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114B1 -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114B1
KR102336114B1 KR1020210042529A KR20210042529A KR102336114B1 KR 102336114 B1 KR102336114 B1 KR 102336114B1 KR 1020210042529 A KR1020210042529 A KR 1020210042529A KR 20210042529 A KR20210042529 A KR 20210042529A KR 102336114 B1 KR102336114 B1 KR 102336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liposome
ultrasound
lyso
dry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3865A (ko
Inventor
문형원
유우영
김윤석
김현령
정은아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엠지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엠지티 filed Critical (주)아이엠지티
Priority to JP2022566148A priority Critical patent/JP7426151B2/ja
Priority to PCT/KR2021/004131 priority patent/WO2021221330A1/ko
Priority to CN202180031680.1A priority patent/CN115515567A/zh
Priority to US17/997,384 priority patent/US20230263905A1/en
Priority to EP21795405.6A priority patent/EP4144346A1/en
Priority to CA3208049A priority patent/CA3208049A1/en
Publication of KR20210133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28Disruption, e.g. by heat or ultrasounds, sonophysical or sonochemical activation, e.g. thermosensitive or heat-sensitive liposomes, disruption of calculi with a medicinal preparation and ultrasounds
    • A61K41/0033Sonodynamic cancer therapy with sonochemically active agents or sonosensitizers, having their cytotoxic effects enhanced through application of ultras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4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halogen, nitrogen or sulfur, e.g. cyclomethicone or phospholip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8Steroids, e.g. cholesterol, bile acids or glycyrrheti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0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drug release technique; Application systems commanded by energy
    • A61K9/0009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drug release technique; Application systems commanded by energy involving or responsive to electricity, magnetism or acoustic waves; Galenical aspects of sonophoresis, iontophoresis, electroporation or electroos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및 이의 제조 방법 등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은 봉입된 약물의 전달 효율을 증가시키고 초음파 처리와 병용함으로써 암세포를 타겟으로 하여 개선된 약물전달 효과를 통하여, 암 치료 및 약물 전달체 분야에서 여러 가지 기능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및 이의 제조 방법{Sonosensitive liposome and the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및 이의 제조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암은 인류가 해결해야 할 난치병 중의 하나로, 전 세계적으로 이를 치유하기 위한 개발에 막대한 자본이 투자되고 있는 실정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질병 사망원인 중 제 1위의 질병으로서 연간 약 10만 명 이상이 진단되고, 약 6만 명 이상이 사망하고 있다.
현재 임상학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암 치료 방법은 화학 요법, 방사선, 표적 치료, 및 수술로써 병소를 절제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항암치료를 위한 화학요법제의 대표적인 예는 독소루비신 (Doxorubicin) 또는 아드리아마이신 (Adriamycin), 시스플라틴 (Cisplatin), 탁솔 (Taxol), 5-fluorouracil 등이 있으며 암치료를 위한 화학치료법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한계가 있으며, 완치되는 경우보다는 환자에게 심한 부작용 및 고통을 수반하고 있어,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암 치료 기술의 개발이 중요한 실정이다.
한편, 리포좀은 인지질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소포체(vesicle)이다. 인지질 및 이들의 유도체가 물에서 분산될 때 자발적으로 소포체를 형성하며, 내부에 수상으로 이루어진 핵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에 의한 특성을 갖는다. 다양한 리포좀은 의학, 제약학 및 생화학 분야에서 약물, 효소, 유전자 서열과 같은 치료제를 위한 담체로써 사용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리포좀 기술에 초음파 기술을 융합하여 새로운 암 치료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암의 진단 및 치료 등과 같은 암 관련 연구, 개발 분야에 있어서 아직까지 잘 알려진 바가 없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180558호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약물 방출률을 가지면서 안정성이 뛰어난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을 개발하였는바,
보다 구체적으로, 초음파 기술을 융합하여 약물 함유 리포좀에 초음파를 처리하였을 때, 초음파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약물 방출률 및 항종양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혈중 안정성이 뛰어난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는바,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DSPC(1,2-Distearoyl-sn-glycero-3-phosphorylcholine), DSPE-mPEG2000(1,2-distear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with conjugated methoxyl poly(ethylene glycol2000)), DOPE(1,2-Diole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및 lyso-PC를 포함하는,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DSPC(1,2-Distearoyl-sn-glycero-3-phosphorylcholine), DSPE-mPEG2000(1,2-distear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with conjugated methoxyl poly(ethylene glycol2000)), DOPE(1,2-Diole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콜레스테롤 및 lyso-PC를 포함하는,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약물이 봉입된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물 전달용 조성물로, 상기 리포좀은 DSPC, DSPE-mPEG2000, DOPE, 및 lyso-PC; 또는 DSPC, DSPE-mPEG2000, DOPE, 콜레스테롤 및 lyso-PC 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에, 본 발명은 DSPC(1,2-Distearoyl-sn-glycero-3-phosphorylcholine), DSPE-mPEG2000(1,2-distear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with conjugated methoxyl poly(ethylene glycol2000)), DOPE(1,2-Diole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및 lyso-PC; 또는
DSPC(1,2-Distearoyl-sn-glycero-3-phosphorylcholine), DSPE-mPEG2000(1,2-distear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with conjugated methoxyl poly(ethylene glycol2000)), DOPE(1,2-Diole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콜레스테롤 및 lyso-PC을 포함하는,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물이 봉입된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물 전달용 조성물로, 상기 리포좀은 DSPC, DSPE-mPEG2000, DOPE, 및 lyso-PC; 또는 DSPC, DSPE-mPEG2000, DOPE, 콜레스테롤 및 lyso-PC 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제법 1 내지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제법을 포함하는, 상기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제법 1]
(a) DSPC, DSPE-mPEG2000, DOPE, 및 lyso-PC 를 제1 유기용매에 용해하는 단계;
(b) 상기 유기용매를 증발시켜 리포좀 막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리포좀 막을 수용액에 수화시켜 교반하는 단계; 및
(d) 압출기를 통해 압출하는 단계.
[제법 2]
(a) DSPC, DSPE-mPEG2000, DOPE, 및 lyso-PC 를 에탄올에 용해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에탄올 용액을 수용액에 수화시켜 교반하는 단계; 및
(c) 압출기를 통해 압출하는 단계.
[제법 3]
(a) DSPC, DSPE-mPEG2000, DOPE, 및 lyso-PC 를 제1 유기용매에 용해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제1 유기용매 용액 및 수용액을 미세유체 시스템 (microfluidics)의 채널을 이용하여, 유속을 변화시켜 혼합하는 단계; 및
(c) 유기용매를 제거시키는 단계.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의 유효량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 및 초음파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의 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의 암 치료 약제를 생산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물이 봉입된 리포좀의 유효량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방법으로서, 상기 리포좀은 DSPC, DSPE-mPEG2000, DOPE, 및 lyso-PC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물이 봉입된 리포좀의 약물 전달 용도로서, 상기 리포좀은 DSPC, DSPE-mPEG2000, DOPE, 및 lyso-PC를 포함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물이 봉입된 리포좀의 약물 전달체 제조를 위한 용도로서, 상기 리포좀은 DSPC, DSPE-mPEG2000, DOPE, 및 lyso-PC를 포함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DSPC, DSPE-mPEG2000, DOPE, 콜레스테롤 및 lyso-PC는 1~50 : 1~10 : 5~80 : 0.1~50 : 0.1~20 의 몰비(mole%)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DSPC는 전체 리포좀 제제 대비 0.1 내지 50 건조중량%,
