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166B1 - 개방형 전자투표/위임을 위한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개방형 전자투표/위임을 위한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166B1
KR102336166B1 KR1020200009649A KR20200009649A KR102336166B1 KR 102336166 B1 KR102336166 B1 KR 102336166B1 KR 1020200009649 A KR1020200009649 A KR 1020200009649A KR 20200009649 A KR20200009649 A KR 20200009649A KR 102336166 B1 KR102336166 B1 KR 102336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ting
shareholders
information
user terminal
platform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6803A (ko
Inventor
양찬범
김진영
임완수
황용규
Original Assignee
삼성증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증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증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76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30/00Voting or election arrangements

Abstract

주주가 온라인으로 의결권 행사를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자투표/위임 플랫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의 가입 요청에 응답하여 제1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인증 성공시 전자투표 플랫폼 내에서 미리 설정된 제1권한-적어도 하나의 회사들의 주주총회 확인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권한을 포함-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정의 주주총회에서의 투표 또는 위임권한을 포함하는 의결행사권한인 제2권한 요청에 응답하여 제2인증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제2인증절차가 성공한 경우,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주주로 등록된 대상회사에 대한 주주총회 안건의 의결권 행사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의결권 행사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의결권 행사 결과정보가 반영된 상기 주주총회 안건의 투표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방형 전자투표/위임을 위한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pen electronic voting and delegation}
본 발명은 주주가 온라인으로 의결권 행사를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자투표/위임 플랫폼에 대한 것이다.
회사의 주주총회는 해당 회사의 중요한 안건의 처리를 위해 매우 중요한 절차이다.
이러한 주주총회를 위해 회사는 주주총회 장소 및 일시를 정하여 주주들에게 미리 고지하고, 주주는 해당 일시 및 장소에 참석하여 보유 주식에 따른 의결권만큼의 권한을 행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당수의 소액 주주는 이러한 주주총회에 여러 가지 사정으로 참석하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로써 소액 주주의 의견 또는 권한이 제대로 행사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위해 주주총회의 의결권 행사를 온라인 상에서 가능토록 하는 시도가 있었다.
이러한 시도의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08090호 "주주총회 안건 전자투표/위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의결권 행사 방법"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주주들이 인터넷을 이용하여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실시한 후, 주주총회 안건 내용을 확인하고 각 안건에 대해 전자투표/위임 행사 후 공인인증 서버에 등재된 전자서명을 실시하며, 발행회사는 공인인증서 로그인하여 상기 주주들의 전자투표/위임 결과를 확인하여 주주총회 안건에 대한 의사결정에 반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은 주주가 아니면 가입이 안되는 폐쇄형 구조로 가입 시점 주주가 아닌 것으로 판명될 경우 시스템 서비스 추가 이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또한 가입 가능한 주주의 기준은 해당 서비스사(예컨대, 한국예탁결제원)와 위탁 계약한 발행회사(주주총회를 주최하는 회사)의 주주총회일 권리기준일자의 주주명부에 포함되어 있는 주주이며, 발행회사가 전자투표 진행을 위해 본 시스템에 주주명부 업데이트를 완료한 경우를 모두 충족해야 하고, 업로드된 주주명부상 주민등록번호와 회원가입 시 입력하는 주민등록번호와가 일치할 경우 가입 가능한 주주로 판단되게 된다. 따라서 위탁 계약 여부와 권리기준일자, 주주명부 업로드시기에 따라 가입 가능 여부가 가변적이고 해당 요건을 충족할 때까지 회원 가입에 실패하는 문제가 반복될 수 있다.
