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223B1 - 슬링 길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슬링 길이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223B1
KR102335223B1 KR1020190162341A KR20190162341A KR102335223B1 KR 102335223 B1 KR102335223 B1 KR 102335223B1 KR 1020190162341 A KR1020190162341 A KR 1020190162341A KR 20190162341 A KR20190162341 A KR 20190162341A KR 102335223 B1 KR102335223 B1 KR 102335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ng
length
length adjustment
hand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2258A (ko
Inventor
이상근
황귀철
이상욱
박세훈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62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223B1/ko
Publication of KR20210072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22Sling or load pro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5/00Implements for fastening, connecting or tensioning of wire or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슬링 길이조절장치는 길이조절 몸체, 슬링의 일측을 지지 가능하고 길이조절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고정부에 감겨 되돌아온 슬링의 타측을 지지 가능하고 고정부로부터의 거리가 가변 가능하도록 길이조절 몸체에 탈부착 가능한 길이조절부를 통해 지지체로부터 구조물까지 이르는 슬링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링 길이 조절 장치{SLING LENGTH ADJUSTER}
아래의 설명은 슬링 길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정부 및 길이조절부에 슬링을 접촉시키고 길이조절 몸체가 고정부 및 길이조절부를 지탱함으로써 슬링의 길이를 보다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조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크레인을 이용하는 작업이 많이 수행된다. 크레인 작업을 할 때 구조물과 크레인을 연결하기 위해서 슬링(sling)이 주로 이용된다. 슬링(sling)이란 무거운 짐을 크레인을 사용해서 취급 및 운반할 때 사용하는 인양로프 또는 인양용구를 말한다. 다시 말해, 슬링은 크레인의 훅이나 기타 권상기구에 화물을 달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로 봉제된 웹 요소로 구성된다. 슬링은 중량물을 취급하는 작업현장 등에서 주로 활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슬링은 규격화 되어 있기 때문에, 크레인에 연결되는 중량물의 허용안전하중에 적합하고, 중량물의 크기에 따른 적절한 길이의 슬링이 요구된다. 그러나, 적절한 길이의 슬링을 결정하는데에 있어서 애로사항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되는 치구류, 시험체와 같은 구조물들은 일반적인 산업현장에서의 사용되는 중량물과는 달리 비대칭하고 복합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런 구조물들은 무게중심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많고 치구의 설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치구나 구조물들이 설치될 수 있다. 복합형상을 가진 구조물을 크레인과 벨트슬링을 이용하여 매달게 되면 비대칭 구조형상으로 인해 매달린 물체가 수평을 유지하지 않고 기울어져서 작업자가 불안정한 자세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슬링을 매듭지어 설치하여 기울어진 구조물의 수평이 맞춰지는 경우도 있지만, 이런 경우, 슬링의 몸체가 손상되거나 매듭의 원상복구가 불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사람이 라운드 슬링을 이용하여 비대칭구조물을 크레인에 매다는 방법도 있지만 비대칭구조물의 무게중심을 맞추기가 어렵고 무게중심을 잘못 맞추게 되면 비대칭구조물이 미끄러지거나 치우쳐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비대칭구조물의 구조적 특징을 반영하여 작업할 때마다 길이가 다른 벨트슬링을 선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제한된 환경에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시험체 및 시험치구와 같은 구조물을 반복적으로 설치 및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 슬링의 길이를 안정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규격화되어 제작가능한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공보 제 2006-0035704호는 길이 가변형 와이어슬링에 대한 기술을 개시한다. 