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367B1 - Anti-deformation storage stand for tire - Google Patents

Anti-deformation storage stand for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367B1
KR102335367B1 KR1020210112389A KR20210112389A KR102335367B1 KR 102335367 B1 KR102335367 B1 KR 102335367B1 KR 1020210112389 A KR1020210112389 A KR 1020210112389A KR 20210112389 A KR20210112389 A KR 20210112389A KR 102335367 B1 KR102335367 B1 KR 102335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pair
frames
vertical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3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재영
Original Assignee
노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재영 filed Critical 노재영
Priority to KR1020210112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36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3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3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 B65G15/34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with reinforcing layers, e.g. of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3T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78Belt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5G2812/02198Non-metallic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An anti-deformation storage stand for a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first to fourth vertical frames sequentially forming vertices of a quadrangle; a pair of first horizontal frames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rames and connecting the third and fourth vertical frames; a pair of second horizontal frames connecting the second vertical frame and the third vertical frame and connecting the fourth vertical frame and the first vertical frame; a third horizontal frame provided to connect the first horizontal frames and provided with at least one first roller; pivot parts which are provided on the pair of second horizontal frames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and include a hinge part functioning as a pivoting center, a pivot arm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inge part, and a second rolle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pivot arm; and a mounting part provided with a belt part provided to circumferentially travel around the first roller and the pair of second rollers, and having the tire mounted there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 flat spot phenomenon.

Description

타이어 변형방지 보관대{Anti-deformation storage stand for tire}Anti-deformation storage stand for tire}

본 발명은 타이어 변형방지를 위한 보관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stand for preventing tire deformation.

완성된 타이어를 타이어 규격에 맞추어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대부분 다단으로 고정된 적재대에 타이어를 적재한 상태로 보관이 이루어지고 있다.In order to keep finished tires in accordance with tire specifications for a long period of time, most of them are stored with tires loaded on multi-tiered loading platforms.

그러나 타이어의 보관기간이 길지 않을 경우 적재대 구조물에 보관하는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타이어를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 타이어 자중에 의해 국부적인 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타이어의 트레드가 국부적으로 변형되는 플랫 스폿현상 때문에 타이어 성능 저하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However, if the storage period of the tire is not long, it will not be a problem to store it in the loading table structure. However, if the tire is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local deformation occurs due to the tire weight, and the flat spot phenomenon in which the tread of the tire is locally deformed As a result, it may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tire.

또한, 타이어를 보관할 때 횡 방향인 옆으로 쌓아 적재 보관하는 경우에도 타이어의 사이드월 변경이 발생하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경우와 같은 동일한 현상이 발생되었다.In addition, the same phenomenon as the case described above occurred because the sidewall of the tire was changed even when the tire was stacked and stored laterally when storing the tire.

한편,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10657호의 타이어 적재대가 제안되었는바, 상기 종래 공개특허 기술은 타이어의 플랫 스폿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호형태로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부 및 타이어를 수용하는 복수 개의 타이어 수용 홈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Meanwhile, in the prior art,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ire loading table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0-0110657 has been proposed, and the prior art disclosed technology has an opening opened in an arc shape in order to prevent a flat spot phenomenon of the tire. It has a structure including a body having a body,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body, and a plurality of tire accommodating grooves for accommodating tires.

종래 상기와 같은 타이어 적재대는 타이어 규격에 따라 보관 적재대의 크기가 적합하지 않을 경우가 발생하는 단점과, 또한 타이어 수용 홈에 보관되는 타이어의 하단부분은 일정한 하중을 지속적으로 부여받기 때문에 타이어의 플랫 스폿현상을 완전히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the tire loading rack as described abov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ize of the storage tray is not suitable according to the tire standard. Also, the lower part of the tire stored in the tire receiving groove is continuously subjected to a constant load, so that the flat spot of the tire occur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henomenon could not be completely prevented.