상기 DSPE-mPEG2000는 전체 리포좀 제제 대비 3 내지 50 건조중량%,
상기 DOPE는 전체 리포좀 제제 대비 1 내지 80 건조중량%,
상기 콜레스테롤은 전체 리포좀 제제 대비 0.05 내지 40 건조중량%,
상기 lyso-PC는 전체 리포좀 제제 대비 0.5 내지 10 건조중량% 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의 리포좀 막은 DSPC, DSPE-mPEG2000, DOPE, 콜레스테롤 및 lyso-PC 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는 약물이 봉입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약물은 항암제 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독소루비신,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시스플라틴, 글리벡, 5-플루오로우라실(5-FU), 타목시펜, 카보플라틴, 토포테칸, 벨로테칸, 이마티닙, 이리노테칸, 플록수리딘, 비노렐빈, 젬시타빈, 류프로리드, 플루타미드, 졸레드로네이트, 메토트렉세이트, 캄토테신, 빈크리스틴, 히드록시우레아, 스트렙토조신, 발루비신, 레티노익산, 메클로레타민, 클로람부실, 부술판, 독시플루리딘, 빈블라스틴, 마이토마이신, 프레드니손, 아피니토, 및 미토산트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는 안정성이 확보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안정성은 혈중 안정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는 하기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갖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ⅰ. 100-200 nm의 입도; 및
ⅱ. 50-100%의 약물 봉입률.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 또는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초음파 처리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암은 유방암, 대장암, 폐암, 소세포폐암, 위암, 간암, 혈액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부암, 경부암, 피부 흑색종, 안구내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항문암, 결장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 질암, 음문암종, 호지킨병,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방광암, 신장 또는 수뇨관 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 암종, CNS 종양, 1차 CNS 림프종, 척수 종양, 뇌간신경교종 및 뇌하수체 선종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a) 단계에서 콜레스테롤을 추가로 포함해 용해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유기용매는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술폭시드, 클로로포름, 메탄올, 에탄올, 및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은 봉입 효율이 높고, 약물 안정성 및 리포좀의제제 안정성이 우수하며 기존 상용 약물과 비교하여 초음파 처리에 의해 약물 방출률 증가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암세포 사멸 효과 및 암세포 침투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은 봉입된 약물의 전달 효율을 증가시키고 초음파 처리와 병용함으로써 암세포를 타겟으로 하여 개선된 약물전달 효과를 통하여, 암 치료 및 약물 전달체 분야에서 여러 가지 기능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1-스테아로일-2-히드록시-sn-글리세로-포스포콜린 (1-stearoyl-2-hydroxy-sn-glycero-3-phosphocholine, MSPC) 비율별 리포좀의 초음파 감응에 의한 독소루비신 방출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콜레스테롤의 비율 변화에 의한 리포좀의 초음파 감응에 의한 독소루비신 방출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DOPC 및 DOPE가 각각 함유된 각 리포좀의 초음파 감응에 의한 독소루비신 방출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DSPC의 비율에 따른 각 리포좀의 초음파 감응에 의한 독소루비신 방출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리포좀의 혈청(75% serum) 내 안정성 평가를 위한 전처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혈청(75% serum) 내 안정성 평가 시험에서 MSPC 비율에 의한 독소루비신의 방출률을 분석한 것으로, MSPC 비율에 의한 독소루비신의 평균 방출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초음파 유무 및 시간에 따른 독소루비신 방출률 비교 평가(좌), 및 입도 변화 추이 분석(우)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lyso-PC(14:0, 16:0, 17:0, 17:1, 18:0, 18:1)를 포함한 초음파 감응형 리포좀의 약물 방출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초음파 감응 리포좀과 대조군 Caelyx의 초음파 조사 유무에 따른 암세포 사멸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초음파 감응 리포좀과 대조군 Caelyx의 초음파 감응에 의한 독소루비신의 세포 침투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혈중 pK 평가 시험에서 MSPC 비율에 의한 독소루비신의 혈장 내 농도를 확인한 것으로, 시간에 따라 MSPC 비율에 의한 독소루비신의 혈장 내 농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DSPC(1,2-Distearoyl-sn-glycero-3-phosphorylcholine), DSPE-mPEG2000(1,2-distear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with conjugated methoxyl poly(ethylene glycol2000)), DOPE(1,2-Diole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및 lyso-PC를 포함하는,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제는 콜레스테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DSPC”는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파티딜콜린(1,2-Distearoyl-sn-glycero-3-phosphocholine)의 약어로, 포스파티딜콜린 헤드기에 부착된 2 개의 팔미트산으로 구성된 인지질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DSPE-mPEG2000”는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N-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2000)(1,2-Distearoyl-sn-Glycero-3-Phosphoethanol amine with conjugated methoxyl poly(ethylene glycol2000))의 약어로,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PE(DSPE)의 페길화된 유도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DOPE”는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1,2-Diole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의 약어로, 치료제에 대한 전달 비히클로 사용되는 DOTAP와 이종 리포좀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콜레스테롤(cholesterol)"은 스테로이드 화합물 중 하나를 말한다. 상기 콜레스테롤은 콜레스테롤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콜레스테롤의 유도체는 예를 들면, 시스토스테롤, 에르고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4,22-스티그마스타디엔-3-온, 스티그마스테롤 아세테이트, 라노스테롤, 시클로아르테놀,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콜레스테롤은 지질 이중층에 위치하며, 그 양을 조절함에 따라 투과도를 낮추거나 높일 수 있으며, 리포좀 제제 내 비율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lyso-PC”는 리소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의 약어로, head group이 콜린으로 이루어진 포스포콜린(phosphocholine)에서 유래된 acyl chain이 하나로 이루어진 지질의 대표어로 다양한 종류의 lyso-PC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lyso-PC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1]
Figure 112021038283045-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또는 R2는 C6 내지 C26의 아실기, C6 내지 C26의 알킬기, C6 내지 C26의 알케닐기, C6 내지 C26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C6 내지 C26의 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의 C6 내지 C26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C7 내지 C26의 아릴알킬기 또는 H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실기는 방향족 카르복실산 잔기, 포화 지방산 잔기, 또는 불포화 지방산 잔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lyso-PC는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lyso-PC는 하기 화학식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1-LPC(lysophosphatidylcholine) 또는 2-LPC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2]
Figure 112021038283045-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21038283045-pat00003
(상기 화학식 2 또는 3에서, 상기 R은 C6 내지 C26의 알킬기, C6 내지 C26의 알케닐기, C6 내지 C26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C6 내지 C26의 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의 C6 내지 C26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C7 내지 C26의 아릴알킬기, 또는 H 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lyso-PC는 lyso-PC(6:0), lyso-PC(7:0), lyso-PC(8:0), lyso-PC(9:0), lyso-PC(10:0), lyso-PC(11:0), lyso-PC(12:0), lyso-PC(13:0), lyso-PC(14:0), lyso-PC(15:0), lyso-PC(16:0), 2-lyso-PC(16:0), lyso-PC(17:0), lyso-PC(17:1), lyso-PC(18:0), lyso-PC(18:1), lyso-PC(18:2), 2-lyso-PC(18:0), 2-lyso-PC(18:1), lyso-PC(19:0), lyso-PC(20:1), lyso-PC(20:4), lyso-PC(22:0), lyso-PC(22:5), lyso-PC(24:0), lyso-PC(26:0) 및 lyso-PC(20: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DSPC, DSPE-mPEG2000, DOPE, 및 lyso-PC 는 1~50 : 1~10 : 5~80 : 0.1~20의 몰비(mole%)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DSPC는 전체 리포좀 제제 대비 0.1 내지 50 건조중량%,