길이 가변형 와이어슬링은 중량의 운반물을 운반하기 위한 와이어슬링의 와이어로프와 걸이부재의 사이에 간단한 조작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아이볼트와 연결너트로 구성된 길이조절수단이 연결 설치되어, 운반물의 운반작업시 운반물의 걸이부가 상이한 설치높이를 가지더라도 길이조절수단의 연결너트를 회전시켜 와이어로프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실시예의 목적은, 길이조절 몸체에 고정되고 슬링의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 감겨 되돌아온 슬링의 타측을 지지 가능하고 고정부로부터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를 통해 슬링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슬링 길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의 목적은, 고정부 및 길이조절부의 각 구성이 동일한 치수를 가지는 슬링 길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슬링 길이조절장치는 길이조절 몸체, 슬링(sling)의 일측을 지지 가능하고, 상기 길이조절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감겨 되돌아온 상기 슬링의 타측을 지지 가능하고 상기 고정부로부터의 거리가 가변 가능하도록 상기 길이조절 몸체에 탈부착 가능한 길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 몸체는 상기 슬링이 상기 길이조절 몸체의 좌우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좌측부 및 우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링 길이조절장치는 상기 슬링이 상기 길이조절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측 이탈방지부 및 상기 슬링이 상기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측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 몸체는 상기 길이조절부가 탈부착 가능한 복수개의 장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 홈은 상기 길이조절 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고정부를 향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 몸체는 상기 복수개의 장착 홈을 상호 연통시키는 이동 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장착 홈은 각각, 상기 이동 슬롯으로부터 상기 고정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장착 홈은 각각 상기 이동 슬롯으로부터 상기 고정부를 향하여 경사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개의 장착 홈의 중심을 지나는 상하선의 길이가 좌우선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슬링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슬링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지탱해주는 이동몸체, 상기 이동몸체로부터 이격 되어 위치하고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제1핸들 및 상기 이동몸체 및 상기 제1핸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1연결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몸체는 상기 이동몸체의 일단 및 상기 제1핸들의 일단을 상호 연결시키는 좌측 연결몸체 및 상기 이동몸체의 타단 및 상기 제1핸들의 타단을 상호 연결시키는 우측 연결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 몸체는 상기 좌측 연결몸체 및 상기 우측 연결몸체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길이조절 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이동몸체는 원통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슬링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슬링의 길이 조절을 위해 상기 슬링을 지지해 주는 고정몸체, 상기 고정몸체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제2핸들 및 상기 고정몸체 및 상기 제2핸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2연결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몸체와 상기 제2연결몸체, 상기 이동몸체와 상기 고정몸체 및 상기 제1핸들과 상기 제2핸들은 동일한 치수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1핸들 및 상기 제2핸들은 상기 길이조절 몸체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슬링 길이조절장치는 길이조절 몸체에 고정되고 슬링의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 감겨 되돌아온 슬링의 타측을 지지하고 고정부로부터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를 통해 슬링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슬링의 길이를 보다 간단한 구조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슬링 길이조절장치는 고정부 및 길이조절부의 각 구성이 동일한 치수를 가지게 제작됨으로써 규격화된 치수로 보다 간편하게 고정부 및 길이조절부의 각 구성을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슬링 길이조절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슬링 길이조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 몸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부의 각 구성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각 구성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슬링 길이조절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슬링 길이조절장치(1)는 슬링(R)의 중간에 연결될 수 있다. 슬링 길이조절장치가 슬링(R)의 중간에 연결되어 지지체(S)로부터 구조물(O)에 이르는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슬링 길이조절장치는 구조물(O)이 지면에 대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체(S)는, 예를 들어, 공사현장에서 이용하는 크레인이나 구조시험에서 슬링(R)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단자가 될 수 있다. 