또한 주주명부 등의 정보 관리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정보 누락 등으로 인한 오류 발생 및 관리비용 증가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공개공보 제10-2004-0008090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입과 주주 확인 프로세스를 분리하여 주주가 아닌 사용자도 간편 가입 절차를 통해 주주총회/관심 회사 관련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의결권 행사시에 별도로 주주확인 절차를 거쳐 의결권을 부여하는 개방형 전자 투표/위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주주총회에서 주주들 또는 일반 사용자가 알아야 할 정보들을 공인된 써드파티 시스템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의 누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발행사 관리자의 업무를 경감시킬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주주총회에 실제 참석한 것과 같이 투표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투표장 인터페이스에 입장한 경우 실제 주주총회의 진행정보의 확인이나 의견의 개진 및/또는 의결권 행사를 온라인상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의 가입 요청에 응답하여 제1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인증 성공시 전자투표 플랫폼 내에서 미리 설정된 제1권한-적어도 하나의 회사들의 주주총회 확인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권한을 포함-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정의 주주총회에서의 투표 또는 위임권한을 포함하는 의결행사권한인 제2권한 요청에 응답하여 제2인증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제2인증절차가 성공한 경우,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주주로 등록된 대상회사에 대한 주주총회 안건의 의결권 행사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의결권 행사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의결권 행사 결과정보가 반영된 상기 주주총회 안건의 투표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사들의 주주총회 확인정보에 상응하는 써드파티 출처정보를 써드파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써드파티 출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주총회 확인정보를 특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써드파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써드파티 출처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사들 각각의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된 상기 써드파티 출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주총회 확인정보를 특정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상기 주주총회 확인정보를 특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제2인증절차가 성공하는 경우,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할 수 있는 투표장 인터페이스에 입장을 허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투표장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주총회 진행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투표장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주총회 진행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투표장 인터페이스에 입장한 타 사용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타사용자의 개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투표장 인터페이스에 입장한 타사용자에 대한 타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타사용자에게 의결권 위임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의결권을 상기 타사용자에게 위임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제공방법은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정의 주주총회에서의 투표 또는 위임권한을 포함하는 의결행사권한인 권한 요청에 응답하여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인증절차가 성공한 경우,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할 수 있는 투표장 인터페이스에 입장을 허용하는 단계,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투표장 인터페이스에 입장한 타사용자에 대한 타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타사용자에게 의결권 위임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의결권을 상기 타사용자에게 위임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의 가입 요청에 응답한 제1인증절차 및 가입이 허용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소정의 주주총회에서의 투표 또는 위임권한을 포함하는 의결행사권한인 제2권한 요청에 응답하여 제2인증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인증수행 모듈, 상기 제1인증절차의 성공시 전자투표 플랫폼 내에서 미리 설정된 제1권한-적어도 하나의 회사들의 주주총회 확인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권한을 포함-을 부여하고, 제2인증절차가 성공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주주로 등록된 대상회사에 대한 주주총회 안건의 의결행사권한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의결행사권한 결과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모듈, 및 수신한 상기 의결행사권한 결과정보가 반영된 상기 주주총회 안건의 투표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의결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사들의 주주총회 확인정보에 상응하는 써드파티 출처정보를 써드파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써드파티 출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주총회 확인정보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 특정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인증절차가 성공하는 경우,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할 수 있는 투표장 인터페이스에 입장을 허용하고, 상기 투표장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주총회 진행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투표장 인터페이스에 입장한 타사용자에 대한 타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타사용자에게 의결권 위임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의결권을 상기 타사용자에게 위임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정의 주주총회에서의 투표 또는 위임권한을 포함하는 의결행사권한인 권한 요청에 응답하여 인증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인증모듈, 인증절차가 성공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할 수 있는 투표장 인터페이스에 입장을 허용하고,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투표장 인터페이스에 입장한 타사용자에 대한 타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타사용자에게 의결권 위임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의결권을 상기 타사용자에게 