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655B1 -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655B1
KR102334655B1 KR1020210040341A KR20210040341A KR102334655B1 KR 102334655 B1 KR102334655 B1 KR 102334655B1 KR 1020210040341 A KR1020210040341 A KR 1020210040341A KR 20210040341 A KR20210040341 A KR 20210040341A KR 102334655 B1 KR102334655 B1 KR 102334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obile device
led
smart mobile
belong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도
Original Assignee
(주)피씨엠글로벌기술사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씨엠글로벌기술사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피씨엠글로벌기술사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10040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6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4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 G08B13/1427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with transmitter-receiver for distance det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등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에 가방, 시계, 액세서리, 자동차키, 다른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 등 소지품을 탐색 대상 물품으로 개별 등록한 다음, 필요 시 내지 분실 위험이 있는 상황에서 탐색 기능을 통해 소지품들의 현재 위치를 바로 확인할 수 있음에 따라, 소지품들의 분실 위험이 방지 또는 최대한 억제될 수 있고, 특정 소지품이 필요한 상황에서 해당 소지품의 현재 위치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어 일상 생활의 편리성 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은 소지품 탐색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에 등록되어 현재 위치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제2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 및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Smar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preventing loss of personal belongings }
본 발명은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등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에 가방, 시계, 액세서리, 자동차키, 다른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 등 소지품을 탐색 대상 물품으로 개별 등록한 다음, 필요 시 내지 분실 위험이 있는 상황에서 탐색 기능을 통해 소지품들의 현재 위치를 바로 확인할 수 있음에 따라, 소지품들의 분실 위험이 방지 또는 최대한 억제될 수 있고, 특정 소지품이 필요한 상황에서 해당 소지품의 현재 위치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어 일상 생활의 편리성 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통신 기술 및 전자기기 관련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및 스마트 밴드 등 휴대 내지 웨어러블 타입의 스마트 기기 사용이 보편화되었다.
또한 현대인들은 외출 시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 PC, 고가의 가방, 시계, 액세서리 그리고 자동차키 등 다양한 물품(이하 “소지품”이라 함)들을 휴대하는 경우가 많다.
태블릿 PC를 예로 부연 설명하면, 태블릿 PC는 그 부피가 작아 휴대는 간편한 반면 인터넷 접속을 통한 다양한 정보 검색 기능, 영화를 포함한 동영상 및 음악파일 재생 기능, 메신저 기능 등 매우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태블릿 PC의 사용자들은 실내는 물론 차량이나 야외에서도 해당 기기를 휴대하면서 그 다양한 기능들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그 휴대의 정도가 항시 휴대하는 수준이라 할 수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스마트 기기 그리고 상술한 가방, 시계, 액세서리 및 자동차키 등의 소지품은 그 분실의 위험 또한 높을 수 밖에 없는 것이었다.