구조물(O)이 지면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고 자세가 안정화된 후 구조시험을 하거나 크레인을 이용한 공사작업을 하는 경우, 안전사고가 예방되고 구조물(O)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슬링 길이조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슬링 길이조절장치(1)는 슬링 길이조절장치(1)의 각 부분에 지지되게 슬링(R)과 연결됨으로써 슬링(R)이 각 부분에 감겨 되돌아오는 구조를 만들 수 있다. 슬링(R)이 슬링 길이조절장치(1)를 통해 되돌아오는 부분을 조절함으로써, 지지체(S)로부터 구조물(O)에 이르는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슬링 길이조절장치(1)는 길이조절 몸체(11), 길이조절부(12) 및 고정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조절 몸체(11)는 슬링(R)이 길이조절 몸체(11)의 좌우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좌측부 및 우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조절 몸체(11)는 좌측부 및 우측부로 구성된 한 쌍의 판으로 제작되고 슬링(R)은 한 쌍의 판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쌍의 판 사이에서 슬링(R)은 길이조절부(12) 및 고정부(13)를 통해 순차적으로 두 번 되감기는 형상으로 길이조절 몸체(1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 몸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길이조절 몸체(11)는 복수개의 장착 홈(111), 이동 슬롯(112) 및 고정 홈(11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장착 홈(111)은 길이조절부(12)가 탈부착 가능한 홈으로, 길이조절부(12)가 복수개의 장착 홈(111) 중 하나에 부착한 경우, 복수개의 장착 홈(111)은 길이조절부(12)가 부착한 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을 방지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장착 홈(111)은 길이조절 몸체(1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고정부(13)를 향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장착 홈(111)이 고정부(13)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길이조절부(12)는 장착 홈(111)에 부착되고, 길이조절부(12)의 중심을 중심으로 장착 홈(111)에 삽입된 길이조절부(12)의 일면의 반대면에 슬링(R)이 길이조절부(12)를 감싸 감길 수 있다. 따라서, 도 2처럼 슬링(R)은 고정부(13)를 중심으로 일차 절곡 되고, 길이조절부(12)를 중심으로 이차 절곡 되는 구조로 감길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구조물의 중력에 따라 발생되어 슬링에 인가되는 장력이, 길이조절부(12)를 장착 홈(111)의 함몰 방향으로 삽입되게 힘을 작용할 수 있다. 슬링(R)의 장력이 길이조절부(12)를 장착 홈(111)의 함몰 방향으로 삽입되게 힘을 작용함으로써, 별도의 안전 장치 없이도 길이조절부(12)가 안정적으로 장착 홈(111)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장착 홈(111)은 각각 이동 슬롯(112)으로부터 고정부(13)를 향하여 경사진 방향을 기준으로, 장착 홈(111)의 중심을 지나는 상하선의 길이가 좌우선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장착 홈(111)은 타원의 일부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지면을 기준으로, 타원의 중심을 지나는 지면과 수평한 좌우선 및 지면과 수직한 상하선을 그을 수 있다. 복수개의 장착 홈(111)은 좌우선보다 상하선의 길이가 더 긴 타원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복수개의 장착 홈(111)이 좌우선보다 상하선의 더 긴 타원형상을 포함함으로써, 길이조절부(12)는 장착 홈(111)에 더 깊이 부착될 수 있고, 길이조절 몸체(11)는 부착된 길이조절부(12)가 장착 홈(111)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 슬롯(112)은 복수개의 장착 홈(111)을 상호 연통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장착 홈(111)은 이동 슬롯(112)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장착 홈(111)에 부착된 길이조절부(12)는 이동 슬롯(112)을 통해 다른 장착 홈(111)으로 이동될 수 있다. 길이조절부(12)가 이동 슬롯(112)을 통해 복수개의 장착 홈(111) 사이를 이동함으로써 길이조절부(12)와 고정부(13)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3)가 고정 홈(113)에 고정된 상태에서, 길이조절부(12)가 고정 홈(113)에 가장 가까운 장착 홈(111)에 부착되어 있다가 사람의 손이나 기구에 의해 들려 장착 홈(111)을 이탈할 수 있다. 이탈된 길이조절부(12)는 다시 사람의 손이나 기구에 의해 이동 슬롯(112)을 따라 고정부(13)에 가장 먼 장착 홈(111)에 이동되어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길이조절부(12)를 이동 슬롯(112)을 통해 이동시킴으로써 고정부(13) 및 길이조절부(1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고정부(13) 및 길이조절부(1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사람 또는 기구가 길이조절부(12)를 장착 홈(111)과 이동슬릿(112)이 만나는 지점에 놓아주면, 길이조절부(12)는 슬링(R)의 장력 및 중력에 의해 장착 홈(111)으로 인입할 수 있다. 즉, 사람 또는 기구가 길이조절부(12)의 위치를 이동슬롯(112)내에서만 바꿔줘도 길이조절부(12)는 자동적으로 장착 홈(111)에 부착될 수 있다.
