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796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796B1
KR102334796B1 KR1020150098658A KR20150098658A KR102334796B1 KR 102334796 B1 KR102334796 B1 KR 102334796B1 KR 1020150098658 A KR1020150098658 A KR 1020150098658A KR 20150098658 A KR20150098658 A KR 20150098658A KR 102334796 B1 KR102334796 B1 KR 102334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display device
cover member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7670A (ko
Inventor
권재중
이혜석
도윤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8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796B1/ko
Priority to US15/161,000 priority patent/US10804485B2/en
Priority to EP16175345.4A priority patent/EP3115866B1/en
Priority to CN201610459475.6A priority patent/CN106340242B/zh
Publication of KR20170007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01L27/325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26Top emission

Abstract

표시장치는 평면상에서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에 인접한 주변 영역이 정의된 표시 부재, 표시 부재 상에 배치된 커버 부재, 표시 부재 및 커버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평면상에서 주변 영역에 중첩하는 베젤 영역 및 베젤 영역에 인접하고 표시 영역에 중첩하는 투과 영역이 정의된 제1 데코레이션 부재, 및 데코레이션 부재 및 커버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베젤 영역에 중첩하는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가 정의된 베이스 부재 및 함몰부에 배치되고 베이스 부재보다 낮은 굴절률을 가진 충진부를 포함하는 제2 데코레이션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박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모니터,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 표시장치는 경량 박형화 추세에 따라 두께 저감을 위해 복수의 층들이 적층되어 구현된다. 표시장치의 적층구조는 표시장치의 시인성 및 표시장치의 신뢰성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박형화에 따른 빛샘 현상이 완화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평면상에서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주변 영역이 정의된 표시 부재, 상기 표시 부재 상에 배치된 커버 부재, 상기 표시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평면상에서 상기 주변 영역에 중첩하는 베젤 영역 및 상기 베젤 영역에 인접하고 상기 표시 영역에 중첩하는 투과 영역이 정의된 제1 데코레이션 부재, 및 상기 데코레이션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베젤 영역에 중첩하는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가 정의된 베이스 부재 및 상기 함몰부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보다 낮은 굴절률을 가진 충진부를 포함하는 제2 데코레이션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충진부의 굴절률은 상기 충진부와 접촉하는 층의 굴절률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점착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제1 데코레이션 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광학 투명 점착층(Optical clear adhesive, OCA), 감압 점착층(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또는 광학 투명 레진층(Optical clear resin, OCR)일 수 있다.
상기 충진부는 상기 커버 부재에 접촉하고, 상기 충진부의 굴절률은 상기 커버 부재의 굴절률보다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제2 데코레이션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를 결합시키는 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충진부는 상기 점착층에 접촉하고, 상기 충진부의 굴절률은 상기 점착층의 굴절률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부재의 두께방향으로 함몰되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의 깊이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두께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를 관통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의 두께와 동일한 깊이를 가진 개구부일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함몰부들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전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정의된 제1 함몰부,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배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정의된 제2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함몰부의 깊이와 상기 제2 함몰부의 깊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데코레이션 부재는, 상기 투과영역을 정의하는 투명층, 및 상기 투명층의 일측 상에 배치되어 상기 베젤 영역을 정의하는 패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층은 백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데코레이션 부재는 상기 커버 부재의 일면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부재는, 상기 표시 영역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커버 부재에 발생하는 외부입력의 좌표정보를 산출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층, 및 상기 표시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층을 밀봉하는 박막 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는 소정의 밴딩축을 따라 일 방향으로 밴딩된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데코레이션 부재는 상기 커버 부재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밴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평면상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주변 영역으로 구분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커버 부재,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영역에 중첩하는 투과 영역 및 상기 투과 영역에 인접하고 상기 주변 영역에 중첩하는 베젤 영역으로 구분되는 제1 데코레이션 부재, 및 상기 제1 데코레이션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베젤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에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투명 패턴을 포함하는 제2 데코레이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데코레이션 부재는, 상기 투과 영역 및 상기 베젤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베젤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정의된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에 충진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굴절률보다 낮은 굴절률을 가진 충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패턴은 상기 개구부 및 상기 충진부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광학 투명 점착층(Optical clear adhesive, OCA), 감압 점착층(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또는 광학 투명 레진층(Optical clear resin, OCR)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1 데코레이션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를 결합시키고, 상기 충진부의 굴절률은 상기 커버 부재의 굴절률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를 결합시키는 점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상기 개구부와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충진부의 굴절률은 상기 점착층의 굴절률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충진부는 공기(ai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진부는 투명한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장치는 베젤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투명 패턴을 포함한다. 투명 패턴은 함몰부 및 함몰부 내에 충진된 충진부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인접하는 층보다 낮은 굴절률을 가진 충진부는 베젤 영역으로 새는 광을 가이딩하여 광이 표시장치의 단부로 진행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베젤 영역에서 나타나는 빛샘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투명 패턴의 형상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베젤 영역을 다양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의 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Ⅰ-Ⅰ'를 따라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작동 상태에 따른 평면도들이다.
도 5a는 비교예의 광 경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광 경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b 및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일 구성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a는 도 9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Ⅱ-Ⅱ'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Ⅰ-Ⅰ'를 따라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S)는 표시 부재(100), 제1 데코레이션 부재(200),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 커버 부재(400), 접착 부재(500), 및 수납 부재(600)를 포함한다.