상기 DSPE-mPEG2000는 전체 리포좀 제제 대비 3 내지 50 건조중량%,
상기 DOPE는 전체 리포좀 제제 대비 1 내지 80 건조중량%,
상기 lyso-PC는 전체 리포좀 제제 대비 0.5 내지 10 건조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DSPC, DSPE-mPEG2000, DOPE, 콜레스테롤 및 lyso-PC 는 1~50 : 1~10 : 5~80 : 0.1~50 : 0.1~20 의 몰비(mole%), 1~40 : 1~9 : 35~80 : 0.1~40 : 1~10 의 몰비(mole%), 10~40 : 3~7 : 40~65 : 0.1~45 : 0.1~10, 0.1~20 : 1~8 : 63~67 : 0.1~30 : 3~10 의 몰비(mole%), 5~15 : 2~7 : 64~67 : 10~30 : 3~10 의 몰비(mole%), 5~15 : 3~6 : 64~66 : 15~30 : 5~10 의 몰비(mole%), 0.1~20 : 1~8 : 53~57 : 0.1~30: 5~10 의 몰비 (mole%), 5~15: 2~7 : 54~57 : 3~20 : 5~10 의 몰비 (mole%) 또는 5~15: 3~6 : 54~56: 5~10: 5~10 의 몰비 (mole%) 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DSPC는 전체 리포좀 제제 대비 1 내지 50 몰비(mole%), 5 내지 50 몰비(mole%), 5 내지 40 몰비(mole%), 5 내지 35 몰비(mole%), 5 내지 30 몰비(mole%), 5 내지 25 몰비(mole%), 5 내지 20 몰비(mole%), 5 내지 15 몰비(mole%), 7 내지 12 몰비(mole%), 25 내지 35 몰비(mole%), 27 내지 32 몰비(mole%), 또는 35 내지 45 몰비(mole%)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DSPE-mPEG2000는 전체 리포좀 제제 대비 1 내지 10 몰비(mole%), 2 내지 9 몰비(mole%), 3 내지 8 몰비(mole%), 3 내지 7 몰비(mole%), 또는 4 내지 6 몰비(mole%)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DOPE는 전체 리포좀 제제 대비 5 내지 80 몰비(mole%), 5 내지 70 몰비(mole%), 10 내지 70 몰비(mole%), 20 내지 70 몰비(mole%), 30 내지 70 몰비(mole%), 40 내지 70 몰비(mole%), 또는 40 내지 65 몰비(mole%)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콜레스테롤은 전체 리포좀 제제 대비 0.1 내지 50 몰비(mole%), 0.1 내지 45 몰비(mole%), 1 내지 45 몰비(mole%), 5 내지 45 몰비(mole%), 5 내지 40 몰비(mole%), 5 내지 35 몰비(mole%), 5 내지 30 몰비(mole%), 5 내지 25 몰비(mole%), 5 내지 20 몰비(mole%), 5 내지 15 몰비(mole%), 10 내지 40 몰비(mole%), 10 내지 30 몰비(mole%), 10 내지 25 몰비(mole%), 10 내지 20 몰비(mole%), 20 내지 40 몰비(mole%), 30 내지 40 몰비(mole%), 5 내지 10 몰비(mole%), 또는 40 내지 50 몰비(mole%)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lyso-PC는 전체 리포좀 제제 대비 0.1 내지 20 몰비(mole%), 0.1 내지 15 몰비(mole%), 0.1 내지 10 몰비(mole%), 1 내지 20 몰비(mole%), 3 내지 20 몰비(mole%), 3 내지 15 몰비(mole%), 3 내지 10 몰비(mole%), 3 내지 7 몰비(mole%), 5 내지 20 몰비(mole%), 5 내지 15 몰비(mole%), 5 내지 10 몰비(mole%), 7 내지 20 몰비(mole%), 7 내지 15 몰비(mole%), 7 내지 12 몰비(mole%), 8 내지 12 몰비(mole%), 9 내지 11 몰비(mole%), 4 내지 6 몰비(mole%), 또는 6 내지 8 몰비(mole%)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DSPC는 전체 리포좀 제제 대비 0.1 내지 50 건조중량%,
상기 DSPE-mPEG2000는 전체 리포좀 제제 대비 3 내지 50 건조중량%,
상기 DOPE는 전체 리포좀 제제 대비 1 내지 80 건조중량%,
상기 콜레스테롤은 전체 리포좀 제제 대비 0.05 내지 40 건조중량%,
상기 lyso-PC는 전체 리포좀 제제 대비 0.5 내지 10 건조중량% 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DSPC는 전체 리포좀 제제 대비 0.1 내지 50 건조중량%, 0.1 내지 45 건조중량%, 0.1 내지 40 건조중량%, 1 내지 40 건조중량%, 1 내지 30 건조중량%, 1 내지 20 건조중량%, 1 내지 15 건조중량%, 1 내지 13 건조중량%, 3 내지 20 건조중량%, 5 내지 20 건조중량%, 7 내지 20 건조중량%, 5 내지 15 건조중량%, 7 내지 13 건조중량%, 또는 9 내지 11 건조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DSPE-mPEG2000는 전체 리포좀 제제 대비 3 내지 50 건조중량%, 5 내지 40 건조중량%, 10 내지 30 건조중량%, 10 내지 25 건조중량%, 10 내지 20 건조중량%, 15 내지 30 건조중량%, 15 내지 25 건조중량%, 15 내지 20 건조중량%, 16 내지 19 건조중량%, 또는 17 내지 19 건조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콜레스테롤은 전체 리포좀 제제 대비 0.05 내지 40 건조중량%, 1 내지 40 건조중량%, 1 내지 30 건조중량%, 1 내지 20 건조중량%, 1 내지 15 건조중량%, 1 내지 13 건조중량%, 1 내지 10 건조중량%, 3 내지 20 건조중량%, 3 내지 15 건조중량%, 3 내지 13 건조중량%, 3 내지 10 건조중량%, 5 내지 20 건조중량%, 5 내지 15 건조중량%, 5 내지 13 건조중량%, 5 내지 10 건조중량%, 6 내지 8 건조중량%, 10 내지 40 건조중량%, 10 내지 35 건조중량%, 10 내지 30 건조중량%, 10 내지 25 건조중량%, 10 내지 20 건조중량%, 15 내지 40 건조중량%, 15 내지 30 건조중량%, 15 내지 25 건조중량%, 15 내지 22 건조중량%, 또는 20 내지 30 건조중량% 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DOPE는 전체 리포좀 제제 대비 1 내지 80 건조중량%, 5 내지 80 건조중량%, 10 내지 80 건조중량%, 15 내지 80 건조중량%, 20 내지 80 건조중량%, 25 내지 80 건조중량%, 30 내지 80 건조중량%, 30 내지 75 건조중량%, 30 내지 70 건조중량%, 30 내지 65 건조중량%, 30 내지 60 건조중량%, 30 내지 55 건조중량%, 30 내지 50 건조중량%, 40 내지 80 건조중량%, 40 내지 70 건조중량%, 50 내지 80 건조중량%, 50 내지 70 건조중량%, 55 내지 65 건조중량%, 60 내지 65 건조중량%, 60 내지 63 건조중량%, 또는 60 내지 62 건조중량% 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lyso-PC는 전체 리포좀 제제 대비 0.5 내지 10 건조중량%, 0.5 내지 8 건조중량%, 0.5 내지 7 건조중량%, 0.5 내지 6 건조중량%, 0.5 내지 5 건조중량%, 0.5 내지 4 건조중량%, 1 내지 8 건조중량%, 1 내지 7 건조중량%, 1 내지 6 건조중량%, 1 내지 4 건조중량%, 2 내지 8 건조중량%, 2 내지 7.5 건조중량%, 2 내지 6 건조중량%, 2 내지 5 건조중량%, 2 내지 4 건조중량%, 2.5 내지 7.5 건조중량%, 2.5 내지 7 건조중량%, 2.5 내지 6.5 건조중량%, 3 내지 8 건조중량%, 3 내지 7 건조중량%, 3 내지 6 건조중량%, 3 내지 5 건조중량%, 3 내지 4 건조중량%, 5 내지 10 건조중량%, 5 내지 9 건조중량%, 5 내지 8 건조중량%, 5 내지 7 건조중량%, 5 내지 6 건조중량%, 또는 5 내지 5.5 건조중량% 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의 리포좀 막은 DSPC, DSPE-mPEG2000, DOPE, 콜레스테롤 및 lyso-PC 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리포좀은 인지질을 포함하는 양친매성 화합물들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양친매성 화합물은 전형적으로 수성 매질과 본질적으로 수불용성인 유기용매 간의 계면에 배열되어, 유화된 용매 미세방울을 안정화한다. 상기 양친매성 화합물은 수성 매질과 반응할 수 있는 친수성극 머리 부분 (예: 극성 또는 이온성기) 및 예를 들어 유기용매와 반응할 수 있는 소수성 유기 꼬리 부분(예: 탄화수소 사슬)을 가진 분자를 가진 화합물을 포함한다. 양친매성 화합물은 비혼화성인 두 가지의 액체(예: 물과 오일)의 혼합물, 액체와 기체의 혼합물 (예: 물중에 기체 마이크로버블) 또는 액체와 불용성 입자의 혼합물 (예. 물중에 금속 나노 입자)과 같이 다른 방법으로는 통상적으로 섞일 수 없는 물질의 혼합물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초음파(ultrasound)”는 일반적으로 사람의 귀가 들을 수 있는 음파의 주파수인 16 Hz~20 kHz의 주파수를 넘는 음파를 의미하며, 고강도 집중초음파는 연속적이고 고강도인 초음파 에너지를 초점에 제공하는 집속형 초음파를 도입하여 에너지와 진동수에 따라 순간 열 효과(65-100℃), 공동화(cavitation) 효과, 기계적 효과 및 음향화학적(sonochemical) 효과를 낼 수 있다. 초음파는 인체조직을 통과할 때 해롭지 않으나 초점을 형성하는 고강도의 초음파는 조직의 종류에 상관없이 응고괴사 및 열소작 효과를 일으킬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에너지를 발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는 가청 주파수의 범위인 16 Hz 내지 20 kHz 보다 주파수가 큰 음파를 말한다. 초음파는 고강도 집중 초음파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HIFU), 고강도 비집중 초음파, 또는 이 둘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HIFU는 고강도의 초음파 에너지를 한 곳에 모아 집중된 초점을 만드는 초음파를 말한다. 어떤 영상을 보면서 고강도 집중 초음파 치료를 하는가에 따라서, 초음파 유도 고강도 집중 초음파(Ultrasound-guided HIFU)와 자기공명영상 유도 고강도 집중 초음파(MRI-guided HIFU)가 있다. 초음파의 주파수는 예를 들면, 20 kHz 내지 3.0 MHz, 40 kHz 내지 2.0 MHz, 60 kHz 내지 2.0 MHz, 80 kHz 내지 2.0 MHz, 100 kHz 내지 2.0 MHz, 150 kHz 내지 2.0 MHz, 200 kHz 내지 2.0 MHz, 250 kHz 내지 2.0 MHz, 300 kHz 내지 2.0 MHz, 350 kHz 내지 2.0 MHz, 400 kHz 내지 2.0 MHz, 450 kHz 내지 2.0 MHz, 500 kHz 내지 2.0 MHz, 550 kHz 내지 2.0 MHz, 600 kHz 내지 2.0 MHz, 650 kHz 내지 2.0 MHz, 700 kHz 내지 2.0 MHz, 750 kHz 내지 2.0 MHz, 800 kHz 내지 2.0 MHz, 850 kHz 내지 2.0 MHz, 900 kHz 내지 2.0 MHz, 950 kHz 내지 2.0 MHz, 600 kHz 내지 1.5 MHz, 650 kHz 내지 1.5 MHz, 700 kHz 내지 1.5 MHz, 750 kHz 내지 1.5 MHz, 800 kHz 내지 1.5 MHz, 850 kHz 내지 1.5 MHz, 900 kHz 내지 1.5 MHz, 950 kHz 내지 1.5 MHz, 1 MHz 내지 1.5 MHz, 600 kHz 내지 1.3 MHz, 650 kHz 내지 1.3 MHz, 700 kHz 내지 1.3 MHz, 750 kHz 내지 1.3 MHz, 800 kHz 내지 1.3 MHz, 850 kHz 내지 1.3 MHz, 900 kHz 내지 1.3 MHz, 950 kHz 내지 1.3 MHz, 600 kHz 내지 1.1 MHz, 650 kHz 내지 1.1 MHz, 700 kHz 내지 1.1 MHz, 750 kHz 내지 1.1 MHz, 800 kHz 내지 1.1 MHz, 850 kHz 내지 1.1 MHz, 900 kHz 내지 1.1 MHz, 950 kHz 내지 1.1 MHz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리포좀은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이다.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이란 초음파에 노출되는 경우, 리포좀의 투과성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에 따라 리포좀이 초음파에 노출되는 경우, 리포좀에 포함된 약물이 방출될 수 있다.
상기 리포좀은 안정성(stability)이 확보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안정성이라 함은 초음파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혈중 리포좀 내 봉입된 약물이 방출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상온 (20~25 ℃)에서 60분 동안 볼텍싱 조건 하에서 20분마다 60분 동안 리포좀 내 봉입된 약물의 방출률을 측정하였을 때 최대 30% 이하의 약물 방출률을 나타낸다.
