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310B1 - 전사작업 매칭서버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전사작업 매칭서버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310B1
KR102334310B1 KR1020180165510A KR20180165510A KR102334310B1 KR 102334310 B1 KR102334310 B1 KR 102334310B1 KR 1020180165510 A KR1020180165510 A KR 1020180165510A KR 20180165510 A KR20180165510 A KR 20180165510A KR 102334310 B1 KR102334310 B1 KR 102334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cription
words
stenographer
difficult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6420A (ko
Inventor
박도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딕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딕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딕토
Priority to KR1020180165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310B1/ko
Publication of KR20200076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사작업 매칭에 참고되는 음성파일별 난이도정보를 속기사단말기로 제공하고, 속기사단말기에서 선택한 전사작업으로 업무를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작업 매칭서버 및 그 동작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전사작업 매칭서버 및 그 동작방법{SERVER FOR MATCHING TRANSCRIPTION WORK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사작업 매칭서버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파일별 전사작업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속기사단말기로 제공하고, 속기사단말기에서 선택한 전사작업으로 업무를 매칭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음성인식 기술은 사람이 말하는 음성언어를 컴퓨터가 해석해 그 내용을 텍스트정보로 전환하여 처리하는 기술이고, STT(Speech To Text) 기술이라 한다. 음성인식 기술은 특허문헌과 같이 생방송의 자막분야 또는 녹화방송의 자막분야에 적용될 수 있고, 강의록 또는 회의록 기록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음성인식기는 특허문헌과 같이 발음이 정확한 앵커의 목소리만 인식할 경우 인식률이 약 95~98%이므로, 속기사의 교정작업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속기사는 생방송 음원에 대한 전사작업을 수행할 때 방송국에 대기하다가 전사작업을 수행하고, 녹화된 음원에 대한 전사작업을 수행할 때 자신의 공간에서 전사작업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관리자가 녹화된 음원에 대한 전사작업이 필요하면 속기사에게 직접적으로 연락하여 전사작업 매칭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전사작업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속기사의 메일 또는 웹하드에 음성인식을 통해 변환된 텍스트정보를 수작업으로 전송하여 업무효율이 감소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초보자 또는 자신에게 특화된 주제/분야에 익숙한 숙련자에 해당하는 속기사가 음원에 대한 주제/분야도 모르는 상태에서 전사작업을 수행한다면 전사작업의 정확도가 감소될 수 있고, 작업시간이 증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특허문헌과 같이 속기사단말기로 음성인식기를 이용하여 음원이 텍스트로 변환된 텍스트정보를 제공할 때 음성인식률에 따른 신뢰도정보를 함께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숙련자가 음성인식률만으로 해당 음원에 대한 전사작업 난이도를 알지 못할 수 있고, 전사작업의 난이도를 알지 못한 상태에서 전사작업을 수락한다면 전사작업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48612호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속기사단말기로 전사작업 매칭에 참고되는 음성파일별 난이도정보, 분량 및 주제/분야를 제공하고, 전사작업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속기사단말기에서 선택한 전사작업으로 업무를 매칭시킨다.