표시 부재(100)는 평면상에서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ND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는 영상이 표시된다. 표시 영역(DA)은 표시 부재(100)의 중심부에 정의된다.
주변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에 인접하여 정의된다. 주변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에워싸는 프레임 형상일 수 있다.
표시 부재(100)는 표시 패널(110) 및 터치 패널(12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영상을 생성한다. 표시 패널(110)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유기발광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액정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또는 일렉트로웨팅 표시 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 패널(110)은 베이스 층(111), 화소층(112), 및 봉지층(113)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층(111)은 절연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층(111)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고,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층(111)은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소층(112)은 베이스 층(111) 상에 배치된다. 화소층(112)은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화소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표시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소자는 유기발광소자, 액정 커패시터, 전기영동소자, 또는 도전성 잉크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10)은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 패널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화소들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광을 생성하여 영상을 구현한다. 이에 따라, 화소층(112)이 배치된 영역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에 대응될 수 있다.
봉지층(113)은 베이스 층(111) 상에 배치되어 화소층(112)을 커버한다. 봉지층(113)은 화소층(112)을 밀봉시켜 화소층(112)을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봉지층(113)은 화소층(112)으로부터 생성된 광이 외부에서 시인되도록 투명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봉지층(113)은 복수의 유기막 및/또는 무기막이 적층된 적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봉지층(113)은 박막으로 제공되어 표시 패널(110)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봉지층(113)은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봉지층(113)의 강성이 향상되어 표시 패널(110)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표시 패널(110)은 봉지층(113)과 베이스 층(111)을 결합시키는 소정의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120)은 외부입력의 좌표정보를 산출한다. 외부입력은 스타일러스펜,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의한 입력을 포함한다. 외부입력은 실질적으로 커버 부재(400) 상에서 발생할 수 있다.
터치 패널(120)은 봉지층(113)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터치 패널(120)은 봉지층(113) 상에 복수의 터치 패턴들을 직접 증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터치 패널(120)은 별도로 형성되어 봉지층(113) 상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터치 패널(120)은 표시 패널(110)과 일체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터치 패널(120)은 표시 패널(110) 내에 배치된다. 터치 패널(120)은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120)은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저항식 터치 패널 또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있어서, 터치 패널(12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부재(100)는 상술한 표시 패널(110) 및 터치 패널(120) 이외에 표시장치(DS)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부재(100)는 제어부(10), 무선통신 모듈(20), 영상 입력부(30), 음향 입력부(40), 메모리(50), 음향 출력부(60), 외부 인터페이스(70), 방송수신 모듈(80), 및 전원 공급부(9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휴대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0)는 통상적인 기능 이외에 터치 패널(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는 터치 패널(120)로부터 수신된 좌표정보에 근거하여 표시 패널(110), 영상 입력부(30), 메모리(50), 음향 출력부(60) 등을 제어한다.
무선통신 모듈(20)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 모듈(20)은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무선통신 모듈(20)은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22) 및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입력부(30)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표시 패널(110)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음향 입력부(40)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음향 입력부(4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60)는 무선통신 모듈(20)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50)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외부 인터페이스(70)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방송수신 모듈(80)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를 음향 출력부(60) 및 표시 패널(110)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제1 데코레이션 부재(200)는 표시 부재(100) 및 커버 부재(400)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데코레이션 부재(200)는 평면상에서 투과영역(TA) 및 베젤 영역(B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투과영역(TA)은 표시 영역(DA)에 중첩한다. 투과영역(TA)은 표시 영역(DA)에 표시되는 영상이 외부에서 시인되도록 광을 투과시킨다.
베젤 영역(BA)은 주변 영역(NDA)에 중첩한다. 베젤 영역(BA)은 투과영역(TA)에 인접하여 투과영역(TA)을 정의한다. 베젤 영역(BA)은 주변 영역(NDA)이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도록 광을 차단시킬 수 있다.
제1 데코레이션 부재(200)는 투명층(210) 및 패턴층(220)을 포함한다. 투명층(210)은 하부에 배치된 표시영역(DA)이 외부에서 시인되도록 광 투과율이 높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투명층(210)은 베젤 영역(BA) 및 투과영역(TA)에 중첩하며, 투과영역(TA)을 정의한다.
패턴층(220)은 투명층(210)의 일면 상에 배치된다. 패턴층(220)은 광을 차단하도록 투과율이 낮은 물질로 구성된다. 패턴층(220)은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패턴층(220)은 패턴층(220)에 입사되는 광을 컬러광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패턴층(220)은 다양한 컬러를 가질 수 있다. 패턴층(220)의 컬러는 패턴층(220)의 반사율의 차이 또는 패턴층(220)이 포함하는 안료의 차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패턴층(220)의 컬러는 베젤 영역(BA)의 컬러로 정의된다.