위임처리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가입 제한으로 인한 회원 가입 절차 상 불편한 부분을 개선하고, 특히 '가입 가능한 주주의 기준' 충족 여부가 가변적인 문제점을 개선하여, 간편하게 인증만으로 회원 가입이 용이한 개방형 서비스를 제공하여 전자투표 시스템에 대한 접근성을 제고하고, 의결권 행사를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주총회에서 주주들 또는 일반 사용자가 알아야 할 정보들을 공인된 써드파티 시스템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의 누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발행사 관리자의 업무를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주총회에 실제 참석한 것과 같이 투표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투표장 인터페이스에 입장한 경우 실제 주주총회의 진행정보의 확인이나 의견의 개진 및/또는 의결권 행사를 온라인상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제공방법을 플로우 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주주총회 확인정보를 특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표장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의결권의 위임을 수행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비주주의 회원가입을 허용하며,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전자투표 플랫폼에서 회원들이 유용한 정보들을 소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실제 의결권 행사를 하고자 할 때에 주주확인을 하도록 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의결권 행사라 함은 주주총회에 따른 안건에 대한 투표권 행사를 하거나 또는 타 주주에게 위임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은 주주로 확인된 사람에게는 투표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투표장에 입장한 경우, 실제 주주총회의 진행정보(예컨대, 회사측 회의진행 상황, 주주들의 질문 등의 의견 개진 등에 대한 스트리밍 정보 등)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적극적으로 온라인 상에서 의견을 개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은 실제 주주총회가 오프라인에서 일어나는 경우 주주총회 장에서 일어나는 정보들을 촬영하고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들(사용자 단말 1 내지 사용자 단말 N, 200)로 전송하기 위한 장비(카메라 등)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들(200)로부터 의견정보(텍스트, 오디오, 비디오 등)를 수신하여 이를 오프라인 주주총회 장에 플레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은 주주여부와 무관하게 사용자 단말기들(200)의 사용자에게 회원가입을 허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은 소정의 인증기관 시스템(예컨대, 통신사, 카드사, 공인인증기관, 또는 SNS를 통한 인증을 수행하는 SNS 서비스 제공사 등의 시스템, 3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특정 회사의 주주가 아니더라도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서비스에 회원 가입을 할 수 있고, 회원가입이 허용된 사용자들은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유용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발행사 관리자 단말(5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전자투표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온라인으로 주주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사의 관리자가 이용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500)은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으로 서비스 이용신청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은 써드파티 시스템(400)으로부터 상기 이용신청을 한 회사의 주주총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관리자 단말(500)이 일일이 주주총회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모두 입력하지 않아도 상기 써드파티 시스템(400)을 통해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주주총회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하며 미리 특정되어야 하는 정보를 주주총회 확인정보로 정의하기로 한다.
상기 주주총회 확인정보는 회원가입이 허용된 사용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써드파티 시스템(400)을 통해 수신된 정보 자체가 주주총회 확인정보일 수도 있지만, 상기 써드파티 시스템(400)을 통해 수신된 정보 즉, 써드파티 출처정보와 상기 관리자 단말(500)이 입력하는 정보가 합쳐져서 상기 주주총회 확인정보가 될 수 있다.
주주총회 확인정보는 예컨대, 주주총회의 일시, 장소, 안건 등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공개가 허용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써드파티 출처정보는 해당 회사가 공시한 공시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써드파티 출처정보는 주주총회와 관련된 정보에 국한될 수도 있고 주주총회 관련 정보 이외의 추가적인 정보가 상기 써드파티 출처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은 관리자 단말(500)로 해당 회사의 써드파티 출처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응답은 상기 써드파티 출처정보만이 상기 주주총회 확인정보로 충분할 경우에는 상기 써드파티 출처정보를 주주총회 확인정보로 특정하겠다는 단순한 확인행위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응답은 상기 써드파티 출처정보와 더불어 별도로 입력해야하는 추가적인 정보를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행위일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주주총회 확인정보는 상기 써드파티 시스템(400)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써드파티 출처정보와 상기 관리자 단말(500)의 응답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 특정될 수 있다.
물론 써드파티 시스템(400)으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500)로 제공되는 상기 써드파티 출처정보는 상기 관리자 단말(500)에 의해 일부 수정될 수도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써드파티 출처정보 중 일부만이 상기 주주총회 확인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써드파티 시스템(400)은 발행사가 아니면서 회사들의 정보를 저장, 관리하거나 또는 공개하는 기관(예컨대, 금융감독원, 예탁결제원 등)의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은 금융감독원 또는 예탁결제원 등의 써드파티 시스템(400)이 제공하는 open API를 이용해 필요시마다 또는 주주총회 전이라도 상시적으로 회사별 주주총회와 관련된 써드파티 출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주주총회 정보와 함께 서비스 요청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온라인 의결권 행사 서비스의 이용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써드파티 출처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써드파티 출처정보에 필요한 정보들(예컨대, 주주총회 안건 등)이 모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추가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은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주주총회시에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주명부를 수신하여 등록받을 수 있다.