스마트폰을 예로 부연 설명하면, 스마트폰은 분실 등에 대비한 보험 상품이 출시되고 있는 동시에 GPS를 이용한 위치추적, 원격 잠금, 문자메시지로 마지막 위치 전송 등 분실 또는 도난에 대비한 여러 소프트웨어적 기술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소지품 분실에 대비하는 이러한 방안들은 제한적이고 한계가 있는 것이며, 따라서 보다 근본적이고 효율적인 소지품 분실 방지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802805호(2017.11.29.공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도난 방지 시스템, 도난 방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000616호(2016.01.05.공개), “분실방지수신기 호출장치” 한국 등록특허 제10-1773395호(2017.08.31.공고), “스마트폰을 이용한 카드 타입 소지품 분실 방지 경보카드 및 그 장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등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에 가방, 시계, 액세서리, 자동차키, 다른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 등 소지품을 탐색 대상 물품으로 개별 등록한 다음, 필요 시 내지 분실 위험이 있는 상황에서 탐색 기능을 통해 소지품들의 현재 위치를 바로 확인할 수 있음에 따라, 소지품들의 분실 위험이 방지 또는 최대한 억제될 수 있고, 특정 소지품이 필요한 상황에서 해당 소지품의 현재 위치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어 일상 생활의 편리성 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은, 소지품 탐색 애플리케이션(11)이 설치되며, 사전에 등록된 소지품의 현재 위치를 상기 소지품 탐색 애플리케이션(11)을 기반으로 탐색하는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와, 상기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를 통한 위치 탐색을 위해 사전에 상기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에 등록되며,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제공하기 위한 위치 전송 애플리케이션(21)이 설치되는 제2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20)와, 상기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를 통한 위치 탐색을 위해 사전에 상기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에 등록되고,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기(31)를 포함하며, 소지품에 부착되는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의 현재 위치를 알리는 방식은 알람 또는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디스플레이 화면(12)에 지도상 표시되는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등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에 가방, 시계, 액세서리, 자동차키, 다른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 등 소지품을 탐색 대상 물품으로 개별 등록한 다음, 필요 시 내지 분실 위험이 있는 상황에서 탐색 기능을 통해 소지품들의 현재 위치를 바로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소지품들의 분실 위험이 방지 또는 최대한 억제될 수 있는 동시에 특정 소지품의 필요 시 해당 소지품의 현재 위치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어 일상 생활의 편리성 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송수신기 케이싱 모듈의 케이스를 중심으로 주요 구성을 예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송수신기 케이싱 모듈의 케이스를 중심으로 주요 구성을 예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송수신기 케이싱 모듈을 중심으로 주요 구성을 예시한 측면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은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 제2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소지품 탐색 애플리케이션(11)이 설치되며, 이에 따라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사전에 등록된 소지품의 현재 위치를 상기 소지품 탐색 애플리케이션(11)을 기반으로 탐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가 스마트폰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등 웨어러블 타입의 스마트 디바이스 내지 태블릿 PC, 노트북 PC 등의 휴대형 PC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를 통한 위치 탐색을 위해 사전에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에 등록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2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20)는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제공하기 위한 위치 전송 애플리케이션(21)이 설치된다.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은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를 통한 위치 탐색을 위해 사전에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에 등록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은 가방, 시계, 액세서리 및 자동차키 등의 소지품에 부착된다. 그리고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은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기(31)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에서 제2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20) 또는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에 대해 위치 탐색을 수행하는 방식의 경우, 사용자가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의 소지품 탐색 애플리케이션(11)을 통해 소지품 탐색 메뉴를 선택하여 진행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른 방식으로서,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를 기준으로 제2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에 대한 각각의 임계 거리가 사전에 설정되고, 이에 따라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 및 제2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20) 간의 거리가 상기 임계 거리보다 멀어지거나,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 및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 간의 거리가 상기 임계 거리보다 멀어질 경우 이 사실이 자동으로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를 통해 감지되면서 소지품 탐색 애플리케이션(11)의 탐색 기능이 자동 수행되는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 및 제2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20) 간의 거리 감지 그리고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 및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 간의 거리 감지가 이루어지는 방식으로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802805호에 기재된 기술 내지 그 밖의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의 현재 위치를 알리는 방식은 알람 또는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디스플레이 화면(12)에 지도상 표시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디스플레이 화면(12)에 지도상 표시되는 방식의 경우, 제2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에 각각 GPS모듈이 설치되고, 이에 따라 GPS 좌표정보가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제공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서,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등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에 가방, 시계, 액세서리, 자동차키, 다른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 등 소지품을 탐색 대상 물품으로 개별 등록한 다음, 필요 시 내지 분실 위험이 있는 상황에서 탐색 기능을 통해 소지품들의 현재 위치를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소지품들의 분실 위험이 방지 또는 최대한 억제될 수 있고, 또한 특정 소지품이 필요한 상황에서 해당 소지품의 현재 위치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어 일상 생활의 편리성 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술한 구성을 응용하여 미아, 치매 노인, 지적 장애인 등에 대한 위치 추적 기술로 활용할 경우, 미아 방지, 치매 노인 내지 지적 장애인의 실종 방지 등에 높은 효율성을 나타낼 수 있다.