패턴층(220)은 대체적으로 반사율이 높은 물질로 구성되거나, 밝은 컬러의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패턴층(220)은 예시적으로 백색을 가질 수 있다.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는 베젤 영역(BA) 및 투과영역(TA)을 커버한다.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는 베젤 영역(BA) 및 투과영역(TA)이 외부에서 시인되도록 광을 투과시킨다.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는 베이스 부재(310) 및 충진부(320)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310)는 베젤 영역(BA) 및 투과영역(TA)에 중첩한다. 베이스 부재(310)는 투과영역(TA)을 통해 출광된 광을 투과시킨다.
베이스 부재(310)는 투명한 절연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투명한 절연물질은 광학적으로 광 투과율이 높은 물질을 의미하며, 불투명하지 않은 절연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310)는 투명한 점착층일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부재(310)는 제1 데코레이션 부재(200)와 커버 부재(400)를 결합시킨다.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310)는 광학 투명 점착층(Optical clear adhesive, OCA), 감압 점착층(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또는 광학 투명 레진층(Optical clear resin, OCR)일 수 있다.
또는, 베이스 부재(310)는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부재(310)는 상대적으로 높은 투과율을 가질 수 있어, 표시장치(DS)의 표시 영역(DA)에서의 영상의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고, 베이스 부재(310)는 다양한 실시예로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310)에는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310-R)가 정의된다. 함몰부(310-R)는 베이스 부재(310)의 일면으로부터 베이스 부재(310)의 두께 방향으로 함몰되어 소정의 공간을 제공한다.
충진부(320)는 함몰부(310-R)가 제공하는 소정의 공간을 충진한다. 충진부(320)는 소정의 광 투과율을 가진다. 충진부(320)는 투명한 절연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투명한 고분자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충진부(320)는 베이스 부재(310)의 굴절률보다 낮은 굴절률을 가진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는 굴절률이 다른 두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충진부(320)는 굴절률이 약 1.5 미만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굴절률이 1.5 미만인 물질은 공기를 포함하므로, 충진부(320)는 특정 물질로 구성되거나, 공기로 구성되어 빈 공간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충진부(320)는 공기(Air), 저 굴절율의 광학 점착층, 또는 저 굴절율의 레진층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충진부(320)는 아크릴레이트 풀루오로 레진(acrylated fluoro resins), 메톡시퍼플루오로 헥산(methoxyperfluoro-hexane), 불소 수지(tetrafluoroethylene, hexafluoropropylene, and vinylidene fluoride, THV), 또는 에어로겔(Aerogel)일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는 다양한 물질로 구성된 충진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 패턴(TP)을 포함한다. 투명 패턴(TP)은 표시 장치(DS)의 베젤 디자인으로 인식하거나, 표시장치(DS)의 특정 상표로 인식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투명 패턴(TP)은 평면상에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투명 패턴(TP)은 "SAMSUNG"이라는 문구로 예시적으로 표시되었다.
투명 패턴(TP)은 함몰부(310-R) 및 충진부(320)에 의해 정의된다.
투명 패턴(TP)의 형상은 함몰부(310-R)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함몰부(310-R)의 형상에 따라 투명 패턴(TP)은 음각 또는 양각 패턴일 수 있다.
또한, 투명 패턴(TP)의 선명도는 충진부(320)를 구성하는 물질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명 패턴(TP)은 충진부(320)의 굴절률에 따라 시인성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커버 부재(400)는 표시 부재(100) 상에 배치된다. 커버 부재(400)는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의 전면을 커버한다.
커버 부재(400)는 투명한 절연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 부재(400)는 표시 영역(DA)에 표시되는 영상의 시인성이 향상되도록 투과율이 높은 물질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부재(400)는 표시장치(DS)의 윈도우(window)일 수 있다.
커버 부재(400)는 표시 부재(100), 제1 데코레이션 부재(200), 및 제3 데코레이션 부재(300)를 보호한다. 또한, 커버 부재(400)는 외부 입력이 실질적으로 제공되는 구성에 해당한다. 따라서, 커버 부재(400)는 소정의 강성을 가진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부재(400)는 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고, 커버 부재(400)는 투과성이 높은 다양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착 부재(500)는 표시 부재(100)와 제1 데코레이션 부재(200) 사이에 배치된다. 접착 부재(500)는 표시 부재(100)와 제1 데코레이션 부재(200)를 결합시킨다.
접착 부재(500)는 표시 영역(DA)에 중첩할 수 있다. 이에 접착 부재(500)는 투과성이 높은 점착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접착 부재(500)가 표시 부재(100) 및 제1 데코레이션 부재(200) 각각에 중첩하는 영역이 넓을수록 고정력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접착 부재(500)는 베젤 영역(BA)에만 중첩될 수도 있다. 이때, 접착 부재(500)는 표시 영역(DA)에 비 중첩하므로, 영상의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에 있어서, 접착 부재(500)는 생략될 수 있다.
수납 부재(600)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정의한다. 수납 부재(600)는 내부 공간에 표시 부재(100), 제1 데코레이션 부재(200), 및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를 수용한다. 수납 부재(600)와 커버 부재(400)는 서로 결합되어 표시장치(DS)의 외관을 정의할 수 있다.
수납 부재(600)에는 소정의 돌출부(600-P)가 정의될 수 있다. 돌출부(600-P)는 제1 데코레이션 부재(200) 및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를 지지한다. 이에 따라, 수납 부재(600)는 서로 단차를 가지고 배치되는 내부 구성들을 내부 공간에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표시장치(DS)를 구동시키고 표시장치(DS)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들도 수납 부재(6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DS)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작동 상태에 따른 평면도들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소정의 공간 내에서 표시장치(DS)를 작동시키는 경우들을 간략히 도시하였다.
