appliance control via a personal communication or entertainment device
US9088663B2 (en) 2008-04-18 2015-07-21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for appliance control via a network
US9294705B2 (en) 2008-06-27 2016-03-22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ubiquitous appliance control
US8995923B2 (en) * 2009-03-03 2015-03-31 Mobilitie,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a dynamic network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CN101697245B (zh) * 2009-09-30 2013-04-2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家电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1894452B (zh) * 2010-04-30 2013-06-26 中山大学 一种基于移动通信网控制智能家居的方法及系统
EP2397868A1 (en) * 2010-06-15 2011-12-21 The European Union, represented by the European Commission Method of providing an authenticable time-and-location indication
US8797874B2 (en) * 2011-09-09 2014-08-05 Futurewe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system for packet routing and forwarding in an interior network
KR101814606B1 (ko) * 2011-10-14 2018-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9544075B2 (en) * 2012-02-22 2017-01-10 Qualcomm Incorporated Platform for wireless identity transmitter and system using short range wireless broadcast
CN102572834A (zh) * 2012-03-19 2012-07-11 上海捷银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近距无线通信终端的终端间相互认证方法
US8682248B2 (en) 2012-04-07 2014-03-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JP6218418B2 (ja) * 2012-04-07 2017-10-25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コンテンツ提供方法、携帯デバイス及び記録媒体
EP2648386B1 (en) 2012-04-08 2021-08-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nagement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an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60485B1 (ko) * 2012-04-08 2019-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관리 서버 및 그 방법,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I631871B (zh) * 2012-04-27 2018-08-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支援鄰近發現程序方法及裝置
KR20130124732A (ko) * 2012-05-07 2013-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연결형 메시징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및 통신 단말
US9510271B2 (en) * 2012-08-30 2016-11-2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address format detection
CN102864984B (zh) * 2012-09-19 2015-04-08 重庆和航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门锁、开锁系统和开锁方法
CN102984039B (zh) * 2012-11-06 2016-03-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智能网关、智能家居系统及家电设备的智能控制方法
JP6141076B2 (ja) * 2013-04-04 2017-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アクセス管理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3491539A (zh) * 2013-08-27 2014-01-01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控制移动设备访问权限的方法、装置
US10158539B2 (en) * 2014-10-13 2018-12-18 Belkin International, Inc. Mesh network transmission decisions based on node performance metrics
US9210192B1 (en) * 2014-09-08 2015-12-08 Belkin International Inc. Setup of multiple IOT devices
US20150348049A1 (en) * 2014-05-30 2015-12-03 Eba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ospitality services using beacons
US9424417B2 (en) * 2014-06-04 2016-08-23 Qualcomm Incorporated Secure current movement indicator
US20160134620A1 (en) * 2014-11-06 2016-05-12 Ca, Inc. Loading user devices with lists of proximately located broadcast beacons and associated service identifi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72700A1 (en) * 2005-01-31 2006-08-03 Microsoft Corporation User authentication via a mobile tele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99230A1 (en) 2016-06-23
EP3235170A4 (en) 2018-01-03
KR20160075188A (ko) 2016-06-29
EP3235170A1 (en) 2017-10-25
CN105717795A (zh) 2016-06-29
US20160182482A1 (en) 2016-06-23
US10841290B2 (en) 202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6293B1 (ko)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JP4807628B2 (ja) 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及び認証情報生成プログラム
US8711197B2 (en) Surveillance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mesh network
US20170257765A1 (en)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CN111459433B (zh) 一种传屏方法、设备及存储介质
US9204470B2 (en) Method for a wireless target device to automatically connect to a target network, wireless network system with automatic network setting ability, and wireless target device thereof
US20170180899A1 (en) Smart hub
US20190014459A1 (en) Device-pairing method and system therefor
US8582471B2 (en) Wireless ad-hoc network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99008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374819B2 (en) Methods and devices of accessing wireless network
CN110769485A (zh) 使目标终端接入无线接入点提供的目标无线网络的方法
WO2003092265A1 (fr) Systeme de gestion de commande de dispositif
US200900439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Setup of Wireless Device Through a Single Interface
US9756046B2 (en) Network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in
US20130340046A1 (en) Wireless network client-authentication system and wireless network connection method thereof
US20110202757A1 (en) Authentication apparatus, authentication system, authentication method, and authentication program
CN104125568A (zh) 无线接入点安全认证方法和系统
EP2819373A1 (en) Communication ap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EP3808098A1 (en) Parental control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4493443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管理サーバ、及び端末装置
KR20110053188A (ko)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80089039A (ko) Ip 카메라와 nvr이 구비되는 보안 시스템
JP2005303466A (ja) 機器制御システムおよび機器制御方法
US10334433B2 (en) Terminal device, management device, communication system, memory medium,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notifying users of authentication status of multiple terminal devices within a gro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