고정 홈(113)은 고정부(13)를 길이조절 몸체(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13)는 길이조절부(12)와 달리 고정 홈(113)에 고정되어 길이조절부(12)의 이동과 관계없이 고정되는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홈(113)은 고정부(13)를 길이조절 몸체(11)에 고정하고 고정부(13)는 슬링(R)을 지탱하면서 슬링(R)이 길이조절 몸체(11)에 연결될 수 있도록 작용할 수 있다. 고정 홈(113)은 길이조절 몸체(11)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각각 존재하고, 고정부(13)는 각 고정 홈(113)들을 관통하게 연결되어 고정 홈(113)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부의 각 구성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길이조절부(12)는 고정부(13)에 감겨 되돌아온 슬링(R)을 지지 가능하고, 슬링(R)은 길이조절부(12)에서 다시 한번 더 감기면서 감기는 방향이 바뀔 수 있다. 길이조절부(12)는 고정부(13)로부터의 거리가 가변 가능하도록 길이조절 몸체(11)에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길이조절부(12) 및 고정부(13) 사이의 거리 조절을 통해 길이조절부(12) 및 고정부(13)에 감겨 있는 슬링(R)의 감긴 사이의 거리도 조절되어, 전체적으로 지지체(S)및 구조물(O)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길이조절부(12)는 이동몸체(121), 제1핸들(122) 및 제1연결몸체(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몸체(121)는 슬링(R)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으로 슬링(R)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슬링(R)을 지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몸체(121)는 복수개의 장착 홈(111)을 통해 길이조절 몸체(11)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관통하여 길이조절 몸체(11)에 부착될 수 있다. 이동몸체(121)는 복수개의 장착 홈(111) 중 하나에 부착되고, 이동몸체(121)가 장착 홈(111)에 부착된 상태에서 슬링(R)은 이동몸체(121)에 감겨 돌아갈 수 있다. 따라서, 이동몸체(121)를 복수개의 장착 홈(111)에 부착시킴으로써 슬링(R)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슬링(R)의 길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이동몸체(121)에 감겨있는 슬링(R)을 지탱할 수 있다.
또한, 이동몸체(121)는 원통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몸체(121)는 제1연결몸체(123)와 연결되는 부분 이외에 원통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이동몸체(121)는 둥근 곡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슬링(R)이 이동몸체(121)에 감기는 경우 둥근 곡면을 따라 부드럽게 감길 수 있다. 따라서, 슬링(R)이 길이조절 몸체(111)에 결합되어 길이조절이 될 때 슬링(R)이 미끄러져 길이조절 몸체(111)에 쓸릴 수 있는데, 이동몸체(121)를 원통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원통형상의 이동몸체(121)는 슬링(R)의 마모를 방지하고 슬링(R)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몸체(121)가 원통형상으로 제작됨으로써 장착 홈(111)에 보다 쉽게 부착될 수 있다.