도 4a는 환한 명실 공간(SP1)에서 표시장치(DS)의 전원이 꺼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명실 공간(SP1)에서 표시장치(DS)의 전원이 켜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c는 어두운 암실 공간(SP2)에서 표시장치(DS)의 전원이 켜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명실 공간(SP1)은 표시장치(DS) 외부에 광이 존재하여 환한 상태를 나타낸다. 명실 공간(SP1)에서 사용자는 표시장치(DS)의 존재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암실 공간(SP2)은 표시장치(DS)의 외부에 광이 제거되어 어두운 상태를 나타낸다. 암실 공간(SP1)에서 사용자는 표시장치(DS)의 존재를 인식하거나, 표시장치(DS)가 꺼진 상태에서 베젤 영역(BA)과 투과 영역(TA)을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S)는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는 "SAMSUNG"으로 정의된 투명 패턴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베젤 영역(BA)을 그대로 시인할 수 있다. 이때, "SAMSUNG" 패턴은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는다.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S)의 전원이 켜짐에 따라, "SAMSUNG" 패턴 이 시인될 수 있다. 다만, 명실 공간(SP1) 하에서 "SAMSUNG" 패턴 의 시인성은 다소 떨어질 수 있다.
표시장치(DS)의 전원이 일단 켜지면 표시장치(DS)의 빛샘 현상은 발생된다. 그러나 표시장치(DS)의 빛샘 현상은 명실 공간(SP1) 하에서는 시인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SAMSUNG" 패턴을 인식하지 않고 표시장치(DS1)가 표시하는 영상을 시인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암실 공간(SP2) 하에서 표시장치(DS)를 작동시키는 경우, "SAMSUNG" 패턴의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명실 공간(SP1)에 비해 상대적으로 "SAMSUNG" 패턴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S)는 암실 공간(SP2)에서 구현되는 베젤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SAMSUNG" 패턴은 특정 상황, 예를 들어, 암실 공간이고 표시장치(DS)의 전원이 켜진 경우와 같은 상황에서 인식되고 그 외에서는 인식되기 어려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SAMSUNG" 패턴은 표시장치(DS)의 숨겨진 디자인(Hidden design)으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S)는 전원이 켜지거나 꺼진 경우 및 명실이나 암실인 경우에 따라 다르게 구현되는 투명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 된 표시장치(DS)를 제공할 수 있고, 표시장치(DS)의 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a는 비교예의 광 경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광 경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들을 도시하였다.
도 5a에 도시된 비교예(DS-C)와 도 5b에 도시된 표시장치(DS)는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를 제외하고, 모든 구성들이 동일하게 도시되었다. 이하,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 부재(100)는 전원을 공급 받으면, 영상을 구현하는 광(L-OR)을 생성하여 상부로 방출한다. 영상을 구현하는 광(L-OR) 중 표시 영역(DA)에 표시되는 광(L-DP)은 외부로 시인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표시 부재(100)는 복수의 층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가진다. 표시 부재(100)가 박형화 됨에 따라, 영상을 구현하는 광(L-OR) 중 일부는 복수의 층들을 통해 주변 영역(NDA) 및 베젤 영역(BA)으로 새어나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DS) 및 비교예(DS-C)에는 각각 새는 광들(L-SC1, L-SC2, L-SC3)이 나타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비교예(DS-C)는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를 포함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비교예(DS-C)는 함몰부가 구비되지 않은 베이스 부재(310-C)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새는 광(L-SC1)은 커버 부재(40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제1 데코레이션 부재(200), 베이스 부재(310-C), 및 커버 부재(400) 각각의 굴절률들 차이에 따라 광량의 차이는 달라질 수 있으나, 새는 광(L-SC1)의 대부분은 외부로 방출된다.
실시예(DS-C)의 전원이 켜짐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광(L-DP)과 함께 베젤 영역(BA)으로 새어나오는 광(L-SC1)을 함께 시인하게 된다. 베젤 영역(BA)으로 새어나오는 광(L-SC1)은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 중 베젤 영역(BA)에 인접하는 영역의 영상의 시인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DS)는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를 포함한다. 베젤 영역(BA)으로 새어 나오는 광들(L-SC2, L-SC3)은 충진부(320)에 입사된 후, 커버 부재(400) 측면으로 진행하거나, 충진부(320)에 의해 부분적으로 흡수된다.
충진부(320)는 베이스 부재(310)보다 낮은 굴절률을 가진 물질로 구성된다.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충진부(320)에 입사되는 광은 베이스 부재(310)에 입사되는 광보다 더 큰 각도로 반사되거나, 더 큰 각도로 굴절될 수 있다.
충진부(320)의 굴절률은 충진부(320)에 입사되는 광이 지나는 층의 굴절률에 따라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진부(320)는 충진부(320)에 접촉하는 층의 굴절률보다 낮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부(320)의 굴절률은 커버 부재(400)보다 낮은 굴절률을 가진다. 이에 따라, 베젤 영역(BA)으로 새어 나오는 광들(L-SC2, L-SC3) 중 커버 부재(400)로부터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로 입사되는 광(L-SC2)은 입사각보다 큰 각도로 굴절되거나 반사된다.