상기 리포좀의 입도는 예를 들면 직경 50 ㎚ 내지 500 ㎚, 50 ㎚ 내지 400 ㎚, 50 ㎚ 내지 300 ㎚, 50 ㎚ 내지 200 ㎚, 60 ㎚ 내지 200 ㎚, 70 ㎚ 내지 200 ㎚, 80 ㎚ 내지 200 ㎚, 90 ㎚ 내지 200 ㎚, 100 ㎚ 내지 200 ㎚, 110 ㎚ 내지 190 ㎚, 120 ㎚ 내지 180 ㎚, 130 ㎚ 내지 170 ㎚, 140 ㎚ 내지 170 ㎚, 140 ㎚ 내지 160 ㎚, 또는 약 150nm 일 수 있다.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100nm 내지 200 nm 일 수 있다. 여기서 입도 측정 방법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르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 공지된 다른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으며 동등한 수준의 값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물이 봉입된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물 전달용 조성물로, 상기 리포좀은 DSPC, DSPE-mPEG2000, DOPE, 및 lyso-PC; 또는 DSPC, DSPE-mPEG2000, DOPE, 콜레스테롤 및 lyso-PC 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물”은 목적한 생물학적 활성을 지닌 임의의 화합물을 지칭한다. 목적한 생물학적 활성은 사람 또는 다른 동물에서 질환의 진단, 치유, 완화,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한 활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물은 항암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독소루비신,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시스플라틴, 글리벡, 5-플루오로우라실(5-FU), 타목시펜, 카보플라틴, 토포테칸, 벨로테칸, 이마티닙, 이리노테칸, 플록수리딘, 비노렐빈, 젬시타빈, 류프로리드, 플루타미드, 졸레드로네이트, 메토트렉세이트, 캄토테신, 빈크리스틴, 히드록시우레아, 스트렙토조신, 발루비신, 레티노익산, 메클로레타민, 클로람부실, 부술판, 독시플루리딘, 빈블라스틴, 마이토마이신, 프레드니손, 아피니토, 및 미토산트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물과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의 혼합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 : 2 내지 1 : 20 질량비(w/w %)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2 내지 1 : 20, 1 : 2 내지 1 : 18, 1 : 2 내지 1 : 16, 1 : 2 내지 1 : 14, 1 : 2 내지 1 : 12, 1 : 2 내지 1 : 10.5, 1 : 2.5 내지 1 : 10.5, 1 : 2.5 내지 1 : 5, 1: 2 내지 1 : 4, 1 : 2.5 내지 1 : 4.5, 1 : 2.5 내지 1 : 4, 1 : 2.5 내지 1 : 3, 1 : 1 : 5 내지 1 : 10.5, 1 : 5.5 내지 1 : 10.5, 1 : 6 내지 1 : 10.5, 1 : 6.5 내지 1 : 10.5, 1 : 7 내지 1 : 10.5, 1 : 7 내지 1 : 10, 1 : 7 내지 1 : 9, 또는 약 1 : 8의 질량비(w/w %)일 수 있으나 약물이 효율적으로 리포좀에 봉입될 수 있는 비율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봉입률”은 적재율과 혼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물이 봉입된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은 30 % 내지 100%, 40 % 내지 100%, 50 % 내지 100%, 60% 내지 100%, 65% 내지 100%, 70% 내지 100%, 75% 내지 100%, 76% 내지 100%, 77% 내지 100%, 80% 내지 100%, 85% 내지 100%, 87% 내지 100%, 88% 내지 100%, 90% 내지 100%, 또는 95% 내지 100%의 항암제 봉입률을 갖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봉입률은 첨가한 약물의 양에 대한 적재율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약물 봉입률 측정 방법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르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 공지된 다른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으며 동등한 수준의 값으로 변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물이 봉입된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은 10% 내지 100%, 50 % 내지 100%, 60% 내지 100%, 65% 내지 100%, 70% 내지 100%, 또는 75% 내지 100%의 약물 방출률을 갖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물 방출률은 첨가한 약물의 양에 대한 방출률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방출률 측정 방법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 2에 기재된 방법에 따르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 공지된 다른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으며 동등한 수준의 값으로 변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물이 봉입된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은 혈중 내에서, 초음파 미처리 상태에서 0.1% 내지 100%, 0.1% 내지 80%, 0.1% 내지 60%, 0.1% 내지 40%, 0.1% 내지 30%, 0.1% 내지 20%, 또는 30% 이하의 약물 방출률을 갖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 또는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초음파 처리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암”은 세포가 정상적인 성장 한계를 무시하고 분열 및 성장하는 공격적(aggressive) 특성, 주위 조직에 침투하는 침투적(invasive) 특성, 및 체내의 다른 부위로 퍼지는 전이적(metastatic) 특성을 갖는 세포에 의한 질병을 총칭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은 당업계에 악성 종양으로 알려진 것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유방암, 대장암, 폐암, 소세포폐암, 위암, 간암, 혈액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암, 피부 또는 안구내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항문암, 결장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 질암, 음문암종, 호지킨병,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방광암, 신장 또는 수뇨관 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 암종, CNS 종양, 1차 CNS 림프종, 척수 종양, 뇌간신경교종 및 뇌하수체 선종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암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암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 조성물”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제조된 것을 의미하며,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고,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등의 피부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리포좀과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에는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외에도 항암제, 영상 조영제, 항생제, 항염증제, 단백질, 싸이토카인, 펩타이드, 및 항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여”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체”란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이 투여될 수 있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mouse),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제법 1 내지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제법을 포함하는, 상기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제법 1]
(a) DSPC, DSPE-mPEG2000, DOPE, 및 lyso-PC 를 제1 유기용매에 용해하는 단계;
(b) 상기 유기용매를 증발시켜 리포좀 막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리포좀 막을 수용액에 수화시켜 교반하는 단계; 및
(d) 압출기를 통해 압출하는 단계.
[제법 2]
(a) DSPC, DSPE-mPEG2000, DOPE, 및 lyso-PC 를 에탄올에 용해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에탄올 용액을 수용액에 수화시켜 교반하는 단계; 및
(c) 압출기를 통해 압출하는 단계.
[제법 3]
(a) DSPC, DSPE-mPEG2000, DOPE, 및 lyso-PC 를 제1 유기용매에 용해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제1 유기용매 용액 및 수용액을 미세유체 시스템 (microfluidics)의 채널을 이용하여, 유속을 변화시켜 혼합하는 단계; 및
(c) 유기용매를 제거시키는 단계.
본 발명에서, 상기 제법 2는 (b) 단계 후 에탄올을 증발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용액은 암모늄 설페이트 수용액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기용매의 제거는 유기용매를 증발시키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세유체 시스템은 고압유화장치를 사용하는 공지의 고압균질혼합방법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미세유체 시스템에 대한 내용은 공지문헌 [Whitesides, G. M. (2006). The origins and the future of microfluidics. Nature, 442(7101), 368-373. ]을 참고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유기용매는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술폭시드, 클로로포름, 메탄올, 에탄올, 및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리포좀 제제는 주사제, 경피, 경비, 및 폐로의 약물송달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제화에 필요한 기술 및 약제학적으로 적절한 담체, 첨가제 등에 관해서는 당해 제제학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1995)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포좀의 압출을 위한 온도는 상온에서 각 물질의 상전이 온도 범위까지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압출 횟수는 리포좀의 크기를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적절한 횟수로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의 제조방법은 미세유체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미세유체공정에 이용되는 유기용매는 예를 들어,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술폭시드, 클로로포름, 메탄올, 에탄올, 및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1채널에는 에탄올, 2채널에는 암모늄 설페이트 수용액을 이용하여 미세유체공정을 통해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서 유기용매에 녹아 있는 인지질의 농도는 예를 들어, 1 내지 300, 1 내지 200, 1 내지 100, 1 내지 80, 1 내지 70, 1 내지 50, 1 내지 30, 1 내지 20, 1 내지 10, 1 내지 5, 1 내지 3, 3 내지 5, 또는 60 내지 70 mg/mL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서 미세유체공정의 유량은 예를 들어, 1 내지 50, 1 내지 40, 1 내지 30, 1 내지 25, 1 내지 20, 1 내지 15 mL/min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MSPC의 몰비율 조건을 달리하여 리포좀을 제조한 후 이의 물성을 비교하였으며, 약 5 몰(mol) 비율로 제조하였을 때 리포좀의 약물 방출률이 우수하면서도 안정성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2 및 7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콜레스테롤의 몰비율 조건을 달리하여 리포좀을 제조한 후 이의 물성을 비교하였으며, 콜레스테롤은 비율에 관계없이 초음파 감응성에 대한 영향이 미비함을 확인하였다(실시예 3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DOPC 또는 DOPE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리포좀을 제조한 후 이의 물성을 비교하였으며, DOPE가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조에 더 적합함을 확인하였다(실시예 4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DSPC의 몰비율 조건을 달리하여 리포좀을 제조한 후 이의 물성을 비교하였으며, DSPC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초음파에 의한 약물방출률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초음파 유무 및 시간에 따른 본 발명의 리포좀의 약물방출률을 확인한 결과, 초음파를 조사하지 않은 군과 비교하여 조사한 군에서 현저한 약물 방출률의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입도 분포는 동일하게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초음파 유무에 따른 본 발명의 리포좀 및 시판 리포좀 약물의 암세포 사멸 효과를 확인한 결과, 본 발명의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의 암세포 사멸 효과가 시판되는 리포좀 약물과 비교하여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0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초음파 유무에 따른 본 발명의 리포좀 및 시판 리포좀 약물의 유방암세포 침투 효과를 확인한 결과, 본 발명의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의 암세포 침투 효과가 시판되는 리포좀 약물과 비교하여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1 참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 표 에 기재된 물질을 실시예에서 사용하였다.
Figure 112021038283045-pat00004
실시예 1 : 리포좀 제제의 제조
먼저, DSPC 32.1mg, DSPE-mPEG2000 57.0mg, 콜레스테롤 23.5mg, DOPE 196.6 mg, 및 lyso-PC(1-stearoyl-2-hydroxy-sn-glycero-3-phosphocholine, MSPC) 10mg의 인지질들을 클로로포름 5mL에 녹였다. 각 물질의 몰비율은 10 : 5 :15 : 65 : 5 이었다. 클로로포름에 녹아있는 인지질 용액을 45℃에서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완전히 증발시켜 얇은 이중막 인지질막을 제조하였다. 이 후, 인지질막을 250mM 농도의 암모늄설페이트 용액을 이용하여 55℃에서 교반하여 수화시켰다. 분산된 리포좀 용액을 폴리카보네이트 멤브레인이 장착된 압출기(size extruder mini, Avanti)를 이용하여 상온 이상의 온도에서 압출하였다. 상기 압출은 리포좀의 크기가 약 150nm의 크기가 될 때까지 반복하였다.