기타 상기 관리자 단말(500)은 의결권 제한 등과 같이 주주총회의 진행에 필요한 정보들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은 등록된 정보들에 상응하도록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이 제공하는 온라인 의결권 행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은 회원가입된 사용자 단말기들(200)에게 회사별 주주총회 확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의결권을 행사하겠다는 요청이 소정의 사용자 단말기(210)로부터 수신되면, 별도의 인증절차를 상기 인증기관 시스템(300)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증절차는 사용자 단말기(210)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자인지를 확인하는 절차일 수 있으며, 소정의 본인인증절차를 통해 신분이 확인되면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등록된 주주명부와 비교함으로써 인증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의결권 행사 권한에 대한 인증절차가 성공한 사용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제공되는 투표장 인터페이스에 입장할 수 있으며, 상기 투표장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의결권 행사를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예컨대, 안건 리스트 및 안건별 의결(찬성, 반대, 기권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2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은 투표자 인터페이스에 입장한 사용자 즉, 사용자 단말기(210)에게 실제 주주총회의 진행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주주총회가 오프라인에서 진행되는 경우, 온라인상에서 주주총회의 진행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결권 행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진행상황에 대한 정보의 제공은 오프라인 주주총회장에 설치된 장치(예컨대, 카메라, 마이크 등)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를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기(210)로 제공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사용자 단말기(210)에로부터 주주총회와 관련된 의견 또는 질문 등의 개진정보를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은 입력받고, 이를 주주총회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스피커 등을 통해 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실제로 주주총회장에 참석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도 있다.
물론, 실시 예에 따라서는 주주총회가 온라인상에서만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온라인 상으로 유통되는 정보들이 타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발행사의 관리자 단말(500)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은 제어모듈(110), 인증수행 모듈(120), 및 의결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은 정보 특정모듈(140) 및/또는 DB(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예컨대, 인증수행 모듈(120), 의결모듈(130), 정보 특정모듈(140), DB(150) 등)의 기능 및/또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인증수행 모듈(12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증수행 모듈(120)은 인증기관 시스템(300)을 통해 인증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실시 예에 따라 자체적으로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인증기관 시스템(300)을 이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인증수행 모듈(120)이 수행하는 인증은 회원가입을 위한 인증 및 의결권 행사를 위한 인증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회원가입을 위한 제1인증은 휴대전화본인인증, SNS를 통한 소셜인증, 공인인증서 인증등일 수 있다. 또한 의결권 행사를 위한 인증은 다양한 상기의 인증을 포함하는 다양한 본인인증 및 주주여부의 확인일 수 있고, 주주여부는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등록된 주주명부에 기초할 수 있다.
의결모듈(130)은 사용자 단말기들(200)의 투표결과를 종합하고, 안건의 통과 여부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500)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정보 특정모듈(1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주주총회 확인정보를 특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정보 특정모듈(140)은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한 요청에 포함된 회사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써드파티 출처정보를 써드파티 시스템(400)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획득한 써드파티 출처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500)로 제공하고, 관리자 단말(500)의 응답에 기초하여 주주총회 확인정보를 특정할 수 있다.
특정된 정보는 비주주인 회원들에게도 제공될 수 있다.
상기 DB(150)는 회사별 써드파티 출처정보, 주주명부, 주주총회 확인정보, 주주총회 진행정보, 및/또는 기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제공방법을 플로우 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은 주주여부와 무관하게 사용자 단말들(200)로부터 가입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100).
그러면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의 인증수행 모듈(120)은 가입 요청에 응답하여 제1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110). 이러한 인증절차는 인증기관 시스템(300)을 통한 본인인증절차일 수 있다.
