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423B1 - 수액흐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수액흐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423B1
KR102334423B1 KR1020210038024A KR20210038024A KR102334423B1 KR 102334423 B1 KR102334423 B1 KR 102334423B1 KR 1020210038024 A KR1020210038024 A KR 1020210038024A KR 20210038024 A KR20210038024 A KR 20210038024A KR 102334423 B1 KR102334423 B1 KR 102334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lant
stem
fixing
measu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희
Original Assignee
박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희 filed Critical 박윤희
Priority to KR1020210038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4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01N27/08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which is flowing continuous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6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thermal effects
    • G01F1/684Structural arrangements; Mounting of elements, e.g. in relation to fluid flow
    • G01F1/688Structural arrangements; Mounting of elements, e.g. in relation to fluid flow using a particular type of heating, cooling or sensing element
    • G01F1/69Structural arrangements; Mounting of elements, e.g. in relation to fluid flow using a particular type of heating, cooling or sensing element of resistive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98Plants or tre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로부터 장치 자체의 이탈이 방지되고 장치의 장착 작업이 용이하며 전문가의 도움없이 비숙련자가 스스로 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수액흐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면부는 개방된 상태이고 상면부, 하면부, 양 측면부 및 후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후면부에 고정공이 구비되어 있는 케이스; 식물 줄기로 삽입되는 탐침을 포함하여 식물 내 수액의 흐름을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양 측면과 후면을 감싸 센서부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양 측면 외측에 고정되되 케이스 내부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홀더로 이루어지는 작동부; 일측이 작동부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이 케이스의 후면부에 결합되되, 상기 작동부를 전후진시켜 탐침의 식물 줄기 내부로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곡면부를 포함하는 탄성판으로 이루어져 식물의 줄기를 감싸는 파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액흐름 측정장치{Sap flow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수액흐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액흐름 측정장치를 식물의 줄기에 장착할 경우 장착 작업이 용이하고 식물로부터 장치 자체의 이탈이 방지되며 전문가의 도움없이 사용자 스스로 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수액흐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일이나 채소 등의 식물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의 하나로 수액흐름을 들 수 있고, 이러한 수액흐름을 측정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수액흐름 측정센서를 식물의 줄기 부분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액흐름 측정장치는 수액흐름 측정센서의 탐침이 식물의 줄기에 삽입되어 있는 형태로 사용되므로 바람에 의해 상기 수액흐름 측정센서가 식물 줄기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에 이러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밴드나 끈 등을 사용하여 수액흐름 측정센서를 식물의 줄기에 고정하여 사용하기도 하나, 고정 작업시 밴드나 끈 등의 압박에 의해 초기 장착시 탐침의 삽입 깊이가 변하게 되어 원하는 위치에 탐침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고정 작업도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액흐름 측정센서를 장착할 때 탐침이 식물의 물관에 위치해야 하므로 장착 작업은 대부분 전문가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고, 비숙련자인 일반 사용자가 상기 수액흐름 측정센서를 스스로 장착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65079호(2017. 08. 04. 공고)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식물로부터 장치 자체의 이탈이 방지되고 장치의 장착 작업이 용이하며 전문가의 도움없이 비숙련자가 스스로 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수액흐름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액흐름 측정장치는, 전면부는 개방된 상태이고 상면부, 하면부, 양 측면부 및 후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후면부에 고정공이 구비되어 있는 케이스; 식물 줄기로 삽입되는 탐침을 포함하여 식물 내 수액의 흐름을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양 측면과 후면을 감싸 센서부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양 측면 외측에 고정되되 케이스 내부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홀더로 이루어지는 작동부; 일측이 작동부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이 케이스의 후면부에 결합되되, 상기 작동부를 전후진시켜 탐침의 식물 줄기 내부로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곡면부를 포함하는 탄성판으로 이루어져 식물의 줄기를 감싸는 파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지부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탄성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부는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만 가능하고 축방향 이동은 제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액흐름 측정장치는, 케이스의 양 측면부 단부에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되 식물 줄기와 접촉하는 측에 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밀착구가 더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액흐름 측정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부의 단부에 단턱부가 더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액흐름 측정장치는, 상기 양 측면부 내측과 홀더 외측 중의 어느 하나에 소정 길이로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소정 길이로 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액흐름 측정장치는, 상기 홀더에 케이스의 고정공과 동심축 상에 이동공이 구비되어 조절부의 나사부가 삽입되고, 상기 이동공의 길이 방향으로 조절너트가 홀더에 고정 구비되어 상기 조절너트에 조절부의 나사부가 나사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액흐름 측정장치는, 상기 조절부가 헤드와 상기 헤드에 일체로 형성되는 샤프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샤프트는 케이스 후면부의 고정공에 결합되는 부위에 매끈한 면이 형성되고, 고정부의 이동공 및 조절너트에 결합되는 부위에 나사부가 형성된다.