리포좀의 입도 분포는 리포좀을 10배 희석하여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분석법으로 Zetasizer 나노 ZS (Zetasizer Nano ZS, Malver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압출에 의해 입도분포가 조절된 리포좀 용액을 분자량(MWCO) 15,000 Dalton인 투석막에 투입하고 10%-수크로즈, 10mM L-히스티딘 용액에서 12시간 동안 투석하였다.
리포좀에 독소루비신을 봉입하기 위하여, 투석된 리포좀 용액에 독소루비신을 첨가하여 37℃에서 2시간동안 200-300rpm으로 교반하였다. 리포좀과 독소루비신은 8:1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2시간 교반 후, 봉입되지 않은 독소루비신은 size exclusive chromatography (SEC)방법을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봉입된 독소루비신과 봉입되지 않은 독소루비신은 480nm 파장의 흡광도 측정으로 정량하였다.
실시예 2 : MSPC의 비율 별 리포좀 제조 및 초음파에 의한 약물 방출률 분석
리포좀은 실시예 1의 방법으로 동일하게 제조되었다. 이 때의 MSPC 몰비율은 5 또는 10으로 조정하고, 그 외의 성분들의 몰비율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고정하였다. 리포좀의 제조시, 최종 리포좀의 농도가 16 mg/mL이 되도록 암모늄 설페이트를 조절하여 수화시켰며, 이 후 제조 공정은 모두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각각의 리포좀의 입도분포 및 독소루비신 봉입률 분석 역시 실시예 1과 동일한 분석법으로 수행하였다.
초음파에 의해 독소루비신이 리포좀에서 방출되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독소루비신이 봉입된 각각의 리포좀을 초음파장치 (UP200s, Hielscher) 챔버에 넣고 29 kHz, 92 W/cm2로 1분간 인가하였다. 초음파 감응에 의한 독소루비신 방출률 분석은 독소루비신 기준으로 0.1mg/mL의 독소루비신이 적재된 리포좀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방출된 독소루비신과 독소루비신이 방출된 리포좀은 size exclusive chromatography(SEC)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독소루비신의 정량분석은 480nm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분석하였다. 표 1 및 도 1은 각각의 리포좀에 대한 조성 및 입도분포, 독소루비신 봉입률 그리고 초음파에 의한 독소루비신 방출률을 나타낸 것이다.
MSPC 몰비율 별 리포좀 입도 분포, 독소루비신 봉입률 및 초음파에 의한 독소루비신 방출률
Sample
No.
DSPC DSPE
-PEK2k
Cholesterol DOPE MSPC Size
Distribution (d. nm)
Entrapment
efficiency (%)
Release of DOX
(%)
1 10 5 15 65 5 162.0 ± 67.7 73.1 62.3
2 10 116.5 ± 38.9 68.0 55.7
표 1 및 도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초음파 감응에 의한 독소루비신 방출률은 lyso-PC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MSPC 이 구조적으로 리포좀의 초음파 내성을 증가시켜 약물 방출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MSPC의 몰비율을 5로 하여, 이하 실시예를 수행하였다.
실시예 3: 콜레스테롤 비율별 초음파 감응에 의한 독소루비신 방출률 분석
리포좀의 초음파 감응에 의한 독소루비신 방출률에 미치는 콜레스테롤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콜레스테롤의 몰비율을 변화하여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실시에 1에서와 같이 DSPC, DSPE-mPEG2000, 콜레스테롤, DOPE, 및 MSPC의 몰비율인 10 : 5 : 15 : 65 : 5를 기준으로 하되, 콜레스테롤의 질량만 변화시켜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리포좀의 농도는 모두 16mg/mL로 동일하게 맞추고, 암모늄 설페이트 (250mM)를 이용하여 수화시켰다. 리포좀의 제조방법 및 입도 분포, 독소루비신 봉입률, 초음파 감응에 의한 독소루비신 방출률에 대한 분석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하였다.
표 2 및 도 2는 초음파 감응에 의한 독소루비신 방출률에 대하여 콜레스테롤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콜레스테롤의 비율 변화에 의한 리포좀의 초음파 감응에 따른 독소루비신 방출률
No. DSPC DSPE
-PEG2k
Cholesterol DOPE MSPC Release doxorubicin
(%, N=3)
1 10 5 0 65 5 65.49
2 5 58.97
3 10 60.51
4 15 62.83
5 20 62.80
6 25 70.30
7 30 69.87
8 35 65.49
9 40 62.48
표 2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0에서 40까지 콜레스테롤의 비율을 변화시킨 결과, 상기 리포좀 조성에서 콜레스테롤 비율은 초음파 감응성에 대한 영향이 미비함을 확인하였으며, 콜레스테롤 비율과 관계없이 60%이상의 독소루비신 방출률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 DOPC와 DOPE의 초음파 감응에 의한 독소루비신 방출률 비교
DSPC, DSPE-mPEG2000, 콜레스테롤, MSPC 의 몰비율은 각각 10, 5, 15, 5로 고정하고 DOPC 또는 DOPE가 65% 몰비율로 함유된 리포좀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리포좀의 농도가 16mg/mL이 되도록 암모늄 설페이트 (250mM)를 이용하여 수화시켰다. 입도 분포 및 독소루비신 봉입률, 초음파 감응에 의한 독소루비신 방출률에 대한 분석 방법 또한 실시에 1의 방법으로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표 3 및 도 3은 DOPC와 DOPE가 함유된 각 리포좀에 대한 입도 분포, 약물 적재율, 초음파 감응에 의한 독소루비신 방출률을 나타낸 것이다.
DOPC 및 DOPE가 함유된 각 리포좀의 입도분포, 약물 적재율, 초음파 감응에 의한 독소루비신 방출률
Sam
ple
No.
DSPC DSPE
-PEG2k
Chole
sterol
DOPE DOPC MSPC Size
Distribution (d. nm)
Entrapment
efficiency (%)
DOX release
(%)
1 10 5 15 65 - 5 181.8 ± 84.6 86.6 64.5
2 - 65 137.0 ± 67.7 82.5 21.5
표 3 및 도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DOPC 와 DOPE가 함유된 각 리포좀에서 입도 분포 및 독소루비신의 봉입률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초음파 매개 독소루비신 방출률에서 DOPE가 함유된 리포좀은 60%이상 방출률을 보였으나, DOPC가 함유된 리포좀은 약 20%로 초음파에 의한 감응이 미비하였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리포좀의 성분으로 DOPC보다 DOPE가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DSPC의 몰비율에 따른 리포좀의 초음파 감응에 의한 독소루비신 방출 분석
DSPC의 비율을 제외한, DSPE-mPEG2000, 콜레스테롤, DOPE, MSPC의 몰비율은 각각 5, 15, 65, 5%로 고정하고 실시예 1에서 제조한 DSPC 10%를 기준으로 2, 4배 증가시켜 리포좀을 제조하여 초음파 감응에 의한 독소루비신 방출률을 비교 분석하였다.
제조된 리포좀의 농도가 16mg/mL이 되도록 암모늄 설페이트 (250mM)를 이용하여 수화시켰다. 리포좀의 제조 방법 및 분석 방법, 초음파 감응에 의한 약물 방출률 분석은 실시예 1 및 2에서 명시된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표 4 및 도 4는 DSPC의 비율에 따른 각 리포좀의 입도 분포, 독소루비신 봉입률, 초음파 감응에 의한 각 리포좀에서의 독소루비신 방출률을 나타낸 것이다.
DSPC의 몰비율에 따른 각 리포좀의 입도 분포, 독소루비신 봉입률, 초음파 감응에 의한 각 리포좀에서의 독소루비신 방출률
Sam
ple
DSPC DSPE
-PEK2k
Choles
terol
DOPE MSPC Size
Distribution (d. nm)
Entrapment
efficiency (%)
Doxorubicin release (%)
1 10 5 15 65 5 177.7 ± 98.8 83.9 84.9
2 20 153.2 ± 68.2 75.8 71.0
4 40 143.9 ± 84.3 81.5 55.7
표 4 및 도 4에서 나타낸바와 같이, DSPC의 비율변화와 관계없이 입도 분포 및 독소루비신 봉입률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약 100-200 nm의 입도 분포를 보였으며, 약 75-85%의 독소루비신 봉입률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초음파 감응에 의해 독소루비신이 방출되는 추이를 DSPC의 첨가량과 비교한 결과, DSPC가 증가할수록 초음파에 의해 독소루비신이 방출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DSPC의 몰비율이 적을수록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조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 리포좀 조성 몰비율 변화에 따른 독소루비신 방출량 분석 실험
리포좀을 구성하고 있는 조성별로 초음파 감응에 의한 독소루비신 방출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표 5에 있는 조성비를 이용하여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리포좀 제조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며, 리포좀의 농도는 16mg/mL로 암모늄 설페이트 (250mM)를 이용하여 조절하였다. 이 후, 독소루비신 봉입방법 및 봉입률, 초음파 감응에 의한 독소루비신 방출 실험 역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리포좀 조성 별 몰비율 변화에 따른 초음파 감응에 의한 독소루비신 방출량 분석 결과
Sample
No.
DSPC DSPE-
mPEG2k
Cholesterol DOPE MSPC Release of DOX (%)
1 23.75 5 13.75 55 2.5 76.26
2 10 5 70 10 73.82
3 10 15 65 5 69.28
4 27.5 22.5 40 5 67.40
5 31.25 31.25 25 7.5 61.70
6 5 40 40 10 59.25
7 50 25 10 10 51.71
8 50 15 20 10 48.25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DOPE가 증가할 경우, 초음파 감응성에 의한 독소루비신 방출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콜레스테롤, MSPC의 경우, 리포좀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독소루비신의 유출을 저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MSPC 비율에 의한 리포좀의 안정성 평가
MSPC의 포함 여부 및 포함되는 몰비율에 따라 리포좀의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안정성 평가에 사용된 리포좀의 조성은 표 6에 기재된 바와 같다. 리포좀의 제조는 실시예 1과 동일과정으로 수행하였고, 리포좀 용액 중 독소루비신의 목표 농도는 용액 1.0 mL 당 0.40 mg이었다.