다음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송수신기 케이싱 모듈의 케이스를 중심으로 주요 구성을 예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송수신기 케이싱 모듈의 케이스를 중심으로 주요 구성을 예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송수신기 케이싱 모듈을 중심으로 주요 구성을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0), 제2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을 포함하며, 이에 더하여 송수신기 케이싱 모듈(400), LED 점멸모듈(500), LED 개폐 구동 모듈(600), GPS 모듈(700) 및 전원 공급 모듈(8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의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며, 이에 더하여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알람 기능을 대신하여 후술되는 LED 점멸모듈(500)이 점멸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갖는다. 다시 말해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되는 소지품 탐색 애플리케이션(110)은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의 알람 기능 대신 후술되는 LED 점멸모듈(500)의 점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은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LED 점멸모듈(500)을 선택하는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알람 대신 LED 점멸모듈(500)을 작동시키는 기능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를 위한 세부 구성으로서,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은 돌출된 LED 접속단자(320)를 구비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송수신기 케이싱 모듈(400) 및 LED 점멸모듈(500)에 대한 설명에서 더 서술키로 한다.
그리고 제2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의 제2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과 마찬가지로 위치 전송 애플리케이션(210) 또는 송수신기(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수신기 케이싱 모듈(400)은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을 수납하여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이러한 송수신기 케이싱 모듈(400)은 케이스(410), 커버(420) 및 LED 커버(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410)는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을 수납하여 고정하기 위한 결합공간(411)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때 케이스(410)는 결합공간(411)이 케이스(410)의 정면 및 상면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도록 정면 및 상면에 각각 개방구(412,4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410)는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이 결합공간(411)에 수납된 상태로 고정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홈(414)이 결합공간(411)과 통하는 상태로 형성되며, 따라서 이러한 가이드홈(414)과 대응되는 구성으로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에는 복수의 가이드돌기(330)가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410)의 결합공간(411) 깊이는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의 두께와 동일 내지 허용 오차 범위 내의 유사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은 결합공간(411)에 수납된 상태에서 일면은 케이스(410)의 결합공간(411) 내면에 지지되고, 타면은 후술되는 커버(420)의 내면에 지지되며, 측면들은 그 가이드돌기(330) 및 케이스(410)의 가이드홈(414)을 통해 지지되면서 유동 방지되는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케이스(410)는 정면에 후술되는 커버(420)의 억지끼움식 결합을 위한 결합홈(415)이 복수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후술되는 LED 점멸모듈(500)의 거치식 결합을 위한 단차부(416)가 형성되며, 이러한 단차부(416)가 상면의 개방구(413)와 연결되는 형태이다.
커버(420)는 케이스(410)의 정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러한 커버(420)는 케이스(410)에 대한 결합을 통해 케이스(410)의 정면쪽 개방구(412)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커버(420)는 케이스(410)에 대한 탈착식 결합을 위해 케이스(410)의 결합홈(415)들에 개별 대응되면서 해당 결합홈(415)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돌기(421)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커버(420)는 케이스(410)와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된다.
LED 커버(430)는 케이스(410)의 상면 단차부(416)에 설치되는 LED 점멸모듈(500)을 개폐하도록 케이스(41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LED 커버(430)는 LED 점멸모듈(500)에 포개지면서 LED 점멸모듈(500)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상태 및 수평축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되어 LED 점멸모듈(500)에 대한 외부 노출 차단 기능을 해제하는 상태로 전환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LED 커버(430)는 케이스(410)와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송수신기 케이싱 모듈(400)에 의해서,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을 최대한 경량화시키면서 이렇게 경량화되는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의 구조적인 안정성은 송수신기 케이싱 모듈(400)을 통해 확보되게 함으로써,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 자체를 젼고하게 제조하는 데 따른 무게, 부피, 생산비용의 증가 및 이로 인해 사용자가 소지품 부착용인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을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입 및 사용하기 어려운 난점이 해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하나의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 및 복수의 송수신기 케이싱 모듈(400)을 통해 소지품에 부착되는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을 다양한 디자인으로 연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나의 송수신기 케이싱 모듈(400)을 기준으로 해당 송수신기 케이싱 모듈(400)이 단일 케이스로서의 미감을 발휘할 수 있도록 그 케이스(410), 커버(420) 및 LED 커버(430)가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어서 설명되는 LED 점멸모듈(500) 및 LED 개폐 구동 모듈(600)은 영화관, 연극이나 뮤지컬 공연장 등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의 알람 기능을 사용하기 어려운 장소 그리고 야간에 알람 기능을 사용하기 어려운 장소 등에서 LED의 점멸 기능을 통해 소지품의 위치 탐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LED 점멸모듈(500)은 송수신기 케이싱 모듈(400)에서 설명된 것처럼 송수신기 케이싱 모듈(400)의 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410)의 단차부(416)에 설치된다.