삭제
본 발명의 수액흐름 측정장치에 의하면, 조절부에 의해 각 식물에 대하여 탐침의 삽입 깊이를 데이터화할 수 있으므로 비숙련자라도 스스로 수액흐름 측정장치를 식물의 줄기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액흐름 측정장치에 의하면, 파지부에 의해 수액흐름 측정장치의 이탈 방지와 안정적인 장착 작업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흐름 측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흐름 측정장치에서 홀더의 이탈 방지를 위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흐름 측정장치에 밀착구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흐름 측정장치의 탄성판의 설치 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흐름 측정장치를 식물의 줄기에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수액흐름 측정장치가 식물의 줄기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액흐름 측정장치는 케이스(100), 센서부(200), 작동부(300), 조절부(400) 및 파지부(500)로 이루어진다.
이하, 각 구성별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면부는 개방된 상태이고 상면부, 하면부, 양 측면부(101, 101') 및 후면부(10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장치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00)는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있고, 조립 완료 후 일체로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양 측면부(101, 101')의 단부에는 단턱부(105)가 더 구비될 수 있는바, 이는 후술하는 홀더(340)가 케이스(10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홀더(340)의 이탈 방지를 위한 다른 실시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부(105)를 구비하는 대신 양 측면부(101, 101') 내측과 홀더(340) 외측 중의 어느 하나에 소정 길이로 홈(107)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 소정 길이로 돌기(109)를 형성하여 돌기(109)가 홈(107) 내에 구속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홀더(34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후면부(103)에는 그 중심부에 후술하는 조절부(400)의 샤프트(403)가 관통되는 고정공(103a)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공(103a)과 샤프트(403)의 결합 부분은 조절부(400)의 회전만 가능하고 축방향 이동은 제한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일예로, 샤프트(403)에 원주 방향의 홈을 내고 샤프트(403)를 고정공(103a)에 삽입하는 구조를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의 개방된 전면부는 식물 줄기의 일측에 접촉하는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수액흐름 측정장치(1)와 식물 줄기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양 측면부(101, 101') 단부에 밀착구(1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착구(12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되 식물 줄기와 접촉하는 측에 곡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센서부(200)는 식물 줄기로 삽입되는 탐침(205)을 포함하여 식물 내 수액의 흐름을 측정하는 구성으로서, 시중에서 판매되는 일반적인 수액흐름 측정센서를 사용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200)는 수액흐름 측정센서의 측정값을 분석하는 별도의 장치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작동부(300)는 센서부(200)를 고정 지지하여 센서부(200)를 케이스(100) 내에서 안정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동부(300)는 센서부(200)의 양 측면과 후면을 감싸 센서부(200)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320)와, 상기 고정부(320)의 양 측면 외측에 고정되되 케이스(100) 내부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홀더(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340)는 평면도상 대략 "ㄷ" 자 형태로 이루어지되 고정부(320)와 소정의 이격 공간(s)을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이는 조절부(400)의 샤프트(403) 길이에 대응하여 작동부(300)의 이동 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홀더(340)에는 케이스(100)의 고정공(103a)과 동심축 상에 이동공(340a)이 구비되어 조절부(400)의 나사부(403a)가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동공(340a)의 길이 방향으로 조절너트(345)가 홀더(340)에 고정 구비되어, 상기 조절너트(345)에 조절부(400)의 나사부(403a)가 나사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조절부(400)는 작동부(300)를 전후진시켜 작동부(300)에 고정된 센서부(200)의 탐침(205)이 식물 줄기 내부로 삽입될 때 그 삽입 깊이를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일측이 작동부(300)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이 케이스(100)의 후면부(103)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절부(400)는 공구로 회전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는 헤드(401)와 상기 헤드(401)에 일체로 형성되는 샤프트(403)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401)는 공구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각형으로 구성되거나 측면에 공구 삽입을 위한 요홈(401a)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403)는 케이스(100) 후면부(103)의 고정공(103a)에 결합되는 부위에 매끈한 면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고정부(320)의 이동공(340a) 및 조절너트(345)에 결합되는 부위에 나사부(403a)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파지부(500)는 본 발명의 수액흐름 측정장치가 식물의 줄기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식물의 줄기를 감싸는 구성으로서, 상기 케이스(100)의 양 측면부(101, 10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지부(500)는 