타이어를 장기간 보관시 타이어 자체하중에 의해 야기되는 트레드 부분의 국부적인 변형인 플랫 스폿현상을 방지하여 타이어의 성능저하를 예방하는 타이어 변형방지 보관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ire deformation prevention storage stand that prevents the flat spot phenomenon, which is a local deformation of the tread part caused by the tire's own load, when the tire is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by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f the tire's performance.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변형방지 보관대는, 사각형의 꼭지점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제1 내지 제4 수직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간을 연결하고, 상기 제3 및 제4 수직 프레임 간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수평 프레임; 상기 제2 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3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제4 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1 수직 프레임 간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수평 프레임;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간을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롤러가 구비되는 제3 수평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제2 수평 프레임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고, 회동 중심으로 기능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회동암과, 상기 회동암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2 롤러를 포함하는 회동부; 및 상기 제1 롤러 및 한 쌍의 상기 제2 롤러의 둘레를 일주하도록 구비되는 벨트부가 구비되어 타이어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한다.The tire deformation prevention storage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first to fourth vertical frames sequentially forming vertices of a rectangle; a pair of first horizontal frames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rames and connecting the third and fourth vertical frames; a pair of second horizontal frames connecting the second vertical frame and the third vertical frame and connecting the fourth vertical frame and the first vertical frame; a third horizontal frame provided to connect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frames and provided with at least one first roller; A hinge part provided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pair of second horizontal frames and functioning as a rotation center, a pivot arm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inge part, and a second roller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pivot arm a rotating unit including; and a mounting portion provided with a belt portion provided to circumferentially surround the first roller and the pair of second rollers to mount the tire.

또한 상기 회동부는, 상기 회동암이 상기 힌지부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하향 연장되고, 상기 제2 롤러는 한 쌍의 상기 회동암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al part, the rotational arms may extend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hinge part, respectively, and the second roller may be rotatably connected between a pair of the rotational arms.

또한 상기 벨트부는, 몸체를 형성하는 벨트 몸체부; 상기 벨트 몸체부의 양면 중 상기 타이어와 접촉하는 면에 구비되고,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접촉부; 및 상기 벨트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코어를 형성하고, 합성수지 재질의 직물 타입으로 구비되는 코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lt portion, a belt body portion forming a body; a contact portion provided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ire among both surfaces of the belt body portion and formed of any one of natural rubber and synthetic rubber; and a core part provided inside the belt body part to form a core, and provided in a synthetic resin fabric type.

또한 상기 회동암은 상기 타이어의 수납 방향측으로 연장되는 연장암과, 상기 연장암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암이 상기 타이어측으로 회동 시 상기 타이어에 접촉하여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on arm may include an extension arm extending in a storage direction of the tire, and a pressing unit provided at an end of the extension arm to contact and press the tire when the rotation arm rotates toward the tire.

또한 상기 연장암은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nsion arm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한 쌍의 제2 수평 프레임을 따라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mounting portions may be provided along the pair of second horizontal frames.

또한 상기 거치부와 인접하는 타 거치부 사이에는 공간을 구획하는 스페이서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spacer for partitioning a spac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and other adjacent mounting units.

또한 상기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제2 수평 프레임은 수직 방향으로 둘 이상인 다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supporting the mounting portion may form a multilayer structure of two or more in a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변형방지 보관대는 타이어를 장기간 보관할 때 회전봉들 위에 세워 보유 지지되는 타이어들을 지속적으로 천천히 회전시키어 보관함에 따라 타이어의 자체 자중으로 야기될 수 있는 국부적인 변형인 플랫 스폿현상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The tire deformation prevention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prevent the flat spot phenomenon, which is a local deformation that may be caused by the tire's own weight, as the tires are continuously and slowly rotated and stored while standing on the rotating rods when the tire is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has bee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보관대의 일부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 부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의 단면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에 타이거가 거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에 타이어가 거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tire storage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a moun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state of a part of FIG. 2 .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bel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and 6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iger is mounted on a mounting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a rotat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8 and 9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ire is mounted on a mount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7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Unless there is a specific definition or reference, the terms indicating the direction used in this description are based on the state indicated in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members throughout each embodiment. On the other hand,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may have an exaggerated thickness or dimens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es not mean that it should actually be configured in a ratio between the corresponding dimensions or components.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보관대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보관대의 일부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일 부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의 단면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A tire storage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state of a tire storage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moun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lso, FIG.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state of a part of FIG. 2,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belt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변형방지 보관대(100)는 다수의 수직 프레임과 수평프레임들을 지지구조로서 구비하고, 이들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어 타이어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를 구비한다.The tire deformation prevention storage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and horizontal frames as a support structure, and is supported by these frames and includes a cradle for mounting the tire.