제1핸들(122)은 이동몸체(121)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제1핸들(122)은 제1연결몸체(12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핸들(122)은 제1연결몸체(123)를 기준으로 이동몸체(121)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제1핸들(122)은 이동몸체(121)와 달리 길이조절 몸체(11)를 관통하지 않고 길이조절 몸체(11)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핸들(122)은 사용자가 파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핸들(122)은 사용자가 보다 쉽게 파지할 수 있게끔 이동몸체(121)와 마찬가지로 원통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핸들(122)은 제1연결몸체(123)와 연결되고, 제1연결몸체(123)는 이동몸체(121)와 연결됨으로써 사용자는 제1핸들(122)을 이동하여 슬링(R)이 접촉되어 있는 이동몸체(12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핸들(122)을 파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이동몸체(121)의 위치가 변하고 이동몸체(121)에 접촉된 슬링(R)의 이동몸체(121)에 감기는 위치도 변하여 결과적으로 슬링(R)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1연결몸체(123)는 이동몸체(121) 및 제1핸들(122)을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제1연결몸체(123)의 일단에 이동몸체(121)를 연결하고, 제1연결몸체(123)의 타단에는 제1핸들(122)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몸체(121)는 제1연결몸체(123)와 연결되는 부분에 홈을 포함하고, 연결볼트를 이용하여 제1연결몸체(123)의 일단에 이동몸체(121)를 연결할 수 있다. 제1핸들(122)도 이동몸체(121)와 마찬가지로 제1연결몸체(123)와 연결하는 부분에 홈을 포함하고, 연결볼트를 이용하여 제1연결몸체(123)의 타단에 제1핸들(122)을 연결할 수 있다.
제1연결몸체(123)는 좌측 연결몸체 및 우측 연결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몸체(123)는 한 쌍의 연결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길이조절부(12) 이동몸체(121), 제1핸들(122), 좌측 연결몸체 및 우측 연결몸체를 한 세트로 조합할 수 있다. 좌측 연결몸체 및 우측 연결몸체 사이에 이동몸체(121) 및 제1핸들(122)이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좌측 연결몸체 및 우측 연결몸체 사이에 이동몸체(121) 및 길이조절부(12)의 모든 구성이 보이는 정면을 기준으로 보면 길이조절부(12)는 사각형 모양을 이룰 수 있다. 결합이 완성된 길이조절부(12)는 이동몸체(121)가 장착 홈(111)에 부착된 모양으로 길이조절 몸체(11)와 결합할 수 있다.
길이조절 몸체(11)는 좌측 연결몸체 및 우측 연결몸체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길이조절부(12)는 상기 길이조절 몸체(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좌측 연결몸체 및 우측 연결몸체 사이에 길이조절 몸체(11)의 좌측부 및 우측부가 위치하고, 길이조절 몸체(11)의 좌측부 및 우측부 사이에 이동몸체(121)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길이조절부(12)는 좌측 연결몸체 및 우측 연결몸체가 좌측부 및 우측부에 막혀 길이조절 몸체(11)에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길이조절부(12)는 모든 구성이 결합하여 사각형 모양을 이루고 길이조절 몸체(11)에 관통하여 장착 홈(111)에 부착됨으로써, 길이조절부(12)는 길이조절 몸체(11)에 결합되어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길이조절 몸체(11)에 대해 이탈할 수 없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각 구성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13)는 슬링(R)의 일측을 지지 가능하고, 길이조절 몸체(11)에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슬링(R)이 고정부(13)를 감겨 되돌아감으로써 고정부(13)는 슬링(R)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고 길이조절 몸체(11)의 고정 홈(113)에 연결되어 길이조절 몸체(11)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13)가 