그리고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의 LED 점멸모듈(500)에 대한 작동 제어신호가 LED 점멸모듈(500)에 전송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의 가이드돌기(330) 중 어느 하나에 LED 접속단자부(320)가 설치되고, 송수신 케이싱 모듈(400)의 케이스(410)에는 그 가이드홈(414)에 삽입된 LED 접속단자부(320)와 LED 점멸모듈(500)을 접속시키기 위한 신호전송라인(510)이 설치된다.
LED 개폐 구동 모듈(600)은 송수신기 케이싱 모듈(400)의 LED 커버(430)에서 설명된 것처럼 LED 점멸모듈(500)에 대한 LED 커버(430)의 개폐를 위해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LED 개폐 구동 모듈(600)은 송수신기 케이싱 모듈(400)의 케이스(410)에 매입형으로 설치되는 제어부(610), 정역회전모터(620) 및 감속기(630)를 포함하고, 감속기(630)의 구동축(631)이 수평 방향으로 LED 커버(430)와 결합되어 LED 커버(430)에 수평축 중심의 회전 동력을 제공하며, 제어부(610)는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의 LED 점멸모듈(500)에 대한 신호전송라인에 병렬 접속되어 LED 점멸모듈(500)에 전송되는 작동 제어신호를 LED 점멸모듈(500)과 함께 수신 후 정역회전모터(620)를 LED 커버(430)의 LED 점멸모듈(500)에 대한 개방 방향으로 회전 작동시킨다.
GPS 모듈(700)은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가 GPS 좌표정보로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전송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한다.
전원 공급 모듈(800)은 LED 점멸 모듈(500), LED 개폐 구동 모듈(600)의 제어부(610) 및 정역회전모터(620), GPS 모듈(7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송수신기 케이싱 모듈(400)의 케이스(410)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원 공급 모듈(800)은 이차전지(8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본 실시 에의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는 연극이나 뮤지컬 공연장 등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의 알람 기능을 사용하기 어려운 장소 그리고 야간에 알람 기능을 사용하기 어려운 장소 등에서는 LED 점멸모듈(500) 및 LED 개폐 구동 모듈(600)을 통해 소지품의 위치 탐색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 11 : 소지품 탐색 애플리케이션
12 : 디스플레이 화면 20 : 제2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
21 : 위치 전송 애플리케이션 30 :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
31 : 송수신기 100 :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
110 : 소지품 탐색 애플리케이션 200 : 제2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 210 : 위치 전송 애플리케이션 300 :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
310 : 송수신기 320 : LED 접속단자부
330 : 가이드돌기 400 : 송수신기 케이싱 모듈
410 : 케이스 411 : 결합공간
412,413 : 개방구 414 : 가이드홈
415 : 결합홈 416 : 단차부
420 : 커버 421 : 결합돌기
430 : LED 커버 500 : LED 점등모듈
510 : 신호전송라인 600 : LED 개폐 구동 모듈
610 : 제어부 620 : 정역회전모터
630 : 감속기 631 : 구동축
700 : GPS 모듈 800 : 전원공급모듈
810 : 이차전지

Claims (1)

  1. 소지품 탐색 애플리케이션(11)이 설치되며, 사전에 등록된 소지품의 현재 위치를 상기 소지품 탐색 애플리케이션(11)을 기반으로 탐색하는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
    상기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를 통한 위치 탐색을 위해 사전에 상기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에 등록되며,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제공하기 위한 위치 전송 애플리케이션(21)이 설치되는 제2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20):
    상기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를 통한 위치 탐색을 위해 사전에 상기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에 등록되고,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기(31)를 포함하며, 소지품에 부착되는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