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작업 매칭서버는, STT(Speech To Text) 모듈을 통해 음성파일을 텍스트정보로 변환시키고, 텍스트정보에 포함된 전체단어 개수에서 중복/유사단어 개수, 미등록단어 개수 및 등록단어 인식 개수가 차지하는 비율을 산출하여 난이도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음성파일별 난이도정보와 전사작업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속기사단말기로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하여, 전사작업 선택에 참고되는 난이도정보를 속기사단말기로 제공하고, 속기사단말기에서 선택한 전사작업으로 업무를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작업 매칭서버는, 전체단어 개수에서 중복/유사단어 개수, 미등록단어 개수 및 등록단어 인식 개수가 차지하는 비율에 해당하는 점수테이블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부는 점수테이블을 참조하여 난이도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작업 매칭서버의 동작방법은, 전사작업 난이도에 따른 복수 개의 기준요소를 설정하고, 각각의 기준요소에 해당하는 점수테이블을 설정하는 단계; STT 모듈을 통해 음성파일을 텍스트정보로 변환시키고, 기준요소와 점수테이블을 이용하여 텍스트정보로부터 난이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음성파일별 난이도정보와 전사작업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속기사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전사작업 선택에 참고되는 난이도정보를 속기사단말기로 제공하고, 속기사단말기에서 선택한 전사작업으로 업무를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속기사단말기에서 선택한 전사작업에 대응하여 음성파일의 재생과 텍스트정보의 출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텍스트 정보를 출력할 때 난이도산출에 영향을 주는 단어를 강조하여 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속기사가 선호하는 전사작업으로 업무를 매칭시킬 수 있고, 전사작업의 매칭환경을 제공하여 속기사 인력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으며, 속기사단말기로 난이도정보뿐만 아니라 분량과 주제/분야를 함께 제공하여 속기사가 원하는 전사작업을 쉽게 선택할 수 있고, 속기사의 업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속기사단말기에서 선택한 전사작업에 대응하여 음성파일의 재생과 텍스트정보의 출력을 제공함으로써, 속기사에게 전사작업의 수행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속기사의 업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다수의 속기사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전사작업 매칭서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기준요소별 가중치를 도시한 예이다.
도 3은 가중치가 적용된 난이도점수를 도시한 예이다.
도 4는 속기사단말기의 화면을 도시한 예이다.
도 5는 도 1의 전사작업 매칭서버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전사작업 수행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다수의 속기사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전사작업 매칭서버를 도시한 블록도로서, 전사작업 매칭서버(100)는 속기사단말기(200)로 음성파일별로 전사작업의 매칭환경과 수행환경을 제공한다. 전사작업 매칭서버(100)는 속기사가 선호하는 전사작업으로 업무를 매칭시키고, 속기사가 선택한 전사작업에 대응하여 음성파일의 재생과 텍스트정보의 출력을 제공함으로써, 전사작업의 매칭환경과 수행환경을 함께 제공한다. 매칭은 속기사가 선호하는 전사작업으로 업무를 연결 또는 할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사작업 매칭서버(100)는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시키는 STT 모듈을 통해 음성파일을 텍스트정보로 변환한다.
전사작업 매칭서버(100)는 속기사가 선호하는 전사작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전사작업 선택에 참고되는 난이도정보를 속기사단말기(200)로 제공하고, 속기사단말기(200)에서 선택한 전사작업으로 업무를 매칭시킨다.
속기사단말기(200)는 속기사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또는 데스크톱 PC일 수 있다. 음성파일은 음성으로 녹음된 파일일 수 있고, 영상에서 오디오신호가 분리된 음원이 녹음된 파일일 수 있다.
전사작업 매칭서버(100)는 설정부(110), 생성부(130) 및 제공부(140)를 포함한다. 설정부(110)는 전사작업 난이도에 따른 복수 개의 기준요소를 설정하고, 각각의 기준요소에 해당하는 점수테이블을 설정한다. 기준요소는 전체단어 개수 대 중복/유사단어 개수비, 전체단어 개수 대 미등록단어 개수비 및 전체단어 개수 대 등록단어 인식 개수비를 포함한다. 점수테이블은 기준요소별로 난이도점수가 설정된다. 기준요소와 점수테이블은 음성파일의 난이도점수를 산출하여 난이도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130)에서 사용된다.