안정성 평가에 사용된 리포좀의 조성
Batch No. DSPC
(Mol. %)
DSPE-PEG2k
(Mol. %)
Cholesterol
(Mol. %)
DOPE
(Mol. %)
MSPC (Mol. %)
1 10 5 15 65 0
2 1
3 3
4 5
5 7
리포좀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제조된 리포좀을 FBS (Fetal Bovine Serum)와 1 대 3의 부피비로 혼합한 다음 교반하였다.
리포좀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위에서 제조한 혼합액을 상온 (20~25 ℃)에서 60분 동안 볼텍싱해주었다. 이 때, 매 20분마다 용액을 채취한 다음, Solid Phase Extraction 방법 (Waters Oasis HLB 3CC)을 이용하여 리포좀에서 방출된 독소루비신의 양을 측정하였다. 전 처리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용출 용액을 수집한 다음 표 7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분석 조건에 따라 분석하고 방출된 독소루비신의 양을 분석하였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분석 조건
Mobile Phase 0.1 % TFA in 30 % Acetonitrile
Flow Rate 0.2 mL/min
Detector UV (at 254 nm)
Injection Volume 1.0 μL
Temperature 40 ℃
Run Time 10 min
HPLC Column Agilent Infinity Lab Poroshell 120 EC-C18 (3.0Ⅹ50 mm, 2.7 μm)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포좀 조성 중 MSPC의 몰비율이 증가할수록 리포좀의 안정성이 증가되어 봉입된 독소루비신의 방출이 억제되었는 바, 최대 30% 이하로 독소루비신이 방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MSPC 5 mol% 이상에서 리포좀이 매우 안정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MSPC를 함유했을 때, 안정성이 우수한 리포좀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5 mol%에서 가장 안정한 리포좀이 생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의 시간에 따른 독소루비신 방출실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리포좀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독소루비신의 방출률을 분석하였다. 이에 더하여, 초음파 방출에 의해 약물이 방출되는 추이를 비교평가하기 위하여 초음파를 조사한 실험군(US+)과 조사하지 않은 실험군(US-)을 각각 1시간 간격으로 채취한 후, 방출된 독소루비신 및 리포좀 내 독소루비신을 정량 분석하였다. 방출시험은 37℃, 150rpm의 조건에서 수행되었다. 초음파 방출은 각 시점에서의 시료의 채취 후에 29 kHz의 주파수 및 92W/cm2의 세기로 방출시험용액에 1분간 추가로 조사하였으며, 매 1시간마다 시료채취 및 초음파 조사를 반복하였다. 방출된 독소루비신 및 리포좀은 실시예 2과 동일하게 Size exclusive chromatography(SEC)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봉입된 독소루비신과 봉입되지 않은 독소루비신은 480nm 파장의 흡광도 측정으로 정량하였다.
표 8은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리포좀의 조성 및 입도 분포, 봉입률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표 9 및 도 7은 초음파 감응 리포좀에 대한 시간에 따른 독소루비신 방출률 및 초음파 조사에 따른 독소루비신 방출률 비교 평가 추이를 나타낸 것이다.
초음파 감응 리포좀의 조성, 입도 분포 및 봉입률
Sample DSPC DSPE
-PEK2k
Choles
terol
DOPE MSPC Size
Distribution (d. nm)
Entrapment
efficiency (%)
1 10 5 15 65 5 140.0 ± 67.3 79.2
초음파 감응 리포좀에 대한 초음파 유무 및 시간에 따른 독소루비신 방출률 비교 평가(초음파 방출 시간: 매 시간 마다 1분간 방출)
Time (h) 1 2 3 4 5 6
Released DOX %
초음파유무 US+ 21.02 40.34 75.28 78.60 78.94 79.40
US- 17.42 16.99 11.52 15.53 15.18 15.87
표 9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의 약물 방출 추이는 초음파를 조사하지 않은 실험군과 비교하여, 초음파를 매 1시간 마다 각각 1분씩 조사한 결과, 약 20%의 방출률의 향상을 보인 반면에, 초음파를 인가하지 않은 실험군에 대해서는 초기에 약15%의 독소루비신 방출률을 보인 후, 추가적으로 doxorubicin이 방출되는 양상은 보이지 않았다.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은 초음파 방출에 의하여 3시간 동안 (1시간마다 1분씩 조사, 총 3회) 약 75%의 약물 방출 거동을 나타내었으며, 6시간 동안(1시간마다 1분씩 조사, 총 6회) 약 80%의 독소루비신 방출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초음파 방출 이전 및 이후의 입도 분포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입도 분포는 동일하게 유지됨을 확인함으로써, 초음파의 영향으로 인한 입자의 분쇄는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 : lyso PC의 종류별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조 및 초음파 감응성 결과 분석
lyso-PC의 종류에 따른 물성 및 초음파 감응성 변화에 대하여 분석하기 위하여, lyso-PC를 종류별로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을 각각 제조하였다.
Lyso-PC는 소수성 체인의 종류에 따라 5종을 선별하여 시험하였다. 선별된 lyso-PC의 종류 및 구성 비율은 아래 표 10과 같다.
Lyso-PC의 종류 및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의 구성 비율
Lyso-PC Acyl chain 이름
1 18:0 1-stearoyl-2-hydroxy-sn-glycero-3-phosphocholine
2 18:1 1-oleoyl-2-hydroxy-sn-glycero-3-phosphocholine
3 17:0 1-heptadecanoyl-2-hydroxy-sn-glycero-3-phosphocholine
4 17:1 1-(10Z-heptadecenoyl)-2-hydroxy-sn-glycero-3-phosphocholine
5 16:0 1-palmitoyl-2-hydroxy-sn-glycero-3-phosphocholine
6 14:0 1-myristoyl-2-hydroxy-sn-glycero-3-phosphocholine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의 조성
DSPC DSPE-mPEG2k cholesterol DOPE Lyso-PC
molar ratio (%) 10 5 30 65 5
함유량(mg/mL) 2.99 5.31 4.39 18.31 0.99
Lyso-PC의 acyl chain의 종류에 따른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의 제조를 위해 상기 표 10에 명시된 용량의 지질을 칭량한 후, 256mg/mL의 농도의 에탄올을 사용하여 60℃에서 용해시켰다. 이 후, 250mM-암모늄 설페이트(ammonium sulfate) 용액에 첨가하여 6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이 때의 지질 농도는 32mg/mL였다. 리포좀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고온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하였다. 압출기의 폴리카보네이트 필터를 0.8μm-pore부터 0.4, 0.2μm-pore size 로 단계별로 감소시켜 크기를 감소시켰으며, 리포좀의 크기가 100-200nm가 될 때가지 반복적으로 수행하였다. 암모늄 설페이트를 10%-수크로스와 10mM의 히스티딘 혼합액을 리포좀 용액의 용매로 하여 PD-10 컬럼을 이용하여 교환하였다.
이 후, 독소루비신을 적재하기 위하여 독소루비신과 리포좀을 1:8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37℃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적재되지 않은 독소루비신은 PD-10 컬럼을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제조된 각각의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의 크기 분포 및 독소루비신의 정량 분석은 실시예 1, 2에서 명시된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되었다.
Lyso-PC의 종류별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의 독소루비신 방출률
조성 14:0 16:0 17:0 17:1 18:0 18:1
Doxorubicin release (%) 63.6 ± 1.95 55.8 ± 2.89 51.8 ± 1.49 56.3 ± 2.46 68.7 ± 0.89 62.6 ± 11.1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lyso-PC의 종류에 따른 독소루비신 방출률은 55-65%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Lyso-PC의 tail 부분의 변화는 초음파 감응성에 의한 독소루비신 방출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된다.