식물의 줄기 굵기에 따라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탄성판(5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판(520)은 매우 쉽게 구부러지도록 하여 식물의 성장에 따라 함께 변형되며 식물의 줄기에 압박을 가하지 않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판(520)은 곡면부(520a)를 포함함으로써 식물의 줄기 부분을 감쌀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판(520)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는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폭을 갖도록 구성되어 케이스(100)의 일측면부(101)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일측면부(101)와 타측면부(101')에 엇갈린 형태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수액흐름 측정장치를 식물의 줄기에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200)를 후진시켜 센서부(200)의 탐침(205)이 케이스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데, 이는 센서부(200)의 탐침(205)이 케이스 바깥으로 돌출된 상태로 장착 작업을 실시할 경우 식물 줄기와의 충돌 등으로 탐침(205)이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 후, 탄성판(520)을 벌려 식물 줄기를 수액흐름 측정장치(1) 내로 삽입하여 탄성판(520)과 케이스(100) 전면부 사이로 식물의 줄기가 위치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400)를 회전시켜 작동부(300)를 전진시키고 작동부(300)에 고정된 센서부(200)의 탐침(205)이 식물의 줄기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은 공구를 이용해 조절부(400)를 회전시키므로 종래에 수액흐름 측정센서를 직접 손으로 식물 줄기에 삽입하는 것보다 더욱 정밀하고 정확한 깊이로 탐침을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삽입이 이루어진 후 센서부(200)의 정상적인 작동 여부를 체크하고, 비정상 작동으로 판별되는 경우 삽입 깊이를 다시 조절함으로써 센서부(20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의 삽입 깊이를 특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식물의 특정 크기에서 파프리카는 조절부(400)를 초기 상태(작동부가 가장 안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5회전시킬 때 탐침이 식물의 물관에 정확히 삽입되고, 토마토는 4회전시킬 때 탐침이 식물의 물관에 정확히 삽입된다면, 이러한 데이터를 각 식물에 대해 구축할 수 있으므로 비숙련자라도 스스로 수액흐름 측정장치를 식물의 줄기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수액흐름 측정장치(1)가 식물의 줄기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이와 같이 상기 수액흐름 측정장치(1)는 보다 편리하게 식물의 줄기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 수액흐름 측정장치
100: 케이스
101, 101': 측면부 103: 후면부 120: 밀착구
200: 센서부
205: 탐침
300: 작동부
320: 고정부 340: 홀더
400: 조절부
401: 헤드 403: 샤프트
500: 파지부
520: 탄성판

Claims (7)

  1. 전면부는 개방된 상태이고 상면부, 하면부, 양 측면부(101, 101') 및 후면부(103)를 포함하되, 상기 후면부(103)에 고정공(103a)이 구비되어 있는 케이스(100);
    식물 줄기로 삽입되는 탐침(205)을 포함하여 식물 내 수액의 흐름을 측정하는 센서부(200);
    상기 센서부(200)의 양 측면과 후면을 감싸 센서부(200)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320)와, 상기 고정부(320)의 양 측면 외측에 고정되되 케이스(100) 내부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홀더(340)로 이루어지는 작동부(300);
    일측이 작동부(300)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이 케이스(100)의 후면부(103)에 구비된 고정공(103a)에 결합되되, 상기 작동부(300)를 전후진시켜 탐침(205)의 식물 줄기 내부로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는 조절부(400); 및
    상기 케이스(100)의 양 측면부(101, 10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식물의 줄기를 감싸는 파지부(500);
    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지부(500)는 곡면부(520a)를 포함하는 탄성판(5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부(400)는 케이스(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만 가능하고 축방향 이동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흐름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100)의 양 측면부(101, 101') 단부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되 식물 줄기와 접촉하는 측에 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밀착구(1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흐름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양 측면부(101, 101')의 단부에는 단턱부(10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흐름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면부(101, 101') 내측과 홀더(340) 외측 중의 어느 하나에 소정 길이로 홈(107)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소정 길이로 돌기(10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흐름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340)에는 케이스(100)의 고정공(103a)과 동심축 상에 이동공(340a)이 구비되어 조절부(400)의 나사부(403a)가 삽입되고, 상기 이동공(340a)의 길이 방향으로 조절너트(345)가 홀더(340)에 고정 구비되어 상기 조절너트(345)에 조절부(400)의 나사부(403a)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흐름 측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400)는 헤드(401)와 상기 헤드(401)에 일체로 형성되는 샤프트(403)로 이루어지고, 상기 샤프트(403)는 케이스(100) 후면부(103)의 고정공(103a)에 결합되는 부위에 매끈한 면이 형성되고, 고정부(320)의 이동공(340a) 및 조절너트(345)에 결합되는 부위에 나사부(403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흐름 측정장치.