전사작업 매칭서버(100)는 입력부(120) 및 저장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입력부(120)는 음성파일을 입력받아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생성부(130)는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시키는 STT 모듈을 통해 음성파일의 텍스트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부(130)는 음성파일의 메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메타정보는 음성파일의 생성에서 발생하는 정보이다. 메타정보는 재생시간, 파일이름 및 인코딩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생성부(130)는 STT 모듈을 통해 음성파일을 텍스트정보로 변환시키고, 텍스트정보에 포함된 전체단어 개수에서 중복/유사단어 개수, 미등록단어 개수 및 등록단어 인식 개수가 차지하는 비율을 산출하여 난이도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부(130)는 전사작업 난이도에 따른 복수 개의 기준요소와 각각의 기준요소에 해당하는 점수테이블을 이용하여 음성파일이 변환된 텍스트정보의 난이도점수를 산출한다.
생성부(130)는 전체단어 개수 대 중복/유사단어 개수비에 해당하는 난이도점수를 산출한다. 전체단어 개수에서 중복/유사단어 개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면 난이도점수는 낮아진다.
생성부(130)는 전체단어 개수 대 미등록단어 개수비에 해당하는 난이도점수를 산출한다. 미등록단어는 단어사전에 등록되지 않은 단어(OOV: Out Of Vocabulary)이고, 등록단어는 단어사전에 등록된 단어를 의미한다. 전체단어 개수에서 미등록단어 개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면 난이도점수는 높아진다.
생성부(130)는 전체단어 개수 대 등록단어 인식 개수비에 해당하는 난이도점수를 산출한다. 생성부(130)는 STT모듈이 음성의 발음 정확도에 의해 등록단어를 인식하거나 비인식할 수 있으므로, 전체단어 개수 대 등록단어 인식 개수비를 산출한다. 전체단어 개수에서 등록단어 인식 개수 또는 등록단어 개수 대 등록단어 인식 개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으면 난이도 점수는 낮아진다.
생성부(130)는 전체단어 개수 대 중복/유사단어 개수비, 전체단어 개수 대 미등록단어 개수비 및 전체단어 개수 대 등록단어 인식 개수비 등 기준요소별 난이도점수를 산출하고, 각각의 난이도점수를 종합평가하여 종합난이도를 산출한다.
도 2는 기준요소별 가중치를 도시한 예이고, 도 3은 가중치가 적용된 난이도점수를 도시한 예로서, 설정부(110)은 기준요소별로 가중치를 설정하고, 생성부(130)는 가중치가 적용된 각각의 난이도점수를 평균연산하여 종합난이도를 산출한다. 가중치는 기준요소별로 난이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예를 들어 전체단어 개수 대 미등록단어 개수비에 해당하는 기준요소가 가장 높을 수 있고, 전체단어 개수 대 중복/유사단어 개수비에 해당하는 기준요소가 가장 낮을 수 있으며, 시스템 설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설정부(110)는 속기사단말기(200)로부터 전사작업이 완료된 텍스트정보를 수신하면 이에 합당한 비용을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난이도정보와 전체단어 개수에 따른 분량에 기반하여 전사작업 비용을 설정할 수 있다.
생성부(130)는 중복/유사단어의 의미를 분석하거나, 상위 개수의 중복/유사단어를 포함하여 주제/분야를 생성한다. 제공부(140)는 난이도정보, 전체단어 개수에 따른 분량 및 주제/분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속기사는 분량과 주제/분야를 통해 전사작업 소요시간을 예측할 수 있고, 자기 분야에 맞는 전사작업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속기사는 난이도정보와 분량을 통해 전사작업 비용이 어느 정도가 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생성부(130)는 중복/유사단어를 통해 난이도점수 및 주제/분야를 함께 생성한다.
도 4는 속기사단말기의 화면을 도시한 예로서, 제공부(140)는 음성파일별 난이도정보와 전사작업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속기사단말기로 제공한다.
제공부(140)는 전사작업에 참고되도록 난이도정보뿐만 아니라 분량과 주제/분야를 제공할 수 있고, 부가적으로 메타정보를 더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공부(140)는 속기사단말기(200)로 파일이름과 재생시간을 포함하는 메타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분량과 주제/분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난이도정보 중에서 종합난이도를 제공할 수 있고, 미리듣기 기능과 전사작업 수락여부에 따른 선택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분량은 전체단어 개수를 의미하고, 미리듣기의 기능은 음성파일의 음질과 난이도를 확인하기 위한 기능이다.