먼저 프레임 구조는 다음과 같다. 직육면체의 수직 방향의 모서리의 위치에 4개의 수직 프레임(110)이 구비된다. 도 1의 좌측부터 시계 방향으로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이 도시되어 있고, 제3 및 제4 수직 프레임은 생략되어 있다.First, the frame structure is as follows. Four vertical frames 110 are provided at positions of corner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rames are shown in a clockwise direction from the left of FIG. 1 , and the third and fourth vertical frames are omitted.

제1 수평 프레임(112)은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간(110)과 제3 및 제4 수직 프레임 간을 연결한다. 제2 수평 프레임(114)은 제2 수직 프레임(미도시)과 제3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고, 제4 수직 프레임(미도시)과 제1 수직 프레임(110) 간을 연결한다. 제1 수평 프레임(112)과 제2 수평 프레임(114)은 위와 같이 한 쌍으로 구비되며, 서로 평행하게 위치한다.The first horizontal frame 112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rames 110 and the third and fourth vertical frames. The second horizontal frame 114 connects the second vertical frame (not shown) and the third vertical frame, and connects the fourth vertical frame (not shown) and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 The first horizontal frame 112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114 are provided as a pair as above, and are positioned parallel to each other.

제3 수평 프레임(121)은 제1 수평 프레임(112)간을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제3 수평 프레임(121)은 한 쌍의 제2 수평 프레임(114)의 중앙 하부측에 위치하며 제2 수평 프레임(114)과 평행하게 구비된다. The third horizontal frame 121 is provided to connect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frames 112 . The third horizontal frame 121 is locat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pair of second horizontal frames 114 and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horizontal frame 114 .

거치부(120)는 제2 수평 프레임(114)에 하중이 걸린 상태로 제2 수평 프레임(114)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2 수평 프레임(114)과 제3 수평 프레임(1121)과 복수의 거치부(120) 구조는 수직 프레임(110)의 수직 방향을 따라 다층 구조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A plurality of mounting units 120 may be provided along the second horizontal frame 114 with a load applied to the second horizontal frame 114 .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114 , the third horizontal frame 1121 , and the plurality of mounting units 120 may be formed in a multi-layered structur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110 .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거치부(120)는 벨트부(121)와 회동부를 구비하며, 벨트부(121)는 회동부에 의하여 제2 수평 프레임(114)에 거치된다.Referring to FIG. 2 , the mounting unit 120 includes a belt unit 121 and a rotating unit, and the belt unit 121 is mounted on the second horizontal frame 114 by the rotating unit.

회동부는 힌지부(1141), 회동암(126) 및 제2 롤러(124)를 포함한다. The rotating unit includes a hinge unit 1141 , a rotating arm 126 , and a second roller 124 .

힌지부(1141)는 한 쌍의 제2 수평 프레임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고, 회동암(126)이 그네와 같이 회동하는 경우 회동 중심으로 기능한다. 회동암(126)은 한 쌍의 바 타입으로 형성되며 하단에는 제2 롤러(124)가 구비된다. 즉, 회동암(126)이 힌지부(1141)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하향 연장되고, 제2 롤러(124)는 한 쌍의 회동암(126)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hinge part 1141 is provided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pair of second horizontal frames, and functions as a rotation center when the pivot arm 126 rotates like a swing. The pivot arm 126 is formed in a pair of bar types, and a second roller 124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That is, the pivot arm 126 may extend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hinge unit 1141 , respectively, and the second roller 124 may be rotatably connected between the pair of pivot arms 126 .