슬링(R)을 지지하고 고정 홈(113)에 고정됨으로써 슬링(R)의 길이 조절의 기준이 되어, 길이조절부(12)가 부착되는 장착 홈(111)에 따라 길이조절부(12)와 고정부(13)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고 슬링(R)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고정부(13)는 고정몸체(131), 제2핸들(132) 및 제2연결몸체(13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몸체(131)는 슬링(R)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슬링(R)의 길이 조절을 위해 슬링(R)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몸체(131)는 길이조절 몸체(11)의 좌측부 및 우측부 사이에 위치하고, 길이조절 몸체(11)를 관통하여 길이조절 몸체(11)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몸체(131)는 이동몸체(121)와 마찬가지로 원통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몸체(131)는 원통형상을 통해 보다 매끄럽게 슬링(R)과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링(R)은 고정몸체(131)를 감겨 돌아가는 형태로 접촉하게 되는데, 고정몸체(131)를 원통형의 몸체로 제작함으로써 슬링(R)이 보다 매끄럽게 고정몸체(131)를 감을 수 있다. 따라서, 슬링(R)이 미끄러지거나 고정몸체(131)에 쓸릴 때 고정몸체(131)의 원통형상은 슬링(R)의 마모를 방지하고 슬링(R)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핸들(132)은 고정몸체(131)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2핸들(132)은 제2연결몸체(133)를 기준으로 고정몸체(131)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제2핸들(132)은 고정몸체(131)와 달리 길이조절 몸체(131)를 관통하지 않고, 길이조절 몸체11)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핸들(132)은 사용자가 파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핸들132)은 고정몸체(131)와 마찬가지로 원통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몸체(131)가 원통형상으로 제작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간편하게 제2핸들(132)을 파지할 수 있다. 제2핸들(132)은 길이조절 몸체(11)를 기준으로 제1핸들(122)과 서로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핸들(132)을 파지한 후, 제1핸들(122)을 파지하여 길이조절부(12)가 부착되는 장착 홈(111)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제2연결몸체(133)는 고정몸체(131) 및 제2핸들(132)을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제2연결몸체(133)의 일단에 고정몸체(131)를 연결하고, 제2연결몸체(133)의 타단에는 제2핸들(132)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연결몸체(133)는 한 쌍의 몸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2연결몸체(133) 사이에 길이조절 몸체(11)의 좌측부 및 우측부가 위치하고, 길이조절 몸체(11) 사이에 고정몸체(131)가 위치하면서 제2연결몸체(133), 길이조절 몸체(11) 및 고정몸체(131)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연결몸체(123)와 제2연결몸체(133), 이동몸체(121)와 고정몸체(131) 및 제1핸들(122)과 제2핸들(132)은 동일한 치수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제1연결몸체(123)와 제2연결몸체(133), 이동몸체(121)와 고정몸체(131) 및 제1핸들(122)과 제2핸들(132) 각각은 동일한 치수로 제작된 동일한 부품으로 상호 호환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조절부(12) 및 고정부(13)의 각 구성들은 동일한 치수로 제작되어, 작업현장에서 부품의 수량이 부족하거나 긴급하게 교체 사용해야하는 경우, 길이조절부(12) 및 고정부(13)의 각 구성부품들을 서로 호환 가능하므로 서로 부품을 바꿔 길이조절부(12) 및 고정부(13)를 조립할 수 있다. 길이조절부(12) 및 고정부(13)의 각 구성부품들을 서로 호환가능하게 제작함으로써 슬링 길이조절장치(1)의 구조가 보다 단순해질 수 있다. 또한, 단순하고 서로 호환가능한 구조를 통해 제작공정이 간단해져서 효율적인 부품제작이 가능할 수 있다.