제공부(140)는 상세보기 선택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상세보기는 도 4에 표출되지 않은 메타정보와 난이도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자주 반복된 중복/유사단어들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사작업 비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속기사가 난이도정보를 통해 자신의 실력에 맞는 음원파일을 선택하여 전사작업을 수락할 수 있고, 자신의 실력에 맞는 맞춤형 전사작업 매칭을 통해 전사자의 업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업무영역을 확장시키기 위해 자신에게 특화된 주제/분야가 아닌 다른 주제/분야인 음원파일을 선택하여 전사작업을 수락할 수 있고, 속기사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콜택시의 콜을 받는 기능처럼 자동화된 시스템을 제공하여 속기사 업무 할당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속기사 인력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제공부(140)는 속기사단말기(200)로부터 음성파일의 전사작업 수락에 따른 선택정보를 수신하면, 속기사단말기(200)로 음성파일의 재생과 텍스트정보의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공부(140)는 텍스트 정보를 출력할 때 난이도산출에 영향을 주는 단어를 강조하여 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종래에는 특허문헌과 같이 음성인식률에 따라 자막의 색상을 달리 표출하여 속기사가 음성인식률을 인지할 수 있었으나, 실질적으로 속기사의 교정작업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난이도산출에 영향을 주는 단어마다 강조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속기사의 교정작업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제공부(140)는 음성파일을 재생할 때 비음성 부분을 제외한 음원을 재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공부(140)는 비음성 부분을 제외한 음원을 재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전사작업 수행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전사작업 매칭서버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설정부(110)에서 기준요소별 점수테이블을 설정하고, 입력부(120)에서 음성파일을 입력받으며, 생성부(130)에서 STT모듈을 통해 텍스트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점수테이블을 참조하여 난이도정보를 생성하고, 제공부(140)에서 속기사단말기로, 난이도정보, 분량, 주제/분야 및 전사작업 수락여부에 따른 선택입력을 제공한다. 이후, 속기사단말기(200)로부터 전사작업 수락에 따른 선택정보를 수신하면 전사작업 수행을 위한 환경을 제공한다.
도 6은 도 5의 전사작업 수행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제공부(140)는 속기사단말기(200)로부터 전사작업 수락에 따른 선택정보를 수신하고, 텍스트정보 출력 요구에 따른 요구정보를 수신하면 속기사단말기(200)로 음성파일의 재생과 텍스트정보의 출력을 제공한다. 제공부(140)는 텍스트정보의 출력에 따른 비용정보를 속기사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공부(140)는 텍스트정보 출력 미요구에 따른 미요구정보를 수신하면 속기사단말기(200)로 음성파일의 재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사작업 매칭서버(100)을 통해 속기사에게 전사작업의 매칭을 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전사작업의 수행을 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100: 전사작업 매칭서버 110: 설정부
120: 입력부 130: 생성부
140: 제공부 150: 저장부
200: 속기사단말기

Claims (5)

  1. STT(Speech To Text) 모듈을 통해 음성파일을 텍스트정보로 변환시키고, 텍스트정보에 포함된 전체단어 개수에서 중복/유사단어 개수, 미등록단어 개수 및 등록단어 인식 개수가 차지하는 비율을 산출하여 난이도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음성파일별 난이도정보와 전사작업 선택을 위한 비음성부분을 제외한 음원을 재생하는 미리듣기를 포함한 인터페이스를 속기사단말기로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하여,
    전사작업 선택에 참고되는 난이도정보를 속기사단말기로 제공하고, 속기사단말기에서 선택한 전사작업으로 업무를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작업 매칭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전체단어 개수에서 중복/유사단어 개수, 미등록단어 개수 및 등록단어 인식 개수가 차지하는 비율에 해당하는 점수테이블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부는 점수테이블을 참조하여 난이도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작업 매칭서버.