한편, 제3 수평 프레임(1121)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롤러(123)들이 구비된다. 제1 롤러(123)는 거치부(120)의 수에 대응하여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horizontal frame 112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rollers 12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roller 123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mounting parts 120 .

벨트부(121)는 제1롤러(123)와 한 쌍의 제2 롤러(124)의 주위를 일주하도록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역삼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된다.The belt part 121 is provided to go around the first roller 123 and the pair of second rollers 124 so as to have an inverted triangle shape as a whole.

한편, 하나의 거치부(120)와 인접하는 타 거치부의 사이에는 스페이서(130)가 구비될 수 있다. 스페이서(130)는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거치부에 거치되는 타이어들이 적치되는 공간을 구분하기 위한 구조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Meanwhile, a spacer 130 may be provided between one mounting portion 120 and another adjacent mounting portion. The spacer 13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and structures,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structure for dividing a space in which the tires mounted on each mounting unit are placed.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벨트부(121)는 벨트 몸체부(1213), 코어부(1215) 및 접촉부(1211)를 포함한다. 벨트 몸체부(1213)는 벨트부(121)의 몸체를 형성하고, 접촉부(1211)는 벨트 몸체부(1213)의 양면 중 타이어와 접촉하는 면에 구비된다. 접촉부(1211)는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다. 코어부(1215)는 벨트 몸체부(1213)의 내부에 구비되어 코어를 형성한다. 코어부(1215)는 합성수지 재질의 직물 타입으로 구비된다. 코어부(1215)는직물 타입으로 형성되어 늘어나지 않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됨으로써 벨트부(121)에 타이어가 적치되더라도 벨트부(121)가 늘어나지 않도록 방지하는 작용을 하며, 벨트 몸체부(1213)이 유연성을 갖는 재질인 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도록 한다.3 and 4 , the belt part 121 includes a belt body part 1213 , a core part 1215 , and a contact part 1211 . The belt body portion 1213 forms a body of the belt portion 121 , and the contact portion 1211 is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belt body portion 1213 that is in contact with the tire among both surfaces. The contact portion 1211 is formed of any one of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ubber. The core part 1215 is provided inside the belt body part 1213 to form a core. The core part 1215 is provided in a synthetic resin fabric type. The core part 1215 is formed of a fabric type and is provided with a non-stretchable synthetic resin material to prevent the belt part 121 from being stretched even when the tire is placed on the belt part 121, and the belt body part 1213 is flexible. As long as it is a material with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도 1에 따른 타이어 보관대에 타이어를 거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에 타이거가 거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A process of mounting the tire on the tire storage stand according to FIG.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5 and 6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iger is mounted on a mounting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타이어(Tire)가 벨트부(121)의 상부로부터 거치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부(121)의 상부가 눌리면서 회동암(126)이 내측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 때 벨트부(121)의 상부는 타이어의 하부면의 형상에 따라 곡선으로 휘어지게 되고 타이어의 하부를 균일하게 지지하게 된다. 기존의 봉 타입의 지지구조에 비하여 타이어에 국부적으로 가해지는 힘이 균일하게 바뀔 수 있다.When the tire is mount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belt part 121 , as shown in FIG. 6 , the upper part of the belt part 121 is pressed and the pivot arm 126 rotates inward. At this time, the upper portion of the belt portion 121 is bent in a curved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ire, and uniformly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tir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rod-type support structure, the force applied locally to the tire can be uniformly changed.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부를 구비하는 거치부를 설명한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에 타이어가 거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A mounting unit having a rotat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rotat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S. 8 and 9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tire is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7 .