또한, 충진부(320)의 굴절률은 제1 데코레이션 부재(200)의 굴절률 보다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젤 영역(BA)으로 새어 나오는 광들(L-SC2, L-SC3) 중 제1 데코레이션 부재(200)로부터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로 입사되는 광(L-SC3)도 입사각보다 큰 각도로 굴절되거나 반사된다.
충진부(320)는 충진부(320)에 베젤 영역(BA)으로 새어 나오는 광들(L-SC2, L-SC3)을 가이딩(guiding)한다. 이에 따라 베젤 영역(BA)으로 새어 나오는 광들(L-SC2, L-SC3)은 커버 부재(400)의 상부로 진행하지 못하고, 커버 부재(400)의 단부(edge)를 향해 진행한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DS)는 빛샘 현상이 완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DS)는 빛샘 현상을 디자인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베젤 영역(BA)으로 새어나오는 광들(L-SC2, L-SC3) 중 충진부(320)에 입사되는 광은 커버 부재(400)의 상부로 출사되기 어렵다. 이에 반해, 베젤 영역(BA)으로 새어 나오는 광들(L-SC2, L-SC3) 중 일부는 충진부(320)에 의해 가이딩되지 못하고 패턴층(220)으로부터 반사되어 상부에서 시인될 수 있다.
사용자는 충진부(320)가 배치된 영역은 어둡게 인식하고, 충진부(320)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은 베젤 영역(BA)으로 새어나오는 광들(L-SC2, L-SC3) 중 일부에 의해 밝게 인식할 수 있다. 즉, 베젤 영역(BA)은 함몰부(310-R)가 정의된 영역과 그 외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다른 밝기로 시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장치(DS)의 빛샘 현상을 이용하여 베젤 영역(BA)에 정의되는 투명 패턴(TP: 도 1 참조)을 시인할 수 있다. 표시장치(DS)는 별도의 광원을 배치하지 않고도 표시장치(DS)의 구동에 따라 동작하는 투명 패턴(TP)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DS)는 표시장치에서 발생하는 빛샘 현상을 하나의 광원으로 이용하여 표시장치(DS)를 디자인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b 및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일 구성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진들이다.
도 6a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1)를 도시하였다. 도 6a는 명실에서 표시장치의 전원이 꺼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암실에서 표시장치의 전원이 켜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b에서는 명확한 결과물이 도출되도록 표시 영역(DA, 도 1 참조)을 가린 상태로 촬영하였다. 이하,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1)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다양한 형상의 투명 패턴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1)는 제1 투명 패턴(TP1) 및 제2 투명 패턴(TP2)을 포함한다.
제1 투명 패턴(TP1)은 제1 함몰부(310-R1) 및 제1 충진부(321)에 의해 정의된다. 제2 투명 패턴(TP2)은 제2 함몰부(310-R2), 제2 충진부(323), 제3 함몰부(310-R3), 및 제3 충진부(325)에 의해 결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함몰부(310-R1)의 형상은 제1 투명 패턴(TP1)의 형상을 결정한다. 또한, 제2 함몰부(310-R2) 및 제3 함몰부(310-R3)의 형상은 제2 투명 패턴(TP2)의 형상을 결정한다.
제1 충진부(321), 제2 충진부(323), 및 제3 충진부(325)는 제1 투명 패턴(TP1)과 제2 투명 패턴(TP2)의 밝기를 결정한다. 제1 충진부(321), 제2 충진부(323), 및 제3 충진부(325)는 다양한 물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충진부(321), 제2 충진부(323), 및 제3 충진부(325)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물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충진부(321), 제2 충진부(323), 및 제3 충진부(325)가 서로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투명 패턴(TP1)과 제2 투명 패턴(TP2)의 밝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1 충진부(321), 제2 충진부(323), 및 제3 충진부(325)가 서로 상이한 물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투명 패턴(TP1)과 제2 투명 패턴(TP2)의 밝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표시장치(DS)는 다양한 형상 및 밝기를 가진 투명 패턴들을 가질 수 있어, 디자인의 다양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는 투명 패턴들(TP1, TP2)이 시인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백색을 가진 베젤 영역(BA: 도 1 참조)이 온전히 시인된다.
도 6c를 참조하면, 암실에서 표시장치(DS)의 전원이 켜진 경우, 투명 패턴들(TP1, TP2)이 시인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함몰부(310-R)가 정의되어 충진부(320)가 배치된 영역은 상대적으로 어둡게 나타나고, 베이스 부재(310)의 형상과 대응되는 영역이 상대적으로 밝게 나타난다.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1)는 표시 영역(DA)으로부터 새어나오는 광을 하나의 광원으로 이용하여 디자인적인 요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S)는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1)를 통해 표시장치(DS)의 빛샘 현상을 표시장치(DS)의 디자인적으로 재활용하여 표시장치(DS)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6c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S-1)는 복수의 함몰부들(310-RU, 310-RH, 310-RL)이 정의된 베이스 부재(310-1), 및 충진부(320-2)를 포함한다. 충진부(320-2)는 함몰부들(310-RU, 310-RL, 310-RH)에 각각 충진된 복수의 충진부들(320U, 320H, 320L)로 구비될 수 있다.