  3. 전사작업 매칭서버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전사작업 난이도에 따른 복수 개의 기준요소를 설정하고, 각각의 기준요소에 해당하는 점수테이블을 설정하는 단계;
    STT 모듈을 통해 음성파일을 텍스트정보로 변환시키고, 기준요소와 점수테이블을 이용하여 텍스트정보로부터 난이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음성파일별 난이도정보와 전사작업 선택을 위한 비음성부분을 제외한 음원을 재생하는 미리듣기를 포함한 인터페이스를 속기사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전사작업 선택에 참고되는 난이도정보를 속기사단말기로 제공하고, 속기사단말기에서 선택한 전사작업으로 업무를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작업 매칭서버의 동작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속기사단말기에서 선택한 전사작업에 대응하여 음성파일의 재생과 텍스트정보의 출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작업 매칭서버의 동작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텍스트 정보를 출력할 때 난이도산출에 영향을 주는 단어를 강조하여 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작업 매칭서버의 동작방법.
KR1020180165510A 2018-12-19 2018-12-19 전사작업 매칭서버 및 그 동작방법 KR102334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510A KR102334310B1 (ko) 2018-12-19 2018-12-19 전사작업 매칭서버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510A KR102334310B1 (ko) 2018-12-19 2018-12-19 전사작업 매칭서버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420A KR20200076420A (ko) 2020-06-29
KR102334310B1 true KR102334310B1 (ko) 2021-12-03

Family

ID=71401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510A KR102334310B1 (ko) 2018-12-19 2018-12-19 전사작업 매칭서버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31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013B1 (ko) 2000-12-18 2003-04-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성인식기를 이용한 자막 입력장치 및 그 방법과 그 기록매체
KR101073677B1 (ko) * 2009-12-02 2011-10-14 주식회사 소리자바 속기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속기 입력 시스템
KR101751898B1 (ko) * 2015-11-05 2017-06-29 윤제현 언어 학습을 위한 원어민 번역 교정 방법 및 번역 교정 서비스 제공 서버
KR101808689B1 (ko) * 2016-05-12 2017-12-14 주식회사 솔루게이트 음성인식 학습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포스트, 속기(타이핑) 가격을 결정하는 3가지, 2018.10.2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420A (ko) 202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31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peech recognition and separate dialect identification
US201501491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lation
US10347250B2 (en) Utterance presentation device, utterance present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WO2014136534A1 (ja) 理解支援システム、理解支援サーバ、理解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8983845B1 (en) Third-party audio subsystem enhancement
JP2015506000A (ja) 音声コンテンツ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743976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TW201624467A (zh) 會議記錄裝置及其自動生成會議記錄的方法
TW201624468A (zh) 會議記錄裝置及其自動生成會議記錄的方法
US20140278404A1 (en) Audio merge tags
KR102334310B1 (ko) 전사작업 매칭서버 및 그 동작방법
CN110890095A (zh) 语音检测方法、推荐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JP6172770B2 (ja) 要約筆記支援システム、情報配信装置、要約筆記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065291A (ja) 語学学習支援方法
JP4779365B2 (ja) 発音矯正支援装置
US20080046230A1 (en) Reception support system and program therefor
KR20110064964A (ko) 지능형 언어 학습 및 발음교정 시스템
WO2019069997A1 (ja) 情報処理装置、画面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89348B1 (ja) 音声データ最適化システム
JP6386690B1 (ja) 音声データ最適化システム
WO2020240905A1 (ja) 音声処理装置、音声の対のコーパスの生産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7304269B2 (ja) 書き起こし支援方法及び書き起こし支援装置
JP2023162822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387044B2 (ja) テキスト処理装置、テキスト処理方法およびテキスト処理プログラム
CN112236816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系统以及影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