실시예 10 : 초음파 감응 리포좀의 암세포사멸 효과 비교 분석
초음파 감응 리포좀의 초음파 조사 유무에 따른 세포 사멸 효과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예 1의 초음파 감응 리포좀을 이용하여 암세포 사멸 효과를 초음파 유무에 따라 비교 평가하였다. 암세포는 삼중음성 유방암 세포주인 MDA-MB-231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MDA-MB-231 세포주는 96 웰 플레이트 각 웰에 10000개의 세포를 분주한 후, 밤새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액은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에 10%-Fetal Bovine Serum (FBS)와 1%-항생제가 함유된 배양액을 이용하여 세포를 배양하였다. 세포가 밤새 배양된 웰에서 배양액을 제거하고 FBS가 없는 DMEM을 채워주고 1시간 동안 배양한 후, 초음파 감응 리포좀을 첨가하여 3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초음파 조사 유무에 따른 암세포 사멸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초음파를 조사한 초음파 감응 리포좀(Sono liposome (US+))과 초음파를 조사하지 않은 초음파 감응 리포좀(Sono liposome (US-))을 지정된 웰에 각각 처리하였다. 독소루비신은 각각 2, 4, 6, 8, 10μg/mL의 농도로 각 웰에 처리하였다. 대조군으로 상용화된 독소루비신 리포좀 약제인 Caelyx® (Liposomal doxorubicin HCl)를 이용하였으며,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각각의 리포좀 처리 후 3시간 동안 배양한 뒤 각 웰에 있는 처리 시료를 제거한 후, PBS로 3번 세척하였다. 이 후, 다시 10%-FBS, 1%-항생제가 함유된 DMEM을 첨가하여 세포를 배양하였다. 72시간 세포를 배양한 후, 각 웰에 있는 배양액을 제거하고, 2mg/mL 농도의 MTT 시약을 20μL 첨가하여 3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생성된 포르마잔에 DMSO를 각 웰에 200μL 첨가한 후 540nm의 파장에서 ELIZA leader를 이용하여 흡광을 측정함으로써 암세포 사멸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초음파를 조사하지 않은 실험군의 경우, 초음파 감응 리포좀 및 Caelyx® 모두 암세포에 대한 사멸 효과가 미비하였다. 오직 독소루비신만 세포 내에 침투하여 암세포 사멸 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초음파를 조사한 실험군의 경우, Caelyx®는 초음파를 조사하지 않은 실험군과 유사한 암세포 사멸 효과를 나타낸 반면, 본 발명의 초음파 감응 리포좀은 봉입된 독소루비신이 방출됨에 따라 암세포 사멸 효과가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어 초음파에 의한 약물 방출이 효과적으로 유도됨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리포좀이 기존 상용되고 있는 리포좀 약제와 비교하여 초음파에 대한 민감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1: 초음파 감응 리포좀의 세포 침투 효과 분석
초음파 감응 리포좀의 세포 침투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예 1의 초음파 감응 리포좀을 이용하여 세포 침투효과를 Caelyx®와 비교 분석하였다. 8 웰 세포 배양 챔버에 30000개의 MDA-MB-231 세포주를 분주한 후, 밤새 배양하였다. 실시예 9의 세포 배양액을 이용하였다. 밤새 배양한 후, 채워져 있는 세포 배양액을 제거한 후, FBS가 함유되지 않은 배양액으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후, 각 웰에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과 Caelyx®를 초음파 조사 유무에 따라 첨가하였다. 각각의 리포좀을 처리한 후 3시간 뒤에 처리된 리포좀을 모두 제거하고, PBS로 세 번 세척한 후, 4%-파라포름알데히드로 3분간 고정하였다. 이 후, 0.01mg/mL의 DAPI 용액을 이용하여 세포핵을 염색한 후, 마운팅 용액을 첨가하여 커버글라스를 씌웠다. 형광 영상을 위하여, DAPI는 408nm의 파장으로, 독소루비신은 488nm의 파장의 레이저를 이용하였으며, 공초점 형광현미경으로 형광영상을 촬영하였다. 파란색 영상은 DAPI로 염색된 부분으로 세포핵을 나타내며, 빨간색 영상은 독소루비신의 형광을 나타낸다.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초음파를 조사하지 않은 리포좀 및 Caelyx® 모두 세포에 침투하지 않았다. 하지만 초음파를 조사한 실험군에 대해서는 초음파 감응 리포좀에서 독소루비신이 세포 내에 침투함에 따라 초음파 감응성이 뛰어난 결과를 나타냈으며, 3시간 내에 세포 내 침투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2: 미세유체공정을 이용한 초음파 감응 리포좀 제조 평가 및 초음파 감응 실험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을 미세유체공정(microfluidics)을 이용하여 제조하기 위하여 DSPC, DSPE-mPEG2000, 콜레스테롤, DOPE 및 MSPC가 각각 10, 5, 15, 65, 5의 몰비율로 구성된 인지질 구성물을 에탄올에 용해하였다. 완전히 용해하기 위하여 75℃ 오븐에 10분동안 보관하여 투명한 용액으로 용해하였다. 용액의 농도는 실험군에 따라 각각 2, 4, 8, 16, 64 mg/mL로 준비하였다.
미세유체공정은 2채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1개의 채널은 에탄올에 녹아 있는 인지질이 투여되는 경로이며, 나머지 채널은 250 mM의 암모늄 설페이트가 투여되는 경로이다.
각각의 투여 비율은 표 1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험이 진행되었으며, 총 유량은 실험군에 따라 3, 12, 21 mL/min으로 조절하여 수행하였다. 채널을 통해 배출된 리포좀 용액은 15000 Da의 분자량(MWCO)의 삼투막을 통해 24시간 동안 투석되었으며 용액은 10%-수크로즈와 10 mM L-히스티딘이 함유된 용액으로 투석하였다. 투석 공정 이후에 입도 분석 방법은 실시예 1에 명시된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표 10은 리포좀의 인지질 구성 몰비율 및 실험 조건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미세유체공정을 이용한 리포좀 제조 조성, 실험 조건, 및 입도 분포
No. DSPC DSPE
-PEK2k
Cholesterol DO
PE
MSPC Volume ratio
(ammo
nium sulfate : ethanol)
Concen
tration of lipid
(mg/mL)
Total
flow rate
(mL/min)
Size
Distribution (d. nm)
1 10 5 15 65 5 3 : 1 4 12 146.3 ± 54.2
2 2 101.5 ± 28.5
3 8 196.9 ± 95.7
4 16 1107.0 ± 397.8
5 1 : 1 64 3 118.8 ± 37.3
6 1 : 2 149.5 ± 76.1
7 1 : 3 103.9 ± 52.7
8 1 : 2 21 60.59 ± 23.8
9 12 42.7 ± 13.9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포좀의 입도분포는 대부분 100 내지 200nm의 입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크기를 조절하는 요소는 에탄올에 녹아 있는 인지질의 농도, 총 유량과 에탄올 및 암모늄 설페이트의 부피비임을 확인하였다. 부피비가 차이가 날수록 입도 분포가 작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총 유량이 빠를수록, 그리고 인지질의 농도가 낮을수록 입도 분포가 작아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3: 에탄올 첨가법에 의한 리포좀 제조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을 제조하기 위하여 표 13와 같은 지질 조성을 이용하여 에탄올 첨가법으로 제조하였다. 표 13의 몰비율로 칭량한 각각의 지질 혼합물을 256mg/mL의 농도로 에탄올에 70℃에서 용해시켰다. 완전히 투명한 용액으로 용해된 지질 용액을 250mM의 암모늄 설페이트 수용액에 혼합하였으며, 이 때의 지질 농도는 32mg/mL이며, 혼합 시 온도는 60 ℃ 를 유지시키면서 stirring을 1시간동안 수행하였다. 혼합된 지질 용액은 고온 압출기(LIPEX, Evonik)를 통하여, 균질화를 시켜주었다. 고온압출기를 이용할 때, 내부에 폴리카보네이트 필터를 0.8μm-pore부터 0.4, 0.2μm-pore size 로 단계별로 감소시켜 제조하였다. 제조된 리포좀의 크기가 100-200nm가 될 때가지 반복적으로 수행하였다.
제조된 리포좀 용액을 10%-수크로스와 10mM의 히스티딘 혼합액으로 교환하여, size exclusive chromatography(SEC) 법 또는 FPLC를 이용한 사이즈 압출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수행하였다. SEC는 high prep 26/10 column을 이용하여 유속 10mL/min으로 수행하였다.
이 후, 독소루비신을 적재를 위하여 독소루비신 및 표 11의 조성에 따른 리포좀을 1:8 질량 비율로 혼합하여 37 ℃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 후, 적재되지 않은 독소루비신은 사이즈 압출 크로마토그래피 (size extrusio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실시예 14: 에탄올 첨가법으로 제조된 리포좀의 초음파 감응성 시험
에탄올 첨가법으로 제조된 독소루비신이 적재된 리포좀을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이용하여 초음파 감응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제조된 리포좀의 조성은 표 13과 같다. 초음파 감응 시험을 위한 초음파 장비는 실시예 2에서 수행한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독소루비신의 초음파 감응성 시험을 위하여 방출되는 초음파 조건은 29 kHz의 주파수를 이용하였으며, 초음파 세기는 92W/cm2을 이용하여 60초동안 방출하였다. 방출된 독소루비신은 SEC method를 이용하여 정제하였으며, 475 nm의 파장에서의 흡광을 이용하여 방출된 독소루비신을 정량하였다.
에탄올 첨가법에 의해 제조된 리포좀의 물성 및 초음파 감응성 결과
Sample No. DSPC DSPE-PEG2k Cholesterol DOPE MSPC Size (d.nm), PDI Zeta potential
(mV)
Release (%)
1 10 5 5 55 5 141.9, 0.124 -31.5±7.23 69.8
2 7 159.7, 0.115 -32.6±5.48 71.6
3 10 153.6, 0.131 -32.9±7.9 59.6
4 10 5 143.7, 0.119 -28.6±6.97 62.1
5 7 161.1, 0.102 -27.9±7.41 64.3
6 10 153.5, 0.130 -27.2±8.51 55.5
7 15 5 146.2, 0.120 -33.7±8.94 54.5
8 7 151.2, 0.114 -33.7±7.83 55.3
9 10 161.3, 0.132 -33.7±7.57 52
실시예 15: MSPC의 비율에 따른 약물동태학 (pK) 시험
실시예 7에서 사용된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중, MSPC 몰비율 1, 5, 7%이 함유된 리포좀을 선별하여 Sprague-Dawley 랫드를 이용하여 pK 시험을 진행하였다. pK 시험에 이용된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의 조성은 표 14과 같다.
MSPC 비율별 pK 평가에 사용된 리포좀의 조성
Sample DSPC
(Mol. %)
DSPE-PEG2k
(Mol. %)
Cholesterol
(Mol. %)
DOPE
(Mol. %)
MSPC
(Mol. %)
MSPC-1% 10 5 15 65 1
MSPC-5% 5
MSPC-7% 7
Sprague-Dawley 랫드에 각 리포좀을 2mg/kg의 dose로 정맥 투여한 후 경정맥을 통하여 채혈을 수행하였다. 투여 후 30분, 1, 4, 12, 24, 48시간이 되는 시점에 채혈을 하였으며, 채취된 혈액의 응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항응고제인 Sodium heparin을 이용하였다. 그리고나서 12,000rpm에서 2분간 원심분리를 통하여 혈장을 분리하였다. LC-MS/MS를 이용하여 독소루비신의 정량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MSPC의 비율에 따른 pK 변화를 평가하였다.
MSPC의 비율에 따른 pK의 결과는 표 15 및 도 1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MSPC의 비율이 높을수록 체내 존재하는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의 용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MSPC의 함유량이 1%인 경우, 48시간 후 독소루비신의 농도가 5.1 ± 1.5ng/mL로 검출되었으며, 5%인 경우와 7%인 경우에는 각각 34.4 ± 10.3, 35.6 ± 17.9의 농도로 독소루비신이 검출되었다.