제1인증절차가 성공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사용자의 회원가입을 허용하고, 사용자 정보를 DB(150)에 등록할 수 있다(S120). 그리고 이러한 회원가입의 허용에 의해 미리 지정된 제1권한이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제1권한은 적어도 하나의 회사들 즉,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의 주체와 계약된 회사들의 다양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는 권한일 수 있다. 이러한 정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주주총회 확인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주주총회 확인정보 이외에도 회사와 관련된 뉴스나 공시정보등이 사용자 단말들(200)에 제공될 수 있다(S130).
결국 주주가 아니면 회원가입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 특히 주주여부는 시간에 따라 유동적일 수 있으며 주주명부의 확정시기에 따라 회원가입자격이 유동적인 문제점으로 인해 사용자의 회원가입 자체가 저조하고 서비스의 활용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한편 회원 가입된 사용자 중에서 실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온라인 의결권 행사를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210)를 통해 의결권행사를 위한 요청을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140).
그러면 상기 인증수행 모듈(120)은 제2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인증절차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회사의 주주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포함할 수 있고(S150), 제2인증절차가 실패하면 의결권 행사요청이 거부되었음을 사용자 단말기(210)로 전송할 수 있다(S150-1).
제2인증절차가 성공한 사용자 단말기(210)는 상기 제어모듈(110)이 제공하는 가상의 투표장인 투표장 인터페이스에 입장이 허용될 수 있으며(S160), 상기 투표장 인터페이스에는 안건별 의결행사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표장 인터페이스에는 주주총회의 진행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진행 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주주총회의 진행정보가 사용자 단말기(210)로 제공될 수 있다(S170).
상기 제어모듈(110)이 제공하는 주주총회 진행정보는 회사측에서 진행하고 있는 회사측 정보, 주주총회장에서 오프라인으로 참석한 타 주주들의 질문 또는 의견 등의 개진정보 뿐만 아니라 타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온라인으로 입력하는 개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플랫폼의 타 사용자가 주주총회에서 개진하는 정보 역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로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실제로 주주총회에 참석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자투표 플랫폼을 통해 실제 오프라인 주주총회에서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10)는 투표장 인터페이스를 통해 의결권 행사를 수행할 수 있고(S180), 의결모듈(130)은 의결권 행사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S180). 의결권의 행사는 사용자 단말기(210)가 직접 투표를 하는 것뿐만 아니라 의결권을 위임하는 행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결권의 위임을 위해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의 제어모듈(110)은 타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10)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타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공개하는 것을 허락한 경우에만 사용자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타사용자는 실제 오프라인 주주총회장에 참석한 사람일 수도 있고, 전자투표 플랫폼에 온라인으로 참석한 사람일 수도 있다.
타사용자는 주주총회의 진행에서 질문이나 의견을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상으로 개진하는 사람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상기 타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약력, 의결권 수, 안건별 본인의 의견 등)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210)로 제공될 수 있다. 타사용자가 오프라인에서 실제 주주총회장에 참석한 사람인 경우, 회사 측에서 상기 타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하여 실시간으로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에 제공함으로써 타사용자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210)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타사용자 정보 및 타사용자의 개진정보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상기 타사용자에게 의결권을 위임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상기 투표장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면 제어모듈(110)은 사용자의 의결권을 타사용자에게 위임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모듈(110)은 DB(150)를 통해 유지/관리하는 사용자별 의결권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투표결과를 정리하여 관리자 단말(500)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210)로 전송할 수 있다(S190). 이를 위해 상기 의결모듈(130)은 사용자별 의결권 수에 대한 정보를 참고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정보는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등록된 주주명부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주주총회 확인정보를 특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의 정보 특정모듈(140)은 소정의 회사의 주주총회 확인정보를 특정하기 위해 써드파티 출처정보를 써드파티 시스템(40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200).
이러한 써드파티 출처정보의 수신은 미리 또는 회사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러면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은 수신된 써드파티 출처정보를 관리자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고(S210), 소정의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S220). 이러한 응답은 예컨대 주주총회 확인정보에 더 포함될 추가정보의 등록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면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 응답이 반영된 정보를 주주총회 확인정보로써 특정할 수 있다(S23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표장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인증절차가 성공한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투표장 인터페이스에 입장이 허용될 수 있다. 투표장 인터페이스에 입장한다고 함은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이 정의한 투표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함은 물론이다.