함몰부들(310-RU, 310-RH, 310-RL)은 베이스 부재(310-1)의 어느 일면으로부터 베이스 부재(310-1)의 두께 방향을 따라 패인 공간을 정의한다. 함몰부들(310-RU, 310-RH, 310-RL)은 제1 함몰부(310-RU), 제2 함몰부(310-RL), 및 제3 함몰부(310-RH)를 포함한다.
제1 함몰부(310-RU)는 베이스 부재(310-1)의 전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패인 공간을 정의한다. 제2 함몰부(320-RH)는 베이스 부재(310-1)의 배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패인 공간을 정의한다. 제1 함몰부(310-RU)의 깊이와 제2 함몰부(310-RL)의 깊이는 각각 베이스 부재(310-1)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제3 함몰부(310-RH)는 베이스 부재(310-1)를 관통하는 개구부를 정의한다. 이에 따라, 제3 함몰부(310-RH)의 깊이는 베이스 부재(310-1)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함몰부(310-RU), 제2 함몰부(310-RL), 및 제3 함몰부(310-RH)는 각각 서로 상이한 깊이들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S-1)는 제1 함몰부(310-RU), 제2 함몰부(310-RL), 및 제3 함몰부(310-RH) 각각의 깊이 및 형상을 통해 다양한 투명 패턴(TP: 도 1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용이한 설명을 위해 표시장치(DS-2) 중 도 2b에 대응되는 영역을 도시하였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S-2)는 적어도 하나의 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DS-2)는 제1 점착층(AD1) 및 제2 점착층(AD2)을 포함한다.
이때,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2)는 점착성이 없는 베이스 부재(310-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310-2)에는 복수의 함몰부들(310-RH, 310-RU)이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7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베이스 부재(310-2)는 투명한 플라스틱(plastic)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310-2)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메타메탈크릴레이트(PMMA), 및 폴리카보네이트(P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310-2)는 상대적으로 높은 투과율을 가진 물질로 구성되므로, 표시장치(DS-2)의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점착층(AD1) 및 제2 점착층(AD2)은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2)와 다른 구성들을 결합시킨다. 제1 점착층(AD1)은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2)와 제1 데코레이션 부재(200) 사이에 배치되어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2)와 제1 데코레이션 부재(200)를 결합시킨다.
제2 점착층(AD2)은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2)와 커버 부재(400)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점착층(AD2)은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2)와 커버 부재(400)를 결합시킨다.
충진부들(320H, 320U)은 제1 점착층(AD1) 및 제2 점착층(A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충진부들(320H, 320U) 각각의 굴절률은 접촉하는 층의 굴절률보다 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충진부(320H)는 개구부를 정의하므로, 제1 점착층(AD1) 및 제2 점착층(AD2) 모두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충진부(320H)는 제1 점착층(AD1)의 굴절률 보다 낮고, 제2 점착층(AD2)의 굴절률 보다 낮은 굴절률을 가진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충진부(320U)는 제2 점착층(AD2)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제2 충진부(320U)는 제2 점착층(AD2)의 굴절률보다 낮은 굴절률을 가진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충진부(320H) 및 제2 충진부(320U)는 접촉하는 층의 굴절률보다 낮은 굴절률을 가짐으로써, 투명 패턴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a는 도 9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Ⅱ-Ⅱ'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S-F)는 밴딩된 커버 부재(400-1)를 포함한다. 한편, 도 9 내지 도 10b에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수납부재를 생략되어 도시되었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밴딩된 커버 부재(400-1)는 소정의 밴딩축(미도시)을 따라 하측으로 밴딩된다. 이에 따라, 밴딩된 커버 부재(400-1)는 곡면 형상을 가진다.
밴딩된 커버 부재(400-1)는 밴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밴딩된 커버 부재(400-1)는 외부 충격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지 않고, 내부 구성들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는 소정의 투명 패턴(TP)을 포함한다. 투명 패턴(TP)은 베젤 영역(BA) 중 밴딩된 커버 부재(400-1) 중 곡면 형상을 가진 부분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S-F)는 결합 되어 밴딩된 형상을 가진다. 표시장치(DS-F)는 밴딩된 커버 부재(400-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때, 표시장치(DS-F)는 유연한 성질을 가진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DS-F)가 조립될 때, 표시장치(DS-F)를 구성하는 표시 부재(100), 제1 데코레이션 부재(200),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 및 점착 부재(500)는 밴딩된 커버 부재(400-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밴딩될 수 있다.