본 실시예에 따른 회동부의 경우 회동암(126)으로부터 내측, 즉 타이어가 거치되는 방향으로 연장암(1261)이 구비되며, 연장암(1261)의 단부에는 가압부(1263)이 구비된다. 연장암(1261)은 한 쌍의 회동암(126)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이 때 연장암(1261)은 하향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압부(1263)는 롤러 타입이나 기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펀지나 타이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타이어와 접촉하여 지지하기 위한 구성부이다.In the case of the rotat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tension arm 1261 is provided inside from the pivot arm 126 , that i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ire is mounted, and the pressing part 1263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arm 1261 . The extension arms 1261 extend from a pair of pivot arms 126, respectively, and in this case, the extension arms 1261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The pressing part 1263 may be formed of a roller type or other material such as a sponge or tire capable of absorbing an impact, and is a component for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tir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암(1261)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타이어가 적치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암(126)이 내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가압부(1263)가 점차 수평에 가깝게 함께 이동하게 된 후 타이어와 접촉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8 , when the tire is loaded when the extension arm 1261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s shown in FIG. 9 , as the pivot arm 126 rotates inward, the pressing unit 1263 is It gradually moves closer to the horizontal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ire.

타이어의 하부를 받쳐서 보관하는 경우 타이어의 하중이 양측면측에 집중되어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가압부(1263)는 타이어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받쳐줌으로써 횡방향측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1263)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타이어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오목한 접촉면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storing under the tire, the load on the tire is concentrated on both sides and deformation may occur. The pressing part 1263 can minimize the deforma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by pressing and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tire. Therefore, the shape of the pressing part 1263 can be formed in various ways.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o have a concave contact surface in order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tire.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ed in the claims. have.

100: 타이어 보관대
110: 제1 내지 제4 수직 프레임
112: 제1 수평 프레임
114: 제2 수평 프레임
121: 벨트부
123: 제1 롤러
124: 제2 롤러
126: 회동암
130: 스페이서
1121: 제3 수평 프레임
1141: 힌지부
100: tire storage stand
110: first to fourth vertical frames
112: first horizontal frame
114: second horizontal frame
121: belt part
123: first roller
124: second roller
126: hoedongam
130: spacer
1121: third horizontal frame
1141: hinge part

Claims (8)

사각형의 꼭지점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제1 내지 제4 수직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간을 연결하고, 상기 제3 및 제4 수직 프레임 간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수평 프레임;
상기 제2 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3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제4 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1 수직 프레임 간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수평 프레임;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간을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롤러가 구비되는 제3 수평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제2 수평 프레임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고, 회동 중심으로 기능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회동암과, 상기 회동암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2 롤러를 포함하는 회동부; 및
상기 제1 롤러 및 한 쌍의 상기 제2 롤러의 둘레를 일주하도록 구비되는 벨트부가 구비되어 타이어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변형방지 보관대.
first to fourth vertical frames sequentially forming vertices of a quadrangle;
a pair of first horizontal frames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rames and connecting the third and fourth vertical frames;
a pair of second horizontal frames connecting the second vertical frame and the third vertical frame and connecting the fourth vertical frame and the first vertical frame;
a third horizontal frame provided to connect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frames and provided with at least one first roller;
A hinge part provided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pair of second horizontal frames and functioning as a rotation center, a pivot arm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inge part, and a second roller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pivot arm a rotating unit including; and
Tire deformation prevention storage including; a belt portion provided to circumferentially around the first roller and the pair of second rollers, and a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tire is moun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회동암이 상기 힌지부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하향 연장되고, 상기 제2 롤러는 한 쌍의 상기 회동암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타이어 변형방지 보관대.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onal portion may include: the rotational arms extend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hinge portion, respectively, and the second roller is rotatably connected between a pair of the rotational arm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몸체를 형성하는 벨트 몸체부;
상기 벨트 몸체부의 양면 중 상기 타이어와 접촉하는 면에 구비되고,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접촉부; 및
상기 벨트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코어를 형성하고, 합성수지 재질의 직물 타입으로 구비되는 코어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변형방지 보관대.
According to claim 1,
The belt part,
a belt body forming a body;
a contact portion provided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ire among both surfaces of the belt body portion and formed of any one of natural rubber and synthetic rubber; and
Tire deformation prevention storage stand including a; the core is provided inside the belt body to form a core, and is provided in a synthetic resin fabric ty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암은 상기 타이어의 수납 방향측으로 연장되는 연장암과, 상기 연장암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암이 상기 타이어측으로 회동 시 상기 타이어에 접촉하여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변형방지 보관대.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on arm includes an extension arm extending in a storage direction of the tire, and a pressing part provided at an end of the extension arm to contact and press the tire when the rotation arm rotates toward the tir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암은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타이어 변형방지 보관대.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xtension arm is a tire deformation prevention storage stand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한 쌍의 제2 수평 프레임을 따라 복수개 구비되는 타이어 변형방지 보관대.
According to claim 1,
A tire deformation prevention storage st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mounting portions along the pair of second horizontal fram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와 인접하는 타 거치부 사이에는 공간을 구획하는 스페이서가 구비되는 타이어 변형방지 보관대.
7. The method of claim 6,
A tire deformation prevention storage stand provided with a spacer for partitioning a space between the mounting unit and other adjacent mounting uni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제2 수평 프레임은 수직 방향으로 둘 이상인 다층 구조를 형성하는 타이어 변형방지 보관대.
According to claim 1,
A tire deformation prevention storage unit in which the mounting unit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supporting the mounting unit form a multi-layer structure of two or more in a vertical direction.
KR1020210112389A 2021-08-25 2021-08-25 Anti-deformation storage stand for tire KR1023353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389A KR102335367B1 (en) 2021-08-25 2021-08-25 Anti-deformation storage stand for t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389A KR102335367B1 (en) 2021-08-25 2021-08-25 Anti-deformation storage stand for ti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367B1 true KR102335367B1 (en) 2021-12-06