슬링 길이조절장치(1)는 슬링(R)과 접촉하여 슬링(R)의 길이를 조절할 뿐 아니라 슬링(R)이 슬링 길이조절장치(1)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막을 수 있어야한다. 즉, 슬링(R)이 고정부(13) 및 길이조절부(12)에 감겨 길이조절된 후에, 슬링 길이조절장치(1)는 슬링(R)이 길이조절 몸체(11)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해야 한다. 슬링 길이조절장치(1)는 슬링(R)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측 이탈방지부 및 하측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이탈방지부는 슬링(R)이 길이조절부(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측 이탈방지부는 슬링(R)이 고정부(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측 이탈방지부는 제1핸들(122)이 될 수 있고 상측 이탈방지부는 제2핸들(132)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링(R)은 길이조절부(12)를 관통하여 지나가고 고정몸체(131)에 감겨 되돌아와서 이동몸체(121)에 다시 감겨 되돌아갈 수 있다. 이동몸체(121)에 다시 감긴 슬링(R)은 고정부(13)를 관통해 지나갈 수 있다. 슬링(R)이 감기고 길이조절부(12) 및 고정부(13)를 관통했던 방향은 그 반대방향으로도 진행할 수 있다. 즉, 길이조절부(12) 및 고정부(13)에 지지된 슬링(R)은 제1핸들(122) 및 제2핸들(132)에 막혀 길이조절부(12) 및 고정부(13)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슬링(R)은 길이조절 몸체(11)로부터의 이탈되지 않고 슬링 길이조절장치(1)에 결합되면서 슬링(R)의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상측 이탈방지부 및 하측 이탈방지부는 길이조절 몸체(11)에 연결되어 슬링(R)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측 이탈방지부는 고정 홈(113)이 있는 길이조절 몸체(11)의 일측에 길이조절 몸체(11)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길이방향을 가진 하측 판을 포함할 수 있다. 하측 판은 길이조절 몸체(11)의 좌측부 및 우측부와 연결되고 제2핸들(132)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좌측부 및 우측부와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측 이탈방지부는 길이조절 몸체(11)의 타측에 길이조절 몸체(11)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길이방향을 가진 상측 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 판은 길이조절 몸체(11)의 좌측부 및 우측부와 연결되고 제1핸들(122)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좌측부 및 우측부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핸들(122) 및 제2핸들(132)이 없더라도 길이조절 몸체(11)에 연결되어 있는 상측 이탈방지부 및 하측 이탈방지부는 제1핸들(122) 및 제2핸들(132)과 같은 용도로 슬링(R)이 길이조절부(12) 및 고정부(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탈방지부는 슬링(R)이 길이조절 몸체(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슬링 길이조절장치
11: 길이조절 몸체
12: 길이조절부
13: 고정부
R: 슬링

Claims (13)

  1. 길이조절 몸체;
    슬링(sling)의 일측을 지지 가능하고, 상기 길이조절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감겨 되돌아온 상기 슬링의 타측을 지지 가능하고, 상기 고정부로부터의 거리가 가변 가능하도록 상기 길이조절 몸체에 탈부착 가능한 길이조절부;
    상기 슬링이 상기 길이조절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측 이탈방지부; 및
    상기 슬링이 상기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측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 몸체는, 상기 슬링이 상기 길이조절 몸체의 좌우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좌측부 및 우측부를 포함하는, 슬링 길이조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 몸체는,
    상기 길이조절부가 탈부착 가능한 복수개의 장착 홈을 포함하는, 슬링 길이조절장치.
  4. 길이조절 몸체;
    슬링(sling)의 일측을 지지 가능하고, 상기 길이조절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및
    상기 고정부에 감겨 되돌아온 상기 슬링의 타측을 지지 가능하고, 상기 고정부로부터의 거리가 가변 가능하도록 상기 길이조절 몸체에 탈부착 가능한 길이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 몸체는, 상기 길이조절부가 탈부착 가능한 복수개의 장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 홈은, 상기 길이조절 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고정부를 향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슬링 길이조절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 몸체는,
    상기 복수개의 장착 홈을 상호 연통시키는 이동 슬롯을 더 포함하는 슬링 길이조절장치.
  6. 길이조절 몸체;
    슬링(sling)의 일측을 지지 가능하고, 상기 길이조절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및
    상기 고정부에 감겨 되돌아온 상기 슬링의 타측을 지지 가능하고, 상기 고정부로부터의 거리가 가변 가능하도록 상기 길이조절 몸체에 탈부착 가능한 길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 몸체는,
    상기 길이조절부가 탈부착 가능한 복수개의 장착 홈;및
    상기 복수개의 장착 홈을 상호 연통시키는 이동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장착 홈은 각각, 상기 이동 슬롯으로부터 상기 고정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슬링 길이조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장착 홈은 각각 상기 이동 슬롯으로부터 상기 고정부를 향하여 경사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개의 장착 홈의 중심을 지나는 상하선의 길이가 좌우선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슬링 길이조절장치.