결합된 표시장치(DS-F)는 밴딩된 표시 부재(100-F), 밴딩된 제1 데코레이션 부재(200-F), 밴딩된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F), 밴딩된 점착 부재(500-F)를 포함한다.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의 투명 패턴은 밴딩된 곡면에도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투명 패턴은 별도의 광원이 요구되지 않고, 박막층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형상을 가진 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S-F)는 제2 데코레이션 부재(300)을 포함함으로써, 미감이 향상되고 변형이 자유로운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DS: 표시장치 100: 표시 부재
200: 제1 데코레이션 부재 300: 제2 데코레이션 부재
310: 베이스 부 320: 충진부
400: 커버 부재 500: 점착 부재
TA: 투과 영역 BA: 베젤 영역
TP: 투명 패턴

Claims (29)

  1. 평면상에서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주변 영역이 정의된 표시 부재;
    상기 표시 부재 상에 배치된 커버 부재;
    상기 표시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평면상에서 상기 주변 영역에 중첩하는 베젤 영역 및 상기 베젤 영역에 인접하고 상기 표시 영역에 중첩하는 투과 영역이 정의된 제1 데코레이션 부재; 및
    상기 제1 데코레이션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베젤 영역에 중첩하는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가 정의된 베이스 부재 및 상기 함몰부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보다 낮은 굴절률을 가진 충진부를 포함하는 제2 데코레이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코레이션 부재는 상기 투과 영역을 정의하는 투명층, 및 상기 투명층의 일측 상에 배치되어 상기 베젤 영역을 정의하며 광을 차단하는 패턴층을 포함하고, 상기 충진부의 전체 면적은 상기 패턴층과 중첩하는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의 굴절률은 상기 충진부와 접촉하는 층의 굴절률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점착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제1 데코레이션 부재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광학 투명 점착층(Optical clear adhesive, OCA), 감압 점착층(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또는 광학 투명 레진층(Optical clear resin, OC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는 상기 커버 부재에 접촉하고,
    상기 충진부의 굴절률은 상기 커버 부재의 굴절률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코레이션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를 결합시키는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는 상기 점착층에 접촉하고,
    상기 충진부의 굴절률은 상기 점착층의 굴절률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부재의 두께방향으로 함몰되어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깊이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두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를 관통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의 두께와 동일한 깊이를 가진 개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함몰부들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전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정의된 제1 함몰부;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배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정의된 제2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함몰부의 깊이와 상기 제2 함몰부의 깊이는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4. 삭제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은 백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코레이션 부재는 상기 커버 부재의 일면 상에 직접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부재는,
    상기 표시 영역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커버 부재에 발생하는 외부입력의 좌표정보를 산출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층; 및
    상기 표시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층을 밀봉하는 박막 봉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소정의 밴딩축을 따라 일 방향으로 밴딩된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데코레이션 부재는 상기 커버 부재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부재는 상기 표시 영역에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주변 영역을 커버하고 상기 커버 부재 상에서 상기 영상이 시인되도록 상기 영상을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1. 평면상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주변 영역으로 구분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커버 부재;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영역에 중첩하는 투과 영역 및 상기 투과 영역에 인접하고 상기 주변 영역에 중첩하는 베젤 영역으로 구분되는 제1 데코레이션 부재; 및
    상기 제1 데코레이션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베젤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에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투명 패턴을 포함하는 제2 데코레이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코레이션 부재는 상기 투과 영역을 정의하는 투명층, 및 상기 투명층의 일측 상에 배치되어 상기 베젤 영역을 정의하며 광을 차단하는 패턴층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패턴의 전체 면적은 상기 패턴층과 중첩하는 표시장치.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코레이션 부재는,
    상기 투과 영역 및 상기 베젤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베젤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정의된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에 충진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굴절률보다 낮은 굴절률을 가진 충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패턴은 상기 개구부 및 상기 충진부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광학 투명 점착층(Optical clear adhesive, OCA), 감압 점착층(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또는 광학 투명 레진층(Optical clear resin, OC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1 데코레이션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를 결합시키고,
    상기 충진부의 굴절률은 상기 커버 부재의 굴절률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5.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플라스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를 결합시키는 점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상기 개구부와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의 굴절률은 상기 점착층의 굴절률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8.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는 공기(ai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9.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는 투명한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150098658A 2015-07-10 2015-07-10 표시장치 KR102334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658A KR102334796B1 (ko) 2015-07-10 2015-07-10 표시장치
US15/161,000 US10804485B2 (en) 2015-07-10 2016-05-20 Display apparatus
EP16175345.4A EP3115866B1 (en) 2015-07-10 2016-06-20 Display apparatus
CN201610459475.6A CN106340242B (zh) 2015-07-10 2016-06-23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658A KR102334796B1 (ko) 2015-07-10 2015-07-10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670A KR20170007670A (ko) 2017-01-19
KR102334796B1 true KR102334796B1 (ko) 2021-12-07

Family

ID=56178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658A KR102334796B1 (ko) 2015-07-10 2015-07-10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04485B2 (ko)
EP (1) EP3115866B1 (ko)
KR (1) KR102334796B1 (ko)
CN (1) CN1063402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75597S1 (en) * 2014-10-01 2017-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KR102419181B1 (ko) 2015-09-16 2022-07-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윈도우 부재 제조방법