    상기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을 수납하여 고정하기 위한 결합공간(411)이 형성되고, 정면 및 상면을 통해 상기 결합공간(411)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정면 및 상면에 각각 개방구(412,413)가 형성되며, 상기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이 상기 결합공간(411)에 수납된 상태로 고정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홈(414)이 상기 결합공간(411)과 통하는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간(411)의 깊이는 상기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의 두께와 동일 내지 허용 오차 범위 내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정면에 결합홈(415)이 복수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면에는 단차부(416)가 형성되되, 상기 단차부(416)는 상면의 개방구(413)와 연결되는 케이스(410)와; 상기 케이스(410)의 정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410)의 정면쪽 개방구(412)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며, 상기 케이스(410)에 대한 탈착식 결합을 위해 상기 케이스(410)의 결합홈(415)들에 개별 대응되면서 해당 결합홈(415)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돌기(421)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410)와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되는 커버(420)와; 상기 케이스(410)의 상면 단차부(416)에 설치되는 LED 점멸모듈(500)을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41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LED 점멸모듈(500)에 포개지면서 LED 점멸모듈(500)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상태 및 수평축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LED 점멸모듈(500)에 대한 외부 노출 차단 기능을 해제하는 상태로 전환 동작이 가능하고, 상기 케이스(410)와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되는 LED 커버(430)를 포함하는 송수신기 케이싱 모듈(400):
    상기 케이스(410)의 단차부(416)에 설치되는 상기 LED 점멸모듈(500):
    상기 LED 점멸모듈(500)에 대한 상기 LED 커버(430)의 개폐를 위해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며, 송수신기 케이싱 모듈(400)의 케이스(410)에 매입형으로 설치되는 제어부(610)와 정역회전모터(620) 및 감속기(630)를 포함하고, 상기 감속기(630)의 구동축(631)이 수평 방향으로 상기 LED 커버(430)와 결합되어 LED 커버(430)에 수평축 중심의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LED 개폐 구동 모듈(600):
    상기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가 GPS 좌표정보로 상기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전송될 수 있게 하는 기능의 GPS 모듈(700): 및
    상기 LED 점멸 모듈(500), LED 개폐 구동 모듈(600)의 제어부(610) 및 정역회전모터(620), GPS 모듈(7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송수신기 케이싱 모듈(400)의 케이스(410)에 설치되며, 이차전지(810)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모듈(800)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은 상기 케이스(410)의 가이드홈(414)과 대응되는 복수의 가이드돌기(330)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410)의 결합공간(411)에 수납된 상태에서 일면은 상기 결합공간(411) 내면에 지지되고 타면은 상기 커버(420)의 내면에 지지되며 측면들은 상기 가이드돌기(330) 및 가이드홈(414)을 통해 지지되면서 유동 방지되는 고정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의 가이드돌기(330) 중 어느 하나에 LED 접속단자부(320)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송수신기 케이싱 모듈(400)의 케이스(410)에는 상기 가이드홈(414)에 삽입된 상기 LED 접속단자부(320)와 상기 LED 점멸모듈(500)을 접속시키기 위한 신호전송라인(510)이 설치되며,
    상기 LED 개폐 구동 모듈(600)의 제어부(610)는 상기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의 상기 LED 점멸모듈(500)에 대한 상기 신호전송라인(510)에 병렬 접속되어 상기 LED 점멸모듈(500)에 전송되는 작동 제어신호를 상기 LED 점멸모듈(500)과 함께 수신 후 상기 정역회전모터(620)를 상기 LED 커버(430)의 상기 LED 점멸모듈(500)에 대한 개방 방향으로 회전 작동시키고,
    상기 제2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의 현재 위치를 알리는 방식은 알람 방식이며,
    상기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설치되는 상기 소지품 탐색 애플리케이션(110)은 상기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의 알람 기능 대신 상기 LED 점멸모듈(500)의 점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모드 선택 기능을 가져,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알람 기능을 대신하여 상기 LED 점멸모듈(500)이 점멸 작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은 상기 제1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상기 LED 점멸모듈(500)을 선택하는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알람 대신 상기 LED 점멸모듈(500)을 작동시키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기 케이싱 모듈(400)을 통해 상기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이 경량화되는 동시에 경량화된 위치 탐색용 송수신 모듈(300)의 구조적인 안정성은 상기 송수신기 케이싱 모듈(400)을 통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210040341A 2021-03-29 2021-03-29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334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341A KR102334655B1 (ko) 2021-03-29 2021-03-29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341A KR102334655B1 (ko) 2021-03-29 2021-03-29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655B1 true KR102334655B1 (ko) 2021-12-06