  8. 길이조절 몸체;
    슬링(sling)의 일측을 지지 가능하고, 상기 길이조절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및
    상기 고정부에 감겨 되돌아온 상기 슬링의 타측을 지지 가능하고, 상기 고정부로부터의 거리가 가변 가능하도록 상기 길이조절 몸체에 탈부착 가능한 길이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슬링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슬링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지탱해주는 이동몸체;
    상기 이동몸체로부터 이격 되어 위치하고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제1핸들; 및
    상기 이동몸체 및 상기 제1핸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1연결몸체를 포함하는, 슬링 길이조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몸체는,
    상기 이동몸체의 일단 및 상기 제1핸들의 일단을 상호 연결시키는 좌측 연결몸체; 및
    상기 이동몸체의 타단 및 상기 제1핸들의 타단을 상호 연결시키는 우측 연결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 몸체는 상기 좌측 연결몸체 및 상기 우측 연결몸체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길이조절 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슬링 길이조절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몸체는 원통형상을 포함하는, 슬링 길이조절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슬링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슬링의 길이 조절을 위해 상기 슬링을 지지해 주는 고정몸체;
    상기 고정몸체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제2핸들; 및
    상기 고정몸체 및 상기 제2핸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2연결몸체를 포함하는, 슬링 길이조절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몸체와 상기 제2연결몸체, 상기 이동몸체와 상기 고정몸체 및 상기 제1핸들과 상기 제2핸들은 동일한 치수로 제작되는, 슬링 길이조절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핸들 및 상기 제2핸들은 상기 길이조절 몸체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슬링 길이조절장치.
KR1020190162341A 2019-12-09 2019-12-09 슬링 길이 조절 장치 KR102335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341A KR102335223B1 (ko) 2019-12-09 2019-12-09 슬링 길이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341A KR102335223B1 (ko) 2019-12-09 2019-12-09 슬링 길이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258A KR20210072258A (ko) 2021-06-17
KR102335223B1 true KR102335223B1 (ko) 2021-12-03

Family

ID=76603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341A KR102335223B1 (ko) 2019-12-09 2019-12-09 슬링 길이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2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2757A (ja) * 2006-12-12 2008-06-2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玉掛けワイヤロープの形状修正装置および方法
KR101784812B1 (ko) * 2015-08-19 2017-11-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 크레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2153Y2 (ja) * 1989-07-18 1996-09-25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パネル用吊治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2757A (ja) * 2006-12-12 2008-06-2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玉掛けワイヤロープの形状修正装置および方法
KR101784812B1 (ko) * 2015-08-19 2017-11-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 크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258A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0548A (en) Collapsible lifting assembly
US4128267A (en) Lifting beam
US3033605A (en) Expansion-type grapple for lifting and carrying loads
US5382131A (en) Tool for manipulating heavy objects
GB1567079A (en) Gripping devices
US3895836A (en) Structural member lifting and releasing device
US2282608A (en) Hoist
KR102335223B1 (ko) 슬링 길이 조절 장치
US9469025B1 (en) Remote anchorage installation tool and method
US9371213B1 (en) Triangular lift frame with load blocks
CN111372884B (zh) 绳索末端的紧固装置及绳索末端的紧固方法
JP2006219265A (ja) 自動調芯吊具、及び、それを用いた吊り上げ方法
JP2014159331A (ja) 吊持装置、及び吊持補助具
JP5913930B2 (ja) 大型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の吊り治具
US4256337A (en) Universal fork assembly
JP2001240360A (ja) 長尺材吊り具
US6648388B2 (en) Safety measures for lifting slings
US3423120A (en) Center lift
US4239272A (en) Rigging sling with separator
US3373846A (en) Locking device for ropes and sheaves
US3252729A (en) Sling carrier
JPH0540057Y2 (ko)
JP7486793B2 (ja) 揚重用吊り天秤
US8864098B2 (en) Plate carrier for plate fixing device
US4008817A (en) Saw blade handl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