상기 투표장 인터페이스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주총회 진행정보가 노출되는 진행정보 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주주총회 진행정보는 실제 오프라인에서 촬영되어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비디오일 수도 있지만, 실시 예에 따라 텍스트, 오디오 등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어떠한 경우든 주주총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가 주주총회 진행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의결권의 위임을 수행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타사용자가 주주총회에 실제로 참석하여 의견을 개진중인 경우 이러한 타사용자의 개진정보가 주주총회의 진행정보에 포함되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은 이러한 개진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타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약력, 안건별 의견, 의결권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 정보는 타사용자에게 발행사의 관리자가 미리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타사용자의 개진정보를 확인한 후 타사용자에게 의결권을 위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의결권의 위임이 가능한 타사용자는 주주총회에서 의견을 개진한 사용자만으로 국한될 필요는 없으며, 미리 발생사 측에 요청을 하여 자신의 안건별 의견을 등록한 다양한 사용자가 의결권의 위임을 받을 수 있는 타사용자로 등록될 수 있다. 그러면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은 의결권의 위임을 요청한 타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1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회원가입을 위해 제공되는 사용자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은 서비스 가입을 사용자의 종류(개인 또는 법인)별로 구분하여 요청받을 수 있고, 공인인증서, 휴대전화 본인인증, 또는 소셜인증 등 다양한 방식의 인증을 수행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전화 본인인증을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인증기관 시스템(300)을 통해 인증을 수행하도록 하며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100)은 회원 가입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도 8은 제2인증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하고 있는데, 제2인증절차를 성공한 사용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의결권 행사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만약 특정 안건에 찬성 또는 반대의 투표를 할 수 있고, 의결권 행사가 최종적으로 수행되기 전에 도 8의 두 번째 이미지에서처럼 한번 더 확인을 수행하는 절차가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의결권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의결권 행사를 최종적으로 선택하면 필요에 따라 전자서명을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고, 전자서명이 되면 의결권 행사가 완료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회원가입과 의결권 행사 권한을 분리하여 서비스 활용도를 높일 뿐 아니라, 실제 주주총회에 참석한 효과를 전자투표 플랫폼에 제공함으로써 공정하고 신뢰성 있는 의결권 행사가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서, 상기 시스템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CPU혹은 멀티 코어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상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타 구성 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본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으로 하여금,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 및 대상 프로그램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의 가입 요청에 응답하여 제1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인증 성공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대상회사의 주주인지 여부와 무관하게, 전자투표 플랫폼 내에서 미리 설정된 제1권한-상기 대상회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사들의 주주총회 확인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권한을 포함-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정의 주주총회에서의 투표 또는 위임권한을 포함하는 의결행사권한인 제2권한 요청에 응답하여 제2인증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상기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주로 등록된 경우 상기 제2인증절차가 성공하며, 상기 제2인증절차가 성공한 경우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대상회사에 대한 주주총회 안건의 의결권 행사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의결권 행사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의결권 행사 결과정보가 반영된 상기 주주총회 안건의 투표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사들의 주주총회 확인정보에 상응하는 써드파티 출처정보를 써드파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써드파티 출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주총회 확인정보를 특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써드파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써드파티 출처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사들 각각의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된 상기 써드파티 출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주총회 확인정보를 특정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상기 주주총회 확인정보를 특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제2인증절차가 성공하는 경우,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할 수 있는 투표장 인터페이스에 입장을 허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투표장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주총회 진행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투표장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주총회 진행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투표장 인터페이스에 입장한 타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타사용자의 개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제공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투표장 인터페이스에 입장한 타사용자에 대한 타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사용자에게 의결권 위임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의결권을 상기 타사용자에게 위임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제공방법.