  7. 삭제
KR1020210038024A 2021-03-24 2021-03-24 수액흐름 측정장치 KR102334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024A KR102334423B1 (ko) 2021-03-24 2021-03-24 수액흐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024A KR102334423B1 (ko) 2021-03-24 2021-03-24 수액흐름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423B1 true KR102334423B1 (ko) 2021-12-02

Family

ID=78867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024A KR102334423B1 (ko) 2021-03-24 2021-03-24 수액흐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42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8500Y1 (ko) * 1995-06-21 1998-08-01 허참 곡면설치가 가능한 홀더
KR20040106888A (ko) * 2003-06-12 2004-12-18 정강연 퍼팅 연습용 골프 퍼터
KR20140094112A (ko) * 2013-01-21 2014-07-30 주식회사 서연 차량용 컵 홀더
KR101765079B1 (ko) 2016-01-12 2017-08-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의 수액 흐름 측정용 마이크로 니들 프로브 및 이를 구비한 수액 흐름 측정 장치
KR20170143201A (ko) * 2016-06-21 2017-12-29 김지혁 줄기식물의 새순 방지장치
KR20190072268A (ko) * 2017-12-15 2019-06-25 (주) 텔로팜 최소 침습 기술을 이용한 식물의 수액 흐름 측정용 마이크로 니들 프로브 장치
JP6854016B2 (ja) * 2016-10-27 2021-04-07 国立大学法人 香川大学 維管束液計測センサ、および維管束液計測センサ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8500Y1 (ko) * 1995-06-21 1998-08-01 허참 곡면설치가 가능한 홀더
KR20040106888A (ko) * 2003-06-12 2004-12-18 정강연 퍼팅 연습용 골프 퍼터
KR20140094112A (ko) * 2013-01-21 2014-07-30 주식회사 서연 차량용 컵 홀더
KR101765079B1 (ko) 2016-01-12 2017-08-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의 수액 흐름 측정용 마이크로 니들 프로브 및 이를 구비한 수액 흐름 측정 장치
KR20170143201A (ko) * 2016-06-21 2017-12-29 김지혁 줄기식물의 새순 방지장치
JP6854016B2 (ja) * 2016-10-27 2021-04-07 国立大学法人 香川大学 維管束液計測センサ、および維管束液計測センサの製造方法
KR20190072268A (ko) * 2017-12-15 2019-06-25 (주) 텔로팜 최소 침습 기술을 이용한 식물의 수액 흐름 측정용 마이크로 니들 프로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8959B1 (en) Adjustable arrow rest with deflection indicator
US4242744A (en) Fixing of sonic transducer to a container
JPH1147119A (ja) 生体の位置決め方法及び位置決め装置
US6581291B1 (en) Cable stripping tool
BR112012005428B1 (pt) Dispositivo de distribuição de líquido e processo de montagem de um dispositivo
KR102334423B1 (ko) 수액흐름 측정장치
EP2865816A1 (en) Weight assembly for a faucet
JP2005305170A (ja) バンド、特に時計バンドの長さを調節するデバイス
JP5222557B2 (ja) 非回転スピンドルを備えて構成されるマイクロメータ
US5983728A (en) Watch-type pressure gauge
US20150182306A1 (en) Dental bracket
KR100276760B1 (ko) 플랜지면의 평면도 측정장치
EP0142009B1 (en) Circumference measuring device
US5465501A (en) Gage with adjustable depth stops for measuring distance between two spaced surfaces
CN214286246U (zh) 可调弯鞘
CA2417053A1 (en) Module to module attaching and securing apparatus
US7607554B2 (en) Peristaltic precision metering device,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2095367B1 (ko) 반지 사이즈 측정구
JPH0871980A (ja) カッティングペンの刃先調整機構
US3124003A (en) Portable test thermometer
US3021604A (en) Ways and means for adjusting work tools
US20190339051A1 (en) Cutting guide for a cutting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operating same
US20200182729A1 (en) Calibratable tire gauge and system
CN217144906U (zh) 一种激光增材制造光斑中心校准及工作位置标定用装置
US7047656B1 (en) Tooth circumference measu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