또한, 체내 반감기는 MSPC의 함유량이 1, 5, 7%일 경우, 각각 4.0 ± 0.1, 6.4 ± 0.9, 5.7 ± 0.7 시간을 보였다. 이 결과는 MSPC의 비율이 높을수록 체내 안정성이 향상되어 혈중에서 오랫동안 유지됨을 나타내며,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의 혈중 안정성을 높여줌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MSPC 비율(MSPC-1, 5, 7%)에 따른 pK 시험 결과
채혈 시간
(h)
독소루비신 농도(ng/mL)
MSPC-1% MSPC-5% MSPC-7%
0.5 13992.7 ± 805.3 10749.2 ± 1851.2 14478.3 ± 845.6
1 13735.7 ± 1493.6 10618.1± 2992.9 10547.6 ± 1378.6
4 8543.0 ± 2375.2 6266.6 ± 694.7 4878.4 ± 623.7
12 2493.8 ± 244.3 1582.3 ± 73.1 2942.3 ± 315.5
24 163.8 ± 17.5 328.2 ± 60.6 463.0 ± 154.8
48 5.1 ± 1.5 34.4 ± 10.3 35.6 ± 17.9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22)

  1. DSPC(1,2-Distearoyl-sn-glycero-3-phosphorylcholine), DSPE-mPEG2000(1,2-distear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with conjugated methoxyl poly(ethylene glycol2000)), DOPE(1,2-Diole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콜레스테롤, 및 lyso-PC를 포함하는,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로서,
    DSPC, DSPE-mPEG2000, DOPE, 콜레스테롤, 및 lyso-PC는 1~40 : 1~9 : 35~80 : 0.1~40 : 1~10의 몰비(mole%)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단, 상기 lyso-PC는 리포좀 제제 대비 3 내지 7 몰비(mole%)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SPC는 전체 리포좀 제제 대비 0.1 내지 50 건조중량%,
    상기 DSPE-mPEG2000는 전체 리포좀 제제 대비 3 내지 50 건조중량%,
    상기 DOPE는 전체 리포좀 제제 대비 1 내지 80 건조중량%,
    상기 콜레스테롤은 전체 리포좀 제제 대비 0.05 내지 40 건조중량%,
    상기 lyso-PC는 전체 리포좀 제제 대비 0.5 내지 10 건조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는 약물이 봉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항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는 안정성이 확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로서,
    상기 안정성은 혈중 안정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는 하기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
    ⅰ. 100-200 nm의 입도; 및
    ⅱ. 첨가되는 전체 약물 대비 상기 리포좀 제제에 봉입된 약물의 비율은 50-100%임.
  11. 제1항의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제제는 항암제가 봉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초음파 처리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유방암, 대장암, 폐암, 소세포폐암, 위암, 간암, 혈액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부암, 경부암, 피부 흑색종, 안구내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항문암, 결장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 질암, 음문암종, 호지킨병,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방광암, 신장 또는 수뇨관 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 암종, CNS 종양, 1차 CNS 림프종, 척수 종양, 뇌간신경교종 및 뇌하수체 선종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4. 약물이 봉입된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물 전달용 조성물로,
    상기 리포좀은 DSPC, DSPE-mPEG2000, DOPE, 콜레스테롤, 및 lyso-PC를 포함하며,
    상기 DSPC, DSPE-mPEG2000, DOPE, 콜레스테롤, 및 lyso-PC는 1~40 : 1~9 : 35~80 : 0.1~40 : 1~10의 몰비(mole%)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단, 상기 lyso-PC는 리포좀 제제 대비 3 내지 7 몰비(mole%)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용 조성물.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항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용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독소루비신,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시스플라틴, 글리벡, 5-플루오로우라실(5-FU), 타목시펜, 카보플라틴, 토포테칸, 벨로테칸, 이마티닙, 이리노테칸, 플록수리딘, 비노렐빈, 젬시타빈, 류프로리드, 플루타미드, 졸레드로네이트, 메토트렉세이트, 캄토테신, 빈크리스틴, 히드록시우레아, 스트렙토조신, 류코보린, 옥살리플라틴, 발루비신, 레티노익산, 메클로레타민, 클로람부실, 부술판, 독시플루리딘, 빈블라스틴, 마이토마이신, 프레드니손, 아피니토, 및 미토산트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용 조성물.
  18. 삭제
  19. 하기 제법 1 내지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제법을 포함하는, 제1항의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의 제조방법:
    [제법 1]
    (a) DSPC, DSPE-mPEG2000, DOPE, 콜레스테롤, 및 lyso-PC 를 제1 유기용매에 용해하는 단계;
    (b) 상기 유기용매를 증발시켜 리포좀 막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리포좀 막을 수용액에 수화시켜 교반하는 단계; 및
    (d) 압출기를 통해 압출하는 단계,

    [제법 2]
    (a) DSPC, DSPE-mPEG2000, DOPE, 콜레스테롤, 및 lyso-PC 를 에탄올에 용해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에탄올 용액을 수용액에 수화시켜 교반하는 단계; 및
    (c) 압출기를 통해 압출하는 단계, 및

    [제법 3]
    (a) DSPC, DSPE-mPEG2000, DOPE, 콜레스테롤, 및 lyso-PC를 제1 유기용매에 용해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제1 유기용매 용액 및 수용액을 미세유체 시스템 (microfluidics)의 채널을 이용하여, 유속을 변화시켜 혼합하는 단계; 및
    (c) 유기용매를 제거시키는 단계,

    이 때, 상기 제법 1 내지 3에 있어서, DSPC, DSPE-mPEG2000, DOPE, 콜레스테롤, 및 lyso-PC는 1~40 : 1~9 : 35~80 : 0.1~40 : 1~10의 몰비(mole%)로 용해되고, 단, 상기 lyso-PC는 3 내지 7 몰비(mole%)로 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
  20. 삭제
  21. 삭제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용매는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술폭시드, 클로로포름, 메탄올, 에탄올, 및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의 제조방법.
KR1020210042529A 2020-04-29 2021-04-01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36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566148A JP7426151B2 (ja) 2020-04-29 2021-04-02 超音波感応性リポソ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PCT/KR2021/004131 WO2021221330A1 (ko) 2020-04-29 2021-04-02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및 이의 제조 방법
CN202180031680.1A CN115515567A (zh) 2020-04-29 2021-04-02 声敏脂质体及其制备方法
US17/997,384 US20230263905A1 (en) 2020-04-29 2021-04-02 Sonosensitive liposom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EP21795405.6A EP4144346A1 (en) 2020-04-29 2021-04-02 Sonosensitive liposom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CA3208049A CA3208049A1 (en) 2020-04-29 2021-04-02 Sonosensitive liposom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356 2020-04-29
KR20200052356 2020-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865A KR20210133865A (ko) 2021-11-08
KR102336114B1 true KR102336114B1 (ko) 2021-12-08

Family

ID=78497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529A KR102336114B1 (ko) 2020-04-29 2021-04-01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114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4928A (ko) 2007-05-29 2008-12-03 율촌화학 주식회사 암의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수행하는 항암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ove Julie Evjen, "Sonosensitive liposomes for ultrasound-mediated drug delivery", UiT Munin, Ph.D. Thesis, 20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865A (ko) 202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u et al. Sequentially responsive biomimetic nanoparticles with optimal size in combination with checkpoint blockade for cascade synergetic treatment of breast cancer and lung metastasis
JP4885715B2 (ja) イリノテカン製剤
US9814734B2 (en) Bufalin liposom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application thereof
CN110123761B (zh) 一种仿生型高密度脂蛋白纳米粒及其制备和应用
CN112823811B (zh) 一种跨越血脑屏障和特异性靶向脑胶质瘤治疗药物的投递系统的制备方法
Wang et al. Curcumin-loaded TPGS/F127/P123 mixed polymeric micelles for cervical cancer therapy: formulation, characterization, and in vitro and in vivo evaluation
Li et al. Antitumor activity and safety evaluation of nanaparticle-based delivery of quercetin through intravenous administration in mice
CN112773766B (zh) 一种用于肿瘤治疗的脂质体递送系统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4739769A (zh) 一种脂质体的制备方法及其制备的产品
Hsu et al. An overview of nanoparticles in drug delivery: properties and applications
Du et al. F7 and topotecan co-loaded thermosensitive liposome as a nano-drug delivery system for tumor hyperthermia
Liu et al. Inhibition of growth and metastasis of breast cancer by targeted delivery of 17-hydroxy-jolkinolide B via hyaluronic acid-coated liposomes
CN107158377B (zh) 光控温敏脂质体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150034517A (ko) 소수성 활성 성분 및 폴리펩티드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리포좀, 및 그의 용도
CA2449856C (en) Pharmaceutical and diagnostic compositions containing nanoparticles useful for treating targeted tissues and cells
Li et al. Polysialic acid-functionalized liposomes for efficient honokiol delivery to inhibit breast cancer growth and metastasis
CN106821987B (zh) 一种载含酚羟基难溶性药物的脂质体及制备方法和应用
CN114588268B (zh) 提高激活sting通路和抗肿瘤t细胞应答的方法
JP7057434B2 (ja) 薬物を内包するリポソーム組成物およびプラチナ製剤を含む組合せ医薬
KR100847626B1 (ko) 수난용성 캄프토테신 함유 리포솜 제제
Ren et al. Macrophage-mediated multi-mode drug release system for photothermal combined with anti-inflammatory therapy against postoperative recurrence of triple negative breast cancer
KR20150047336A (ko) 나노입자,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336114B1 (ko) 초음파 감응성 리포좀 및 이의 제조 방법
Dhanisha et al. Encapsulating Naringenin in biomimetic proteolipid vesicles abrogates cancer metastasis by targeting apoptotic signaling axis
JP7426151B2 (ja) 超音波感応性リポソ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