  7. 삭제
  8.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9. 사용자 단말의 가입 요청에 응답한 제1인증절차 및 가입이 허용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소정의 주주총회에서의 투표 또는 위임권한을 포함하는 의결행사권한인 제2권한 요청에 응답하여 제2인증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인증수행 모듈; 및
    상기 제1인증절차의 성공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대상회사의 주주인지 여부와 무관하게, 전자투표 플랫폼 내에서 미리 설정된 제1권한-상기 대상회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사들의 주주총회 확인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권한을 포함-을 부여하고,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상기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주로 등록된 경우 상기 제2인증절차가 성공하며, 상기 제2인증절차가 성공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주주총회 안건의 의결행사권한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의결행사권한 결과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모듈; 및
    수신한 상기 의결행사권한 결과정보가 반영된 상기 주주총회 안건의 투표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의결모듈을 포함하는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사들의 주주총회 확인정보에 상응하는 써드파티 출처정보를 써드파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써드파티 출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주총회 확인정보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 특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인증절차가 성공하는 경우, 상기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할 수 있는 투표장 인터페이스에 입장을 허용하고, 상기 투표장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주총회 진행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투표장 인터페이스에 입장한 타사용자에 대한 타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사용자에게 의결권 위임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의결권을 상기 타사용자에게 위임처리하는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13. 삭제
KR1020200009649A 2019-12-16 2020-01-28 개방형 전자투표/위임을 위한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102336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394 2019-12-16
KR20190167394 2019-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803A KR20210076803A (ko) 2021-06-24
KR102336166B1 true KR102336166B1 (ko) 2021-12-07

Family

ID=76607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649A KR102336166B1 (ko) 2019-12-16 2020-01-28 개방형 전자투표/위임을 위한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1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230B1 (ko) * 2022-04-13 2023-09-08 온오프링크 주식회사 온라인 주주총회 관리 서버 및 온라인 주주총회 참여 프로그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7251A (ja) * 2000-12-25 2002-07-12 Hitachi Ltd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遠隔地参加型株主総会の運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3058B2 (ja) 2002-07-17 2007-11-07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誘導電動機
KR20070016184A (ko) * 2007-01-18 2007-02-07 김경신 주주 의결권 행사의 온라인 중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96955A (ko) * 2017-02-22 2018-08-30 박지민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7251A (ja) * 2000-12-25 2002-07-12 Hitachi Ltd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遠隔地参加型株主総会の運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230B1 (ko) * 2022-04-13 2023-09-08 온오프링크 주식회사 온라인 주주총회 관리 서버 및 온라인 주주총회 참여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803A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8937B1 (ko) 서비스 파이프라인을 포함하는 고객 통신 시스템
EP3544256B1 (en) Passwordless and decentralized identity verification
US11190527B2 (en) Identity verification and logi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devices
US8726358B2 (en) Identity ownership migration
US8572701B2 (en) Authenticating via mobile device
US11019068B2 (en) Quorum-based access management
US201703299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er to peer mobile contextual authentication
US9225742B2 (en) Managed real-time communications between user devices
US9906520B2 (en) Multi-user authentication
US9038152B1 (en) Access to resources
US115395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ser authentication in a blockchain network
US201702015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authentication of user access to a resource
US9225744B1 (en) Constrained credentialed impersonation
US20130049928A1 (en) Just in time visitor authentication and visitor access media issuance for a physical site
Wiefling et al. More than just good passwords? A study on usability and security perceptions of risk-based authentication
CN111833507B (zh) 访客认证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336166B1 (ko) 개방형 전자투표/위임을 위한 전자투표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JP7317935B2 (ja) ユーザプロフィール管理方法及び装置
US9936046B2 (en) Sampling for content selection
KR20220137590A (ko)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 및 장치
US9245105B1 (en) Verification of remote job state for access control
KR101235608B1 (ko) 단말 식별 정보와 멀티미디어 신원 정보를 활용한 다중 요소 인증 정보 처리 방법 및 다중 요소 인증 시스템
US20180357410A1 (en) Secure multiple-party communication and data orchestration
KR102571711B1 (ko) 신원 증명 기능이 구비된 개인 정보 등록 시스템 및 방법
US11824856B1 (en) Chaining of authoriz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