Family

ID=78901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389A KR102335367B1 (en) 2021-08-25 2021-08-25 Anti-deformation storage stand for t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36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18454A1 (en) * 2000-01-18 2001-07-25 Bridgestone/Firestone, Inc. Supportive pin rack for green tire storage
KR100553693B1 (en) * 2004-09-24 2006-02-2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Green tire form supporting apparatus
DE202014104016U1 (en) * 2013-08-28 2014-10-21 Martin Grexa Device for tire storage
JP2016007795A (en) * 2014-06-25 2016-01-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Green tire transfer carriage
JP2016215514A (en) * 2015-05-21 2016-12-2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Green tire-carrying/retain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18454A1 (en) * 2000-01-18 2001-07-25 Bridgestone/Firestone, Inc. Supportive pin rack for green tire storage
KR100553693B1 (en) * 2004-09-24 2006-02-2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Green tire form supporting apparatus
DE202014104016U1 (en) * 2013-08-28 2014-10-21 Martin Grexa Device for tire storage
JP2016007795A (en) * 2014-06-25 2016-01-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Green tire transfer carriage
JP2016215514A (en) * 2015-05-21 2016-12-2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Green tire-carrying/retain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5367B1 (en) Anti-deformation storage stand for tire
JP5415847B2 (en) Film carrier
JPH08290805A (en) Stacker crane and article transferring method
CN216660885U (en) Air chamber goods shelves that multilayer can overturn
JP2005324815A (en) Panel conveying container
JP2631049B2 (en) Pallets for rolls
TWM527270U (en) Wine bottle display stand
US3055506A (en) Rack for television tubes
CN110758885A (en) Top cover outer plate container
KR20050017714A (en) A panel shipping container
CN214297656U (en) Storage goods shelves convenient to remove
CN219511162U (en) Wood board drying and stacking frame
JP3391472B2 (en) Vending machine product unloading device
CN220500718U (en) Safe transfer structure for glass bottle production workshop
KR102227511B1 (en) Lift-up Covering Shelf
CN116022055B (en) Display shelf carrying equipment
JP3957017B2 (en) Glass plate cassette
CN115783508A (en) New energy hydrogen cylinder transportation fixing device and method
CN212099919U (en) Tunnel detector package assembly
CN212197680U (en) Weaving reel rack convenient to loading and unloading
JPH11170391A (en) Supporting device of ring-shaped body
JP4073684B2 (en) Load direction turning device
JP3959458B2 (en) Caster mechanism for pallets, etc.
KR920004604Y1 (en) Tray for roll
KR200355763Y1 (en) Chip packing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