KR20180065055A (ko) * 2016-12-06 2018-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98349B1 (ko) 2017-06-05 2022-05-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43283B1 (ko) * 2017-08-21 2021-1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8040143A (zh) * 2017-12-11 2018-05-1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盖板、显示模组和移动终端
JP7040006B2 (ja) * 2017-12-27 2022-03-2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表示部材及び画像表示部材の製造方法
KR102436562B1 (ko) * 2017-12-27 2022-08-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017199B2 (en) * 2018-06-07 2021-05-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sensor opening
KR102640704B1 (ko) * 2018-08-02 2024-02-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커버 글라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69421A (ko) * 2018-12-06 2020-06-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599057B1 (ko) * 2019-01-03 2023-1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85402A (ko) * 2019-01-04 2020-07-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11511131B (zh) * 2019-01-31 2023-02-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外框、终端外壳和终端
CN109920938B (zh) * 2019-03-26 2021-03-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oled显示装置
USD939484S1 (en) * 2019-04-02 2021-12-28 Samsung Display Co., Ltd. Cover window for display device
CN111208641A (zh) * 2020-01-17 2020-05-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TWI764794B (zh) * 2021-07-28 2022-05-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2140A1 (en) * 2006-06-09 2008-03-13 Apple Inc. Touch screen liquid crystal display
US20120242588A1 (en) * 2011-03-21 2012-09-27 Myers Scott A Electronic devices with concave displays
US20130265708A1 (en) * 2010-10-29 2013-10-10 Apple Inc. Displays With Polarizer Windows and Opaque Masking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7808B2 (en) * 1999-05-14 2005-12-20 Apple Computer, Inc. Display housing for computing device
KR100339476B1 (ko) * 2000-01-07 2002-06-01 구자홍 후면광을 갖는 폴더형 덮개
KR101010459B1 (ko) * 2007-12-28 201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마크표시장치 및 디스플레이 기기
JP5354523B2 (ja) 2008-01-21 2013-11-27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778015B2 (en) * 2008-07-11 2010-08-17 Apple Inc. Microperforated and backlit displays having alternative display capabilities
KR101040802B1 (ko) * 2009-01-16 2011-06-1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윈도우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
US20110012841A1 (en) * 2009-07-20 2011-01-20 Teh-Zheng Lin Transparent touch panel capable of being arranged before display of electronic device
US20110109560A1 (en) * 2009-11-06 2011-05-12 Santiago Carvajal Audio/Visual Device Touch-Based User Interface
TWI426475B (zh) * 2010-03-16 2014-02-11 Wintek Corp 顯示裝置
US8638549B2 (en) * 2010-08-24 2014-01-2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display module
KR101739797B1 (ko) * 2010-10-27 2017-05-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US20120162095A1 (en) 2010-12-23 2012-06-28 Apple Inc. Internal optical coating for electronic device display
US9891098B2 (en) * 2010-12-30 2018-02-13 Apple Inc. Diffuser and filter structures for light sensors
KR101952172B1 (ko) 2012-01-17 2019-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201452B2 (en) * 2012-02-28 2015-12-0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illuminated logo structures
KR101903348B1 (ko) 2012-05-09 2018-10-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407589B1 (ko) 2012-09-13 2014-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TWI472799B (zh) 2012-09-21 2015-02-11 Au Optronics Corp 顯示面板
KR101378223B1 (ko) 2012-11-30 2014-03-28 백용승 휴대폰 스킨
KR101991839B1 (ko) * 2013-01-15 2019-06-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AU2014200754A1 (en) * 2013-03-08 2014-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78831B1 (ko) 2013-03-12 2020-04-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05339835A (zh) 2013-05-14 2016-02-17 苹果公司 边界区域中具有滤色器材料的显示器
WO2015002685A1 (en) * 2013-07-01 2015-01-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tection film suitable for illuminated display devices
KR20150009704A (ko) 2013-07-17 2015-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52314B1 (ko) 2013-08-26 2014-10-2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205526B1 (ko) * 2013-11-04 2021-0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618669B2 (en) * 2013-11-08 2017-04-1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display with polarizer windows
TWI531939B (zh) * 2014-04-22 2016-05-0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面板
US9429803B2 (en) * 2014-04-22 2016-08-30 Apple Inc. Logo patterning methods for liquid crystal displays
CN204130082U (zh) 2014-10-21 2015-01-28 联想(北京)有限公司 显示设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2140A1 (en) * 2006-06-09 2008-03-13 Apple Inc. Touch screen liquid crystal display
US20130265708A1 (en) * 2010-10-29 2013-10-10 Apple Inc. Displays With Polarizer Windows and Opaque Masking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US20120242588A1 (en) * 2011-03-21 2012-09-27 Myers Scott A Electronic devices with concave displa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340242A (zh) 2017-01-18
US20170012235A1 (en) 2017-01-12
EP3115866B1 (en) 2020-04-01
US10804485B2 (en) 2020-10-13
EP3115866A1 (en) 2017-01-11
KR20170007670A (ko) 2017-01-19
CN106340242B (zh)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4796B1 (ko) 표시장치
US10827058B2 (en) Control method, control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2419181B1 (ko) 표시장치 및 윈도우 부재 제조방법
CN204631406U (zh) 移动终端
JP5513657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20182479A1 (en) Cover glass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102569315B1 (ko) 표시장치
CN109618031B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US10007381B2 (en) Mobile terminal
KR102495325B1 (ko) 윈도우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223712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ecorativ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210130474A (ko) 글라스를 포함하는 투명 커버 및 이와 결합된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480454B1 (ko) 휴대 단말기
CN109710119B (zh) 控制方法、控制装置、电子装置和存储介质
KR102257631B1 (ko) 이동 단말기
CN109683750B (zh) 控制方法、电子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20160069326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