Family

ID=78901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341A KR102334655B1 (ko) 2021-03-29 2021-03-29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65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2243A (ko) * 2008-06-20 2009-12-30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단말 위치에 대한 영상 조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453717B1 (ko) * 2014-05-01 2014-10-23 원종만 물품분실방지장치 및 물품분실방지장치 설정방법
KR20160000616A (ko) 2014-06-25 2016-01-05 공승빈 분실방지수신기 호출장치
KR101773395B1 (ko) 2016-02-29 2017-08-31 주식회사 에스엔파워콤 스마트폰을 이용한 카드 타입 소지품 분실 방지 경보카드 및 그 장치
KR101802805B1 (ko) 2015-11-19 2017-11-29 이용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도난 방지 시스템, 도난 방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2243A (ko) * 2008-06-20 2009-12-30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단말 위치에 대한 영상 조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453717B1 (ko) * 2014-05-01 2014-10-23 원종만 물품분실방지장치 및 물품분실방지장치 설정방법
KR20160000616A (ko) 2014-06-25 2016-01-05 공승빈 분실방지수신기 호출장치
KR101802805B1 (ko) 2015-11-19 2017-11-29 이용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도난 방지 시스템, 도난 방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773395B1 (ko) 2016-02-29 2017-08-31 주식회사 에스엔파워콤 스마트폰을 이용한 카드 타입 소지품 분실 방지 경보카드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9219B2 (en) Multi-modal tracking locator alarm system
CN105162976B (zh) 移动终端及其防盗处理方法
US201202828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emergency voice and image e-mail transmitter device
US20040005914A1 (en) Wireless communicator with integral display
JP2020527206A (ja) 追跡機能を有するロックデバイス
US8560027B2 (en) Multi-screen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KR20150025206A (ko) 이동 단말기
WO2008059073A1 (es) Dispositivo portátil de seguridad, entretenimiento y comunicación para bicicletas y método de control
US1141052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mergency rescue request and loss prevention
US20140106822A1 (en) Multi-Screen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GB2392058A (en) Controlling operation of a mobile device by depressing or rotating the antenna
US200800207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misplaced items
US20010040561A1 (en) Wireless portfolio system and device
US11799573B2 (en) Radiobeacon data sharing by forwarding low energy transmissions to a cloud host
KR10156038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KR102334655B1 (ko)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
US20120258728A1 (en) Cell Phone Interactive Device
KR101270334B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160094053A (ko) 액세서리형 와치 디바이스
JP2007082148A (ja) 携帯通信端末
KR101364011B1 (ko) 다목적 경보 장치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치 추적 방법 및 위치 추적 시스템
FR2912860A1 (fr) Appareil de communication miniature.
TWI313653B (ko)
CN219345910U (zh) 壳体组件及电子设备
KR20230174342A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분실방지 리필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